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438A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438A
KR20070044438A KR1020077002046A KR20077002046A KR20070044438A KR 20070044438 A KR20070044438 A KR 20070044438A KR 1020077002046 A KR1020077002046 A KR 1020077002046A KR 20077002046 A KR20077002046 A KR 20077002046A KR 20070044438 A KR20070044438 A KR 2007004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nit
content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533B1 (ko
Inventor
유스케 사카이
나오키 사이토
미키오 가마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04N21/2547Third Party Billing, e.g. billing of adver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escriptors from content, e.g. when it is not made available by its provider,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entitlement messages, e.g.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o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추진하면서,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다양한 컨텐츠의 동시 재생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저작권 인증부(112)는,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와,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과금 처리부(114)를 제어하고, 인증 서버로 과금 처리를 행하게 한다.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와, 프라이버시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허가 요구 처리부(117)를 제어하고, 컨텐츠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관리권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와 통신 처리를 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사이의 원격지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프로그램, 컨텐츠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동일한 컨텐츠와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이나 영상을 합성하고, 동기하여 재생하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지에 있는 사람끼리의 교류(이하, 원격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함)에 사용하는 장치로서, 전화, 이른바 텔레비전 전화, 비디오 회의 시스템 등이 존재한다. 또,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텍스트 채팅, 영상과 음성을 따른 비디오 채팅 등을 행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원격지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각각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가상 공간을 공유하거나, 동일한 컨텐츠를 공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참가할 수 있는 가상적인 공동 스페이스에 있어서, 공동으로 컨텐츠를 생성하고, 그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229282호 공보
그러나,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공용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대상으로 되는 컨텐츠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는, 개인 사용이 단말기 내에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즐기는 목적이면,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었지만,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공용하는 경우에는, 원격지에 있는 한정된 개인들이 서로 즐기는 목적이라도, 네트워크를 통하므로,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우려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추진하면서,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공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전원이 시청 가능한 컨텐츠,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공동 스페이스에서 생성된 컨텐츠나,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필요없는 무료로 배포되는 컨텐츠 등의 컨텐츠에 한정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추진하면서,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다양한 컨텐츠를 동시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수단과, 제1 및 제2 판정 수단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작권 제한 정보에는, 동기 재생 수단에 의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컨텐츠 데이터의 동기 재생을 제한하기 위한 공용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동기 재생 수단에 의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컨텐츠 데이터의 동기 재생이, 공용 제한 정보에 따라 인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용 인증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제1 이용 판정 수단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 또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제2 이용 판정 수단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에, 이용 제한이 있는 경우, 이용 제한의 통지를 제어하는 통지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재생 수단에 의해 동기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의 음성 및 영상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스텝과,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스텝과, 제1 및 제2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스텝과,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스텝과, 제1 및 제2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와,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스텝과,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스텝과, 제1 및 제2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와,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되고,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와, 컨텐츠 데이터가 동기하여 재생된다.
네트워크란, 적어도 2개의 장치가 접속되고, 어떤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말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장치는, 독립된 장치들 간이라도 되고, 1개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끼리라도 된다.
또, 통신이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은 물론,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이 혼재한 통신, 즉 어느 구간에서는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다른 구간에서는 유선 통신이 행해지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어떤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의 통신이 유선 통신으로 행해지고, 다른 장치로부터 어떤 장치로의 통신이 무선 통신으로 행해지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추진하면서,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다양한 컨텐츠의 동시 재생을 즐길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 재생의 대상으로 되는 컨텐츠의 라이센스 판매가 촉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A)는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B)는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C)는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A)는 컨텐츠와 사용자의 영상의 합성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B)는 컨텐츠와 사용자의 영상의 합성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C)는 컨텐츠와 사용자의 영상의 합성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4의 재생 허가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되는 라이센스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사용자 정보 기억부(63)에 기억되는 프라이버시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컨텐츠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 및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스텝 S3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공용하는 컨텐츠의 선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스텝 S24의 저작권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도 10의 스텝 S25의 프라이버시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도 10의 스텝 S23의 컨텐츠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컨텐츠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공용 이용 제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4의 재생 허가부의 상세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재생 허가부의 공용 이용 저작권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을 적용한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내지 (1-3) 커뮤니케이션 장치, (2) 통신망,
(3) 컨텐츠 공급 서버, (4) 인증 서버, (21) 출력부,
(22-1,(22-2) ) 입력부, (23) 통신부, (24) 방송 수신부,
(25) 컨텐츠 재생부, (27) 기억부, (31) 조작 입력부,
(32) 제어부, (61) 컨텐츠 기억부, (62) 라이센스 기억부,
(63) 사용자 정보 기억부, (81) 세션 관리부,
(82) 시청 기록 레벨 설정부, (85) 재생 허가부,
(86) 기록 허가부, (111) 재생 인증 제어부,
(112) 저작권 인증부, (114) 과금 처리부,
(115) 프라이버시 인증부, (117) 허가 공급 처리부,
(119) 컨텐츠 취득부, (151) 공용 이용 인증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통신망(2)을 통하여 다른 커뮤니케이션 장치(1-2) 또는 (1-3)과 접속하고, 이른바 TV(텔레비전) 전화기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을 서로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공통의 컨텐츠를, 다른 커뮤니케이션 장치(1-2) 또는 (1-3)과 동기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 사이의 원격지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하,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내지 (1-3)을 별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커뮤니케이션 장치(1)라고 한다.
그리고, 공통의 컨텐츠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여 얻어지는 프로그램 컨텐츠, 미리 다운로드된 영화 등의 컨텐츠, 사용자 사이에서 공급된 사적인 컨텐츠, 게임이나 음악의 컨텐츠,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로 대표 되는 광디스크(92)(도 4)에 기록된 컨텐츠 등이다.
또, 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지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 데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내지 (1-3)는, 같은 커뮤니케이션 그룹(이하, 단지 그룹이라고도 함)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에는, 친밀도에 따라 프라이버시 레벨이 설정된다. 그리고, 이들 그룹이나 프라이버시 레벨의 관리는, 인증 서버(4) 등에 의해 관리되어도 되지만, 그룹으로의 등록 및 프라이버시 레벨의 설정은, 그룹의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도 1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3))의 인증이 필요하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는, 복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사용자 A, B에 의해 사용되고 있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2)는, 사용자 X에 의해 사용되고 있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3)는, 사용자 C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공통의 컨텐츠의 영상이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며,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A의 영상이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며,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X의 영상이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디스플레이(41)(도 4)에는, 예를 들면, 도 3 (A)에 나타낸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도 3 (B)에 나타낸 크로스페이드(Cross fade), 또는 도 3 (C)에 나타낸 와이프(wipe)의 방식으로, 컨텐츠와 사용자의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도 3 (A)에 나타낸 픽쳐인픽쳐에 있어서는, 컨텐츠의 영상에 사용자의 영상 이 자(子)화면으로서 중첩된다. 자화면의 표시 위치 및 사이즈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 자체(사용자 A)와 커뮤니케이션 상대(사용자 X)의 영상 양쪽이 아니라, 한쪽의 자화면만을 표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B)에 나타낸 크로스페이드에 있어서는, 컨텐츠의 영상과 사용자(사용자 A 또는 사용자 X)의 영상이 합성되어 표시된다. 이 크로스페이드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표시된 지도상의 어떤 위치를 사용자가 가리키는 것을 나타낼 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 (C)에 나타낸 와이프에 있어서는, 컨텐츠의 영상을 덮도록 사용자의 영상이 소정의 방향으로부터 출현한다. 예를 들면, 도 3 (C)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영상은, 컨텐츠의 영상의 우측으로부터 출현하고 있다.
이들 합성 패턴은, 수시 변경이 가능하다. 또, 도 3 (A) 내지 도 3 (C)에 나타낸 합성 패턴에서의 각 영상의 투명도를 설정하는 영상 밸런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컨텐츠와 사용자의 음성의 음량을 설정하는 음량 밸런스 등도, 합성 파라미터로서 수시 변경이 가능하다. 이들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의 변경의 이력은, 합성 정보로서 합성 정보 기억부(64)(도 4)에 기록된다. 그리고, 컨텐츠와 사용자의 영상의 표시는, 전술한 합성 패턴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들 이외의 합성 패턴을 적용해도 된다.
도 1로 돌아와서 설명한다. 통신망(2)은, 인터넷 등에 대표되는 광대역인 데이터 통신망이다.
