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070A -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070A
KR20070042070A KR1020060092027A KR20060092027A KR20070042070A KR 20070042070 A KR20070042070 A KR 20070042070A KR 1020060092027 A KR1020060092027 A KR 1020060092027A KR 20060092027 A KR20060092027 A KR 20060092027A KR 20070042070 A KR20070042070 A KR 2007004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zipper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히사 고바야시
다다아끼 오오모리
마사까쯔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뎃빵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뎃빵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뎃빵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3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 F24S25/33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forming substantially planar assemblies, e.g. of coplanar or stacked profiles
    • F24S25/35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forming substantially planar assemblies, e.g. of coplanar or stacked profiles by means of profiles with a cross-section defining separate supporting portions for adjacent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F24S25/61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for fixing to protruding parts of buildings, e.g. to corrugations or to standing se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24S25/634Clamps;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7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in the form of roof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01Special support components; Methods of use
    • F24S2025/021Sealing means between support elements and moun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600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by cla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내후 성능 및 설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는,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되는 부분(1a)에 평행한 돌출 부분(1b)을 양쪽에 갖는 다수의 긴 고정 부재(1), 상기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상기 기재(S) 상에 배치되며 양 단부에는 상기 돌출 부분(1b)의 아래에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2a)을 갖는 외부 주위 본체(2), 태양광 발전 패널(3), 및 상기 돌출 부분(1b)과 고정 부분(2a)을 함께 유지하기 위한 양쪽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 태양광 발전 패널(3)을 유지하기 위한 양쪽의 패널 홈(4ab), 지퍼 조립 홈(4aa), 및 상기 홈(4aa)에 삽입되어 패널 홈(4ab)을 조이기 위한 양쪽의 지퍼 본체(4a)를 구비하는 지퍼 개스킷(4)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 외부 주위 본체, 태양광 발전 패널, 지퍼 개스킷, 성형 스틸, 캡 부재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OUTER SURROUNDING STRUCTURE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에 사용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에 사용되는 지퍼 개스킷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 부재 1b: 돌출 부분
1c: 성형 스틸 2: 외부 주위 본체
2a: 고정 부분 3: 태양광 발전 패널
3a: 단자 4: 지퍼 개스킷
4a: 개스킷 본체 4aa: 지퍼 조립 홈
4ab: 패널 홈 4b: 지퍼 본체
S: 기재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 벽 등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에 태양광 발전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 광선을 전력으로 전환하는 태양 전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패널, 다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로부터 직류 배선을 형성하는 연결 박스, 및 상기 연결 박스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전환하고 주파수, 전압, 전류, 위상, 출력 품질 등을 제어하는 전력 조정기로 구성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다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 벽, 등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에 태양광 발전 패널이 나란히 배선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전술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광 발전 패널의 설치 방법으로는, 기존의 지붕이나 벽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 또는 들보(balk), 지붕이음 판(roofing board) 등과 같은 기재에 직접 고정되는 고정 장치를 통해서 태양광 발전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 지붕, 벽 등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형성된 태양광 발전 패널을 기재 등에 고정 설치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 설치 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장치로는, 예를 들어, 로크용 개구부를 갖는 선형 레일 홈이 제공되고 슬레이트 등과 같은 지붕 재료, 지붕 구조 및 들보에 나사, 못 등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 테이블, 상기 베이스 테이블에 배치되는 지붕 설치체의 주변 에지 부분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가압 부재, 및 상기 레일 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로크용 개구부에 결합시키면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지붕 고정 장치(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6987호 참조), 지붕면에 대략 평행한 평판부를 가지며 지붕 설치체를 지지하는 다리 부재와, 상기 다리 부재의 평판부 하면에 배치되고 양단이 하방으로 절첩된 굴곡부를 갖는 중간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의 하면에 배치되고 파형부를 핀치시키는 좌우 클램프 피스를 구비하는 동시에, 좌우 클램프 피스의 각각을 상기 다리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해 공통의 체결 부재로 고정하며, 또한 상기 중간 부재의 굴곡부에 의해 상기 좌우 클램프 피스의 각 체결 고정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붕 고정 장치(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53826호 참조), 및 측면에는 태양 전지 패널의 외주가 끼워지는 측부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보다 넓게 형성된 내부를 갖는 상면 홈이 형성되는 탄성체, 상기 상면 홈에 끼워지는 지퍼가 구비되는 태양 전지 패널, 상기 탄성체의 하부가 압입되는 압입부 및 지붕이음 판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채널로 구성되는 고정 장 치(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322호 참조)가 존재한다.
전술한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태양광 발전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은, 기존 지붕 또는 벽 등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에 나중에 태양광 발전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기존 건물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그러나, 전술한 고정 장치를 직접 외부 주위 본체에 고정할 때, 고정 장치는 나사, 못 등에 의해 직접 외부 주위 본체, 기재 등에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 장치는 외부 주위 본체의 볼록부 등을 고정 장치의 클램프 피스를 핀치시키는 방식으로 외부 주위 본체에 직접 고정된다. 따라서, 상이한 금속 간의 퍼텐셜 차이 또는 날씨로 인해, 고정 장치와 외부 주위 본체가 상호 접촉하는 부분, 못 등이 외부 주위 본체, 기재 등에 박히는 위치, 등에 부식이 발생되며, 따라서 외부 주위 본체, 태양광 발전 패널, 및 고정 장치의 제품 수명 사이클이 짧아지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부식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빗물이 유입되므로 누설이 발생되고, 따라서 내후(耐候: weathering) 성능이 저하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건물 자체, 외부 주위 본체 등은 주위 환경, 바람 등에 의해 초래되는 흔들림으로 인해 진동하며, 따라서 고정 장치와 외부 주위 본체가 상호 접촉하는 위치, 못 등이 외부 주위 본체 등에 박히는 위치에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내후 성능이 더 저하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특히, 고정 장치가 직접 나사, 못 등에 의해 들보, 지붕이음 판 등과 같은 기재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누설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결점이 존재한다.
