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735A -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 - Google Patents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735A
KR20070114735A KR1020077020277A KR20077020277A KR20070114735A KR 20070114735 A KR20070114735 A KR 20070114735A KR 1020077020277 A KR1020077020277 A KR 1020077020277A KR 20077020277 A KR20077020277 A KR 20077020277A KR 20070114735 A KR20070114735 A KR 2007011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ion generating
generating element
dielectric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후미 세토
마코토 히라사와
마사아키 츠지
아키라 오쿠야마
스스무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피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피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Publication of KR2007011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발생효율이 높음과 동시에 발생능력의 변동이 적어 안정하고, 나아가 저비용 및 공간 절약화(space saving)가 가능한 이온발생소자와 그것을 이용한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除電器)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온 발생소자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는 유도체와 해당 유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방전(放電) 전극과 상기 유전체의 내부에 배설(配設)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의 작용을 받는 유도전극을 갖고, 양이온과 음이온을 유전체의 다른 면에서 발생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이온 발생소자의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 사이에 구동용(驅動用) 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위차에 기반하여 발생한 방전에 의해,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으로부터 이온을 발생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전기(除電器), 이온 발생소자, 유전체

Description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ION GENERATING ELEMENT, ION GENERATOR AND NEUTRALIZER}
본 발명은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除電器)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미세한 전극에서 발생한 양이온 및 음이온의 중화를 막고, 효율적으로 이온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통되는 유도 전극을 더 가짐으로써 전극구조가 간결하게 구성된 이온 발생소자 및 그것을 이용한 이온 발생기ㆍ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이온 발생기ㆍ 제전기는, 예컨대, 종래형 제전기의 경우에서는 뾰족한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에 고전압 전원보다 고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공기를 이온화한다.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은, 서로 마주보는 접지 전극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어떤 일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온 발생을 구성하기 위한 공간에 제약이 있으며, 효율적인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은, 먼지 등의 퇴적이나 물리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한 마모 등의 영향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발 생하기 어려워져서, 이온 발생효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과 대향하고, 방전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설치된 접지전극에 대해서
도, 고전압에 의한 정전흡착 및 이온 발생전극의 물리 스퍼터링 등에 의해, 먼지 등의 퇴적이 생겨, 표면이 오염되고, 이온 발생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 첨예부의 청소 또는 교환, 아울러 접지 전극 및 그 주변을 청소하고, 이온 발생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정비(maintenance) 작업을 강요당하게 된다. 이러한 정비 작업은, 첨예부를 갖는 구조체 내부의 청소이며, 또한,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번거로운 것이다.
여기서, 이온 발생전극을 바늘형상이 아닌 판(板)모양의 유전체에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을 배설(配設)한 판모양의 이온 발생소자가 개발되었다(특허문헌 1∼3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3-323964
특허문헌 2 : 특개2003-249327
특허문헌 3 : 특개2004-105517
특허문헌 1∼3에 나타낸 기술에서는, 유전체를 통해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 사이에 고전압 전원을 인가해서 국소적으로 방전시켜 이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물리적인 첨예구조를 가지지 않는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국소부분에서의 방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에 비해, 저전압, 저소비 전력으로 동등한 이온량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방전 전극에 코팅층 되는 절연 보호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전극의 열화(劣化)나 연면(沿面)으로의 전류 리크, 나아가서는 정비(maintenance)성 향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이 안고 있었던 문제가 저감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전체를 통해서 형성된 전극구조에 의한 이온 발생은, 비교적 고주파인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면 전극 간의 임피던스가 커지기 때문에, 효율이 극단적으로 저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AC형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하나의 이온 발생소자로부터 양이온과 음이온을 주기적으로 교대로 발생시키는 것으로는, 고주파 고전압전원을 인가한 경우, 양이온 및 음이온의 생성 시간 간격이 대단히 짧기 때문에, 생성된 이온이 다음 주기에서 생성되는 역(逆)극성의 이온과 중화하여, 전기적으로 안정되고, 이온이 튀어나오기가 매우 어렵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체로서의 발생 효율이 감소해버린다는 결점을 안고 있다(도 21 참조).
