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937B1 -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937B1
KR100998937B1 KR1020070076385A KR20070076385A KR100998937B1 KR 100998937 B1 KR100998937 B1 KR 100998937B1 KR 1020070076385 A KR1020070076385 A KR 1020070076385A KR 20070076385 A KR20070076385 A KR 20070076385A KR 100998937 B1 KR100998937 B1 KR 10099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housing
rotation
main hou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501A (ko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한 상 이
주식회사 피앤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상 이, 주식회사 피앤텔 filed Critical 한 상 이
Priority to KR102007007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937B1/ko
Priority to PCT/KR2008/004132 priority patent/WO2009017313A2/en
Priority to RU2008129137/09A priority patent/RU2389149C2/ru
Priority to TW097127315A priority patent/TW200920072A/zh
Priority to US12/176,965 priority patent/US20090036181A1/en
Priority to EP08104833A priority patent/EP2020806A2/en
Priority to BRPI0803746-9A priority patent/BRPI0803746A2/pt
Priority to JP2008195348A priority patent/JP2009033750A/ja
Priority to CNA200810131177XA priority patent/CN101360402A/zh
Publication of KR2009001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Abstract

메인하우징과 이와 마주보며 결합되는 슬라이딩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어, 슬라이딩하우징이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을 벗어남과 동시에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가 회전가이드홈의 경사홈과 수평홈의 경계지점에서 수평홈의 종단지점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하우징은 회전이 불가하도록 구속된다. 또한,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로테이션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는 경사홈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허용하고,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홈은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슬라이딩하우징의 메인하우징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불허된다.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슬라이딩, 회전, 복합 메커니즘

Description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두 개의 부재를 결합시켜주면서 어느 하나의 부재가 나머지 하나의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과 로테이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동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하여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슬라이딩하우징을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개폐를 하거나 90도 로테이션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형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에 비디오(예: video on-demand)나 텔레비전 방송(예: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청기능 등(이하, '텔레비전시청기능'이라 함)이 적용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휴대폰의 화면은 일반적으로 가로에 비해 세로 길이가 더 긴 디스플레이를 갖는다. 그런데 TV 화면은 가로에 비해 세로 길이가 더 짧다. 이용자들은 TV화면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므로 휴대폰을 이용한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 시에는 가로보기를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90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폰은 바타입, 플립커버타입, 폴더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최근의 시장 추세를 보면 사용의 편의성에서 가장 뛰어난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이 주류를 형성한다. 슬라이드 방식은 화면이 배치된 슬라이딩하우징을 키패드가 배치된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과 같은 동작으로 개폐하는 방식이다.
휴대폰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슬라이딩하우징의 로테이션 기능을 슬라이딩 개폐 기능과 통합할 경우,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생긴다. 휴대폰 디자인에 있어서 소형화와 슬림화, 그리고 사용의 편의성은 항상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두 가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각 기능별로 연관성이 없는 별개의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은 소형화와 슬림화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기 쉽다. 또한, 사용의 편의성이나 동작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슬라이딩하우징이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을 하는 동안에는 로테이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슬라이딩하우징이 로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슬라이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텔레비전시청기능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큰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슬라이딩하우징에는 화면만 배치하고 키패드는 본체부에만 전부 배치하는 방안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최대화에 매우 유리한다. 이 경우, 본체부에는 배치해야 할 키들이 많아지므로 이들을 배치할 영역도 넓어져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슬라이딩하우징은 슬라이딩-업 동작 시 기존에 비해 더 높게 올라가야 하므로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져야 할 것이다. 슬라이딩하우징의 로테이션 동작 시에도 같은 요구가 제기된다. 즉, 슬라이딩하우징이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본체부에 배치된 키들이 전부 노출되 어야 한다. 아울러 90도 회전한 슬라이딩하우징이 메인하우징과 이루는 위치 관계에서 대칭을 이룬다면, 사용상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대칭미와 같은 미적 요소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통합된 메커니즘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요구들을 효과적으로 한꺼번에 만족시켜줄 수 있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메커니즘을 채용하여 슬림(slim) 하면서도 안정된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동작을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최대화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이나 로테이션 후의 슬라이딩하우징의 위치가 최대한 높은 위치가 되도록 설계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단말기, 게임기, PMP, 소형 컴퓨터, 휴대용 전자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과 이와 마주보며 결합되는 슬라이딩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어, 슬라이딩하우징이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이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은, 앞면 상부 영역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수평홈과 비스듬히 길게 연장된 경사홈이 서로 연통되게 이어진 형태의 회전가이드홈과, 이 회전가이드홈 옆에 비스듬히 길게 연장된 회전슬라이딩 개구가 마련되고, 배면에는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를 내포하는 싱크가 마련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과 마주보는 앞면의 소정 위치에 길게 연장된 측벽의 끝에 구속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슬라이딩하우징; 기판의 좌우 양측에 홀더가 연결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판의 앞면에는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에 삽입되는 융기된 패드와 절개공이 마련되어 있는 힌지베이스; 상기 힌지베이스의 기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판조각과 이의 소정 위치에서 직립한 안내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힌지베이스의 절개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판조각의 한쪽 끝은 상기 구속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속팁으로 기능하는 베이스스윙링크;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싱크 쪽에서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를 가로질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베이스의 상기 패드와 고정됨으로써 상기 힌지베이스를 상기 메인하우징의 앞면 상부 영역에 고착되게 하는 베이스 더미; 한쪽 끝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싱크의 바닥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베이스 더미와 힌지베이스의 조립체의 한쪽 끝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스윙링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메인하우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슬라이딩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을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가 상기 회전가이드홈의 경사홈과 수평홈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수평홈의 종단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은 회전이 불가하도록 구속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로테이션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는 상기 경사홈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허용하고,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불허된다.
