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002A -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002A
KR20070039002A KR1020070025596A KR20070025596A KR20070039002A KR 20070039002 A KR20070039002 A KR 20070039002A KR 1020070025596 A KR1020070025596 A KR 1020070025596A KR 20070025596 A KR20070025596 A KR 20070025596A KR 20070039002 A KR20070039002 A KR 2007003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sc
wireless
paramet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855B1 (ko
Inventor
카즈오 모리토모
켄이치 후지이
타쓰히코 사카이
미쓰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2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data link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45Managing the interface to the data source, e.g. choosing an interface for data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apparatus for taking photographic images,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3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symmetric encryption, i.e. same key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한 기기 능력 속성과, 통신 단말이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통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공 속성 정보를 미리 기억해 둔다. 기기 능력 속성이 적어도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능력을 갖는 통신 단말을 제공 기기로서 선택한다. 기기 능력 속성이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능력을 갖는 복수의 통신 단말인 경우, 기기 능력 속성이 통신 파라미터 제공 능력만을 갖는 통신 단말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각 통신 단말의 기기 능력 속성이 동일한 경우,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제공 속성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 기기로서 선택한다.
애드혹, AP, 네트워크, 프린터, DSC

Description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 설정 방법{COMMUM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애드혹 모드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애드혹 모드에서의 네트워크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DSC로부터 데이터 전송 대상 프린터를 검색하는 종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USB접속을 사용하여, DSC와 프린터 쌍방에 무선 통신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DS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실시형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DSC에서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형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린터에서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 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DSC와 프린터에서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DSC에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단 처리(S1004)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에서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정보의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2대의 DSC로 구성된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2대 DSC 및 프린터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도 14)에서 DSC와 프린터 사이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DSC에서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의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데이터 전송을 무선 데이터 전송으로 변환하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스틸카메라(이하, DSC라 함)와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 사이의 통신에도 무선 통신의 사용이 이미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의 채용은, 케이블의 부설을 불필요하게 하고, 각 기기의 설치 장소의 자유도를 증가시키므로, 포터블성을 향상한다.
또, IEEE802.11 규격에서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이에서 통신할 경우, 기지국(액세스 포인트: 이하 AP라 함)을 거쳐서 통신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특정한 AP의 중계없이 무선 단말들이 직접 상대와 통신하는 애드혹(Adhoc) 모드의 2개의 통신 모드가 존재한다.
이하, 특히 종래의 애드혹(각 기기가 중계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하는 모드) 모드에서의 무선 통신 기기의 접속 방법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애드혹 모드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DSC(101∼104)와 프린터(105, 106) 각각은 무선 통신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 무선 통신기능에 있어서는, "비콘(Beacon)"이라고 불리는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주변 무선 단말에 통지하는 신호를, 각 기기에 랜덤하게 돌리는 것으로 동기를 실현하고, 무선 통신수단을 사용해서 DSC끼리 혹은 DSC와 프린터(105 또는 106)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애드혹 모드에서의 네트워크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105)와 DSC(101)에는, 미리 동일한 애드혹의 무선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해서,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프린터(105)의 무선 통신기능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다음에, 프린터(105)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애드혹의 무선 파라미터에 근거해서 구성되어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검색한다(S201). 그 검색 방법은, "Beacon" 신호를 검색하는 방법, "Probe Request"라고 하는 제어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 "Probe Response"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는 후자를 채용한다. 프린터(105)는 "Probe Request"를 브로드캐스트하고, "Probe Response"의 응답을 기다린다. 이 예에서는 검색하고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프린터(105)가 어떤 일정 회수의 "Probe Request"를 송신해도, 프린터(105)는 소정의 "Probe Response"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프린터는 스스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Beacon"의 발신을 시작한다(S202).
다음에, DSC(101)의 무선 통신부의 전원이 온 되면, 이 DSC(101)도 프린터(105)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애드혹의 무선 파라미터에 근거해서 구축되어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검색하기 위해서, "Probe Request"를 발신한다(S203). 이때, DSC(101)가 검색하는 네트워크는, 이미 프린터(105)에 의해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DSC(101)는, 프린터(105)로부터 "Probe Response"를 수신한다(S204). 이 "Probe Response"를 수신한 DSC(101)는, 그 프린터(105)가 구축한 네트워크의 동기 정보 등을 취득함으로써, 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S205).
다음에, 도 1에 나타내는 구성 예에 있어서, DSC에 의해 데이터 전송 대상 프린터를 검색하는 종래 방법을 도 3의 흐름도로서 나타낸다. 여기서는, 이미 존 재하는 애드혹의 무선LAN통신시스템 내에 새로운 DSC를 가지고 들어가서, 프린터(예를 들면, 프린터(105))에 접속할 경우의 처리 예가 기재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DSC를 프린터에 접속할 경우, 우선 스텝 S301에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DSC에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302에서, 필요에 따라, 무선 통신에서의 도청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키(encryption key)를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303에서, 무선 통신 모드로서의 애드혹 모드를 설정한다. 스텝 S304에서, 무선 네트워크상의 기기를 검색한다. 그리고, 스텝 S305에서, 무선 네트워크상의 기기 중에서, 프린트하고 싶은 프린터(여기서는 프린터(105))를 선택해서, DSC와 프린터 간의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이렇게 해서, DSC와 프린터(105)를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고, DSC로부터 프린터(105)에 화상 데이터를 직접 송신해서 인쇄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 경우, DSC와 프린터(105) 쌍방에 무선 통신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소정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프린터(105) 또는 DSC에 미리 SSID나 암호키를 제품 출시 전에 등록해 두고, DSC와 프린터(105)를 USB케이블로 접속함으로써, DSC에 SSID나 암호키를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경우의 프린터(105)의 제어 처리를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낸다.
우선, 스텝 S401에서, 프린터(105)와 DSC를 USB케이블로 접속한다. 다음에, 스텝 S402에서, 프린터(105)는, 그 DSC가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요구 커맨드를 송신한다. 스텝 S402 다음, 스텝 S403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DSC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접속되어 있는 DSC가 무선 통신수단을 탑재하지 않은 것을 판단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응답이 있는 경우, 제어는 스텝 S404로 진행하여, 그 응답 내용을 확인하고, DSC가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DSC가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를 종료한다. 하지만, 스텝 S404에서 DSC가 무선 통신수단을 갖는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는 스텝 S405로 진행하고, 프린터(105)의 무선 통신 설정 정보를 DSC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프린터(105)와 DSC 사이에서 공통으로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고, 그 설정 정보에 따라서 프린터(105)와 DSC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그 밖에, 애드혹 모드의 통신수단을 위해서, 마스터국과 슬레이브국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이하와 같은 기술이 사용된다. 슬레이브국은 슬레이브국의 능력값을 마스터국에 송신하고, 마스터국은 각 슬레이브국의 파라미터에 근거해서 차기 마스터국 후보로서 백업 마스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선택한 백업 마스터의 어드레스,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백업 마스터 정보를 각 슬레이브국에 제공한다. 이 기술에 따라, 마스터국이 없어도, 정상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29042호 참조).
