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786A - 주화 포장 기계 - Google Patents

주화 포장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786A
KR20080031786A KR1020070099494A KR20070099494A KR20080031786A KR 20080031786 A KR20080031786 A KR 20080031786A KR 1020070099494 A KR1020070099494 A KR 1020070099494A KR 20070099494 A KR20070099494 A KR 20070099494A KR 20080031786 A KR20080031786 A KR 2008003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unit
stack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486B1 (ko
Inventor
히사토 가사하라
야스유키 나카가와
기이치로 이케다카
Original Assignee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07D9/065Devices for wrapping co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6Rolling articles with wrappers along a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05Testing the surface pattern, e.g. relie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주화 포장 기계는, 이송하는 동안에 주화들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이미지들을 검출하고 주화들을 식별하는 식별 유니트(34),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 1 측과 제 2 측의 어느 한 쪽으로 주화들을 분류하는 분류 유니트(50), 상기 분류 유니트(50)에 의해 제 1 측으로 분류된 주화들을 규정된 수의 주화들을 가진 기둥 형태로 적층시키는 적층 유니트(71), 기둥 형태인 주화 적층체를 포장하는 포장 유니트(72) 및, 주화 적층체의 일 단부에 있는 주화의 외측면과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에 있는 주화의 제 2 외측면중 적어도 하나가 후방면이 되도록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 유니트(5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다.
주화, 구별 적층체, 식별 유니트, 포장 유니트,

Description

주화 포장 기계{Coin wrapping machine}
본 발명은 주화를 식별하고, 집계하고 포장하는, 주화 포장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06년 10월 6 일자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2006-275053 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주화 포장 기계는 잔돈 주화들의 진위, 금액등을 식별한다.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진짜 주화들중에서 오직 특정된 금액의 특정된 수(통상적으로 50 개)의 주화들만이 적층된다. 주화들의 적층체(stack of coins)은 포장된 주화들을 얻도록 포장지 안에 감싸인다. 식별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인 최초 공개 번호 2001-143121 에 개시된 주화 포장 기계는 주화의 사진을 촬상하며, 검출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식별을 수행한다.
주화들은 다수의 발행국들에 의해 발행되는데, 이들은 주화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발행국들에 공통인 패턴을 전방면상에 형성하고, 각 발행국(유로 주화)마다 독특한 패턴을 후방면에 형성한다.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인 최초 공개 번호 2000-306135 에 개시된 주화 식별 장치는 금액 및 발행국별로 주화들을 분류하 기 위하여 주화들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사진을 촬상하며 양쪽 면들의 검출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식별을 수행한다.
종래의 주화 포장 기계는 동일한 금액을 가진 주화들을 적층하여 포장한다. 따라서, 이들은 여러 가지 주화 유형들이 있다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데, 상기 주화 유형들은 전방면에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국가들에 공통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언급된 유로 주화들과 같이 발행국 마다 상이한 패턴을 후방면에 형성한다.
결국, 금액 및 발행국별로 상기 주화들을 포장하기 위하여 종래의 주화 포장 기계를 이용하는 것은 문제이다. 예를 들면, 주화 적층체의 2 개 단부면들이 주화의 후방면이 되도록 주화 적층체가 포장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는데, 이는 후방면의 패턴으로 발행국을 알 수 있고, 주화의 크기, 칼러등으로부터 금액도 명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화 적층체의 2 개 단부면들이 모두 주화의 전방면이도록 주화 적층체가 포장되는 경우에, 비록 금액이 상기 전방면의 패턴으로부터 알 수 있더라도, 주화의 발행국은 불명확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발행국들에 공통적인 패턴이 전방면에 형성되고, 발행국마다 상이한 패턴이 후방면에 형성된 주화들이 포장되는 경우에서 조차도, 발행국이 포장 이후에 틀림없이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하는 주화 포장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면상에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후방면상에 복수개의 발행국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는 주화들을 포장하는 주화 포장 기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주화 포장 기계는: 기탁된(deposited) 주화를 하나씩 분배하는 공급 유니트; 상기 공급 유니트로부터 분배된 주화들을 이송시키는 주화 이송 유니트;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주화들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주화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획득하는 식별 유니트;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측과 제 2 측중 하나로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주화들을 분류하는 분류 유니트; 상기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1 측으로 분류된 주화들을 규정된 수의 주화들을 가진 기둥 형태로 적층시키는 적층 유니트; 및, 주화 적층체의 일 단부에 있는 제 1 주화의 제 1 외측면과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에 있는 제 2 주화의 제 2 외측면중 적어도 하나가 후방면이도록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제 1 외측면이 후방면이도록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제 2 외측면이 전방면이도록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면이 전방면과 후방면중 하나일 수 있도록, 그리고 제 1 외측면이 전방면일 때만 제 2 외측면이 후방면이도록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있어서, 제 1 외측면이 전방면과 후방면중 하나일 수 있도록, 그리고 제 2 외측면은 주화의 전방면-후방면에서 제 1 외측면과 반대이도록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한다.
상기 언급된 주화 포장 기계는 복귀 이송 유니트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복귀 이송 유니트는 상기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2 측으로 분류된 주화들을 상기 공급 유니트로 재공급한다.
상기 언급된 주화 포장 기계는 포장 처리를 시작하기 위하여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패널에 의한 시작 명령의 입력시에,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유니트에 의해 처음으로 식별되어야 하는 주화의 유형을 포장 처리로 지정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전방면에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적인 패턴이 형성되고 후방면에 복수개의 발행국에 따라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주화가 포장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적층 유니트에 의하여 규정된 수의 주화들을 기둥 형 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구성된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인 제 1 외측면과 제 2 외측면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들이, 항상 발행국별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는 후방면이도록, 제어 장치는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 유니트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서 처음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적층 유니트로 공급되었을 때 처음으로 적층되는 주화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며, 또한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중 하나인 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후방면인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1 측으로 분류하여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다른 한편으로,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서 처음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1 외측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후방면이 아닌 (즉, 주화의 전방면이 되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또는,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적층 유니트로 공급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며, 또한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에 해당하는 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후방면인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그 주 화를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그것을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다른 한편으로,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마지막으로 적층된 주화가, 제 2 외측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전방면이 되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포장 유니트는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되었던 주화 적층체를 포장한다. 결국, 발행국이 포장 이후에 틀림없이 알려지도록 포장 주화들이 포장될 수 있는데, 이는 주화 적층체의 2 개 단부들에 있는 2 개 주화들과 관련하여, 기둥 형태인 주화 적층체의 주화들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이 항상 발행국별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항상 국가별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도록 제어 장치는 분류 유니트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처음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1 외측면이 주화의 후방면으로 배향된 상태로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주화를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다른 한편으로,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하여 적층된 주화가, 제 1 외측면이 주화의 후방면을 향하지 않는 상태로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화의 기둥 형상 적층체의 외측면들중 하나가 주화의 후방면이 되지 않도록 이송되고 있는 주화가 제 2 측으로 분류될지라도, 이것은 적층이 시작되는 곳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주화는 차후의 적층을 위해서 제공되도록 공급 유니트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분류 유니트를 제어함으로써,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은 항상 발행국별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 된다. 차후에,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은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발행국들에 공통인 패턴이 형성되는 전방면이 되도록, 분류 유니트가 제어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서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전방면인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다른 한편으로,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내에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전방면이 되지 않는 (즉, 후방면의)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따라서,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은 항상 후방면이고,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은 주화의 전방면이다. 결국, 발행국이 포장 이후에 틀림없이 알려지도록, 그리고 금액도 용이하게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주화의 전방면이거나 또는 후방면일 수 있도록 제어 장치가 분류 유니트를 제어한다. 또한, 제 1 외측면이 국가별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 아닐 경우에만(전방면일 때),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이 주화의 후방면이도록, 분류 유니트가 제어된다.
상세하게는,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주화의 후방면으로 되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다른 한편으로,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주화의 후방면으로 되지 않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따라서, 이송 경로상의 이송 동안에 주화의 배향에 기인하여 주화가 제 2 측으로 분류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을 주화의 전방면이나 또는 후방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외측면이 주화의 전방-후방면에 있어서 제 1 외측면의 반대면이 되도록 분류 유니트가 제어된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처음에,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전방면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차후에 다음과 같은 2 가지로 분리될 수 있다.
첫째,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으로 되는 면이 주화의 후방면으로 되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그것을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둘째,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주화의 전방면으로 되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다음에,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주화의 후방면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차후에 다음과 같이 분리시킬 수 있다.
첫째,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에 의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주화의 전방면으로 되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적층 유니트로 공급한다.
둘째, 식별 유니트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로 공급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주화의 전방면으로 되지 않는 배향으로써,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주화 적층체의 외측면들중 하나는 항상 주화의 전방면이고, 다른 외측면은 주화의 후방면이 된다. 결국, 발행국이 틀림없이 포장 이후에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금액이 용이하게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주화 포장 기계는 복귀 구동 유니트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것은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2 측으로 분류된 주화들을 공급 유니트로 재공급한다. 따라서, 복귀 구동 유니트를 이용하여, 주화 배향의 이유로 제 2 측으로 분류되었던 주화들을 차후 적층을 위해 제공되도록 공급 유니트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된 주화 포장 기계는 포장 처리를 시작하기 위하여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패널을 가지며, 제어 패널에 의한 시작 명령의 입력 이후에,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세팅(setting)이 가능하며, 상기의 처리에서는 식별 유니트에 의해 처음으로 식별된 주화의 유형이 포장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을 세팅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작업의 단순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 포장 기계에서는 주화의 적층체를 포장한 이후에 틀림없이 주화의 후방면이 주화 적층체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상에 나타나므로 주화 및 발행국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주화 포장 장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제 1 구현예의 주화 포장 장치는, 전방면에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의 인각을 형성하고, 후방면에 개별의 발행국에 의해 상이한 패턴의 인각을 형성하는 주화, 즉, 유로(Euro) 주화를 포장하는 주화 포장 장치이다. 유로 주화들은 금액에 따라서 직경이 변화되며, 일부 유로 주화들은 금액들 사이에서 색깔(재료)이 변화되기도 한다. 결국, 금액은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전방면의 패턴과는 별개로 직경과 색깔에 의해서만 알려진다.
제 1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포장 모드의 처리 및 집계 모드(counting mode)의 처리를 할 수 있다. 포장 모드의 처리에서, 유입되어 흩어진 주화들은 유형(type)별로 집계되고,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set type)의 동일 유형 주화들만이 수집되고 포장된다. 집계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 유입된 잔돈은 유형에 따라 집계되고,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동일 유형 주화들만이 수집된다. 동일한 유형들과 관련하여, 발행국과 관계없이 같은 금액으로 동일 유형이 설정되는 발행국 통합 모드가 있고, 또한 동일 유형이 같은 금액 및 같은 발행국으로 설정되는 발행국 식별 모드가 있다.
