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638A - 전자기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17638A KR20070117638A KR1020077022670A KR20077022670A KR20070117638A KR 20070117638 A KR20070117638 A KR 20070117638A KR 1020077022670 A KR1020077022670 A KR 1020077022670A KR 20077022670 A KR20077022670 A KR 20077022670A KR 20070117638 A KR20070117638 A KR 200701176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iron core
- case
- cap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기 개폐 장치는, 코일 보빈(10)에 감겨진 여자 코일(11)의 자화에 응답하여,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전자석 장치(1)와, 고정 접점(21) 및 전자석 장치의 가동 철심(15)의 이동에 연동하여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접점 장치(2)와, 전자석 장치(1) 및 접점 장치(2)를 수용하는 상자 모양의 케이스(3)를 포함한다. 코일 보빈(10)은 상기 코일 보빈의 축방향의 선단에 플랜지(10a)를 가지며, 케이스(3)는 그 내면에 코일 보빈의 플랜지(10a)의 주변부와 결합하는 오목부(31)를 가지며, 오목부(31)에는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32)가 설치되며, 코일 보빈의 플랜지(10a)는 완충 부재(32)를 통해 오목부(31)에 지지되어, 그에 따라 전자석 장치(1)가 케이스(3) 내에 유지된다.
코일 보빈, 고정 철심, 가동 철심, 가동축, 완충 부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석 장치와 전자석 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접점 장치를 케이스 내에 포함하는 전자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11-232986호 공보에는 전자석 장치와 접점 장치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자기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자기 개폐 장치는, 코일 보빈(coil bobbin)에 감겨진 여자 코일의 자화에 응답하여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전자석 장치와, 고정 접점 및 상기 전자석 장치의 가동 철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접점 장치와, 상기 전자석 장치 및 상기 접점 장치를 수용하는 상자 모양의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접점은 가동 접촉자에 의해 지지되고, 가동 접촉자는 가동축을 통하여 상기 가동 철심과 연결되어 있다.
이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는, 여자 코일이 자화되면,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 측으로 이동하고, 가동 철심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축 및 가동 접촉자가 이동하며, 그 결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다. 여자 코일의 자화가 중단되면, 고정 철심과 가동 철심 사이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으로부터 멀어져, 그 결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런데, 상기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는,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접촉할 때에 진동(충격)이 발생한다. 이 진동이 케이스에 전파되면, 케이스 자체도 진동하고, 예를 들면 케이스와 다른 부재가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 개폐 장치는, 코일 보빈에 감겨진 여자 코일의 자화에 응답하여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전자석 장치와, 고정 접점 및 상기 전자석 장치의 상기 가동 철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한 접점 장치와, 상기 전자석 장치 및 상기 접점 장치를 수용하는 상자 모양의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코일 보빈이 상기 코일 보빈의 축방향의 선단에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가 그 내면에 상기 코일 보빈의 플랜지의 주변부와 결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전자석 장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전파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코일 보빈의 플랜지가 상기 완충 부재를 통해 상기 오목부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자석 장치가 상기 케이스 내에 유지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 개폐 장치는, 전자석 장치가 완충 부재를 통해 케이스에 유지되어 있고,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직접 케이스에 전파되지 않고, 완충 부재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은 케이스에 전파되기 어려워지므로,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보빈의 플랜지는 충격의 발생원이 되는 가동 철심이나 고정 철심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이러한 플랜지를 케이스가 유지함으로써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 부재는 내부에 다수의 기실(氣室)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전자석 장치로부터 전파된 진동이 다수의 기실을 통과함으로써 감쇄되어,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높은 효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예를 들면 직물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미세 부재를 중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겹쳐진 미세 부재 사이에서 진동이 입력, 전파 및 출력을 반복하며, 진동이 미세 부재에 들어오고 나갈 때에 감쇄되어,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로 전파되는 진동을 높은 효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점 장치는 상기 고정 접점과 접속된 고정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단자 창을 가지며, 상기 단자 창의 주변부와 접점 장치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제2 완충 부재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완충 부재에 의해, 상기 단자 창을 통하여 이물질이 케이스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완충 부재가 단자 창의 주변부와 접점 장치 사이의 간극을 메우므로, 상기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케이스에 전파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고정 철심을 유지하는 고정판을 갖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 철심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고정 철심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플랜지를 갖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고정판의 관통공의 주변부에 계지(lock)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 철심의 플랜지를 덮어 상기 고정 철심의 이동을 규제하는 캡을 갖고, 상기 캡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3 완충 부재가 설치된다.
이 경우,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충돌할 때에 발생한 충격이 제3 완충 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 자체가 억제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은 상기 제3 완충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지지 돌기를 가지고, 상기 지지 돌기의 선단이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한다. 이 경우, 제3 완충 부재에서 지지 돌기와 접하고 있는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고, 그 부분의 변형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제3 완충 부재의 충격 흡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고정 철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 철심으로부터 제3 완충 부재를 통해 캡에 전파되는 충격을, 고정 철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을 따라 고르게 흡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고정 철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돌기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제3 완충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3 완충 부재에서 지지 돌기가 접촉하는 부분에 집중된다. 따라서, 지지 돌기와 접촉하는 제3 완충 부재의 변형량이 커지고, 이로써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맞닿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더욱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를 환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지지 돌기와 제3 완충 부재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캡에 진동을 전파시키는 면적이 줄어들어, 진동의 전파가 더욱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접촉하는 선단이 상기 제3 완충 부재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곡면 형태이다. 또는,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접촉하는 선단이 상기 제3 완충 부재 측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경우에는, 제3 완충 부재와 지지 돌기의 접촉 면적이 더욱 감소되어, 완충 부재에서 지지 돌기와 접촉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고,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맞닿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와 제3 완충 부재의 접촉 면적이 더욱 감소되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캡은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금속판을 절단하여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고정 철심의 축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3 완충 부재뿐만 아니라 지지 돌기 또한 휘어짐에 의해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캡에 전파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접촉하는 선단이 상기 제3 완충 부재 측으로 굽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3 완충 부재와 지지 돌기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맞닿을 때에 발생한 충격이 제3 완충 부재에 의해 더욱 흡수되기 쉬워진다. 또한, 지지 돌기와 제3 완충 부재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캡은, 상기 고정 철심의 플랜지의 선단면(end face)을 덮는 직사각형의 주벽과, 상기 주벽의 선단(end)을 상기 플랜지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측면을 덮는 측벽과, 각각의 측벽의 선단을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굽힘 가공에 의해 캡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캡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은 상기 주벽의 한 쌍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주벽의 다른 한 쌍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고정판에 접촉하는 보강벽을 구비한다. 