하지만, 상기한 종례의 예에 따르면, 프린터의 제품 출시 전에, 그 프린터에 SSID나 암호키를 등록해 두고, DSC와 프린터를 USB케이블로 접속해서, DSC에 SSID 및 암호키를 설정하는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DSC와 프린터를 잘못 접속하면, 유저의 의도에 반해서, 그 프린터의 설정 정보에 따라서 DSC에 SSID 및 암호키를 설정해버려, 원래 DSC에 기억되어 있 었던 유효한 SSID 및 암호키를 덮어쓰게 된다.
또, DSC의 제품 출시 전에, 그 DSC에 SSID나 암호키를 등록해 두고, DSC와 프린터를 USB케이블로 접속해서, SSID 및 암호키를 프린터에 설정한다. 즉, 프린터에 접속되는 DSC가 변경될 때마다, 프린터의 SSID나 암호키가 변경된다. 더욱이, 이러한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작업은, 유저에 있어서 번거로운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결한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파라미터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의 특징은, 통신에 관한 설정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한 기기 능력 속성과, 단말이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공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대 기기의 기기 능력 속성 및 제공 속성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수단과, 기기 능력 속성에 근거해서 상대 기기가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로서의 능력을 갖는다고 판단할 경우, 제공 속성 정보에 따라서 자체 기기를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기기로 설정하는 제1설정수단과, 기기 능력 속성에 근거해서 상대 기기가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로서의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상대 기기를 제공 기기로서 설정하는 제2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해서,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한 기기 능력 속성과, 단말이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공 속성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기억 공정과, 기기 능력 속성이 적어도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능력을 갖는 통신 단말을 제공 기기로서 선택하는 공정과, 기기 능력 속성이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능력을 갖는 복수의 통신 단말인 경우, 기기 능력 속성이 통신 파라미터 제공 능력만을 갖는 통신 단말을 우선적으로 제공 기기로서 선택하는 공정과, 복수의 통신 단말의 기기 능력 속성이 동일한 경우,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제공 속성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 기기로서 선택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형태의 조합으로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장점이 되는 실시형태를 더 정의한다.
본 발명의 요약은 본 발명의 모든 필수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형태의 하부적인 조합으로도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형태, 목적 및 장점은 동일 부분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한 수반되는 도면과 연관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실시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수단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는 특징점 및 목적은, 촬상장치로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와, 출력장치로서의 프린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 모드로 무선접속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실시형태]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 모드로, 무선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실현한다.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 모드에서 통신을 실현하는 무선 통신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DSC(501)는, 이 무선 통신기능을 사용해서 프린터나 PC 등과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프린터(502)도 유사한 무선 통신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DSC(501)와 프린터(502)의 부근에 다른 무선 통신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상정한다. 여기서, DSC(501)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 혹은 DSC(50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는, 무선으로 프린터(502)에 전송되어 인쇄된다. 이하, DSC(501) 및 프린터(502)에 대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 (이하, 간단히 파라미터라 함)의 설정을, 유저의 복잡한 입력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DS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다. 한편, 이 구성은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이다.
조작부(610)는, 시스템 제어부(611)를 거쳐서 CPU(615)에 접속된다. 유저가 조작부(610)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신호가 CPU(615)에 전달되어, 그 조작 내용이 판별된다. 이 조작부(610)는, DSC(501)의 셔터 스위치나 각종 키를 포함한다. 촬상부(602)는, 셔터가 눌려질 때에 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촬상부(602)의 동작은 촬상 제어부(603)에 의하여 제어된다. 표시부(606)는 액정표시와 LED 표시 또는 음성 출력 기능을 포함하며, 유저에게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출력한다. 표시부(606)는, CPU(6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표시 제어부(607)에 의해 제어된다. 표시부(606)에 표시된 메뉴 등의 정보에 따라서, 유저에 의한 요구 동작의 선택 등과 같은 조작이 조작부(610)와 연동해서 수행된다. 다시 말해, 표시부(606)와 조작부(610)가 DSC(501)의 유저인터페이스(UI)를 구성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604)는,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RF부(605)는, 다른 무선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08)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609)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USB인터페이스(612)는, DSC(501)를 외부기기와 USB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오디오 인터페이스(614)는, 음향 신호를 외부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상기 기능 부분은 CPU(615)에 의해 제어된다. 이 CPU(61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ROM(616) 또는 플래시 메모리(613)에 기억된다. 또, CPU(615)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는, RAM(617) 또는 플래시 메모리(613)에 기록되거나 판독된다. 플래시 메모리(613)는, 비휘발성의 기억영역을 제공하는데, 여기에 무선 통신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한편, 촬상한 화상 데이터는 공지의 압축 처리를 거쳐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08)를 통해서, 메모리 카드(609)에 기록(기억)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502)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다. 한편, 이 프린터의 구성은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이다.
