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802A -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802A
KR20070036802A KR1020077005780A KR20077005780A KR20070036802A KR 20070036802 A KR20070036802 A KR 20070036802A KR 1020077005780 A KR1020077005780 A KR 1020077005780A KR 20077005780 A KR20077005780 A KR 20077005780A KR 20070036802 A KR20070036802 A KR 20070036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lide
lower casing
hinge
upp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야 이누부시
토모유키 니시에
마사히로 요코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3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gravity-loaded or spring-load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Abstract

전자기기를 탑재한 제1케이싱(3),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탑재한 제2케이싱(1), 제1케이싱의 표면과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편재한 개소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11)를 구비한 휴대 기기.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이 서로 포개져 있는 휴대 기기에 대하여, 1회의 변형 동작으로, 대칭성을 가지고, 인간 공학적으로 뛰어난 미관에 가까운 변형을 완료시킬 수 있다.
케이싱, 힌지, 휴대기기, 표시부

Description

휴대 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기기에 관하며, 특히,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두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개의 케이싱을 개폐가능하도록 연결한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를 비롯한 휴대 기기의 편리성에 대한 요구는 높으며, 휴대 기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한편, 휴대 기기의 형상을 인간 공학적으로 뛰어난 특성으로 하는 요구도 높기 때문에, 편리성 및 인간 공학적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최근, 휴대 기기에 탑재되는 다채로운 기능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저의 사용 방법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휴대 기기가 여러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개의 케이싱을 힌지로 연결한 폴더형 케이싱 구조가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폴더형의 휴대 전화기는, 한쪽의 케이싱에 LCD등의 비교적 큰 표시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상이나 문자 데이터를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휴대 전화기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부가되어, 단순히 통화뿐만아니라, 메일 기능, 카메라 기능이나 텔레비젼 방송의 수신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표시장치에는 각종 기능에 대응하여 여러가지의 화상이 표시되지만,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케이싱 구조에 의한 제약으로부터 세로로 긴 화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텔레비젼 화상과 같은 가로로 긴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나, 메일 등의 긴 문장을 표시할 경우에는 유저가 보기 힘든 화면표시가 되어버린다.
그래서, 표시장치를 부착한 케이싱을 다른 쪽의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표시장치의 화면을 세로로 길거나 가로로 길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 전화기가 하기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이 휴대 전화기는, 포갠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을, 상기 하부 케이싱의 표면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이면이 겹쳐진 상태로 서로 슬라이드와 회전이 자유롭게 되는 걸어맞춤 부에 의해 끼워지게 된다.
또한, 이 걸어맞춤 부는, 돌기부와 이 돌기부와 대응하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 세로 방향의 일단에,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과의 적층방향을 따라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 내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 내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겹치는 형상(이후, 「수용용 형상」이라고 부른다)에서, 상기 돌기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 유닛의 세로 방향이 대략 90°로 교차하는 형상(이후, 「화상열람용 형상」이라고 부른다)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열람용 형상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을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표시부 유닛이 대략 T자형을 구성하도록 휴대 전화기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가 있다.
이 휴대 전화기는 소위 폴더형 휴대 전화기이며, 하부 케이싱의 단부와 표시부를 가지는 상부 케이싱의 단부가,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을 개폐하도록 하는 힌지에 의해 걸어맞추고 있다. 또한 이 힌지는, 하부 케이싱 및 상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을 따라 설치된 회전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은, 각각 대략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는 각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변끼리를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을 열면, 상기 하부 케이싱에 설치된 송화부와, 상기 상부 케이싱에 설치된 수화부의 거리가 보다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폴더형 휴대 전화기는, 상부 케이싱이, 지지부 유닛과,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부 유닛으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유닛에 설치된 가늘고 긴 구멍에, 상기 표시부 유닛에 설치된 돌기가 관통하고 있으며, 이 돌 기의 외경보다도 상기 가늘구 긴 구멍의 내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 유닛과 상기 표시부 유닛이, 슬라이드와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는,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각각의 단부를 나란히 겹치는 형상(상기 수용용 형상과 대응한다)으로부터, 힌지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을 여는 것으로,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와의 거리가 멀어진 형상 (여기에서는 「통화용 형상」으로 부르기로 한다)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이 형상에서, 상기 지지부 유닛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 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 유닛의 길이 방향이 대략 90°로 교차하는 형상(상기 화상 열람용 형상과 대응한다)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열람용 형상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유닛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 유닛을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표시부 유닛이 대략 T자형을 구성하도록 휴대 전화기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비특허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가 있다.
이 휴대 전화기는, 하부 케이싱의 일단부와 상부 케이싱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을 관통하는 축선 방향으로 상기 상부 케이싱을 180°회전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과의 각 타단부를 비교적 나란히,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겹치는 형상(상기 수용용 형상과 대응한다)으로부터, 상기 하부 케이싱에 설치된 송화부와 상기 상부 케이싱에 설치된 수화부가 보 다 이격되는 형상(상기 통화용 형상과 대응한다)으로 변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하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이 대략 90°가 되는 형상(상기 화상열람용 형상과 대응한다)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4에는, 조작부를 가지는 하부 유닛과, 표시부를 가지는 상부 유닛과, 표시부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쌍방을 자유롭게 개폐하도록 결합하는 힌지부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 전화기가 기재되고 있으며, 상기 상부 유닛을 두께 방향으로 지지부 유닛과 표시 유닛으로 2분할하고, 지지부 유닛에 대하여, 표시 유닛을 표시부에 수직인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한 휴대 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338866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319043호
특허문헌 3 : 특허 제3109089호
특허문헌 4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56893호
비특허문헌 1 : 1.웹 사이트 저작권자 NTTDOCOMO 2.웹 사이트 명 DOCOMONET 3.웹 사이트내의 관련 장소 "제품","SO506iC" 4.매체의 타입[ONLINE] 5.검색일 2005년3월2일 6.URL http://w.nttdocomo.co.jp/p_s/service/felica/f/so506ic.html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는,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을 회전시켜서,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이 대략 90°로 교차하도록 구성하는 변형 동작 1과, 대략 90°로 교차하고 있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시키는 변형 동작 2를 행하지 않으면, 상기 하부 케이싱을 상기 상부 케이싱이 덮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T자형을 구성하도록 휴대 기기를 변형시킬 수 없었다.
또한, 변형 동작 1에 있어서 변형한 휴대 기기는, 형상의 대칭성이 없고, 인간 공학적으로 편안함을 얻을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휴대 기기는, 표시장치의 화면을 가로로 길게 배치할 경우, 핀을 중심으로 90°회전시킨 후, 핀을 캠에 따라 슬라이드 시킬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좋지 않고, 슬라이드 기구가 필요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휴대 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가로로 전개한 상태에서 통화하므로, 이 상태에서 수화구과 송화구의 거리를 적절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 비교하면, 디스플레이부를 수납한 상태에서도 본체의 전체 길이가 커져, 휴대성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가로로 전개한 상태에서의 통화에 있어서, 본체를 쥐기 쉽거나 수화부로의 귀에 닿게 되는 조작성이 열화된다는 문제점, 또는, 핀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구조로 되어 있어, 디스플레이를 가로로 전개하는 동작 또는 수납하는 동작 도중에도 회전하게 되므로,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본체가 상대적으로 회전이나 슬라이드 등의 이동을 행할 경우, 상하 유닛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의 확보가 요구되지만, 이것들에 관한 개시는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도, 하부 케이싱을 상부 케이싱이 덮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T자형을 구성하도록 휴대 전화기를 변형시킬 경우에, 2회 이상의 변형 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는, 하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이 대략 90°교차하는 상태로 구성했을 경우에, 형상의 대칭성이 없어, 인간 공학적으로 편함을 얻을 수 없는 형상이었다.
