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05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05A
KR20080006605A KR1020077026239A KR20077026239A KR20080006605A KR 20080006605 A KR20080006605 A KR 20080006605A KR 1020077026239 A KR1020077026239 A KR 1020077026239A KR 20077026239 A KR20077026239 A KR 20077026239A KR 20080006605 A KR20080006605 A KR 20080006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xel
pixel addition
pixels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090B1 (ko
Inventor
마사미 유야마
츠요시 마츠나가
요시유키 가토
다케시 츠카고시
마사루 오노자와
쇼헤이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78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527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78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65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78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527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79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13275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5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resolution by using a singl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43Demosaicing, e.g. interpolating colour pixel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6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combining or binning pixels

Abstract

손 떨림 감소 모드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 설정될 시, 노출은 노말 모드용 프로그램 다이어그램(파선)(A)과는 다르게 떨림 감소 모드용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실선)(B)에 따라서 제어된다. 셔터 속도가 "1/80" 미만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2 개-픽셀 가산 및/또는 4 개-픽셀 가산은 ISO 감도를 발생시켜 피사체 밝기를 증폭하도록 촬상 신호에 관해 실행된다. 고속 범위에서 떨어지게 설정된 셔터 속도는, 촬영 동작 중 손 떨림 및/또는 피사체 이동으로 인한 화상 품질의 왜곡을 감소시킨다.
손 떨림 감소 모드, 피사체, 셔터 속도, CCD, 픽셀 가산, 픽셀 가산 유닛, 촬상 신호, ISO 감도, 마이크로 컴퓨터, 배터리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 화면 촬영시 카메라 몸체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떨림 방지 또는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손떨림 방지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광학 시스템이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된 촬상 렌즈 또는 광학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광학 시스템(가변 꼭지각 프리즘)이 구비된 배치물은 화상 위치가 촬상 소자 상에서 이동(광학 축의 이동)되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촬상 소자가 노출된다. 한편, 다른 배치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것은 촬상 소자 자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 촬상 소자는 노출된다. 일반적으로, 화상 위치 및/또는 촬상 소자 그 자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에는 떨림 방향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각각 2 개의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탐색 결과를 토대로 화상 위치 또는 촬상 소자의 이러한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참조,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 출원 제 2004-348147호).
그러나, 통상적인 기술은 단지 손떨림을 감소시킬 뿐 대상의 이동 또는 진동으로 인해서 화상 흔들림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상적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손떨림 및 대상의 이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단점을 줄일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라서,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과,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과,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 밝기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촬상 유닛이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제 1 노출 조정 유닛과, 그리고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 밝기가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경우,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촬상 유닛의 셔터 속도를 제어하는 제 2 노출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촬상 장치는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과,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과,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 밝기가 제 1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촬상 유닛이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서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제 1 노출 조정 유닛과, 그리고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 밝기가 제 2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서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제 2 노출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소정의 값은 제 1 소정의 값보다 낮으며,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 가산된 픽셀 수는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 가산된 픽셀 수보다 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가 각 필드에서 가산되도록 복수의 필드에서 촬상 유닛을 구동시키고,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모드에서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과,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픽셀 가산 유닛과, 픽셀 가산 처리가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을 확대하기 위해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확대 유닛과, 촬상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픽셀 가산 처리에서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과, 그리고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이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화상 확대 유닛이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변화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과,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픽셀 가산 유닛과, 픽셀 가산 유닛이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지 또는 실행하지 않도록 하게 하는지를 판별하는 선택 유닛과, 그리고 선택 유닛이 픽셀 가산 유닛으로 하여금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판별된 경우, 픽셀 가산 처리는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촬상 유닛에서 실행된 후,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을 확대하는 화상 확대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촬상 장치는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과, 촬상 유닛이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를 가산시키는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픽셀 가산 유닛과, 그리고 픽셀 공간에서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의 배치에 기초하여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픽셀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그리고 픽셀 공간은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실행된 픽셀 가산 처리 동안에 변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작동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2 개의 픽셀 가산 모드에서 촬상 신호를 판독해낼 수 있는 원리를 예시한 CCD의 개략도이다.
도 4는 2 개의 픽셀 가산 모드에서 판독된 촬상 신호를 구성하는 베이어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4 개의 픽셀 가산 모드에서의 촬상 신호를 판독해 낼 수 있는 원리를 예시한 CCD의 개략도이다.
도 6은 4 개의 픽셀 가산 모드에서 판독된 촬상 신호를 구성하는 베이어 데 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정지 화면 촬영 모드에서 실행되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8은 정지 화면 촬영 모드에서 실행되는 정지 화면 촬영 처리 순서도이다.
도 9는 픽셀 가산 계수가 "4 배"로 설정되는 경우, 실행되는 RGB 보간 처리에서의 타겟 픽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픽셀 가산 계수가 "4 배"로 설정되는 경우, 실행되는 RGB 보간 처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타겟 픽셀과 인접 픽셀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픽셀 가산 계수가 "4 배"로 설정되는 경우, 실행되는 RGB 보간 처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타겟 픽셀과 인접 픽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정지 화면 촬영 모드에서 실행되는 변형된 정지 화면 촬영 처리를 예시한 도 8의 상응되는 흐름도이다.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에 전자적 배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정지 화면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촬영 모드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렌즈 블록(2)을 갖추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1)에는 다양한 기능, 예컨대 줌 기능, AF(자동 초점 맞춤 기능), AE(자동 노출 설정 기능)등이 제공된다. 렌즈 블록(2)은 줌 렌즈 및 초점 렌즈를 구비한 렌즈 그룹, 조리개 및 셔터 장치(미도시)를 갖추고 있다.
엑츄에이터 블록(3)은 줌 렌즈 및 초점 렌즈를 구동시킬 수 있는 줌 모터 및 초점 맞춤 모터, 조리개를 구동시키고 설정할 수 있는 조리개 엑츄에이터, 및 상기 셔터를 개폐할 수 있도록 셔터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셔터 엑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기구는 2 개의 위치, 즉 폭이 넓은 개방위치 및 폭이 좁은 개방위치를 가진다. 구동 회로(4)는 엑츄에이터 블록(3)에서 2 개의 모터 및 2 개의 엑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를 갖추고 있다. 구동 회로(4)는 CPU(5)로부터 공급되는 지시를 기초로 다양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CPU(5)는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고 그리고 생성된 상기 구동 신호를 엑츄에이터 블록(3)에 공급하여 렌즈 블록(2)의 소자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셔터 장치는 전자 셔터로 교체될 수 있다.
추가로, 디지털 카메라(1)에는 렌즈 블록(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7), 프로그램가능한 게인 증폭기(PGA)(8), 및 A/D 컨버터(A/D)(9)를 통과하는 피사체의 입사 광을 수용하는 CCD(6)가 구비된다.
CCD(6)는 광 감지 표면을 갖춘 고체 상태의 촬상 장치이며, 여기서, 피사체의 광 화상이 형성되고, 광 감지 표면은 베이어 패턴의 기초 색상 필터로 커버된다. CCD(6)는 CPU(5)의 지시를 토대로, 타이밍 신호 생성기(TG)(10)에 의해 생성된 타이밍 신호를 토대로 수직/수평 드라이버(11)에 의해 구동되어, CCD(6)는 파사체의 광학 화상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촬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7)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수평 드라이버(11)는 CCD(6)와 연동하여 실시예의 픽셀 가산 유닛을 구성한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7)는 인가된 촬상 신호 상에 상관 이중 샘플링 조작을 실행하여 촬상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촬상 신호를 프로그램가능한 게임 증폭기(8)에 출력시킨다. 프로그램가능한 게인 증폭기(8)는 이것의 게인을 ISO 감도에 대응되는 것으로 조정하여 노이즈가 감소된 촬상 신호를 증폭시키게 한다. A/D 컨버터(9)는 프로그램가능한 게인 증폭기(8)로부터 공급된 촬상 신호를 샘플링하여 이것을 예정된 비트 수의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고 그리고 디지털 신호를 화상 처리 회로(12)에 출력시킨다.