또한, 지붕, 벽 등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최근의 태양광 발전 패널로서는, 예를 들어 상단 결합부 및 하단 결합부를 구비하고, 밀봉재에 의 해 지붕판 기재의 상면에 태양 전지 소자가 고정되며 지붕판 기재의 하면에 단자 박스가 제공되는 수평 지붕이음 지붕판(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10-72910호)이 존재한다.
그러나, 외부 주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에서는 태양 전지에 의해 전환된 전력을 실내 측으로 입출력하기 위해 배선 케이블을 매립하기 위해 각각의 지붕 재료에 적어도 외부 주위 본체 자체를 통해서 구멍부를 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배선용 구멍부로부터의 빗물 유입으로 인해 누설이 발생되며, 따라서 내후 성능이 저하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건물 자체, 외부 주위 본체 등이 주변 환경, 바람 등에 의해 초래되는 흔들림에 의해 진동되기 때문에, 배선용 구멍부에 변형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 내후 성능이 더 저하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고, 지붕, 벽 등과 같은 외부 주위 본체에 태양광 발전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특히 내후 성능 및 건축 성능이 특별히 향상되는 신규한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 몰두한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하기의 사항을 알아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내후 성능 및 설치 성능은,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건물의 기재 상에 고정되는 다수의 긴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 기재 상에 고정되는 부분에 평행한 돌출 부분이 종방향에 걸쳐서 양쪽에 제공되고, 외부 주위 본체 의 양 단부에는 상기 돌출 부분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고정 부분이 제공되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을 따르는 상태에서 상기 돌출 부분 및 고정 부분이 실내 측에서 양쪽 부분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될 수 있고 태양광 발전 패널이 실외 측에서 양쪽 부분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퍼 개스킷이 제공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이며,
건물의 기재에 고정되는 부분에 평행한 돌출 부분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서 양쪽에 제공되며,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기재 상에 고정되는 다수의 긴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며, 양 단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까지 상승되도록 제공되는 외부 주위 본체,
그 폭이 인접하는 상기 고정 부재의 중심간 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 및
긴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대략 중심부에는 지퍼 조립(fitting) 홈이 형성되고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양쪽 부분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이 삽입되는 패널 홈이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내 측의 양쪽 부분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 및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 및 고정하는 핀치 및 고정 부분이 형성되는 개스킷 본체, 및 상기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워지는 긴 지퍼 본체로 구성되는 지퍼 개스킷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 및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상기 개스킷 본체의 핀치 및 고정 부분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퍼 본체를 상기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움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서 패널 홈에 삽입된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 각각이 핀치 및 고정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하기의 사항도 밝혀졌다. 다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이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에 걸쳐서 유지되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 발전 패널이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로의 연결을 위한 단자가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로 구성되면, 태양광 발전 패널 사이의 배선을 단순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외 측을 따라서 연장되면, 외부 주위 본체의 부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의 사항도 밝혀졌다. 고정 부재가 실외 측이 종방향에 걸쳐서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 및 고정 부재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고 돌출 부분은 전혀 구비되지 않는 성형 스틸과 종방향에 걸쳐서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 및 양쪽에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돌출 부분 형성 부재로 구성되는 태양에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는 성형 스틸로 구성되 는 태양과 같은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고정 부재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는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에서, 성형 스틸은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립(lip)의 각각이 실외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모자 형상 스틸로 형성되거나, 성형 스틸은 개구부의 폭이 건물의 기재에 고정되는 부분의 폭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현장, 재료 등의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들 중에서 바람직한 태양을 대략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응용 범위가 넓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의 사항도 밝혀졌다.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가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 배치되면, 내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을 갖는 캡 부재가 고정 부재의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배열되면, 고정 부재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을 갖는 캡 부재가 고정 부재의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배열되는 태양에서, 캡 부재가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로 구성되면, 내후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의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후술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건물의 지붕이음 판, 기재, 중간 기둥 등과 같은 기재(S) 상에 고정되는 부분(1a), 및 상기 부분(1a)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돌출 부분(1b)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서 양쪽에 제공되는 긴 고정 부재를 지칭한다. 상기 기재(S) 상에는 다수의 긴 고정 부재(1)가 그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긴 고정 부재(1)는 후술되는 외부 주위 본체(2) 및 지퍼 개스킷(4)을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고정 부재(1)에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하듯이,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되는 부분(1a)에 대해 평행한 돌출 부분(1b)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서 양쪽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돌출 부분(1b)은, 돌출 부분(1b)과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고정 부분(2a)이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에 의해 핀칭 및 고정함으로써 외부 주위 본체(2)를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하며, 지퍼 개스킷(4)에 의해 핀칭 및 고정되는 후술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을 지지한다. 고정 부재(1)에 돌출 부분(1b)이 존재하기 때문에, 내후 성능이 특별히 향상되는 상태에서 외부 주위 본체(2)를 지퍼 개스킷(4)에 의해 고정 부재(1)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지퍼 개스킷(4)이 외부 주위 본체(2) 및 태양광 발전 패널(3)의 고정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고정 부재(1)는 건물의 기재(S)에 고정되는 부분(1a)에 평행한 돌출 부분(1b)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서 양쪽에 각각 제공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기재(S) 상에는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 부재가 고정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가 도3에 도시하듯이 실외 측이 종방향에 걸쳐서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 및 고정 부재가 도4에 도시하듯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고 돌출 부분(1b)은 전혀 구비되지 않는 성형 스틸(1c), 및 종방향에 걸쳐서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 및 양쪽에 돌출 부분(1b)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로 구성되는 태양에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1)가 도1, 도2 및 도5에 도시하듯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과 같은 다양한 태양이 존재한다. 