또한 종래의 특허문헌 4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상부 유닛을 지지 유닛과 표시 유닛을 다른 케이싱으로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두께 방향으로 겹치기 위해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휴대전화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 유닛이 보이지 않게 되므로, 서브 표시 유닛의 니즈가 강하여, 이것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더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횡형 대화면의 실현에 의해 시인성이 향상하고, 화상품질이 향상되면, 음향적인 질향상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전화기는, 이것들에 관한 개선은 없어, 음향적인 질향상이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 기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과의 각 단부를 비교적 나란히 서로 중합되고 있는 휴대 기기에 대하여, 대칭성을 가지고, 인간 공학적으로 뛰어난 미관에 가까운 변형을, 1회의 변형 동작으로 완료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작성이 좋아, 슬라이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표시장치의 화면을 세로로 길게, 또는 가로로 길게 배치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배치 또는 가로로 길게 배치로 배치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형 또는 소형으로 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 기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는, 전자기기를 탑재한 제1케이싱,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탑재한 제2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표면과 상기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로, 각각의 일단측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편재한 개소에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는, 제1케이싱의 표면과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측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1힌지, 상기 제1케이싱의 표면과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측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편재한 개소에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2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은, 상기 제1또는 제2힌지를 중심으로 포갠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케이싱을 닫은 상태로부터 제1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힌지를 중심으로 대략 180°회전해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리고, 상기 제2케이싱을 닫은 상태로부터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2힌지를 중심으로 대략 90°회전해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는, 표면에 표시부를 가지고, 이 표시부의 세로 방향을 따른 방향에 세로 방향이 설치된 상부 케이싱과, 이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싱의 이면에, 표면이 겹쳐져 상기 상부 케이싱에 적층 된 하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을,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관통하는 축선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걸어맞추는 회전용 걸어맞춤 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선은, 상기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조작부를 가지는 제1의 케이싱과,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케이싱 위에 포개서 배치되는 제2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케이싱을 180도 회전시킬 때에는,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리고, 90도 회전시킬 때에는,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이 T자 모양에 열리도록 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케이싱에 있어서의 표시부 설치면의 대면에 고정한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힌지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힌지용 끼워맞춤 구멍을 가진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의 케이싱의 조작부 설치면과 동일면에 설치한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의 케이싱에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힌지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고, 상기 힌지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된 힌지 축과, 상기 힌지 축의 일부에서 상기 힌지 본체로부터 돌출한 부착 보스와, 상기 힌지 본체 안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힌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힌지 축과 접촉시키는 탄성체 A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 보스와 상기 힌지용 끼워맞춤 구멍을 상대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휴대 기기에 의하면, 하부 케이싱 및 상부 케이싱이 서로 포개진 상태로부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회전용 걸어맞춤 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이 대략 90° 교차하는 형상으로 원 액션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원 액션으로 변형한 형상이, 인간 공학적으로 편암함을 얻을 수 있는 대칭형상에 근접하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인간 공학적으로 뛰어난 특성과, 원 액션으로 변형할 수 있는 편리성을 겸비한 휴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에 의하면, 제1힌지를 중심으로 180°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 및 제2케이싱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리고, 제2힌지를 중심으로 90°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 및 제2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리므로, 슬라이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힌지의 용이한 조작으로 제1 및 제2케이싱의 배치 관계를 일직선 모양 및 T자 모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에 의하면, 제2케이싱을 힌지를 중심으로 180°회전시켰을 때에는 제2케이싱 및 제1케이싱이 일직선 위에 열리고, 제2케이싱을 90°회전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시켰을 때에는, 제1 및 제2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리므로,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배치 또는 가로로 길게 배치로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형 또한 소형인 휴대 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에 의하면,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수화용 리시버와 스피커를 구비했으므로, 큰 화면에 대응시킨 입체감 있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a은 2개의 케이싱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은 제1의 힌지를 중심으로 180°회전시켜서 2개의 케이싱을 일직선 모양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1c는 제2의 힌지를 중심으로 90°회전시켜서 2개의 케이싱을 T자 모양으로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1은 LCD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2)가 표면측에 설치된 표시측 케이싱, 3은 텐키 등의 조작 버튼(4)이 표면측에 배열된 조작측 케이싱이다. 표시측 케이싱(1)에는 닫은 상태에서도 휴대 전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4개의 기능키(5)와 십자키(6)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포켓이나 가방에 넣어가지고 다닐 때에는 도 1a와 같이 닫아 콤팩트한 양태로 하고 통화나 표시장치(2)에 세로로 긴 화면표시를 할 때에는 도 1b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과 조작측 케이싱(3)을 일 직선 모양으로 배치한 양태로 하여 표시장치(2)에 메일 문장이나 텔레비젼 화면 등의 가로로 길게 표시할 때에는 도 1c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과 조작측 케이싱(3)을 T자 모양으로 배치한 양태로 하여 유저의 사용에 제공된다.
우선, 구체적인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일직선 모양 또는 T자 모양으로 배치할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할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표시측 케이싱(1)의 이면 및 조작측 케이싱(3)의 표면이 겹쳐져 닫은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을 지면 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시켜서 열면, 동 도면 b, c, d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과 조작측 케이싱(3)이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이 경우,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회전시키는 힌지 축은 각각의 케이싱 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T자 모양으로 배치시킬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닫은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을 지면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열면, 동 도면 b, c, d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과 조작측 케이싱(3)이 T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이 경우,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회전시키는 힌지 축은 각각의 케이싱 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편재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 조작되는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 싱(3)을 연결하는 힌지 기구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힌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 조립도이며, 7은 조작측 케이싱(3)에 부착되는 제1힌지이며, 사각형의 힌지 축(7a)이 설치된다. 이 힌지 축(7a)에는 스토퍼(8) 및 연결편(9)에 형성한 사각형의 구멍이 끼워지고, 조작측 케이싱(3)의 이면으로부터 나사 N1을 샤프트(10)에 설치한 나사 구멍에 박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도 5는 연결편(9)의 상세를 나타낸 부품도이며, 9a는 상기 힌지 축(7a)에 끼운 사각형의 구멍이다.
또한 11은 표시측 케이싱(1)에 부착된 제2힌지이며, 나사 N2 및 N3에 의해 표시측 케이싱(1)에 형성한 나사 보스에 나사 결합된다. 힌지(11)내경의 힌지 축에는 키 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12는 샤프트이며, 힌지(11)의 장착시에 상기 힌지(11)와 표시측 케이싱(1)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된다. 13은 샤프트이며, 연결편(9)의 키 홈(9b) 및 힌지(11)의 키 홈(11a)에 끼우는 돌기(13a)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된다. 이 샤프트(13)는 나사 N4를 샤프트(12)의 나사 구멍에 박음으로서 조립된다.
그러나, 제1힌지(7)는 조작측 케이싱(3)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부착되고, 제2힌지는 표시측 케이싱(1)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편재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힌지(7, 11)는 연결편(9)으로 연결되고 있고, 이 연결편(9)으로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이 포갠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제1 및 제2힌지(7, 11)에 의한 개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닫은 상태에서 조작측 케이싱(3)측으로부터 상기 조작측 케이싱(3)을 통해 힌지 기구를 그린 것이다. 단, 편의상, 조작측 케이싱(3)에 형성하고 있는 스토퍼로서의 리브(14)를 가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힌지(7)는 스토퍼(8)가 조작측 케이싱(3)에 형성한 리브(14)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시계방향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또한 제2힌지(11)는 표시측 케이싱(1)에 형성하고 있는 벽(15)이 연결편(9)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 표시측 케이싱(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우선, 표시측 케이싱(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힌지(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180°회전하면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8)가 조작측 케이싱(3)에 형성한 리브(14)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전을 저지한다. 즉, 표시측 케이싱(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180°회전하여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이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 상태로 열린다. 따라서,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화에 적합한 길이가 되고, 또한 표시 장치(2)가 세로로 긴 화면표시가 되어, 세로로 긴 화상을 보면서 조작 버튼(4)등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표시측 케이싱(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90°회전하면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의 벽(16)이 조작측 케이싱(3)에 형성한 리브(14)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 전을 저지한다. 즉, 표시측 케이싱(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90°회전하여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이 T자 모양으로 배치된 상태로 열린다. 따라서, 도 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2)가 가로로 긴 화면표시가 되어, 가로로 긴 화상을 보면서 조작 버튼(4)등을 조작하고, 메일 문서작성이나 가로로 긴 텔레비젼 화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는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에 각종의 전자부품을 탑재하고 있으며, 각각의 전자부품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개폐 조작했을 경우, 조작에 따라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응력이 가해져, 파괴 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편(9)을 이용함으로써,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신호선으로서의 케이블(17)은, 제1힌지(7), 연결편(9),및 제2힌지(11)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17)은 연결편(9)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표시측 케이싱(1) 및 조작측 케이싱(3)을 개폐 조작했다고 해도 스트레스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서는 신호선으로서 케이블을 배치하고 있지만, 플렉시블 프린 트 기판 등 다른 신호선이어도 동일하다.
실시예 2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10)는, 표시측 케이싱(상부 케이싱)(120), 조작측 케이싱(하부 케이싱)(130)),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변형부)(150), 돌기부(16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을 가진다.
표시측 케이싱(120)은, 표면(121)에,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122), 주로 수신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수화부)(126), 항상 표면에 노출하고 있고, 소정기능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능키(127), 항상 표면에 노출하고 있고, 표시장치(122)에 표시된 화상을 상하 좌우로 제어하는 십자 키(128)를 구비한다.
조작측 케이싱(130)은, 표면(131)에, 주로 송신하기 위한 소리를 모으는 마이크(송화부)(134),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할 경우에 이용되는 텐키(135)를 구비한다.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은, 표시측 케이싱(120)의 이면(125)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표시측 케이싱(120)과 조작측 케이싱(130)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는, 회전 받이부(141), 캠 부분(회전 허용 부분, 슬라이드 규제 부분)(142), 슬라이드용 판(회전 규제 부분, 슬라이드 허용 부분)(143)을 구비한다.