또한, 이온 농도의 조정이 용이한 고주파성분을 포함하는 직류성분을 갖는 고전압 전원(펄스파 등)을 인가 한 경우에 양(陽)극성의 직류성분을 갖는 고전압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된 양이온이 쿨롱력에 의한 반발 작용으로, 상기의 고주파 고전압 전원을 인가한 경우에 비해, 넓은 범위(廣域)로 이온이 튀어나와서 중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어느 한쪽 극성만의 이온 발생이 되기 때문에, 양극성 이온을 필요로 하는 이온 발생기나 제전기의 경우, 적어도 또 한 쌍, 합계 2쌍의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 및 공간절약의 점에서 메리트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양극성 이온을 필요로 할 경우는,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이온 발생소자를 사용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지만, 각각의 이온 발생소자의 설치위치관계에 의해 이온 발생 능력에 변동이 발생하기 쉽다. 즉, 각각의 이온 발생소자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는, 생성된 이온끼리의 중화에 의해, 전체로서의 이온 발생 효율이 저하하고, 또 이온 발생소자의 거리가 멀 경우는, 공간적으로 이온이 언밸런스(unbalance)한 개소(箇所)가 생긴다. 이 때문에, 용도ㆍ사이즈가 다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품화할 때에, 이온 발생소자의 설치위치에 의한 능력차이를 고려해서 최적의 조건을 끌어내지 않으면 안 되므로, 제품전개를 생각한 후의 비용에의 영향은 크다.
또한, 공간절약을 위해서 2개의 이온 발생소자를 하나로 패키지화하고, 각 극성의 직류 고전압 전원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양이온 발생의 방전 전극과 음이온 발생의 방전 전극이, 공간적으로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양이온과 음이온의 혼합에 의한 중화가 증대하고, 전체로서의 발생 효율이 감소해버린다. 또한, 이온 발생소자의 구조에 있어서도, 2개의 소자를 제조했을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비용면에서의 메리트도 기대할 수 없다(도 22 참조).
여기서 본 발명의 과제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발생 효율이 높고, 동시에 발생 능력의 변동이 적고 안정되어 있으며, 나아가 저비용 및 공간절약화가 가능한 이온 발생소자, 그것을 이용한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1.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 배설(配設)되는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과, 상기 유전체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의 작용을 받는 유도 전극을 갖는 이온 발생소자이며, 양이온과 음이온을 유전체의 다른 면에서 발생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소자.
2. 상기 유전체가 표면과 이면을 갖는 판상재(板狀材)이며, 양이온이 어느 한쪽의 면으로부터 발생하고, 음이온이 다른 한쪽 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이온 발생소자.
3. 상기 유도 전극이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이온 발생소자.
4. 상기 방전 전극이, 복수의 미세한 돌기를 갖는 선모양(線狀)의 도전재(導電材)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온 발생소자.
5. 상기 유도 전극이, 상기 방전 전극에 대향하는 선모양의 도전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온 발생소자.
6.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온 발생소자의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의 사이에 구동용 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위차에 근거해서 발생한 방전에 의해,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서 이온을 발생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기.
7. 발생한 이온을 기류에 의해 송출하는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이온 발생기.
8. 양이온을 발생하는 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면의 양면이, 등량(等量)의 기류환경하가 되도록, 기류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에 상기 양면이 분배되도록 유전체를 기류방향에 따라 배설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이온 발생기.
9. 발생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적어도 한쪽의 이온량을 변화시키는 이온 농도 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온 발생기.
10.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온 발생기에 의해 제전(除電)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청구항 1에 나타나는 발명에 의하면,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발생 효율이 높음과 동시에 발생 능력의 변동이 적어 안정되어 있으며, 더군다나 저비용 및 공간절약화가 가능한 이온 발생소자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양이온과 음이온의 양쪽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적어도 2개의 이온 발생소자를 준비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이온 발생소자로 양쪽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온 발생기나 제전기에 있어서의 설치 스페이스가 종래의 약 1/2 정도로 공간절약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이온 발생소자의 정비 공정수(工程數)에 있어서도, 소자의 교환 작업이나 청소의 공수가, 종래의 약 1/2 정도로 간략화되며,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유전체가 표면과 이면을 갖는 판상재(板狀材)이며, 양이온이 어느 한쪽의 면으로부터 발생하고, 음이온이 다른 한쪽의 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구성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중화(상쇄)가 저감되어 이온 발생 효율이 극히 양호하다.
더구나,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하는 위치 관계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이온 발생의 능력에 있어서도 일정하여, 이온 발생소자 각각의 극성에 따른 간섭 영향에 의한 능력차이가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따라서, 용도ㆍ사이즈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품화할 때에도, 최적의 조건을 끌어내는 것이 간략화되며, 제품전개가 용이해서 저비용 그리고 빠르게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유도 전극을 하나로 함으로써, 즉, 양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의 양쪽이온 방전 전극의 작용을 받는 유도 전극을 공통화한 것에 의해, 저비용화, 양산(量産)화, 공간절약화 등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방전 전극이 미세하고 복수인 것에 의해, 소형공간절약화나 저전력화에 기여한다.
