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813A -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 화질 조정 장치,및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 화질 조정 장치,및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813A
KR20070053813A KR1020077008931A KR20077008931A KR20070053813A KR 20070053813 A KR20070053813 A KR 20070053813A KR 1020077008931 A KR1020077008931 A KR 1020077008931A KR 20077008931 A KR20077008931 A KR 20077008931A KR 20070053813 A KR20070053813 A KR 2007005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quality
quality adjustment
uni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030B1 (ko
Inventor
다쿠미 요시모토
미노루 마에하타
가나코 니시다
모모코 후지와라
기요시 하마타니
도모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30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256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26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4149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시(視)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멀티뷰 표시 패널(45)과,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 회로(41, 42)를 구비한다.
멀티뷰 표시 패널, 화질 조정 회로,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 화질 조정 장치, 및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DISPLAY DEVICE, IMAGE QUALITY ADJUSTMENT METHOD FOR DISPLAY DEVICE, IMAGE QUALITY ADJUSTMENT DEVICE, AND CONTRAST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시(視)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소위 멀티뷰(multi-view)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단일 화면에서 복수의 이용자 각각에 대하여 독립된 상이한 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서의 화질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소위 멀티뷰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화질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갖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A/D변환 시에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동일 화면 위에 표시되는 개별 화상에 대한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하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좌우의 관찰자에 대하여 별개의 화상을 동일한 표시 패널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소위 멀티뷰 표시 장치가 실현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 이와 같은 장치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3차원 화상을 보기 위해 필요한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 패널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별개의 화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표시 패널의 이용 방법으로서, 복수의 이용자(유저)에게 상이한 화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이용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1대의 액정 디스플레이(LCD)에서 2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운전석과 조수석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화면을 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는 2종류의 화상을, 동시에 동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2화면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전형적으로는, 특허문헌 6 및 특허문헌 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시차 배리어를 구비한 액정 패널 등에 의해 표시부를 구성함으로써, 이 표시부에 대하여 좌측(예를 들어 조수석 측)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에게는 제 1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화소만이 보이고, 제 2 표시 화상은 상기 시차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표시부에 대하여 우측(예를 들어 운전석 측)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 또는 운전자)에게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화소만이 보이고, 제 1 표시 화상은 상기 시차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석과 조수석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화면을 볼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실현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8에서는 예를 들어 액정 화면 내에서 1수평 주사 라인 상에 번갈아 화소 단위로 2개의 상이한 화상의 화소를 배열하도록 표시하는 동시에 액정 화면의 전방(前方)에 화면 종(縱)방향으로 소정 화소 폭으로 번갈아 슬릿을 갖는 슬릿 배리어를 설치하고, 액정 화면을 보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2개의 화상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멀티뷰 표시 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9는, 필요한 영상이 조작자가 있는 방향에 선택적으로 제공되고, 또한, 외부에서 발생하는 조건에 따라, 소정의 조작자에 대하여 어떤 특정한 영상 표시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표시 장치, 소위 멀티뷰 표시 장치를 차량 내에 장착한 경우, 운전석의 운전자 등에 대하여는 이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위에 내비게이션 정보 등을 표시시키고, 조수석에 착석한 사람 등에 대하여는 표시 패널 위에 텔레비전 화상 또는 DVD(Digital Video Disk: 디지털·비디오·디스크) 화상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의 운전자는 운전에 전념할 수 있고, 조수석의 사람은 지루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4-2060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평6-18652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2000-13744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평11-33187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평9-4662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평10-12346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평11-84131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제3194024호 공보(특히 도 3)
[특허문헌 9] 일본국 공개특허2004-233816호 공보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이용자가 상이한 화상을 보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 방법이다. 따라서, 각 화상에서의 색조 등의 화질 조정값의 적절한 값은 각각 상이하게 된다. 즉, 이용자는 자기 자신이 보는 화상의 화질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원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질 조정 회로는 표시 패널 전체 색조 등의 화질을 조정하는 것이며, 이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각종 표시 설정(브라이트니스(휘도), 콘트라스트, 샤프니스(선예도(鮮銳度), 색조 등)을 한 개의 표시 패널에 대하여 한 개만 행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예를 들어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별개로 관찰되는 화상에 대하여, 각각에 최적이거나 원하는 표시 화질 설정을 행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태양광의 입사 방향에 의해 화면의 눈부심이 좌석에 따라 상이하지만, 종래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 전체의 화질 조정밖에 할 수 없고, 예를 들어 운전석 측 화상의 화질이 적절하게 좋은 화질일지라도 조수석 측 화상에서는 지나치게 밝은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멀티뷰 표시 장치를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한 경우, 다양한 상황에서 차량이 주행하기 때문에, 운전석용과 조수석용에 표시되는 양쪽 화상에 대하여 밝기, 어둡기(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를 조정하는, 소위 콘트라스트 조정 기능을 멀티뷰 표시 장치에 갖게 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또한, 이러한 콘트라스트 조정 기능이 멀티뷰 표시 장치 이외에 다양한 장치에 이용할 수 있으면 더 편리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視)방향에 대하여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 및 화질 조정 장치나,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복수 화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화질을 조정하는 복수 화질 조정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 화상의 사이즈를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상 사이즈 조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시방향에 대한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을 다른 시방향에 대한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여 화질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기억하는 프리셋 유지부와,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고, 조정 대상 화상에서의 화질을, 상기 프리셋 유지부에 기억된 대응하는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조정하는 프리셋 화질 조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조정 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모드 전환 조작부와, 상기 모드 전환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별개로 조정하는 독립 모드와,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하는 공통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주위 환경을 검출하는 공통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공통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하는 대(對)주위 환경 공통 보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 화상의 주위 환경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독립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복수의 독립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대응하는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대주위 환경 보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 화상의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을 기억하는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상기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전원 오프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종료 시의 화질 조정값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과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한 조정 빈도를 기억하는 조정 빈도 기억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상기 조정 빈도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화질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화질 조정부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변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A/D변환부에 의한 A/D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하여, 상기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화질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A/D변환부에 입력되고, 또한, 상기 A/D변환부에 의한 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는 상기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A/D변환부는 상기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각 디지털 값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에 의한 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을 상기 A/D변환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가변하도록 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에서 관찰되는 제 1 영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되는 제 2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패널과, 제 1 및 제 2 영상 소스에 접속되어 상기 각 영상 소스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표시시키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의 화면 사이즈를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면 사이즈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화질 조정부에서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에 대하여 별개로 표시하는 설정값 표시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조정값의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질 조정부에서의 설정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1 영상 소스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제 2 영상 소스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면과, 제 2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면이 한 개의 표시 패널에서 동일 영역의 표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되는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는 제 2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는, 상기 제 1 영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1 화질 조정부와, 상기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2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질 조정 복사 조작부와, 상기 조정 복사 조작부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제 1 영상의 화질 조정 상태를 상기 제 2 화질 조정부에 의한 화질 조정 상태로 하는 화질 조정 복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프리셋 스위치에 대응하여 화질 조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리셋 유지부와, 상기 프리셋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정 대상 화면에서의 화질을, 상기 프리셋 유지부에 기억된 상기 프리셋 스위치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데이터에 의해 조정하는 프리셋 화질 조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프리셋 스위치에 대한 등록 조작에 의해, 등록 조작 시점에서의 등록 대상 화면에 대한 화질 조정 데이터를 상기 프리셋 유지부에 기억하는 프리셋 데이터 등록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조정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조작부와, 상기 모드 전환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과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을 독립하여 별개로 조정하는 독립 모드를,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과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을 동일 방향으로 조정하는 공통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주위 환경을 검출하는 공통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공통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과,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을 동일 방향으로 조정하는 대주위 환경 공통 보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용 주위 환경을 검출하는 제 1 독립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용 주위 환경을 검출하는 제 2 독립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제 1 독립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을 조정하는 제 1 대주위 환경 보상부와, 상기 제 2 독립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을 조정하는 제 2 대주위 환경 보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질 조정 교체 조작부와, 상기 화질 조정 교체 조작부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제 1 화질 조정부의 화질 상태를 상기 제 2 화질 조정부의 화질 조정 상태로 하고, 상기 제 2 화질 조정부의 화질 조정 상태를 상기 제 1 화질 조정부의 화질 조정 상태로 하는 화질 조정 복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질 조정 중에, 조정 중의 화면에 화질 조정용 영상을 표시하는 조정 영상 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질 조정 중에, 비조정 중의 화면에 화질 조정용 영상을 표시하는 조정 영상 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영상 표시부는 화질 조정용 영상을 표시한 화면을 영역 분할하고, 화질 조정 전의 영상과 조정 중의 영상을 다른 영역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영상 표시부는 화질 조정 전의 영상과 조정 중의 영상으로서 동일 내용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영상 표시부는 화질 조정 전의 영상과, 비조정 중의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 상태에서 화질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영상 표시부는 화질 조정용 영상을 표시한 화면을 영역 분할하고, 프리셋 유지부에 기억된 화질 조정 데이터에 의해 화질 조정된 영상을 다른 영역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영상 표시부는 삼원색의 각 색으로 묘화된 도형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상을 시방향에 대해서 분리하는 액정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을, 상기 액정 셔터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상의 초기 제 1 조정값과,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상의 초기 제 2 조정값을 기억하는 초기 조정값 기억부를 구비하고, 기동 시에 상기 제 1 화질 조정부가 상기 초기 제 1 조정값에 의해 화질 조정을 행하고, 상기 제 2 화질 조정부가 상기 초기 제 2 조정값에 의해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값과 그 화질 조정값에 의한 조정 빈도와,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값과 그 화질 조정값에 의한 조정 빈도를 기억하는 조정 빈도 기억부를 구비하고, 기동 시에 상기 제 1 화질 조정부가,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조정 빈도가 가장 높은 화질 조정값에 의해 화질 조정을 행하고, 상기 제 2 화질 조정부가,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조정 빈도가 가장 높은 화질 조정값에 의해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주위 환경을 검출하는 공통 주위 환경 센서를 구비하고, 기동 시의 상기 공통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른 각 화면마다의 화질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 1 화질 조정부가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을 행하고, 상기 제 2 화질 조정부가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면과, 제 2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면이 한 개의 표시 패널에서 동일 영역의 표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되는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는 제 2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1 화질 조정 처리와, 상기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2 화질 조정 처리로 이루어지는 화질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면과, 제 2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면이 한 개의 표시 패널에서 동일 영역의 표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되는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는 제 2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의 제 1 영상에 대한 화질 조정 조작에 대하여, 상기 제 1 영상의 화질 조정값을 기억하는 제 1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을 재기입하는 처리와, 상기 제 2 화면의 제 2 영상에 대한 화질 조정 조작에 대하여, 상기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값을 기억하는 제 2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을 재기입하는 처리와, 상기 제 1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제 1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처리와, 상기 제 2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제 2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예를 들어 멀티뷰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질 조정부(바람직하게는, 복수 화질 조정부)에 의해, 복수의 시방향에 대하여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 관찰자(이용자)는 다른 화상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이 보고 있는 화상에 적합한 화질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사이즈 조정부는 각 방향의 화상마다 그 화상 사이즈를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한 개 화상의 관찰자는 다른 화상의 화상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이 보고 있는 화상에 적합한 화상 사이즈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친사용자적인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각각의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는 것, 임의의 화상의 화질 조정을 입력부에 의해 지시하는 것, 화질 조정 설정값을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어 다음번 화질 설정에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 등에 의해,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부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한 개의 화상 소스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을 다른 화상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운전자 등이 좌석을 바꿀 때에, 원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화질을 이어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개의 화상 소스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을 교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운전자가 바뀌는 경우 등에 운전석과 조수석이 변경되었을 때에, 각각 원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화질을 이어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셋 기능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는 복수의 화질 조정 설정값 중에서, 각 화상마다 원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에서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드 전환 조작부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독립 모드와 공통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하거나,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별개로 조정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주위 환경의 변화에 대한 화질 조정 등을 세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 주위 환경 센서(예를 들어 밝기 센서 등)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동일 화면 위의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화상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위 환경의 변화에 대한 화질 조정을 자동적으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화상의 주위 환경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독립 주위 환경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주위 환경 센서의 각각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각 화상마다 독립하여 화질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운전석 및 조수석 등의 각 좌석에서 상이한 영향을 주는 환경 변화에 따라 화질 조정이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의 화질의 초기 화질 조정 상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화질 조정을 위한 조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서, 표시 장치의 전원 오프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종료 시의 화질 조정값(라스트 메모리라고도 불림)을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기동 시에 계속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화질 조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 빈도가 가장 높은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각각의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화질 조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각 좌석마다 표시 빈도가 가장 높고 또한 설정 빈도가 가장 높은 값을 판독하여 각각의 화상의 화질 설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및 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화질 조정 상태로 되어, 화질 조정 조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질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로 이루어지고, 이 A/D변환부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고, 화질이 조정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A/D변환부로부터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춘 화질 조정 장치를 IC(집적 회로)에 의해 제작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화질 조정 장치의 제작 공정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표시 장치 전체의 치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에 의하면,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하고,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A/D변환부로부터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에 의하면, A/D변환부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이 가변 값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에 대하여, 특히 밝은 부분이나 어두운 부분 등을 나타내는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에 의하면, A/D변환부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디지털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각각의 출력 디지털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세밀하게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A/D변환부로부터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 화상의 각각에 대하여 A/D변환부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시방향에 대하여 동일 화면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 관찰자(이용자)는 다른 화상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이 보고 있는 화상에 적합한 콘트라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질 조정부는 각각의 방향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독립된 화질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는 다른 화면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에 적합한 화질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사이즈 설정부는 각 방향의 영상마다 그 화면 사이즈를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다른 화면의 화면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에 적합한 화상 사이즈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친사용자적인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화질 설정 정보를 각각의 화면 위에서 표시하는 것, 설정값을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어 다음번의 화질 설정에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 등에 의해,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석 등으로부터 관찰되는 제 1 화면에서의 제 1 영상의 화질(브라이트니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색조 등) 조정과, 조수석 등으로부터 관찰되는 제 2 화면에서의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을 서로 독립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석 및 조수석 등의 각 좌석에 적합한 화면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질 조정 복사 조작부(예를 들어 선택부)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제 1 영상의 화질 조정 상태를 제 2 화질 조정부에 의한 화질 조정 상태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등이 좌석을 바꿀 때에 원하는 화질을 이어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셋 기능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영상의 화질의 복수 설정값 중에서, 각 영상마다 원하는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 조정 모드와 공통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화면의 동일 방향으로의 화질 조정을 통합하여 행하거나, 각 화면이 독립하여 화질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주위 환경 변화에 대한 화질 조정 등을 세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위 환경 센서(예를 들어 밝기 센서 등)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전체 표시 화면의 동일 방향에 대한 화질 조정을 통합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화면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위 환경의 변화에 대한 화질 조정을 자동적으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화면에 대하여 독립된 복수의 주위 환경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 주위 환경 센서의 각각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각 화면마다 독립하여 화질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운전석 및 조수석 등의 각 좌석에서 상이한 영향을 주는 환경 변화에 따라 화질 조정이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질 조정 교체 조작부(예를 들어 선택부)에 의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각각의 화면의 화질 조정 상태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운전자가 바뀌는 경우 등에 운전석과 조수석이 변경되었을 때에, 각각 원하는 화질을 이어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중의 화면에 화질 조정용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면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조정용 영상을 표시한 화면을 영역 분할하고, 화질 조정 전의 영상과 조정 중의 영상을 다른 영역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반대 측 화면의 화질 조정 상태를 참고로 할 수 있고, 화질 조정의 대상으로 하는 화면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 중 어느 한쪽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표시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당해 표시 화면 화질의 복수의 프리셋 조정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화질 조정 상태를 비교할 수 있고, 당해 표시 화면의 화질을 선택할 때 참고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에서의 삼원색 각각의 색 성분에 관한 화질의 보정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이 고정밀도로 행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기동 시에, 직전에 초기 조정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제 1 조정값 및 초기 제 2 조정값(라스트 메모리라고도 불림)을 판독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의 화질 조정을 각각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동 시에 계속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화질 조정 상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화질 조정을 위한 조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기동 시에, 제 1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 빈도가 가장 높은 화질 조정값에 의해 제 1 화면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제 2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 빈도가 가장 높은 화질 조정값에 의해 제 2 화면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화질 조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의 기동 시에, 각 좌석마다 표시 빈도가 가장 높고 또한 설정 빈도가 가장 높은 값을 판독하여 제 1 및 제 2 영상의 화질 설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및 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화질 조정 상태로 되어, 화질 조정 조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동 시의 공통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른 각 화면마다의 화질 조정값에 따라,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에서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 환경 변화에 따라 적절한 화질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위 환경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터널이나 야간 환경 등 주위 환경의 현저한 변화에 따른 각 화면의 화질의 커스텀 값을 이용하여 화질 조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표시 장치의 탑재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표시부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
도 4는 표시 패널을 정면으로부터 본 구조의 개략도.