고정 부재(1)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에서, 성형 스틸(1c)은 도1 및 도2에 도시하듯이 돌출 부분(1b)을 형성하는 립의 각각이 실외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모자 형상 스틸로 형성되거나, 성형 스틸(1c)은 도5에 도시하듯이 개구부(1d)의 폭이 건물의 기재(S)에 고정되는 부분(1a)의 폭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태양은 현장, 재료 등의 조건에 대응하여 전술한 다양한 태양 중에서 대략 선택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예를 들어, 고정 부재(1)가 도3에 도시하듯이 실외 측이 종방향에 걸쳐서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에 따르면, 고정 부재(1)의 실외 측에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부재가 도4에 도시하듯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고 돌출 부분(1b)은 구비되지 않는 성형 스틸(1c), 및 종방향에 걸쳐서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과 양쪽에 돌출 부분(1b)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로 구성되는 태양에 따라서, 후술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 및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고정 부분(4ac)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이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가 준비되면,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외부 주위 본체(2) 및 지퍼 개스킷(4)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부재(1)가 도1, 도2 및 도5에 도시하듯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에 따르면, 건물의 기재(S)에 고정될 부분(1a)이 개구부(1d)로부터 나사, 못 등과 같은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기재(S)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특성이 향상되고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태양에 따른 고정 부재(1)에서는, 도3에 도시하듯이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1f)가 고정 부재(1)의 실외 측에 배치되면, 내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부재(1)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에서는, 양쪽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1g)을 갖는 캡 부재(1f)가 고정 부재(1)의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배열되면, 고정 부재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성형 스 틸(1c)의 개구부(1d)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1g)을 갖는 캡 부재(1f)가 고정 부재(1)의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배열되는 태양에서, 캡 부재(1f)가 도1 및 도2에 도시하듯이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로 구성되면, 내후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종방향 길이가 핀치 및 고정되는 고정 부재(1)의 종방향 길이보다 짧고, 고정 부재(1)에 있어서 개스킷 본체(4a)가 핀치 및 고정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전술한 캡 부재(1f)가 제공되면, 내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2는,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기재(S) 상에 배치되고, 양 단부에는 고정 부재(1) 측으로 상승되고 상기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2a)이 제공되는 외부 주위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외부 주위 본체(2)는 지붕, 외벽 등과 같은 건물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후술하는 지퍼 개스킷(4)에 의해 고정 부재(1)에 핀치 및 고정된다. 외부 주위 본체(2)의 실외 측과, 지퍼 개스킷(4)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되는 후술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실내 측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패널(3, 3)을 실외 측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연결하기 위한 배선을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건물의 외측에 공기 가열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열절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주위 본체(2)는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2a)이 고정 부재(1)측까지 상승되도록 적어도 그 양 단부에 제 공되는 한 어느 것이든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주위 본체(2)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하듯이 양 단부에서 고정 부재(1)측까지 상승되는 부분 사이에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절첩된 판 형상(도시되지 않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도3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외측을 따라서 연장되면, 외부 주위 본체(2)의 부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할 뿐 아니라, 내후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3은 인접하는 고정 부재(1)의 중심간 거리보다 그 폭이 짧게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을 지칭한다. 태양광 발전 패널(3)은 태양 에너지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작용을 한다.
태양광 발전 패널(3)은 태양 에너지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구조로 구성되며,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 및 고정하는 후술하는 지퍼 개스킷(4)에 의해 고정 부재(1, 1) 사이에 핀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그 폭이 인접하는 고정 부재(1)의 중심간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부 주위 본체(2)의 종방향에 걸쳐서 다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3)이 유지되는 경우에, 도6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 패널(3)이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3)로의 연결을 위한 단자(3a)가 외부 주위 본체(2)의 종방향으로 구비된 태양광 발전 패널로 구성되면, 태양광 발전 패널(3, 3) 사이의 배선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패널(3)은 태양 전지에서 전환된 전력을 입출력하기 위한 배선 케이블이 그 뒷면 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선은 설치 시에 뒷면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배선 케이블을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배선 케이블 등에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패널(3)의 배선 케이블의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실내측과 외부 주위 본체(2)의 실외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의 방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커버를 제작하거나 배선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치 성능이 대단히 나쁘다. 반대로, 전술한 단자(3a)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패널(3)에서는,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하듯이 외부 주위 본체(2)의 종방향으로 볼록 단자(3a)가 돌출하고 반대쪽에는 상기 볼록 단자(3a)와 결합하는 오목 단자(3a)가 제공되기 때문에, 설치 시에 태양광 발전 패널(3)의 단자(3a)를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단자(3a)에 결합되도록 끼우는 것만으로 태양광 발전 패널(3, 3) 사이의 배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4는 지퍼 개스킷을 지칭한다. 지퍼 개스킷(4)은, 긴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대략 중심부에는 지퍼 조립 홈(4aa)이 형성되고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양쪽 부분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이 삽입되는 패널 홈(4ab)이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내 측의 양쪽 부분에는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 및 고정하는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이 형성되는 개스킷 본체(4a), 및 상기 개스킷 본 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끼워지는 긴 지퍼 본체(4b)로 구성되며,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개스킷 본체(4a)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된 상태에서 지퍼 본체(4b)를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끼움으로써 고정 부재(1)의 실외 측에서 상기 패널 홈(4ab)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 각각이 핀치 및 고정된다. 상기 지퍼 개스킷(4)은 내후 성능이 양호한 상태, 즉 고정 부재(1) 또는 외부 주위 본체(2)를 관통하는 구멍이 그 실외 측에 존재하지 않고, 나사, 못 등이 노출되지 않으며, 외부 주위 본체(2)의 단부가 고정 부재(1)에 타이트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 주위 본체(2)를 고정 부재(1)에 핀치 및 고정시키고, 태양광 발전 패널(3)을 고정 부재(1, 1) 사이에 핀치 및 고정시켜 고정 부재(1) 및 외부 주위 본체(2)와 태양광 발전 패널(3) 사이를 절연시키는 작용을 하며, 따라서 상이한 금속들 간의 퍼텐셜 차이로 인한 부식 발생이 방지된다.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에 있어서, 도7에 도시하듯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대략 중심부에는 지퍼 조립 홈(4aa)이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측의 양쪽 부분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이 삽입되는 패널 홈(4ab)이 형성된다.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지퍼 본체(4b)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배치되는 실외 측 부분은 지퍼 조립 홈(4aa)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을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에 삽입할 때, 각 패널 홈(4ab, 4ab)의 폭을 확대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패널(3) 의 측방 에지 부분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이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퍼 본체(4b)가 특수 도구 등을 사용하여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끼워지면, 폭이 확장되는 동안 지퍼 조립 홈(4aa)의 양쪽에 있는 부분을 통해서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강한 가압력이 지퍼 조립 홈(4aa)에 인가된다. 따라서,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이 강하게 핀치된다.