청구항 5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유도 전극이 방전 전극에 대향하는 선모양의 도전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방전 전극에 대한 유도 전극의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되어 안정한 이온 발생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5에 나타낸 이온 발생소자를 갖는 이온 발생기에 의해,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발생 효율이 높고, 동시에 발생 능력의 변동이 적어 안정되어 있으며, 더군다나 저비용 및 공간절약화가 가능한 이온 발생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발생한 이온을 기류에 의해 송출하는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생한 이온을 용이하게 송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기류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에 양이온 발생면과 음이온 발생면이 양분되도록 유전체를 기류방향에 따라 배설(配設)하는 구성에 의해, 양이온 발생면과 음이온 발생면을 등량(等量)의 기류 환경하에 둘 수 있고, 더군다나 양면은 유전체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서 발생하며, 기류에 의해 송출되므로, 발생 후 중화가 적어 발생 효율이 높다.
청구항 9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발생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적어도 한 쪽의 이온량을 변화시키는 이온농도 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이온 밸런스의 조정이 용이하다.
청구항 10에 나타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9에 나타낸 이온 발생기에 의해 제전(除電)되므로,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발생 효율이 높고, 동시에 발생 능력의 변동이 적어 안정되어 있으며, 더군다나 저비용 및 공간절약화가 가능해서, 안정하고 효율적인 제전을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의 유전체에의 배설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의 유전체에의 배설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의 유전체에의 배설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방전 전극의 돌기 형상의 복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유도 전극의 형상의 복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이온 발생소자와 본 발명의 다면 이온 발생소자의 이온 농도 비교도이다.
도 12는, 이온 발생소자의 기류방향에 대하는 배설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전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탈착 구성을 갖는 이온 발생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이온 발생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탈착 구성을 갖는 이온 발생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도 19는, 도18의 이온 발생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전기의 제전특성을 나타나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하나의 이온 발생소자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주기적으로 교대로 발생시키는 종래의 이온 발생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두 개의 이온 발생소자를 원 패키지화해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종래의 이온 발생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를 상세히 첨부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온 발생소자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 배설되는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과, 상기 유전체의 내부에 배설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의 작용을 받는 유도 전극을 가지고 이루어진 이온 발생소자이며, 양이온과 음이온을 유전체의 다른 면에서 발생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발생소자(1)는, 표면(A) 및 이면(B) 2개의 면을 갖는 유전체(2)의, 표면(A)에는 방전 전극(1a)를, 이면(B)에는 방전 전극
(1b)을 미세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유전체(2)의 내부에는, 방전 전극(1aㆍ1b)에 대 향해서 유도 전극(3)을 배설한다. 유도 전극(3)은, 방전 전극(1aㆍ1b) 양쪽의 작용을 공통으로 받는 것이며 유전체(2)에 둘러싸이도록, 즉, 유전체(2) 내부에 매설ㆍ매입되어있다. 상기 유도 전극(3)은, 하나의 이온 발생소자(1)에 대하여 하나여도 좋고, 복수여도 좋다, 또한, 1개의 유도 전극(3)이 복수의 이온 발생소자(1)에 대하여 배설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온 발생소자(1)는, 유전체(2) 자체를 경계로 하여 공간을 표면(A)측과 이면(B)측의 적어도 2개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표면(A)으로부터 양이온을, 이면
(B)으로부터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즉, 양이온과 음이온을 유전체(2)의 다른 면(표면(A)와 이면(B)에서)에서 발생시키면, 각각 생성된 이온은, 유전체(2) 자체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양이온과 음이온의 혼합에 의한 중화(상쇄)를 억제할 수 있다.
표면(A)ㆍ이면(B)에서 양이온ㆍ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종래의 고주파 고전압전원을 인가해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주기적으로 발생시켰던 것이나, 2개의 이온 발생소자를 원 패키지화해서 양이온ㆍ음이온을 발생시켰던 것과는 달리, 이온 발생 효율이 좋다. 또한, 양이온과 음이온의 양극성(兩極性)을 필요로 할 경우에, 종래의 각각의 이온 발생소자를 준비한 구성에 비해,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가 약 1/2 정도로 공간절약화가 가능해지고, 이온 발생소자의 정비 공정수(工程數)에 있어서도, 소자의 교환 작업이나 청소의 공정수가 약 1/2 정도로 간략화되어, 결과적으로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온 발생소자(1)는, 방전 전극(1aㆍ1b)과 유도 전극(3)이 일체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하는 위치 관계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온 발생 능력이 일정하고, 이온 발생소자 각각의 극성에 따른 간섭 영향에 의한 능력차이가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따라서, 용도ㆍ사이즈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품화할 때에도, 최적의 조건을 끌어내기가 간략화되고, 제품전개가 용이해서 저비용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빠른 제품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의 이온 발생소자(1)는 전원(4)을, 고주파성분을 포함하는 직류성분을 갖는 고전압전원(이하, DC형 전원이라고 한다.)