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983A - 광학필터 - Google Patents

광학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983A
KR20080018983A KR1020077018563A KR20077018563A KR20080018983A KR 20080018983 A KR20080018983 A KR 20080018983A KR 1020077018563 A KR1020077018563 A KR 1020077018563A KR 20077018563 A KR20077018563 A KR 20077018563A KR 20080018983 A KR20080018983 A KR 2008001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ent
optical filter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151B1 (ko
Inventor
타츠야 이시다
토시유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08001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 C09B23/0016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the substituent being a hal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 C09B23/0025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the substituent being bound through an oxy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 C09B23/005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the substituent being a COOH and/or a functional derivative thereof
    • C09B23/005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the substituent being a COOH and/or a functional derivative thereof the substituent being C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66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being part of a carbocyclic ring,(e.g. benzene, naphtalene, cyclohexene, cyclobutenene-quadrat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2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 C09B23/06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three >CH- groups, e.g. carbocyan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색소 화합물의 적어도 1종(i), 층상점토광물(ii)의 적어도 1종, 또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물질(iii)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내광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하고, 화상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의 향상 및 외광의 비침 방지에 적합하다.
색소 화합물, 층상점토광물, 열가소성물질, 광학필터, 내광성, 내습열성

Description

광학필터{OPTICAL FILTER}
본 발명은 색소 화합물, 층상점토광물 및 필요에 따라서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광학필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필터는 특히 화상표시장치용의 광학필터로서 유용하다.
특정의 빛에 대하여 강도가 큰 흡수를 가지는 화합물은 CD-R, DVD-R, DVD+R, 청색레이저기록디스크 등의 광학기록매체의 기록층이나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디스플레이(ELD), 음극관표시장치(CRT), 형광표시관, 전계방사형디스플레이 등의 화상표시장치의 광학요소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의 광학요소의 용도로서는 칼라필터의 광흡수제가 있다. 화상표시장치는 적색, 청색, 녹색의 삼원색의 빛의 조합으로 칼라화상을 표시하고 있지만, 칼라화상을 표시하는 빛에는 녹색과 적색의 사이의 550~600nm 등의 표시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빛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750~1100nm의 적외리모콘의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 빛도 포함되어 있다. 광학필터에는 상기의 불필요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동시에, 형광등 등의 외광의 반사나 비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480~500nm 및 540~560nm의 파장광을 흡수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래서, 화상표시장치 등에는 이들의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흡수성 화합물(광흡수제)을 함유하는 광학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광학필터를 제조하려면, 특정의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흡수성 화합물(광흡수제)을 함유하는 광학필름을, 점착제층을 통하여 유리 등의 투명기판에 첩합(貼合)시켰다. 그 때문에, 제조공정이 많아져 비용이 높은 점, 또한 광학필터를 박층화하는 것이 곤란한 점이 문제가 되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점착제층에 색소 및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전자디스플레이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색소를 함유하는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색소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점착제층에 있어서, 색소 화합물의 빛이나 열 등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며, 충분한 광학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학필터는 얻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4에는 염료가 점토에 인터컬레이션(intercalation)되어 이루어지는 색재를 함유하는 칼라필터가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5에는 점토계 층간 화합물인 스멕타이트(smectite)의 층간이온이 염료에 의해 치환된 착색복합체를 함유하는 수성잉크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6에는 염료가 표면에 흡착한 미립자를 함유하는 필터층을 가지는 광학필터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 색소나 착색복합체를 광학필터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이용하는 점, 혹은 이들의 색소나 착색복합체를 이용함으로써 광학필터의 내습열성이 향상하는 점은 하등 시 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7에는 특정의 구조를 가지는 시아닌 화합물 및 디이모늄 화합물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근적외선흡수층을 가지는 근적외선흡수필름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근적외선흡수필름에 있어서 디이모늄(diimmonium) 화합물 외에 시아닌 화합물 등의 다른 색소 화합물을 이용하면, 이들 다른 색소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내습열성 및/또는 내광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다른 색소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으면, 가시광영역의 흡수가 커지게 되어, 충분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8230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4-10756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331172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10-77427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10-133013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2000-338325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2003-21715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층에 있어서도 내광성 및 내습열성에 뛰어난 광학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점착제층에 있어서 색소 화합물 및 층상점토광물을 병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색소 화합물의 적어도 1종(i), 층상점토광물(ii)의 적어도 1종, 또한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물질(iii)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은 특히 제한받지 않고, 종래의 광학필터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시아닌 화합물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색소화합물(i)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시아닌 화합물, 디이모늄 화합물, 아조 화합물 및 그 금속염, 아조메틴색소 화합물, 트리아릴메탄색소 화합물, 아진 화합물, 티아진계색소 화합물, 옥사진 화합물, 크산텐색소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포르피린 화합물, 피로메텐색소 화합물, 안트라퀴논 화합물, 알리자린색소 화합물, 아크리딘 화합물, 퀴놀린 화합물, 인다민색소 화합물, 로다민색소 화합물, 스쿠아릴륨계 화합물, 스티릴계색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아닌 화합물 및 디이모늄 화합물이 층상점토광물의 층간에 삽입되어, 자외선이나 수분 등의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내광성 및 내습열성이 높고,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와의 친화성도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시아닌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1
(식 중, 환(A)은 하기 (a) 또는 (b)로 표현되는 기이고, 환(B)은 하기 (a) 또는 (c)로 표현되는 기이며, Q는 폴리메틴쇄를 구성하는 쇄 중에 환 구조를 포함하여도 좋은 연결기를 나타내고, 이 폴리메틴쇄 중의 수소원자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그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Anq -는 q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q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p는 전하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2
(식 중, R1,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를 나태내고, R1 및 R2, R4 및 R5 혹은 R6 및 R7은 각각 연결하여 탄소원자수 3~12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 을 형성하여도 좋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으로, 산소원자, 유황원자, 셀렌원자, -CR8R9-, -NH- 또는 -NYa-를 나타내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 또는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Ya, Y1 및 Y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3
