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061A -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 - Google Patents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061A
KR20080026061A KR1020070094784A KR20070094784A KR20080026061A KR 20080026061 A KR20080026061 A KR 20080026061A KR 1020070094784 A KR1020070094784 A KR 1020070094784A KR 20070094784 A KR20070094784 A KR 20070094784A KR 20080026061 A KR20080026061 A KR 2008002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acoustic wave
wave device
electrode
coupling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053B1 (ko
Inventor
다까시 마쯔다
쇼고 이노우에
미찌오 미우라
사또루 마쯔다
마사노리 우에다
세이이찌 미또베
Original Assignee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resonators 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543Characteristics of substrate, e.g. cutting angles
    • H03H9/02559Characteristics of substrate, e.g. cutting angles of lithium niobate or lithium-tantalat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23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 H03H9/0028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047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 H03H9/0052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 H03H9/0057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the balanced terminals being on the same side of the trac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543Characteristics of substrate, e.g. cutting angles
    • H03H9/02574Characteristics of substrate, e.g. cutting angles of combined substrates, multilayered substrates, piezoelectrical layers on not-piezoelectrical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818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03H9/02929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ageing changes of characteristics, e.g. electro-acousto-mig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38For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6423Means for obtaining a particular transfer characteristic
    • H03H9/6433Coupled resonator filters
    • H03H9/644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 H03H9/6456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 H03H9/6469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via two connecting electrodes

Abstract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전 기판(12)과,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24)와, 제1 유전체 상에 형성된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과, 빗형 전극 및 반사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핑거를 구비하고, 제1 유전체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압전 기판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분리되어 있고, 제1 유전체의 측면과 빗형 전극 및 반사 전극의 전극 핑거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파 디바이스이다.
압전 기판, 빗형 전극, 반사 전극, 제1 유전체, 필터

Description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ACOUSTIC WAVE DEVICE AND FILTER}
본 발명은,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에 관한 것이다.
탄성파를 이용한 탄성파 디바이스의 하나로서, 압전 기판의 표면에 형성한 IDT(인터디지털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지는 빗형 전극 및 반사 전극을 구비하고, 빗형 전극에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여진한 탄성파를 이용하는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종래예 1)는 잘 알려져 있다. 이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소형 경량이고 고감쇠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송수신 필터나 안테나 분파기 등에 널리 사용되어 있다.
도 1의 (a)는 종래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상시도이며,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간의 단면도이다. 도 1의 (b)를 참조로, 예를 들면 탄탈산 리튬(LiTaO3)으로 이루어지는 압전 기판(12) 상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전극 핑거의 수를 수개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는 다수 형성되어 있다(이하, 종래예에서 마찬가지임).
또한, 종래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을 덮도록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18)이 형성된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종래예 2)도 개발되어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보호막(18)의 막 두께는 빗형 전극의 주기 λ의 수 % 이하로 얇다.
또한, 종래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와 같이 보호막(18)이 얇은 경우 외에, 보호막(18)이 빗형 전극(14)보다도 두꺼운 탄성파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러브파라고 불리는 탄성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러브파 디바이스, 종래예 3)나 경계파라고 불리는 탄성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경계파 디바이스, 종래예 4)가 있다. 러브파 디바이스나 경계파 디바이스는, 보호막(18)에 압전 기판(12)과 역부호의 온도 계수를 갖는 물질을 선택하고, 주파수의 온도 특성의 보상을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경계파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2개의 매질의 경계를 탄성파가 전반함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2개의 매질의 외표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도 주파수 변동이나 전기적 손실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예 3에 따른 러브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로, 압전 기판(12) 상에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을 덮도록 산화 실리콘막(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종래예 4에 따른 경계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로, 종래예 3에 따른 러브파 디바이스의 산화 실리콘막(20) 상에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Al2O3)막(22)을 형성한 구조를 하고 있다. 종래예 4에 따른 경계파 디바이스는, 탄성파의 에너지가 압전 기판(12) 표면과 산화 실리콘막(20)에 갇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탄성파 디바이스에서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에 의해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의 주파수 간격이 결정된다. 따라서, 래더형 필터나 2중 모드 필터 등의 경우에서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에 의해 통과 대역 폭이 정해진다. 따라서, 원하는 통과 대역을 얻기 위해서는, 그에 맞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갖는 압전 기판을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압전 기판의 종류는 그만큼 많지 않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라고 함은, 전기 에너지로부터 압전 에너지로의 변환 효율의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클수록 전기 신호에 의한 탄성파의 여기가 쉽게 이루어진다.
