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915A -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915A
KR20070073915A KR1020077011255A KR20077011255A KR20070073915A KR 20070073915 A KR20070073915 A KR 20070073915A KR 1020077011255 A KR1020077011255 A KR 1020077011255A KR 20077011255 A KR20077011255 A KR 20077011255A KR 20070073915 A KR20070073915 A KR 2007007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transfer sheet
layer
inorganic pigment
underco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398B1 (ko
Inventor
다이스케 후쿠이
사키에 이와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53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23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63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6025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6Backcoats; Bac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염료층과 기재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고, 반사 농도가 높고,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도, 인화시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양호하고, 또 열전사 화상의 선명성이 높고,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인화물이 얻어지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에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염료층을 순차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및 기재의 한쪽 면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전사 시트이다.
열전사 시트

Description

열전사 시트{THERMAL TRANSFER SHEET}
본 발명은, 기재 (基材) 의 한쪽 면에 언더코팅층, 염료층을 순차로 형성한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가 높고, 특히 고농도의 인화가 얻어지는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열전사를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기록재로서의 열확산형 염료 (승화형 염료) 를 플라스틱 필름 등의 기재 시트 상에 담지시킨 열전사 시트와,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다른 기재 시트 상에 그 염료의 수용층을 형성한 열전사 수상 (受像) 시트를 서로 중첩시켜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한 열확산형 전사 방식 (승화형 열전사 방식) 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열확산형 염료를 색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트 단위로 농도, 계조 (階調) 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원고 그대로의 풀 컬러 화상을 수상 시트 상에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컴퓨터 등의 컬러 화상 형성에 응용되고 있다. 그 화상은, 은염 사진에 필적하는 고품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은, 열전사 프린터의 인화 속도 고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종래의 열전사 시트로는 충분한 인화 농도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인화 농도나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에 있어서의 염료/수지 (Dye/Binder) 의 비율을 크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었지만, 그 비율을 크게 하면, 권취 보관 중에 열전사 시트 이면측의 내열활성층 (耐熱滑性層) 에 염료가 이행되고, 그 이행된 염료가 되감길 때에, 다른 색의 염료층 등에 재차 전이되고 (킥백), 이 오염된 층을 수상 시트에 열전사하면, 지정된 색과 상이한 색상이 되거나, 이른바 바탕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인화 농도나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화상 형성시의 열전사 때, 열전사 프린터에 고에너지를 가하면, 염료층과 수용층이 융착되어, 이른바 이상 (異常) 전사가 발생되기 쉬워진다. 그 이상 전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층에 다량의 이형제를 첨가하면, 화상의 번짐·바탕 오염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에서는, 또, 염료층 별로 열전사 수상 시트에 전사되는, 이른바 이상 전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 시트와 염료층과의 접착 강도가 높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인화 농도가 높고, 기재 시트와 염료층과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 시트와 염료층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가 알려져 있다.
중간층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배리어/하도층 (下塗層) 을, 염료층과 기재 시트 사이에 형성한 열전사 시트, 베이스 필름과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기록층 사이에, 확산 계수가 기록층에 함유되는 승화 염료의 확산 계수보다 작은 승화성 염료를 함유 하는 중간층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어느 열전사 시트도, 인화 농도가 충분히 높은 인화물을 얻을 수 없다.
특허 문헌 3 에는, 기재 상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그 층 상에 염료 박막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열전사 시트는, 인화 농도가 충분히 높은 인화물을 얻을 수 없고, 또, 증착시에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여 제조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4 에는, 기재 상과 염료층 사이에 N-비닐피롤리돈의 호모폴리머, N-비닐피롤리돈과 다른 성분과의 코폴리머 등의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 접착 용이층은, 상기 기술한 각 폴리머에 더하여 알루미나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나, 이들 화합물의 함유는 모두 필수는 아니다. 또, 특허 문헌 4 의 열전사 시트에서는, 염료 전사 효율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 외에, 인화시의 이형성 (離型性) 이 부족하고, 고온 고습 하에 보존했을 경우, 이형성은 더욱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5 에는, 열전사 시트의 기재와 염료층 사이에 하도층으로서 트리 알콕시실란을 도포한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지만, 열전사 수상 시트에 인화한 후에 색소 공여 소자가 수용 소자와 점착되어 이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 하도층은, 상기 실란 화합물이 알콕사이드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분에 대해서 불안정하여 가수분해되기 쉽고, 또 염료층 내의 색소를 열화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특허 문헌 5 에는, 다른 산화물과의 혼합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6 에는, 제 Ⅳb 속 금속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무기 주 사슬을 갖는 폴리머와 아크릴옥시알콕시실란 등의 코폴리머를 반응시키는 하도층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6 에 기재된 하도층은, 상기 코폴리머에 유래한 유기 사슬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불충분하고, 또, 상기 무기 주 사슬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가수분해되기 쉬워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리케이트에 관하여, 특허 문헌 6 은, 제 IVb 속 금속으로서 규소를 들 뿐으로 그 이상의 구체적 기재는 전혀 없고, 실리케이트와 다른 산화물과의 혼합에 대해도 전혀 기재가 없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31760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32996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78897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12151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135288호
특허 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55150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한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염료층과 기재와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고, 반사 농도가 높고,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도, 인화시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의 이형성이 양호하고, 또 열전사 화상의 선명성이 높고,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인화물이 얻어지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에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염료층을 순차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전사 시트 (이하, 본 열전사 시트를 「열전사 시트 (1)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이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중, 언더코팅층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열전사 시트 (2)」라고 하고, 언더코팅층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열전사 시트 (3)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 (3) 을 총칭하여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열전사 시트 (1)
도 1 에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인 하나의 최선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 의 열전사 시트 (1) 은, 기재 1 의 한쪽 면에 서멀 헤드의 미끄럼성을 좋게 하고, 또한 스티킹을 방지한 내열활성층 (4) 을 형성하고, 기재 1 의 다른 쪽 면에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2, 염료층 3 을 순차로 형성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을 구성한 각층별로 상세히 기술한다.
