KR20080050504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504A
KR20080050504A KR1020087009382A KR20087009382A KR20080050504A KR 20080050504 A KR20080050504 A KR 20080050504A KR 1020087009382 A KR1020087009382 A KR 1020087009382A KR 20087009382 A KR20087009382 A KR 20087009382A KR 20080050504 A KR20080050504 A KR 2008005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key
protrusion
sub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자이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전화기(1)는 수화 하우징(telephone receiveing housing)(2)과 송화 하우징(telephone transmitting housing)(3)이 연결부(4)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접속된 휴대 단말 장치이다. 수화 하우징(2)은, 페쇄 상태에서 송화 하우징(3)에 대향하는 제 1 면(S1)의 단부에 돌출부(21)가 형성된다. 송화 하우징(3)은 그 단부에 노치 형성부(22)가 형성되고, 돌출부(21)는 노치 형성부(2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돌출부(21)의 내부에 스위치가 마련되고, 이 스위치를 내리누르는 것이 가능한 서브 키가 돌출부(21)에 마련된다. 서브 키는, 개방 상태에서 서브 키의 내리누름 방향이 메인 키의 내리누름 방향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돌출부(21)의 표면에 마련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및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이 휴대 전화기에 탑재되는 등, 휴대 전화기의 기능은 증가되고 있다. 그러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키(key)의 개수는 증가된다. 본래, 키는 발호 지시(telephone calling)를 하기 위해 통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기능만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현재에는 숫자 키 및 발호 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키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전체 키 개수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일예로서 접을 수 있는 휴대 전화기가 개시된다. 그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접힘 형식의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이 폐쇄된 폐쇄 상태에서 노출되는 측면에 키가 마련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204298 호.
발명의 요약
하지만, 비록 하우징의 측면에 키가 마련되는 그러한 방법이 해결 수단의 하 나가 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고, 또한 디자인 상의 자유도가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키의 개수가 증가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숫자 키 및 방향 키의 크기는 공간을 생성하도록 감소되고, 새로운 키가 이 공간에 배열되는 방법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하우징의 크기가 증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넓어진 디자인 상의 설계 자유도에 추가하여 우수한 조작성을 갖는 신규한 조작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이루도록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향하는 제 1 면에 마련된 표시부와, 상기 제 1 면의 단부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향하는 제 2 면에 마련된 메인 키(main key)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단부에 마련된 노치 형성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노치 형성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된, 상기 노치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내부에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를 내리누르는 것이 가능한 서브 키(sub-key)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서브 키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서브 키의 내리누름 방향이 상기 메인 키의 내리누름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휴대 단말 장치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표면의 상기 서브 키의 주위가 절결(cut ou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표면 중 상기 서브 키가 마련된 부위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은 상기 제 2 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서브 키가 마련된 상기 평면과 상기 평면에 인접하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가 절결되고, 상기 서브 키의 정점면(vertex face)은 중앙이 볼록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2 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키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표면 중 상기 서브 키가 마련된 부위의 표면의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디자인 상의 자유도를 실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키 배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를 개방 상태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휴대 전화기를 폐쇄 상태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휴대 전화기를 폐쇄 상태로 도시하는 다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근방을 개방 상태로 도시하는,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근방을 개방 상태로 도시하는,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근방을 폐쇄 상태로 도시하는, 연결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Ⅵ-Ⅵ 선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취한, 휴대 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카메라 모듈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근방을 개방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서브 키(sub-key)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서브 키의 다른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에의 서브 키의 장착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소위 접힘가능(foldable) 형식의 휴대 전화기로서 구성되고, 도 1은 휴대 전화기(1)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며, 도 2a 및 도 2b는 휴대 전화기(1)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휴대 전화기(1)는 수화 하우징(telephone receiving housing)(제 1 하우징)(2)과 송화 하우징(telephone transmitting housing)(제 2 하우징)(3)을 포함한다. 수화 하우징(2)의 단부는 연결부(4)에 의해 송화 하우징(3)의 단부에 연결된다. 휴대 전화기(1)는 연결부(4)의 측 상의 휴대 전화기(1)의 부분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가능하다. 수화 하우징(2) 및 송화 하우징(3) 각각은 실질적으로 슬림(slim) 타입의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폐쇄 상태에서 수화 하우징(2)은 송화 하우징(3)과 중첩되어, 하나의 하우징 측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 측으로 휴대 전화기(1)를 보았을 때 그 윤곽이 서로 일치한다.