발행국을 구분하는 포장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진위, 품질, 금액 및 발행국의 식별이 수행되고, 할당된 잔돈 주화들에 대한 집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수용되는데, 이들은 진짜 인 것이고 정상적인 것이며 규정된 것이다 (발행국에 관계없이 같은 금액임). 위조 주화 및, 진짜이지만 손상된 주화들은 기계의 외부로 배출된다.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데, 이들은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이지만, 규정된 유형이 아닌 것이다. 또한,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수용된 주화들은 규정된 수의 단위로 포장된다.
발행국을 통합시키는 포장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진위, 품질, 금액의 식별이 수행되고, 할당된 잔돈 주화들에 대한 집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수용되는데, 이들은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이며 규정된 것이다 (발행국에 관계없이 같은 금액임). 위조 주화 및, 진짜이지만 손상된 주화들은 기계의 외부로 배출된다.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데, 이들은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이며, 규정된 유형이 아닌 것이다. 또한,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수용된 주화들은 규정된 수의 단위로 포장된다.
포장 모드에서, 다음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음에, 할당된 잔돈 주화들중에서, 진짜이고 정상적이며, 규정된 동일 유형인,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포장된다. 다른 한편으로, 진짜이고 정상적이며, 다른 유형들인,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다음에, 상기 규정된 동일 유형인,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에 대한 포장이 완료되었을 때, 처리가 필요한 상기 설정 유형과 상이한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화들중에서, 다르게 규정된 유형의 주화들이,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으로서 순차적으 로 설정된다. 다음에, 이러한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포장된다.
집계 모드에서, 다음의 처리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할당된 잔돈 주화들중에서,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이며 규정된 동일 유형의 것인,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집계되고, 장치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분배된다. 다른 한편으로, 진짜이고 정상적이며 다른 유형들인,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다음에, 상기 규정된 동일 유형인,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의 집계 및 분배가 완료되었을 때, 처리가 필요한 상기 설정 유형들과 상이한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화들로부터, 다른 규정된 유형의 주화들이,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으로서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처리가 필요한 이러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집계되고 분배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주화 포장 기계는 대략 사각형의 평행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작업자가 잔돈을 넣는 깔데기(12)는 장치 동체(11)의 상부면에 제공된다. 이러한 깔떼기(12)의 하부측에는 주화 공급 유니트(공급 유니트)(10)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투입된 주화를 하나씩 분배한다.
주화 공급 유니트(10)는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를 가진다. 공급 디스크(13)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깔데기(12)로부터 잔돈이 상기 수직 축으로 향하게 된다. 회전 디스크(14)는 이러한 공급 디스크(13)의 옆에 제공되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디스크(14)는 공급 디스크(13)로부터 원심력에 의하여 분배되는 잔돈 주화를 수용한다. 더욱이, 이들 수용된 주화들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주화들은 주화들을 개별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주화 채널(15)로 분배된다. 이러한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는 도 1 에 도시된 제어 장치(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구동 유니트(101)에 의해 전방으로 그리고 역으로 구동된다.
주화 채널(15)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분배된 주화들을 양쪽 측부에 상승된 안내부(16,17)들 사이의 채널 면상에서 안내한다. 이러한 주화 채널(15)은 장치 동체(11)의 후방면(11A), 측부면(11B) 및 전방면(11C)을 따라서 회전 디스크(14)를 감싸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주화 채널(15)은 회전 디스크(14)에 연결된다. 또한, 주화 채널(15)은 제 1 선형 부분(20), 제 1 굽힘 부분(21), 제 2 선형 부분(22), 제 2 굽힘 부분(23) 및 제 3 선형 부분(24)을 가진다. 제 1 선형 부분(20)은 회전 디스크(14)와 후방면(11A) 사이 공간에서 후방면(11A)을 따라서 배치된다. 제 1 굽힘 부분(21)은 회전 디스크(14)에 대하여 제 1 선형 부분(20)의 반대편 측부에 연결되고, 제 1 선형 부분(20)에 대하여 회전 디스크(14)의 방향에서 수직으로 굽혀진다. 제 2 선형 부분(22)은 제 1 선형 부분(20)에 대하여 제 1 굽힘 부분(21)의 반대편 측부에 연결되고, 결국 제 1 선형 부분(20)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한다. 제 2 굽힘 부분(23)은 제 1 굽힘 부분(21)에 대하여 제 2 굽힘 부분(22)의 반대편 측부에 연결되며, 제 2 선형 부분(22)에 대하여 회전 디스크(14)의 방향에서 수직으로 굽혀진다. 제 3 선형 부분(24)은 제 2 선형 부분(22)에 대하여 제 2 굽힘 부분(23)의 반대편 측부에 연결되고, 결국 제 2 선형 부분(22)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한다.
이송 메카니즘(26)이 주화 채널(15)의 근처에 제공된다. 이러한 이송 메카니즘(26)은 주화 공급 유니트(10)로부터 분배된 주화들을 주화 채널(15)상으로 상기 주화 채널(15)을 따라서 이송시킨다. 주화 공급 유니트(10)로부터 분배된 주화들을 이송하는 주화 이송 유니트(10)는 주화 채널(15) 및 이송 메카니즘(26)에 의해 구성된다.
주화 메카니즘(26)은 콘베이어 벨트(27A), 콘베이어 벨트(27B), 콘베이어 벨트(27C) 및 콘베이어 벨트(28)를 가진다. 콘베이어 벨트(27A)는 주화 채널(15)의 상부측에 제공되며,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분배된 주화를 제 1 선형 부분(20), 제 1 굽힘 부분(21) 및 제 2 선형 부분(22)의 일부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콘베이어 벨트(27B)는 주화 채널(15)의 하부측상에 제공되며, 콘베이어 벨트(27A)에 의해 이송된 주화를 제 2 선형 부분(22)의 일부를 따라서 더 이동시킨다. 콘베이어 벨트(27C)는 주화 채널(15)의 상부측상에 제공되며, 콘베이어 벨트(27B)에 의해 이송된 주화를 제 2 선형 부분(22)의 일부를 따라서 더 이동시킨다. 콘베이어 벨트(28)는 주화 채널(15)의 상부측상에 제공되며, 콘베이어 벨트(27C)에 의해 이송된 주화를 제 2 선형 부분(22), 제 2 굽힘 부분(23) 및 제 3 선형 부분(24)을 따라서 움직인다. 이송 메카니즘(26)은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도 2에 도시된 이송 구동 유니트(102)의 모터(미도시) 및, 상기 모터로부터 콘베이어 벨트(27A-27C, 28)로 기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벨트(29)를 가진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콘베이어 메카니즘(26)은 이들 콘베이어 벨트(27A-27C, 28)들 및 벨트(29)와 맞물려서 전방 구동 및 역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안내 롤러(30)는 안내부(16)들중 하나의 끝에서, 주화 채널(15)의 제 1 선형 부분(20)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안내 롤러(30)에 의해서, 상기 안내부(16)의 끝에 부딪히고 그것에 의해 억류된 주화들은 회전 디스크(14)의 내부로 복귀하거나, 또는 주화 채널(15)을 향하여 안내되는 경향이 있다.
주화 채널(15)의 주화 이송 방향에서 상류측을 구성하는 제 1 선형 부분(20)에서, 재료 검출 센서(31)는 주화 채널(15)의 채널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재료 검출 센서(31)는 주화 재료의 자기 특성에 기초하여 제 1 선형 부분(20)상에 이송된 주화들을 검출한다. 주화 검출 센서(31a,31b)들은 재료 검출 센서(31)의 2 개 측부들상에 제공된다. 이들 주화 검출 센서(31a,31b)들은 상기 재료 검출 센서(31)에 의해서 받아들이는 검출 데이터의 타이밍(timing)을 계산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제어 장치(100)는, 주화가 상기 주화 검출 센서(31a,31b)에 의해서 함께 검출되는 때의 지점에서 재료 검출 센서(31)가 검출 데이터의 수입(intake)을 수행하게 한다.
상부 이미지 검출기(32)는, 하부측에 제공된 콘베이어 벨트(27B)의 위치에서 주화 채널(15)의 제 2 선형 부분(22)의 제 1 굽힘 부분(21)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이미지 검출기(32)는 CCD 면 센서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며, 상부측으로부터 제 2 선형 부분(22)에 의해 이송된 주화들의 이미지들을 검출한다. 주화 검출 센서(32a,32b)들은 상부 이미지 검출기(32)의 2 개 측부들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주화 검출 센서(32a,32b)들은 상기 상부 이미지 검출기(32)에 의한 검출 데이터 수 입(intake)의 타이밍을 계산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제어 장치(100)는, 주화가 상기 주화 검출 센서(32a,32b)에 의해 함께 검출되었을 때의 지점에서 상부 이미지 검출기(32)가 검출 데이터의 수입을 수행하게 한다.
하부 이미지 검출기(33)는 주화 채널(15)의 채널면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부측상에 제공된 콘베이어 벨트(27C)의 위치에서, 주화 채널(15)의 제 2 선형 부분(22)의 상부 이미지 검출기(32)로부터 하류측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 이미지 검출기(33)는 CCD 부위 센서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며, 하부측으로부터 제 2 선형 부분(22)에 의해 이송된 주화들의 이미지를 검출한다. 주화 검출 센서(33a,33b)들은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2 개 측부들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주화 검출 센서(33a,33b)들은 상기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에 의하여 검출 데이터 수입의 타이밍을 계산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제어 장치(100)는, 주화가 상기 주화 검출 센서(33a,33b)에 의해 함께 검출되었을 때의 지점에서 하부 이미지 검출기(33)가 검출 데이터의 수입(intake)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주화 채널(15)에서 주화들을 식별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 검출 센서(31),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에 의해 구성된 식별 유니트(34)는 주화 이송 유니트(25)에 의한 이송중에 주화들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이미지들을 검출하며, 주화들을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 유니트(34)는 주화 채널(15)의 제 1 선형 부분(20)과 제 2 선형 부분(22)에 걸쳐있도록 배치된다.