(기재)
상기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전사시에 열화되지 않을 정도의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를 구성한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4-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아미드(아르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셀로판,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 비닐, 나일론, 폴리이미드,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상기 기술한 수지 1 종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기재는, 두께가 통상, 약 0.5 ~ 50㎛, 바람직하게는 약 1 ~ 10㎛ 이다.
상기 기재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염료층을 형성하는 면에, 접착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흔히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 기재의 플라스틱 필름은 그 위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할 때, 기재와 언더코팅층과의 접착성 등이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접착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처리로는,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粗面化)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래프트화 처리 등, 공지된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 처리는, 1 종만 행하여도 되고, 2 종 이상 행하여도 된다.
상기 프라이머 처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의 용융 압출 막형성시에, 미연신 필름에 프라이머액을 도포하고, 그 후에 연신 처리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 처리 중에서도, 비용이 비싸지지 않고 범용 처리법을 이용할 수 있어, 기재와 언더코팅층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언더코팅층)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 2 은, 기재와 염료층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서 종래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 (콜로이달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나 수화물 (알루미나 졸, 콜로이달알루미나, 양이온성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 유사 베마이트 등),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언더코팅층에서는, 특히, 콜로이달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졸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동일한 종류인 것만 사용해도 되고, 콜로이달실리카와 알루미나 졸을 함께 사용하는 등,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크기는, 평균 입경으로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며, 특히 3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입경을 가짐으로써,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기재와 언더코팅층과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이상 전사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형상은, 구상, 침상, 판상, 깃털상이나, 무정형 등,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는, 또, 수계 용매에 졸 상태로 분산하기 쉽도록 산성 타입으로 처리한 것, 미립자 전하를 양이온으로 한 것이나, 미립자를 표면 처리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언더코팅층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친수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부티르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로는, 그 중에서도, 기재, 염료층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또 염료의 접착성이 낮다는 점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로는, N-비닐-2-피롤리돈, N-비닐-4-피롤리돈 등의 비닐피롤리돈의 단독 중합체 (호모폴리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는, 피켄쳐 공식에 있어서의 K 값으로, 60 이상인 것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K-60 ~ K-120 의 그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고, 수평균 분자량은 30,000 ~ 280,000 정도인 것이다. 상기 K 값이 60 미만인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를 이용하면,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 향상 효과가 적어진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로는, 비누화도가 50 ~ 100몰% 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도가 200 ~ 35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누화도나 중합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기재나 염료층과의 접착성이 저하되기 쉽고, 또, 그들이 지나치게 높으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도공 (塗工) 적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Tg 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언더코팅층에 대한 서멀 헤드로부터의 열 손상에 의한 염료층과 피전사재의 열융착이나, 이상 전사나, 또 열전사 기록시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의 주름 발생에 의한 피전사재의 인화 얼룩 등의 발생을 좀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더코팅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Tg 가 60℃ 미만이면, 인화시의 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가 유동하기 쉬워져, 이상 전사가 생기기 쉽고, 또 염료층중에 함유된 염료가 언더코팅층으로 역확산되어, 전사 감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상기 기술한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배합은, 질량 기준으로,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열가소성 수지=1/4 ~ 1/0.1 인 것이 바람직하고,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열가소성 수지=1/4 ~ 1/0.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고온, 고습 하에 열전사 시트를 방치, 보존한 후에, 인화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 언더코팅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고온, 고습 하에 열전사 시트를 방치, 보존한 후에, 인화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저하되기 쉽고, 또 염료층과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언더코팅층을 도공하는 경우에는, 그 도공 적성을 고려하여, 언더코팅층의 도공액으로 하여금 점도를 낮게 하여 유동성을 갖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수계 용매에 졸 상태로 분산되고, 열가소성 수지가 수계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종래 공지된 형성 수단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공액에 있어서의 수계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물 ;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와 물의 혼합물 ;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계 용매로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 톨루엔, 자일렌, 클로르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매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르에틸렌 등의 염소계 용제 ;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질소 함유계 용제 ;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유기 용제와 물과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물, 또는, 물과 알코올류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건조시의 도공량이 0.02 ~ 1g/㎡, 바람직하게는 0.03 ~ 0.1g/㎡ 정도이다.
상기 언더코팅층은, 상기 도공액을 이용하여, 기재 상에 도공하고, 열풍 건조 등을 행하여,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졸 상태로부터 겔상이 되도록 수분을 날리고, 또 열가소성 수지가 바인더로서 무기 안료 초미립자를 고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언더코팅층은, 일반적인 졸-겔법에 의한 소성 처리를 행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주성분이 되고, 그 외의 성분은 없거나, 또는 용매가 조금 잔존되어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은, 기재와 염료층 사이에 피막으로서 형성되고, 기재와 염료층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어, 열전사 수상 시트와 조합하여 가열하여 열전사할 때에 수상 시트에 염료층이 이상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언더코팅층은, 염료층으로부터의 염료가 염착되기 어려운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화시의 염료층으로부터 언더코팅층에 대한 염료 이행을 방지하고, 수상 시트의 수용층측에 대한 염료 확산을 유효하게 행함으로써,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가 높고, 인화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그 언더코팅층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만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고온, 고습 하에 있어서의 보존 후, 인화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저하되기 쉬운 점을 방지하고 있다.
(염료층)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은,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언더코팅층을 통하여 염료층 3 을 형성한 것이다.
그 염료층은 1 색의 단일층으로 구성하거나 혹은 색상이 상이한 염료를 함유하는 복수의 염료층을, 동일 기재의 동일면에 면 순차로, 반복 형성할 수도 있다다. 염료층은 열이행성 염료를 임의의 바인더에 의해 담지하여 이루어지는 층이다.