이 경우, 캡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보강벽의 선단을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용접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캡을 고정판에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각각의 측벽과 각각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캡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측벽 및 고정부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점 장치는, 상기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일단이 상기 가동 접촉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철심에 접속된 가동축과, 상기 캡과 상기 가동 접촉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접촉 압박 스프링(a contact pressure spring)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접촉 압박 스프링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접촉 압박 스프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 접촉 압박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고, 이로써 접촉 압박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 압박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전자기 개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캡의 일부를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이동 규제부의 돌출 치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가동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캡은, 상기 고정 철심 측의 면에, 상기 이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구멍과 상기 고정 철심의 관통공을 격리하는 환형의 격리벽을 구비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한 접점 가루가, 상기 캡의 구멍을 통하여 고정 철심의 관통공에 들어가 가동 철심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캡은, 상기 고정 철심 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접촉 압박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환형의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이 상기 이동 규제부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홈의 외저부가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환형의 홈에 의해 접촉 압박 스프링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홈의 외저부가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상기 캡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고, 이로써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캡에 전파되기가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점 장치는, 상기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 접촉자와, 일단이 상기 가동 접촉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철심에 접속된 가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철심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가동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가동축은, 상기 가동 철심과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면의 접촉 및 상기 가동축과 상기 캡의 상기 관통공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기울어짐이 규제된다. 이 경우, 가이드 실린더의 내면에 의해서만 가동축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축의 기울어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가동축의 기울어짐에 기인하는 접점 장치의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기 개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는, 여자 코일의 선단은 코일 단자에 접속되고, 코일 단자는 케이스에 설치된 외부 단자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완충 부재를 통해 전자석 장치를 케이스 내에 고정한 경우에는, 완충 부재에 의해 유지된 전자석 장치가 케이스 내에서 진동하면,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가 서로 고정되지만, 전자석 장치에 의해 유지된 코일 단자가 진동하기 때문에, 각 단자에 응력이 걸려 접촉 불량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전자기 개폐 장치의 신뢰성(내진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여자 코일의 선단에 접속된 코일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하는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는, 가요성을 갖고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자석 장치가 진동하여도, 가요성을 갖는 접속 부재에 의해 코일 단자 및 외부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자기 개폐 장치의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의 진동이 직접 외부 단자에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하고자 하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부품으로 접속 부재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부재는, 제1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예를 들면, 좌우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2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3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각 방향으로의 진동을 각 방향에 대응하는 부재가 휘어짐으로써 흡수할 수 있어,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가 판형인 경우,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코일 단자에 접속되는 위치 또는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용접을 위한 접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일 단자 및/또는 외부 단자와 접속 부재 간의 접속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선형(line-like shape)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는, 복수의 소선(element wire)으로 이루어진 스트랜드(strand)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접속 부재의 가요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랜드는 절연성 재료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트랜드를 절연시킬 수 있고, 스트랜드를 케이스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코일 단자 및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속 부재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코일 단자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를 서로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코일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개폐 장치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전자석 장치 및 접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H)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완충 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완충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코일 보빈의 플랜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코일 보빈의 플랜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주요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의 (A) 내지 (C)는 도 13A 또는 도 14의 캡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캡의 전개도이다.
도 17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캡의 전개도이다.
도 18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캡의 전개도이다.
도 19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캡의 전개도이다.
도 20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이다.
도 25의 (A) 내지 (C)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의 (A) 내지 (C)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7A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7B는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접속 부재를 다른 부재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1의 전자기 개폐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A는 도 30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1B는 도 3O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의 다른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O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의 다른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기밀 공간(airtight space)에 접점 장치, 고정 철심 및 가동 철심이 수용된 밀봉형의 전자기 개폐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접점 장치, 고정 철심 및 가동 철심이 기밀 공간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전자기 개폐 장치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기 개폐 장치는, 도 1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 장치(1)와 전자석 장치(1)의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접점 장치(2)와, 전자석 장치(1) 및 접점 장치(2)를 수용하는 케이스(3)를 포함한다.
전자석 장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코일 보빈(10), 코일 보빈(10)에 감겨진 여자 코일(11), 코일 보빈(10)을 내부에 수용하는 대략 U자형의 요크(12), 요크(12)의 양쪽 선단에 접속되는 고정판(13), 코일 보빈(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실린더(16), 가이드 실린더(16)의 내부에 수용되는 원통형의 고정 철심(14), 고정 철심(14)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고정판(13)에 고정되는 캡(17), 고정 철심(14)과 마주보는 상태로 가이드 실린더(16)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동 철심(15)을 포함한다.
코일 보빈(10)은 합성 수지로 구성되며, 그 양단에 한 쌍의 플랜지(10a)를 갖는다. 각각의 플랜지(10a)는 직사각형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자 코일(11)은 한 쌍의 플랜지(10a)의 사이에서 코일 보빈(10)에 감겨진다.
요크(12)는 중앙편(12a)과 중앙편(12a)의 양단으로부터 직립되어 있는 한 쌍 의 측편(12b)으로 이루어진다. 요크(12)는 중앙편(12a)의 중심에 코일 보빈(10)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12c)을 갖는다.
고정판(1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 금속 재료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 철심(14)의 일단이 관통 가능한 관통공(13a)을 갖는다. 고정판(13)은 요크(12)의 양쪽 측편(12b)의 선단을 폐쇄하도록 양쪽 측편(12b)의 선단에 접속된다.
가이드 실린더(16)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저부(bottom)를 갖는 저부 실린더이며, 코일 보빈(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고정판(13)의 관통공(13a)의 주변부에 기밀 접속되고, 저부가 요크(12)의 관통공(12c)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고정 철심(14)은, 일단(원통부)이 가이드 실린더(16)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고, 고정판(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할 수 있으며, 타단에 플랜지(14b)를 갖는다. 고정 철심(14)은, 원통부가 고정판(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한 상태에서 플랜지(14b)가 고정판(13)의 관통공(13a)의 주변부에 계지(lock)되어, 가이드 실린더(16) 내에서 고정판(13) 측에 배치된다.
캡(17)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저부를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부의 주변부에 플랜지(17b)를 가지며, 저부에 관통공(17a)을 갖는다. 캡(17)은 고정 철심(14)의 플랜지(14b)를 덮도록 고정판(13)에 배치되고, 플랜지(17b)가 고정판(13)에 고정된다.
