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970A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970A
KR20080008970A KR1020070071873A KR20070071873A KR20080008970A KR 20080008970 A KR20080008970 A KR 20080008970A KR 1020070071873 A KR1020070071873 A KR 1020070071873A KR 20070071873 A KR20070071873 A KR 20070071873A KR 20080008970 A KR20080008970 A KR 2008000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etection terminal
connector
connector housing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483B1 (ko
Inventor
데츠야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검출 단자의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 앞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접촉부(19)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쇼트 단자(27)의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드 접촉부(19)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30)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특별히 두 커넥터 하우징(10,20)을 접속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물질이 제거된 접촉부(30)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가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접속 검출 기능을 갖는 커넥터, 각각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속 검출 기능을 갖는 커넥터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H10-41018에 공지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서로 접속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공정 시에 하향 탄성 변형될 수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하도록 탄성 복원되는 로크 아암을 구비한다. 로크 아암의 아래에는,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할 때에 로크 아암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탄성 변형되고, 로크 아암이 제1 검출 단자를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하도록 탄성 복원될 때에 탄성 복원되는 제1 검출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할 때에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 검출 단자를 포함한다. 이 제2 검출 단자는, 로크 아암이 제1 검출 단자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는 제1 검출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할 수 없고, 제1 검출 단자가 로크 아암에 의해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탄성 복원되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다.
두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 접속 상태는 제1 검출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제2 검출 단자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적절한 접속 상태는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도록 제1 검출 단자와 접촉하는 제2 검출 단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스 공정 중에 오일이 부착된 상기 제1 검출 단자의 외면에는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게 때문에, 두 커넥터 하우징은 이물질이 접촉부에 부착된 상태로 접속된다. 그 후, 제2 검출 단자가 접촉부와 접촉할 때에, 이물질이 전기적 접속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 하우징이 이미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도, 이물질을 검출할 수 없으며, 이로써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하여,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되기 전에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이물질 제거 작업은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고 귀찮은 작업이며, 전체적인 작업성이 낮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이 개선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작업성 및 접속 작업은, 상대 검출 단자의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함으로써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검출 단자로서,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부분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상대 검출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할 수 없고,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촉부에 접촉할 수 있는 검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대 검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검출 단자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단자와 상대 검출 단자의 접촉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적절 하게 접속되어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은 검출 단자의 접촉부 앞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상대 검출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접촉부는 검출 단자의 접촉부보다 접촉부를 향하여 더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은 검출 단자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를 구비하고, 이 보강 리브는 전후 방향을 따라 검출 단자보다 전방을 향하여 더 돌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강 리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검출 단자를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인 평판부와,
검출 단자의 측에서 평판부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측벽부 및/또는
실질적으로 검출 단자의 반대측에서 평판부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측벽부를 구비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접촉부는 보강 리브 상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상대 검출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검출 단자로서, 두 커넥터 하우징이 부분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대 검출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할 수 없고, 두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촉부에 접촉할 수 있는 검출 단자
를 구비하며, 특히 상기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또한 제공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검출 단자와 상대 검출 단자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단자와 상대 검출 단자의 접촉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은 검출 단자의 접촉부 앞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접촉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두 커넥터 하우징을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하는 로크 아암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은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됨에 따라 로크 아암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로크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됨에 따라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검출 단자는,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되어 상대 검출 단자를 가압하고 있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는 상대 검출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할 수 없고, 로크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상대 검출 단자를 가압 상태로부터 풀리게 하거나 자유롭게 하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접촉부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공정에서 로크 