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923A - 가식(加飾)된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및 이와 같은 물품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식(加飾)된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및 이와 같은 물품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923A
KR20070051923A KR1020077006849A KR20077006849A KR20070051923A KR 20070051923 A KR20070051923 A KR 20070051923A KR 1020077006849 A KR1020077006849 A KR 1020077006849A KR 20077006849 A KR20077006849 A KR 20077006849A KR 20070051923 A KR20070051923 A KR 20070051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jection
plastic material
decorative
injection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418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히르쉬펠더
클라우스 홍
Original Assignee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5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2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a transfer foil detachable from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4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01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물질 및 상기 그것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로 형성되는 사출성형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은, 사출성형공정 중에, 상기 사출플라스틱물질 상에 사출성형몰드의 폐쇄 영역 또는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 사이의 전이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는, 상기 플라스틱물질 상에 환상 형태로 연장된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표면 영역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가식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상기 보호 래커층 또는 가식층과 접속하고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사출 성형 온도에서 부드러워지는 프라이밍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밍층은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몰드 가능한 전사필름뿐만 아니라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에도 관련된다.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가식요소

Description

가식(加飾)된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및 이와 같은 물품의 제조방법{Decorated injection-moulded article, transf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ne such articl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출플라스틱물질 및 그것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로 형성되는 사출성형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은, 사출성형공정 중에, 상기 사출플라스틱물질 상에 사출성형몰드의 폐쇄 영역 또는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 사이의 전이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전사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사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필름, 상기 운반필름 상에 배열된 이형층 및 가식요소로서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의 측면에 배열된 이송층 수단을 갖고,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층에 접속하는 상기 이송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층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전사필름의 측면 상의 상기 보호 래커층 또는 가식층에 접속하 고 사출온도에서 부드러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을 갖는데, 상기 접착층은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여 상기 사출성형물품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필름, 상기 운반필름 상에 배열된 이형층 및 가식요소로서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의 측면 상에 배열된 이송층 수단을 갖는 전사필름을 이용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층에 접속하는 상기 이송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층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상기 전사필름의 측면 상의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에 접속하는 프라이밍층을 갖고, 상기 전사필름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개방된 사출성형몰드에 배열되고, 상기 사출성형몰드는 폐쇄되고, 플라스틱 사출 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프라이밍층은 사출사출온도에서 부드러워져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고, 상기 사출성형물품 상에는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폐쇄영역 또는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 사이의 전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경화되어 고체의 플라스틱물질을 제공한다. 사출성형물품에 대해 그러한 종류의 가식공정은 인몰드 가식 공정(inmold decoration processes) 또는 IMD 사출성형공정으로 일반적으로 불린다.
가식된 사출성형장치, 그의 제조방법, 인몰드 가능한 전사필름(inmold- capable transfer film) 또는 IMD 필름은 그 자체로서 공지되어 있다. 그래서, DE 102 21 482 C1에서는 운반필름과 가식층을 포함하는 스탬핑 필름(stamping film)으로 인몰드 사출에 의해 가식된 경화 사출성형물질을 포함하는 몰딩의 제조장치를 공개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탬핑 필름을 상기 개방된 사출성형기구(opened injection molding tool)에 삽입하고, 상기 스탬핑 필름의 상기 가식층이 상기 몰드의 상부를 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몰드를 폐쇄한 후, 액체사출성형물질을 사출경로(injection passage)를 통하여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공동(cavity)에 사출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탬핑 필름은 상기 사출성형부품의 상기 가시 측면(visible side)에 단단히 접착된다. 이 경우 경화한 후 상기 스탬핑 필름은 상기 사출성형물질과 접착되고, 상기 사출성형몰드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운반필름은 상기 가식 층이 벗겨진 후, 상기 가식 성형이 완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은 도어 스트립(door strip), 계기판의 스트립(strips in instrument panels), 변속 레버 커버(shift lever cover), 중앙 콘솔 커버(central console covers)와 같은 자동차의 내장재, 도어 램 가아드 스트립(door ram guard strips), A, B, C 필라의 커버(covers on A,B and C pillars) 와 같은 자동차 외장재 및 텔레비전의 외장재인 가식 스트립과 연관된 오디오와 비디오 분야와 관련하여 특히 많이 사용된다.
DE 102 36 810 A1은 사출성형몰드로 이용하기 적합한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다층의 필름(partially structured multi-layer film)을 공개한다. 이와 같이 인몰드 가능한 다층의 필름 또는 사출성형부품의 인몰드 가식용 다층의 필름은 상기 사 출성형부품 상에 전사하기 위한 가식요소와 운반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가식요소가 상기 사출 성형 본체에 적용된 후에 상기 운반필름은 제거된다. 상기 가식요소는 이형층, 보호 래커층, 공간적인 구조인 구조층, 중간층(intermediate layer), 반사층(reflection layer) 및 접착층(adhesive layer)을 갖는다. 상기 이형층은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상기 가식층을 분리하기 위한 점에서 이용되고, 예를 들면 왁스 유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JP 62128720 A에서 공개된 것과 같이, IMD 필름은 일반적으로 필름 어드밴스 장치(film advance device)으로서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고정 부분(fixed part)과 이동할 수 있는 부분(movable part) 사이에서 움직인다. 적층에 의해 적용된 상기 가식필름의 상기 영역에서 개별적인 이미지 표현의 경우에는, 상기 IMD 필름은 센서 및 상기 IMD 필름 상에 위치 표시로서 상기 사출성형몰드와 관련된 적소에도 배치되고, 그 후 상기 사출성형몰드를 폐쇄하고, 상기 고온의 플라스틱 사출 물질을 상기 IMD 필름의 뒤에서 사출한다.