재료 검출 센서(31),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출력들은 제어 장치(100)로 입력된다. 이러한 제어 장치(100)에서, 예를 들면, 상류측상의 재료 검출 센서(31)에 의해 검출된 주화들에 대한 검출 데이터는 각각의 금액의 주화 재료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순차적으로 비교된다. 재료의 검출 데이터가 주화 재료에 있는 금액들의 그 어떤 기준 데이터와도 정합(matching)되지 않는다는 판정이 초래되는 경우에, 검출된 주화가 위조 주화라는 것이 그러한 지점에서 식별된다.
다른 한편으로, 그 어떤 금액이라도 주화 재료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정합된다는 점이 재료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판정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다음의 과정을 수행한다. 우선, 정합된 재료에 대한 금액의 주화에 대한 전방면/후방면 이미지들의 기준 패턴 데이터를 읽게 된다. 다음에, 상기 검출된 주화에 대하여 상부 이미지 검출기(32)의 검출된 패턴 데이터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이미지들의 기준 패턴 데이터 사이의 비교가 이루어지며, 주화의 전방면/후방면 이미지들의 개별 패턴 데이터와 주화의 외부 직경의 정합(match)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개별의 전방면/후방면 이미지들에 대한 기준 패턴 데이터와 검출된 패턴 데이터 사이의 정합 및, 상기 외부 직경들 사이의 정합에 대한 측정의 결과가 나오면, 이러한 검출 주화가 검출된 금액의 진짜 주화(true coin)인지를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방면 또는 후방면 이미지들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패턴 데이터와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외부 직경들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검출된 주화가 위조 주화인 것으로 판정된다.
처리된 주화는 같은 금액에 대해서 일 면에는 모든 발행 국가들에 공통적인 패턴을 가지고, 반대면상에는 발행 국가마다 다른 패턴을 가진다. 따라서, 식별시에, 일 면상에 있는 모든 발행 국가들에 공통적인 패턴이 모든 발행 국가들에 공통적인 마스터 데이터(master data)와 정합되는지를 식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발행 국가들에 공통적인 패턴이 마스터 데이터와 정합된다면, 그리고 발행 국가마다 다른 패턴이 발행 국가들중 그 어느 국가의 패턴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와 정합된다면, 그것이 진짜 주화라는 점이 판정된다.
제어 장치(100)는 상부 및 가장자리 양쪽, 즉, 검출된 주화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대한 기준 패턴 데이터와 검출된 패턴 데이터의 부합(coincidence)을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규정된 부합이나 또는 그보다 크다는 것에 대한 정합이 있을 때, 그리고 기준 패턴 데이터의 주화 외측 직경에 대하여 검출된 패턴의 주화 외측 직경의 에러(error)가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을 때, 이들 부합이 상위(high)에 있고, 이것은 정상적이고 진짜 주화인 것으로 판정된다. 다른 한편, 상부 또는 저부, 즉, 검출된 주화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과 관련하여, 검출된 패턴 데이터가 규정된 부합이나 또는 그보다 큰 것으로써 기준 패턴 데이터와 정합되지 않거나, 또는 기준 패턴 데이터의 주화 외측 직경에 대한 검출된 패턴의 주화 외측 직경의 에러가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지 않다면, 제어 장치(100)는 상기의 부합이 하위(low)에 있는 것이고, 그것이 비정상적이며 위조 주화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상부와 저부 양쪽,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짜 주화인 것으로 판정되었던 검출 주화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대하여, 검출된 패 턴 데이터의 색깔의 부합을 기준 패턴 데이터의 부합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색깔이 규정된 부합이나 또는 그보다 큰 것으로 정합되는 경우에, 배색(coloration)이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고 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색깔의 정합이 규정된 부합이나 또는 그보다 큰 것으로 발생되지 않는다면, 배색은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지 않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되며, 검출된 주화는 오염된 주화로 판정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100)는 상부와 저부 양쪽,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짜 주화인 것으로 판정되었던 검출 주화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대하여, 기준 패턴 데이터와 검출된 패턴 데이터의 부합이 국부적으로 규정된 비율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부함이 국부적으로 규정된 비율보다 낮은 부분들이 없는 경우에, 손상의 정도는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고, 정상인 것으로 판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부함이 규정된 비율보다 국부적으로 낮은 부분들이 있는 경우에, 손상은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지 않고,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되며, 검출된 주화는 국부적으로 손상된 주화인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검출된 주화의 상면과 저면에 대하여,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짜 주화인 것으로 판정되었던 검출된 주화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대하여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주화의 외측 직경 부분의 변형(원진도(圓陣度))을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외측 직경 부분의 변형의 정도가 규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 변형이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고, 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변형의 정도가 규정된 값이거나 또는 보다 상위의 것인 경우에, 변형은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지 않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되며, 검출된 주화는 전체적으로 손상된 주화인 것으로 판정된다.
상기의 결과들로부터, 제어 장치(100)는, 진짜 주화들중에서, 더럽혀진 주화들, 국부적으로 손상된 주화들 또는 전체적으로 손상된 주화들중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손상된 주화들이라는 점을 판정한다. 이것은 위조 주화들 및 손상된 주화들이 비정상적인 주화들이라는 것을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진짜 주화들중에서, 더렵혀진 주화들, 국부적으로 손상된 주화들 또는 전체적으로 손상된 주화들중 어느 하나에 속하지 않는 주화들이, 정상적인 주화들이라는 점을 판정한다.
제 2 선형 부분(22)의 하부 이미지 검출기(33)로부터의 하류측에서, 정지 부재(36a,36b)들이 제 2 선형 부분(22)의 양쪽 측부상에 제공되어 그것을 샌드위치(sandwich)시킨다. 이러한 정지 부재(36a,36b)들은 하류측으로부터 제 2 선형 부분(22)상의 주화들과 접촉되고, 상기 주화들을 정지시킨다. 또한, 정지 부재(36a,36b)들은 회전 솔레노이드(미도시)를 구비하는 도 2에 도시된 정지 구동 유니트(103)에 의해서 규정된 각도로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된다.
이들 정지 부재(36a,36b)들은 1 차적으로, 포장하는 동안에 집계(counting)를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그러한 경우에, 필요한 주화 유형이 규정된 주화 수에 도달했을 때, 정지 부재(36a,36b)들은 그 양쪽이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제 2 선형 부분(22)으로 돌출하도록 동시에 이루어지며, 그에 의해서 규정된 수를 초과하여 제 2 선형 부분(22)상에 이송되는 주화들의 통과를 방지한다. 이러한 정지 부재(36a,36b)들은 비정상적인 주화들을 정지시키는 정지부로서 2 차적으로 기 능한다. 그러한 경우에, 이송된 주화가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이 아닌 비정상적인 주화일 때, 정지 부재(36a,36b)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주화의 통과 직전에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양쪽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비정상적인 주화가 접촉되고, 그것의 통과는 방지된다. 집계를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할 때, 상기 정지 부재(36a,36b)가 작동된 이후에, 제어 장치(100)는 이송 메카니즘(26)의 콘베이어 벨트(27A-27C, 28)이 역의 회전을 겪게 하고, 그에 의하여 정지 부재(36a,36b)의 상류측상에 있는 모든 주화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제 2 선형 부분(22)의 상류측의 정지 부재(36a,36b)의 직전에 위치에서, 주화 검출 센서(37a,37b)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주화 검출 센서들은 정지 부재(36a,36b)들을 구동시키는 정지 구동 유니트(103)의 작동 타이밍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목표 주화들이 상기 주화 검출 센서(37a,37b)에 의해 함께 검출되는 타이밍에 제어 장치(100)는 정지 구동 유니트(103)를 구동하며, 정지 부재(36a,36b)들이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한다. 결과적으로, 정지 부재(36a,36b)들은 목표 주화들과 접촉하고, 이들 주화들을 정지시킨다.
거부 유니트(40)는 제 2 선형 부분(22)상의 정지 부재(36a,36b)로부터 하류측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거부 유니트(40)에 의하여, 재료 검출 센서(31),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로 구성된 식별 유니트(34)의 검출 결과로부터 비정상적인 주화들로서 식별된 주화들을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 한 거부 유니트(40)는 거부 통공(41), 거부 돌출부(42) 및 거부 구동 유니트(104)를 가진다. 거부 통공(41)은 제 2 선형 부분(22)의 채널면내에 형성된다. 거부 돌출부(42)는 주화 이송 방향의 상류측상에 있는 거부 통공(41)의 종단 위치에서 안내부(17) 측상에 제공되고,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안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철회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거부 구동 유니트(104)는 회전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거부 돌출부(42)가 규정된 각도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되게 한다.
거부 돌출부(42)가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되는 상태에서, 거부 유니트(40)를 통과하는 주화들은 안내부(17)와 접촉함으로써 안내되는 동안에 이동하게 되는데, 거부 유니트의 측부에 거부 돌출부(42)가 제공된다. 콘베이어 벨트(28)와 주화 채널(15)은 주화의 이동이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거부 통공(41)의 폭은 처리된 주화들중에서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주화들의 직경 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거부 돌출부(42)가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되는 상태를 제어 장치(100)가 설정했을 때, 항상 안내부(17)와 접촉하여 이동하는 주화들은 거부 통공(41)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주화들은 거부 통공(41)을 지나가며, 제 2 선형 부분(22)상에서 더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장치(100)가 거부 구동 유니트(104)를 구동시키고, 거부 돌출부(42)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할 때, 안내부(17)와 접촉하여 움직였던 주화들은 상기 거부 돌출부(42)와 접촉한다. 이러한 거부 돌출부(42) 에 의해서 밀리는 결과로서, 주화들의 이송 경로는 안내부(17)로부터 분기되기 위하여 변화된다. 결국, 주화들은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진다.
주화 검출 센서(43)는 제 2 선형 부분(22)의 상류측상에서 거부 돌출부(42)의 직전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주화 검출 센서(43)는 거부 돌출부(42)가 구동되는 타이밍을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목표 주화들이 상기 주화 검출 센서(43)에 의해 검출되는 타이밍에 제어 장치(100)는 거부 구동 유니트(104)를 구동하며, 거부 돌출부(42)가 규정된 시간에만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목표 주화들만이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방식으로 거부 돌출부(42)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게 함으로써, 거부 유니트(40)는 비정상 주화로서 식별된 주화들이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지게 강제하며, 비정상 주화들이 제 2 선형 부분(22)으로부터 배출된다. 다른 한편으로, 거부 돌출부(42)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지 않게 함으로써,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서 식별되는 주화들은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제 2 선형 부분(22)상의 더 하류로 이송된다.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진 주화들은 상기 거부 통공(41)하에 배치된 거부 박스(미도시)에 의해 회수된다. 작업자가 거부 박스를 주화 포장 기계로부터 제거한 이후에, 비정상적인 주화들은 상기 거부 박스로부터 추출된다.