컨텐츠 공급 서버(3)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통신 망(2)을 통하여 컨텐츠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에 공급한다. 인증 서버(4)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때의 과금, 라이센스 정보 발행 등의 처리를 행한다.
방송 장치(5)는, 텔레비전 방송 등의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를 송신한다. 따라서, 각 커뮤니케이션 장치(1)는, 방송 장치(5)로부터 방송되는 컨텐츠를 동기하여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장치(5)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치(1)에 대한 컨텐츠의 송신은 무선이라도 되고, 유선이라도 된다. 또, 통신망(2)을 통해도 상관없다.
표준시각 정보 공급 장치(6)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에 내장된 시계(표준시각 계시부(30)(도 4)를, 표준시각(세계 표준시, 일본 표준 시각 등)에 정확하게 동기시키기 위한 표준시각 정보를 각 커뮤니케이션 장치(1)에 공급한다. 그리고, 표준시각 정보 공급 장치(6)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치(1)에 대한 표준시각 정보의 공급은, 무선이라도 되고, 유선이라도 된다. 또, 통신망(2)을 통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 1의 예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가 통신망(2)을 통하여 3대 밖에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3대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가 통신망(2)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는, 설명은 생략하지만, 커뮤니케이션 장치(1), 컨텐츠 공급 서버(3), 및 인증 서버(4) 사이의 송수신에는, 적당히, 소정의 암호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에,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상세한 구성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 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2)가 커뮤니케이션 상대인 경우를 설명한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 출력부(21)는, 디스플레이(41) 및 스피커(42)로 구성되며, 영상 음성 합성부(2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한다.
입력부(22-1) 및 (22-2)는, 사용자의 영상(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1-1) 및 (51-2), 사용자의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라고 함)(52-1) 및 (52-2), 및 사용자의 주위의 명도나 온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53-1) 및 (53-2)에 의해 각각 구성되며, 취득한 영상, 음성, 명도, 및 온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리얼타임(RT) 데이터를, 통신부(23), 기억부(27), 및 데이터 분석부(28)에 출력한다. 또, 입력부(22-1) 및 (22-2)는, 취득한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영상 음성 합성부(26)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하, 입력부(22-1) 및 (22-2), 카메라(51-1) 및 (51-2), 마이크(52-1) 및 (52-2), 및 센서(53-1) 및 (53-2)를, 별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각각 입력부(22), 카메라(51), 마이크(52), 및 센서(53)라고 한다. 또, 입력부(22)를 복수개 설치하고(도 4의 경우에는 2개), 각각을 복수 사용자(도 1의 사용자 A, B)에 대하여 지향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부(23)는,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리얼타임 데이터를, 통신망(2)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송신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2)가 송신한 사용자의 리얼타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음성 합 성부(26) 및 기억부(27)에 출력한다. 또, 통신부(23)는,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 또는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 통신망(2)을 통하여 공급된 컨텐츠(이하, 적당히, 컨텐츠 데이터라고도 함)를 수신하고, 컨텐츠 재생부(25) 및 기억부(27)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23)는, 기억부(27)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나, 조작 정보 출력부(87)로부터의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 등을, 통신망(2)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송신한다.
방송 수신부(24)는, 방송 장치(5)로부터 방송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얻어진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부(25)에 출력한다. 컨텐츠 재생부(25)는, 방송 수신부(24)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 통신부(23)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 기억부(27)로부터 판독되는 컨텐츠, 또는 드라이브(91)에 장착되는 광디스크(92) 등에 의해 판독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얻어진 컨텐츠의 영상 및 음성을, 영상 음성 합성부(26) 및 데이터 분석부(28)에 출력한다.
영상 음성 합성부(26)는, 컨텐츠 재생부(25)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의 영상 및 음성,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통신부(23)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상대(사용자 X)의 영상 및 음성, 및 사용자에 대한 얼라이트 등의 캐릭터 라인 등을 믹싱(혼합하여 조정하는 것, 즉 이하, 적당히, 합성이라고도 함)하고, 그 결과 얻어진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출력부(21)에 출력한다.
기억부(27)는, 컨텐츠 기억부(61), 라이센스 기억부(62), 사용자 정보 기억부(63), 및 합성 정보 기억부(64)에 의해 구성된다. 컨텐츠 기억부(61)는, 입력 부(22)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 통신부(23)로부터 공급되는 커뮤니케이션 상대(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 방송 수신부(24)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 통신부(23)로부터 공급되는 컨텐츠를 기억한다. 컨텐츠에는, 저작권에 관한 저작권 제한 정보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 및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라이센스 기억부(62)는,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되는 컨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가지는 라이센스 정보 등을 기억한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63)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속하는 그룹이나 그룹 내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프라이버시 레벨 등의 프라이버시 정보나,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 등의 장치 정보를 기억한다. 합성 정보 기억부(64)는, 합성 제어부(84)에 의해 설정이 변경된 합성 패턴이나 합성 파라미터를, 합성 정보로서 기억한다.
데이터 분석부(28)는, 사용자 특성 분석부(71) 및 제어 정보 생성부(72)에 의해 구성되며, 입력부(22)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 통신부(23)로부터 공급되는 커뮤니케이션 상대(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 및 컨텐츠 재생부(25)로부터의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된다.
사용자 특성 분석부(71)는, 입력부(22)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나, 통신부(23)로부터 공급되는 커뮤니케이션 상대(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사용자 상태 정보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어 정보 생성부(72)에 출력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72)는, 분석 결과에 따른 합 성 파라미터나 합성 패턴으로, 컨텐츠 재생부(25)로부터의 컨텐츠의 영상 및 음성, 통신부(23)로부터 공급되는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리얼타임 데이터의 영상 및 음성을 합성시키도록,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를, 제어부(32)에 출력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상대인 커뮤니케이션 장치(1-2)를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한 제어 정보도 생성되어, 조작 정보 출력부(87)에 공급된다.
통신 환경 검출부(29)는, 통신부(23)와 통신망(2)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의 통신 환경(통신 레이트, 통신 지연 시간 등)을 감시하여 제어부(32)에 출력한다. 표준시각 계시부(30)는, 제어부(32)에 공급하는 표준시각을 계시한다. 표준시각 계시부(30)는, 표준시각 정보 공급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표준시각 정보에 따라 자기가 맞추는 표준시각을 수정한다. 조작 입력부(31)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여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32)에 입력한다.
제어부(32)는, 조작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 신호나, 데이터 분석부(2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등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1)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2)는, 세션 관리부(81), 시청 기록 레벨 설정부(82), 재생 동기부(83), 합성 제어부(84), 재생 허가부(85), 기록 허가부(86), 조작 정보 출력부(87), 및 전자 기기 제어부(8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 제어부(32)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치(1-1)를 구성하는 각 부로의 제어 라인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세션 관리부(81)는, 통신부(23)가 통신망(2)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 및 (1-3), 컨텐츠 공급 서버(3), 인증 서버(4) 등과 접속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세션 관리부(81)는, 다른 커뮤니케이션 장치(1)와 접속하는 경우, 서로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의 장치 정보(예를 들면, 설치되어 있는 지역, 속하고 있는 그룹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그룹을 관리하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세션 관리부(81)는, 다른 커뮤니케이션 장치(1)로부터의 커뮤니케이션 그룹으로의 등록 및 프라이버시 레벨의 변경의 요구에 대한 인증을 행한다.
시청 기록 레벨 설정부(8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부(22)에 취득된 사용자의 리얼타임 데이터나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개인의 컨텐츠가,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가 속하는 그룹 및 프라이버시 레벨에 있어서 재생 가능한지 여부, 기록 가능한지 여부, 기록 가능하다면 기록 가능한 회수 등을 설정하고, 이 설정 정보를,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부가하여, 통신부(23)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통지하게 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2) 유닛의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도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재생 동기부(83)는,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동기하여 동일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컨텐츠 재생부(25)를 제어한다.
합성 제어부(8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리얼타임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분석하도록, 데이터 분석부(28)를 제어한다. 또, 합성 제어부(84)는, 컨텐츠의 영상 및 음성과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이, 사용자의 조 작, 또는 데이터 분석부(28)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따라 합성되도록,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제어한다. 즉, 합성 제어부(84)는, 데이터 분석부(28)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따라 도 3 (A) 내지 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고, 설정을 변경한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제어한다. 그리고, 합성 제어부(84)는, 설정을 변경한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를, 합성 정보로서, 합성 정보 기억부(64)에 기록시킨다.
