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345A -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345A
KR20080038345A KR1020087003767A KR20087003767A KR20080038345A KR 20080038345 A KR20080038345 A KR 20080038345A KR 1020087003767 A KR1020087003767 A KR 1020087003767A KR 20087003767 A KR20087003767 A KR 20087003767A KR 20080038345 A KR20080038345 A KR 2008003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rriages
biaxially stretched
block copolymer
polyeth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시엔 슈레셀러
알렉시스 그로스레너드
던컨 헨리 맥커론
발레리 레비잔트
Original Assignee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filed Critical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Publication of KR2008003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5Permeability to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은 중합체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50%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및 0.5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필름의 용도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축연신,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터, 블록공중합체, 통기성, 이완

Description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BI-AXIALLY STRETCHED BREATHABLE FILM,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polyether) 블록공중합체들을 포함하는 필름들이 예를 들면 국제공개특허 WO 01/84451호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기술되었다. 국제공개특허 WO 01/84451호는 카드(card)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을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혼합물은 비정질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및 20 내지 50중량%의 하이트렐®(Hytrel®) 등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탄성체를 포함한다.
미합중국특허 6,436,531호에서는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 중합체가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중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60중량%의 하이트렐®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술된다. 그러나, 미합중국특허 6,436,531호에서는, 상기 필름은 이축으로 연신되지 않았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이축으로 연신된 필름들이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특 허 5,846,642호는 81:19 내지 98:2의 비율로 하이트렐® 또는 아르니텔® 등과 같은 폴리에스터 기반 탄성체와 혼합되되, 다른 폴리에스터와 적층된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이 주조(cast) 폴리에스터 필름은 동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이축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일본특허 2002003707호는 가스장벽(gas-barrier) 특성에의 손상 없이 선형적 찢김특성에 더해 내충격성을 갖는, 이축으로 배향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필름은 PET 내에 5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폴리에테르-에스터 탄성체를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되며, 또한 상기 탄성체는 21 내지 60중량%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합중국특허 5,912,060호는 PET 등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수지 및 폴리에테르에스터블록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에스터 블록공중합체의 각각 50 내지 95중량% 및 50 내지 5중량%의 양으로의 혼합물을 기술하고 있다. 수득된 상기 필름은 이축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이 참고문헌의 상기 폴리에스터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가 될 수 있으며, 20%의 폴리에테르를 갖는 혼합물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농도에서는, 상기 최종 필름은 통기성이지 않다.
미합중국특허 6,458,437호는 폴리에스터 조성물로부터 생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들을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터 조성물은 폴리에스터들이 상기 폴리에스터 조성물의 5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그리고 폴리에스터 탄성체들이 상기 폴리에스터 조성물의 3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사용된 상기 폴리에 스터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들에는 테레프탈산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된 상기 폴리에스터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들에는 에틸렌글리콜이 포함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탄성체는 폴리에스터 연질부(soft segment)들과 경질부(hard segment)들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터 블록공중합체를 나타내는 바, 여기에서 상기 연질부들은 폴리에테르에스터 부분(segment)이 될 수 있다. 즉, 폴리에스터 탄성체들이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들이 될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은 이축으로 연신될 수 있다.
유럽특허 EP 644,226호는 연속 및 분산된 상들을 포함하며 해도(海島 ; islands-sea) 구조를 갖는 2 또는 그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들로 이루어진, 쉽게 찢을 수 있는 필름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필름은 이축으로 연신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하이트렐®과 같은 폴리에스터 탄성체들이 언급되어 있다. 서로 다른 상들의 비율들은 연속상/분산상이 약 35 내지 98/2 내지 6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5/5 내지 50중량%와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산된 입자들이 미세하게 되도록 혼화제(compatibilizing agent)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들의 조합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혼화제의 양은 상기 연속상 및 상기 분산상을 구성하는 상기 전체 열가소성 수지들 100중량부에 대해 3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해도 구조가 사라지게 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통기성 필름들이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출원 2002/0076554호는 페박스®(Pebax®) 및 하이트렐® 등과 같은 고유적으로 통기성인 필름들을 생성하는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들을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출원은 또한 이축으로 연신되어 통기성 필름들로 되는 필름들을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출원에 있어서, 상기 필름 중합체 조성 내에 충진제(filler)들을 사용하고, 충진제/매트릭스(filler/matrix) 중합체 조성을 필름으로 압출성형하고 그리고 계속해서 상기 필름을 충분히 연신시켜 입자들 주위에 구멍들을 형성시키고 그에 의하여 상기 필름이 통기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축연신된 필름에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한다.