도 5는 TFT 기판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화상 출력부(211)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어부(200)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메모리(218)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표시 패널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구체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도 12의 CPU(19)의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 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화상 사이즈가 상이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CPU(54)의 화질 조정 처리 및 화상 사이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17은 표시 패널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4에 나타내는 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타이밍 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도 19의 표시부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2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VRAM에 기입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2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플로차트.
도 23은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플로차트.
도 24는 화질 조정용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25는 화질 조정용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26은 화질 조정용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27은 화질 조정용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제 4 도면.
도 28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29는 도 10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30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31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4 도면.
도 32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5 도면.
도 33은 환경 변화에 따른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34는 기동 시의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35는 화질 조정 설정값의 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3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7은 도 36의 표시부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D변환부를 갖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9는 기준 전압과 입력 아날로그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O은 기준 전압과 출력 디지털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도 38의 표시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2는 도 38의 표시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도 1∼도 42)에 따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이다.
여기서는, 우선, 도 1∼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표시 장치의 개념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념도이다. 또한, 이후 상술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첨부하여 나타내기로 한다.
도 1 중, 1은 제 1 화상 소스, 2는 제 2 화상 소스, 3은 제 1 화상 소스로부터의 제 1 화상 데이터, 4는 제 2 화상 소스로부터의 제 2 화상 데이터, 5는 표시 제어부, 6은 표시 데이터, 7은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패널 등), 8은 제 1 화상 소스(1)에 기초하는 제 1 표시 화상, 9는 제 2 화상 소스(2)에 기초하는 제 2 표시 화상, 10은 표시부(7)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 11은 표시부(7)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이다.
도 1의 개념도는 표시부(7)에 대한 관찰자(10, 11)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환언하면 표시부(7)에 대한 시야각에 따라, 관찰자(10)는 제 1 표시 화상(8)을, 관찰자(11)는 제 2 표시 화상(9)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볼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표시 화상(8, 9)은 표시부(7)의 표시면 전체에 걸쳐 볼 수 있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제 1 화상 소스(1)는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의 영화 화상이나 텔레비전 수신기의 수신 화상 등, 제 2 화상 소스(2)는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나 루트 안내 화상 등이며, 각각의 제 1 화상 데이터(3) 및 제 2 화상 데이터(4)는 표시 제어부(5)에 공급되고, 이들을 표시부(7)에서 실질적으로 동 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된다.
표시 제어부(5)로부터 표시 데이터(6)가 공급되는 표시부(7)는 후술하는 시차 배리어를 구비한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7) 횡(橫)방향의 총 화소의 반 수가 제 1 화상 소스(1)에 기초하는 제 1 표시 화상(8)의 표시에, 나머지 반 수의 화소가 제 2 화상 소스(2)에 기초하는 제 2 표시 화상(9)의 표시에 사용된다. 표시부(7)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관찰자(10)에게는 제 1 표시 화상(8)에 대응하는 화소만이 보이고, 제 2 표시 화상(9)은 표시부(7)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한, 표시부(7)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관찰자(11)에게는 제 2 표시 화상(9)에 대응하는 화소만이 보이고, 제 1 표시 화상(8)은 시차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한, 시차 배리어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특허문헌 5 및 특허문헌 6에 개시된 구성을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일한 화면에서 좌우의 이용자에게 상이한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 1 화상 소스(1)와 제 2 화상 소스(2)가 동일하면, 종래대로 좌우의 이용자가 동일한 화상을 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은 어디까지나 한 개이며, 이 한 개의 화면 위에 각각 독립하여 화질 조정을 행할 수 있는 복수 화상(도 1에서는 2종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하고 있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차량에의 탑재예를 나타내는 사 시도이다. 도 2 중, 12는 조수석, 13은 운전석, 14는 윈드실드, 15는 조작부, 16은 스피커이다.
도 1의 멀티뷰 표시 장치의 표시부(7)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13)과 조수석(12)의 거의 중앙의 대시보드 부분에 배치된다. 멀티뷰 표시 장치에 대한 각종 조작은 표시부(7)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터치패널(도시 생략)이나 조작부(15), 또는, 적외선 또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차량의 각 도어에는 스피커(16)가 배치되고, 표시 화상에 연동한 음성이나 경고음 등이 출력된다.
운전석(13)에는 도 1의 관찰자(11)가, 조수석(12)에는 관찰자(10)가 착석한다. 표시부(7)에 대한 제 1 시(視)방향(운전석 측)에서 볼 수 있는 화상은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등의 화상이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 2 시방향(조수석 측)에서 볼 수 있는 화상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신 화상이나 DVD 무비 화상이다. 따라서, 운전석(13)의 운전자가 카 내비게이션에 의한 운전 지원을 받음과 동시에 조수석(12)의 동승자는 텔레비전이나 DVD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화상은 예를 들어 7인치의 화면 전체를 사용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종래 멀티 윈도우 표시와 같이 화상 사이즈가 작아지는 경우도 없다. 즉, 운전자, 동승자에게는 마치 각각에 독립된 전용 디스플레이가 있는 것 같이, 각각에 최적의 정보나 콘텐츠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표시부(7)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 중, 100은 액정 패널, 101은 백라이트, 102는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 측에 설치된 편광판, 103은 액정 패 널의 발광 방향 측의 앞면에 배치된 편광판, 104는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 105는 액정층, 106은 컬러 필터 기판, 107은 유리 기판, 108은 시차 배리어이다. 액정 패널(100)은 TFT 기판(104)과 그것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컬러 필터 기판(106) 사이에 액정층(105)을 삽입한 한 쌍의 기판과, 그 발광 방향 측의 앞면에 배치된 시차 배리어(108)와 유리 기판(107)을 2매의 편광판(102, 103) 사이에 삽입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백라이트(101)로부터 약간 이격하여 배열 설치된다. 또한, 액정 패널(100)은 RGB색(삼원색)으로 구성되는 화소를 갖는다.
액정 패널(100)의 각 화소는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과,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으로 나뉘어 표시 제어된다. 그리고,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 화소는 시차 배리어(108)에 의해 우측(운전석 측)으로의 표시는 차단되고, 좌측(조수석 측)으로부터는 보이게 되어 있다. 또한,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는 시차 배리어(108)에 의해 좌측(조수석 측)으로의 표시가 차단되고, 우측(운전석 측)으로부터는 보이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상이한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운전자에게는 내비게이션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동승자에게는 DVD 영화 등을 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차 배리어(108), 상기 액정 패널의 각 화소의 구성을 변경하면, 3방향 등, 복수 방향에 상이한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시차 배리어 자체를 전기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액정 셔터 등으로 구성하여 시야각을 가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표시 패널을 정면으로부터 본 구조의 개략도이며, 상술한 도 3은 도 4 중의 A-A' 단면이다. 도 4 중, 109는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 화소, 110은 우측 (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이다. 도 3 및 도 4는 예를 들어 횡방향에 800화소, 종(縱)방향에 480화소 배열된 액정 패널(100)의 일부를 나타낸다.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 화소(109)와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110)는 종방향으로 그룹화되어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108)는 횡방향에 어떤 간격으로 배치되고, 종방향에는 균일하다. 이것에 의해, 좌측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면, 시차 배리어(108)가 우측용 화소(110)를 덮어 감춰 좌측용 화소(109)가 보인다. 또한 동일하게 우측에서 보면, 시차 배리어(108)가 좌측용 화소(109)를 덮어 감춰 우측용 화소(110)가 보인다. 또한 정면 부근에서는 좌측용 화소(109)와 우측용 화소(110)의 양쪽이 보이기 때문에, 좌측 표시 화상과 우측 표시 화상이 실질적으로 중첩되어 보인다. 여기서, 도 4 중 번갈아 배열된 좌측용 화소(109) 및 우측용 화소(1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색을 갖고 있지만, 각 그룹의 종방향 내는 R열, G열, B열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RGB가 복수 혼합된 열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TFT 기판(104)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111은 표시 패널 구동부, 112는 주사선 구동 회로, 113은 데이터선 구동 회로, 114는 TFT 소자, 115∼118은 데이터선, 119∼121은 주사선, 122는 화소 전극, 123은 서브 픽셀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픽셀(123)은 각 데이터선(115∼118) 및 각 주사선(119∼1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1단위로 하여 복수 형성된다. 각 서브 픽셀에는 액정층(105)에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 전극(122)과 그것을 스위칭 제어하는 TFT 소자(114)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111)는 주사선 구동 회로 (112)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13)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112)는 TFT 소자(114)의 선택 주사를 행하고,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113)는 화소 전극(122)으로의 인가 전압을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은 제 1 화상 데이터와 제 2 화상 데이터의 합성 데이터 또는 제 1과 제 2의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선(115, 117)에 제 1 화소 데이터(좌측 화상 표시용)를, 또한 데이터선(116, 118)에 제 2 화소 데이터(우측 화상 표시용)를 송신함으로써,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화상 데이터 그룹과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화상 데이터 그룹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소위 AVN(Audio Visual Navigation) 복합기에 대한 적용예이다. 도 6 중, 124는 터치패널, 200은 제어부, 201은 CD/MD 재생부, 202는 라디오 수신부, 203은 TV 수신부, 204는 DVD 재생, 205는 하드디스크(HD: Hard Disk) 재생부, 206은 내비게이션부, 207은 분배 회로, 208은 제 1 화상 조정 회로, 209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 210은 음성 조정 회로, 211은 화상 출력부, 212는 VICS 정보 수신부, 213은 GPS 정보 수신부, 214는 실렉터, 215는 조작부, 216은 리모컨 송수신부, 217은 리모컨, 218은 메모리, 219는 외부 음성/영상(화상) 입력부, 220은 카메라, 221은 밝기 검지부, 222는 탑승자 검지부, 223은 리어 표시부, 224는 ETC 차량 탑재기, 225는 통신 유닛이다.
표시부(7)는 터치패널(124), 액정 패널(100) 및 백라이트(101)로 구성된다. 표시부(7)의 액정 패널(100)은 지금까지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시방향으로서 운 전석 측에서 볼 수 있는 화상과, 제 2 시방향으로서 조수석 측에서 볼 수 있는 화상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부(7)에는 액정 패널 이외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유기 EL(Elc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패널,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냉음극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각종 소스(CD/MD 재생부(201), 라디오 수신부(202), TV 수신부(203), DVD 재생부(204), HD 재생부(205) 및 내비게이션부(206))로부터의 화상이나 음성은 제어부(2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좌측용으로 지정된 화상 소스의 화상 데이터를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에, 우측용으로 지정된 화상 소스의 화상 데이터를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에 분배시키는 분배 회로(207)를 통하여, 화상이면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에, 음성이면 음성 조정 회로(210)에 각각 분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208, 209)에서는 휘도나 색조, 콘트라스트 등이 조정되고, 조정된 각 화상을 화상 출력부(211)에서 표시부(7)에 표시시킨다. 또한 음성 조정 회로(210)에서는 각 스피커로의 분배나 음량, 음성이 조정되고, 조정된 음성이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된다.
도 7은 화상 출력부(211)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중, 226은 제 1 기입 회로, 227은 제 2 기입 회로, 228은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 그래픽·디스플레이의 프레임·버퍼 전용 RAM)이다.
화상 출력부(211)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입 회로(226)와 제 2 기입 회로(227)와 VRAM(Video RAM)(228)과 표시부 구동부(111)를 구 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입 회로(226)는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에서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 홀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즉, 도 1의 제 1 표시 화상(8)용 화상 데이터)를, 제 2 기입 회로(227)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에서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 짝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즉, 도 1의 제 2 표시 화상(9)용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각 VRAM(228)에서의 해당하는 영역에 기입한다. 또한 표시부 구동부(111)는 액정 패널(100)을 구동하는 회로이며, VRAM(228)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제 1 화상 데이터와 제 2 화상 데이터의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100)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한다. 또한, VRAM(228)에는 제 1 화상 데이터와 제 2 화상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뷰 표시용 화상에 대응하도록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구동 회로는 한 개일 수도 있고, 그 동작도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제 1 화상 데이터와 제 2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지 않고,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하는 제 1 표시 패널 구동 회로 및 제 2 표시 패널 구동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 나타낸 각종 소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면, HD 재생부(205)를 선택한 경우, 하드디스크(HD)에 기억된 MP3 파일 등의 음악 데이터나 JPEG 파일 등의 화상 데이터, 내비게이션용 지도 데이터 등이 판독되고, 음악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표시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7)에 표시시킬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6)는 내비게이션을 위해 이용되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 지도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VICS 정보 수신부(212), GPS 정보 수신부(213)로부터 정 보를 입수하고, 내비게이션 동작을 위한 화상을 작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TV 수신부(203)는 안테나로부터 실렉터(214)를 통하여, 아날로그 TV 방송파 및 디지털 TV 방송파를 수신한다.
