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341A -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341A
KR20150007341A KR1020147034379A KR20147034379A KR20150007341A KR 20150007341 A KR20150007341 A KR 20150007341A KR 1020147034379 A KR1020147034379 A KR 1020147034379A KR 20147034379 A KR20147034379 A KR 20147034379A KR 20150007341 A KR20150007341 A KR 20150007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evice
media content
source device
targe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186B1 (ko
Inventor
보 후앙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련되고,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셋톱 박스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오프라인이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될 수 없다고 하는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목표 디바이스에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고 목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목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가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목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목표 디바이스가 목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네트워크 서버가, 목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목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목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목표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찾고, 재생 상태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MULTI-SCREEN INTERAC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5월 17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210153890.0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써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은 상이한 단말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바일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복수의 유형의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멀티미디어(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 콘텐츠에 대해 수행되는 송신, 파싱(parsing), 제시(presentation) 및 제어와 같은 일련의 동작들을 지칭한다.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은 상이한 단말기 플랫폼의 디바이스들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생활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는 셋톱 박스(Set Top Box, 간단히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와 같은 디바이스들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가정에서의 디바이스는 STB에 접속되거나 홈 미디어 서버에 접속된다.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는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라우터에 기초한 가정에서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한편,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도 또한 홈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현재,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들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는 외부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종합(aggregate)하거나 수용하고; 모바일 단말기 또는 텔레비전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요구하고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를 수용하는 경우,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 또는 텔레비전의 디바이스 정보(여기서, 디바이스 정보는 해상도, 디바이스 브랜드, 디바이스 모델 등을 포함하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를 획득하고,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변환코딩(transcoding)을 수행하고, 재생을 위해 변환코딩 후의 미디어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텔레비전에 전송하는 한편, 모바일 단말기와 텔레비전의 재생 상태들을 동기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이 적어도 이하의 문제를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종래 기술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은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오프라인인 경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은 수행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는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오프라인인 경우에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될 수 없는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채택한다: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타겟 디바이스에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요청하는 단계;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은 복수의 미디어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트랜시버 유닛; 및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유닛
을 포함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도록 구성된 미디어 요청 유닛; 및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유닛
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그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교환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 것을 회피하고; 상이한 단말기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이한 비트 레이트들 또는 형식들의 미디어 콘텐츠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상이한 단말기들에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기술하기 위해, 이하에 본원의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할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조적 노력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의 제1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의 제2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아니라 일부일 뿐이다. 창조적 노력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주 내에 들어올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의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들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101):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 벤더, 디바이스 아이덴티티,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유형,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미디어 형식, 디바이스의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102):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미디어 정보는 미디어 콘텐츠의 이름, 미디어 콘텐츠의 아이덴티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103):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한다.
단계(104):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은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타겟 디바이스의 해상도는 소스 디바이스의 해상도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파라미터들에 따라(타겟 디바이스의 해상도, 디바이스에 지원되는 미디어 형식 등에 따라)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경우에 보다 나은 효과가 달성된다.
단계(105):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구체적으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아이덴티티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질의(query)한다.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동일 디바이스 단말기 또는 상이한 디바이스 단말기일 수 있고, 타겟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는 동일 기능 모듈을 가질 수 있어서, 유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작동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는 또한 타겟 디바이스로서 작동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타겟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그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교환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 것을 회피하며; 상이한 단말기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이한 비트 레이트들 또는 형식들의 미디어 콘텐츠가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상이한 단말기들에 전송될 수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201):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제1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에 질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질의 메시지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를 질의하는데 이용된다.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일 수 있고, 제1 IP 어드레스는 미리 설정된 IP 어드레스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2): 소스 디바이스는 제1 IP 어드레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고 타겟 디바이스와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면, 제1 IP 어드레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모니터링한 후에,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버에 보고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3):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 벤더, 디바이스 아이덴티티,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유형,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미디어 형식, 디바이스의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4):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면, 단계(20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208)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타겟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형식들 및 해상도(예를 들어, 고화질 비디오) 모두가 상이한 경우, 상이한 미디어 콘텐츠는 상이한 권한들을 갖고,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도 또한 상이한 권한들을 갖는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를 네트워크 서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단계(205): 소스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는지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다면, 단계(206)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207)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해상도가 비교적 높고, 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경우, 더 높은 품질의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고화질 비디오)가 요구되고, 따라서, 네트워크 서버는 더 높은 품질의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할 필요가 있고, 더 높은 품질의 미디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6):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 또는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는지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타겟 디바이스 또는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한 경우, 단계(207)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208)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그룹은: 타겟 디바이스가 일부 디바이스들과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한 후에,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 및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동일한 그룹으로서 라벨링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재생 권한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디바이스가 지불 동작을 수행하였기만 하면, 동일한 그룹 내의 다른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 또는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한 후에,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가진다.