또한 미합중국특허 6,582,810호는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연신된, 압출성형된 충진제/매트릭스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통기가능하고 탄성의 필름을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약 35 내지 95중량%의 통기성 필름으로 조성될 수 있는 상기 매트릭스 중합체 조성은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충진제 입자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될 수 있다. 페박스®,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하이트렐® 폴리에스터 등과 같은 다중-블록 탄성 공중합체들이 탄성 섬유들로 사용되어 탄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미합중국특허 6,582,810호에 따르면, 상기 필름이 우월한 통기성 및 적절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는 경우, 상기 통기성 필름은 30 내지 55중량%의 상기 매트릭스 중합체 및 45 내지 70중량%의 상기 입자 충진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출원 2002/098353호는 중합체들의 여러 혼합물들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의 실시예 21 내지 24들은 폴리에스터와 함께 하이트렐과 같은 폴 리에테르 중합체 50% 또는 60%를 갖는 혼합물들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필름은 단순 주조된 것으로서, 연신되지 않았다. 상기 문헌에서의 상기 필름은 고온을 견딜 수 있는 테이프의 제조용으로 사용되었다. 상기 필름들의 통기성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 또한 상기한 특성을 필요로 할 수 있는 어떠한 최종용도(end-use)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
길이방향 및 측방향들의 양쪽 모두에서 동시적으로 플라스틱 필름들을 연신(drawing)하는 방법이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실제로, 미합중국특허 3,890,421호는 이러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비록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앞서의 필름들 중의 일부가 통기성이거나 또는 이축연신될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이들 중 어느 것도 이축으로 연신되고, 통기성인 것이 아니다. 통기성 필름들은 이들이 특별한 가스 선택 특성과 액체 투과 특성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여러 응용예들에서 유용하다. 이축연신이 저항성(resistance), 탄성(elasticity) 및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 등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들의 일부 특성들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이축연신된 필름들이 추구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기성 필름을 순차적으로 이축으로 연신시키는 경우에서 직면하는 문제점은 상기 필름이 파손되거나 수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기성 필름들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축으로 연신될 수 있는 통기성 필름 즉, 그러한 필름의 제조와 함께 그러한 필름의 제조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첫째, 본 발명은 중합체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및 0.5 내지 50%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1) 주조 필름으로서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주조 필름을 동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15 내지 50%인 필름을 순차적으로 이축연신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째, 본 발명은 (1) 주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상기 주조 필름을 동시적으로 이축으로 연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연신은 (i) 운반대(carriage)들에 탑재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프(clamp)들로 상기 주조 필름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상기 주조 필름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부분들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및 (ii)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를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들이 하향하여 전진시키는 전진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전진단계가 상기 운반대들을 상기 운반대들이 하향 진전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운반대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운반대들의 전진이 상기 인접하는 운반대의 상향 전진에 대해 하향하는 각 운반대의 가속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넷째, 본 발명은 포장필름(packaging film), 보호의류(protective apparel), 의류(apparel), 막(membrane) 제조용의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섯째, 본 발명의 필름은 플라스틱, 섬유상 부직포, 직포, 스트래칭 직물(stretch fabric), 종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support)들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온도를 함수로 하는 필름(실시예 9)의 수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상기 필름(실시예 9)의 연신을 함수로 하는 응력의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는 고융점 결정성 중합체 부분들(경질부) 및 저융점 중합체 결정성 중합체 부분들(연질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는 통기성을 나타내는 임 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으로서의 통기성을 나타내는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는 (ASTM D570법에 따라) 물에 침적시킨 24시간 후에 그 중합체가 23℃의 온도에서 최소 1.5%의 중량증가의 적용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폴리에테르는 친수성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에스터, 폴리에테르우레탄, 폴리에테르에스터우레탄,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는 폴리에테르에스터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아미드는 산말단(acid end)을 갖는 폴리에스터 시퀀스(sequence)에 부착된 히드록시말단(hydroxy end)을 갖는 폴리에테르 시퀀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디올(예를 들면, 1,4-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우레탄은 우레탄 부분에 의해 디이소시아네이트에 부착된 히드록시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 시퀀스를 포함한다.
폴리에테르에스터는 한편으로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와 디올(부탄디올 등과 같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에스터 시퀀스로, 다른 한편으로는 폴리에테르 시퀀스(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 또는 폴리올 등과 같은)(연질부)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공중합체이다.
경질부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포함하는 한편으로 연질부들은 폴리올 장쇄 성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질부는 3,000 내지 9,000g/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7,000g/몰의 분자량을 갖는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 장쇄 성분들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또는 폴리프로필렌에테르글리콜(PPEG),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또는 PTHF),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 장쇄 성분들은 200 내지 4,000g/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g/몰의 분자량을 갖는다.