CPU(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처리 회로(12)는 작업 메모리로서 SDRAM(13)을 사용하여 RGB 보간 처리, 인가된 디지털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를 기초로 각 픽셀에 RGB 색상 성분 데이터(이후, RGB 데이터)를 생성하는 RGB 보간 처리, 밝기 신호(Y) 및 색상 차 신호(U, V)를 포함한, 각 픽셀에 대한 YUV를 생성하도록 YUV 전환 처리, 및 화이트 밸런스 처리 및 가장자리 개선 처리를 포함한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처리 회로(12)에 의해 전환된 YUV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SDRAM(13)상에 저장된다.
SDRAM(13)에 저장된 YUB 데이터는 매시간 비디오 신호로 전환되고, 1 프레임 데이터가 SDRAM(13)에 저장되고, 그리고 비디오 화상이 백라이트가 제공된 액정 모니터(LCD)(15)에 공급되어, 스루우상이 액정 모니터(15)에 표시되게 한다. 정지 화면 촬영 모드에서 셔터 릴리스 키이로 촬영 조작이 실행될 때(셔터 릴리스 키이가 완전히 눌려질 때), SDRAM(13)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CPU(5)에 의해 압축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소정의 포맷으로 정지 화면 파일로서 외장 메모리(16)에 저장된다.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동영상 촬영 조작을 하는 동안, 소정의 프레임 속도에서 SDRAM(13)상에 저장된 복수 부분의 화상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CPU(5)에 의해 압축되고 최종적으로 동영상 파일로서 외장 메모리(16) 상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16)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 외장 메모리(16)에 저장된 정지 화면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은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필요에 따라 CPU(5)에 의해 판독되어 확장되고, 그리고 추가로 YUV 데이터로서 SDRAM(13)상에서 확장되어 액정 모니터(15)상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17)가 구비된다. CPU(5)에 의해 다양한 조작이 실행될 때,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1)에서의 AE 제어, AF 제어, AWB 제어 조작이 실행될 때,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사용되어 지도록 제어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플래쉬 메모리(17)에 저장된다. 특히 CPU(5)가 픽셀 가산 유닛, 위상 조정 유닛, 밝기 신호 또는 데이터 판독 유닛, 스위칭 유닛, 설정 유닛, 및 수신 유닛으로 작동되고, 이후에 기술되겠지만, 정지 화면을 촬영하는 동안 AE 제어 조작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플래쉬 메모리(17)상에 저장된다.
디지털 카메라(1)는 추가로, 셔터 릴리스 버튼, 전원 키이, 모드 선택 스위 치, 줌-업/다운 버튼 등(미도시)을 포함하는 키이 입력 유닛(18), 니켈-금속-하이드라이드 배터리와 같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19), 배터리(19)의 전력을 디지털 카메라(1)의 다양한 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 회로(20) 및 이들 소자의 조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21)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21)는 소정의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탐색하도록 키이 입력 유닛(18)에서 다양한 스위치의 상태를 스캐닝한다. 사용자가 스위치들 중 하나를 조작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1)가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제어 신호를 CPU(5)에 송신한다. 셔터 릴리스 버튼은 반-누름 기능, 예컨대, 반-가압 기능 및 완전 누름 기능을 가진다.
추가로, CPU(5)는 스트로브 광 회로(22)와 연결되며, 이것은 크세논 램프와 같은 발광 튜브 및 이것의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정지 화면 촬영 조작을 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보조 광을 방사한다. 디지털 카메라(1)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주변 사운드를 기록할 수 있는 오디오 기록 기능이 제공된다. CPU(5)는 마이크로폰(MIS)(23) 및 스피커(SP)(24)를 구비한 오디오 처리 블록(25)에 연결된다. 오디오 처리 블록(25)은 마이크로폰(23)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고 이 디지털 데이터를 CPU(5)로 공급한다. 한편, 오디오 처리 블록(23)은 동영상 파일과 함께 외장 메모리(1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4)를 구동시킬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로 전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래쉬 메모리(17)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다이어그램(100)을 기술할 것이다. 도 2는 프로그램 다이어그램(100)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지된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프로그램 다이어그램(100)은 보조 밝기 상태(Lv-값)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적절한 노출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촬영 조건을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100)은 셔터 릴리스 속도, 조리개 설정(F 값), 및 ISO 감도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것 이외에 픽셀 가산율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다이어그램(100)은 파선으로 표시된 노말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A) 및 실선으로 표시된 떨림 감소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B)을 가진다. 노말 모드에서 정지 화면을 촬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다이어그램(A)을 사용하고, 사전에 디지털 카메라(1)에 제공된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정지 화면을 촬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다이어그램(B)을 사용한다.
노말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A)(파선)은 예컨대, 노이즈가 촬상 신호에 감소되는 감도에 대해 "100" 이하의 ISO 감도(증폭기(8)의 게인)를 설정하는촬영 조건을 조합한 것을 나타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v-값이 "9"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서 어두운 경우, 셔터 릴리스 속도는 각 Lv-값에 대해 "1/64"이하로 설정된다. 한편, 떨림 감소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B)(실선)은 셔터 릴리스 속도를 가능한 "1/64" 이상의 속도, 예컨대 촬영 조작을 하는 동안 손 떨림이 일어나는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설정할 수 있는 촬영 조건의 조합을 나타내며, Lv-값과 관련하여, 설정되어지는 최대값인 "400"의 상한 제한선까지 증가하며, 픽셀 가산율은 설정되어지는 최대치인 "4 배"의 상한 제한선까지 증가한다.
프로그램 다이어그램(100)으로 표시된 ISO 감도, "50" 내지 "400"은 프로그 램가능한 증폭기(8)의 게인을 8db, 14db, 20db 및 26db로 설정함에 의해 획득된다. 프로그램가능한 증폭기(8)의 게인이 26db(ISO 감도 400)로 설정되고, 픽셀 가산율이 "2 배" 및 "4 배"로 설정되는 경우에서, 프로그램가능한 증폭기(8)의 게인이 ISO 감도 "800" 및 "1600"으로 설정될 시 획득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감도가 획득된다.
픽셀 가산율은 촬상 신호가 화상 촬영 동작에서 CCD(6)으로부터 판독될 때 가산되어지는 픽셀의 수에 대응되는 값으로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CCD(6)로부터 촬상 신호를 판독해낼 수 있는 노말 판독 모드 이외에, 2 개의 픽셀 가산 모드 및 4 개의 픽셀 가산 모드가 주어진다. 2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는, 2 개 픽셀의 신호가 가해져서 촬상 신호를 판독해낼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고, 4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는, 4 개 픽셀의 신호가 가해져서 촬상 신호를 판독할 수 있도록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가산된다. "2 배"의 픽셀 가산율은 CCD(6)의 구동 모드가 2 개-픽셀 가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지시하는 판독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이며, 이와 유사하게 "4 배"의 픽셀 모드는 CCD(6)의 구동 모드가 4 개-픽셀 가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지시하는 판독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이다.