재생 허가부(85)는,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라이센스 정보, 및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이용의 여부를 판정하고, 사용자 정보 기억부(63)에 기억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정보, 및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컨텐츠를 생성한, 예를 들면, 커뮤니케이션 장치(1-3)의 시청 기록 레벨 설정부(82)에 의해 설정되는)에 따라 컨텐츠 이용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들 판정 결과에 따라 컨텐츠 재생부(25)를 제어한다.
또, 재생 허가부(85)는, 필요에 따라 세션 관리부(81)를 통하여, 컨텐츠 공급 서버(3), 인증 서버(4) 등에 접속하고, 라이센스 정보나 컨텐츠를 취득한, 저작권 제한 정보를 갱신하거나, 커뮤니케이션 장치(1-3)에 접속하고,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나 프라이버시 정보를 갱신하거나, 또는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제어하고, 컨텐츠를 이용할 때의 이용 제한(예를 들면, 재생 회수 제한, 기록 여부, 또는 기록 회수 제한 등)을, 디스플레이(41)에 표시하게 한다.
기록 허가부(86)는,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나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기록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컨텐 츠 기억부(61)를 제어한다.
조작 정보 출력부(87)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텔레비전 방송 수신시의 채널 전환 조작, 컨텐츠 선택, 컨텐츠 재생 개시, 재생 종료, 빨리감기 재생의 조작 등)에 대응하여, 그 조작 내용과 조작 시각을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23)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통지하게 한다. 또, 조작 정보 출력부(87)는, 데이터 분석부(28)로부터의 제어 정보도, 통신부(23)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통지하게 한다.
전자 기기 제어부(88)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또는 데이터 분석부(2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출력부(21)나 입력부(22)의 출력이나 입력의 설정,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주변에 위치하는 소정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조명 기기, 공조 기기 등. 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한다.
드라이브(91)는, 장착된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하거나, 또는 광디스크(92)에, 컨텐츠를 기록한다. 광디스크(92)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k)±RW(Re-writable)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 등의 추가 기록형의 광디스크나, 카피 컨트롤이 부가된 CD(Compact Disc)나 DVD 등의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2) 및 (1-3)의 상세한 구성예에 대하여는, 도 4에 나타낸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구성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의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에 대하여, 도 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처리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행되는 처리이기도 하다.
이 커뮤니케이션 처리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의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조작 입력부(31)에 입력되고, 이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제어부(32)에 입력되었을 때 개시된다.
스텝 S1에 있어서, 통신부(23)는, 세션 관리부(8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2)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접속하고,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개시를 통지하고, 스텝 S2로 진행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는,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개시의 수락을 회신한다.
그리고, 이 때, 세션 관리부(81)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장치 정보(예를 들면, 설치되어 있는 지역, 속하고 있는 그룹 정보 등)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송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로부터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 커뮤니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기억하고 있다.
스텝 S2에 있어서, 통신부(23)는, 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를, 통신망(2)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송신하고 개시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고,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이 때,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와, 수신된 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는, 데이터 분석부(28)에 입력되고, 리얼타임 데이터 중 영상 및 음성은, 영상 음성 합성부(26)에 입력된다.
스텝 S3에 있어서, 재생 허가부(85)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이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라고 한다). 이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하지만, 스텝 S3에 있어서는, 컨텐츠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 및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이 허가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컨텐츠의 재생 준비의 완료가 서로 통지되고,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그리고, 재생(시청)시에는,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필요하게 되지 않는 컨텐츠(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되어 있는 컨텐츠 등)의 경우, 스텝 S3의 처리는 불필요해진다. 단, 전술한 컨텐츠라도,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되고, 재생될 때는, 스텝 S3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4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부(25)는, 재생 동기부(83)의 제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동기한 컨텐츠의 재생 처리(이하, 컨텐츠 동기 재생 처리라고 함)를 개시하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이 컨텐츠 동기 재생 처리에 의해,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및 (1-2)에 있어서, 같은 컨텐츠가, 표준시각 계시부(30)(표준시각 정보 공급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표준시각 정보에 따라 동기하여 재생되고,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는, 영상 음성 합성부(26) 및 데이터 분석부(28)에 입력된다.
스텝 S5에 있어서, 기억부(27)는, 원격 커뮤니케이션 기록 처리를 개시하고, 스텝 S6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음성 합성부(26)는, 재생이 개시된 컨텐 츠 데이터, 입력된 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성, 수신된 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성을, 합성 제어부(84)에 의한 제어 하에, 합성하고, 합성의 결과 얻어진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부(21)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때, 합성 제어부(8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음성 합성부(26)의 합성 처리를 제어한다.
출력부(21)는, 공급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 사이의 영상 및 음성의 통신과 컨텐츠의 동기 재생이 개시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재생이 개시된 컨텐츠 데이터, 입력된 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성, 수신된 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성, 및 이들 합성 상태(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합성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
스텝 S6에 있어서, 데이터 분석부(28) 및 영상 음성 합성부(26)는, 합성 제어부(84)에 의한 제어에 따라 사용자 특성 분석 믹싱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6에 있어서는, 데이터 분석부(28)에 의해, 사용자의 리얼타임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사용자 상태 정보(자세 정보, 인원수 정보, 음성 정보, 또는 환경 정보 등)가 분석되고, 그 분석의 결과에 따라 영상 음성 합성부(26)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생성된다. 따라서, 합성 제어부(8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가 아니라, 생성되는 제어 정 보에 따라 합성 패턴 및 합성 파라미터를 변경하고, 영상 음성 합성부(26)의 합성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부(32)는, 사용자로부터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기까지 대기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통신부(23)는, 세션 관리부(8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2)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접속하고,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종료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는,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종료의 수락을 회신한다.
스텝 S9에 있어서, 기억부(27)는, 커뮤니케이션 기록 처리를 종료하고,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는, 종료한다. 그리고, 여기까지에 기록된, 재생된 컨텐츠, 사용자 A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성, 수신된 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성, 및 합성 정보는, 향후에 있어서, 이번 원격 커뮤니케이션이 재현될 때 이용된다.
이상,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의한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전술한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의 스텝 S3에 있어서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를 행하는 재생 허가부(85)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예에 있어서, 재생 허가부(85)는, 재생 인증 제어부(111), 저작권 인증부(112),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 과금 처리부(114), 프라이버시 인증부(115), 프라이버시 정보 갱신부(116), 허가 요구 처리부(117), 통지 정보 생성부(118), 및 컨텐츠 취득부(119)에 의해 구성된다.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조작 입력부(31)를 통하여, 컨텐츠 선택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면, 선택된 컨텐츠를 취득하고, 저작권 인증부(112) 및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를 제어하고, 재생하는 컨텐츠의 이용 인증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선택된 컨텐츠가, 이미 취득되어 기억부(27)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등인 경우에는, 기억부(27)나 드라이브(91)를 제어하여, 컨텐츠를 판독하고,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시키고, 선택된 컨텐츠가, 컨텐츠 공급 서버(3)의 컨텐츠인 경우에는, 컨텐츠 취득부(119)를 제어하여, 컨텐츠 취득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저작권 인증부(112) 및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로부터의 인증 결과에 따라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고, 컨텐츠 재생 준비의 완료 통지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서로 통신하고, 컨텐츠 재생부(25)에 대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하거나, 저작권 인증부(112) 및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로부터의 컨텐츠의 이용 제한의 통지를, 통지 정보 생성부(118)에 생성시킨다.
저작권 인증부(112)는,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된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와,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가지는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과금 처리부(114) 및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를 제어하고, 인증 서버(4)에 의해 과금 처리를 행하게 하거나, 재생 인증 제어부(111)를 통하여, 통지 정보 생성부(118)에,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공급한다.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는, 과금 처리부(114)에 의한 과금 처리의 결과, 통신부(23)를 통하여, 인증 서버(4)로부터, 새로운 저작권 제한 정보를 취득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는, 과금 처리부(114)에 의한 과금 처리의 결과, 새로운 라이센스 정보가 취득된 경우, 라이센스 기억부(62)의 라이센스 정보도 갱신한다.
과금 처리부(114)는,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인증 서버(4)와 접속하고, 컨텐츠의 저작권 제한 정보의 갱신, 또는 라이센스 정보의 취득에 대한 과금 처리를 행한다.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된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와, 사용자 정보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허가 요구 처리부(117) 및 프라이버시 정보 갱신부(116)를 제어하고, 재생하는 컨텐츠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관리권을 가지는 사용자 C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3)와 통신 처리를 행하게 하거나, 재생 인증 제어부(111)를 통하여, 통지 정보 생성 부(118)에,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공급한다.