특허 문헌 1에는, 빗형 전극과 압전 기판 사이에 산화 티탄(TiO2)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산화 티탄막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압전 기판의 표면에 아르곤(Ar) 등을 이온 주입함으로써 압전성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빗형 전극과 압전 기판 사이에 압전 기판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보다 큰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갖는 압전성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2-1614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6-30307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1-31942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제어하는 방법은, 산화 티탄막의 막 두께가 0.00016λ∼0.047λ로 규정되어 있다. 휴대 전화 단말기 등에 이용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6도 Y 컷트 X 전반의 탄탈산 리튬의 압전 기판으로, 1.9㎓대의 필터를 제작하는 경우의 빗형 전극의 주기 λ는 2㎛로 된다. 이 때의 0.00016λ는 0.32㎚로 되고, 막 두께가 매우 지나치게 얇기 때문에 프로세스로서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산화 티탄막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온 주입이라고 하는 대규모의 설비가 필요하고, 또한 이온 주입의 주입 깊이의 제어가 곤란하기 때문에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제어 하는 방법은, 압전성 박막의 막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들과 같이, 특허 문헌 1로부터 특허 문헌 3에서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전 기판과,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와, 상기 제1 유전체 상에 형성된 탄성파를 여진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핑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전체가 인접하는 상기 전극 핑거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전체의 막 두께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파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1 유전체의 측면과 상기 전극 핑거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전극을 덮도록 형성된 제2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전체의 비유전률이 상기 제2 유전체의 비유전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보다 정밀 도 좋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스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1 유전체 상면으로부터의 상기 제2 유전체의 막 두께가 상기 제1 유전체 상면으로부터의 상기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러브파 및 경계파라고 불리는 탄성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제1 유전체는 산화 알루미늄막 및 질화 실리콘막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유전체는 산화 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2 유전체 상에 제3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유전체의 음속이 상기 제2 유전체의 음속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탄성파의 에너지가 압전 기판 표면과 제2 유전체에 갇히게 된 경계파라고 불리는 탄성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3 유전체는 산화 알루미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전압 기판은 니오븀산 리튬 및 탄탈산 리튬 중 어느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큰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얻을 수 있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조정 범위를 넓게 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탄성파 디바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 게 행할 수 있고, 통과 대역의 상승이 급준하여 협 통과 대역 폭을 갖는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서, 빗형 전극 및 반사 전극의 전극 핑거의 수는 수개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전극 핑거는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극 핑거라고 함은 빗형 전극의 1개 1개를 말한다. 또한 편의상, 반사 전극의 1개 1개의 것도 전극 핑거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로,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30도 Y 컷트 X 전반의 니오븀산 리튬(LiNbO3)인 압전 기판(12) 상에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막인 제1 유전체(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전체(24) 상에는 예를 들면 두께 190㎚의 구리(Cu)로 이루어지는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로,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한 비 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하고 있지만,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와의 차이는, 제1 유전체(24)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분리되어 있고, 제1 유전체(24)의 측면과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라고 함은 전극 핑거간에서 압전 기판(12)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서, 산화 알루미늄막인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반공진 주파수 fa - 공진 주파수 fr로부터 구하고 있고,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가 0㎚일 때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100%로 하고 있다. 또한,이 때의 빗형 전극(14) 부분의 쌍수는 200쌍이고 개구 길이는 19.3λ이며, 빗형 전극(14)의 주기 λ는 2.084㎛이다. 여기서, 쌍수라고 함은 입출력 단자에 접속하고 있는 빗형 전극을 예로 하여, 입력 전극측의 전극 핑거 1개와 출력 전극측의 전극 핑거 1개의 쌍을 1쌍이라고 하고, 그 쌍의 수이다. 또한, 개구 길이라고 함은 입력 전극측의 전극 핑거와 출력 전극측의 전극 핑거가 교차하는 길이이다.