2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 그리고 4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의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방법은 도면을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도 3A 및 3B는 2-픽셀 가산 모드에서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방법의 원리를 예시한 CCD(6)의 개략도이다. CCD(6)는 다수의 광학 감지 CCD들, 예컨대 픽셀(도 3A 및 3B의 R, G, B),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비광학 감지 CCD들을 갖춘 홀드 저장 부(HOLD), 수평 전달부(61), 수직 방향으로 각 CCD의 신호 인가를 전달하는 수직 전달부(미도시) 및 출력 회로(62)를 포함한다. 노말 판독 모드(미도시)는 일반 프레임 판독 처리에서 어떠한 픽셀을 가산하지 않고서 CCD(6)로부터 모든 픽셀(실시예에서는 5-메가 픽셀)의 인가 신호를 판독해낸다.
2 개-픽셀 가산 모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8 라인 2 필드씩 하나의 프레임의 인가 신호를 판독해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필드에서, 수직 방향에서 홀수 라인(15, 13, 11 등)의 신호 전하만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고 홀드 저장부(HOLD)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홀수 라인의 신호 전하를 가산하는 1-라인 전달 구간에 대해 1 라인의 인가 신호를 홀딩하는데, 즉, 동일 색상의 2 개 픽셀의 인가 신호가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고 수평 전달부(21)로 전달된다. 그리고, 홀수 라인 신호가 판독되어 나오며,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는 픽셀-색상 배열(R, G, R, G, 등)로 각각 이루어진 2 라인의 신호 전하를 포함하며, 이후에 모든 홀수 라인의 신호 전하가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도 3B에 도시된 제 필드에서, 수직 방향으로 짝수 라인(16, 14, 12 등)의 신호 전하가 제 1 필드와 유사한 유방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고, 짝수 라인 신호가 판독되고, 이것은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는 홀수 라인으로부터 다른 픽셀-색상 배열(G,B,G,B 등)으로 각각 이루어진 2 라인의 신호 전하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모든 짝수 라인의 신호 전하가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CCD(6)로부터 판독되는 촬상 신호로 이루어진 베이어 데이터의 개념적 다이어그램을 예시한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 수직 방향의 픽셀의 수는 전체 데이터의 절반(2.5메가-픽셀)이지만, 전체 픽셀 수의 픽셀 정보가 반영되고 전체 픽셀 값(밝기 정보)이 이중으로 증폭되는 베이어 데이터가 획득된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어 획득된 픽셀(R, G, B)과 수직 방향으로 가산됨으로써 획득되지 않은 픽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지 획득된 픽셀(R,G,B)을 포함하는 베이어데이터는 SDRAM(13)에 저장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2 개-픽셀 가산 처리가 이루어지는 픽셀(R, G, B)의 픽셀 위치가 가산되어지는 2 개 픽셀의 무게 중심에 위치된다.
도 5A 및 도 5B는 4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방법의 원리를 예시한, CCD(6)의 개략도이다. 2 개-픽셀 가산 모드와 유사하게, 4 개-픽셀 가산 모드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4/8 라인 2 필드씩 1 프레임의 신호 전하를 판독해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예시된 제 1 필드에서, 수직 방향의 홀수 라인(15, 13, 11 등)의 신호 전하는 단지 수직 방향으로만 전달되고, 그리고 홀드 저장부(HOLD)는 단지 1 라인 전달 구간에서 서로 인접한 2 개의 홀수 라인의 인가 신호를 가산하도록 1 라인의 인가 신호를 홀딩시키는데, 즉, 동일 색상의 2 개 픽셀의 신호 전하는 수직 방향(수직 가산)으로 가산되고 수평 전달부(61)로 전달된다. 수평 전달부(61)에서, 수직 방향으로 가산된 2 개 픽셀의 신호 전하가 전달될 때의 타이밍에서, 수직 방향으로 가산된 다음의 신호는 수평 방향으로 2 픽셀 씩 이동되어 이전 신호 전하(수평 가산)에 가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 픽셀-색상 배열 로 각각 이루어진 2 개 라인의 신호 전하는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고(수직방향으로 가산된 신호 전하), 그리고 동일 색상의 2 개 픽셀의 신호 전하는 동일 라인상에서 모두 다른 픽셀 위치에서 위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가산된다(수평방향으로 가산된 신호 전하). 그리고, 홀수 라인 신호는 수평 신호 전하가 가산된 수직 가산 신호 전하로 이루어져서 판독된다. 이후에, 모든 홀수 신호의 신호 전하가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나온다.
이와 유사하게, 도 5B에 예시된 제 2 필드에서, 수직 가산 및 수평 가산은 수직 방향으로 짝수 라인(16, 14, 12 등)의 신호 전하 상에서 작용하고, 즉, 홀수 라인으로부터 각각 다른 픽셀-색상 배열(G, B, G, B 등)로 이루어진 2 라인의 신호 전하가 수직 방향으로 가산되고(수직하게 가산된 신호 전하), 그리고 동일 색상의 2 개 픽셀의 신호 전하는 동일 라인 상에서 모두 다른 픽셀 위치에 위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가산된다(수평 가산 신호 전하).
짝수 라인 신호가 판독되어 지는데, 이것은 수평 가산 신호가 가산되는 수직 가산 신호 전하로 이루어진다. 이후에, 모든 짝수 라인의 신호 전하는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진다.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CCD(6)로부터 판독되는 촬상 신호로 이루어진 베이어 데이터의 개념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픽셀 가산 모드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에서의 픽셀 수는 전체 데이터의 1/2(1.25 메가 픽셀)이지만, 전체 수의 픽셀의 픽셀 정보가 반영되고 전체 픽셀 값(밝기 정보)이 4 배 증폭된 베이어 데이터가 획득된다. 도 6은 상술된 바와 같이 수직 가산 및 수평 가산에 의해 획득된 픽셀(R, G, B)과 수직 가산 및 수평 가산에 의해 획득되지 않은 픽셀 사이에서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지만, 획득된 픽셀(R, G, B)만을 포함하는 베이어 데이터는 SDRAM(13)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픽셀 가산 처리로 실행된 픽셀(R, G, B)의 픽셀 위치는 가산되기 위해 2 개의 픽셀의 무게 중심에 위치한다.
상술된 디지털 카메라(1)의 구성 동작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7은 사용자가 모드 선택 스위칭을 조작하여 정치 화면 촬영 모드가 디지털 카메라(1)에서 설정된 경우, CPU(5)에 의해 실행된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의 순서도에서, AF 제어의 동작 및 AWB 제어 동작은 생략한다.