회전 받이부(141)는, 조작측 케이싱(130)의, 가로 방향 B의 대략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의 축선 C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받이부(141)는, 조작측 케이싱(130)에 나사고정되어, 조작측 케이싱(130)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드를 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축선 C는, 조작측 케이싱(130)의 가로 방향의 일단부(13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선 C는, 조작측 케이싱(130)의 이면(132)으로부터,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 표시측 케이싱(120)의 이면(125) 및 표시측 케이싱(120)의 표면(121)에, 조작측 케이싱(130) 및 표시용 케이싱(120)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는, 표시측 케이싱(12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123)로부터 축선 C까지의 거리가, 표시측 케이싱(12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124)로부터 축선 C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표시측 케이싱(120)의 일단부(123)를, 조작측 케이싱(130)의 가로 방향의 일단부(133)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조작측 케이싱(130)에 대하여 대략 1/4회전한 상태로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캠 부분(142)은, 회전 받이부(141)에 수용됨과 동시에, 회전 받이부(141)내부에서, 상기 축선 C 방향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 부분(142)의 중심에는, 동축 케이블(180)을 관통시키는 케이블용 구멍(142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판(143)은, 캠 부분(142)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용 판(143)은, 판금이 절곡되어, 캠 부분(142)과 슬라이드용 판(143)을 나사 고정하는 나사의 축선방향을 따른 벽부(14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용 판(143)의 단부 중, 휴대 전화기(11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143b)는, 슬라이드용 판(143)의 두께 방향과, 휴대 전화기(110)의 두께 방향이 가지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용 판(143)은, 표시측 케이싱(120)에 대해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용 판(143)에는, 동축 케이블(180)을 관통시키는 케이블용 구멍(143c)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150)는, 슬라이드 받이부(151), 슬라이드용 판(143), 캠 부분(142)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받이부(151)는, 표시측 케이싱(120)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받이부(151)의 단부 중, 휴대 전화기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는, 슬라이드용 판(143)의 단부(143b)를 수용하는 단부 수용용 홈(15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받이부(151)에는, 조작측 케이싱(130)의 폭방향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 부근에, 홈(151b)이 형성되어 있다.
홈(151b)은, 돌기부(160)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 초기시 돌기 수용용 홈부(151c)를 가지고 있으며, 이 초기시 돌기 수용용 홈부(151c)로부터, 조작측 케이싱(130) 및 표시측 케이싱(120)의 세로 방향을 따라 대략 일직선 위에 연장하는 슬라이드 허용 홈부(151d), 초기시 돌기 수용용 홈부(151c)로부터, 축선 C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호를 그려 형성된 회전 허용 홈부(151e)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허용 홈부(151d)를 형성하는 벽면을, 슬라이드 회전 규제용 벽부(슬라이드 회전 규제부)(151f)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회전 허용 홈부(151e)를 형성하는 벽면을, 회전 슬라이드 규제용 벽부(회전 슬라이드 규제부)(151g)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 받이부(151)에는, 동축 케이블(180)을 관통시키는 케이블용 구멍(151h)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60)는,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에 돌출하도록, 조작측 케이싱(1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60)의 형성 위치는,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을 포갰을 경우에, 돌기부(160)가, 홈(151b)의 초기시 돌기 수용용 홈부(151c)에 수용되는 위치이다.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은, 선세공 스프링이며, 권부(171), 선형상 부(172), 선형상부(173)를 구비한다. 한쪽의 선형상 부(172)의 단부가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의 돌기부(도시 생략)에 걸림과 동시에, 다른 쪽의 선형상부(173)의 단부가 슬라이드용 판(143)에 설치된 돌기부(도시 생략)에 걸려 있다. 또한 선세공 스프링은, 권부(171)를 기점으로 하여 각각 연장하는 선형상 부(172)와 선형상부(173)가, 자연 길이 상태에서 대략 く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180)은, 슬라이드 받이부(151)에 형성된 케이블용 구멍(151h), 슬라이드용 판(143)에 형성된 케이블용 구멍(143c) 및 캠 부분(142)에 형성된 케이블용 구멍(142a)에 수용되어, 표시측 케이싱(1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판(도시 생략)과, 조작측 케이싱(1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판(도시 생략)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13은, 회전 받이부(141) 및 캠 부분(142)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회전 받이부(141)는, 고정 부분(141a) 및 회전 부분(141h)을 구비한다.
고정 부분(141a)는, 고정용 접시부(141b), 고정용 팔부(141c), 구멍(141d), 끼워맞춤용 내측테두리(141e), 캠용 오목부(141f), 화상열람 형상시 캠용 오목부(141g)를 구비하며,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접시부(141b)는, 고정 부분(141a)의 바닥의 부분이다.
고정용 팔부(141c)는, 고정 부분(141a)의 주위로부터 돌출하여 연장하고 있다.
구멍(141d)은, 고정용 팔부(141c)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41d)에는 나사가 관통하고, 관통한 나사에 의해, 고정 부분(141a)과 조작측 케이싱(130)이 나사고정된다.
끼워맞춤용 내측테두리(141e)는, 고정 부분(141a)의 상측의 개구 주변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캠용 오목부(141f)는, 고정용 접시부(141b)에 움푹 들어가 설치된 경사면이며, 움푹 들어간 부분은, 우산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 받이부(141)에는, 캠 부분(142)을, 도 13에 있어서의 지면 상측으로부터 화살표 D방향을 따라 바라 보았을 경우에, 축선 C의 위치를 기준으로, 캠용 오목부(141f)와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다른 캠용 오목부(141f)가 설치된다.
화상열람 형상시 캠용 오목부(141g)는, 고정용 접시부(141b)로 움푹 들어가 설치된 경사면이며, 움푹 들어간 부분은, 우산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 받이부(141)에는, 캠 부분(142)을, 도 13에 있어서의 지면상측으로부터 화살표 D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축선 C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상열람 형상시 캠용 오목부(141g)와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다른 화상열람 형상시 캠용 오목부(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또한, 캠용 오목부(141f)의 하나에서 축선 C까지를 잇는 선분과, 화상열람 형상시 캠용 오목부(141g)에서 축선 C까지를 잇는 선분은, 서로 90°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 부분(141h)은, 끼워맞춤 용 외측테두리(141i)를 가진다. 회전 부분(141h)은,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끼워맞춤 용 외측테두리(141i)는, 회전 부분(141h)의 하측의 입구 주변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끼워맞춤 용 외측테두리(141i)는, 끼워맞춤 용 내측테두리(141e)와 끼워 맞춰지고, 고정 부분(141a)과 회전 부분(141h)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한다.
캠 부분(142)은, 케이블용 구멍(142a), 캠용 볼록부(142b), 나사 홈(142c)을 구비한다. 캠 부분(142)은,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캠 부분(142)이 회전 받이부(14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수용된다.
케이블용 구멍(142a)은, 캠 부분(14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 부분이며, 동축 케이블(18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용 볼록부(142b)는, 캠용 오목부(141f)에 수용가능한 우산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나사 홈(142c)은, 캠 부분(142)의 두꺼운 부분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부분(142)은, 도시를 생략하는 회전 어시스트용 스프링에 의해, 항상 고정용 접시부(141b)를 향하는 방향 D로 가압하고 있다.
슬라이드용 판(143)은, 벽부(143a)와, 단부(143b)를 구비한다. 또한 슬라이드용 판(143)은, 캠 부분(142)의 나사 홈(142c)에 수용되는 나사에 의해, 캠 부분(142)에 고정되어 있다.
벽부(143a)는, 휴대 전화기(11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드용 판(143)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벽부(143a)는, 휴대 전화기(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단부(143b)는, 벽부(143a)의 단부가 절곡되어, 휴대 전화기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150)는, 슬라이드 받이부(151), 슬라이드용 판(143), 캠 부분(142)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받이부(151)는, 표시측 케이싱(120)에 나사고정된 판금이며, 단부 수용용 홈(151a), 홈(151b), 케이블용 구멍(151h)을 구비한다.
단부 수용용 홈(151a)은, 휴대 전화기(1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받이부(151)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홈이다. 단부 수용용 홈(151a)에는, 슬라이드용 판(143)의 단부(143b)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있다.
홈(151b)은, 휴대 전화기(110)의 폭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받이부(151)의 대략 중앙 및 중앙주변에 형성되고 있으며, 초기시 돌기 수용용 홈부(151c), 슬라이드 허용 홈부(151d), 회전 허용 홈부(151e), 슬라이드 회전 규제용 벽부(151f), 회전 슬라이드 규제용 벽부(151g)를 구비한다.
초기시 돌기 수용용 홈(151c)은, 축선 C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허용 홈부(151d)에서는, 초기시 돌기부 수용용 홈(151c)을 기점으로 하여, 휴대 전화기(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회전 허용 홈부(151e)는, 초기시 돌기부 수용용 홈(151c)을 기점으로 하여, 축선 C를 중심으로, 축선 C에서 초기시 돌기부 수용용 홈(151c)까지의 길이를 반경으로 한 호를 그린다. 슬라이드 회전 규제부(151f)는, 슬라이드 허용 홈부(151d)를 형성하는 벽이다. 회전 슬라이드 규제용 벽부(151g)는, 회전 허용 홈부(151e)를 형성하는 벽이다. 케이블용 구멍(151h)은, 슬라이드 받이부(151)를 동축 케이블(18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a는,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이 포개져 있는 경우의 휴대 전화기(110)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b는,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과, 표시측 케이싱(120)의 이면(125)을 포갠 채, 표시측 케이싱(120)과 조작측 케이싱(130)을 서로 회전시켰을 경우의 휴대 전화기(110)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의 배치 위치를 도 14a, 도 14b에 의거하여 설명한 다. 휴대 전화기(110)에 있어서, 표시측 케이싱(120)은, 폭치수 W1, 세로 방향의 치수 L1을 가진다. 또한 조작측 케이싱(130)은, 폭치수 W2, 길이 방향의 치수 L2를 가진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조작측 케이싱(130)의 우단부가, 표시측 케이싱(120)의 우단부보다도 오른쪽으로 벗어난 편차량을 a, 조작측 케이싱(130)의 상단부가, 표시측 케이싱(120)의 상단부보다도 위쪽으로 벗어난 편차량을 b로 한다.