도 8은 제어부(200)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중, 229는 인터페이스, 230은 CPU, 231은 기억부, 232는 데이터 기억부이다.
제어부(200)는 분배 회로(207) 및 각종 소스를 제어하고, 선택된 2개의 소스 또는 한 개의 소스에 대해서 표시를 행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이들 각종 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메뉴 표시를 표시부(7)에 표시시키는 것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229)를 통하여, 표시 장치 내의 각 부나 각 회로를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있는 CPU(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CPU(230)에는 표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ROMCPU(7a)를 구비하고 있다. 이 CPU(7a)에는 표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R0M(Read-0nly Memory: 리드·온리·메모리)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기억부(231)와, 각종 데이터를 유지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랜덤·액세스·메모리)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기억부(2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ROM이나 RAM 등은 CPU에 내장된 것에도 외부에 설치된 것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OM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기적으로 재기입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다.
이용자(유저)는 상기 각종 소스의 제어를, 표시부(7)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 패널(124)이나 표시부(7) 주위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음성 인식 등의 입 력 조작이나 선택 조작을 조작부(215)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송수신부(216)를 통하여, 리모컨(217)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 조작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이 터치 패널(124)이나 조작부(215)의 조작에 따라, 각종 소스를 포함한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도 2와 같이 차량 내에 복수 구비된 스피커(16)의 각 음량 등을, 음성 조정 회로(210)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메모리(218)에 화질 설정 정보나 프로그램, 차량 정보 등의 각종 설정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도 행하고 있다.
도 9는 메모리(218)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중, 233은 제 1 화면 RAM, 234는 제 2 화면 RAM, 235는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 236은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이다. 또한, 상기 제 1 화면 RAM, 제 2 화면 RAM,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 및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도 17에서도 후술한다.
메모리(218)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가 설정한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값을 각각 기입할 수 있는 제 1 화면 RAM(233) 및 제 2 화면 RAM(234)을 갖는다. 또한,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경우에, 판독할 수 있는 프리셋 값으로서 각 화질 조정용에 미리 복수 단계의 화질 조정값이 기억되어 있는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235)도 갖는다. 또한 차 밖의 밝기 변화 등의 주위 환경 변화에 따른 화질을 조정하기 위해서, 주위 환경에 대한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값을 유지하는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236)를 갖고 있다. 여기서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235) 및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236)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전기적으로 재기입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배터리 백 업된 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외부 음성/영상(화상) 입력부(219)에 접속된, 예를 들어 후방 감시용 카메라(220)로부터의 영상(화상)을 표시부(7)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후방 감시용 카메라(220) 이외에, 비디오 카메라 및 게임기 등을 외부 음성/영상(화상) 입력부(219)에 접속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밝기 검지부(221)(예를 들어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나 광센서)나 탑승자 검지부(222)(예를 들어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되는 감압(感壓) 센서)에 의해 검지된 정보를 기초로, 음성의 정위(定位) 위치 등의 설정을 변경시킬 수 있다.
223은 차량의 뒷좌석용에 설치된 리어 표시부이며, 화상 출력부(211)를 통하여 표시부(7)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것, 또는 운전석용 화상 또는 조수석용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ETC 차량 탑재기(224)로부터의 요금 표시 등을 표시시키는 것을 행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휴대 전화 등과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유닛(225)을 제어하고, 이것에 관한 표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첨부 도면(도 10∼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45는 멀티뷰 표시를 위한 표시 패널(즉, 표시부, 도 10에서는 멀티뷰 표시 패널이라고 함)이며, 패널에 대하여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에서 관찰할 수 있는 2종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표시 패널은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의 표시 패널을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표시 패널(45)에서 동시에 표시되는 2종류의 화상(46, 47)이 어떻게 유저(이용자)에게 관찰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45)의 좌측에서 보는 유저에게는 화상(46)이 관찰되고, 우측에서 보는 유저에게는 화상(47)이 관찰된다. 좌측 유저는 화상(47)을 관찰할 수 없고, 우측 유저는 화상(46)을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좌측 유저는 우측 유저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화상을 볼 수 있고, 우측 유저는 좌측 유저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10에서, 2s 및 3s는 제 1 및 제 2 외부 화상 소스를 나타낸다. 4p는 표시 패널 구동부이며, 제 1 및 제 2 외부 화상 소스(2s, 3s)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 패널(45)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4p)는 좌측 화상(46)을 위한 화질 조정 회로(41), 우측 화상(47)을 위한 화질 조정 회로(42) 및 표시 패널 구동 회로(43)를 포함하고 있다. 화질 조정 회로(41)는 제 1 화상 소스(2s)의 화질을 예를 들어 브라이트니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등에 대해서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화질 조정 회로(42)는 제 2 화상 소스(3s)의 화질을 브라이트니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색조 등에 대해서 조정한다. 조정 후의 신호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43)에 입력되고, 표시 패널(45) 위에서 화상(46, 47)을 표시하기 위해 신호 처리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에서는 외부 화상 소스(2s 및 3s)에 대하여 각각 화질 조정 회로(41, 4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이한 화상 소스(2s, 3s)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화질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45, 46)에서, 각각 최적으로 조정된 화질을 갖는 화상이 표시되고, 유저는 쾌적하게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구체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의 멀티뷰 표시 장치는 상술한 도 10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 외부 입력 장치(18) 및 CPU(19)를 설치하고 있다. 도 12에서도, 상술한 도 10의 경우와 동일하게, 멀티뷰 표시를 위한 표시 패널(45)이 설치되어 있고, 이 표시 패널에 대하여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에서 관찰할 수 있는 2종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에서도, 상술한 도 10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 1 화상 소스(2s) 및 제 2 화상 소스(3s)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의 멀티뷰 표시 장치는 상술한 도 10의 경우와 동일하게, 표시 패널 구동부(4p)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 패널 구동부(4p)는 좌측 화상(46)을 위한 화질 조정 회로(41), 우측 화상(47)을 위한 화질 조정 회로(42) 및 표시 패널 구동 회로(43)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의 표시 패널 구동부(4p)는 제 1 화상 소스(2s) 및 제 2 화상 소스(3s)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 화질 조정부(도 12에서는 화질 조정 회로(41) 및 화질 조정 회로(42))를 갖는 화질 조정 장치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질 조정 장치는 IC(집적 회로)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화질 조정 장치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43)를 포함하지 않고, 복수의 화질 조정 부(도 12에서는 화질 조정 회로(41) 및 화질 조정 회로(4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의 멀티뷰 표시 장치는 화질 조정을 위한 설정값을 입력하는 외부 입력 장치(18)(즉, 입력부)와,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화질 조정 회로(41) 및 화질 조정 회로(42)를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입력 장치(18)는 도시하지 않은 화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 화질 조정 조작부, 및 화질 조정 완료 지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서, 화질 조정을 위한 설정값은 외부 입력 장치(18)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설정된다. 이 설정 정보는 CPU(19)에 도입되고, CPU(19)에서는 당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 조정 회로(41) 및 화질 조정 회로(4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화질 조정 회로(41) 및 화질 조정 회로(42)는 CPU(19)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화상 소스(2s, 3s)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각 화상(46, 47)의 화질 조정을 행한다. 또한, 도 12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부(4p)의 외부에 CPU(19)를 설치하고 있지만, CPU(19)가 표시 패널 구동부(4p)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2의 CPU(19)의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는 도 12의 CPU(19)가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개시 지시를 검출했을 때에 실행한다. 즉, 유저(이용자)에 의해, 외부 입력 장치(18)의 화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가 조작되면, 본 플로차트가 실행된다.
우선,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13b로 진행되고,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c로 진행된다(스텝 S13a). 즉, 스텝 S13a는 유저(이용자)가 외부 입력 장치(18)의 화질 조정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13b로 진행되고, 화질 조정 조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c로 진행된다.
스텝 S13b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에 따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에 화질 조정 지시를 출력하고, 스텝 S13c로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이용자)의 외부 입력 장치(18)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이 변경된다.
즉, 좌측 화상(46)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회로(41)를 제어하여 좌측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고, 우측 화상(47)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회로(41)를 제어하여 우측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여 스텝 S13c로 진행된다.
스텝 S13c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완료 지시가 입력된 경우(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부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부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3a로 되돌아간다. 또한, 화질 조정 완료 지시의 검출 방법으로서,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의 입력 검출이 아니고, 외부 입력 장 치(18)의 최후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화질 조정 조작 완료라고 판별할 수도 있다.
본 처리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 회로(41, 42)에 화질 조정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화질 조정 회로(41, 42)에 대한 화질 조정 지시는 화질 조정 조작 완료 지시가 입력된 후일 수도 있다.
도 12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화질 조정 장치로서 기능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IC에 의해 제작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화질 조정 장치의 제작 공정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멀티뷰 표시 장치 전체의 치수가 작아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5는 화상 사이즈가 상이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도면(도 14, 도 15)에서, 도 10∼도 12와 공통의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50은 본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시 패널 구동부이며, 6e는 예를 들어 리모컨의 조작키, 또는 터치 패널 입력부 등으로 구성되는 외부 입력 장치(즉, 입력부)를 나타낸다. 또한, 외부 입력 장치(6e)는 도시하지 않은 화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 화질 조정 조작부, 화질 조정 완료 지시 조작부, 화상 사이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부, 및 화상 사이즈 조정 완료 지시 조작부를 구비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50)는 화질 조정 회로(51),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 표시 패널 구동 회로(53), CPU(54), 설정값 표시 회로(55) 및 메모리(5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화질 조정 회로(41, 42)를 제 1 및 제 2 화상 소스(2s 및 3s)에 대하여 독립하여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회로 규모가 비교적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개의 화질 조정 회로(51)를 타이밍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제 1, 제 2 화상 소스(2s, 3s)로부터의 상이한 화상 신호로 별개 화질 조정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의 타이밍 조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에는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화상(46, 47)의 독립된 화상 사이즈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5에서는 좌측 화상(46)에 관하여, 확대된 화상 사이즈의 화상(46')과, 축소된 화상 사이즈의 화상(46")이 예시되어 있고, 우측 화상(47)에 관하여, 확대된 화상 사이즈의 화상(47')과, 축소된 화상 사이즈의 화상(47")이 예시되어 있다. 좌측 화상(46, 46') 및 화상(46")은, 우측 화상(47, 47' 및 47")과는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소스에 의해, 화상 사이즈가 노멀(normal) 화상, 와이드(wide) 화상, 풀(full) 화상 등 다양한 것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저는 자기가 보고 있는 화상을 화상 소스에 적합한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쾌적한 화상의 시청이 가능해지지만,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화상 사이즈 조정에 의해 다른 쪽 화상 사이즈도 변경되게 되기 때문에, 자기의 형편에 따라 자유롭게 화상 설정을 행할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사이즈를 각각의 화상 소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화상에 대한 영향을 신경쓰지 않고 유저 자신이 보고 있는 화상 사이즈 조정이 가능해져 유저의 쾌적한 시청이 촉진된다. 또한,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도 화질 조정 회로(51)와 마찬가지로, 한 개의 회로(52)를 타이밍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별개의 화상(46, 47)의 독립된 사이즈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화질 조정을 위한 설정값은 외부 입력 장치(6e)를 사용하여 유저에 의해 설정된다. 이 설정 정보는 CPU(54)에 도입되고, CPU(54)에서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 조정 회로(51) 및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회로(51, 52)에 출력한다. 화질 조정 회로(51) 및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는 CPU(54)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제 2 화상 소스(2s, 3s)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각 화상(46, 47)의 화질 조정, 화상 사이즈 조정을 행한다.
도 16은 도 14의 CPU(54)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도 16의 (a)는 화질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며, 도 16의 (b)는 화상 사이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6의 (a)의 플로차트는 도 14의 CPU(54)가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개시 지시를 검출했을 때에 실행한다. 즉, 유저(이용자)에 의해, 외부 입력 장치(6e)의 화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가 조작되면, 본 플로차트가 실행된다.
우선,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16b로 진행되고, 화질 조정 지 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c로 진행된다(스텝 S16a). 즉, 스텝 S16a는 유저(이용자)가 외부 입력 장치(6e)의 화질 조정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16b로 진행되고, 화질 조정 조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c로 진행된다.
스텝 S16b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에 따라, 화질 조정 회로(51)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 지시를 출력하는 동시에, 메모리(54)에 화질 조정 설정값을 출력하고 스텝 S16c로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이용자)의 외부 입력 장치(6e)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이 변경된다.
즉, 좌측 화상(46)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회로(51)를 제어하여 좌측 화상(46)의 화질을 조정하고, 우측 화상(47)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회로(51)를 제어하여 우측 화상(47)의 화질을 조정하고 스텝 S16c로 진행된다.
스텝 S16c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조작 완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완료 지시가 입력된 경우(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부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부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6a로 되돌아간다. 또한, 화질 조정 완료 지시의 검출 방법으로서,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의 입력 검출이 아니고, 외부 입력 장치(6e)의 최후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화질 조정 조작 완료라고 판별할 수도 있다.
본 처리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 회로(51)에 화질 조정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화질 조정 회로(51)에 대한 화질 조정 지시는 화질 조정 조작 완료 지시가 입력된 후일 수도 있다.
도 16의 (b)의 플로차트는 도 14의 CPU(54)가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개시 지시를 검출했을 때에 실행한다. 즉, 유저(이용자)에 의해, 외부 입력 장치(6e)의 화상 사이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가 조작되면, 본 플로차트가 실행된다.
우선,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16c로 진행되고,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f로 진행된다(스텝 S16d). 즉, 스텝 S16d는 유저(이용자)가 외부 입력 장치(6e)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16e로 진행되고,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f로 진행된다.
스텝 S16e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에 따라,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에 화상 사이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를 출력하는 동시에, 메모리(56)에 화상 사이즈 조정 설정값을 출력하고 스텝 S16f로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이용자)의 외부 입력 장치(6e)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상 사이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상 사이즈가 변경된다.
즉, 좌측 화상(46)이 화상 사이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유저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를 제어하여 좌측 화상(46)의 화상 사이즈를 조정하고, 우측 화상(47)이 화상 사이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외부 입력 장치(18)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유저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를 제어하여 우측 화상(47)의 화상 사이즈를 조정하고 스텝 S16f로 진행된다.