단계(207):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가지며, 소스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단계(209)로 진행한다.
미디어 정보는 미디어 콘텐츠의 이름, 미디어 콘텐츠의 아이덴티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8): 소스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될 수 없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소스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될 수 없는 이유를 타겟 디바이스에 더 피드백하여, 타겟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조치, 예를 들어, 지불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트(prompt)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9):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한다.
단계(210):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이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타겟 디바이스의 해상도가 소스 디바이스의 해상도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파라미터들에 따라(타겟 디바이스의 해상도,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미디어 형식 등에 따라)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경우에 보다 나은 효과가 달성된다.
단계(211):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단계(212):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를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서버는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의 아이덴티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를 동일한 그룹으로서 라벨링하여, 추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가 동일한 재생 권한을 가질 수 있고 대응하는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13):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에 대해 타겟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다.
단계(214):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 소스 디바이스가 온라인인지, 및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정한다.
단계(215): 네트워크 서버가,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고, 소스 디바이스가 온라인이고,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서버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할 것을 타겟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단계(216):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될 것을 타겟 디바이스가 확인한 후에,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를 접속된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217):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와 소스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태 동기화가 구현된다.
동기화 제어 동작은: 미디어 콘텐츠를 일시중단하기(pausing), 미디어 콘텐츠를 되감기(rewinding), 미디어 콘텐츠를 앞으로 빨리 감기(fast-forwarding), 및 미디어 콘텐츠를 닫기(closing)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타겟 디바이스가 타겟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앞으로 빨리 감으면,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도 또한 동시에 앞으로 빨리 감겨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218): 네트워크 서버는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을 모니터링하고, 소스 디바이스가 오프라인으로 된 후에,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을 저장한다.
단계(219): 소스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타겟 디바이스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네트워크 서버는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에 관해 타겟 디바이스를 프롬프트한다.
단계(220): 타겟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에 따라 재생을 수행할 것을 판정한 후에, 타겟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그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교환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에 의존될 필요가 있는 것을 회피하며; 상이한 단말기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이한 비트 레이트들 또는 형식들의 미디어 콘텐츠가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상이한 단말기들에 전송되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은 복수의 미디어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서버(33)를 포함하고,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소스 디바이스(31) 및 타겟 디바이스(32)를 포함하고, 소스 디바이스(31)는:
소스 디바이스(31)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소스 디바이스(31)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타겟 디바이스(32)에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32)에 의해 전송된 타겟 디바이스(32)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트랜시버 유닛(311)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1의 단계(101)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및
타겟 디바이스(32)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31)가 소스 디바이스(31)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32)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유닛(312)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1의 단계(102)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을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32)는:
타겟 디바이스(32)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33)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도록 구성된 미디어 요청 유닛(321)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1의 단계(103)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및
네트워크 서버(33)에 의해 전송된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소스 디바이스(31)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31)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32)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유닛(322)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1의 단계(105)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버(33)는:
타겟 디바이스(32)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32)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32)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유닛(331)을 포함하며,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1의 단계(104)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31)는:
타겟 디바이스(32)가 소스 디바이스(31)가 위치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한 후에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제1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질의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고, 타겟 디바이스(32)와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될 것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1 모니터링 유닛(313)을 더 포함하고, 질의 메시지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를 질의하는데 이용되며,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들(201 및 202)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33)는: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31)와 타겟 디바이스(32)를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동일 그룹 라벨링 유닛(332)을 더 포함하며,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2)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31)는: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33)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는지를 네트워크 서버(33)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유닛(314)을 더 포함하고,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04) 내지 단계(206)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제1 전송 유닛(312)은: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타겟 디바이스(33)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가지면, 소스 디바이스(31)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33)에 전송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07)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획득 유닛(314)은: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를 네트워크 서버(33)로부터 획득하고, 미디어 콘텐츠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한다는 것을 획득한 후에,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는지를 네트워크 서버(33)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3141)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들(204 및 205)을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획득된 후에, 타겟 디바이스(32) 또는 타겟 디바이스(31)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는지를 네트워크 서버(33)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3142)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06)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및