수화 하우징(2)은 폐쇄 상태에서 송화 하우징(3)에 대향하는 면[즉, 정면, 제 1 면("S1")] 측에 정면측 케이스(6)와, 그 배면의 측에 배면측 케이스(7)를 포함한다. 정면측 케이스(6) 및 배면측 케이스(7)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전화 통화용의 스피커(13)의 음성 출력 개구는 수화 하우징(2)의 정면측 케이스(6)에 개방되고, 카메라 모듈용 개구 창(open window)(14) 및 플래시(flash)용 개구 창(15)은 배면측 케이스(7)에 개방된다.
정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와, 배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12)가 수화 하우징(2)에 마련된다. 메인 표시부(11) 및 서브 표시부(12)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된다. 메인 표시부(11)는 예를 들어 수화 하우징(2)의 정면측 면적의 절반값 이상의 면적을 갖는다. 수화 하우징(2)의 정면측의 대부분은 메인 표시부(11)의 보호 커버(11a)에 의해 덮인다. 보호 커버(11a)는 예를 들어 아크릴판에 의해 형성된다.
송화 하우징(3)은 폐쇄 상태에서 수화 하우징(2)에 대향하는 면[정면, 즉 제 2 면("S2")] 측에 정면측 케이스(8)와, 그 배면측에 배면측 케이스(9)와, 배면측 케이스(9)의 배면측에 덮이는 덮개체(lid body)(10)를 포함한다. 정면측 케이스(8), 배면측 케이스(9) 및 덮개체(10)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전화 통화용 마이크로폰의 음성 수집 개구(18)는 송화 하우징(3)의 정면측 케이스(8)에 개방되고, 통지용 스피커의 음성 출력 개구(19)는 덮개체(10)에 개방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장식의 제 1 안테나가 전화 통화용 마이크로폰의 음성 수집 개구(18) 근방의 내부, 즉 송화 하우징(3) 내의 연결부(4)와 반대측에 배열된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수용하는 메인 키 부분(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17)이 송화 하우징(3)에 마련된다. 작종 버튼이 메인 키 부분(17)에 배열되고, 정면측 케이스(8)로부터 노출된다. 이들 버튼은 예를 들어, 숫자 키(17a), 커서 키(cursor key)(17b), 기능 키(17c) 등을 포함한다. 메인 키 부분(17)의 각종 버튼이 연속(인접) 방식으로 마련되고, 따라서 이들 각종 버튼을 서로 격리시키는 칸막이(프레임)가 배치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개구부(8a)가 정면측 케이스(8)의 배치 영역에 마련되고, 키(17a 내지 17c)는 이 개구부(8a)로부터 노출된다.
도 3은, 정면측으로부터 본, 개방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연결부(4) 부근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배면측으로부터 본, 개방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연결부 부근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폐쇄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연결부(4) 부근을 수화 하우징(2) 및 송화 하우징(3)에 대향하는 면에 평행하게 본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폐쇄 상태의 휴대 전화기(1)의 연결부(4) 부근을 도시하는 단면도(즉, 도 2a의 선 Ⅵ-Ⅵ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는 수화 하우징(2)의 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1)가 송화 하우징(3)의 일단부에 마련된 노치 형성부(22)에 끼워맞춤되고, 축 부재(23)가 노치 형성부(22)의 벽부에 그리고 돌출부(2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수화 하우징(2)과 송화 하우징(3) 양자는 축 부재(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서로 회전가능하다. 돌출부(21)는 단차부(stepped portion)(25)로부터 돌출하고, 단차부(25)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서, 단차부(25)는 노치 형성부(22)에 연속하는 리세스부(recessed portion)(27)에 수납되고, 제 1 면(S1)은 제 1 면(S1)으로부터의 단차부(25)의 베이스부의 높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제 2 면(S2)에 면한다. 제 1 면(S1)과 제 2 면(S2) 사이의 간극은, 예를 들어 제 1 면(S1)과 제 2 면(S2) 중 하나 상에 마련된 돌기부(11b)가 제 1 면(S1)과 제 2 면(S2) 중 나머지 하나의 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이 예에 있어서, 돌기부(11b)는 도 1의 스피커(13)의 음성 출력 개구의 양 측에 마련된 고무제의 볼록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는 수화 하우징(2)의 제 1 면(S1)에 마련된다. 돌출부(21)와 단차부(25) 양자는 예를 들어 수지 등에 의해 정면측 케이스(6)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21)의 일부는 회전축 방향으로 수화 하우징(2)의 단부 중앙에 마련되고, 회전축 주위에 실질적으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면(S1)으로부터의 돌출부(21)의 돌출량은 예를 들어 송화 하우징(3)의 두께와 동일하게 또는 약간 작게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디자인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서 돌출부(21)가 송화 하우징(3)의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 방향의 돌출부(21)의 길이("L1")는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이 길이("L1")는 수화 하우징(2) 및 송화 하우징(3)의 폭의 50 내지 70%로 설정된다.