가동 철심(15)은 가이드 실린더(16)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고, 고 정 철심(14)과 마주보는 상태로 가이드 실린더(16)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가동 철심(15)과 고정 철심(14)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18)이 배치되어, 가동 철심(15)을 고정 철심(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가동 철심(15)은 고정 철심(1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다. 가동 철심(15)은 요크(12)의 관통공(12c)의 주변부와 자기 결합되어, 가동 철심(15), 고정 철심(14), 고정판(13), 및 요크(12)는 여자 코일(11)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통과시키는 자기 경로(magnetic path)를 형성한다.
접점 장치(2)는, 베이스 블록(20)과, 고정 접점(21)을 각각 구비한 한 쌍의 고정 단자(22)와, 한 쌍의 고정 접점(21)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한 쌍의 가동 접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가동 접촉자(23)와, 일단이 가동 접촉자(23)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동 철심(15)에 연결되는 가동축(24)을 포함한다.
베이스 블록(20)은 내열성 재료로 구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저부에 2개의 관통공(20a)을 갖는다.
각각의 고정 단자(22)는 예를 들면 구리 계열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고정 접점(21)을 갖고, 타단에 플랜지(22a)를 갖는다. 각각의 고정 단자(22)는 상기 일단이 베이스 블록(20)의 관통공(20a)을 통하여 베이스 블록(20)의 내부에 삽입되며, 플랜지(22a)가 베이스 블록(20)의 외저면에 납땜(brazing) 등에 의해 기밀 접합된다.
가동 접촉자(23)는 도전 재료에 의해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 접점(21)과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가동 접점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23) 는 중앙에 가동축(24)이 삽입되는 관통공(23a)을 갖는다.
가동축(24)은 절연 재료에 의해 대략 둥근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가동축(24)은 일단에 가동 접촉자(23)의 빠짐을 방지하는 플랜지(24a)를 가지며, 타단이 가동 접촉자(23)의 관통공(23a), 캡(17)의 관통공(17a), 및 고정 철심(14)의 관통공(14a)을 통하여 가동 철심(15)에 연결된다.
가동 접촉자(23)와 캡(17)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접촉 압박 스프링(25)이 배치되고, 가동 접촉자(23)는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 접점(21) 측으로 가압되고, 가동축(24)의 플랜지(24a)에 가압된다.
베이스 블록(20)은 연결 부재(26)에 의해 고정판(13)에 연결된다. 연결 부재(26)는 금속 재료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한쪽의 개구부가 베이스 블록(20)의 개구부에 기밀 접합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개구부가 고정판(13)에 기밀 접합된다. 그 결과, 베이스 블록(20), 고정 단자(22), 연결 부재(26), 고정판(13), 및 가이드 실린더(16)에 의해 둘러싸인 기밀 공간이 형성된다. 기밀 공간의 내부에는, 고정 접점(21)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단시간에 진화하기 위해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가 2기압 정도로 밀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전자기 개폐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21)이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가동 철심(15)과 고정 철심(14)도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여자 코일(11)이 자화되면,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흡인되어 이동한다. 그 결과, 가동 철심(15)에 연결된 가동축(24)이 고정 단자(21) 측으로 이동 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21)에 접촉한다. 이로써, 고정 단자(22)가 서로 도통 상태로 된다. 그 후, 가동 철심(15)이 과이동(over-travle)하여 고정 철심(14)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21) 사이의 접촉 압박력은 접촉 압박 스프링(25)에 의해 확보된다.
여자 코일(11)의 자화가 중단되면, 가동 접촉자(23)는 복귀 스프링(18)의 스프링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21)으로부터 분리되고, 고정 단자(22)가 서로 절연된다. 가동 철심(15) 또한 고정 철심(14)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전자기 개폐 장치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케이스(3)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A)의 좌우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몸체(30a)와 커버(30b)를 조립하여 상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석 장치(1)와 접점 장치(2)는 몸체(30a)와 커버(30b)를 조립할 때에 케이스(3) 내에 수용된다.
케이스(3)는, 도 1의 (A)에서의 좌우 방향의 내면에, 코일 보빈(10)의 양쪽 플랜지(10a)의 주변부와 결합하는 오목부(3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의 (A)에서의 오목부(31)의 위쪽은 개방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31)에는 전자석 장치(1)로부터 케이스(3)에 전파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32)가 설치되고, 코일 보빈(10)의 각각의 플랜지(10a)는 완충 부재(32)를 통해 오목부(31)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 부재(32)는 내부에 다수의 기실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전자석 장치(1)로부터 케이스(3)에 전파되는 진동은 다수의 기실 사이에서 입력, 전파 및 출 력을 반복하고, 기실에 들어오고 나갈 때에 감쇄된다. 이로써,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높은 효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부재(32)는 직물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미세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중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겹쳐진 미세 부재 사이에서 진동이 입력, 전파 및 출력을 반복하고, 미세 부재에 들어오고 나갈 때에 감쇄되어,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높은 효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마찬가지의 원리를 이용하여 스펀지 등을 완충 부재(32)로서 사용해도 된다.