이러한 폴리에테르에스터의 예들로는 듀퐁(DuPont)으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하이트렐®(Hytrel®), 악조 키미(Akzo Chimie)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아르니텔®(Arnitel®), GE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로모드®(Lomod®) 및 도요보(Toyobo)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퍼프렌®(Perprene®) 들이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터우레탄은 폴리에테르 시퀀스 및 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들이 에스터 결합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폴리에테르우레탄에 대응한다.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는 폴리아미드 블록들과 디카르복실산쇄 단부들과 폴리에테르디올 블록들 등과 같은 폴리아미드 블록들과 반응성 말단들과 폴리에테르블록들의 공중축합(copolycondensation)의 반응생성물들이다. 이들 폴리아미드 블록들의 수평균분자량은 대체로 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5,000 사이이다.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의 폴리아미드 블록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6(PA-6), 폴리아미드 6.6(PA-6.6), 폴리아미드 6.12(PA-6.12), 폴리아미드 11(PA-11), 폴리아미드 12(PA-12), 폴리아미드 12.12(PA-12.12)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단량체의 중축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폴리에테르의 수평균분자량은 대체로 2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3,000 사이이다.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호모중합 또는 공중합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5중량%의 폴리에테르와 95 내지 15중량%의 폴리아미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중량%의 폴리에테르와 80 내지 15중량%의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는 폴리에테르 블록이 예를 들어 공중합-PA-6.12(co-PA-6.12) 등과 같이 호모중합 또는 공중합된 PA-12, PA-11, PA-12.12들로부터 파생된다.
본 발명에서 적절한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의 예로서는 아르케마(Arkema)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페박스®(Pebax®)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스터는 그 주요부가 임의의 방향족 에스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임의의 폴리에스터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터라는 용어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대개 에틸렌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 등과 같은 지방족 디올의 축합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호모중합체들인 것에 더하여, 이들 중합체들은 제3의 성분 또는 여러 성분들을 갖는 공중합체들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바스산(sebacic acid), 데칸디카르복실산 및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옥시카르복실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p-oxybenzoic acid) 또는 소듐 5-설포이소프탈산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올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1,2 및 1,3 모두),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의 예들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들이 있으며, 후자가 가장 바람직한 폴리에스터이다.
폴리에스터와는 별개의 또 다른 중합체와의 선택적인 혼합물들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스터의 고유점도는 예를 들어 30℃에서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내에서 측정하였을 때 0.45 내지 0.7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그 분자량(MW)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넓은 범위의 한계들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와 폴리에스터의 혼합물은 균질한 혼합물 즉, 상기 혼합물의 임의의 한 성분이 다른 하나에 대해 충진제 입자(filler particle)이아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은 부성분이 3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또는 그 이하의 전형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매우 미세한 해도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은 중합체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및 1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은 적어도 1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은 50 내지 95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와 5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포함하는 경질부들과,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200 내지 4,000g/몰,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g/몰의 분자량을 갖는 연질부들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적어도 50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그리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적어도 1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축으로 연신된 통기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은 적어도 30N/㎟의 인장강도 저항성(tensile strength resistance)을 나타내며, 상기 인장강도는 ASTM D 882-80(실온에서 100%/분)에 따라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은 양호한 열적 특성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에서, 상기 필름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수축으로 진행하며, 상기 수축은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열-기계 분석 기(thermomechanical analyzer ; 예를 들면, 메틀러 톨레도 티엠에이 40(Mettler Toledo TMA 40)) 내에서 일정 무하중(constant zero load) 하에서 10℃/분의 가열속도로 필름 샘플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 발명에 따른 상기 연신된 필름은 통기성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15㎛ 두께의 필름에 대해 23℃의 온도에서 ISO 15496 기준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적어도 250g/㎡/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g/㎡/일의 수증기투과율(MVTR ; Moisture Vapour Transmission Rate)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필름은 상분리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필름 내의 상기 중합체는 잘 분산되어 있다. 상기 필름은 필름의 취급 및 권취를 개선하기 위해 무기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터는 상기 무기 충진제 입자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터는 1,000 내지 60,000ppm의 양의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충진제 입자들은 탄산칼슘, 점토, 실리카, 제올라이트, 실리콘 비드(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관능화시킨), 인산수소칼슘(dicalcium phosphates ; DPC), 삼인산칼슘(tricalcium phosphates ; TCP), 세노스피어(cenospheres), 지오스피어(zeeospheres), 활석,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및 티탄산바륨들이 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제 입자 크기 분포들은 단봉(monomodal), 쌍봉(bimodal) 및 삼봉(trimodal)의 분포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은 단봉, 쌍봉 및 삼봉에 대하여 0.1 내지 10㎛ 사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은 다른 필름 또는 물질 또는 지지체들과 결합(예를 들면, 적층되거나, 접착제를 통하거나 통하지 않고 접착되거나, 공압출되거나(co-extruded), (가열)-캘린더가공되거나 등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섬유질 직물(fibrous fabric), 직포(woven fabric), 신축 직물(stretch fabric), 종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 등과 같은 다른 필름 또는 물질 또는 지지체 상에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들은 공지의 필름들에 비하여 감소된 두께를 가지고, 인장강도, 탄성에 대한 저항, 열안정성 등과 같은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며 통기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필름들은 의류의 제조, 여과 및 포장 등과 같은 많은 응용예들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들은 의료용 가운 또는 화학약품 보호용 의류 등과 같은 보호의류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또한 실외의류나 캐쥬얼의류들의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필름들은 또한 역삼투압막, 나노여과막, 투과증발막(pervaporation membranes),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s), 가스분리막 등과 같은 막들의 제조에 의하여 여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들은 포장 물질로서, 특히 산소(O)와 이산화탄소(CO) 사이에서의 적절한 선택성이 요구되는, 변성된 대기 중에서의 프레쉬-컷(fresh-cut) 과일 및 야채 포장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은 상기 통기성 필름을 이축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것에 의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이축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축연신의 방법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890,42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와 폴리에스터의 중합체성 혼합물을 주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와 폴리에스터의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은 압출기(extruder) 내에서 혼합되고 그리고 용융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단축머신(single screw machine)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축머신(twin screw machine)이 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 내에서 분산시키고 그리고 균질화시킨 후, 상기 중합체 혼합물은 배관(piping) 및 여과유닛(filtration unit)으로 이루어진 용융시스템을 통하여 용융펌프를 경유하여 5 내지 30분의 체류시간으로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조 필름은 상기 중합체를 슬롯 다이 시스템(slot die system) 내에서 상기 중합체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필름을 급냉드럼(quench drum) 상에서 냉각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득된다.
