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933A - 엘리베이터 승강실 및 승강실 벽부재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실 및 승강실 벽부재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933A
KR20070062933A KR1020060126836A KR20060126836A KR20070062933A KR 20070062933 A KR20070062933 A KR 20070062933A KR 1020060126836 A KR1020060126836 A KR 1020060126836A KR 20060126836 A KR20060126836 A KR 20060126836A KR 20070062933 A KR20070062933 A KR 20070062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mbers
elevator
wall member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니 시뜰리에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6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locking means on lateral surfaces

Abstract

인접하여 배열된 벽부재 (4.1, 4.2) 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내에는, 그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영역 내에 두 개의 결합 부재 (7.1, 7.2) 가 존재하고, 두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는 제 1 벽부재 (4.1) 의 주면 (8.1) 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동일 평면 상에 놓인 제 2 벽부재 (4.2) 의 주면 (8.2) 에 고정되며, 각 결합 부재 (7.1, 7.2) 는 또한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게 되고, 제 1 결합 부재 (7.1) 는 대각선인 경계면 (10) 을 갖고, 제 2 결합 부재 (7.2) 는 벽부재 (4.1, 4.2) 가 상호 정렬되어 대각선 경계면 (10) 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는 반대편 윤곽 (11) 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승강실, 엘리베이터 승강실 벽부재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실 및 승강실 벽부재의 설치 방법{ELEVATOR CAR AND METHOD OF INSTALLING WALL ELEMENTS OF A CAR WAL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장치에 의해 결합된 수 개의 벽부재(wall element)를 각각 포함하는 승강실 벽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장치의 확대도.
도 3a 는 승강실 바닥에 두 인접한 벽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장치로 서로 결합되고, 승강실 바닥 및 천장 프레임 내의 홈(groove)으로 안내되는 두 벽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a, 4b, 4c 는 두 인접한 벽부재의 설치 동안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벽부재의 무간극 체결(locking)을 위한 체결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규정된 폭의 개재 간극(intervening gap) 을 갖는 벽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두 쌍의 체결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인접하여 배열된 둘 이상의 벽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 벽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그러한 벽부재의 설치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 또는 벽부재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접하여 배열된 수 개의 엘리베이터 승강실 벽부재를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면서, 간극이 없거나 또는 규정된 간극폭을 갖도록 설치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US 4,430,838 에는,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구조에 사용되는, 인접하게 배열된 두 벽부재의 상호 정렬 및 결합을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장치는 수 쌍의 패널 형상의 정렬 부재 및 결합 장치를 포함한다. 두 정렬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각 주면과 겹치도록 두 벽부재를 정렬하면, 한 쌍의 제 1 정렬 부재 각각은 제 1 벽부재의 주면에 고정되고, 제 2 정렬 부재는 제 2 벽부재의 해당 주면에 고정된다. 정렬 부재는, 설치되는 동안 및 설치된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벽부재의 주면이 서로 완벽하게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해준다. 결합 부재에 의하여, 두 벽부재는 인접한 단부면 영역 내에서 서로 가압되고 이 위치에서 고정된다. 결합 부재 내에는, 결합 부재의 이동으로 인해 벽부재의 상호 지지 및 고정을 이루도록, 각각의 벽부재로부터 돌출된 핀과 함께 작용하는 대각선으로 배 열된 슬릿이 존재한다.
US 4,430,838 에 공개되어 있는 인접하여 배열된 벽부재의 결합 장치는 일정한 단점을 가진다. 가장 중요한 단점은, 벽부재의 설치 동안 결합 부재와의 결합 지점이 항상 설치하는 사람에게 접근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첫째로, 벽부재의 측면 상호 정렬 이후에, 벽부재 내에 존재하는 핀이 각 해당 대각선 슬릿을 통하여 돌출되는 방식으로 결합 부재가 벽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고, 둘째로, 결합부재가 슬릿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후 벽부재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기 위해서 필요하다. 실질적인 이유로 인해 상기 정렬 부재 및 결합 부재가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내부 측과 마주하는 벽부재의 측면에서 고정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벽부재의 결합은 엘리베이터 승강실 밖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승강실과 승강 통로 사이의 거리가 작아 US 4,430,838 에 공개된 장치는 사용될 수가 없다.