지금까지, 상기 제조 공정과 관련되었기 때문에, 인몰드 공정에서 가식요소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은 상기 플라스틱물질 상에 환상 형태로 연장된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표면 영역의 가식요소의 모든 적용 범위에 관련 있다. 또한, 상기 전 가시 표면(visible surface)의 전 영역에 걸쳐 가식을 포함하도록, 이와 같은 표면 영역은 일반적으로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상기 가시 표면에 일반적으로 두드러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 사출 물품의 상기 시각적인 외형(optical appearance)은 지금까지 상기 가식요소에 의존해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식요소로 가식되고 새로운 시각적인 외형을 갖는 사출성형물품(injection molded article)뿐만 아니라 그들의 후속 공정성의 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형성에 적합한 전사필름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이 적어도 하나의 사출플라스틱물질(injected plastic material) 및 그것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decorative element)로 형성되고,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에 가식(decoration) 및/또는 보호층(protective layer)을 제공하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은, 사출성형공정 중에, 상기 사출플라스틱물질 상에 사출성형몰드(injection molding mold)의 폐쇄 영역(closing region) 또는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parts) 사이의 전이영역(transitional region)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injection molded seam)을 갖기 위해서, 그 목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가 상기 플라스틱물질 상에 환상 형태(annular configuration)로 연장된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표면 영역을 일부만을 덮고, 상기 가식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층(protective lacquer layer)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decorative layer) 및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과 접속하고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사출 성형 온도에서 부드러워지는 프라이밍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밍층이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결합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물질 상의 환상 형태로 연장된 사출성형심에 의해 한정된 표면 영역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사출성형물품은 상기 가식요소로 부분적으로만 코팅되어 있으므로, 가시적인 영역,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상기 가식요소로 가식된 영역(들) 이외에 가식요소로 덮지 않은 경화 플라스틱 사출물질이 있는 영역이 있다. 본 발명은 눈길을 끄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을 제공하는 수많은 새로운 방법을 열어준다. 게다가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의 매력적인 컬러 외형을 고려한다면, 더 새로운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분야를 위한 상감(象嵌) 세공 가식(marquetry decoration)을 갖는 사출성형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상기 상감 세공 또는 상감 세공 효과는 부분적으로 제공된 가식요소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물질의 상기 노출 영역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후속 공정을 매우 간단하게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를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3차원 표면 구조 상에 겹쳐놓는 것(superimpose)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3 차원 구조는 상기 가식요소를 통해서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식요소의 상기 영역에서 촉감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매력적인 시각 효과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 1 플라스틱물질로부터 먼 측면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 위에 제 2 플라스틱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된 것(over-injected)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예를 들어 렌즈 효과와 같은 광학 깊이(optical depth)를 달성하는 추가의 시각효과가 생산될 수 있다. 하지만, 단지 기계적인 로딩(mechanical loading) 및/또는 부식(corrosive attack)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가식요소 전면에 걸쳐 플라스틱물질을 사출하는 것도 또한 가치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로부터 먼 측면 상의 상기 제 2 플라스틱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가식요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면, 시각적으로 아주 매력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예를 들면 독특한 심도 효과 또는 컬러 효과를 구현하도록, 상기 가식요소가 시각적으로 겹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생산을 위한 전사필름으로서, 상기 전사필름은 운반필름, 상기 운반필름 상에 배열된 이형층 및 가식요소로서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의 측면 상에 배열된 이송층을 갖고,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층에 접속한 상기 이송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사출 성형온도에서 부드러워지고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전사필름의 측면 상의 상기 보호층 또는 가식층에 접속하는 프라이밍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밍층은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여 상기 사출성형물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목적은
a) 마스킹층은 상기 프라이밍층을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측면 상에서 일부만 덮으며, 상기 마스킹층은 사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결합하지 않거나,
b) 상기 프라이밍층은 사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결합하지 않도록, 상기 프라이밍층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 상의 영역을 따라(region-wise)서만 배열되거나, 또는
c) 상기 이송층은 사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결합하지 않도록 상기 이형층 상의 영역에 따라서만 배열되어
달성된다.
a), b), c)의 상기 각각의 층들이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결합되지 않는 사실은 사출성형물품이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그들의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가식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에 결합하거나 접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적합한 층은 사출 성형 도구(injection molding tool)의 공정 온도보다 현저하게 높은 연화 온도(softening temperature)를 갖는다. 이 점에서 a)의 상기 마스킹층, b)의 상기 프라이밍층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 및 c)의 상기 이형층은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사출 온도를 부드럽게 되지 않고 견디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사출플라스틱물질과 결합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사출플라스틱물질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발이 분자 수준(molecular level)에서 발생하도록 a)의 상기 마스킹층, b)의 상기 프라이밍층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 및 c)의 상기 이형층이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화학적으로 융화될 수 없는 것(chemically incompatible)이 유리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되는 전사필름의 층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공정 온도 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드러워지고, 상기 녹은 플라스틱물질과 적어도 약간의 융화성(compatibili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의 상기 마스킹층, b)의 상기 프라이밍층과 접속한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 및 c)의 상기 이형층은 조사(radiation) 경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isocyanate hardening) 또는 산 경화(acid hardening)로 고도로 교차 결합된 래커층인 것이 적절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조사 경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 또는 산 경화로 고도로 교차 결합된 래커층은 고온의 사출 물질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상기 사출 성형 본체로부터 쉽고 윤곽이 뚜렷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경화된 멜라민 수지 래커, 2-성분 폴리우레탄(2-component polyurethanes) 또는 조사 경화된 래커는 상기 마스킹층으로서 그들의 가치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층의 분리 또는 이형 작용은 예를 들어 래커층을 사용한다면 더 강화될 수 있고, 상기 래커층은 두께가 0.1-20㎛인 매우 균일한 층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0.3~2.5㎛의 두께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이 기계적인 연동되는 것(mechanical interlocking)을 가능한한 방지하기 위한 표면거칠기의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다. 상기 래커층이 낮은 표면장력(low surface tention)을 갖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상기 분리 작용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스킹층의 표면장력은 적합한 첨가제(additives)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왁스계, 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계(fluorohydrocarbon based) 또는 실리콘계 첨가제이다. 여기서,적합한 대체물은 특히 하이드록시기능적인 폴리에테르 변형된 폴리실록산(hydroxyfuntional polyether-modified polysiloxanes), 녹는범위가 130℃ 미만인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의 분산제 및 단능화된 플루오로 에틸렌이 혼합된 폴리머(functionalized fluoroethylene mixed polymers)(hydroxy number:55㎎ KOH/g)이다.