단차부(25)의 베이스부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면(S1)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다.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단차부(25)의 베이스부의 폭은 돌출부(21)의 폭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돌출부(21)는 삽입되어 노치 형성부(22)에 끼워맞춤될 수 있기 때문에, 단차부(25)의 베이스부의 폭은 노치 형성부(22)의 폭보다 좁게 만들어진다. 회전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차부(25)의 베이스부의 폭은 돌출부(21)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고, 돌출부(21)는 단차부(25)의 하우징 단부 근방의 위치로부터 돌출한다. 보호 커버(11a)는 연결부(4) 측에 노치 형성되고, 정면측 케이스(6)에 마련된 단차부(25)는 이 노치 형성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1 면(S1)으로부터의 단차부(25)의 높이는 폐쇄 상태에서 제 1 면(S1)과 제 2 면(S2)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된다.
노치 형성부(22)는 제 2 면(S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돌출부(21)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송화 하우징(3)의 단부의 중앙에 위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주위의 돌출부(21)의 외주면과 회전축 주위의 노치 형성부(22)의 벽면(22a) 사이에 아주 작은 갭(gap)이 형성되어, 노치 형성부(22)에 대한 돌출부(21)의 회전이 허용된다.
후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21)의 선단 표면에 평면(21a)이 마련되고, 평면(21a)은 개방 상태에서 제 2 면(S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이 평면(21a) 상에 서브 키(sub-key)(60)가 마련된다[만약 도 6이 서브 키(60)가 기재된 부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면, 평면(21a)은 표시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서브 키(60)는 도 6에 도시되지 않는다]. (후에 논의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이 서브 키(60)의 면의 중앙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내리눌리는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회전축으로부터의 이 볼록 형상의 정점부의 거리는, 돌출부(21)가 노치 형성부(22) 내에서 회전될 때 이 정점부가 벽면(22a)과 접촉되지 않도록, 돌출부(21)에 있어서의 다른 표면 부분으로부터의 거리와 동일하게 또는 짧게 되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서브 키(60)의 부분은 회전 반경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서브 키(60)의 폭은 휴대 전화기(1)의 질이방향에 있어서의 평면(21a)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기 손가락 쿠션을 이용하여 서브 키(60)를 내리누르는 경우에, 손가락 쿠션에 의한 내리누름 동작이 휴대 전화기(1)의 길이방향에서 평면(21a)에 의해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서브 키(60)는 용이하게 내리눌릴 수 있다.
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과 직교하는 돌출부(21)의 단면(21b)은 돌출부(21)를 사이에 끼우는 노치 형성부(22)의 벽부(22b)와 접촉한다. 휴대 전화기(1)가 개방 및 폐쇄될 때, 이들 면은 활주가능하다.