도 7로부터,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는, 실시예 1의 쪽이 비교예 1에 비해 작다.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가 작은 쪽이, 프로세스에서의 막 두께 변동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가 작아지므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전체(24)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분리되어 있고, 제1 유전체(24)의 측면과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제1 유전체(24)가 압전 기판(12) 상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 비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로부터,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가 약 50㎚(약 0.024λ) 이하에서는, 동일한 정도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얻기 위한 막 두께는, 실시예 1의 쪽이 비교예 1에 비해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막 두께가 어느 정도 두꺼운 쪽이 프로세스에서 막 두께의 제어성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 비해, 막 두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제1 유전체(24)는 산화 알루미늄막인 예를 나타냈지만, 질화 실리콘막이나 산화 티탄막이나 산화 실리콘막 등 그 밖의 물질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을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인 보호막이 덮여 있는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막 두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로, 예를 들면 니오븀산 리튬인 압전 기판(12) 상에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막인 제1 유전체(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전체(24) 상에는 예를 들면 구리로 이루 어지는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전체(24)는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분리라고 함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와의 차이는, 제1 유전체(24)의 측면과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지 않고, 탄성 표면파 전반 방향의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폭과 제1 유전체(24)의 폭이 다른 점이다.
실시예 2에 따르면, 제1 유전체(24)가 압전 기판(12) 상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 1에 비해,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가 완만해진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 비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와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모두, 비교예 1에 비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지만,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1회의 에칭에 의해 빗형 전극(14), 반사 전극(16) 및 제1 유전체(24)를 형성할 수 있다(즉 제1 유전체(24)의 패턴은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패턴으로 획정된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공정의 간략화의 관점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 쪽이,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 비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 극(16)을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인 보호막이 덮여 있는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나 경계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나 러브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인 경우라도, 실시예 2와 같이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제1 유전체(24)를 분리함으로써,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경계파 및 러브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에서의 분리라고 함은, 후술하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하는 분리를 말한다.
<실시예 3>
도 9는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로,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30도 Y 컷트 X 전반의 니오븀산 리튬인 압전 기판(12) 상에 제1 유전체(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전체(24) 상에는 예를 들면 두께 190㎚의 구리인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을 덮도록 예를 들면 두께 1050㎚의 산화 실리콘막인 제2 유전체(2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전체(26) 상에는 예를 들면 두께 2㎛의 산화 알루미늄인 제3 유전체(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로,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는, 도 9에 도시한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하고 있지만,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와의 차이는, 제1 유전체(24)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분리되어 있고, 제1 유전체(24)의 측면과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라고 함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제2 유전체(26)와 압전 기판(12)이 접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제1 유전체(24)에 산화 실리콘막(비유전률은 4.2 정도)을 이용한 경우와 산화 실리콘막보다 비유전률이 큰 산화 알루미늄막 두께(비유전률은 9.0 정도)를 이용한 경우의,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도 7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부터 구하고 있고, 도 7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제1 유전체(24)에 산화 알루미늄막을 이용한 경우의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도 7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부터 구하고 있고, 도 7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제1 유전체(24)에 산화 알루미늄막을 이용한 경우의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주파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 주파수는 유한 요소법에 의해 구하고 있다.