스크리닝 유니트(screening unit, 45)는 제 2 선형 부분(22)상에서 거부 유니트로부터 하류측에 제공된다.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 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리닝 유니트(45)는 진짜이고 정상적인 주화들을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designated set type)의 주화로서, 그리고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이 아닌,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로서 분류한다.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은 이후에 주화 채널(15)상의 하류측으로 더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은 주화 채널(15)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스크리닝 유니트(45)는 거부 유니트(40)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분류 구멍(46), 분류 돌출부(47), 스크리닝 구동 유니트(105)를 구비한다. 분류 구멍(46)은 주화 이송 방향에서 상류 측에 있는 분류 구멍(46)의 종료 위치에서 안내부(17) 측부에 제공되며,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 안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스크리닝 구동 유니트(105)는 회전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하는데, 회전 솔레노이드는 분류 돌출부(47)가 규정된 각도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하게 한다.
분류 돌출부(47)가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된 상태에서, 스크리닝 유니트(45)를 통과하는 주화들은 안내부와의 접촉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스크리닝 유니트의 일측에 분류 돌출부(47)가 제공된다. 콘베이어 벨트(28) 및 주화 채널(15)은 이러한 방식으로 주화들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분류 통공(46)의 폭은 처리된 주화들중 가장 작은 직경의 주화들의 직경 보다 작게 설정된다.
분류 돌출부(47)가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된 상태를 제어 장 치(100)가 설정하였을 때, 안내부(17)와 접촉하여 항상 이동하는 주화들은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주화들은 분류 통공(46)을 지나가고, 제 2 선형 부분(22)상에서 하류측으로 더욱 이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장치(100)가 스크리닝 구동 유니트(105)를 구동하고, 분류 돌출부(47)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하였을 때, 안내부(17)와 접촉하여 이동했던 주화들은 상기 분류 돌출부(47)와 접촉한다. 이러한 분류 돌출부(47)에 의해 밀린 결과로서, 주화들의 이송 경로는 안내부(17)로부터 분기되기 위하여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주화들은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진다.
주화 검출 센서(48)는 제 2 선형 부분(22)의 상류측에서 분류 돌출부(47)의 직전에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주화 검출 센서(48)는 분류 돌출부(47)가 구동되는 타이밍을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목표 주화들이 주화 검출 센서(48)에 의해 검출되는 타이밍에서 제어 장치(100)는 스크리닝 구동 유니트(105)를 구동하고, 규정된 시간들에만 분류 돌출부(47)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오직 이들 목표 주화들만이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방식으로 분류 돌출부(47)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게 함으로써, 스크리닝 유니트(45)는, 진짜이고 정상적이지만,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주화들과 상이한,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인 것으로 식별되는 주화들을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게 강제하며, 주화들을 제 2 선형 부분(22)으로부터 배출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분류 돌출부(47)가 제 2 선형 부 분(22) 안으로 돌출하지 않게 함으로써, 진짜이고 정상적인 주화들이며 포장 또는 집계를 위해서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주화들로서 식별되는 주화들은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제 2 선형 부분(22)에서 하류측으로 더욱 이송된다.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는 주화들은 상기 분류 통공(46) 아래에 배치된 일시적인 저장 유니트(미도시)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도 2 에 도시된 일시적인 저장 구동 유니트(120)는 일시적인 저장 유니트 안에 제공된다. 이러한 일시적인 저장 구동 유니트(120)의 구동에 의하여, 주화들은 도 2 에 도시된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전달된다. 도 2 에 도시된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는 복귀 이송 유니트(150) 안에 제공된다. 이러한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의 구동에 의하여, 주화들은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복귀된다. 즉, 주화들이 포장 모드에서 유형별로 포장되는 경우와, 주화들이 집계 모드에서 유형별로 집계되어 분배되는 경우에, 처리를 받지 않는 설정 유형의 주화들은 분류 통공(46)으로부터 일시적인 저장 유니트로 안내되고, 적절하게 공급 디스크(13)로 복귀된다. 이러한 일시적인 저장 유니트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화들을 기계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주화들만이 포장 모드에서 포장되는 경우 및,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주화들만이 집계 모드에서 분리되고 분배되는 경우에,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하고 지정되지 아니한 주화들은 수집될 수 있고, 일시적인 저장 유니트로부터 기계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다.
분류 유니트(50)는 제 2 선형 부분(22)의 스크리닝 유니트(45)로부터 하류측 에 더 제공된다.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분류 유니트(50)는,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주화들에 해당하는 진짜이고 정상적인 주화들을 필요한 것으로 분류한다. 상세하게는, 분류 유니트(50)가, 다른 주화들을 주화 채널(15)로부터 제거하면서, 규정된 주화들이 주화 채널(15)상에서 하류측으로 더욱 계속되게 하여, 규정된 주화들은 제 1 측부로 분류되고, 다른 주화들은 제 2 측부로 분류되는 결과를 가지게 한다. 이러한 분류 유니트(50)는 스크리닝 유니트(screening unit, 45)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분류 통공(51), 분류 돌출부(52) 및 분류 구동 유니트(106)를 포함한다. 분류 통공(51)은 제 2 선형 부분(22)의 채널면상에 형성된다. 분류 돌출부(52)는 주화 이송 방향의 상류측에 있는 분류 통공(51)의 종료 위치에서 안내부(17)상에 제공되며,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할 수 있고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분류 구동 유니트(106)는 회전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분류 돌출부(52)가 규정된 각도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하게 한다.
분류 돌출부(52)가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된 상태에서, 분류 유니트(50)를 통과하는 주화들은 안내부(17)와의 접촉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움직이는데, 분류 유니트의 측부에는 분류 돌출부(52)가 제공된다. 콘베이어 벨트(28) 및 주화 채널(15)은 이러한 방식으로 주화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정된다. 분류 통공(51)의 폭은 처리된 주화들중에서 가장 작은 직경의 주화들의 직경보다 좁게 설정된다.
분류 돌출부(52)가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회수된 상태를 제어 장치(100)가 설정하였을 때, 안내부(17)와 접촉하여 항상 이동하는 주화들은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주화들은 분류 통공(51)을 지나게 되며, 제 2 선형 부분(22)상에서 하류측으로 더욱 이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장치(100)가 분류 구동 유니트(106)를 구동하고, 분류 돌출부(52)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할 때, 안내부(17)와 접촉되어 이동하였던 주화들은 이러한 분류 돌출부(52)와 접촉한다. 상기 분류 돌출부(52)에 의해서 밀려서, 주화들의 이송 경로는 안내부(17)로부터 분기되도록 변화된다. 결국, 주화들은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진다.
주화 검출 센서(53)는 제 2 선형 부분(22)의 상류측에서 분류 돌출부(52)의 직전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주화 검출 센서(53)는 분류 돌출부(52)가 구동되는 타이밍을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어 장치(100)는 목표 주화들이 상기 주화 검출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타이밍에 분류 구동 유니트(106)를 구동하고, 분류 돌출부(52)가 규정된 시간에만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목표 주화들만이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류 돌출부(52)를 상기의 방식으로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게 함으로써, 분류 유니트(50)는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진짜이고 정상적인 주화들중에서 적층 유니트(stacking unit, 71)로 보내지지 않은 상기 주화들을 분류 통공(51)으로 떨어지게 하며, 그에 의하여 상기 주화들을 제 2 선형 부분(22)으 로부터 배출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분류 돌출부(52)가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진짜이고 정상적인 주화들중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 주화들은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제 2 선형 부분(22)상의 하류측으로 더 이송된다.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는 주화들은 활강 사면로(미도시)를 통하여 도 2 에 도시된 상기 언급된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복귀 이송 유니트(150)에 의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복귀된다.
분리기(55)는 상기 언급된 분류 유니트(50)로부터 하류측으로 제 2 굽힘 부분(23)에 제공된다. 이러한 분리기(55)는 주화 채널(15)상의 주화들을, 주화 채널(15)상에서 더 하류로 이송되는 주화들 및, 주화 채널(15)로부터 제거되는 주화들로 분리한다.
상기 분리기(55)는 분리 통공(56a), 셔터 부재(56) 및, 스위치 구동 유니트(112)를 가진다. 분리 통공(56a)은 제 2 굽힘 부분(23)의 채널면에 형성된다. 셔터 부재(56)는 분리 통공(56a)을 개폐시킨다. 도 2 에 도시된 스위치 구동 유니트(112)는 셔터 부재(56)의 개폐를 구동한다. 집계 처리가 작동 차례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스위치 구동 유니트(112)를 구동시킴으로써 셔터 부재(56)를 개방 상태로 둔다. 결과적으로, 분류 유니트(50)로부터 하류로 이송되었던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모든 주화들은 분리 통공(56a) 안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통공(56a) 안으로 떨어지도록 이루어졌던 주화들은 집 계 이송 경로(81) 및 집계 활강 사면로(80)에 의해 안내되며, 추출 박스(미도시) 안으로 안내된다. 요약하면, 집계 모드가 작동 차례로서 선택될 때, 셔터 부재(56)는 개방 상태로 설정되어,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이 분리 통공(56a)으로부터 추출 박스 안으로 도입되는 결과가 된다. 차후에, 작업자는 추출 박스를 주화 포장 장치로부터 제거하며,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상기 주화들을 상기 제거된 추출 박스의 밖으로 꺼낸다. 다른 한편으로, 포장 모드가 작동 차례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셔터 부재(56)를 폐쇄 상태로 둔다. 결과적으로, 분류 유니트(50)로부터 하류로 이송되었던,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모든 주화들은 분리 통공(56a) 안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제 3 선형 부분(24)으로 안내된다.
주화 포장 유니트(70)는 상기 제 3 선형 부분(24)내에 제공된다. 주화 포장 유니트(70)는 주화들을 적층시키는데, 상기 주화들은 식별 유니트(34)에 의하여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로서 식별되었던 것이고 제 3 선형 부분(24)으로 이송되었던 것으로서, 주화들은 규정된 수의 주화들을 가진 기둥 형상(실린더형 또는 말린 형상)으로 적층되고, 주화 포장 유니트는 이러한 주화 적층체를 포장한다.
주화 포장 유니트(70)에는 적층 유니트(71), 포장 유니트(72) 및 주화 이동 유니트(73)가 제공된다. 적층 유니트(71)는 제 3 선형 부분(24)으로 이송되었던 규정된 수의 주화들을 적층시키고, 주화들의 기둥 형상 적층을 형성한다. 포장 유니트(72)는 적층 유니트(71)에 의해 적층된 주화 적층체의 원주면 둘레에 포장지를 감고 2 개 단부를 크림핑(crimping)함으로써 포장된 주화들을 형성한다. 주화 이동 유니트(73)는 적층 유니트(71)에 의해 형성된 주화 적층체를 포장 유니트(72)를 향 하여 이송시킨다.
