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904A -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904A
KR20070085904A KR1020077012918A KR20077012918A KR20070085904A KR 20070085904 A KR20070085904 A KR 20070085904A KR 1020077012918 A KR1020077012918 A KR 1020077012918A KR 20077012918 A KR20077012918 A KR 20077012918A KR 20070085904 A KR20070085904 A KR 2007008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drive mechanism
collision
dista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213B1 (ko
Inventor
후미토시 아카이케
세이야 니시무라
도모카즈 모리야마
기요카 마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57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08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80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75621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을 이동시키는 제어에 있어서, 승객의 헤드부가 미리 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여도, 거기에 반응해서 머리 받침이 이동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차량용 시트의 머리 받침이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와,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가능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거리 폭을 가진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HEADRES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머리 받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승객의 헤드부와 머리 받침과의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머리 받침을 이동 제어하는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서는, 충돌 예지 센서와, 머리 받침 구동 기구와, 이 구동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충돌 예지 센서는, 차량의 후방 충돌을 소정 시간 전(예를 들면 충돌 1.0초 전)에 검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켜서 머리 받침을 통상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머리 받침을 승객의 헤드부에 근접시켜, 후방 충돌 시에 승객이 받는 부담에 대비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머리 받침의 이동 제어는, 차량이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이 센서 대신에, 머리 받침 내에 승객의 헤드부와의 상대 위치(거리)를 비접촉 상태에서 검지하는 박판 형상의 정전 용량 센서를 마련한 기술이 있다. 이 제어 장치는, 정전 용량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해지도록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이동시킨다.
또한, 정전 용량 센서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을 승객의 헤드부에 추종시켜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9891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309242 호 공보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차량에 있어서도 충돌에 대처하기 위해, 정전 용량 센서 등으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을 승객의 헤드부에 추종시켜 이동시키는 제어에서는 승객이 헤드부를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거기에 반응해서 머리 받침이 이동하여,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을 이동시키는 제어에 있어서, 승객의 헤드부가 미리 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여도, 거기에 반응해서 머리 받침이 이동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미리 정한 기간에만 머리 받침을 이동시켜서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승객의 헤드부가 소정 시간 연속해서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만 머리 받침을 이동시켜서 사용감의 향상을 한층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후방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킨 머리 받침이, 충돌이 회피되었을 때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차량의 후방 충돌 시에 승객이 받는 부담의 완화 성능을 보다 높이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머리 받침이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와,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가능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거리 폭을 가진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거리 폭을 가진 적정 범위 내에서 승객의 헤드부가 움직여도, 거기에 반응해서 머리 받침이 이동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서 사용감이 좋아진다. 또, 이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충돌을 예측하기 위한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차량에 있어서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제어 장치는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한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기간에 있어서만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객이 시트벨트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또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동안 등의 후방 충돌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한 기간에만 머리 받침을 이동시키므로, 더욱 사용감이 좋아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소정 시간 연속해서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소정 시간 연속해서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3, 4의 구성을 채용해서 승객의 헤드부가 소정 시간 연속해서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만 머리 받침을 이동시킴으로써, 머리 받침이 헤드부의 움직임에 항상 추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더욱 사용감이 좋아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만큼 얻게 된 경우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만큼 얻게 된 경우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5, 6의 구성에 의해, 승객이 헤드부를 일순간만 움직인 경우에 있어서, 그때마다 머리 받침이 이동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충돌 예측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보다도 승객의 헤드부에 가까이, 또한 헤드부와의 사이에 거리를 둔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충돌 예측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보다도 승객의 헤드부에 가까이, 또한 헤드부와의 사이에 거리를 둔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7, 