프라이버시 정보 갱신부(116)는, 허가 요구 처리부(117)에 의한 요구 처리의 결과, 통신부(23)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3)로부터, 새로운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취득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정보 갱신부(116)는, 허가 요구 처리부(117)에 의한 요구 처리의 결과, 새로운 프라이버시 정보가 취득된 경우, 사용자 정보 기억부(63)의 프라이버시 정보도 갱신한다.
허가 요구 처리부(117)는,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3)와 접속하고,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갱신, 또는 프라이버시 정보의 취득에 대한 요구 처리를 행한다.
통지 정보 생성부(118)는, 저작권 인증부(112) 또는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로부터 공급되는 이용 제한을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영상 음성 합성부(26)에 공급한다.
컨텐츠 취득부(119)는,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컨텐츠 공급 서버(3)와 접속하고, 라이센스 기억부(62)의 라이센스 정보 및 사용자 정보 기억부(63)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사용하여, 컨텐츠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취득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저작권 인증부(112)를 제어하고, 취득하는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시킨다.
도 7은,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되는 라이센스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가지는, BS(Broadcasting Satellite)/CS(Communication Satellite) 방송, DVD 컨텐츠, CD 컨텐츠, 게임 소프트, 및 사진집 등의 라이센스 정보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BS방송의 1 내지 11ch(채널)에 대하여 시청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 CS방송의 100 내지 210ch(채널)에 대하여 시청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DVD 컨텐츠의 라이센스 정보는, DVD1라는 타이틀명의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 및 DVD2라는 타이틀명의 컨텐츠에 대하여 녹화를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있어서, DVD 컨텐츠는, 영상(동화상) 컨텐츠를 나타내고, DVD로 구성되는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것만 아니고,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한 컨텐츠도 포함된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CD1라는 타이틀명의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 CD2라는 타이틀명의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 및 CD3라는 타이틀명의 컨텐츠에 대하여 녹음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CD 컨텐츠는, 음악의 컨텐츠를 나타내고, CD로 구성되는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것만 아니고,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한 컨텐츠도 포함된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게임 1, 게임 2, 및 게임 3이라는 타이틀명의 게임 소프트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플레이)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앨범 1, 앨범 2, 및 앨범 3이라는 타이틀명의 사진집(정지 화상집)의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을 허가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게임 소프트 및 사진집의 컨텐츠도,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배포되는 경우도 있으면,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배포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들 라이센스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컨텐츠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사용자 정보 기억부(63)에 기억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프라이버시 정보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속하는, 원격지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 커뮤니케이션 그룹의 정보인 그룹 속성과 각 그룹에 있어서 친밀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프라이버시 레벨은, 수치가 낮을 수록, 친밀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예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그룹 1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그룹에 속하고 있고, 그룹 1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 레벨 2로 설정되어 있다. 또,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그룹 2라는 커뮤니케이션 그룹에 속하고 있고, 그룹 2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 레벨 3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장치(1-1)는, 그룹 3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그룹에 속하고 있고, 그룹3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 레벨 6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프라이버시 정보와,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 그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정보는, 그룹의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예를 들면, 커뮤니케이션 장치(1-3))의 인증이 있으면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도 9는, 컨텐츠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와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예에 있어서는, 저작권 제한 정보는, 재생 가능 기간, 재생 가능 지역, 재생 가능 회수, 녹화 가능 정보, 및 녹화 회수 제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작권 제한 정보의 구성은, 예이며, 부가되는 컨텐츠에 따라 상이하다.
즉, 재생 가능 기간이 「2004년의 1월 이후」이며, 인증처가, 「00TV국」인 저작권 제한 정보, 및 재생 가능 지역이 「토쿄」이며, 인증처가, 「00TV국」인 저작권 제한 정보는, 텔레비전 방송의 컨텐츠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의 예이다.
이들 저작권 제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컨텐츠는, 예를 들면, 2003년의 12월 말일에 토쿄에서만 방영되는 컨텐츠이며, 만일,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사용자가, 이 컨텐츠를, 재생 가능 기간(2004년의 1월 이후)보다 전에, 컨텐츠 공급 서버(3) 등에 의해 취득한 것이라도 재생할 수 없다. 또, 커뮤니케이션 장치(1-2)가, 2004년의 12월말일에 토쿄에서 수신하여, 기억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송신한 것이라 해도,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토쿄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004년의 1월 이후라도,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토쿄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하는 경우에는, (00TV국(예를 들면, 인증 서버(4))과 과금 처리를 행하고, 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라이센스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방송 장치(5)에 의해 방송되어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방송 수신부(24)로 수신되어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경우, 이 컨텐츠가 방송되어 있지 않은 다른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동기 재생할 때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의해, 커뮤니케이션 장치(1-2) 측에서 재생할 수 없어, 저작권 제한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가 필요하다.
한편, 재생 가능 회수가 「3회/전10회」이며, 인증처가, 「△△제작」인 저작권 제한 정보, 녹화 가능이 「○」이며, 인증처가, 「△△제작」인 저작권 제한 정보, 및 녹화 회수 제한이 「2세대까지」이며, 인증처가, 「△△제작」인 저작권 제한 정보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DVD 컨텐츠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의 예이다.
이들 저작권 제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컨텐츠는,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는, 재생(이용)은 가능하지만, 제한이 있다. 즉, 도 9의 예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는, 전 10회중 이미 3회가 재생되어 있으므로 이후 7회 밖에 재생할 수 없다. 또, 이 컨텐츠의 녹화(복제)는, 2세대까지 밖에 허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컨텐츠(제1 세대)를 복제하고, 컨텐 츠(제2 세대)를 얻는 것은(기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컨텐츠(제2 세대) 자체를 다시 복제하여, 컨텐츠(제3 세대)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 이 컨텐츠가 7회 재생된 후에, 또 재생하려는 경우, △△제작(예를 들면, 인증 서버(4))로 과금 처리를 행하고, 이 컨텐츠를 다시 복수회(예를 들면, 10회)재생할 수 있도록 갱신된 저작권 제한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마찬가지로,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 복제하고 컨텐츠를 다시 1세대 복제하고 싶은 경우, △△제작(예를 들면, 인증 서버(4))로 과금 처리를 행하고, 이 컨텐츠의 녹화 회수 제한을 3세대까지로서 갱신된 저작권 제한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다음에, 도 9의 예의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는, 그룹 속성 제한, 및 레벨 제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룹 속성 제한이 「그룹 1(재생 가능), 그룹 3(녹화가능)」인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 및 레벨 제한이 「레벨 1 이상」인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인증처는, 「사용자 C」이다. 즉, 이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 C에 의해 생성되는 개인의 컨텐츠에, 사용자 C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3)의 시청 기록 레벨 설정부(82)에 의해 부가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그룹 1이 「가족」이라고 하면, 가족 중에도 친밀도에 따른 레벨이 있으므로, 「양 부모」는, 레벨 1로 가장 친밀도가 높고,「자매」는 레벨 2로 친밀도가 낮은 것으로 하여 설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있는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에, 그룹 속성 제하였으나, 그룹 1「가족」이 며, 또한 레벨 제한이 「레벨 1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지만, 레벨 1의 「양 부모」에만 한정되고, 레벨 2의 「자매」는 제외된다.
이와 같이, 프라이버시 레벨이라는 개념을 형성함으로써, 그룹 내의 등록 멤버에게, 친밀도에 따라 필터를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재생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그룹 1의 레벨 2인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이 컨텐츠를 재생하려는 경우, 이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사용자 C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3)에 요구를 행하고, 이 컨텐츠를 레벨 2 이상 가능하도록 갱신된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사용자 C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3)에,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갱신 대신에, 커뮤니케이션 장치(1-1) 자체의 프라이버시 정보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도록 요구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사용자 C에 의해 생성되는 개인의 컨텐츠에는, 스텝 S2에 있어서 통신되는 사용자 X의 리얼타임 데이터도 포함된다. 즉, 리얼타임 데이터도,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된 후, 사용자 A에 의해 재차 판독되거나, 다른 사용자 C에 배포되어 버릴 경우가 있으므로,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컨텐츠 공급 서버(3)가 컨텐츠를 공급할 때, 컨텐츠를 공급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정보를 요구함으로써, 공급되는 컨텐츠 공급 서버(3)에 의해 공급되는 컨텐츠에도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5의 스텝 S3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를 설명한다.
사용자 A에 의해, 조작 입력부(31)를 사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동기 재생하는 대상인 컨텐츠의 선택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조작 입력부(31)는, 사용자 A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재생 인증 제어부(111)에 공급한다.