적층 유니트(71)는 한쌍의 적층 드럼(75,75), 후방 조절 플레이트, 전방 조절 플레이트 및 적층 드럼 구동 유니트(125)를 가진다. 적층 드럼(75,75)의 쌍에는 각각 수직 축이 제공되며, 그 각각은 헬리컬 돌출부(74)를 가진다. 후방 조절 플레이트(미도시)는 이들 적층 드럼(75,75)들 사이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돌출부(74,74)의 경사에 의하여 주화들의 이동을 조절한다. 전방 조절 플레이트(미도시)는 후방 조절 플레이트의 반대편에서 적층 드럼(75,75)들이 개재되면서 배치된다. 돌출부(74,74)들의 반대편 부분들의 서로의 높이 위치들이 정합하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 3 선형 부분(24)으로부터의 주화 공급과 동기화하여, 도 2 에 도시된 적층 드럼 구동 유니트(125)는 적층 드럼(75,75)들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 이동이 전방 조절 플레이트와 후방 조절 플레이트에 의하여 조절되는 상태에서, 제 3 선형 부분(24)을 통해 공급되는 주화들은 적층 드럼(75,75)들의 돌출부(74,74)상으로 장착된다. 다음에, 돌출부(74,74)상으로 장착된 주화들은 적층 드럼 구동 유니트(125)에 의한 적층 드럼(75,75)의 회전에 기인하여 주화의 두께에 의해 하강된다. 그 이후에는 다음에 공급되는 주화가 이전의 주화 위에 적층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주화들이 적층 드럼(75,75)과 조절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더미(pile)로 수직 적층되며, 그에 의하여 주화 적층체를 형성한다. 주화들이 주화 채널(15)상에 있었을 때 주화들이 그들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주화 채널(15)상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향; 이후에도 동일하다), 주화들은 그대로 적층 드럼(75,75)으로 전달되며 적층된다. 간단히 말해서, 주화 채널(15)상에서 전방면이 상방향으로 배향되고 후방면이 하방향으로 배향되는 위치를 채용하는 주화들이 적층 드럼(75,75)으로 전달될 때조차도, 전방면이 상방향으로 배향되고 후방면이 하방향으로 배향되는 위치가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주화 채널(15)에서 후방면이 상방향으로 배향되고 전방면이 하방향으로 배향되는 위치를 채용하는 주화들이 적층 드럼(75,75)으로 전달될 때조차도, 후방면이 상방향으로 배향되고 전방면이 하방향으로 배향되는 위치가 유지된다.
주화 이동 유니트(73)는 지지용 기둥(support post, 77) 및 주화 이동 구동 유니트(126)를 가진다. 지지용 기둥(77)은 적층 유니트(71)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적층 유니트(71)로부터 수용된 주화 적층체를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도 2 에 도시된 주화 이동 구동 유니트(126)는, 주화 적층체가 적층 유니트(71)로부터 수용되는 대기 위치, 포장 작동이 포장 유니트(72)에 의하여 수행되는 포장 위치 및, 주화 적층체가 짧게 떨어지는 것으로 이루어질 때, 그 주화들을 저장하는 우수리 크기(odd-size) 저장 박스안에 상기 주화들을 두게 되는 기탁 위치(deposit position) 사이로 이동한다.
포장 유니트(72)는 적층 유니트(71)의 제 3 선형 부분(24)의 반대편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포장 유니트(72)에는 포장 메카니즘(미도시), 도 2 에 도시된 포장 메카니즘 구동 유니트(127), 크림핑 메카니즘(crimping mechanism, 130), 도 2 에 도시된 크림핑 메카니즘 구동 유니트(128), 주화 롤(coin roll) 콘베이어(미도시), 도 2 에 도시된 주화 롤 콘베이어 구동 유니트(129), 정상 주화 롤 하우징(roll housing, 미도시) 및 우수리 주화 롤 하우징(미도시)이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포장 메카니즘은 포장 위치에 위치된 주화 이동 유니트(73)의 지지용 기둥(77)에 의해 지지된 주화 적층체 원주 둘레에 포장용 종이를 공급하고 감는다. 포장 메카니즘 구동 유니트(127)는 포장 메카니즘을 구동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메카니즘(130)은 주화 적층체(SC)의 상부와 가장자리 단부들에서 포장된 포장지(P)를 크림프(crimp)시킨다. 크림핑 메카니즘 구동 유니트(128)는 크림핑 메카니즘(130)을 구동한다. 주화 롤 콘베이어는 포장된 주화들을 포장 이후에 운송한다. 정상 주화 롤 하우징은 정상적인 포장 주화들을 유지하는데, 이것은 주화 롤 콘베이어에 의하여 일측으로 배향되어 이송됨으로써, 기계의 밖으로 꺼내어질 수 있다. 우수리 주화 롤 하우징은 과도한 크기나 또는 모자라는 크기의 포장 주화들을 유지하며, 이들은 주화 롤 콘베이어에 의하여 다른 측으로 배향되고 이송됨으로써 기계의 밖으로 꺼내어질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크림핑 메카니즘(130)은 한쌍의 크림핑 클로우(crimping claw, 131)를 가지는데, 크림핑 클로우는 주화 적층체(SC)의 적층 방향에서 양 측부들로부터 주화 적층체에 접근하고, 주화 적층체의 주위 둘레에 감긴 포장지(P)를 크림핑한다. 크림핑 메카니즘 구동 유니트(128)에는 도 2 에 도시된 적층 길이 검출기(132)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이들 크림핑 클로우(131)들이 적층 방향에서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면들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주화 적층체(SC)의 실제 적층 길이를 검출한다.
주화 포장 기계는, 작업자에 의해서 수행되는 작업 모드들이 입력되는 키이보드를 포함하는 제어 패널(처리 시작 제어 패널)(115) 및 작업자를 향하여 디스플 레이를 수행하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6)를 구비한다. 제어 패널(115)은 포장 처리를 시작하는 역할을 하는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의 작동들이 설명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매 규정된 수로 기탁된 주화들을 적층시키고 포장하는 포장 모드에서 처리될 수 있고, 기탁된 주화들을 집계하고 분류하는 집계 모드에서 처리될 수 있다. 포장 모드는 또한, 포장을 수행하도록 개별의 발행국으로써 각각의 금액을 나누는 발행국별 포장 포맷과, 개별 발행국의 혼합으로 각각의 금액을 포장하는 발행국 통합 포장 포맷에서 처리될 수 있다. 집계 모드는 또한, 분리 집계를 수행하도록 발행국별로 각각의 금액을 나누는 발행국별 집계 포맷과, 개별 발행국의 혼합으로써 각각의 금액의 분리 집계를 수행하는 발행국 통합의 집계 포맷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기 언급된 유형의 처리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모드의 발행국별 포장 포맷으로서 처리가 선택되는 경우에 대한 작동들이 설명된다.
우선, 포장 모드의 발행국별 포장 포맷이 제어 패널(15)을 통해 선택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깔데기(12)를 통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 안에 포장되지 않은 주화들을 둔다. 이후에, 포장 처리를 시작하는 역할을 하는 시작 명령이 제어 패널(115)로 입력된다. 시작 명령에 따라서, 제어 장치(100)는 공급 구동 유니트(101)를 구동하고,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를 회전시키고, 이송 구동 유니트(102)를 구동하고, 콘베이어 벨트(27A-27C)를 회전시키며, 그 후에 주화들은 공급 디스크(13)로부터 회전 디스크(14)로 공급된다. 다음에, 주화들 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주화 채널(15)로 하나씩 분배된다. 콘베이어 벨트(27A-27C, 28)에 의하여, 주화들은 주화 채널(15)의 상류측에서 제 1 선형 부분(20)상에 이송되고, 차후에 제 1 굽힘 부분(21)을 통하여 하류측의 제 2 선형 부분(22)상에 이송된다. 주화들이 제 1 선형 부분(20) 및 제 2 선형 부분(22)상에 이송되는 중에, 제어 장치(100)는 집계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 1 선형 부분(20)과 제 2 선형 부분(22)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검출 유니트(3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 주화의 진짜/위조 여부, 정상/비정상, 금액, 발행국 및, 전방면/후방면 위치에 대한 식별을 수행한다. 이러한 식별 유니트(34)는 재료 검출 센서(31),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로 이루어진다.
재료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하부 이미지 검출기(33) 및 제어 장치(100)는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 식별된 검출 주화들을, 그들이 거부 유니트(40)의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지게 하지 않으면서 주화 채널(15)상에서 하류측으로 더 이송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재료 검출 센서(31),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로부터 비정상 주화로서 식별된 검출 주화들과 관련하여,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개별 검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검출 결과들은 메모리내에 저장된다 (도시되지 않은 상기 메모리는 제어 장치(100)에 제공된다). 또한, 주화 검출 센서(37a,37b)들이 상기 비정상 주화를 검출하는 타이밍에 정지부 구동 유니트(103)가 구동되고, 정지 부재(36a,36b)들이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비정상 주화의 통과는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공급 구동 유니트(101)에 의한 공급 디스크(13)와 회전 디스크(14)의 구동이 정지된다. 차후에, 정지 부재(36a,36b)들에 의해 정지되었던 비정상 주화로부터 하류에 있는 모든 주화들이 주화 채널(15)로부터 제거되는 때에, 이송 구동 유니트(102)에 의한 콘베이어(27A-27C, 28)들 및 벨트(29)의 구동은 정지되고, 이러한 비정상 주화를 따르는 주화들의 이송이 정지된다.
제어 장치(100)는 다음에 디스플레이(116)상에, 검출된 주화가 비정상 주화로서 식별되었다는 식별 인자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비정상 주화에 관한 식별 인자는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적어도 하나 또는 다른 것의 검출 이미지에 관한 인자로서 간주된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비정상 주화에 관한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적어도 하나 또는 다른 것의 검출 이미지에 대한 표시를 디스플레이(116)상에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비정상 주화의 에러 인자는 문자로 표시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116)상의 표시로부터, 작업자는 비정상 주화에 대한 식별 인자의 내용을 파악하며, 또한 표시되는 실제의 전방면/후방면 검출 이미지를 점검한다.