리세스부(27)는 노치 형성부(22)와 메인 키 부분(17) 사이의 영역에 제 2 면(S2)에 대해 리세스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부(27)는 송화 하우징(3)의 정면측 케이스(8)의 연결부(4) 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리세스부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된 도전판(electric conducting plate)(31)으로 덮인다. 도전판(31)이 마련되기 때문에, (후술되는) 카메라 모듈(33)로부터 발생된 노이즈(noise) 및 카메라 모듈(33)로 침입하는 노이즈가 차단된다. 도전판(31) 대신에 도전 도료(paint)가 도포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만약 이들 도전부가 기준 전위 라인에 도통되면, 대전된 손가락이 메인 키 부분(17)에 놓이는 경우에도, 정전기는 기준 전위 라인에 접지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정면측 케이스(8)만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단을 위한 도전판 등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부(27)는 메인 키 부분(17) 측으로부터 노치 형성부(22) 측으로 리세스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리세스부(27)는 리세스부(27)에 인접하여 위치된 커서 키(17b)의 키 표면 및 기능 키(17c)의 키 표면으로부터 자연 사면(natural slope)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면(S2)에 대한 메인 키 부분(17) 측의 리세스 양은 제 2 면(S2)에 대한 노치 형성부(22) 측의 리세스 양보다 적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면(S2)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리세스부(27)는 노치 형성부(22) 측으로부터 메인 키 부분(17) 측으로 넓어지는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치 형성부(22) 측의 리세스부(27)의 폭은 노치 형성부(22)의 폭과 동일하고, 메인 키 부분(17) 측의 리세스부(27)의 폭은 리세스부(27) 측의 메인 키 부분(17)의 폭과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축 방향으로, 노치 형성부(22)의 양 에지, 리세스부(27)의 양 에지, 및 메인 키 부분(17)[숫자 키(17a) 등을 노출시키기 위한 송화 하우징(3)의 개구부]의 양 에지는 연속 라인("LN1")을 이룬다. 다시 말하면, 이들 양 에지들 사이에 단차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지부가 노치 형성부(22)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들 에지부 사이의 간격이 노치 형성부(22)와 리세스부(27) 사이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메인 키 부분(17)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이들 에지부는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돌출부(21) 및 단차부(25)의 돌출량의 기준 및 리세스부(27)의 리세스 양의 기준은, 예를 들어 수화 하우징(2) 및 송화 하우징(3)이 폐쇄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연결면을 기준으로 규정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1) 및 단차부(25)의 돌출량에 대한 기준("ST1")은 메인 표시부(11)의 보호 커버(11a)에 기초하여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부(27)의 리세스 양에 대한 기준("ST2")은 예를 들어 메인 키 부분(17)의 주위 부분(8s)(도 3 참조)에 기초하여 규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23)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이 축 부재(23)는 돌출부(21)의 단면(21b)에 개구된 구멍부(21d)와, 노치 형성부(22)의 벽부(22b)에 개구된 다른 구멍부(22d)로 삽입된다. 축 부재(23)는 노치 형성부(22)와 돌출부(2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비록 축 부재(23)는 돌출부(21)의 양 단부(21b)에 대응하여 2개가 마련되지만, 도 3에서는 한쪽의 축 부재(23)만 도시된다. 수화 하우징(2)을 송화 하우징(3)에 전기 접속하는 신호선(29)이 2개의 축 부재(23) 중 하나에 삽입된다. 휴대 전화기(1)가 개방 및 폐쇄될 때 클릭감(clicking feeling)을 생성할 수 있는 클릭 기구가 2개의 축 부재(23) 중 나머지 하나의 축 부재에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 측의 수화 하우징(2)의 단부에 카메라 모듈(33)이 마련된다. 카메라 모듈(33)은 수화 하우징(2)의 개구창(14)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촬상한다. 제 1 면(S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모듈(33)의 크기는 단차부(25)의 크기보다 약간 작다. 카메라 모듈(33)의 배면(33a)은 단차부(25)에 수납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33)은 제 1 면(S1)보다는 송화 하우징(3) 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배열된다(또한 도 5 참조). 카메라 모듈(33)은 돌출부(21)의 루트(root) 측에 있어서 제 1 면(S1)으로부터 송화 하우징(3) 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33)의 일부가 돌출부(21)에 수납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7은 수화 하우징(2)의 정면측 케이스(6)로부터 카메라 모듈(33)이 떼어내진 것을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이다. 지면에서 보았을 때 도 7의 후방은 지면에서 보았을 때 도 1의 전방에 대응한다.
카메라 모듈(33)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35)을 포함한다. 하우징(35)에는 하우징(35)의 절반 크기에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개구창(35a)이 개구되고, 광학 모듈이 개구창(35a) 측의 하우징(35)의 대략 절반 영역에 수납된다. 광학 모듈은 개구창(35a)으로부터 노출된 렌즈(36)를 포함하는 광학 렌즈, 광학 렌즈의 광로를 개폐하는 기계적 셔터(도시되지 않음), 및 광학 렌즈(36)로부터 전파된 광이 결상하는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광학 모듈의 기계적 셔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도시되지 않음)가, 개구창(35a)과 반대측의 하우징(35)의 대략 절반 영역에 수납된다.
카메라 모듈(33)은 박스 형상의 실드 케이스(shield case)(37)에 수납되고, 송화 하우징(3)에 마련된 보드 등에 카메라 모듈(33)을 전기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FPC)에 접속된다. 노이즈가 카메라 모듈(33)의 촬상 소자로 혼입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실드 케이스(37)가 카메라 모듈(33)에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실드 케이스(37)는 카메라 모듈(33)의 일부로서 인식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33)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플레이트 형상 리브(rib)(39)가 정면측 케이스(6)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즉, 하우징의 내부측)으로 돌출한다. 카메라 모듈(33)은 리브(39) 사이에 끼워맞춤 삽입되어 정면측 케이스(6)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33)은 단차부(25)의 내측면(25a) 및 돌출부(21)에 마련된 홀더(41)에 대해 그 배면을 대향시켜 배열되고(또한 도 6 참조), 배면측 케이스(7)가 개구창(35a) 측으로부터 카메라 모듈(33)을 덮는 것에 의해 정면측 케이스(6) 및 배면측 케이스(7)에 대해 고정된다.