이 경우, 조작측 케이싱(130)의 가로 방향의 단부에서, 축선 C까지의 거리Ⅹ는,
Ⅹ= (2W1+W1-L1+2a-2b)/4
를 만족시킬 경우에,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과 표시측 케이싱(120)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조작측 케이싱(130)에 대하여 표시측 케이싱(120)을 회전시켰을 경우에, 표시측 케이싱(120)의 오른쪽의 부분으로 조작측 케이싱(130)과 겹치지 않은 부분의 표시측 케이싱(120)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표시측 케이싱(120)의 왼쪽의 부분으로 조작측 케이싱(130)과 겹치지 않는 부분의 표시측 케이싱(120)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생기는 조립 오차가 존재한다고 해도, 충분히 편안함을 얻을 수 있고, 안정되게 들 수 있는 대칭형상이 되기 때문에, 거리Ⅹ는, 표시측 케이싱(120)과, 조작측 케이싱(130)의 조립오차의 범위에서 벗어나도 된다.
또한 편차량 a가, 조립 오차에 의해, amin<a<amax가 되고, 편차량 b가 조립 오차에 의해, bmin<b<bmax가 될 경우, 거리Ⅹ는,
(2W1+W1-L1+2amin-2bmax)/4 <Ⅹ
<(2W1+W1-L1+2amax-2bmin)
가 된다.
Ⅹ가 상기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는, 편안함 및 안정되게 충분히 들수 있게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조작측 케이싱(하부 케이싱)(130)의 우단부가, 표시측 케이싱(상부 케이싱)(120)의 우단부에서도 오른쪽으로 벗어난 경우 및 조작측 케이싱(하부 케이싱)(130)의 상단부가, 표시측 케이싱(상부 케이싱)(120)의 상단부보다도 위쪽으로 벗어난 경우를 전제로 하여 Ⅹ의 범위를 설명했지만, 조작측 케이싱(하부 케이싱)(130)의 우단부가, 표시측 케이싱(상부 케이싱)(120)의 우단부보다도 왼쪽으로 벗어난 경우나, 조작측 케이싱(하부 케이싱)(130)의 상단부가, 표시측 케이싱(상부 케이싱)(120)의 상단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벗어난 경우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당연히 Ⅹ의 범위는 상기 식과 다르게 되지만, 조립 오차를 전제로 하여 Ⅹ의 값이 변동했다고 해도, 편안함과 유지의 안정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즉, 편차량 a가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우단이 오른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편차량 b가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위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할 경우에는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 a < amax
bmin < b < bmax
라고 하면, 하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의 변에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는,
(2W1+W1-L1-2amax+2bmin)/4 <Ⅹ
<(2W1+W1-L1-2amin+2bmax)/4가 된다.
또한 편차량 a가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우단이 왼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상기 편차량 b가,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위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는 경우에는,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 a < amax
bmin < b < bmax
라고 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의 변에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는,
(2W1+W1-L1+2amin+2bmin)/4 <Ⅹ
<(2W1+W1-L1+2amax+2bmax)/4
가 된다.
또한, 편차량 a가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우단이 오른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상기 편차량 b가,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아래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할 경우에는,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 a < amax
bmin < b < bmax
라고 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의 길이 방향의 변에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는,
(2W1+W1-L1-2amax-2bmax)/4 <Ⅹ
<(2W1+W1-L1-2amin-2bmin)/4
가 된다.
도 15는, 휴대 전화기(110)를,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이 서로 슬라이드 하도록 변형시켰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a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휴대 전화기(110)가 가방 등에 수용될 경우의 휴대 전화기(110)의 형상(이하, 「수용용 형상」이라고 한다)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b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휴대 전화기(110)가 통화나 메일 작성시에 사용될 경우의 휴대 전화기(110)의 형상(이하, 「통화용 형상」이라고 한다)으로 변형하고 있는 동안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c는, 휴대 전화기의 구성도로서, 통화용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휴대 전화기(110)의,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을 서로 슬라이드 시키는 동작을, 도 15a∼도 15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수용용 형상에 있어서,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은 완전히 겹쳐지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을 서로 슬라이드시키면, 조작측 케이싱(130)에 설치된 마이크(134)와, 표시측 케이싱(120)에 설치된 스피커(126)가 서로 이격되고, 통화용 형상에 있어서는, 마이크(134)와 스피커(126)의 거리는, 수용용 형상의 경우의 마이크(134)와 스피커(126)의 거리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마이크(134) 및 스피커(126)는, 유저 머리부의 입 및 귀의 각각의 위치에 다가가게 되어 통화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통화용 형상에서는, 텐키(135))가 완전히 노출하여, 메일 입력 조작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6a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수용용 형상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b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동안의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c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통화용 형상의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 이블(180)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20)을 외부에서 바라본 경우에는 보이지 않지만, 도 16에 있어서는, 편의상,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 동축 케이블(180)이 항상 보이는 상태로서 도면을 그리고 있다.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가,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변화되는 모양을, 도 16a∼도 16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수용용 형상에 있어서,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은 완전히 겹쳐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에는 복원력이 생기지 않고 있다.
수용용 형상에서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도중에, 휴대 전화기(110)의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은,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의 일단과 타단과의 간격이 짧아진다. 그 결과,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의 권부(171)의 길이가 연장되어,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에 복원력이 발생한다.
수용용 형상으로부터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도중에, 수용용 형상에 가까운 경우에는,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의 일단과 타단과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이 겹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어시스트 된다. 또한 수용용 형상에서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도중에, 통화용 형상에 가까운 경우에는,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의 일단과 타단과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 함으로써,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이 넓어지도록 슬라이드가 어시스트 된다.
휴대 전화기(110)가 수용용 형상인 경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180)에는, 외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는다.
수용용 형상에서 통화용 형상으로 휴대 전화기(110)가 변형하고 있는 도중에, 동축 케이블(180)은, 일단과 타단과의 간격이 다가감으로써 약간 변형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10)가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180)에는, 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17은, 휴대 전화기(110)를,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이 서로 슬라이드 하도록 변형시켰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a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수용용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b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휴대 전화기(110)이 TV영상이나, 가로로 긴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을 열람할 경우의 휴대 전화기(110)의 형상(이하, 「화상열람용 형상」이라고 한다)으로 변형하고 있는 도중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c는, 휴대 전화기의 구성도로서, 화상열람용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휴대 전화기(110)를,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과 표시측 케이싱(120)의 이면(125)을 포갠 채,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을 서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 17a∼도 17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수용용 형상에 있어서,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은 완전히 겹쳐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10)를 조작측 케이싱(130)의 표면(131)과 표시측 케이싱(120)의 이면(125)을 포갠 채,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을 서로 회전시키면, 표시장치(122)의 세로 방향이, 조작측 케이싱(130)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대략 90°를 이루는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조작측 케이싱(130)을, 메일을 보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잡으면서, 텔레비젼 영상 등의 가로로 긴 화상을 무리없이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a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수용용 형상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b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도중의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c는, 휴대 전화기(110)의 구성도로서, 화상열람용 형상의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은,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20)을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경우에는 보이지 않지만, 도 18에 있어서는, 편의상,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이 상시 보이는 상태 로서 도면을 그리고 있다.
휴대 전화기(110)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동축 케이블(180)의 위치 관계가,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변화되는 모양 및 회전 받이부(141) 및 캠 부분(142)이 서로 회전하는 모양을, 도 13 및 도 18a∼도 18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수용용 형상에 있어서, 조작측 케이싱(130)과 표시측 케이싱(120)은 완전히 겹쳐져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및 동축 케이블(180)에는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이 상태에 있어서, 회전 받이부(141)와 캠 부분(142)의 위치 관계는,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10)가, 수용용 형상에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도중에, 슬라이드 어시스트용 스프링(170) 및 동축 케이블(180)은 변형하지 않는다.