아암이 상대 검출 단자를 가압하기 전에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접촉부는 검출 단자의 접촉부보다 접촉부를 향하여 더 돌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서로 접속하는 단계로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상대 검출 단자가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검출 단자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 상대 검출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할 수 없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인 단계와 ,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검출 단자와 상대 검출 단자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검출 단자와 상대 검출 단자의 접촉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히 상기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 넥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 중에, 검출 단자의 접촉부 앞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접촉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접촉부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접속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과,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에 마련되며,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탄성 복원되어,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하는 것인 로크 아암과,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됨에 따라 로크 아암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로크 아암이 탄성 복원됨에 따라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탄성 복원되는 제1 검출 단자와,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되어 제1 검출 단자를 가압하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 제1 검출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할 수 없으며, 로크 아암이 탄성 복원되어 제1 검출 단자를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인 제2 검출 단자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며,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제1 검출 단자 및 제2 검출 단자에 의해 부분 접속되어 있는 것과,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제1 검출 단자와 제2 검출 단자의 접촉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제2 검출 단자의 접촉부 앞에 마련되는 슬라이드 접촉부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접촉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커넥터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제2 검출 단자의 접촉부 앞에 마련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 중에 제1 검출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접촉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 중에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되기 전에 이물질을 특별히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물질이 제거된 접촉부와 제2 검출 단자의 접촉부가 접촉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검출 단자의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접촉부는,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공정에서 로크 아암이 상대 검출 단자를 가압하기 전에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이 제1 검출 단자를 가압하고 탄성 변형시키기 전에 슬라이드 접촉부가 접촉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접촉부는 확실하게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접속 검출 기능의 신 뢰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접촉부는 제2 검출 단자의 접촉부보다 접촉부를 향하여 더 돌출한다.
슬라이드 접촉부가 제2 검출 단자의 접촉부보다 접촉부를 향하여 더 돌출하기 때문에, 접촉부가 슬라이드 접촉부와 접촉하기 전에 제2 검출 단자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을 추가의 실시예에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검출 단자의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적 정션 박스, 디스플레이 장치, 계기판 과 같은) 회로 기판 등이 있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와 접속되는 (바람직한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대응하는)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과, 이러한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과 접속될 수 있는 (바람직한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조적 요소에 있어서, 전후 방향(FBD)을 따라 접속되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측면을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도 1의 상측 및 하측을 상측 및 하측으로 지칭한다.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은, 전면(前面)이 개방되어 있는 리셉터클(11)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의 내부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한 쌍의 격벽(12)을 제공함으로써 2개 이상(예컨대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개별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은 하나 이상(예컨대 3개)의 분할 하우징(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각)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의 로크 아암(22)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4)가 (바람직하게는 각) 분할 하우징(13)에 대한 리셉터클(11)의 측방향 (바람직하게는 천장) 벽(11A)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또는 하향으로 돌출한다. 각 결합부(14)의 내면 또는 하면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는 후방을 향하여 하향 또는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 또는 절곡면(14A)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반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벽(11A) 및/또는 전후 방향(FB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실질적인 수평면(14B)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L 형상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단자(15)의 하나 이상의 선단부가 리셉터클(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면서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에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이들 단자(15) 중에서, 각 분할 하우징(13) 내의 최말단 또는 최상측 위치에 위치한 하나 이상(예컨대 2개)의 단자(15)는,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의 적어도 하나의 쇼트 단자(27; 바람직한 제1 검출 단자에 대응)와 접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출 단자(15A; 바람직한 제2 검출 단자에 대응)로서 기능한다. 검출 단자(15A)를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단자(15)가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에 마련된 암형 단자 피팅(21)에 접속될 수 있는 수형 단자(15B)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각 분할 하우징(13)에 마련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검출 단자(15A)는 리셉터클(11) 내에서 전후 방향(FBD)으로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보다 더 전방에 위치한 위치로 상향으로 또는 전방으로 돌출하므로, 검출 단자의 이러한 돌출 단부는 수형 단자(15B)의 단부들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거나 이들 단부들보다 더 많이 돌출한다. 각 검출 단자(15A)의 하면의 선단부[수형 단자(15B)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는 후술하는 쇼트 단자(27)의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16)로서 기능한다.