홀더(41)는 카메라 모듈(33)의 배면이 접촉하는 접촉부(41a)와, 접촉부(41a)를 지지하는 지지부(41b)와, 지지부(41b)의 선단에 그리고 접촉부(41a)의 반대측에 위치된 스위치 탑재부(41d)(후술됨)를 포함한다. 접촉부(41a)는 예를 들어 단차부(25)의 내측면(25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속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부(41b)는 예를 들어 접촉부(41a)와 직교하고 회전축에 평행한 2개의 플레이트 형상부를 포함한다. 지지부(41b)는 돌출부(21)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접촉부(41a)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41b)에 계지부(anchor portion)(41c)가 형성되고, 홀더(41)가 돌출부(21)에 삽입될 때, 이 홀더(41)는 그 내측면의 계지 오목부(21e)에 끼워맞춤되어 계지된다. 결과적으로, 홀더(41)가 조립 단계에서 빠지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 부재(23) 및 미도시된 측에 마련된 다른 축 부재가 접촉부(41a), 2개의 지지부(41b) 및 또한 스위치 탑재부(41d)에 의해 형성된 갭 내로 삽입된다. 추가하여, 진동기용 모터와 같은 전자 부품이 홀더(41)에 의해 2개의 축 부재 사이에 고정된다. 진동기용 모터가 홀더(41)의 상술된 내측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진동기의 진동은 휴대 전화기(1) 전체로 전파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화 하우징(3)의 배면측 케이스(9)는, 배터리 수납 공간(battery storage space)(BS) 등과 같이 각종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 내부측 및 하우징 외부측에 복수의 리브(39)를 갖도록 형성된다. 배면측 케이스(9)에 덮개체(10)가 덮여, 이 덮개체(10)는 배터리 수납 공간(BS)을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측에 형성된 수납 공간을 덮는다.
고주파 회로(도시되지 않음) 등이 마련되는 메인 보드(45)가 배면측 케이스(9)의 하우징 내부측에 탑재된다. 고주파 회로 등을 차폐하는 실드 케이스(도시되지 않음)가 메인 보드(45)를 덮고, 복수의 내리누름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는 키 FPC(46)가 이 실드 케이스에 마련된다. 키 시트(key seat)(47)가 키 FPC(46) 상의 내리누름 스위치를 내리누르도록 배열된다. 정면측 케이스(8)가 키 시트(47)에 덮이고, 키 시트(47)는 키 FPC(46) 및 정면측 케이스(8)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키 시트(47)는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키(17a 내지 17c)는 키 시트(47)에 대해 고정된다. 사용자가 키(17a 내지 17c)를 내리누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 시트(47)거쳐 키 FPC(46)의 내리누름 스위치를 내리누를 수 있다. 메인 키 부분(17)은 키(17a 내지 17c), 키 시트(47) 및 키 FPC(4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수화 하우징(2) 측의 신호선(29)의 일단은, 예를 들어 메인 표시부(11)를 제어하도록 채용된 보드 등을 거쳐 카메라 모듈(33)의 FPC(38)에 접속된다. 또한, 송화 하우징(3) 측의 신호선(29)의 타단은 예를 들어 메인 보드(45)에 접속된다(도 6을 참조). 메인 보드(45)에 CPU(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고, CPU는 메인 키 부분(17)으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응답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신호선(29)은 예를 들어 메인 보드(45)의 CPU를 거쳐 메인 키 부분(17)으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카메라 모듈(33)에 전송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파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 2 안테나(43)가 송화 하우징(3)에 내장된다. 제 2 안테나는 연결부(4) 측의 송화 하우징(3)의 단부에 그리고 돌출부(21)를 끼우는 부분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 2 안테나(43)는 폐쇄 상태에서 연결부(4)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어도 단차부(25)와 중첩되지 않는다. 제 1 안테나가 연결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 제 1 안테나는 명백하게 폐쇄 상태에서 연결부(4)와 중첩되지 않는다.