그 외, 합성고무, 합성 수지, 또는 스프링 형태나 섬유 형태로 형성된 금속 재료를 완충 부재(32)로서 사용해도 된다. 단, 완충 부재(32)로 인해 전자기 개폐 장치 전체의 내열성이 열화되지 않도록, 전자석 장치(1), 접점 장치(2) 및 케이스(3) 중에서 가장 내열성이 낮은 코일 보빈(10)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 부재(32)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코일 보빈(10)보다 재료의 변형 시에 진동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32)의 형상은, 도 4의 (A) 내지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원뿔대(frustum) 모양, 프레임형, 원기둥형 또는 원통형이어도 된다. 완충 부재(32)의 형상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체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도 5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 및/또는 플랜지(10a)와 접촉하는 완충 부재(32)의 접촉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완충 부재(32) 와 케이스(3) 및/또는 플랜지(10a)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코일 보빈(10)이 케이스(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고, 케이스(3)에 전파되는 에너지(진동)가 감소된다. 역으로, 완충 부재(32)와 접촉하는 플랜지(10a) 및 케이스(3)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기 개폐 장치는에서는, 전자석 장치(1)가 완충 부재(32)를 통해 케이스(3)의 오목부(31)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자석 장치(1)에서 발생한 진동이 직접 케이스(3)에 전파되지 않고, 완충 부재(32)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전자석 장치(1)에서 발생한 진동은 케이스(3)에 전파되기가 어려워져, 전자석 장치(1)로부터 케이스(3)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보빈(10)은, 충격의 발생원으로 되는 가동 철심(15) 및 고정 철심(14)과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고, 요크(12)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충돌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이 진동은 코일 보빈(10)에는 전파되기 어렵다. 또한, 코일 보빈(10)은 합성 수지로 구성되므로, 전자석 장치(1)에서 발생한 진동을 거의 전파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와 같은 코일 보빈(10)의 플랜지를 케이스가 지지함으로써, 전자석 장치로부터 케이스에 전파되는 진동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코일 보빈(10)의 플랜지(10a)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었으나,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에 의해 유지되는 부분을 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플랜지(10a)와 완충 부재(32)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플랜지(10a)가 케이스(3)에 대해서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전자석 장치(1)에서 진동이 발생하여도 케이스(3)에의 진동의 전파가 더욱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스(3)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단자(22)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단자 창(33)을 갖고, 단자 창(33)의 주변부로부터 접점 장치(2)를 향해 고정 단자(22)를 에워싸도록 리브(34)가 돌출되고, 단자 창(33)의 주변부(리브(34)의 내주면)와 접점 장치(2)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제2 완충 부재(35)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4)의 선단은 제2 완충 부재(35)를 통해 접점 장치(2)와 접촉하고 있다. 제2 완충 부재(35)를 설치함으로써, 단자 창(33)을 통하여 이물질이 케이스(3)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는 제2 완충 부재(35)를 통하여 접점 장치(2)와 접촉하므로, 전자석 장치(1)에서 발생한 진동이 제2 완충 부재(35)에 의해도 흡수되어, 케이스(3)에의 진동의 전파가 더욱 억제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는, 전자석 장치(1)에서 발생하는 진동 자체를 억제함에 의해서도 케이스(3)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하, 전자석 장치(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전자석 장치(1)의 고정 철심(14)과 캡(17)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철심(14)의 플랜지(14b)와 캡(17)의 저면 사이에, 합성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형의(또는 환형의) 고무 시트(40)(제3 완충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철심(14)의 플랜지(14b)와 고정판(13) 사이에도 원형의(또는 환형의) 고무 시트(4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가동 철심(15)과 고정 철 심(14) 사이에도 원형의(또는 환형의) 고무 시트(42)를 설치하고, 가이드 실린더(16)의 저부와 가동 철심(15) 사이에도, 가동 철심(15) 측의 면에 다월(dowel)(43a)이 돌출된(도 2 참조) 댐퍼 고무(43)를 설치하고 있다.
고정 철심(14)의 플랜지(14b)와 캡(17)의 저면 사이에 고무 시트(40)를 설치함으로써,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충돌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이 고무 시트(40)에 의해 흡수되어,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철심(15)과 고정 철심(14) 사이에 고무 시트(42)를 설치함으로써도,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충돌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철심(14)의 플랜지(14b)와 고정판(13) 사이에 고무 시트(41)를 설치하고, 가이드 실린더(16)와 가동 철심(15) 사이에 댐퍼 고무(43)를 설치함으로써, 가동 철심(15)이 초기 위치에 복귀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캡(17)은 고무 시트(40)(제3 완충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지지 돌기(17c)를 갖고, 지지 돌기(17c)의 선단이 고무 시트(40)(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지지 돌기(17c)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고무 시트(40)에서 지지 돌기(17c)와 접하고 있는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고, 그 결과 지지 돌기(17c)와 접하고 있는 고무 시트(40) 부분의 변형량이 커져,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7의 지지 돌기(17c)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철 심(1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철심(14)으로부터 고무 시트(40)를 통해 캡(17)에 전파되는 충격을, 고정 철심(1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을 따라 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돌기(17c)의 선단은, 고무 시트(40) 측(제3 완충 부재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 돌기(17c)와 접하고 있는 고무 시트(40)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17c)와 고무 시트(4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가 억제된다.
도 8C에 나타낸 지지 돌기(17c)의 형상 대신에, 도 9와 같이, 지지 돌기(17c)의 선단을 고무 시트(40) 측(제3 완충 부재 측)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지지 돌기(17c)와 접하고 있는 고무 시트(40)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17c)와 고무 시트(4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가 억제된다.
지지 돌기(17c)를 환형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돌기(17c)를 고정 철심(1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일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돌기(17c)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고무 시트(40)에 가해지는 압력은 지지 돌기(17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집중된다. 그 결과, 지지 돌기(17c)와 접하고 있는 고무 시트(40) 부분의 변형량 이 커지고,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17c)와 고무 시트(4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가 억제된다.
지지 돌기(17c)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에 비해 지지 돌기(17c)의 크기를 작게 해도 된다. 또한, 지지 돌기(17c)의 개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에 비해 지지 돌기(17c)의 수를 적게 하여도 된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7)의 저부의 금속판을 절단하여 고무 시트(40) 측으로 굽힘으로써 지지 돌기(17c)를 형성하여, 지지 돌기(17c)가 고정 철심(14)의 축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돌기(17c)가 판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고무 시트(40)(제3 완충 부재)뿐만 아니라 지지 돌기(17c) 또한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이로써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캡에 전파되는 것을 더욱 어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케이스(3)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 돌기(17c)의 형상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가늘게(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돌기(17c)와 고무 시트(40)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지지 돌기(17c)와 접촉하는 고무 시트의 변형량이 증가되어, 가동 철심(15)이 고정 철심(14)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더욱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17c)와 고무 시트(4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 문에, 진동의 전파가 더욱 억제된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돌기(17c)의 선단을 고무 시트(40) 측(제3 완충 부재 측)으로 굽혀도 된다. 이 경우, 고무 시트(40)와 지지 돌기의 접촉 면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굽혀진 선단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고무 시트(40)와 지지 돌기의 접촉 면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캡(17)은 금속판의 드로잉 가공(draw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드로잉 가공을 사용하는 경우, 가공에 필요한 설비에 대한 투자 또는 금형에 대한 투자 등과 같은 캡(17)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 장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캡(17)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16A의 캡(17)은 고정 철심(14)의 플랜지(14b)의 선단면(end face)을 덮는 직사각형의 주벽(170)과, 주벽(170)의 양단부를 플랜지(14b) 측으로 굽혀 형성되고 플랜지(14b)의 측면을 덮는 한 쌍의 측벽(171)과, 각각의 측벽(171)의 선단을 굽혀 형성되고 고정판(13)에 고정되는 고정부(172)를 구비한다. 또한, 주벽(170)에는 관통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드로잉 가공에 필요한 설비나 금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캡(17)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6A의 캡(17)은,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벽(170)의 다른 한 쌍의 선단을 플랜지(14b)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고 선단이 고정판(13)에 접촉하는 보강벽(173)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캡(17)의 강 도가 높아지게 되어 외력에 의한 캡(17)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벽(173)의 선단을 90도 각도로 외측으로 굽혀, 고정판(13)에 용접되는 용접부(174)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용접부(174)를 고정판(13)에 용접할 수 있어, 캡(17)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A의 캡(17)은,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171)과 각각의 고정부(172)를 연결하는 연결부(17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캡(17)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측벽 및 고정부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6A의 캡(17)은, 주벽(170)과 측벽(171)이 직교하고 있지만,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벽(170)과 측벽(171)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어도 된다. 