(식 중, Ra~Ri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Z는 직접결합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4
(식 중, R10~R13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10과 R11은 연결하여 탄소원자수 3~12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일반식(I) 중, Q로 나타내는 폴리메틴쇄를 구성하는 쇄 중에 환 구조를 포함해도 좋은 연결기로서는 하기 (1)~(6)으로 표현되는 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5
(식 중, Rj, Rk, Rl 및 Rm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다페닐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Z'은 상기 일반식(II)과 같다.)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 Anq -로 나타내는 음이온으로서는 예컨대, 1가의 것으로서 염소음이온, 취소음이온, 요오드음이온, 불소음이온 등의 할로겐음이온; 과염소산음이온, 염소산음이온, 티오시안산음이온, 육불화인음이온, 육불화안티몬음이온, 사불화붕소음이온 등의 무기계음이온; 벤젠술폰산음이온, 톨루엔술폰산음이온,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음이온, 디페닐아민-4-술폰산음이온, 2-아미노-4-메틸-5-클로로벤젠술폰산음이온, 2-아미노-5-니트로벤젠술폰산음이온 등의 유기술폰산음이온; 옥틸인산음이온, 도데실인산음이온, 옥타데실인산음이온, 페닐인산음이온, 노닐페닐인산음이온, 2,2'-메틸렌비스(4,6-디제3부틸페닐)포스폰음이온 등의 유기인산계음이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음이온, 비스퍼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음이온, 퍼플루오로-4-에틸시클로헥산술포네이트음이온,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붕산음이온 등을 들 수 있으며, 2가의 것으로서는 예컨대 벤젠디술폰산음이온, 나프탈렌디술폰산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상태에 있는 활성분자를 탈여기시키는(quench) 기능을 가지는 퀀처음이온이나 시클로펜타디에닐환에 카르복실기나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등의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페로센, 루테오센 등의 메타로센 화합물음이온 등도,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퀀처음이온으로서는 예컨대 하기 일반식(A) 또는 (B)로 표현되는 것,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3489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5-4381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5-30577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23902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 개 평9-30988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9-32347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0-4576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0811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16823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0137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0606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5-29740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평7-96334호 공보, 국제공개 98/29257호 팸플릿 등에 기재된 것 같은 음이온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6
(식 중, M'는 니켈원자, 코발트원자 또는 구리원자를 나타내고, R28 및 R29는 할로겐원자,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또는 -SO2-G기를 나타내고, G는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디알킬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피페리디노기 또는 모르폴리노기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 0~4를 나타낸다. 또한, R30, R31, R32 및 R33은 각각 독립으로 알킬기, 알킬페닐기, 알콕시페닐기 또는 할로겐화페닐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Ya, Y1 및 Y2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제2부틸, 제3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제3아밀, 헥 실,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헥실에틸, 헵틸, 이소헵틸, 제3헵틸, n-옥틸, 이소옥틸, 제3옥틸, 2-에틸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브로모메틸, 1,2-디클로로에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등을 들 수 있으며, R1, R2, R3, R4, R5, R6, R7, Ya, Y1 및 Y2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틸옥시, 에틸옥시, 이소프로필옥시, 프로필옥시, 부틸옥시, 펜틸옥시, 이소펜틸옥시, 헥실옥시, 헵틸옥시, 옥틸옥시, 2-에틸헥실옥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트리브로모메톡시 등을 들 수 있으며, R1, R2, R3, R4, R5, R6, R7, Ya, Y1 및 Y2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 나프틸,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4-비닐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4-이소프로필페닐, 4-부틸페닐, 4-이소부틸페닐, 4-제3부틸페닐, 4-헥실페닐, 4-시클로헥실페닐, 4-옥틸페닐, 4-(2-에틸헥실)페닐, 4-스테알릴페닐, 2,3-디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2,5-디메틸페닐, 2,6-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3,5-디메틸페닐, 2,4-디제3부틸페닐, 2,5-디제3부틸페닐, 2,6-디-제3부틸페닐, 2,4-디제3펜틸페닐, 2,5-디제3아밀페닐, 2,5-디제3옥틸페닐, 2,4-디쿠밀페닐, 시클로헥실페닐, 비페닐, 2,4,5-트리메틸페닐, 벤질, 페네틸, 2-페닐프로판-2-일,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스티릴, 신나밀, 2-페닐프로판-2-일, 디페닐메틸 등을 들 수 있으며, R1, R2, R3, R4, R5, R6 및 R7로 나타내는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원자, 취소원자, 요오드원자 등을 들 수 있으며, R1 및 R2, R4 및 R5 혹은 R6 및 R7이 연결하여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하는 탄소원자수 3~12의 유기기로서는 벤젠, 나프탈렌,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메틸벤젠, 에틸벤젠, 메톡시벤젠, 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환; 푸란환, 벤조푸란환, 피롤환, 티오펜환, 피리딘환, 퀴놀린환, 티아졸환 등의 복소환;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등의 지방족환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II)에 있어서, Ra~Ri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제2부틸, 제3부틸, 이소부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로 치환된 기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로 치환된 기로서는 아세틸, 1-카르보닐에틸, 아세틸메틸, 1-카르보닐프로필, 2-옥소부틸, 2-아세틸에틸, 1-카르보닐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으며, Z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메틸에틸렌, 부티렌, 1-메틸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1,2-디메틸프로필렌, 1,3-디메틸프로필렌, 1-메틸부티렌, 2-메틸부티렌, 3-메틸부티렌, 4-메틸부티렌, 2,4-디메틸부티렌, 1,3-디메틸부티렌, 펜틸렌, 헥실렌, 헵틸렌, 옥틸렌, 에탄-1,1-디일, 프로판-2,2-디일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기 중의 메틸렌기가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N=CH- 또는 -CH=CH-로 치환된 기로서는 메틸렌옥시, 에틸렌옥시, 옥시메틸렌, 티오메틸렌, 카르보닐메틸렌, 카르보닐옥시메틸렌, 메틸렌카르보닐옥시, 술포닐메틸렌, 아미노메틸렌, 아세틸아미노, 에틸렌카르복시아미드, 에탄이미드일, 에테닐렌, 프로페닐렌 등을 들 수 있으며, M으로 치환되는 금속원자로서는 Fe, Co, Ni, Ti, Cu, Zn, Zr, Cr, Mo, Os, Mn, Ru, Sn, Pd, Rh, Pt, I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III)에 있어서, R10~R13으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R10~R13으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 및 R10과 R11이 연결하여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하는 탄소원자수 3~12의 유기기로서는 상기 일반식(I)으로 예시의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VII)으로 표현되는 것이, 제조비용이 적으면서 또한 내광성 및 내습열성이 높기 때문에, 광학필터로서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7
(식 중, R1, R2, R6, R7, X1, X2, Y1, Y3, Anq -, p 및 q는 상기 일반식(I)과 동일하며, Q는 상기 일반식(I)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합물 No.1~48을 들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예시에서는 음이온을 생략한 시아닌양이온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8
Figure 112007058603328-PCT00009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0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1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2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3
상기 (VII)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IV)으로 표현되는 것이,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내습열성이 높기 때문에, 광학필터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4
(식 중, Y1, Y3, X1 및 X2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의 환(A)으로서 표시되는 기인 상기 (a) 및 (c)로 예시한 것과 같으며, Anq -, p, q 및 Q는 상기 일반식(I)과 동일하다.)