스텝 S16f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완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완료 지시가 입력된 경우(유저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부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외부 입력 장치(6c)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완료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유저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부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6d로 되돌아간다. 또한, 화상 사이즈 조정 완료 지시의 검출 방법으로서,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완료 지시의 입력 검출이 아니고, 외부 입력 장치(6e)의 최후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 완료라고 판별할 수도 있다.
본 처리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에 따라, 화상 사이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에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에 대한 화상 사이즈 조정 지시는 화상 사이즈 조정 조작 완료 지시가 입력된 후일 수도 있다.
CPU(54)는 상술한 도 16의 플로차트가 실행되었을 때, 설정값 표시 회로(5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입력 장치(6e)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의 설정 정보를 대응하는 화상(46 또는 47) 위에 표시시킨다. 또한, 유저의 설정 정보를 대응하는 화상(46 또는 47) 위에 표시시키는 것이 아니고, 좌측용 화상(즉, 좌측 화상)(46) 또는 우측용 화상(즉, 우측 화상)(47)으로서 유저의 설정 정보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은 좌측용 화상(즉, 좌측 화상)(46)으로서, 유저의 설정 정보 화상을 표시시킨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제, 표시 패널(45) 좌측에 위치하는 유저가, 자신이 보고 있는 화상을 리모컨 등을 통하여 화질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좌측용 화상(즉, 좌측 화상)(46)으로서 유저의 설정 정보 화상, 즉 콘트라스트(50), 브라이트니스(50)가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자신의 설정의 상세를 확인하면서 화질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표시는 설정을 행하는 유저 측만 표시되고, 다른 쪽에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화상을 시청 중인 유저는 화질 설정 중인 유저의 행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시청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 장치(6e)에서의 입력 방법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우측 화상의 화질 조정의 상세를 좌측 화상 위에, 또는 좌측용 화상으로서 표시하면서, 우측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좌측 유저가 좌측 화상(46a)을 보면서, 우측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값 표시 회로(55)에 의해,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화상(46a) 위에 우측 화상의 조정을 행하고 있는 것을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어느 쪽 화상을 조정하고 있는지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도 14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6e)로부터의 입력 정보, 화질 조정 회로(51)에서의 화질 조정값,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에서의 화상 사이즈 조정값이 메모리(56)에 기억된다. 기억된 이들 설정값은 유저에 의한 다음번의 화질 조정, 화상 사이즈 조정에 이용된다. 즉, 다음번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경우, 우선 메모리(56)에 기억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화질 및 화상 사이즈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초기 설정값을 화상 위에 또는 화상으로 하여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전회(前回)의 설정 상에서 새로운 설정을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회와 동일한 설정을 원하는 경우는 조정 작업이 필요없고, 또는 전회의 설정값을 참고로 하면서 새로운 설정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질 조정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진다.
또한, 메모리(56)에 기억된 설정값을 좌측용 화상 및 우측용 화상(46, 47)의 조작에 공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모리 회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좌측용 화상(46) 또는 우측용 화상(47) 중 어느 하나에서 조정한 설정값을 다른 쪽 화상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새롭게 다시 조정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56)는 외부 부착 메모리일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4에 나타내는 회로에서, 타이밍 조정에 의해 제 1, 제 2 화상 소스(2s, 3s)의 화질 조정을 독립하여 행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 16에서는 화질 조정 회로(51)와 CPU(54)에 의해 화질 조정을 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화상 사이즈 조정 회로(52)도 동일한 타이밍 제어에 의해 2개의 화상에서 독립된 조정이 가능하다.
도 18의 클록(1)은 시스템 동작 클록을 나타내고, 클록(2)은 클록(1)의 2분주(分周) 클록을 나타낸다. 클록(2)에 의해 제 1 화상 소스, 제 2 화상 소스에 대한 화질 조정의 설정 배분을 행하고 있다. 도 18의 '설정값'에서, 사선 부분(a)은 제 1 화상 소스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나타내고, 공백 부분(b)은 제 2 화상 소스(3)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나타낸다.
클록(2)이 하이 레벨일 때, 제 1 화상 소스(2s)의 데이터와 설정값의 사선 부분(a)의 데이터로부터 제 1 화상 소스(2s)의 화질 조정을 행하고, 클록(2)이 로우 레벨일 때, 제 2 화상 소스(3s)의 데이터와 설정값의 공백 부분(b)의 데이터로부터 제 2 화상 소스의 화질 조정을 행한다. 도면의 '제 1 화상 소스 출력'은 제 1 화상 소스 데이터와 설정값에 의한 연산 결과를 나타내고, '제 2 화상 소스 출력'은 제 2 화상 소스 데이터와 설정값에 의한 연산 결과를 나타낸다.
즉, 제 1 화상 소스의 데이터(A1, A2, A3, A4…)에 대하여 설정값(a)을 연산한 값(A1×a, A2×a…)이 제 1 화상 소스 출력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출력되고, 제 2 화상 소스의 데이터(B1, B2, B3, B4…)에 대하여 설정값(b)을 연산한 값(B1×b, B2×b…)이 제 2 화상 소스 출력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출력된다.
'제 1 화상 소스 출력'은 도 14의 화질 조정 회로(51)로부터 출력되고, 화상(46)을 제어하여 구동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회로(53)에 입력된다. '제 2 화상 소스 출력'도 동일하게 화질 조정 회로(51)로부터 출력되고, 화상(47)을 제어하고 또한 구동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회로(53)에 입력된다.
이상의 제어에 의해, 화질 조정 회로(51)에 의해 2개의 화상(46, 47)의 화질이 독립하여 제어된다. 브라이트니스, 콘트라스트 등의 화질 조정은 연산기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으로, 각각의 연산 횟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실제의 타이밍은 도 18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와는 약간 상이한 것으로 되지만, 기본적인 동작은 동일하다.
이어서, 첨부 도면(도 19∼도 3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표시부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개별적으로 화질 조정이 이루어진 화상 소스로부터의 2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VRAM(Video RAM)(73)에 기입함으로써, 서로 독립된 2종류의 화상을 동일한 멀티뷰 표시 패널(20)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차량 탑재용 멀티뷰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17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대하여 멀티뷰 표시를 행하게 하기 위한 표시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10a)에서는 운전석 등의 제 1 방향에서 관찰되는 제 1 화상과 조수석 등의 제 2 방향에서 관찰되는 제 2 화상이, 동일한 멀티뷰 표시 패널(20)에 대하여 각각 동시에 표시된다.
멀티뷰 표시 패널(10a)의 우측에서 보는 유저(예를 들어 운전자)에게는 제 1 화상이 관찰되고, 좌측에서 보는 유저(예를 들어 조수석에 있는 탑승자)에게는 제 2 화상이 관찰된다. 우측 유저는 제 2 화상을 관찰할 수 없고, 좌측 유저는 제 1 화상을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우측 유저는 좌측 유저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화상을 볼 수 있고, 좌측 유저는 우측 유저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9의 표시부(10a)는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면 측에 광학계 분리 소자(13a)가 설치되어 멀티뷰 표시 패널(20)이 형성되고, 또한 그 앞면에 터치패널(12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원리적으로는 액정 표시 패널(11a) 이외에,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나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광학계 분리 소자(13a)에 대해서는 액정 셔터로 구성하여 액티브한 것(예를 들어 가변 셔터)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패널(12a)은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한 쌍의 투명 절연 기판(120a, 128a), 상기 한 쌍의 투명 절연 기판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122a, 126a), 및 상기 투명 전극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도트 스페이서(124a) 등으로 구성된다. 유저가 투명 절연 기판(120a) 위를 가압함으로써 도트 스페이서(124a)가 투명 전극(126a)에 접촉하면, 그 접점의 위치가 전기 저항의 측정에 의해 검출되고, 도 19의 CPU(7a)에서, 입력 정보가 판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12a)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방식의 것 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0의 액정 표시 패널(11a)은 액정 표시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종방향에 복수의 띠형상부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되고, 제 1 화상에 대응하는 제 1 표시 영역(110a)과,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제 2 표시 영역(112a)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0의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면 측에 광학계 분리 소자(13a)가 배치되어 멀티뷰 표시 패널(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74)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광학계 분리 소자(13a)는, 운전석에서 관찰되는 제 1 화상과, 조수석에서 관찰되는 제 2 화상을 소정 시야각으로 분리하여 멀티뷰 표시를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형성되는 투명 커버(또는 투명 절연 기판)(130a)를 갖는다. 이 투명 커버(130a)의 표리(表裏) 면에는 복수의 차광부(131a, 133a)가 번갈아 형성되고, 그 결과로서, 복수의 투광성 슬릿부(132a, 134a)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투명 커버(130a)의 표리 면에 복수의 차광부 및 복수의 투광성 슬릿부를 형성하는 예가 나타나 있지만, 투명 커버(130a)의 한쪽 면에만 복수의 차광부 및 복수의 투광성 슬릿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을 포함하는 제 1 시야 영역 내의 제 1 탑승자(예를 들어 운전자)(171)는 광학계 분리 소자(13a)의 작용에 의해, 제 1 표시 영역(110a)의 집합체로서의 화상만을 운전석용 제 1 화상으로서 시인(視認)할 수 있고, 조수석을 포함하는 제 2 시야 영역 내의 제 2 탑승자(예를 들어 조수석에 있는 탑승자)(172a)는 광학계 분리 소자(13a)의 작용에 의해, 제 2 표시 영역(112a) 의 집합체로서의 화상만을 조수석용 제 2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는, 한 개의 화면을 종방향으로 복수 분할한 한 개 간격의 화상을 시인하게 되지만, 한 개의 표시 영역의 폭을 매우 좁게 함으로써, 운전석 측으로부터도, 조수석 측으로부터도 별개의 화상을 각각 동시에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는 투광성 슬릿부를 사용하고, 멀티뷰에서의 시인 각도나 시인 범위나, 크로스토크 등이 결정된다.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소스의 예로서, 텔레비전 수상기(21)나 내비게이션 장치(22), DVD 재생기(32) 등이 설치되고, 각각이 상이한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화상 소스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패널 구동부(40)는 표시하는 것이 선택된 화상 소스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데이터(상이한 화상 소스의 화상도 표시하는 경우는 선택된 2개의 화상 소스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멀티뷰 표시 패널(20)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각각 대응하는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멀티뷰 표시 패널(20) 각각의 영역에 각각 표시시킨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도 19의 표시 패널 구동부(40)는 각 화상 소스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데이터가 동시에 입력되는 분배 회로(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배 회로(60)에서는 유저가 선택한 화상 소스 2종류의 화상 데이터(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도 있음)가 다음 단(段)에 출력된다.
또한, 도 19의 표시 패널 구동부(40)는 제 1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와, 제 2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2 화질 조정 회로(6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 의한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과,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의한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은 서로 독립하여 수행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화질 조정 회로(61, 62)에 의한 화질 조정 방법으로서는 아날로그적으로 행하는 방법도 있지만,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처리용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하고, 그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연산 처리함으로써 화질 조정을 행하는 것이 실제로는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의 표시 패널 구동부(40)는 제 1 기입 회로(71)와, 제 2 기입 회로(72)와, VRAM(73)과, 표시 패널 구동 회로(7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기입 회로(71)는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의 홀수열(멀티뷰 표시 패널(11a) 화면의 홀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VRAM(73)에서의 해당하는 영역에 기입하고, 제 2 기입 회로(72)는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의 짝수열(멀티뷰 표시 패널(11a) 화면의 짝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VRAM(73)에서의 해당하는 영역에 기입한다.
표시 패널 구동 회로(74)는 액정 표시 패널(11a)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회로이며, VRAM(73)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제 1 화상 데이터와 제 2 화상 데이터의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11a)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VRAM(73)에는 멀티뷰 표시용 화상에 대응하도록 화상 데이 터의 기입이 행해져 있기 때문에, 구동 회로는 한 개로 되고, 그 동작도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한, 도 19의 표시 패널 구동부(40)는 분배 회로(60), 제 1 화질 조정 회로(61), 제 2 화질 조정 회로(62), 제 1 기입 회로(71), 제 2 기입 회로(72), VRAM(73), 및 표시 패널 구동 회로(74)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의 CPU(7a)를 구비하고 있다. 이 CPU(7a)에는 표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ROM 등의 프로그램 기억부(69)와, 각종 데이터를 유지하는 RAM 등의 데이터 기억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ROM이나 RAM 등을 CPU의 외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CPU에 내장된 ROM이나 RAM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버튼 스위치나 리모컨 조작키 등의 조작부(27)나, 제 1 화상 또는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예를 들어 선택 버튼 등)(28)를 포함하는 입력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26)로서, 화질 조정 조작 지시부, 화질 조정 조작 완료 지시부, 화질 조정 조작부 등을 들 수 있고, 선택부(28)로서, 화질 조정 복사 조작부, 모드 전환 조작부, 화질 조정 교체 조작부,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선택부(28)는 상술한 터치 패널의 조작부(26)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와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를 겸용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판독 조작부를 설치하고, 조작 상태(긴 버튼/짧은 버 튼)로 기능(등록 지시/판독 지시)을 전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화질 관계의 데이터 기억부로서, 제 1 화상 또는/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프리셋 값으로서 미리 또는 후술하는 등록 처리에 의해 유지하는 프리셋 RAM(즉, 프리셋 유지부)(66)이나,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각각 기입되는 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이나,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각 화질 조정 상태의 빈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나, 주위 환경에 대하여 설정되는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를 유지하는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68)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로서, 제 1 화상에서의 화질 조정값에 의한 조정 빈도와, 제 2 화상에서의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한 조정 빈도를 기억하는 조정 빈도 기억부를 들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프리셋 RAM(66)에는 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에 대응하여 제 1 화상 또는/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가 조작되면, 해당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판독되고, 제 1 화면 RAM(64) 또는 제 2 화면 RAM(65)에 기입되고(선택된 화면 측에 대응), 제 1 화상 또는/및 제 2 화상의 화질이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기초하여 조정되게 된다. 또한, 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예를 들어 등록 스위치) 및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 1 화상용 RAM(64) 또는/및 제 2 화상용 RAM(65)에 기입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프리셋 RAM(66)에서의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기입된다. 또한, 프리셋 RAM(66) 내의 프리셋 조정값의 일부를 메이커로 설정한 고정값으로 하는 방법도 유용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와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를 겸용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판독 조작부를 설치하고, 조작 상태(긴 버튼/짧은 버튼)로 기능(등록 지시/판독 지시)을 전환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의 조작마다 프리셋 RAM(66)이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지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사이클릭에 판독된다.