타겟 디바이스(32) 또는 타겟 디바이스(31)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다고 소스 디바이스(31)가 획득한 경우, 타겟 디바이스(32)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는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 권한 판정 모듈(3143)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07)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을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디바이스(32)는:
타겟 디바이스(32)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33)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요청 유닛(323)을 더 포함하고,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3)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서버(33)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 소스 디바이스(31)가 온라인인지, 및 타겟 디바이스(32)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소스 디바이스(31)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333)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4)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고, 소스 디바이스(31)가 온라인이고,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32)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소스 디바이스(31)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32)에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할 것을 타겟 디바이스(32)에 명령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유닛(334)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5)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및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타겟 디바이스(32)가 확인한 후에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를 접속된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접속 유닛(335)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6)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을 더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32)는:
타겟 디바이스(32)와 소스 디바이스(31)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타겟 디바이스(32)의 미디어 콘텐츠와 소스 디바이스(31)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태 동기화가 구현되도록 구성된 제어 동작 유닛(324)을 더 포함한다.
동기화 제어 동작은: 미디어 콘텐츠를 일시중단하기, 미디어 콘텐츠를 되감기, 미디어 콘텐츠를 앞으로 빨리 감기, 및 미디어 콘텐츠를 닫기를 포함한다.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7)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33)는:
소스 디바이스(31) 상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을 모니터링하고 소스 디바이스(31)가 오프라인으로 된 후에, 소스 디바이스(31) 상에서 재생된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및 저장 유닛(336)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8)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 및
소스 디바이스(31)와 동일한 그룹 내의 타겟 디바이스(32)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31) 상에서 재생된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에 관하여 타겟 디바이스(32)를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된 프롬프팅(prompting) 유닛(337) -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19)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음 -
을 더 포함한다.
재생 유닛(322)은:
소스 디바이스(31) 상에서 재생된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에 따라 재생을 수행할 것을 타겟 디바이스(32)가 판정한 후에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그의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220)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그룹 내의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동일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동일한 홈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거나, 상이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타겟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가 상이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작동하고,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면, 현재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전에, 타겟 디바이스는 동일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소스 디바이스와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원격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예가 이하에 제공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본 명세서에서 한정되지 않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의 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예들을 더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은 서버 부분(41) 및 홈 네트워크 부분(42)의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서버 부분(41)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부분(42)에 접속된다.
서버 부분(41)은:
비디오 콘텐츠 제공 유닛(411), 비디오 콘텐츠 정보 유닛(412), 단말기 관리 유닛(413), 비디오 콘텐츠 전송 유닛(414), 그리고 비디오 콘텐츠 제공 유닛(411), 비디오 콘텐츠 정보 유닛(412), 단말기 관리 유닛(413) 및 비디오 콘텐츠 전송 유닛(414)에 접속된 비디오 콘텐츠 관리 유닛(4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콘텐츠 제공 유닛(411)은 비디오 콘텐츠, 예를 들어, 영화, 웹 텔레비전, 및 비디오 뮤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콘텐츠 정보 유닛(412)은, 마이크로블로그(microblog) 및 포럼과 같이 비디오 콘텐츠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사이트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비디오 콘텐츠의 관련 정보에 상호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 관리 유닛(413)은 홈 네트워크 부분(42)의 단말기들을 그룹화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콘텐츠 전송 유닛(414)은 비디오 콘텐츠 제공 유닛(411)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부분(42)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콘텐츠 관리 유닛(415)은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 네트워크 부분(42)은:
무선 라우팅 디바이스(421), 및 무선 라우팅 디바이스(421)에 접속되는 홈 미디어 디바이스(422)와 모바일 단말기 디바이스(423)를 포함하고, 모바일 단말기 디바이스(423)는 인터넷에 대한 통신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라우팅 디바이스(421)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construct)하도록 구성된다. 홈 미디어 디바이스(422)는 스트리밍 미디어 재생기, 데스크톱 컴퓨터, 셋톱 박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그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교환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미디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STB 또는 홈 미디어 서버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 것을 회피하고; 상이한 단말기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이한 비트 레이트들 또는 형식들의 미디어 콘텐츠가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상이한 단말기들에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에 더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또는 하드웨어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것이다. 대부분의 환경들에서, 전자가 바람직한 구현 방식이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본질적으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의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여러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 구현 방식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주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주 내에 들어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주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주에 속해야 한다.

