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074A -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074A
KR20070112074A KR20070048914A KR20070048914A KR20070112074A KR 20070112074 A KR20070112074 A KR 20070112074A KR 20070048914 A KR20070048914 A KR 20070048914A KR 20070048914 A KR20070048914 A KR 20070048914A KR 20070112074 A KR20070112074 A KR 20070112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ting
pulp
used paper
endless bel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095B1 (ko
Inventor
시게루 타마이
유지 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Publication of KR2007011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1Waste products, e.g. sludg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06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dry methods
    • D21B1/08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dry methods the raw material being waste paper; the raw material being rag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8De-watering; Elimination of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from the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4Secondary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소규모 점포 등의 실내에 설치가능하며 환경에 우수하고 또한 런닝코스트도 낮고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5) 내에, 사용된 종이를 해리(defibrate)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2)와,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초지하여 재생지(RP)를 제조하는 초지부(3)와, 펄프 제조부(2) 및 초지부(3)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4)를 구비하고, 펄프 제조부(2)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6)와, 해리부(6)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7)로 이루어지고, 고해부(7)의 고해기(20)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부재를 구비하고, 이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되고, 또한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된다.

Description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AND ITS CONSTITUENT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하게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하게 동 고해부의 주요부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구동 연결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동일하게 동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일부 절개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 다.
도 10은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탈수 롤부의 압착 탈수의 구체적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도 10(a)는 기본적인 압착 탈수 메커니즘을 나타내고, 도 10(b)는 슬러리화 방지 롤이 탈수 롤부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압착 탈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고해부의 주요부인 고해 부재를 나타내고, 도 12(a) 및 (b)는 고해 작용면의 고해 홈의 형성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동 고해부의 주요부인 고해 부재를 나타내고, 도 13(a),(b),(c) 및 (d)는, 동 고해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고해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4(a)는 고해 작용면의 고해 홈의 형성 패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b)는 동 고해 홈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14(a)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고해부의 주요부인 고해 부재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고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6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7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며, 도 20(a)는 동 고해부의 고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20(b)는 동 고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8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구동 연결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9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동일하게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측면이다.
도 26은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7은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부에 있어서의 펄프 공급부를 나타 내며, 도 27(a)는 정면 단면도, 도 27(b)는 도 27(a)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0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동일하게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장치 케이스를 절개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부에 있어서의 펄프 공급부를 나타내며, 도 31(a)는 정면 단면도, 도 31(b)는 도 31(a)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동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도 2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1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펄프 제조부의 교반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고해 간극 UP : 사용된 종이
CUP : 재단 사용된 종이 W : 물(백수)
UPP : 사용된 종이 펄프 pS : 펄프 현탁액
RP0 : 습지 RP : 재생지
M,M' : 수분 F : 설치 바닥면
1 :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 : 펄프 제조부(펄프 제조 장치)
3 : 초지부 4 : 제어부
5 : 장치 케이스 6 : 해리부
7 : 고해부 8 : 교반장치(교반 수단)
9 : 급수장치(급수 수단), 농도 조정용 급수부(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
10 : 교반 조 10a : 투입구
10b : 배수구 11 : 교반 임펠러
12 : 구동모터 15 : 백수 회수조
16 : 급수 펌프 17 :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
20 : 고해기 21,22 : 고해 부재
21a : 고해 작용면 22a : 고해 작용면
23 : 고해 조 24 : 구동모터(구동원)
25 : 공급구 26 : 배출구
31 : 안내 리브 32 : 블레이드
35 : 펄프 농도 조정 장치(펄프 농도 조정 수단) 36 : 펄프 저장조
40 :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41 : 탈수 롤부
42 :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 45 : 망상 무단 벨트
46 : 구동모터 47 : 펄프 공급부
50 : 캐스터(이동수단) 70 : 탈수 롤
71 : 프레스 롤 72 : 구동모터
74 : 예비 탈수 롤 75 : 슬러리화 방지 롤
78 : 초지 프레임체 79 : 칸막이 부재
79a : 골조 부재(가로대) 80 : 본체 프레임
81 : 오버플로우 조 81a : 오버플로우부
82 : 평판부재 85 : 펄프 공급조
95 : 평활면 무단 벨트 96 : 구동모터
97 : 가열 건조부 103 : 평활면 마무리 롤
109 : 히터 플레이트 109a : 히터 플레이트
109b : 히터 플레이트 109c : 히터 플레이트
110 : 박리부재 111 : 치수 커터
120 : 고해기 121,122 : 고해 부재
121a : 고해 작용면 122a : 고해 작용면
123 : 평활면 마무리 롤 124 : 고해 홈
130 : 고해기 131 : 고해 부재
132 : 고해 부재 133 : 고해 조
134 : 고해 홈 140 : 고해기
141 : 고해 부재 142 : 고해 부재
144 : 고해 홈 150 : 고해기
160 : 고해기 170 : 고해기
171 : 고해 부재 172 : 고해 부재
173 : 고해 부재 171a : 고해 작용면
172a : 고해 작용면 172b : 고해 작용면
173a : 고해 작용면 174 : 블레이드
180 : 배수 롤 181 : 배수 롤
200 : 농도 조정조 201 : 펄프 구분조
202 : 물 저류조 210 : 유통로
211 : 평판부재 212 : 둑(weir) 부재
213 : 바닥판 214 : 칸막이판
214a : 연통구멍 215 : 안내 시트
220 :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 221 : 치수 커터
221a : 롤 슬리터 221b : 기요틴 커터
221c : 구동모터 250 : 수증기 회수부
251 : 평판부재 252 : 수증기 회수실
253 : 배기 팬 254 : 배기 덕트
260 : 슈레더부
본 발명은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있어서 발생하는 사용된 종이를 폐기 처분하는 일 없이 그 자리에서 재이용 가능한 종이로 재생 처리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공청이나 일반기업 등의 각종 사업소의 일상 업무는 물론, 일반가정의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사용이 끝났거나 불필요하게 된 각종 서류 소위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사용된 종이는 쓰레기로서 폐기되거나 소각되거나 하여 폐기 처분되게 된다.
한편, 한계가 있는 지구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기운이 세계적으로 높아지는 가운데 최근, 폐기 처분되어 온 사용된 종이를 폐기 처분하는 일 없이 재생 이용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가지로 개발되어 있다.
이들 사용된 종이 재생 기술은 대부분이 제지업계에 있어서 채용 실시되고 있고, 그 사용된 종이 재생 설비에는 통상의 제지설비와 마찬가지로 재생지의 고속 대량 생산과 고품질화를 목적으로 하여 광대한 부지, 막대한 투자, 및 초지에 사용되는 대량의 물이나 약품 등이 필요로 된다.
또한, 사용된 종이 재생에 있어서는 많은 사람 손에 의한 사용된 종이 회수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이 사용된 종이 회수에는 많은 사람 수에 의한 이물 혼입, 사용된 종이 재생지로의 지식부족에 의한 분별 불량, 기피품의 제거 부족 등의 문제가 있고, 모처럼 사용된 종이를 회수해도 이들의 사용된 종이를 100% 재생지로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문업자에 의한 거듭된 선별이나 세정 등의 작업이 부득이하다. 또한, 극비문서 등의 사용된 종이는 기밀상의 문제 때문에 사용된 종이 회수로는 간단히 내놓아지는 일 없이 소각 처분되어 버리기 때문에 리사이클화가 진행되 지 않고 있다.
이들 사용된 종이 회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종이 발생원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재생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유효하며, 이 관점으로부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장치가 개발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소량의 물을 더하면서 사용된 종이를 조금씩 잡아 뜯어 잘게 재단하는 방식의 습식 슈레더이며, 이 슈레더에 의해 재단 처리된 재단 부스러기는 사외의 사용된 종이 재생 공장 등에 보내져 재생지의 원료로서 재이용되고 있다.
이 습식 슈레더에 의한 재단 부스러기는 펄프화되어 지편의 형태가 유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극비문서 등의 사용된 종이의 리사이클화를 촉진한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습식 슈레더는 상당히 대형의 장치이며,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다량의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큰 사업소 등에 있어서만 사용가능한 것이고, 큰 설치공간이 없고, 발생하는 사용된 종이도 소량인 소규모 점포나 개인사무소, 혹은 일반가정에는 적합하지 않거나 사용 불가능하였다. 또한, 재단 처리된 재단 부스러기는 재생지의 원료로서 재이용된다고 해도 사용된 종이 재생 공장 등의 대규모 공장에서만 처리가능한 것이므로 종이재생을 위한 비용도 비싸게 되어 경제적이 못하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6-13433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 로 하는 바는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환경에 우수하고 또한 런닝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밀정보나 개인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바람직하게 구성하는 구성 장치, 즉, 펄프 제조 장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초지장치 및 펄프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는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와,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와, 이 해리부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해부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이 고해기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고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잉크류」란 각종 인쇄 기술에 의해 사용된 종이 상에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한 인쇄잉크, 연필, 볼펜 또는 만년필 등의 필기구에 의해 사용된 종이 상에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한 잉크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이하,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해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고해기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가능한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는 고해 조와, 이 고해 조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고해 부재와, 이들 고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고해 부재 간의 고해 간극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2) 상기 고해부는 복수대의 상기 고해기로 구성되고, 최상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상기 고해기는 각각, 그 공급구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배출구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최상류측의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는 연속되는 상기 고해기의 고해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 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3)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 및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된다.
(4)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사용되는 물에 상기 초지부에서 탈수 회수되는 물이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된다.
(5) 상기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의 구동원은 일반가정용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이다.
(6) 상기 장치 케이스에 이동 수단이 설치되어 설치 바닥면 상을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7) 상기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이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된 사용된 종이를 물 속에서 교반하여 해리ㆍ고해하는 구성으로 된다.
(8) 상기 교반 수단은 사용된 종이의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 임펠러와, 이 교반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9) 상기 교반조의 투입구에 슈레더부가 설치되어서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가 상기 슈레더부에서 예비적으로 재단된 후, 상기 교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는 구성으로 된다.
(10)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초지부에 있어서 여과 탈수되는 백수를 회수하는 백수 회수조와, 이 백수 회수조 내의 물을 상기 펄프 제조부의 교반 수단에 공급하는 급수 펌프를 구비한다.
(11)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이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농도를 조정하는 펄프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펄프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저장하는 농도 조정조와, 이 농도 조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의 가수에 의해 농도 조정되어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12)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에 대해서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 이들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13)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되고, 이 구분된 소정 분량에 대하여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서,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14) 상기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15) 상기 초지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와,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을 초지함과 아울러 탈수ㆍ건조하는 구성으로 된다.
(16)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망상 무단 벨트와, 이 망상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에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의 상기 펄프 현탁액을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펄프 공급부에 의해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퍼져 공급되는 구성으로 된다.
(17) 상기 펄프 공급부에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가 주행방향에 향하여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펄프 공급부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칸막이 부재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초지 프레임체와 칸막이 부재의 협동에 의한 체류 작용에 의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됨과 아울 러,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작용에 의해 상기 초지 프레임체에서 규정된 폭 치수를 유지하면서 망상 무단 벨트와 함께 반송되면서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에 의한 자중 여과 작용을 받아 탈수되는 구성으로 된다.
(18)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을 슬라이딩 접촉 지지하는 좌식좌대(스노코) 구조로 된다.
(19) 상기 칸막이 부재의 기단측 부위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을 하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지지하는 평판부재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오버플로우 조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오버플로우 조에 일단 저장된 후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재 상에 흘러내리는 구성으로 된다.
(20)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유통로의 출구측 부위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을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평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를 통과한 후에 상기 평판부재 상을 흐르는 구성으로 된다.
(21)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의 선단 가장자리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가 설치되고, 이 안내 시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가로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접촉 배치된다.
(22)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의 내리막 구배로 설정 배치된다.
(23) 상기 펄프 공급부의 상류측에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상기 펄프 현탁액을 저류하는 펄프 공급조가 설치되고, 이 펄프 공급조 내의 상기 펄프 현탁액이 현탁액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부의 초지 프레임체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된다.
(24) 상기 펄프 공급조 내에 상기 펄프 현탁액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이 설치된다.
(25)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받아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와, 이 평활면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가열 건조하는 가열 건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롤부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압착 탈수된 습지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 하면에 전사 밀착되어 반송되는 구성으로 된다.
(26)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27) 상기 가열 건조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1개 이상의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그 반송중에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28) 상기 가열부가 복수 개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각 가열부의 가열 온도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된다.
(29)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습지의 유지면과 반대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히터 플레이트의 형태로 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상기 히터 플레이트에 의해 가열된 평활면 무단 벨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30)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가능한 히터 롤의 형태로 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상기 히터 롤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31)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온풍을 내뿜는 온풍 히터의 형태로 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상기 온풍 히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32)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는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 작용에 견딜 수 있는 가요성 내열 재료로 이루어진다.
(33)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는 불소수지제 벨트이다.
(34)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는 강제 벨트이다.
(35) 상기 탈수 롤부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여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압착 탈수한다.
(36) 상기 탈수 롤부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탈수 롤과, 이 탈수 롤에 대하여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프레스 롤과, 이들 양 롤을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이들 양 롤에 의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및 평활면 무단 벨트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를 통해서 상기 탈수 롤에 급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7) 상기 탈수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외주에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수층이 감겨져 이루어진다.
(38) 상기 탈수 롤의 탈수층에 포함되는 수분을 압착 배수하는 배수 롤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배수 롤은 상기 탈수 롤 외주면에 가압 상태로 구름 접촉되어서 구비하고, 상기 탈수 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배수 롤이 탈수 롤의 탈수층을 구름 이동 압착하여 탈수층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압착 배수되는 구성으로 된다.
(39) 상기 프레스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형태로 된다.
(40) 상기 탈수 롤부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예비 탈수 롤이 배치된다.
(41) 상기 예비 탈수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외주에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수 시트가 감겨져 이루어진다.
(42) 상기 탈수 롤부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슬러리화 방지 롤이 배치된다.
(43) 상기 슬러리화 방지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형태로 된다.
(44)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도중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를 구름 이동 가압하는 평활면 마무리 롤이 배치된다.
(45)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은 상기 가열 건조부의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열부에 대하여 평활면 무단 벨트의 반대측에 복수 병렬해서 배치된다.
(46) 상기 복수의 평활면 마무리 롤에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가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되어 이루어지고, 이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상측으로부터 누르면서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습지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평활성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된다.
(47)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48)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잔존하는 습기 및 수증기를 투과 발산시킬 수 있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된다.
(49)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펠트제 벨트이다.
(50)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벨트이다.
(51)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기재에 펠트재가 피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벨트이다.
(52)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은 그 내부에 히터가 조립되어 가열 롤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53)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가열 건조부에 가열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부가 설치되고, 이 수증기 회수부는 상기 장치 케이스의 커버부에 형성된 수증기 회수실과, 이 수증기 회수실을 배기하는 배기 팬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54) 배기 덕트가 상기 수증기 회수실로부터 상기 급수 수단의 백수 회수조까지 연장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이 백수 회수조 내에 면하는 상기 배기 덕트의 배기구에 상기 배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수증기 회수실에서 회수된 수증기가 상기 백수 회수조에 환류 순환된다.
(55) 상기 수증기의 상기 백수 회수조로의 환류 경로가 상기 백수 회수조에 대한 여과 탈수된 백수의 낙하 회수 경로에 교차하는 구성으로 된다.
(56)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건조부의 하류측에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건조 처리된 건지를 박리시키는 박리부재가 설치된다.
(57)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종단위치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로부터 박리된 재생지를 소정 형상 치수로 절단하는 치수 커터가 설치된다.
(58) 상기 초지부에 있어서 하류측의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와 상류측의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가 상하에 적층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들 평활면 무단 벨트와 망상 무단 벨트의 상하 인접 부분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가 망상 무단 벨트 및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하 양측 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는 구조로 된다.
(59)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가 공용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는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펄프 제조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와, 이 해리부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해부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이 고해기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고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는 구성으로 되고,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 의해 발생한 사용된 종이가 해리 처리되어서 사용된 종이 펄프로 됨과 아울러, 상기 초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초지되어 재생지로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가 그 발생 장소 내에서 재생지로서 순환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고해기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가능한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는 고해 조와, 이 고해 조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고해 부재와, 이들 고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고해 부재 간의 고해 간극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2) 상기 고해부는 복수대의 상기 고해기로 구성되고, 최상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상기 고해기는 각각, 그 공급구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배출구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최상류측의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는 연속되는 상기 고해기의 고해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3)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 및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된다.
(4) 상기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이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된 사용된 종이를 물 속에서 교반하여 해리ㆍ고해하는 구성으로 된다.
