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395A -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395A
KR20070084395A KR1020077011427A KR20077011427A KR20070084395A KR 20070084395 A KR20070084395 A KR 20070084395A KR 1020077011427 A KR1020077011427 A KR 1020077011427A KR 20077011427 A KR20077011427 A KR 20077011427A KR 20070084395 A KR20070084395 A KR 2007008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in
transmission chain
grind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미우라
타케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07008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24B7/16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for mass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5/00Finishing or dressing chains or chain links, e.g. removing burr material, calib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9/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 B21L9/02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of roller-chain or other plate-lin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2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arcuate surfaces, e.g. parts of car bodies, bumpers or magnetic record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원반상의 지석(5)에 주홈(5a)를 설치하고, 그 양측벽을 지면(5b)으로 한다. 중심축(5z) 주변으로 회전하는 지석(5)에 대하여, 회전하는 캐리어(3)에 의해서 로드핀(55)을 회전이동시켜, 지면(5b)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로드핀(55)의 양쪽의 단면(55a)을 동시에 연삭한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편단면마다 연삭할 경우에 비해서 연삭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동력전달 체인, 자동차, 연삭, 체인용 핀, 지석, 지지부

Description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GRIN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CHAIN PIN}
본 발명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연삭하는 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사용되는 무단변속장치(예를 들면 실용신안공개 평3-84459호 공보 참조)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구동축(50)에 한쌍의 원추풀리(sieve; 51,52)가 부착되어 있고, 일방의 원추풀리(51)는 실린더피스톤유닛(53)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서 원추풀리(51,52) 사이의 홈폭을 확축할 수 있다. 한쌍의 원추풀리(51,52) 사이에는 벨트상의 동력전달체인(56)이 걸쳐져 있다. 홈폭을 확축함으로써 동력전달체인(56)은 각 원추풀리(51,52)의 원추면(51a,52a)에 접접(摺接)하면서 원추풀리(51,52)의 중심측으로 이동하거나, 외측으로 압축하거나 한다.
동력전달체인(56)은 링크플레이트(54)라고 불리는 박판을 겹친 구조의 단위부재를 로드핀(동력전달체인용 핀;55)을 통해서 무단상이면서, 또 굴곡 자유롭게 연결한 것이다. 로드핀(55)은 평판상 부재의 양단을 풀리(51,52)의 원추면(51a, 52a)에 맞춰서 가공한 부재이며, 동력전달체인(56)이 한쌍의 원추풀리(51,52) 사이 에 걸쳐졌을 때, 그 양단면이 풀리(51,52)의 원추면(51a,52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동력전달체인(56)은 이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동력전달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로드핀(55)은 그 전수에 대해서, 길이를 정확하게 정렬함과 동시에, 양단면을 소정의 형상으로 완성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로드핀(55)은 지석에 의한 연삭공정에 부쳐진다. 도 11은 연삭공정에 있어서의 부재배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당해 연삭공정에서는 우선 복수개의 로드핀(55)을 다발로 한 것을 치구(57)를 이용해서 지지부(58)에 보유하고, 이 상태에서 편면의 단면을 지석(59)에 의해 연삭한다. 다음에 다발을 뒤집어서 타방의 단면을 연삭한다.
그러나, 체인 전체로 다수로 미치는 상기 로드핀의 양단면을 모두 연삭하기에는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해 이루어진 것이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에 있어서, 연삭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는 직교 3방향을 X, Y, Z로 할 때,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며, 외주 근방에, 피연삭부재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가지는 지석부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그 양단면을 돌출시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해당 동력전달 체인용 핀과 상기 지면을 X-Y평면상에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캐리어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삭장치에서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이, 회전하는 지면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따라서 편단면마다 연삭할 경우에 비해서, 연삭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는 직교 3방향을 X, Y, Z로 할 때, Z방향에 평행한 제1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며, 외주 근방에, 피연삭부재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가지는 지석부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그 양단면을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중심축과 평행하며, 동시에 X-Y평면상에서 이격한 위치에 있는 제2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함으로써, 해당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캐리어를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삭장치에서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이, 회전하는 지면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또한 캐리어의 회전에 의해, 제2중심축으로부터 동력전달 체인용 핀까지의 반경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중철(中凸)의 형상을, 해당 핀의 양단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삭장치에 있어서, 지석부는 원반상이며, 그 외주에 형성된 주홈의 축방향 양쪽벽을 지면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양방의 지면은 1개의 지석에 속하므로, 연삭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지석부는 원반상이며, 그 외주면에서 내방으로 절입하여 형성된 주홈의 축방향 양측벽이 지면이며, 해당 지면은 원추면상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지석부는 동일 형태인 한쌍의 지석을, 지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시킨 것이라도 좋다.