조작부(710)는, 시스템 콘트롤러(711)를 거쳐서 CPU(715)에 접속된다. 유저가 조작부(710)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신호는, CPU(715)에 전달되어, 신호의 조작 내용이 판별된다. 프린트 엔진(702)은,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인쇄시트에 화상을 인쇄한다. 이 프린트 엔진(702)의 동작은, 프린트 제어부(703)에 의해 제어된다. 표시부(706)는, 액정표시, LED표시 혹은 음성 출력 기능 등을 포함하고, 유저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출력한다. 이 표시부(706)는, 표시 제어부(707)에 의해 제어된다. 또, 표시부(706)에 표시된 메뉴 등의 정보에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등의 조작이, 조작부(710)와 협동해서 행해진다. 즉, 표시부(706) 및 조작부(710)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701)의 유저 인터페이스(UI)를 구성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704)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RF부(705)는 기타 무선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708)는, 탈착가능한 메모리 카드(709)를 접속하기 위 한 인터페이스이다. DSC(501)의 메모리 카드(609)를 삽입함으로써, 그 메모리 카드(60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USB인터페이스(712)는, 프린터(502)와 외부기기를 USB를 사용해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병렬 인터페이스(714)는, 외부기기(주로 호스트 컴퓨터)와 프린터(502)를 병렬 통신을 사용해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상기 기능 부분은, CPU(715)에 의해 제어된다. 이 CPU(715)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ROM(716) 또는 플래시 메모리(713)에 기억된다. 또, CPU(715)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는, RAM(717) 혹은 플래시 메모리(713)에 기록되고, 또한 이들로부터 판독이 행해진다. 플래시 메모리(713)는 비휘발성의 기억영역을 제공하는데, 여기에 무선 통신의 설정 정보 등이 기억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C(501)와 프린터(502) 사이에 PC를 개재하지 않은 환경을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PC를 거쳐서 DSC(501)와 프린터(502)에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기서는 상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실시형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DSC(501)에서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린터(502)에서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Network Mode"는,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이 "인프라스트럭처" 또는 "애드혹"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여기서, "애드혹(Adohoc)"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가 주어진다. "SSID"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나타낸다. "CH Number"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채널을 지정하는 것이며, 자체 기기(자체 국)가 애드혹으로 네트워크를 구 성할 때만 사용된다. "Authentication Type"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네트워크가 구성될 때 적용되는 인증 방법을 지정한다. 구체적으로는 "Open System"이나 "Shared System"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는 애드혹 모드를 사용하므로, 이 항목은 의미가 없다. "Encryption Type"은, 무선 네트워크로 적용되는 암호화 방법을 지정한다. 구체적으로는, "WEP40(40비트)", "WEP104", "WPA-PSK"(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만 유효) 등이 있다. 무선기기에 있어서는, 초기 설정으로서 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유저가 선택한다. 여기서는, 무선기기의 초기 설정으로서 "WEP40"을 선택한다. "Encryption Key"는, 암호화에 사용된 키를 지정한다. 그 키 렌스(key length)는, 암호화수단에 따라 다르게 된다. 이 키는 무선기기가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혹은 유저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기기가 키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이하의 항목은,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시에 사용하는 항목이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ESSID"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시에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적용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다. 여기서, 식별자 "InitSetUp"는 초기에 설정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무선 CH"도 마찬가지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시에 사용하는 채널을 나타낸다. 이 파라미터의 초기 설정으로서 소정 값이 설정되거나, 사용 시에 값이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7ch"가 초기 설정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에는, 자체 기기(자체 국)가 무선 파라미터를 기타 국(상대국)에 제공하는 "제공 능력(provision capability)", 기타 국으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 능력(receipt capability)"의 2가지 설정이 있다. 이 파라미터에 대해서, "제공 능력" 및 "수신 능력" 모두를 설정하거나, "제공 능력"만을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신 능력"만 설정할 수 없는 것으로 상정한다.
DSC(501)와 프린터(502)의 조합을 상정하면, 프린터(502)는 복수의 DSC유저에 의해 공유된다. 따라서,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를 빈번히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DSC(501)를 유저가 휴대하여 자택만 아니라 출장지에서 사용하고, 출장지의 프린터를 사용하여 촬상한 화상을 인쇄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DSC(501)의 무선 파라미터는 재작성(rewrite)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DSC(5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제공 능력" 및 "수신 능력"으로 설정하고,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제공 능력"으로 설정한다(도 9).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자체 국이 애드혹의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와 접속된 기록을 갖는지, 즉 자체 국이 제공가능한 "무선 파라미터"를 갖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DSC(501) 및 프린터(502) 모두가 무선 파라미터를 갖지 않는 것으로 상정한다(불가(disenable)). 단, 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이어도, 이 의미는 기기가 무선 파라미터를 유지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무선 파라미터를 새롭게 생성해서 수신 기기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순서에 사용하는 고유한 식별자다. 여기서, 식별자는 48비트(6바이트)를 갖는다. 여기서는, DSC(501)의 식별자는 "123456"이며(도 8), 프린터(502)의 식별자는 "123abc" (1텍스트/바이트)이다(도 9).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DSC(501)와 프린터(502)에서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편, 여기서 DSC(501)와 프린터(502)는 도 8과 도 9에 각각 나타낸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613, 713)에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DSC(501)와 프린터(502)는, 예를 들면 리셋버튼을 누르면서 전원 버튼을 누르거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를 개시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ESSID"가 "InitSetUp"으로 설정되고,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무선 CH"가 "7ch"로 설정되는 설정에 근거해서, DSC(501)와 프린터(502)는 애드혹 모드로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한다. 한편, 무선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무선접속에 있어서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암호방식(Encryption Type)과 암호화에 관한 파라미터(Encryption Key)를 무선 파라미터로서 기억함으로써, 암호화를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암호화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서, 기기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의 동작을 시작한 순서는 관계없다. 먼저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동작이 시작된 기기가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ESSID"를 포함하는 "Beacon"을 전송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가 된다. 다음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동작을 시작한 기기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ESSID"를 포함하는 "Beacon"을 전송하는 기기에 대하여 "Probe Request"를 송신한다. 응답 "Probe Response"를 수신할 때, 기기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ESSID"가 "InitSetUp"으로 설정되는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 함에 따라, 기기의 조작 모드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가 된다. 여기서는, DSC(501)가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를 먼저 시작한 후, 프린터(502)가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를 시작한다.
DSC(501)의 조작 모드는, 상기 순서에 의해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로 이동하고, DSC(5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용 ESSID"가 "InitSetUp"으로 설정되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또, 네트워크를 검출한 프린터(502)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고(통합하고), 프린터(502)의 조작 모드가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로 이동한다(S1001). 다음에, S1002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프린터(502)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제공 능력"이 되고,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이며,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123abc"인 프린터(502)의 설정을 포함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시작 요구"를 송신한다. 송신처는, DSC(501)만이거나 혹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DSC(501)만 네트워크에 접속되므로, 이 요구를 수신한 DSC(5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제공 능력"이 되고,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가 되며,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123abc"인 설정을, 네트워크에 대해 고유한 식별자인 프린터(502)의 "MAC Address"와 함께, 플래시 메모리(613)에 기억한다. 또한, DSC(5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 되고,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가 되며,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123456"인 DSC(501)의 설정을 포함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시작 응답"을 송신한다(S1003). 그 송신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시작 요구"의 송신원(여기서는 프린터(502))이다. DSC(501) 와 마찬가지로, 프린터(502)는, DSC(501)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DSC(501)의 "MAC address"와 함께 플래시 메모리(713)에 기억한다.