Claims (14)

  1.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multi-screen interaction) 방법으로서,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되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를 액세스하는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상기 미디어 정보에 따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상기 재생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되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한 후에,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제1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질의 메시지(query message)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질의 메시지는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를 질의하는데 사용됨 - ;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될 것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판정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상기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 그리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가지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미디어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 그리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한다는 것이 획득된 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획득된 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 또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 또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상기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음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획득하면,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상기 재생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이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온라인인지, 그리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인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판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온라인이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이라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판정하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될 것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확인한 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접속된 상태로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태 동기화가 구현되는 단계 -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일시중지하기(pausing),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되감기(rewinding),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앞으로 빨리 감기(fast-forwarding),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닫기(closing)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오프라인으로 된 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진행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진행에 관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프롬프트하는(prompting) 단계;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진행에 따라 재생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판정한 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복수의 미디어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되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트랜시버 유닛;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및 상기 미디어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도록 구성된 미디어 요청 유닛;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전송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된 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를 발견하고, 상기 재생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위치된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액세스한 후에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제1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질의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될 것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1 모니터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는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지를 질의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상기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동일 그룹 라벨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 그리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송 유닛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가지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유닛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하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지원한다는 것을 획득한 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기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경우 요금이 지불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획득된 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 또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는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디바이스 또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상기 디바이스가 요금을 지불하였다는 것을 획득하면,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을 수행할 권한을 갖도록 구성되는 권한 판정 모듈
    을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해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요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후,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온라인인지, 그리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온라인이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것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유닛; 및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이 수행될 것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확인한 후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접속된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접속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태 동기화가 구현되도록 구성된 제어 동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제어 동작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일시중지하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되감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앞으로 빨리 