한편, 수용용 형상에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할 경우에, 이 변형의 시작에 있어서는, 캠 부분(142)의 캠용 볼록부(142b)가, 캠용 오목부(141f)의 경사면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올라간다. 캠용 볼록부(142b)가, 캠용 오목부(141f)의 경사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캠 부분(142)의 고정 부분(141a)에 대한 회전(즉, 조작측 케이싱(130)에 대한 표시측 케이싱(120)의 회전)을 멈추면, 캠 부분(142)은, 캠용 볼록부(142b)가 캠용 오목부(141f)의 경사면을 내려가,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것은, 회전 어시스트용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캠 부분(142)이 고정용 접시부(141b)를 향하는 방향 D로 상시 가압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용용 형상에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의 변형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캠용 볼록부(142b)가 캠용 오목부(141f)를 벗어나 고정용 접시부(141b)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 어시스트용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방향 D로 가압되어도, 캠 부분(142)은 고정 부분(141a)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수용용 형상에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의 변형이 더 진행되면, 캠용 볼록부(142b)는, 화상열람 형상시 캠용 오목부(141g)의 경사면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캠용 볼록부(142b)의 고정 부분(141a)에 대한 회전(즉, 조작측 케이싱(130)에 대한 표시측 케이싱(120)의 회전)을 멈추면, 캠용 볼록부(142b)가, 화상열람용 형상시 캠용 오목부(141g)의 경사면을 자동적으로 내려간다.(즉, 조작측 케이싱(130)에 대한 표시측 케이싱(120)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은, 회전 어시스트용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캠용 부품(142)이 방향 D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기(110)는, 도 18c에 나타내는 화상열람용 형상으로의 변형이 완료된다.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11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110)에 의하면, 하부 케이싱(조작측 케이싱(130)) 및 상부 케이싱(표시측 케이싱(120))이 서로 겹친 상태로부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하부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이 대략 90° 교차하는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원 액션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의 축선 C가,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 액션으로 변형한 화상열람용 형상이, 인간 공학적으로 기분 좋음을 얻을 수 있는 대칭형상에 근접하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인간 공학적으로 우수한 특성과, 원 액션으로 변형할 수 있는 편리성을 겸비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 액션으로 변형한 화상열람용 형상은 대칭형상이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10)의 중심이 중앙에 가깝고, 유저가 휴대 전화기(110)를 쥐었을 경우에 안정감이 좋다. 따라서, 장시간 텔레비젼을 열람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느끼는 피로감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회전용 걸어맞춤 부(140)에 의한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부(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150))를 구비한다.
한편, 가령, 하부 케이싱 또는 상부 케이싱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회전용 걸어맞춤 부 만으로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을 끼운 경우에는,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을 서로 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이 완전히 직선 모양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송화부(마이크(134))와 수화부(스피커(126))를 이격시킨 통화용 형상에 있어서, 형상의 대칭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통화용 형상에 있어서, 인간 공학적인 기분 좋음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쥐었을 경우의 안정감이 저감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회전용 걸어맞춤 부에 의한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통화용 형상으로의 변형을 행할 수 있으므로,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한 상태에 있어서도, 형상의 대칭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로부터 얻어지는 기분 좋음을 인간 공학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통화용 형상에 있어서 대칭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통화용 형상에 있어서도 휴대 전화기의 중심(重心)이 중심(中心)에 근접한다. 따라서, 유저가 휴대 전화기를 쥐었을 경우의 안정감이 증대된다.
특히, 메일용 문장을 작성할 경우 등, 장시간 문장입력을 행할 경우 등에는, 유저가 느끼는 피로감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변형부를,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하도록 걸어맞추는 슬라이드용 걸어 맞춤부로 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1에서 나타낸 휴대 전화기와 같이, 수용용 형상에서 통화용 형상에 변형할 경우를 제1회전으로 하고, 수용용 형상에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할 경우를 상기 제1회전과 다른 제2회전으로 했을 경우,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려고 하여, 잘못하여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수용용 형상에서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시켜, 수용용 형상에서 화 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하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서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착신시에, 잘못하여 화상열람 상태로 변형하는 경우가 적어진다. 따라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한 후에, 수용용 형상으로 되돌리고나서 다시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는 경우에 비하여, 신속히 통화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 2의 회전용 걸어맞춤 부는,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을 허용해서 걸어맞춰진 회전 허용 부분(캠 부분(142))과, 이 회전 허용 부분에 고정되어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을 규제하여 끼워맞춰진 회전 규제 부분(슬라이드용 판(143))을 가지고,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를 허용하여 끼워맞춰진 슬라이드 허용 부분(슬라이드용 판(143))과, 이 슬라이드 허용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를 규제하여 끼워맞춰진 슬라이드 규제 부분(캠 부분(142))을 가지며, 이 슬라이드 규제 부분은 상기 회전 허용 부분이다.
따라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일부와,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의 일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부 설치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이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어긋났을 경우에,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이 더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회전 규제부(슬라이드 회전 규제용 벽부(151f))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및 회전시킬 수 있으면, 하부 케이싱 및 상부 케이싱을, 수용용 형상으로부터,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다시,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을 행하면, 이러한 변형을 행했을 경우에만, 하부 케이싱의 표면 중, 상부 케이싱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가 나타난다.
이러한 특수한 변형을 행했을 경우에만 노출하는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에 미관을 손상시키는 부품을 배치할 수 없는 등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실시예 2에 의하면, 그러한 특수한 변형을 행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으므로, 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어긋났을 경우에,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이 다시 슬라이드 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슬라이드 규제부(회전 슬라이드 규제용 벽부(151g))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서로 회전 및 슬라이드 시킬 수 있으면, 하부 케이싱 및 상부 케이싱을 수용용 형상에서 화상열람용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다시,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을 슬라이드 시키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을 행하면, 이러한 변형을 행했을 경우에만, 하부케이싱의 표면 중, 상부 케이싱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가 나타난다.
이러한 특수한 변형을 행했을 경우에만 노출하는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에 미관을 손상시키는 부품을 배치할 수 없는 등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그러한 특수한 변형을 행하지 않도록 규제하 고 있으므로, 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했을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9a는 2개의 케이싱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b는 힌지를 중심으로 180°회전시켜서 2개의 케이싱을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c는 힌지를 중심으로 90°회전시킨 위치에서 슬라이드 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201은, LCD표시장치(202)가 표면측에 설치된 표시측 케이싱, 203은, 텐키 등의 조작 버튼(204)이 표시측에 배열된 조작측 케이싱이다. 표시측 케이싱(201)에는, 닫은 상태에서도 휴대전화조작이 가능하도록, 여러개의 기능 키(205)와 방향 키(206)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 3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포켓이나 가방에 넣어 들고 다닐 때에는, 도 19a와 같이 닫아 콤팩트한 모양으로 하고, 통화나 표시장치(202)에 세로로 긴 화면표시를 할 때에는, 도 19b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을 일직선 위에 배치시킨 모양으로 하며, 표시장치(202)에 메일 문장이나 텔레비젼 화면 등을 가로로 길게 표시할 때에는, 도 19c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을 T자 모양으로 배치시킨 모양으로 하여 유저의 사용에 제공된다.
우선, 구체적인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일직선 모양에 열거나 혹은 닫은 상태로 배치시키는 경우의 조작 을 간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열어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할 경우 및 닫을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0a는, 표시측 케이싱(201)의 이면과 조작측 케이싱(203)의 표면이 겹쳐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을 지면 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동 도면 b의 위치를 넘을 때까지 회전시키면, 힌지 장치(상세설명은 후술한다.)의 작용에 의해, 동 도면 c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과 조작측 케이싱(203)이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을 지면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동 도면 d의 위치를 넘을 때까지 회전시키면, 힌지 장치의 작용에 의해, 동 도면 e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이 닫힌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도 21은,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T자 모양으로 열거나 또는 닫은 상태로 배치시킬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1a는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린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을 지면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동 도면 b가 되어,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측 케이싱(201)을 지면 위에서 왼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동 도면 c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이 T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다음에 이 상태로부터, 표시측 케이싱(201)을 지면 위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동 도면 d가 되고, 다시 이 상태에서,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을 지면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동 도면 e의 위치를 넘을 때까지 회전시키면, 힌지 기구의 작용에 의해, 동 도면 f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이 닫힌 상태로 배치된다.
도 21g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이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1)을 지면 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동 도면 b가 되고, 이후 c, d, e, f로 상태를 변화시킨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 조작되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연결하는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 조립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207은, 표시측 케이싱(201)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이며, 대략 ㄷ자 모양 단면의 레일부(207a)와, 원형 모양의 회전부 구멍(207b) 및 타원형의 슬라이드부 구멍(207c)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 제어 구멍(207d)이 설치된다. 이 레일부(207a)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8)가 레일부(207a)에 대하여 수평이동 가능하고, 회전이 불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있으며,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8)에는, 사각형의 힌지용 걸어맞춤 구멍(208a)과, 홈(208b)이 설치된다.
2O9는, 조작측 케이싱(203)에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힌지 장치이며, 사 각형의 보스부를 가지는 힌지 축(209a)과, 축 중심에 통 모양의 구멍(209b)이 설치된다. 이 힌지 축(209a)의 보스부는, 상기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08)의 사각형의 힌지용 걸어맞추는 구멍(208a)과 끼워진다. 210은, 힌지 축(209a)이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8)와 힌지(209) 사이에 설치한 와셔 A이다.