상대 기기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얻은 DSC(501)와 프린터(502)는, S1004에서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DSC(501)에서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단 처리(S1004)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616: 혹은 플래시 메모리(613))에 기억되며, CPU(615)의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프린터(502)로부터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 DSC(501)는, 우선 스텝 S1101에서, 상대국(여기서는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확인한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제공 능력"이므로, 프린터(502)는 "수신 능력"을 갖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는 스텝 S1108로 진행하고, 여기서 DSC(501)는 "무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가 되어, 그 설정을 기억한다(도 10의 S1005). 한편, 도 11의 다른 제어 스텝을, 이하의 실시형태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502)에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716: 혹은 플래시 메모리(713))에 기억되고, CPU(715)의 제어하에 실행된다.
DSC(501)로부터 DSC(501)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프린터(502)는, 우선 스텝 S1201에서, 송신국(여기서는 DSC(5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DSC(5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 은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다. DSC(501)는 수신 능력을 가지므로, 제어는 스텝 S1209로 진행하여,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enable)"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가능"이면, 자체 국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 파라미터를 상대국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파라미터로서 취급한다. 그런데, 이 경우, 프린터(5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불가"이므로, 프린터(502)는 무선 파라미터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텝 S1210에서, 프린터(502)는, 자체 국으로 무선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생성하는 항목은, 도 9에 나타낸 "SSID", "CH Number", "Encryption Key"다. "SSID"는 32바이트 이내의 텍스트 스트링이어야 하고, "CH Number"는 범위 1 내지 14의 숫자, "Encryption Key"는 "Encryption Type"이 "WEP40"이므로 5바이트 이내의 소정의 텍스트 스트링일 수 있다. 이상의 제약에 따라서, 무선 파라미터가 생성된다. 그 다음, 프린터(502)가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 되는 취지를 기억한다(도 12의 S1206, 도 10의 S1006).
한편, 스텝 S1201에서, 상대국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능력 속성"이 "수신 능력"이 아닌 경우, 제어는 스텝 S1202로 진행하고, 상대국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를 판정한다. "가능"이면, 제어는 스텝 S1203으로 진행하여, 자체 국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가능"이 아니면, 제어는 스텝 S1205로 진행된다. "가능"이면, 제어는 스텝 S1204로 진행하여, 자체 국과 상대국의 설정 식별자를 비교한다. 상대국의 설정 식별자가 크면, 제어는 스텝 S1205로 진행되어, 상대국을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서 설정한다. 자체 국의 설정 파라미터가 크면, 제어는 스텝 S1206으로 진행하고, 자 체 국을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서 설정한다.
또, 스텝 S1202에서, 상대국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이 아닐 때, 제어는 스텝 S1207로 진행하여, 자체 국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가능"이면, 제어는 스텝 S1206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가능"이 아닌 경우, 제어는 스텝 S1208로 진행하여, 자체 국과 상대국의 설정 식별자를 비교한다. 상대국의 설정 식별자가 크면, 제어는 스텝 S1205로 진행되어서 상대국을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서 설정한다. 자체 국의 설정 식별자가 크면, 제어는 스텝 S1209로 진행하여,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가 된 프린터(502)는, 어떤 일정시간을 카운트다운하는 타이머를 기동하여(도 10의 S1007),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가 될 수 있는 네트워크 내의 그 밖의 기기로부터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시작 요구"에 대응해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다. 이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프린터(502)는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시작 요구"를 송신가능한 무선기기가 네트워크 내에 더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가 된 프린터(502)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기기에 대해서 먼저 자체 국에서 생성한 "무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S1008). 이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수신한 기기(여기서는 DSC(501))는, 그 수신한 무선 파라미터를 자체 국에 반영하고, DSC(501)의 무선 통신 제어부(604)에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 처리가 정상 완료하면 "무선 파라미터 설정 응답"을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인 프린터(502)에 송신한다(S1009). 이렇게 해서, DSC(501) 및 프린터(502)는 무선 파 라미터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새로운 무선 파라미터에 근거해서 애드혹 모드에 의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접속된다(S10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에 파라미터의 입력 등의 처리를 촉구하지 않고, 최소한의 유저 조작으로 자동으로, DSC와 프린터와의 사이에서 공통인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DSC와 프린터를 애드혹 모드로 무선접속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상기의 제1실시형태에서는, DSC와 프린터로 구성되는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 모드로 무선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으로 무선접속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2대의 DSC(1301, 1302)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들 2대의 DSC(1301, 1302)를 무선접속하고, DSC(1301, 1302) 각각으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도,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 없이 DSC(1301, 1302)에서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DSC 이외에 그 밖의 무선 통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상정한다. 한편, 이 제2실시형태에 따른 DSC의 구성은 전술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SC의 구성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들 DSC(1301, 1302) 모두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능력 속성"이 "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며,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면서,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인 것으로 상정한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은, 기본적으로 상기의 도 10과 같다. 도 10이 DSC와 프린터의 사이의 통신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이 제2실시형태는 2개의 DSC간의 통신을 실행한다.
DSC(1301, 1302)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순서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시작하고, 상대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1004).
*다음에, 이 제2실시형태에 따른 DSC(1301)에서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정 처리(S1004)를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DSC(1302)로부터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 DSC(1301)는, 우선 스텝 S1101에서, 송신국(여기서는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므로, DSC(1302)는 "수신 능력"을 가진다. 따라서, 이 항목만으로는 판정할 수 없으므로, 제어 처리는 스텝 S1102으로 진행하여, DSC(1301)가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불가"이므로, 제어는 스텝 S1105로 진행하고, DSC(1301)는 자체 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므로, 제어는 스텝 S1109로 진행한다. 자체 국 DSC(1301)에서 설정되어 있는 무선 파라미터는 상대국 DSC(1302)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파라미터로서 취급하고, DSC(1301)가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된 취지를 기억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해서, 전술한 상대국(여기서는 자체 국 DSC(1302))에서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정 처리를 설명한다.
DSC(1301: 상대국)로부터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 DSC(1302: 자체 국)는, 우선 스텝 S1101에서, 상대국(여기서는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므로, DSC(1301)는 "수신 능력"을 가진다. 제어가 스텝 S1102로 진행하여, DSC(1302: 자체 국)는 DSC(1301: 상대국)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가능"이고, 자체 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이므로, 처리는 스텝 S1108로 진행한다. 그 후, 자체 국 DSC(1302)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되는 취지를 기억한다.