또한,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벽(170)의 네 귀퉁이에 측벽(171)을 형성하고, 주벽(170)과 측벽(171)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측벽(171)을 구부려도 된다. 이들의 경우, 각각의 측벽(171)이 판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고정 철심(14)을 고정판(13) 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고정 철심(14)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로 복귀하면, 본 실시예의 캡(17)은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17d)를 구비한다. 이동 규제부(17d)는 캡(17)의 관통공(17a)의 주위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부이고,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갖는다.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위치가 캡(17) 상에서 어긋나면, 가동 접점과 고정 접 점(21) 간의 접촉 압박력이 낮아져, 전자기 개폐 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동 규제부(17d)를 설치함으로써,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고,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21)의 접촉 압박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동 규제부(17d)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7)의 일부를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도 21에서, 복수의 이동 규제부(17d)는, 캡(17)의 관통공(17a)에 가까운 측이 근원(root)으로 되고, 관통공(17a)으로부터 멀어진 측이 선단으로 되도록, 캡(17)의 일부를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이동 규제부(17d)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이동 규제부(17d)의 돌출 치수를 간단히 크게 할 수 있고,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1과 같이 캡을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이동 규제부(17d)를 형성한 경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21)의 접촉에 의해 발생한 접점 가루가, 캡을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된 구멍(14a)을 통해 고정 철심(14)의 관통공(14a)에 유입되어, 가동 철심(15)의 동작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캡을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이동 규제부(17d)를 형성한 경우, 캡(17)은, 이동 규제부(17d)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구멍과 고정 철심(14)의 관통공(14a)을 격리하는 환형의 격리벽(17e)을, 고정 철심 측의 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서는, 격리벽(17e)의 선단은 고무 시트(40)에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접점 가루가 상기 캡의 구멍을 통해 고정 철심(14)의 관통공(14a)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규제부(17d)의 구성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7)은, 고정 철심(14) 측으로 돌출 하여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일단이 결합되는 환형의 홈(17f)을 가지며, 이 홈(17f)이 이동 규제부(17d)를 제공(즉, 형성)하고, 홈(17f)의 외저부가 고무 시트(40)(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환형의 홈(17f)에 의해 접촉 압박 스프링(25)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홈(17f)의 외저부가 고무 시트(40)에 접촉함으로써, 고무 시트(40)와 캡(17)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전자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3)에 전파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의 관통공(17a)과 이동 규제부(17d)를 캡(17)을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그런데,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낸 캡(17)에서는, 관통공(17a)의 내경이 가동축(24)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다소 큰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캡의 관통공(17a)의 내면 및 가이드 실린더(16)에 의해 가동축(24)의 기울어짐을 규제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전자석 장치(1)에서는, 가동축(24)의 기울어짐이 가동 철심(15)과 가이드 실린더(16)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동축(24)의 기울어짐을 규제하려면, 가동 철심(15)과 가이드 실린더(16) 사이의 틈새(clearance)를 작게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가동 철심(15)과 가이드 실린더(16)를 극히 고정밀도로 제조해야 한다. 그래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17a)의 내경을 가동축(24)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정도로 형성하고, 가동축(24)의 기울어짐이 가동 철심(15)과 가이드 실린더(16)의 내면의 접촉 및 가 동축(24)과 캡의 관통공(17a)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방지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2에서만큼 높은 치수 정밀도로 부품을 제조하지 않아도 가동축의 기울어짐을 규제할 수 있다. 가동축의 기울어짐을 규제함으로써, 가동축의 기울어짐에 기인하는 접점 장치의 접점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기 개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동축(24)과 캡(17)의 관통공(17a)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기 위해,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7)의 관통공(17a)의 고정 철심(14) 측의 주변부(17g)를 곡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는,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7)의 관통공(17a)의 가동 접촉자 측의 주변부(17g)를 곡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는, 도 2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17a)의 양단부의 주변부(17g)를 곡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자 코일(11)의 양단은 한 쌍의 코일 단자(19)에 접속되고, 케이스(3)는 한 쌍의 외부 단자(36)를 포함하며, 이 외부 단자(36)는 일단(36a)이 케이스(3)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타단(36b)이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하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 쌍의 코일 단자(19)와 한 쌍의 외부 단자(36)(36b)는 가요성을 갖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50)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는, 코일 단자와 외부 단자는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서로 납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기 개폐 장치에서는, 전자석 장치(1)가 완충 부재(32)를 통해 케이스(3) 내에 유 지되어 있으므로, 전자석 장치(1)가 케이스 내에서 진동하면, 전자석 장치(1)에 설치된 코일 단자(19)도 진동한다. 그러므로, 만약 코일 단자(19)가 외부 단자(36)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면, 외부 단자(36)가 케이스(3)에 고정된 채로 코일 단자(19)가 진동하므로, 각각의 단자에 응력이 걸리게 되어, 납땜이 벗겨지는 등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코일 단자(19)와 한 쌍의 외부 단자(36)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50)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자석 장치(1)가 진동하여도, 가요성을 가지는 접속 부재(50)에 의해 코일 단자(19) 및 외부 단자(36)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자기 개폐 장치의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19)의 진동이 외부 단자(36)에 직접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석 장치(1)로부터 케이스(3)에 전파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접속 부재(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50)는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6의 (A)에서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접속 부재(50)가 휘어지므로, 전자석 장치(1)로부터 전파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부품으로 접속 부재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부재(50)가 쉽게 휘어지도록,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의 접속 부재(50)의 중앙부의 폭을 가늘게 하거나, 도 2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공(50a)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2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50)는,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27A의 상하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을 갖는 판형의 제1 부재(50a)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예를 들면, 도 27A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면을 갖는 판형의 제2 부재(50b)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예를 들면, 도 27A의 전후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면을 갖는 판형의 제3 부재(5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각의 방향으로의 진동을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재(50a 내지 50c)를 구부림으로써 흡수할 수 있어,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재(50b)가 도 27B의 좌우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제2 부재(50b)를 나선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50)가 판형인 경우, 접속 부재(50)는, 코일 단자(19)와 접합되는 부위 또는 외부 단자(36)와 접합되는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용접을 위한 접합부(50d)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에서, 접속 부재(50)는 코일 단자(19)와 접합되는 부위 및 외부 단자(36)와 접합되는 부위의 양쪽에 용접을 위한 접합부(50d)가 설치되어 있다. 접합부(50d)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접속 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50d)를 코일 단자(19)의 일단 또는 외부 단자(36)의 일단(도 29에서는 코일 단자(19)의 일단)에 맞닿게 하여 저항 용접(resistance welding)함으로써, 접속 부재(50)와 코일 단자(19) 또는 외부 단자(36)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50)에 접합부(50d)를 설치하여, 접속 부재(50)와 코일 단자(19) 및/또는 외부 단자(36)를 저항 용접함으로써, 접속 부재(50)와 코일 단자(19) 및/또는 외부 단자(36)와의 접합성이 향상되고, 내진동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는, 접속 부재(50)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line-like shape)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소선으로 이루어진 스트랜드(strand)로 선형의 접속 부재(5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부재의 가요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부재(50)가 스트랜드인 경우, 스트랜드는 절연성 재료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트랜드를 케이스(3)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배치할 수 있다.