각 쌍의 검출 단자(15A)의 위에 또는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17)가 마련된다. 보강 리브(17)는 검출 단자(15A)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양 검출 단자(15A)의 상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인 평판부(17A)와, 이 평판부(17A)의 하면 또는 내면으로부터 하향 현수되거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하부 벽 부(17B)와, 평판부(17A)의 상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서 있거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상부 벽부(17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벽부(17C)와 하부 벽부(17B)는 전후 방향(FBD)으로 평판부(17A)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하부 벽부(17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검출 단자(15A) 사이에 및/또는 이들 검출 단자(15A)의 외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 하부 벽부의 하면 또는 내면은 검출 단자(15A)의 하면 또는 내면보다 더 하측에 또는 더 내측에 위치한다. 한 쌍의 검출 단자(15A) 사이에 배치된 하부 벽부(17B)는 검출 단자(15A) 사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할하고, 및/또는 양측 외면에 배치된 하부 벽부(17B)는 두 검출 단자(15A)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상부 벽부(17C)는 3개의 하부 벽부(17B)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상부 벽부(17C)의 상면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는 전방을 향하여 하향으로 또는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기울어지고, 로크 아암(22)의 충분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탈출부(18; escaping portion)로서 기능한다. 상부 벽부(17C)의 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반부)는 전후 방향(FBD)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11)의 천장벽(11A)과 상부 벽부(17C) 사이의 간극은 전단으로부터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협소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중간부(중앙부)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검출 단자(15A)가 보강 리브(17)의 하면을 따라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검출 단자의 상향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리브(17) 자체의 강성이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상부 벽부(17C) 및/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하부 벽부(17B)에 의해 개선되기 때문에, 검출 단자(15A)를 비틀리게 하는 힘에 의해 보강 리브(17)가 상향으로 탄성 변형될 가능성은 없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19)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특정의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위치에 유지된다.
각각의 분할 하우징(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이 중간 위치(또는 중앙 위치)에서 분할 하우징(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하나의 하우징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각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은 대응 분할 하우징(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실질적으로 블록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형 단자(15B)와 접속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21)은 수형 단자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각각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이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과 접속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을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하는 로크 아암(22)을 구비한다. 각 로크 아암(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의 전단면의 측방향 (바람직하게는 상부) 에지로부터 돌출하거나 뒤로 올려진 캔틸레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로크 아암(22)의 외면 또는 상면의 폭 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부)는 전후 방향(FB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하향 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오목부(23)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23)는 리셉터클(11)의 대응 결합부(14)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그러한 폭을 갖고, 리셉터클(11)의 결합부(14)와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24)가 바람직하게는 후단 근처의 오목부(23)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또는 상측으로 돌출한다. 각 돌출부(24)의 전면(前面)은 완만한 경사면(24A)으로 형성된다.
로크 아암(22)의 하면의 후단부[돌출부(24) 뒤의 부분]는, 로크 아암(22)이 하향 또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때에, 후술하는 쇼트 단자(27)를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거나 작동시키는 가압면 또는 작동면(22A)으로서 기능한다.
로크 아암(22)의 후단에는 조작부(25)가 마련되어 있다.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을 분리할 때에는, 상기 조작부(25)를 가압하거나 조작하여 로크 아암(22)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향 또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이로써 돌출부(24)와 결합부(14)가 분리되어 로킹이 해제된다.
쇼트 단자(2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단자 수용부(26)가 각 로크 아암(22)의 아래에 마련된다. 각 단자 수용부(26)의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자 수용부(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쇼트 단자(27)는, 바람직 하게는 특정의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펀칭되거나 절결된 전도성(바람직하게는 금속) 플레이트를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및/또는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의) 베이스부(28)와, 베이스부(28)의 전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탄성 접촉편(29)을 구비한다. 각 쇼트 단자(27)는 베이스부(28)의 존재에 의하여 단자 수용부(26) 내에 안정적인 자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28)의 후단에는, 베이스부(28)의 좌측, 우측 및/또는 후방 에지로부터 베이스부(28)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서 있거나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28A)이 마련되어 있다. 보호 벽(28A)은 전반적으로 탄성 접촉편(29)의 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이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 개구를 통하여 탄성 접촉편(29)을 향해 도입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쌍을 이룬 탄성 접촉편(29)은 바람직하게는 후단이 자유단인 캔틸레버의 형태이고, 전후 방향(FBD)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또는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진 경사부(29A)로서 기능하고, 경사부(29A) 뒤의 부분은 베이스부(28) 및/또는 전후 방향(FB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실질적인 수평부(29B)로서 기능한다. 외측 또는 상향으로 서 있거나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가압부(29C)가 각 자유단[각 수평부(29B)의 후단]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29C)는 보호 벽(28A)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상향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배치되고, 로크 아암(22)의 가압면(22A)에 의해 가압될 때에 보호 벽(28A)의 내부에 숨겨지게 된다.