도 11로부터,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가 약 40㎚(약 0.02λ) 이하에서는, 산화 알루미늄막 쪽이 산화 실리콘막에 비해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가 완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정도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얻기 위해 필요한 막 두께는, 산화 알루미늄막 쪽이 산화 실리콘막에 비해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전체(24)에 비유전 률이 큰 산화 알루미늄막을 이용한 쪽이 산화 실리콘막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막 두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산화 실리콘막에서 막 두께가 약 40㎚(약 0.02λ) 이상일 때에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다시 커지는 것은, 산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압전 기판으로부터 전기 기계 결합 계수에 주는 영향보다도 산화 실리콘막으로부터 전기 기계 결합 계수에 주는 영향 쪽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탄성파의 영향에 관해서도 산화 실리콘막의 영향이 커져, 산화 실리콘막의 기계적 공진 첨예도의 영향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성막한 산화 실리콘막의 공진 첨예도(Q값)는, 단결정인 압전 기판의 Q값보다 나쁘기 때문에, 산화 실리콘막의 두께를 약 40㎚(약 0.02λ) 이상으로 두껍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탄성파 필터는, 압전 기판에 36도 Y 컷트 X 전반의 탄탈산 리튬을 이용한 탄성파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와 동일한 정도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도 11로부터 산화 실리콘막의 경우에는 막 두께를 약 10㎚(약 0.005λ)로 하고, 산화 알루미늄막의 경우에는 막 두께를 약 20㎚(약 0.01λ)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는, 제1 유전체(24)가 압전 기판(12) 상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제1 유전체(24)에 산화 알루미늄막과 산화 실리콘막을 이용한 경우의,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를 나타냈지만, 제1 유전체(24)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분리되어 있고, 제1 유전체(24)의 측면과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경우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로부터,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는, 실시예 3의 쪽이 비교예 3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는,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 비해,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로부터, 동일한 정도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얻기 위한 막 두께는, 실시예 3의 쪽이 비교예 3에 비해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는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 비해, 막 두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탄성 표면파 필터는, 압전 기판에 36도 Y 컷트 X 전반의 탄탈산 리튬을 이용한 탄성파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와 동일한 정도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도 12로부터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산화 알루미늄인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를 약 30㎚(약 0.015λ)로 하고,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막 두께를 약 20㎚(약 0.01λ)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으로부터,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주파수 변화는, 실시예 3의 쪽이 비교예 3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에 주파수가 변화되는 것은, 제1 유전체(24)인 산화 알루미늄막의 음속이 제2 유전체(26)인 산화 실리콘막의 음속보다 빠르므로, 제1 유전체(24)의 산화 알루미늄막의 막 두께를 변화시키면 경계파의 속도가 변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3과 같이 제1 유전체(24)를 전극 핑거간에서 분리한 경우에는, 비교예 3과 같이 제1 유전체(24)가 압전 기판(12) 상 전체면에 있는 경우에 비해, 경계파 전반 방향의 제1 유전체(24)의 폭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제1 유전체(24)의 경계파의 속도에 주는 영향이, 실시예 3은 비교예 3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주파수 변화가, 실시예 3은 비교예 3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는,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 비해, 주파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에서의 예를 나타냈지만,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탄성 표면파 전반 방향의 제1 유전체(24)의 폭은,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제1 유전체(24)의 폭에 비해 작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는,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에 비해,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주파수 변화가 작아진다. 따라서, 주파수의 제어 정밀도의 관점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의 쪽이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파 및 러브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마 찬가지의 이유로부터, 탄성파 전반 방향의 제1 유전체(24)의 폭이 작은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3에서는, 제2 유전체(26)는 산화 실리콘막인 예를 나타냈다. 제2 유전체(26)는 그 밖의 물질이어도 되지만, 주파수의 온도 특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관점으로부터 산화 실리콘막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유전체(24)로부터의 제2 유전체(26)의 막 두께가 제1 유전체(24)로부터의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계파의 에너지가 압전 기판(12)표면과 제2 유전체(26)에 갇히기 때문에, 제2 유전체(26)의 막 두께를 0.1λ∼1.0λ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λ라고 함은, 빗형 전극(14)의 주기이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제1 유전체(24)는 산화 알루미늄막인 예를 나타냈지만, 그 밖의 물질이어도 된다. 