으로 하고, 회로의 구체적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회로예에서, 4는 전원, 4A는 양(+)극 고전압회로, 4B는 음(-)극 고전압회로, 4Cㆍ4D는 발신 회로, 4E는 출력 제어회로, 4F는 전원회로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나는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전압의 ON과 OFF를 제어하는 종래의 제어 방식에 의해 이온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또한, 이온 밸런스의 조정 수단으로써는, 이외에도 예컨대, 출력전류제어, 전원의 바이어스제어, 유도 전극의 바이어스제어 등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제어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밸런스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이온 발생 상태를 센싱(sensing) 등을 하여 그 정밀도를 확보하는 방법도 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1)는, DC형 전원에 한하지 않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형 전원을 이용해도 되며, AC형 전원일지라도 DC형 전원과 마찬가지로 양이온 및 음이온의 발생 효율이 높고, 동시에 발생 능력의 변동이 적고 안정되어 있으며, 저비용 및 공간절약화가 가능하다. 이온 밸런스 조정 수단에 관 해서도, DC형 전원의 경우와 같이 공지공용(公知公用)의 제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의 부호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부호의 부재(部材)ㆍ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1)의 구조예로서 도 4((a)는 사시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에 나타나는 구조예를 들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판모양(板狀) 유전체(2)의 표면(A) 및 이면(B) 각각의 2개소에 방전 전극(1aㆍ1b)을 형성하고, 유전체(2)로 둘러싸도록 유도 전극(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판모양 유전체(3)의 2개의 면
(표면(A)과 이면(B))에 방전 전극(1aㆍ1b)을 배설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2개의 면과 2개의 방전 전극에 한하지 않고, 3개 이상의 면에 3개 이상의 방전 전극을 배설해도 좋다. 단지,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을 취하기 위해서, 면의 수는 2로 나눌 수 있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 전극의 수(數)도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1a)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1b)은 동수(同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a)는 사시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는, 지주(支柱)모양의 유전
체(2)의 4개의 면(AㆍA'ㆍBㆍB')에 4개 방전 전극(1aㆍ1aㆍ1bㆍ1b)을 배설한 양태
(樣態)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나는 양태에서도, 하나의 유도 전극(3)에 의해 4개의 방전 전극(1aㆍ1aㆍ1bㆍ1b)의 작용을 공통으로 받을 수 있다.
방전 전극(1aㆍ1b) 및 유도 전극(3)의 유전체(2) 배설예로써는, 예컨대, 상기의 도 1이나 도 4에 나타낸 판모양의 이온 발생소자(1)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양태도 택할 수 있다. 도 6((a)는 평면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은 유도 전극(3)을 U자형으로 배설한 양태이며, 도 7((a)는 평면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은 방전 전극(1aㆍ1b)을 유도 전극(3)을 중심으로 대각선상에 비스듬히 비켜서 배설한 양태이며, 도 8((a)는 평면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은 유도 전극(3)을 산자형(山字形)으로 배설하고, 상기 유도 전극(3)의 산자(山字)의 움푹한 부분의 표면(A)과 이면(B)에 방전 전극(1aㆍ1aㆍ1bㆍ1b)을 배설한 양태이다.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1)에 이용할 수 있는 방전 전극(1aㆍ1b)의 재질로서는,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스테인레스나 텅스텐, 도전성 세라믹스 등이 있다. 방전 전극(1aㆍ1b)은 방전에 의해 열화, 용융 등이 되기 어려운 재료가 바람직하다. 방전 전극(1aㆍ1b)의 재질이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표면 코팅 등의 절연 보호층에서 방전 전극(1aㆍ1b)을 덮도록 해서 형성하고 보호한다면, 방전 전극(1aㆍ1b)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방전 전극(1aㆍ1b)으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의 저감 및 정비의 간략화도 가능해진다. 표면 코팅의 재료로서는, DLC(Diamond like Carbon)박막 코팅이나 에폭시계의 절연재 등이 있다.
방전 전극(1aㆍ1b)의 형상으로서는, 복수의 미세한 돌기를 갖는 선모양(線
狀)인 것이 바람직하고, 미세한 돌기는 0.01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의 형상은, 이온 발생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9의 (a)에 나타낸 것 같은 형상이어도 좋고, 그 밖의 파상(波狀), 원모양, 격자 모양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이온 발생 효율은, 방전 전극(1aㆍ1b)의 형상의존에 비해, 서로 마주 대하는 극(極)인 유도 전극(3)과 방전 전극(1aㆍ1b)의 미세한 돌기물과의 거리 및 그 돌기 형상에 의한 관계에 있어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그 형상은 전계 집중이 유효하게 발생하기 쉬운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 9의 (b) ~ (g)에 나타나는 형상을 들 수 있다. 더욱, 도 9의 (b) ~ (g)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온발생소자(1)에 이용할 수 있는 유전체(2)는, 방전전극(1aㆍ
1b)을 각각의 각 면(표면(A)ㆍ이면(B) 등)에 형성하고, 유도 전극(3)을 둘러싸도록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전 전극(1aㆍ1b)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도 전극(3)과의 거리는, 유전체(2)의 두께에 의해 제어되고, 유전체(2)의 유전율에 의해 그 두께가 결정되지만, 0.01 ~ 5mm의 범위가 바람직하
다. 또한, 그 형상은, 판모양, 원모양, 지주모양, 원주 모양 등 상기 구조를 갖는 것이면, 그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유전체(2)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유리, 운모(mica) 등의 유전 재료를 들 수 있다. 성형(成形)에 있어서는, 유전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재료의 핀홀(pinhole) 등에 의한 절연 파괴를 억제할 수가 있고, 절연 내압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전체(2)로의 방전 전극(1aㆍ1b) 형성은, 공지공용(公知公用)의 수단을 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잉크젯 인쇄나 실크 인쇄,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 전극(1aㆍ1b)은, 종래의 바늘형상의 이온 발생전극과는 달리 물리적 첨 예부(尖銳部)를 가지지 않는 구조이며, 이온 발생 효율이 좋아서, 저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정비 등을 할 경우, 이온 발생소자(1)에 닿았을 때의 위험성이 저감되었다.