장치가 세 개의 서로 다른 구성요소, 즉 정렬 부재, 핀 및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장치의 또 다른 단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적어도 결합 요소는 개별적으로 운반되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제조가 복잡하고 실질적인 물류 경비를 요한다. 핀을 벽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은 많은 시간과 고도의 정확성을 요한다.
US 4,430,838 에 따른 장치는 또한, 개재 간극이 없는 벽부재 결합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적절한 환기를 위하여, 폭이 수 밀리미터인 개재 간극을 갖도록 인접한 벽을 설치하는 것이 상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실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 인용한 장치의 단점을 갖지 않는 승강실 벽 구조를 제안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실은 벽부재가 엘리베이터 승강실 내부에서 함께 설치되고 결합 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하고, 벽부재를 결합하고 정렬하기 위한 장치는 벽부재의 내부 측에 고정되어서는 안된다. 엘리베이터 승강실은 또한 가능한 가장 작은 수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해야 하는데, 이 구성요소들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개별적인 물류 항목을 형성하지 않는 것, 즉 개별적인 구성요소 단위로 저장, 주문, 운반, 설치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벽부재의 상호 정렬 및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장치는 또한 벽부재 사이에 간극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으면서 벽부재의 설치를 단순하고 시간 절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승강실, 그러한 승강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문제점은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에 있어서, 인접하게 배열된 벽부재는,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 두 개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장치에 의해 결합되며, 제 1 결합 부재는 제 1 벽부재의 주면에 고정되고, 제 2 결합 부재는 동일 평면에 놓여 있는 제 2 벽부재의 주면에 고정되며, 각 결합 부재는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게 되고, 제 1 결합 부재는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의 세로 방향에 대해 대각선인 경계면을 갖고, 제 2 결합 부재는 벽부재가 상호 정렬될 때 대각선 경계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반대편 윤곽을 갖는 다.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의 상호 결합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두 벽부재 각각의 인접한 단부면 영역 내에, 두 결합 부재가 배열되고, 그 중 하나의 결합 부재는 제 1 벽부재의 주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동일 평면 상에 놓여 있는 제 2 벽부재의 주면에 고정되며, 각 결합 부재는 또한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게 된다. 결합 부재에는, 인접한 단부면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을 갖게끔 벽부재가 위치하도록, 벽부재를 서로 가압하면서 반대편 윤곽과 함께 작용하는,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의 세로 방향에 대해 대각선인 경계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는, 결합 부재가 외부 측에 고정됨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승강실 내에서 도움 없이도 간단하게 벽부재의 설치 및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외부는 접근이 불필요한 점, 공장에서 벽부재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한 두 결합 부재로 결합되는 점 및, 벽부재 사이에 간극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으면서 결합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 및 본 발명의 발달된 점은 종속 청구항 및 아래 내용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벽부재가 제 1 벽부재에 인접한 단부면의 세로 방향으로 오프셋 된 위치로부터 오프셋 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을 따라 제 2 결합 부재의 반대편 윤곽이 미끄러져 이동하고 그에 의해 벽부재를 상호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인접한 단부면의 세로 방향과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 사이의 각 (α) 는 20°내지 70°인 것이 유리하다.
벽부재의 특히 정확한 위치는 상기 인접한 단부면의 세로 방향과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 사이의 각 (α) 이 30°내지 60°인 경우에 얻어진다.
개재 간극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벽부재의 특히 안정적인 상호 위치는, 결합 부재와 함께 작용하는 상기 윤곽이 하나 이상의 거의 수직인 체결면을 갖고, 그 체결면은 대각선 경계면에서 반대편 윤곽의 미끄러짐이 끝날 때 결합 부재 및 그에 의해 벽부재와 상호 체결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 사이의 규정된 간극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두 결합 부재는 모두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외부 쪽을 향하는 벽부재의 주면에 고정된다. 그 결과, 벽부재의 내부 측면은 부가적인 클래딩(cladding) 없는 승강실 내부 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나 또는 수 개의 결합 장치에 의해 상호 정렬되는 두 벽부재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와 강성(rigidities)을 갖는 벽부재를 고려하는 것이 편리하다.