정지 부재(36a,36b)들에 의한 상기 설명된 정지 동안에, 작업자는 디스플레이(116)상의 표시를 점검한 이후에 제어 패널(115)에 확인 입력을 수행한다. 확인 입력을 수신했을 때, 제어 장치(100)는 정지 구동 유니트(103)를 구동하고, 제 2 선형 부분(22)의 내부로부터 정지 부재(36a,36b)들의 회수를 강제하고, 비정상 주화의 정지 상태를 취소한다. 동시에, 공급 구동 유니트(101)가 구동되고, 공급 디 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되고, 이송 구동 유니트(102)가 구동되고, 콘베이어 벨트(27A-27C, 28) 및 벨트(29)가 회전되고, 따라서 콘베이어 벨트(27A-27C, 28)들에 의하여 비정상 주화를 뒤따르는 주화들의 하류 이송이 재개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100)는 주화 검출 센서(43)가 상기 비정상 주화를 검출하는 타이밍에 거부 구동 유니트(104)를 구동하여, 거부 돌출부(42)가 규정된 시간에만 제 2 선형 부분(22) 안으로 돌출하도록 강제한다. 결과적으로, 오직 이러한 비정상 주화만이 주화 채널(15)로부터 거부 통공(41) 안으로 떨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떨어진 주화는 거부 박스(미도시) 안에서 회수된다. 작업자는 다음에 즉시 거부 박스를 주화 포장 기계의 밖으로 꺼내고, 비정상 주화를 상기 거부 박스로부터 제거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검출 이미지들에 의하여 확인된 비정상 주화를 얻는다.
포장 모드의 발행국별 포장 포맷이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되는 상태에서 포장 처리 시작 명령의 입력이 제어 패널로 수행될 때, 제어 장치(100)는 포장 처리 시작 명령의 입력 이후에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 처음에 식별된 주화에 대하여, 포장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을 금액(단일 금액) 및 발행국(단일 국가)으로 설정한다.
이후에, 식별 유니트(3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진짜이고 정상적인 주화들로서 식별된 주화들에 관하여, 제어 장치(100)는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이 아닌,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이 스크리닝 유니트(45) 안의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게 하고, 일시적으로 그 주화들을 일시 저장 유니트 안에 저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 국가의 주화들이, 스크리닝 유니트(45) 안의 분류 통공(46) 안으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적층 유니트(71)를 향하여 주화 채널(15)상의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간단히 말해서, 스크리닝 유니트(45)는 주화들을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과,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로 분류하는데, 상기 후자는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는 다른 것이다.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주화들은 제 1 측(주화 채널(15)에서 하류측)으로 분류되고,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다르게 되어 있는,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은 제 2 측(일시 저장 유니트)으로 분류된다.
주화 채널(15)의 스크리닝 유니트 안에 떨어지지 않고 적층 유니트(71)를 향하여 아래로 보내진,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중에서, 이들이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적층 유니트(71)에서 주화 적층체에 처음으로 가장 아래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식별을 수행한다. 이러한 식별에 있어서,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전방면이 위로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향이 설정되는지, 또는 후방면이 위로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향이 설정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주화가 후방면이 위로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로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에, 분류 유니트(50)에 있는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도록 된다. 또한,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가 구동되고, 다시 복귀 이송 유니트(150)를 통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공급된다. 요약하면, 복귀 이송 유니트(150)는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졌던 주화를 공급 디스크(13)로 재공급한다. 이러한 주화에 이어서 같은 배향을 가진 주화가 오게 되면, 그러한 모든 주화들은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지면, 처음에 쌓인 주화의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이 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이러한 주화를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주화 채널(15)상의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주화 이송 유니트(25)에 의해 적층 유니트(71)로 이송된 주화들은 주화 이송 유니트(25)에 의해서 이송되었을 때와 같은 배향으로, 즉, 식별 유니트(34)에 의해 식별되었던 전방-후방 배향에 동일한 배향으로, 적층 유니트(71)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결국, 전방면이 위로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로 향하는 배향으로 보내져서 가장 먼저 적층되고 가장 아래에 있는 주화는, 전방면이 위로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로 향하는 배향으로 적층 유니트(71) 안에 보유된다.
적층 유니트(71)에 처음 적층되었던 주화가 상기의 방식으로 보내진 이후에, 제어 장치(100)는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을 적층 유니트(71)로 주화들의 배향에 무관하게 보낸다. 결과적으로, 적층 유니트(71)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송된 주화들은 먼저 적층되었던 주화의 상부에 기둥의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위를 향해 적층되는 주화 적층체가 형성된다. 주화 적층체의 일 단부에 있는 주화(주화 적층체의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주화)의 외측 면은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으로서 지칭된다. 제 1 외측면을 구성하는 주화는 주화 적층체중에서 처음으로 적층된다. 또한,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에 있는 주화(주화 적층체의 다른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주화)의 외측면은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으로서 지칭된다. 제 2 외측면을 구성하는 주화는 주화 적층체중에서 가장 나중에 적층된다.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과 제 2 외측면은 각각 눈에 보이는 면들이다.
제어 장치(100)는 식별 유니트(34)의 집계 결과로부터,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을 가진 주화인, 적층 유니트(71)로 이송된 주화가 포장 단위의 수(예를 들면 50 개의 주화들)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판정되며, 이때 상기 주화로부터 상류측에 있는 주화들은 정지 부재(36a,36b)들에 의해 정지된다. 포장 단위 수까지의 모든 주화들이 적층 유니트(71)내에 적층되었을 때, 포장지(P)는 포장 유니트(72)에 의해 주화 적층체(SC)의 원주 둘레에 감기고,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들로부터 돌출된 포장지(P)의 부분들(주화 적층체(SC)의 원주면 둘레에 포장된 포장지(P)의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은 크림핑 클로우(crimping claw, 131)의 쌍에 의해 크림핑(crimping)되어서 포장된 주화(즉, 포장된 주화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포장 주화들과 관련하여, 주화 적층체의 외측면들(관찰 가능한 면들로서, 주화 적층체에서 다른 주화들의 그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는 면이며, 다른 주화들과 접촉하는 면들의 반대편상에 있는 면들)중에서, 제 1 외측면은 항상 주화의 후방면이다. 제 1 외측면을 형성하는 주화는 처음에 적층된 것이다.
포장지(P)가 크림핑 클로우(131)의 쌍에 의해 크림핑되었을 때, 크림핑 클로우(131)의 쌍은 적층 방향에서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 부분들과 접촉하게 된다. 주화 길이 검출기(132)는 이러한 접촉이 이루어질 때 크림핑 클로우(131)의 쌍 사이의 거리로부터 주화 적층체(SC)의 실제 적층 길이를 검출한다.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내에 존재하는 주화 적층체(SC)의 미리 선택된 표준 적층 길이를 실제 적층 길이와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그 차이가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 있다면, 검출된 주화 적층체는 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언급된 차이가 허용 범위 밖에 있다면, 검출된 주화 적층체는 과대 또는 과소 크기인 것으로 판정된다. 검출된 주화 적층체, 즉, 포장된 주화들이 정상적이고 과대 또는 과소 크기가 아닌 경우에, 이들 포장된 주화들은 주화 롤 콘베이어(coin roll conveyer)에 의해 정상적인 주화 롤 하우징(coin roll housing)으로 이송된다. 다른 한편으로, 주화 적층체, 즉, 포장된 주화들이 과대 또는 과소 크기라면, 그것은 주화 롤 콘베이어에 의해 우수리 롤 하우징(odd roll housing)으로 이송된다. 주목되어야 하는 바로서, 포장된 주화들의 중량에 의하여 우수리의 크기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100)는, 적층 유니트(71)에 다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들이 포장 유니트(72)로 보내진 주화 적층체와 간섭되지 않는 적절한 타이밍에, 정지 부재(36a,36b)들에 의한 주화들의 이송 제어를 무효화시킨다. 이것은 또한 공급 구동 유니트(101)와 이송 구동 유니트(102)를 구동시킨다. 상기에 설명된 방식으로, 다 음의 포장을 위해서 적층 유니트(71)에 주화들을 적층하고, 주화들이 포장 단위의 수까지 적층되었을 때 주화들을 포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급 디스크(13)내에 기탁된 모든 잔돈 주화들은 정상적인 주화 롤 하우징이나 또는 우수리의 주화 롤 하우징에 저장된 포장 주화들이 되거나, 일시 저장 유니트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주화들이 공급 디스크(13), 회전 디스크(14) 및 주화 채널(15)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적층 유니트(71) 안에 적층되며, 그 후에 다음 작동으로의 변환이 이어진다. 다음에, 제어 장치(100)는 적층의 과정에 있으면서 적층 유니트(71)에서 적층 수에 도달하지 않았던 주화들을 우수리 크기 저장 박스내에 저장한다. 차후에, 일시 저장 유니트 안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던,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은 공급 디스크(13)로 공급되고,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이때, 일시 저장 유니트 안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던,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과 상이한 주화들이 공급 디스크(13)로 공급된 이후에, 식별 유니트(34)에 의하여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서 처음에 식별된 주화의 금액(단일 금액) 및 발행국(단일 발행국)은, 포장 처리가 필요한 다음의 설정 유형으로서 설정된다.
상기에 설명된 제 1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전방면에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발행국에 공통인 패턴을 형성하고 후방면에 발행국마다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는 주화들을 포장한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제어 장치(100)는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분류 유니트(50)를 제어하여, 적층 유니트(71)에서 주화들의 규정된 수를 적층시킴으로써 구성된 주화 적층체의 2 개 단부들의 2 개 주화들중 어느 것에 관련된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에 있는 면은 항상, 발행국마다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 된다. 요약하면, 만약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제일 처음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후방면으로 되는 배향으로써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그러한 주화가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1 측으로 분류되고,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지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제일 처음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후방면이 아닌 배향으로(전방 배향으로)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판정된다면, 제어 장치(100)는 그러한 주화가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되는 주화 적층체는 다음에 포장 유니트(72)에 의하여 포장된다. 결국, 포장된 주화들과 관련하여,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은 항상 발행국마다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주화의 후방면이 된다. 따라서, 포장 이후에 발행국이 틀림없이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마지막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전방-후방 배향이 무시되므로, 주화 배향의 이유 때문에 주화를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분류시키는 가능성은 감소될 수 있다. 주화 적층의 제 2 외측면이 전방면 또는 후방면이 될 것인지의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주화의 전방면이 된다면, 표시된 금액 정보로부터 금액을 알 수 있으며, 주화의 후방면이 된다면, 금액은 직경의 크기, 색상등에 의해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항상 발행국마다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 는 후방면이 되도록, 제어 장치(100)가 분류 유니트(50)를 제어한다. 따라서,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주화의 후방면으로 되지 않는 경우의 배향을 가지고 이송되는 주화가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분류된다면, 그것은 적층이 시작될 때 분류된다. 결국, 이러한 주화는 차후의 적층을 위해서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복귀 이송 유니트(150)에 의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더욱이, 포장 처리 시작 작동이 제어 패널(115)로 입력된 이후에, 식별 유니트(34)에 의해 처음으로 식별된 주화의 유형은,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으로서 정해진다. 결국,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을 정하는 작동이 불필요하며, 작동의 단순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 패널(115)로의 입력에 의해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을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제 1 구현예와 상이한 부분들에 집중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2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포장 모드의 발행국별 포장 포맷의 처리와 관련하여 제 1 구현예와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제 2 구현예에서, 제 1 구현예와 같이, 주화 채널(15)상의 스크리닝 유니트(45)로 떨어지지 않고 적층 유니트(71)를 향하여 하류로 보내진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중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졌다면 제일 먼저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에 대하여, 제어 장치(100)는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주화의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주화라면, 분 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가 구동되고, 주화는 복귀 이송 유니트(150)를 통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다시 공급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라면, 주화는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적층 유니트(71)에 가장 먼저 가장 아래에 적층된 주화는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진다.