또한, 지퍼 개스킷(4)은, 지퍼 본체(4b)를 접착제, 고정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간단히 끼움으로써 개스킷 본체(4a)의 패널 홈(4ab, 4ab)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 각각을 강하게 핀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패널(3) 등을 유지, 검사, 교체할 때 태양광 발전 패널(3)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끼워진 지퍼 본체(4b)를 특수 도구 등을 사용하여 지퍼 조립 홈(4aa)으로부터 꺼내는 것만으로 태양광 발전 패널(3)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 및 지퍼 본체(4b)로서는, 도1 내지 도5 및 도7에 도시하듯이 적어도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이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을 각각 삽입할 수 있고, 지퍼 본체(4b)를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끼울 때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을 강하게 핀치할 수 있는 한, 어떤 형상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에는 도7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그 종방향에 걸쳐서 실내 측의 양쪽 부분에서 핀치 및 고정하는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이 형성되고, 상기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 및 고정하고 고정 부재(1)와 외부 주위 본체(2) 사이의 부분을 빗물 등이 고정 부재(1)의 실내 측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실내 측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으로서는, 이 핀치 및 고정 부분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종방향에 걸쳐서 실내 측의 양쪽 부분에서 핀치 및 고정하는 한 어떤 형상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은 도1 내지 도5 및 도7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상기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둘러싸도록 개스킷 본체(4a)의 중심선 측을 향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이 양쪽 에지 측부에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핀치 및 고정 부분(4ac)에 의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 및 고정할 때,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은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 표면측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에서 핀치 및 고정 부 분(4ac)의 하나의 홈에 핀치되며,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 표면측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에서의 다른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은 이후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의 다른 홈을 그 폭이 확장되도록 즉,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의 하단측이 개스킷 본체(4a)의 중심선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패들, 특수 도구 등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핀치된다.
전술했듯이, 개스킷 본체(4a)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에 의해 빗물이 고정 부재(1)의 실내 측과 외부 주위 본체(2)의 실내 측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 패널(3)을 개스킷 본체(4a) 및 지퍼 본체(4b)에 의해 단단히 핀치 및 고정하고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에 핀치 및 고정하도록 지퍼 개스킷(4)이 구성되기 때문에, 상이한 금속 간의 퍼텐셜 차이로 인한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부재(1) 및 외부 주위 본체(2)와 태양광 발전 패널(3)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으며, 설치를 쉽게 할 수 있다. 지퍼 개스킷(4)의 재료는 적어도 개스킷 본체(4a)가 긴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개스킷 본체(4a) 및 지퍼 본체(4b)의 재료로서는 스티렌, 올레핀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디엔, 유기 실리콘 화합물 등과 같은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먼저, 다수의 긴 고정 부재(1)를 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서는 건물의 기재(S)에 고정되는 부분(1a)에 평행한 돌출 부분(1b)이 각각,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양쪽에서, 기재(S) 상에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상기 작업은 다수의 고정 부재(1)를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방법에 따라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기재(S) 상에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예를 들면, 고정 부재(1)가 도3에 도시하듯이 실외 측이 종방향에 걸쳐서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되는 부분(1a)이 나사, 못 등에 의해 기재(S)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고정 부재(1)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고 돌출 부분(1b)은 구비되지 않는 성형 스틸(1c)과, 종방향에 걸쳐서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 및 양쪽에 돌출 부분(1b)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되는 부분(1a)이 먼저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로부터 나사, 못 등에 의해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되고, 이후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의 성형 스틸(1c)이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도4에서 돌출 부분 형성 부재(1e)의 하측에 형성된 테이퍼진 부분)이 삽입된다.