벽부재는 복합 (샌드위치) 패널,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패널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 특히 편리하고 입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벽부재는 이미 위치한 제 1 벽부재와 상호 정렬되고, 제 2 벽부재가 제 1 벽부재에 대 해 상호 정렬되어 인접한 단부면이 거의 평행이 되고, 두 벽부재의 대응하는 주면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되고,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주면과 겹치게 되어, 그 결과 인접한 단부면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이 되게끔 벽부재가 위치하도록,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이 제 2 결합 부재의 반대편 윤곽을 안내하여, 제 2 벽부재가 제 1 벽부재에 대해 약간 들어 올려져 있던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내려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인접한 단부면 사이의 간극 폭이 0 내지 30 mm 가 되게끔 벽부재가 위치하도록, 결합 부재가 만들어지고, 벽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실 내부에서 상호 정렬되고 또한 설치되는 벽부재 및, 설치를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접근 가능하지 않은 결합 부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다방면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정렬된 벽부재가 처음에는 바닥 프레임 섹션 내의 홈에 의해 하부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유지되며, 이후에는 상부 가장자리가 지붕 프레임 섹션의 홈 내에 놓이게 되어 특히 효과적이며 설치 우호적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승강실 벽 (3) 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을 나타내며, 이 승 강실 벽은 각각 두 개의 패널 형상의 벽부재 (4.1, 4.2) 를 포함한다. 패널 형상의 벽부재 (4.1, 4.2) 는 복합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밀 금속(compact metal) 또는 플라스틱 패널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적어도 그 하부 및 상부 가장자리에서 벽부재 (4.1, 4.2) 는 승강실 바닥 (5) 의 바닥 프레임 섹션 (5.1) 및 승강실 지붕 (6) 의 지붕 프레임 섹션 (6.1) 으로 각각 안내되고, 이러한 프레임 섹션은 일체화된 홈을 갖는 인발 알루미늄 섹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의 외부 측에는, 인접한 단부면 (9.1, 9.2) 영역에서, 벽부재 (4.1, 4.2) 는 도 2a 에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은 결합 장치 (7) 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 장치 (7) 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쪽에 배열되는 두 개의 결합 부재 (7.1, 7.2) 로 구성된다. 제 1 결합 부재 (7.1) 는 제 1 벽부재 (4.1) 의 주면(principal surface) (8.1) 에 고정되고, 제 2 결합 부재 (7.2) 는 제 1 벽부재 (4.1) 의 주면 (8.1) 과 동일 평면 상의 제 2 벽부재 (4.2) 의 제 2 주면 (8.2) 에 고정되고, 각 결합 부재는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게 된다. 전술한 방법으로 벽부재 (4.1, 4.2) 에 고정되는 결합 부재 (7.1, 7.2) 는, 결합 부재 영역에서, 벽부재가 정확히 상호 정렬되고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를 벽부재에 고정하는 것은 접착 결합, 리벳, 나사 조임구 등에 의해 달성된다. 모든 도면에서, 고정은 각 경우에, 예를 들면 세 개의 나사 조임구 또는 세 개의 리벳 조임구를 상징하는 세 개의 검은 점으로 표시된다.
제 1 결합 부재 (7.1) 는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의 세로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뻗어 있는 경계면 (10) 을 가지며, 이하에서 이를 대각선 경계면 (10) 이라 칭한다. 제 2 결합 부재 (7.2) 는,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에 도달할 때까지 두 벽부재 (4.1, 4.2) 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벽부재가 상호 정렬되는 동안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 (10) 과 함께 작용하는 반대편 윤곽 (11) 을 갖는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 두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의 세로 방향이 수직으로 뻗어있을 필요는 없다.