(5) 상기 교반 수단은 사용된 종이의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 임펠러와, 이 교반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6) 상기 초지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와,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을 초지함과 아울러 탈수ㆍ건조하는 구성으로 된다.
(7)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사용되는 물에 상기 초지부에서 탈수 회수되는 물이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된다.
(8) 상기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의 구동원은 일반가정용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이다.
본 발명의 펄프 제조 장치는 상기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구성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 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 장치로서,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와, 이 해리부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해부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이 고해기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고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고해기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가능한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는 고해 조와, 이 고해 조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고해 부재와, 이들 고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고해 부재 간의 고해 간극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2) 상기 고해부는 복수대의 상기 고해기로 구성되고, 최상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상기 고해기는 각각, 그 공급구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배출구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적배조로부터 상기 최상류측의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연속되는 상기 고해기의 고해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3) 상기 고해기는, 상기 고해 조의 내측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측 고해 부재와, 이 고정측 고해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회전측 고해 부재와, 이 회전측 고해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 조의 공급구에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이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연통하는 출구로 된다.
(4) 상기 양 고해 부재의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고, 이들 양 고해 작용면은 그 지름 치수가 서로의 대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서 그 사이에 양 원추형상의 고해 간극이 형성된다.
(5)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에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를 상기 출구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리브가 설치된다.
(6) 상기 양 고해 부재의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다수의 고해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탄면의 형태로 되어서, 이들 양 고해 작용면 사이에 지근거리의 평행면으로 형성되는 고해 간극이 형성된다.
(7) 상기 양 고해 부재의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그 지름 치수가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됨과 아울러 다수의 고해 홈이 형성되어서, 이들 양 고해 작용면 사이에 지근거리의 평행한 원추면으로 형성되는 고해 간극이 형성된다.
(8)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의 외주에 상기 출구로부터의 사용된 종이 펄프를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압출하는 펌프 작용을 하는 블레이드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된다.
(9) 상기 고해기는 상기 고해 조의 내측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측 고해 부재와 이 고정 고해 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이동측 고해 부재와, 이 이동측 고해 부재를 왕복 이동하는 왕복 구동원을 구비한다.
(10) 상기 고해기는 상기 고해 조의 상하 내측면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된 1쌍의 고정측 고해 부재와, 이들 양 고정측 고해 부재 사이에 있어서 양 고정측 고해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회전측 고해 부재와, 이 회전측 고해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측의 상기 고정측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 조의 공급구에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3개의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2개의 환상 간극이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연통하는 출구로 되고, 상기 고해 부재 의 상호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고, 이들 양 고해 작용면은 그 지름 치수가 서로의 대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서 그 사이에 양 원추형상의 고해 간극이 형성된다.
(11)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의 중 중심 부위에 상기 입구로부터의 사용된 종이 펄프를 상기 상하 고해 간극 사이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출구를 향해 압출하는 블레이드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된다.
(12)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 및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된다.
(13) 상기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이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된 사용된 종이를 물 속에서 교반하여 해리ㆍ고해하는 구성으로 된다.
(14) 상기 교반 수단은 사용된 종이의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 임펠러와, 이 교반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15) 상기 교반조의 투입구에 슈레더부가 설치되어서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가 상기 슈레더부에서 예비적으로 재단된 후, 상기 교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는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는 상기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구성 장치 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의 농도를 조정하는 펄프 농도 조정 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 장치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저장하는 농도 조정조와, 이 농도 조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의 가수에 의해 농도 조정되어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에 대해서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 이들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2)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되고, 이 구분된 소정 분량에 대하여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서,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3) 상기 농도 조정조는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 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하는 펄프 구분조와,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에 대응한 양의 물이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저류조를 구비하고, 이 물 저류조의 물에 상기 펄프 구분조의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급 혼합되어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4) 상기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본 발명의 초지장치는 상기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구성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와,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을 초지함과 아울러 탈수ㆍ건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망상 무단 벨트와, 이 망상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에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의 상기 펄프 현탁액을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펄프 공급부에 의해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퍼져 공급되는 구성으로 된다.
(2) 상기 펄프 공급부의 상류측에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상기 펄프 현탁액을 저류하는 펄프 공급조가 설치되고, 이 펄프 공급조 내의 상기 펄프 현탁액이 현탁액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부의 초지 프레임체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된다.
(3)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받아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와, 이 평활면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가열 건조하는 가열 건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롤부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압착 탈수된 습지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 하면에 전사 밀착되어 반송되는 구성으로 된다.
(4)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된다.
(5) 상기 가열 건조부는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1개 이상의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그 반송중에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6) 상기 탈수 롤부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 및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 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여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압착 탈수한다.
(7) 상기 탈수 롤부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탈수 롤과, 이 탈수 롤에 대하여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프레스 롤과, 이들 양 롤을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이들 양 롤에 의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및 평활면 무단 벨트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를 통해서 상기 탈수 롤에 급수되는 구성으로 된다.
(8)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도중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를 구름 이동 가압하는 평활면 마무리 롤이 배치된다.
(9)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은 상기 가열 건조부의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열부에 대하여 평활면 무단 벨트의 반대측에 복수 병렬해서 배치된다.
(10) 상기 복수의 평활면 마무리 롤에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가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되어 이루어지고, 이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상측으로부터 누르면서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습지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평활성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된다.
(11)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12)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잔존하는 습기 및 수증기를 투과 발산시킬 수 있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13)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펠트제 벨트이다.
(14)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벨트이다.
(15)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기재에 펠트재가 피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벨트이다.
(16)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종단위치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로부터 박리된 재생지를 소정 형상 치수로 절단하는 치수 커터가 설치된다.
(17)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가 공용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로 된다.
본 발명의 펄프 공급 장치는 상기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구성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장치의 펄프 공급부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주행하는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칸막이 부재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의 공급 폭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유통로의 출구측 부위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을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평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를 통과한 후에 상기 평판부재 상에 흘러서 체류하고, 이것에 의해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하여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을 슬라이딩 접촉 지지하는 좌식좌대 구조로 된다.
(2) 상기 초지 프레임체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방향측 선단부가 개방된 평면 コ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 내에 상기 유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둑 부재와, 상기 평판부재를 구비한다.
(3)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상기 복수의 둑 부재가 기립 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통로가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져 형성되고, 이 유통로의 진행 방향은 그 입구로부터 상방향으로 향해 연장되는 한편, 상기 출구를 향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된다.
(4) 상기 유통로의 입구 근방에 칸막이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칸막이판에 복수의 연통구멍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상기 둑 부재 중 상기 유통로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변하는 부위를 칸막이 형성하는 둑 부재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평판부재 상에 흘러서 체류하 는 펄프 현탁액의 수위보다 낮게 되도록 설정된다.
(5) 상기 본체 프레임은 그 프레임 내 폭 치수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의 폭 치수로 설정되어 상기 펄프 현탁액의 공급 폭을 규정함과 아울러, 그 하단면이 경사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6)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의 선단 가장자리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가 설치되고, 이 안내 시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가로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접촉 배치된다.
(7)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방향을 향해 하방을 향하는 경사진 형상의 내리막 구배로 설정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부재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1
본 발명에 따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가 도 1~도 10에 나타내어져 있고, 이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는 구체적으로는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발생하는 사용된 종이(UP)를 폐기 처분하는 일 없이 그 자리에서 재이용 가능한 종이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이며, 사용된 종이(UP)로서는 관공청ㆍ일반기업의 기밀문서나 일반가정의 사적 문서 등으로서 사용이 끝났거나 불필요하게 된 서류가 해당된다.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집기 사이즈, 즉, 사무소 내에 배치 사용되는 책장, 로커, 사무책상, 복사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집기류와 동등한 형상 치수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프 제조부(2), 초지부(3) 및 제어부(4)가 주요부로서 구성되고, 이들 장치 구성부(2~4)가 장치 케이스(5) 내에 장치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콤팩트 설계로 됨과 아울러, 상기 펄프 제조부(2) 및 초지부(3)의 구동원은 일반가정용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으로 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 장치 케이스(5):
이 장치 케이스(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기 사이즈의 것이며, 구체적인 형상 치수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된다. 도시의 실시형태의 장치 케이스(5)는 사무소 등에 배치 사용되는 복사기 정도의 형상 치수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부가 화장용 케이스 커버(5a)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장치 케이스(5)의 저부에는 이동수단으로서 캐스터(50,50,…)가 설치되어 설치 바닥면 상을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치 케이스(5)의 천판부에는 사용된 종이(UP)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a)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부에는 재생지(RP,RP,…)를 수취하기 위한 재생지 수취 트레이(51)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재생지 수취 트레이(51)에는 장치 케이스(5)의 배출구(112)가 면해서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지(RP,RP,…)가 순차적으로 적층형상으로 수취된다.
II. 펄프 제조부(2):
펄프 제조부(펄프 제조 장치)(2)는 사용된 종이(UP)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공정 부위이며, 사용된 종이(UP)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6)와, 이 해리부(6)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UP)를 고해하는 고해부(7)로 이루어지고,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해리부(6) 및 고해부(7)가 사용된 종이 펄프(UP)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다.
해리부(6)는 사용된 종이(UP)를 교반하는 교반장치(교반 수단)(8)와, 이 교반장치(8)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급수 수단)(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교반장치(8)는 교반조(10), 교반 임펠러(11) 및 구동모터(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교반조(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천정벽에 장치 케이스(5)의 케이스 커버(5a)의 외부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구조를 갖는 투입구(10a)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부(도시의 경우에는 저부)에 상기 교반 임펠러(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교반조(10)의 내용적은 한번에 교반 처리해야 할 사용된 종이(UP)의 장수에 따라 설정된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1.5리터의 물을 더하여 A4판의 PPC(plain paper copier) 사용된 종이(UP)를 8장 정도(약 32g) 한번에 교반 처리(배치(batch) 처리)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교반조(10)로 되어 있다.
또한, 교반 임펠러(11)는 교반조(10)의 경사진 저면 부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구동모터(12)의 회전축(12a)에 직접 설치 고정된 다이렉트 모터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모터(12)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정역 회전 구동된다. 구동모 터(1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전동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모터(12)가 제어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반 임펠러(11)가 정역 회전됨으로써 사용된 종이(UP)가 A4판의 크기 그대로 교반되는 경우에도 교반 임펠러(11)의 정회전 후의 역회전에 의한 물의 분류(噴流) 작용에 의해 사용된 종이(UP)가 유효하게 분산시켜지는 결과, 교반 임펠러(11)에 휘감기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교반 임펠러(11)의 날개 형상은 정회전과 역회전에 있어서 그 교반력(확산 효과)이 다르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된 종이(UP,UP,…)의 균일한 해리ㆍ고해가 실현된다.
또한, 교반 임펠러(11)의 정회전과 역회전의 전환 타이밍, 및 교반시간 등의 운전 조건은 미리 행한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하는 사용된 종이(UP,UP,…)의 해리ㆍ고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급수장치(9)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수 회수조(15) 및 급수 펌프(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백수 회수조(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지부(3)에 있어서 여과 탈수되는 백수(W)(초지할 때에 초지 망에 의해 여과된 극 저농도의 펄프 물)을 회수함으로써 이 백수 회수조(15)에 회수된 백수(W)가 급수 펌프(16)에 의해 상기 교반장치(8)의 교반조(10)에 교반용 물로서 공급된다.
또한, 이 급수장치(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프 농도 조정 장치(펄프 농도 조정 수단)(35)의 농도 조정용 급수부(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이 목적을 위하여, 백수 회수조(15) 내의 백수(W)를 농도 조정조(36)에 농 도 조정용의 물로서 공급하는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17)를 구비하고 있다. 18 및 19는 백수 회수조(15) 내에 설치된 하한 수위용 플로트 스위치와 상한 수위용 플로트 스위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교반장치(8)에 있어서 장치 케이스(5)의 투입 개구 즉 투입구(10a)로부터 교반조(10) 내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UP,UP,…)는 구동모터(12)에 의한 교반 임펠러(11)의 정회전ㆍ역회전 동작에 의해 급수장치(9)로부터 공급된 물(W) 속에서 소정 시간(도시의 경우에는 3분~5분간)만큼 교반되고, 이것에 의해 해리ㆍ고해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UPP)로 된다.
고해부(7)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대의 고해기(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고해기(20)는 상기 해리부(6)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UP)를 가압 고해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를 마쇄 미세화하는 것이다.
고해기(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도시의 경우에는 2개)의 고해 부재(21,22)가 주요부로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해리부(6)의 교반조(10)에 연통가능한 고해 조(23)와, 이 고해 조(21)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고해 부재(21,22)와, 이들 고해 부재(21,22)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시의 고해기(20)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해 부 재(21,22)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원반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고해 부재(21)가 고정측으로 됨과 아울러 하측의 고해 부재(22)가 회전측으로 되어 이루어진다.
고해 조(23)는 상기 1쌍의 고해 부재(21,22)를 수납할 수 있는 밀폐형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조(23a)와 하측조(23)가 상호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하 분할 구조를 구비한다. 이 고해조(23)는 상측조(23a)의 천부 중앙부에 공급구(25)가 개방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조(23b)의 원통측부에 배출구(26)가 개방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공급구(25) 및 배출구(26)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에 연통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공급구(25)가 상기 교반조(10)의 저부 위치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26)가 상기 교반조(10)의 상부 위치에 연통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측의 고정측 고해 부재(21)는 상기 상측조(23a)의 천정부 내측면에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측 고해 부재(21)에 대하여 하측의 회전측 고해 부재(22)가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동심상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측 고해 부재(22)는 회전 기대(28) 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이 회전 기대(28)의 회전 지축(28a)이 상기 고해 조(23)의 저부 즉 하측조(23b)의 저부 중앙의 개구(27)를 통해서 고해 조(23)의 외부로 면하고, 회전 구동원인 구동모터(24)의 회전축(24a)에 직접 설치 고정되어 다이렉트 모터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동모터(24)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전동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모터(24)가 제어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미소한 고해 간극(A)을 형성하는 양 고해 부재(21,22)의 대향면(21a,22a)끼리는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한다. 이들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21a,22a)은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고, 또한, 양 고해 작용면(21a,22a)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지름 치수가 서로의 대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서 그 사이에 양 원추형상의 고해 간극(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 고해 부재(21)의 고해 작용면(21a)의 중심 부위에는 고해 조(23)의 공급구(25)에 동축상으로 연통하는 입구(29)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 고해 부재(21,22)의 고해 작용면(21a,22a)의 외주 가장자리부(21b,22b)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30)이 고해 조(23)의 배출구(26)에 연통하는 출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회전측 고해 부재(22)의 고해 작용면(22a)에는 복수의 안내 리브(31,31,…)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측 고해 부재(22)를 지지하는 회전 기대(28)의 외주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2,32,…)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회전측 고해 부재(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안내 리브(31,31,…)는 상기 입구로부터 고해 간극(A)에 유입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상기 출구(30)로 안내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32,32,…)는 이 출구(30)로부터 배출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고해 조(23)의 배출구(26)를 향해 압출하는 펌프 작용을 한다.
상기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0.05㎜~0.8㎜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고해 조(23)의 상측조(23a)와 하측조(23b)를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하여 그들의 나사 결합 부분을 나선 진퇴시킴으로써 미세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가 목적에 따라 미세 조정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해 작용면(21a,22a)의 협동 작용에는 장치 기계 구조의 강도와 구동력에 따른 높은 압력과 슬라이딩력이 얻어진다. 또한,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고해부(7)의 고해 속도(고해 시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측 고해 부재(22)가 고정측 고해 부재(21)에 대하여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부터 고해 조(23)의 공급구(25)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상기 입구(29)로부터 고해 간극(A)에 유입되어 이 고해 간극(A)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21a,22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을 받음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30)로부터 고해 조(23)의 배출구(26)를 통해서 다시 상기 교반조(10)로 환류된다(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유통경로를 참조).
또한, 상기 고해 조(23)의 공급구(25) 및 배출구(26)는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개폐 수단의 구체적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컨대 종래 공지의 수동 또는 자동의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들 개폐 밸브는 고해부(7)가 운전 정지시에는 상기 공급구(25) 및 배출구(26)를 폐지 하여 교반장치(8)의 교반조(10)로부터의 사용된 종이(UP)나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고해 조(23)로의 유입을 저지하는 한편, 고해부(7)의 운전시에는 공급구(25) 및 배출구(26)를 개구하여 교반조(10)와 고해 조(23) 사이에서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순환 회류를 허용한다.