또한, 도1, 도2 및 도5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기재(S) 상에 고정되는 부분(1a)이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로부터 나사, 못 등과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고정 부재(1)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는 태양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 서 연장되는 부분을 양쪽에 가지며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1g)을 갖는 캡 부재(1f)가 도5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배치되면, 건물의 기재(S) 상에 성형 스틸(1c)을 고정한 후 캡 부재(1f)의 조립 부분(1g)이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끼워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음으로,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2a)이 구비된 외부 주위 본체(2)를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기재(S) 상의 양 단부에서 고정 부재(1)측까지 상승되도록 배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은 외부 주위 본체(2)의 각 고정 부분(2a)이 도1 내지 도6에 도시하듯이 각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외부 주위 본체(2)를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기재(S) 상에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도3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외 측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부 주위 본체(2)를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기재(S) 상에 배치하기 위해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이 때,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1f)가 도3에 도시하듯이 고정 부재(1)의 실외 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은, 외부 주위 본체(2)를 외부 주 위 본체(2)의 각 고정 부분(2a)이 각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기재(S) 상에 배치하고, 고정 부재(1)의 실외 측에 캡 부재(1f)를 장착한 후, 캡 부재(1f)의 양쪽 에지 부분을 코킹(caulking)하거나 로크 시임(lock seaming)함으로써 핀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1d)를 갖는 성형 스틸(1c)로 구성되고,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양쪽에 갖고 상기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1g)을 갖는 캡 부재(1f)가 상기 고정 부재(1)의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배치되며, 캡 부재(1f)가 도2에 도시하듯이 양쪽 에지 부분에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외부 주위 본체(2)를 외부 주위 본체(2)의 각 고정 부분(2a)이 각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고정 부재(1, 1) 사이에서 기재(S) 상에 배치하고, 캡 부재(1f)의 조립 부분(1g)을 성형 스틸(1c)의 개구부(1d)에 끼운 후, 캡 부재(1f)의 양쪽 에지 부분을 코킹하거나 로크 시임함으로써,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양쪽 에지에서 핀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상기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에 의해 핀치 및 고정함으로써 외부 주위 본체(2)를 고정 부재(1) 사이에서 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특히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1 내지 도5 및 도7 에 도시하듯이 개스킷 본체(4a)의 중심선 측을 향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홈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 및 상기 돌출 부분(1b)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둘러싸도록 양쪽 에지 측부에 형성되는 형상으로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작업은,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 표면측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과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을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의 하나의 홈에 핀치시킨 후,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의 다른 홈을 그 폭이 확장되도록 즉, 핀치 및 고정 부분(4ac)의 하단측이 개스킷 본체(4a)의 중심선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패들, 특수 도구 등에 의해 변형시켜서 다른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을 외부 주위 본체(2)의 고정 부분(2a)이 고정 부재(1)의 돌출 부분(1b)의 실내 표면측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에서 핀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지퍼 본체(4b)가 미리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지퍼 조립 홈(4aa)에 끼워진 지퍼 본체(4b)를 지퍼 조립 홈(4aa)으로부터 꺼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특수 도구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설치 부분의 홈(4ab)이나 개스킷 본체(4a) 내의 패널 홈(4ab)은 아무것도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지퍼 본체(4b)를 일반적으로 손으로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작업은 예비 단계에서 미리 수행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각 태양광 발전 패널(3, 3)의 측방 에지 부분을 후술하는 각 패널 홈(4ab)에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 하기 전에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태양광 발전 패널(3, 3)의 측방 에지 부분을 각각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에 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태양광 발전 패널(3)을 하나씩 지퍼 개스킷(4)의 각 패널 홈(4ab)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예를 들어, 먼저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을 하나의 패널 홈(4ab)에 삽입할 때는, 태양광 발전 패널(3)의 하나의 측방 에지 부분을 하나의 패널 홈(4ab)에 끼우고 이후 태양광 발전 패널(3)의 다른 측방 에지 부분을 확장된 패널 홈(4ab)에 삽입하여 하나의 패널 홈(4ab)과 대면하는 지퍼 개스킷(4)의 패널 홈(4ab)을 확장시켜 개구부(1d)를 확장시키는 작업이 지퍼 개스킷(4)의 각각에 대해 이루어진다.
이 때,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지퍼 본체(4b)가 끼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의 양쪽 부분은 각각, 지퍼 조립 홈(4aa)의 폭을 좁아지는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개스킷 본체(4a)의 패널 홈(4ab)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패널(3)이 예를 들어 예산이나 주변 태양광 조사 조건으로 인해 지퍼 개스킷(4)에 핀치 및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3) 대신에 장식 적층 시트를 개스킷 본체(4a0의 패널 홈(4ab)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 적층 시트가 도1에 도시하듯이 설치 시에 그 실외측 표면이 (도1에서 우측의 지퍼 개스킷(4)의 우측에 핀치 및 고정되는) 태양 광 발전 패널(3)의 실외측 표면과 동일 평면에 놓이는 장식 적층 시트를 채용하면, 설치 이후의 디자인 특성이 향상되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각 태양광 발전 패널(3, 3)의 측방 에지 부분이 지퍼 개스킷(4)의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지퍼 본체(4b)를 끼우고, 그로 인해 각 패널 홈(4ab)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측방 에지 부분을 강하게 핀치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패널(3)을 고정 부재(1, 1) 사이에 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특히, 각 태양광 발전 패널(3, 3)의 측방 에지 부분이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에 삽입된 상태에서 특수 도구 등을 사용하여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지퍼 본체(4b)를 끼움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태양광 발전 패널(3, 3)의 측방 에지 부분이 각각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스킷 본체(4a)의 지퍼 조립 홈(4aa)에 지퍼 본체(4b)가 끼워지면, 지퍼 조립 홈(4aa)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 지퍼 조립 홈(4aa)의 양쪽에 있는 부분을 통해서 개스킷 본체(4a)의 각 패널 홈(4ab, 4ab)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강한 가압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각 패널 홈(4ab, 4ab)에 삽입된 각 태양광 발전 패널(3, 3)의 측방 에지 부분이 각각 강하게 핀치 및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를 설치한 후에, 태양광 발전 패널(3)의 실내측과 외부 주위 본체(2)의 실외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사용하여 태양광 발전 패널(3, 3) 사이의 배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는,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건물의 기재 상에 고정되는 다수의 긴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 기재 상에 고정되는 부분에 평행한 돌출 부분이 종방향에 걸쳐서 양쪽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주위 본체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서 기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주위 본체에는 고정 부재측 까지 상승되고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이 제공되며, 외부 주위 본체를 고정 부재 사이에서 고정하고 태양광 발전 패널을 고정 부재 사이에 고정하는 지퍼 개스킷은, 긴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대략 중심부에는 지퍼 조립 홈이 형성되고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양쪽 부분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이 삽입되는 패널 홈이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내 측의 양쪽 부분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 및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 및 고정하는 핀치 및 고정 부분이 형성되는 개스킷 본체, 및 상기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워지는 긴 지퍼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 및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상기 개스킷 본체의 핀치 및 고정 부분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퍼 본체를 상기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움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서 패널 홈에 삽입된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 각각이 핀치 및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주위 본체는 개스킷 본체의 핀치 및 고정 부분에 의해 건물의 기재 상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들 사이에 핀치 및 고정되며, 태양 광 발전 패널은 지퍼 개스킷에 의해 고정 부재들 사이에 핀치 및 고정된다. 