상기 디이모늄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V)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5
(식 중, R14,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2, R23, R24 및 R25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n은 1~4의 수를 나타내고, Anq -, p, q 및 Q는 상기 일반식(I)과 동일하다.)
상기 일반식(V)에 있어서,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및 R25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로서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의 R1~R9 등으로 나타낸 것을 들 수 있으며, R14,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로 나타내는 할로겐원자로서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의 R1~R7 등에서 나타낸 것을 들 수 있으며, R14,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미노기로서는 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부틸아미노, 시클로펜틸아미노, 2-에틸헥실아미노, 도데실아미노, 아닐리노, 클로로페닐아미노, 톨루이디노, 아니시디노, N-메틸-아닐리노, 디페닐아미노, 나프틸아미노, 2-피리딜아미노,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 아세틸아미노, 벤조일아미노, 포르밀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라우로일아미노, 카르바모일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N,N-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모르폴리노카르보닐아미노,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n-옥타데실옥시카르보닐아미노, N-메틸-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 술파모일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술포닐아미노, 메틸술포닐아미노, 부틸술포닐아미노, 페닐술포닐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V)에 있어서, Anq -로 나타내는 음이온으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VI)으로 표현되는 1가의 음이온이, 특히 초기의 내구성이 높고, 점착제 등의 산이나 층상점토광물 등의 염기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6
(식 중, R26 및 R27은 각각 독립으로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V)으로 표현되는 디이모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합물 No.49~56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예시에서는 음이온을 생략한 디이모늄양이온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7
상기 색소화합물(i)로서,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일반식(V)으로 표현되는 디이모늄 화합물을 동일층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동일 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공정을 단축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일반식(V)으로 표현되는 디이모늄 화합물을 동일층으로 이용할 경우,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V)으로 표현되는 디이모늄 화합물을 500~5000질량부 이용하는 것이, 내습열성 및/또는 내광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 특히 화상표시용 광학필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의 사용량은 광학필터의 단위면적당 통상 1~1000mg/㎡, 바람직하게는 5~100mg/㎡의 범위이다. 1mg/㎡미만의 사용량에서는 광흡수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1000mg/㎡를 초과하여 사용했을 경우에는 필터의 색조가 너무 강해져서 표시품질 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고, 나아가서는 명도가 저하할 우려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이 복수종의 혼합물일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의 사용량은 그 합계량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의 기재로서는 주로 후술하는 투명지지체가 이용되며, 또한 상기 투명지지체에 필요에 따라 초벌층, 반사방지층, 하드코팅층, 윤활층 등의 각 층을 형성한 것도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은 그 사용량을 광학필터의 단위면적당, 상술의 범위로 하려면, 통상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점착제층을 가지는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만드는 경우에는 열가소성성질(iii)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색소화합물(i)을 0.00001~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0.1질량부, 층상점토 광물(ii)을 0.0001~5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5.0질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제를 0.1~10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0~500질량부로서 점착제용액을 조제하고, 이 점착제용액을 용이하게 밀착처리를 한 PET필름 등의 투명지지체에 도포한 후, 건조시키고, 두께 2~400미크론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학필터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수성분 및 임의성분을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 함유시킬 경우도, 각 성분의 배합비율은 상술의 배합비율에 따르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ii)로서는 천연물 또는 화학적 합성물 혹은 층간에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등을 가지는 것, 그들의 치환체, 유도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스멕타이트, 카올린광물, 운모, 탈크, 녹니석, 하이드로탈사이트, 버미큘라이트, 불소버미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스멕타이트로서는 헥트라이트, 서포나이트, 스티븐사이트, 바이델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카올린광물로서는 카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나크라이트, 디카이트, 크리소타일, 리자르다이트, 아메사이트, 파이로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운모점토광물로서는 Li형 불소테니올라이트 Na형 불소 테니올라이트, Na형 사규소불소운모합성마이카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스멕타이트 및 운모가 기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스멕타이트의 중에서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한 스멕타이트가 바람직하고, 고분자바인더나 유기용매와 친화성이 높은 친유성 스멕타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스멕타이트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Lucentite SWN, SWF(친수성 스멕타이트: CO-OP Chemical사 제품), Lucentite STN, STN-A, SPN, SEN, SAN, SAN2C, SAN210, STF, SSN, SSN-A, SAN312-A, SAN2C-A, SAN210-A(친유성 스멕타이트: CO-OP Chemical사 제품), Kunipia T(몬모릴로나이트; Kunimine Industries사 제품), S-Ben N-400, S-Ben N-400FP(몬모릴로나이트: Hojun사 제품), Benton(Toshin Chemicals사 제품)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한 STN-A, SSN-A, SAN312-A, SAN2C 및 SAN210이 색소 화합물과 혼합한 경우에 응집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운모 중에서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정제한 운모가 바람직하고, 고분자바인더나 유기용매와 친화성이 높은 팽윤성 운모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운모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Somacif(팽윤성 운모: CO-OP Chemical사 제품), Micromica(비팽윤성 운모: CO-OP Chemical사 제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ii)은 친수성의 경우, (I) 또는 (II)의 방법에 의해 소수성으로 변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I)층상점토광물을 수중에 분산시켜서 현탁액으로 하고, 상기 층상점토광물의 층간이온을 유기양이온으로 이온교환하고, 이어서 산을 이 분산액이 약염기성~산성이 될 양을 첨가하여 산 처리하고, 얻어진 생성물을 분리, 건조하거나, 혹은 (II)층상점토광물을 물에 분해시켜, 분산액 중에 산을 이 분산액이 약염기성~산성이 될 양을 첨가하여 산처리하고, 얻어진 층상점토광물을 수중에 분산시켜 현탁액으로 하고, 상기 층상점토광물의 층간이온을 유기양이온으로 이온교환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분리, 건조한다.