이 경우, 해리부(6)가 고해부(7)와 동시에 구동하고 있으면 고해 조(23)는 해리부(6)의 교반조(10)와 함께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회류하는 펄프 회류 조를 구성하여 이 펄프 회류 조(10,23)를 순환 회류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해리부(6)에 의한 교반 해리 작용과, 고해부(7)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 및 잉크 마쇄 미세화 작용을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받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해 조(23)에서 고해 작용면(21a,22a)에 의해 가압 고해ㆍ잉크 마쇄 미세화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해리부(6)의 교반층(10)으로 토출되어 이 교반조(10)에서 교반 임펠러(11)에 의해 균일하게 교반되고, 다시 고해부(7)의 고해 조(23)로 공급되고, 이 공정이 적당 회수 반복됨으로써 해리와 고해 또는 잉크 마쇄 미세화가 펄프 회류 조(10,23) 내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 전체에 균일하게 실시된다. 이 결과, 후술하는 초지부(3)에서 초지 재생되는 재생지(RP)에 있어서의 최적의 지력 강도가 확보됨과 아울러, 백색도가 높은 재생지(RP)를 얻을 수 있다(탈묵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펄프 농도 조정부(35)는 교반조(1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교반조(10)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농도를 후속의 초지에 적합한 적정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다. 이 펄프 농도 조정부(35)는 교반조(10)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 를 저장하는 농도 조정조(36)와, 이 농도 조정조(36)에 물을 공급하는 농도 조정용 급수부(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농도 조정용 급수부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장치(9)가 겸용되어 있다.
농도 조정조(36)의 내용적은 교반장치(8)에 의해 배치 처리되는 사용된 종이(UP)의 장수(양)에 따라 설정된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8장 정도(약 32g)의 A4판의 사용된 종이(UP)가 배치 처리되므로, 이것에 대응한 양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농도 조정조(36)로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교반장치(8)의 교반조(10)의 저부에는 배수구(10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10b)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 밸브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배수 밸브는 구체적으로는 전자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펄프 농도 조정부(35)의 구체적인 농도 조정 방법은 상기 농도 조정조(36)에 있어서 교반조(10) 내에서 배치 처리에 의해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에 대해서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물(W)이 가수되어 이들 사용된 종이 펄프(UPP)와 물(W)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정되어야 할 펄프 현탁액(PS)의 목표 농도는 미리 행한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초지부(3)에 있어서의 초지 능력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도시의 경우에는 약 0.1% 농도로 설정되어 있다. 30은 농도 조정조(36) 내에 설치된 플로트 스위치로서, 농도 조정조(36) 내의 펄프 현탁 액(PS)의 양(사용된 종이 펄프(UPP)와 물(W)의 합계 체적)이 상기 소정 값으로 되었을 때의 수위를 검지한다.
그리고, 상기 농도 조정조(36)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10)(및 고해 조(23))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이 교반조(10)의 배수구(10b)로부터 자중에 의해 농도 조정조(36) 내로 낙하 공급됨과 아울러, 이 사용된 종이 펄프(UPP)에 대하여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백수(W)가 상기 소정 값으로 될 때까지 가수되어(플로트 스위치(30)에 의해 검지) 이것에 의해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농도가 조정되어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으로 된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약 32g의 사용된 종이(UP)+1.5리터의 물(W))에 대하여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희석용의 물(W)이 가수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UPP)와 물(W)의 합계 체적(전량)이 32리터로 되도록 제어되고, 이것에 의해 약 0.1% 농도(목표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이 조제된다. 이 농도 조정된 펄프 현탁액(PS)은 제 1 현탁액 공급 펌프(31)에 의해 다음 공정의 초지부(3)의 펄프 공급조(85)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교반조(10)의 배수구(10b)로부터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농도 조정조(36) 내로 낙하 공급되는 동안, 교반조(10) 내에 있어서는 급수장치(9)로부터 급수 펌프(16)에 의해 물(W)이 공급됨과 아울러, 구동모터(12)에 의해 교반 임펠러(11)가 회전하여 교반조(10) 내의 세정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급수장치(9)의 급수원은 백수 회수조(15)에 회수되는 초지부(3)에서 탈수된 백수(W)이며, 바꾸어 말하면, 초지부(3)에서 탈수 회수되는 백수(W)는 전부 상기 해리부(6)의 교반장치(8) 및 펄프 농도 조정부(35)에서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하고 있다.
III. 초지부(3):
초지부(3)는 상기 해리부(6)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초지하여 재생지(RP)를 제조하는 공정 부위이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 탈수 롤부(41)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는 상기 펄프 제조부(2)의 해리부(6)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W)과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부위이며, 망상 무단 벨트(45), 구동모터(46) 및 펄프 공급부(4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망상 무단 벨트(45)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소정 폭을 갖는 초지 망 구조의 판재가 소정 길이의 환상으로 접속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무단 벨트이다. 상기 소정 폭은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여 제조해야 할 재생지(RP)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된다. 또한, 초지 망 구조의 판재는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초지 망 구조의 무수한 망눈에 의해 적절하게 여과 탈수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일반적으로 「나일론」(등록상표)이라고 불리우는) 혹은 스테인레스강(SUS) 등의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ET제 망상 무단 벨트(45)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길이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 속도와의 관계에서 펄프 현탁액(PS)이 적 절한 평량으로 초지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됨과 아울러, 장치 케이스(5)에 있어서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의 수용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이 망상 무단 벨트(45)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65), 종동 롤러(66), 지지롤러(67), 탈수 롤(70) 및 예비 탈수 롤(74)을 통해서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65)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4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망상 무단 벨트(4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46)는 구체적으로는 전동모터이며, 제어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모터(46)는 후술하는 탈수 롤부(41)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주행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되며 이 공용을 위한 구조 즉 구동 연결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펄프 공급부(47)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 상에 해리부(6)로부터의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이 펄프 공급부(47)에 의해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 상면에 균일하게 퍼져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의 펄프 공급부(47)의 구체적 구조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다. 즉, 이 펄프 공급부(47)가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가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하 양측 위치에 초지 프레임체(78) 및 칸막이 부재(79)가 각각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초지 프레임체(78)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 즉 망상 무단 벨 트(45)의 주행방향측 단부가 개방된 평면 コ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80)과, 이 본체 프레임(80)의 후단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 조(8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80)은 그 하단면(80a)이 경사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본체 프레임(80)의 프레임 내 폭 치수(L)(도 8 참조)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RP)의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조(81)는 상기 본체 프레임(80)의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앞벽 상단 가장자리(81a)가 수직선상으로 형성된 오버플로우부로 됨과 아울러, 이 오버플로우 조(81) 내에 후술하는 펄프 공급조(85)의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현탁액 공급 배관(90)의 공급 개구(90a)가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현탁액 공급 배관(90)으로부터 오버플로우 조(81) 내에 공급되어 저장되어서 오버플로우 조(81)가 펄프 현탁액(PS)으로 가득 차지면, 새로운 펄프 현탁액(PS)의 공급에 의해 펄프 현탁액(PS)은 오버플로우 조(81)의 오버플로우부(81a)로부터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하여 후술하는 칸막이 부재(79)의 평판부재(82) 상에 흘러내리게 된다.
칸막이 부재(79)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골조 부재(79a,79a,…)로 이루어지는 물 끊어짐이 가능한 좌식좌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의 하면 전체 폭을 슬라이딩 접촉 지지하는 형상 치수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좌식좌대 구조의 기단측 부위가 평판부재(8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평판부재(82)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78)의 오버플로우 조(81)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조(81)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펄프 현탁액(PS)의 흘러 내림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망상 무단 벨트(45)에 있어서의 펄프 현탁액(PS)의 흘러 내림 공급 부위의 망눈이 평판부재(82)에 의해 폐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펄프 공급부(47)의 상류측에는 이 펄프 공급부(47)에 펄프 현탁액(PS)을 공급되는 펄프 공급조(8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펄프 공급조(85)에 저장되는 펄프 현탁액(PS)은 하한 수위용 플로트 스위치(87) 및 상한 수위용 플로트 스위치(8)8에 의해 검지되어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현탁액 공급 펌프)(89)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부(47)의 오버플로우 조(81)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펄프 공급조(85)에 저장되는 펄프 현탁액(PS)이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89)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부(47)의 오버플로우 조(81) 내로 공급되고, 이 오버플로우 조(81)에 공급된 펄프 현탁액(PS)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조(81)로부터 오버플로우된 후, 평판부재(82) 상에 흘러 내린다.
그리고, 펄프 현탁액(PS)은 초지 프레임체(78)의 본체 프레임(80)과 칸막이 부재(79)의 협동에 의한 체류 작용에 의해 망상 무단 벨트(4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됨과 아울러, 망상 무단 벨트(45)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주행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80)에 의해 규정된 폭 치수를 유지하면서 망상 무단 벨트(45)와 함께 반송되면서 망상 무단 벨트(45)의 망눈에 의한 자중 여과 작용을 받아 탈수되어서 습 지(RP0)로 된다. 이 여과 탈수된 백수(W)(초지할 때에 초지 망에 의해 여과된 극 저농도의 펄프 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장치(9)의 백수 회수조(15)에 회수된다.
또한, 상기 펄프 공급부(47)가 있어서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자세는 좌우 수평으로 되도록, 즉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의 상면 윤곽선이 수평상태로 되도록 주행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체 프레임(80)과 칸막이 부재(79)의 협동에 의한 펄프 현탁액(PS)의 체류 상태에 좌우 폭방향의 편향이 생기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되어서, 조정되는 습지(RP0)의 두께가 좌우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면 전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된다.
탈수 롤부(41)는 상술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와 후술의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 상의 습지(RP0)를 압착 탈수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하류측의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상류측의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의 망상 무단 벨트(45)가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에 적층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들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하 인접 부분이 상기 연계부로 되어서, 상기 탈수 롤부(41)가 이들 망상 무단 벨트(45) 및 평활면 무단 벨트(95)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탈수 롤부(41)는 탈수 롤(70), 프레스 롤(71) 및 구동모터(72)를 주요 부로서 구비함과 아울러, 그 보조부로서 예비 탈수 롤(74) 및 슬러리화 방지 롤(75)이 설치되어 있다.
탈수 롤(70)은 망상 무단 벨트(45)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70a)의 외주에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수층(70b)이 감겨져 이루어진다. 탈수층(70b)은 친수성, 흡수성 및 보수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이 우수한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탈수층(70b)의 원통 롤(70a)에 대한 감기 구조로서는 어느 정도 두께가 있는 탈수층(70b)을 원통 롤(70a)의 외주에 1회 감거나 혹은 원통형상의 탈수층(70b)을 원통 롤(70a)에 외부로부터 끼우는 단층 구조와, 얇은 탈수층(70b)을 원통 롤(70a)의 외주에 복수회 감는 다층 구조가 있다.
도시의 실시형태의 탈수 롤(70)은 스테인레스강제 원통 롤(70a)의 원통 외주면에 미크론 사이즈의 초미세한 연속 기공을 갖는 초미세 연속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탈수층(70b)이 외부로부터 끼워져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스 롤(71)은 후술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평활면 무단 벨트(95)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형태의 프레스 롤(71)은 스테인레스강제 원통 롤로 이루어진다.
이들 탈수 롤(70)과 프레스 롤(71)은 구체적으로는 단일의 구동모터(72)에 구동 연결되어서 양 롤(70,71)이 연동하여 회전 구동된다. 이 경우, 이들 양 롤(70,71)은 그 외주면간에 있어서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는 망상 무단 벨트(45),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접촉면(망상 무단 벨트(45)의 하면 및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상면)에 대하여 양 롤(70,71)의 외주면이 약간의 회전속도차를 가지고 각각 구름 이동 접촉하도록 회전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롤(71)의 회전속도가 탈수 롤(70)의 회전속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 속도가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수 롤부(41)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가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하면에 전사 이전될 때에 습지(RP0)에 텐션이 가해져 습지(RP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72)는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의 구동모터(46)와 공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모터(72,4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양 롤(70,71)이 상기 양 벨트(45,95)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여 망상 무단 벨트(45) 상의 습지(RP0)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M)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를 통해 상기 탈수 롤(70)에 급수되어 탈수된다. 이 압착 탈수된 백수(W)는 급수장치(9)의 백수 회수조(15)에 회수된다.
이 압착 탈수의 구체적 메커니즘을 도 10(a)에 의해 설명하면 상기 양 롤(70,71)의 회전에 의해 상면에 습지(RP0)를 얹어 놓은 망상 무단 벨트(45)와 평활면 무단 벨트(95)가 그 동안에 상기 습지(RP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양 롤(70,71) 사이로 안내되어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된다. 그러면, 습지(RP0)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M)은 상기 양 롤(70,71)의 상류측(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짜 내지지만,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활면을 갖는 구멍이 없는 구조인 것 때문에 이 짜 내진 수분(M)은 전부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미세한 연속 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탈수 롤(70)의 탈수층(70b)에 급수된다.
예비 탈수 롤(74) 및 슬러리화 방지 롤(75)은 이들 탈수 롤부(41)에 있어서의 프레스 롤(71)과 탈수 롤(70)에 의한 압착 탈수 작용을 보조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예비 탈수 롤(7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수 롤부(41)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여 텐션을 주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예비 탈수 롤(74)의 구체적 구조는 상기 탈수 롤(70)과 마찬가지이고,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74a)의 외주에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수층(74b)이 감겨져 이루어진다. 도시의 실시형태의 예비 탈수 롤(74)은 스테인레스강제 원통 롤(74a)의 원통 외주면에 미크론 사이즈의 초미세한 연속 기공을 갖는 초미세 연속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탈수층(74b)이 외부로부터 끼워져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망상 무단 벨트(4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이 망상 무단 벨트(45)와 함께 반송되는 습지(RP0)는 망상 무단 벨트(45)에 의해 여과 탈수되면서 상기 예비 탈수 롤(74)에 의해도 복합적으로 급수 탈수되어서 프레스 롤(71)과 탈수 롤(70)에 의한 압착 탈수 작용을 예비적으로 보조한다.
슬러리화 방지 롤(75)은 도 2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수 롤부(41)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여 평활면 무단 벨트(95)를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 상의 습지(RP0)에 누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b)를 참조하여 탈수 롤(70)과 프레스 롤(71)에 의해 상면에 습지(RP0)를 얹어 놓은 망상 무단 벨트(45)와 평활면 무단 벨트(9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면, 습지(RP0)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M)은 양 롤(70,71)의 상류측(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짜 내지지만, 동시에, 탈수 롤(70) 자신이 전번의 압착 탈수의 결과 유지되어 있던 수분(M)도 더욱 짜 내진다.
이 경우, 슬러리화 방지 롤(7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롤(70,71)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는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교차 각도(이들 양 벨트(45,95)가 양 롤(70,71)에 의한 끼워누름 점을 교점으로 하여 끼워지는 각도)가 비교적 크고, 이것에 의해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가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 상의 습지(RP0)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양 롤(70,71)의 상류측으로 짜 내진 상기 습지(RP0)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탈수 롤(70) 자신이 유지하고 있었던 수분이 복합된 수분(M)의 일부(M')가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를 통해서 상기 탈수 롤(70)에 급수되지 않고, 습지(RP0)에 흡수되어 습지(RP0)가 다시 슬러리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교차 각도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슬러리화 방지 롤(75)의 설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탈수 롤부(41)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는 탈수 롤부(41)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하면으로 전사 이전되어서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함께 반송되어 건조 벨트 컨베이어(42)에 의한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이전 작용은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표면이 미세한 연속 기공이 다수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미세 요철면인 것에 대하여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표면이 구멍이 없는 평활면이고, 이 결과, 약간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습지(RP0)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표면과의 사이의 표면 장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 속도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탈수 롤부(41)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가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 면 무단 벨트(95)의 하면으로 전사 이전됨에 있어서 상기 습지(RP0)에 상기 속도차에 의한 텐션이 가해지는 결과, 습지(RP0)는 주름이 생기는 일 없이 평활한 상태로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전사될 수 있다.
건조 벨트 컨베이어(42)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에서 초지 형성된 후, 탈수 롤부(41)에서 압착 탈수된 습지(RP0)를 건조시켜 재생지(RP)로 하는 부위이며,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구동모터(96) 및 가열 건조부(9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평활면 무단 벨트(95)는 습지(RP0)를 가열 건조시키면서 반송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정 폭을 갖는 평활면 구조의 판재가 소정 길이의 환상으로 접속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무단 벨트이다.