따라서, 기후에 노출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외부 주위 본체가 나사, 못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 주위 본체를 관통하는 구멍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부 주위 본체가 장기간 기후에 노출되더라도, 기후 및 상이한 금속 간의 퍼텐셜 차이로 인해 외부 주위 본체 자체에 부식이 발생될 위험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주변 환경, 바람 등에 의해 초래되는 흔들림에 의해 건물 자체, 외부 주위 본체 등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외부 주위 본체 자체에 변형이 발생할 위험이 전혀 없다.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 및 내후성을 얻을 수 있고, 외부 주위 본체 등의 제품 수명 사이클을 연장할 수 있으며, 특히 내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를 설치할 때는,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과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개스킷 본체의 핀치 및 고정 부분에 의해 핀치 및 고정시킨 후,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의 각각을 개스킷 본체의 패널 홈에 삽입하고, 이어서 지퍼 본체를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우는 것만으로, 외부 주위 본체가 건물의 기재 상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고 태양광 발전 패널이 외부 주위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성능을 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패널의 실외 측과 외부 주위 본체의 실내 측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 내에서 고정 부재 사이에 핀치 및 고정되는 각각의 태양광 발전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성능을 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패널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실외 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의 디자인 특성이 높다. 또한, 배선 자체가 직접 태양 광선, 바람 등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의 존재에 기초하여 실외 측과 외부 주위 본체 사이에 공기 열절연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물의 열 절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에 걸쳐서 다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이 유지되면, 발전 효율이 증가될 수 있어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할 뿐 아니라,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에 걸쳐서 태양광 발전 패널의 실내 측과 외부 주위 본체의 실외 측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 열절연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열 절연 효과가 더 높아지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 발전 패널이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패널로 구성되면, 태양광 발전 패널 사이의 배선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외 측을 따라서 연장되면, 외부 주위 본체의 부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할 뿐 아니라, 내후 성능이 향상되어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부재가 실외 측이 종방향에 걸쳐서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 및 고정 부재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고 돌출 부분은 전혀 구비되지 않는 성형 스틸과 종방향에 걸쳐서 성형 스틸의 개 구부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 및 양쪽에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돌출 부분 형성 부재로 구성되는 태양에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는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과 같은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고정 부재가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는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에서, 성형 스틸은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립의 각각이 실외 측에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모자 형상 스틸로 형성되거나, 성형 스틸은 개구부의 폭이 건물의 기재에 고정되는 부분의 폭보다 짧도록 형성된 성형 스틸로 구성된다. 따라서, 현장, 재료 등의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들 중에서 바람직한 태양을 대략 선택할 수 있다.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가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 배치되면, 내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을 갖는 캡 부재가 고정 부재의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배열되면, 고정 부재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을 갖는 캡 부재가 고정 부재의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배열되는 태양에서, 캡 부재가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로 구성되면, 내후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개스킷 본체의 종방향으로의 지퍼 개스킷의 길이가 핀치 및 고정된 고정 부재의 종방 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고, 개스킷 본체가 핀치 및 고정되지 않는 부분이 고정 부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캡 부재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의 내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상기 구조가 바람직하다.

Claims (12)

  1.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이며,
    건물의 기재에 고정되는 부분에 평행한 돌출 부분이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서 양쪽에 제공되며, 종방향이 물 경사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물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기재 상에 고정되는 다수의 긴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며, 양 단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내측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까지 상승되도록 제공되는 외부 주위 본체,
    그 폭이 인접하는 상기 고정 부재의 중심간 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 및
    긴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대략 중심부에는 지퍼 조립 홈이 형성되고,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의 양쪽 부분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이 삽입되는 패널 홈이 형성되며, 종방향에 걸쳐서 실내 측의 양쪽 부분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 및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 및 고정하는 핀치 및 고정 부분이 형성되는 개스킷 본체, 및 상기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워지는 긴 지퍼 본체로 구성되는 지퍼 개스킷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 및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이 상기 개스킷 본체의 핀치 및 고정 부분에 의해 핀치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퍼 본체를 상기 개스킷 본체의 지퍼 조립 홈에 끼움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서 패널 홈에 삽입된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의 측방 에지 부분 각각이 핀치 및 고정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에 걸쳐서 다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이 유지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은,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 패널에 대한 연결을 위한 단자가 외부 주위 본체의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태양광 발전 패널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은 고정 부재의 돌출 부분의 실외 측을 따라서 연장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실외 측이 종방향에 걸쳐서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고 돌출 부분은 전혀 구비되지 않는 성형 스틸, 및 종방향에 걸쳐서 상기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삽입 로크되는 부분과 양쪽에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돌 출 부분 형성 부재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종방향에 걸쳐서 실외 측에 개구부를 갖는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스틸은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립의 각각이 실외 측에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모자형 스틸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스틸은, 개구부의 폭이 건물의 기재 상에 고정되는 부분의 폭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성형 스틸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실외 측에는, 양쪽 에지 부분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핀치시키는 캡 부재가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는, 양쪽에서 돌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성형 스틸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조립 부분을 갖는 캡 부재가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외부 주위 본체의 고정 부분을 양쪽 에지 부분에 의해 돌출 부분을 따라서 핀치시키는 캡 부재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외부 주위 구조.