접촉부(30)는 각 탄성 접촉편(29)에서 경사부(29A)와 수평부(29B) 사이의 경계에 또는 그 근처에 마련된다. 각 접촉부(30)는 대응 탄성 접촉편(29)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돔형의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의 각 보강 리브(17)의 선단에 또는 그 근처에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30)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접촉부(19)가 마련된다. 각 슬라이드 접촉부(19)는 검출 단자(15A)의 돌출 단부 바로 앞의 위치[접촉부(16) 바로 앞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접촉부(19)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벽부(17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돌출 길이를 갖도록 평판부(17A)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또는 내측으로 돌출하고,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보다 더 하향으로 또는 내측으로 [접촉부(30)를 향하여] 돌출한다. 각 슬라이드 접촉부(19)는 바람직하게는 대응 평판부(17A)의 전단 에지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D)으로 하부 벽부(17B)의 전단에 접속되어 접촉부(16)의 전방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각 슬라이드 접촉부(19)의 하면은 대응 접촉부(30)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접촉면(19A)으로서 기능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면(19A)은 접촉부(16)의 하면 또는 내면보다 더 하측에 또는 내측에 위치한다. 각각의 슬라이드 접촉면(19A)은 보강 리브(17)의 연장 방향[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방향(CD)에 평행한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슬라이드 접촉부(19)의 전방 바닥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부(19B)를 형성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접촉부(19)의 슬라이드 접촉면(19B)의 높이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에 자연적인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각 쇼트 단자(27)의 탄성 접촉편(19)에 있는 경사부(29A)의 전후 방향(FBD)으로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 즉 두 커넥터 하우징(10)이 접속될 때에 접촉부(30)보다 약간 아래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하나 이상의 각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은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대응 분할 하우징(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이 대응 분할 하우징(13)과 위치 결정된 상태로 그 분할 하우징 내로 가압될 때, 로크 아암(22)은 리셉터클(11)의 측방향 (천장) 벽(11A)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리셉터클(11)의 결합부(14)는 로크 아암(22)의 오목부(23)를 따라 통과한다. 그 후, 쇼트 단자(27)의 탄성 접촉편(29)의 전후 방향(FBD)으로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으로 경사부(29A)의 중간부]는 슬라이드 접촉부(19)[바람직하게는 이 접촉부의 라운드 부(19B)]와 접촉하게 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이 더욱 압입됨에 따라, 탄성 접촉편(29)은 슬라이드 접촉부(19)에 의해 가압되어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로크 아암(22)의 전단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리브(17)의 상부 벽부(17C)의 탈출부(18)를 지나서 이동하는 때에, 돌출부(24)의 경사면(24A)은 탈출부(14)의 경사면(14A)과 점진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로크 아암(22)은 약간 하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슬라이드 접촉부(19)[바람직하게는 이 접촉부의 라운드부(19B)]는, 전후 방향(FBD)l으로 각 탄성 접촉편(29)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중앙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경사부(29A)의 중간부]로부터 접촉부(30)에 이르기까지 각 탄성 접촉편(29)의 외면과 슬라이딩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에, 로크 아암(22)이 약간 변형되더라도, 가압면(22A)과 쇼트 단자(27)의 가압부(29C)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달리 말하면, 탄성 접촉편(29)은 로크 아암(22)에 의해 가압되기 전에는 슬라이드 접촉부(19)에 의해서만 가압된다.