8의 구성에 의해, 차량의 후방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는 머리 받침을 단시간에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최적의 위치의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있으므로, 충돌이 회피되었을 때에 머리 받침이 운 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방지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충돌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부터 승객의 헤드부에 접촉한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이며, 충돌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부터 승객의 헤드부에 접촉한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9, 10의 구성에 의해, 후방 충돌 시에 승객이 받는 부담의 완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머리 받침을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머리 받침 구동 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5는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거리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머리 받침의 이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하나의 흐름도,
도 7은 머리 받침의 이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다른 하나의 흐름도,
도 8은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거리의 변화 패턴을 예시한 설명도,
도 9는 머리 받침의 이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또 다른 하나의 흐름도.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머리 받침
30 : 머리 받침 구동 기구 40 : 센서
44 : 제어 수단 H : 승객
L : 거리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시트(10)는, 시트 쿠션(12), 시트 백(14) 및 머리 받침(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머리 받침(20)은 시트 백(14)의 상면 중앙 부근에 장착되어 있다. 머리 받침(20)은 그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다리부(26)를 구비하고, 이들의 다리부(26)가 시트 백(14) 내의 프레임(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도 2는 머리 받침(20)을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머리 받침(20)은 전방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1)와 배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2)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머리 받침(20)의 내부에는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가 내장되어 있다. 이 구동 기구(30)의 작동에 의해, 전방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1)를 배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2)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머리 받침 요소(21)는, 양 머리 받침 요소(21, 22)의 분할 라인이 서로 접합한 후퇴 위치(도 2의 가상선)와, 그 경사 상부 전방의 전진 위치(도 2의 실선)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머리 받침 요소(21)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H)의 헤드부와 머리 받침(20)과의 사이의 거리(L)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1)는, 그 양측부로부터 배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2)를 향해서 각각 돌출한 차폐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차폐 부재(24)는, 머리 받침 요소(22)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중합하고 있다. 이 겹침 값은, 머리 받침 요소(21)가 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전진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양 머리 받침 요소(21, 22)의 분할 라인 사이를 덮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머리 받침(20)의 상면 측에 있어서는, 양 차폐 부재(24) 사이를 덮는 차폐 시트(도시 생략)가 마련된다. 이 차폐 시트는, 머리 받침 요소(21)의 이동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는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머리 받침 요소(21)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 또는 이동 중에 있어서도, 머리 받침(20)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가려지고, 또한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의해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는, 전후 한쌍의 베이스(31, 32)가 좌우 한쌍의 X 형상의 링크(34)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쪽 베이스(31)가 전방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1) 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의 베이스(32)가 배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2) 내에 결합된다. 또한, 한쌍의 링크(34)는, 각각 2개의 링크 부재(35, 36)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링크 부재(35, 36)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양 링크 부재(35, 36)의 양단부는, 양 베이스(31, 32)에 있어서의 각각의 양 측벽(31a, 32a)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링크(34)에 있어서의 한쪽 링크 부재(35)에 대해서는, 각각의 전단부(하단부)가 한쪽 베이스(31)의 양 측벽(31a)에 핀(3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후단부(상단부)가 다른 쪽 베이스(32)의 양 측벽(32a)에 핀(3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링크(34)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링크 부재(36)에 대해서는, 각각의 전단부(상단부) 및 후단부(하단부)가 축(36a, 36b)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한쪽 축(36a)의 양단부는, 베이스(31)의 양 측벽(31a)에 형성된 세로로 긴 가이드 구멍(31b)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쪽 축(36b)의 양단부는, 베이스(32)의 양 측벽(32a)에 형성된 세로로 긴 가이드 구멍(32b)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배면 측의 베이스(32)는 구동 기구(30)의 구동원인 전동 유닛(38)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유닛(38)의 모터(38a)는 베이스(32)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38a)의 구동축은, 볼 나사 기구(38b)를 통해서 링크(34)의 축(36b)에 연결되어 있다. 이 볼 나사 기구(38b)의 기능에 의해, 모터(38a)(구동축)의 정역 회전이 축(36b)의 승강 동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전동 유닛(38)의 구동 제어를 기초로 하여, X 형상의 양 링크(34)가 팬터그래프와 같은 움직임을 하고, 전방면 측의 베이스(31)가 배면 측의 베이스(32)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거나 한다. 이 결과, 머리 받침 요소(21)가 후퇴 위치와 전진 위치와의 사이를 원호 형상의 궤적을 그려 이동한다.