KR1020060092027A 2005-10-17 2006-09-22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 KR20070042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1762 2005-10-17
JP2005301762A JP2007107345A (ja) 2005-10-17 2005-10-17 太陽光発電外囲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070A true KR20070042070A (ko) 2007-04-20

Family

ID=3770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027A KR20070042070A (ko) 2005-10-17 2006-09-22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84504A1 (ko)
EP (1) EP1775777A3 (ko)
JP (1) JP2007107345A (ko)
KR (1) KR20070042070A (ko)
CN (1) CN1952320B (ko)
CA (1) CA2562464A1 (ko)
TW (1) TW200716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068A (ko) * 2011-04-15 2014-03-26 시엘 에 떼흐 엥떼흐나시오날 패널 지지장치
US10316879B2 (en) 2011-02-22 2019-06-11 Lg Electronics Inc. Frame system for solar cell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8724B1 (ja) * 2007-02-23 2008-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構造物設置架台
DE102008009608A1 (de) * 2008-02-18 2009-10-15 Niemetz Metall Gmbh Einrichtung mit einem Flächenelement und einer Klemmeinrichtung
EP2099077A1 (en) * 2008-03-06 2009-09-09 Inventux Technologies AG Module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electricity
JP5153406B2 (ja) * 2008-03-28 2013-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装置
DE102008027857A1 (de) * 2008-06-11 2009-03-05 Leichtmetallbau Schletter Gmbh Montagesystem für PV-Module
JP5205250B2 (ja) * 2008-12-12 2013-06-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5205249B2 (ja) * 2008-12-12 2013-06-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PT104408A (pt) * 2009-02-06 2010-08-06 Modeling Project Sarl Sistema universal de estanqueidade para painéis fotovoltaicos
ITBO20090271A1 (it) * 2009-05-05 2010-11-06 Elettropiemme S R L Telaio di supporto per pannelli solari
DE202009007526U1 (de) * 2009-05-27 2009-08-20 Schletter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Montageschiene an einem Gewindeschaft
WO2011007201A1 (en) 2009-07-16 2011-01-20 Iscom S.P.A. Mounting section for solar panels
FR2951757B1 (fr) * 2009-10-27 2011-12-30 B A C Acier Dispositif de maintien d'un panneau solaire sur une couverture d'un batiment
DE102009054242A1 (de) * 2009-11-21 2011-05-26 Juwi R & D Research Developmen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mindestens eines Solarmoduls
PL218004B1 (pl) * 2010-03-15 2014-09-30 Fakro Pp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Nakładka zasłaniająca
DE102010021713A1 (de) * 2010-05-27 2011-12-01 Schletter Gmbh Befestigung einer Tragschiene für ein PV-Modul auf einem Trapezblech
DE102010023212A1 (de) * 2010-06-09 2011-12-15 Schletter Gmbh Tragprofil einer Reihe von PV-Modulen
US8418983B2 (en) * 2010-07-29 2013-04-16 First Solar, Inc. Slider clip and photovoltaic structure mounting system
US20120025042A1 (en) * 2010-07-29 2012-02-02 John Bellacicco Apparatus facilitating mounting of solar panels to a rail assembly
US20120023726A1 (en) * 2010-07-29 2012-02-02 John Bellacicco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implified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solar panels
AT511006B1 (de) * 2010-11-19 2012-11-15 Nocker Thomas Montagesystem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solarmodulrahmen auf darunterliegende primärschienen
WO2012075149A2 (en) * 2010-12-01 2012-06-07 First Solar,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implified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solar panels
FR2969743B1 (fr) * 2010-12-23 2013-08-30 Kogys Element d'assemblage compensateur de dilatation pour ossature metallique support de panneaux solaires
US9160273B2 (en) * 2011-07-08 2015-10-13 Unirac, Inc. Universal end clamp
CN102339870B (zh) * 2011-09-14 2013-03-20 东莞市中海光电材料有限公司 弹性夹具及具有该弹性夹具的太阳能电池板安装组件
DE102011053774A1 (de) * 2011-09-20 2013-03-21 Rehau Ag + Co Klemmelement für ein Befestigungssystem für plattenförmige Elemente, Befestigungssystem, das ein derartiges Klemmelement umfasst, sowie dessen Verwendung
FR2985001B1 (fr) * 2011-12-21 2014-02-28 Vincent Ind Element et methode de fixation d'au moins un panneau photovoltaique sur un rail et installation et ensemble comprenant au moins un tel element
CN103208541B (zh) * 2012-01-12 2015-09-09 中电电气(上海)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安装太阳能光伏组件及支架的系统
JP5963463B2 (ja) * 2012-02-02 2016-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用桟、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8640402B1 (en) * 2012-03-08 2014-02-04 Henry H. Bilge Building roof fascia, coping and/or solar panel connector arrangement