상기 주조된 중합체서 혼합물은 계속해서 이축으로 연신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으로 이축으로 연신된다.
이 동시적 이축 연신은 운반대들에 탑재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프들로 상기 주조 필름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상기 주조 필름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부분들을 파지하는 단계; 및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를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 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들이 하향하여 전진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전진단계가 상기 운반대들을 상기 운반대들이 하향 진전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운반대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운반대들의 전진이 상기 인접하는 운반대의 상향 전진에 대해 하향하는 각 운반대의 가속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즉, 반드시 폴리에스터와 함께인 것이 아닌, 이러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필름을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의 제조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대들 각각은 선형모터의 가동요소(movable element)와 합체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의 전진은 각 가동요소와 함께 상기 선형모터의 고정요소의 계자권선(field winding)을 여기시키는 것에 의해 유효화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인접하는 상향 클램프에 대해 각 하향 클램프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상향 계자권선 보다 점진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하향 계자권선들을 여기시키고, 그에 의하여 상기 필름을 전진방향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연신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 즉,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와 폴리에스터의 중합체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필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의 제조에도 적용 될 수 있다.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120 내지 190℃가 될 수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890,421호, 미합중국 특허 제4,675,582호, 미합중국 특허 제4,853,602호, 미합중국 특허 제4,825,111호, 미합중국 특허 제5,429,785호, 미합중국 특허 제5,885,501호, 미합중국 특허 제5,051,225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5,072,493호의 특허들 및 브루크너(Bruckner)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리심®(LISIM®) 연신방법이 또한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상기 필픔과 관련하여 상기 폴리에테르에 대하여 기술된 실시예들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임의의 필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임의의 방법에 대하여, 그 연신비는 2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5배의 범위 이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이축연신된 필름을 치수이완처리(dimensional relaxation treating)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수이완처리는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운반대들을 하향 전진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운반대들의 상기 전진이 상기 인접하는 상향 운반대에 대해 각 하향 운반대를 감속시키며, 상기 운반대들을 전진시키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대들을 상기 운반대들이 하향 전진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상기 중심선 쪽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수이완처리 후에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상기 필름은 안정한 치수들을 가지며, 이는 처리 후 상기 필름이 실질적으로 더 이상 수축을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적으로 연신시킨 후,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필름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직포, 신축 직물, 종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선택되는 하나의 부재로 상기 이축연신된 필름(선택적으로 폴리에스터를 갖는 상기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을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필름을 하나의 지지체 상에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단계는 핫멜트 공정(hot melt process)을 통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핫멜트 공정을 통하여 상기 필름을 신축 직물 보다 나은 부직포 또는 직물에 적층시키는 적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의 임의의 플라스틱에의 결합은 특히 상기 지지체가 폴리에스터 타입인 경우에 또한 공압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또한 본 발명의 최량의 모드로 여겨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중합체성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5중량% 및 64몰%의 프로필렌글리콜과 36몰%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폴리알킬렌글리콜 45중량%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5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95중량%를 이축 압출기 내로 도입시켰다. ASTM D570 방법에 따라 23℃에서 24시간 후의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의 수분흡수(water absorption)는 2.5%이다.
그 전체를 250 내지 285℃ 사이의 온도에서 가열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슬롯 다이 시스템 내에서 성형시키고 그리고 그 필름을 급냉드럼 상에서 냉각시키는 것에 의하여 주조 필름이 수득되었다.
상기 주조 필름을 이축 실험 필름 연신기(biaxial laboratory film stretcher ; 브루크너 또는 티엠 롱(T.M Long) 또는 인벤튜어 라보레토리 인코포레이션(Inventure Laboratory Inc.)으로부터 상용적으로 획득가능(Karo IV)) 내에서 이축 연신에 적용시켰다. 이 기술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기계 방향 및 대각방향 내에서 동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클립들에 의해 파지되었다.
