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926A -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926A
KR20070050926A KR1020077004038A KR20077004038A KR20070050926A KR 20070050926 A KR20070050926 A KR 20070050926A KR 1020077004038 A KR1020077004038 A KR 1020077004038A KR 20077004038 A KR20077004038 A KR 20077004038A KR 20070050926 A KR20070050926 A KR 2007005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mpacted
coil
resin composition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873B1 (ko
Inventor
기요타카 마츠카와
고조 이시하라
가즈오 이시카와
도모히로 도요다
도시카즈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니뽄 가가쿠 야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가쿠 야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가쿠 야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8Magnetic or paramagneti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2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08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08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in a bonding ag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17/062Toroidal core with turns of coil around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5Impregnating or encap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6)에 포함되는 자성분말을 절연재로 피복하고, 압분성형 자성체(2)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22)를 수지조성물(6) 안에 인서트 성형하도록 하였다.
자성 코어부품

Description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CORE COMPONENT}
본 발명은 인덕터, 트랜스, 안테나(바 안테나), 쵸크코일, 필터, 센서 등의 전기기기 혹은 전자기기의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기기기 혹은 전자기기의 소형화, 고주파화, 대전류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코어부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주류인 페라이트(ferrite) 재료는 재료특성 그 자체가 한계에 이르러, 새로운 재료가 모색되고 있다. 센더스트(sendust)나 아모르퍼스 호일스트립(foil strip) 등의 신재료가 페라이트 재료로 바뀌어 가고는 있지만, 일부에 그치고 있다. 자기특성이 뛰어난 아모르퍼스 분말 재료도 등장하였지만, 성형성이 종래의 재료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실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또한, 코어부품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코일과 자성분이 일체가 된 자성부품(코일 밀봉형 자성부품)도 제안되고 있는데, 압분성형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코일의 전극단자를 꺾을 때, 전극 단자의 인출부 주변의 압분성형체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압분성형체가 꺾이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2개 이상의 단자를 압분성형체의 측면으로부터 끌어낸 코일 밀봉형 자성부품에 있어서, 단자 인출위치의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에 대응하는 압분성형체의 윗면 및 아랫면에 단자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자 인출부 주위의 성형체 밀도를 향상시켜, 단자의 절곡 등에 기인하는 크랙의 발생이나 성형체의 꺾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일본특허공개 2003-309024호 공보 참조).
또한, 수지재를 사용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회전축과 영구자석을 일체화하는 소형 모터용 로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자성재를 함유하는 수지를 사용한 인서트 성형을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10-257701호 공보).
또한, 띠형상의 금속판으로부터 캐리어부와 단자부재로 이루어지는 리드 프레임을 뚫고, 단자부분의 선단부를 절곡한 후, 페라이트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단자부재의 일부를 남기도록 하여 코어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5-315176호 공보 참조).
또한, 영구자석조각과 절연물을 혼합하고, 압축성형한 자석을 자심의 공극에 삽입하여 자기특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소50-133453호 공보 참조).
하지만, 일본특허공개 2003-309024호 공보에 기재된 압분성형의 경우, 코일에 걸리는 압력이 크고, 코일의 절연피막을 충분히 얻을 수 없으면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일을 삽입하면 압분성형체를 구성하는 각 입자로의 압력전달이 불균일해지기 쉽고, 형상에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돌출하는 전극단자의 절곡에 있어서 역시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10-257701호 공보에 기재된 로터의 제조법에서는, 생산효율은 올라가지만 자성재의 특성은 개선되지 않고, 자성재가 절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교류자기특성 특히, 직류중첩특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일본특허공개 평5-315176호 공보에 기재된 제조방법에서는, 압분성형에 의한 인서트 성형과 달리 크랙의 문제는 없지만, 자성 수지재료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압분성형체에 비하여 자속밀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50-133453호 공보에 기재된 압축성형자석의 경우, 자석을 자심에 넣는 공정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압축성형체 그대로는 부품을 취급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어,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분성형체의 충전밀도를 높임으로써 크랙 발생의 우려가 없고, 성형성이 나쁜 자성분말을 사용하여 바리에이션(variation)이 있는 형상이나 특성을 가지는 소형이며 저가의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코어부품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사출성형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성분말을 절연재로 피복하고, 압분성형 자성체 및 압분자석 성형체의 어느 하나를 상기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가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결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압분성형 자성체에 사용하는 자성분말의 입자직경을 수지조성물의 자성분말 입자직경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압분자석 성형체가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경화온도를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사출성형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쇄하여 수지조성물과 일체로 코어부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코일에 의해 자성 코어부품을 구성하고, 적어도 코일의 