도 4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머리 받침 센서(40)는, 전방면 측의 머리 받침 요소(21)에 있어서의 표피 내측에 마련된 가요성을 갖는 박판 형상의 정전 용량 센서이며(도 2), 승객(H)의 헤드부와의 상대 위치(거리 L)를 비접촉 상태로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 받침 센서(40)는, 본 발명에 있어서 "머리 받침과 승객 헤드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에 해당한다. 시트벨트 스위치(42)는, 승객(H)이 시트벨트(도시 생략)를 장착한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충돌 예지 센서(43)는 프리크래션 세이프티 시스템에 내장된 센서이며, 자신의 차량과 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나 상대 속도 등을 검출하고, 시스템의 기능과 협동해서 후방 충돌을 예측하여 그 검지 신호를 제어 장치(44)에 발신한다.
제어 장치(44)는 머리 받침 센서(40)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제 1 제어 장치(44A)와, 충돌 예지 센서(43)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제 2 제어 장치(44B)를 갖는다. 즉 제어 장치(44)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동 유닛(38)의 모터(38a)가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제어된다. 또한, 머리 받침 센서(40)(정전 용량 센서), 시트벨트 스위치(42) 및 충돌 예지 센서(43)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들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머리 받침(20)과 승객(H)의 헤드부와의 거리(L)(㎜)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N1, N2, N3, N4는 미리 정한 거리(L)의 소정치이다. 이들의 소정치에 있어서의 거리(L)의 크기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N4 < N1 < N3 < N2)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N3은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머리 받침(20)의 적정 위치이며, 이 적정 위치를 포함하는 N1, N2 사이의 영역이 머리 받침(20)의 적정 범위이다. 또한, N4를 포함하는 N1 이하의 영역은, 머리 받침(20)이 적정 범위보다도 헤드부에 가깝게, 헤드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두거나, 또는 헤드부에 접촉한 최적의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백(14)의 토르소(torso) 각도가 일반적인 범위(19 내지 23°)에 있을 때, 머리 받침(20)이 적정 위치(N3)에 있을 때의 거리(L)는 20 ㎜ 전후가 되고, 최적의 범위(N1 이하의 영역)에서의 거리(L)는 0 내지 8 ㎜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화살표 F, R은 도 2의 화살표 F, R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6, 도 7은 제 1 제어 장치(44A)에 의한 머리 받침(20)[머리 받침 요소(21)]의 이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들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처리는, 예를 들면 점화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이 되면 개시되고, 그 후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7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는 C1, C2는 카운터 변수이며, 디폴트치는 "0"으로 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제어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에 있어서, 시트벨트 스위치(42)로부터 온 신호가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시트벨트 스위치(42)가 오프인 경우는 차량의 주행이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단계 S2로 이행하여 머리 받침(20)[머리 받침 요소(21)]을 초기 위치로 되돌린 후, 그대로 처리를 끝낸다(리턴함). 이에 대하여, 시트벨트 스위치(42)가 온이면, 단계 S4로 이행해서 머리 받침 센서(40)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판독하여, 머리 받침(20)[머리 받침 요소(21)]과 승객(H)의 헤드부와의 거리(L)를 검지한다.
계속해서 단계 S5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에 의해, 거리(L)가 소정치 N1 이하인 경우는, 단계 S6에 있어서 구동 기구(30)에 작동 신호를 발신하고, 거리(L)가 소정치 N3이 될 때까지 머리 받침 요소(21)를 도 2의 화살표 R 방향(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단계 S5에서의 판단 결과, 거리(L)가 소정치 N1을 넘는 경우는, 단계 S7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거리(L)가 소정치 N2 이상인 경우는 단계 S8로 이행하고, 거리(L)가 소정치 N3이 될 때까지 머리 받침 요소(21)를 도 2의 화살표 F 방향(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단계 S7의 판단 결과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2 미만인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끝낸다(리턴함).