접속 부재(50)가 선형(또는, 와이어형)인 경우,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50)가 휘어진 상태에서 코일 단자(19)와 외부 단자(36)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1B의 우측의 코일 단자(19)와 좌측의 외부 단자(36)를 접속 부재(50)에 의해 접속하는 동시에, 도 31B의 좌측의 코일 단자(19)와 우측의 외부 단자(36)를 접속 부재(50)에 의해 접속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2개의 접속 부재(50)를 서로 교차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우, 접속 부재(6)의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어, 코일 단자(19)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단자(19) 및 외부 단자(36)를 케이스(3) 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접속 부재(50)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내진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의 진동을 억제할 수도 있고, 코일 단자(19)와 외부 단자(36)를 서로 떨어진 곳에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속 부재(50)를 코일 단자(19)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일탈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여,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것 이외에는 그 특정 실시예로 제약되지 않는다.
Claims (30)
- 전자기 개폐 장치에 있어서,코일 보빈(coil bobbin)에 감겨진 여자 코일의 자화에 응답하여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전자석 장치;고정 접점과, 상기 전자석 장치의 상기 가동 철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거나 이격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한 접점 장치; 및상기 전자석 장치 및 상기 접점 장치를 수용하는 상자 모양의 케이스를 포함하며,상기 코일 보빈은 상기 코일 보빈의 축방향의 선단에 플랜지를 가지며,상기 케이스는 그 내면에 상기 코일 보빈의 상기 플랜지의 주변부에 결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전자석 장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전파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며,상기 코일 보빈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완충 부재를 통해 상기 오목부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자석 장치가 상기 케이스 내에 유지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완충 부재는 내부에 다수의 기실(氣室)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 기 개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완충 부재는 직물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미세 부재를 중첩하여 구성된, 전자기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점 장치는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된 고정 단자를 가지며,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단자 창(terminal window)을 가지며,상기 단자 창의 주변부와 접점 장치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제2 완충 부재가 설치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고정 철심을 유지하는 고정판을 가지며,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 철심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상기 고정 철심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플랜지를 갖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고정판의 상기 관통공의 주변부에 계지(lock)되며,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 철심의 상기 플랜지를 덮고 상기 고정 철심의 이 동을 규제하는 캡을 가지며,상기 캡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3 완충 부재가 설치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캡은 상기 제3 완충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지지 돌기를 가지며,상기 지지 돌기의 선단이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고정 철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고정 철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 돌기의 선단은, 상기 제3 완충 부 재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 돌기의 선단은, 상기 제3 완충 부재 측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캡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금속판을 절단하여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고정 철심의 축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3 완충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 돌기의 선단은 상기 제3 완충 부재 측으로 굽어져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캡은,상기 고정 철심의 플랜지의 선단면(end face)을 덮는 직사각형의 주벽(main wall)과,상기 주벽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측면을 덮는 측벽과,각각의 측벽의 선단을 굽힘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측벽은 상기 주벽의 한 쌍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며,상기 캡은, 상기 주벽의 다른 한 쌍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 측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고정판에 접촉하는 보강벽을 더 포함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캡은, 상기 보강벽의 선단을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용접되는 용접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캡은 각각의 상기 측벽과 각각의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접점 장치는,상기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일단이 상기 가동 접촉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철심에 접속되는 가동축과,상기 캡과 상기 가동 접촉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접촉 압박 스프링(a contact pressure spring)을 포함하며,상기 캡은 상기 접촉 압박 스프링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접촉 압박 스프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캡의 일부를 절단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가동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상기 캡은, 상기 고정 철심 측의 면에, 상기 이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형 성된 구멍과 상기 고정 철심의 상기 관통공을 격리하는 환형의 격리벽을 갖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캡은, 상기 고정 철심 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접촉 압박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환형의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이 상기 이동 규제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의 외저부가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접촉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접점 장치는, 상기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 접촉자와, 일단이 상기 가동 접촉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철심에 접속되는 가동축을 포함하며,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 철심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실린더를 포함하며,상기 캡은 상기 가동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상기 가동축은, 상기 가동 철심과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면의 접촉 및 상기 가동축과 상기 캡의 상기 관통공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기울어짐이 억제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석 장치는 상기 여자 코일의 선단에 접속되는 코일 단자를 포함하 며,상기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하는 외부 단자를 포함하며,상기 코일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는, 가요성을 갖고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부재는,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1 부재와,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2 부재와,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3 부재를 포함하는,전자기 개폐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코일 단자에 접속되는 위치 또는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용접을 위한 접합부를 갖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부재는 선형(line-like shape)으로 형성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부재는 복수의 소선(element wire)으로 이루어진 스트랜드(strand)인, 전자기 개폐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랜드는 절연성 재료로 피복되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코일 단자 및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코일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341247 | 2005-11-25 | ||