도 2a 에 나타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 (11) 은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 (10) 과 평행한 면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인접한 벽부재 사이에 아무 간극도 예상되지 않는 경우(간극 폭이 실질적으로 0 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반대편 윤곽은 도 5 및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a 및 3b 는, 상기 전술한 벽부재의 정렬 및 설치 동안,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과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 (11) 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 에 따른 상황에 있어서, 제 1 벽부재 (4.1) 는 승강실 바닥 (5) 의 바닥 프레임 섹션 (5.1) 의 홈 (5.2) 내에 이미 위치하게 되고, 제 2 벽부재 (4.2) 가 제 1 벽부재와 상호 정렬된다. 이런 이유에서, 제 2 벽부재 (4.2) 는 제 1 벽부재 (4.1) 에 대해 수 센티미터만큼 들어 올려져 있어, 제 2 벽부재의 주면 (8.2) 은 제 1 벽부재의 주면 (8.1) 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게 된다. 그 후, 두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의 거리는, 두 결합 부재 (7.1, 7.2) 가 각각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 게 될 때까지 감소된다. 이렇게 되면 제 2 벽부재 (4.2) 는 거의 수직인 위치가 되어(회전 이동 R), 두 결합 부재는 각각이 고정되는 벽부재의 주면위에 놓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두 벽부재 (4.1, 4.2) 는 각각에 대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된다. 마지막으로, 제 2 벽부재 (4.2) 는 제 1 벽부재 높이 만큼, 즉 바닥 프레임 섹션 (5.1) 의 홈 (5.2) 내부로 내려진다 (하강 이동 P). 이러한 하강 이동에 있어서,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11) 은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상호 정렬된 제 2 벽부재 (4.2) 가 제 1 벽부재 (4.1) 쪽으로 이동하여, 0 에 가까운 규정된 간극폭에 도달하도록 수평방향 이동이 제 2 결합 부재에 전해진다.
설치 동안 벽부재가 상호 정렬되면, 벽부재 (4.1, 4.2) 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실 바닥 (5) 의 바닥 프레임 섹션 (5.1) 에 있는 홈 (5.2) 에 의해 아래쪽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의 승강실 전방을 포함한 모든 벽부재가 상호 정렬되면, 지붕 프레임 섹션 (6.1) 의 도움으로, 바람직하게는 지붕 프레임 섹션 (6.1) 에 있는 홈 내에 벽부재 (4.1, 4.2) 의 상부 가장자리가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벽부재 (4.1, 4.2) 가 솟아올라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된 벽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런 상태가 도 3b 에 나타나 있다.
도 4a, 4b, 4c 에서는, 벽부재 (4.1, 4.2) 의 상호 정렬 동안 결합 부재 (7.1, 7.2) 의 상호작용을 더욱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4a 는, 상호 정렬되어야 하는 두 벽부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된 후의 결합 부재 (7.1, 7.2)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벽부재 (4.2) 는 벽부재 (4.1) 에 대해 약간 들어 올려져 있고, 두 결합 부재 (7.1, 7.2) 각각은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게 된다.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에는 시작 간극(starting gap) (12) 이 존재한다. 제 1 단계에서는, 제 2 벽부재 (4.2) 에 고정된 제 2 결합 부재 (7.2) 와 함께, 제 2 벽부재 (4.2) 가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 (9.1, 9.2) 의 세로 방향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되고, 도 4b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결합 부재의 반대편 윤곽 (11) 이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에 부딪치게 될 때까지 하강한다. 만약 제 2 벽부재 (4.2) 가 더 내려오게 되면,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 (11) 은, 제 2 벽부재 (4.2) 가 제 1 벽부재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내려오는 동안, 두 벽부재의 단부면 (9.1, 9.2) 사이에 존재하는 시작 간극 (12) 의 폭은, 벽부재가 예상되는 상대적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내려오는 동안, 시작 간극 (12) 의 폭은 실질적으로 0 까지 감소되고, 즉 두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 (9.1, 9.2) 가 간극 없이 서로 기대어 있게 된다. 