상기 소정 폭은 망상 무단 벨트(45)와 마찬가지로 제조해야 할 재생지(RP)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된다. 또한, 평활면 구조의 판재는 습지(RP0)의 편측 표면을 적절한 평활면으로 마무리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가열 건조부(97)에 의한 가열 작용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불소수지, 스테인레스강 등의 가요성 내열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소수지제 벨트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길이는 습지(RP0)가 완성품인 재생지(RP)로 가열 건조되기에 충분한 길이이며, 또한 장치 케이스(5)에 있어서의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이 평활면 무단 벨트(95)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100), 종동 롤러(101,102), 프레스 롤(71), 슬러리화 방지 롤(75), 평활면 마무 리 롤(103,103) 및 예비 탈수 롤(74)을 통해서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100)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9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평활면 무단 벨트(9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9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 및 탈수 롤부(41)의 주행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되고, 이 공용을 위한 구조 즉 구동 연결 기구가 도 6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 있어서 105는 동력 전달 기어, 106은 스프로킷, 107은 스프로킷(106,106) 사이에 걸쳐지는 동력 전달 체인, 및 78은 동력 전달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기어(105,105,…), 스프로킷(106,106,…)의 기어비는 구동원이 단일의 구동모터(96)인 것 때문에, 구동 롤러(100), 종동 롤러(101,102), 프레스 롤(71), 슬러리화 방지 롤(75),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 및 예비 탈수 롤(74) 전부가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대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둘레속도를 가지고 각각 구름 이동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열 건조부(97)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를 가열 건조하는 부위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 경로 도중 개소에 배치된 히터 플레이트(109)를 가열부로서 구비한다.
도시의 실시형태의 히터 플레이트(109)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경로에 있어서의 수평 주행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있어서의 상기 습지(RP0)의 유지면인 상면과 반대측면 즉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 지(RP0)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109)에 의해 가열된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 건조되게 된다.
또한,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 도중에 상기 2개의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경로에 있어서의 수평 주행 부분에 있어서 상기 히터 플레이트(109)와 대향하여 병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은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를 순차적으로 구름 이동 가압하여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표면에 접촉하는 습지(RP0)의 편측 표면과 반대측 표면을 적절한 평활면으로 마무리한다.
또한,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이 설치되어 있지만, 평활면 마무리 롤의 배치 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된다.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건조부(97)의 하류측에는 박리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박리부재(110)는 구체적으로는 내열성을 갖는 탄성 주걱(spatula)의 형태로 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형태의 박리부재(110)는 탄성변형 가능한 0.1~0.3㎜ 두께 정도의 스테인레스강판의 외주면에 테플론(등록상표)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고, 그 기단부가 고정측에 지지됨과 아울러(도시생략), 그 선단 에지(110a)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표면에 탄발적으로 접촉 걸림되어 있다.
그리고,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에서 건조 처리되어 반송되는 건지 즉 재생지(RP)는 상기 박리부재(110)의 선단 에지(110a)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유지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박리부재(110)의 하류측 즉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경로 종단위치, 즉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종단위치에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로부터 박리된 재생지(RP)를 소정 형상 치수(도시의 경우에는 길이 치수만)로 절단하는 치수 커터(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치수 커터(111)의 구체적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컨대 종래 공지의 양 사이드 슬리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기요틴 커트 동작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평활면 무단 벨트(95)로부터 박리된 재생지(RP)는 치수 커터(111)에 의해 소정 길이(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4판의 세로 치수)로 절단되어 재사용가능한 형상 치수의 재생지(RP)로 되어 장치 케이스(5)의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경우의 소정 길이로의 절단은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벨트 이송량을 근접 스위치, 인코더 등의 센서에 의해 계측하여 행한다.
IV. 제어부(4):
제어부(4)는 상술한 해리부(6) 및 초지부(3)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서로 연동하여 자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CPU, ROM, RAM 및 I/O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부(4)에는 펄프 제조부(2)의 펄프 제조 공정 및 초지부(3)의 초지 공정을 연속해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갖추어짐과 아울러, 각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여러가지의 정보, 예컨대, 해리부(6)에 있어서의 교반장치(8)의 구동 시간 및 급수장치(9)의 동작 타이밍, 또는, 초지부(3)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부(40,42)의 주행 속도, 가열 건조부(97)의 구동 시간 및 치수 커터(111)의 동작 타이밍 등이 미리 데이터로서 또는 키보드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입력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플로트 스위치(18,19,30,87,88) 및 각 구동부(12,16,31,46(72,96),89,105,1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는 이들의 각종 실측치 및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각 구동부(12,16,31,46(72,96),89,105,111)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는 전원 투입에 의해 기동하여 제어부(4)에 의해 각 구동부가 서로 관련되어 자동 제어되고, 이하의 공정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UP,UP,…)는 해리부(6)에 의해 해리 처리되어 사용된 종이(UP)에 기재된 기밀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ㆍ유출이 유효하게 방지되고, 게다가 이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초지부(3)에 의해 초지되어 재생지(RP)로 재생된다.
i) 가열 건조부(97)의 히터 플레이트(109)가 발열을 개시하여 소정 온도까지 승온되면 이후 자동으로 그 소정 온도를 유지한다.
ii) 해리부(7)가 운전을 개시하여 교반장치(8)의 교반조(10)에 급수장치(9)로부터 물(W)이 소정량 만큼 공급된다. 이 소정량은 교반조(10) 내에 투입되는 사용된 종이(UP,UP,…)를 해리, 고해하는데에 최소 한도로 필요한 양이며(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1.5리터), 타이머에 의해 급수 펌프(16)의 급수 시간을 제어하여 행한다.
iii) 사용된 종이(UP,UP,…)가 교반장치(8)의 투입구(10a)로부터 설정 장수(장치(1)의 처리 능력으로부터 설정된 장수(분량)(도시의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A4판 약 8장≒32g))만큼 투입되어 스타트 스위치가 ON 되면, 교반장치(8)가 운전을 개시하여 교반 임펠러(11)가 타이머 운전에 의해 소정 시간(도시의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3~5분간)만큼 정회전, 역회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된 종이(UP,UP,…)가 해리, 고해되어서 사용된 종이 펄프(UPP)로 된다.
iv) 소정 시간의 교반 임펠러(11)의 타이머 운전에 의해 사용된 종이(UP,UP,…)가 사용된 종이 펄프(UPP)로 된 후, 고해부(7)도 운전을 개시하여 고해기(20)의 고해 조(23)의 공급구(25) 및 배출구(26)가 개구됨과 아울러 고해 부재(21,22)의 회전측 고해 부재(22)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고해 조(23)와 교반조(10)가 펄프 회류 조를 구성하여 교반 임펠러(11)에 의해 해리ㆍ고해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고해 조(23)로 유입되어 고해 부재(21,22)의 고해 간극(A)을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흐르고, 고해부(7)의 가압 고해ㆍ잉크 마쇄 미세화 작용을 받은 후, 다시 교반조(10)에 환류되어, 이후, 펄프 회류 조(10,23)를 순환 회류하면서 타이머 운전에 의해 소정 시간 만큼 해리부(6)에 의한 교반 해리와 고해부(7)에 의한 가압 고해ㆍ잉크 마쇄 미세화 작용을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받음으로써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후공정의 초지부(3)에서의 초지 재생에 최적의 지력 강도 등이 확보될 때까지 고해된다.
v)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충분히 고해되면 고해부(7)의 운전이 정지됨과 아울러, 교반장치(8)의 배수 밸브가 개방되어 교반조(10) 내의 사용된 종이 펄 프(UPP)의 전량이 농도 조정조(36)에 배출 공급된다.
이 경우, 교반조(10) 내의 세정도 겸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배출 도중에 급수장치(9)로부터 교반조(10) 내로의 급수와 교반 임펠러(11)의 회전이 행해진다. 상기 배출 밸브의 개방시나 세정용의 급수, 교반 임펠러(11)의 회전은 전부 타이머에 의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vi) 농도 조정조(36)에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배출 공급되는 것과 병행하여 또는 배출 공급 후에 농도 조정조(36)에는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백수(W)가 가수 공급된다. 백수(W)의 가수공급은 농도 조정조(36) 내의 플로트 스위치(30)가 수량을 검지하여 작동할 때까지 행해진다. 이 백수(W)의 가수에 의해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농도가 조정되어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으로 된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약 32g의 사용된 종이(UP)+1.5리터의 물(W))에 대하여 백수(W)가 농도 조정조(36) 내의 수량이 30.5리터, 즉, 사용된 종이 펄프(UPP)와 물(W)의 합계 체적(전량)이 32리터로 될 때까지 가수되고, 이것에 의해 약 0.1%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으로 조제된다.
vii) 농도 조정조(36)에서 농도 조정이 완료된 펄프 현탁액(PS)은 플로트 스위치(30)가 ON으로 되면 제 1 현탁액 공급 펌프(30)가 작동하여 그대로 전량이 펄프 공급조(85)에 공급된다. 이 전량 공급도 타이머 운전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펄프 현탁액(PS)이 펄프 공급조(85)에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는 백수 회수조(15)의 물은 농도 조정조(36)에 입수되지 않는다(조정된 농도가 바뀌는 것을 방지).
viii) 펄프 공급조(85) 내의 하한 수위용 플로트 스위치(87)(초지 개시에 필요한 최소 수량의 수위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가 ON으로 되면 구동모터(46(72,96))가 구동하여 망상 무단 벨트(45)가 주행 구동되어 초지 개시의 상태로 됨과 아울러, 펄프 공급조(85) 내의 펄프 현탁액(PS)이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89)에 의해 펄프 공급부(47)의 오버플로우 조(81) 내로 공급된다.
이 경우, 펄프 공급부(47)에 펄프 현탁액(PS)이 보내지는 시간 정도만큼 상기 구동모터(46(72,96))가 소정의 타이밍을 가지고 구동하여 망상 무단 벨트(45)는 지연 운전된다.
또한, 구동모터(46(72,96))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뿐만 아니라 탈수 롤부(41)의 롤(70,71)의 회전 구동원,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 구동원, 및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의 회전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도 동시에 연동해서 운전된다.
ix) 상기 오버플로우 조(81)에 공급된 펄프 현탁액(PS)은 오버플로우 조(81)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칸막이 부재(79)의 평판부재(82) 상에 흘러 내리고, 초지 프레임체(78)의 본체 프레임(80)과 칸막이 부재(79)의 협동에 의한 체류 작용에 의해 망상 무단 벨트(4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된다. 이와 동시에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작용에 의해 상기 확산된 펄프 현탁액(PS)은 본체 프레임(80)에 의해 규정된 폭 치수(L)를 유지하면서 망상 무단 벨트(45)에 끌어내지면서 반송되어 망상 무단 벨트(45)의 망눈에 의해 여과 탈수되어 습지(RP0)로 된다.
이 망상 무단 벨트(45)에 의해 여과 탈수된 백수(W)는 급수장치(9)의 백수 회수조(15)에 회수되어 순환 재이용된다.
x) 망상 무단 벨트(45)와 함께 반송되는 습지(RP0)는 예비 탈수 롤(74) 위치에서 경사 주행 상태에서 수평 주행 상태로 자세 변환되면서 이 예비 탈수 롤(74)의 급수 작용과의 협동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복합적으로 또한 가볍게 탈수된 후, 슬러리화 방지 롤(75)의 누름 작용에 의해 망상 무단 벨트(45)와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의해 끼움지지된 상태로 탈수 롤부(41)에 보내진다.
xi) 탈수 롤부(41)에 있어서 슬러리화 방지 롤(75)의 누름 작용에 의해 망상 무단 벨트(45)와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의해 끼움지지된 습지(RP0)는 탈수 롤(70)과 프레스 롤(71) 사이를 이들 양 롤(70,71)에 의해 상하 양측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면서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습지(RP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리화 방지 롤(75)의 예비적인 보조 작용도 도와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압착 탈수 메커니즘에 의해 소정의 함수율까지 탈수된다.
xii) 탈수 롤부(41)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0)는 탈수 롤부(41)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하측의 망상 무단 벨트(45)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무단 벨트(95)로 전사 이전되어서, 이번에는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함께 반송되면서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히터 플레이트(109)에 의해 가열 건조되어 재생지(RP)로 된다.
또한, 이와 병행하여 습지(RP0) 또는 재생지(RP)는 평활면 무단 벨트(95)에 대하여 상기 히터 플레이트(109)와 반대측에 배치된 2개의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의 연속된 회전 이동 가압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표면에 접촉하는 측의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이 적절한 평활면으로 마무리되어 간다.
xiii) 2개의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에 의한 표면 처리를 거친 재생지(RP)는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표면에 고착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박리부재(110)의 선단 에지(110a)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유지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됨과 아울러 치수 커터(111)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서, 재사용가능한 형상 치수의 재생지(RP)로서, 장치 케이스(5)의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된다.
ixv) 펄프 공급조(85) 내의 펄프 현탁액(PS)이 초지 개시에 필요한 최소 수량보다 감소하면 (은과 ど하늘(빔)의 상태), 하한 수위용 플로트 스위치(87)가 OFF가 되고,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89)에 의한 펄프 현탁액(PS)공급이 정지함과 아울러, 구동모터(46(72,96))도 구동 정지하고, 초지 공정이 정지한다.
이 경우, 구동모터(46(72,96))는, 현재 초지 중의 펄프 현탁액(PS)이 전량재생지(RP)가 되어서 상기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분(만큼)만, 소정의 타이밍을 가져서 구동 정지한다.
xv) 이후, iii)의 공정으로 되돌아와서 사용된 종이(UP,UP,…)를 설정 장수만큼 추가 투입하여(장치(1)의 처리 능력으로부터 설정된 장수(분량)(도시의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A4판 약 8장≒32g)만큼 투입되어) 스타트 스위치가 다시 ON됨으로써 iv)~ixv)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실행된다.
또한, 이상의 공정은 사용된 종이 펄프화ㆍ재생지 초지에 필요한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의 운전에는 다른 안전대책 등의 인터록 제어가 부가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있어서는 이 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고,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에도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환경에 우수하고 또한 런닝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밀정보나 개인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1)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5) 내에, 사용된 종이(UP)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2)와, 이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초지하여 재생지(RP)를 제조하는 초지부(3)와, 이들 펄프 제조부(2) 및 초지부(3)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된 종이(UP)를 폐기 처분하는 일 없이 사용된 종이(UP)의 발생원에서 자체적으로 재생 이용할 수 있고, 사용된 종이(UP)의 폐기를 경감하여 쓰레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계가 있는 자원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 종류의 사용된 종이(UP)는 기밀상의 문제 때문에 리사이클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아서, 상기와 같이 사용된 종이(UP)의 발생원에서 자체적으로 재생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자유 유효 이용의 효과는 현저하다.
(2) 또한, 사용된 종이(UP)의 발생 장소에 제지 공장이나 사용된 종이 재생 공장의 대규모인 설비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콤팩트한 사용된 종이 재생 설비가 설치됨으로써,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에 있어서도 연속해서 종이의 순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사용된 종이(UP)의 회수 폐기에 필요로 되는 수송비나 소각 비용 등의 각종 경비도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적이다.
(3) 펄프 제조부(2)의 고해부(7)를 구성하는 고해기(20)는 사용된 종이(UP)를 그 고해 작용면(21a,22a)에 의해 가압 고해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를 마쇄 미세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상수도 설비로부터 얻어지는 음료수 등의 물만의 사용으로, 제지 공장이나 사용된 종이 재생 공장과 같은 대규모의 사용된 종이 재생 설비에 있어서 종래 필수로 되어 있었던 사용된 종이 잉크 소멸제 등의 제지용 약제의 사용을 완전히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상기 고해기(20)에 의해 마쇄 미세화되는 결과, 초지 재생된 재생지(RP) 상에는 무수한 대단히 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지는 불규칙적인 도트 패턴(예컨대, 1평방 밀리미터당 4~30도트, 평균으로 8도트 정도)으로서 점재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불규칙한 도트 패턴은 눈으로 봐서는 멀리서 본 경우에는 얇은 착색이 된 무지의 종이로서 인식되는 한편, 가까이서 본 경우에는 균일한 미세한 점모양으로서 인식되게 되어 어떻든간에 백색도가 높은 재생지(RP)를 얻을 수 있고, 탈묵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특별한 제지용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물만으로 사용된 종이(UP)의 재생 처리가 실현함으로써, 최근, 세계적 규모로 확산되고 있는 환경오염의 문제도 없고, 엄격함을 늘면서 소정 환경 관련의 여러가지 규제에도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환경에 친화적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4) 펄프 제조부(2)는 사용된 종이(UP)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6)와, 이 해리부(6)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UP)를 고해하는 고해부(7)로 이루어지고, 이들 해리부(6) 및 고해부(7)가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고해가 목적에 따라 효율 좋게 행해져 최적의 고해 효과가 얻어지고, 그 결과, 재생지(RP)에 양호한 종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5) 사용된 종이(UP)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2)에 의해 사용된 종이(UP)는 섬유 레벨까지 분해되어서(펄프화) 거기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는 완전히 분해 소멸되어 버려 복원 불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이들 문자나 선도로 구성되는 기밀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6) 장치구조가 콤팩트하며,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에도 설치 가능하여 이 관점으로부터도 기밀정보나 개인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펄프 제조부(2)에서 사용되는 물(W)에 상기 초지부(3)에서 탈수 회수되는 물(W)이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및/또는, 상기 펄프 제조부(2) 및 초지부(3)의 구동원이 일반가정용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인 것에 의해 환경에 우수하고 또한 런닝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 있어서도 경제적이다.