이하,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 DSC(1301)로부터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 DSC(1302)에 무선 파라미터를 송신해서 무선 통신용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한편, 애드혹 무선접속하는 방법은, 전술의 제1실시형태로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2대의 DSC로 구성되는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 모드로 무선접속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에 관하여 설명했다. 또한, 전술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제공 능력/수신 능력"으로 설정되고,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가능"이고,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불가"인 반면, 제3실시형태에서는, DSC 2대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인 경우이다. 또, DSC(1301)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는 "123456"이고, DSC(1302)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는 "456789"로 상정한다.
제3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을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도 10에서는, DSC와 프린터 사이의 통신으로서 나타내지만, 이 제3실시형태의 경우는, 전술의 제2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대의 DSC 간의 통신이 실행된다. 한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SC의 구성은, 전술의 제1실시형태와 같다.
도 10을 참조해서, DSC(1301, 1302)는, 도 10과 같은 순서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시작하고, 상대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얻고,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1004).
다음에, 이 제3실시형태에 따른 DSC(1301)에서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정 처리(S1004)를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대국 DSC(1302)로부터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 자체 국 DSC(1301)는, 우선 스텝 S1101에서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확인한다.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제공 능 력/수신 능력"이므로, DSC(1302)는 "수신 능력"을 갖는다. 이 항목만으로는 판정할 수 없으므로, 제어는 스텝 S1102로 진행하여,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을 확인한다.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가능"이므로, 제어는 스텝 S1103으로 진행한다. 또한,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므로, 이 항목에 근거한 판정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는 스텝 S1104로 진행하여,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 ("456789")와, 자체 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 ("123456")를 비교한다. 여기서는,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작으므로, 제어는 스텝 S1108로 진행한다. DSC(1301)는 상대국이 제공 기기이고,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인 것을 판단한다. 그 다음,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되는 그 취지를 기억한다(S1006).
한편, 스텝 S1102에서,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 아닐 때, 제어는 스텝 S1105로 진행하여, 자체 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가능"이 아니면, 제어는 스텝 S1106으로 진행하여,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 ("456789")와 자체 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 ("123456")를 비교한다. 여기서는 상대국의 식별자가 크므로, 제어는 스텝 S1108로 진행한다. DSC(1301)는, 상대국이 제공 기기이고,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인 것을 판단한다.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되는 취지를 기억한다(S1006). 그러나, 스텝 S1106에서,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 별자"보다 자체 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크면, 스텝 S1107에서 무선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그 다음, 스텝 S1109에서, 자체 국 DSC(1301)이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서 기억된다.
또한, 이 제3실시형태에 따른 상대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판정 처리를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다음의 설명에서는, DSC(1302)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제공하므로, DSC(1302)는 자체 국이 되고, DSC(1301)는 상대국이 된다.
상대국 DSC(1301)으로부터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자체 국 DSC(1302)는, 우선 스텝 S1101에서,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므로, DSC(1301)는 "수신 능력"을 갖는다. 이 항목만으로는 판정할 수 없으므로, 제어는 스텝 S1102로 진행하고, DSC(1302)는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므로, 제어는 스텝 S1103으로 진행하여,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가능"이고, 이 항목에 근거해서 판정할 수 없으므로, 제어는 스텝 S1104로 진행하여,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 ("123456")와 자체 국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 ("456789")를 비교한다. 여기서는 자체 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크므로, 제어는 스텝 S1109로 진행한다. DSC(1302)는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인 것을 판단한다. 또,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므로, 자체 국에서 설정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다른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파라미터로서 취급한다. 그 다음,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되는 취지를 기억한다(도 10의 S1006).
제3실시형태에서는, 2기기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모두 "제공 능력/수신 능력"으로 설정된다. 또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모두 "제공 능력"일 경우도 같은 순서가 된다.
또, 제3실시형태에서는, 2기기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모두 "가능"이다. 또한,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모두 "불가"인 경우,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를 결정하는 스텝은 동일하다.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제공하는 "무선 파라미터"의 생성수단(도 11의 S1107)에 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이하,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부터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에 무선 파라미터를 송신하고, 애드혹 무선접속을 구축하는 방법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실시형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1대1의 기기로 구성되는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에 있어서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제4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3대 이상의 기기로 구성되는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으로 무선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4는 IEEE802.11 규격의 애드혹으로 무선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DSC(1401, 1402) 및 프린터(1403)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기기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에 사용하는 항목은 이하와 같다. 우선, DSC(14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며, DSC(1401)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가능"이며, DSC(14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123456"이다. DSC(14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며, DSC(1402)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은 "불가"이며, DSC(14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는 "456789"이다. 또, 프린터(1403)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제공 능력"이며, 프린터(1403)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불가"이며, 프린터(1403)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abcdef"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를 시작하는 순서는, DSC(1401), DSC(1402), 프린터(1403)로 한다. 이하, 도 15에 나타낸 시퀸스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도 14)에 있어서의 DSC(1401), DSC(1402) 및 프린터(1403) 사이에서의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DSC(1401)와 DSC(1402)에서, DSC(1401)가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되고, DSC(1402)가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된다(S1501∼S1507). 도 15의 S1501∼S1507은, 전술의 도 10의 S1001∼S1007과 같다. 여기서, DSC(1401)의 타이머 카운팅의 기동 후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 모드를 시작한 프린터(1403)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시작 요구"를 송신한다(S1508).
여기서, DSC(1402)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이므로, 응답하지 않는다. DSC(1401)는 기동중의 타이머의 카운팅을 정지하고(S1507), 프린터(1403)에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시작 응답"을 송신한다(S1509). 이하, DSC(1401)와 프린터(1403) 사이의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제1실시형태(도 10)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1403)가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되고, DSC(1401)가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된다(S1510∼S1513). 이렇게 해서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된 프린터(1403)는, 네트워크 하의 전체 기기에 대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S1514).
이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수신한 기기(여기서는 DSC(1401)와 DSC(1402))는, 수신한 무선 파라미터를 자체 국에 반영하고, 무선 통신 제어부(604)에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 처리가 정상 완료하면, DSC(1401)와 DSC(1402)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응답"을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인 프린터(1403)에 각각 송신한다(S1515). 이렇게 해서, S1516에서, DSC(1401, 1402), 프린터(1403)가 애드혹 모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애드혹 무선접속을 구축하는 방법은 제1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DSC와 프린터를 포함하 는 3대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도, 유저의 파라미터 입력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최소한의 조작으로 DSC와 프린터에 무선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애드혹 모드의 무선접속을 실현한다.
[제5실시형태]
상기의 제3실시형태에서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모두 "제공 능력/수신 능력"이고, "무선 파라미터 제공 속성"이 모두 "가능"이며,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가 각 DSC에 대해 다른 설정의 2대의 DSC(1301, 1302)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어느 DSC의 무선 파라미터가 자동으로 설정되었는지를 몰라도 문제없다.