특히,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가 정밀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막 두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유전체(24)의 비유전률이 제2 유전체(26)의 비유전률보다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질화 실리콘막 등의 비유전률이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제3 유전체(28)는 산화 알루미늄막인 예를 나타냈지만, 탄성 경계파의 에너지가 압전 기판(12) 표면과 제2 유전체(26)에 갇히도록 하는, 제2 유전체(26)보다 음속이 빠른 물질이면, 실리콘막이나 질화 실리콘막 등 다른 물질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경계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를 예로 나타냈지만, 러브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인 경우도,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막 두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러브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가 실시예 3에 따른 경계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와 다른 점은, 제3 유전체(2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또한,러브파가 전반되는 탄성파 디바이스인 경우도, 주파수의 온도 특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관점으로부터 제2 유전체(26)에 산화 실리콘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유전체(24)로부터의 제2 유전체(26)의 막 두께는, 제1 유전체(24)로부터의 빗형 전극(14) 및 반사 전극(16)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파수의 온도 특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관점으로부터, 제2 유전체(26)의 막 두께를 0.1λ∼0.3λ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실시예 3에서는, 제1 유전체(24)가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의 개구 길이 방향으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의 개구 길이 방향의 일부에서 제1 유전체(24)가 연결되어 있어도(즉 인접하는 전극 핑거간에서 제1 유전체(24)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어 있으면), 압전 기판(12) 상 전체면에 제1 유전체(24)가 있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에 비해,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 길이 방향이라 함은, 탄성파가 전반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말한다.
실시예 1∼실시예 3에서는, 제1 유전체(24)는 산화 알루미늄막인 예를 나타냈다. 산화 알루미늄막은 드라이에칭의 에칭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제1 유전 체(24)를 드라이에칭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언더컷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실시예 3에서는, 압전 기판(12)은 니오븀산 리튬인 예를 나타냈지만, 그 밖의 압전 물질이어도 된다. 특히, 제1 유전체(24)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행하므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물질이면 조정 범위를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탄탈산 리튬 등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필터의 모식도이다. 도 14를 참조로, 래더형 필터(30)는 3개의 1 포트 공진기(32)를 직렬로 접속한 직렬 아암 공진기와 2개의 1 포트 공진기(32)를 직렬 아암 공진기에 대해 병렬로 접속한 병렬 아암 공진기를 갖고 있다. 1 포트 공진기(32)는 한 쌍의 반사 전극 R1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빗형 전극 IDT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1 포트 공진기(32)는 실시예 1∼실시예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이다. 래더형 필터(30)의 일단은 예를 들면 입력 단자인 제1 단자(40)에 접속되고, 타단은 예를 들면 출력 단자인 제2 단자(42)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예 5>
도 15는 실시예 5에 따른 필터의 모식도이다. 도 15를 참조로, 3개의 IDT로 이루어지는 2중 모드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34)는 2개의 2중 모드 필터(36)를 갖고 있다. 2중 모드 필터(36)는 한 쌍의 반사 전극(R2)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빗형 전 극 IDT2, IDT3 및 IDT4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2중 모드 필터(36)의 IDT3에는 예를 들면 입력 단자인 제1 단자(40)가 접속되고, 다른 쪽의 2중 모드 필터(36)의 IDT3에는 예를 들면 출력 단자인 제2 단자(42)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2중 모드 필터(36)는 실시예 1∼실시예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이다. 2개의 2중 모드 필터(36)는 서로의 IDT2 및 서로의 IDT4를 접속함으로써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실시예 6>
도 16은 실시예 6에 따른 필터의 모식도이다. 도 16을 참조로, 1 포트 공진기와 2중 모드 필터를 조합한 필터(38)는, 1 포트 공진기(32)와 2중 모드 필터(36)를 갖고 있다. 1 포트 공진기(32)는 실시예 4에서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2중 모드 필터(36)는 실시예 5에서 도 15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 포트 공진기(32)의 IDT1에는 예를 들면 입력 단자인 제1 단자(40)가 접속되고, 2중 모드 필터(36)의 IDT2 및 IDT4에는 예를 들면 출력 단자인 제2 단자(42)가 접속되어 있다. 1 포트 공진기(32)의 IDT1과 2중 모드 필터(36)의 IDT3이 접속함으로써, 1 포트 공진기(32)와 2중 모드 필터(36)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실시예 4∼실시예 6에 따르면, 래더형 필터, 다중 모드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 및 1 포트 공진기와 다중 모드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에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통과 대역의 상승이 급준하여 협 통과 대역 폭을 갖는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실시예 6에서, 래더형 필터, 다중 모드 필터를 조합한 필터 및 1 포트 공진기와 다중 모드 필터를 조합한 필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들 필터를 조합한 필터 등 그 밖의 필터이어도 되고, 또한 이들 필터를 이용한 분파기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ㆍ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의 (a)는, 종래예 1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상시도이며,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간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예 2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예 4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의, 막 두께와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9는, 비교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파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11은, 비교예 3에서, 산화 알루미늄막과 산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와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서의, 막 두께와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서의, 막 두께와 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필터의 모식도.