211은, 슬라이드 레일(207)의 회전 제어 구멍(207d)에 걸어 맞추는 회전 제어 플레이트이며, 슬라이드 레일의 회전부 구멍(207b)에 끼울 수 있는 원형을 기본형상으로 하여, 슬라이드부 구멍(207c)에 끼울 수 있는 커트면(211a)을 가지는 회전 제어부(211b)와, 샤프트부(211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샤프트부(211c)의 선단에는 나사구멍(211d)이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부(211c)가 힌지용 걸어맞추는 구멍(208a)과 와셔 A(210)와 원통 모양의 구멍(209b)을 관통한 상태에서, 조작측 케이싱(203)의 이면에서 와셔 B(212)를 통해, 나사(213)를 나사구멍(211d)에 박음으로써 조작측 케이싱(203)에 조립된다.
214는, 슬라이드 레일(207)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노치(208b)에 걸 수 있는 판 스프링이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 장치(209)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3에 있어서, 힌지 본체(209c)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이 조작측 케이싱(203)에 설치한 부착 구멍과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지는 8각 기둥 측면이며, 내측면은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209d)와 결합하도록 8각형을 도려낸 형상이다.
힌지 본체(209c)의 한쪽단 부근의 측면 위에는 걸어맞추는 구멍(209e)이 설 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중심축을 향해서 힌지 축 인접 벽(209f)이 설치된다. 한편, 저면판(209g)은, 힌지 본체(209c)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한 8각형의 판이며, 걸어맞추는 구멍(209e)에 끼워맞추어 힌지 장치(209)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 본체(209c) 안에는, 힌지 축 인접 벽(209f)에 접촉시켜 힌지 본체(209c)의 내면에, 원기둥 모양의 축부(209h)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회전하도록 축지지된 힌지 축(209a)과, 힌지 본체(209c)에 회전 불가능하도록 축지지된, 8각형의 슬라이드 부재(209d)를 설치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209i)이 슬라이드 부재(209d)를 가압하고, 슬라이드 부재(209d)를 힌지 축(209a)으로 누르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209d)의 힌지 축(209a)과 접촉하는 측의 단면에는, 단면 캠(209j)이 형성되고 있으며, 힌지 축(209a)의 슬라이드 부재(209d)와 접촉하는 측의 단면에는, 2개의 종동핀(209k)이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도 26∼도 2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6a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닫은 상태에서, 표시측 케이싱(201)으로부터 상기 표시측 케이싱(201)을 통해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를 그린 것이다.
도 26b는,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209d)와 힌지 축(209a)의 위치 관계이다. 도 2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면 캠(209j)에 있어서의 가장 캠 높이가 낮은 장소에 종동핀(209k)이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209i)의 수축 변형량이 최소이다.
도 26a에 있어서, 외부에서, 표시측 케이싱(201)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이 회전력이 표시 케이싱(201)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207)과, 슬라이드 레일(207)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슬라이드 플레이트(208)를 통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08)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힌지 축(209a)에 작용하고, 힌지 축(209a)이 회동하여 슬라이드 부재(209d)가 코일 스프링(209i)을 수축시키는 방향(동 도면 b 화살표 V)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부재(209d)는 코일 스프링(209i)으로부터 반력을 받고, 이 반력은 슬라이드 부재(209d)의 회전의 저항력으로서 작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회전 제어 플레이트(211)는, 커트면(211a)을 조작측 케이싱(203)의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부 구멍(207c)의 장축 방향과 커트면(211a)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제어부(211b)가 슬라이드부 구멍(207c)에 끼워맞추는 것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표시측 케이싱(201)은, 조작측 케이싱(20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지만 회전에 대하여 안정된 상태로, 슬라이드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26c는, 표시측 케이싱(201)이 동 도면 a의 선 W의 위치(개방 각도α)에 있을 때의 슬라이드 부재(209d)와 힌지 축(209a)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c)에서는, 상기의 닫힌 상태에 대하여 힌지 축(209a)의 각도위치가 다르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209d)는, 캠면의 설정에 따라 종동핀(209k)에 밀려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코일 스프링(209i)은 닫힌 상태일 때보다 더욱 압축되고, 이 압축분의 반력을 슬라이드 부재(209d)에 주고 있다.
종동핀(209k)과 단면 캠(209j)이 캠면의 경사진 모양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종동핀(209k)에는, 코일 스프링(209i)의 반력에 근거하는 회전 토오크가 작용하고 있다. 이 회전 토오크는 도면 중 Ⅹ의 방향이다. 이 상태로부터 표시측 케이싱(201)을 개방하면, 힌지 축(209a)이 화살표 Ⅹ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 축(209a)에 걸어맞춰진 슬라이드 플레이트(208)가 회전 동작한다. 그러면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08)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있는 슬라이드 레일(207)이 회전하고, 또한 동시에 슬라이드 레일(207)이 고정되어 있는 표시측 케이싱이 개방 동작한다.
도 27a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연 상태에서, 표시측 케이싱(201)으로부터 상기 표시측 케이싱(201)을 통해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를 그린 것이다.
도 27b는,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209d)와 힌지 축(209a)의 위치 관계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도면 26a와 같이, 표시측 케이싱(201)은, 조작측 케이싱(20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지만 회전에 대하여 안정한 상태로, 동시에 슬라이드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도 28a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90°연 상태에서, 표시측 케이싱(201)으로부터 상기 표시측 케이싱(201)을 통해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를 그린 것이다.
도 28b는,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209d)와 힌지 축(209a)의 위치 관계이다. 동 도면 b에서는, 슬라이드 부재(209d)는 캠면의 설정을 따라 종동 핀(209k)에 밀려서 이동한 상태에 있고, 표시측 케이싱(201)에는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다.
회전 제어 플레이트(211)는, 커트면(211a)이 조작측 케이싱(203)의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있으며, 슬라이드부 구멍(207c)의 장축 방향과 커트면(211a)이 병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제어부(211b)가 슬라이드부 구멍(207c)에 끼우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표시측 케이싱(201)을 조작측 케이싱(203)에 대하여, 화살표 Y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측 케이싱(201)을 슬라이드 시킴과 동시에 표시측 케이싱(201)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207)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슬라이드 레일(207)에 고정되어 있는 판 스프링(214)이 노치부(208b)에 걸려,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을 T자 모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9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표시측 케이싱(203)을 T자 모양으로 고정한 상태를, 표시측 케이싱(201)으로부터 상기 표시측 케이싱(201)을 통해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를 그린 것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T자 모양으로 고정한 상태로부터, 도 28a에 나타내는 화살표 Y와 역방향으로 표시측 케이싱(201)을 슬라이드 시키면, 판 스프링(214)과 노치(108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도 28a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측 케이싱(201)으로부터 손을 떼면, 표시측 케이싱(201)에 작용하고 있는 회전력에 의해,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은 도 2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닫힌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24, 도 25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표시측 케이싱(201) 및 조작측 케이싱(203)을 T자 모양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동 도면에 있어서, 215는 표시측 케이싱(201)에 실장된 수화용 리시버, 216은 착신음 등을 울리기 위한 스피커, 217은, 조작측 케이싱 내부에 실장되어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이 T자 모양으로 배치된 상태임을 검지하기 위한 홀 소자, 218은, 홀 소자(217)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마그넷(218)이다.
도 24의 상태에서는, 홀 소자(217)와 마그넷(218)은 대략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있으며, 마그넷(218)의 자력을 홀 소자(217)가 검지하고, 스위칭 기능을 한다. 이 홀 소자(218)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리시버(215)에 접속되어 있는 증폭회로를 보다 증폭량이 큰 증폭회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LCD표시장치(202)의 표시를 세로표시에서 가로표시로 전환함과 동시에, 리시버(215)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켜, 상기 스피커(216)와의 조합으로 스테레오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25는,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에 배치하는 신호선의 인회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5a는, 도 24의 s-s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5b는, 도 25a의 t-t선에 있어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19은, 표시측 케이싱(201)과 조작측 케이싱(20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이며, 219a는 제1 굴절부, 219b는 제2 굴절부, 219c는 감는 부이다. 표시측 케이싱(201)을 조작측 케이싱(203)에 대하여 u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렉시블 케이블(219)은 힌지 장치(209)를 중심으로 감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다시 말해, 플렉시블 케이블(219)은, 조작측 케이싱 내부로부터 힌지 장치(209)와 조작측 케이싱의 간극을 지나 표시측 케이싱(201)의 윗면으로 나온다. 그 위치에서 힌지 장치(209)의 주위를 감도록 감는 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절곡부를 거쳐 조작측 케이싱내부로 이끌리게 된다.