접속 동작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슬라이드 접촉부(19)에 도달한 접촉부(30)는, 그 외면이 슬라이드 접촉면(19A)과 슬라이딩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단부로부터 슬라이드 접촉면(19A)의 후방 에지를 향하여 또는 그 후방 에지까지 진행한다. 예컨대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 개구와 쇼트 단자(27)의 보호 벽(28A) 사이의 작은 간극을 통하여 이물질이 들어와서 탄성 접촉편(29)의 접촉부(30)에 부착되게 되면, 이 때에 이물질이 슬라이드 접촉면(19A)으로부터 벗겨져 나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부(30)의 외면은, 이물질을 접촉부(30)의 외면으로부터 실질적 으로 제거하도록 슬라이드 접촉면(19A)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까지 본질적으로 청소된다. 또한, 로크 아암(22)이 탄성적으로 더욱 변형되고, 돌출부(24)가 경사면(14A)을 지나서 수평면(14B)에 도달한다.
접촉부(30)가 슬라이드 접촉면(19A)을 통과할 때에, 탄성 접촉편(29)은 슬라이드 접촉면(19A)과 검출 단자(15A)의 하면[접촉부(16)] 사이의 높이 차이만큼 탄성 복원 운동을 하려고 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2)은 결합부(14) 상에서 이동하는 돌출부(24)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하나 이상의 가압부(29C)의 상단부는 탄성 접촉편(29)이 약간 탄성 복원된 후에 가압면(22A)과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탄성 접촉편(29)이 로크 아암(22)에 의해 가압되어 더 이상 추가로 복원될 수 없기 때문에, 접촉부(30)는 접촉부(26)에 도달하지 않고 접촉부(16)로부터 간격을 두고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와 접촉부(30)는, 로크 아암(22)이 탄성 변형되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하지 않는다.
돌출부(24)가 결합부(14)를 넘어서 이동할 때에, 로크 아암(2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또는 추가로 탄성 복원)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4)를 결합부(14)와 결합시키며, 이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은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다. 또한, 탄성 접촉편(29)이 로크 아암(22)에 의해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로워져서 탄성 복원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접촉부(30)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와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와 접촉부(30)는, 로크 아암(2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접촉한 채로 유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 검출 단자(15A)는 쇼트 단자(27)의 접촉부(30)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쇼트되지 않으며, 이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부분 접속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접촉부(30)는 접촉부(16)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검출 단자(15A)를 쇼트시키며, 이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적절한 접속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은 [접속 방향(CD)에 대하여]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 앞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접촉부(19)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쇼트 단자(27)의 접촉부(30)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접촉부(19)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하여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30)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접속되기 전에 특별히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물질이 실질적으로 제거된 접촉부(30)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와 접촉하기 때문에,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쇼트 단자(27)의 접촉부(30)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여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접촉부(19)는 로크 아암(22)이 쇼트 단자(27)를 가압하기 전에 접촉부(30)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이들 접촉부(19, 30)는 확실하게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접촉부(19)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보다 [접촉부(30)를 향하여] 더 하향 또는 내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접촉부(19)와의 접촉 이전에 접촉부(30)와 접촉부(16)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검출 단자의 접촉부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10)은 [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검출 단자(15A)의 하나 이상의 접촉부(16) 앞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접촉부(19)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쇼트 단자(27)의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드 접촉부(19)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하여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30)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접속되기 전에 특별히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는 없다. 이물질이 제거된 접촉부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가 접촉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접속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로크 아암(22)이 쇼트 단자(27)를 가압하기 전에 슬라이드 접촉부(19)가 접촉부(30)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접촉부는 검출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하기 전에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것으로 충분하며, 슬라이드 접촉부는 검출 단자가 로크 아암에 의해 가압되어 약간 변위된 때에 접촉부와 접촉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접촉부(19)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 바로 앞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슬라이드 접촉부는 접촉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간격을 둔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접촉부(19)가 보강 리브(17)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리브 이외에, 슬라이드 접촉부를 구비한 부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접촉부(19)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보다 (하향 또는 내측으로) 접촉부(30)를 향하여 더 돌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슬라이드 접촉부는 접촉부로부터 돌출될 필요는 없는데, 즉 슬라이드 접촉면과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일 수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로크 아암(22)이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시소형 로크 아암에도 적용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접촉면(19A)이 