또한, 방전 전극(1aㆍ1b)과 유도 전극(3)의 거리를, 유전체(2)의 두께로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방전 전극(1a)과 유도전극(3)의 거리에 대하여, 방전 전극(1b)
과 유도 전극(3)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양자(兩者)로부터 발생하는 이온량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에 필요한 에너지에 서로 차이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며, 종래까지는 인가 전압원의 조정이 필요했지만, 유전체
(2) 두께의 제어에 의한 이온 발생 레벨의 조정도 가능해진다. 유도 전극(3)은, 유전체(2)에 둘러싸여 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전 전극(1aㆍ1b)에 대향해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유도 전극(3)의 재료로서는, 도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테인레스나 텅스텐, 도전성 세라믹스 등을 들 수 있다.
유도 전극(3)의 형상으로서는, 방전 전극(1aㆍ1b)에 대향한 전극구조이면, 그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도 10(a)∼ (d)에 나타나는 다양한 형상을 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이온 발생소자(1)에 의하면, 방전 전극(1aㆍ1b)과 유도 전극(3)의 전극 간에 구동용 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위차에 근거해서 발생한 방전에 의해, 양이온이 어느 한쪽 면에서 발생, 음이온이 다른 한쪽 면에서 발생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중화(상쇄) 가 저감되어, 이온 발생 효율이 좋다. 더구나,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하는 위치 관계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이온 발생의 능력에 대해서도 일정하며, 이온 발생소자 각각의 극성에 따른 간섭 영향에 의한 능력차이가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따라서, 용도ㆍ사이즈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품화할 때에도, 최적의 조건을 끌어 내기가 간략화되어, 제품전개가 용이하고 저비용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빠른 제품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1)와, 종래의 2개의 이온 발생소자를 원 패키지화한 이온 농도의 비교도이다. 도 11에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는 이온 발생 효율이 종래의 것에 비해서 양호하다.
더욱이, 전압 인가식의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이온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온 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오존 농도가 높아져 문제가 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에 있어서도 그것은 예외가 아니지만, 방전 전극(1aㆍ1b)과 유도 전극(3)과의 작용에 있어서, 면과 면의 전계 집중을 방지하고, 전극 간의 전류값을 억제함(전극 간의 용량 결합을 작게 하는 등)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이온 발생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온 발생기는, 상기 설명한 이온 발생소자의 방전 전극과 유도 전극 사이에 구동용 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위차에 근거해서 발생한 방전에 의해,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서 이온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온 발생기는, 발생한 이온을 기류에 의해 송출하는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이온이 발생하는 면(A)과 음이온이 발생하는 면(B)의 양면이, 등량의 기류환경하가 되도록, 기류방향(화살표aㆍb)에 직교하는 양측에 상기 양면(AㆍB)이 분배되도록 유전체(2)를 기류방향을 따라 배설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발생되어, 중화(상쇄)가 저감된 양호한 발생 효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분리된 기류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옮겨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온 송출 효율이 높다.
또한, 이온 발생기에는, 발생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적어도 한쪽의 이온량을 변화시키는 이온농도 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온 발생기에 의해 제전(除電)하는 제전기에 대해서 첨부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이온 발생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 제전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우선, 도13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3에 나타나는 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이온 발생소자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본 발명의 이온 발생기를 구비하고, 발생한 이온에 의해 제전하는 제전기(10)이다.