(8) 사용된 종이(UP)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되어서 펄프 제조부(2)에 의해 발생한 사용된 종이(UP)가 해리 처리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UPP)로 됨과 아울러, 초지부(3)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초지되어 재생지(RP)로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UP)가 그 발생 장소 내에서 재생지(RP)로서 순환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된 종이(UP)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 등의 각종 정보가 사용된 종이(UP)의 발생 장소 밖으로 확산되는 일이 전혀 없고, 이 점으로부터도 기밀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자원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그 사용에 따른 일정한 시스템(예컨대, 학교, 병원, 시청, 법률사무소, 특허사무소, 일반가정 등) 밖으로 상기 각종 정보가 확산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예컨대 종래 주지의 슈레더의 경우, 사용된 종이가 재단되어 작은 조각으로 되고, 거기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가 판독 불능으로 되었더라도, 재단된 지편은 소각장 등에서 폐기 처분되는 것이므로 상기 시스템 밖으로의 확산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이 점에 관하여 상기 시스템 밖으로의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시스템 내의 창고에 보관한다는 방법도 고려되지만, 반면, 그러한 보관 장소의 확보가 필요로 되고, 대상으로 되는 종이도 일회의 사용만으로는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효율이 나쁘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의하면 사용된 종이(UP)에 기재되는 각종 정보가 그 사용에 관련된 시스템 밖으로 확산되어 버리는 일은 전혀 없고, 또한,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본 실시형태는 도 11~도 14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고해부(7)의 구성이 개선 및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1대의 고해기(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해기(12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도시의 경우에는 2개)의 고해 부재(121,122)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양 고해 부재(121,122)는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원반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고해 부재(121)가 고정측으로 됨과 아울러 하측의 고해 부재(122)가 회전측으로 되어 이루어진다.
즉,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상측의 고정측 고해 부재(121)는 상기 상측조(23a)의 천정부 내측면에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측 고해 부재(121)에 대하여 하측의 회전측 고해 부재(122)가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동심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측 고해 부재(122)는 회전 기대(28) 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이 회전 기대(28)의 회전 지축(28a)이 구동모터(24)의 회전축(24a)에 직접 설치 고정되어 다이렉트 모터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소한 고해 간극(A)을 형성하는 양 고해 부재(121,122)의 고해 작용면(121a,122a)은 다수의 고해 홈(124,1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탄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들 양 고해 작용면(121a,122a) 사이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근거리의 평행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해 간극(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해 홈(124,124,…)은 고해 작용면(121a,122a)의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한 구조이며, 그 형성 패턴으로서는 도 12(a),(b) 혹은 도 14(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각종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고해 홈(124,124,…)의 단면 형상도 도 13(a),(b),(c),(d) 또는 도 14(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양 고해 작용면(121a,122a), 즉 양 고해 부재(121,122)의 구성 재료로서는 세라믹스,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유리, 도자기, 염화비닐 혹은 나무 등 여러가지의 재료가 사용가능하지만, 고해 부재(121,122) 또는 고해기(120)의 내구성을 고려하면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금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0.05㎜~0.8㎜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고해 조(23)의 상측조(23a)와 하측조(23b)를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하여 그들의 나사 결합 부분을 나선 진퇴시킴으로써 미세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해기(120)에 있어서는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측 고해부재(122)가 고정측 고해부재(121)에 대하여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부터 고해 조(23)의 공급구(25)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상기 입구(29)로부터 고해 간극(A)에 유입되어 이 고해 간극(A)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121a,122a)에 의한 가압 고 해 작용을 받음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30)로부터 고해 조(23)의 배출구(26)를 통해서 다시 상기 교반조(10)로 환류된다(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유통경로를 참조).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3
본 실시형태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고해부(7)의 구성이 개선 및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도 실시형태1과 같이 1대의 고해기(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해기(13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도시의 경우에는 2개)의 고해 부재(131,132)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양 고해 부재(131,132)는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소위 절구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외관 형상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것에 대응하여 이들 고해 부재(131,132)를 밀폐상태로 수용하는 고해 조(13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고해 부재(131,132)의 외주에 따른 단면 윤곽 형상을 갖고, 또한,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상측조(133a)와 하측조(133b)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하 분할 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고해 부재(131)는 고정측으로 되어 상기 고해 조(133)의 상측조(133a)의 내측면에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측 고해 부재(131)에 대하여 하측의 회전측 고해 부재(132)가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동심상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측 고해 부재(132)는 그 중심 부위가 회전 지축(28a)에 직접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이 회전 지축(28a)이 고해 조(133)의 하측조(133b)의 저부 중앙의 개구(27)를 통해서 고해 조(23)의 외부로 면하고, 회전 구동원인 구동모터(24)의 회전축(24a)에 직접 설치 고정되어 다이렉트 모터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소한 고해 간극(A)을 형성하는 양 고해 부재(131,132)의 고해 작용면(131a,132a)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지름 치수가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됨과 아울러 다수의 고해 홈(134,134,…)이 설치되어서, 이들 양 고해 작용면(131a,132a) 사이에 지근거리의 평행한 원추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해 간극(A)이 형성된다.
상기 고해 홈(134,134,…)은 고해 작용면(131a,132a)의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한 구조이며, 그 형성 패턴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고해 홈(134,134,…)의 단면 형상은 실시형태2의 도 13(a)~(d) 또는 도 14(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양 고해 부재(131,132)의 구성 재료로서는 세라믹스,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유리, 도자기, 염화비닐, 혹은 나무 등 여러가지의 재료가 사용가능하지만, 고해 부재(131,132) 또는 고해기(130)의 내구성을 고려하면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금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0.05㎜~0.8㎜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한, 이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고해 조(133)의 상측조(133a)와 하측조(133b)를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하여 그들의 나사 결합 부분을 나선 진퇴시킴으로써 미세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해기(130)에 있어서는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측 고해 부재(132)가 고정측 고해 부재(131)에 대하여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부터 고해 조(133)의 공급구(25)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상기 입구(29)로부터 원추상으로 넓혀지는 미소한 고해 간극(A)에 유입되어 이 고해 간극(A)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131a,132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을 받음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30)로부터 고해 조(133)의 배출구(26)를 통해서 다시 상기 교반조(10)로 환류된다(도 15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유통경로를 참조).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4
본 실시형태는 도 17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고해부(7)의 구성이 개선 및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도 실시형태1과 같이 1대의 고해기(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해기(14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도시의 경우에는 2개)의 고해 부재(141,142)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양 고해 부재(141,142)는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평판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밀폐형의 고해 조에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고해 부재(141)가 고정측으로 되어 상기 고해 조의 내측면에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이 고정측 고해 부재(141)에 대하여 다른쪽의 이동측 고해 부재(142)가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도 17의 화살표 방향으로 평행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이동측 고해 부재(142)의 구체적인 구동기구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적당한 왕복 이동안내 수단에 의해 안내 지지됨과 아울러, 왕복 실린더 장치나 캠기구와 구동모터의 조합 기구 등의 적절한 왕복 구동원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소한 고해 간극(A)을 형성하는 양 고해 부재(141,142)의 고해 작용면(141a,142a)은 도시와 같은 평탄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다수의 고해 홈(144,144,…)이 형성되어서, 이들 양 고해 작용면(141a,142a) 사이에 지근거리의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해 간극(A)이 형성된다.
상기 고해 홈(144,144,…)은 고해 작용면(141a,142a)의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한 구조이며, 그 형성 패턴은 도시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고해 홈(144,144,…)의 단면 형상은 도시와 같은 대략 원호형상으로 되는 것 외에 실시형태2의 도 13(a)~(d) 또는 도 14(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양 고해 부재(141,142)의 구성 재료로서는 세라믹스,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유리, 도자기, 염화비닐, 혹은 나무 등 여러가지의 재료가 사용가능하지만, 바 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금속이 사용되어 고해 부재(141,142) 또는 고해기(140)의 내구성이 확보된다.
상기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실시형태2 및 3과 마찬가지로 0.05㎜~0.8㎜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해기(140)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왕복 구동원에 의해 이동측 고해 부재(142)가 고정측 고해 부재(141)에 대하여 왕복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부터 고해 조(도시생략)의 공급구(25)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상기 입구(29)로부터 평행하여 넓혀지는 미소한 고해 간극(A)에 유입되어 이 고해 간극(A)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141a,142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을 받음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30)로부터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26)를 통해서 다시 상기 교반조(10)로 환류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5
본 실시형태는 도 18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고해부(7)의 구성이 개선 및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는 1대의 고해기(20)만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고해기(150,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대의 고해기(150,150,…)는 그 고해 조(23,23,…)가 연속해서 접속되어 전체적으로 1개의 밀봉 조를 형성하고, 최상류측의 고해기(150a)의 고해 조(23)의 공급구(25)가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고해기(150n)의 고해 조(23)의 배출구(26)가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에 연통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150a,150n) 사이에 개재되는 고해기(150b,…,150n-1)는 각각, 그 고해 조(23)의 공급구(25)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고해기의 배출구(26)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고해 조(23)의 배출구(26)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고해기의 공급구(25)에 연통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각 고해기(150)의 구체적 구조는 도시의 실시형태의 경우, 실시형태1의 고해기(20)와 마찬가지이지만(도 4 및 도 5 참조), 실시형태2의 고해기(120)(도 11도~14 참조), 실시형태3(도 15도 및 도 16 참조) 또는 실시형태4(도 17 참조)와 마찬가지의 구조가 채용되어도 되고, 또는 이들 실시형태의 구조가 적절하게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고해기(150)의 회전 지축(28a,28a,…)이 동축상으로 배치 접속됨과 아울러, 단일의 구동모터(24)에 구동 연결되어 회전 구동원이 공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고해기(150)의 고해 부재(21,22)에 의해 형성되는 미소한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예컨대, 최상류측의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가 0.8㎜ 정도로 설정됨과 아울 러, 그 하류측에 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최하류측의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가 0.05㎜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단일의 구동모터(24)에 의해, 연속하는 고해기(150a,150b,…,150n)의 회전측 고해 부재(22,22,…)가 각각 대응하는 고정측 고해 부재(21,21,…)에 대하여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부터 최상류측의 고해 조(23)의 공급구(25)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연속하는 고해기(150a,150b,…,150n)의 각각의 고해 작용면(21a,22a,…)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각 고해 작용면(21a,22a)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150n)의 배출구(26)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 환류된다(도 18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유통경로를 참조).
이상과 같이 복수 단계 내지는 다단계로 고해기(150,150,…)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펄프 제조부(2)의 해리부(6)와 고해부(7)가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복수회 순환시키는 순환식에 대해서 이 순환수를 감소 내지는 제로로 하여 고해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고해의 보다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6
본 실시형태는 도 19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고해부(7)의 구성이 개선 및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는 실시형태5와 마찬가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고해기(160,16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에 있어서는 연속하여 접속된 복수대의 고해기(160a,160b,…,160n)는 각각 독립된 구동모터(24,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목적에 따라 각 고해기(160)에 있어서의 고해 부재(21,22)의 상대적 회전속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7
본 실시형태는 도 20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고해부(7)의 구성이 개선 및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7)는 실시형태1과 같이 1대의 고해기(1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해기(170)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고해 간극(A)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도시의 경우에는 3개)의 고해 부재(171,172,173)가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고해 부재(171,172,173)는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원반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1쌍의 고해 부재(171 및 173)가 고정측으로 됨과 아울러, 이들 양 고정측 고해 부재(171,173) 사이에 대향 배치된 중간부의 고해 부재(172)가 회전측으로 되어 이루어진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들 고해 부재(171,172,173) 를 밀폐상태로 수용하는 고해 조는 고해 부재(171,172,173)의 외주에 따른 단면 윤곽 형상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상측조와 하측조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하 분할 구조를 구비한다.
상하부의 고정측 고해 부재(171,173)는 상기 상측조의 천정부 내측면 및 하측조의 저부 내측면에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상하 양 고정측 고해 부재(171,173)의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측 고해 부재(172)는 상하 양 고정측 고해 부재(171,173)에 대하여 각각 미소한 고해 간극(A,A)을 가지고 동심상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측 고해 부재(122)는 그 중앙부가 회전 지축(28a)에 설치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이 회전 지축(28a)이 회전 구동원인 구동모터(24)의 회전축에 직접 접속되어 다이렉트 모터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고정측 고해 부재(171)의 고해 작용면(171a)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 조의 공급구에 연통되는 입구(2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3개의 고해 부재(171,172,173)의 고해 작용면(171a,172a,172b,173a)의 외주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2개의 환상 간극(30,30)이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연통되는 출구(30,30)로 되어 있다.
상기 고해 부재(171,172,173)의 서로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171a,172a,172b,173a)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고, 이들 고해 작용면(171a,172a,172b,173a)은 그 지름 치수가 서로의 대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 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서 그 사이에 양 원추형상의 상기 고해 간극(A,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172)의 중심 부위에는, 상기 입구(29)로부터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상기 상하 고해 간극(A,A)에 유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출구(30,30)를 향해 압출하는 블레이드(174,174,…)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해 간극(A,A)의 간극 치수는 0.05㎜~0.8㎜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고해 간극(A)의 간극 치수는 도시하지 않은 고해 조의 상측조와 하측조를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하여 그들의 나사 결합 부분을 나선 진퇴시킴으로써 미세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해기(170)에 있어서는 구동모터(24)에 의해 중간부의 회전측 고해 부재(172)가 상하 양 고정측 고해 부재(171,173)에 대하여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6)의 교반조(10)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25)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상기 입구(29)로부터 고해 간극(A,A)에 유입되어 이들 고해 간극(A,A)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171a,172a,172b,173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을 받음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30,30)로부터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26)를 통해서 다시 상기 교반조(10)로 환류된다(도 20(a),(a)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유통경로를 참조).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8
본 실시형태는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를 약간 개선 및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의 초지부(3)에 있어서의 탈수 롤부(41)와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구체적 구조가 약간 개선 변경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수 롤부(41)는 주요부인 탈수 롤(70), 프레스 롤(71) 및 구동모터(72)의 보조부로서 예비 탈수 롤(74) 및 슬러리화 방지 롤(75)에 추가로, 배수 롤(1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 롤(180)은 탈수 롤(70)의 탈수층(70b)에 포함되는 수분을 압착 배수하는 것으로,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작은 지름의 원통 롤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탈수 롤(70)의 외주면에 가압 상태로 구름 접촉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수 롤(7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배수 롤(180)이 탈수 롤(70)의 탈수층(70b)을 구름 이동 압착하여 이 탈수층(70b)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압착 배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해가 진행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여과 탈수성에 열악하여 망상 무단 벨트(45)로부터 용이하게 탈수될 수 없을 경우가 있으므로, 탈수 롤(70)에 대하여 배수 롤(180)이 보조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탈수층(70b)의 배수량이 가급적으로 증가되어 탈수 롤부(41)에 있어서의 압착 탈수 작용이 실시형태1에 비교하여 더욱 유효하게 발휘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목적으로부터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탈수 롤(74)에 대해서도 배수 롤(181)이 보조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 롤(181)의 구체적 구조는 상기 배수 롤(180)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는 구체적으로는 가열 건조부(97)를 구성하는 히터 플레이트(109)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히터 플레이트(109)가 3분할된 구조로 되어 이들 각 히터 플레이트(109a,109b,109c)의 가열 온도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109a,109b,109c)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평활면 마무리 롤(123)의 배치 수가 실시형태1의 2개 구성에서 6개 구성으로 증가되어 있고, 이들 6개의 평활면 마무리 롤(123,123,…)은 히터 플레이트(109a,109b,109c)의 전체면에 대향하여 작은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평활면 마무리 롤(123)은 그 내부에 히터가 갖추어져 가열 롤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열 건조부(97)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109a,109b,109c)에 의해 가열 건조되므로, 습지(RP0)의 함수율에 따라서는 평활면 마무리 롤(123,123,…)에 습지(RP0)가 감겨지는 것 때문에 예컨대, 최초의 히터 플레이트(109a)에 의해 평활면 마무리 롤(123,123,…)에 감기지 않을 정도의 함수율까지 건조한다.