상기 마스킹층에 의한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의 오염을 가능한 완전히 피하기 위하여, 상기 첨가제를 상기 마스킹층의 폴리머 네트워크에서 화학 반응에 의해 고정(anchor)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적어도 운반필름, 상기 운반필름 상에 배열된 이형층 및 가식요소로서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의 측면에 배열된 이송층 수단을 갖는 전사필름을 이용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가식요소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층에 접속하는 상기 이송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층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상기 운반필름으로부터 먼 상기 전사필름의 측면 상의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과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밍층을 갖고, 상기 전사필름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개방된 사출성형몰드에 배열되고, 상기 사출성형몰드는 폐쇄되고, 플라스틱사출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프라이밍층은 사출 온도에서 부드러워져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고,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폐쇄 영역 또는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part)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al region)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경화되어 제 1 플라스틱물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목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는, 상기 플라스틱물질 상에 환상 형태로 연장된 상기 사출성형심에 의해 한정된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표면영역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가 상기 표면 영역을 일부만을 덮는 방식으로 전사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영역에 따라서만 가식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의 생산을 가능케 하고, 이로 인해 관찰자 중의 일부에 특히 시각적인 인상을 일으킨다. 이렇게, 예를 들면 상기 관찰자는 여기에 상감세공이 있다고 생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운반필름이 상기 사출성형몰드에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위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사출성형몰드에 배열되는 본 발명에 전사필름을 사용한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이 상기 사출성형몰드에 사출되었을 때, 상기 전사필름은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내벽에 압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19~100㎛의 두께를 갖는 상기 운반필름 상에 놓여진 층들은 바람직하게는 요판 인쇄법(intaglio printing),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특히 상기 가식층은 디지털(digital), 플렉소(flexo) 또는 오프셋 인쇄법(offset printing)에 의해 형성된다.
a)에 따른 전사필름이 사용된다면, 상기 고온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상기 마스킹층과 상기 프라이밍층의 노출영역에 접촉한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상기 직접 접촉 영역에서 상기 프라이밍층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되고, 이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밍층이 적어도 녹기 시작하거나 완벽하게 녹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부드러워지지 않거나 상기 사출 온도에서만 부드러워지는 한, 상기 마스킹층은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상기 마스킹층과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 사이의 상기 적접 접촉 영역에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사출 온도 영역에서는 상기 플라스틱물질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을 냉각한 후에 상기 사출성형몰드를 열고, 상기 운반필름을 제거한다. 이 경우에, 상기 프라이밍층으로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접착된 상기 가식요소의 영역만이 상기 경화 플라스틱물질 상에 남는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이 되도록 상기 마스킹층에 의해서 덮여진 상기 가식요소의 상기 영역이 상기 운반필름 및 상기 마스킹층과 함께 제거된다. c)에 따른 전사필름의 사용은 원하는 패턴 또는 가식을 갖는 마스킹층만 제공하는 종래의 IMD 이용 가능한 전사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보다 저렴하다. 또한, 이 경우 패턴의 변화는 쉽고 저렴하며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마스킹층이 1~4㎛의 두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층 두께를 갖는다면, 특히 선명한 가장자리(sharp edges)와 좋은 전사특성결과는 영역에 따른 방식으로 전사된 상기 가식요소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a)를 따른 상기 전사필름의 이송층의 신뢰성 높은 전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킹층은 0.15㎜ 이상의 직경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작은 직경은 이송층 영역이 흐트러지고 일정하지 않게 변화하는 가장자리를 갖는 불완전한 전사로 이르게 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온 플라스틱 사출 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거나 제한적으로만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프라이밍층과 접착하게 된다.
b)에 따른 전사필름을 이용한다면, 상기 고온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상기 부분적으로 배열된 프라이밍층과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의 영역에 접착하고, 상기 프라이밍층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상기 고온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상기 직접 접착 영역에서 상기 프라이밍층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하고, 이 경우는 상기 프라이밍층은 적어도 녹기 시작하거나 완전히 녹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물질이 부드러워지지 않거나 상기 사출온도 위에서만 부드러워지는 한에 있어서, 상기 보호 래커층 또는 상기 가식층은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과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 사이의 직접 접착 영역에서 결합이 발생하지않고, 상기 사출 온도 가까이에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상기 프라이밍층에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a)에 따른 상기 마스킹 물질,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염기인 2-UV 래커 또는 2-성분 폴리우레탄 래커(2-component polyurethane lacquer)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이 냉각된 후에 상기 사출성형몰드를 열고 상기 운반필름을 제거한다. 이 경우 상기 프라이밍층으로서 사용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접착된 상기 가식요소의 영역만은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 물질 상에 남아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이 되도록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 층 또는 상기 프라이밍층에 의해 노출된 층의 영역은 상기 운반필름과 함께 제거된다. b)에 따른 전사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상기 원하는 패턴 또는 가식에서 프라이밍층만을 제공하는 기존의 IMD 가능한 전사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보다 저렴하다. 