제전기(10)에는, 이온 발생소자(1), 상기 이온 발생소자(1)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송출하는 송출 수단인 프로펠라 팬(1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부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 제전기(10)에는 이온 밸런스나 이온 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전기(10)의 사이즈ㆍ형태ㆍ배설하는 이온 발생소자(1)의 수ㆍ프로펠라 팬
(11)의 송출 능력 등, 각종 구성 등은 사용 목적이나 설치 장소 등,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도 13에 나타나는 제전기(10)는, 이온의 송출 수단에 프로펠라 팬(11)을 사용한 팬 타입 제전기로 분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온 발생소자(1)는, 프로펠라 팬(11)의 중심을 기점으로, 회전각 90°간격으로 프로펠라 팬(11)의 외주 부근에 4개 설치되어 있으며, 생성된 이온을 효율적으로 송출하기 위해서 프로펠라 팬(11)의 전면에 배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온 발생소자(1)를 제전기(10)에 설치하는 수단은, 발생하는 이온을 효율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프로펠라 팬(11)의 기류 중에 이온 발생소자(1)를 배설하고, 설치 부분은 기류 밖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탈착 수단으로서
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소켓(12)으로의 장착에 의한 설치를 일례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소켓(12)을 프로펠라 팬(11)의 기류하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 설치하면, 설치 부분이 기류를 방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제전기(10)에 있어서, 이온 발생소자(1)를 복수 개 배치할 경우의 배치 방법은, 양이온 발생면과 음이온 발생면이 동일 공간 내(內)가 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같은 극면(同極面)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경우에, 가장 양호한 제전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전시간의 거리특성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이온과 음이온이 동일한 공간에 존재하는 예(1)의 경우에는, 이온 발생부에서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로 이온 밸런스가 무너지기 때문에 음(-)의 전압(負電壓)의 감쇠가 양(+)의 전압(正電壓)의 감쇠를 크게 상회한다. 한편, 같은 극면이 서로 마주 향하도록 이온 발생소자(1)를 배설한 예(2)의 경우, 60cm 떨어진 지점에 있어서도 이온 밸런스가 양호하며, 양음(正負) 거의 같은 제전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양이온 발생면과 음이온 발생면이 동일 공간 내(內)가 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도 13에 있어서, 상측 2개의 이온 발생소자(1) 상면측을 각각 양이온 발생면(방전 전극(1a)을 갖는 면)으로 함과 동시에, 하측 2개의 이온 발생소자(1) 하면측을 각각 양이온 발생면(방전 전극(1a)을 갖는 면)으로 하면 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상측 이온 발생소자(1)의 우면측과 우측 이온 발생소자(1)의 상면측을 각각 양이온 발생면(방전 전극(1a)을 갖는 면)으로 함과 동시에, 하측 이온 발생소자(1)의 좌면측과 좌측 이온 발생소자(1)의 하면측을 각각 양이온 발생면(방전 전극(1a)을 갖는 면)으로 하면 된다.
이온 발생소자(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소켓(12)의 장착에 의한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교환ㆍ제거의 청소가 용이하게 되어 보수성이 향상한다. 탈착 가능한 이온 발생소자(1)로서는, 예컨대 도 15((a)는 표면(A)측, (b)는 단면, (c)는 이면(B)측을 나타낸다.)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택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13은 방전 전극접점, 14는 유도 전극접점이다.
이온 발생소자(1)의 배설위치는, 도 13에 나타낸 구성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구성을 택할 수도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제전기(10)는, 이온 발생소자(1)가 프로펠라 팬(11)의 중심축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4개의 핑거 가드(finger guard)(15)에 정면측이 커버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전기는,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낸 팬 타입 제전기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택할 수도 있다. 도 17에 나타낸 제 전기(10)는, 이온의 송출 수단에 압축공기를 사용한 바타입(bar type) 제전기로 분류되는 것이다.
즉, 예컨대, 적어도 1개의 이온 발생소자(1, 1…)를 직선상에 배치하고, 상기 이온 발생소자(1, 1…)를 경계로 하여, 양측에는 압축공기의 방출구(16, 16…)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온 발생소자(1, 1…)에서 생성된 이온이, 에어 유속(流速)에 의해 먼 곳으로 송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같은 부호는 같은재료ㆍ구성을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제전기(10)에 이용될 수 있는 이온 발생소자(1)는, 제전기(10)로의 설치 방향이 도 13에 나타낸 제전기(10)와는 다르기 때문에, 도 18에 나타낸 탈착 방향을 갖고, 도 19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다.