도 15는, 실시예 5에 따른 필터의 모식도.
도 16은, 실시예 6에 따른 필터의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압전 기판
14 : 빗형 전극
16 : 반사 전극
18 : 보호막
20 : 산화 실리콘막
22 : 산화 알루미늄막
24 : 제1 유전체
26 : 제2 유전체
28 : 제3 유전체
30 : 래더형 필터
32 : 1 포트 공진기
34 : 필터
36 : 2중 모드 필터
38 : 필터
40 : 제1 단자
42 : 제2 단자

Claims (9)

  1. 압전 기판과,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와,
    상기 제1 유전체 상에 형성된 탄성파를 여진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핑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전체가 인접하는 상기 전극 핑거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의 측면과 상기 전극 핑거의 측면이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덮도록 형성된 제2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전체의 비유전률이 상기 제2 유전체의 비유전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 상면으로부터의 상기 제2 유전체의 막 두께가 상기 제1 유전체 상면으로부터의 상기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는 산화 알루미늄막 및 질화 실리콘막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유전체는 산화 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상에 제3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유전체의 음속이 상기 제2 유전체의 음속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전체는 산화 알루미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기판은 니오븀산 리튬 및 탄탈산 리튬 중 어느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디바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의 탄성파 디바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1020070094784A 2006-09-19 2007-09-18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 KR100891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2631 2006-09-19
JP2006252631A JP2008078739A (ja) 2006-09-19 2006-09-19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061A true KR20080026061A (ko) 2008-03-24
KR100891053B1 KR100891053B1 (ko) 2009-03-31

Family

ID=3918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84A KR100891053B1 (ko) 2006-09-19 2007-09-18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9653B2 (ko)
JP (1) JP2008078739A (ko)
KR (1) KR100891053B1 (ko)
CN (1) CN10115030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016A (zh) * 2018-02-16 2019-08-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装置、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CN110166017A (zh) * 2018-02-16 2019-08-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装置、多工器、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KR20200084339A (ko) * 2018-12-28 2020-07-1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필터 장치 및 멀티플렉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5871A1 (de) * 2005-11-23 2007-05-24 Epcos Ag Elektroakustisches Bauelement
DE112007002083B4 (de) * 2006-09-21 2018-05-3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Grenzflächenschallwellenvorrichtung
WO2008038506A1 (fr) * 2006-09-27 2008-04-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spositif d'onde acoustique limite
WO2009022410A1 (ja) * 2007-08-14 2009-02-19 Fujitsu Limited 弾性境界波装置
DE112009000281T5 (de) * 2008-02-05 2011-02-17 Murata Mfg. Co., Ltd., Nagaokakyo-shi Rand-Schallwellenvorrichtung
US8508100B2 (en) * 2008-11-04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403141B1 (en) 2009-02-27 2018-10-24 Seiko Epson Corporation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surface acoustic wave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8704612B2 (en) 2009-05-14 2014-04-22 Panasonic Corporation Antenna sharing device
FR2947398B1 (fr) * 2009-06-30 2013-07-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resonant a ondes acoustiques guidees et procede de realisation du dispositif
JP2011087282A (ja) * 2009-09-15 2011-04-28 Murata Mfg Co Ltd 弾性境界波フィルタ及びそれを備える分波器
JP2011135244A (ja) * 2009-12-24 2011-07-07 Panasonic Corp 弾性波デバイス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