접촉부(30)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금속판이나 강성 또는 경질의 재료로 제조된 판이 슬라이드 접촉면에 고착될 수도 있고, 슬라이드 접촉면 자체가 예컨대 금속 또는 연마 블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 후, 금속면이 접촉부의 외면과 접촉하여 소위 와이핑 효 과(wiping effect)를 얻고, 이로써 산화막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접촉부를 만족스럽게 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과 암형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2는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5는 쇼트 단자(shorting terminal)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슬라이드 접촉부가 접촉부(touching portion)와 슬라이딩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7은 두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8은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적절한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로 기판의 커넥터 하우징(다른 커넥터 하우징)
15A : 검출 단자(제2 검출 단자)
16 : 접촉부(contact portion)
19 : 슬라이드 접촉부
20 : 암형 커넥터 하우징(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22 : 로크 아암
27 : 쇼팅 단자(제2 검출 단자)
30 : 접촉부(touching portion)

Claims (10)

  1. 상대 커넥터 하우징(20)과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검출 단자(15A)로서, 커넥터 하우징(10)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20)과 부분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에 마련되는 상대 검출 단자(27)에 형성된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없고, 커넥터 하우징(10)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20)과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촉부(30)에 접촉할 수 있는 검출 단자
    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대 검출 단자(2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검출 단자(15A)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에 부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단자(15A)와 상대 검출 단자(27)의 접촉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0)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 앞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19)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19)는 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상대 검출 단자(27)의 접촉부(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10)과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30)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19)는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보다 접촉부(30)를 향하여 더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검출 단자(15A)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17)를 구비하고, 이 보강 리브(17)는 전후 방향(FBD)을 따라 검출 단자(15A)보다 전방을 향하여 더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1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검출 단자(15A)를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인 평판부(17A)와,
    검출 단자(15A)의 측에서 평판부(17A)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측벽부(17B)와,
    실질적으로 검출 단자(15A)의 반대측에서 평판부(17A)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측벽부(17C)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19)는 보강 리브(17) 상에 마련되는 것인 커넥터.
  6.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 및 상대 커넥터 하우징(20)과,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에 마련되는 상대 검출 단자(27) 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검출 단자(15A)로서,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부분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대 검출 단자(27)에 형성된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없고,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촉부(30)에 접촉할 수 있는 검출 단자
    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검출 단자(15A)와 상대 검출 단자(27)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부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단자(15A)와 상대 검출 단자(27)의 접촉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 앞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19)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접촉부(19)는 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접촉부(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접촉부(30)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접속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을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하는 로크 아암(22)이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에 마련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은 로크 아암(22)이 탄성 변형됨에 따라 로크 아암(2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로크 아암(2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됨에 따라 가압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상기 검출 단자(15A)는, 로크 아암(22)이 탄성 변형되어 상대 검출 단자(27)를 가압하고 있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는 상대 검출 단자(27)에 형성된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없고, 로크 아암(2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상대 검출 단자(27)를 가압 상태로부터 풀리게 하거나 자유롭게 하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19)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공정에서 로크 아암(22)이 상대 검출 단자(27)를 가압하기 전에 접촉부(30)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19)는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보다 접촉부(30)를 향하여 더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10. 커넥터 하우징(10)과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을 서로 접속하는 단계로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20)에 마련되는 상대 검출 단자(27)가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커 넥터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검출 단자(15A)는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부분 접속 상태에서 상대 검출 단자(27)에 형성된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없고,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부(30)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인 단계와 ,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검출 단자(15A)와 상대 검출 단자(27)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부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검출 단자(15A)와 상대 검출 단자(27)의 접촉에 의해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방법으로서,