정지 화면 촬영 모드에서, CPU(5)는 CCD(6)가 소정의 스루우율의 타이밍에서 촬상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게 하고, CCD(6)의 촬상 동작에서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루우상을 발생시키고, 단계(SA1)에서 액정 모니터(15)에 스루우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또한, 스루우상이 나타나면서, CPU(5)는 다양한 키이 동작에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지만, 사용자의 동작에 응하여 떨림 감소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스루우상이 성공적으로 획득하면, AE 처리는 스루우상이 적절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스루우 상을 표시하는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스루우상이 표시되면서 셔터 릴리스 버튼이 반-정도 눌려졌다고 판별된 경우(단계(SA2)에서 YES), 단계(SA3)에서 CPU(5)는 촬상 동작에 앞서 획득되거나 판독된 화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밝기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 밝 기(Lv-값)를 판별한다. 또한, 단계(SA4)에서 CPU(5)는 떨림 감소 모드가 디지털 카메라(1)에 설정되어는지 또는 설정되어있지 않은지를 판별한다.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단계(SA4)에서 NO), 단계(SA3)에서 획득된 피사체 밝기(Lv-값)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단계(SA6)에서 노말 모드용 프로그램 다이어그램(100)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A)(파선)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한편,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단계(SA4)에서 YES), 단계(SA3)에서 획득된 피사체 밝기(Lv-값)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단계(SA5)에서 떨림 감소 모드용 프로그램 다이어그램(B)(실선)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그 후, 셔터 릴리스 버튼이 완전한-정도로 눌려지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단계(SA7)에서 NO), CPU(5)의 동작은 단계(SA2)로 돌아가고, 단계(SA2)에서 셔터릴리스 버튼이 반-정도는 눌려졌다고 판별된 경우, 단계(SA3 내지 SA6)에서의 처리는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셔터 릴리스 버튼이 반-정도 눌려지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단계(SA2)에서 NO), CPU(5)는 셔터의 반-정도 처리 동작을 대기한다. 셔터 릴리스 버튼이 반-정도 눌려진 상태에서 풀림없이 완전한-정도로 눌려졌다고 판별된 경우(단계(SA7)에서 YES), CPU(5)는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해 마지막에 판별된 촬영 조건으로 정지 화면 촬영 처리를 단계(SA8)에서 실행하고, 단계(SA9)에서 외부 메모리(16)에 동일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압축한다. 그 후, CPU(5)는 단계(SA1)로 돌아오고 상술된 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정지 화면 촬영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단계(SA8)에서 CPU(5)에 의해 실행된 정지 화면 촬영 처리의 순서도이다. 단계(SB1)에서, CPU(5)는 화상 촬영의 시점에서 판별된 촬영 조건에 의해 주어진 셔터 속도 및 조리개(F 값)에 기초하여 CCD(6) 상의 노출량을 조정하고, 그리고 촬영 조건에 의해 주어진 픽셀 가산율로 다음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B2)에서, 픽셀 가산율이 "1"로 설정된 경우, 즉,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되고 피사체 밝기(Lv-값)가 "8" 미만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떨림 감소 모드에 상관없이, CCD(6) 상의 모든 픽셀의 신호 전하를 구성하는 촬상 신호는, 화상 촬영에서 판별된 촬영 조건에 의해 주어진 ISO 감도에 대응하는 게인을 설정하는 프로그램가능한 게인 증폭기(8)로 노말 판독 모드에서 판독된다(단계(SB3)). 그 후, A/D 전환기(9)는 디지털 촬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에 관해 A/D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처리 회로(12)는 타겟 픽셀이 가지지 않은 색상 성분에 기초하여, 동일한 색상 성분을 가지는 주변 픽셀의 픽셀 값의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각 픽셀용 RGB 색상 성분 데이터(이하에서, 'RGB 데이터'라 칭함)를 발생시키기 위해 디지털 촬상 신호에 관해 RGB 보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회로(12)는 밝기 성분(Y) 및 색상-차 성분(Cb, Cr)을 포함하는 각 픽셀용 YUV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해 RGB 색상 성분 데이터에 관해 YUV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B4)).
단계(SB2)에서, 픽셀 가산율이 "4 배"로 설정된 경우, 즉,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되고 피사체 밝기(Lv-값)가 "6"보다 크기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가능한 게인 증폭기(8)의 게인으로 26db로 설정된 상태에서(ISO 감 도 400), 단계(SB5)에서, CCD(6)는 4 개-픽셀 가산 모드를 구동하여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픽셀 수의 절반인 1.25 메가 픽셀의 신호 전하를 구성하는 촬상 신호를 판독한다.
CCD(6)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는 디지털 촬상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A/D 전환기(9)DP 의해 A/D 전환 처리로 실행되고, 그리고 디지털 촬상 신호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위상 조정 처리로 더 실행되어, 단계(SB6)에서 신규 베이어 데이터가 획득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처리를 설명한다. 4 개의 픽셀 부가 동작에 의해 얻어진 베이어 데이터에 포함된 각 픽셀은 CCD(6)의 광 감지면 상에서 픽셀 공간에 인가된 본래의 4 개 픽셀의 무게 중심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픽셀들 사이의 거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지 않다. RGB 보간 처리가 베이어 데이터에서 실행되는경우, 즉 타겟 픽셀(200)이 R-픽셀라고 가정하에 타겟 픽셀의 G-성분 데이터가 주변에 위치한 4 개의 B-픽셀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타겟 픽셀의 B-성분 데이터가 주변에 위치한 4 개의 B-픽셀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경우, 올바른 G-성분 데이터 및 B-성분 데이터는 획득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색상 성분들의 위상들이 이동되어, 최종 화상을 울쑥불쑥(jaggy)하게 한다.
위상 조정 처리는 베이어 데이터를 재구축하도록 베이어에 포함된 각 픽셀의 픽셀값들을, 픽셀 공간내에 근접한 픽셀들과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픽셀의 픽셀값으로 전환시켜서, 울쑥불쑥한 현상을 최종 화상에서 방지한다. 도 10은 수평 방향으로 위상 조정 처리를 나타낸 베이어 데이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색상의 신 규 픽셀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색상 등의 2 개의 인접한 픽셀들 사이 간격의 3/8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그 후, 신규 픽셀들 사이의 모든 간격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규 픽셀의 픽셀 값은 신규 픽셀에 대한 각각의 거리에 따라서 신규 픽셀 등의 양측에 위치된 동일 색상의 본래 픽셀들의 픽셀값의 가중평균값으로서 획득되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R-픽셀(200)은 R-픽셀들(201 및 20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R-픽셀들(201 및 202) 사이의 간격에서 3/8만큼 R-픽셀(201)로부터 이격되고, 5/8만큼 R-픽셀(202)로부터 이격된다. 신규 R-픽셀(200)의 픽셀값은 신규 R-픽셀(200)에 대한 각각의 간격에 기초하여 계산된 R-픽셀들(201 및 202)의 픽셀 값들의 가중평균값(R-픽셀(201)의 생성값에 5/8 배하고 R-픽셀(202)의 생성값에 3/8 배하여 가산함)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베이어 데이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신규 R-픽셀들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구축된다. 도 11은 수직 방향으로 위상 조정 처리를 나타낸 베이어 데이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신규 픽셀의 데이터는 수평 방향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직 방향에서 획득되고, 베이어 데이터는 그러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구축된다.
위상 조정 처리가 행해진 픽셀들을 사용하여 재구축된 베이어 데이터는 RGB 색상 성분 데이터(RGB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RGB 보간 처리가 더 실행되어야 한다. 발생된 RGB 데이터는 단계(SB7)에서 밝기 성분(Y) 및 색상-차 성분(Cb, Cr)을 포함한 각 픽셀용 YUV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YUV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발생된 YUV 데이터는 4 개의 픽셀 가산에서 소실된 보간 픽셀들에 대해 수평수직 방향으로 확대 처리(2 배)를 실행하여, 단계(SB8)에서 "1"로 설정된 픽셀 가산율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로서 픽셀들의 동일 수(5 메가-픽셀)로 구성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픽셀들은 잘 알려진 디지털 줌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확대 처리에서 보간된다(근접한 픽셀들과의 선형보간).
다음으로, 픽셀 가산율이 도 8의 단계(SB2)에서 "2"로 설정된 경우, 즉,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되고 피사체의 밝기(Lv-값)가 "6" 과 "7" 사이에 있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서, CCD(6)는 단계(SB9)에서 2.5 메가-픽셀(수직방향의 픽셀수는 수직 방향에서 픽셀 총수의 2분의 1)의 신호 전하를 판독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게인 증폭기(8)의 게인을 26 db(ISO 감도 : 400)로 설정한 상태에서 2 개-픽셀 가산모드로 구동된다.
판독된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는 디지털 촬상 신호로 A/D 전환된다. 디지털 촬상 신호는 단계(SB10)에서 신규 베이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위상 조정 장치를 실행한다. 위상 조정 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픽셀 가산율이 "4"로 설정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실행된 위상 조정 처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신규 베이어 데이터에 관해 실행된다.