이에 대하여, 제5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의도한 DSC(목적 DSC)의 무선 파라미터를, 다른 DSC에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 기기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 시에 사용하는 항목은 전술한 제3실시형태와 같은 것으로 상정한다. 여기서는 DSC(1301)에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할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을 "제공 능력"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에, 유저가 임의로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무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를 설정할 수 있는 "수동 모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DSC(1302)의 조작부(610)와 표시부(606)와 같은 입출력 기능을 "수동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고,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 동작"을 위해 자체 국을 설정한다. 이 조작에 의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만 동작"이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 성"으로서 설정된다.
다음에,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서 동작만 하는 방법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 조작에 의해,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서만 동작"이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으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제1실시형태와 같은 처리를 행해서, DSC(1301)와 DSC(1302)에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시작한다. DSC(1301)와 DSC(1302)는 상대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얻어서,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 16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DSC에서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의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여기서는,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서만 동작"으로 설정되고,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은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만 동작"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따라서, DSC(1301)의 경우, 스텝 S1601에서 "자체 국이 제공 기기로서만 동작하는지"의 판정의 결과는 "NO"가 된다. 처리는 스텝 S1607로 진행하여, 자체 국을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서만 동작"으로 결정한다. 다음에, 스텝 S1608에서, 상대국 DSC(1302)는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만 동작"이므로, 판정은 "NO"가 되고, 처리는 스텝 S1609로 진행한다. 스텝 S1609에서, DSC(1301: 자체 국)를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기억한다. 그 다음, 제어를 종료한다.
또, DSC(1302)의 경우, 스텝 S1601에서,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 기로서만 동작하는지"의 판정 결과는 "YES"가 된다. 처리는 스텝 S1602로 진행하고, 상대국 DSC(1301)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만 동작"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판정은 NO가 되므로, 제어는 스텝 S1603으로 진행하여, 자체 국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인지를 판정한다. YES이면, 제어는 스텝 S1605로 진행하고, 자체 국을 기억하고 있는 무선 파라미터를 상대국에 송신하는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서 설정하고, 이 설정을 기억한다. 한편, 스텝 S1603에서, 자체 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이 아닐 경우, 제어는 스텝 S1604로 진행하고, 자체국 DSC(1302)은 무선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스텝 S1605에서, 자체 국이 그 생성한 파라미터를 상대국에 송신하는 제공 기기인 취지를 기억해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양쪽 DSC(1301, 1302)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만 동작"인 경우, 제어는 스텝 S1602로부터 스텝 S1606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대국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능력 속성"이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서만 동작"인 경우, 제어는 스텝 S1608로부터 스텝 S16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06에서, 접속은 불가(설정 실패)이고, 그 접속 불가는 유저에게 통지된다.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된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기다린다. 한편,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된 DSC(1302)는, DSC(1301)에 대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이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수신한 DSC(1301)는, 그 수신한 무선 파라미터를 자체 국에 반영하고, DSC(1301)의 무 선 통신 제어부(604)에 대하여 설정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가 정상 완료하면,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응답"을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인 DSC(1302)에 송신한다. 한편, 이후의 애드혹을 구축하는 방법은 제1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파라미터 입력 등의 조작 없이, 유저가 의도한 기기에 근거한 통신 상대 기기(상대국)에서,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을 최소한의 유저 조작으로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정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에 따라서, 애드혹 모드에서의 무선 통신이 실현된다.
제5실시형태에서는, 2대의 DSC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프린터와 DSC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도, DSC의 무선 파라미터를 프린터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실시형태]
제5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의도한 DSC의 무선 파라미터를 다른 DSC에 설정할 경우를 설명했다. 이 방법은 한쪽 기기는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 동작하도록 지시하고, 다른 쪽 기기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로 동작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실현되었다.
이에 대하여, 제6실시형태는, 한쪽 기기에만 유저의 지시를 반영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의 구성은 전술의 제3 및 제5실시형태와 같다. 각 기기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에서 사용하는 항목은, 제3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무선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가 DSC(1301)에 설정되는 것을 상정한다.
우선, DSC(1302)의 조작부(610)와 표시부(606) 등의 입출력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수동설정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 자체 국을 우선적으로 선택"을 선택한다. 이 조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기 위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를 "FFFFFF"로 설정한다. DSC(1301)에 있어서는 특별히 실시해야 할 작업은 없다.
그 다음, 제1실시형태와 같은 처리를 행해서, DSC(1301)와 DSC(1302)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시작한다. DSC(1301)와 DSC(1302)는, 상대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얻어서, 자체 국이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전술의 제3실시형태와 같은 처리가 실시된다.
즉, 도 11의 흐름도에 있어서, DSC(1301)의 경우는, 상대국 DSC(1302)가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 우선적으로 선택되므로, 스텝 S1101에서의 판정은 "NO"가 되고, 제어는 스텝 S1108로 진행한다. 스텝 S1108에서, 상대국 DSC(1302)을 파라미터 제공 기기로서 설정한다.
한편, DSC(1302)의 경우에는, 상대국 DSC(1301)가 무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이므로, 스텝 S1101에서의 판정은 "YES"가 되고, 제어는 스텝 S1102로 진행한다.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이면, 제어는 스텝 S1103으로 진행한다. 자체 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속성이 "가능"이므로, 제어는 스텝 S1104로 진행된다. 스텝 S1104에서, 상대국 DSC(1301)의 무선 파라미 터 식별자와 자체 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식별자 (FFFFFF)를 비교한다. 이 경우에는 자체 국 DSC(1302)의 무선 파라미터 식별자 (FFFFFF)가 확실히 크므로, 제어는 스텝 S1109로 진행한다. 자체 국 DSC(1302)가 무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로 설정된다.
상기 방법에서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 식별자"에 근거한 판단에 의해, DSC(1302)는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되고,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된다.
"무선 파라미터 수신 기기"가 된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기다린다.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가 된 DSC(1302)는 DSC(1301)에 대해서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이 "무선 파라미터 설정 요구"를 수신한 DSC(1301)는, 그 수신한 무선 파라미터를 자체 국 DSC(1301)에 반영하고, DSC(1301)의 무선 통신 제어부(604)에 대하여 설정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가 정상 완료하면, DSC(1301)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 응답"을 "무선 파라미터 제공 기기"인 DSC(1302)에 각각 송신한다. 애드혹 무선접속을 구축하는 방법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6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파라미터 입력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저가 의도한 기기에 근거한 통신 상대국에서, 무선 파라미터를 최소한의 조작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애드혹 모드로 무선에 의한 통신이 실현된다.