상기 연신은 3.5*3.5의 연신비로 수행되었다.
상기 연신기 내에서의 동시적인 연신 후, 상기 필름을 이완에 적용시켰으며, 이 이완은 실온에서 양 방향들 내에서의 이동에 의하여 기계 방향 및 대각 방향 내에서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의 범위 내에서의 치수 변화를 의미한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0 내지 15㎛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2
중합체성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35중량% 및 동일한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65중량%를 단축 압출기 내로 도입시켰다.
연신비를 3.0*3.0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연신과 이완 조건들을 상기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유사하게 하였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25 내지 3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3
중합체성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50중량% 및 동일한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50중량%를 이축 압출기 내로 도입시켰다.
연신과 이완 조건들을 상기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유사하게 하였으나, 이번에는 이완은 없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4
29몰%의 에틸렌옥사이드와 71몰%의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폴리알킬렌글리콜 55중량%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46중량%로 조성된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이 중합체의 ASTM D570 방법에 따른 23℃에서 24시간 후의 수분흡수는 30%이다. 1,000g/몰의 분자량을 갖는 10중량%의 코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기초로 하는 코폴리에스터 및 2중량%의 소듐 5-설포이소프탈산을 이축 압출기 내에서 95중량%의 앞서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와 혼합하였다.
연신비가 3.0*3.0이고, 이완이 7.5%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의 범위 이내인 것을 제외하고는 연신조건들과 마찬가지로 압출들이 실시예 1과 유사하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5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이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작업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6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이 17중량%의 이소프탈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작업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7
상기 연신비가 3.5*3.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작업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중합체 혼합물이 이축 압출기에 도입되었다.
연신비는 3.5*3.5이고, 그리고 이완은 7.5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의 범위 이내이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0 내지 15㎛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9
상기 연신비가 4.0*4.0이고, 이완이 1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5%의 범위 이내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작업 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0 내지 15㎛ 사이의 두께이다.
도 1 및 도 2들은 각각 온도를 함수로 하는 필름의 수축율과 상기 필름의 연신을 함수로 하는 응력의 전개를 나타내고 있다(도 1 ; 연신된 필름(C9)의 전형적인 팽창/수축, 도 2 ; 연신된 필름과 주조 필름(미연신)에 대한 응력-변형률 곡선).
실시예 10
상기 이완이 100 내지 17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의 범위로 수행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작업 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0 내지 15㎛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11
상기 이완이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약 25%로 수행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작업 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0 내지 15㎛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12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이 15중량%의 폴리에스터와 85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작업 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13
상기 연신비가 3.5*3.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작업 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수득된 이축연신된 필름은 15 내지 20㎛ 사이의 두께이다.
실시예 14
상기 주조 필름이 MD(기계 방향) 연신이 TD(대각 방향)에서 보다 6배 더 높게 수행되는 순차적 연신에 적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작업 조건들이 사용되었다. 연신비는 TD 방향에 대하여 MD 방향에서 3.3 내지 3.5배의 범위 이내이었다.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량에 대해서 바람직한 순차적 연신 방법으로는 양호하게 연신된 필름이 수득되지 않았다.
실시예 14를 제외한 앞서 언급된 모든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기 필름들의 통기성이 표준 ISO 15496에 의하여 23℃의 온도에서 측정되었다. 그 두께 또한 주어졌다. 상기 필름들의 인장강도는 ASTM D882-80으로 100%/분에서 측정되었다. 상기 필름의 수축은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열-기계 분석기 내에서 일정 무하중(constant zero load) 하에서 10℃/분의 가열속도로 필름 샘플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음수들은 필름의 수축을 나타내는 한편 양수들은 필름의 팽창을 의미한다. 열적 특성 즉, 60℃, 80℃, 100℃ 및 120℃에서의 MD 및 TD 방향에서의 평균 수축들이 결정되었다.
