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254A -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평평한 유연케이블의 하네스 - Google Patents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평평한 유연케이블의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254A
KR20080003254A KR1020070063521A KR20070063521A KR20080003254A KR 20080003254 A KR20080003254 A KR 20080003254A KR 1020070063521 A KR1020070063521 A KR 1020070063521A KR 20070063521 A KR20070063521 A KR 20070063521A KR 20080003254 A KR20080003254 A KR 2008000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connector
flat flexible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420B1 (ko
Inventor
게이이치로 이쿠타
마사토 나가나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접촉자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류를 늘리지 않고, 2접점 형태로도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뽑아낼 수 있으며, 1-N 접속 또는 1-1 접속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한 쌍의 커넥터 및 하네스(harness)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커넥터(100)에 두께 방향 양측에 평탄한 단면(103a), (103b)을 가져 깊이 방향으로 일단(l03C)이 돌출하는 판형의 케이블 홀더(103)를 설치하며, 선단부(311)를 남겨 도체(302)가 노출하고 또한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노출 도체(302a)의 굴곡부를 경계로 케이블 홀더(103)의 양단면(103a), (103b)으로 배분하여 접촉시켜, 종단(310)의 선단부(311) 및 기단부(312)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 2 커넥터(200)는 노출 도체(302a)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자(220)를 구비하며, 제 1 커넥터(100)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2 커넥터(200)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고,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100)에 접속하는 역접속을 저지하도록 구성한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이다.

Description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A PAIR OF FLAT-TYPE FLEXIBLE CABLE CONNECTORS AND HARNESS OF FLAT-TYPE FLEXIBLE CABLE}
도 1은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향한 면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커넥터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에 접속되고, 제 2 커넥터는 프린트 배선판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를 폭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선단부를 남기고 절연 피복을 벗겨 도체가 노출한 실시예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 부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에 접속한 실시예의 제 1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향한 면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1 커넥터를 폭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양쪽의 종단을 반전하여 1-N 접속을 할 때의 실시예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평평한 유연 케이블은 길이 방향의 중도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양쪽의 종단에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를 각각 대향하여 배치했을 때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및 케이블 홀더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양쪽의 종단이 케이블 홀더에 각각 장착되었을 때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및 케이블 홀더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양쪽의 케이블 홀더에 실시예의 제 1 커넥터 본체를 각각 대향하여 배치했을 때의 케이블 홀더를 부착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및 제 1 커넥터 본체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양쪽의 제 1 커넥터에 실시예의 제 2 커넥터를 각각 대향하여 배치했을 때의 하네스(harness) 및 제 2 커넥터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는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양쪽의 종단을 반전하여 1-1 접속을 할 때의 실시예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평평한 유연 케이블은 길이 방향의 중도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양쪽의 종단에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를 각각 대향하여 배치했을 때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및 케이블 홀더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양쪽의 종단이 케이블 홀더에 각각 장착되었을 때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및 케이블 홀더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양쪽의 케이블 홀더에 실시예의 제 1 커넥터 본체를 각각 대향하여 배치했을 때의 케이블 홀더를 부착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및 제 1 커넥터 본체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양쪽의 제 1 커넥터에 실시예의 제 2 커넥터를 각각 대향하여 배치했을 때의 하네스 및 제 2 커넥터의 축소한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는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에 장착되어 있다.
도 16은 1-N 접속을 한 종래의 하네스 및 커넥터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1-1 접속을 한 종래의 하네스 및 커넥터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1-1 접속을 한 종래의 다른 하네스 및 커넥터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분야에 속하고, 평평한 절연 피복 안에 복수의 도체를 폭 방향으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접속에 이용하는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와, 그 한쪽의 커넥터를 이용한 하네스(harness)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일본 특개2005-4994호 공보는 한 쌍의 FFC(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端部)를 홀더의 실어 놓음틀의 대응하는 실어 놓음면에 가(假)유지한 상태로, 지정(止定) 부재의 환상(環狀)부를 FFC의 단부 및 실어 놓음틀에 끼워 맞추어 지정 부 재의 걸어 맞춤부를 홀더의 피(被)걸어 맞춤부에 걸어 맞춤으로써, 한 쌍의 FFC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형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FFC는 그 단부의 이면에 합성수지제의 보강 시트가 부착되어 있고, 이 보강 시트는 FFC의 단부로부터 노출하는 노출 도체를 정렬 유지하고 있다.
일본 특개2005-166364호 공보는 FFC에 대한 접점이 접어 겹쳐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단자로서,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플랫 케이블의 삽입성이 우수한 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FFC는 선단부에서는 위쪽의 필름이 벗겨 내져 도전체가 노출되어 있고, 이 선단부의 하면에 수지성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가 부착되어 있어, 선단부가 굴곡 하지 않도록 보강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개의 도체를 가지는 소정 길이의 FFC(901)의 양단에, 이와 같은 커넥터를 제 1 커넥터(902)로서 각각 접속하고, 이러한 제 1 커넥터(902)를 상대 측 커넥터인 제 2 커넥터(903)에 각각 접속하는 경우, 두 개의 제 1 커넥터(902)를 동일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두 개의 제 2 커넥터(903)도 이것에 따라 동일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는 것이 기본적인 접속 형태이다. 그 경우, 한쪽의 제 2 커넥터(903)에 있어서 끼워 맞춤 방향으로 향하여 왼쪽 단의 1번 극은, 다른 쪽의 제 2 커넥터(903)에 있어서 끼워 맞춤 방향으로 향하여 오른쪽 단의 N번 극에 접속한다(이하, 1-N 접속이라고 한다). 이것에 대해, 양쪽의 제 2 커넥터(903)의 동일한 번호의 극들을 접속하는 데는(이하, 1 - 1 접속이라고 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902) 및 제 2 커넥 터(903)를 도 16과 같게 배치로 한 채로 FFC(901)의 일단을 비틀어 표리(表裏)를 역으로 하고 나서 한쪽의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던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6의 배치에 있어서 한쪽의 제 1 커넥터(902) 및 제 2 커넥터(903)의 표리를 역으로 하여 FFC90l에 접속하게 된다.