도 13,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전기는, 기류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이온 발생소자(1)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기류에 의한 송출이 대단히 효율적으로 행하여진다. 또, 제전대상이 비교적 근거리이면, 압축공기에 의한 송출원(送出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류를 사용하지 않는 제전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전기에 있어서, 이온 밸런스(이온 농도)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써는, 출력전압의 ON과 OFF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출력전류제어, 전원의 바이어스제어, 유도전극의 바이어스제어 등, 다른 제어방식에 의해 이온 밸런스의 조정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온 밸런스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이온 발생 상태의 센싱(sensing) 등을 하여 그 정밀도를 확보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이온 밸런스의 중요성과 마찬가지로 필수사항이 되는 정비성의 간략화에 대해서도, 도 14 및 도 18의 예와 같이 이온 발생소자(1)를 전극 소켓(12)에 의한 탈착식 구성으로 하면, 교환,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정비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전기(10)에 이용할 수 있는 이온 발생소자(1)는, 상기와 같이 저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에서 위험성이 저감되기 때문에, 제전기(10)의 전면(前面)이나 표면측에 이온 발생소자(1)를 노출시킨 구조를 택하는 것도 가능하
다. 이온 발생소자(1)를 노출시킨 구조를 택함으로써, 정비시의 교환이나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이온을 가로막는 구조재(構造材)가 감소되므로, 이온 발생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는, 전극구조가 간결하게 구성되고 있어, 종래 공지의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를 대신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 배설(配設)되는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과, 상기 유전체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방전 전극의 작용을 받는 유도 전극을 갖는 이온 발생소자에 있어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유전체의 다른 면에서 발생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가 표면과 이면을 갖는 판상재(板狀材)이며, 양이온이 어느 한쪽 면에서 발생하고, 음이온이 다른 한쪽 면에서 발생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극이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소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이, 복수의 미세한 돌기를 갖는 선모양(線狀)의 도전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소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극이, 상기 방전 전극에 대향(對向)하는 선모양(線狀)의 도전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소자.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온 발생소자의 방전 전극과 유도전극의 사이에 구동용 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위차에 근거해서 발생한 방전에 의해, 상기 유전체의 적어도 2개의 면에서 이온을 발생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기.
  7. 제6항에 있어서,
    발생한 이온을 기류에 의해 송출하는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기.
  8. 제7항에 있어서,
    양이온을 발생하는 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면의 양면이, 등량(等量)의 기류환경하(氣流環境下)가 되도록, 기류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에 상기 양면이 분배되도록 유전체를 기류방향에 따라 배설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생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적어도 한쪽의 이온량을 변화시키는 이온 농도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기.
  10. 청구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온발생기에 의해 제전
    (除電)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除電器).
KR1020077020277A 2005-02-21 2006-02-20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 KR20070114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3456A JP4608630B2 (ja) 2005-02-21 2005-02-21 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JPJP-P-2005-00043456 2005-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735A true KR20070114735A (ko) 2007-12-04

Family

ID=3691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277A KR20070114735A (ko) 2005-02-21 2006-02-20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06120B2 (ko)
JP (1) JP4608630B2 (ko)
KR (1) KR20070114735A (ko)
TW (1) TW200642224A (ko)
WO (1) WO20060881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58A1 (ko) * 2021-08-25 2023-03-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0446B2 (ja) * 2006-09-27 2013-11-13 京セラ株式会社 放電素子、この放電素子を用いた放電モジュール、並びに、この放電モジュールを用いたオゾン発生装置及びイオン発生装置
JP4994171B2 (ja) * 2006-09-27 2012-08-08 京セラ株式会社 放電素子、この放電素子を用いた放電モジュール、並びに、この放電モジュールを用いたオゾン発生装置及びイオン発生装置
JP4963624B2 (ja) * 2007-04-09 2012-06-2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除電器
JP5201958B2 (ja) * 2007-11-22 2013-06-05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圧電トランス電極を用いたイオナイザ及びそれによる除電用イオン発生方法
JP5231091B2 (ja) * 2008-06-10 2013-07-10 ユーテック株式会社 除電装置
US9380689B2 (en) * 2008-06-18 2016-06-28 Illinois Tool Works Inc. Silicon based charge neutralization systems
JP2010080431A (ja) * 2008-09-26 2010-04-08 Jentorei:Kk イオン発生方法、イオン発生電極及びイオン発生モジュール
WO2010087624A2 (ko) * 2009-01-29 2010-08-05 (주)선재하이테크 이온 발생 장치용 전극 모듈 및 이를 갖는 이온 발생 장치, 정전기 제거 장치
KR101077289B1 (ko) * 2009-10-23 2011-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이오나이저
US9036325B2 (en) * 2010-08-18 2015-05-19 Kyocera Corporation Ion wind generator and ion wind generating device
CN103109584A (zh) * 2010-10-27 2013-05-15 京瓷株式会社 离子风发生体及离子风发生装置