또한 캐리어는 원반상의 부재의 외주면에 절흠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연삭할 때, 상기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외주 근방에 가지는 지석부를, 직교 3방향을 X, Y, Z로서,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양단면을 캐리어로부터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과, 상기 지면을 X-Y평면상에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서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이, 회전하는 지면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연삭할 때, 상기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외주 근방에 가지는 지석부를, 직교 3방향을 X, Y, Z로서, Z방향에 평행한 제1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양단면을 캐리어로부터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제1중심축과 평행하고, 동시에 X-Y평면상에서 이격한 위치에 있는 제2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서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이, 회전하는 지면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또한 캐리어의 회전에 의해, 제2중심축에서 동력전달 체인용 핀까지의 반경에 근거해서 정해지는 중철의 형상을, 해당 핀의 양단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이 지면 사이를 통과할 때는 캐리어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그것 이외의 때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지석부를 캐리어에 근접시켜 절입하는 인피드(infeed) 가공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는 피연삭부재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외주 근방에 가지는 회전체인 지석부와, 상기 핀을 그 양단면을 돌출시켜서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보유하는 핀보유부를 가지고,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한 축선(軸線) 주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핀보유부에 의해 보유되는 상기 핀을,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에 통과시키는 캐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핀보유부는 상기 핀의 측면이 당접함과 동시에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핀 양단면의 연삭방향과 교차하는 핀보유면과, 상기 핀보유면에 당접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상기 핀보유면과의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누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삭장치에서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이 회전하는 한쌍의 지면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따라서 편단면마다 연삭할 경우에 비해서, 연삭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의 측면은 연삭방향과 교차하는 핀보유면에 당접해서 보유되므로, 양단면의 연삭에 수반해서 상기 핀에 작용하는 연삭저항의 대부분을 상기 핀보유면에 의해 받아들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핀을 강고하게 파지하지 않고, 상기 핀보유면과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서 협지하는 것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보유할 수 있고, 복잡한 순서를 요하는 일 없이 그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보유면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부에만 당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양단부 2점으로 보유하므로, 상기 핀의 흔들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정한 상태로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삭장치에 있어서, 핀보유부는 캐리어의 주면을 절입한 개소에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핀보유면에서 보다 높은 단차면으로 이어지는 단부가 형성되며, 이 단부에, 동력전달 체인용 핀이 당접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당접에 의해 동력전달 체인용 핀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누름부재는 판용수철이며, 그 기단부는 단차면에 부착되며, 선단부는 핀보유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그 간격은 여기에 협지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협지치수보다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누름부재가 적당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은 상기 연삭장치를 이용해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연삭할 때, 상기 지석부를 회전시켜, 상기 핀보유부의 상기 핀보유면과 상기 누름부재와의 사이에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협지함으로써, 상기 양단면을 캐리어로부터 돌출시켜서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보유하고, 상기 캐리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서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이, 회전하는 지면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핀을 연삭시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보유할 뿐, 착탈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에 대해서 그 외관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연삭장치에 있어서의 캐리어 및 지석의 부분확대 도이다.