위상 조정 처리가 실행된 베이어 데이터는 RGB 색상 성분 데이터(RGB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RGB 보간 처리를 더 실행한다. 발생된 RGB 데이터는 단계(SB11)에서 밝기 성분(Y) 및 색상-차 성분(Cb, Cr)을 포함한 각 픽셀용 YUV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YUV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발생된 YUV 데이터는 수직방향으로 확대 처리(2 배)를 실행하여, 2 개-픽셀 가산에서 소실된 픽셀들은 픽셀 가산 율이 단계(SB12)에서 "1"로 설정된 상태에서 생성된 화상데이터로서 픽셀들의 동일 수(5 메가-픽셀)를 가지는 기록용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보간된다. 픽셀들은 잘 알려진 디지털 줌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확대 처리에서 보간된다(근접한 픽셀들과의 선형 보상).
CPU(5)가 단계(SB4, SB8 또는 SB12) 중 어느 실행을 종료할 시 정지 화면 촬영 처리는 종료되고, CPU(5)는 도 7에 도시된 처리로 되돌아 가서, 상술된 처리 중 어느 처리에서 발생된 YUV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압축시키고,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
상술된 정지 화면 촬영 처리에서, CCD(6)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는 RGB 데이터 내의 색상 성분의 위상 이동이 RGB 보간 처리를 실행하는 픽셀 가산 처리로 실행된다(2 개-픽셀 가산, 4 개-픽셀 가산). 그러므로, 베이어 데이터는 RGB 데이터의 색상 성분에서 위상 이동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위상 조정 처리로 실행되어, 신규 베이어 데이터가 재구축된다. 그 후, RGB 보간 처리는 상술된 바와 같이. 신규로 재구축된 베이어 데이터로 실행된다. 그러나, 위상 조정 처리는 RGB 보간 처리 중 실행될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순서도에 상응한 변형된 정지 화면 촬영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변형된 정지 화면 촬영 처리에서, CPU(5)는 셔터 속도와, 화상 촬영시 판별된 촬영조건에 의해 정해진 조리개(F-값)에 기초하여 CCD(6)의 노출량을 단계(SC1)에서 조정하고 촬영조건에 의해 정해진 픽셀 가산율에 따라서 다음 처리를 실행한 다.
단계(SC2)에서 픽셀 가산율이 "1"로 설정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도 8의 단계(SB3 및 SB4)에서 동일한 처리는 도 12의 단계(SC3 및 SC4)에서 실행되고, CPU(5)는 화상 처리 유닛(12)이 단계(SC5)에서 YUV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단계(SC2)에서 픽셀 가산율이 "4"로 설정되었다고 판별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 가능한 증폭기(8)의 게인이 26db(ISO 감도: 400)로 설정된 상태에서 CCD(6)를 4 개-픽셀 가산모드로 구동시키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픽셀들 총 수의 2 분의 1로 구성되는) 1.25 메가-픽셀들의 신호 전하를 포함하는 촬상 신호는 단계(SC6)에서 판독된다.
촬상 신호가 디지털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로 전환되고, 그리고 디지털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는 단계(SC7)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상 조정 장치를 포함한 RGB 보간 처리로 실행된다. 현재 RGB 보간 처리에서는 단계(SC4)에서 실행된 일반적 보간 처리와는 다르게, 타겟 픽셀이 가지지 않는 색상 성분 데이터는 타겟 픽셀 주위에 위치된 색상 성분 데이터 등을 가지는 픽셀들의 픽셀값의 간단한 평균값이 아니라, 타겟 픽셀에 대해 그 간격에 따라서 타겟 픽셀 주위에 위치한 픽셀들의 픽셀값들로부터 계산된 가중평균값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타겟 픽셀이 도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R 성분을 가지는 R-픽셀인 경우, G 성분 데이터는 R-픽셀 주위에 위치한 4 개의 G-픽셀들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B 성분 데이터도 R-픽셀 주위에 위치한 4 개의 B-픽셀들에 기초하여 발생된다. 이 경우에서, 각 픽셀은 상술된 4 개-픽셀 추가모드에서 판별되고, 타겟 픽 셀(r-픽셀)과 인접한 4 개의 픽셀들(G픽셀 또는 G-픽셀들) 사이의 거리들은 도 9에도시된 바와 같이 CCD(6)의 광감지 표면 상에 픽셀들 사이의 위치적 관계(4 개의 픽셀들의 무게 중심 사이에서 위치적 관계)가 동일하지 않다. 그러므로, 타겟 픽셀 주위에 위치한 픽셀들의 픽셀값들의 평균이 타겟 픽셀의 픽셀값으로써 사용되는 경우에서, 색상성분에서 위상 이동이 일어나며, 최종 화상에서 울쑥불쑥한 현상이 발생된다. 상술된 처리에서, 타겟 픽셀 주위에 위치한 4 개의 픽셀의 픽셀값은 거리에 따른 비율을 가중치화함으로써 타겟 픽셀과 각각 곱해지게 되고, 그리고 가중치화된 4 개 픽셀의 픽셀값 평균은 타겟 픽셀의 픽셀값으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값의 픽셀값(픽셀(200))을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동일한 수평선 상에 타겟 픽셀(200) 옆에 위치한 2 개의 픽셀(R-픽셀(201, 202)) 사이의 거리가 "8" 인 경우, 그리고 R-픽셀(201)과 타겟 픽셀(200) 사이의 수평거리가 "3" 인 경우, 그리고 R-픽셀(202)과 타겟 픽셀(200) 사이의 수평거리가 "5" 인 경우, 좌측에서의 픽셀(R-픽셀(201))용 가중치 계수는 "5/8"로 설정되고, 우측에서의 픽셀(R-픽셀(202))용 가중치 계수는 "3/8"로 설정된다. 픽셀들(201, 202)의 픽셀값은 가중치율에 의해 각각 곱해지게 되어, 가중치화된 픽셀값들을 획득한다. 이러한 가중치화된 픽셀 값들의 평균은 타겟 픽셀(200)의 픽셀 값들로서 계산되고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픽셀 값들은 수평방향으로만 가중치화가 적용되지만, 픽셀 값들은 실제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가중치화될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직방향에서도 가중치화된다.
그 후, 위상 조정 처리를 포함하는 RGB 보간 처리에서 발생된 각 픽셀용 RGB 데이터는 단계(SC8)에서 각 픽셀용 YUV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YUV 전환처리로 실행된다. 또한, 발생된 YUV 데이터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대 처리(2 배)로 실행되어, 4 개 픽셀 가산에 소실된 픽셀들은 단계(SC9)에서 2 개-픽셀 가산에서 소실된 픽셀들은 픽셀 가산율이 단계(SB12)에서 "1"로 설정된 상태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로서 픽셀들의 동일 수(5 메가-픽셀)를 가지는 기록용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보간된다.
단계(SC2)에서 픽셀 가산율이 "이중" 또는 "2 배"로 설정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한다. CCD(6)는 촬상 신호, 즉 단계(SC10)에서 2.5 메가-픽셀(수직방향의 픽셀수는 수직 방향에서 픽셀 총수의 2분의 1)의 신호 전하를 판독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게인 증폭기(8)의 게인을 26 db(ISO 감도 : 400)로 설정한 상태에서 2 개-픽셀 가산모드로 구동된다.