제일 처음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상기에 설명된 방식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 이후에, 제어 장치(10)는 마지막으로 적재되어야 하는 주화를 제외하고, 전방-후방 배향에 관계 없이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을 가진 주화를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중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적층 유니트(71)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주화 적층체의 최 상부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들에 대한 처리를 제어 장치(100)가 수행한다. 주화의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지, 또는 주화의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제어 장치(100)는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주화의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주화가 가지는 경우에,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가 구동되고, 주화는 복귀 이송 유니트(150)를 통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다시 공급된다. 동일 한 배향으로 주화들이 이어지면, 상기 주화들은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모두 떨어지도록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적재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전방면은 위를 향하고 후방면은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주화를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면서 주화를 주화 채널(15)상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며, 그 후에 상기 주화는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진 주화들의 적층체중에서 마지막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로서 적층된다.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 식별되고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것인 주화들이 포장 단위 수(예를 들면 50 개의 주화들)에 도달했을 때, 다음 작동으로의 변화가 이어진다. 차후에, 제 1 구현예에서와 같이, 포장지(P)가 포장 유니트(72)에 의하여 주화 적층체(SC)의 주위에 감기며,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들로부터 돌출된 포장지(P)의 부분들이 크림핑 클로우(131)의 쌍에 의해 크림핑됨으로써 포장된 주화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포장된 주화들과 관련하여, 주화 적층체의 2 개 단부들에 있는 2 개 주화들중 하나는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이다. 처음에 적층되었던 이러한 주화와 관련된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이 되는 면(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은 항상 후방면이다. 또한 적층 방향에서 주화 적층체의 2 개의 단부들에 있는 2 개 주화들중 다른 것은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이다. 마지막으로 적층되었던 이러한 주화에 관하여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이 되는 면(주화 적층체의 제 2 외 측면)은 항상 전방면이다.
상기 언급된 제 2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에 따르면,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항상, 발행국별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 되도록, 제어 장치(100)가 분류 유니트(50)를 제어한다. 다른 한편으로,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이 항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발행국에 공통적인 패턴이 형성되는 전방면이 되도록, 뷴류 유니트(50)가 제어된다. 요약하면,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제 2 외측면)에 해당하는 면이 전방면이 되는 배향으로써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주화가 제 1 측으로 분류되게 하고, 그것을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다른 한편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에 해당하는 면(제 2 외측면)이 전방면이 되지 않는 배향으로써(전방면 배향)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주화가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2 측의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분류되게 한다. 따라서,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은 후방면이고,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은 전방면이다. 결국, 발행국이 포장 이후에 틀림없이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금액이 용이하게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제 1 구현예와 상이한 부분들에 집중하여 설명된다. 제 3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포장 모드의 발행국 별 포장 포맷의 처리과 관련하여 제 1 구현예와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제 3 구현예에서, 제어 장치(100)는 배향에 상관 없이, 적층 유니트(71)를 향하여 하류로 보내져서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중에서, 적층 유니트(71)의 적층부에 있는 주화 적층체 안에 가장 먼저 가장 아래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를, 주화 채널(15)상에서 스크리닝 유니트(45)로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즉,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중 하나에 해당하는,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면은 전방면이거나 또는 후방면일 수 있다. 이때,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상기 주화와 관련하여, 그것이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로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주화인지, 또는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주화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고 전방면이 위를 향하는 배향을 가진 주화인 경우에는,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을, 처음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상기 주화로부터 마지막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에 이르기까지, 제어 장치(100)가 전방-후방 배향에 무관하게 적층 유니트(71)로 보내며, 그들을 적층시킨다.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것이고 또한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서 식별되었던 주화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 단위 수(예를 들면 50 개의 주화들)에 도달하였을 때, 다음의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에, 제 1 구현예에서와 같이, 포장지(P)는 포장 유니트(72)에서 주화 적층체(SC)의 원 주 둘레에 감기며, 적층 방향에서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들로부터 돌출한 포장지(P)의 부분들은 크림핑 클로우(131)의 쌍에 의해 크림핑되어서 포장된 주화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포장된 주화들과 관련하여,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과 제 2 외측면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외측면은 주화의 후방면이다.
다른 한편으로,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가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진 주화인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을, 상기 처음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로부터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 이전의 주화에 해당하는 주화에 이르기까지, 주화 면들의 배향을 판정하지 않고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서, 주화들을 적층시킨다. 제어 장치(100)는 다음에,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 중에서 마지막으로 가장 위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에 대하여 판정을 한다. 즉,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가장 상부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에 관하여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지, 또는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주화의 배향이 상부면은 위를 향하고 하부면은 아래를 향하는 것인 경우에,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가 구동되고, 복귀 이송 유니트(150)를 통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다시 공급된다. 같은 배향을 가진 주화들이 이어진다면, 상기 주화들은 분류 유니트(50) 안에서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도록 모두 만들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이러한 주화를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주화 채널(15)상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며, 그 후에 상기 주화는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고, 주화 적층체중에서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로서 적층된다.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것이며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서 식별되었던 주화들이 상기의 방식으로 포장 단위 수(예를 들면 50 개 주화들)에 도달하였을 때, 다음 처리로의 변환이 뒤따른다. 다음의 처리에서, 제 1 구현예에서와 같이, 포장지(P)는 포장 유니트(72)에서 주화 적층체(SC)의 원주 둘레에 감기고,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들로부터 돌출된 포장지(P)의 부분들은 크림핑 클로우(131)에 의해 크림프되어서 포장된 주화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포장 주화들과 관련하여,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과 제 2 외측면중에서, 제 2 외측면은 주화의 후방면이다.
상기에 설명된 제 3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에 따라서, 제어 장치(100)는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전방면이거나 또는 후방면이 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제 2 외측면이 항상 후방면이지만, 제 1 외측면이 발행국마다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후방면이 아닌 경우에만 그러하도록 분류 유니트(50)가 제어된다. 요약하 면,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후방면이 되는 배향을 가지고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그러한 주화가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1 측으로 분류되게 하고,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지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후방면이 되지 않는 배향을 가지고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분류 유니트(50)에 의해 제 2 측으로 주화들이 분류되게 하며,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보낸다. 따라서, 주화 적층체의 2 개 단부면들중 적어도 하나는 주화의 후방면이다. 따라서, 발행국이 포장 이후에 틀림없이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주화들은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전방-후방 배향에 무관하게 적층된다. 따라서, 주화들이 소망되는 배향을 가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주화들을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분류시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는 제 1 구현예와 상이한 부분들에 집중하여 설명된다. 제 4 구현예에 따른 주화 포장 기계는 포장 모드의 발행국별 포장 포맷의 처리와 관련하여 제 1 구현예와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제 4 구현예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배향에 무관하게, 적층 유니트(71)를 향하여 하류로 보내진 처리가 필요한 설정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중에서, 적층 유니트(71)에 있는 주화 적층체에서 가장 먼저 가장 아래에 적층되는 주화를, 주화 채널(15)상에서 스크린 유니트(45) 안으로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에 해당하는,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의 면은 전방면이거나 또는 후방면일 수 있다). 이때,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처음에 적층되는 상기 주화와 관련하여,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주화인지, 또는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주화인지의 여부가 판정되며, 이러한 판정은 메모리 안에 저장된다. 제어 장치(100)는 다음에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을,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상기 주화로부터 마지막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이전에 있는 주화에 해당하는 주화에 이르기까지, 전방-후방 배향에 무관하게 적층 유니트(71)로 보내며, 그들을 적층시킨다.
제어 장치(100)는,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주화들 중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적층 유니트(71)에 있는 주화 적층체에서 마지막에 가장 상부에 적층되는 주화에 관한 판정을 내린다. 즉, 상부 이미지 검출기(32) 및 하부 이미지 검출기(33)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지, 또는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고 후방면이 위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마지막에 가장 상부에 적층되는 주화와 관련하여 판정하게 된다. 또한, 이것은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상기 언급된 주화의 전방-후방 배향과 비교된다. 적층 유니트(71)에 보내진다면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 및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의 배향들이 역전되는 경우에, 다음의 작동들이 수행된다. 즉,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분류 유니트(50)의 분류 구멍(51)으로 떨어지게 되고, 복귀 이송 구동 유니트(121)가 구동되고, 이러한 주화는 복귀 이송 유니트(150)를 통하여 주화 공급 유니트(10)의 공급 디스크(13)로 다시 공급된다. 동일한 배향을 가진 주화들이 뒤를 이으면, 상기 주화들은 분류 유니트(50) 내의 분류 통공(51) 안으로 모두 떨어지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술된 경우가 첫번째로, 처음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는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고,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는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이다. 두 번째로,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는 후방면이 위를 향하고 전방면은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며,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는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이다.
다른 한편으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처음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배향 및 마지막으로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의 배향이 동일하는 경우에,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는, 분류 유니트(50)에서 분류 통공(51) 안으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주화 채널(15)상에서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경우는, 첫 번째로, 먼저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전방면이 위를 향하고 후방면이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고,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전방면은 위를 향하고 후방면은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이다. 두 번째로,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가 후방면은 위를 향하고 전방면은 아래를 향하는 배향을 가지며,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후방면은 위를 향하고 전방면은 아래를 향하 는 배향을 가지는 경우이다. 상기에 언급된 경우들에 있어서, 마지막에 가장 위에 적층되는 주화는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의 배향과 동일한 배향을 가진다.