통상, 하네스 제조에 앞서, FFC(901)의 양단부의 이면에 합성수지제의 보강 시트를 부착하여 FFC(901)의 노출 도체를 정렬 유지하는 것이 행해진다. 도 17 및 도 18의 접속 형태의 경우, FFC(901)와 한쪽의 제 1 커넥터(902)가 통상의 접속 형태와는 표리를 역으로 하여 접속하므로, 제 1 커넥터(902)의 접촉자를 그대로 이용하면 접촉자의 접점이 FFC(901)의 표면의 노출 도체에는 없고 이면의 보강 시트에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완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접점의 위치를 바꾼 접촉자를 설정하여 제 1 커넥터에 조립하게 되지만, 이것으로는 접촉자의 종류가 증가하여, 코스트 업을 초래한다. 또, FFC(901)의 한쪽의 단부에서는 이면에 보강 시트를 부착하고, 다른 쪽의 단부에서는 표면에 보강 시트를 부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는 FFC(901)의 종류가 증가하여, 코스트 업을 초래한다. 또한, 접촉자를 FFC의 표면 및 이면의 양측에서 접촉하는 2접점 형태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한쪽의 접점이 보강 시트에 접하게 되기 때문에, 삽입하고 뽑아낼 때의 반응에 위화감을 일으키고, 또 삽입하고 뽑아냄을 반복하면 보강 시트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 은 FFC 또는 그 외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終端)의 도체를 노출시켜, 하네스 제조시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을 그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한쪽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거나 다른 한쪽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거나 하여, 이것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이것에 의해서 1-N 접속인지 1-1 접속인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접촉자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류를 늘리지 않고 코스트 업을 회피할 수 있어, 2접점 형태로 하여도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뽑아냄을 실시할 수 있는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그 한쪽의 커넥터를 이용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평평한 절연 피복 안에 복수의 도체를 늘어서 이루어지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에 폭 방향을 이러한 도체가 늘어서는 방향으로 일치시켜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이 제 1 커넥터를 상대로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에 따라서 삽입 또는 빼냄을 행함으로써 끼워 맞춤 또는 이탈을 실시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에는 폭 방향 및 깊이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의 양측에 평탄한 단면을 가져 깊이 방향의 일단이 제 2 커넥터와 끼워 맞춤하는 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의 케이블 홀더가 설치되고 있으며, 선단부를 남기고 절연 피복을 벗겨 도체가 노출하고 또한 이 노출 도체의 중도부(中途部)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힘으로써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을 노출 도체의 굴곡부를 경계로 케이블 홀더의 상기 양단 면으로 배분하여 접촉시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에 있어서의 선단부 및 이것과 노출 도체를 통하여 반대 측에 있는 기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며,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 본체와, 이 제 2 커넥터 본체에 제 2 커넥터 본체가 제 1 커넥터와 끼워 맞춤했을 때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노출 도체에 각각 접촉하도록 폭 방향으로 늘어서 설치된 복수의 접촉자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가 두께 방향에 역으로 되어 제 2 커넥터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끼워 맞춤부를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하며,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역접속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을 노출 도체의 굴곡부를 경계로 제 1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에 배분하여 접촉시키고,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선단부 및 기단부를 제 1 커넥터로 유지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춤하면, 접촉자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노출 도체에 각각 접촉한다.
설명의 편의상, 평평한 유연 케이블,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을 A면, B면으로 칭하여 구별하기로 한다.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한쪽의 종단을 선단부를 남기고 절연 피복을 벗겨 도체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노출 도체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힘으로써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을 반전한다. 이 종단에 제 1 커넥터를 접속한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 중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 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 단면을 A면으로 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접속한다. 그 결과, 제 2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 중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 단면을 A면으로 한다. 그리고,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다른 쪽의 종단을 상기와 같은 접속 형태로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 제 1 커넥터의 A면, 제 2 커넥터의 A면이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똑바로 연장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 1 커넥터가 동일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커넥터도 이것에 따라 동일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게 되므로, 1-N 접속이 실현된다.
이것에 대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한쪽의 종단을 상기와는 다른 접속 형태로 제 1 커넥터에 접속하고, 다른 한쪽의 종단을 상기와 같은 접속 형태로 제 1 커넥터에 접속한다. 즉,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한쪽의 종단을 선단부를 남기고 절연 피복을 벗겨 도체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B면에 가까워지도록 노출 도체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힘으로써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을 반전한다. 이 종단에 제 1 커넥터를 접속하면, 제 1 커넥터의 B면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접속하면, 제 2 커넥터의 B면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똑바로 연장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 1 커넥터가 두께 방향의 방향을 역으로 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커넥터도 이것에 따라 두께 방향의 방향을 역으로 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 되게 되므로, 1-1 접속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하네스 제조시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을 그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는가 B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는가로, 이것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방향이 바뀌어, 이것에 의해서 1-N 접속인가 1-1 접속인가가 자유롭게 선택된다. 그 경우,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고 있는지 B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고 있는지의 차이는 있지만, 케이블 홀더에 있어서의 노출 도체의 위치 지움은 변함없으므로, 제 2 커넥터의 접촉자는 한 종류로 해결되며, 접촉자의 종류를 늘릴 필요가 없어, 이것에 의해서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 종래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에 보강 시트를 부착하지 않으므로,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류를 늘릴 필요가 없고, 이것에 의해서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한, 접촉자를 케이블 홀더의 두께 방향 양측에 대응하여 접점을 가지는 2접점 형태로 하여도, 2접점도 노출 도체에 접촉하므로, 삽입하고 뽑아낼 때의 반응에 위화감이 생기거나 삽입하고 뽑아냄의 반복에 의해 평평한 유연 케이블에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없이,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뽑아냄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도체를 노출시켜, 하네스 제조시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을 그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한쪽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는가 다른 쪽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는가로, 이것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방향을 바꾸고, 이것에 의해서 1-N 접속인지 1-1 접속인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접촉자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류를 늘리지 않고 코스트 업을 저감 할 수 있으며, 또 접촉자를 2접점 형태로 하여도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뽑아냄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에 끼워 맞춤 가능하고, 깊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제 1 커넥터 본체와, 케이블 홀더로 분할되며, 케이블 홀더는 깊이 방향의 일단이 제 2 커넥터와 끼워 맞춤하는 쪽으로 돌출하도록 제 1 커넥터 본체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커넥터 본체에 끼워 맞춤 되어 있고,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케이블 홀더에 장착되는 역장착을 저지하도록 구성하여, 케이블 홀더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 본체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케이블 홀더 및 제 1 커넥터 본체의 끼워 맞춤부를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을 케이블 홀더에 장착하고, 이것들을 제 1 커넥터 본체의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춤하면 제 1 커넥터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에 접속되므로 작업성이 좋고, 게다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케이블 홀더로의 역장착이나, 케이블 홀더의 제 1 커넥터 본체에의 역끼워 맞춤이 저지되므로, 1-N 접속 또는 1-1 접속이 확실히 실시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를 제 1 커넥터 본체와 이것에 끼워 맞춤하는 케이블 홀더로 분할했을 때에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작업성이 좋으면서 1-N 접속 또는 1-1 접속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 홀더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단면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선단부의 단면이 닿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케이블 홀더로의 역장착을 하려고 하면, 스토퍼에 의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장착이 방해되므로, 이 역장착이 저지되어, 1-N 접속 또는 1-1 접속이 확실히 실시된다.