이런 상태가 도 4c 에 나타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 (7.1.2, 7.2.2) 의 변형된 일 실시형태로서, 벽부재가 예견된 위치에 도달한 후 두 결합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스스로, 또 그에 의해 벽부재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벽부재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닫힌 간극(간극 폭이 0) 인 벽부재 (4.1, 4.2) 의 상호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5 에 나타난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거의 수직인 체결면 (15) 형태로 존재하는 제 2 결합 부재 (7.2.2) 의 윤곽과 함께 작용하는 역시 거의 수직인 체결면 (14) 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 1 결합 부재 (7.1.2) 의 윤곽을 통하여,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바닥 프레임 섹션 (5.1) 및 지붕 프레임 섹션 (6.1) 에 의한 수직의 상호 정렬이, 관계되는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한 제조 공차로 인해 벽부재의 상호 수평 위치의 정확성을 항상 보장해주지 못하는 경우에, 그러한 체결은 벽부재의 상호 수평 위치가 여전히 항상 규정되며 충분히 정확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 (7.1.3, 7.2.3) 의 변형된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도 5 에 따른 변형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규정된 폭 (S) 만큼의 간극을 갖도록 하는 두 벽부재 (4.1, 4.2) 의 상호 정렬 및 설치를 더 가능하게 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예견된 최종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결합 부재 (7.1.3, 7.2.3) 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상호작용 윤곽을 갖는 결합 부재 (7.1.3, 7.2.3) 를 통하여 달성된다. 도 6 에 나타난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체결을 이루게 되는 윤곽은 거의 수직인 제 1 결합 부재 (7.1.3) 의 두 체결면 (16, 17) 및 역시 거의 수직인 제 2 결합 부재 (7.2.3) 의 두 체결면 (18, 19) 을 포함한다. 그러한 체결면 (16) 내지 체결면 (19) 이 대각선 경계면 (10) 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그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양쪽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그러한 체결로, 두 벽부재는 규정되고 자유로이 선택가능한 폭 (S), 바람직하게는 폭 (S) 이 0 내지 30 mm 인 개재 간극을 갖는 안정적이고 유극이 없 는(play-free) 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 슬릿으로서 그러한 간극이 제공될 수 있다.
가로 방향으로 상호 정렬된 두 벽부재는 또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되는 수 개의 결합점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결합점은 전술한 두 개의 개별적인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나머지 결합 부재의 각각의 반대편 윤곽과 함께 작용하는 일 결합 부재의 대각선 경계면은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정렬 이동의 단부에서 경사가 증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는 엘리베이터 상호 정렬 및 결합 등 그 설치가 간단해지고 용이하여 승강실의 내부에서 작업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설치를 단순화하며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에 고정되는 결합 부재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간극이 없거나 또는 환기 목적의 일정한 간극을 갖는 벽부재 결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4)

  1.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 이상의 벽부재 (4.1, 4.2)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 벽 (3) 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로서, 그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영역 내에는 두 개의 결합 부재 (7.1, 7.2) 가 존재하고, 두 개의 결합 부재 (7.1, 7.2) 중 하나는 제 1 벽부재 (4.1) 의 주면 (8.1) 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벽부재 (4.2) 의 주면 (8.2) 에 고정되며, 각 결합 부재 (7.1, 7.2) 는 또한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과 겹치게 되고,
    제 1 결합 부재 (7.1) 는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의 세로 방향에 대해 대각선인 경계면 (10) 을 갖고, 제 2 결합 부재 (7.2) 는 벽부재 (4.1, 4.2) 가 상호 정렬되어 대각선 경계면 (10) 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는 반대편 윤곽 (11)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제 1 항에 있어서, 벽부재 (4.1, 4.2) 의 상호 정렬 동안, 제 2 벽부재 (4.2) 가 제 1 벽부재 (4.1) 에 인접한 단부면 (9.1, 9.2) 의 세로 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로부터 오프셋 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을 따라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 (11) 이 미끄러져 이동하고, 이로써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이 되게끔 벽부재를 상호 위치시키도록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및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단부면 (9.1, 9.2) 의 세로 방향과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사이의 각 (α) 이 20°∼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단부면 (9.1, 9.2) 의 세로 방향과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사이의 각 (α) 이 30°∼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부재 (7.1.2, 7.2.2, 7.1.3, 7.2.3) 는, 그 결합 부재 (7.1.2, 7.2.2, 7.1.3, 7.2.3) 를 체결하여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이 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거의 수직인 체결면 (14 ∼ 19) 을 갖는 상호작용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7.1, 7.2) 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의 외부를 향하는 두 벽부재 (4.1, 4.2) 의 주면 (8.1, 8.2)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작용하는 두 결합 부재 (7.1, 7.2) 는 결합 장치 (7) 를 형성하고, 그러한 수 개의 결합 장치 (7, 7.1, 7.2) 에 의하여 두 벽부재 (4.1, 4.2) 가 상호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재 (4.1, 4.2) 는 복합 (샌드위치) 패널,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패널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9.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의 벽부재 (4.1, 4.2) 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그 엘리베이터 승강실 내에는 인접하게 설치된 두 개의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영역 내에 두 개의 결합 부재 (7.1, 7.2) 가 배열되고, 두 개의 결합 부재 (7.1, 7.2) 중 하나는 제 1 벽부재 (4.1) 의 주면 (8.1) 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벽부재 (4.2) 의 주면 (8.2) 에 고정되며, 각 결합 부재 (7.1, 7.2) 는 또한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벽부재의 주면 (8.1, 8.2) 과 겹치게 되고, 제 1 결합 부재 (7.1) 는,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을 갖게끔 벽부재가 위치하도록, 벽부재 (4.1, 4.2) 가 정렬되는 동안 제 2 결합 부재 (7.2) 의 반대편 윤곽 (11) 과 함께 작용하게 되는 벽부재 (4.1, 4.2) 의 인접한 단부면 (9.1, 9.2) 의 세로 방향에 대해 대각선인 경계면 (10) 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 설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벽부재 (4.2) 는 이미 위치된 제 1 벽부재 (4.1) 와 상호 정렬되고, 상기 제 2 벽부재 (4.2) 가 제 1 벽부재 (4.1) 에 대해 상호 정렬되어 인접한 단부면 (9.1, 9.2) 이 거의 평행이 되고, 두 벽부재 (4.1, 4.2) 의 대응하는 주면 (8.1, 8.2) 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되고, 그 결합 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주면과 겹치게 되어, 그 결과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가 규정된 간극폭이 되게끔 벽부재가 위치하도록, 제 1 결합 부재 (7.1) 의 대각선 경계면 (10) 이 제 2 결합 부재의 반대편 윤곽 (11) 을 안내하여, 제 2 벽부재 (4.2) 가 제 1 벽부재 (4.1) 에 대해 약간 들어 올려진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 설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인접한 단부면 (9.1, 9.2) 사이의 간극 폭이 0 내지 30 mm 가 되게끔 벽부재가 위치하도록, 결합 부재 (7.1, 7.2) 가 만들어지고 또한 벽부재 (4.1, 4.2)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 설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벽부재 (4.1, 4.2) 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내부에서 상호 정렬되고 또한 설치되며, 결합 부재 (7.1, 7.2) 는 설치를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접근 가능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 설치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부재 (4.1, 4.2) 는 처음에는 바닥 프레임 섹션 (5.1) 내의 홈 (5.2) 에 의해 하부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유지되며, 이후에는 벽부재의 상부 가장자리가 지붕 프레임 섹션 (6.1) 의 홈 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 설치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또는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벽부재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된 벽부재 (4.1, 4.2)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2) 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KR1020060126836A 2005-12-13 2006-12-13 엘리베이터 승강실 및 승강실 벽부재의 설치 방법 KR200700629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12016.0 2005-12-13
EP05112016 2005-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933A true KR20070062933A (ko) 2007-06-18

Family

ID=3571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836A KR20070062933A (ko) 2005-12-13 2006-12-13 엘리베이터 승강실 및 승강실 벽부재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70181382A1 (ko)