상기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분리, 건조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지만, 얻어지는 광학필터의 내습열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유기양이온으로서는 사급암모늄이온, 포스포늄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사급암모늄이온으로서는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원자수가 1~20인 것, 아릴기의 탄소원자수가 6~30인 것, 혹은 아릴알킬기의 탄소원자수가 7~30인 것이 색소화합물(i)에 의해 치환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기용매와의 친화성이 높고, 또한 유기용매에 분산하여도 적정한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사급암모늄이온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에틸암모늄이온, 테트라-n-데실암모늄이온, 테트라-n-도데실암모늄이온, 트리옥틸메틸암모늄이온, 트리메틸스테아릴암모늄이온,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이온, 트리옥틸메틸암모늄이온,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이온, 디메틸디데실암모늄이온, 디메틸스테아릴벤질암모늄이온, 하기 [화학식 18]로 표현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포늄이온으로서는 예컨대 알킬포스포늄이온, 아릴포스포늄이온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8
(식 중, R34, R35, R36 및 R37은 각각 독립으로 탄소원자수가 1~20의 알킬기이 다.)
상기 (I) 또는 (II)의 어느 한 방법에 있어서도, 층상점토광물의 산 처리에 이용되는 산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황산, 염산, 질산 등의 광산, 구연산, 초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ii)은 본 발명의 색소화합물(i) 1부에 대하여 0.1~100부의 비율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30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0.1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0부보다 많으면, 유기용매에 분산했을 때에 점성이 높아지거나, 응집이 일어나거나 하여, 광학필터의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물질(iii)로서는 젤라틴, 카세인, 전분, 셀룰로오스유도체, 알긴산 등의 천연고분자재료, 혹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톨루엔아크릴레이트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코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플로락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합성고분자재료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외에, 실리콘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등의 점착제, 폴리비닐부티랄계 점착제, 폴리비닐에테르계 점착제, 에틸렌-초산비닐계 점착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SBR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의 공지의 조합유리용 투명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 그 중에서도 산성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유기용매; 부착부여제; 연화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소포제; 레벨링제; 분산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반응성관능기 및 에틸렌성불포화이중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혹은 복수종을 조합시킨 공중합체, 또는 상기 반응성관능기 및 에틸렌성불포화이중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와, (메타)아크릴계단량체나 비닐계단량체와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이중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화제로서, 금속킬레이트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시판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DB Bond 5541(Diabond사 제품), SK-DYNE AS-1925, KP-2230, SK-1811L(Soken Chemical & Engineering사 제품), DX2-PDP-19(Nippon Shokubai사 제품), AT-3001(Saiden Chemical Industry사 제품), ORIBAIN BPS5896(Toyo Ink Mfg사 제품), CS-9611(Nitto Denko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 층상점토광물(ii) 및 열가소성물질(iii)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 이외의 광흡수제, 각종 안정제 등의 임의 성분을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 투명지지체 및 임의의 각 층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이웃하는 2개 사이의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 등을 점착제에 함유시킨 후, 상기 점착제를 이 용하여, 상술한 투명지지체 및 임의의 각 층 중에 이웃하는 2개를 접착하면 좋다. 나아가 점착제층의 표면에 밀착을 용이하게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등의 공지의 세퍼레이터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는 2~400㎛, 바람직하게는 5~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패널(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디스플레이(ELD), 음극관표시장치(CRT), 형광표시관, 전계방사형디스플레이 등의 화상표시장치용, 분석장치용, 반도체장치제조용, 천문관측용, 광통신용, 안경렌즈, 창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화상표시장치용으로서 이용할 경우, 통상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된다. 예컨대 광학필터를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직접 부착하여도 좋고, 디스플레이의 앞에 전면판이나 전자파실드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는 전면판 또는 전자파실드의 표면측(외측) 또는 이면측(디스플레이측)에 광학필터를 점착하여도 좋다.
화상표시용으로서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는 색조조정 등을 위하여, 480~500nm 이외의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이용하거나, 외광의 반사나 비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 이외의 480nm~500nm 대응의 광흡수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화상표시장치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 이외의 750~1100nm 대응의 근적외선흡수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색조조정용의 상기 광흡수제로서는 550~600nm의 오렌지광의 제거를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트리메틴인돌륨 화합물, 트리메틴벤조옥사졸륨 화합물, 트리메틴벤조티아졸륨 화합물 등의 트리메틴시아닌유도체; 펜타메틴옥사졸륨 화합물, 펜타메틴티아졸륨 화합물 등의 펜타메틴시아닌유도체; 스쿠아릴륨색소유도체; 아조메틴색소유도체; 크산텐색소유도체; 아조색소유도체; 피로메텐색소유도체; 아조금속착체유도체: 로다민색소유도체; 프탈로시아닌유도체; 포르피린유도체; 디피로메텐금속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외광의 비침 방지용의 480~500nm 대응의 상기 광흡수제로서는 트리메틴인돌륨 화합물, 트리메틴옥사졸륨 화합물, 트리메틴티아졸륨 화합물, 인돌리덴트리메틴티아졸륨 화합물 등의 트리메틴시아닌유도체; 프탈로시아닌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유도체; 포르피린유도체; 디피로메텐금속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외리모콘 오작동 방지용의 750~1100nm 대응의 근적외선흡수제로서는 펜타메틴벤조인돌륨 화합물, 펜타메틴벤조옥사졸륨 화합물, 펜타메틴벤조티아졸륨 화합물 등의 펜타메틴시아닌유도체; 헵타메틴인돌륨 화합물, 헵타메틴벤조인돌륨 화합물, 헵타메틴옥사졸륨 화합물, 헵타메틴벤조옥사졸륨 화합물, 헵타메틴티아졸륨 화합물, 헵타메틴벤조티아졸륨 화합물 등의 헵타메틴시아닌유도체; 스쿠아릴륨유도체; 비스(스틸벤디티올라토) 화합물, 비스(벤젠디티올라토)니켈 화합물, 비스(캄포르디티올라토)니켈 화합물 등의 니켈착체; 스쿠아릴륨유도체; 아조색소유도체; 프탈로시아닌유도체; 포르피린유도체; 디피로메텐금속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 있어서, 상기의 색조조정을 위한 광흡수제, 480~500nm 대응의 광흡수제 및 근적외선흡수제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과 동일한 층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층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그들의 사용량은 각각 통상 광학필터의 단위면적당 1~1000mg/㎡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5~100mg/㎡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의 대표적인 구성으로서는 투명지지체에, 필요에 따라 초벌층, 반사방지층, 하드코팅층, 윤활층 등의 각 층을 설치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 층상점토광물(ii) 및 열가소성물질(iii)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색소화합물(i) 이외의 광흡수제, 각종 안정제 등의 임의성분을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그들을 투명지지체 및 임의의 각 층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이웃하는 2개 사이의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지지체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리 등의 무기재료;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1,2-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시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 등의 비닐 화합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옥시에틸렌, 노볼렌 수지 등의 고분자재료를 들 수 있다. 