따라서, 케이블 홀더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선단부의 단면이 닿는 스토퍼를 설치했을 때에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케이블 홀더로의 역장착을 저지하여 1-N 접속 또는 1-1 접속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 홀더에 케이블 홀더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선단부 또는 기단부를 끼워 지지하는 유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커넥터에 의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홀더에 유지 부재를 설치했을 때에는 제 1 커넥터에 의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는 평평한 절연 피복 안에 복수의 도체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에서는 선단부를 남기고 절연 피복을 벗겨 도체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양쪽의 종단에 각각 장착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를 구비하며, 2개의 종단이 같은 쪽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이다.
이 하네스와,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의 제 2 커넥터에 의해 1-N 접속이 실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커넥터를 이용한 1-N 접속을 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를 개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는 평평한 절연 피복 안에 복수의 도체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에서는 선단부를 남기고 절연 피복을 벗겨 도체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양쪽의 종단에 각각 장착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를 구비하며, 2개의 종단이 반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이다.
이 하네스와,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의 제 2 커넥터에 의해 1-1 접속이 실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커넥터를 이용한 1-1 접속을 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를 개시할 수 있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를 나타낸다. 이러한 커넥터(100, 200)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을 접속하는 부분의 부재인 프린트 배선판(500)에 접속한다. 이 접속하는 부분의 부재는 프린트 배선판 이외의 부재로도 좋으며, 이 실시예에 따라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깊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설정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2로 설 명하면, 도의 상하 방향이 깊이 방향이고, 도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폭 방향이며, 도의 좌우 방향이 두께 방향이다.
이 실시예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은 FFC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은 평평한 절연 피복(301)과, 이 절연 피복(301) 안에 설치된 복수의 도체(302)를 구비하고 있다. 도체(302)는 간격을 두고 늘어 놓아져 있다. 절연 피복(301)은 유연성을 가진 면 형상의 절연체이고, 이 절연 피복(301)의 중간층의 부분에 도체(302)가 끼여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나타낸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의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에는 도체를 절연 피복의 한쪽 면에 설치한 FFC가 포함되고, 또 FPC(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키트)가 포함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은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하고 있다. 이 종단(310)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을 도체(302)가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단면을 가지고 절단했을 때, 이 절단면으로부터 같은 방향에 따라서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부위까지이다. 선단부(311)는 이 종단(310) 안에서 상기 절단면으로부터 같은 방향에 따라서 상기 소정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떨어진 부위까지이다. 그리고, 선단부(311)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면과 반대 측의 단면으로부터 도체(302)가 연장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소정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떨어진 부위까지는 도체(302)의 주위에 절연 피복(301)이 없고, 도체(302)가 완전하게 노출하 고 있다. 이 도체(302)의 노출 부분을 노출 도체(302a)로 한다. 도체(302)와 도체(302) 사이에 절연 피복(301)이 남아 있어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을 스트립(strip) 가공함으로써, 도체(302)를 노출시켜, 선단부(311)에 절연 피복(301)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종단(310) 안에서 선단부(311)와 노출 도체(302a)를 통하여 반대 측에 기단부(312)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0)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에 접속된다. 그 경우, 제 1 커넥터(100)의 폭 방향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있어서 도체(302)가 늘어서는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방향 짓는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0)는, 제 1 커넥터(100)를 상대로 깊이 방향에 따라서 삽입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춤 되고, 그 후, 깊이 방향에 따라서 빼냄으로써 제 1 커넥터(100)로부터 이탈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제 1 커넥터(100)의 깊이 방향의 일단에 볼록부(101)를 설치하고, 제 2 커넥터(200)의 깊이 방향의 일단에 오목부(201)를 설치하여, 제 1 커넥터(100)의 볼록부(101)를 제 2 커넥터(200)의 오목부(201)에 삽입함으로써 양커넥터(100, 200)의 끼워 맞춤을 완수하고, 볼록부(101)를 오목부(201)로부터 빼냄으로써 양커넥터(100, 200)의 이탈을 완수하도록 하고 있다. 양커넥터의 끼워 맞춤 구조로서는 역으로 제 1 커넥터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제 2 커넥터에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으며, 그 외의 공지한 구성의 끼워 맞춤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제 1 커넥터(100)의 두께 방향의 일단에는 깊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중도부가 가요성 있는 부분에 의해 제 1 커넥터(100)에 고정되며, 제 2 커넥 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측의 단부에 후크가 설치되고, 타단이 조작부로 된 공지의 락 암(lock arm)(10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커넥터(200)의 두께 방향의 일단에는 락 암(102)의 후크가 걸리는 구멍인 공지의 피(被)락부(202)가 설치되어 있다. 피락부는 구멍, 폴(pawl) 등으로도 좋다. 역으로 제 1 커넥터에 피락부를 설치하고, 제 2 커넥터에 락 암을 설치하여도 좋고, 그 외의 공지한 구성의 락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락 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커넥터(100)에는 두께 방향의 양측에 평탄한 단면(端面)(103a, 103b)을 가지는 판형의 케이블 홀더(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103a, 103b)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 케이블 홀더(103)는 깊이 방향의 일단(103c)이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쪽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은 노출 도체(302a)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히는 것으로 반전하고 있고, 이 형태로 제 1 커넥터(100)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홀더(103)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있어서의 반전한 형태의 종단(310)을 노출 도체(302a)의 굴곡부를 경계로 상기 양단면(103a, 103b)으로 배분하여 접촉시킨다. 즉, 노출 도체(302a)의 굴곡부가 케이블 홀더(103)의 일단(103c)에 접촉하고, 선단부(311)와 노출 도체(302a)의 선단부 측의 부분이 단면(103a)에 접촉하며, 기단부(312)와 노출 도체(302a)의 기단부 측의 부분이 단면 103b에 접촉하고 있다. 노출 도체의 굴곡부는 반드시 케이블 홀더의 일단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떠 있어도 좋다. 또, 제 1 커넥터(100)는 평평한 유연 케이 블(300)의 종단(310)에 있어서의 선단부(311) 및 기단부(312)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선단부(311)를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와, 후술하는 유지 부재(120)로 끼워 지지하고, 기단부(312)를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 103b와, 후술 하는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가로벽(105)으로 끼워 지지하며, 이것에 의해서 선단부(311) 및 기단부(312)를 제 1 커넥터(100)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커넥터에 의한 선단부 및 기단부의 유지는 다른 부분으로 끼워 지지하여 실시하여도 좋고, 공지의 걸어 맞춤 구조에 의해서 실시하여도 좋으며, 접착에 의해서 실시하여도 좋고, 그 외의 수단에 의해 실시하여도 좋다.