또한 이 경우 이러한 패턴의 변화는 쉽고 저렴하며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에 따른 운반필름을 사용한다면,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상기 부분적으로 제공된 이송층의 상기 프라이밍층 뿐만 아니라 적합한 물질의 운반 필름의 표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는 이형층의 상기 노출된 영역과도 접착된다. 상기 고온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상기 직접 접착 영역에서 상기 프라이밍층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되고, 이 경우에 상기 프라이밍층은 적어도 녹기 시작하거나 완전하게 녹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형층이 부드러워지지 않거나 상기 사출 온도 아래에서만 부드러워지는 한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과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 사이의 직접 접착 영역에서 결합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사출 온도 가까이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화학적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상기 이형층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a)에 따른 마스킹층, 예를 들면 산 경화된 멜라민 수지 래커(acid-hardened melamine resin lacquer), 2-성분 폴리우레탄 또는 조사 경화된 래커(radiation-hardened lacquer)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을 냉각한 후에 상기 사출성형몰드를 열고, 상기 운반필름을 제거한다. 이 경우 상기 프라이밍층으로서 상기 플라스틱물질과 각각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된 상기 가식요소들은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 물질 상에 남아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을 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이형층은 상기 운반필름과 함께 제거된다.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 뿐만 아니라 상기 프라이밍층은 상기 레지스트 관계(register relationship)인 다른 층들 상에 형성되어야만 하므로, c)에 따른 전사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다소 비싸다. 여기서, 패턴의 변화는 a) 또는 b)의 이송층을 사용 할 때보다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사출 성형 물품의 가식이 패턴되도록, 바람직하게는 a)의 상기 마스킹층, b)의 상기 프라이밍층 및 c)의 상기 이송층은 패턴된 형태를 갖는다. 이 점에서 상기 마스킹층은 상기 패턴의 음각(negative)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b)의 상기 프라이밍층 및 c)의 상기 이송층은 상기 패턴의 양각(positive)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상기 텀 패턴(term pattern)은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인 패턴, 문자 숫자식의 캐릭터 표현(alphanumeric character representations) 또는 문장(coats of arms), 로고(logos), 네이처 모티프(nature motifs) 등과 같은 이미지 표현(image representations)을 표시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필름을 위하여, 상기 가식층(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금속층(metal layer)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간섭층(interference layer) 및/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색상층(color layer) 및/또는 거시적인 부조물(macroscopic relief structures), 회절 구조(diffractive structures) 또는 홀로그램홀로그램(holograms)과 같은 부조물(relief structures)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층 및/또는 형광(fluorescent) 또는 인광(phosphorescent) 안료 또는 시야각에 따라 색상 변화 효과가 있는 안료(들)을 갖는 안료층(pigmented layer)을 포함한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사필름의 상기 보호 래커층을 위하여 상기 보호 래커층은 무색 투명(coloressly transparent), 유색 투명(colored transparent) 또는 적어도 영역을 따라 불투명하다(region-wise opaque)면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추가의 시각적인 효과(optical effects)는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 몰딩 공정 후에 상기 운반필름이 상기 이송층으로부터 쉽게 이형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전사필름은 그 자체가 상기 이형층을 형성하는 표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필름과 상기 이형층은 유닛(unit)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운반필름 상에 별도의 이형층이 없을 수 있다.
이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추가 처리는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물질의 노출 영역에 의하여 엄청나게 단순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물질의 노출 영역은 상기 가식필름이 필요하지않는 간단한 방법으로 래커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상기 사용된 래커는 상기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 물질 재료와 조화를 이루어야만 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상기 가시적인 표면이 상기 전체 표면에 걸쳐서 상기 가식 필름으로 덮였을 때, 지금까지는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주어진 영역을 래커링 하기 위한 상기 래커는 상기 사용된 가식필름의 각각의 최상층(uppermost layer)과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필요하였다. 가장 좋지 않은 각본은 상기 원하는 래커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래커층의 다수를 상기 가식필름의 최상층 상에 형성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상기 가식필름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영역에 대해, 예를 들면 레이저 조사 또는 초음파에 의하여, 추가의 구조적 유닛(unit)에 접착, 압착 또는 용접되는 것이 단순하고, 복잡하지않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 점에서 상기 사출성형물품의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물질 및 그것과 접착되는 상기 대응되는 구성요소가 적용된 접착 공정의 공정 요소의 조화를 주의하는 것만이 필요하고, 하지만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물질보다 낮은 기계적인 스트레스 또는 낮은 온도에서 종종 노출될 수 있는 상기 가식필름을 이용하는 것은 주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출성형물품은 예를 들어 렌즈-유사 물질을 생산하기 위하여 추가의 사출성형몰드에서 제 2 플라스틱 사출 물질이 그 위에 사출될 때에도 유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경우 상기 경화 플라스틱물질과 제 2 플라스틱 사출 물질 사이의 양호한 튼튼한 접합을 달성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물질이 상기 경화 플라스틱물질 및 상기 제 2 플라스틱 사출 물질로 채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동일한 물질이라고 칭하는 것은 플라스틱의 색상만이 다르고, 이외에는 동일한 것을 또한 지칭한다. 이 점에서 상기 가식필름의 구조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경화 플라스틱 사출 물질의 그러한 노출 영역은, 가시 영역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이저에 의해 기록되거나 라벨링(labeling)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본체에 삽입된 전기 전도성 콘택트 구조물의 콘택트 표면 또는 상기 성형사출물품 상에 배열된 임의의 광학렌즈(optical lens) 시스템이 가식 필름에 의해 덮이지 않은 상태로 남을 가능성이 있어, 그들이 직접적으로 보이거나 접근할 수 있거나, 또는 콘텍트 표면의 경우에는 그들이 전기 선(electrical cables) 또는 전기 구성요소(electrical components)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식필름을 더이상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일반적으로 말해, 이것은 매우 간단하고, 신속 및 그래서 값싼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물품이 더 가공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1a 내지 도 3a는 본 발명을 예로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은:
도 1a는 a)에 따른 전사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b는 b)에 따른 전사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c는 c)에 따른 전사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a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으로서, 그 위에 가시영역에 제 2 플라스틱 사출물질이 사출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3a는 표면영역에 3차원 구조를 갖는 추가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표면영역에 3차원 구조를 갖는 추가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으로서 그 위에 제 2 플라스틱물질이 사출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a는 a)에 따른 전사필름(1a)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전사필름(1a)은 36㎛의 두께를 가지며 PET인 운반필름(2), 상기 운반필름(2) 상에 배열되고 녹는 범위가 90~100℃인 폴라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를 포함하는 이형층(3) 및 가식요소로서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3)의 측면 상에 배열된 이송층(7)을 갖고, 상기 가식요소는 복수의 층 부분을 갖는다. 상기 이송층(7)은 상기 이형층(3)과 접속하는 보호 래커층(4), 가식층(5) 및 상기 가식층(5)과 접속하고,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전사필름(1a)의 측면 상에 위치하고, 폴리비닐클로라이트 공중합체(polyvinyl chloride copolymer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분자량 60,000g/mol)을 포함하는 프라이밍층(6)을 갖는다. 마스킹층(8)은 상기 프라이밍층(6)의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상기 마스킹층(8)은 고도로 교차 결합된 래커층이며, 상기 프라이밍층(6)을 일부 노출시키는 패턴된 개구부(9a)를 갖는다. 상기 마스킹층(8)을 형성하기 적합한 래커는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A
아세톤(Acetone) 30 파트(parts)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5 파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분자량 대략 1,600g/mol) 20 파트
3기능성의 아크릴산 에스터(Trifunctional acrylic acid ester) 40 파트
광개시제 타입 Ⅰ(Photoinitiator type Ⅰ) 5 파트
실시예 B
에탄올(Ethanol) 10 파트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8 파트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8 파트
톨루엔(Toluene) 8 파트
헥사메틸메틸멜라민(Hexamethylmethylmelamine) 25 파트
자일렌 내의 하이드록시-기능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60%) 용액 (Solution of a hydroxy-functionalized polymethyl methacrylate(60%) in xylene) 31 파트
하이드록시기능성 폴리실록산(Hydroxyfunctional polysiloxane) 3 파트
p-톨루엔 술폰산 (p-Toluene sulfonic acid) 7 파트
상기 마스킹층(8)을 PMMA, ABS, SAN, PS, PC, PP 또는 이들과 융화될 수 있는 혼합물이 상기 플라스틱물질로 사용되면 사용될 수 있다.
도 1b는 b)에 따른 전사필름(1b)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전사필름(1b)은 PET인 운반필름(2), 상기 운반필름(2) 상에 배열되고 폴리에틸렌왁스(녹는범위 80~100℃)을 포함하는 이형층(3) 및 가식요소로서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3)의 측면에 배열된 이송층을 갖고, 상기 가식요소는 복수의 층 부분을 갖는다. 상기 가식요소는 상기 이형층(3)과 접속하는 보호 래커층(4), 착색된 가식층(5) 및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전사필름(1a)의 측면 상의 상기 가식층(5)과 접속하는 프라이밍층(6)을 갖는다. 상기 프라이밍층(6)은 상기 가식층(5) 의 일부만을 덮는다. 상기 착색된 가식층(5)은 하기의 조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식층(5)을 형성하기 위한 래커의 실시예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63 파트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5 파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분자량 100,000g/mol)
20 파트
고분자 분산 첨가제(High-molecular dispersing additive) 3 파트
운모기 효과 안료(Mica-based effect pigment) 9 파트
상기 프라이머(6)에 대한 실시예
아세톤(Acetone) 12 파트
톨루엔(Toluene) 45 파트
염소화 폴리올레핀(Chlorinated polyolefin)(염소 함량 30%) 33 파트
발열성 규산(Pyrogenic silicic acid) 10 파트
상기 가식층(5)은 PP, PE 또는 TRO가 상기 플라스틱물질로 사용되면 사용될 수 있다.
도 1c는 c)에 따른 복수의 층 부분을 갖는 전사필름(1c)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전사필름(1c)은 PET인 운반필름(2), 상기 운반필름(2) 상에 배열된 이형층(3) 및 가식요소(9)로서 상기 운반필름(2)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의 측면 상에 배열된 이송층을 갖고, 상기 가식요소는 복수의 층부분을 갖는다. 상기 가식요소(9)는 상기 이형층(3)과 접속하는 보호래커층(4), 가식층(5) 및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전사필름(1a)의 측면 상의 상기 가식층(5)과 접속하는 프라이밍층(6)을 갖는다. 상기 가식요소(9)는 상기 이형층(3)의 일부만을 덮고, 상기 보호층(4), 상기 가식층(5) 및 상기 프라이밍층(6)이 상당히 일치하는(substantially coincident) 상호 중첩된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이형층(3)은 하기의 조성에 의해 형성되었다.
실시예 A
에탄올(Ethanol) 10 파트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8 파트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8 파트
톨루엔(Toluene) 8 파트
헥사메틸메틸멜라민(Hexamethylmethylmelamine) 25 파트
자일렌 중의 하이드록시-기능화 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60%) 용액(Solution of a hydroxy-functionalized polymer methacrylate(60%) in xylene) 29 파트
발열성 규산(Pyrogenic silicic acid) 5 파트
p-톨루엔 술폰산 (p-Toluene sulfonic acid) 7 파트
실시예 B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25 파트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5 파트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5 파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분자량 60,000g/mol)
18 파트
디펜타에리트롤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throlpentaacrylate) 25 파트
광개시제 타입 Ⅰ 2 파트
이 버전은 PMMA, ABS, ASA, PC, PP, PE, SAN, PVC 및 그의 혼합물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는 상기 가식된 사출성형물품(11a)의 단면을 나타낸다. 가식요소(9)는 PMMA인 상기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절선(broken line)은 폐쇄된 사출성형몰드의 두 개의 절반 사이의 심 영역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에 형성된 사출성형심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2b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11b)의 단면을 나타낸다. 가식요소(9)는 PMMA인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절선은 폐쇄된 사출성형몰드의 두 개의 절반 사이의 심 영역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에 형성된 사출성형심의 위치를 표시한다. 가식요소(9)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 영역은 PMMA 또는 PC, PS, SAN 또는 PA의 제 2의 무색 투명한 플라스틱물질(12)이 사출되고, 이로 인해 심도효과(depth effect)를 제공한 다.