제6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단은, 통신 상대국이 입출력수단을 충분히 구비하 지 않고 있을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 또는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 또는 장치에 직접 또는 원격으로부터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공급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기능이 있으면, 그 형태는 프로그램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인스톨되는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본 발명을 구현한다. 즉,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는, 본 발명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자체도 포함된다. 그 경우, 프로그램의 기능이 있으면, 프로그램의 형태는 오브젝트 코드,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OS에 공급하는 스크립트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MO, CD-ROM, CD-R, CD-RW, 자기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DVD(DVD-ROM, DVD-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인터넷의 홈 페이지에 접속하고, 홈 페이지로부터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운로드된 프로 그램은,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자체 또는, 자동 인스톨 기능을 포함하는 압축된 파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고, 복수의 파일을 다른 홈 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일을 복수의 유저에 대하여 다운로드시키는 WWW서버도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암호화해서, 예를 들면 CD-ROM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해서 유저에 배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유저가, 인터넷상의 홈 페이지로부터 암호화를 푸는 키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그 키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암호화된 프로그램이 실행가능한 형식으로 컴퓨터에 인스톨되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형태 이외의 형태로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서,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추어지는 메모리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서, 그 기능 확장 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추어지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는 수반되는 청구 범위에 따라 만들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에 관한 설정을 간편히 하고, 설정 동작과 연관된 통신을 단순화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하여, 제1통신장치의 능력 속성을 판별하는 제1판별수단(S1101, S1102, S1201, S1202)과,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을 판별하는 제2판별수단(S1104, S1106, S1204, S1208)과,
    상기 제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가 가지는 능력 속성과, 상기 제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S1108, S1109, S1205, S12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별수단은, 상기 제1통신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능력의 유무, 및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S1101, S1102, S1201, S1202)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별수단은, 상기 제1통신장치가 상기 수신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제1통신장치가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S1102, S1202)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제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가 가지는 상기 능력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기기 또는 상기 제공 기기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제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과 상기 통신장치 자신에게 고유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장치 자신이 상기 제공 기기로 되는지, 상기 수신 기기로 되는지를 결정하는 것(S1104, S1106, S1204, S1208)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과 상기 통신장치 자신에게 고유한 값의 대소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장치 자신이 상기 제공 기기로 되는지, 상기 수신 기기로 되는지를 결정하는 것(S1104, S1106, S1204, S1208)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 자신을 상기 제공기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S1008)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 자신을 상기 제공 기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 기기에 제공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S1210)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통신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하여, 제1통신장치의 능력 속성을 판별하는 제1판별공정과,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을 판별하는 제2판별공정과,
    상기 제1판별공정에서 판별한 제1통신장치가 가지는 능력 속성과, 상기 제2판별공정에서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기기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별공정에서는, 상기 능력 속성으로서, 통신 파라미터의 수신 능력의 유무, 및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별공정은, 상기 제1통신장치의 상기 수신 능력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 기기 또는 상기 수신 기기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제1통신장치가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공정은, 상기 제1판별공정에서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가 가지는 상기 능력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 기기 또는 상기 수신 기기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제2판별공정에서 판별한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과 상기 통신장치 자신에게 고유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장치 자신이 상기 제공 기기로 되는지, 상기 수신 기기로 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공정은, 상기 제1통신장치에 고유한 값과 상기 통신장치 자신에게 고유한 값의 대소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장치 자신이 상기 제공 기기로 되는지, 상기 수신 기기로 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공정에서 상기 통신장치 자신을 상기 제공기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공정에서 상기 통신장치 자신을 상기 제공 기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수신 기기에 제공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기기 또는 수신 기기 결정방법.
KR1020070025596A 2005-04-27 2007-03-15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KR100773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0476 2005-04-27
JP2005130476A JP4656637B2 (ja) 2005-04-27 2005-04-27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8003A Division KR100738494B1 (ko) 2005-04-27 2006-04-27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002A true KR20070039002A (ko) 2007-04-11
KR100773855B1 KR100773855B1 (ko) 2007-11-06

Family

ID=367633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8003A KR100738494B1 (ko) 2005-04-27 2006-04-27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KR1020070025596A KR100773855B1 (ko) 2005-04-27 2007-03-15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8003A KR100738494B1 (ko) 2005-04-27 2006-04-27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7720477B2 (ko)
EP (2) EP1995924B1 (ko)
JP (1) JP4656637B2 (ko)
KR (2) KR100738494B1 (ko)
CN (2) CN100512180C (ko)
DE (2) DE60200600254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771B2 (ja)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3B2 (ja) *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接続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02389B2 (ja) * 2005-03-15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66323B2 (ja) * 2005-03-15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56997B2 (ja) * 2005-03-15 2009-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JP4250611B2 (ja) * 2005-04-27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通信方法
JP4900891B2 (ja) 2005-04-27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266962B2 (ja) * 2005-06-16 2009-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50610B2 (ja) * 2006-07-31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86463B2 (ja) 2006-10-20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パラメータを管理する管理装置
JP4871696B2 (ja) * 2006-10-27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の設定処理方法、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878260B2 (ja) * 2006-10-30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基地局、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89817B2 (ja) * 2007-01-29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
US8204230B2 (en) * 2007-05-08 2012-06-19 Infineon Technologies Ag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us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JP4929040B2 (ja) * 2007-05-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956281B2 (ja) 2007-05-29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53715B2 (ja) * 2007-05-31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04359B2 (en) * 2007-07-30 2015-08-11 Ricoh Company, Ltd. Providing an integrated, feature oriented ad-hoc printing device selection system for mobile client devices
JP5094260B2 (ja) * 2007-08-01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71167B2 (ja) * 2007-09-05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の設定処理を行う通信装置、当該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70937B2 (ja) 2008-03-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78736B2 (ja) * 2008-04-28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183307B2 (ja) * 2008-06-10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137746B2 (ja) * 2008-08-28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473284B2 (ja) * 2008-09-30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844613B2 (ja) 2008-09-30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への接続方法、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44611B2 (ja) * 2008-09-30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44612B2 (ja) * 2008-09-30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27658B2 (ja) 2008-10-06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121668B2 (ja) 2008-10-22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448434B2 (ja) * 2008-12-11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35778B2 (ja) * 2009-05-15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5235777B2 (ja) * 2009-05-15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409147B2 (ja) 2009-07-03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414452B2 (ja) 2009-10-21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
JP2012155575A (ja) * 2011-01-27 2012-08-16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サーバー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5882760B2 (ja) * 2011-03-10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18891B2 (ja) * 2011-04-19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312515B2 (ja) * 2011-05-12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962896B2 (ja) 2012-03-26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
MX342724B (es) * 2012-04-10 2016-10-10 Sony Corp Aparato de comunicación, mé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es y programa.