또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는 주위 환경 센서(예를 들어 밝기 센서 등)(17)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16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위 환경 센서는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의 변화를 공통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한 개의 주위 환경 센서일 수도 있고,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의 변화를 각각 따로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주위 환경 센서일 수도 있다.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 의하면, 운전석 등에서 관찰되는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과, 조수석 등에서 관찰되는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을 각각 독립하여 행하는 2종류의 화질 조정 회로를 설치하고, 화질이 조정된 각각의 화상 데이터를 VRAM(73)에 기입함으로써,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서로 독립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음량·음질 조정 회로(81), 제 1 음량·음질 조정 회로(82), 분배 회로(83), 제 1 스피커(91), 제 2 스피커(92), 및 헤드폰(93)이 설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제 1 음량·음질 조정 회로(81)는 화상 소스의 제 1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1 음향 신호의 음량·음질의 조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제 2 음량·음질 조정 회로(82)는 화상 소스의 제 2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2 음향 신호의 음량·음질의 조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제 1 음량·음질 조정 회로(81)에 의한 제 1 음향 신호의 음량·음질 조정과, 제 2 음량·음질 조정 회로(82)에 의한 제 2 음향 신호의 음량·음질의 조정은 서로 독립하여 수행된다. 분배 회로(83)는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각 화상에 대한 음성을 어느 스피커로부터 출력할지를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각 화상에 대한 음성을 전환하거나 혼합한다.
분배 회로(83)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지정된 제 1 스피커(91), 제 2 스피커(92) 및 헤드폰(93)에 의해 출력함으로써,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서로 독립된 음향 신호의 음질·음량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향 신호의 음질·음량의 조정에 관하여도, 상술한 화질 조정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음질·음량의 조정값의 프리셋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한 프리셋 스위치에 대응한 음질·음량의 프리셋 조정값이 제 1 음질·음량 조정 회로(81) 또는 제 2 음질·음량 조정 회로(82)에 입력된다.
도 21은 2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VRAM(73)에 기입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도이다.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석(D)에서 관찰되는 제 1 화상에 대응하는 제 1 화상 데이터의 화질 조정은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 의해 수행되고, 조수석에서 관찰되는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제 2 화상 데이터의 화질 조정은 상기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와는 별개의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의해 수행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 의해 화질 조정이 이루어진 제 1 화상 데이터(ID-1)는 제 1 기입 회로(71)(도 19 참조)를 통하여 VRAM(73)에 기입되는 동시에,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의해 화질 조정이 이루어진 제 2 화상 데이터(ID-2)는 제 2 기입 회로(72)(도 19 참조)를 통하여 VRAM(73)에 기입된다. 여기서, 화질 조정 후의 제 1 화상 데이터(ID-1) 및 화질 조정 후의 제 2 화상 데이터(ID-2)는 1라인마다 번갈아 동일한 VRAM(73)에 기입된다. 환언하면, VRAM(73)에서, 제 1 화상 데이터(ID-1)는 예를 들어 홀수번째 열의 한 개 간격의 어드레스에 따라, D1, D3, D5…와 같이 기입된다. 또한, 제 2 화상 데이터(ID-2)는 예를 들어 짝수번째 열의 한 개 간격의 어드레스에 따라, P2, P4, P6…와 같이 기입된다.
그리고, VRAM(73)에 유지되어 있는 제 1 화상 데이터(ID-1) 및 제 2 화상 데이터(ID-2)로 이루어지는 합성 화상이 표시 패널 구동 회로(74)(도 19 참조)에 의해, 표시부(10a)에 표시된다. 즉 최종적으로, 제 1 화상 데이터(ID-1) 및 제 2 화상 데이터(ID-2)는 표시부(10a) 위의 액정 표시 패널(11a)의 제 1 표시 영역(110a) 및 제 2 표시 영역(112a)에 각각 표시된다.
도 22 및 도 23은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플로차트 및 제 2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는 도 19의 CPU(7a)가 입력부(26)(조작부(27))로부터의 화질 조정 개시 지시를 검출했을 때에 실행한다. 즉, 유저(이용자)에 의해, 외부 입력 장치(CPU(7a))의 화질 조정 개시 지시 조작부가 조작되면, 본 플로차트가 실행된다. 또한, 도 22의 스텝 S22c, S22d는 독립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처리이고, 스텝 S22e, S22f는 독립 모드에서의 화질 복사 처리이고, 스텝 S22g, S22h는 독립 모드에서의 프리셋 처리이고, 스텝 S22i, S22j는 독립 모드에서의 프리셋 판독 처리이고, 도 23의 스텝 S22k, S22l은 공통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처리이고, 스텝 S22m, S22n은 공통 모드에서의 화질 전환 복사 처리이고, 스텝 S22o, S22p는 공통 모드에서의 프리셋 처리이며, 스텝 S22q, S22r은 공통 모드에서의 프리셋 판독 처리이다.
우선, 후술하는 화질 조정용 화상의 표시 지시를 화질 조정 회로, 기입 회로에 출력하여 스텝 S22b로 진행된다(스텝 S22a).
이어서, 입력부(26)(선택부(28))의 모드 전환 조작부로부터의 모드 지시를 검출하고, 멀티뷰 표시 장치의 현재 모드가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별개로 조정하는 독립 모드인지, 또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하는 공통 모드인지를 판정하고, 독립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S22c로 진행되고, 공통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S22k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b에서는 유저(이용자) 입력부(26)(선택부(28))의 모드 전환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판정하고, 독립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S22c로 진행되고, 공통 모드인 경우에는 도 23의 스텝 S22k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면서, 독립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조작부로부터의 조정 지시에 의한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c에서는 입력부(26)(조작부(27))로부터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d로 진행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e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c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d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e로 진행된다.
스텝 S22d에서는 입력부(26)(조작부(27))로부터 화질 조정 지시에 따라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하고,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또는 제 2 화면 RAM(65))에 유지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재기입하는 동시에,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제 1 화질 조정 회로(61) 또는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출력하여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d에서는 제 1 화상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입력부(26)(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조작부에서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제 1 화면 RAM(64)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는 동시에, 제 1 화면 RAM(64)에 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 송신하여 제 1 화상의 화질을 변경하고, 제 2 화상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입력부(26)(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조작부에서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제 2 화면 RAM(65)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 입하는 동시에, 제 2 화면 RAM(65)에 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송신하여 제 2 화상의 화질을 변경하여 스텝 S22s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독립 모드에서의 화질 복사 조작부로부터의 복사 지시에 의한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e에서는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화질 조정 설정값 복사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화질 조정 설정값 복사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f로 진행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g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e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선택부(28))의 화질 복사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복사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f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g로 진행된다.
스텝 S22f에서는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2 화면 RAM(65))로부터 판독하고, 화질 조정 대상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1 화면 RAM(64))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2 화면 RAM(65))로부터 판독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재기입하는 동시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예를 들어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 재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출력하고,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화질 조정 대상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의 화질이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의 화질로 변경된다.
본 처리에서는 상술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질 복사 조작부의 유저(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질 조정 설정값의 복사 지시가 행해지면, 제 1 화상 또는 제 2 화상 중 어느 한쪽 화상(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다른 쪽 화상(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변경되도록 처리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를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로 변경하는 경우, 제 2 화면 RAM(65)의 기억값(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제 1 화면 RAM(64)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도록 하고 있다(또는,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를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로 변경하는 경우, 제 1 화면 RAM(64)의 기억값(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제 2 화면 RAM(65)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운전자가 좌석을 바꿀 때에, 원하는 화질을 그대로 이어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독립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로부터의 등록 지시에 의한 프리셋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g에서는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화질 조정 설정값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등록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h로 진행되고,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i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g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선택부(28))에 설치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 록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설정값의 등록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h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i로 진행된다. 화질 조정 설정값의 등록 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셋 스위치의 조작, 프리셋 스위치+등록 스위치의 조작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스텝 S22h에서는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판독하고,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 영역에 기입하고,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제 1 화상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등록 지시(유저의 등록 조작)에 의해, 제 1 화면 RAM(64)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에 기입된다(또는, 제 2 화상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제 2 화면 RAM(65)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에 기입된다). 또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 영역에 기입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은 한 개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또한,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입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은 각 화상마다 등록 가능할 수도 있고, 화상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기억 가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독립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로부터의 판독 지시에 의한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i에서는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 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로부터의 판독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독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j로 진행되고, 판독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i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선택부(28))에 설치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j로 진행되고,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스텝 S22j에서는,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지지부(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판독하고, 판독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1 화면 RAM(64))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는 동시에, 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예를 들어 제 1 화질 조정 회로(61))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재기입된다.
본 처리에서는, 상술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지면,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판독되고, 화질 조정 대상 화상(제 1 화상 또는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의 설정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셋 RAM(66)에 미리 유지(메이커 프리셋, 유저 프리셋)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각각의 화상에서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에 대응하여 복수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의 조작마다,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사이클릭에 판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면서, 공통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조작부로부터의 조정 지시에 의한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한다.
도 23의 스텝 S22k에서는 입력부(26)(조작부(27))로부터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화질 조정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l로 진행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m으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k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l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m으로 진행된다.
스텝 S22l에서는 입력부(26)(조작부(27))로부터 화질 조정 지시에 따라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하고,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에 유지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재기입하는 동시에,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화질 조정 회로(제 1 화질 조정 회로(61) 및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출력하여 도 22의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l에서는 제 1 화상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인 경우, 입력부(26)(조작부(27))의 화질 조정 조작부에서의 화질 조정 지시(유저의 화질 조정 조작)에 따라, 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의 화질 조 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는 동시에, 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에 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제 1 화질 조정 회로(61) 및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송신하고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을 변경하여 스텝 S22s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22l의 화질 조정은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동일한 화질(제 1 화면 RAM(64)과 제 2 화면 RAM(65)의 각각이 동일한 값)이 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고, 또는 각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동일한 방향(플러스 방향 또는 마이너스 방향)으로 동일한 값만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공통 모드에서의 화질 복사 조작부로부터의 복사 지시에 의한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m에서는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화질 조정 설정값 복사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화질 조정 설정값 복사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n으로 진행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o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m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선택부(28))의 화질 복사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복사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n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o로 진행된다.
스텝 S22n에서는 한 개의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한 개의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1 화면 RAM(64))로부터 판독하는 동시에, 다른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다른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2 화면 RAM(65))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한 개의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다른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2 화면 RAM(65))에 유지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고, 재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각각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에 출력하여 도 22의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한 개의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의 화질이 다른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의 화질로 변경되는 동시에, 다른 화상(예를 들어 제 2 화상)의 화질이 한 개의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의 화질로 변경된다. 또한, 스텝 S22m에서는 각 화상에 대응하는 각 화질 조정 설정값을, 각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로부터 일단 판독하고, 각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도록 처리하고 있지만,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의 정의를 변경(제 1 화면 RAM(64)을 제 2 화면 RAM(65)으로 전환할 것, 및 제 2 화면 RAM(65)을 제 1 화면 RAM(64)으로 전환할 것)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처리에서는 상술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질 교체 조작부의 유저(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질 조정 설정값의 교체 지시가 행해지면, 제 1 화상의 화질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가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로 변경되는 동시에, 제 2 화상의 화질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가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화질 조정 설정값)로 변경되도록 한다. 즉, 제 1 화면 RAM(64)의 값과 제 2 화면 RAM(65)의 값을 교체한다. 이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장시간 운전 등으로 운전자와 조수석에 있는 탑승자가 바뀌 는 경우 등에, 각각의 원하는 화질을 이어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공통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로부터의 등록 지시에 의한 프리셋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o에서는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화질 조정 설정값의 등록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등록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p로 진행되고, 등록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q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o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선택부(28))에 설치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설정값의 등록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p로 진행되고, 등록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q로 진행된다. 화질 조정 설정값의 등록 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셋 스위치의 조작, 프리셋 스위치+등록 스위치의 조작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스텝 S22p에서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판독하고,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입하고, 도 22의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등록 지시(유저의 등록 조작)에 의해, 제 1 화면 RAM(64)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 및 제 2 화면 RAM(65)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에 기입된다. 또한,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입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은 한 개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 도 있다. 또한, 프리셋 RAM(66) 영역에 기입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은 각 화상마다 등록 가능할 수도 있고, 화상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기억 가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공통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로부터의 판독 지시에 의한 화질 조정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22q에서는 입력부(26)(선택부(28))로부터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프리셋 스위치)로부터의 판독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독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22r로 진행되고, 판독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22의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즉, 스텝 S22q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선택부(28))에 설치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2r로 진행되고,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s로 진행된다.
스텝 S22r에서는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에 대응하는 프리셋 유지부(프리셋 RAM(66))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판독하고, 판독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예를 들어 제 1 화면 RAM(64) 및 제 2 화면 RAM(65))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재기입하는 동시에, 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각각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예를 들어 제 1 화질 조정 회로(61) 및 제 2 화질 조정 회로(6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 재기입된다.
본 처리에서는 상술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지면, 조작된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예를 들어, 프리셋 스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셋 RAM(66)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판독되고, 제 1 화상 또는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의 설정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셋 RAM(66)에 미리 유지(메이커 프리셋, 유저 프리셋)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각각의 화상에서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에 대응하여 복수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의 조작마다, 기억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사이클릭에 판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화상마다 상이한 화질 조정 설정값이 화질 조정 설정값 판독 조작부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화상에서 상이한 화질 조정 설정값이 판독된다.