사용하는 염료로는, 열에 의해, 용융, 확산 혹은 승화 이행하는 염료로서, 종래 공지된 승화 전사형 열전사 시트에 사용되고 있는 염료는, 모두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지만, 색상, 인자 감도, 내광성, 보존성, 바인더에 대한 용해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염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디아릴메탄계 색소 ; 트리아릴메탄계 색소 ; 티아졸계 색소 ; 메로시아닌계 색소 ; 피라졸론메틴 등의 메틴계 색소 ; 인드아닐린계 색소 ; 아세트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색소 ; 잔텐계 색소 ; 옥사진계 색소 ;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색소 ; 티아진계 색소 ; 아진계 색소 ; 아크리딘계 색소 ; 벤젠아조계 색소 ;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랄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즈아조 등의 아조계 색소 ; 스피로피란계 색소 ;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색소 ; 플루오란계 색소 ; 로다민락탐계 색소 ; 나프토퀴논계 색소 ; 안트라퀴논계 색소 ; 퀴노프타론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료층에 있어서의 바인더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수지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바인더로는,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부티르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비닐계 수지 ;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 페녹시 수지 ;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바인더로는, 고온, 고습 하에 방치한 후에도 언더코팅층과 염료층과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착성이 높은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성이 높은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 수산기, 카르복실기 등을 갖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염료층에 있어서의 수지 바인더로는, 추가로, 이형성 그래프트 코폴리머도 들 수 있다. 상기 이형성 그래프트 코폴리머는, 이형제로서 상기 수지 바인더와 함께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이형성 그래프트 코폴리머는, 폴리실록산 세그먼트, 불화 탄소 세그먼트, 불화 탄화수소 세그먼트 및 긴 사슬 알킬 세그먼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이형성 세그먼트를, 상기 기술한 수지 바인더를 구성하는 폴리머 주 사슬에 그래프트 중합 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이형성 그래프트 코폴리머로는,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아세탈로 이루어지는 주 사슬에 폴리실록산 세그먼트를 그래프트시켜 얻어지는 그래프트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층은, 상기 염료, 상기 바인더에 더하여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염료층에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했을 경우, 실란 커플링제가 가수분해되어 생기는 실란올기와 언더코팅층 표면에 존재하는 무기 화합물의 수산기가 축합됨으로써, 염료층과 언더코팅층의 접착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실란 커플링제가 에폭시기, 아미노기 등을 갖는 경우, 수지 바인더의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등과 반응하여 화학 결합함으로써, 염료층 자체의 강도가 향상되어, 열전사시 등의 염료층 응집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 예를 들어, γ-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 ;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 γ-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료층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1 종만 배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배합해도 된다.
상기 염료층은, 상기 염료, 상기 바인더 및 소망에 따라 첨가한 실란 커플링제에 더하여, 추가로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나 잉크의 도공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한 폴리에틸렌왁스 등, 유기 미립자, 무기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료층은, 통상, 적당한 용제 중에 상기 염료, 바인더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고,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도공액을 조제하고, 그 후, 이 도공액을 언더코팅층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공액의 도포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그라비아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염료층은 건조시 도공량이 0.2 ~ 6g/㎡, 바람직하게는 0.3 ~ 3g/㎡ 정도이다.
(내열활성층)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은, 기재의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면에 서멀 헤드의 열에 의한 스텍킹이나 인자 주름 등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활성층 (4) 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내열활성층을 형성한 수지로는, 종래 공지된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타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 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올 (폴리알코올 고분자 화합물 등), 아크릴폴리올,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또는 에폭시의 프리폴리머,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셀룰로오스나이트 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히드로디엔프탈레이트 수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수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내열활성층은, 통상, 서멀 헤드의 미끄럼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상기 내열성 수지에 더하여 미끄럼성 부여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미끄럼성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 에스테르, 금속 비누, 실리콘 오일, 그라파이트 가루, 불소계 그래프트 폴리머나, 실리콘계 그래프트 폴리머,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폴리머, 아크릴실록산, 아릴실록산 등의 실리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내열활성층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성 부여제는 1 종만 배합해도 되고, 2 종 이상 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성 부여제는, 상기 내열활성층에 배합하는 대신에 상기 내열활성층 상에 덧칠해도 된다.
상기 내열활성층은, 내열성 수지 및 소망에 따라 배합한 상기 미끄럼성 부여제에 더하여 가교제, 이형제, 충전제 (유기 분말, 무기 분말 등)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내열활성층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가교제를 배합했을 경우, 내열성, 도막성, 밀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내열활성층에 이형제, 유기 분말 또는 무기 분말을 배합했을 경우, 서멀 헤드의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는, 왁스, 고급 지방산 아미드,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분말로는,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분말로는, 실리카, 클레이, 탤크, 운모,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내열활성층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예를 들어, 폴리알코올 고분자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추가로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열활성층은, 기재 시트 상에, 상기 기재한 수지 그리고 소망에 따라 배합하는 미끄럼성 부여제, 충전제 등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내열활성층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형성 수단에 의해 도공하고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 수단으로는, 그 중에서도, 그라비아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활성층의 도공량은, 고형분으로 0.1g/㎡ ~ 3g/㎡ 가 바람직하고, 1.5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열전사 시트 (2)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는, 기재의 한쪽 면에,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전사시에 열화되지 않을 정도의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에 관해서 예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상기 기술한 수지 1 종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기재는, 두께가 통상 약 0.5 ~ 50㎛, 바람직하게는 약 1 ~ 10㎛ 이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는, 언더코팅층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기재와 언더코팅층의 접착성이 우수하나, 그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의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형성한 면에 접착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처리로는,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에 관해서 예시한 것 등, 공지된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처리는, 1 종만 행하여도 되고, 2 종 이상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접착 처리로는, 비용이 높아지지 않고 기재와 언더코팅층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평균 입경 및 형상은,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후술하는 실리케이트와의 축합 반응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나 수화물 (알루미나 졸, 콜로이달알루미나, 양이온성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 유사 베마이트 등),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재의 접착성 향상의 점에서, 알루미나 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게 각종 처리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서 1 종만을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서 2 종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 실리케이트는,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입자간을 가교하여, 언더코팅층의 막 제조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인화시의 이형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기재와 염료층과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배합한 것이다.