JP6408753B2 (ja) 2012-05-17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057565B2 (ja) * 2012-07-04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71889B1 (en) 2012-07-31 2019-09-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selection method, network entity, and system based on self-organizing networks
JP6242051B2 (ja) * 2013-01-23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184105B2 (ja) * 2013-01-25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838988B2 (ja) * 2013-03-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JP5962564B2 (ja) 2013-03-28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JP5539564B2 (ja) * 2013-03-2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241513A (ja) 2013-06-11 2014-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17576B2 (ja) 2013-11-29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23487B2 (en) 2014-01-14 2016-04-26 Ricoh Company, Ltd. Providing an integrated, feature oriented ad-hoc printing device selection system for mobile client devices
JP6331616B2 (ja) * 2014-04-10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6136364A (ja) 2015-01-23 2016-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7079396A (zh) * 2015-02-19 2017-08-1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低功率设备配置
US9781750B2 (en) * 2015-08-25 2017-10-03 Laird Technologies, Inc. Automatic wireless mode switching
JP6724338B2 (ja) * 2015-10-30 2020-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6611572B2 (ja) * 2015-11-28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18874B2 (ja) * 2016-04-01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7819603B (zh) * 2016-09-14 2021-01-1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Otn网络承载资源潜在能力的分析方法和平台
JP6822180B2 (ja) * 2017-02-02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N109429215B (zh) * 2017-07-04 2021-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相关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551A (ja) * 1996-12-26 1998-09-11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H10240552A (ja) * 1996-12-26 1998-09-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6892230B1 (en) * 1999-06-11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elf-configuration for ad hoc peer networking using mark-up language formated description messages
ATE471647T1 (de) * 1999-12-06 2010-07-15 Ericsson Telefon Ab L M Intelligente herstellung von piconets
US20010029530A1 (en) * 2000-03-03 2001-10-11 Yoshiko Naito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resource in network system
JP3559757B2 (ja) * 2000-08-22 2004-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6865371B2 (en) * 2000-12-29 2005-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via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029629B2 (ja) * 2001-03-27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161923B2 (en) 2001-08-31 2007-01-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mmunications
US7925737B2 (en) * 2001-09-17 2011-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network resources
JP3848235B2 (ja) 2002-10-04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38845B1 (ko) * 2002-11-05 2010-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무선통신방법
JP4112341B2 (ja) * 2002-11-20 2008-07-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に適合するデジタルカメラ
US7139279B2 (en) * 2002-12-12 2006-11-21 Dilithium Networks Pty Ltd. Methods and system for fast session establishment between equipment using H.324 and related telecommunications protocols
US7177644B2 (en) * 2003-02-12 2007-02-13 Nortel Networks Limited Distributed multi-beam wireless system
JP2004318828A (ja) * 2003-03-31 2004-11-11 Seiko Epson Corp データ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及び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装着可能なコンピュータ、メール送信システム、画像情報送信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バックアッププログラム
JP4235481B2 (ja) * 2003-04-15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機器のデータ処理方法
JP4136771B2 (ja) *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2B2 (ja) *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52490B1 (ko) * 2003-06-13 200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재자 교체방법 및 그방법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
JP4136857B2 (ja) * 2003-09-11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機器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463886B2 (en) * 2003-09-16 2008-12-09 Spyder Navig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residual energy awareness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631181B2 (en) * 2003-09-22 2009-12-08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applying security policy
WO2005034434A1 (ja) * 2003-10-03 2005-04-14 Sharp Kabushiki Kaisha 通信装置、その装置の動作モード起動方法、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769837B2 (en) * 2003-12-12 2010-08-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ireless LAN setting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135265A1 (en) * 2003-12-23 2005-06-23 Moakley George P.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pplications to optimize communications in a network environment
TWI231131B (en) * 2004-01-08 2005-04-11 Via Tech Inc Method and system of completing bluetooth for the pairing procedure by wired interface
KR100571928B1 (ko) 2004-01-17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검색 결과 출력 방법 및 프린팅기기
KR100601690B1 (ko) * 2004-07-06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기반의 무선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JP4923283B2 (ja) 2004-08-20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4366323B2 (ja) * 2005-03-15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250611B2 (ja) * 2005-04-27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通信方法
JP4900891B2 (ja) * 2005-04-27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266962B2 (ja) * 2005-06-16 2009-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9458A (ja) 2006-11-09
CN101282269B (zh) 2012-11-07
EP1995924B1 (en) 2010-03-24
US20180049252A1 (en) 2018-02-15
KR100773855B1 (ko) 2007-11-06
US20060246946A1 (en) 2006-11-02
US20130301081A1 (en) 2013-11-14
DE602006013199D1 (de) 2010-05-06
US10098167B2 (en) 2018-10-09
CN1855866A (zh) 2006-11-01
CN101282269A (zh) 2008-10-08
US20100182956A1 (en) 2010-07-22
US7720477B2 (en) 2010-05-18
JP4656637B2 (ja) 2011-03-23
US20170231017A1 (en) 2017-08-10
US8503933B2 (en) 2013-08-06
CN100512180C (zh) 2009-07-08
EP1718012B1 (en) 2008-09-03
US9686807B2 (en) 2017-06-20
KR20060113481A (ko) 2006-11-02
EP1995924A1 (en) 2008-11-26
US9839054B2 (en) 2017-12-05
DE602006002541D1 (de) 2008-10-16
EP1718012A1 (en) 2006-11-02
KR100738494B1 (ko)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855B1 (ko)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과 그 통신장치의 통신 파라미터설정 방법
JP4865454B2 (ja) 設定方法及び通信装置
EP161641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nection to various wireless networks in search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function
JP4672968B2 (ja) 撮像装置
JP5184912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677270B2 (ja)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CN101360029B (zh) 通信装置及通信参数设定方法
JP20171994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8228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changing signals between computer and device and computer and device used in such system
JP7159803B2 (ja) 端末装置、無線接続制御方法および無線接続制御プログラム
JP4968914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27852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無線通信環境設定方法
JP201121738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無線通信環境設定方法
JP6207315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7135766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722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599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770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0706770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