또한, 다음 히터 플레이트(109b,109c) 이후에 있어서는 평활면 처리 롤(123,123,…)로 의해 습지(RP0)를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름 이동 가압하여 억제함과 아울러, 이들 평활면 마무리 롤(123,123,…)과 히터 플레이트(109b,109c)에 의해 습지(RP0)를 표리 양측으로부터 가열하여 지면에 주름을 만드는 일 없이 표리 양면을 적절한 평활면으로 건조시켜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고해가 진행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과 탈수성에 열악할 뿐만 아니라 그 건조에 있어서도 증기를 용이하게 방산시킬 수 없고, 증기에 의한 주름, 곱슬함, 꾸불꾸불함 등의 왜곡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는 이들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9
본 실시형태는 도 24~도 27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를 약간 개선 및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있어서는 펄프 제조부(2)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35)의 구성이 주로서 개선 변경되어 사용물량(使用水量)의 감소화와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 전체의 보다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하, 이들 실시형태1에 대하여 개선 변경된 각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I. 펄프 제조부(2):
본 실시형태의 펄프 제조부(2)의 펄프 농도 조정부(35)는, 실시형태1이, 농도 조정조(36)에 있어서 교반조(10)로부터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 량(약 32g의 사용된 종이(UP)+1.5리터의 물(W))에 대하여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물(W)이 가수되어 이들 사용된 종이 펄프(UPP)와 물(W)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32리터)으로 됨으로써 소정 농도(약 O.1% 농도(목표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교반조(10)로부터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되고, 이 구분된 소정 분량에 대하여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물(W)이 가수되어 이 구분된 소정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와 물(W)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의 장치보다 사용물량의 감소화와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처리 능력은 반대로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교반조(10)의 내용적은 한번에 교반 처리해야 할 사용된 종이(UP)의 장수에 따라 설정되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5리터의 물을 더하여 A4판의 PPC 사용된 종이(UP)를 25장 정도(약 100g) 한번에 교반 처리(배치 처리)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교반조(10)로 할 수 있게 된다(실시형태1의 처리 능력의 약 3배의 처리 능력이 되는).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상기 농도 조정조(36)가 교반조(10)로부터 보내져 오는 해리ㆍ고해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일단 저장하는 밸브 저장조로서 기능하고, 이 펄프 저장조(36)의 하류측에 작은 2개의 조(201,202)로 이루어지는 농도 조정조(2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농도 조정조(200)는 상기 교반조(10)로부터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 즉 상기 펄프 저장조(36)에 저장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하는 펄프 구분조(201)와,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에 대응한 양의 물(W)이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공급되는 물 저류조(2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 물 저류조(202) 내의 상부 위치에 상기 펄프 구분조(201)가 내장된 2중 조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펄프 구분조(201)의 저부에 배수구(201a)가 형성되어 있다.
펄프 구분조(201)의 내용적은 상기 펄프 저장조(36)에 저장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으로부터 구분 공급되는 소정 분량에 따라 설정되고, 동일하게 물 저류조(202)의 내용적은 상기 펄프 구분조(201)의 체적에 더하여 펄프 구분조(201) 내에 구분 수용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에 대응한 물(W)의 양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펄프 저장조(36)가 예컨대 25장 정도(약 100g)의 A4판의 사용된 종이(UP)가 배치 처리되어서 이것에 대응한 양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를 저장할 수 있는 용적(실질적으로 실시형태1의 농도 조정조(36)와 동일 용적)을 갖는 것으로 하면, 펄프 구분조(201)의 내용적은 예컨대 150cc 정도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고, 또한, 물 저류조(202)의 내용적은 예컨대 3리터 정도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펄프 구분조(201)의 저부에는 배수구(20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201a)는 배수 밸브(201b)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 다. 이 배수 밸브(201b)는 구체적으로는 전자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물 저류조(202)의 저부에는 배수구(20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202a)는 배수 밸브(202b)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배수 밸브(201b,202b)는 구체적으로는 전자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기 제어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농도 조정조(200)에 있어서 교반조(10)로부터 펄프 저장조(36)에 공급 수용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전량(약 100g의 사용된 종이(UP)+5리터의 물(W))으로부터 소정 분량(150cc)만큼 구분되어 농도 조정조(200)의 펄프 구분조(201)로 이송 수용된다. 한편, 이 구분된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소정 분량에 대응하여 이 물 저류조(202)에 농도 조정용 급수부(9)로부터 물(W)이 약 3리터(정확하게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의 소정 분량(150cc)과의 합계가 3리터로 되는 양)만큼 이송 수용된다.
계속해서, 펄프 구분조(201)의 배수구(201a)가 배수 밸브(201b)에 의해 개방되어 펄프 구분조(201)의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전량(150cc), 상기 물 저류조(202) 내로 자중에 의해 낙하 공급되어 물 저류조(202) 내의 물(W)과 혼합되고, 이것에 의해 물 저류조(202) 내에 소정 농도(약 0.1% 농도(목표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이 혼합 조제된다.
또한, 이 조제되어야 할 펄프 현탁액(PS)의 목표 농도가 미리 행한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초지부(3)에 있어서의 초지 능력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농도 조정부(9)의 농도 조정조(200)에서 약 0.1% 농도(목표 농도)로 조제된 펄프 현탁액(PS)은 펄프 구분조(201)의 배수구(201a)가 배수 밸브(201b)에 의해 개방되어 전량이 다음 공정의 초지부(3)의 펄프 공급조(85)로 자중에 의해 낙하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술한 펄프 농도 조정부(35)에 의한 구분 형식의 농도 조정 인터벌은 펄프 공급조(85) 내의 펄프 현탁액(PS)이 일정값 이하로 되지 않을 정도의 타이밍을 가지고 설정되어서, 예컨대, 초지부(3)가 3리터의 펄프 현탁액(PS)을 약 1분간 초지처리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하면, 상기 펄프 농도 조정부(35)에 의한 농도 조정 인터벌이 1분 이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펄프 농도 조정부(35)에 의한 농도 조정이 실시형태1과 같은 전량 일괄식이 아니라 구분 형식 즉 조금씩 꺼내는 형식으로 행해짐으로써, 사용물량이 대폭적으로 감소될 뿐만 아니라 농도 조정조(200)의 형상 치수의 대폭적인 축소화도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 전체의 콤팩트화가 도모될 수 있다.
III. 초지부(3);
초지부(3)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에 있어서 펄프 공급부(47)의 구체적 구조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상 무단 벨트(45)가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하 양측 위치에 초지 프레임체(78) 및 칸막이 부재(79)가 각각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초지 프레임체(78)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80), 이 본체 프레임(80)의 내측에 설치된 유통로(210), 및 이 유통로(210)의 출구측 부위에 설치된 평판부재(211)를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80)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선단부 즉 망상 무단 벨트(45)의 주행방향측 단부가 개방된 평면 コ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면(80a)이 경사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본체 프레임(80)의 프레임 내 폭 치수(L)(도 8 참조)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RP)의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유통로(210)는 상기 본체 프레임(80) 내에 설치된 복수의 둑 부재(212,212,…)가 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 프레임(80)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판(213)과, 본체 프레임(80) 내에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3장의 둑 부재(212a,212b,212c)로 상기 유통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3장의 둑 부재(212a,212b,212c)가 상기 본체 프레임(80) 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기립 형상으로 또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통로(210)가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고, 이 유통로(20)의 진행방향은 그 입구(210a) 즉 상기 바닥판(213)에 개방 형성된 개구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그 출구(210b)를 향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7(a)에 있어서의 화살표 참조). 상기 입구(210a)는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펄프 공급조(85)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본체 프레임(80) 내에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둑 부재(212a,212b,212c) 중 상기 유통로(210)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변하는 부위를 칸막이 형성하는 둑 부재,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둑 부재(212a)의 상단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판부재(211) 상에 흘러서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도 27(a)에 있어서의 수평선(H))보다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로(210)의 입구(210a)의 근방 위치에는 칸막이판(214)이 유통로(210)를 분할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이 칸막이판(214)에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통구멍(214a,214a,…)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개방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재(211)는 유통로(210)의 출구(210b)측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의 망눈을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칸막이 부재(79)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골조 부재(79a,79a,…)로 이루어지는 물 끊어짐이 가능한 좌식좌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의 하면 전체 폭을 슬라이딩 접촉 지지하는 형상 치수를 갖는 한편,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평판부재(82)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이 평판부재(211)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2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시트(215)의 선단 가장자리(215a)는 상기 칸막이 부재(79)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골조부재(79a,79a,…) 중 1개(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후부의 가로대(79a))에 대응한 위치로 설정되고, 구체적으로는 이 가로대(79a)에 의해 지지되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접촉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펄프 공급조(85)로부터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입구(210a)로부터 초지 프레임체(78) 내의 유통로(210)로 공급되면, 이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210)를 도 27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천천히 통과한 후에 출구(210b)로부터 평판부재(211) 상에 흘러서 체류하고, 이것에 의해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4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된다.
이 펄프 공급부(47)에 있어서의 펄프 현탁액(PS)의 유통 경로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i) 복수의 연통구멍(215a,214a,…)을 갖는 칸막이판(214)의 존재:
칸막이판(214)이 유통로(210)를 칸막이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이 칸막이판(214)에 복수의 연통구멍(214a,214a,…)이 개방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펄프 공급조(85)로부터 공급되는 펄프 현탁액(PS)이 이 칸막이 판(214)의 복수의 연통구멍(214a,214a,…)을 통과할 때에 유통로(210) 전체로 분산되어 유통로(210)의 단면 개구 전체에 유량이 균일해지도록 조정된다.
(ii) 유통로(210)의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경로:
둑 부재(212(212a,212b,212c))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구부러진 유통로(210)는 꾸불꾸불 구부러져서 길고, 펄프 현탁액(PS)이 이러한 유통로(210)를 통과함으로써 균등하게 분산된다.
(iii) 둑 부재(212a)의 상단 가장자리의 높이:
상기 유통로(210)에 있어서 상향에서 하향으로 변하는 부위를 칸막이 형성하는 둑 부재(212a)의 상단 가장자리의 높이가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재(211) 상에 흘러서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보다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펄프 현탁액(PS)의 수위의 출렁거림 현상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둑 부재(212a)의 상단 가장자리의 높이가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에 매우 가까운 경우(수위(H)보다 1~2㎜ 낮은), 펄프 현탁액(PS)이 망상 무단 벨트(45)의 네트에서 여수(濾水)되어 상기 수위가 저하되면 유통로(210)에 입구(210a)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둑 부재(212a)를 넘치는 동안의 지체가 생기, 이것에 의해 수위(H)가 출렁거림을 일으켜 재생지(RP)의 베이스에 가로 줄무늬 형상이 생기게 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도시의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둑 부재(212a)의 상단 가장자리의 높이가 상기 수위(H)보다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유효하게 회피된다.
(iv) 평판부재(211)의 선단 가장자리의 얇은 안내시트(215):
안내 시트(215)의 선단 가장자리(215a)가 칸막이 부재(79)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가로대(79a)에 의해 지지되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접촉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망상 무단 벨트(45)의 네트에 의한 균일한 여수가 확보된다.
칸막이 부재(79)의 가로대(79a,79a) 사이에 있으면, 펄프 현탁액(PS)은 망상 무단 벨트(45)의 네트로부터 여수될 때에 종동 롤러(66)의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흐 르는 경향이 있고, 이것 때문에 네트에 의한 균일한 여수가 곤란하며 국소적으로 불균일한 여수 개소가 출현해 버린다. 이와 같이 여수가 불균일한 경우, 재생지(RP)의 베이스에 세로 줄무늬 형상이 생기게 되어 해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도시의 실시형태와 같이 안내 시트(215)의 선단 가장자리(215a)가 칸막이 부재(79)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가로대(79a)의 상면 위치에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유효하게 회피된다.
초지부(3)의 탈수 롤부(41)는 하류측의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평활면 무단 벨트(95)와 상류측의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의 망상 무단 벨트(45)가 상하에 인접하는 연계부에 있어서, 이들 양 벨트(45,95)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의 탈수 롤(70) 및 프레스 롤(71)이 2조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주된 압착 기능은 상류측의 탈수 롤(70)과 프레스 롤(71)의 세트가 담당하고, 하류측의 탈수 롤(70)과 프레스 롤(71)의 세트는 보조적인 압착 작용을 한다. 이 목적의 차이 때문에, 또한, 상류측의 탈수 롤(70)에는 실시형태8과 마찬가지로 배수 롤(180)이 설치되어 있다.
초지부(3)의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에 있어서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복수의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에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220)가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되어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평활면 마무리 롤(103,103,…)이 설치되어 있지만, 평활면 마무리 롤(103)의 배치 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된다.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220)는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에 상측으로부터 누르면서 텐션을 가함으로써 이 습지(RP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평활성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220)의 주행 속도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220,95)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RP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220)로서는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에 잔존하는 습기 및 수증기를 투과 발산시킬 수 있는 통기성 재질의 것이 채용되고, 예컨대, 펠트제 벨트,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벨트, 또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기재에 펠트재가 피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벨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펠트제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103) 대신에 그 내부에 히터가 갖추어져 가열 롤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실시형태8의 평활면 마무리 롤(123)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종단위치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치수 커터(221)는 평활면 무단 벨트(95)로부터 박리된 재생지(RP)를 실시형태1과 같은 길이 치수뿐만 아니라 폭 치수도 절단하여 소정의 직사각형상 치수로 절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치수 커터(221)는 재생지(RP)의 폭방향 부분을 절단하여 폭 치수를 조절한다. 롤 슬리터(221a)와, 재생지(RP)의 길이방향 부분을 절단하여 길이 치수를 조정하는 소위 기요틴 커터(221b)로 이루어지는 복합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구동모터(221c)에 의해 절단 구동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10
본 실시형태는 도 28~도 32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9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를 약간 개선 및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있어서는 초지부(3)의 펄프 공급부(47)의 구체적 구성이 개선 변경됨과 아울러,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가열 건조부(97)에, 가열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부(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들 실시형태9에 대해서 개선 변경된 각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II. 초지부(3):
초지부(3)의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40)에 있어서 펄프 공급부(47)의 구체적 구조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9와 마찬가지로 망상 무단 벨트(45)가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하 양측 위치에 초지 프레임체(78) 및 칸막이 부재(79)가 각각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초지 프레임체(78)는 망상 무단 벨트(45)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80), 이 본체 프레임(80)의 내측에 설치된 유통로(210), 및 이 유통로(210)의 출구측 부위에 설치된 평판부재(25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8의 초지 프레임체(78)의 구조(도 27 참조)에 있어서 평판부재(211) 상에 상기 평판부재(251)가 지지판(252)을 통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내려짐으로 되도록 설치 고정되어 있다.