JP2005341247A JP4508091B2 (ja) | 2005-11-25 | 2005-11-25 | 電磁開閉装置 |
JPJP-P-2006-114887 | 2006-04-18 | ||
JP2006114887A JP4404067B2 (ja) | 2006-04-18 | 2006-04-18 | 電磁開閉装置 |
JPJP-P-2006-114886 | 2006-04-18 | ||
JP2006114886A JP4453676B2 (ja) | 2006-04-18 | 2006-04-18 | 電磁継電器 |
JP2006116052A JP4404068B2 (ja) | 2006-04-19 | 2006-04-19 | 電磁開閉装置 |
JPJP-P-2006-116052 | 2006-04-19 | ||
JP2006121310A JP2007294254A (ja) | 2006-04-25 | 2006-04-25 | 電磁開閉装置 |
JPJP-P-2006-121311 | 2006-04-25 | ||
JP2006121311A JP4453677B2 (ja) | 2006-04-25 | 2006-04-25 | 電磁開閉装置 |
JPJP-P-2006-121310 | 2006-04-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7638A true KR20070117638A (ko) | 2007-12-12 |
KR100922542B1 KR100922542B1 (ko) | 2009-10-21 |
Family
ID=3806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2670A KR100922542B1 (ko) | 2005-11-25 | 2006-11-21 | 전자기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876183B2 (ko) |
EP (1) | EP1953784B1 (ko) |
KR (1) | KR100922542B1 (ko) |
DE (1) | DE602006017726D1 (ko) |
WO (1) | WO200706094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921B1 (ko) * | 2009-05-21 | 2013-04-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기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67746B1 (en) * | 2008-03-19 | 2015-07-08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Contact device |
JP5151832B2 (ja) * | 2008-09-09 | 2013-02-27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磁スイッチ |
EP2241748B1 (en) | 2008-08-07 | 2014-12-31 | Denso Corporation | A starting device for engines |
FR2940507B1 (fr) * | 2008-12-19 | 2010-12-24 | Schneider Electric Ind Sas | Dispositif de telecommande pourvu d'un actionneur electromecanique et disjoncteur telecommande equipe d'un tel dispositif |
JP5573250B2 (ja) * | 2010-03-09 | 2014-08-20 | オムロン株式会社 | 封止接点装置 |
EP2549506B1 (en) | 2010-03-15 | 2016-05-11 | Omron Corporation | Contact switching device |
JP5664432B2 (ja) * | 2010-06-21 | 2015-02-0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磁リレー |
US9059523B2 (en) * | 2010-07-16 | 2015-06-1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Contact apparatus |
KR101190853B1 (ko) | 2010-10-15 | 2012-10-1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밀봉 접점의 제조방법 |
KR101086907B1 (ko) * | 2010-10-15 | 2011-11-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계전기 |
KR101072630B1 (ko) | 2010-10-15 | 2011-10-1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소음 저감형 전자식 개폐기 |
KR101116383B1 (ko) * | 2010-10-15 | 2012-03-0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 개폐장치 |
KR101190854B1 (ko) * | 2010-10-15 | 2012-10-1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밀봉 접점의 제조방법 |
KR101072629B1 (ko) | 2010-10-15 | 2011-10-1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소음 저감형 전자식 개폐기 |
KR101086908B1 (ko) | 2010-10-15 | 2011-11-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 개폐기 |
KR101137015B1 (ko) * | 2010-10-15 | 2012-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개폐장치 |
WO2012086214A1 (ja) * | 2010-12-21 | 2012-06-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磁操作装置 |
KR200477243Y1 (ko) * | 2011-01-26 | 2015-05-2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접촉기의 여자 코일 장치 |
KR20140005979A (ko) * | 2011-03-22 | 2014-01-15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접점 장치 |
JP6064262B2 (ja) * | 2012-04-09 | 2017-01-2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点装置のばね負荷調整構造および、接点装置のばね負荷調整方法 |
JP5981756B2 (ja) * | 2012-04-13 | 2016-08-31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電磁接触器 |
JP5938745B2 (ja) * | 2012-07-06 | 2016-06-2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
KR20150046026A (ko) * | 2012-08-23 | 2015-04-29 |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 접점 장치 |
JP6064223B2 (ja) * | 2012-12-28 | 2017-01-2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
CN108417448B (zh) | 2013-06-28 | 2021-03-05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触点装置以及搭载有该触点装置的电磁继电器 |
KR200486560Y1 (ko) * | 2014-01-27 | 2018-06-0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개폐장치 |
KR101519784B1 (ko) * | 2014-04-18 | 2015-05-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배터리 릴레이 |
KR102204849B1 (ko) * | 2014-05-20 | 2021-01-18 |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 전자 접촉기 |
KR101846224B1 (ko) * | 2014-07-11 | 2018-04-0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 개폐기 |
KR200486468Y1 (ko) * | 2014-09-29 | 2018-07-0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직류 릴레이 |
JP6528271B2 (ja) * | 2015-04-13 | 2019-06-1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
KR101943363B1 (ko) * | 2015-04-13 | 2019-04-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개폐기 |
KR101943364B1 (ko) * | 2015-04-23 | 2019-04-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개폐기 |
JP6681579B2 (ja) * | 2015-07-01 | 2020-04-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磁石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
US10211017B2 (en) * | 2015-08-09 | 2019-02-19 | Microsemi Corporation | High voltage relay systems and methods |
JP6536472B2 (ja) * | 2016-04-28 | 2019-07-03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ソレノイド |
CN107527768B (zh) * | 2016-06-17 | 2022-07-01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电磁铁装置以及搭载了该电磁铁装置的电磁继电器 |
CN107527769B (zh) * | 2016-06-17 | 2021-05-18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电磁铁装置以及搭载了该电磁铁装置的电磁继电器 |
KR102587317B1 (ko) * | 2019-08-28 | 2023-10-10 |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 푸시풀 솔레노이드 |
CN110660617B (zh) * | 2019-08-30 | 2021-10-22 | 厦门宏发交通电器有限公司 | 用于直动式的汽车继电器 |
JP7427908B2 (ja) | 2019-10-15 | 2024-02-06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CN110853984A (zh) * | 2019-12-06 | 2020-02-28 | 宁波天波港联电子有限公司 | 多段电弧继电器 |