결과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두께 (㎛) MVTR (g/㎡/시) MD인장 (N/㎟) MD연신 (%) TD인장 (N/㎟) TD연신 (%) 평균 MD/TD 수축 (%)
60℃ 80℃ 100℃ 120℃
1 10 2700 73 120 85 200 -0.1 -2.5 -6.5 -11.7
2 27.5 613 80 147 131 119 0.3 -1.7 -8.0 -16.0
3 20 247 130 90 112 100 0.1 -0.8 -4.3 -9.8
4 17 12160 36 137 29 74 0.3 -1.0 -3.7 -8.4
5 18 11026 41 205 50 288 0.3 -1.3 -4.3 -9.6
6 18 6877 41 256 36 232 0.4 -2.1 -5.0 -10.1
7 16 8822 69 274 42 248 -0.1 -2.3 -5.3 -10.5
8 18 10778 50 275 51 267 0.2 -1.0 -2.7 -5.4
9 13 13627 46 168 46 198 0.2 -1.2 -3.1 -6.2
10 17 9971 44 217 36 192 0.0 -0.9 -2.1 -3.9
11 14.5 11799 36 131 47 199 0.6 -0.1 -2.2 -5.4
12 20 513 59 203 50 184 0.4 -4.3 -7.1 -10.7
13 12 1644 47 251 47 226 -0.3 -4.7 -7.5 -10.7
본 발명은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며, 이는 의류, 보호의류, 필터 및 포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2)

  1. 중합체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50%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및
    0.5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혼합물이
    상기 혼합물의 50 내지 95중량%의 양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 및
    상기 혼합물의 0.5 내지 50중량%의 양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가 폴리에테르에스터, 폴리에테르우레탄, 폴리에테르에스터우레탄,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가 폴리에테르에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포함하는 경질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며, 200 내지 4,000g/몰의 분자량을 갖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스터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두께가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사이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증기투과율이 15㎛의 두께의 필름에 대해 주어질 때, 상기 필름이 적어도 300g/㎡/일,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5,000g/㎡/일의 최소 수증기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인장강도가 적어도 35N/㎟,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60N/㎟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필름이 1% 또는 그 이하의 수치로 수축하거나 및/또는 80℃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필름이 5% 또는 그 이하의 수치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의 범위 내의 수치로 수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무기 충진제 입자들을,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60,000ppm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직포, 신축 직물, 종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필름을 포장 필름, 보호의류, 의류, 막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의 용도.
  14. (1) 중합체성 혼합물을 주조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주조 필름을 동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15 내지 50%인 필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축으로 연신시키는 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적으로 이축으로의 연신이
    (i) 운반대들에 탑재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프들로 상기 주조 필름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상기 주조 필름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부분들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및
    (ii)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를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들이 하향하여 전진시키는 전진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운반대들을 상기 운반대들이 하향 진전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운반대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반대들의 전진이 상기 인접하는 운반대의 상향 전진에 대해 하향하는 각 운반대의 가속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적으로 이축으로의 연신이
    (i) 운반대들 각각이 선형모터의 가동요소와 합체되는 운반대들에 탑재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프들로 상기 주조 필름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상기 주조 필름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부분들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ii)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를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들이 하향하여 전진시키되, 여기에서 상기 운반대들의 전진이 각 가동요소와 함께 상기 선형모터의 고정요소의 계자권선을 여기시 키는 것에 의해 유효화되는 전진단계; 및
    (iii) 인접하는 상향 클램프에 대해 각 하향 클램프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상향 계자권선 보다 점진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하향 계자권선들을 여기시키고, 그에 의하여 상기 필름을 전진방향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연신시키도록 하는 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7. (1) 주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주조 필름을 동시적으로 이축으로 연신시키는 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신이
    (i) 운반대들에 탑재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프들로 상기 주조 필름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상기 주조 필름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부분들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및
    (ii)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를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들이 하향하여 전진시키는 전진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진단계가 상기 운반대들을 상기 운반대들이 하향 진전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운반대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반대들의 전진이 상기 인접하는 운반대의 상향 전진에 대해 하향하는 각 운반대의 가속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이
    (i) 운반대들 각각이 선형모터의 가동요소와 합체되는 운반대들에 탑재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램프들로 상기 주조 필름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상기 주조 필름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부분들을 파지하는 파지단계;
    (ii)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를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클램프들이 하향하여 전진시키되, 여기에서 상기 운반대들의 전진이 각 가동요소와 함께 상기 선형모터의 고정요소의 계자권선을 여기시키는 것에 의해 유효화되는 전진단계; 및
    (iii) 인접하는 상향 클램프에 대해 각 하향 클램프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상향 계자권선 보다 점진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하향 계자권선들을 여기시키고, 그에 의하여 상기 필름을 전진방향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 로 연신시키도록 하는 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가 폴리에테르에스터, 폴리에테르우레탄, 폴리에테르에스터우레탄,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가 폴리에테르에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증기투과율이 15㎛의 두께의 필름에 대해 주어질 때, 상기 필름이 적어도 300g/㎡/일,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7,000g/㎡/일의 최소 수증기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2. 제 14 항 내지 제 21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비가 2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3. 제 14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필름이 슬롯 다이 상에서 성형되고 그리고 급냉드럼 상에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4. 제 14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상기 이축으로 연신된 필름을 치수이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iv)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중심선에 대해 법선인 제2라인을 따라 배열된 것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들이 상기 필름을 파지한 후에 상기 운반대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인접하는 경로들을 따라 상기 운반대들을 하향 전진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운반대들의 상기 전진이 상기 인접하는 상향 운반대에 대해 각 하향 운반대를 감속시키며, 상기 운반대들을 전진시키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대들을 상기 운반대들이 하향 전진함에 따라 그들 사이의 등거리에서 연장되는 상기 중심선 쪽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6. 