    두 커넥터 하우징(10, 20)의 접속 동작 중에, 검출 단자(15A)의 접촉부(16) 앞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접촉부(19)가 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접촉부(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접촉부(3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20070071873A 2006-07-21 2007-07-18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0987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9547 2006-07-21
JP2006199547A JP2008027760A (ja) 2006-07-21 2006-07-21 嵌合検知機能を備えた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970A true KR20080008970A (ko) 2008-01-24
KR100987483B1 KR100987483B1 (ko) 2010-10-13

Family

ID=3847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73A KR100987483B1 (ko) 2006-07-21 2007-07-18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8197B2 (ko)
EP (1) EP1881569B1 (ko)
JP (1) JP2008027760A (ko)
KR (1) KR100987483B1 (ko)
CN (1) CN101136523B (ko)
DE (1) DE602007010549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97B1 (ko) * 2010-09-03 2013-04-0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5188B2 (en) * 2006-12-28 2011-09-27 Mannkind Corporation Powder feed system
JP5223777B2 (ja) 2009-05-27 2013-06-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7457B2 (ja) * 2011-11-18 2015-11-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47902B1 (ja) * 2012-02-24 2013-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85515B2 (ja) * 2013-04-26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92709B2 (ja) * 2013-05-22 2017-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6100118B2 (ja) * 2013-07-26 2017-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15026511A (ja) * 2013-07-26 2015-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6193060B2 (ja) * 2013-09-02 2017-09-0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JP2015060628A (ja) * 2013-09-17 2015-03-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99683A (ja) * 2013-11-19 2015-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40499B2 (ja) * 2015-12-22 2019-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9131B2 (ja) * 2016-07-29 2019-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30731B2 (ja) * 2017-10-25 2021-09-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091749B2 (ja) * 2018-03-20 2022-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27720A (ja) * 2018-08-10 2020-02-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6032B2 (ja) * 2019-08-07 2023-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232407B2 (ja) * 2019-08-09 2023-03-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40616B2 (ja) * 2020-09-24 2023-03-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4769A (en) * 1984-12-20 1988-05-17 Amp Incorporated Closed loop connector
US5009606A (en) * 1989-12-18 1991-04-23 Burndy Corporatio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US5562486A (en) * 1993-04-21 1996-10-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 detection connector
JP2939851B2 (ja) * 1993-09-24 1999-08-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嵌合接続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3149794B2 (ja) 1996-07-25 2001-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金具
JP3314862B2 (ja) * 1997-02-05 2002-08-19 住友電装株式会社 ロック検知コネクタ
JP4100271B2 (ja) * 2003-06-26 2008-06-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雄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94051A1 (ja) * 2006-02-14 2009-07-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97B1 (ko) * 2010-09-03 2013-04-0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6523A (zh) 2008-03-05
KR100987483B1 (ko) 2010-10-13
US20080020630A1 (en) 2008-01-24
EP1881569A2 (en) 2008-01-23
US7488197B2 (en) 2009-02-10
EP1881569B1 (en) 2010-11-17
DE602007010549D1 (de) 2010-12-30
JP2008027760A (ja) 2008-02-07
EP1881569A3 (en) 2009-07-15
CN101136523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483B1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US7458835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376777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10100694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6488524B2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JP2020068128A (ja) コネクタ
JP4613747B2 (ja) コネクタ
JP5510346B2 (ja) コネクタ
JP3264305B2 (ja) 結合検知装置を備えたコネクタ
EP1548894A1 (en) A connector
JP2001326032A (ja) 半嵌合検知コネクタ
US6422894B1 (en) Connector fitting detection construction
JP2003317867A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JP4816402B2 (ja) コネクタ及び検知端子
US11133622B2 (en) Connector with connection detection member
JP6178616B2 (ja) コネクタ
JP2001068219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4178823A (ja)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JP6270156B2 (ja) コネクタ
JP4210046B2 (ja) コネクタ
JP7123739B2 (ja) コネクタ
CN113228425B (zh) 连接器
KR101193324B1 (ko) 전기 커넥터 래치
JPH092737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