안쪽에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코일에 의해 자성 코어부품을 구성하고, 코일 축심방향의 양측에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소정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코어부품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선재를 막대재에 감아 코일을 제작하고, 막대재로부터 뽑아낸 코일의 축심을 대략 원형으로 만곡시켜 도넛형(toroidal) 공심 코어를 형성하며, 상기 도넛형 공심 코어를 절연재로 피복된 자성분말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지조성물보다 투자율(permeability)이 높은 선형상 혹은 호일형상의 재료를 상기 코일의 축심에 따라 배치하고,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분성형 자성체를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자속밀도를 높이고 싶은 부분에 압분성형체를 배치함으로써 통상의 사출성형품에 비하여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성 코어부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분성형체도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밀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전극단자의 절곡시 등에 발생하는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압분자석 성형체를 자로(磁路;magnetic path)의 일부에 배치하면, 자성 코어부품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게 되어, 높은 자계에서도 자성 코어부품이 쉽게 포화되지 않는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 안에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결착제를 함유시켰기 때문에, 사출성형시에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 안의 결착제의 용융 혹은 연화가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사출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온간(溫間)가압과 유사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가압압축이 진행되어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 그 자체의 자기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압분자석 성형체 안에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경화온도를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시켰기 때문에, 사출성형시에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시작된다. 그 결과, 압분자석 성형체의 밀도가 상승하여, 자기특성의 개선이나 강도상승에 의한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사출성형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의 붕괴 과정에서 그 안에 존재하는 공극이 해방되어 전체의 충전율이 개선되는 동시에,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의 형상이 그대로 남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가 균질화된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의 붕괴를 예를 들어, 자성 코어부품의 끝면 등과 같이 국부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면,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의 유무에 의한 급격한 자기특성의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코일과 조합하여 인서트 성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코일과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와의 위치관계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자속밀도를 부분적으로 높이거나 효과적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할 수 있어, 코일 직경이나 감는 횟수, 혹은 코일을 포함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전체 높이 등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지조성물이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 단독에서 발생하였던 전극단자의 절곡시에 발생하는 크랙의 우려가 없다.
또한, 코일, 아모르퍼스 코일스트립,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자성 코어부품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형상면에서의 제약이 적어진다. 특히,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의 형상이 단순화되면, 압분성형 금형의 구조도 단순화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금형 수명이 길어지는 동시에 성형 속도가 빨라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압분성형 자성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분성형 자성체의 사출성형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도 1의 압분성형 자성체의 사출성형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도 1의 압분성형 자성체의 사출성형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도넛형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Vb-V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E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VIb-V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자성 코어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자성 코어부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a의 자성 코어부품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자성 코어부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자성 코어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자성 코어부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자성 코어부품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자성 코어부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도넛형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XIb-X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E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XIIb-XI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 압분성형 자성체의 자성분말입자,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의 자석분말입자
4: 결착제 6: 수지조성물
8: 수지조성물 안의 자성분말입자 10: 코일
12: 인출부 16: 코일
18: 인출부 20: 고투자율 재료
22: 압분자석 성형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압분성형된 상태의 자성체를 나타내고 있으며, 절연재로 피복된 자성분말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말입자(2) 사이에 다수의 결착제 입자(4)를 함유(분산)시킨 것이다.
결착제(4)로는 소정의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절연재로 피복된 자성분말을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함께 소정의 온도로 사출성형함으로써, 결착제(4)가 용융 혹은 연화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분말입자(2) 사이의 간격이 짧아져, 압분성형 자성체가 수축하여 그 충전밀도가 상승된다.