제 14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후 상기 필름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7. 이축연신된 필름을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직포, 신축 직물, 종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된 청구항 12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상기 지지체 상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된 청구항 12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핫멜트 공정을 통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된 청구항 12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30.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축연신된 필름을 플라스틱, 섬유, 부직포, 직포, 신축 직물, 종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된 청구항 12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상기 지지체 상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된 청구항 12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핫멜트 공정을 통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결합된 청구항 12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87003767A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80038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50291786 EP1757651A1 (en) 2005-08-25 2005-08-25 Bi-axially stretched breathable film,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use thereof
EP05291786.1 2005-08-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703A Division KR101491453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345A true KR20080038345A (ko) 2008-05-06

Family

ID=3570927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31A KR101577206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137028703A KR101491453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147033728A KR101601650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087003767A KR20080038345A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31A KR101577206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137028703A KR101491453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147033728A KR101601650B1 (ko) 2005-08-25 2006-08-25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92028B2 (ko)
EP (2) EP1757651A1 (ko)
JP (1) JP5189487B2 (ko)
KR (4) KR101577206B1 (ko)
CN (1) CN101248115B (ko)
WO (1) WO2007022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21962B1 (pt) * 2006-08-31 2018-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lícula respirável tendo uma camada de base, laminado respirável, artigo absorvente e método para formação de uma película respirável
WO2009003675A1 (en) * 2007-07-02 2009-01-08 Dsm Ip Assets B.V. Container for respiring produce
CN103100313A (zh) * 2011-11-15 2013-05-1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peba与peg或peo的共混膜及其制备和应用
CN103437162B (zh) * 2013-08-27 2015-12-23 苏州艾吉克膜科技有限公司 一种干膜亲水药剂
US9492332B2 (en) 2014-05-13 2016-11-15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reathable and microporous thin thermoplastic film
US10683391B2 (en) * 2014-12-31 2020-06-16 Kolon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composition for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ilm, film and fabric using same
JP6406359B2 (ja) 2015-01-14 2018-10-17 東洋紡株式会社 導電性布帛
KR102430695B1 (ko) 2015-01-14 2022-08-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신축성 전극 및 배선 시트, 생체 정보 계측용 인터페이스
US11872740B2 (en) 2015-07-10 2024-01-16 Berry Plastics Corporation Microporous breathable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microporous breathable film
EP3370943A4 (en) 2015-11-05 2019-05-01 Berry Global, Inc. POLYMERIC FILMS AND METHODS OF MAKING POLYMER FILMS
WO2017122639A1 (ja) * 2016-01-13 2017-07-20 東洋紡株式会社 伸縮性導体組成物、伸縮性導体形成用ペースト、伸縮性導体組成物からなる配線を有する衣服、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472085B2 (en) 2016-02-17 2022-10-18 Berry Plastics Corporation Gas-permeable barrier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gas-permeable barrier film
CN105926168B (zh) * 2016-05-12 2018-01-30 武汉纺织大学 一种双向拉伸的聚苯硫醚纤维多孔膜的制备方法
CN108724869B (zh) * 2017-04-20 2021-08-20 佛山金万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汽阻隔型功能薄膜层合物
JP2019108433A (ja) * 2017-12-15 2019-07-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透湿性フィルム、および食品ケーシング用フィルム
KR20190088143A (ko) * 2018-01-17 2019-07-26 이호영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적층직물
GB201804961D0 (en) 2018-03-28 2018-05-09 Dupont Teijin Films Us Lp Copolyesters and films made therefrom
US11584111B2 (en) 2018-11-05 2023-02-21 Windmoeller & Hoelscher Kg Breathable thermoplastic film with reduced shrinkage
GB201914085D0 (en) 2019-09-30 2019-11-13 Dupont Teijin Films Us Lp Copolyester film
GB201918952D0 (en) 2019-12-20 2020-02-05 Dupont Teijin Films Us Lp Tape
GB202000114D0 (en) 2020-01-06 2020-02-19 Dupont Teijin Films Us Lp Polymeric film tube
GB202002633D0 (en) 2020-02-25 2020-04-08 Dupont Teijin Films Us Lp Composite polymeric film
GB202004676D0 (en) 2020-03-31 2020-05-13 Dupont Teijin Films Us Lp Composite polymeric film
TWI735323B (zh) 2020-08-31 2021-08-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改性熱塑性聚酯彈性體及透溼防水膜
GB202106834D0 (en) 2021-05-13 2021-06-30 Dupont Teijin Films Us Lp Metallised films
GB202110926D0 (en) 2021-07-29 2021-09-15 Dupont Teijin Films Us Lp Copolyester films
GB202112836D0 (en) 2021-09-09 2021-10-27 Dupont Teijin Films Us Lp Sealable peelable polyester films
GB202115792D0 (en) 2021-11-03 2021-12-15 Dupont Teijin Films Us Lp Metallised films
CN114211790A (zh) * 2021-12-04 2022-03-22 浙江金瑞薄膜材料有限公司 一种加工性好的mlcc离型膜基膜的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47876B1 (ko) 1971-08-05 1974-03-29 Cellophane Sa
US3907926A (en) * 1973-12-19 1975-09-23 Du Pont Blends of thermoplastic copolyetherester with poly-butylene terephthalate
CA1191439A (en) * 1982-12-02 1985-08-06 Cornelius M.F. Vrouenraets Flexible layered product
US4853602A (en) 1985-12-24 1989-08-01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stem for using synchronous secondaries of a linear motor to biaxially draw plastic films
US4675582A (en) 1985-12-24 1987-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stem useful for controlling multiple synchronous secondaries of a linear motor along an elongated path
US4966950A (en) * 1986-01-29 1990-10-30 E. I. Du Pont De Nemours & Co. Oriented polymeric tape
US4825111A (en) 1987-11-02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near motor propulsion system
US4919875A (en) * 1988-05-09 1990-04-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iented polymeric tape preparation
US5072493A (en) 1988-06-22 1991-12-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drawing plastic film in a tenter frame
US5051225A (en) 1988-06-22 1991-09-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drawing plastic film in a tenter frame
US5434000A (en) * 1992-07-30 1995-07-1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DE69323877T2 (de) 1992-11-06 1999-07-29 Daicel Chem Leicht reissbare folie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ES2104262T3 (es) * 1993-04-28 1997-10-01 Akzo Nobel Nv Prendas de vestir para la lluvia, impermeables, transpirables, y articulos impermeables de plastico en espuma.