단계 S5 이후의 처리에 의해, 거리(L)가 소정치 N1을 넘고, 또한 소정치 N2 미만의 영역[머리 받침(20)의 적정 범위]에 있을 때는, 머리 받침 요소(21)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그 영역 내에서 승객(H)의 헤드부가 움직여도, 그때마다 머리 받침 요소(21)가 이동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다음에 도 7에서 도시하는 제어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흐름도는,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단계 S5 이후에 제어 처리의 카운터가 미리 정한 기준치에 달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 처리를 추가한 것이다. 그래서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도 6의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각각의 단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단계 S5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1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5-1로 이행한다. 이 단계 S5-1에 있어서, 카운터 변수 C1을 "0"으로 하고, 또한 카운터 변수 C2에 "1"을 가산한다. 다음에 단계 S5-2에 있어서, 카운터 변수 C2에 대해서만 판정이 행해진다. 그 결과, 카운터 변수 C2가 "5"(미리 정한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이행하고,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거리(L)가 소정치 N3(20㎜)이 될 때까지 머리 받침 요소(21)를 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단계 S6-1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카운터 변수 C1, C2를 모두 "0"으로 한 후, 처리를 끝낸다(리턴함). 또한, 단계 S5-2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카운터 변수 C2가 "5" 미만인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끝낸다.
도 7의 단계 S7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2 이상이라 판단된 경우는 단계 S7-1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카운터 변수 C1에 "1"을 가산하고, 또한 카운터 변수 C2를 "0"으로 한 후, 단계 S7-2로 이행해서 카운터 변수 C1에 대한 판정이 행해진다. 단계 S7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2 미만이라 판단된 경우는 단계 S7-3으로 이행해서 카운터 변수 C1, C2를 모두 "0"으로 한 후, 처리를 끝낸다.
단계 S7-2의 판정 결과에 있어서, 카운터 변수 C1이 "5"(미리 정한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단계 S8로 이행하고,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거리(L)가 소정치 N3이 될 때까지 머리 받침 요소(21)를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단계 S8-1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카운터 변수 C1, C2를 모두 "0"으로 한 후에 처리를 끝낸다. 또한, 단계 S7-2의 판정 결과에 있어서, 카운터 변수 C1이 "5" 미만인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끝낸다.
도 8은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거리(L)의 변화 패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즉, 이 도면은 카운터 변수 C1, C2의 기준치 "5"를 설정하는 면에서의 사고 방식을 도시하는 것으로, 세로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거리(L)(㎜)를 나타내고 있다. 거리(L)의 변화 패턴에 있어서, 측정치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L)가 1도만큼 머리 받침(20)의 적정 범위(N1, N2 사이의 영역) 밖이 되어, 바로 적정 범위 내로 복귀한 경우는 도 7에서 도시하는 제어에 따라서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측정치 b 내지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L)가 일정 시간 t 내에 있어서 일정 횟수(5회) 연속해서 머리 받침(20)의 적정 범위 밖이 된 경우는, 측정치 f가 카운트되었을 때에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도 7에서 도시하는 제어에 의해, 거리(L)의 측정치가 5회 연속해서 머리 받침(20)의 적정 범위 밖이 되었을 때에만,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를 작동시켜서 머리 받침(20)의 머리 받침 요소(21)를 화살표 R, F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머리 받침 요소(21)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즉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얻게 된 경우에만, 이 구동 기구(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승객(H)의 헤드부가 순간적으로 움직인 것만으로는 그것에 반응해서 머리 받침 요소(21)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
도 6, 도 7에서 도시하는 제어에 있어서, 시트벨트 스위치(42)(또는 착석 센서)의 온 오프 신호의 검지는, 머리 받침(20)을 이동시켜서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한 기간을 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이 기간은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승객(H)의 자세 환경에 따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그 사례를 열거한다.
(1) 지체 등으로 차속이 소정 속도 이하가 되었을 때. 단 정차 중은 제외한다.
(2) 제동 주행 시.
(3) 우천 시에 있어서 와이퍼를 작동시켰을 때.
(4) 외기 온도가 노면 동결을 발생시키는 온도 이하가 되었을 때.
(5) 스티어링 조타각이 일정 각도 이내일 때[승객(H)이 통상의 착석 자세일 때).