즉, 도 31을 참조하여 예컨대 평판부재(251)가 없고, 실시형태8과 마찬가지로 오름구배의 평판부재(211)만의 경우, 펄프 공급조(85)로부터 초지 프레임체(78)에 공급된 펄프 현탁액(PS)은 유통로(210)를 통과하여 그 출구(210b)로부터 평판부재(211) 상에 흐르므로, 평판부재(211)가 오름구배의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펄프 현탁액(PS)은 이 평판부재(211) 상을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평판부재(211) 상을 올라가는 펄프 현탁액(PS)에는 난류가 일어날 경우가 있고, 만약 평판부재(211) 상에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에 난류가 일어나면 망상 무단 벨트(45)에 의해 초지되는 재생지(RP)의 베이스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 점도 고려하여 내리막 구배의 평판부재(251)를 채용함으로써 유통로(210)의 출구(210b)로부터 평판부재(211) 상에 흐르는 펄프 현탁액(PS)이 평판부재(251) 상면을 원활하게 흘러 내려서 난류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재생지(RP)의 베이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42)의 가열 건조부(97)에 설치된 상기 수증기 회수부(250)는 도 32에 주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5)의 커버부 즉 화장용 케이스 커버(5a)의 일부에 형성된 수증기 회수실(252)과, 이 수증기 회수실(252)을 배기하는 배기 팬(253)이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덕트(254)가 상기 수증기 회수실(252)로부터 화장용 케이스 커버(5a)의 내측면을 따라 급수장치(9)의 백수 회수조(15)의 천정부까지 연장됨과 아울러, 이 백수 회수조(15) 내에 상측으로부터 면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배기 덕트(254)의 배기구(254a)에 상기 배기 팬(253)이 수평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 팬(253)의 설치 위치는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배기 덕트(254)의 흡기구측에 설치되는 등, 수증기 회수실(252)에 대하여 배기 작용을 할 수 있는 적절한 개소에 설치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 건조부(97)에 있어서 그 가열 건조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기 팬(253)의 배기 작용에 의해 도 32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우선 수증기 회수실(52)에 회수된 후, 배기 덕트(254)를 통해서 상기 백수 회수조(15)에 환류 순환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증기 회수실(252) 내에 발생 충만하는 수증기는 상당한 고온이므로, 구체적으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배기 팬(253)의 설치 위치나 배기 방향을 연구함으로써, 상기 수증기의 환류 경로를 초지부(3)에 있어서 여과 탈수되는 백수(W)의 상기 백수 회수조(15)에 대한 낙하 회수 경로에 교차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이 백수(W)에 의한 냉각 효과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11
본 실시형태는 도 33에 나타내어져 있고, 실시형태1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를 약간 개선 및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1)에 있어서는 펄프 제조부(2)의 교반조(10)의 투입구(10a)에 슈레더부(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슈레더부(260)는 상기 투입구(10a)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UP,UP,…)를 예비적으로 재단하여 교반장치(8)에 의한 해리ㆍ고해를 고효율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슈레더부(260)의 구체적 구조는 종래 주지의 슈레더와 마찬가지로 사용된 종이(UP)를 작은 지편으로 재단하는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지만, 이 재단 기구에 의한 재단 사이즈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종래 주지의 슈레더는 사용된 종이(UP)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를 눈으로 확인ㆍ해독 불가능한 상태까지 분단시켜서 이들 문자나 선도로 구성되는 기밀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ㆍ유출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가급적 작은 사이즈로 재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슈레더부(260)의 주목적은 재단 처리된 재단 사용된 종이(CUP,CUP,…)로부터 제조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UPP)가 다음 공정의 초지부(3)에서 초지 제조되는 재생지(RP)의 원료 펄프로서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사이즈로 재단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슈레더부(260)의 재단 기구의 재단 사이즈는 재단 사용된 종이(CUP)의 종이섬유가 상기 재생지(RP)의 원료 펄프로서 요구되는 크기 이하로 촌단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상기 재단 기구의 구체적 구성은 더블 커트 방식이나 크로스 커트 방식 등 여러가지의 방식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입구(10a)로부터 사용된 종이(UP)가 투입되면 이 사용된 종이(UP)는 상기 슈레더부(260)에 의해 예비적으로 재단되어 소정 사이즈의 재단 사용된 종이(CUP,CUP,…)로 된 후, 교반장치(8)의 교반 임펠러의 정회전ㆍ역회전 동 작에 의해 급수장치(9)로부터 공급된 물(W) 속에서 소정 시간 만큼 교반되고, 이것에 의해 해리ㆍ고해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UPP)로 된다. 이 해리ㆍ고해에 요하는 시간은 실시형태1의 경우보다 짧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1~11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이하와 같은 개선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건조부(97)의 가열부로서 히터 플레이트(109)가 채용되어 있지만, 이 히터 플레이트(109) 대신에 회전가능한 히터 롤이나 온풍 히터 등 다른 가열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가열 건조부(97)의 가열부로서 상기 히터 롤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이 히터 롤이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에 직접 구름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가 상기 히터 롤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가열 건조부(97)의 가열부로서 상기 온풍 히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이 온풍 히터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에 온풍을 내뿜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95) 상의 습지(RP0)가 상기 온풍 히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된다.
(2) 제어부(4)에 의한 구체적인 처리 공정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등의 변경에 의해 실시형태1에 있어서 실행되는 공정(펄프 제조부(2)의 펄프 제조 공정 및 초지 부(3)의 초지 공정) 이외의 다른 공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목적에 따라서 혹은 처리능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우수한 특유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에도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환경에 우수하고 런닝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밀정보나 개인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와,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된 종이를 폐기 처분하는 일 없이 사용된 종이 발생원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재생 이용할 수 있고, 사용된 종이의 폐기를 경감하여 쓰레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계가 있는 자원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사용된 종이는 기밀상의 문제 때문에 리사이클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고, 상기와 같이 사용된 종이 발생원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재생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자유 유효 이용의 효과는 현저하다.
(2) 또한, 사용된 종이 발생 장소에 제지 공장이나 사용된 종이 재생 공장의 대규모의 설비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콤팩트한 사용된 종이 재생 설비가 설치 됨으로써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에 있어서도 연속해서 종이의 순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사용된 종이의 회수 폐기에 필요로 하는 수송비나 소각 비용 등의 각종 경비도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적이다.
(3) 펄프 제조부의 고해부를 구성하는 고해기가 사용된 종이를 그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를 마쇄 미세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상수도 설비로부터 얻어지는 음료수 등의 물만의 사용으로 제지 공장이나 사용된 종이 재생 공장과 같은 대규모의 사용된 종이 재생 설비에 있어서 종래 필수로 되어 있었던 사용된 종이 잉크 소멸제 등의 제지용 약제의 사용을 완전히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상기 고해기에 의해 마쇄 미세화되는 결과, 초지 재생된 재생지 상에는 무수한 대단히 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지는 불규칙한 도트 패턴(예컨대, 1평방 밀리미터당 4~30도트, 평균적으로 8도트 정도)으로서 점재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불규칙한 도트 패턴은 눈으로 봐서는, 멀리서 본 경우는 얇은 착색이 된 무지의 종이로서 인식되는 한편, 가까이서 본 경우는 균일한 미세한 점모양으로서 인식되게 되고, 어떻든간에 백색도가 높은 재생지를 얻을 수 있어 탈묵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특별한 제지용 약제를 쓰지 않고 통상의 물만으로 사용된 종이의 재생 처리를 실현함으로써, 최근, 세계적 규모로 확산되어 있는 환경오염의 문제도 없고, 엄격함을 늘리면서 소정 환경 관련의 여러가지 규제에도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어 환경에 친화적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4) 또한,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와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된 종이 펄프의 고해가 목적에 따라 효율 좋게 행해져 최적의 고해 효과가 얻어지고, 그 결과, 재생지에 양호한 종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5)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에 의해 사용된 종이는 섬유 레벨까지 분해되어서(펄프화) 거기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는 완전히 분해 소멸되어 버려 복원 불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이들 문자나 선도로 구성되는 기밀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6) 또한, 장치구조가 콤팩트하여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가정 등에도 설치가능하고, 이 관점으로부터도 기밀정보나 개인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사용되는 물에 상기 초지부에서 탈수 회수되는 물이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및/또는, 상기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의 구동원이 일반가정용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인 것에 의해서 환경에 우수하고 또한 런닝코스트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 있어서도 경제적이다.
(8)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 의해 발생한 사용된 종이가 해리 처리되어서 사용된 종이 펄프로 됨과 아울러, 상기 초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초지되어 재생지로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사 용된 종이가 그 발생 장소 내에서 재생지로서 순환 사용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사용된 종이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 등의 각종 정보가 사용된 종이의 발생 장소 밖으로 확산되는 일이 전혀 없고, 이 점으로부터도 기밀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ㆍ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자원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그 사용에 따른 일정한 시스템(예컨대, 학교, 병원, 시청, 법률사무소, 특허사무소, 일반가정 등) 밖으로 상기 각종 정보가 확산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예컨대 종래 주지의 슈레더의 경우, 사용된 종이가 재단되어서 작은 조각으로 되어 거기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가 판독 불능으로 되었더라도 재단된 지편은 소각장 등에서 폐기 처분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 밖으로의 확산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이 점에 관하여 상기 시스템 밖으로의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시스템 내의 창고에 보관한다는 방법도 고려되지만, 반면, 그러한 보관 장소의 확보가 필요하게 되고, 대상으로 되는 종이도 일회의 사용만으로는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효율이 나쁘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의하면 사용된 종이에 기재되는 각종 정보가 그 사용에 관련된 시스템 밖으로 확산되어 버리는 일이 전혀 없고, 또한,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16)

  1.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와,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와, 이 해리부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해부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이 고해기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고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기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가능한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는 고해 조와, 이 고해 조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고해 부재와, 이들 고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고해 부재 간의 고해 간극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부는 복수대의 상기 고해기로 구성되고,
    최상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상기 고해기는 각각, 그 공급구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배출구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최상류측의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는 연속되는 상기 고해기의 고해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 및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사용되는 물에 상기 초지부에서 탈수 회수되는 물이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의 구동원은 일반가정용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케이스에 이동 수단이 설치되어서 설치 바닥면 상을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이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된 사용된 종이를 물 속에서 교반하여 해리ㆍ고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 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수단은 사용된 종이의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 임펠러와, 이 교반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투입구에 슈레더부가 설치되어서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가 상기 슈레더부에서 예비적으로 재단된 후, 상기 교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초지부에 있어서 여과 탈수되는 백수를 회수하는 백수 회수조와, 이 백수 회수조 내의 물을 상기 펄프 제조부의 교반 수단에 공급하는 급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이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농도를 조정하는 펄프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펄프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저장하는 농도 조정조와, 이 농도 조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의 가수에 의해 농도 조정되어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에 대해서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 이들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되고, 이 구분된 소정 분량에 대하여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와,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을 초지함과 아울러 탈수ㆍ건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망상 무단 벨트와, 이 망상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에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의 상기 펄프 현탁액을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펄프 공급부에 의해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퍼져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공급부에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가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펄프 공급부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칸막이 부재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초지 프레임체와 칸막이 부재의 협동에 의한 체류 작용에 의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됨과 아울러,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작용에 의해 상기 초지 프레임체에서 규정된 폭 치수를 유지하면서 망상 무단 벨트와 함께 반송되면서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에 의한 자중 여과 작용을 받아 탈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을 슬라이딩 접촉 지지하는 좌식좌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의 기단측 부위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을 하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지지하는 평판부재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초 지 프레임체 내에 오버플로우 조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오버플로우 조에 일단 저장된 후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재 상에 흘러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유통로의 출구측 부위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을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평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를 통과한 후에 상기 평판부재 상을 흐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의 선단 가장자리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가 설치되고,
    이 안내 시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가로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접촉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의 내리막 구배로 설정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공급부의 상류측에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상기 펄프 현탁액을 저류하는 펄프 공급조가 설치되고, 이 펄프 공급조 내의 상기 펄프 현탁액이 현탁액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부의 초지 프레임체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공급조 내에 상기 펄프 현탁액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받아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와, 이 평활면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가열 건조하는 가열 건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롤부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압착 탈수된 습지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 하면에 전사 밀착되어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건조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1개 이상의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그 반송중에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가 복수 개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각 가열부의 가열 온도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습지의 유지면과 반대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히터 플레이트의 형태로 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상기 히터 플레이트에 의해 가열된 평활면 무단 벨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가능한 히터 롤의 형태로 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상기 히터 롤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부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온풍을 내뿜는 온풍 히터의 형태로 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상기 온풍 히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는 상기 가열 건조부의 가열 작용에 견딜 수 있는 가요성 내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는 불소수지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는 강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여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탈수 롤과, 이 탈수 롤에 대하여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프레스 롤과, 이들 양 롤을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이들 양 롤에 의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및 평활면 무단 벨트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를 통해서 상기 탈수 롤에 급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외주에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수층이 감겨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의 탈수층에 포함되는 수분을 압착 배수하는 배수 롤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배수 롤은 상기 탈수 롤 외주면에 가압 상태로 구름 접촉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배수 롤이 탈수 롤의 탈수층을 구름 이동 압착하여 탈수층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압착 배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망상 무단 벨트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예비 탈수 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탈수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외주에 미세 연속 기공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수 시트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슬러리화 방지 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화 방지 롤은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 롤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도중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를 구름 이동 가압하는 평활면 마무리 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은 상기 가열 건조부의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열부에 대하여 평활면 무단 벨트의 반대측에 복수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활면 마무리 롤에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가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되어 이루어지고,
    이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상측으로부터 누르면서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습지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평활성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잔존하는 습기 및 수증기를 투과 발산시킬 수 있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펠트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기재에 펠트재가 피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3.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은 그 내부에 히터가 조립되어 가열 롤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가열 건조부에 가열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부가 설치되고,
    이 수증기 회수부는 상기 장치 케이스의 커버부에 형성된 수증기 회수실과, 이 수증기 회수실을 배기하는 배기 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배기 덕트가 상기 수증기 회수실로부터 상기 급수 수단의 백수 회수조까지 연장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이 백수 회수조 내에 면하는 상기 배기 덕트의 배기구에 상기 배기 팬이 설치되고,
    상기 수증기 회수실에서 회수된 수증기가 상기 백수 회수조에 환류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의 상기 백수 회수조로의 환류 경로가 상기 백수 회수조에 대한 여과 탈수된 백수의 낙하 회수 경로에 교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건조부의 하류측에,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건조 처리된 건지를 박리시키는 박리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종단위치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로부터 박리된 재생지를 소정 형상 치수로 절단하는 치수 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5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부에 있어서, 하류측의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와 상류측의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가 상하에 적층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들 평활면 무단 벨트와 망상 무단 벨트의 상하 인접 부분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가 망상 무단 벨트 및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하 양측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가 공용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1.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펄프 제조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와, 이 해리부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해부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이 고해기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고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는 구성으로 되고,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 의해 발생한 사용된 종이가 해리 처리되어서 사용된 종이 펄프로 됨과 아울러, 상기 초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초지되어 재생지로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사용된 종이가 그 발생 장소 내에서 재생지로서 순환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기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가능한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는 고해 조와, 이 고해 조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고해 부재와, 이들 고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고해 부재 간의 고해 간극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부는 복수대의 상기 고해기로 구성되고,
    최상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상기 고해기는 각각, 그 공급구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배출구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최상류측의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는 연속되는 상기 고해기의 고해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 및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이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된 사용된 종이를 물 속에서 교반하여 해리ㆍ고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수단은 사용된 종이의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 임펠러와, 이 교반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와,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을 초지함과 아울러 탈수ㆍ건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8.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사용되는 물에 상기 초지부에서 탈수 회수되는 물이 귀환 이용되는 물순환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69.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의 구동원은 일반가정용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70.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 장치로서,
    사용된 종이를 교반 파쇄하여 해리하는 해리부와, 이 해리부에서 해리된 사용된 종이를 고해하는 고해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해부는 1대 이상의 고해기를 구비하고,
    이 고해기는 미소한 고해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고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고해 부재의 대향면끼리가 협동하여 고해 작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 간극을 통과하는 사용된 종이가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기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가능한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는 고해 조와, 이 고해 조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고해 부재와, 이들 고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고해 부재 간의 고해 간극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해 작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부는 복수대의 상기 고해기로 구성되고,
    최상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는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이들 최상류측 및 최하류측의 고해기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상기 고해기는 각각, 그 공급구가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배출구에 연통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배출구가 하류측에 인접하는 상기 고해기의 공급구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최상류측의 고해 조의 공급구로 공급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는 연속되는 상기 고해기의 고해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고해 작 용면에 의해 가압 고해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된 종이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어서, 상기 최하류측의 고해 조의 배출구로부터 다시 상기 해리부의 교반조로 환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기는 상기 고해 조의 내측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측 고해 부재와, 이 고정측 고해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회전측 고해 부재와, 이 회전측 고해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 조의 공급구에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이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연통하는 출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양 고해 부재의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고,
    이들 양 고해 작용면은 그 지름 치수가 서로의 대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서 그 사이에 양 원추형상의 고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에,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사용된 종이 펄프를 상기 출구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양 고해 부재의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다수의 고해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탄면의 형태로 되어서, 이들 양 고해 작용면 사이에 지근거리의 평행면으로 형성되는 고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7.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양 고해 부재의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그 지름 치수가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됨과 아울러 다수의 고해 홈이 형성되어서, 이들 양 고해 작용면 사이에 지근거리의 평행한 원추면으로 형성되는 고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8. 제73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의 외주에, 상기 출구로부터의 사용된 종이 펄프를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압출하는 펌프 작용을 하는 블레이드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79.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기는 상기 고해 조의 내측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측 고해 부재와, 이 고정측 고해 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대향 배치된 이동측 고해 부재와, 이 이동측 고해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0.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기는 상기 고해 조의 상하 내측면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된 1쌍의 고정측 고해 부재와, 이들 양 고정측 고해 부재 사이에 있어서 양 고정측 고해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회전측 고해 부재와, 이 회전측 고해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측의 상기 고정측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 조의 공급구에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3개의 고해 부재의 고해 작용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2개의 환상 간극이 상기 고해 조의 배출구에 연통하는 출구로 되고,
    상기 고해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은 다수의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고,
    이들 양 고해 작용면은 그 지름 치수가 서로의 대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서 그 사이에 양 원추형상의 고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고해 부재의 중심 부위에, 상기 입구로부터의 사용된 종이 펄프를 상기 상하 고해 간극에 유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출구를 향해 압출하는 블레이드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2. 제7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는 상기 해리부 및 고해부가 사용된 종이 펄프를 소정 시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제조부의 해리부는 사용된 종이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이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된 사용된 종이를 물 속에서 교반하여 해리ㆍ고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수단은 사용된 종이의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교반 임펠러와, 이 교반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투입구에 슈레더부가 설치되어서 상기 투입 구에 투입된 사용된 종이가 상기 슈레더부에서 예비적으로 재단된 후, 상기 교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86.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된 종이를 해리하고 고해하여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된 종이 펄프의 농도를 조정하는 펄프 농도 조정 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 장치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저장하는 농도 조정조, 및 이 농도 조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의 가수에 의해 농도 조정되어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에 대해서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 이들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 이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되고, 이 구분된 소정 분량에 대하여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이 가수되어서,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와 물의 합계 체적이 소정 값으로 됨으로써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조는 상기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사용된 종이 펄프의 전량으로부터 소정 분량만큼 구분하는 펄프 구분조와, 이 구분된 소정 분량의 사용된 종이 펄프에 대응한 양의 물이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저류조를 구비하고,
    이 물 저류조의 물에 상기 펄프 구분조의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급 혼합되어 상기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90. 제86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농도 조정용 급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91.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여 습지로 하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이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 및
    이들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탈수 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을 초지함과 아울러 탈수ㆍ건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망상 무단 벨트와, 이 망상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에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의 상기 펄프 현탁액을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펄프 공급부에 의해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퍼져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공급부의 상류측에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상기 펄프 현탁액을 저류하는 펄프 공급조가 설치되고, 이 펄프 공급조 내의 상기 펄프 현탁액이 현탁액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펄프 공급부의 초지 프레임체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4.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받아 반송하는 소정 폭을 갖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와, 이 평활면 무단 벨트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가열 건조하는 가열 건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롤부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압착 탈수된 습지가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평활면 무단 벨트 하면에 전사 밀착되어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6.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건조부는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1개 이상의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습지가 그 반송중에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 건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7.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망상 무단 벨트 및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하여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를 압착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에 하측으로부터 구름 접촉하는 탈수 롤과, 이 탈수 롤에 대하여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를 상측으로부터 구름 이동 가압하는 프레스 롤과, 이들 양 롤을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이들 양 롤에 의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및 평활면 무단 벨트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워 누르는 형상으로 구름 이동 압착되어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의 습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상기 망상 무단 벨트를 통해서 상기 탈수 롤에 급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99.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도중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를 구름 이동 가압하는 평활면 마무리 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 마무리 롤은 상기 가열 건조부의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열부에 대하여 평활면 무단 벨트의 반대측에 복수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1. 상기 복수의 평활면 마무리 롤에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가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되어 이루어지고,
    이 주름 발생 방지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상측으로부터 누르면서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습지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평활성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들 양 벨트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습지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3.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 상의 상기 습지에 잔존하는 습기 및 수증기를 투과 발산시킬 수 있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펠트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5.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6.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무단 벨트는 미세한 망눈을 갖는 메시 기재에 펠트재가 피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7.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의 종단위치에 상기 평활면 무단 벨트로부터 박리된 재생지를 소정 형상 치수로 절단하는 치수 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8.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와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가 공용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초지장치.