이것에 대응한 사용자 X의 조작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있어서도,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즉, 컨텐츠의 재생을 인증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이 때, 조작 입력부(31)로부터의 사용자 A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조작 정보 출력부(87)에 공급함으로써, 통신부(23)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상대인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통지하게 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있어서, 대상인 컨텐츠를 선택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스텝 S21에 있어서, 대상인 컨텐츠가 선택되기까지 대기하고 있고, 조작 입력부(31)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대상인 컨텐츠가 선택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22로 진행하고, 선택된 컨텐츠가 취득이 끝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선택된 컨텐츠가, 컨텐츠 공급 서버(3)의 컨텐츠인 경우에는, 스텝 S22에 있어서, 선택된 컨텐츠가 아직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고,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스텝 S23으로 진행하여, 컨텐츠 취득부(119)를 제어하고, 컨텐츠 취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컨텐츠 취득 처리에 대하여는, 도 14를 참조 하여 후술하지만, 스텝 S23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 공급 서버(3)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의한 컨텐츠의 취득이 허가되어,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의 컨텐츠의 수신이 개시되고, 수신된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되고, 처리는, 스텝 S24로 진행한다.
그리고, 수신된 컨텐츠에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저작권 제한 정보 및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가 부가된다. 따라서,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수신된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인증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예를 들면, 선택된 컨텐츠가, 이미 취득되어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등인 경우에는, 스텝 S22에 있어서, 선택된 컨텐츠가 취득이 끝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고,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컨텐츠 기억부(61) 또는 드라이브(91)를 제어하고,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하여,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시켜, 스텝 S23를 스킵하여, 스텝 S24로 진행한다.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스텝 S24에 있어서, 저작권 인증부(112)를 제어하고,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된 컨텐츠의 저작권 인증 처리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이 저작권 인증 처리에 대하여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스텝 S24의 처리에 의해, 저작권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고,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한다.
또한,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스텝 S25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를 제어하고,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된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인증 처리 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이 프라이버시 인증 처리에 대하여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스텝 S25의 처리에 의해, 프라이버시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고, 처리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스텝 S26에 있어서, 저작권 인증부(112) 또는 프라이버시 인증부(115)에 의한 컨텐츠의 이용의 인증 결과에 따라 컨텐츠 재생 준비의 완료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서로 통지한다.
이로써, 컨텐츠 재생부(25)의 재생이 허가되므로,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는 종료되어 컨텐츠 재생부(25)는, 도 5의 스텝 S3으로 복귀하여, 스텝 S4로 진행하고, 재생 동기부(83)의 제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장치(1-2)와 동기한 컨텐츠의 재생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취득되어 컨텐츠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광디스크(92)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등인 경우에는, 판독하여,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하기 전에, 스텝 S24 및 스텝 25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10의 예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사용자 A와 커뮤니케이션 장치(1-2)의 사용자 X가, 모두, 대상인 컨텐츠를 선택하고, 새롭게 동기 재생하는 경우에, 사용자 A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및 사용자 X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의 양쪽이, 도 10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도 11의 위로부터 4번째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A 또는 사용자 X는, 도 5의 스텝 S1에 있어서 원격 커뮤니케이션이 개시되고, 스텝 S2에 있어서, 서로의 리얼타임 데이터를 통신한 후, 대상인 컨텐츠를 선택한다. 따라서, 이 때 선택되는 컨텐츠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경우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이미 선택하고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A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있어서는, 이미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도 5의 스텝 S3에 있어서는, 사용자 X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만에 의해,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가 실행된다.
사용자 X가 이미 선택하고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X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있어서는, 이미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도 5의 스텝 S3에 있어서는, 사용자 A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만에 의해,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사용자 A 및 사용자 X가 이미 선택하고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A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및 사용자 X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있어서는, 이미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스텝 S3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는, 필요없기 때문에, 스킵된다.
그리고, 사용자 A 및 사용자 X가 모두 대상인 컨텐츠를 선택하고, 새롭게 동기 재생하는 경우에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A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및 사용자 X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2)의 양쪽에 있어서,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도 1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10의 스텝 S24의 저작권 인증 처리를 설명한다.
저작권 인증부(112)는, 스텝 S51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된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와,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가지는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 저작권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저작권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 S52 및 S53의 처리를 스킵하여, 스텝 S54로 진행하고, 저작권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을 인증하고, 스텝 S5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51에 있어서, 저작권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저작권 인증부(112)는, 스텝 S52로 진행하고, 과금 처리부(114)를 제어하여, 인증 서버(4)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과금 처리를 실행시키고,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즉, 과금 처리부(114)는,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인증 서버(4)와 접속하고,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도록, 컨텐츠의 저작권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 정보의 갱신을 요구하고, 과금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4)는, 과금 처리에 따른 새로운 저작권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송신하여 온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통신부(23)는, 인증 서버(4)로부터의 저작권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인증부(112)에 공급한다. 저작권 인증부(112)는, 스텝 S53에 있어서, 저작권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면,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를 제어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 기억부(62)의 라이센스 정보를 갱신시켜, 스텝 S54로 진행하고, 저작권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을 인증하고, 스텝 S55로 진행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과금 처리가 실행되지 않거나, 인증 서버(4)로부터 인증되지 않고, 저작권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는, 도 10의 스텝 S21로 복귀하고, 사용자에 의해, 다른 컨텐츠가 선택되기까지 대기하고 있고, 다른 컨텐츠의 선택에 따라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저작권 인증부(112)는, 또한 스텝 S55에 있어서,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이용 제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예를 들면, 재생은 가능하지만, 기록은 할 수 없는, 재생은 가능하지만, 재생 회수가 제한되어 있는 등의 이용 제한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56으로 진행하고, 재생 인증 제어부(111)를 통하여, 통지 정보 생성부(118)에,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공급하고,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시킨다.
즉, 통지 정보 생성부(118)는, 스텝 S56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면, 생성한 영상을,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통하여, 출력부(2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41)에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통지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 컨텐츠가, 예를 들면, 재생은 가능해도, 기록은할 수 없는 등의 이용 제한을 미리 인식할 수 있다.
컨텐츠의 이용 제한이 디스플레이(41)에 표시된 후, 또는 스텝 S55에 있어서, 이용 제한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인증부(112)는, 저작권 인증 처리를 종료하고, 도 10의 스텝 S24로 복귀하여, 스텝 S2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5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인증부(115)에 의한 프라이버시 인증 처리가 실행된 다.
다음에, 도 13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10의 스텝 S25의 프라이버시 인증 처리를 설명한다.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스텝 S71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된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와, 사용자 기억부(63)에 기억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따라 프라이버시(개인정보)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72 및 S73의 처리를 스킵하여, 스텝 S74로 진행하고, 프라이버시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을 인증하고, 스텝 S7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71에 있어서,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스텝 S72로 진행하고, 허가 요구 처리부(117)를 제어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의 관리자인 사용자 C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3)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의 허가를 요구하게 하여, 스텝 S73으로 진행한다.
즉, 허가 요구 처리부(117)는,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3)와 접속하고,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도록, 컨텐츠의 이용의 허가를 요구한다. 이 때, 컨텐츠에 부가되는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변경하도록 요구해도 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1)가 새로운 그룹이나 레벨에 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프라이버시 정보의 변경을 요구해도 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3)의 사용자 C는, 조작 입력부(31)를 조작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컨텐츠의 이용을 인증한다. 조작 입력부(31)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시청 기록 레벨 설정부(82)는, 새로운 프라이버시 정보 제한 정보로 변경하거나, 세션 관리부(81)는, 새로운 프라이버시 정보로 변경한다. 그리고, 변경된 프라이버시 정보 제한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 정보는, 통신부(23)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송신된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통신부(23)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3)로부터의 프라이버시 정보 제한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 정보를 수신하면, 프라이버시 인증부(115)에 공급한다.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스텝 S73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정보 제한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 정보를 취득하면,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를 제어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저작권 제한 정보, 또는 사용자 기억부(63)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갱신시키고, 스텝 S74로 진행하고, 프라이버시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을 인증하고, 스텝 S75로 진행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커뮤니케이션 장치(1-3)로부터 인증되지 않고, 프라이버시에 대한 컨텐츠의 이용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는, 도 10의 스텝 S21로 복귀하고, 사용자에 의해, 다른 컨텐츠가 선택되기까지 대기하고 있고, 다른 컨텐츠의 선택에 따라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또한 스텝 S75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정보 제한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 정보에 따라 이용 제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예를 들면, 재생은 가능하지만 기록은 할 수 없는, 재생은 가능하지만 재생 회수가 제한되 어 있는 등의 이용 제한이 있는 경우, 스텝 S76으로 진행하고, 재생 인증 제어부(111)를 통하여, 통지 정보 생성부(118)에,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공급하고,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시킨다.