(6) 오디오나 공기 조절 스위치 등을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
상술한 (5), (6)을 조건으로 하는 기간의 설정은, 승객(H)의 착석 자세가 통상적이지 않을 때에 머리 받침(20)이 이동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차량의 후퇴 주행 시에는, 머리 받침(20)을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쪽이 뒤돌아보는 자세에서의 운전의 장해가 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6, 도 7 중 어느 하나의 제어에 있어서도, 리버스 시프트의 신호를 검지했을 때는 머리 받침 요소(21)를 도 2의 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후방 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도 6, 도 7에 있어서의 단계 S8의 처리 중에 리버스 시프트의 신호를 검지했을 때는,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의 작동을 정지한 후, 머리 받침 요소(21)를 조속히 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방 위치에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제 2 제어 수단(44B)에 의한 머리 받침(20)[머리 받침 요소(21)]의 이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제어 처리는, 도 6 또는 도 7에서 도시하는 제어 처리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도 9에서 나타내는 단계 S10에 있어서, 도 4에서 도시하는 충돌 예지 센서(43)로부터의 신호가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예측 신호가 들어가 있지 않으면, 그대로 처리를 끝낸다(리턴함). 이에 대하여, 예측 신호가 들어가 있을 때는 단계 S11로 이행하고, 머리 받침(20)[머리 받침 요소(21)]을 도 2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머리 받침 구동 기구(30)에 발신한다.
계속해서 단계 S12로 이행하고, 머리 받침(20)과 승객(H)의 헤드부와의 거리(L)가 소정치 N4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에 의해, 거리(L)가 소정치 N4 이하인 경우는 단계 S13으로 이행해서 구동 기구(30)의 작동을 정지하는 신호를 발신하고, 머리 받침(20)[머리 받침 요소(21)]의 이동을 정지하여 처리를 끝낸다. 또, 단계 S13에 있어서 거리(L)가 소정치 N4를 넘는다고 판정된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끝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평상 시에는 제 1 제어 수단(44A)에 의해, 머리 받침(20)과 승객(H)의 헤드부와의 거리(L)가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머리 받침 요소(21)가 이동 제어된다. 그리고 충돌 예지 센서(43)의 신호가 검지된 경우는, 제 2 제어 수단(44B)에 의해 머리 받침 요소(21)를 승객(H)의 헤드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거리(L)가 적정 범위로부터 소정치 N4 전후의 최적 범위로 절환된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 충돌이 예측된 경우는, 단시간에 머리 받침(20)을 충돌에 대처 가능한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제어 수단(44B)에 의해 거리(L)가 소정치 N4 전후로 제어된 경우, 머리 받침(20)과 승객(H)의 헤드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있으므로, 충돌이 회피되었을 때에 머리 받침(20)이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이에 대하여, 후방 충돌 시에 승객(H)이 받는 부담의 완화를 우선하는 경우는, 제 2 제어 수단(44B)에 의해 거리(L)를 제로로 제어해서 머리 받침(20)을 승객(H)의 헤드부에 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제어 장치(44B)에 의해 머리 받침(20)을 단시간에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충돌 예지 센서(43)에 의한 검지 타이밍을, 지금까지의 충돌 1.0초 전으로부터 충돌 0.5초 전 등의 충돌 직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과는 반대로 충돌 예지 센서(43)에 의한 검지 타이밍을 충돌 1.0초 전 정도로 설정한 경우는, 머리 받침 요소(21)의 이동 속도, 즉 구동 기구(30)의 작동 속도가 저속으로 끝나, 전동 유닛(38)의 모터(38a)를 소용량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관련시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쉽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의 설명에서는 머리 받침(20)의 일부인 머리 받침 요소(21)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머리 받침(20) 또는 구동 기구(30)의 형식에 따라서는, 머리 받침(20) 그 자체를 이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제어 장치(44B)에 의해 머리 받침(20)을 단시간에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충돌 예지 센서(43)는 충돌 센서(도시 생략)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도 9의 단계 S10에서는 충돌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는 판단으로 한다. 또한, 도 9의 흐름도에서 도시하는 제어는, 도 6 또는 도 7의 흐름도에서 도시하는 제어에 대한 할입(interrupt) 처리에 의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차량용 시트의 머리 받침이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머리 받침과 승객의 헤드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와,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가능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거리 폭을 가진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머리 받침을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한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기간에 있어서만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소정 시간 연속해서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머리 받침과 헤드부와의 거리가, 소정 시간 연속해서 적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만큼 얻게 된 경우에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로 검지한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일 정 횟수만큼 얻게 된 경우에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충돌 예측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보다도 승객의 헤드부에 가까이, 또한 헤드부와의 사이에 거리를 둔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충돌 예측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보다도 승객의 헤드부에 가까이, 또한 헤드부와의 사이에 거리를 둔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충돌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부터 승객의 헤드부에 접촉한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충돌의 검지가 가능한 충돌 예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머리 받침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을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처 가능한 적정 위치로부터 승객의 헤드부에 접촉한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 제어 시스템.