표시장치(201)와 조작측 케이싱(203)이 상대적 변위 할 때 플렉시블 케이블(219)이 필요로 하는 길이의 변화는, 회전시에는 감는 부가, 슬라이드 시에는 절곡부가 흡수하여, 발생하는 왜곡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플렉시블 케이블(219)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며,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표면에 설치된 커넥터가, 조작측 케이싱(203) 또는 표시측 케이싱(201)안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도시 생략)에 설치된 커넥터와 끼워지는 것으로, 플렉시블 케이블(219)과 상기 프린트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하면, 조작부를 가지는 제1의 케이싱과, 표시부를 가지고 제1의 케이싱 위에 포개서 배치되는 제2의 케이싱을 구비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제2의 케이싱을 힌지 장치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리고, 제2의 케이싱을 90도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리므로,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배치 또는 가로로 길게 배치로 배치전환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 에, 조작성이 좋고, 박형 또한 소형인,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기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힌지 장치를 케이싱의 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장치(209)에 감는 플렉시블 케이블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실장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보다는 설치 공간의 이용 효율이 떨어지지만, 플렉시블 케이블로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했다고 해도,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배치 또는 가로로 길게 배치로 배치전환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조작성이 좋고, 박형 또한 소형인,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기기를 얻을 수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제2케이싱의 표시부를 가로로 길게 끼워 양측에, 수화용 리시버와 스피커를 설치했기 때문에, 큰 화면에 대응시킨 입체감 있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의 케이싱과 힌지 장치의 끼워맞추는 면에 배선 홈을 설치하고, 이 배선 홈에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배치하여, 이 플렉시블 케이블로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의 서로 대향적 이동에 의한 케이블 길이의 변화를 흡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2개의 케이싱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시킬 경우의 조작성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T자 모양으로 배치시킬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 조립도이다.
도 5는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힌지를 구성하는 부품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측 케이싱을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측 케이싱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 사이에 배치하는 케이블의 인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회전 받이부 및 캠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 슬라이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 슬라이드 동작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회전 동작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시킬 경우의 조작 및 그 반대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T자 모양으로 배치시킬 경우의 조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 조립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T자 모양으로 배치시킨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에 배치하는 신호선의 인회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180°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90°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을 T자 모양으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 및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표시측 케이싱 2 : 표시장치
3 : 조작측 케이싱 7 : 제1힌지
8 : 스토퍼 9 : 연결편
11 : 제2힌지. 110 : 휴대 전화기
120 : 상부 케이싱 121 : 표면
122 : 표시부
123 :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의 일단부
124 :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의 타단부
125 : 이면 130 : 하부 케이싱
131 : 표면
133 :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일단부
140 : 회전용 걸어맞춤 부
142 : 회전 허용 부분(슬라이드 규제 부분)
143 : 회전 규제 부분(슬라이드 허용 부분)
150 : 변형부(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
151 : 회전 슬라이드부재(슬라이드 받이부)
151d : 슬라이드 허용 홈부 151e : 회전 허용용 홈부
151f : 슬라이드 회전 규제용 벽부(슬라이드 회전 규제부)
151g : 회전 슬라이드 규제부 160 : 돌기부
C:축선 201 : 표시측 케이싱
202 : LCD표시장치 203 : 조작측 케이싱
204 : 조작버튼 205 : 기능키
206 : 방향키 207 : 슬라이드 레일
208 : 슬라이드 플레이트 209 : 힌지장치
210 : 와셔 A 211 : 회전제어 플레이트
212 : 와셔 B 213 : 나사
214 : 판스프링 215 : 리시버
216 : 스피커 217 : 홀소자
218 : 마그넷 219 : 플렉시블 케이블

Claims (28)

  1. 전자기기를 탑재한 제1케이싱,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탑재한 제2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표면과 상기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측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편재한 개소에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 제1케이싱의 표면과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측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1힌지,
    상기 제1케이싱의 표면과 제2케이싱의 이면을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측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편재한 개소에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2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은, 상기 제1또는 제2힌지를 중심으로 포갠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제1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힌지를 중심으로 대략 180°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고,
    상기 제2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2힌지를 중심으로 대략 90°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제1힌지는 제1 또는 제2의 어느 한쪽의 케이싱에 부착되고, 제2힌지는 다른 쪽의 케이싱에 부착되며, 제1 및 제2힌지는 연결편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닫은 상태에서 제2케이싱을 제2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1힌지는 제1의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고, 제1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2힌지는 제2의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케이싱내에는 전자기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케이싱 표면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케이싱 표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케이싱 내에는, 전자기기로서 무선통신 수단 및 화상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무선통신 수단은 무선회선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무선통신 수단은, 텔레비젼방송을 수신하고, 표시장치는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8. 제 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케이싱내에는 전자기기가 설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케이싱 사이에서 신호 전달하는 신호선은, 제1힌지, 연결편 및 제2힌지를 따라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9. 표면에 표시부를 가지고, 이 표시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이 설치된 상부 케이싱과,
    이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의 이면에, 표면이 겹쳐져 상기 상부 케이싱에 적층된 하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을,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관통하는 축선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걸어 맞추는 회전용 걸어맞춤 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선은, 상기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축선은,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일단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용 걸어맞춤 부는,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의 일단부에서 축선까지의 거리가, 상기 상부 케이싱의 세로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축선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고,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하부 케이싱의 가로 방향의 상기 일단부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대략 1/4회전한 상태로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싱은, 치수 L1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1의 폭을 가지고,
    하부 케이싱은, 치수 L2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2의 폭을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각각 긴쪽 변 끼리 및 짧은 쪽 변끼리가 평행하게 되도록 포갰을 경우에, 긴쪽 변 하나의 편차량은 a로 하고, 이 긴쪽 변과 인접하는 짧은 쪽 변의 편차량은 b로 했을 때,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a <amax
    bmin < b < bmax
    라고 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기 긴쪽 변에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가,
    (2W1+W1-L1+2amin-2bmax)/4 <Ⅹ
    <(2W1+W1-L1+2amax-2bmin)/4
    (단, 상기 편차량 a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우단이 왼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상기 편차량 b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아래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한다.)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싱은, 치수 L1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1의 폭을 가지고,
    하부 케이싱은, 치수 L2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2의 폭을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각각 긴쪽의 변 끼리 및 짧은 쪽의 변끼리가 평행하게 되도록 겹쳤을 경우에, 긴쪽 변 하나의 편차량은 a로 하고, 이 긴쪽 변과 서로 인접하는 짧은 쪽의 변의 편차량은 b로 했을 때,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a <amax
    bmin < b < bmax
    라고 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기 긴쪽 변으로부터,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가,
    (2W1+W1-L1-2amax+2bmin)/4 <Ⅹ
    <(2W1+W1-L1-2amin+2bmax)/4
    (단, 상기 편차량 a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우단이 오른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상기 편차량 b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위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한다.)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싱은, 치수 L1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1의 폭을 가지고,
    하부 케이싱은, 치수 L2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2의 폭을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각각 긴쪽의 변끼리 및 짧은 쪽의 변끼리가 평행하게 되도록 겹친 경우에, 긴쪽 변의 하나의 편차량은 a로 하고, 이 긴쪽 변과 서로 인접하는 짧은 쪽 변의 편차량은 b로 했을 때,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a <amax
    bmin < b <bmax
    라고 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기 긴쪽의 변으로부터,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가,
    (2W1+W1-L1+2amin+2bmin)/4 <Ⅹ
    <(2W1+W1-L1+2amax+2bmax)/4
    (단, 상기 편차량 a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 싱의 우단이 왼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상기 편차량 b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위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한다.)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싱은, 치수 L1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1의 폭을 가지고,
    하부 케이싱은, 치수 L2의 긴쪽의 변 및 이 긴쪽의 변보다도 짧은 치수 W2의 폭을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각각 긴쪽의 변끼리 및 짧은 쪽의 변끼리가 평행하게 되도록 겹친 경우에, 긴쪽 변의 하나의 편차량은 a로 하고, 이 긴쪽의 변과 인접하는 짧은 쪽의 변끼리의 편차량은 b로 했을 때,
    편차량 a 및 편차량 b의 조립 오차가, 각각
    amin< a <amax
    bmin < b<bmax
    라고 하면,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기 긴쪽의 변으로부터, 회전용 걸어맞춤 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거리Ⅹ가,
    (2W1+W1-L1-2amax-2bmax)/4 <Ⅹ
    < (2W1+W1-L1-2amin-2bmin)/4
    (단, 상기 편차량 a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우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우단이 오른쪽으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하고, 상기 편차량 b는,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단이 아래로 벗어난 양을 포지티브 값으로 한다.)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5. 제 9항에 있어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에 의한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통화용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변형부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하도록 걸어 맞추는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회전용 걸어맞춤 부는, 하부 케이싱 또는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을 허용해서 끼운 회전 허용 부분과, 이 회전 허용 부분에 고정되어, 상부 케이싱 또는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을 규제하여 걸어 맞춘 회전 규제 부분을 가지고,
    슬라이드용 걸어맞춤 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를 허용하여 끼운 슬라이드 허용 부분과, 이 슬라이드 허용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케이싱 또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를 규제하여 걸어맞춘 슬라이드 규제 부분을 가지고,