도 3은 연삭 후의 로드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캐리어 및 Z방향으로 본 로드핀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캐리어의 구성이 다른 타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에 대해서 그 외관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 연삭장치에 대해서 그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연삭장치에 있어서의 캐리어 및 지석의 부분확대 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중심선(CLl)을 포함하는 요부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9는 핀보유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구동축의 원추풀리에 걸쳐진 동력전달 체인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로드핀의 연삭공정에 있어서의 부재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핀의 양단면을 연삭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에 대해서 그 외관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음 으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수평, 연직, 깊이의 각 방향을 도시한 바와 같이,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한다. 연삭장치(100)는 기대(基臺;1)와, 기대(1)에 부착된 캐리어지지대(2)와, 캐리어지지대(2)에 의해서,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3z) 주변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원반상의 캐리어(3)와, 기대(1)에 대해 X방향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석지지대(4)와, 지석지지대(4)에 의해서,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5z) 주변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원반상의 회전체인 지석(5)과, 지석지지대(4)에 대하여 X방향 및 Y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드레서 지지대(6,7)와, 드레서 지지대(6,7)에 의해서 지지된 드레서(8)를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3) 및 지석(5)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캐리어(3)의 회전속도는 일정하지 않고, 2단계(고속·저속)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서(8)도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지석(5) 및 드레서(8)를 회전시키면서, 드레서 지지대(6,7)에 의해서 드레서(8)를 지석(5)에 접촉시킴으로써 지석(5)을 소망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드레서(8)의 표준위치는 지석(5)의 중심축(5z)와 교차하는 X방향의 중심선(CLl)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로서의 주요부인 캐리어(3) 및 지석(5)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a)는 도 1에 있어서의 캐리어(3) 및 지석(5)의 부분확대도이다. 캐 리어(3)의 중심축(3z)과, 지석(5)의 중심축(5z)은 동일한 X방향의 중심선(CLl)상에 있다. (b)는 (a)에 있어서의 중심선(CLl)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캐리어(3)에는 그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포켓(3a)이 설치되어 있고, 로드핀(동력전달 체인용 핀;55)이, 도시하지 않은 치구를 이용해서 장착된다. 캐리어(3)의 포켓(3a)에 장착된 로드핀(55)은 양단면을 캐리어(3)로부터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지석(5)의 외주 근방에는 단면형상이 도시와 같은 부등변사각형이 되게끔 외주면에서 내방으로 절입한 주홈(5a)이 형성되어 있다. 주홈(5a)의 축방향(Z, -Z방향) 양측벽은 원추면상으로 경사한 지면(5b)이며, 이들은 Z방향에 서로 대향하여 대칭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b)에 있어서, 로드핀(55)을 연삭하는 지면(5b)의 부분은 곡률반경이 Rl이 되게끔 완성되어 있다. 이 곡률반경(Rl) 외에, 지면(5b)의 경사각도나, Z방향에 있어서의 지면(5b) 사이의 거리는 연삭 후의 로드핀(55)이 적정한 치수 및 형상이 되게끔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3)의 중심축(3z)로부터 본 로드핀(55)의 중심까지의 회전반경은 R2로 한다.
연삭는 지석(5)이 일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한쌍의 지면(5b) 사이를, 캐리어(3)의 회전에 의해서 로드핀(55)을 통과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캐리어(3)는 지면(5b) 사이에 다음에 투입되는 로드핀(55)이, 지면(5b)에 의해서 실제로 연삭되는 각도범위 α에 있을 때는 저속으로 회전하고, 그 이외의 때는 고속으로 회전한다. 각도 범위 α에 있어서, 로드핀(55)은 그 양쪽의 단면(55a)이 회전하는 지면(5b)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도 3은 도 2의 (b)에 있어서의 로드핀(55) 상하단면의 연삭 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중의 X, Y, Z의 방향은 로드핀(55)이 도 2의 (b)의 위치에 있을 때를 상정해서 표시하고 있다. 도에 있어서, 단면(55a)은 지면(5b)(도 2의 (b))의 경사에 의해, 상부의 단면(55a)은 오른쪽 내려감으로, 하부의 단면(55a)은 오른쪽 올라감이 된다. 또한 지면(5b)의 형상(예를 들면 곡률반경(Rl))에 의해, 단면(55a)은 장변방향에 있어서의 평균곡률반경(Rl')을 가지는 중철의 형상이 된다.