자성분말입자(2)로서는 연자기특성이 뛰어난 예를 들어, 아래에 나타내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 순철(純鐵)계 연자성 재료로는, 메탈분말, 질화철분말 등
· 철기 합금계 연자성 재료로는, Fe-Si-Al 합금(센더스트) 분말, 슈퍼 센더스트 분말, Ni-Fe 합금(퍼멀로이(permalloy)) 분말, Co-Fe 합금분말, 순철계 연자성 재료, Fe-Si-B계 합금분말 등
· 페라이트계 재료
· 아모르퍼스계 재료
· 미세결정 재료
또한, 압분성형에 사용하는 결착제(4)로서는 아래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PS, 액정폴리머, PEEK,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부탈아미드, 폴리아미드 등
· 상기 수지의 혼합물
또한, 자성분말입자(2)를 피복하는 절연재 혹은 베이스 수지의 자성분말을 피복하는 절연재로서는, 아래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 Al2O3, Y2O3, MgO, ZrO2 등의 절연성 금속 또는 반금속의 산화물
· 글라스 재료
· 이들의 혼합물
한편, 사출성형에 사용하는 베이스 수지는, 통상의 사출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결착제(4)에 사용하는 수지와 같거나 혹은 달라도 상관없다. 단, 사출성형시에 압분성형체를 가압압축시키기 위해서는, 결착제(4)에 사용하는 수지의 융점이 사출성형온도보다 30℃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차이가 너무 크면 결착제(4) 분해 등의 폐해가 발생한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2) 안에 결착제(4)를 반드시 함유시킬 필요는 없으며, 베이스 수지 안에 압분성형 자성체(2)를 단순히 인서트 성형하는 경우에도, 자 속밀도를 높이고 싶은 부분에 압분성형 자성체(2)를 배치함으로써 통상의 사출성형품에 비하여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어, 자성 코어부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분성형 자성체(2)의 형상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밀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전극단자의 절곡시 등에 발생하는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압분성형 자성체에 사용하는 자성분말입자(2)의 입자직경은, 베이스가 되는 수지조성물 안에 포함되는 절연된 자성분말입자의 입자직경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으며, 도 3은 그와 같이 설정한 경우의 사출성형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시에 결착제(4)가 용융하여 압분성형 자성체의 충전밀도가 상승하는데, 압분성형 자성체에 사용하는 자성분말입자(2)의 입자직경이 수지조성물(6) 안의 자성분말입자(8)의 입자직경보다 크면, 자성분말입자(8)가 압분성형 자성체의 표면 근처의 빈틈으로 들어가 자성체로서의 연속성이 향상된다.
한편, 압분성형 자성체에 사용하는 자성분말입자(2)의 입자직경은, 수지조성물(6) 안의 자성분말입자(8)의 입자직경보다 평균입자직경으로 1.5배에서 3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론상으로는 이 입자직경의 비율은 더 커도 되지만, 자성분말입자의 조합에 따라서는 압분성형 혹은 사출성형을 실제로 행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말성형 자성체가 엣지가 있는 형상(예를 들어, 버(burr)가 큰 형상)이나 저밀도부를 가지고 있거나 자성분말(2)에 비하여 결착제(4)가 적으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시의 유동에 따른 압력에 의해 자성분말입자(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쇄되어, 베이스가 되는 수지조성물과 일체로 코어부품을 형성하게 되어, 수지조성물 안의 자성체 충전량이 실질적으로 높아진다.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도넛형 코어 및 E 코어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자기특성이 뛰어난(소정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인덕터, 트랜스, 쵸크코일, 필터 등에 사용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도넛형 코어는 원형상으로 배치한 압분성형체를 수지조성물에 인서트 성형하고 있는데 대하여,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E코어는 그 중심부에 배치한 압분성형체를 수지조성물에 인서트 성형하고 있다.
(실시예 2)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자성 코어부품을 나타내고 있으며, 자성 코어부품이 코일 밀봉형 자성부품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0)을 그 양끝의 인출부(12)를 대략 평행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코일(10)의 안쪽에 압분성형 자성체(2)를 삽입하고, 수지조성물(6)과 함께 인서트 성형하여 양끝의 인출부(12)만을 노출시킴으로써,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투자율이 부분적으로 높아지고, 그 성능이 개선된다. 특히, 코일(10) 안쪽에 압분성형 자성체(2)를 삽입하면, 코일(10) 안쪽의 투자율이 높아져 코일직경을 작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감는 횟 수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0) 축심방향의 양측에 투자율이 높은 압분성형 자성체(2)를 배치한 상태에서, 수지조성물(6)과 함께 인서트 성형하여 양끝의 인출부(12)만을 노출시키면, 코일(10)의 축심방향에서의 양측의 투자율이 부분적으로 높아져, 코어(코일) 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자성 코어부품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이 코일 밀봉형 자성부품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경우, 먼저 Cu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직선형 막대재(도시하지 않음)에 감아 코일(16)을 제작하고, 제작한 코일(16)을 막대재로부터 뽑아내 코일(16)의 축심을 대략 원형으로 만곡시키는 동시에, 그 양끝의 인출부(18)를 대략 평행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빼낸다. 그 후, 이와 같이 만곡시킨 코일(16)을 수지조성물(6)과 함께 인서트 성형하여 양끝의 인출부(18)만을 노출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극히 간단하게 공심 코일 일체형 도넛형 코어가 완성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공심 코일 일체형 도넛형 코어)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어지는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과 다른 점은, 축심을 대략 원형으로 만곡한 코일(16)의 축심에 따라 수지조성물(6)보다 투자율이 높은 선형상 혹은 호일형상의 고투자율 재료(2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수지조성물(6)과 함께 인서트 성형하여 양끝의 인출부(18)만을 노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투자율 재료(20)를 코일(16)의 축심에 따라 배치시킴으로서, 압분체 만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웠던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고투자율 재료로서는 아모르퍼스 호일스트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a, 도 11b, 및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도넛형 코어 및 E 코어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자기특성이 뛰어난(소정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인덕터, 트랜스, 쵸크코일, 필터 등에 사용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어지는 도넛형 코어는, 단면 T자형의 압분자석 성형체(22)를 수지조성물(6)의 일부에 인서트 성형하고 있는데 대하여,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어지는 E 코어는, 그 중심부에 배치한 단면 역 T자형의 압분자석 성형체(22)를 수지조성물(6)에 인서트 성형하고 있다.