도 3a는 가식된 성형사출물품(13a)의 단면을 나타낸다. 가식요소(9)는 상기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3차원 구조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이 점에서 상기 가식요소(9)는 상기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돌출 부분을 강조한다. 절선은 폐쇄된 사출성형몰드의 두 개의 절반 사이의 심 영역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에 형성된 사출성형심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3b는 사출성형물품(13b)의 단면을 나타낸다. 가식요소(9)는 상기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3차원 구조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이 점에서 상기 가식요소(9)는 상기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돌출 부분을 강조한다. 절선은 폐쇄된 사출성형몰드의 두 개의 절반 사이의 심 영역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에 형성된 사출성형심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가식요소(9)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심에 의해 한정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 영역은 제 2의 무색 투명한 플라스틱물질(12)이 사출되고, 이로 인해 심도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경화 착색된 플라스틱물질(10)의 3차원 구조가 가시적으로 남는다.
상기 가식된 사출성형물품에 대한 추가의 가능한 설계 옵션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게 쉽사리 명백해질 것이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사출플라스틱물질(10) 및 그것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decorative element)(9)로 형성되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decorated injection molded article)(11a, 11b, 13a, 13b)으로서,
    상기 가식요소(9)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layer portions)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에 가식(decoration) 및/또는 보호층(protective layer)을 제공하고,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은, 사출성형공정 중에, 상기 사출플라스틱물질(10) 상에 사출성형몰드(injection molding mold)의 폐쇄 영역(closing region) 또는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parts) 사이의 전이영역(transitional region)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injection molded seam)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9)는, 상기 플라스틱물질 상에 환상 형태(annular configuration)로 연장된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을 일부만을 덮고,
    상기 가식요소(9)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층(protective lacquer layer)(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decorative layer)(5) 및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4,5)과 접속하고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사출 성형 온도에서 부드러워지는 프라이밍층(priming layer)(6)을 갖고, 상기 프라이밍층(6)이 상기 플라스 틱물질(1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병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상호 독립적인 가식요소(9)는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 영역을 일부만을 덮고, 이것은 상기 플라스틱물질(10) 상에 환상 형태로 연장된 상기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9)는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3차원 표면 구조 상에 겹쳐놓는 것(superimpose)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라스틱물질(10)로부터 먼 측면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9) 위에 제 2 플라스틱물질(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식요소(9)로부터 먼 측면 상에 상기 제 2 플라스틱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가식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의 제조를 위한 전사필름(transfer film)(1a, 1b, 1c)으로서,
    상기 전사필름(1a, 1b, 1c)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필름(carrier film)(2), 상기 운반필름(2) 상에 배열된 이형층(release layer)(3) 및 가식요소(9)로서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3)의 측면에 배열된 이송층 수단(transfer layer means)(7)을 갖고,
    상기 가식요소(9)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고,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에 가식(decoration) 및/또는 보호층(protective layer)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층(3)에 접속하는 상기 이송층 수단(7)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층(protective lacquer layer)(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decorative layer)(5) 및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전사필름(1a, 1b, 1c)의 측면 상의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4,5)에 접속하는 프라이밍층(priming layer)(6)을 갖는데, 상기 프라이밍층(6)은 사출성형온도에서 부드러워지고, 플라스틱 사출물질과 결합하여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을 형성하고,
    a) 마스킹층(masking layer)(8)은 상기 프라이밍층(6)을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측면 상에서 일부만 덮으며, 상기 마스킹층(8)은 사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과 결합하지 않거나,
    b) 상기 프라이밍층(6)은 사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과 결합하지 않도록, 상기 프라이밍층(6)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가식층(4,5) 상의 영역을 따라(region-wise)서만 배열되거나, 또는
    c) 상기 이송층(7)은 상기 이형층(3)이 사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물질(10)과 결합하지 않도록 상기 이형층(3) 상의 영역을 따라서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7. 청구항 6에 있어서,
    a)의 상기 마스킹층(8), b)의 상기 프라이밍층(6)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4,5) 및 c)의 상기 이형층(3)은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사출 온도를 부드럽게 되지 않고 견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a)의 상기 마스킹층(8), b)의 상기 프라이밍층(6)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4,5) 및 c)의 상기 이형층(3)은 상기 플라스틱물질(10)과 화학적으로 융화될 수 없는 것(incompatible)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9.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상기 마스킹층(8), b)의 상기 프라이밍층(6)과 접속하는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4,5) 및 c)의 상기 이형층(3)은 조사 경화(radiation hardening), 이소시아네이트 경화(isocyanate hardening) 또는 산 경화(acid hardening)로 고도에 의해 교차 결합된 래커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0.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상기 마스킹층(8)은 1~4㎛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1. 청구항 6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상기 마스킹층(8)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opening)(9a)을 갖으며, 상기 개구부(9a)는 0.15㎜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2.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상기 마스킹층(8), b)의 상기 프라이밍층(6) 및 c)의 상기 이송층(7)이 패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3. 청구항 6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금속층(metal layer)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간섭층(interference layer)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색상층(color layer) 및/또는 거시적인 부조물(macroscopic relief structures), 회절 구조(diffractive structures) 또는 홀로그램(holograms)과 같 은 부조물(relief structures)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층, 및/또는 형광 또는 인광안료(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pigments) 또는 시야각에 따라 색상 변화 효과가 있는 안료(들)을 갖는 안료층(pigmented lay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4. 청구항 6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래커층(4)은 무색 투명, 유색 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전사필름.