즉, 통지 정보 생성부(118)는, 스텝 S76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면, 생성한 영상을,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통하여, 출력부(2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41)에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통지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 컨텐츠가, 예를 들면, 재생은 가능해도 기록은할 수 없는 등의 이용 제한을 미리 인식할 수 있다.
컨텐츠의 이용 제한이 디스플레이(41)에 표시된 후, 또는 스텝 S75에 있어서, 이용 제한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프라이버시 인증부(115)는, 저작권 인증 처리를 종료하고, 도 10의 스텝 S25로 복귀하고,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재생 인증 제어부(111)에 의해, 커뮤니케이션 장치(1-2)에 의해 컨텐츠 재생 준비의 완료의 통지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도 1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10의 스텝 S23의 컨텐츠 취득 처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동시에, 이 컨텐츠 취득 처리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 서버(3)의 컨텐츠 송신 처리도, 도 1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컨텐츠 취득부(119)는, 도 14의 스텝 S91에 있어서,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고, 통신부(23)를 통하여, 컨텐츠 공급 서버(3)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요구시킨다.
컨텐츠 공급 서버(3)는, 도 15의 스텝 S111에 있어서, 컨텐츠가 요구되기까 지 대기하고 있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1)로부터, 컨텐츠의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112으로 진행하고, 요구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요구하고,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컨텐츠 취득부(119)는,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의 라이센스 정보의 요구에 따라 스텝 S92에 있어서, 저작권 인증부(112)를 제어하고,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가, 라이센스 기억부(62)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게 한다. 저작권 인증부(112)는, 스텝 S92에 있어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라이센스 정보를, 컨텐츠 취득부(119)에 공급하고, 스텝 S93 및 S94의 처리를 스킵하고, 스텝 S95로 진행한다.
스텝 S92에 있어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저작권 인증부(112)는, 스텝 S93으로 진행하고, 과금 처리부(114)를 제어하고, 인증 서버(4)에 대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과금 처리를 행하게 하여, 스텝 S94로 진행한다. 즉, 과금 처리부(114)는,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인증 서버(4)와 접속하고, 라이센스 정보를 요구하고, 과금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4)는, 과금 처리에 따른 라이센스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송신하여 온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통신부(23)는,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면, 라이센스 정보를, 저작권 인증부(112)에 공급한다. 스텝 S94에 있어서, 저작권 인증부(112)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득하고, 저작권 정보 갱신부(113) 및 컨텐츠 취득 부(119)에 공급하고, 스텝 S95로 진행한다. 이 때, 저작권 갱신부(113)는, 공급된 라이센스 정보를, 라이센스 기억부(62)에 기억시킨다.
컨텐츠 취득부(119)는, 스텝 S95에 있어서, 세션 관리부(81)를 제어하여, 저작권 인증부(112)로부터 공급된 라이센스 정보를, 컨텐츠 공급 서버(3)에 송신하게 한다.
컨텐츠 공급 서버(3)는, 스텝 S113에 있어서,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1)로부터,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14로 진행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정보를 요구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컨텐츠 공급 서버(3)는, 컨텐츠 송신 처리를 종료한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통신부(23)는, 컨텐츠 공급 서버(3)로부터의 프라이버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면, 수신한 프라이버시 정보의 요구를, 컨텐츠 취득부(119)에 공급한다. 컨텐츠 취득부(119)는, 프라이버시 정보의 요구를 받으면, 스텝 S96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기억부(63)로부터 프라이버시 정보를 판독하고, 세션 제어부(81)를 제어하고, 프라이버시 정보를 컨텐츠 공급 서버(3)에 송신하게 한다.
컨텐츠 공급 서버(3)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1)로부터, 프라이버시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115에 있어서, 예를 들면, 00TV국이나 △△제작에 의해 미리 저작권 제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컨텐츠에, 또한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따라 프라이버시 제한 정보를 부가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송신 한다. 그리고, 컨텐츠 공급 서버(3)는, 모든 컨텐츠의 송신이 완료하면, 컨텐츠 송신 처리를 종료한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통신부(23)는, 스텝 S97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의 수신을 개시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부(25)에 공급하고, 컨텐츠 취득 처리를 종료하고, 도 10의 스텝 S23으로 복귀하고, 스텝 S24로 진행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14의 처리에 있어서, 과금 처리가 실행되지 않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3)로부터 컨텐츠가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도 10의 스텝 S21로 복귀하고, 사용자에 의해, 다른 컨텐츠가 선택되기까지 대기하고 있고, 다른 컨텐츠의 선택에 따라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는, 단말기 내에 있어서 개인적으로 즐기는 것으로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 정보를 침해하는 것이 없었던 것이라도, 같은 개인적으로 즐기는 커뮤니케이션 처리에 있어서는, 네트워크를 통하게 되므로,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 정보를 침해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동기 재생하는 대상인 컨텐츠를, 각 장치에 있어서, 저작권과 프라이버시의 면에서 인증을 각각 행하도록 했으므로,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에 있어서,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촉진하면서, 다종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로서는, 원격지의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즐길 수가 있다. 그리고, 이로써, 컨텐츠의 수요가 확대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저작권의 라이센스 정보를, 각 커뮤니케이션 장치 별도로 취득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즉, 종래의 저작권의 라이센스 정보는, 기본적으로, 컨텐츠의 카피나 네트워크 상의 전송을 제한하고, 개인의 단독 사용을 전제로 판매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한 사용자들이 서로, 공통의 컨텐츠를 사용하여 동기 재생을 행함으로써,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며,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 재생되는 대상인 컨텐츠의 수요가 확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종래의 저작권의 라이센스 정보를 사용한 경우, 원격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공통의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수만큼의 광디스크 등의 패키지 미디어, 또는 라이센스를 구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한 사용자들 간에, 공통의 컨텐츠가 이용되어, 동기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 공간을, 특정한 사용자군에 의한 가상적인 1개의 컨텐츠 시청 공간으로 간주한 경우, 만일, 그 특정한 사용자군이, 어느 현실의 컨텐츠 시청 공간에 모여 시청을 행하는 경우(이 경우, 1개의 컨텐츠 이용 요금 밖에 부과되지 않음)와 비교하면, 비교적 비싼 컨텐츠 이용요금이 부과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구매 의욕이 꺾여 컨텐츠의 수요가 확대되는 효과나, 컨텐츠 유통을 저해할 수도 있다.
그래서,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동기 재생(이하, 공용 이용이라고도 함.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용이란, 종래의 공용과는 상이하고, 단순한 컨텐츠의 공용이 아니고, 컨텐츠의 동기 재생을 의미함)를 행하는 컨텐츠에는, 종래의 개인 단독 이용이 아니고, 공용 이용을 전제로 한 저작권 라이센스, 즉 컨텐츠의 이용을, 공용 이용에만 제한한 라이센스 정보(이하, 공용 이용 라이센스 정보라고 함)를 생성하고, 판매하도록 한다. 이 경우, 대상으로 되는 컨텐츠의 저작권 제한 정보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용 이용 제한 정보가 부가된다.
도 16은, 컨텐츠에 부가되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용 이용 제한 정보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92) 등의 패키지 미디어,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3)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권 보호를 필요로 하여, 공용 이용에만 제한된 컨텐츠에 부가되는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저작권 제한 정보에 추가되는 것이다.
도 16의 예에 있어서, 공용 이용 제한 정보는, 공용 단말기 수제한 정보, 공용 제한 사용자, 공용 제한 지역, 및 공용 제한 기간 등에 의해 구성된다.
공용 단말기 수제한 정보는,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사용자 수(커뮤니케이션 장치 수)를 제한하는 정보이다. 공용 제한 사용자는,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대상의 사용자를 제한하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대상의 사용자 개인을 식별하는 정보나,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이나 프라이버시 레벨 등이 설정된다.
공용 제한 지역은,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을 제한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방송 컨텐츠 등의 경우에는, 그 컨텐츠가 방영되어 있지 않은 일본 이외의 나라와의 동기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공용 제한 기간은,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기간을 제한하는 정보이 다.