상기 가교 구조는, 후술하는 언더코팅층의 형성시에, 상기 실리케이트에 있어서의 -Si-OR기 (식 중, R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Si-OH기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에 있어서의 -M-OH기 (식 중, M 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를 구성하는 원자로서, 산소 원자 및 수소 원자 이외의 것이다.) 가 축합 반응하여, -Si-0-M- 결합이 생성됨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상기 실리케이트를 1 종만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실리케이트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종래, 열전사 시트에 대하여, 언더코팅층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만 배합했을 경우,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 인화하면 수상 시트의 이형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언더코팅층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하는 경우, 얻어지는 열전사 시트는,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 인화해도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좋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는, 추가로 염료층과 기재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즉,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뿐만 아니라 실리케이트도 이용한 언더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도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좋고, 또, 염료층과 기재와의 접착 강도가 높다.
상기 실리케이트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
[화학식 1]
Figure 112007036430647-PCT00001
(식 중, R1 및 R2 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 및 R4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고,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1 ~ 10 의 알콕시기, 비닐기, (메타)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술포닐기,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n 은 1 ~ 50 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실리케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 중, 규소의 알콕사이드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 중, 실록산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국제공개공보 제95/17349호 팜플렛에 기재된 반응성 초미립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규소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축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로는, 규소 알콕사이드, 또는, 상기 규소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축합하여 얻어지는 실록산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그 언더코팅층 형성을 위해서 이용하는 실리케이트는,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3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언더코팅층 형성에 있어서 실리케이트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막 제조성의 향상 등, 상기 기술한 실리케이트의 배합에 기초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그 언더코팅층 형성에 있어서 실리케이트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그 언더코팅층의 도공액의 겔화, 반사 농도의 저하,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의 염료층과의 접착 강도 저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는,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기술한 언더코팅층을 통하여 염료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염료층은,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전사 시트 (2) 는, 또한,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게 내열활성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는, 예를 들어,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및 염료층 도공액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형성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1) 기재의 한쪽 면 상에, 내열활성층 도공액을 도포, 건조시킴으로써 내열활성층을 형성하고, (2) 얻어진 내열활성층을 갖는 기재에 대하여, 그 내열활성층과 반대측의 면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및 염료층 도공액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형성함으로써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활성층 및 염료층은,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 도공액은, 상기 실리케이트와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용제 또는 분산매에 졸 상태로 용해 또는 분산된 것이다.
상기 언더코팅층 도공액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하는 효과를 얻는다는 점에서 0.1 ~ 50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더코팅층 도공액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는,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에 대하여 상기 기술한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언더코팅층 도공액에 있어서의 용제 또는 분산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에 관련하여 예시한 것에 더하여, 상기 기술한 알코올류만으로 이루어지는 매체도 들 수 있다.
그 언더코팅층 도공액의 pH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언더코팅층 도공액은,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졸 상태의 분산액에 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용액을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 도공액은,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그 언더코팅층 도공액은, 건조 도포량이 바람직하게는 0.02 ~ 1g/㎡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 0.3g/㎡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면 된다.
그 언더코팅층 도공액의 도포 후, 열풍 등에 의해 건조시켜,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졸 상태에서 겔 상태로 되도록 수분을 제거하고,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를 가교시키고, 기재 상에 고착시킴으로써 언더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3. 열전사 시트 (3)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3) 는, 기재의 한쪽 면에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에 있어서의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3)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평균 입경 및 형상은,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하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후술하는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와의 축합 반응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에 관계되어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각종 처리를 행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에 있어서의 언더코팅층은,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서 1 종만을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서 2 종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에 있어서의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는,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입자간을 가교시켜, 언더코팅층의 막 제조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인화시의 이형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기재와 염료층과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배합하는 것이다.
상기 가교 구조로는, 예를 들어, (1) 후술하는 언더코팅층 형성 종료시까지,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에 있어서의 -Al-OR기 (식 중, R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에 있어서의 -M-OH기 (식 중, M 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를 구성하는 원자로서, 산소 원자 및 수소 원자 이외의 것이다.) 가 축합 반응하여, -Al-O-M- 결합이 생성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생할 수 있다.
또, 상기 가교 구조의 형성과 함께, (2)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알콕실기가 가수분해하여 생기는 -Al-OH기끼리가 탈수 축합에 의해 -Al-O-Al- 결합을 형성하는 일련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각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간의 가교 구조나, (3) 상기 -Al-OH기끼리 사이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 (4)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알콕실기가 가수분해되어 생기는 -Al-OH기와 기재 표면의 극성기와의 수소 결합 등이 생김으로써, 상기 이형성이나 접착 강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1) ~ (3) 에 있어서의 가수분해, 축합 반응 및 수소 결합 형성은, 언더코팅층 도공액 조제시로부터 생겨 있어도 된다.