판독된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는 디지털 촬상 신호로 A/D 전환된다. 화상 처리 유닛(12)은 단계(SC11)에서 디지털 촬상 신호(베이어 데이터)에 관한 위상 조정 처리를 포함하는 RGB 보간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C7)에서 실행된 RGB 보간 처리와는 다르게, 단계(SC11)에서의 RGB 보간 처리에서, 타겟 픽셀이 가지지 않은 색상 성분 데이터가 타겟 픽셀 주위에 위치하고 그러한 색상 성분 데이터를 가지는 픽셀들(근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으로부터 획득될 시, 근접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픽셀들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 계수들로 수직 방향으로만 타겟 픽셀과 각각 가중치화되어, 근접한 픽셀들의 가중치화된 픽셀값들은 타겟 픽셀의 픽셀값으로서 사용되고, 색상 성분에서 위상 이동이 없는 각 픽셀용 RGB 데이터가 발생된다.
그 후, 위상 조정 처리를 포함한 RGB 보간 처리에서 발생된 각 픽셀용 RGB 데이터는 단계 SC12에서 각 픽셀용 YUV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 YUV 전환 처리로 실행된다. 또한, 발생된 YUV 데이터는 수직 방향으로 확대 처리(2 배)로 실행되어, 2 개의 픽셀 가산에서 소실된 픽셀들은 단계(SC13)에서 "1"로 설정된 픽셀 가산율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로서 픽셀들의 동일 수(5 메가-픽셀)를 가진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보간된다.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울쑥불쑥한 현상이 최종 화상에서 나타내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에서, 떨림 감소 모드가 설정될 시, 피사체 밝기용 셔터 릴리스 속도가 노말 촬영 모드에서 손 떨림 또는 피사체 흔들림을 예상한 제어용 셔터 릴리스 속도보다 낮도록 된 피사체 밝기인 경우조차도, 적당한 노출은 2 개의 픽셀 가산 또는 4 개의 픽셀 가산에 의해 촬영된 화상 밝기를 증폭함으로써 확보된다. 그러므로, 높은 범위에서 셔터 릴리스 속도를 유지하면서, 손 떨림 또는 피사체 이동으로 인한 화상 품질의 왜곡은 정지 화면 촬영 동작 동안 감소된다. 그 결과, 디지털 카메라가 고 신뢰성의 떨림 감소 기능으로 구비되어 이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사체가 어둡거나 밝은 장소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 피사체 이동으로 인한 카메라 흔들림 및/또는 화상 흔들림이 발생하더라고,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감소 기능으로 선명한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2 개-픽셀 가산 및/또는 4 개-픽셀 가산은 촬상 신호의 밝기를 증폭하기 때문에, 화상 품질은 프로그램이 가능한 게인 증폭기(8)의 게인이 높은 셔터 속도를 발생한 경우와는 다르게 왜곡되지 않는다.
밝은 피사체를 촬영할 시, 2 개-픽셀 가산 또는 4 개-픽셀 가산은 실행되지 않으며, 그리고 픽셀 모두의 화상 데이터는 CCD(6)로부터 판독된다. 그러므로, 픽셀 수는 쓸모없게 감소되지 않고, 촬영된 화상의 품질은 왜곡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픽셀 가산 모드(실시예에서 CCD(6)로부터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모드)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시점에서 피사체 밝기(Lv)에 따라 선택되지만, 픽셀 가산 모드는 AE 제어에 의해 판별된 셔터 속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촬상 신호가 CCD(6)로부터 판독될 시 CCD(6)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대한 픽셀 가산(2 개-픽셀 가산 또는 4 개-픽셀 가산)은 CCD(6)에서 실행되지만, 유사한 픽셀 가산은 임의의 하드웨어나 CPU(5)용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CCD(6)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실행될 수 있다.
픽셀 가산은 베이어 데이터에서 픽셀에 대해 실행되기 위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RGB 보간 처리로 실행되는 RGB 데이터에 대해, 그리고 YUV 전한처리에 의해 발생된 Y 데이터, Cb 데이터 및 Cr 데이터에 대해 실행될 수 있다.
픽셀 가산에 의해, 위상 이동은 RGB 보간 처리로 실행되는 RGB 데이터의 색상 성분에서 일어날 수 있고, 그러한 위상 이동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위상 조정은 RGB 보간 처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GB 데이터상에 실행되기 전에 실행되지만, 그러나 위상 조정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에서 RGB 보간 처리 동안에 실행될 수 있다. 위상 조정은 RGB 보간 처리가 실행되기 전 베이어 데이터에 관해 실행되는 경우, RGB 보간 처리는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리고 사전에 준비된 보간 처리 회로 및 보간 처리 프로그램은 변형 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변형된 실시예에서 RGB 보간 처리를 하는 동안 위상 조정이 실행되는 경우에서, 베이어 데이터만을 재구축하기 위해 사용된 위상 조정 회로 및/또는 위상 조정 프로그램은 필요하지 않다.
4 개-픽셀 가산이 촬상 신호에 영향을 받을 시, 위상 조정은 수직 및 수평 방향에서 동일한 신호에 관해 실행될 수 있지만,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어는 것에서만 위상 조정을 실행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품질의 화상은 수직 및 수평 방향 둘 다에서 실행된 위상 조정에 의해 획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픽셀 가산 모드(실시예에서, 촬상 신호가 CCD(6)로부터 판독된 모드)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시점에서 피사체의 밝기(Lv 값)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스위칭되지만, 사용자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픽셀 가산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픽셀 가산 모드(실시예에서, 촬상 신호가 CCD(6)로부터 판독된 모드)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시점에서 피사체의 밝기(Lv 값)에 따라서 스위칭되지만, AE 제어에 의해 한번으로 판별되는 셔터 속도에 따라서 픽셀 가산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록 목적용 촬영된 화상의 화상 크기(픽셀 크기)는 CCD(6)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최대 크기로 고정된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복수의 화상 크기는 준비되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화상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YUV 데이터는 단지 픽셀 가산율에 대응 하는 확대율로 정지 화면 촬영 처리(도 8 및 12)에서 확대된다(2 배, 4 배). 화상 크기가 선택될 수 있는 배열에서, 단계(SB8 및 SB12)에서의 처리를 다음에 따라서 크기 확대 또는 크기 축소 처리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되거나 선택된 화상 크기는 사전에 기록되는 시점에서 확인된다. 그 후, 화상 크기는 그 시점에서 (픽셀 가산율에 따라서 판별될 수 있는)YUV 데이터의 크기와 비교된다. 기록용 화상 크기가 YUV 데이터 크기보다 클 시, YUV 데이터가 기록용 화상 크기에 비해 확대되어 확대율이 계산된다. 반대로, 기록용 화상 크기가 YUV 데이터 크기보다 작을 시, YUV 데이터가 기록용 화상 크기에 비해 축소되어 확대율이 계산된다. 그 후, YUV 데이터는 계산된 확대 계수의 크기로 확대되거나 축소 된다.
픽셀 가산율이 "2 배"로 설정되고 YUV 데이터의 종횡비가 보통 것과는 다를 시, 비율을 확대하거나 감소한 크기는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해 개별적으로 계산되어, YUV 데이터는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해 개별적으로 비율 크기로 확대되거나 축소된다. 기록용 화상 및 YUV 데이터의 크기가 동일할 시, 정지 화면 촬영 처리는 확대율의 계산없이, 그리고 확대 또는 감소 처리의 실행없이 종료된다.
상술된 처리에서, 촬영된 화상은 화상 크기 설정에서 기록될 수 있거나, 픽셀 가산율 또는 피사체 밝기에 상관없이 그 시점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피사체 밝기에 따른 피사체를 촬영할 때마다 정지 화면이 다른 크기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록된 화상은 배열되거나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는 고기능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단지 화상 기록 크기를 확보하기 위해 크기 확대 또는 축소 처리의 실행만이 필요하므로, 추가적 또는 불필요한 확대 또는 축소 처리는 필요 없게 된다.