제 2 커넥터(200)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제 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 본체(210)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커넥터 본체(210)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늘어서 설치된 복수의 접촉자(220)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자(220)는 제 2 커넥터 본체(210)가 제 1 커넥터(100)와 끼워 맞춤했을 때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노출 도체(302a)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접촉자(220)는 접촉 상대의 도체(302)에 2점에서 접촉하는 2접점 형태이다. 이 접촉자(220)는 제 2 커넥터 본체(210)에 설치된 접속부(221)와, 이 접속부(221)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선단 부근에 접점을 가지는 2 개의 접촉부(222)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쪽의 접점이 상대의 노출 도체(302a)에 있어서의 케이블 홀더(103)의 한쪽의 단면(103a)에 접촉한 부위에 접촉하고, 다른 쪽의 접점이 상대의 노출 도체(302a)에 있어서의 케이블 홀더(103)의 다른 쪽의 단면 103b에 접촉한 부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대의 도체 의 어느 한쪽의 부위에만 접촉하는 단(單)접점 형태의 접촉자로 하여도 좋다.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끼워 맞춤부는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이러한 끼워 맞춤부는 두께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제 1 커넥터(100)의 볼록부(101)와 제 2 커넥터(200)의 오목부(201)가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커넥터(100)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2 커넥터(200)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커넥터(100)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있어서의 반전한 종단(310)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100)에 접속하는 역접속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것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0)는 제 1 커넥터 본체(110)와, 상술한 케이블 홀더(103)로 분할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본체(110)는 제 1 커넥터(100)의 주요부를 이루고, 제 2 커넥터(200)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본체(110)에는 깊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1)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 홀더(103)는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에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 되어 있다. 케이블 홀더(103)가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면, 케이블 홀더(103)의 깊이 방향의 일단(103c)은 관통 구멍(111)을 통해 빠져서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케이블 홀더(103)의 제 1 커넥터 본체(110)로의 끼워 맞춤은 케이블 홀더(103)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103a, 103b)을 제외한 부분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는 케이블 홀더(103)의 폭 방향의 단부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을 구성하는 벽 중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향한 세로벽에 설치한 오목부에 끼워 맞춤 하고 있다. 이 끼워 맞춤 구조로서는 역으로 케이블 홀더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세로벽에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그 외의 공지의 구성의 끼워 맞춤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케이블 홀더(103)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반전한 종단(310)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케이블 홀더(103)에 장착되는 역장착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것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의 한편의 단면(103a)에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선단부(311)의 단면이 닿는 스토퍼(103d)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단(310) 중 기단부(312)와 노출 도체(302a)의 기단부 측의 부분을 본래 접촉시켜야 할 단면 103b가 아니고, 잘못하여 단면(103a)에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기단부(312)에 이어지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부분이 단면(103a)으로 뚫고 나온 스토퍼(103d)에 올라앉아 커져, 케이블 홀더(103)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에 삽입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역장착이 저지된다. 또, 선단부(311)의 단면이 스토퍼(103d)에 닿음으로써, 케이블 홀더(103)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종단(310)의 위치 규칙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고, 노출 도체(302a)가 케이블 홀더(103)의 일단(103c)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홀더(103) 및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끼워 맞춤부는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이러한 끼워 맞춤부는 두께 방향으로 직교 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서, 케이블 홀더(103)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의 폭 방향의 단부에 돌기(103e)를 설치하고, 이 돌기(103e)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상기 세로벽에 설치한 구멍(도시 생략)에 끼움으로써 양자를 끼워 맞춤하고 있으며, 이 돌기(103e)를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에 따라서 그 중앙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또 상기 구멍을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두께 방향에 따라서 그 중앙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고 있다. 케이블 홀더 및 제 1 커넥터 본체의 끼워 맞춤 구조로서는 역으로 케이블 홀더에 구멍을 설치하고, 제 1 커넥터 본체에 돌기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그 외의 공지한 구성의 끼워 맞춤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103f는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 103b)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일어서고, 또 케이블 홀더(103)의 일단(103c)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일어서도록 설치된 구분벽이다. 이 구분벽(103f)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도체(302)의 간격과 같은 간격을 가지고 폭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설치되며, 각각의 구분벽(103f)이 서로 이웃하는 노출 도체(302a)를 폭 방향의 양측의 사이에 배분하고, 이러한 노출 도체(302a)가 접촉하는 것을 막고 있다.