JP5678486B2 (ja) 2010-06-17 2015-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弾性表面波共振子、弾性表面波発振器および電子機器
JP5934464B2 (ja) 2010-08-26 2016-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弾性表面波共振子、および弾性表面波発振器、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2060420A (ja) 2010-09-09 2012-03-22 Seiko Epson Corp 弾性表面波デバイス、電子機器及びセンサー装置
JP5565474B2 (ja) * 2010-12-29 2014-08-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
DE102011011377B4 (de) 2011-02-16 2016-05-25 Epcos Ag Mit akustischen Wellen arbeitendes Bauelement
DE102011087820A1 (de) * 2011-12-06 2013-06-06 Leibniz-Institut Für Festkörper- Und Werkstoffforschung Dresden E.V. Akustisches oberflächenwellen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5859355B2 (ja) * 2012-03-23 2016-02-10 京セラ株式会社 弾性波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弾性波装置
CN105247785B (zh) * 2013-05-27 2018-01-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声表面波装置
CN105612693A (zh) * 2013-10-09 2016-05-25 天工松下滤波方案日本有限公司 声波元件、以及使用该声波元件的双工器和电子设备
JP6335492B2 (ja) * 2013-11-29 2018-05-30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素子
CN106031034B (zh) * 2014-03-31 2018-09-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装置
US20170155373A1 (en) * 2015-11-30 2017-06-0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urface acoustic wave (saw) resonator structure with dielectric material below electrode fingers
WO2017154260A1 (ja) * 2016-03-08 2017-09-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装置及びデュプレクサ
JP6556103B2 (ja) 2016-06-28 2019-08-07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弾性波デバイス
KR102304886B1 (ko) 2017-02-22 2021-09-2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탄성표면파 소자
CN110383686B (zh) * 2017-03-09 2023-02-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装置、弹性波装置封装件、多工器、高频前端电路及通信装置
DE102018109833A1 (de) * 2018-04-24 2019-10-24 RF360 Europe GmbH SAW-Resonator, HF-Filter, Multiplex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AW-Resonators
DE102019124861A1 (de) * 2019-09-16 2021-03-18 RF360 Europe GmbH Filterchip und SAW-Resonator erster Art
US20220116014A1 (en) * 2020-10-13 2022-04-14 RF360 Europe GmbH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 with high permittivity dielectric for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provement
CN112491380B (zh) * 2020-11-23 2023-10-20 广东广纳芯科技有限公司 一种tc-saw的金属电极制造方法
WO2023017780A1 (ja) * 2021-08-11 2023-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装置
CN116436432A (zh) * 2023-04-17 2023-07-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小型化的声表面波滤波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146A (en) 1975-07-29 1977-02-07 Toshiba Corp Elastic surface wave device
JPS5467792A (en) * 1977-11-09 1979-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astic surface wave element
JPS54118150A (en) * 1978-03-07 1979-09-13 Nippon Denshi Kogyo Shinko Elastic surface wave elemen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H0316409A (ja) *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弾性表面波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59802A (ja) * 1992-03-16 1993-10-08 Japan Energy Corp 弾性表面波装置
JPH06303073A (ja) 1993-02-17 1994-10-28 Fujitsu Ltd 弾性表面波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JP3233087B2 (ja) * 1997-01-20 2001-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
WO1998052279A1 (fr) * 1997-05-12 1998-11-19 Hitachi, Ltd. Dispositif a onde elastique
JPH1188101A (ja) * 1997-07-08 1999-03-30 Toshiba Corp 弾性表面波素子および弾性表面波素子の製造方法
JPH1131942A (ja) 1997-07-10 1999-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弾性表面波モジュール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74883A (ja) * 1998-03-20 1999-10-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圧電体複合基板および表面弾性波素子
JP3435639B2 (ja) * 2000-04-13 2003-08-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の製造方法及び弾性表面波装置