KR1020077012918A 2004-12-09 2005-12-06 머리 받침 제어 장치 KR100865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7113 2004-12-09
JP2004357113A JP4810822B2 (ja) 2004-12-09 2004-12-09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JP-P-2004-00380126 2004-12-28
JP2004380126A JP4675621B2 (ja) 2004-12-28 2004-12-28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904A true KR20070085904A (ko) 2007-08-27
KR100865213B1 KR100865213B1 (ko) 2008-10-23

Family

ID=3657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918A KR100865213B1 (ko) 2004-12-09 2005-12-06 머리 받침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63598B2 (ko)
EP (1) EP1829739B1 (ko)
KR (1) KR100865213B1 (ko)
WO (1) WO2006062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6751B2 (ja) * 2007-03-15 2009-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及び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DE102008006412B4 (de) * 2007-08-22 2017-04-06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WO2009028532A1 (ja) * 2007-08-27 2009-03-05 Fujikura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方法
JP5217307B2 (ja) * 2007-09-07 2013-06-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US8727437B2 (en) * 2008-06-27 2014-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ctuator for crash activated head restraint
DE102009014696A1 (de) * 2009-03-27 2010-09-30 Sitech Sitztechnik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Messung eines Hinterkopfabstandes einer Person zu einer Kopfstütze
JP5347650B2 (ja) * 2009-03-30 2013-1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DE102010002525B9 (de) * 2009-05-28 2012-12-13 Lear Corp. Sitzbaugruppe mit einer beweglichen Kopfstützen-Baugruppe
DE102010001908B4 (de) * 2010-02-12 2022-01-0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Grundkörper einer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JP5513203B2 (ja) * 2010-03-29 2014-06-04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CN102947128A (zh) * 2010-06-23 2013-02-27 株式会社藤仓 头枕与头部间的距离测定装置及使用其的头枕位置调整装置、头枕与头部间的距离测定方法及使用其的头枕位置调整方法
DE102010044946A1 (de) * 2010-09-10 2012-03-15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mit einer horizontal verstellbaren Tragstruktur
JP6055836B2 (ja) * 2012-09-26 2016-12-2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US9211820B2 (en) 2012-11-01 2015-12-1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energy redirection
KR101444610B1 (ko) 2013-07-04 2014-09-24 현대다이모스(주) 운전 자세 부주의 경고장치
US9925659B1 (en) * 2014-07-01 2018-03-27 David L. Clemmer Mechanic's creeper and headrest
KR101576377B1 (ko) * 2014-07-01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KR101601535B1 (ko) * 2014-11-12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장치
CN108136949A (zh) * 2015-10-05 2018-06-08 安道拓卢森堡控股有限公司 车辆座椅的头枕
US9987958B2 (en) * 2015-10-26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ick disconnect headrest
CN108367696B (zh) * 2015-11-30 2020-08-18 B/E航空公司 前向平移头枕
EP3423301B1 (de) * 2016-02-29 2020-04-08 Jifeng Automotive Interior GmbH Kopfstütze mit verbesserter verstelleinrichtung
JP6711135B2 (ja) * 2016-05-24 2020-06-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6879864B2 (ja) * 2017-08-25 2021-06-02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190275974A1 (en) * 2018-03-12 2019-09-12 Lea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systems for a vehicle seat
DE102018109611B4 (de) * 2018-04-10 2022-04-21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JP7101876B2 (ja) * 2018-09-21 2022-07-15 ヒューマネティクス イノベイティブ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リクライニング着座姿勢における人型試験デバイスのための頸部ブラケット設計
US10953810B2 (en) * 2018-11-01 2021-03-23 Safran Seats Usa Llc Impact bracket stress-deformation release mechanism
US11376991B2 (en) * 2020-06-30 2022-07-05 Bose Corporation Automobile seat with user proximity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7466A1 (de) * 1983-08-17 1985-03-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r hoehe einer kopfstuetze eines fahrzeugsitzes