EP (1) EP1798186B1 (ko)
JP (1) JP2007161487A (ko)
KR (1) KR20070062933A (ko)
CN (1) CN1982194B (ko)
AR (1) AR058316A1 (ko)
AU (1) AU2006252000A1 (ko)
BR (1) BRPI0605245A (ko)
CA (1) CA2570774A1 (ko)
ES (1) ES2405943T3 (ko)
MX (1) MXPA06014604A (ko)
NO (1) NO20065700L (ko)
NZ (1) NZ551694A (ko)
SG (1) SG133493A1 (ko)
TW (1) TW200730430A (ko)
ZA (1) ZA200610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2630A1 (en) * 2013-04-16 2014-10-22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CN103342270A (zh) * 2013-07-24 2013-10-09 允成机电科技(上海)有限公司 楔合式电梯轿壁组装结构及安装方法
WO2015189950A1 (ja) * 2014-06-12 2015-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および、かご据付姿勢調整方法
US9174826B1 (en) * 2014-09-10 2015-11-03 Eleclip Interior Systems, Llc Wall panel
DE102015218401A1 (de) * 2015-09-24 2017-03-30 Thyssenkrupp Ag Flächiges Fahrkorbelement für eine Aufzugsanlage
WO2018145984A1 (de) * 2017-02-08 2018-08-16 Inventio Ag Verfahren zur fixierung eines schienenbügels einer aufzuganlage und aufzuganlag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9218A (en) * 1937-12-06 1940-02-06 Celotex Corp Tiling
US3632146A (en) * 1970-01-20 1972-01-04 Hauenstein & Burmeister Inc Panel joining structures
US4430838A (en) * 1980-08-07 1984-0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Panel joints
US4357993A (en) * 1980-12-15 1982-11-09 Williamsburg Steel Products Co. Inc. Elevator cab construction
US4678062A (en) * 1986-04-08 1987-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car
FI96410C (fi) * 1992-09-04 1996-06-25 Kone Oy Hissikorin seinärakenne ja hissikori
DE9302320U1 (de) * 1993-02-17 1994-06-16 Gruber Eva M Wandelement, insbesondere Doppelwandelement
FR2719650B1 (fr) * 1994-05-04 1996-07-26 Sometas Système d'assemblage de panneaux en tôle, sans boulonnerie.
US5842545A (en) * 1996-03-29 1998-12-01 Columbia Elevator Products Co., Inc. Elevator cab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610509B (en) 2008-05-28
TW200730430A (en) 2007-08-16
CN1982194B (zh) 2010-10-27
NZ551694A (en) 2008-03-28
MXPA06014604A (es) 2008-10-15
AR058316A1 (es) 2008-01-30
BRPI0605245A (pt) 2007-10-09
US20070181382A1 (en) 2007-08-09
CA2570774A1 (en) 2007-06-13
EP1798186B1 (de) 2013-02-13
JP2007161487A (ja) 2007-06-28
ES2405943T3 (es) 2013-06-04
NO20065700L (no) 2007-06-14
AU2006252000A1 (en) 2007-06-28
SG133493A1 (en) 2007-07-30
CN1982194A (zh) 2007-06-20
EP1798186A1 (de)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933A (ko) 엘리베이터 승강실 및 승강실 벽부재의 설치 방법
US7805903B2 (en) Locking mechanism for flooring boards
US20170144863A1 (en) Elevator car compartment and assembly method for same
US20060175148A1 (en) Elevator car
US10836609B2 (en) Elevator car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JPH1045361A (ja) 昇降機の停止階ドアのための敷居
CN105752805A (zh) 电梯装置和电梯装置的组装方法
JP2001058783A (ja) 昇降路ドア付きエレベータ設備
US11554935B2 (en) Elevator car
JP2014012562A (ja) 乗客コンベア
JPH10265151A (ja) エレベーター用カゴ室の壁
JP200828011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CN106185552B (zh) 电梯的轿厢
JP4502452B2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
JP2020100468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5151639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装置
KR20190127128A (ko) 커튼월 유닛의 설치 구조
JP2020152494A (ja) エレベータ
JP713627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壁
CN111867961A (zh) 电梯的轿厢顶棚装置
CN108602648B (zh) 电梯的轿厢及其组装方法
JPH04107331U (ja) バルコニーなどのパネル取付部構造
JP2014159324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6935317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