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의 한쪽에는 유지 부재(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 부재(120)는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의 단면(103a)과의 간격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20)의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의 깊이 방향의 일단을 케이블 홀더(10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유지 부재(120)를 두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서 유지 부재(120)와 단면(103a)과의 간격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유지 부재(120)는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을 구성하는 벽 중 두께 방향으로 향한 가로벽(104)으로 밀린다. 그리고, 이 가로벽(104)으로 눌린 유지 부재(120)와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과의 사이에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선단부(311)가 끼워 지지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가로벽(104)과, 이 가로벽(104)과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가로벽(105) 중 적어도 한쪽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관통 구멍(111)의 두께 방향의 치수가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쪽으로 향하여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이 장착된 케이블 홀더(103)를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쪽으로 향하여 삽입해 가면, 가로벽(104)에 의해서 유지 부재(120)가 밀리는 힘이 서서히 증가하여, 선단부(311) 및 기단부(312)를 끼워 지지하는 힘이 증가하도록 하고 있다.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에는 유지 부재(120)에 대향하는 부위에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수입부(103g)가 설치되어 있고, 유지 부재(120)로 밀린 선단부(311)를 받아들여 만곡시키며, 이것에 의해서 선단부(311)가 깊이 방향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수입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종단(310)의 선단부(311)를 유지 부재(120)와 단면(103a)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하였으나, 케이블 홀더에 있어서 이것과 반대 측에 유지 부재를 설치하고, 종단의 기단부를 유지 부재와 반대 측의 단면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케이블 홀더의 양측에 유지 부재를 설치하고, 종단의 선단부 및 기단부의 양쪽을 유지 부재와 단면으로 끼워 지지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유지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에 있어서의 선단부(311)는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가로벽(104)의 가압력을 받은 유지 부재(120)와,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에 의해 끼워 지지된다. 또,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에 있어서의 기단부(312)는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가로벽(105)과,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b)에 의해 끼워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노출 도체(302a)의 굴곡부를 경계로 제 1 커넥터(100)의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103a, 103b)으로 배분하여 접촉시키고, 종단(310)의 선단부(311) 및 기단부(312)를 제 1 커넥터(100)로 유지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를 끼워 맞춤하면, 접촉자(220)가 종단(310)의 노출 도체(302a)에 각각 접촉한다.
우선,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1-N 접속의 실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 제 1 커넥터(100), 제 2 커넥터(200)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을 A면, B면이라고 칭하여 구별하기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서 중앙에 넓게 보이고 있는 면을 A면으로 한다.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은 전혀 비틀려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같은 도면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한쪽의 종 단(310)을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선단부(311)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노출 도체(302a)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히는 것으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반전한다. 도 6에서는 종단(310)을 반전하는 것으로 조금 B면이 보이고 있다. 이 종단(310)에 제 1 커넥터(100)를 접속한다. 즉, 도 7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의 유지 부재(120)를 단면(103a)으로부터 이간시켜 두어, 도 8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한 종단(310)에 있어서의 선단부(311)의 단면이 스토퍼(103d)에 닿도록 종단(310)을 케이블 홀더(103)에 장착하고, 유지 부재(120)를 단면(103a)에 접촉한 선단부(311) 위에 놓는다. 그리고, 도 9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대향시켜, 도 10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면 제 1 커넥터(100)가 생긴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100)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 중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 단면을 A면으로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락 암(102)이 설치된 단면이 A면이 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0)를 프린트 배선판(500)에 설치된 제 2 커넥터(200)에 접속한다. 그 결과, 도 10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0)의 두께 방향의 양단면 중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 단면을 A면으로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피락부(202)가 설치된 단면이 A면이 된다. 그리고, 도 6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다른 쪽의 종단(310)을 상기 동일한 접속 형태로 제 1 커넥터(100)에 접속한다. 즉,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다 른 쪽의 종단(310)은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선단부(311)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노출 도체(302a)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힘으로써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반전한다. 다음으로, 이 종단(310)에 제 1 커넥터(100)를 접속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0)를 프린트 배선판(500)에 설치된 제 2 커넥터(200)에 접속한다. 그렇게 하면, 도 10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 제 1 커넥터(100)의 A면, 제 2 커넥터(200)의 A면이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똑바로 연장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 1 커넥터(100)가 동일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커넥터(200)도 이것에 따라 동일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 되게 되므로, 1-N 접속이 실현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단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일단에는 삼각 마크가 새겨져 있다. 이 삼각 마크는 폭 방향으로 N극 늘어선 도체(302), 접촉자(220) 중 제 N번째의 극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접속 형태에서는 한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와 다른 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에서 삼각 마크끼리가 마주보지 않고, 한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1번째의 극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도체(302)를 통하여 다른 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제 N번째의 극에 접속한다. 이것으로부터 1-N 접속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 1-1 접속 의 실시에 대해 설명한다.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 제 1 커넥터(100), 제 2 커넥터(200)의 A면, B면은, 앞의 설명에서 결정된 것을 답습하여,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은 전혀 비틀어 지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도 11에 나타낸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서 중앙에 넓게 보이고 있는 면이 A면이다. 