감기,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닫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되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오프라인으로 된 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진행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및 저장 유닛;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동일한 그룹 내의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진행에 관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된 프롬프팅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유닛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진행에 따라 재생을 수행할 것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판정한 후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147034379A 2012-05-17 2012-10-22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61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53890.0A CN103428556B (zh) 2012-05-17 2012-05-17 多屏互动的方法及系统
CN201210153890.0 2012-05-17
PCT/CN2012/083336 WO2013170584A1 (zh) 2012-05-17 2012-10-22 多屏互动的方法及系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313A Division KR101762088B1 (ko) 2012-05-17 2012-10-22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341A true KR20150007341A (ko) 2015-01-20
KR101661186B1 KR101661186B1 (ko) 2016-10-10

Family

ID=495830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313A KR101762088B1 (ko) 2012-05-17 2012-10-22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147034379A KR101661186B1 (ko) 2012-05-17 2012-10-22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313A KR101762088B1 (ko) 2012-05-17 2012-10-22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538237B2 (ko)
EP (2) EP3748977A1 (ko)
JP (2) JP5989895B2 (ko)
KR (2) KR101762088B1 (ko)
CN (2) CN103428556B (ko)
WO (1) WO20131705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52B1 (ko) * 2017-10-13 2018-06-20 주식회사 제노시스 분산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비디오를 동기화하기 위한 스트리밍/재생장치와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5475B2 (en) 2012-10-11 2017-02-07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US9727321B2 (en) 2012-10-11 2017-08-08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CN103686353B (zh) * 2013-12-05 2017-08-2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云端多媒体信息抓捕的方法以及移动终端
CN103763626B (zh) * 2013-12-19 2017-11-21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方法、设备和系统
CN104768037B (zh) * 2014-01-08 2017-12-29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实现多屏间的视频点播快速切换装置及方法
BR102014011263B1 (pt) * 2014-05-09 2019-07-02 Tqtvd Software Ltda Método para encapsular streams de conteúdo audiovisual em mpeg2-private-sections, dispositivo para encapsular conteúdo audiovisual em mpeg2-private-sections para sermultiplexados em um mpeg2-transport-stream, protocolo de comunicação em redes e método para transmissão de conteúdo audiovisual e/ou dados para dispositivos do usuário sem recursos para sintonizar um broadcast de sinal de tv digital através de um broadcast de sinal de tv digital
JP2016065958A (ja) * 2014-09-24 2016-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333789A (zh) * 2014-10-30 2015-02-04 向火平 同屏互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468525B (zh) * 2014-11-14 2018-08-31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自适应网络的多屏互动方法及系统
CN104580169A (zh) * 2014-12-23 2015-04-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进行文件同步的方法及系统
CN104581366A (zh) * 2014-12-30 2015-04-29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互联网电视播放方法和服务器
CN104580478A (zh) * 2015-01-15 2015-04-29 环旭电子股份有限公司 物联网装置离线共享的存取权限控制方法
CN104852984B (zh) * 2015-05-28 2018-09-1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多屏互动的智能终端间数据传输方法及系统
CN105049955B (zh) * 2015-07-02 2019-02-05 浙江工商大学 一种实时传屏的方法和系统
CN106559702B (zh) * 2015-09-29 2019-10-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多屏互动方法和系统、家庭网关
CN106572383A (zh) * 2015-10-12 2017-04-19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基于多屏互动的视频切换方法及系统
CN105872622A (zh) * 2015-12-08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多账户同时播放多媒体的方法和终端设备
CN106658159A (zh) * 2016-09-05 2017-05-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第一电子设备、目标设备
CN106790576B (zh) * 2016-12-27 2020-01-31 深圳市汇龙建通实业有限公司 一种互动桌面同步方法
CN106993216A (zh) * 2017-03-01 2017-07-28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切换方法及装置
CN107465723B (zh) * 2017-07-10 2021-06-1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多屏互动连接方法、系统、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7566523B (zh) * 2017-09-30 2021-02-05 深圳绰曦互动科技有限公司 跨平台的多屏互动方法、装置及系统
CN109299047A (zh) * 2018-09-21 2019-02-01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分布式系统数据共享方法及装置、数据共享分布式系统
CN110109639A (zh) * 2019-05-09 2019-08-09 北京伏羲车联信息科技有限公司 多屏交互方法及车载系统
CN110944220B (zh) * 2019-12-10 2022-12-02 北京爱奇艺科技有限公司 视频投屏播放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1327934A (zh) * 2020-02-28 2020-06-23 海信集团有限公司 通信终端、控制设备及视频多设备同步播放方法
CN111381791B (zh) * 2020-03-03 2023-03-21 安徽文香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系统、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2650460B (zh) * 2020-09-30 2024-05-1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媒体显示方法和媒体显示装置
CN112714354B (zh) * 2021-03-25 2021-08-03 北京泰迪熊移动科技有限公司 多屏互动方法及装置
CN113891146B (zh) * 2021-09-23 2023-08-22 中汽创智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互动系统、方法、驾驶设备及存储介质