  15. 청구항 6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필름(2)은 상기 이형층(3)을 형성하는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6. 적어도 하나의 운반필름(2), 상기 운반필름(2) 상에 배열된 이형층(3) 및 가식요소(9)로서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이형층(3)의 측면에 배열된 이송층 수단(7)을 갖는 전사필름(1a, 1b, 1c)을 이용한 가식된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식요소(9)는 하나 이상의 층 부분을 갖으며,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에 가식 및/또는 보호층을 제공하고,
    상기 이형층(3)에 접속하는 상기 이송층 수단(7)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래커 층(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5) 및 상기 운반필름(2)으로부터 먼 상기 전사필름(1a, 1b, 1c)의 측면 상의 상기 보호 래커 또는 상기 가식층(4,5)에 접속하는 프라이밍층(6)을 갖으며,
    상기 전사필름(1a, 1b, 1c)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part)을 포함하는 개방된(opened) 사출성형몰드에 배열되고, 상기 사출성형몰드는 폐쇄되고, 플라스틱 사출 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프라이밍층(6)은 사출온도에서 부드러워져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과 결합하고,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 상에는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폐쇄영역 또는 상기 사출성형몰드의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부분(parts)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al region)에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심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 물질은 경화되어 제 1 플라스틱물질(10)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9)는, 상기 플라스틱물질(10) 상에 환상 형태로 연장된 상기 사출성형심으로 한정된 상기 플라스틱물질(10)의 표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식요소(9)가 상기 표면 영역을 일부만을 덮는 방식으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청구항 6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사필름(1a, 1b, 1c)은 상기 운반필름(2)이 상기 사출성형몰드에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상기 사출성형 몰드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은 상기 가식요소(9)가 없는 영역에서 적어도 영역을 따라서 래커되어 있는 것(lacquered)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6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플라스틱 사출물질(12)은 상기 사출 상형 물품(11a, 11b, 13a, 13b) 위 전체에 걸쳐 영역을 따라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6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조사 또는 초음파에 의하여, 추가의 구조적 유닛(unit)에 접착(glued), 압착(pressed) 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16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에 의해서, 상기 가식요소(9)가 없는 영역에 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 조방법.
  22. 청구항 16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품(11a, 11b, 13a, 13b)의 표면에 광학 렌즈 시스템(optical lens systems) 및/또는 상기 플라스틱물질에 병합된 전기 전도성 콘택트 구조(electrically conducting contact structures)의 접촉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품의 제조방법.
KR1020077006849A 2004-08-27 2005-08-23 가식(加飾)된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및 이와 같은 물품의제조방법 KR101232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1867A DE102004041867A1 (de) 2004-08-27 2004-08-27 Dekorierter Spritzgussartikel, sowie Transferfol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E102004041867.5 2004-08-27
PCT/DE2005/001487 WO2006021200A1 (de) 2004-08-27 2005-08-23 Dekorierter spritzgussartikel, sowie transferfol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923A true KR20070051923A (ko) 2007-05-18
KR101232418B1 KR101232418B1 (ko) 2013-02-15

Family

ID=3546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849A KR101232418B1 (ko) 2004-08-27 2005-08-23 가식(加飾)된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및 이와 같은 물품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095992A1 (ko)
EP (1) EP1784294A1 (ko)
JP (1) JP4827846B2 (ko)
KR (1) KR101232418B1 (ko)
CN (1) CN101018655B (ko)
BR (1) BRPI0514700A (ko)
DE (1) DE102004041867A1 (ko)
MX (1) MX2007002152A (ko)
TW (1) TWI356762B (ko)
WO (1) WO20060212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446A3 (ko) * 2011-01-11 2012-09-13 (주)엘지하우시스 3차원 표면 패턴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몰드를 이용한 고분자 성형물 제조 방법 및 3차원 표면 패턴을 갖는 가전제품용 성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2477A1 (de) * 2004-12-24 2006-07-06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formteiles aus Kunststoff und dessen Verwendung
WO2007146034A2 (en) * 2006-06-07 2007-12-21 Pursuit Engineering Llc Highly-efficient optical collection and reflection surface(s) and molding system for manufacture of same
DE102007020308A1 (de) * 2007-04-17 2008-10-23 Cmc Consumer Medical Care Gmbh Kraftfahrzeug-Verbandmaterialbehälter
DE102007028469B4 (de) 2007-06-18 2013-08-14 Oechs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ekorierten Spritzguß-Formteilen und Einrichtung zum Ausüben des Verfahrens
DE102007041347B4 (de) * 2007-08-30 2018-12-20 Linden Gmbh Emblem mit farbigen und silberglänzenden Flächen
JP4544372B2 (ja) * 2008-08-22 2010-09-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基板の製造方法
US20100075091A1 (en) * 2008-09-22 2010-03-25 Shih-Feng Lee Three dimension ornamental article
AT507883B1 (de) 2009-05-19 2010-09-15 Swarovski & Co Spritzgegossener dekorationsartikel
DE202009015066U1 (de) * 2009-11-05 2010-03-25 Schoeller Arca Systems Gmbh Behälter insbesondere Flaschenkasten mit Inmould-Label
TW201351239A (zh) * 2010-06-07 2013-12-16 Wintek Corp 觸控裝置及觸控顯示裝置
DE102010049006A1 (de) * 2010-10-21 2012-04-26 Schreiner Group Gmbh & Co. Kg Sensoranordnung zur Detektion einer Annäherung und/oder Berührung sowie Verfahren zur Assemblierung einer Sensoranordnung
EP2632978B1 (en) 2010-10-25 2021-02-24 SABIC Innovative Plastics B.V. Improved electroless plating performance of laser direct structuring materials
US20120276390A1 (en) * 2010-10-26 2012-11-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aser direct structuring materials with all color capability
JP2012142364A (ja) * 2010-12-28 2012-07-26 Nitto Denko Corp 封止部材、封止方法、および、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2011108803B4 (de) 2011-07-29 2017-06-29 Polyic Gmbh & Co. Kg Touchsensor mit einer Kunststofffolie, Verwendung der Kunststofffol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ultimodalen Eingabevorrichtung
JP5066291B1 (ja) * 2012-01-23 2012-11-07 尾池工業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金属調成形品の製造方法