도 17은, 도 16의 공용 이용 제한 정보에 대응한 도 4의 재생 허가부(85)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7의 재생 허가부(85)는, 공용 이용 인증부(151) 및 공용 제한 정보 갱신부(152)가 추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도 6의 재생 허가부(85)와 동일한 구성이다.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저작권 인증부(112) 및 프라이버시 인증부(115)에 의한 컨텐츠 이용 인증이 완료되고, 컨텐츠가 동기 재생되고 있을 때, 내장된 클록으로 계시 동작을 행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공용 이용 인증부(151)를 제어하고, 공용 이용 저작권의 인증 처리를 실행시킨다.
공용 이용 인증부(151)는, 세션 관리부(81)로부터, 현재, 원격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고 있는(즉,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에 관한 장치 정보(대수, 각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지역, 그룹 정보 등)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에 따라 동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과금 처리부(114) 및 공용 제한 정보 갱신부(152)를 제어하고, 인증 서버(4)에 의해 과금 처리를 행하게 하여,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갱신시키거나 재생 인증 제어부(111)를 통하여, 통지 정보 생성부(118)에, 공용 이용(즉, 동기 재생)의 인증 불가의 통지를 공급한다.
공용 제한 정보 갱신부(152)는, 과금 처리부(114)에 의한 과금 처리의 결과, 통신부(23)를 통하여, 인증 서버(4)로부터, 새로운 이용 제한 정보를 취득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이용 제한 정보를 갱신한다.
다음에, 도 1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공용 이용 저작권의 인증 처리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및 (1-2)는, 각각 사용자 A와 사용자 X의 조작에 따라, 과금 처리를 행하고, 도 5의 스텝 S3에 있어서 선택되는 컨텐츠의 공용 이용 라이센스 정보를 각각 취득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의 스텝 S3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컨텐츠 인증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고, 스텝 S4에 있어서, 재생 동기부(83)의 제어 하에, 컨텐츠 재생부(25)에 의해 컨텐츠의 동기 재생이 개시된다.
재생 인증 제어부(111)는, 컨텐츠의 동기 재생이 개시되면, 스텝 S151에 있어서, 내장된 클록으로 계시 동작을 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고 있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52로 진행하고, 공용 이용 인증부(151)를 제어하여,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시킨다.
즉, 공용 이용 인증부(151)는, 스텝 S152에 있어서, 세션 관리부(81)로부터, 현재, 원격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고 있는(즉,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에 관한 장치 정보(각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지역, 그룹 정보 등)를 취득한다. 그리고, 세션 관리부(81)는, 도 5의 스텝 1에 있어서의 원격 커뮤니케이션의 개시 처리에 있어서, 이들 장치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만,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부(23)를 통하여, 각 커뮤니케이션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를, 공용 이용 인증부(151)에 공급한다.
그리고, 공용 이용 인증부(151)는, 취득한 장치 정보에 따라 동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동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53으로 진행하고,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 즉 공용 이용의 인증 불가의 통지를, 재생 인증 제어부(111)를 통하여, 통지 정보 생성부(118)에 공급하고,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시켜, 스텝 S154로 진행한다.
통지 정보 생성부(118)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면, 생성한 영상을, 영상 음성 합성부(26)를 통하여, 출력부(2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41)에 표시하게 한다.
공용 이용 인증부(151)는, 스텝 S154에 있어서, 과금 처리부(114)를 제어하고, 인증 서버(4)에 대하여,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기 위한 과금 처리를 실행시키고, 스텝 S155로 진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4)는, 과금 처리에 따른 새로운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1)에 송신하여 온다. 커뮤니케이션 장치(1-1)의 통신부(23)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수신하면, 공용 이용 인증부(151)에 공급한다.
공용 이용 인증부(151)는, 스텝 S155에 있어서, 공용 이용 인증부(151)를 취득하면, 공용 제한 정보 갱신부(152)를 제어하고,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용 제한 정보를 갱신시켜, 공용 이용 저작권의 인증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물론, 과금 처리 등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동기 재생은, 강제적으로 종료된다.
한편, 스텝 S152에 있어서, 동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만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공용 이용의 저작권에 관하여는 아무것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공용 이용 인증부(151)는, 공용 이용 저작권의 인증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에 있어서,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고 있을 때는, 주기적으로,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를 확인하고, 공용 이용이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므로, 공용 이용의 라이센스를 침해하여, 컨텐츠가 동기 재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공용 이용 제한 정보의 공용 이용 제한을 넘어, 신규로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로의 참가가 요구된 경우에는, 공용 이용 제한 정보가 통지되거나, 제한 인원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과금 서버(4)에의 과금 처리 등이 실행된다.
그리고, 도 18에 있어서는, 공용 이용 저작권의 인증 처리를,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고 있을 때 행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컨텐츠의 동기 재생을 개시하기 전인, 도 5의 스텝 S3에 있어서의 컨텐츠 이용 인증 처리에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처리는,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즉, 컨텐츠의 동기 재생)를 행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중 적어도 1대로 실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처리를 인증 서버(4) 상에서 실현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격 커뮤니케이션 처리가 실행되므로, 종래의 음성 전화기, TV전화기, 또는 비디오 회의 시스템과 같은 원격지 커뮤니케이션 장 치와 비교하여, 보다 활발하고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된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종래의 TV 장치로, 리얼타임으로 분배되는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X가,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A에 음성 전화기를 사용하여, 방송 컨텐츠를 시청한 감상을 전한 경우, 실제로 방송 컨텐츠를 보고 있지 않은 사용자 A에는, 상황의 이해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A와 사용자 X가 같은 시각에 같은 컨텐츠를 공용할 수 있고, 또한 자화면 등에 있어서, 서로의 영상이나 음성도 동시에 재생되므로, 원격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대면(對面)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행하고 있는 같은 현장감, 일체감, 또는 친근감 등을 얻을 수 있다.
또, 그 때, 저작권 보호나 프라이버시 보호를 필요로 하는 컨텐츠라도, 동기 재생하기 전에, 반드시,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 정보의 인증을 행하도록 했으므로,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다종 다양한 컨텐츠를, 동기 재생하여 즐길 수가 있다. 이로써, 컨텐츠의 수요가 확대하는 효과가 도모된다.
그리고, 또한 공용 이용(즉, 네트워크 상에서의 복수개 사람의 동기 재생 가능)을 전제로 한 저작권 라이센스 정보를 사용하도록 했으므로, 컨텐츠의 제공자는, 공용 이용의 경우에는, 개인 이용을 목적으로 한 라이센스보다 비교 염가로 가격 설정을 행하는 등, 비지니스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로써, 라이센스 취득에 관한 비용의 증대에 의한 컨텐츠의 이용을 주저하는 사용자의 구 매 의욕이 진행되어, 결과로서, 컨텐츠의 수요가 확대하는 효과가 도모된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 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장치(1-1) 내지 (1-3), 컨텐츠 공급 서버(3), 및 인증 서버(4)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401)에 의해 구성된다.
도 19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411)는, ROM(Read Only Memory)(4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41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4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413)에는 또, CPU(41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적당히 기억된다.
CPU(411), ROM(412), 및 RAM(413)는, 버스(41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414)에는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4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41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417),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418), 모뎀, 터미널 어댑터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41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419)는, 무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5)에는 또,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42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421), 광디스크(422), 광자기 디스크(423), 또는 반도체 메모리(424) 등이 적당히 장착되고, 그리고,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418) 에 인스톨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 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 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4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디스크(42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423)(MD(Mini-Disk)(상표)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42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412)이나, 기억부(418)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스텝은, 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개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추진하면서,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다양한 컨텐츠의 동시 재생을 즐길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 재생의 대상으로 되는 컨텐츠의 라이센스 판매가 촉진된다.