한편,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캐리어(3) 및 Z방향으로 본 로드핀(55)의 단면(55a)을 나타낸 도이다. 캐리어(3)의 회전에 의해서, Z방향에 본 단면(55a)의 연삭 후의 임의의 등고선은 평균하여 반경(R2')의 동심원호가 된다. 이 반경(R2')은 회전반경(R2)에 근거해서 결정되며, 예를 들면 R2가 50∼300mm의 경우, R2'은 R2의 5배 정도가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55a)은 장변방향의 곡률반경(Rl')과 함께 단변방향에도 곡률반경(R2')(평균값)을 가지는 3차원 곡면이 된다. 곡률반경(R2')에 의한 중철량(d)은 예를 들면 R2가 150mm인 때, 1㎛정도이다. 이러한 중철형상에 의해, 로드핀(55)과 원추풀리(51,52)(도 10 참조)와의 접촉저항이 저감된다. R2과 중철량과의 관계는 R2가 작을수록 중철량이 커지며, R2가 클수록 중철량이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로드핀(55)의 양단면(55a)이, 회전하는 지면(5b)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또한 캐리어(3)의 회전에 의해, 중심축(3z)로부터 로드핀(55)까지의 반경(R2)에 근거하여, 해당 핀의 양단면(55a)이 중철의 형상이 되므로, 접촉저항의 저감에 기여하는 중철의 형상이, 양단면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편단면마다 연삭할 경우에 비해서, 연삭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로드핀(55)의 갈아끼움 없이 단숨에 양단면(55a)이 연삭됨으로써, 갈아끼움에 수반하는 오차가 생기지 않음으로, 연삭의 정밀도에도 뛰어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쪽의 지면(5b)은 1개의 지석(5)에 속하므로, 주홈(5a)의 치수정밀도를 확보하기 쉽고, 따라서 로드핀(55)의 연삭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단, 예를 들면 지면(5b)을 가지는 동일 형태의 한쌍의 지석을 준비하고, 지면(5b)끼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시키도록 조합시켜, 전체로서 실질적으로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의 "지석부"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삭는 캐리어(3)를 회전시키면서, X방향위치를 고정해서 회전하는 지석(5)의 한쌍의 지면(5b) 사이를 통과시키는 스루가공(일발완성)이지만, 지석지지대(4)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지석(5)을 캐리어(3)측에 근접시켜 절입하는 인피드가공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3)는 로드핀(55)을 보유해서 회전하는 구성인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2개의 풀리(9) 사이에서 수직 반송하는 콘베이어형의 캐리어(10)를 설치하고, 로드핀을 Z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캐리어(10)에 부착하고,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한쌍의 지면(5b) 사이를 통과시켜도 좋다. 이 경우, 상기의 R2가 무한대가 되는 것과 같으므로, 단면(55a)의 단변방향에는 중철이 없는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것 이외에도 로드핀과 지면을 X-Y평면상에서 상대이동시켜서 로드핀이 지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해 당 이동의 궤도를 바꿈으로써 임의의 곡률반경(R2')형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핀의 양단면을 연삭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에 대해서, 그 외관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의 실시형태와의 차이는 캐리어(3)의 형태이며,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어(3)는 원반상의 부재의 외주면에 절흠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캐리어지지대(2)에 의해서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3z) 주변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로서의 주요부인 캐리어(3) 및 지석(5)에 대해서, 도 7∼9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캐리어(3) 및 지석(5)의 부분확대도이다. 캐리어(3)의 중심축(3z)와, 지석(5)의 중심축(5z)은 동일한 X방향의 중심선(CLl)상에 있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중심선(CLl)을 포함하는 요부의 수평단면도이다. 캐리어(3)에는 그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8군데, 원주면을 절흠하여 형성된 핀보유부(30)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핀(동력전달 체인용 핀)(55)이 보유되어 있다. 핀보유부(30)에 보유된 로드핀(55)은 그 양단면이 캐리어(3)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Z방향(중심축(5z))에 평행하게 보유되어 있다.
지석(5)에 있어서의 주홈(5a) 및 (5b)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3)의 중심축(3z)에서 본 로드 핀(55)의 중심까지의 회전반경은 R2인 것으로 한다.
도 9는 핀보유부(30)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핀보유부(30)는 캐리어(3)의 반지름방향선상을 따라서, 동시에 중심축(3z)(중심축(5z))에 평행하게 형성된 핀보유면(31)과, 핀보유면(31)에 대해서 단차가 설치된 단차면(32)에 고정된 판상의 누름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핀(55)은 그 측면을, 핀보유면(31)과, 이 핀보유면(31)과 단차면(32)을 잇는 단부(32a)에 당접시켜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로드핀(55)은 핀보유면(31)과, 누름부재(33)와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양단면을 캐리어(3)로부터 돌출시킨 한 상태에서, Z방향에 평행하게 보유되어 있다.