JP5800772B2 (ja) * 2011-05-12 2015-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ー
JP5066284B1 (ja) * 2011-05-12 2012-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毛髪の加湿及び損傷軽減方法並びに毛髪の加湿及び損傷軽減装置
US9918374B2 (en) 2012-02-06 2018-03-13 Illinois Tool Works Inc. Control system of a balanced micro-pulsed ionizer blower
US9125284B2 (en) 2012-02-06 2015-09-01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ally balanced micro-pulsed ionizing blower
KR102076660B1 (ko) * 2012-06-21 202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945970B2 (ja) * 2013-10-23 2016-07-05 Smc株式会社 イオナイザ及びその制御方法
JP5945972B2 (ja) * 2013-11-01 2016-07-05 Smc株式会社 イオナイザ及びその制御方法
GB2521457A (en) * 2013-12-20 2015-06-24 Isis Innovation Charge stabilized dielectric film for electronic devices
KR102186432B1 (ko) 2014-03-25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전극장치
KR102259353B1 (ko) 2014-07-16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탈취 장치
KR20160009261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전극장치
JP6442391B2 (ja) * 2015-10-08 2018-12-19 株式会社タムラテコ オゾン発生ユニットおよびオゾン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238A (en) 1979-09-11 1981-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Doping of impurity on semiconductor substrate
JPS5711499A (en) * 1980-05-27 1982-01-21 Consan Pacific Inc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nd dispersing ions
US4628227A (en) * 1980-10-06 1986-12-09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Mica-electrode laminations for the generation of ions in air
JPS5946797A (ja) * 1982-09-10 1984-03-16 増田 閃一 管路式除電器
JPS5944797A (ja) * 1982-09-07 1984-03-13 増田 閃一 物体の静電的処理装置
JPS6332885A (ja) * 1986-07-24 1988-02-12 株式会社リコー 固体放電装置
DE68925923T2 (de) 1988-06-10 1996-11-14 Merck & Co Inc Antigene der einzigen Spaltungsstelle von Fibrinogen durch Elastase
JPH02117699U (ko) * 1989-03-06 1990-09-20
US4992907A (en) 1989-05-12 1991-02-12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ystem
JPH07101639B2 (ja) * 1990-10-11 1995-11-01 新雄 垣中 除電装置および除電方法
US5270741A (en) * 1991-02-20 1993-12-14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in solid ion recording head with improved stability
JPH097735A (ja) * 1995-06-21 1997-01-10 Biyou:Kk ナチュラルイオン発生器、ナチュラルイオン発生装置、寝具、装身具、水イオン化装置、建材及びナチュラルイオン発生方法
US6621191B1 (en) * 1999-05-13 2003-09-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Inc. Structure containing organic molecular layer and use thereof
JP2002075688A (ja) * 2000-08-24 2002-03-15 Inaba Rubber Kk 層流管ノズル付きイオナイザ
US6646853B2 (en) * 2001-09-04 2003-11-11 Illinois Tool Works Inc. Current control of a power supply for an ionizer
JP2003249327A (ja) 2002-02-26 2003-09-05 Okabe Mica Co Ltd イオン発生装置
JP2003323964A (ja) 2002-04-26 2003-11-14 Okabe Mica Co Ltd イオン発生装置
JP2004105517A (ja) 2002-09-19 2004-04-08 Sharp Corp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素子の製造方法、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2004164900A (ja) * 2002-11-11 2004-06-10 Sharp Corp イオン発生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イオン発生装置
WO2007091366A1 (ja) * 2006-02-09 2007-08-1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イオン発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58A1 (ko) * 2021-08-25 2023-03-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08630B2 (ja) 2011-01-12
JP2006228641A (ja) 2006-08-31
TW200642224A (en) 2006-12-01
US20090207548A1 (en) 2009-08-20
US7706120B2 (en) 2010-04-27
WO2006088183A1 (ja)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4735A (ko) 이온 발생소자, 이온 발생기 및 제전기
JP6029860B2 (ja) 電気集塵装置
US7821762B2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type ionizer and neutralization method
KR101167741B1 (ko) 이온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00157503A1 (en) Fine Electrode Body, Ion Generator Using Same and Neutralization Apparatus
CN1847736B (zh) 放电装置以及具有所述放电装置的空调
JP2006228641A5 (ko)
JP4706046B2 (ja)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US7612981B2 (en) Ion generator and neutralizer
JP4639311B2 (ja) 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JP4691691B2 (ja) 微細電極イオン発生素子を有する除電装置
JP5240706B2 (ja) バー型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JP4844734B2 (ja) ファン型除電器
JP2008004488A (ja) 空間に均一な濃度分布のイオンを供給するイオン発生素子及びイオン発生器並びに除電器
CN110828268B (zh) 离子风生成器的控制方法
JP4811725B2 (ja) 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JP4963624B2 (ja) 除電器
JP4754911B2 (ja) 微細電極体を用いた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KR20170136246A (ko) 입자 하전을 위한 고전압 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
KR100420979B1 (ko) 전리장치
JP5223424B2 (ja) 集塵装置
JP2002270334A (ja) コロナ放電装置
JP7289445B2 (ja) 空気清浄機
JP2012516535A (ja) イオン発生装置用電極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有するイオン発生装置、静電気除去装置
JPH04305260A (ja) 電気集じん機用パルス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