종래, 열전사 시트에 대하여, 언더코팅층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만 배합했을 경우,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 인화하면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언더코팅층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했을 경우, 얻어지는 열전사 시트는,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 인화해도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좋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3) 는, 염료층과 기재와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즉,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뿐만 아니라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도 이용한 언더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에도 수상 시트의 이형성이 좋고, 또, 염료층과 기재와의 접착 강도가 좋다.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란, 일반적으로 하기 식 :
[화학식 2]
Figure 112007036430647-PCT00002
(식 중, R5 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6 및 R7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1 ~ 10 의 알콕실기, 페닐기 또는 페녹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실기는, 각각 탄소수가 3 이상인 경우, 직쇄이어도 되고 분지쇄이어도 된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에틸레이트 (Al(OCH2CH3)3), 하기 식 (I) ~ (Ⅲ) 으로 표시되는 알루미늄이소프로필레이트 [AIPD], 알루미늄이소프로필레이트모노세컨드리부틸레이트 [AMD], 알루미늄세컨드리부틸레이트 [ASBD]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36430647-PCT00003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는, 가와켄 화인 케미컬사 제조의 제품 등, 각종 제품이어도 된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의 언더코팅층은,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로서 1 종만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의 언더코팅층 형성을 위해서 이용한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는,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온 고습 하에서 보존한 후에도 염료층과 기재와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1 ~ 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언더코팅층 형성에 있어서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막 제조성의 향상 등, 상기 기술한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배합에 기초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그 언더코팅층 형성에 있어서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그 언더코팅층 도공액의 겔화, 반사 농도의 저하,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보존 후의 기재와 염료층과의 접착 강도 저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3) 는,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기술한 언더코팅층을 통하여 염료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는, 또한, 상기 기술한 언더코팅층 등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의 기재면 상에, 내열활성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열전사 시트 (3) 에 있어서의 염료층 및 내열활성층은,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1) 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3) 는, 일반적으로, 언더코팅층 도공액에 있어서 실리케이트 대신에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상기 기술한 범위 내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기술한 열전사 시트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인화시의 염료층으로부터 언더코팅층으로의 염료 이행을 방지하고, 수상 시트의 수용층측에 대한 염료 확산을 유효하게 행함으로써,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가 높고, 인화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언더코팅층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온, 고습 하에 있어서의 보존 후, 인화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악화되기 어렵다. 특히,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및 (3) 은, 고온 고습 하에서 보존한 후에도, 염료층과 기재와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문장 중, 부 또는 % 로 되어 있는 것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상에, 하기 조성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1 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06g/㎡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 언더코팅층 상에, 하기 조성의 염료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7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염료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다른 쪽 면에, 미리 하기 조성의 내열활성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1.0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내열활성층을 형성해 두었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
콜로이달실리카 (스노우텍 OXS, 입자경 4 ~ 6㎚ ,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30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3부
물 5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50부
<염료층 도공액>
C. I. 솔벤트 블루 63 6.0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에스렉크 BX-1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 제조) 3.0부
메틸에틸케톤 45.5부
톨루엔 45.5부
<내열활성층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에스렉크 BX-1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 제조) 13.6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타케네이트 D218 타케다 약품 공업 (주) 제조) 0.6부
인산 에스테르 (플라이서프 A208S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 제조) 0.8부
메틸에틸케톤 42.5부
톨루엔 42.5부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언더코팅층을 하기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2>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깃털상의 형태,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30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고세놀 KH-20,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제조, 비누화도 80몰%, 중합도 2000 ~ 3000) 3부
물 5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50부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언더코팅층을 하기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3>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깃털상의 형태,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30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3부
물 5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50부
실시예 4
실시예 1 과 동일 조건의 PET 필름 기재를 이용하고, 그 기재의 한쪽 면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내열활성층을 미리 형성해 두었다.
그 기재의 내열활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면에, 하기 조성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4 를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06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그 언더코팅층 상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염료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4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4>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깃털상의 형태,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6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3부
물 3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5부
실시예 5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언더코팅층을 하기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5>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깃털상의 형태,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15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3부
물 4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부
실시예 6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언더코팅층을 하기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6>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깃털상의 형태,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40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1부
물 3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5부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 조건의 PET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그 기재의 한쪽 면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내열활성층을 미리 형성해 두었다.
그 기재의 내열활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면에, 기재 상에서 직접,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염료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7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염료층을 형성하여, 비교예 1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과 동일 조건의 PET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그 기재의 한쪽 면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내열활성층을 미리 형성해 두었다.
그 기재의 내열활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면에, 하기 조성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7 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06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그 언더코팅층 상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염료층을 형성하여, 비교예 2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7>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10부
물 10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0부
비교예 3
실시예 1 과 동일 조건의 PET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그 기재의 한쪽 면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내열활성층을 미리 형성해 두었다.
그 기재의 내열활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면에, 하기 조성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8 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06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그 언더코팅층 상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염료층을 형성하여, 비교예 3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8>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깃털상의 형태,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10%) 50부
물 2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5부
시험예 1
1. 반사 농도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 의 각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고, OLYMPUS사 제조 P-400 프린터용의 전용 열전사 수상 시트와 조합하여, 하기 조건에서 인화하고, 얻어진 인화물에 대하여, 맥베스 반사 농도계 RD-918 로 농도 막스 (255 계조 째) 의 반사 농도를 측정하였다.
(인화 조건)
서멀 헤드 ; KGT-217-12MPL20 (교세라 (주) 제조)
발열체 평균 저항값 ; 2994 (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 300dpi
인가 전력 ; 0.10 (w/dot)
1 라인 주기 ; 5 (msec.)
인자 개시 온도 ; 40 (℃)
인가 펄스 (계조 제어 방법) ; 1 라인 주기 중에, 1 라인 주기를 256 으로 분할한 펄스 길이를 가지는 분할 펄스수를 0 으로부터 255 개까지 가변할 수 있는 멀티 펄스 방식의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각 분할 펄스의 Duty 비를 70% 로 고정시키고, 라인 주기당 펄스수를 0 으로부터 255 개를 15 분할하였다. 이로써, 15 단계로 상이한 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다.
2. 염료층의 접착 강도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 의 각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고, 염료층 상에 세로200㎜ × 가로12㎜ 의 셀로테이프 (등록상표) 를 엄지로 2 왕복하여, 문질러 붙이고, 그 후 곧바로, 벗겼을 때의 테이프 측에서의 염료층 부착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 : 염료층의 부착이 인정되지 않는다.
△ : 염료층의 부착이 조금 인정된다.
× : 염료층의 부착이 전체면에 인정된다.