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 양자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채용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연속적으로 활용되는 메인 안테나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서브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서브 키(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개방 상태로서,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할 때 제 1 면(S1)과 제 2 면(S2)이 사용자의 귀와 입에 맞춰지기 위해, 클릭 기구를 갖는 측의 축부재에 관하여 제 1 면(S1)과 제 2 면(S2)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되도록 제 1 하우징(2)이 제 2 하우징(3)에 계지된 것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제 1 면(S1)과 제 2 면(S2)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약 160도 내지 약 170도로부터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면(S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는 평면(21a)이 돌출부(21)의 선단 표면(21c)에 형성된다. 이 평면(21a)은 제 1 면(S1)에 대해 약간(약 10 내지 20도) 경사지고, 3개의 서브 키(60)가 이 평면(21a)에 마련된다[도 3에 있어서, 축부재(23) 주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2개의 서브 키(60)만이 도시된다]. 또한, 단면(21b)에 의해 끼워지고 평면(21a)에 인접한, 평면(21a)과 측면(21f) 사이의 코너부는 다면(multi-face) 또는 곡면을 갖도록 절결한다. 또한, 표면을 절결함으로써 3개의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의 오목부(61)가 이 평면(21a)을 포함하는 돌출부(21c)에 형성된다. 이어서, 유사하게 타원형 형상의 서브 키(60)가 이 오목부(61)의 중앙에 각각 배열된다.
도 9a 및 도 9b는 서브 키(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추가하여, 도 10은 보호 커버(11a)가 탑재된 상태로 서브 키(60)와 홀더(41)가 수화 하우징(2)의 정면측 케이스(6)에 조립된 때의 구조적 다이어그램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서브 키(60)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접촉식 스위치(tactile switch)(62)는, 접촉식 스위치(41)가 스위치 탑재부(41d)에 탑재되는 형태로, 돌출부(21) 내의 서브 키(60)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서브 키(60)의 표면에 노출된 내리누름 면(사용자에 의해 내리눌리는 면)과 반대측인 서브 키(60)의 면에는, 접촉식 스위치(62)를 내리누르기 위한 내리누름 피스(depressing piece)(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된다. 그리고, 서브 키(60)의 내리누름 상태에서 접촉식 스위치(62)가 내리눌려 스위치를 통전시킨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서브 키(60)는 내리누름 면의 중앙이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곡면이도록 구성된다. 회전축 중심으로부터의 정점부의 거리는 돌출부(21)에 있어서의 다른 표면 부분과 동일하게 또는 보다 작게 설정된다. 돌출부(21)의 선단 표면의 코너부는 선단 표면이 회동할 때 노치 형성부(22)와 간섭하지 않도록 절결되고, 그 단면은 축 부재(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그 일부에 평면(21a)이 형성된다(도 6 참조). 다시 말하면, 평면(21a)이 형성된 경우에, 도 9b에서 점선("R")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서브 키(60)의 돌출량은 서브 키(60)가 비 내리누름 상태(non-depression state)에서 전술된 실질적으로 아크 형상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범위로 조정된다. 결과적으로, 볼록 형상의 정점부는 또한, 휴대 전화기(1)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회동할 때, 벽면(22a)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오목부(61)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형상이기 때문에, 오목부(61)가 내리눌리면, 사용자의 손가락 쿠션이 오목부(61)로 들어가, 적은 돌출량의 경우에도 키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조립 수순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진동기와 같은 전자 부품이 그 안에 조립된 홀더(41)의 스위치 탑재부(41d)에 스위치(62)가 탑재된다. 다음으로, 내리누름 면이 타원형 형상의 오목부(61)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서브 키(60)[이 예에서는 3개의 서브 키가 서로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서브 키(60)를 이룬다]가 돌출부(2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고, 그 후 스위치(62)가 탑재된 홀더(41)가 끼워맞춤된다.