Claims (8)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수단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수단
    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에는 상기 동기 재생 수단에 의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동기 재생을 제한하기 위한 공용 제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동기 재생 수단에 의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동기 재생이 상기 공용 제한 정보에 따라 인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용 인증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이용 판정 수단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 또는 상기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이용 판정 수단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에, 이용 제한이 있는 경우, 상기 이용 제한의 통지를 제어하는 통지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동기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의 음성 및 영상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스텝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처리를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 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스텝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8.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처리를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저작권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이용 판정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이용 판정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저작권 제한 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동기하여 재생하는 동기 재생 스텝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KR1020077002046A 2004-07-27 2005-07-20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224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8528 2004-07-27
JP2004218528A JP4501063B2 (ja) 2004-07-27 2004-07-27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CT/JP2005/013289 WO2006011398A1 (ja) 2004-07-27 2005-07-20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438A true KR20070044438A (ko) 2007-04-27
KR101224533B1 KR101224533B1 (ko) 2013-01-21

Family

ID=3578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046A KR101224533B1 (ko) 2004-07-27 2005-07-20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65299B2 (ko)
EP (1) EP1783654A4 (ko)
JP (1) JP4501063B2 (ko)
KR (1) KR101224533B1 (ko)
CN (1) CN100517360C (ko)
WO (1) WO20060113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341A (ko) * 2012-05-17 2015-01-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1063B2 (ja) * 2004-07-27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67337A (ja) * 2006-03-30 2007-10-11 Kyocera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装置並びに通話記録再生方法
WO2007122914A1 (ja) * 2006-04-04 2007-11-01 Panasonic Corporation 個人情報管理装置
WO2007148681A1 (ja) * 2006-06-20 2007-12-27 Sharp Kabushiki Kaisha 設定装置、生体測定装置、生体測定装置の設定システム、生体測定装置の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887931B2 (ja) * 2006-06-23 2012-02-29 富士通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
JP4462334B2 (ja) 2007-11-16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共有システム
JP5456425B2 (ja) * 2008-10-22 2014-03-26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コンテンツ認可装置
US20120111936A1 (en) 2009-01-27 2012-05-10 Brown Stephen J Semantic Note Taking System
US20120122397A1 (en) * 2009-01-27 2012-05-17 Brown Stephen J Semantic Note Taking System
US8930490B2 (en) 2009-01-27 2015-01-06 Apple Inc. Lifestream annotation method and system
US8645383B2 (en) 2009-01-27 2014-02-04 Stephen J. Brown Content management system using sources of experience data and modules for quantification and visualization
US20100232771A1 (en) * 2009-03-16 2010-09-16 Disney Enterprises, Inc. Time-sensitive remote control of a video playback device
JP4764943B2 (ja) * 2009-12-29 2011-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動作制御装置、動作制御方法、ライセンス提供システム、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788811B2 (en) * 2010-05-28 2014-07-22 Red Hat, Inc. Server-side key generation for non-token clients
CN103188990B (zh) 2010-08-27 2016-10-19 密尔沃基电动工具公司 热检测系统、方法和设备
WO2012070241A1 (ja) 2010-11-25 2012-05-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コンテンツ仲介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203705055U (zh) 2011-03-15 2014-07-09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热像仪
KR101226560B1 (ko) * 2011-03-29 2013-01-25 (주)티아이스퀘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794769B2 (en) 2012-08-02 2020-10-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hermal detec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EP2763422B1 (en) 2013-01-31 2018-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US20150242597A1 (en) * 2014-02-24 2015-08-27 Google Inc. Transferring authorization from an authenticated device to an unauthenticated device
WO2016105320A1 (en) * 2014-12-23 2016-06-30 Echostar Ukraine, L.L.C. Television receiver privacy control
JP2018074412A (ja) * 2016-10-31 2018-05-10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75281T1 (de) * 1991-05-08 1999-01-15 Digital Equipment Corp Lizenz-verwaltungssystem
JPH1049581A (ja) * 1996-08-02 1998-02-20 Hitachi Ltd 電子討論システム
US5926624A (en) * 1996-09-12 1999-07-20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ed to the playback device
US6047322A (en) * 1997-05-27 2000-04-04 Ukiah Softw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US6351773B1 (en) * 1998-12-21 2002-02-26 3Com Corporation Methods for restricting access of network devices to subscription services in a data-over-cable system
US6529949B1 (en) * 2000-02-07 2003-03-04 Interactual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remote unlocking of local content located on a client device
JP4196240B2 (ja) 1999-08-31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制限機能付き再生装置、再生制限方法及び再生制限プログラム
JP2001229282A (ja) 2000-02-15 2001-08-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155415B2 (en) * 2000-04-07 2006-12-26 Movielink Llc Secure digital content licensing system and method
JP2001339764A (ja) 2000-05-24 2001-12-07 Sony Corp 通信制御装置、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EP1331818B1 (en) 2000-09-12 2008-04-0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JP4923326B2 (ja) 2001-02-13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1430373A2 (en) * 2001-06-11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cense management server,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usage restriction method
US20030001978A1 (en) * 2001-06-12 2003-01-02 Xsid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display functionality in a set-top box environment
DE10137693A1 (de) * 2001-06-18 2002-05-16 Mueschenborn Hans Joachim Unsichtbare Services
JP3795772B2 (ja) * 2001-06-25 2006-07-12 株式会社ノヴァ マルチメディア情報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US7487363B2 (en) * 2001-10-18 2009-02-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copying and moving of content between devices and domains based on conditional encryption of content key depending on usage
JP2003143212A (ja) * 2001-11-01 2003-05-16 Fujitsu Ltd サーバとクラアイントとの接続方法およびルータ装置
AU2002367260A1 (en) 2001-12-27 2003-07-24 Digeo, Inc. Conferencing with synchronous presention of media programs
JP2003223407A (ja) * 2002-01-29 2003-08-08 Sony Corp コンテンツ共有支援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コンテンツ共有支援サーバ、複数のユーザ間でコンテンツ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224794A (ja) 2002-01-29 2003-08-08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受信システム
JP2003235018A (ja) * 2002-02-08 2003-08-22 Megafusion Corp テレビ会議システムおよび多地点教育システム
JP2003330808A (ja) * 2002-05-09 2003-11-21 Yamaha Corp 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配信方法、情報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
US20030212804A1 (en) * 2002-05-09 2003-11-13 Ardeshir Hashemi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clip sharing over a network
JP2003337783A (ja) * 2002-05-20 2003-11-28 Nec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04038568A2 (en) * 2002-10-22 2004-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authorizing content operations
JP4218336B2 (ja) 2002-12-12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071663A1 (en) * 2003-09-26 2005-03-3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paration of copy protection rul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7882034B2 (en) * 2003-11-21 2011-02-01 Realnetworks,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content rendering on playback devices
US7620362B2 (en) * 2003-12-0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wirelessly broadcast electronic works during playback
JP4501063B2 (ja) * 2004-07-27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41886A (ja) * 2004-07-27 2006-02-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716083B2 (ja) * 2004-07-27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572615B2 (ja) * 2004-07-27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655190B2 (ja) * 2004-08-0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2034776B1 (en) * 2007-07-27 2013-02-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stallation
US9065812B2 (en) * 2009-01-23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tecting transac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341A (ko) * 2012-05-17 2015-01-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US9538237B2 (en) 2012-05-17 2017-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US9973812B2 (en) 2012-05-17 2018-05-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52195B2 (en) 2014-06-10
JP2006039918A (ja) 2006-02-09
US20070288993A1 (en) 2007-12-13
JP4501063B2 (ja) 2010-07-14
CN1989507A (zh) 2007-06-27
KR101224533B1 (ko) 2013-01-21
US20130111603A1 (en) 2013-05-02
CN100517360C (zh) 2009-07-22
US8365299B2 (en) 2013-01-29
WO2006011398A1 (ja) 2006-02-02
EP1783654A1 (en) 2007-05-09
EP1783654A4 (en)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53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314830B2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processing methods, recording mediums, and programs
JP3573203B2 (ja)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システム。
US83916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0802357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ntent access
KR101029211B1 (ko)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특정 콘텐츠의 시청 관리 방법
US20060025998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processing methods, recording mediums, and programs
JP2006339765A (ja) 予約録画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録画装置および動画コンテンツ処理方法
JP2012249275A (ja) コンテンツ同時再生端末、コンテンツ同時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同時再生方法
CN106060055A (zh) 一种电视视频播放方法及系统
JP5359199B2 (ja)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端末、コメン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30440B2 (ja) メッセージ再生装置、メッセージ記録および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20324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100125255A (ko) 컨텐츠 기록 시스템, 컨텐츠 기록 방법, 컨텐츠 기록 장치, 및 컨텐츠 수신 장치
WO202224436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6319918A (ja) コンテンツ配信制御システム、情報端末、コンテンツ配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34808A (ja) 音声配信装置、音声配信方法、音声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909362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2288211A (ja) 睡眠導入装置および睡眠導入方法
TW200833105A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vision and/or radio programmes via the internet
JP2004015343A (ja) 複数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方法、サーバ装置及びユーザ端末
JP6443223B2 (ja) コンテンツ視聴支援装置、コンテンツ視聴支援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視聴支援プログラム
JP200306102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02025A (ja) 音楽画像送信装置、カメラ、送信制御方法
JP2020155849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