같은 도면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한쪽의 종단(310)을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앞의 1-N 접속의 경우와 달리, 이 선단부(311)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B면에 가까워지도록 노출 도체(302a)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히는 것으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반전한다. 도 11에서는 종단(310)을 반전하는 것으로 약간 B면이 보이고 있다. 이 종단(310)에 제 1 커넥터(100)를 접속한다. 즉, 도 12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의 유지 부재(120)를 단면(103a)으로부터 이간시켜 두고, 도 13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한 종단(310)에 있어서의 선단부(311)의 단면이 스토퍼(103d)에 닿도록 종단(310)을 케이블 홀더(103)에 장착하고, 유지 부재(120)를 단면(103a)에 접촉한 선단부(311) 위에 놓는다. 그리고, 도 14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대향시켜, 도 15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03)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면 제 1 커넥터(100)가 생긴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100)의 B면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0)를 프린트 배선판(500)에 설치된 제 2 커넥터(200)에 접속한다. 그 결과, 도 15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0)의 B면이 평평한 유연 케이 블(300)의 A면과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1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다른 쪽의 종단(310)을 앞의 1-N 접속의 경우와 같은 접속 형태로 제 1 커넥터(100)에 접속한다. 즉,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한편의 종단(310)을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선단부(311)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노출 도체(302a)의 중도부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히는 것으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반전한다. 다음으로, 이 종단(310)에 제 1 커넥터(100)를 접속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0)를 프린트 배선판(500)에 설치된 제 2 커넥터(200)에 접속한다. 그렇게 하면, 도 15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 제 1 커넥터(100)의 A면, 제 2 커넥터(200)의 A면이 같은 쪽에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똑바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 1 커넥터(100)가 두께 방향의 방향을 역으로 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커넥터(200)도 이것에 따라 두께 방향의 방향을 역으로 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게 되므로, l-l 접속이 실현된다. 이 접속 형태에서는 한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와 다른 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에서 삼각 마크끼리가 마주보고 있게 되어, 한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1번째의 극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도체(302)를 통하여 다른 쪽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제 1번째의 극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네스 제조시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그 선단부(311)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는가 B면에 가까 워지도록 반전하는가에 의해, 이것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두께 방향의 방향이 바뀌고, 이것에 의해서 1-N 접속인지 1-1 접속인지가 자유롭게 선택된다. 그 경우,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선단부(311)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A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고 있는지 B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고 있는지의 차이는 있지만, 케이블 홀더(103)에 있어서의 노출 도체(302a)의 위치 지움은 변함없기 때문에, 제 2 커넥터(200)의 접촉자(220)는 한 종류로 해결되고, 접촉자(220)의 종류를 늘릴 필요가 없으며, 이것에 의해서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 종래와 같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보강 시트를 부착하지 않으므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류를 늘릴 필요가 없고, 이것에 의해서 코스트가 저감된다.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접촉자(220)를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 양측에 대응하여 접점을 가지는 2접점 형태로 하여도, 2접점도 노출 도체(302a)에 접촉하므로, 삽입하고 뽑아낼 때의 반응에 위화감이 생기거나 삽입하고 뽑아냄의 반복에 의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없고,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뽑아냄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역접속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좋다. 즉, 제 1 커넥터를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고려한 경우, 제 1 커넥터가 접속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이 선단을 두께 방향의 어느 쪽으로 반전시키고 있는지는 설계상의 자유지만, 일단 결정된 방향을 순(順)접속으로 한 경우, 선단을 두께 방향의 반대 측으로 반전하는 역접속은 저지해야 한다. 또, 케이 블 홀더를 제 1 커넥터로부터 분할하지 않고, 제 1 커넥터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의 경우, 제 1 커넥터(100)를 제 1 커넥터 본체(110)와 케이블 홀더(103)로 분할하고, 케이블 홀더(103)를 깊이 방향의 일단이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쪽으로 돌출하도록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에 삽입하여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고,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케이블 홀더(103)에 장착되는 역장착을 저지하도록 구성하며, 케이블 홀더(103)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케이블 홀더(103) 및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끼워 맞춤부를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을 케이블 홀더(103)에 장착하고, 이것들을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에 끼워 맞춤하면 제 1 커넥터(100)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에 접속되므로 작업성이 좋고, 게다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케이블 홀더(103)로의 역장착이나, 케이블 홀더(103)의 제 1 커넥터 본체(110)에의 역끼워 맞춤이 저지되므로, l-N 접속 또는 1-1 접속이 확실히 실시된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케이블 홀더에 장착되는 역장착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좋다. 이것에 대해, 상기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의 경우,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단면(103a)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선단부(311)의 단면이 닿는 스토퍼(103d)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케이블 홀더(103)로의 역장착이 행해지도록 하면, 스토퍼(103d)에 의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장착이 방해되므로, 이 역장착이 저지되어, 1-N 접속 또는 1-1 접속이 확실히 실시된다. 게다가, 케이블 홀더(103)에 있어서의 종단(310)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하고, 노출 도체(302a)를 목표로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스토퍼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케이블 홀더(103)의 한쪽의 단면에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설치하며, 이 홈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선단을 삽입하여도 좋다.