누름부재(33)는 예를 들면 용수철 강철을 도시의 형상으로 성형한 판용수철이며, 그 일단부측은 중앙부 부근까지 심(shim;34,35)으로 협지되면서 볼트(36)에 의해 단차면(32)에 고정되고 있고, 타단부측은 단차면(32)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돌출부(33a)를 설치하고 있다. 이 돌출부(33a)는 로드핀(55)을 협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핀보유면(31)에 대하여 로드핀(55)의 외주폭 치수보다 다소 작은 치수를 두어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누름부재(33)는 판용수철이므로 그 돌출부(33a)는 적당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로드핀(55)을 보유했을 때에 발생하는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로드핀(55)을 적당하게 협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핀(55)은 핀보유부(3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보유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핀보유면(31)의 사이에는 요부(凹部;37)가 형성되어 있고, 그 때문에 로드핀(55)의 측면(X-Z면)은 그 양단부 근방 2군데에만, 핀보유면(31)과 당 접하고 있다. 이 경우, 로드핀(55)은 Z방향에 서로 떨어진 2군데에서 보유되므로, 자세가 안정함과 동시에, 보유상태에 있어서의 로드핀(55)의 흔들림 등의 발생을 최소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핀보유면(31)과 로드핀(31)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하므로, 로드핀(55)의 착탈시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보다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삭는 지석(5)이 일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캐리어(3)를 회전시켜서, 로드핀(55)이, 한쌍의 지면(5b)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지석(5)의 회전속도는 비교적 높게 설정되어 있고, 캐리어(3)의 회전속도는 지석(5)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지석(5)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각도 γ의 범위에서 로드핀(55)이 한쌍의 지면(5b) 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캐리어(3)에 있어서는 각도 β의 범위에서 로드핀(55)이 한쌍의 지면(5b) 사이를 통과한다. 각도 β의 범위에 있어서의 핀보유부(30)의 핀보유면(31)은 각도 γ에 있어서의 지면(5b)의 연삭방향(연삭에 의해 힘이 미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될 일이 없고, 항상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로드핀(55)은 상기 각도 β의 범위에 있어서, 그 양쪽의 단면(55a)이 회전하는 지면(5b)에 의해 동시에 연삭된다. 또한 로드핀(55)의 상하단면의 연삭 후의 형상은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도 3에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해서, 로드핀(55)의 양단면(55a)이, 회전하는 지면(5b)에 의해 동시에 연삭됨과 동시에, 캐리어(3)의 회전에 의해 접촉저항의 저감에 기여하는 중철의 형상이, 양단면 동시에 형성된다.
또한 보유되는 로드핀(55)의 측면은 지면(5b)의 연삭방향에 상대하는 핀보유면(31)에 당접해서 보유되므로, 양단면(55a)의 연삭에 수반해서 로드핀(55)에 작용하는 연삭저항의 대부분을 핀보유면(31)에 의해서 받아들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로드핀(55)을 종래와 같이 강고하게 파지하지 않고, 핀보유면(31)과 탄성변형 가능한 누름부재(33)에 의해서 협지하는 것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보유할 수 있고, 복잡한 순서를 요하지 않고, 그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핀(55)의 양단면(55a)을 동시에 연삭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잡한 순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연삭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연삭장치에 있어서, 로드핀(55)을 보유하는 핀보유부(30)를, 예를 들면 유압척으로 함으로써, 로드핀(55)을 강고하면서 동시에 착탈 용이하게 보유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드핀(55)의 공급의 자동화를 도모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압척의 기구를 캐리어(3)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스페이스에 유압척을 부착할 필요가 있었거나, 회전하는 캐리어(3)에 유압배관 등의 보기류를 부착할 필요가 있어, 장치 전체가 매우 복잡해짐과 동시에 장치로서의 비용고를 초래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삭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로드핀(55)의 착탈 용이하게 보유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캐리어(3)에 대한 로드핀(55)의 공급의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부재(33)에 판용수철을 이용했지만, 탄성변형 가능하며 로드핀(55)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할 수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33)의 형상에 대해서도 로드핀(55)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판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8)

  1. 직교 3방향을 X, Y, Z로 할 때,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며, 외주 근방에, 피연삭부재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가지는 지석부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그 양단면을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과 상기 지면을 X-Y평면상에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캐리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2. 직교 3방향을 X, Y, Z로 할 때, Z방향에 평행한 제1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며, 외주 근방에, 피연삭부재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가지는 지석부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그 양단면을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중심축과 평행하고, 동시에 X-Y평면상에서 이격한 위치에 있는 제2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캐리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는 원반상이며, 그 외주에 형성된 주홈의 축방향 양측벽을 상기 지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는 원반상이며, 그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절입하여 형성된 주홈의 축방향 양측벽이 상기 지면이며, 상기 지면은 원추면상으로 경사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는 동일 형태인 한쌍의 지석을, 지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원반상의 부재의 외주면에 절흠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7.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를 연삭할 때,