CN114245188B (zh) * 2021-12-29 2023-09-15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播放盒终端的自动级联方法及led显示屏级联播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438A (ko) * 2004-07-27 2007-04-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JP2008160581A (ja) * 2006-12-25 2008-07-10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04431A (ja) * 2010-09-22 2011-01-06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1160119A (ja) * 2010-01-29 2011-08-18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および情報表示連動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5182B2 (ja) * 2001-01-19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テレビ通信方法および、双方向テレビ通信用クライアント装置
EP1629502A1 (en) * 2003-05-16 2006-03-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recording and of replaying and video recording and replay systems
US8429696B2 (en) * 2003-10-31 2013-04-23 Microsoft Corporation Multimedia presentation resumption within an environment of multiple presentation systems
US7647617B2 (en) * 2004-11-16 2010-01-12 Integra5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association between telephony and television network equipment
US7873974B2 (en) * 2005-09-19 2011-01-18 Sony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using a portable wireless device
EP1845684A1 (en) * 2006-04-10 2007-10-1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ntent repurposing
KR101138395B1 (ko) * 2006-09-22 201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의 액세스 권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8160301A (ja) * 2006-12-21 2008-07-10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装置、ネットワーク端末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8224857A (ja) * 2007-03-09 2008-09-2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9130876A (ja) * 2007-11-28 2009-06-11 Hitachi Ltd 端末連携継続視聴システム、端末、サーバ、方法
EP2043323A1 (en) 2007-09-28 2009-04-01 THOMSON Licensing Communication device able to synchronise the received stream with that sent to another device
CN102132575B (zh) 2008-08-29 2013-10-02 索尼电脑娱乐公司 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装置
CN101945252B (zh) 2010-07-01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跨平台媒体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20011014A1 (en) * 2010-07-08 2012-01-12 Microsoft Corporation Media purchase techniques
US8763060B2 (en) * 2010-07-11 2014-06-24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mpanion content
JP2012049875A (ja) * 2010-08-27 2012-03-08 Fujitsu Ltd 映像配信サーバ及び映像配信方法
US8667520B2 (en) * 2011-07-06 2014-03-04 Symphony Advanced Media Mobile content tracking platform methods
CN102006519A (zh) 2010-11-18 2011-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终端和ip机顶盒之间的互动方法和系统
CN102025736A (zh) * 2010-12-08 2011-04-20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跨平台节目续播方法及其系统
CN102149008B (zh) * 2011-03-16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终端间数据内容实时切换的方法和系统
CN102185884A (zh) * 2011-03-18 2011-09-14 北京易视腾科技有限公司 多屏互动方法及系统
CN102377823B (zh) * 2011-10-18 2013-12-25 北京优朋普乐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滑屏实现多屏多用户之间互动分享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438A (ko) * 2004-07-27 2007-04-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JP2008160581A (ja) * 2006-12-25 2008-07-10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60119A (ja) * 2010-01-29 2011-08-18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および情報表示連動システム
JP2011004431A (ja) * 2010-09-22 2011-01-06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表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52B1 (ko) * 2017-10-13 2018-06-20 주식회사 제노시스 분산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비디오를 동기화하기 위한 스트리밍/재생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38237B2 (en) 2017-01-03
CN106454472A (zh) 2017-02-22
JP5989895B2 (ja) 2016-09-07
EP3748977A1 (en) 2020-12-09
JP6349356B2 (ja) 2018-06-27
EP2840799A1 (en) 2015-02-25
US20150074730A1 (en) 2015-03-12
US9973812B2 (en) 2018-05-15
JP2015521431A (ja) 2015-07-27
CN103428556B (zh) 2016-11-23
EP2840799B1 (en) 2020-04-22
US20170085944A1 (en) 2017-03-23
CN103428556A (zh) 2013-12-04
WO2013170584A1 (zh) 2013-11-21
KR101661186B1 (ko) 2016-10-10
KR101762088B1 (ko) 2017-07-26
JP2016226016A (ja) 2016-12-28
KR20160116022A (ko) 2016-10-06
CN106454472B (zh) 2021-06-04
EP2840799A4 (en)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86B1 (ko)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US116716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11070884B2 (en) Controlling networked media capture devices
JP2019110597A (ja) 無線メディア・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
JP5341186B2 (ja) プロキシ機能
US2013014501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main management
KR20060002962A (ko)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US20110296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user interface (ui) service
US8601115B2 (en) Providing state information and remote command execution in a managed media device
CA2823074C (en) Distributed recording of content
EP3139573B1 (en) Medi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20114016A (ko)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35742A1 (zh) 一种数字电视的音视频共享方法、终端及系统
US20080240670A1 (en) Picture recording system and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EP25645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 to plurality of devices
KR101774432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들을 통해 비디오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1850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vehicle content management
US20230024313A1 (en) Program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30026879A (ko) 컨텐츠 재생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3838B1 (ko)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디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JP2012010397A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