투명지지체의 투과율은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6%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헤이즈는 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굴곡률은 1.45~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지지체 중에는 적외선흡수제, 자외선흡수제, 페놀계, 인계 등의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무기미립자 등을 첨가하거나, 또는 투명지지체에는 각종의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무기미립자로서는 예컨대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종 표면처리로서는 예컨대 약품처리, 기계적처리, 코로나방전처리, 화염처리, 자외선조사처리, 고주파처리, 글로우방전처리, 활성플라스마처리, 레이저처리, 혼산처리, 오존산화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초벌층은 광흡수제를 함유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할 경우에, 투명지지체와 광흡수층 사이에 이용하는 층이다. 상기 초벌층은 유리전이온도가 -60~60℃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층, 광흡수층측의 표면이 조면인 층, 또는 광흡수층의 폴리머와 친화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형성한다. 또한, 초벌층은 광흡수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투명지지체의 면에 설치하여, 투명지지체와 그 위에 설치되는 층(예컨대 반사방지층, 하드코팅층)과의 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광학필터와 화상표시장치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와 광학필터와의 친화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초벌층의 두께는 2nm~20㎛가 바람직하고, 5nm~5 ㎛가 보다 바람직하고, 20nm~2㎛가 더욱 바람직하고, 50nm~1㎛가 더욱 바람직하고, 80nm~300nm가 가장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60~60℃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초벌층은 폴리머의 점착성으로, 투명지지체와 필터층을 접착한다. 유리전이온도는 -60~60℃의 폴리머는 예컨대,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초산비닐, 부타디엔, 네오프렌, 스티렌, 클로로프렌,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틸비닐에테르의 중합 또는 이들의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는 5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초벌층의 25℃에 있어서의 탄성률은 1~100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5~800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500MPa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흡수층의 표면이 조면인 초벌층은 조면의 위에 광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투명지지체와 광흡수층을 접착한다. 광흡수층의 표면이 조면인 초벌층은 폴리머라텍스의 도포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라텍스의 평균입경은 0.02~3㎛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흡수층의 바인더폴리머와 친화성을 가지는 폴리머로서는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유도체, 젤라틴, 카세인,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가용성나일론 및 고분자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필터에는 2이상의 초벌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초벌층에는 투명지지체를 팽창시키는 용제, 매트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도포조제, 경막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상기 반사방지층에 있어서는 저굴곡률층이 필수이다. 저굴곡률층의 굴곡률은 상기 투명지지체의 굴곡률보다도 낮다. 저굴곡률층의 굴곡률은 1.20~1.55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저굴곡률층의 두께는 50~4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2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저굴곡률층은 굴곡률이 낮은 함불소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층(일본국 특허공개 소57-3452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3-13010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11502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31370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7-168004호의 각 공보기재), 졸겔법에 의해 얻어지는 층(일본국 특허공개 평5-20881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29909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7-168003호의 각 공보에 기재), 혹은 미립자를 포함하는 층(일본국 특허공고 소60-5925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5-1302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5647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7-9230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9-288201호의 각 공보에 기재)으로서 형성할 수가 있다. 미립자를 포함하는 층에서는 미립자간 또는 미립자내의 미크로보이드로서, 저굴곡률층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미립자를 포함하는 층은 3~50체적%의 공극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5~35체적%의 공극률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넓은 파장영역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사방지층에 있어서, 저굴곡률층에 더하여, 굴곡률이 높은 층(중·고굴곡률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곡률층의 굴곡률은 1.65~2.40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2.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굴곡률층의 굴곡률은 저굴곡률층의 굴곡률과 고굴곡률층의 굴곡률과의 중간의 값이 되도록 조정한다. 중굴곡률층의 굴곡률은 1.50~1.9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1.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고굴곡률층의 두께는 5nm~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nm~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nm~1㎛인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중·고굴곡률층의 헤이즈는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중·고굴곡률층은 비교적 높은 굴곡률을 가지는 폴리머바인더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굴곡률이 높은 폴리머로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멜라민 수지, 아크릴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환상(지환식 또는 방향족)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환상(방향족, 복소환식, 지환식) 기를 가지는 폴리머나 불소 이외의 할로겐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지는 폴리머도 굴곡률이 높다.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라디칼경화를 가능하게 한 모노머의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를 이용하여도 좋다.