또한, 도 22의 스텝 S22s에서는 입력부(26)(조작부(27))로부터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완료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완료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b로 되돌아간다. 즉, 스텝 S22s에서는 유저(이용자)가 입력부(26)(조작부(27))에 설치된 화질 조정 완료 조작부를 사용하여 화질 조정 완료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행하지 않은 경우(화질 조정 설정값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b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화질 조정 완료 지시의 검출 방법으로서, 입력부(26)(조작부(27))에 설치된 화질 조정 완료 조작부에서의 화질 조정 완료 지시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입력부(26)의 최후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화질 조정 완료라고 판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 모드 또는 공통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전체 표시 영역의 화질 조정(동일한 화질, 동일 방향으로의 조정)을 통합하거나, 각 화상에서 독립하여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사 처리는 공통 모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상술한 교체 처리는 단독 모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화질 조정용 화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도 27은 화질 조정용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제 1∼ 제 4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도 24의 (a)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전체 영역에 화질 조정용 화상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의 (b)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5의 (a)는 특정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의 (a)는 특정 화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6의 (a)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특정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는 구체적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의 (b)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화질 조정 전의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는 구체적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7의 (a)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의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의 (b)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상술한 프리셋 값으로 화질 조정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의 (a)에서는, 화질 조정 대상 화상(예를 들어 제 1 화상)(YP)이 표시되는 표시부(10a)의 표시 영역의 전체 영역에 화질 조정의 목표로 되는 화질 조정용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송 종료 후의 스트라이프 화상과 같은 특정 화상(SP)이나,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을 적색 성분(R), 녹색 성분(G), 및 청색 성분(B)으로 이루어지는 삼원색의 색 성분으로 분할하고, 각 색 성분에 관한 화질의 보정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삼원색의 각 단색 도형을 포함하는 특정 화상이 사용된다. 또한, 특정 화상은 표시예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예를 들어 도 17의 참조 번호 47로 나타내는 도면 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에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할 때에, 특정 화상을 참고로 하면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에서 화상에서의 삼원색의 각 색 성분에 관한 조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정 화상의 표시 개시 시점의 화질은 디폴트 값,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 상술한 프리셋 값의 화질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도 25의 (b)에서는 적색 성분(R), 녹색 성분(G), 및 청색 성분(B)의 가로로 그려진 사각이 화질 조정 설정값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삼각의 우측 옆 사각이 삼원색의 각 색으로 묘화된 화질 조정용 화상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24의 (b)에서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고, 이들 2종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일부에 화질 조정용 화상을 표시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도 25의 (a) 및 (b)에 나타내는 특정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동일 내용 화상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질 처리에 의해 화질 조정용 화상을 참고로 하면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6의 (a)는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일부에 화질 조정용 화상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이며, 내비게이션용 화상의 일부에 특정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질 처리에 의해 특정 화상을 참고로 하면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을 참고로 하여, 특정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고, 화질 조정 처리 조작 종료 후에 조정된 화질을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반영시킬 수도 있고, 특정 화상의 일부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어, 특정 화상의 표시 개시 시점의 화질은 디폴트 값,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 상술한 프리셋 값의 화질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특정 화상이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동일 내용 화상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6의 (b)와 같이,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화질 조정 개시 시점의 화질의 화질 조정 상태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은 동일 내용이지만, 화질 조정용 화상을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화질은 화질 조정 개시 시점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화질 조정 개시 시점의 화질과 비교하면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 조정용 화상의 일부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과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S1)의 반 정도의 영역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로 설정되고, 상술한 조정 조작에 의해 화질이 변화된다. 또한, 표시 영역(S1)의 다른 반 정도의 영역이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로 설정된다. 이 설정은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로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 처리 및 화질 조정 설정값을 대응하는 값으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영역(S1)의 반 정도의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IO-D)과, 표시 영역의 다른 반 정도의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IO-P)은 동일 내용이지만, 화질 조정용 화상으로서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화질은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의 화질을 참고로 하면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복사 조작의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과, 화질 조정용 화상의 화질 중 어느 쪽을 조정할지 선택 가능하게 하고, 화질 조정용 화상의 화질을 조정한 경우에는 화질 조정 완료 후,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에 반영시킬 수도 있다.
도 27의 (b)에서는 표시부(10a)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분할(예를 들어 도 2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화질 조정용 영역(PR-1, PR-2, PR-3 및 PR-4)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상술한 프리셋 값으로 조정된 화질 조정용 화상을 복수 표시하고 있다. 이것도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로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 처리 및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복수의 화질 조정 화상은 동일 내용(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내용)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의하면, 복수의 프리셋 값으로 조정된 화질 조정용 화상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각 화질 조정 상태를 비교할 수 있고, 화질 선택 시,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수는 4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한 개의 분할 영역에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로 조정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질 조정용 화상은 상술한 특정 화상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영역은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판독부에 대응하고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모든 프리셋 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용 화상이 화질 조정용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저(이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나, 소정 시간마다 순차 판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가능한 프리셋 값은 화질 조정 대상 화상에 대응하는 프리셋 값 및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에 대응하는 프리셋 값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2의 스텝 S22a는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용 화상은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상술한 화질 조정용 화상이나,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을 확인할 수 있는 화상(예를 들어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과 동일 내용(동일 화질)의 화상, 화질 조정 대상 화상의 화질로 조정된 화질 조정 대상 이외의 화상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쪽 화질 조정 상태를 참고로 하여, 나중에 화질 조정(복사 등도 포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8∼도 32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CPU(7a)의 화질 조정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1∼제 5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도 28은 화질 조정 설정값에 상한, 하한이 설정된 화질 조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고, 도 29는 도 28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며, 도 30은 도 28의 제 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고, 도 31은 도 28의 제 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또한, 도 32의 (a)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을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 및 대환경 조정 지지부(68)에 유지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고, 도 32의 (b)는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 및 대환경 조정 유지부(68)의 화질 조정 설정값의 유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2 및 도 23의 화질 조정 처리에 적절하게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도 28∼도 32의 각각의 화질 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처리에서는 화질 조정 설정값의 조정 가능 범위(적정 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28을 참조하면서, 도 28의 화질 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4a에서는 도 22(스텝 S22s)의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조정 가능 범위(적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정 범위 내이면 처리를 종료하고, 적정 범위 외이면 스텝 S24b로 진행된다.
스텝 S24b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외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각 구성에 지시를 출력하여 도 22의 스텝 S22b로 되돌아간다.
즉, 본 처리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외인 경우, 화질 조정 처리가 완료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내로 들어가도록 조정을 촉진한다.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면서, 도 29의 화질 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4c에서는 도 22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조정 가능 범위(적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정 범위 내이면 처리를 종료하고, 적정 범위 외이면 스텝 S24d로 진행된다.
스텝 S24d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으로 조정하고,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에 기입하는 동시에,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에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즉, 본 처리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외인 경우, 화질 조정 처리가 완료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의 화질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30을 참조하면서, 도 30의 화질 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4e에서는 도 22(스텝 S22d, 스텝 S22f, 스텝 S22h, 및 스텝 S22j) 및 도 23(스텝 S22l, 스텝 S22n, 스텝 S22p, 스텝 S22q, 및 스텝 S22r)의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조정 가능 범위(적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정 범위 내이면 스텝 S22s로 진행되고, 적정 범위 외 이면 스텝 S24f로 진행된다.
스텝 S24f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외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각 구성에 지시를 출력하여 도 22의 스텝 S22b로 되돌아간다.
즉, 본 처리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외인 경우, 화질 조정 처리가 완료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조정을 촉진한다.
다음으로, 도 31을 참조하면서, 도 31 화질 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4g에서는 도 22(스텝 S22d, 스텝 S22f, 스텝 S22h, 및 스텝 S22j) 및 도 23(스텝 S22l, 스텝 S22n, 스텝 S22p, 스텝 S22q, 및 스텝 S22r)의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미리 설정된 조정 가능 범위(적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정 범위 내이면 스텝 S22s로 진행되고, 적정 범위 외이면 스텝 S24h로 진행된다.
스텝 S24h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으로 조정하고, 대응하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에 기입하는 동시에,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에 출력하여 도 22의 스텝 S22b로 되돌아간다.
즉, 본 처리에서는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이 적정 범위 외인 경우, 화질 조정 처리가 완료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조정 가능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의 화질로 설정한다. 또한, 조정 가능 범위는 고정값일 수도 있고, 상술한 주위 환경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2의 (a) 및 (b)를 이용하여, 도 22의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의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 및 대환경 조정 지지부(68)로의 기억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의 (a)의 스텝 S24i에서는 도 22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을 도 32의 (b)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와 같이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 및 대환경 조정 지지부(68)에 기입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32의 (b)는 도 22의 화질 조정 처리에 의해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한 기억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의 기억 방법에 관하여 말하면, 화질 조정 설정값과 다른 항목(예를 들어 환경값, 빈도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쌍이 되어 기억되면 된다.
본 처리에서 기억된 화질 조정 설정값은 후술하는 기동 시나 환경 변화 검출 시의 화질 조정 처리에서 적용된다.
도 33은 CPU(7a)의 환경 변화에 따른 화상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즉,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 또는 멀티뷰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정기적으로 실행한다.
우선, 스텝 S25a에서 주위 환경 센서(17)로부터의 주위 환경을 검출하고, 스텝 S25b로 진행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위 환경 센서(17)는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을 공통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을 각각 검출하도록 복수 설치될 수도 있다.
스텝 S25b에서는 주위 환경 센서(17)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68)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화면 RAM 및 제 2 화면 RAM(65)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조정하는 동시에, 조정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각 화질 조정 회로에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하면, 주위 환경 센서(17)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양쪽 화상(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화상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주위 환경에 대한 화질 조정을 자동적으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위 환경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화상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68)에는 조정값으로서, 환경에 따른 화질 조정 설정값이 기억될 수도 있고, 환경의 변화량에 따른 조정량이 기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정값은 미리 메이커 측에서 기억된 고정값일 수도 있고, 상술한 도 32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에서 기억된 화질 조정 설정값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영역마다 조정값이 기억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주위 환경 센서(17)가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을 공통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는 주위 환경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른 전체 표시 영역의 동일 방향으로의 화질 조정, 또는 동일한 화질로의 조정을 통합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화상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위 환경 변화에 대한 화질 조정을 자동적으로 통합하여 행할 수 있고,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주위 환경을 각각 별개로 검출하도록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각 좌석에서 상이한 영향을 주는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화질 조 정이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위 환경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터널이나 야간 환경 등의 주위 환경의 현저한 변화에 따른 각 화상의 화질 조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4는 CPU(7a) 기동 시의 화상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에 실행한다.
우선, 스텝 S26a에서, 기동 시의 초기 설정 등의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6b로 진행된다. 스텝 S26b에서는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및 제 1 화면 RAM(65))에 후술하는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기입하고, 기입된 화질 조정 설정값에 대응하는 화질 조정 지시를, 대응하는 화질 조정 회로에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본 처리에서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에 각 화상이 소정의 화질로 설정되기 때문에, 화질 조정을 위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술한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설명한다.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메이커가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미리 기억시킨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상술한 도 32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저가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시킨 화질 조정 설정값 중 소정 조건에 합치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 환되었을 때)의 화질 조정 설정값(라스트 메모리라고도 불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즉,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이 절단되었을 때)(또는 멀티뷰 표시로부터 싱글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에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된 화질 조정 설정값 중 소정 조건에 합치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미리 메이커가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미리 기억시킨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인 경우에는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미리 기억시킨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제 1 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의 화질의 초기 화질 조정 상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화질 조정을 위한 조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의 화질 조정 설정값인 경우에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의 화질 조정 상태 기억부(63)(제 1 화면 RAM(64) 및 제 1 화면 RAM(65))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일단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기동 시에 기억시켜 둔 화질 조정 설정값을 판독하고, 제 1 화면 RAM(64) 및 제 1 화면 RAM(65)에 기입하도록 할 수도 있고,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또는 멀티뷰 표시로부터 싱글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의 제 1 화면 RAM(64) 및 제 1 화면 RAM(65)에 설정되어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소거되지 않도록 계속하여 유지하는 구성(이 경우, 상술한 기입 처리는 불필요해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직전(또는 멀티뷰 표시로부터 싱글뷰 표시로 전환되기 직전)에 사용되고 있었던 화질로 설정되기 때문에, 계속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화질 조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화질 조정을 위한 조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소정의 화질 조정 설정값이 상술한 도 32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저가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시킨 화질 조정 설정값 중 소정 조건에 합치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또는 멀티뷰 표시로부터 싱글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에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된 화질 조정 설정값 중 소정 조건에 합치하는 화질 조정 설정값인 경우에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또는 싱글뷰 표시로부터 멀티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에 주위 환경, 빈도, 라스트 소스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화질 조정 설정값이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 가능성이 높은 화질 조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35는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이그니션(ignition) 오프 시)(또는 멀티뷰 표시로부터 싱글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의 화질 조정 설정값의 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CPU(7a)가 입력부(26) 등으로부터의 멀티뷰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지시(이그니션 오프 지시)(또는 멀티뷰 표시→싱글뷰 표시 전환 지시)를 검출 했을 때에 실행한다. 즉, 유저(이용자)가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이그니션 오프나 멀티뷰 표시→싱글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본 플로차트는 도 32의 (a) 및 (b)는 처리가 실행되는 타이밍이 상이할 뿐이다.
스텝 S27a에서는 표시 장치의 전원 OFF(이그니션 오프)(또는 멀티뷰 표시→싱글뷰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 시점의 화질 조정 설정값을 화질 설정 정보 기억부(67) 및 대환경 조정값 유지부(68)에 기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화질 조정 설정값의 기억 방법에 관하여 말하면, 상술한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기억된다. 도 32의 (b)의 경우와 동일하게, 화질 조정 설정값과 다른 항 목 중 적어도 하나가 쌍이 되어 기억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위 환경 등에 따라 유저가 조정한(만족하고 있는) 화질 조정 설정값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기억된 화질 조정 설정값을 상술한 도 33 및 도 34의 처리에 적용함으로써, 다음번부터의 화질 조정이 보다 적절하게 행해지게 된다.
상술한 도 22∼도 35에 나타내는 처리는 적절하게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장치의 CPU(7a)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기억부(69)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또는 CPU(7a)에 내장된 ROM이나 RAM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술한 화상 표시 처리 및 화질 조정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하면, 상술한 도 19의 프로그램 기억부(69) 또는 CPU(7a)에 내장된 ROM이나 RAM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제 2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서,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1 화질 조정 처리와,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제 2 화질 조정 처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도 19의 프로그램 기억부(69) 또는 CPU(7a)에 내장된 ROM이나 RAM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동일 표시 장치에서,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제 1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조작에 대하여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값을 기억하는 제 1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을 재기입하는 처리와,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제 2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조작에 대하여,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값을 기억하는 제 2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을 재기입하는 처리와, 제 1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처리와, 제 2 화질 조정값 기억부의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2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뷰 표시를 행하게 하기 위해서, 1층 구성 또는 2층 구성의 복수의 투광성 슬릿부를 갖는 광학계 분리 소자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광학계 분리 소자 대신에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액정층을 갖고, 이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의 세기에 따라 복수의 수직한 슬릿이 형성되는 슬릿 형성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후술한 도 36 및 도 37을 참조). 이 경우, 멀티뷰 표시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직한 슬릿을 출현시키고, 각 방향에서 동일한 화상을 볼 수 있는 싱글뷰 표시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직인 슬릿을 소거하도록 하면 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7은 도 36의 표시부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술한 도 19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 화질 조정이 이루어진 화상 소스로부터의 2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VRAM(73)에 기입함으로써, 서로 독립된 2종류의 화상을 동일한 멀티뷰 표시 패널(11a)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차량 탑재용 멀티뷰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36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표시 장치에서는 상술한 도 19의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대하여 멀티뷰 표시를 행하게 하기 위한 표시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6의 표시부(10a)에서는 상술한 도 19의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고,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면 측에 광학계 분리 소자(13a) 대신에 액정 셔터(14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6의 표시부(10a)는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면 측에 액정 셔터(14a)가 설치되어 멀티뷰 표시 패널(20)이 형성되고, 또한 그 앞면에 터치 패널(12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6의 멀티뷰 표시 장치의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도 19의 제 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36 및 도 37의 표시부(10a) 이외의 구성 요소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패널(12a)은 상술한 도 19의 터치 패널과 동일하게,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투명 절연 기판(120a, 128a), 상기 한 쌍의 투명 절연 기판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122a, 126a), 및 상기 투명 전극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도트 스페이서(124a) 등으로 구성된다.