한편,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압분성형 자성체(2)가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데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압분자석 성형체(22)가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점에서 두 실시예가 서로 다르다. 압분자석 성형체(22)는 또한 도 7a, 도 7b, 및 도 8a, 도 8b의 자성 코어부품에 있어서, 압분성형 자성체(2) 대신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코일(10)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없애도록 압분자석 성형체(22)를 착자(着 磁,magnetization)하면, 자기특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재로 피복되어 자성 분말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말입자(2) 사이에 다수의 결착제 입자(4)를 함유시키고 있는데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압분자석 성형체(22)에서는, 절연재로 피복된 다수의 자석분말입자 사이에 다수의 결착제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압분자석 성형체의 충전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자석분말입자로서는 페라이트계 자석분말, Fe-Nd-B계 등의 희토류계 자석분말 등의 경질자성재료가 바람직하고, 아모르퍼스 재료나 미세결정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분성형에 사용하는 결착제(4)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PS, 액정폴리머, PEEK,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부탈아미드, 폴리아미드 등
· 상기 수지의 혼합물
더욱이, 결착제(4)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페놀, 폴리이미드, 요소(尿素), 멜라민, 에폭시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온도조건 등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대략 같지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분성형 자성체에 사용하는 자성분말입 자(2)의 입자직경을 수지조성물(6) 안의 자성분말입자(8)의 입자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자성체로서의 연속성이 향상되는데 대하여, 본 실시예는 자성분말입자(2)로서 경질 자성재료를 사용하고 있어, 자성체로서의 연속성 향상에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자석분말입자의 입자직경을 자성분말입자(8)의 입자직경보다 크게 설정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압분자석 성형체(22)가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경화 온도를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성형시에 압분자석 성형체(22)가 수축한 후 경화함으로써 압분자석 성형체의 밀도가 상승되고, 자기특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수지성형 자성 코어부품의 충전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소형으로 저가의 자성 코어부품을 양산하는데 적합하며, 인덕터, 트랜스, 안테나(바 안테나), 쵸크코일, 필터, 센서 등의 전기기기 혹은 전자기기의 제조에 유용하다.