또, 케이블 홀더를 제 1 커넥터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때에도, 케이블 홀더에 상기와 같은 스토퍼나 홈을 설치하는 것은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역장착을 저지하는데 유효하고, 그 때에는 역장착의 저지에 의해서,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제 1 커넥터로의 역접속이 유효하게 저지된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는 유지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에 있어서의 선단부를 제 1 커넥터 본체의 가로벽과 케이블 홀더의 단면에 의해 끼워 지지함과 동시에, 기단부를 제 1 커넥터 본체의 가로벽과 케이블 홀더의 단면에 의해 끼워 지지하여도 좋다. 이것에 대해, 상기 실시예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의 경우, 케이블 홀더(103)에 그 두께 방향의 단면(103a)의 간격이 가변으로 설치되고,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11)을 구성하는 가로벽(104)에 밀려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 과의 사이에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선단부(311)를 끼워 지지하는 유지 부재(120)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유지 부재(120)를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에 밀어붙이거나 또는 물려 들어가게 하면, 제 1 커넥터(100)에 의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 형상에 따라서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케이블 홀더(103)로의 역장착이 행해지도록 하면, 유지 부재(120)에 의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장착이 방해되므로, 이 역장착이 저지되어, l-N 접속 또는 1-1 접속이 확실히 실시된다. 유지 부재는 케이블 홀더에 케이블 홀더의 단면과의 사이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의 선단부 또는 기단부를 끼워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유지 부재는 케이블 홀더의 두께 방향의 단면과의 간격을 가변으로 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단면으로 향하여 가압되는 부재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케이블 홀더가 제 1 커넥터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같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10)가 충분히 개시되었다. 이 하네스(410)와 제 2 커넥터(200)에 의해, 1-N 접속이 실현된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 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반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20)가 충분히 개시되었다. 이 하네스(420)와 제 2 커넥터(200)에 의해, 1-1 접속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을 조합한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형 유연 케이블 커넥터,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의 한 쌍의 평형 유연 케이블 커넥터,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FFC 또는 그 외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단의 도체를 노출시켜, 하네스 제조시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을 그 선단부가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한쪽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거나 다른 한쪽의 면에 가까워지도록 반전하거나 하여, 이것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이것에 의해서 1-N 접속인지 1-1 접속인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접촉자나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종류를 늘리지 않고 코스트 업을 회피할 수 있어, 2접점 형태로 하여도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뽑아냄을 실시할 수 있는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그 한쪽의 커넥터를 이용한 평평한 유연 케 이블의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평평한 절연 피복(30l)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서 이루어지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종단(310)에, 폭 방향을 이러한 도체(302)가 늘어서는 방향으로 일치시켜 접속되는 제 1 커넥터(100)와,
    이 제 1 커넥터(100)를 상대로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에 따라서 삽입 또는 빼냄이 행해짐으로써 끼워 맞춤 또는 이탈을 실시하는 제 2 커넥터(200)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100)에는 폭 방향 및 깊이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의 양측에 평탄한 단면(103a), (103b)을 가져 깊이 방향의 일단(103C)이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의 케이블 홀더(1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하고 또한 이 노출 도체(302a)의 중도부(中途部)를 대략 U자형으로 굽힘으로써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을 노출 도체(302a)의 굴곡부를 경계로 케이블 홀더(103)의 상기 양단면(103a), (103b)에 배분하여 접촉시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에 있어서의 선단부(311) 및 이것과 노출 도체(302a)를 통하여 반대 측에 있는 기단부(312)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제 2 커넥터(200)는 제 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 본체(210)와, 이 제 2 커넥터 본체(210)에 제 2 커넥터 본체(210)가 제 1 커넥터(100)와 끼워 맞춤했을 때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의 노출 도체(302a)에 각각 접촉하도록 폭 방향으로 늘어서 설치된 복수의 접촉자(220)를 구비하며,
    제 1 커넥터(100)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2 커넥터(200)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끼워 맞춤부를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하고,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100)에 접속하는 역접속을 저지하도록 구성한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00)가 제 2 커넥터(200)에 끼워 맞춤 가능하고, 깊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1)이 설치된 제 1 커넥터 본체(110)와, 케이블 홀더(l03)로 분할되며,
    케이블 홀더(103)는 깊이 방향의 일단(103C)이 제 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춤하는 측으로 돌출하도록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에 삽입되어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되어 있고,
    반전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이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케이블 홀더(103)에 장착되는 역장착을 저지하도록 구성하며,
    케이블 홀더(103)가 두께 방향으로 역으로 되어 제 1 커넥터 본체(110)에 끼워 맞춤하는 역끼워 맞춤을 저지하도록 케이블 홀더(103) 및 제 1 커넥터 본체(110)의 끼워 맞춤부를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한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케이블 홀더(103)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단면(l03a)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의 선단부(311)의 단면이 닿는 스토퍼(103d)가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케이블 홀더(103)에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과의 사이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의 선단부(311) 또는 기단부(312)를 끼워 지지하는 유지 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케이블 홀더(103)에 케이블 홀더(103)의 단면(103a)과의 사이에 평평한 유연 케이블 종단(310)의 선단부(311) 또는 기단부(312)를 끼워 지지하는 유지 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6.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같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harness)(410).
  7.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3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같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10).
  8.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4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같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 스(410).
  9.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5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같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10).
  10.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반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20).
  11.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3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반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20).
  12.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4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반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20).
  13. 평평한 절연 피복(301) 안에 복수의 도체(302)를 늘어 놓아서 이루어지고, 종단(310)에서는 선단부(311)를 남기고 절연 피복(301)을 벗겨 도체(302)가 노출한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과,
    이 평평한 유연 케이블(300)의 양쪽의 종단(310)에 각각 장착된 청구항 5의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인 제 1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2개의 종단(310)이 반대 측으로 반전하고 있는 평평한 유연 케이블의 하네스(420).