도 37의 액정 표시 패널(11a)은 상술한 도 19의 멀티뷰 표시 패널과 동일하게,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복수의 띠형상부 표시 영역으로 분할되고, 운전석에서 관찰되는 제 1 화상이 표시되는 제 1 표시 영역(110a)과, 조수석에서 관찰되는 제 2 화상이 표시되는 제 2 표시 영역(112a)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면 측에 액정 셔터(14a)가 배치되어 멀티뷰 표시 패널(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11a)의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74)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액정 셔터(14a)는 운전석에서 관찰되는 제 1 화상과, 조수석에서 관찰되는 제 2 화상을 소정의 시야각에서 분리해서 멀티뷰 표시를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액정 셔터(14a)는 2매의 투명 유리 기판(141, 145)과, 이들 투명 유리 기판(141, 145) 사이에 봉입된 액정(143)과, 투명 유리 기판(141)의 하면 측 및 투명 유리 기판(145)의 상면 측에 배치된 편광판(140, 146)을 갖는다.
투명 유리 기판(141)의 액정(143) 측 면에는 ITO(Indium-Tin Oxide: 인듐 산화 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유리 기판(145)의 액정(143) 측의 투명 전극(142)과 대향하는 면에는 IT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서로 대향하는 투명 전극(142, 144)과, 이들 투명 전극(142, 144) 사이의 액정(143)에 의해, 액정 셔터(14a)의 주요부 가 구성된다.
투명 전극(142, 144)은 CPU(7a)(도 28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이 CPU(7a)로부터 액정 셔터(14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셔터(14a)에서 한쪽 투명 전극(142)과 다른 쪽 투명 전극(144) 사이에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11a)을 통과한 광은 예를 들어 크로스니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2매의 편광판을 통과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양쪽에 도달한다.
또한, 한쪽 투명 전극(142)과 다른 쪽 투명 전극(144)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한쪽 투명 전극(142)과 다른 쪽 투명 전극(144) 사이의 액정(143) 방향이 변화되고, 이들 투명 전극(142, 144) 사이의 영역에서는 광이 차단된다. 이 결과, 운전석을 포함하는 제 1 시야 영역 내의 제 1 탑승자(예를 들어 운전자)(171)는 액정 셔터(14a)의 작용에 의해, 제 1 표시 영역(110a)의 집합체로서의 화상만을 운전석용 제 1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고, 조수석을 포함하는 제 2 시야 영역 내의 제 2 탑승자(예를 들어 조수석의 탑승자)(172)는 액정 셔터(14a)의 작용에 의해, 제 2 표시 영역(112a)의 집합체로서의 화상만을 조수석용 제 2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는 한 개의 화면을 종방향으로 복수 분할한 한 개마다의 화상을 시인하게 되지만, 한 개의 표시 영역의 폭을 매우 좁게 함으로써, 운전석 측에서도, 조수석 측에서도 별개의 화상을 각각 동시에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제 1 화질 조정 회로(61) 및 제 2 화질 조정 회로(62)(모두 도 36 참조)는 한쪽 투명 전극(142)과 다른 쪽 투명 전극(144)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켜 액정 셔터(14a)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각각의 화질의 보정 처리(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동일 방향으로의 화질 조정이나,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이 동일 화질인 경우의 화질 조정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첨부 도면(도 38∼도 42)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 장치의 일 구체예로 생각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D변환부를 갖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도 38의 실시예에서는 본 표시 장치(300)를 TV 화상이나 내비게이션용 지도 화상 등을 표시하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한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시방향에 대하여 개별 화상(운전석용 화상과 조수석용 화소)을 동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나, 2개 이상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적용 범위는 차량 탑재용에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TV 수상기, 휴대 전화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면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0)는 표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310)와, TFT(Thin Film Transistor)형 액정 디스플레이(도 6의 표시부(7)에 대응, 이하, 「TFT」라고 약기함)(37)와, 마이크로 컴퓨터(260)(도 6의 제어부(200)에 대응), 및 조작부(340)(도 6의 조작부(215) 또는 터치 패널(124), 또는 리모컨(217)에 대응)로 구성된다.
표시 ASIC(310)는 예를 들어 운전석 측에서만 시청 가능한 운전석용 화상과 조수석 측에서만 시청 가능한 조수석용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소위 멀티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ASIC(310)는 제 1 A/D변환부(311)(도 6의 각종 소스(CD/MD 재생부(201) 등) 내에 설치되어 있음)와, 제 2 A/D변환부(312)(동일하게 도 6의 각종 소스 내에 설치되어 있음)와, 스위치(313)(도 6의 분배 회로(207)에 대응)와, 합성부(314)과,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도 6의 제 1 또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208, 209)에 대응), 및 재배열부(316)(도 6의 화상 출력부(211)에 대응)를 갖는다. 또한, 표시 ASIC(310)는 재배열부(316)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 1 A/D변환부(311)는 제 1 아날로그 화상 신호(예를 들어 아날로그의 NTSC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제 1 디지털 화상 신호(예를 들어 디지털의 NTSC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 2 A/D변환부(312)는 제 2 아날로그 화상 신호(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화상을 나타내는 RGB신호)가 입력되고,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예를 들어 디지털의 RGB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340)로부터 2개의 시방향에서 동일 화상 표시의 조작 지시가 있었던 경우, 제 1 A/D변환부(311) 또는 제 2 A/D변환부(312)의 한쪽에 표시 지시된 화상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위치(313)는 제 2 A/D변환부(312) 및 마이크로 컴퓨터(260)에 접속되는 동시에, 후술한 합성부(314) 및 재배열부(316)에 접속된다. 스위치(313)는 제 2 A/D변환부(312)로부터의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당해 신호를 합성부(314) 또는 재배열부(316)에 출력한다. 이 전환은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6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합성부(314)는 제 1 A/D변환부(311) 및 스위치(313)에 접속되는 동시에, 후술한 콘트라스트 조정부(315)에 접속된다. 합성부(314)는 제 1 A/D변환부(311)로부터의 제 1 디지털 화상 신호와, 스위치(313)로부터의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를 합성하고, 콘트라스트 조정부(315)에 출력한다.
이 합성에 의해, 예를 들어 NTSC의 화상에 내비게이션 화상을 온 스크린 표시(또는 내비게이션 화상에 NTSC의 화상을 온 스크린 표시)시킬 수 있다.
다만, 합성부(314)는 스위치(313)로부터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제 1 A/D변환부(311)로부터의 제 1 디지털 화상 신호를 콘트라스트 조정부(315)에 출력한다.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는 재배열부(316) 및 마이크로 컴퓨터(260)에도 접속되고, 합성부(314)로부터의 화상 신호와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60)로부터의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합성부(314)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콘 트라스트(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 또는 밝기, 어두움) 조정을 행하고, 조정 후의 화상 신호를 재배열부(316)에 출력한다.
재배열부(316)는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와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1화소마다(또는 복수 화소마다) 각 화상 신호의 화소값을 번갈아 재배열하고, TFT(37)에 출력한다.
또한, 재배열부(316)는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재배열을 행하지 않고,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고,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콘트라스트 조정부(315) 및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로 간주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번갈아 재배열하여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화상(예를 들어 단색 화상)을 이용하여, 특정 화상이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로 간주하고, 특정 화상과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상술한 바와 같이 번갈아 재배열하여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고,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제 2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소에 배치하고,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재배열부(316)는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술하는 재배열을 행하지 않고,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고,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콘트라스트 조정부(315) 및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로 간주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번갈아 재배열하여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화상(예를 들어 단색 화상)을 이용하여, 특정 화상이 스위치(313)로부터의 화상 신호로 간주하고, 특정 화상과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상술한 바와 같이 번갈아 재배열하여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고,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제 2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소에 배치하고, TFT(37)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340)로부터의 단일 화상 표시의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60)로부터 재배열부(316)에 상술한 제어를 행하게 하는 재배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탑승자 검지부(222)에 의해, 탑승자가 한 사람인 것을 검지하였을 때에 마이크로 컴퓨터(260)로부터 재배열부(316)에 상술한 제어를 행하게 하는 재배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TFT(37)는 재배열부(316)에 접속되고, 재배열부(316)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액정 화면 위에 표시한다. 또한, TFT(37)의 앞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화소 폭(또는 복수 화소 폭)의 슬릿을 갖는 시차 배리어(108)를 구비한다. 이 시차 배리어(108)에 의해 각 화상 신호의 표시 광의 출사 방향이 제한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수석 측에서는 제 1 화상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제 1 화상(예를 들어 NTSC 화상)을, 운전석 측에서는 제 2 화상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제 2 화상(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화상)을 볼 수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260)는 조작부(340), 제 2 A/D변환부(312), 스위치(313), 및 콘트라스트 조정부(315)에 접속된다. 마이크로 컴퓨터(260)는 조작부(340)로부터의 제 2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조정 지시에 기초하여, 제 2 A/D변환부(312)에 대하여, A/D변환할 때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 VRH를 콘트라스트 조정 신호로서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260)는 이 기준 전압 VRH를 조작부(340)로부터의 제 2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조정 지시에 기초하여 가변으로 함으로써, TFT(37)에 표시되는 제 2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260)는 제 1 A/D변환부(311)에도 A/D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을 출력하지만, 이 경우는 일정한 기준 전압으로 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260)는 조작부(340)로부터의 상술한 동일 화상 표시의 조작 지시, 제 1 화상 신호와 제 2 화상 신호의 합성 표시의 조작 지시, 단일 화상 표시의 조작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제 1 A/D변환부(311) 또는 제 2 A/D변환부(312) 한쪽에 표시 지시된 화상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나, 제 1 디지털 화상 신호와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를 합성부(314)에서 합성할 수 있도록 스위치(313)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나, 재배열부(316)의 재배열을 제어하는 재배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A/D변환부(312), 또는 표시 ASIC(310), 또는 제 2 A/D변환부(312) 및 마이크로 컴퓨터(260), 또는 표시 ASIC(310) 및 마이크로 컴퓨터(260)에 대응한다.
도 39는 기준 전압 VRH와 제 2 A/D변환부(312)에 입력되는 제 2 아날로그 화상 신호(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용 아날로그 RGB화상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횡축이 시간(T)이고, 종축은 아날로그 전압값(V)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A/D변환할 때에는 기준 전압 VRH에 기초하여 출력 디지털 값을 결정한다. 즉, 도 3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디지털 값은 기준 전압 VRH의 전압값을 「255」(8비트 출력 시)로 했을 때의 상대비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화상 신호의 최고 고전압의 위치값을 A로 하고, 그 전압값이 「1.5V」, 기준 전압 VRH를 「2V」로 하면, 이 위치 A에서의 출력 디지털값 X는
2:1.5=255:X
∴X=(1.5/2)×255≒191
로 된다.
여기서, 기준 전압 VRH를 가변으로 하면, 출력 디지털 값은 상이한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도 3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전압 VRH를 「1.5V」로 하였을 때, 위치 A에서의 출력 디지털값 X1은
1.5:1.5=255:X1
∴X1=(1.5/1.5)×255=255
으로 된다. 또한, 기준 전압 VRH를 「2.5V」로 했을 때, 위치 A에서의 출력 디지털값 X2는
2.5:1.5=255:X2
∴X2=(1.5/2.5)×255≒153
으로 된다.
따라서, 기준 전압 VRH를 가변으로 하면, 출력 디지털값도 각각 가변으로 된다. 출력 디지털값이 가변의 값을 취할 수 있으면,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 등을 나타내는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0은 기준 전압 VRH를 바꾸었을 때에 출력 디지털값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좌측의 도면은 횡축이 시간, 종축이 전압값이고, 아날로그 화상 신호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우측의 도면은 횡축은 시간, 종축은 출력 디지털값이며, 디지털 화상 신호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전압 VRH를 「1.4V」 정도로 하면, 표준적인 밝은 부분으로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기준 전압 VRH를 그것보다도 높게 하면, 어두운 화상으로 되고, 기준 전압을 낮게 하면 밝은 화상으로서 표시된다(도 40의 (a) 및 (c) 참조).