또한, 홀더(41)는 스위치 탑재부(41d)가 접촉부(41a)에 대해 경사져 스위치 탑재부(41d)가 평면(21a)에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접촉식 스위치(62)는 이 홀더(41)에 배열되고, 이 접촉식 스위치(62)가 서브 키(60) 바로 아래에서 내리눌릴 수 있는 위치에 서브 키(60)가 마련된다. 또한 서브 키(60)가 접촉식 스위치(62)에 평행하게, 즉 제 1 면(S1)에 대해 10 내지 20도 경사져 마련된다. 접촉식 스위치(62)는 바로 아래 방향을 따라 내리눌리는 것에 의해 통전될 수 있는 스위치이기 때문에, 서브 키(60)의 스트로크는 접촉식 스위치(62)에 평행한 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X")이 된다. 송화 하우징(3) 측에 있어서, 이하의 사실이 알려져 있다. 즉, 제 2 면(S2), 메인 보드(45), 내리누름 스위치 및 키 시트(47) 및 메인 키 부분(17)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고, 키가 스트로크하는 방향("Y")은 이 평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주어진다. 다시 말하면, 휴대 전화기(1)가 개방 상태로 되면, 평면(21a)은 제 2 면(S2)에 평행하게 되어, 메인 키 부분(17) 및 서브 키(60)의 내리누름 방향(스트로크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X")이 방향("Y")에 평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리누름 스트로크에 관해, 메인 키(17) 및 서브 키(60)의 조작감이 서로 동일하게 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조작이 사용자에게 주어질 수 있다. 또한, 평면(21a)은 제 2 면(S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동일한 손가락을 사용하여 메인 키(17)와 서브 키(60)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서브 키(60)를 조작할 때 제 2 면(S2)이 기준으로서 규정되는 면으로부터의 서브 키(60)의 이동량은 적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적은 이동량은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하여, 서브 키(60)의 볼록부의 정점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가 폐쇄 상태로 될 때, 이 정점이 덮개체(10)에 의해 규정된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서브 키(60)가 노출되고 그리고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가 책상에 놓일 때,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서브 키(60)를 내리누르지 않는 한 서브 키(60)가 자중에 의해 내리눌릴 가능성이 없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송화 하우징(3)은 휴대 전화기(1)가 폐쇄 상태일 때 연결부(4)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결부(4)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안테나(43)를 내장하기 때문에, 접촉식 스위치(62)를 포함하는 금속 부품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기 간섭이 없다.
또한, 숫자 키(17a) 및 기능 키(17c)는 제 2 면(S2)에 선("LN")을 따라 배열되고, 또한 서브 키(60)는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 배열되어, 키 위치는 손에 의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키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 선(LN1)을 따라 미끄러져, 손가락이 선("LN1")을 따라 배열된 키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부(27)의 리세스는 이 때에 손가락에 의해 감지되지 때문에, 연결부(4) 측의 메인 키 부분(17)의 경계선이 인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치 타이핑(touch typing) 또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고, 또한 연결부(4)에 마련된 서브 키(60)와 메인 키 부분(17) 사이의 경계선이 또한 이 오목부(27)에 의해 손가락 쿠션으로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 1 하우징이 제 1 하우징의 연결부와 송화 하우징(3)의 노치 형성부에 의해 송화 하우징(3)에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에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용은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개방 상태가 160 내지 170도가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메인 키 부분(17)으로 연속적인 조작감이 얻어질 수 있으면, 수화 하우징(2)과 송화 하우징(3) 사이의 개방 각도[즉, 제 1 면(S1) 및 제 2 면(S2)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90도를 초과, 180도 미만의 상태로 변형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단차부(25)와 리세스부(27) 양자가 항상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연결부를 구성하는 노치 형성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체 카메라 모듈이 단차부에 의해 수납될 수 있고, 또한 전체 단차부가 노치 형성부로 삽입되어 연결부를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리세스부는 변형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메인 키 부분(17)은 복수의 키가 연속적으로 배열(키 사이에 격벽이 마련되지 않음)된 키 부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각의 키가 개별적으로 칸막이되거나, 각각의 키가 변형적으로 사전결정된 키 그룹으로 칸막이될 수 있다. 키 사이의 격벽이 제거되면, 격벽이 제거된 면적과 동일한 공간만큼 메인 키 부분이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격벽이 제거된 면적과 동일한 공간만큼 키가 증가될 수 있다.
키 사이의 격벽이 제거되면, 키의 위치가 손가락 선단에 의해 어렵게 감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리세스 형성부 및 연속 라인(LN1)을 마련하여 키 배열 영역의 경계가 손가락 선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키가 리세스 형성부로부터 이를 따라 이들 키가 이격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 리세스 형성부가 손가락 선단에 의해 감지될 수 있기 때문에, 리세스 형성부 측의 키 사이의 경계가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키에 연속하는 키의 위치도 또한 파악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은 2005년 10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5-307594 호에 기초하여 출원되었으며, 일본 특허 출원의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6)

  1.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이루도록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향하는 제 1 면에 마련된 표시부와,
    상기 제 1 면의 단부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향하는 제 2 면에 마련된 메인 키(main key)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단부에 마련된 노치 형성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노치 형성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된, 상기 노치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내부에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를 내리누르는 것이 가능한 서브 키(sub-key)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서브 키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서브 키의 내리누름 방향이 상기 메인 키의 내리누름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의 상기 서브 키의 주위가 절결된
    휴대 단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 중 상기 서브 키가 마련된 부위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은 상기 제 2 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휴대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서브 키가 마련된 상기 평면과 상기 평면에 인접하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가 절결되고,
    상기 서브 키의 정점면(vertex face)은 중앙이 볼록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 단말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2 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휴대 단말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표면 중 상기 서브 키가 마련된 부위의 표면의 폭보다 넓은
    휴대 단말 장치.