KR1020070063521A 2006-06-30 2007-06-27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평평한 유연케이블의 하네스 KR101354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0676 2006-06-30
JP2006180676A JP4818833B2 (ja) 2006-06-30 2006-06-30 平形柔軟ケーブルの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254A true KR20080003254A (ko) 2008-01-07
KR101354420B1 KR101354420B1 (ko) 2014-01-22

Family

ID=3891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521A KR101354420B1 (ko) 2006-06-30 2007-06-27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평평한 유연케이블의 하네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67970B2 (ko)
JP (1) JP4818833B2 (ko)
KR (1) KR101354420B1 (ko)
CN (2) CN101969158B (ko)
TW (2) TWI39634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94B1 (ko) * 2010-10-19 2012-04-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자접힘형 연성 플랫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KR101537417B1 (ko) * 2008-03-31 2015-07-1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소켓 커넥터
US9252529B2 (en) 2013-12-06 2016-02-02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flat cable
WO2022270821A1 (ko) * 2021-06-23 2022-12-29 삼원액트 주식회사 고 내굴곡성 케이블하네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33971B (zh) * 2008-03-11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及其柔性扁平线缆模组
JP5134416B2 (ja) * 2008-03-31 2013-01-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TWI387160B (zh) * 2008-04-18 2013-02-21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US8393918B2 (en) * 2008-06-11 2013-03-12 Pulse Electronics, Inc. Miniaturized connectors and methods
JP5216441B2 (ja) * 2008-06-30 2013-06-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1531893B (zh) * 2009-04-28 2013-06-05 北京奇想达科技有限公司 一种功能型树脂覆膜支撑剂及其制备方法
EP2339592A3 (en) * 2009-12-23 2011-12-14 Hitachi-LG Data Storage Korea, Inc. Cable,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5057592B2 (ja) * 2010-02-03 2012-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547525B2 (ja) * 2010-03-17 2014-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末接続具
TWI460933B (zh) * 2010-12-14 2014-11-1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Inser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Structure of Soft Circuit Cable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840415B2 (en) * 2011-10-05 2014-09-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able connector
CN104377483A (zh) * 2013-08-12 2015-02-25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和具有电连接器的系统与电子装置
JP6293634B2 (ja) * 2014-10-03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932485B (zh) * 2015-02-26 2018-06-15 日本压着端子制造株式会社 插座连接器
DE102017214151B4 (de) * 2017-08-14 2020-0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lachleiter mit mehreren nebeneinander in einem Isoliermaterial verlaufenden Leiterbahnen sowie Buchsengehäuse
TWI628874B (zh) * 2017-08-16 2018-07-0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連接器元件及其電連接器
TWI628875B (zh) * 2017-08-16 2018-07-0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連接器元件及其電連接器
JP7121914B2 (ja) * 2019-05-29 2022-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可撓性基板
TWI751774B (zh) * 2019-11-07 2022-01-01 大陸商安費諾電子裝配(廈門)有限公司 線纜連接器及連接器組件
US11489279B2 (en) * 2020-06-24 2022-11-0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11296446B2 (en) * 2020-07-02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20220302624A1 (en) * 2021-03-16 2022-09-22 GE Precision Healthcare LLC Electrical connectors for medical devices
US20230299519A1 (en) * 2022-03-18 2023-09-2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able Housing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9579A (en) * 1960-05-20 1963-02-26 Thomas & Betts Corp Connector for conductors
US3159447A (en) * 1962-09-21 1964-12-01 Kent Mfg Co Plug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cable
JPS6199382A (ja) * 1984-10-19 1986-05-17 Komatsu Ltd 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
JPH0216587A (ja) * 1988-07-05 1990-01-19 Fujitsu Ltd 静電記録装置の用紙分離方法
JPH0216587U (ko) * 1988-07-18 1990-02-02
JP2511377Y2 (ja) * 1991-07-24 1996-09-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ブル用コネクタ
JPH07282916A (ja) * 1994-04-07 1995-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066799B2 (ja) * 1997-03-06 2000-07-17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
US6010359A (en) * 1998-07-08 2000-01-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shielded flat flexible circuitry
CN2449368Y (zh) * 2000-10-18 2001-09-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4430275B2 (ja) * 2001-09-27 2010-03-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ディスクリート線用コネクタおよび電気的接続構造
JP2004014920A (ja) * 2002-06-10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連結部構造
DE10262045B4 (de) * 2002-10-31 2005-06-02 Fci Verbinder für Flex-Flachbandkabel
JP2005004993A (ja) * 2003-06-09 2005-01-06 Jst Mfg Co Ltd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JP2005004994A (ja) 2003-06-09 2005-01-06 Jst Mfg Co Ltd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TWM242916U (en) * 2003-08-18 2004-09-01 Hannstar Electronics Corp Improved tool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or
JP2005166364A (ja) 2003-12-01 2005-06-23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
JP2005216771A (ja) * 2004-01-30 2005-08-11 S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007294225A (ja) * 2006-04-25 2007-11-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配線材の端末構造、及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417B1 (ko) * 2008-03-31 2015-07-1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소켓 커넥터
KR101134994B1 (ko) * 2010-10-19 2012-04-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자접힘형 연성 플랫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US9252529B2 (en) 2013-12-06 2016-02-02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flat cable
WO2022270821A1 (ko) * 2021-06-23 2022-12-29 삼원액트 주식회사 고 내굴곡성 케이블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09180A1 (en) 2008-01-10
CN101098055B (zh) 2011-06-08
CN101098055A (zh) 2008-01-02
TW200814441A (en) 2008-03-16
US7467970B2 (en) 2008-12-23
TWI396342B (zh) 2013-05-11
KR101354420B1 (ko) 2014-01-22
JP4818833B2 (ja) 2011-11-16
TW201042842A (en) 2010-12-01
JP2008010330A (ja) 2008-01-17
CN101969158A (zh) 2011-02-09
CN101969158B (zh) 2013-08-28
TWI396341B (zh) 201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420B1 (ko) 한 쌍의 평평한 유연 케이블 커넥터 및 평평한 유연케이블의 하네스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KR100977424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4188086A (en) Connector for terminating flexible parallel conductors
JP2017063024A (ja) 基板取付け型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0424843B1 (ko) Fpc/ffc 커넥터
KR20060135054A (ko) 커넥터 및 그 결선 방법
US20080014789A1 (en) Coaxial Cable Grounding Structur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able In Said Connector
JP2007287420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EP0967683A1 (en) Connector for a coaxial flat cable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US20200161801A1 (en) Connector
CN111463597B (zh) 连接器、布线板组装件和连接结构
KR100542063B1 (ko) 전기 커넥터
CN103081239B (zh) 连接器结构
JP2019220317A (ja) コネクタ構造
JPH1131543A (ja) Fpc用コネクタ
CN112368891B (zh) 用于柔性导电膜的插头连接器件
TWI836252B (zh) 連接器
JP493144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00420699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7294225A (ja) フラット配線材の端末構造、及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559832Y2 (ja)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5141956A (ja) 低背コネクタ
TW202308240A (zh) 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