    상기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외주 근방에 가지는 지석부를, 직교 3방향을 X, Y, Z로서, Z방향에 평행한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양단면을 캐리어로부터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과 상기 지면을 X-Y평면상에서 상대이동시시킴으로 써,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
  8.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연삭할 때,
    상기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외주 근방에 가지는 지석부를, 직교 3방향을 X, Y, Z로서 Z방향에 평행한 제1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양단면을 캐리어로부터 돌출시켜서 Z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제1중심축과 평행하고, 동시에 X-Y평면상에서 이격한 위치에 있는 제2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이 상기 지면 사이를 통과할 때는 상기 캐리어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그것 이외의 때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를 상기 캐리어에 근접시켜 절입하는 인피드(infeed) 가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
  12. 피연삭부재인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동시에 연삭하는 한쌍의 지면을 외주 근방에 가지는 회전체인 지석부와,
    상기 핀을 그 양단면을 돌출시켜서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보유하는 핀보유부를 가지고,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한 축선주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핀보유부에 의해 보유되는 상기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캐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핀보유부는 상기 핀의 측면이 당접함과 동시에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핀 양단면의 연삭방향과 교차하는 핀보유면과, 상기 핀보유면에 당접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상기 핀보유면과의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누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핀보유면은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부에만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핀보유부는 상기 캐리어의 주면을 절흠한 개소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핀보유면에서 보다 높은 단차면으로 이어지는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이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판용수철이며, 그 기단부는 상기 단차면에 부착되며, 선단부는 상기 핀보유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여기에 협지되는 상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협지 치수보다 다소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18. 제12항에 기재의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를 이용한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이며,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양단면을 연삭할 때,
    상기 지석부를 회전시켜,
    상기 핀보유부의 상기 핀보유면과 상기 누름부재와의 사이에 동력전달 체인용 핀을 협지함으로써, 상기 양단면을 캐리어로부터 돌출시켜서 상기 지석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보유하고,
    상기 캐리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핀에, 회전하는 상기 한쌍의 지면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제조방법.
KR1020077011427A 2004-10-19 2005-10-19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제조방법 KR20070084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4023 2004-10-19
JPJP-P-2004-00304023 2004-10-19
JPJP-P-2004-00315848 2004-10-29
JP2004315848 2004-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95A true KR20070084395A (ko) 2007-08-24

Family

ID=3620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427A KR20070084395A (ko) 2004-10-19 2005-10-19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07969B2 (ko)
EP (1) EP1810783B1 (ko)
JP (1) JP4974050B2 (ko)
KR (1) KR20070084395A (ko)
CN (1) CN101043977B (ko)
DE (1) DE602005010603D1 (ko)
WO (1) WO2006043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7055B4 (de) * 2006-02-15 2008-07-17 Bsh Holice A.S. Verfahren zum Schleifen von stabförmigen Werkstücken, Schleif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Schleifzelle in Zwillingsanordnung
JP4840654B2 (ja) * 2006-08-04 2011-12-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動力伝達チェーンの動力伝達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動力伝達装置