KR1020087009382A 2005-10-21 2006-10-17 휴대 단말 장치 KR20080050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7594 2005-10-21
JP2005307594A JP2007116550A (ja) 2005-10-21 2005-10-21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504A true KR20080050504A (ko) 2008-06-05

Family

ID=3796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82A KR20080050504A (ko) 2005-10-21 2006-10-17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86522B2 (ko)
JP (1) JP2007116550A (ko)
KR (1) KR20080050504A (ko)
CN (1) CN101292503A (ko)
WO (1) WO20070463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502A (ko) * 2017-03-1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6551B (zh) 2007-11-06 2013-08-21 Lg Electronics Inc 行動式終端機
US8346308B2 (en) 2008-09-08 2013-0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EP2161907B1 (en) 2008-09-08 2010-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casings and with an actuatable switch between the two casings
US8625305B2 (en) * 2008-10-31 2014-01-0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ic device
CN101859193B (zh) * 2009-04-13 2013-04-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鼠标
CN201774779U (zh) * 2010-07-21 2011-03-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护结构及具有该防护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699220B2 (en) 2010-10-22 2014-04-15 Xplore Technologies Corp. Computer with removable cartridge
US8879273B2 (en) * 2010-12-23 2014-11-04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casing connect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8389B1 (en) * 1999-11-03 2005-04-13 Q-Free MagCom AS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provided with frictional supporting means
JP2002016685A (ja) * 2000-06-30 2002-01-1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機
JP2002204298A (ja) 2000-12-28 2002-07-19 Kyocera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3037657A (ja) * 2001-07-24 2003-02-0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4007188A (ja) * 2002-05-31 2004-01-08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04228299A (ja) * 2003-01-22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40079203A (ko)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4316684A (ja) * 2003-04-11 2004-11-11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電話
JP4147481B2 (ja) 2003-07-23 2008-09-10 豊田合成株式会社 押しボタン
WO2005015885A2 (en) * 2003-08-08 2005-0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avigation unit in hinge
JP2005124127A (ja) * 2003-09-25 2005-05-12 Sharp Corp 携帯機器
JP4263067B2 (ja) * 2003-10-01 2009-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4314095B2 (ja) * 2003-10-30 2009-08-12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5217470A (ja) *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電子機器
JP4201727B2 (ja) * 2004-03-18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05286430A (ja) * 2004-03-26 2005-10-13 Sharp Corp 携帯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502A (ko) * 2017-03-1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6380A1 (ja) 2007-04-26
US7986522B2 (en) 2011-07-26
JP2007116550A (ja) 2007-05-10
CN101292503A (zh) 2008-10-22
US20090122477A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504A (ko) 휴대 단말 장치
EP1762085B1 (en)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JP4498999B2 (ja) 携帯端末装置
JP4828937B2 (ja) 無線端末装置
JP5558012B2 (ja) 電子機器
JP4771966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0316042A (ja) 携帯電話機
JP5106868B2 (ja) 電子機器
JP4580432B2 (ja) キー押下検出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通信機器
JP5364914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8054141A (ja) 電子機器
JP4675775B2 (ja) 携帯無線機
JP4468116B2 (ja) 無線通信端末
JP4436292B2 (ja) 電子機器
US74837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5023478B2 (ja) 移動式無線通信装置
JP2006014196A (ja) 携帯端末装置
JP5477882B2 (ja) 携帯電子機器
JP4804434B2 (ja) 携帯端末装置
JP5047677B2 (ja) 電子機器
JP2008252278A (ja) 携帯端末装置
JP5108920B2 (ja) キー押下検出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通信機器
KR20070017889A (ko) 얇은 폴더형 전화기를 위한 기계적 레이아웃 및 컴포넌트배치
JP2010081515A (ja) 携帯電子機器
JP2008283548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15

Effective date: 2011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