처리가 필요한 지정된 설정 유형의 단일 금액 및 단일 발행국의 것이며 진짜이고 정상적인 것으로 식별되었던 주화들이 상기의 방식으로 포장 단위 수(예를 들면, 50 개의 주화들)에 도달하였을 때, 다음 처리로의 변환이 뒤를 잇는다. 다음에, 제 1 구현예에서와 같이, 포장지(P)가 포장 유니트(72)에서 주화 적층체(SC)의 원주 둘레에 감기며, 그 후에 적층 방향에서 주화 적층체(SC)의 2 개 단부들로부터 돌출한 포장지(P)의 부분들은 크림핑 클로우(131)의 쌍에 의해 크림프(crimp)되어서 포장된 주화들을 형성한다.
상기의 방식으로 형성된 포장된 주화들과 관련하여,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외측면들은 주화들의 전방 및 후방이 각각 뒤바뀌는 면들이다. 결과적으로,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중 하나는 주화의 후방면이고,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은 주화의 전방면이다.
상기에 설명된 제 4 구현예의 주화 포장 기계에 따르면, 제어 장치(100)는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전방면이거나 또는 후방면인 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주화 적층체의 제 2 외측면은, 전방-후방 배향이 주화 적층체 제 1 외측면의 반대인 면이도록, 제어 장치가 분류 유니트(50)를 제어한다. 상세한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 주화 적층체의 제 1 외측면이 전방면이라면, 다음의 2 개 경우로 분리된다. 첫째, 식별 유니트(71)의 검출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에 적층되어야 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 면에 해당하는 제 2 외측면이 후방면이 되는 배향을 가지고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1 측으로 분류시키고,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둘째,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에 해당하는 제 2 외측면이 후방면이 아닌 배향을 가지고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2 측의 복귀 이송 유니트(150)로 분류시킨다.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중 하나가 되고 처음에 적층되는 주화에 관련된 제 1 외측면이 후방면이라면, 다음의 2 가지 경우들로 분리된다. 첫째,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에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인 제 2 외측면이 전방면으로 되는 배향으로써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그 주화를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시키며, 적층 유니트(71)로 보낸다. 둘째, 식별 유니트(34)의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적층 유니트(71)로 보내진다면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인 제 2 외측면이 전방면이 되지 않는 배향으로써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분류 유니트(50)에 의하여 그 주화를 제 2 측으로 분류시킨다. 따라서, 주화 적층체의 단부면들중 하나는 주화의 전방면이 되고,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면은 주화의 후방면이 된다. 그러므로, 발행국이 틀림없이 포장 이후에 알려지도록 포장을 수행할 수 있고, 금액이 용이하게 알려지도 록 포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주화 포장 기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주화 포장 기계의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주화 포장 기계에서 크림핑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Claims (9)

  1. 전방면에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패턴이 형성되고, 후방면에 복수개의 발행국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는 주화들을 포장하는 주화 포장 기계로서,
    기탁된(deposited) 주화들을 하나씩 분배하는 공급 유니트;
    상기 공급 유니트로부터 분배된 주화들을 이송하는 주화 이송 유니트;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주화들의 전방면 및 후방면의 이미지들을 검출하고, 주화들을 식별하고, 식별 결과들을 획득하는 식별 유니트;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주화들을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 1 측 및 제 2 측중 하나로 분류시키는 분류 유니트;
    상기 분류 유니트에 의해 제 1 측으로 분류된 주화들을 규정된 수의 주화들을 가진 기둥 형태로 적층시키는 적층 유니트;
    상기 적층 유니트에 의해 기둥 형태로 적층된 주화 적층체를 포장하는 포장 유니트; 및
    주화 적층체의 일 단부에 있는 제 1 주화의 제 1 외측면과 주화 적층체의 다른 단부에 있는 제 2 주화의 제 2 외측면중 적어도 하나가 후방면이 되도록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주화 포장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제 1 외측면이 후방면이 되도록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 하는, 주화 포장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제 2 외측면이 전방면이 되도록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주화 포장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외측면이 전방면과 후방면중 하나일 수 있도록, 그리고 제 2 외측면은 제 1 외측면이 전방면일 때만 후방면이도록,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주화 포장 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외측면이 전방면과 후방면중의 하나일 수 있도록, 그리고 제 2 외측면은 주화의 전방면-후방면에 있어서 제 1 외측면에 대하여 반대의 면이도록,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주화 포장 기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유니트에 의하여 제 2 측으로 분류된 주화들을 상기 공급 유니트로 재공급하는 복귀 이송 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주화 포장 기계.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 처리를 시작하기 위하여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패널에 의한 시작 명령의 입력시에,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유니트에 의해 처음에 식별된 주화의 유형을 포장 처리가 필요한 설정 유형으로 지정하는, 주화 포장 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층 유니트에 처음 적층되는 주화가, 제 1 외측면이 되는 면이 후방면인 배향으로써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주화는 제 1 측으로 분류되고,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층 유니트에 처음 적층되는 주화가, 제 1 외측면이 되는 면이 전방면인 배향으로써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주화는 제 2 측으로 분류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주화 포장 기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층 유니트에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후방면인 배향으로써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주화는 제 1 측으로 분류되고,
    상기 식별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층 유니트에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주화가, 제 2 외측면이 되는 면이 전방면인 배향으로써 상기 주화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주화는 제 2 측으로 분류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분류 유니트를 제어하는, 주화 포장 기계.
KR1020070099494A 2006-10-06 2007-10-02 주화 포장 기계 KR100911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5053A JP4884911B2 (ja) 2006-10-06 2006-10-06 硬貨包装機
JPJP-P-2006-00275053 2006-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786A true KR20080031786A (ko) 2008-04-11
KR100911486B1 KR100911486B1 (ko) 2009-08-11

Family

ID=3881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94A KR100911486B1 (ko) 2006-10-06 2007-10-02 주화 포장 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98880B2 (ko)
EP (1) EP1909238B1 (ko)
JP (1) JP4884911B2 (ko)
KR (1) KR100911486B1 (ko)
CN (1) CN100568299C (ko)
DE (1) DE602007004395D1 (ko)
HK (1) HK1118628A1 (ko)
TW (1) TWI350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9374A1 (en) * 2008-08-04 2010-02-04 Glory Ltd., A Corporation Of Japan Automatic dealing machine and automatic dealing system
US9003748B2 (en) * 2008-11-06 2015-04-14 Glory Ltd. Coin processing unit
IT1395632B1 (it) * 2009-09-14 2012-10-16 Lanfranchi Srl Metodo ed apparato per prelevare e trasferire dette preforme provenienti da trasporto in condizioni non ordinate
JP5460299B2 (ja) * 2009-12-22 2014-04-0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CN102720738B (zh) * 2012-05-21 2014-09-0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华司片筛选装置及磁钢自动装配设备
JP2018055137A (ja) * 2015-02-02 2018-04-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包装硬貨処理装置および包装硬貨処理方法
CN105691666B (zh) * 2016-04-13 2018-03-02 湖北工业大学 硬币包装机
CN105976494B (zh) * 2016-04-26 2019-12-06 苏州日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硬币清分机
CN106056739B (zh) * 2016-07-13 2018-10-30 厦门大学嘉庚学院 螺旋叶面硬币分拣、清点与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TWI675787B (zh) * 2017-10-27 2019-11-01 日商Ykk股份有限公司 採用了零件正反面判定裝置的拉頭組裝裝置
US11514744B2 (en) * 2020-01-22 2022-11-29 Cassida Corporation Coin sorting apparatus
CN111462387B (zh) * 2020-04-27 2020-10-16 缙云县云淡包装有限公司 一种用于硬币分类包装的装置
CN114694297B (zh) * 2022-04-07 2023-11-14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硬币自动包装机及其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030B2 (ja) 1987-01-12 1995-12-1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選別装置
JP2532485B2 (ja) * 1987-07-14 1996-09-11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入金包装機
US4896481A (en) * 1987-07-02 1990-01-30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wrapping machine
JP2986323B2 (ja) * 1993-12-17 1999-12-0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618536B2 (ja) * 1998-02-10 2005-02-09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3652545B2 (ja) * 1999-04-26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2001143121A (ja) * 1999-11-16 2001-05-25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包装機
JP3867764B2 (ja) * 2000-03-30 2007-01-1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2002019964A (ja) * 2000-07-07 2002-01-23 Glory Ltd 硬貨重積装置
JP3683483B2 (ja) * 2000-08-28 2005-08-17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558974B2 (ja) * 2000-08-30 2004-08-25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DE10052387A1 (de) * 2000-10-20 2002-05-02 Global Trade Gmbh Industry Inv Verpackung für Spielkar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97101A (ja) 2008-04-24
KR100911486B1 (ko) 2009-08-11
TWI350493B (en) 2011-10-11
CN100568299C (zh) 2009-12-09
US20080083194A1 (en) 2008-04-10
US7698880B2 (en) 2010-04-20
HK1118628A1 (en) 2009-02-13
DE602007004395D1 (de) 2010-03-11
EP1909238A1 (en) 2008-04-09
TW200830221A (en) 2008-07-16
CN101159071A (zh) 2008-04-09
EP1909238B1 (en) 2010-01-20
JP4884911B2 (ja)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486B1 (ko) 주화 포장 기계
JPH0682410B2 (ja) 硬貨包装機
WO2003107282A2 (en) Currency processing and strapp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H0750516B2 (ja) 硬貨選別処理機
JPH05162711A (ja) 硬貨の選別包装装置
JP2010073215A (ja) 硬貨類処理機
JP3867764B2 (ja) 硬貨処理機
JP4391850B2 (ja) 棒金類処理装置および硬貨類処理機
JPH0430077B2 (ko)
JP5184103B2 (ja) 硬貨処理機
JP2559820B2 (ja) 硬貨入金包装機および硬貨入出金包装機
JP7462322B2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自動サービス装置
JP2000099792A (ja) 施封小束管理装置
JP2001143121A (ja) 硬貨包装機
JP2539581Y2 (ja) 硬貨入出金機における硬貨収納繰出装置
JPH05147605A (ja) 包装硬貨の分納装置
JPH0250517B2 (ko)
JP6562797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513793Y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6534211B2 (ja) 包装硬貨処理装置および包装硬貨処理方法
JP4884910B2 (ja) 硬貨包装機
JP2589242Y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4391852B2 (ja) 棒金類処理装置および硬貨類処理機
JP2001312758A (ja) 硬貨集積投出装置
JPH0258197A (ja) 硬貨入出金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