CN103753760A (zh) * 2013-12-30 2014-04-30 青岛海永盛发展有限公司 一种注塑工艺
CN107073760B (zh) * 2014-05-30 2020-09-29 专一展览公司 热固性模内修饰膜
ES2715451T3 (es) * 2015-06-03 2019-06-04 Weidplas Gmbh Componente
JP6617501B2 (ja) * 2015-09-30 2019-12-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107735256A (zh) 2016-06-14 2018-02-23 法国圣戈班玻璃厂 制造塑料‑车辆构件的方法
DE102016112505A1 (de) * 2016-07-07 2018-01-11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Transferfolie
CN108927948B (zh) * 2018-07-10 2023-08-25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软胶注塑皮革效果的冰箱用饰条及把手的成型工艺
WO2020114924A1 (de) * 2018-12-04 2020-06-11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von virtuellen dreidimensionalen mustern in formkörpern aus kunststoff
DE102019106561A1 (de) 2019-03-14 2020-09-17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JP7101634B2 (ja) * 2019-03-29 2022-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品
CN110885470A (zh) * 2019-09-20 2020-03-17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塑料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456U (ko) * 1980-08-04 1982-02-23
JPS5734456A (en) * 1980-08-09 1982-0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Wheel velocity sensor
JPS58132529A (ja) * 1982-02-02 198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同時成形工法
JPS62128720A (ja) * 1985-11-29 1987-06-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射出同時成形法
JPS62259830A (ja) * 1986-05-07 1987-11-12 Dainippon Toryo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JPH07102588B2 (ja) * 1988-04-15 1995-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CA2022667A1 (en) 1989-08-09 1991-02-10 Yoichi Ebina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olded article having pictorial pattern formed there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JPH03231821A (ja) * 1990-02-07 1991-10-15 Toppan Printing Co Ltd 絵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転写箔
JP2981475B2 (ja) * 1990-06-29 1999-11-2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キャップまたはホイールキャップのセンターエンブレム
JPH0531808A (ja) * 1991-07-31 1993-02-09 Nissha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ツク接合製品の製造方法
JPH08413B2 (ja) * 1992-07-31 1996-01-1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電飾用成形品の製造方法
JP2607032B2 (ja) 1993-07-16 1997-05-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成形同時絵付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79307A (ja) * 1995-04-05 1996-10-22 Nissha Printing Co Ltd 面発光装置用転写材と面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H09262865A (ja) * 1996-03-27 1997-10-07 Taniuchi Kanagata Seisakusho:Kk 樹脂成形品のインモールド転写方法及びその金型装置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樹脂成形品
JPH10180801A (ja) * 1996-12-26 1998-07-07 Nissha Printing Co Ltd 絵付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H1134064A (ja) * 1997-07-23 1999-02-09 Idemitsu Petrochem Co Ltd 表皮材付き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9115B2 (ja) * 1997-07-28 2000-10-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転写方法
AU2881900A (en) * 1999-03-01 2000-09-21 Rexam Industries Corp. Decorative sheet material including mask layer
JP2002293094A (ja) * 2001-03-29 2002-10-09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と積層体の製造方法
JP3993771B2 (ja) * 2002-02-01 2007-10-1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DE10221482C1 (de) * 2002-05-15 2003-09-18 Kurz Leonhard Fa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abgewinkelt profilierten Formteiles, das mit einer Prägefolie dekoriert wird
DE10236810A1 (de) * 2002-08-10 2004-02-26 Leonhard Kurz Gmbh & Co. Kg Teilstrukturierte IMD-fähige Mehrschichtfolie
CN1175979C (zh) * 2002-09-06 2004-11-17 汕头市东田转印有限公司 一种转印膜的生产方法及其制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446A3 (ko) * 2011-01-11 2012-09-13 (주)엘지하우시스 3차원 표면 패턴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몰드를 이용한 고분자 성형물 제조 방법 및 3차원 표면 패턴을 갖는 가전제품용 성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418B1 (ko) 2013-02-15
EP1784294A1 (de) 2007-05-16
BRPI0514700A (pt) 2008-06-24
TWI356762B (en) 2012-01-21
MX2007002152A (es) 2007-05-10
TW200615115A (en) 2006-05-16
CN101018655B (zh) 2010-10-13
US20080095992A1 (en) 2008-04-24
DE102004041867A1 (de) 2006-03-16
JP4827846B2 (ja) 2011-11-30
CN101018655A (zh) 2007-08-15
JP2008510637A (ja) 2008-04-10
WO2006021200A1 (de)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418B1 (ko) 가식(加飾)된 사출성형물품, 전사필름 및 이와 같은 물품의제조방법
KR101184146B1 (ko)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TW201527070A (zh) 裝飾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加飾成型品的製造方法
US20180345877A1 (en) Illuminated badge
CN102686377A (zh) 装饰板条的制造方法
US20110079933A1 (en) Imd/imr transfer pattern method
JP4054040B2 (ja) 成形同時加飾成形品及び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CN110267790B (zh) 生产具有经装饰表面的塑料成型件的方法和具有经装饰表面的塑料成型件
JP4994307B2 (ja) 転写シート、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転写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転写成形品
EP1747877A1 (en) Moulded 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m
CN105984070A (zh) 壳体及其制备方法、电子装置、车辆内饰件
KR101222067B1 (ko) 입체장식효과를 가지는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5003853A (ja) インサート成形用ホログラムフィルム
JP2946573B2 (ja) 表面保護用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層を有する合成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JP426837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TWI781486B (zh) 立體雷射圖騰、具有其的殼件、具有其的發光元件以及其製造方法
JP2003266615A (ja) 加飾成形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917531B2 (ja) ミリ波透過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9029055A (ja)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と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15987A (ja) ヘアライン目インサートフィルム、ヘアライン目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H08267688A (ja) 装飾フィルム付き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1398A (ja) 加飾シート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2006069132A (ja) 裏面から照光可能な成形同時加飾成形品
JP2004358919A (ja) 凹凸感を有する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5200549A (ja) 射出成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