Claims (9)

  1. 소정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코어부품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사출성형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성분말을 절연재로 피복하고, 압분성형 자성체 및 압분자석 성형체의 어느 하나를 상기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가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결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분성형 자성체에 사용하는 자성분말의 입자직경을 상기 수지조성물의 자성분말 입자직경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분자석 성형체가 사출성형 온도보다 낮은 경화온도를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사출성형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쇄하여 상기 수지조성물과 일체로 코어부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일에 의해 자성 코어부품을 구성하고, 적어도 상기 코일의 안쪽에 상기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일에 의해 자성 코어부품을 구성하고, 상기 코일 축심방향의 양측에 상기 압분성형 자성체 혹은 압분자석 성형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8. 소정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코어부품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선재를 막대재에 감아 코일을 제작하고, 막대재로부터 뽑아낸 코일의 축심을 대략 원형으로 만곡시켜 도넛형 공심 코어를 형성하며, 상기 도넛형 공심 코어를 절연재로 피복된 자성분말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보다 투자율이 높은 선형상 혹은 호일형상의 재료를 상기 코일의 축심에 따라 배치하고, 상기 수지조성물 안에 인서트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KR1020077004038A 2004-08-23 2005-08-23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KR101204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2295 2004-08-23
JP2004242295 2004-08-23
PCT/JP2005/015279 WO2006022262A1 (ja) 2004-08-23 2005-08-23 磁性コア部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926A true KR20070050926A (ko) 2007-05-16
KR101204873B1 KR101204873B1 (ko) 2012-11-26

Family

ID=3596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038A KR101204873B1 (ko) 2004-08-23 2005-08-23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85424B2 (ko)
JP (1) JP4763609B2 (ko)
KR (1) KR101204873B1 (ko)
CN (1) CN101010756B (ko)
WO (1) WO20060222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64B1 (ko) * 2012-06-08 2014-11-03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자성소자의 제조 방법 및 자성소자
KR101475163B1 (ko) * 2013-11-19 2014-12-22 지균선 분말 코어의 성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어
KR20150038234A (ko) * 2012-07-25 2015-04-08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자성 코어 및 자성 소자
WO2023080326A1 (ko) * 2021-11-03 2023-05-11 (주)창성 저압인서트 사출을 이용한 자성코어의 봉지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봉지한 자성코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2262A1 (ja) * 2004-08-23 2006-03-02 Nippon Kagaku Yakin Co., Ltd. 磁性コア部品の製造方法
JP5110624B2 (ja) * 2007-01-31 2012-12-26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線輪部品
JP5110626B2 (ja) * 2007-02-06 2012-12-26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線輪部品
CN101681710A (zh) * 2007-06-19 2010-03-24 胜美达集团株式会社 磁性元件及使用磁性元件的天线装置
CN101774253A (zh) * 2010-02-02 2010-07-14 威海利奥泰儆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永磁齿轮的制造方法
US8834765B2 (en) * 2010-03-20 2014-09-16 Daido Steel Co., Ltd. Method of manufacture for encased coil body
JP5658485B2 (ja) * 2010-06-03 2015-01-2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磁性素子
JP5593127B2 (ja) * 2010-06-04 2014-09-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線輪部品
JP2012234868A (ja) * 2011-04-28 2012-11-29 Taiyo Yuden Co Ltd コイル部品
JP5336543B2 (ja) * 2011-04-28 2013-11-06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155440B2 (ja) * 2011-09-22 2017-07-05 戸田工業株式会社 強磁性窒化鉄粒子粉末の製造方法、異方性磁石、ボンド磁石及び圧粉磁石の製造方法
JP2014209579A (ja) 2013-03-25 2014-11-06 Ntn株式会社 電気回路用コア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KR101451503B1 (ko) * 2013-03-25 2014-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6427862B2 (ja) 2013-10-25 2018-11-28 日立金属株式会社 圧粉磁心、その製造方法、該圧粉磁心を用いたインダクタンス素子および回転電機
KR101576137B1 (ko) * 2013-11-08 2015-12-09 주식회사 다원시스 유도 가열 솔더링 장치
CN105814651B (zh) * 2013-12-13 2018-03-30 Ntn株式会社 带壳体压缩粘结磁铁及其制造方法
JP6374683B2 (ja) 2014-03-24 2018-08-15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US20170098499A1 (en) * 2014-03-25 2017-04-06 Ntn Corporation Magnetic core part, magnetic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magnetic core part
JP2015185776A (ja) * 2014-03-25 2015-10-22 Ntn株式会社 磁性コア部品および磁性素子、ならびに磁性コア部品の製造方法
JP2015185758A (ja) * 2014-03-25 2015-10-22 Ntn株式会社 アモルファス圧粉磁心とその製造方法
JP2016072569A (ja) * 2014-10-01 2016-05-09 Ntn株式会社 磁性コア部品およびチップインダクタ
US10650951B2 (en) 2015-05-29 2020-05-12 Ntn Corporation Magnetic element
JP2017037891A (ja) * 2015-08-07 2017-02-16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電子部品