JPH01254496A (ja) 1988-04-05 1989-10-11 Mitsubishi Heavy Ind Ltd 座席装置
US6746078B2 (en) 1997-12-17 2004-06-0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 headrest based on anticipatory sensing
US6078854A (en) * 1995-06-07 2000-06-20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vehicle component
US5748473A (en) 1992-05-05 1998-05-0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utomatic vehicle seat adjuster
JP3286001B2 (ja) 1993-03-01 2002-05-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DE19731053A1 (de) 1997-07-19 1999-01-21 Ewald Witt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Winkel- und/oder Höheneinstellung einer Kopfstütze an einem Kraftfahrzeugsitz
KR19990026690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JP3541676B2 (ja) * 1998-05-22 2004-07-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783409B2 (ja) 1998-06-03 2006-06-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829517B2 (ja) 1999-02-16 2006-10-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DE19916804C1 (de) 1999-04-14 2000-08-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Justieren einer Fahrzeugkopfstütze sowie ein Verfahren unter Verwendung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JP2001058552A (ja) 1999-08-04 2001-03-06 Takata Corp 車両衝突被害軽減システム
US6331014B1 (en) * 2000-07-11 2001-12-1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seats including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6607242B2 (en) 2000-12-13 2003-08-19 Lear Corporation Head restraint assembly
DE10065845C2 (de) 2000-12-28 2003-02-06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Höheneinstellung einer Kopfstütze
JP2002365011A (ja) 2001-06-06 2002-12-18 Nippon Soken Inc 頭部位置検出システム
JP2003118531A (ja) * 2001-10-16 2003-04-23 Denso Corp 車両用乗員位置検出装置
JP4014938B2 (ja) 2002-06-06 2007-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915648B2 (ja) 2002-09-30 2007-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4436238B2 (ja) * 2004-11-26 2010-03-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3598B2 (en) 2011-06-21
EP1829739A1 (en) 2007-09-05
EP1829739A4 (en) 2010-01-27
WO2006062098A1 (ja) 2006-06-15
KR100865213B1 (ko) 2008-10-23
EP1829739B1 (en) 2012-02-01
US20090121526A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213B1 (ko) 머리 받침 제어 장치
CN100506602C (zh) 头架控制系统
EP3521107B1 (en) Method for adjusting a switch position, and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WO2010104105A1 (ja)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方法
EP2067654A1 (en) Head res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JP4685917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20050071053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WO2019124172A1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JP2009120141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JP4675621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2015054560A (ja) 乗員拘束装置
JP529705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装置の制御方法
JP2008105560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7091027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US20230365028A1 (en) Vehicle seat control device and vehicle seat
JPS6226136A (ja) 車両用シ−ト調整装置
JPH03193536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JP4774866B2 (ja)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2023055132A (ja) 車両、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442903A (zh) 基于头部姿势和凝视方向的载具镜选择
JP4265428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JP2021146742A (ja) 車両用電動シート制御装置、車両用電動シート制御システム
CN115179821A (zh) 汽车座椅的控制方法、控制器、系统和存储介质
KR20210074916A (ko) 서브마리닝 방지 장치 및 방법
KR0152196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시트 간격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