콘트라스트 조정은 조작부(340)(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나 조작 버튼 등)를 유저가 선택 조작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260)가 그것을 검지하고, 조작에 대응한 기준 전압 VRH를 출력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39로 되돌아와, 콘트라스트 조정된 제 2 화상 신호(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용 디지털 RGB 신호)는 스위치(313)를 통하여, 합성부(314) 또는 재배열부(316)에 출력된다. 그 후, 재배열부(316)는 제 1 화상 신호(예를 들어 NTSC 디지털 화상 신호)와 제 2 화상 신호(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용 디지털 RGB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화상 신호에 대하여 재배열을 행하고, TFT(37)에서 각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조정된 제 1 화상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제 1 화상(예를 들어 NTSC 화상)과 함께, 콘트라스트 조정된 제 2 화상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제 2 화상(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용 화상)이 TFT(37)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A/D변환부(312)에서 이미 제 2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313)와 재배열부(316) 사이에 콘트라스트 조정부(315)와는 별도로 제 2 화상 신호용 콘트라스트 조정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표시 ASIC(310)를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비용 저하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변하게 한 기준 전압 VRH를 제 2 A/D변환부(312)에만 출력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도, 도 41의 제 1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A/D변환부(312)뿐만 아니라 제 1 A/D변환부(311)에 따른 기준 전압 VRH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A/D변환부(312)로부터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가 출력되는 바와 같이, 제 1 A/D변환부(311)로부터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제 1 디지털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 1 디지털 화상 신호는 콘트라스트가 이미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예와 비교하여, 합성부(314)와 재배열부(316) 사이에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콘트라스트 조정부(315)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만큼, 표시 ASIC(310)의 비용 저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준 전압 VRH에 대해서도 동일한 값을 제 1 A/D변환부(311)와 제 2 A/D변환부(312)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상이한 값의 기준 전압(각각, 제 1 기준 전압, 제 2 기준 전압)을 각 변환부(311, 312)에 출력할 수도 있다. 각각, 콘트라스트 조정된 디지털 화상 신호가 각 변환부(311, 31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스위치(313)는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를 합성부(314)나 재배열부(316)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도, 도 42의 제 2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A/D변환부(312)로부터 출력된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가 재배열부(316)에 항상 출력되는 동시에, 제 2 디지털 화상 신호를 합성부(314)에 출력시키거나 출력시키지 않거나 하도록, 스위치(317)를 구성할 수 있다. 이 합성부(314)에 대한 출력의 전환은 마이크로 컴퓨터(26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제 1 화상을 TV 화상, 제 2 화상을 내비게이션 화상으로 하면, 합성부(314)에 내비게이션 화상을 출력시킴으로써, 조수석 측(또는 운전석 측)에는 TV 화상에 내비게이션 화상이 온 스크린 표시되고, 운전석 측(또는 조수석 측)에는 내비게이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표시 ASIC(310)가 스위치(31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표시 ASIC(310)가 스위치(313)를 구비하지 않고, 제 2 A/D 변환부(312)의 출력이 재배열부(316)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수석 측의 화상으로서 제 1 화상(예를 들어 NTSC의 화상)이, 운전석 측의 화상으로서 제 2 화상(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의 화상)이 TFT(37)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도 각각의 측에서 다양한 화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수석 측에는 TV 안테나 등에 의해 수신한 TV 화상이나 DVD 화상, 운전석 측에는 주행 규제 화상 등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NTSC 화상, TV 화상, DVD 화상 등, 세밀한 콘트라스트 조정이 요구되는 화상이 표시되는 가능성이 높은 조수석 측의 화상을 제 1 화상 신호로 하고, 내비게이션 화상 등, 세밀한 콘트라스트 조정이 요구될 가능성이 낮은 화상이 표시될 가능성이 높은 운전석 측의 화상을 제 2 화상 신호로서 설 명하였다. 그 이외에도, 운전석 측에 제 1 화상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제 1 화상이, 조수석 측에 제 2 화상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제 2 화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재배열부(316)에서의 화소의 재배열을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그 이상의 화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정수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변환부에 의해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2 A/D변환부(312)로부터는 8비트의 디지털값이 출력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는데, 물론, 그 이외의 비트 수에서도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TFT형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에도 예를 들어 STN(Super Twisted Nematic)형이나 DSTN(Dual-scan Super Twisted Nematic)형 등, 다양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플라스마·디스플레이나 EL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를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도 가정용 TV 수상기 , 휴대 전화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장치이면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도 상술한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평면 패널형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브라운관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패널형으로서는 액정 표시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 내비게이션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뷰 표시가 가능한 표시부를 탑재하고 있는 기기이면 되고,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개인용 휴대형 정보 통신 기기),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신변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계측 기기, 의료 기기, 산업 기기 전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원(2D)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한 사람의 시청자의 양쪽 눈에 각각 상이한 화상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입체상을 표시시킬 수 있는 3차원(3D) 표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복수의 시(視)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복수 화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화질을 조정하는 복수 화질 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화상 사이즈를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상 사이즈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시방향에 대한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을 다른 시방향에 대한 화상에 대한 화질 조정 설정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에 대응하여 화질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화질 조정 설정값을 기억하는 프리셋 유지부와,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 등록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고, 조정 대상 화상에서의 화질을, 상기 프리셋 유지부에 기억된 대응하는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조정하는 프리셋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 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모드 전환 조작부와,
    상기 모드 전환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별개로 조정하는 독립 모드와,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하는 공통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주위 환경을 검출하는 공통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공통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을 공통으로 조정하는 대주위 환경 공통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화상의 주위 환경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독립 주위 환경 센서와,
    상기 복수의 독립 주위 환경 센서의 출력에 따라, 대응하는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대주위 환경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화상의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을 기억하는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를 갖고,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상기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해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 설정값과 상기 화질 조정 설정값에 의한 조정 빈도를 기억하는 조정 빈도 기억부를 갖고,
    상기 화질 조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기동 시 또는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 표시의 기동 시에, 상기 조정 빈도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화질 조정부는, 입력되는 아날로 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변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A/D변환부에 의한 A/D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하여, 상기 화상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 처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
  13.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을 행하는 화질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의 화질을 독립하여 조정하는 화질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조정 장치.
  14.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A/D변환부에 입력되고, 또한, 상기 A/D변환부에 의한 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가 상기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D변환부는 상기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각 디지털 값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정 장치.
  17. 복수의 시방향에 대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개별 화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에 의한 변환 시에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압을 상기 A/D변환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조정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77008931A 2004-10-20 2005-10-2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KR100896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5773 2004-10-20
JP2004305773 2004-10-20
JP2005175547 2005-06-15
JPJP-P-2005-00175547 2005-06-15
JPJP-P-2005-00193219 2005-06-30
JP2005193219 2005-06-30
JP2005253073A JP2007025617A (ja) 2005-06-15 2005-09-01 コントラスト調整装置、コントラスト調整方法、及び表示装置
JPJP-P-2005-00253073 2005-09-01
JP2005272668A JP2007041490A (ja) 2004-10-20 2005-09-20 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質調整方法、および画質調整装置
JPJP-P-2005-00272668 2005-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813A true KR20070053813A (ko) 2007-05-25
KR100896030B1 KR100896030B1 (ko) 2009-05-11

Family

ID=3620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931A KR100896030B1 (ko) 2004-10-20 2005-10-2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53861B2 (ko)
EP (1) EP1804232A4 (ko)
KR (1) KR100896030B1 (ko)
WO (1) WO20060437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805A3 (en) * 2010-07-30 2012-05-18 Silicon Image Inc. Multi-view displa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7764B2 (en) * 2003-09-11 2010-08-17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display device
US20070103558A1 (en) * 2005-11-04 2007-05-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view video delivery
JP4597871B2 (ja) * 2006-01-05 2010-1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654925B2 (ja) * 2006-01-31 2011-03-2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4707109B2 (ja) * 2006-03-02 2011-06-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複数カメラ撮影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7295547A (ja) * 2006-03-31 2007-11-08 Nik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GB2445982A (en) * 2007-01-24 2008-07-30 Sharp Kk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view display device
DE102008060279B4 (de) 2007-12-05 2023-09-14 Lg Display Co., Ltd. Multiansicht-Anzeigevorrichtung
US20090233649A1 (en) * 2008-03-12 2009-09-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t
JP4331245B1 (ja) * 2008-03-27 2009-09-16 株式会社東芝 映像画質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GB2464521A (en) * 2008-10-20 2010-04-21 Sharp Kk Processing image data for multiple view displays
US9524700B2 (en) * 2009-05-14 2016-12-20 Pure Depth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of various formats on a single display
CN102006434B (zh) * 2009-08-31 2014-10-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电视
US20110157322A1 (en) *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US9247286B2 (en) * 2009-12-31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ting supporting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video data communication
US8823782B2 (en) 2009-12-31 2014-09-02 Broadcom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position, viewer identification and optical and audio test
US8854531B2 (en) * 2009-12-31 2014-10-07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remote controllers that each simultaneously controls a different visual presentation of a 2D/3D display
US20110205336A1 (en) * 2010-02-23 2011-08-25 Panasonic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5295426B2 (ja) * 2010-03-30 2013-09-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その視差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304689A1 (en) * 2010-06-15 2011-12-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mote user control for stereoscopic display
WO2012002020A1 (ja) * 2010-06-30 2012-0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再生装置、複眼撮像装置、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05734A1 (en) * 2010-11-02 2012-05-03 Zakiyaa Jada Johnson Multi-Panel Display Device
US20120178380A1 (en) * 2011-01-07 2012-07-12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DE102011007518A1 (de) * 2011-04-15 2012-10-18 Robert Bosch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TWI425498B (zh) * 2011-05-04 2014-02-01 Au Optronics Corp 關聯於雙影像應用的影音播放系統及其方法
JP6039203B2 (ja) * 2011-05-23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05163A (ja) * 2011-06-15 2013-01-07 Panasonic Corp 立体視対応映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20130011850A (ko) * 2011-07-22 2013-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GB2496113A (en) * 2011-10-28 2013-05-08 Sharp Kk Multiple view window multi-primary display
US9392251B2 (en) 2011-12-29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DE102012220116A1 (de) * 2012-06-29 2014-0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obil handhabbare Vorrichtung, insbesondere zur Bearbeitung oder Beobachtung eines Körpers,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insbesondere Kalibrierung, einer Vorrichtung
CN103728821B (zh) * 2012-10-12 2015-10-28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JP6374238B2 (ja) * 2014-07-01 2018-08-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装置
US10260709B2 (en) 2015-11-04 2019-04-16 Hisense Co., Ltd. Laser light source, method for controlling dual color wheels of light source, and laser projection device
US10006610B2 (en) 2015-11-04 2018-06-26 Hisnese Co., Ltd. Laser light source, method for controlling dual color wheels of light source, and laser projection device
US9908415B2 (en) * 2016-03-04 2018-03-06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Vehicle onboard display device
US10332296B2 (en) * 2016-07-05 2019-06-25 Ubitus Inc. Overlaying multi-source media in VRAM
US20180012327A1 (en) * 2016-07-05 2018-01-11 Ubitus Inc. Overlaying multi-source media in vram
CN107948548B (zh) * 2017-10-30 2019-01-29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和显示控制方法
US10921596B2 (en) * 2018-07-24 2021-02-16 Disney Enterprises, Inc. Adaptive luminance/color correction for displays
US10810971B2 (en) 2018-12-31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view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0854171B2 (en) 2018-12-31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user personal display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390A (ja) 1982-03-24 1983-09-29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のコントラスト調整回路
JPS60247379A (ja) * 1984-05-22 1985-12-07 Casio Comput Co Ltd 映像信号a/d変換回路
JP3033587B2 (ja) * 1989-11-10 2000-04-17 ソニー株式会社 自動画質調整装置
JP2809234B2 (ja) 1990-10-31 1998-10-08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多画面プロジェクタ
JPH06186526A (ja) 1992-12-18 1994-07-08 Fujitsu Ten Ltd Lcd
JP3398999B2 (ja) 1993-02-10 2003-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多重映像表示装置
JP3194024B2 (ja) 1993-10-04 2001-07-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7126583B1 (en) * 1999-12-15 2006-10-2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Interactive vehicle display system
EP0766220B1 (en) * 1994-06-14 2002-02-20 Nanao Corporation Video monitor adjusting system
JP3458132B2 (ja) * 1995-04-21 2003-10-20 ソニー株式会社 合成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調整方法
JPH0946622A (ja) 1995-07-25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画面表示装置
GB2321815A (en) 1997-02-04 1998-08-05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viewer position indicator
JP3452472B2 (ja) 1996-09-12 2003-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ララックスバリヤおよびディスプレイ
GB2317291A (en) 1996-09-12 1998-03-18 Sharp Kk Observer tracking directional display
EP0860797B1 (en) * 1997-02-19 2005-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edium on which programs are recorded
US6624863B1 (en) 1997-06-28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 patterned retarder, patterned retarder and illumination source
US6055103A (en) 1997-06-28 2000-04-25 Sharp Kabushiki Kaisha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JP3503925B2 (ja) 1998-05-11 2004-03-08 株式会社リコー マルチ画像表示装置
WO1999062049A1 (fr) 1998-05-28 1999-12-02 Hitachi, Ltd. Synthetiseur d'images
JP2000036927A (ja) 1998-07-17 2000-02-02 Sanyo Electric Co Ltd 複数映像表示装置
JP2000137462A (ja) 1998-08-24 2000-05-16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EP0982709A1 (en) 1998-08-24 2000-03-01 Alps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ontrast adjustment
JP2000137443A (ja) 1998-11-04 2000-05-16 Harness Syst Tech Res Ltd 車両用表示装置
DE19925985A1 (de) * 1999-06-08 2000-12-14 Bosch Gmbh Robert Flüssigkristallanzeige mit umschaltbarem Blickwinkel
JP4564613B2 (ja) * 1999-10-1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1275137A (ja) 2000-03-24 2001-10-05 Hitachi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4507954A (ja) * 2000-06-13 2004-03-11 パノラム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ビデオプロジェクタの継目なし統合の方法及び装置
JP2002052018A (ja) * 2000-08-11 2002-02-19 Canon Inc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6804406B1 (en) * 2000-08-30 2004-10-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calibration for seamless tiled display using optical function generator
JP4718002B2 (ja) 2000-11-30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ニタ装置および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JP2003137005A (ja)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3208132A (ja) 2002-01-17 2003-07-25 Seiko Epson Corp 液晶駆動回路
JP2003241720A (ja) 2002-02-20 2003-08-29 Casio Comput Co Ltd 液晶駆動装置
EP1549525B1 (en) 2002-08-19 2008-0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within a vehicle
JP2004093731A (ja) * 2002-08-30 2004-03-2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GB2396070A (en) 2002-12-07 2004-06-09 Sharp Kk Multiple view display
JP2006510053A (ja) 2002-12-13 2006-03-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自動ガンマ補正
JP2004212648A (ja) 2002-12-27 2004-07-29 Olympus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2004233816A (ja) * 2003-01-31 2004-08-19 Olympus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7433079B2 (en) * 2003-06-13 2008-10-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073076A (ja) 2003-08-26 2005-03-17 Sharp Corp 表示装置
JP4007948B2 (ja) 2003-08-28 2007-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GB2405546A (en) 2003-08-30 2005-03-02 Sharp Kk Dual view directional display providing images having different angular extent.
JP2005142680A (ja) * 2003-11-04 2005-06-02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
JP4450657B2 (ja) 2004-03-29 2010-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805A3 (en) * 2010-07-30 2012-05-18 Silicon Image Inc. Multi-view display system
US8624960B2 (en) 2010-07-30 2014-01-07 Silicon Image, Inc. Multi-view display system
TWI477149B (zh) * 2010-07-30 2015-03-11 Silicon Image Inc 具有複數視圖之顯示裝置、方法、系統及媒體
US9693046B2 (en) 2010-07-30 2017-06-27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view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3861B2 (en) 2012-08-28
EP1804232A1 (en) 2007-07-04
KR100896030B1 (ko) 2009-05-11
WO2006043720A1 (ja) 2006-04-27
EP1804232A4 (en) 2012-03-28
US20070296874A1 (en)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030B1 (ko)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JP425503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0869673B1 (ko) 표시제어장치 및 표시장치
JP4215782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音声調整方法
JP2006195415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618485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70083592A (ko) 화상 보간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0704149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質調整方法、および画質調整装置
JP2006184860A (ja) マルチビュー表示装置
US917633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JP2006154754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JP4781059B2 (ja) 表示装置及び出力制御装置
CN100508013C (zh) 显示装置
JP2008102084A (ja) 表示装置及び目的地設定方法
JP2005077707A (ja) 表示装置
JP2006259761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023815B2 (ja) 表示装置
JP4963166B2 (ja) 表示装置
JP2007058020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9069838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7025617A (ja) コントラスト調整装置、コントラスト調整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7083794A (ja) 車載用表示装置
JP2007087770A (ja) 光源制御装置及び光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