3.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 의 각 열전사 시트를 40℃ 90% RH 조건의 환경하에, 48시간 보존한 후에, 상기 반사 농도 측정의 경우와 동일한 인화 조건에 있어서, 인화물의 전체면이 솔리드 (계조치 255/255 : 농도 막스) 인 인화 패턴으로 인화하여, 인화를 행했을 때에,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과 열전사 수상 시트가 열융착되거나, 혹은 염료층 별로 열전사 수상 시트에 전사하는, 이른바 이상 전사가 발생하는가를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 : 염료층과 열전사 수상 시트가 열융착되지 않고, 또 이상 전사가 발생하지 않는다.
× : 염료층과 열전사 수상 시트가 열융착되거나, 혹은 이상 전사가 발생한다.
상기 반사 농도 측정 결과, 염료층의 접착 강도 및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 결과는 이하의 표 1 대로이다.
언더코팅층 조성 (질량비) 반사 농도 염료층의 접착 강도 보존후의 이형성 평가
실시예 1 콜로이달실리카:PVP=1:1 2.42
실시예 2 알루미나 졸:PVA=1:1 2.50
실시예 3 알루미나 졸:PVP=1:1 2.58
실시예 4 알루미나 졸:PVP=1:5 2.39 ×
실시예 5 알루미나 졸:PVP=1:2 2.45
실시예 6 알루미나 졸:PVP=4:1 2.59
비교예 1 - 2.16 × ×
비교예 2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2.15 ×
비교예 3 알루미나 졸 2.56 ×
(주) PVP =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상기 결과로부터, 기재와 염료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 1 ~ 6 의 열전사 시트는, 모두, 상기 반사 농도가 약 2.40 이상으로 고농도였다. 또, 실시예 1 ~ 3, 5 및 6 의 열전사 시트는,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열가소성 수지=1/4 ~ 1/0.1 범위 내에 있으므로, 특히 보존 후의 이형성에 대하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또 염료층의 기재에 대한 접착성에도 문제가 없다.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에 대하여, 실시예 4 의 열전사 시트는 다른 실시예보다 평가가 뒤떨어지지만, 비교예 3 보다 좋은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 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 상에 언더코팅층이 없고, 직접 염료층을 형성한 것으로, 염료층의 기재에 대한 접착성 및 고온, 고습 보존 후의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에 대하여 실용상 문제가 있고, 또 반사 농도가 2.2 미만으로, 고농도의 인화물로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2 는 기재와 염료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여 고온, 고습 보존 후의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에서 문제가 있고, 또 반사 농도가 2.2 미만으로, 고농도의 인화물로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비교예 3 에서는, 기재와 염료층 사이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만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으로, 인화물의 반사 농도 및 염료층의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하기는 하지만, 고온, 고습 보존 후의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에 대하여 문제가 있다.
실시예 7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상에, 하기 조성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를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1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 언더코팅층 상에, 실시예 1 에 사용한 염료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7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염료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7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다른 쪽 면에, 미리 실시예 1 에 사용한 내열활성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1.0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내열활성층을 형성해 두었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9>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22.5부
실리케이트 (MSH1,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고반응 타입, 고형분 16%) 4.7부
물 24.3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실시예 8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10 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0>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28.5부
실리케이트 (MSH1,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고반응 타입, 고형분 16%) 0.9부
물 22.1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실시예 9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11 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와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1>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7.5부
실리케이트 (MSH1,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고반응 타입, 고형분 16%) 14.1부
물 29.9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실시예 10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12 를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2>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15부
실리케이트 (MSH1,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고반응 타입, 고형분 16%) 9.4부
물 27.1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비교예 4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13 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3>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30부
물 21.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비교예 5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14 를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4>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3부
물 48.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실시예 11
언더코팅층 도공액 9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15 를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5>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15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K-90, ISP사 제조) 1.5부
물 3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5부
시험예 2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의 평가 기준을 하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반사 농도, 염료층의 접착 강도 및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를 측정하고, 실시예 7 ~ 11 및 비교예 1, 4 및 5 로부터 얻어진 열전사 시트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이상 전사가 발생하지 않았다.
△ : 이상 전사가 조금 발생하였다.
×: 인화면 전체가 이상 전사되었다.
상기 각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언더코팅층 조성 (질량비) 염료층의 접착 강도 보존후의 이형성 평가 반사 농도
보존 전 보존 후
실시예 7 알루미나졸:실리케이트=3:1 2.50
실시예 8 알루미나졸:실리케이트=19:1 2.48
실시예 9 알루미나졸:실리케이트=1:3 × 2.33
실시예 10 알루미나졸:실리케이트=1:1 × 2.25
실시예 11 알루미나졸:PVP=1:1 2.58
비교예 1 - × × × 2.16
비교예 4 알루미나졸 2.53
비교예 5 PVP 2.01
(주) PVP =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각 측정 결과로부터, 실시예 7 ~ 11 의 열전사 시트는, 모두 이형성 및 반사 농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실리케이트를 알루미나 졸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 50질량부 범위 내로 배합한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의 각 열전사 시트는, 보존 후의 이형성과 반사 농도가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또, 언더코팅층에 있어서 실리케이트를 배합하지 않는 비교예 4 및 폴리비닐돈 수지만을 배합한 비교예 5 의 열전사 시트는, 보존 후의 접착 강도 및 이형성 등이 실시예 7 및 8 의 열전사 시트에 비해 뒤떨어진다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7 및 8 의 각 열전사 시트는, 보존 후의 접착 강도가, 언더코팅층에 알루미나 졸과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를 배합한 실시예 11 의 열전사 시트에 비하여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언더코팅층을 가지지 않는 비교예 1의 열전사 시트는, 접착 강도, 이형성 및 반사 농도 모두 뒤떨어진다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12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상에, 하기 조성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16 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건조 도포량이 0.18 ~ 0.22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 언더코팅층 상에,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염료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하여 건조 도포량이 0.7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염료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2 의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다른 쪽 면에, 미리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내열활성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건조 도포량이 1.0g/㎡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내열활성층을 형성해 두었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16>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39.960부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 (알루미늄세컨드리부틸레이트 (ASBD), 가와켄 화인 케미컬사 제조) 0.004부