  109. 사용된 종이가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사용된 종이 펄프를 초지하여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장치의 펄프 공급부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초지 네트 컨베이어부의 주행하는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칸막이 부재, 및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보내져 오는 물과 사용된 종이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 상태의 펄프 현탁액의 공급 폭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유통로의 출구측 부위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망눈을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평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이 상기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진 유통로를 통과한 후에 상기 평판부재 상에 흘러서 체류하고, 이것에 의해 주행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하여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0.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하면을 슬라이딩 접촉 지지하는 좌식좌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1.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방향측 선단부가 개방된 평면 コ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 내에 상기 유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둑 부재와, 상기 평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상기 복수의 둑 부재가 기립 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통로가 상하방향으로 꾸불꾸불 구부러져서 형성되고,
    이 유통로의 진행 방향은 그 입구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상기 출구를 향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로의 입구 근방에 칸막이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칸막이판에 복수의 연통구멍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상기 둑 부재 중 상기 유통로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변하는 부위를 칸막이 형성하는 둑 부재 상단 가장자리 는, 상기 평판부재 상에 흘러서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의 수위보다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4.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그 프레임 내 폭 치수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의 폭 치수로 설정되어 상기 펄프 현탁액의 공급 폭을 규정함과 아울러, 그 하단면이 경사 주행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5.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의 선단 가장자리에 상기 망상 무단 벨트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가 설치되고,
    이 안내 시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좌식좌대 구조를 형성하는 가로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접촉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6.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부재는 상기 망상 무단 벨트의 주행방향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내리막 구배로 설정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KR20070048914A 2006-05-19 2007-05-18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KR10140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0275A JP5207504B2 (ja) 2006-05-19 2006-05-19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構成装置
JPJP-P-2006-00140275 2006-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074A true KR20070112074A (ko) 2007-11-22
KR101402095B1 KR101402095B1 (ko) 2014-05-30

Family

ID=3847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8914A KR101402095B1 (ko) 2006-05-19 2007-05-18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49722B2 (ko)
EP (5) EP2281941B1 (ko)
JP (1) JP5207504B2 (ko)
KR (1) KR101402095B1 (ko)
CN (1) CN101074545B (ko)
CA (1) CA2586770A1 (ko)
ES (1) ES2390907T3 (ko)
MY (1) MY165389A (ko)
RU (1) RU2415219C2 (ko)
TW (1) TWI4036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97B1 (ko) * 2011-07-28 201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기판용 간지를 이용한 펄프 재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4879A (ja) * 2007-01-20 2008-07-31 Seed:Kk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5426399B2 (ja) * 2007-12-03 2014-02-26 株式会社ビーエス 抄造機
JP5001901B2 (ja) * 2008-05-20 2012-08-15 合資会社オリエンタル 文書細断屑計量機構
JP5586127B2 (ja) * 2008-06-16 2014-09-10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処理装置
JP5354967B2 (ja) * 2008-06-16 2013-11-27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処理装置
JP5354968B2 (ja) * 2008-06-16 2013-11-27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処理装置
JP5147642B2 (ja) * 2008-10-28 2013-02-20 合資会社オリエンタル 文書細断屑用古紙再生装置の搬送機構
JP5433232B2 (ja) * 2008-12-27 2014-03-05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処理装置の叩解方法、古紙処理方法、古紙処理装置の叩解装置および古紙処理装置
JP2010180512A (ja) * 2009-02-07 2010-08-19 Seed:Kk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製造方法、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製造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2010261119A (ja) * 2009-05-02 2010-11-18 Seed:Kk 古紙再生装置の脱水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5479806B2 (ja) 2009-08-01 2014-04-23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の再生紙平滑化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2011038199A (ja) 2009-08-07 2011-02-24 Seed:Kk 古紙再生装置の洗浄方法、洗浄システムおよび古紙再生装置
US8459461B2 (en) * 2009-09-09 2013-06-11 David Borowski Waste recycling method
JP2011099180A (ja) * 2009-11-06 2011-05-19 Seed:Kk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方法、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5632996B2 (ja) * 2009-12-09 2014-12-03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断裁装置、断裁方法及び古紙再生処理装置
JP5578857B2 (ja) * 2010-01-12 2014-08-27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処理装置
JP5679703B2 (ja) * 2010-06-14 2015-03-04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抄紙機の湿紙乾燥装置
JP5509464B2 (ja) * 2010-06-22 2014-06-04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処理装置
JP2012021249A (ja) 2010-07-18 2012-02-02 Seed Co Ltd 古紙再生装置の再生紙平滑化装置
JP5639406B2 (ja) * 2010-08-02 2014-12-10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供給装置
JP5826474B2 (ja) * 2010-09-21 2015-12-02 株式会社テ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小型古紙再生装置
JP2012067406A (ja) * 2010-09-22 2012-04-05 Oriental:Kk 文書細断屑用古紙再生装置
JP5653159B2 (ja) * 2010-10-13 2015-01-14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
JP2012122156A (ja) 2010-12-06 2012-06-28 Seed Co Ltd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製造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2012152510A (ja) * 2011-01-28 2012-08-16 Tech Corporation:Kk 小型古紙再生装置における洗浄水及び被洗浄物の除菌方法
DE102011082976A1 (de) * 2011-09-19 2013-03-21 Günter Betz Vorrichtung zum Aufschlagen (zerkleinern, zerfasern, auflösen, aufbereiten) von Altpapieren und Zellstoffen in einem Pulper (Stofflöser)
WO2014023728A1 (de) * 2012-08-06 2014-02-13 Voith Patent Gmbh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mit einem schrägband-former und einer entwässerungsvorrichtung
JP6132509B2 (ja) * 2012-10-19 2017-05-24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
JP5906547B2 (ja) * 2014-07-23 2016-04-20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の断裁装置及び古紙再生処理装置の断裁方法
KR101575674B1 (ko) * 2015-03-31 2015-12-22 명신산업기계(주) 래그 브레이커 설비
GB2544498B (en) * 2015-11-18 2021-05-12 The Haigh Eng Company Ltd Macerators
JP6590663B2 (ja) * 2015-11-30 2019-10-16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脱墨装置および古紙再生処理装置
JP2017115259A (ja) * 2015-12-24 2017-06-29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
CN105797836A (zh) * 2016-03-24 2016-07-27 安徽康成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系统性的废纸回收装置
CN107604722A (zh) * 2017-01-20 2018-01-19 陈晶 一种废报纸高频回收纤维纸浆的系统
CN106825002A (zh) * 2017-03-22 2017-06-13 山东东宇鸿翔装饰材料有限公司 装饰纸的脱墨生产线
CN106948205B (zh) * 2017-04-13 2023-07-04 济南大学 一种基于旋转升降式转子碎浆的制浆设备
CN106948200B (zh) * 2017-04-17 2023-07-04 济南大学 一种基于刮、磨、搅的无注水组合式制浆设备
CN107345371B (zh) * 2017-09-06 2018-05-04 冯国亮 一种环保节能的废纸处理设备
CN107724178A (zh) * 2017-09-28 2018-02-23 佛山汇众森泰科技有限公司 一种可高产环保的食品包装材料加工装置及制备方法
KR102160806B1 (ko) 2018-08-24 2020-09-29 (주) 제이에스티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JP7167590B2 (ja) * 2018-09-25 2022-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解繊処理装置、および、シート製造装置
CN109267414B (zh) * 2018-10-30 2023-09-22 华南理工大学 一种圆网成型装置及方法
US11040560B2 (en) * 2018-11-27 2021-06-22 Seiko Epson Corporation Waste paper recycling apparatus and waste paper recycling method
CN111218829A (zh) 2018-11-27 2020-06-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纤维体成形方法以及纤维体成形装置
CN109680529A (zh) * 2019-02-19 2019-04-26 郓城海沁纤维有限公司 一种制浆造纸系统
CN110295509A (zh) * 2019-07-03 2019-10-01 安徽宏润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纸制品原料处理设备
CN113019580B (zh) * 2021-02-22 2022-07-22 江西华利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箱再利用粉碎加工设备
CN113529463A (zh) * 2021-07-16 2021-10-22 山东锦龙包装有限公司 一种彩印纸生产用搅拌熬制罐
CN114808547B (zh) * 2022-06-02 2023-03-28 李鹏涛 一种用于测井资料自动处理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110337B (zh) * 2022-08-25 2022-10-28 诸城市天工造纸机械有限公司 一种造纸浆的白度调整装置
CN116240743A (zh) * 2023-03-22 2023-06-09 仟禧多(南通)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纸制品回收再利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613A (en) * 1936-03-23 1939-02-28 Wood Conversion Co Head box for fourdrinier machines
US3357880A (en) * 1965-03-23 1967-12-12 Allis Chalmers Mfg Co Apparatus for making fibrous webs
JPS5240608A (en) * 1975-09-26 1977-03-29 Itsukou Watanabe Paper screening apparatus
US4141388A (en) * 1977-03-23 1979-02-27 Albany International Corporation Paper machine dryer fabric
US4706391A (en) * 1986-10-15 1987-11-17 Urbas John C Heat collector for the dryer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US4966651A (en) * 1988-01-14 1990-10-30 P.H. Glatfelter Company Method of paper making using an abrasive refiner for refining bleached thermochemical hardwood pulp
NZ247276A (en) * 1992-04-06 1994-12-22 Westvaco Corp Production of papermaking fibre of low lignin content from recycled high lignin waste paper; mixtures with fresh pulp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H06134331A (ja) 1992-10-21 1994-05-17 Hitachi Zosen Tomioka Kikai Kk 紙片破砕処理装置
JPH07214030A (ja) * 1994-02-04 1995-08-15 Shinko Electric Co Ltd 古紙処理装置
CA2121967C (en) * 1994-04-22 1996-05-21 Douglas Henry Offerhaus Method of re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paper machine headbox components
FI99032C (fi) * 1994-05-13 1999-10-20 Valmet Corp Menetelmä keräyspaperin kuiduttamiseksi
JPH0860570A (ja) * 1994-08-29 1996-03-05 Toshimichi Kk 紙再生装置
JP3326664B2 (ja) * 1995-03-10 2002-09-24 北越製紙株式会社 薬草粕を含有する再生紙及びその製造方法
CN2270071Y (zh) * 1996-03-01 1997-12-10 康振福 小型造纸机
US5912448A (en) * 1997-05-16 1999-06-15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per skew in image and document scanning devices
JPH10317290A (ja) * 1997-05-19 1998-12-02 Eizaburo Yokozuka 古紙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0034660A (ja) * 1998-07-17 2000-02-02 Uni Charm Corp 湿式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6219505B1 (en) * 1998-09-30 2001-04-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per-dust removing devices
JP2000117014A (ja) * 1998-10-16 2000-04-25 Koken Boring Mach Co Ltd 固液分離装置
FI109135B (fi) 1999-09-21 2002-05-31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laite puukuitumassan käsittelemiseksi
JP4721496B2 (ja) * 2000-08-31 2011-07-13 日本製紙株式会社 再生パルプの製造方法
US6701637B2 (en) * 2001-04-20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for tissue dried with metal bands
JP3797909B2 (ja) * 2001-10-16 2006-07-19 相川鉄工株式会社 リファイナ及び製紙用攪拌装置
JP2005009062A (ja) * 2002-12-03 2005-01-13 Tamapack Kk 古紙繊維素材利用システム及び古紙解繊装置
GB0327488D0 (en) * 2003-11-26 2003-12-31 Saroko Technologies Ltd Recycling apparatus
JP3738777B1 (ja) 2004-11-17 2006-0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ITMI20051307A1 (it) * 2005-07-11 2007-01-12 Stefano Brambilla Dispositivo domestico e-o per ufficio di riciclaggio di carta
JP5098001B2 (ja) * 2005-07-20 2012-12-12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処理装置
JP5105271B2 (ja) * 2005-09-22 2012-12-26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パルプ製造装置、パルプ供給装置および脱水装置
JP5599234B2 (ja) * 2010-06-14 2014-10-01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抄紙機の紙表面平滑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97B1 (ko) * 2011-07-28 201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기판용 간지를 이용한 펄프 재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67163A1 (en) 2007-11-22
EP2290158B1 (en) 2014-07-23
US8449722B2 (en) 2013-05-28
KR101402095B1 (ko) 2014-05-30
CA2586770A1 (en) 2007-11-19
RU2415219C2 (ru) 2011-03-27
EP2290157A3 (en) 2012-04-25
EP1862586B1 (en) 2012-07-25
EP2281941A2 (en) 2011-02-09
EP2281941B1 (en) 2013-06-26
EP2290158A3 (en) 2012-05-02
CN101074545B (zh) 2012-03-28
TW200801281A (en) 2008-01-01
ES2390907T3 (es) 2012-11-19
JP5207504B2 (ja) 2013-06-12
EP2275600A2 (en) 2011-01-19
JP2007308837A (ja) 2007-11-29
EP2275600B1 (en) 2014-01-01
EP2290158A2 (en) 2011-03-02
EP1862586A1 (en) 2007-12-05
TWI403630B (zh) 2013-08-01
CN101074545A (zh) 2007-11-21
EP2275600A3 (en) 2012-04-11
EP2281941A3 (en) 2012-04-25
MY165389A (en) 2018-03-21
RU2007118452A (ru) 2008-11-27
EP2290157A2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2074A (ko)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JP5207508B2 (ja) 古紙再生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947235B1 (en) Paper machine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EP1950341A1 (en) Paper machine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KR20080112108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JP5098016B2 (ja)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供給装置
KR20110015365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세정 방법, 세정 시스템 및 고지 재생 장치
EP2415930B1 (en) Pulp feeder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JP2011032604A (ja) 古紙再生装置の再生紙平滑化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US20110108220A1 (en) Pulp concentration adjusting method of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pulp concentration adjusting device of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and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KR20080068789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방법 및 장치
US20120012269A1 (en) Recycled paper smoothing device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JP2012021257A (ja)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装置、抄紙装置およびパルプ供給装置
JP5525075B2 (ja)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およびパル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