JP6608762B2 (ja) * 2015-09-17 2019-11-20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JP6612158B2 (ja) 2016-03-15 2019-11-27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KR102380641B1 (ko) 2016-11-09 2022-03-29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인덕터
US10396016B2 (en) * 2016-12-30 2019-08-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eadframe inductor
US20180197676A1 (en) * 2017-01-10 2018-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Insulation for tranformer or inductor
US10741327B2 (en) * 2017-01-30 2020-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ductors in BEOL with particulate magnetic cores
WO2019113165A1 (en) * 2017-12-06 2019-06-13 The Suppes Family Trust Molded self-assembled electromagnet motors and devices
CN108389705A (zh) * 2018-05-17 2018-08-10 无锡应达工业有限公司 一种限流电抗器
US10409014B1 (en) * 2018-07-10 2019-09-10 Globalfoundries Inc. PIC die packaging using magnetics to position optical element
CN113096950A (zh) * 2021-04-09 2021-07-09 江苏瑞德磁性材料有限公司 一种线圈内置的软磁粉芯的制备方法
CN114523618A (zh) * 2022-03-25 2022-05-24 天津奥纳富霖科技有限公司 镶嵌软磁磁芯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696B2 (ko) 1974-04-10 1979-10-16
JPS5450922A (en) * 1977-09-30 1979-04-21 Tdk Corp Composite mold magnetic core
JPS54163354A (en) * 1978-06-16 1979-12-25 Daido Steel Co Ltd Coi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S63196018A (ja) * 1987-02-10 1988-08-15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2244704A (ja) * 1989-03-17 1990-09-28 Murata Mfg Co Ltd チョークコイル
JPH05315176A (ja) 1992-05-11 1993-11-26 Sony Corp コイル装置の製造方法
US5604573A (en) * 1993-11-05 1997-02-18 Konica Corporation Developing unit with a smoothing plate
FR2716291B1 (fr) * 1994-02-16 1996-05-03 Mecagis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bobinage sur un circuit magnétique torique.
JPH08111339A (ja) * 1994-10-12 1996-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ダクタンス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合部品の製造方法
JPH10257701A (ja) 1997-03-12 1998-09-25 Sankyo Seiki Mfg Co Ltd 小型モータ用ロ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小型モータ用ロータならびに小型モータ
JP2001185421A (ja) * 1998-12-28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13990A (ja) * 2000-06-30 2002-01-18 Tokyo Shiyouketsu Kinzoku Kk 非接触式変位センサー用磁心
JP3726017B2 (ja) * 2000-10-31 2005-12-14 Tdk株式会社 磁性材料およびインダクタ
US6946758B2 (en) * 2001-01-09 2005-09-20 Black & Decker Inc.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encapsulated coil structure with one or more of phase change additives, insert molded features and insulated pinion
JP4049246B2 (ja) 2002-04-16 2008-02-20 Tdk株式会社 コイル封入型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6925893B2 (en) * 2002-09-17 2005-08-0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tion sensor
WO2006022262A1 (ja) * 2004-08-23 2006-03-02 Nippon Kagaku Yakin Co., Ltd. 磁性コア部品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64B1 (ko) * 2012-06-08 2014-11-03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자성소자의 제조 방법 및 자성소자
KR20150038234A (ko) * 2012-07-25 2015-04-08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자성 코어 및 자성 소자
US9620270B2 (en) 2012-07-25 2017-04-11 Ntn Corporation Composite magnetic core and magnetic element
KR101475163B1 (ko) * 2013-11-19 2014-12-22 지균선 분말 코어의 성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어
WO2023080326A1 (ko) * 2021-11-03 2023-05-11 (주)창성 저압인서트 사출을 이용한 자성코어의 봉지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봉지한 자성코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22262A1 (ja) 2008-05-08
KR101204873B1 (ko) 2012-11-26
US7785424B2 (en) 2010-08-31
CN101010756B (zh) 2011-06-01
US20070256759A1 (en) 2007-11-08
WO2006022262A1 (ja) 2006-03-02
JP4763609B2 (ja) 2011-08-31
CN101010756A (zh)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73B1 (ko) 자성 코어부품의 제조방법
US10204725B2 (en) Composite magnetic core and magnetic element
KR101096958B1 (ko) 자성 코어 및 이를 이용하는 코일 부품
EP3125259B1 (en) Magnetic element
CN108028119B (zh) 磁性元件
CN107615414B (zh) 磁性元件
US20160343486A1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358743B2 (ja) 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及びボンド磁石を備えた磁気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4281778A (ja) 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47740A1 (ja) 磁性素子
JP2019153808A (ja) 磁性素子
JP2015185776A (ja) 磁性コア部品および磁性素子、ならびに磁性コア部品の製造方法
CN111816405A (zh) 电感元件
JP5140064B2 (ja) リアクトル
US20200402707A1 (en) Magnetic element
JPH04297007A (ja) コイル部品
JP2016225441A (ja) 磁性素子
JP6676405B2 (ja) 磁性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