US20130240008A1 (en) * 2012-03-16 2013-09-19 Christopher Baker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photovoltaic modules
DE102012209272A1 (de) * 2012-06-01 2013-12-05 Hilti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olarpaneele
US20140069878A1 (en) * 2012-09-10 2014-03-13 Primestar Solar, Inc. Racking system for supporting photovoltaic module mounting and methods of its use
JP6118099B2 (ja) * 2012-12-17 2017-04-19 株式会社タケチ パネルの固定装置および設置方法
JP6358693B2 (ja) * 2014-02-16 2018-07-18 株式会社 丸光 太陽光パネル取付金具
JP6448665B2 (ja) * 2014-12-26 2019-01-09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アレイ
CN105262416B (zh) * 2015-09-25 2017-09-01 湖南红太阳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梯形瓦屋面安装的固定装置
CN207392624U (zh) * 2017-09-30 2018-05-22 杭州桑尼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建筑一体化屋顶发电系统的横向水槽
US11402058B2 (en) 2019-05-14 2022-08-02 Field Energy Ops, Inc. Boltless module support structures and boltless module attachment method
KR102081387B1 (ko) * 2019-08-28 2020-05-29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모듈 설치용 고정장치
CN111928497B (zh) * 2020-08-04 2021-10-15 江苏紫泉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一种光伏太阳能系统
JP7360227B1 (ja) 2023-02-14 2023-10-12 株式会社 Fd ソーラパネルの取付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1881A (en) * 1960-12-09 1965-12-01 Williams & Williams Ltd Structural assemblies for windows, walls and the like
US3744113A (en) * 1971-03-22 1973-07-10 Standard Products Co Lock strip inserting tool
US4835927A (en) * 1987-02-19 1989-06-06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Prefabricated glazing gasket
JP3321630B2 (ja) * 1994-01-26 2002-09-03 株式会社藤田兼三工業 屋 根
DE19502215A1 (de) * 1995-01-25 1996-08-01 Zsw Dachintegriertes Photovoltaik-Modulsystem
JPH10231600A (ja) * 1997-02-18 1998-09-02 Daiwa House Ind Co Ltd 建築物への太陽電池取付構造
JP3589829B2 (ja) * 1997-04-14 2004-11-17 タケチ工業ゴム株式会社 建築用ジッパーガスケットの取付構造
JP3007073B2 (ja) * 1998-05-29 2000-02-07 株式会社淀川製鋼所 屋根板におけ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JP2000204854A (ja) * 1999-01-11 2000-07-25 Fuso Rubber Kogyo Kk ジッパ―ガスケット
JP2000230300A (ja) * 1999-02-12 2000-08-22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窓材用ジッパーガスケット
JP2001254494A (ja) * 2000-03-10 2001-09-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方法
JP2002332720A (ja) * 2001-05-09 2002-11-22 Nkk Steel Sheet & Strip Corp 箱型はぜ葺き屋根、太陽電池モジュール板を組み込んだ箱型はぜ葺き屋根、太陽電池モジュール板の取りつけ、取り外し方法および屋根の施工方法
US6617507B2 (en) * 2001-11-16 2003-09-09 First Solar, Llc Photovoltaic array
DE10237926A1 (de) * 2002-08-14 2004-02-26 Stefan Nau Gmbh Im Aussenbereich angebrachter Gegenstand
JP4110403B2 (ja) * 2003-06-24 2008-07-02 国際技術開発株式会社 真空平板式太陽熱収集装置
DE20318118U1 (de) * 2003-11-21 2004-03-11 Leber, Hermann Photovoltaikdach
ITTO20031035A1 (it) * 2003-12-23 2005-06-24 Isolpack S P A Pannello isolante per edilizi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6879B2 (en) 2011-02-22 2019-06-11 Lg Electronics Inc. Frame system for solar cell module
KR20140037068A (ko) * 2011-04-15 2014-03-26 시엘 에 떼흐 엥떼흐나시오날 패널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2320B (zh) 2010-06-23
JP2007107345A (ja) 2007-04-26
EP1775777A2 (en) 2007-04-18
TW200716835A (en) 2007-05-01
CA2562464A1 (en) 2007-04-17
EP1775777A3 (en) 2010-11-03
CN1952320A (zh) 2007-04-25
US20070084504A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2070A (ko) 태양광 발전의 외부 주위 구조
JP429075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フレーム及び固定部材
JP468487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枠体
EP1184526B1 (en) Roof tile for solar cell module
JP2007315170A (ja) 太陽電池屋根用タイル
WO2010125699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フレーム及び固定部材
AU2011273423B2 (en) Installation for collecting solar energy
KR101498554B1 (ko) 조립식 지붕에 적용되는 태양광 패널 설치용 체결구
JP2003056131A (ja) 太陽エネルギー利用機器及び太陽エネルギー利用アレイ
KR102083860B1 (ko) 조립식 지붕의 태양광 모듈 고정 장치
JP2000226908A (ja) 太陽電池付き屋根瓦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3224A (ja) 太陽光発電用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5403510B2 (ja) 外設構築物の設置構造
JP5179935B2 (ja) 建材一体型太陽光発電ユニット
JP2006307567A (ja) 太陽光発電外囲構造
JP2011026859A (ja) 持出部材の設置構造、その設置施工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設部材の取付構造、改修構造
JP4844483B2 (ja) 屋根設置用設備の固定金具の取付構造
JP5766520B2 (ja) 直付け式太陽電池パネルおよびその太陽電池パネルの取り付け施工方法
JP200914739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部材
JP379857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屋根
JP2000008568A (ja) 太陽電池付屋根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2371678A (ja) 太陽電池付き瓦屋根
JP6037272B2 (ja) 機能パネルの固定構造
JP7150559B2 (ja) 屋根構造
KR20040033594A (ko) 스틸하우스용 태양열집열판의 접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