물 12.036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000부
실시예 13 ~ 17
언더코팅층 도공액 16 대신에 표 3 의 언더코팅층 도공액 17 ~ 21 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8
언더코팅층 도공액 16 대신에 하기 언더코팅층 도공액 22 를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22>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38.000부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 (알루미늄이소프로필레이트모노세컨드리부틸레이트 (AMD), 가와켄 화인 케미컬사 제조) 0.200부
물 13.80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000부
비교예 6
언더코팅층 도공액 16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23 을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23>
알루미나 졸 (알루미나 졸 200,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고형분 10%) 40부
물 12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8부
비교예 7
언더코팅층 도공액 16 대신에 언더코팅층 도공액 24 를 이용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언더코팅층 도공액 24>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 (알루미늄세컨드리부틸레이트 (ASBD), 가와켄 화인 케미컬사 제조) 4부
이소프로필알코올 96부
언더코팅층 조성 (질량비) 알루미나 졸 Al 알코올레이트 IPA
실시예 12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9.9 : 0.1 39.960 0.004 12.036 48.000
실시예 13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9.5 : 0.5 39.800 0.020 12.180 48.000
실시예 14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9 : 1 39.600 0.040 12.360 48.000
실시예 15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5 : 5 38.000 0.200 13.800 48.000
실시예 16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0 : 10 36.000 0.400 15.600 48.000
실시예 17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50 : 50 20.000 2.000 30.000 48.000
실시예 18 알루미나졸 : Al 알코올레이트 (AMD)=95 : 5 38.000 0.200 13.800 48.000
비교예 6 알루미나졸 40.000 0 12.000 48.000
비교예 7 Al 알코올레이트 (ASBD) 0 4.000 0 96.000
ASBD = 알루미늄세컨드리부틸레이트 AMD = 알루미늄이소프로필레이트모노세컨드리부틸레이트
시험예 3
하기 방법에서, 실시예 12 ~ 17 및 비교예 1, 5 ~ 7 로부터 얻어진 열전사 시트의 평가를 행하였다.
1. 반사 농도, 2. 염료층의 접착 강도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또한, 염료층의 접착 강도는, 40℃, 90%RH 조건의 환경 하에 100시간 보존한 후의 각 열전사 시트에 대하여도 행하였다.
3.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
각 열전사 시트를 40℃, 90%RH 조건의 환경 하에 100시간 보존한 후, 상기 반사 농도의 측정과 동일한 인화 조건 하에 인화물의 전체면이 솔리드 (계조치255/255 : 농도 막스) 인 인화 패턴으로 인화하고,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과 열전사 수상 시트가 열융착되는가, 또, 염료층 별로 열전사 수상 시트에 전사하는, 이른바 이상 전사가 발생하는가를 육안으로 조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이상 전사가 발생하지 않았다.
△ : 이상 전사가 조금 발생하였다.
× : 인화면 전체가 이상 전사되었다.
상기 각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언더코팅층 조성 (질량비) 염료층의 접착 강도 보존 후의 이형성 평가 반사 농도
보존 전 보존 후
실시예 12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9.9 : 0.1 2.65
실시예 13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9.5 : 0.5 2.58
실시예 14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9 : 1 2.63
실시예 15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5 : 5 2.66
실시예 16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90 : 10 2.65
실시예 17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SBD)=50 :50 2.65
실시예 18 알루미나 졸 : Al 알코올레이트 (AMD)=95 : 5 2.64
비교예 1 - × × × 1.86
비교예 5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 × 2.11
비교예 6 알루미나 졸 2.69
비교예 7 Al 알코올레이트 (ASBD) 2.10
각 측정 결과로부터, 실시예 12 ~ 17 의 열전사 시트는, 모두 접착 강도 및 반사 농도가 우수하고, 보존 후에도 이형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았다. 알루미나 졸 :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99 : 1 ~ 90 : 10 이고, 또한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가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 50질량부인 실시예 14 ~ 16 및 18 은 특히, 염료층 접착 강도를 보존 후에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1 및 5 의 열전사 시트는 어느 쪽 시험도 좋은 결과가 얻어지지 않고, 비교예 6 의 열전사 시트는 특히 이형성 평가가, 비교예 7 의 열전사 시트는 특히 반사 농도가 뒤떨어졌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인화시의 염료층으로부터의 언더코팅층에 대한 염료 이행을 방지하고, 수상 시트의 수용층측에 대한 염료 확산을 유효하게 행함으로써, 인화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가 높고, 인화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언더코팅층이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만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고온, 고습 하에 있어서의 보존 후, 인화에 있어서의 수상 시트와의 이형성이 악화되기 어렵다. 특히,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2) 및 (3) 은, 고온 고습 하에서 보존한 후에도, 염료층과 기재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 (1) 의 1 실시의 최선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재
2 언더코팅층
3 염료층
4 내열활성층

Claims (13)

  1. 기재 (基材) 의 한쪽 면에 열가소성 수지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염료층을 순차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인 열전사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가, 콜로이달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졸인 열전사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열가소성 수지=1/4 ~ 1/0.1 인 열전사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의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내열활성층 (耐熱滑性層)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
  6. 기재의 한쪽 면에,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언더코팅층 및 염료층을 순차로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전사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언더코팅층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인 열전사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는, 규소의 알콕사이드, 또는, 규소의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축합하여 얻어지는 실록산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인 열전사 시트.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는,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 50질량부인 열전사 시트.
  10. 제 6 항에 있어서,
    언더코팅층은,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인 열전사 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는,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와 상기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 ~ 50질량부인 열전사 시트.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기재의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의 면에 내열활성층을 형성한 열전사 시트.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상 무기 안료 초미립자는 알루미나 졸인 열전사 시트.