US6480076B2 (en) * 2000-12-21 2002-11-12 Trw Inc. Recessed reflector single phase unidirectional transducer
KR100892195B1 (ko) * 2002-03-06 2009-04-07 파나소닉 주식회사 탄성표면파 필터, 평형형 회로 및 통신장치
JP4337816B2 (ja) * 2003-04-18 2009-09-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境界波装置
EP1515436A3 (en) * 2003-08-29 2005-08-31 Seiko Epson Corporation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the element
JP2005142629A (ja) * 2003-11-04 2005-06-02 Seiko Epson Corp 弾性表面波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6152A (ja) * 2003-12-15 2005-06-30 Alps Electric Co Ltd 弾性表面波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5067B2 (ja) * 2004-03-29 2010-09-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境界波装置の製造方法及び弾性境界波装置
JP2006135443A (ja) * 2004-11-02 2006-05-25 Seiko Epson Corp 弾性表面波素子、弾性表面波素子の製造方法
JP4279271B2 (ja) * 2005-06-01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弾性表面波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67289A (ja) * 2006-09-11 2008-03-21 Fujitsu Media Device Kk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フィルタ
JP4943787B2 (ja) * 2006-09-13 2012-05-30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JP4917396B2 (ja) * 2006-09-25 2012-04-18 太陽誘電株式会社 フィルタおよび分波器
JP2008109413A (ja) * 2006-10-25 2008-05-08 Fujitsu Media Device Kk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フィル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016A (zh) * 2018-02-16 2019-08-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装置、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CN110166017A (zh) * 2018-02-16 2019-08-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装置、多工器、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KR20190099119A (ko) * 2018-02-16 2019-08-2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탄성파 장치, 멀티플렉서, 고주파 프론트 엔드 회로 및 통신 장치
KR20190099118A (ko) * 2018-02-16 2019-08-2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탄성파 장치, 고주파 프론트 엔드 회로 및 통신 장치
US11349451B2 (en) 2018-02-16 2022-05-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astic wave device, high-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200084339A (ko) * 2018-12-28 2020-07-1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필터 장치 및 멀티플렉서
US11405021B2 (en) 2018-12-28 2022-08-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452644 Filter device and multiple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0302B (zh) 2011-01-26
JP2008078739A (ja) 2008-04-03
KR100891053B1 (ko) 2009-03-31
CN101150302A (zh) 2008-03-26
US7659653B2 (en) 2010-02-09
US20080067891A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053B1 (ko)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
KR100890845B1 (ko) 탄성파 디바이스 및 필터
KR100900874B1 (ko) 필터 및 분파기
KR100614547B1 (ko) 탄성 표면파 소자, 그것을 갖는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및 이들을 갖는 듀플렉서
KR20080024451A (ko) 탄성파 디바이스, 공진기 및 필터
KR20240044522A (ko) 공동 공진 saw 필터
JP2000244275A (ja) Saw共振子フィルタ
JP3853252B2 (ja) 弾性表面波素子
JP3168925B2 (ja) 表面波装置
JP3476445B2 (ja) 弾性表面波素子
KR100889231B1 (ko) 탄성경계파 장치
JP2002076835A (ja) 弾性表面波素子
JP3705722B2 (ja) 表面波装置
US11606079B2 (en) Transducer structure for source suppression in saw filter devices
JP2022176790A (ja) 弾性波デバイス、ウエハ、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JP4003434B2 (ja) 表面波装置
JP3963081B2 (ja) 表面波装置
JP4003511B2 (ja) 縦結合共振子型表面波装置
WO2023282328A1 (ja) 弾性波素子、弾性波フィルタ装置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JP2023004724A (ja) ラダー型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JP4506394B2 (ja) 一方向性弾性表面波変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弾性表面波デバイス
JP2023124332A (ja) 弾性波デバイス、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KR100239992B1 (ko) 표면파 장치(surface wa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