JP7414024B2 (ja) * | 2021-01-21 | 2024-01-16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電磁接触器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31025A (en) * | 1946-09-27 | 1950-11-21 | Allen Bradley Co | Cushioned magnetic switch |
DE970017C (de) * | 1952-03-20 | 1958-08-14 | Licentia Gmbh | Elektrisch betaetigtes Schaltgeraet, insbesondere Schuetz, mit einer Funkenkammer |
GB734099A (en) | 1952-02-29 | 1955-07-27 | Licentia Gmbh |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switching devices |
US2782282A (en) * | 1952-06-26 | 1957-02-19 | Schrack Eduard | Magnetically operable switch |
US3134869A (en) * | 1962-03-13 | 1964-05-26 | Allen Bradley Co | Electromagnet assembly with interfitting parts |
US3215800A (en) * | 1962-07-02 | 1965-11-02 | Square D Co | Electromagnetic relay and contact carrier assembly therefor |
NL6408278A (ko) * | 1963-09-10 | 1965-03-11 | ||
NL6409633A (ko) | 1963-09-14 | 1965-03-15 | ||
JPS5034729U (ko) * | 1972-12-28 | 1975-04-14 | ||
JPS5034729A (ko) | 1973-08-01 | 1975-04-03 | ||
AT339993B (de) * | 1975-01-16 | 1977-11-25 | Siemens Ag |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t mit einer abnehmbaren bodenplatte |
JPS57566Y2 (ko) * | 1977-07-22 | 1982-01-06 | ||
JPS5424649A (en) | 1977-07-27 | 1979-02-24 | Sumitomo Electric Ind Ltd | Optical fiber cable |
JPS54146353U (ko) | 1978-04-04 | 1979-10-11 | ||
JPS5746656Y2 (ko) | 1978-08-29 | 1982-10-14 | ||
JPS6226850U (ko) * | 1985-07-31 | 1987-02-18 | ||
JPS63111742U (ko) * | 1987-01-12 | 1988-07-18 | ||
JPH0723882Y2 (ja) * | 1988-03-14 | 1995-05-31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におけるコイル接続構造 |
JPH0625854Y2 (ja) | 1988-04-06 | 1994-07-06 | 富士電機株式会社 | 電磁接触器の導通チェック機構付き開閉表示装置 |
JPH01166945U (ko) | 1988-05-13 | 1989-11-22 | ||
KR950000799B1 (ko) * | 1990-08-15 | 1995-02-02 |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 전동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
JPH0522886A (ja) * | 1990-08-15 | 1993-01-29 | Hitachi Ltd | 電動機及びそのステータ巻線と口出線との接続方法 |
JPH06162901A (ja) * | 1992-11-25 | 1994-06-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磁継電器 |
JPH0716337U (ja) * | 1993-08-20 | 1995-03-17 | 住友電装株式会社 | 押し釦スイッチ |
US5680084A (en) | 1994-11-28 | 1997-10-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ealed contact device and operating mechanism |
JPH09320437A (ja) | 1996-05-31 | 1997-12-1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封止接点装置 |
US5892194A (en) * | 1996-03-26 | 1999-04-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ealed contact device with contact gap adjustment capability |
JPH10106841A (ja) | 1996-09-27 | 1998-04-24 | Taiyo Yuden Co Ltd | チップ形インダクタ |
JPH10122103A (ja) * | 1996-10-17 | 1998-05-12 | Mitsuba Corp | コイル組み付け構造 |
DE19643642C1 (de) * | 1996-10-22 | 1998-05-20 | Siemens Ag | Geräuschreduziertes Relais |
JPH10188711A (ja) | 1996-12-26 | 1998-07-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封止接点装置 |
JPH11232986A (ja) | 1998-02-13 | 1999-08-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封止接点装置 |
JP3456426B2 (ja) | 1998-11-24 | 2003-10-14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電子制御ユニット |
JP2000215774A (ja) * | 1999-01-21 | 2000-08-04 | Fuji Electric Co Ltd | 電磁接触器 |
JP2000352367A (ja) * | 1999-06-10 | 2000-12-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スタータ及びスタータの組付方法 |
JP4031889B2 (ja) | 1999-07-29 | 2008-01-0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スタータ用マグネチックスイッチ |
JP3903713B2 (ja) | 2000-12-13 | 2007-04-11 | アンデ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AU2002365525A1 (en) * | 2001-11-29 | 2003-06-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lec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
JP2004068601A (ja) * | 2002-08-01 | 2004-03-04 | Hitachi Ltd | ソレノ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タータ |
JP4323283B2 (ja) | 2003-10-17 | 2009-09-02 | 中川電化産業株式会社 | タイムスイッチ |
JP4325393B2 (ja) * | 2003-12-22 | 2009-09-02 | オムロン株式会社 | 開閉装置 |
JP4321256B2 (ja) * | 2003-12-22 | 2009-08-26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05228650A (ja) | 2004-02-13 | 2005-08-25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電源遮断装置 |
-
2006
- 2006-11-21 KR KR1020077022670A patent/KR1009225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1-21 WO PCT/JP2006/323204 patent/WO200706094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1-21 DE DE602006017726T patent/DE602006017726D1/de active Active
- 2006-11-21 EP EP06833050A patent/EP195378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11-21 US US11/887,007 patent/US7876183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921B1 (ko) * | 2009-05-21 | 2013-04-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기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876183B2 (en) | 2011-01-25 |
EP1953784B1 (en) | 2010-10-20 |
KR100922542B1 (ko) | 2009-10-21 |
EP1953784A4 (en) | 2010-03-03 |
DE602006017726D1 (de) | 2010-12-02 |
EP1953784A1 (en) | 2008-08-06 |
WO2007060945A1 (ja) | 2007-05-31 |
US20090243771A1 (en) | 200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2542B1 (ko) | 전자기 개폐 장치 | |
CN101167151B (zh) | 电磁开关 | |
KR100845539B1 (ko) | 접점 장치 | |
US20220247293A1 (en) | Vibration generator moving vibrator by magnetic field generated by coil and holder used in vibration-generator | |
US10350637B2 (en) | Vibration generator moving vibrator by magnetic field generated by coil and vibrator-mounted holder used in vibration-generator | |
US7023306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6670722B2 (ja) | 振動モータ | |
WO2011013570A1 (ja) | 振動モータ | |
CN103056096A (zh) | 直线振动器 | |
US10355573B2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20220069812A (ko) | 전자 계전기 | |
KR20160000274A (ko) | 진동모터 | |
JP2012199108A (ja) | 電磁開閉装置 | |
JP4458064B2 (ja) | 電磁開閉装置 | |
KR101632041B1 (ko) | 진동모터 | |
JP2014238919A (ja) | 接点装置 | |
JP2012199109A (ja) | 電磁開閉装置 | |
JP2012199088A (ja) | 接点装置 | |
JP5336271B2 (ja) | 接点装置 | |
JP2017108633A (ja) | 振動発生器 | |
JP2007287572A (ja) | 電磁開閉装置 | |
JP2022139489A (ja) |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 |
JP2021097003A (ja) | 電磁継電器 | |
JP2014149958A (ja) | 電磁継電器 | |
JP2012199110A (ja) | 接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