US5429785A (en) 1994-03-01 1995-07-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making biaxially oriented thermoplastic films
TW340862B (en) 1994-06-24 1998-09-21 Toray Industries Thermal-layered polyester film for metal plate
US5885501A (en) 1997-06-24 1999-03-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dimensionally stabilized biaxially stretched thermoplastic film
US5912060A (en) 1997-06-30 1999-06-15 Unitika Ltd. Biaxial oriented polyester film
US6436531B1 (en) * 1998-07-20 2002-08-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blends and tapes therefrom
JP2001011213A (ja) * 1999-06-30 2001-01-16 Unitika Ltd 柔軟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30158923A1 (en) 2000-05-04 2003-08-21 Reed Burkhar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negotiation for and allocation of a broadcast satellite, communication and caching system resource
AU2000275782A1 (en) 2000-05-05 2001-1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rable security card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347501B2 (ja) 2000-06-19 2009-10-21 帝人株式会社 易引裂性2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JP4304243B2 (ja) 2000-08-02 2009-07-2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20020076554A1 (en) 2000-12-15 2002-06-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laminate for personal car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US6582810B2 (en) 2000-12-22 2003-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ne-step method of producing an elastic, breathable film structure
JP2003268130A (ja) * 2002-03-14 2003-09-25 Unitika Ltd 手切れ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86684A1 (en) * 2002-06-26 2004-05-06 Hiroko Suzuki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and windproof laminated sheet, interlining using the same, and garment containing the interlining
US7144632B2 (en) 2003-06-11 2006-1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liphatic-aromatic polyetherester compositions, articles, films, coating and laminat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JP2006240221A (ja) * 2005-03-07 2006-09-1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ヒートシール性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
JP2006247870A (ja) * 2005-03-08 2006-09-2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ヒートシール性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
US20070128427A1 (en) * 2005-08-30 2007-06-07 Hiroko Suzuki Moisture permeable polyester-based elastomer film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7799838B2 (en) * 2006-07-26 2010-09-2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Elastomer blends of polyesters and copolyetheresters deriv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8115A (zh) 2008-08-20
KR101491453B1 (ko) 2015-02-10
US20090117362A1 (en) 2009-05-07
US8592028B2 (en) 2013-11-26
EP1917295A1 (en) 2008-05-07
EP1917295B1 (en) 2016-12-21
KR20150002892A (ko) 2015-01-07
WO2007022990A1 (en) 2007-03-01
KR20150002893A (ko) 2015-01-07
KR20130124596A (ko) 2013-11-14
KR101601650B1 (ko) 2016-03-09
JP2009506147A (ja) 2009-02-12
CN101248115B (zh) 2011-05-25
EP1757651A1 (en) 2007-02-28
KR101577206B1 (ko) 2015-12-15
JP5189487B2 (ja)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453B1 (ko) 이축연신된 통기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EP1694739B1 (en) Shaped articles from cycloaliphatic polyester compositions
KR101506762B1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필름
KR20070015907A (ko) 생분해성 지방족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05017007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1987002331A1 (en) Laminated structur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elastomeric copolyesterethers
KR102172596B1 (ko) 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652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121274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その用途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00518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33186B1 (ko) 열수축성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JPH0149741B2 (ko)
WO2001048062A1 (en) Oriented polymeric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copolyetherester
JP4115164B2 (ja) 手切れ性に優れた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70094951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필름
JP267013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2219774A (ja) 積層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143763B1 (ko) 지방족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갖는 흡수 용품
KR19990065052A (ko) 공압출된 열접착성 고분자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2077210A (ja) ポリアミド系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23152950A (ja) 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87392B2 (ko)
JP2017171906A (ja) 熱可塑性樹脂配向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29

Effective date: 201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