나아가 높은 굴곡률을 얻기 위해, 상기 폴리머바인더 중에 무기미립자를 분산하여도 좋다. 무기미립자의 굴곡률은 1.80~2.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미립자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황화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의 산화물 또는 염화물로서는 산화티탄(예컨대, 루틸, 루틸/아나타제의 혼정, 아나타제, 아모르퍼스구조),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화티탄, 산화주석 및 산화인듐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미립자는 이들 금속의 산화물 또는 황화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다른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주성분이란, 입자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함유량(중량%)이 많은 성분을 의미한다. 다른 원소로서는 Ti, Zr, Sn, Sb, Cu, Fe, Mn, Pb, Cd, As, Cr, Hg, Zn, Al, Mg, Si, P, S 등을 들 수 있다. 피막형성성으로 용제에 분해할 수 있거나, 그 자신이 액상인 무기재료, 예컨대 각종 원소의 알콕시드, 유기산의 염, 배 위성 화합물과 결합한 배위 화합물(예컨대 킬레이트 화합물), 활성무기폴리머를 이용하여, 중·고굴곡률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의 표면에는 안티글레어기능(입사광을 표면에서 산란시켜서 막 주위의 경치가 막 표면에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필름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그 표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반사방지층을 형성 후, 엠보스롤에 의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안티글레어기능을 가지는 반사방지층을 얻을 수 있다. 안티글레어기능을 가지는 반사방지층은 일반적으로는 3~30%의 헤이즈를 가진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투명지지체의 경도보다도 높은 고도를 가진다. 하드코팅층은 가교하고 있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팅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예컨대, 자외선경화형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실리카계 재료로부터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저굴곡률층)의 표면은 윤활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윤활층은 저굴곡률층 표면에 윤활성을 부여하고, 내상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다. 윤활층은 폴리오가노실록산(예컨대 실리콘오일), 천연왁스, 석유왁스, 고급지방산금속염, 불소계윤활제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윤활층의 두께는 2~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여러가지의 용매를 적정히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셀로솔브, 에 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부틸디글리콜 등의 에테르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류,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메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등의 불화알코올류; 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 메틸렌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의 염소화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초벌층, 반사방지층, 하드코팅층, 윤활층, 광흡수층, 점착제층 등은 일반적인 도포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포방법으로서는 딥코팅법, 에어나이프코팅법, 커텐코팅법, 롤러코팅법, 와이어바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홉퍼를 사용하는 익스톨전코팅법(미국특허 제2681294호 명세서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둘 이상의 층을 동시도포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동시도포법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2761791호, 미국특허 제2941898호, 미국특허 제3508947호, 미국특허 제3526528호의 각 명세서 및 Yuji Harasaki 저(著) '코팅공학' 253쪽(1973년 Asakura Publishing)에 기재가 있다.
<실시예>
이하, 평가예, 비교평가예 및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의해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평가예 1~5] 내광성평가 및 내습열성평가
하기의 배합으로 점착제용액을 조제하고, 밀착을 용이하게 처리한 188㎛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상기 점착제용액을 바코터 #30에 의해 도공한 후, 100℃에서 10분간 건조시키고, 도공면에 0.9mm 두께의 유리를 붙여서 시험편을 얻었다.
<내광성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시험편 각각에 대하여, UV흡수 스펙트럼의 λmax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이어서 55000루크스의 빛을 50시간(평가예 4 및 5에 대해서는 150시간) 조사한 후, 다시 UV흡수 스펙트럼의 λmax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고(평가예 5에 대해서는 가시광 영역 및 근적외 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UV흡수 스펙트럼의 λmax에서의 투과율을 측정), 조사 전의 투과율을 100으로 했을 때의 조사 후의 투과율의 비율을 구하여 내광성 평가로 하였다. 결과를 표 1~표 5에 나타낸다.
<내습열성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시험편 각각에 대하여, UV흡수 스펙트럼의 λmax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이어서 60℃/90%RH의 항온항습환경하로 조정한 항온항습조에 50시간 방치한 후, 다시 UV흡수 스펙트럼의 λmax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방치 전의 투과율을 100으로 했을 때의 방치 후의 투과율의 비율을 구하여 내습열성 평가로 하였다. 결과를 표 1~표 5에 나타낸다.
(평가예 1의 배합)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2.00mg
스멕타이트 또는 운모 배합은 표 1에 기재
아크릴계 점착제(DB Bond 5541: Diabond사 제품) 4.68g
메틸에틸케톤 1.99g
Figure 112007058603328-PCT00019
(평가예 2의 배합)
화합물 No.4의 육불화인산염 2.00mg
스멕타이트 또는 운모 배합은 표 2에 기재
아크릴계 점착제(DB Bond 5541: Diabond사 제품) 4.68g
메틸에틸케톤 1.99g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0
(평가예 3의 배합)
시아닌 화합물(표 3에 기재) 2.00mg
스멕타이트(**)
(친유성 스멕타이트: Lucentite SSN, CO-OP Chemical사 제품) 20.0mg
아크릴계 점착제(DB Bond 5541:Diabond사 제품) 4.68g
메틸에틸케톤 1.99g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1
(평가예 4의 배합)
화합물 No.49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염 25mg
스멕타이트(친유성 스멕타이트: Lucentite SSN-A, CO-OP Chemical사 제품)
배합은 표 4에 기재
아크릴계 점착제(DB Bond 5541: Diabond사 제품) 4.68g
메틸에틸케톤 1.99g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2
(평가예 5의 배합)
시아닌 화합물(표 5 기재) 2.00mg
디이모늄 화합물(표 5 기재) 25.0mg
스멕타이트(**)
(친유성 스멕타이트: Lucentite SSN-A, CO-OP Chemical사 제품) 75.0mg
아크릴계 점착제(DB Bond 5541: Diabond사 제품) 4.68g
메틸에틸케톤 1.99g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3
[실시예 1] 광학필터의 제조 1
하기의 배합으로 점착제용액을 조제하고, 밀착을 용이하게 처리한 188㎛ 두께의 PET필름에 상기 점착제용액을 바코터 #30에 의해 도포한 후, 100℃에서 10분간 건조시키고, PET필름 상에 두께 약 10미크론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학필터를 얻었다. 이 광학필터를 JASCO사 제품 자외가시근적외분광 광도계 V-570으로 측정한 바, λmax가 588nm이고 반치폭이 38nm였다.
(배합)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2.0mg
스멕타이트
(친유성 스멕타이트: Lucentite STN, CO-OP Chemical사 제품)
10mg
아크릴계 점착제(DB Bond 5541: Diabond사 제품) 20g
메틸에틸케톤 80g
[실시예 2] 광학필터의 제조 2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대신에 화합물 No.41의 과염소산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필터를 작성하고, 얻어진 광학필터를 JASCO사 제품 자외가시근적외분광 광도계 V-570으로 측정한 바, λmax는 551nm, 반치폭은 36nm였다.