이외에 선행기술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CCD(6)의 촬영 감도를 발생함으로써 손 떨림 또는 피사체 이동으로 인한 흔들림 화상을 방지하는 기능, 렌즈 이동형 또는 CCD 이동형의 종래의 손 떨림 감소 기계장치를 사용하는 손 떨림 감소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양 기능들은 흔들림 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지 화면 동작에 대해 사용된 본 발명이 상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동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또는 스루우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AE 제어는 동영상이 기록되거나 또는 스루우상이 나타날 시 도 2에서 도시된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에 따라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40)

  1.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제 1 노출 조정 유닛; 및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촬상 유닛의 셔터 속도를 제어하는 제 2 노출 조정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2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촬상 유닛의 노출과 게인 중 하나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제 1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유닛; 및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상기 제 1 소정의 값보다 작은 제 2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 가산된 픽셀 수는 상기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 가산된 픽셀 수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 모드로써 노말 모드와 떨림 감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유닛; 및
    상기 노말 모드가 상기 모드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촬상 유닛의 셔터 속도를 제어하는 제 3 노출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떨림 감소 모드가 상기 모드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피사체 밝기가 상기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촬상 유닛의 셔터 속도를 제어하는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고;
    상기 떨림 감소 모드가 상기 모드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피사체 밝기가 상기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제 2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의 셔터 속도를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노출 조정 유닛에 의해 제어된 저속도 범위에서 타겟 셔터 속도의 제어 한계는,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에 의해 제어된 저속도 범위에서 타겟 셔터 속도의 제어 한계보다 크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촬영 화상을 출력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픽셀들이 가산되도록 상기 촬상 소자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필드에서 상기 촬상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 셀 가산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하게 하고, 상기 픽셀 가산 모드는 복수의 픽셀의 모드 픽셀 신호를 서로 가산시키고, 상기 복수의 픽셀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 각 필드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3 항에 따라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는 화상 확대 유닛; 및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이 상기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지 또는 상기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촬영 화상이 상기 화상 확대 유닛에 의해 확대된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변화 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된 후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시키는 화상 확대 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를 가산시키는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촬상 장치는:
    픽셀 공간에서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의 배치에 기초하여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픽셀 공간은 상기 제 1 노출 조정 유닛에 의해 실행된 상기 픽셀 가산 처리 동안에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제 1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서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제 1 노출 조정 유닛; 및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가 제 2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촬영 화상의 밝기를 발생시키는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서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제 2 노출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소정의 값은 상기 제 1 소정의 값보다 낮으며, 상기 제 2 픽셀 가산 모드에 가산된 픽셀 수는 상기 제 1 픽셀 가산 모드에 가산된 픽셀 수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 및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가 각 필드에서 가산되도록 복수의 필드에서 상기 촬상 유닛을 구동시키고, 상기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모드에서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여,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한 복수의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가 각 필드에서 수평 방향에 변화되지 않으면서 색상 배치 순으로 가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여,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에 인접하고 수직 방향에 인접한 홀수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가 홀수 필드에서 가산되고, 그리고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에 인접하고 수직 방향에 인접한 짝수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는 짝수 필드에서 가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여,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복수의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가 수평 방향으로 변화되지 않으면서 색상 배치순으로 가산되고, 그리고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동일한 수평선 상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는 각 필드에서 가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여,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고 수직 방향에 인접한 홀수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픽셀의 픽셀 신호가 가산되고,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동일한 홀수 수평선 상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도 홀수 필드에서 가산되고, 그리고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고 수직 방향에 인접한 짝수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픽셀의 픽셀 신호가 가산되고, 그리고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동일한 짝수 수평선 상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도 짝수 필드에서 가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모드는 다른 픽셀 수를 가지는 모드가 각각 가산되는 복수 부류의 픽셀 가산 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 부류의 픽셀 가산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픽셀 가산 모드 스위칭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가산 모드 스위칭 유닛은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복수 부류의 픽셀 가산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픽셀 가산 모드와 노말 구동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구동 모드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노말 구동 모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모드에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드 스위칭 유닛은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픽셀 가산 모드와 상기 노말 구동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기 위해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확대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촬상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경우,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 및
    상기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이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화상 확대 유닛이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변화 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지 또는 실행하지 않도록 하게 하는지를 판별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선택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 하게 하도록 판별된 경우, 상기 픽셀 가산 처리는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된 후,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는 화상 확대 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픽셀 공간에서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 배치에 기초하여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공간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실행된 상기 픽셀 가산 처리 동안에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3.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픽셀 가산 유닛;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기 위해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확대 유닛;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픽셀 가산 처리에서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 및
    상기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이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화상 확대 유닛이 상기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 율 변화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변화 유닛은, 상기 화상 확대 유닛이 상기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확대율을, 상기 픽셀 인가 계산 변화 유닛에 의해 변화된 픽셀 수에 대응한 확대율로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확대 유닛에 의해 상기 확대 처리로 실행된 상기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유닛; 및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 기록된 상기 촬영 화상의 화상 크기를 설정하는 화상 크기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대율 변화 유닛은, 상기 화상 확대 유닛이 상기 확대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확대율을, 상기 화상 크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화상 크기에 대응한 확대율로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은 "1"보다 크지 않은 확대율("0"은 제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촬상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은,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상기 촬상 유닛을 요구하는 픽셀 수에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상기 촬상 유닛을 요구하는 픽셀 수에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지 않을 시 상기 화상 확대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는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확대 유닛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는 유닛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확대율 변화 유닛은 화상 확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화상 확대 유닛에 대한 확대율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가산 유닛이 상기 촬상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픽셀 가산 계산 변화 유닛은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가산되기 위해 픽셀 수를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유닛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들을 가산하기 위해 상기 촬상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픽셀 공간에서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 배치에 기초하여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공간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실행된 상기 픽셀 가산 처리 동안에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1.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이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픽셀 가산 유닛;
    상기 픽셀 가산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지 또는 실행하지 않도록 하게 하는지를 판별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선택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판별된 경우, 상기 픽셀 가산 처리는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된 후,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하는 화상 확대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2. 촬영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이 복수의 픽셀의 픽셀 신호를 가산시키는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 픽셀 가산 유닛; 및