    이 슬라이드 규제 부분은, 상기 회전 허용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8. 제 15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이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어긋났을 경우에,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이 다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회전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9. 제 15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또는 상부 케이싱에 고정하여 설치된 돌기부와, 상기 하부 케이싱 또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케이싱 또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고, 상부 케이싱 또는 하부 케이싱에 고정된 회전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된 홈을 구비하고, 이 홈은,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상기 돌기부에 대한 상기 회전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허용 홈부와,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슬라이드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을 서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상기 돌기부에 대한 상기 회전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회전 규제용 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0. 제 9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부 케이싱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어긋났을 경우에, 상기 하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싱이 슬라이드 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슬라이드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1. 제 15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또는 상부 케이싱에 고정하여 설치된 돌기부와, 상기 하부 케이싱 또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케이싱 또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고, 상부 케이싱 또는 하부 케이싱에 고정된 회전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된 홈을 구비하고, 이 홈은,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을 서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상기 돌기부에 대한 상기 회전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회전 허용 홈부와,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이 서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을 서로 슬라이드 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상기 돌기부에 대한 상기 회전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회전 슬라이드 규제용 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2. 조작부를 가지는 제1의 케이싱과,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케이싱 위에 포개서 배치되는 제2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케이싱을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이 일직선 모양으로 열리고, 90도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리도록 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케이싱에 있어서의 표시부 설치면의 대면에 고정한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수평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맞추어, 힌지 장치와 끼우기 위한 힌지용 걸어맞춤용 구멍을 가진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의 케이싱의 조작부 설치면과 동일 면에 설치한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의 케이싱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힌지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힌지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된 힌지 축과, 상기 힌지 축의 일부에서 상기 힌지 본체로부터 돌출한 부착 보스와, 상기 힌지 본체안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힌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힌지 축과 접촉시키는 탄성체 A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 보스와 상기 힌지용 걸어맞춤 구멍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의 중심에 설치한 힌지 축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의 케이싱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한 회전 제어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상기 회전 제어 플레이트가 걸리는 가이드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플레이트는, 원기둥을 기본형으로 하여 중심축을 끼워 대향하는 2개의 평면으로 컷트된 커트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회전 제어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한 회전부 구멍과, 상기 회전 제어 플레이트가 회전 불가능하고, 수평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5.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노치를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상기 노치와 걸어 맞추는 탄성체 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싱과 상기 힌지 본체와의 끼워맞춤 면에 배선 홈을 설치하고, 상기 배선 홈에 상기 제1의 케이싱과 상기 제2의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케이싱의, 표시부를 가로로 길게 끼워서 양측에 수화용 리시버와,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싱과 상기 제2의 케이싱이 T자 모양으로 열림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 정보에 의해, 상기 리시버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켜, 상기 스피커와의 조합으로 스테레오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KR1020077005780A 2004-09-14 2005-08-23 휴대 기기 KR20070036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6845 2004-09-14
JP2004266845 2004-09-14
JP2005135881 2005-05-09
JPJP-P-2005-00135881 2005-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02A true KR20070036802A (ko) 2007-04-03

Family

ID=3605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780A KR20070036802A (ko) 2004-09-14 2005-08-23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93283A1 (ko)
EP (1) EP1791328A1 (ko)
JP (1) JPWO2006030607A1 (ko)
KR (1) KR20070036802A (ko)
WO (1) WO2006030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37B1 (ko) * 2004-12-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JP4384059B2 (ja) * 2005-01-3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JP4548238B2 (ja) * 2005-06-20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70060219A1 (en) * 2005-09-09 2007-03-15 Hung-Chih Lin Sliding shell
JP4537930B2 (ja) * 2005-10-07 2010-09-0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水平回転機構
CN101917501A (zh) * 2005-11-22 2010-12-15 夏普株式会社 便携电话机
KR100842528B1 (ko) 2006-09-26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장치
US8380257B2 (en) * 2006-09-26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wing device thereof
JP4730270B2 (ja) * 2006-09-28 2011-07-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
JP4802077B2 (ja) 2006-09-29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
KR101086704B1 (ko) * 2006-09-29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KR100800712B1 (ko) * 2006-10-02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반자동 스윙 장치
JP4484859B2 (ja) * 2006-10-19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機器
US7991441B2 (en) * 2006-11-23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JP4636459B2 (ja) * 2006-12-07 2011-02-23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US7941191B2 (en) 2007-02-27 2011-05-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agnetic hing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0842626B1 (ko) * 2007-04-10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US7580736B2 (en) * 2007-05-29 2009-08-25 Nokia Corporation Pivot display
WO2008146530A1 (ja) * 2007-05-30 2008-12-04 Nec Corporation 携帯型電子機器
KR100998937B1 (ko) * 2007-07-30 2010-12-09 한 상 이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JP5186835B2 (ja) * 2007-08-21 2013-04-24 富士通株式会社 回転機構および携帯情報端末
WO2009031388A1 (ja) * 2007-09-03 2009-03-12 Nec Corporation 携帯電話機
WO2009048038A1 (ja) * 2007-10-11 2009-04-16 Nec Corporation 携帯型情報処理端末
JP2009111878A (ja) *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JP2009109895A (ja) *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JP5173537B2 (ja) * 2007-11-12 2013-04-03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5172285B2 (ja) * 2007-11-14 2013-03-27 株式会社フジクラ ハーネス一体型スライドヒンジ及びスライド型電子機器
JP2009177343A (ja) * 2008-01-22 2009-08-06 I-T Co Ltd ロータリアンドスライドタイプ携帯端末機用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JP4596039B2 (ja) * 2008-05-15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592972B (zh) * 2008-05-30 2012-12-26 北京华旗资讯数码科技有限公司 旋转控制的电子显示装置
TWI369117B (en) * 2008-07-30 2012-07-21 Asustek Comp Inc Sli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527019B2 (en) * 2008-08-27 2013-09-03 Nec Corporation Sliding mechanism and sliding device
JP2010056705A (ja) * 2008-08-27 2010-03-11 Fujitsu Ltd 電子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WO2010023961A1 (ja) * 2008-08-29 2012-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ライド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並びにスライド移動方法
JP4638937B2 (ja) * 2008-12-26 2011-02-23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JP4691697B2 (ja) * 2009-01-27 2011-06-01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TWI358983B (en) * 2009-02-03 2012-02-21 Inventec Appliances Corp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224407B2 (en) * 2009-03-23 2012-07-17 T-Mobile Usa, Inc.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displa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5110024B2 (ja) *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CN101931670A (zh) * 2009-06-25 2010-12-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201129084A (en) * 2010-02-02 2011-08-16 Hon Hai Prec Ind Co Ltd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adjusting apparatus for camera including the same
US8600460B2 (en) 2010-04-12 2013-12-0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US20120026649A1 (en) * 2010-07-29 2012-02-02 Albert Pegg Slide and offset pivot display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CN102469726A (zh) * 2010-11-16 2012-05-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应用其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20224301A1 (en) * 2011-03-04 2012-09-06 Albert Murray Pegg Slidable and rota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JP2012199713A (ja) * 2011-03-18 2012-10-18 Fujitsu Ltd 電子機器
US8471820B2 (en) 2011-03-28 2013-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8693188B2 (en) 2011-05-24 2014-04-08 Blackberry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CN103150361B (zh) * 2013-02-27 2017-02-08 优视科技有限公司 一种网页显示方法及装置
KR102022729B1 (ko) * 2013-08-29 2019-09-1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플립 커버형 디스플레이 단말
DE112015000640T5 (de) * 2014-02-04 2017-02-09 Tp Vision Holding B.V. Handgerät mit Mikrofon
CN106487953A (zh) * 2015-08-26 2017-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翻开型移动终端的连接机构及折叠式手机
US10890288B2 (en)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KR20200091522A (ko) 2019-01-22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493953B2 (en) *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227A (ja) * 1996-08-09 1998-02-24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3542955B2 (ja) * 2000-10-11 2004-07-1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2304933A (ja) * 2001-04-05 2002-10-18 Alps Electric Co Ltd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3044199A (ja) * 2001-07-31 2003-02-14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JP2003338866A (ja) * 2002-05-22 2003-11-28 Fujitsu Ltd 携帯電話機
JP2004096573A (ja) * 2002-09-02 2004-03-2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4132407A (ja) * 2002-10-08 2004-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ンジ装置
JP4321707B2 (ja) * 2003-09-30 2009-08-2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1328A1 (en) 2007-05-30
JPWO2006030607A1 (ja) 2008-05-08
WO2006030607A1 (ja) 2006-03-23
US20070293283A1 (en)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6802A (ko) 휴대 기기
KR100630024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7711112B2 (en) Hinge, and opening/closing type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EP1422911B1 (en) Sliding-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4440324B2 (ja) 携帯端末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EP17730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isplay positionable at an angle
US20050282593A1 (en)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JP4909827B2 (ja) 携帯電子機器
JP3746284B2 (ja) 携帯電話機
JP4899190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278173A (ja) 携帯端末
JP4974079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WO2010024086A1 (ja) スライド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並びにスライド移動方法
CN101019409A (zh) 便携式设备
JP5042379B2 (ja) 通信端末
JP4899191B2 (ja) 携帯電子機器
JP4820901B2 (ja) 開閉式の通信端末
KR1008007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4675939B2 (ja) 携帯用表示機器の表示部回転装置、携帯用表示機器の表示部の回動方法、および携帯用表示機器
KR101058737B1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WO2007080639A1 (ja) スライ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
KR20050024009A (ko) 휴대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권취 장치
KR20050079046A (ko)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0082014A (ko)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