[실시예 3] 광학필터의 제조 3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대신에 화합물 No.49의 과염소산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필터를 작성하고, 얻어진 광학필터를 JASCO사 제품 자외가시근적외분광 광도계 V-570으로 측정한 바, λmax는 1151nm, 반치폭은 34nm였다.
[실시예 4] 광학필터의 제조 4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DB Bond 5541 대신에 DX2-PDP-19(Nippon Shokubai사 제품)를 이용하고, 나아가 경화제로서 CORONATE L-55E(Nippon Polyuretane Industry사 제품)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필터를 작성하고, 얻어진 광학필터를 JASCO사 제품 자외가시근적외분광 광도계 V-570으로 측정한 바, λmax는 589nm, 반치폭은 38nm였다.
상기의 평가예, 비교평가예 및 실시예에서 이하의 것이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함유하는 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인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또는 No.4의 육불화인산염 및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인 Lucentite STN 또는 SPN(친유성 스멕타이트, CO-OP Chemical사 제품) 혹은 Somacif를 함유하는 평가예 1-1~1-8 및 평가예 2-1~2-3은 상기 층상점토광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평가예 1-1 및 2-1, 및 상기 층상점토광물 대신에 할로겐화은을 함유하는 비교평가예 1-2~1-4 및 2-2에 비해, 내광성이 약 1.1~1.3배이며, 내습열성은 약 2.2~11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함유하는 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인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No.41의 과염소산염, No.42의 과염소산염, No.43의 과염소산염 혹은 화합물 No.49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염 및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인 Lucentite SSN 또는 SSN-A(친유성 스멕타이트, CO-OP Chemical사 제품)를 함유하는 평가예 3-1~3-4 및 4-1~4-4는 상기 층상점토광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평가예 3-1~3-4 및 4-1~4-2에 비하여 내광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함유하는 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인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및 화합물 No.49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염, 및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인 Lucentite SSN-A(친유성 스멕타이트, CO-OP Chemical사 제품)를 동일층에 함유하는 평가예 5-1 및 5-2는 상기 층상점토광물을 함유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은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단독,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인 화합물 No.49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염 단독,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인 화합물 No.1의 과염소산염 및 화합물 No.49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염을 동일층에 이용한 비교평가예 5-1~5-3에 비하여 내광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색소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층상점토광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실용에 견딜 수 있는 내광성을 가지고, 특히 내습열성이 우수한 광학필터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광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한 광학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터는 화상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의 향상 및 외광의 비침 방지에 바람직하다.

Claims (13)

  1. 색소화합물(i)의 적어도 1종 및 층상점토광물(ii)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물질(iii)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점토광물(ii)이 스멕타이트 또는 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화합물(i)이 하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시아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화학식 1]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4
    (식 중, 환(A)은 하기 (a) 또는 (b)로 표현되는 기이며, 환(B)은 하기 (a) 또는 (c)로 표현되는 기이며, Q는 폴리메틴쇄를 구성하는 쇄 중에 환 구조를 포함하여도 좋은 연결기를 나타내고, 상기 폴리메틴쇄 중의 수소원자는 할로겐원자, 시 아노기, 수산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그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Anq -는 q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q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p는 전하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5
    (식 중, R1,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를 나태내고, R1 및 R2, R4 및 R5 혹은 R6 및 R7은 각각 연결하여 탄소원자수 3~12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으로, 산소원자, 유황원자, 셀렌원자, -CR8R9-, -NH- 또는 -NYa-를 나타내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 또는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Ya, Y1 및 Y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6
    (식 중, Ra~Ri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Z는 직접결합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7
    (식 중, R10~R13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10과 R11은 연결하여 탄소원자수 3~12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아닌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V)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화학식 5]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8
    (식 중, Y1, Y3, X1 및 X2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의 환(A)으로서 표시되는 기인 상기 (a) 및 (c)와 동일하며, Anq -, p, q 및 Q는 상기 일반식(I)과 동일하다.)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화합물(i)이 하기 일반식(V)으로 표현되는 디이모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화학식 6]
    Figure 112007058603328-PCT00029
    (식 중, R14,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2, R23, R24 및 R25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n은 1~4의 수를 나타내고, Anq-, p, q 및 Q는 상기 일반식(I)과 동일하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V)에 있어서의 Anq -로 나타내는 q가의 음이온이, 하기 일반식(VI)으로 표현되는 1가의 음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화학식 7]
    Figure 112007058603328-PCT00030
    (식 중, R26 및 R27은 각각 독립으로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화합물(i)로서,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시아닌 화합물, 및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디이모늄 화합물을 동일층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멕타이트가 친유성 스멕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물질(iii)이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화합물(i), 상기 층상점토광물(ii) 및 상기 열가소성물질(iii)이 점착제층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KR1020077018563A 2005-06-24 2006-06-09 광학필터 KR101246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5023 2005-06-24
JPJP-P-2005-00185023 2005-06-24
JP2006025518 2006-02-02
JPJP-P-2006-00025518 2006-02-02
JPJP-P-2006-00145534 2006-05-25
JP2006145534A JP5004506B2 (ja) 2005-06-24 2006-05-25 光学フィルター
PCT/JP2006/311579 WO2006137272A1 (ja) 2005-06-24 2006-06-09 光学フィル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983A true KR20080018983A (ko) 2008-02-29
KR101246151B1 KR101246151B1 (ko) 2013-03-20

Family

ID=3757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563A KR101246151B1 (ko) 2005-06-24 2006-06-09 광학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01843B2 (ko)
EP (1) EP1895335A4 (ko)
JP (1) JP5004506B2 (ko)
KR (1) KR101246151B1 (ko)
CN (1) CN101120271B (ko)
TW (1) TWI443388B (ko)
WO (1) WO2006137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8480B2 (ja) * 2004-11-25 2011-05-25 株式会社Adeka シアニ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及び光学記録媒体