DE102008009124B4 (de) * 2008-02-14 2011-04-28 Erwin Junker Maschinenfabrik Gmbh Verfahren zum Schleifen von stabförmigen Werkstücken und Schleifmaschine
JP5413634B2 (ja) * 2008-03-03 2014-02-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のピンの製造装置および動力伝達チェーンのピンの製造方法
JP5418124B2 (ja) * 2009-10-07 2014-02-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用ピンの製造方法
JP5672733B2 (ja) * 2010-03-24 2015-02-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用ピンの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CN104259988A (zh) * 2014-09-24 2015-01-07 杭州东华链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磨削嵌入件端面的夹具
CN104339235A (zh) * 2014-09-24 2015-02-11 杭州东华链条集团有限公司 一种链条、链销以及用于磨削链销端面的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42788B (it) * 1971-11-03 1973-04-02 Riv Officine Di Villar Peros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rettifica delle facce di estremita di corpi cilindrici in particolare di rulli per cuscinetti a rotolamen to
JPS5783353A (en) * 1980-11-05 1982-05-25 Nisshin Kogyo Kk Work piece transferring apparatus of polishing machine
JPS6125761A (ja) * 1984-07-16 1986-02-04 Motoi Nishimura 竪軸型平面研削盤
CA1322459C (en) * 1989-05-19 1993-09-28 Jan Siden Abrasive wheel
JP2851063B2 (ja) 1989-07-13 1999-01-2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リンク列の組立て方法、並びにその組立て装置
JPH0384459U (ko) 1989-12-19 1991-08-27
US5496208A (en) * 1989-12-20 1996-03-05 Neff; Charles E. Grinding wheel
US5182971A (en) * 1990-02-14 1993-02-02 Boart International, Limited Button sharpening
JP2524988Y2 (ja) * 1990-09-17 1997-02-05 光洋機械工業株式会社 研削盤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US5399116A (en) * 1993-08-27 1995-03-21 Kennametal Inc. Grinding wheel assembly for grinding and sizing an elastomeric belt
DE10003131B4 (de) * 1999-02-06 2012-03-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schenkette
IT1306145B1 (it) * 1999-05-21 2001-05-30 Quintilio Lupi Utensile rotativo ad azione combinata abrasiva e a frammentazione perla esecuzione di profili o di tagli su lastre di materiale fragile
JP2001009684A (ja) * 1999-07-01 2001-01-16 Kyocera Corp セラミック製刃物用電動研ぎ器
DE10033726C1 (de) 2000-07-12 2002-01-03 Winklhofer & Soehne Gmbh Kettenmontageverfahren zum Fügen einer Laschenkette
JP2003165041A (ja) * 2001-11-29 2003-06-10 Nippei Toyama Corp フェルールの研削装置
JP4039228B2 (ja) 2002-12-13 2008-01-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用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4190829A (ja) 2002-12-13 2004-07-08 Koyo Seiko Co Ltd 動力伝達用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5308108A (ja) * 2004-04-22 2005-11-04 Koyo Seiko Co Ltd ロードピ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0603D1 (de) 2008-12-04
CN101043977B (zh) 2011-08-03
EP1810783B1 (en) 2008-10-22
CN101043977A (zh) 2007-09-26
US7901269B2 (en) 2011-03-08
EP1810783A1 (en) 2007-07-25
WO2006043605A1 (ja) 2006-04-27
EP1810783A4 (en) 2007-10-31
JP4974050B2 (ja) 2012-07-11
US7607969B2 (en) 2009-10-27
US20100009600A1 (en) 2010-01-14
JPWO2006043605A1 (ja) 2008-05-22
US20070264916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4395A (ko)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 연삭장치 및 동력전달 체인용 핀의제조방법
KR101002609B1 (ko) 회전 대칭인 기계 부품의 연삭 방법 및 장치
KR101461795B1 (ko) 타워형 3차원 곡면 연마기
MXPA00006932A (es) Un aparato para sujetar una pieza de trabajo.
KR20160148431A (ko) 소재 고정용 진공 지그가 구비된 연마 장치
KR20140108859A (ko) 볼 밸브의 볼 진원 연삭장치
CN1273254C (zh) 锯片磨快机械
JP4902396B2 (ja) 芯出し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芯出し位置決め方法
JP3951048B2 (ja) 端面研削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ワークホルダ
CN216228688U (zh) 一种挺柱端抛装置
JP2945021B2 (ja) レンズ加工方法
JP5672733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用ピンの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CN220806863U (zh) 一种外圆研磨辅助机构
CN219767852U (zh) 侧面研磨装置
CN217371940U (zh) 一种磨床夹具
CN215588701U (zh) 打磨装置
JP2019130630A (ja) ドレッシング装置
EP0976498A2 (en) Machining unit for a grinding machine
JP2001170862A (ja) ワーク保持装置
JP2668722B2 (ja) 成形工具
CN112440190B (zh) 具多组研磨机构的磨床加工设备
CN109048431B (zh) 一种定位装夹装置及加工中心
KR200210489Y1 (ko) 볼 스플라인 샤프트 궤도 연마기
JPH0212043Y2 (ko)
CN110831722B (zh) 用磨削盘加工工件外表面的磨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