    픽셀 공간에서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의 배치에 기초하여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그리고상기 픽셀 공간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실행된 상기 픽셀 가산 처리 동안에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픽셀은 변화하지 않고 색상 배치순으로 픽셀 공간에서 근접한 픽셀들 사이에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재-배치되기 위해, 그리고 각 픽셀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픽셀에 근접하게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값에 상관된 픽셀 값을 가지기 위해, 상기 위상 조정 유닛은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을 재형성된 화상으로 전환하여, 상기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이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각각의 픽셀들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픽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픽셀들의 픽셀값으로서, 픽셀 가중평균값을 가지는 픽셀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이 조정되도록,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의 픽셀 공간에서의 배치에 따라 상기 위상 조정 유닛은 상기 색상 보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색상 보간 처리에서 타겟 픽셀에 대해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조정 유닛은, 상기 색상 보간 처리에 상기 타겟 픽셀에 대해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값으로서, 상기 색상 성분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고 상기 타겟 픽셀 주변에서 위치한 복수의 픽셀의 픽셀 가중평균값을 사용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의 픽셀 가중 평균값은 상기 타겟 픽셀에 대한 거리에 따라서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유닛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픽셀 가산 처리에 가산되기 위해 픽셀들의 픽셀 수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픽셀 가산 계산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픽셀 가산 처리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촬영 화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픽셀 공간에서의 배치에 따라서 상기 위상 조정 유닛은 상기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성 성분의 위상을 조정하고, 상기 배치는 상기 픽셀 가산 계산 스위칭 유닛에 의해 스위칭된 픽셀 수에 의해 다르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가산 계산 스위칭 유닛은,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픽셀 가산 처리에 가산되기 위해 픽셀들의 픽셀 수들 사이에서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가산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게 하는지 또는 실행하지 않도록 하게 하는지를 판별하는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판별된 경우, 상기 위상 조정 유닛은 상기 색상 보간 처리에서 픽셀마다 보간되기 위해 색상 성분의 위상을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피사체 밝기를 획득하는 밝기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밝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 밝기에 따라서,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픽셀 가산 유닛이 상기 픽셀 가산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판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77026239A 2005-06-17 2006-06-16 촬상 장치 KR100914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8644 2005-06-17
JP2005178642A JP2006352715A (ja) 2005-06-17 2005-06-17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露出制御方法
JPJP-P-2005-00178642 2005-06-17
JP2005178644A JP4836500B2 (ja) 2005-06-17 2005-06-17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2005178643A JP2006352716A (ja) 2005-06-17 2005-06-17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JP-P-2005-00178643 2005-06-17
JPJP-P-2005-00187951 2005-06-28
JP2005187951A JP2007013275A (ja) 2005-06-28 2005-06-28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05A true KR20080006605A (ko) 2008-01-16
KR100914090B1 KR100914090B1 (ko) 2009-08-27

Family

ID=3707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239A KR100914090B1 (ko) 2005-06-17 2006-06-1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10458B2 (ko)
EP (4) EP2753068A3 (ko)
KR (1) KR100914090B1 (ko)
HK (1) HK1115026A1 (ko)
TW (1) TWI331472B (ko)
WO (1) WO20061351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928B2 (en) 2009-10-23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high ISO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2152B2 (ja) * 2003-01-29 2007-12-12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2006287464A (ja) * 2005-03-31 2006-10-19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の動作方法
US7714890B2 (en) * 2005-04-26 2010-05-11 Olympus Imaging Corp.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xel reading using a shake determination
JP2008072352A (ja) * 2006-09-13 2008-03-27 Sharp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59634B2 (ja) * 2007-06-21 2009-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固体撮像装置、および画素信号の読み出し方法
US8111299B2 (en) * 2008-08-15 2012-02-07 Seiko Epson Corporation Demosaicking single-sensor camera raw data
KR101571334B1 (ko) * 2009-02-12 2015-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54700B2 (en) * 2009-10-16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using image stored in camera
JP5218388B2 (ja) * 2009-12-25 2013-06-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22622B2 (en) 2010-11-09 2012-12-04 Metrologic Instruments, Inc. Hand-supportable digital-imaging based code symbol reading system supporting motion blur reduction using an accelerometer sensor
KR101811637B1 (ko) * 2011-05-02 201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인 픽셀 비닝 장치 및 방법
JP5839998B2 (ja) * 2012-01-10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6494202B2 (ja) * 2013-08-07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15103151A (ja) * 2013-11-27 2015-06-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固体撮像素子、及び、電子機器
JP2017099616A (ja) * 2015-12-01 2017-06-08 ソニー株式会社 手術用制御装置、手術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手術システム
CN110595602B (zh) * 2019-04-26 2021-10-15 深圳市豪视智能科技有限公司 振动检测方法及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6829B1 (en) 1990-12-24 1996-08-1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exposure control in an electronic imaging system
US5386228A (en) * 1991-06-20 1995-01-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means for adjusting sensitivity of image pickup elements
US6476868B1 (en) * 1994-04-11 2002-11-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provided with enlargement process means for enlarging image signals output from an image pickup device
JP3533756B2 (ja) * 1995-06-01 2004-05-31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JP2000197065A (ja) 1998-12-24 2000-07-14 Sony Corp カラーccd固体撮像素子とその駆動方法
JP2000209512A (ja) * 1999-01-20 2000-07-28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ズ―ム回路
JP2000224470A (ja) * 1999-02-02 2000-08-11 Minolta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2001045364A (ja) * 1999-07-30 2001-02-1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3636291B2 (ja) * 2000-01-31 2005-04-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3939889B2 (ja) 2000-02-01 2007-07-0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像振れ防止デジタルカメラ
JP2001298659A (ja) * 2000-02-08 2001-10-26 Canon Inc 撮像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記憶媒体
JP3738652B2 (ja) * 2000-03-24 2006-01-25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593820B2 (ja) * 2000-06-15 2010-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013026B2 (ja) 2001-03-16 2007-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及び自動焦点調節時の画像表示方法
US20020191104A1 (en) * 2001-03-26 2002-12-19 Mega Chips Corporation Image conversion device, image conversion method and data conversion circuit as well as digital camera
JP3913491B2 (ja) * 2001-04-20 2007-05-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ズーム装置
JP2003052048A (ja) * 2001-08-07 2003-02-21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素子、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3968122B2 (ja) 2001-12-13 2007-08-29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撮像装置
JP4307780B2 (ja) 2002-03-07 2009-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信号読出し方法
DE10214809A1 (de) 2002-04-04 2003-10-23 Wolf Gmbh Richard Festkörpervideokamera und Helligkeitsregelung dafür
JP2003319211A (ja) 2002-04-23 2003-11-07 Minolta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773129B2 (en) 2002-08-02 2010-08-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imag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096611A (ja) * 2002-09-03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4234968B2 (ja) * 2002-09-27 2009-03-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053858B2 (ja) 2002-09-30 2008-0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信号読出し方法
JP4022152B2 (ja) * 2003-01-29 2007-12-12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4336506B2 (ja) 2003-02-17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変化検知表示システム、その表示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080951B2 (ja) 2003-05-30 2008-04-23 株式会社東芝 フレーム補間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5020565A (ja) * 2003-06-27 2005-01-20 Toshiba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情報処理方法
JP3826904B2 (ja) * 2003-07-08 2006-09-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フリッカ低減方法
JP2005117187A (ja) 2003-10-03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
JP2005115598A (ja) 2003-10-07 2005-04-2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604011B1 (ko) * 2004-01-02 2006-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03519A (ja) 2004-04-08 2005-10-2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3832477B2 (ja) 2004-06-21 2006-10-11 株式会社ニコン 手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カメラ
US7714890B2 (en) * 2005-04-26 2010-05-11 Olympus Imaging Corp.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xel reading using a shake determin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928B2 (en) 2009-10-23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high ISO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5107A2 (en) 2006-12-21
EP2285099A3 (en) 2011-11-23
WO2006135107A3 (en) 2007-08-16
TWI331472B (en) 2010-10-01
US20090231448A1 (en) 2009-09-17
EP2753068A3 (en) 2014-12-10
US20060285007A1 (en) 2006-12-21
US7710458B2 (en) 2010-05-04
EP1891804A2 (en) 2008-02-27
EP2670129A3 (en) 2014-01-08
EP2285099A2 (en) 2011-02-16
US8305465B2 (en) 2012-11-06
EP2670129A2 (en) 2013-12-04
KR100914090B1 (ko) 2009-08-27
HK1115026A1 (en) 2008-11-14
EP2753068A2 (en) 2014-07-09
TW200708078A (en)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090B1 (ko) 촬상 장치
CN101616263B (zh) 摄像装置
WO2016072103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処理プログラム
US2005009388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11059337A (ja) 撮像装置
JP4622790B2 (ja)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500293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39406B2 (ja) 撮像装置
JP453325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60197854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JP4616429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6261929A (ja) 撮像装置
JP2008053931A (ja) 撮像装置
WO2016072102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処理プログラム
JP2007027845A (ja) 撮像装置
EP1981266B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4836500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200626759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282262B2 (ja) 撮像装置
JP4022152B2 (ja) 撮像装置
JP2006352716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281682B2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1327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547796B2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0430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