JP4986457B2 (ja) 2005-04-05 2012-07-25 株式会社Adeka シアニン化合物、光学フィルター及び光学記録材料
US7986389B2 (en) * 2006-06-29 2011-07-26 Dai Nippon Printing Co.,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ter, adhesive layer having optical filter functions and composite filter
JPWO2008004611A1 (ja) * 2006-07-05 2009-12-03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ー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ー
JP2008058472A (ja) * 2006-08-30 2008-03-13 Nippon Kayaku Co Ltd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WO2008072537A1 (ja) * 2006-12-15 2008-06-19 Adeka Corporation 光学フィルター
JP2008250022A (ja) * 2007-03-30 2008-10-16 Adeka Corp 光学フィルター
JP5105355B2 (ja) * 2007-10-18 2012-12-26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粘着シート
JP2009276681A (ja) * 2008-05-16 2009-11-26 Nippon Kayaku Co Ltd ネオン光吸収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JP5913776B2 (ja) 2008-05-27 2016-04-27 株式会社Adeka 色補正材料、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ー
JP5109841B2 (ja) * 2008-07-09 2012-12-2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赤外線遮蔽膜形成用分散液と赤外線遮蔽膜形成用塗布液、赤外線遮蔽膜と赤外線遮蔽光学部材、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多層フィルターと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354733B2 (ja) * 2008-07-29 2013-11-2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431001B2 (ja) * 2009-04-01 2014-03-05 株式会社Adeka 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シアニン化合物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ター
US20100291706A1 (en) * 2009-05-15 2010-11-18 Millipore Corporation Dye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JP2011016879A (ja) * 2009-07-07 2011-01-27 Adeka Corp 蛍光消光材料、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ー
WO2011074425A1 (ja) * 2009-12-16 2011-06-23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KR20130091629A (ko) * 2010-06-23 2013-08-19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CN104379688B (zh) * 2012-11-01 2018-05-25 株式会社艾迪科 涂料及近红外线吸收滤波器
JP6564559B2 (ja) * 2013-05-10 2019-08-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KR102314403B1 (ko) * 2014-11-14 2021-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7075577B2 (ja) * 2018-01-30 2022-05-26 東ソー株式会社 層状化合物と金属錯体と多環芳香族化合物を含む波長変換材料
JPWO2020003056A1 (ja) 2018-06-29 2021-08-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表示装置、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079A (ja) * 1986-02-07 1987-08-12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部品の保持装置
JP3736576B2 (ja) * 1995-03-13 2006-01-18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紫外線重合型粘着剤組成物及び両面粘着テープ
JPH09279109A (ja) * 1996-04-16 1997-10-28 Asahi Optical Co Ltd 光学部品用接着剤
JPH1077427A (ja) 1996-07-10 1998-03-24 Sony Corp 水性インク組成物および着色複合体
JP3904096B2 (ja) * 1996-11-01 2007-04-11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0338325A (ja) * 1999-05-31 2000-12-08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反射防止膜
JP3517210B2 (ja) 2000-12-28 2004-04-12 日清紡績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材料
JP2003114323A (ja) * 2001-10-04 2003-04-18 Bridgestone Corp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
JP2002313140A (ja) * 2001-04-13 2002-10-25 Mitsui Chemicals Inc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タ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3021715A (ja) 2001-05-01 2003-01-24 Bridgestone Corp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
JP2003082302A (ja) 2001-09-13 2003-03-19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ディスプレイ用着色粘着剤付フィルム
JP2003337410A (ja) * 2002-05-20 2003-11-28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重合性組成物、光重合性画像形成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EP1391758A3 (en) * 2002-08-09 2004-06-16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element containing nanocomposite particles
JP2004107566A (ja) 2002-09-20 2004-04-08 Tomoegawa Paper Co Ltd ポリメチン系色素含有粘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フィルタ
KR101015647B1 (ko) * 2002-11-22 2011-02-22 닛뽕 카릿또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흡수색소 및 근적외선 차단필터
JP2004219668A (ja) * 2003-01-14 2004-08-05 Mitsui Chemicals Inc 液晶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ター、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275432A (ja) 2003-03-14 2004-10-07 Paloma Ind Ltd フライヤー
US7332257B2 (en) 2003-07-11 2008-02-1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JP4440720B2 (ja) * 2003-07-11 2010-03-24 旭硝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4277615B2 (ja) * 2003-08-01 2009-06-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組成物及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3698708B2 (ja) * 2003-08-07 2005-09-21 旭電化工業株式会社 シアニン化合物、光学記録材料及び光学記録媒体
JP2006514339A (ja) * 2003-08-19 2006-04-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フィルター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フィルター
EP1720918B1 (en) * 2004-02-23 2010-12-22 LG Chem, Ltd.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JP4592327B2 (ja) * 2004-05-18 2010-12-01 株式会社Adeka 光学フィルター
US20050280342A1 (en) * 2004-06-22 2005-12-22 Wenz Robert P Orange and NIR-absorbing optical adhesives for plasma displays
US20060068128A1 (en) * 2004-09-30 2006-03-30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film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JP2006163172A (ja) * 2004-12-09 2006-06-22 Hitachi Maxell Ltd 近赤外線遮蔽体及び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5524A1 (en) 2008-05-29
JP2007233323A (ja) 2007-09-13
US8501843B2 (en) 2013-08-06
EP1895335A4 (en) 2014-03-12
EP1895335A1 (en) 2008-03-05
JP5004506B2 (ja) 2012-08-22
KR101246151B1 (ko) 2013-03-20
CN101120271A (zh) 2008-02-06
TWI443388B (zh) 2014-07-01
WO2006137272A1 (ja) 2006-12-28
CN101120271B (zh)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151B1 (ko) 광학필터
KR101411899B1 (ko) 광학 필터
JP5535664B2 (ja) 色調補正剤、スクアリリウム化合物及び光学フィルター
JP5913776B2 (ja) 色補正材料、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ー
KR20070101792A (ko) 광학필터
JP4781123B2 (ja) 光学フィルター
KR20070078393A (ko) 광학필터
JP2011016879A (ja) 蛍光消光材料、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ー
JP2008250022A (ja) 光学フィルター
KR20090006850A (ko) 신규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사용한 광학필터 및 광학기록재료
KR101354109B1 (ko) 인돌화합물, 광학필터 및 광학기록 재료
JP5460079B2 (ja) 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ー
JP2007256717A (ja) 光学フィルター
JP5501716B2 (ja) シアニ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及び色補正材料
JP5420257B2 (ja) 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ー
JP2006162853A (ja) 光学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