KR1020077011255A 2004-11-02 2005-11-02 열전사 시트 KR10117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9792 2004-11-02
JP2004319792 2004-11-02
JPJP-P-2005-00105350 2005-03-31
JP2005105350A JP4752305B2 (ja) 2005-03-31 2005-03-31 熱転写シート
JP2005266362A JP4760250B2 (ja) 2005-09-14 2005-09-14 熱転写シート
JPJP-P-2005-00266362 2005-09-14
PCT/JP2005/020229 WO2006049221A1 (ja) 2004-11-02 2005-11-02 熱転写シー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481A Division KR101243443B1 (en) 2004-11-02 2005-11-02 Thermal transfer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915A true KR20070073915A (ko) 2007-07-10
KR101176398B1 KR101176398B1 (ko) 2012-08-28

Family

ID=363192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255A KR101176398B1 (ko) 2004-11-02 2005-11-02 열전사 시트
KR10-2012-7010481A KR101243443B1 (en) 2004-11-02 2005-11-02 Thermal transfer sheet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481A KR101243443B1 (en) 2004-11-02 2005-11-02 Thermal transfer shee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51976B2 (ko)
EP (2) EP2000317B1 (ko)
KR (2) KR101176398B1 (ko)
DE (2) DE602005011671D1 (ko)
ES (2) ES2319450T3 (ko)
WO (1) WO2006049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62B1 (ko) * 2005-12-09 2011-07-2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열전사 시트
JP5069715B2 (ja) * 2009-03-30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転写シー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
DE102010001511B4 (de) 2010-02-02 2012-07-12 Harald Kaufman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extilprodukts
EP2762322B1 (en) 2011-09-22 2016-02-24 Toppa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CN103874584B (zh) * 2011-09-27 2015-08-19 凸版印刷株式会社 热敏转印记录介质
JP6183217B2 (ja) * 2012-02-10 2017-08-23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及び感熱転写記録方法
US20140270884A1 (en) * 2013-03-15 2014-09-18 Illinois Tool Works Inc. Thermal Transfer and Dye Sublimation Ribbons Utilizing Plasma Treatment to Replace Back Coat
EP3284609B1 (en) * 2015-04-15 2023-02-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US10286709B2 (en) 2015-04-15 2019-05-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method for forming printed product, and printed product
WO2017146151A1 (ja) 2016-02-25 2017-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DE112017004868T5 (de) 2016-09-28 2019-06-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Wärmeübertragungssystem, Wickelvorrichtung, Wärmeübertragungsverfahren und Wickelverfahren
JP6579463B2 (ja) 2017-06-26 2019-09-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8897A (ja) 1982-10-27 1984-05-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染料転写体
JPS60232996A (ja) 1984-05-04 1985-11-19 Nec Corp 熱転写シ−ト
JPS63135288A (ja) 1986-11-10 1988-06-07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サーマルダイトランスファー用色素供与素子のための無機ポリマー系下塗り層
US4737486A (en) 1986-11-10 1988-04-12 Eastman Kodak Company Inorganic polymer subbing layer for dye-donor element used in thermal dye transfer
JP2539774Y2 (ja) * 1988-03-16 1997-06-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用シート
US5147843A (en) 1991-05-16 1992-09-15 Eastman Kodak Company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pyrrolidone mixtures as dye-donor subbing layers for thermal dye transfer
US5122501A (en) 1991-05-24 1992-06-16 Eastman Kodak Company Inorganic-organic composite subbing layers for thermal dye transfer donor
JPH0880683A (ja) * 1994-09-14 1996-03-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転写用受像シート
JPH08198989A (ja) * 1995-01-27 1996-08-06 Toray Ind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昇華型感熱転写材
JP3271688B2 (ja) * 1995-12-22 2002-04-02 東レ株式会社 昇華型感熱転写材
EP1637340B1 (en) * 2002-02-20 2009-06-17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JP3776840B2 (ja) 2002-02-20 2006-05-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KR20040086645A (ko) * 2003-04-03 2004-10-12 황준민 열전사 시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0998D1 (de) 2010-06-10
KR101176398B1 (ko) 2012-08-28
EP1829698B1 (en) 2008-12-10
US7651976B2 (en) 2010-01-26
EP2000317A1 (en) 2008-12-10
KR101243443B1 (en) 2013-03-13
EP2000317B1 (en) 2010-04-28
DE602005011671D1 (de) 2009-01-22
EP1829698A4 (en) 2008-02-27
WO2006049221A1 (ja) 2006-05-11
KR20120062907A (ko) 2012-06-14
US20080274310A1 (en) 2008-11-06
ES2344817T3 (es) 2010-09-07
ES2319450T3 (es) 2009-05-07
EP1829698A1 (en)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398B1 (ko) 열전사 시트
JP4319964B2 (ja) 熱転写シート
JP4562640B2 (ja) 熱転写シート
KR101328205B1 (ko) 열전사 시트 및 보호층 전사 시트
CN100548707C (zh) 热转印片
JP4816518B2 (ja) 熱転写シート
JP4752305B2 (ja) 熱転写シート
WO2007066770A1 (ja) 熱転写シート
JP5050611B2 (ja) 熱転写シート
JP2006192676A (ja) 熱転写シート
JP5125360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材料
JP5043737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材料
JP4969888B2 (ja) 染料層用インキ組成物
JP4844521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材料
JP4648174B2 (ja) 熱転写シート
JP4559994B2 (ja) 熱転写シート
EP1698477B1 (en) Thermal transfer sheet
JP4312168B2 (ja) 熱転写シート
JP4760250B2 (ja) 熱転写シート
JP4137077B2 (ja) 熱転写シート
US8187999B2 (en) Thermal transfer sheet
JP2007262179A (ja) 染料層用インキ組成物
JP2006256187A (ja) 熱転写シート
JP2005280136A (ja) 熱転写シート
JP2005280339A (ja) 熱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