상기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은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은, 한쪽 팔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열림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을 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은 또한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은, 한쪽 팔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상기 슬 라이딩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90도 회전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90도 회전상태로 이행하거나 닫힘상태로 이행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이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 역시 토션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충족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의 수평 방향(x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길이 중심선을 상기 메인하우징의 폭의 중심선 위에 오도록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이동하는 하는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의 메인하우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90도 회전한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부 측면의 높이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 측면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이동하는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경사각과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90도 회전할 때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메인하우징의 폭 방향(수평 방향 또는 x축 방향)과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에 있어서, 90도 회전 후의 상기 슬라이딩하우징 은 상기 메인하우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며 그것의 상부 측면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측면과 같은 높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가이드홈의 상기 경사홈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90도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를 구속하여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홈은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면서 휘어진 형상이며 이의 길이와 휘어짐 궤적은 상기 메인스윙링크와 베이스더미의 운동궤적에 의거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에 있어서, 서로 접해있는 상기 힌지베이스에 마련된 상기 패드와 상기 베이스 더미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슬롯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은 앞면에 직사각형의 싱크가 형성된 슬라이딩하우징본체, 그리고 상기 싱크의 폭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며 양 측면을 따라 스텝 형상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싱크 안에 고정되어 상기 싱크의 양 측벽과의 사이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회전가이드홈과 상기 회전가이드홈 옆에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가 형성된 가이딩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딩플레이트를 수용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메인하우징 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상에서 언급한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중 어느 한 가지를 채용하여 슬라이딩 동작모드와 로테이션 동작모드가 택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게임기, PMP, 소형 컴퓨터, 휴대용 전자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이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배치된 키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든 키들은 상기 메인하우징에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앞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통합된 메커니즘을 채용함으로써 슬라이딩하우징은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 모두를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나머지 하나의 동작모드는 원천적으로 불가하여 각 동작모드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휴대폰에 적용될 경우, 슬라이딩하우징이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거리가 길뿐만 아니라, 슬라이딩하우징은 90도 회전을 하면서 최대한 높이 올라갈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부에 필요한 키들을 전부 배치하고 슬라이딩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화면만 배치하는 설계방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큰 디스플레이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시청 기능을 채용하는 휴대폰에는 유리한 설계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하우징이 90도 회전한 경우 좌우 대칭의 'T'자 모양을 이루어 대칭미도 제공하고 텔레비전방송을 시청 시 메인하우징을 잡은 손에 무게의 균형감이 있어 사용도 편리하다.
메인하우징(10)의 앞면에는 전체 영역 중 슬라이딩하우징(20)을 슬라이드-업 하였을 때 개방되는 영역(12a, 12b)은 키패드가 배치되고 그 위쪽의 비개방 영역에는 회전가이드홈(16)과 회전슬라이딩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키패드 영역(12a)은 통상 기존의 휴대폰의 본체부에 위치하던 숫자키 및 문자키들(비도시)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그 위의 키패드 영역(12a)은 여러 가지 기능키들(예컨대, 메뉴, 확인, 통화, 종료, 취소, 팝업, 메시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키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이들 기능키들은 기존의 휴대폰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슬라이딩하우징(20)에 배치되었던 것들인데, 슬라이딩하우징(20)의 디스플레이 영역(22)의 넓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이들 기능키들을 메인하우징(10)에 배치한다.
회전슬라이딩 개구(18)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곧게 뻗은 개구로서, 메인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로 예컨대 30도 정도 비스듬히 형성된다. 이 개구(18)의 폭은 후술할 힌지베이스(30)의 원형 패드(3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는 크기로 정해지며, 길이는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을 하는 동안에 상기 힌지베이스(30)의 원형 패드(38)가 이동하는 거리와 같게 한다.
회전가이드홈(16)은 수평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수평홈과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휘어진 경사홈이 서로 연통되게 이어진 형상을 갖는다. 경사홈은 회전슬라이딩 개구(18)보다 좀더 좌측으로 기울어지며, 슬라이딩하우징(20)이 회전할 때 후술할 베이스스윙링크(40)의 안내돌기(44)가 그리는 자취를 따라 약간 휘어진 형태이며, 홈의 폭은 상기 안내돌기(44)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이며 길이는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을 할 때 상기 안내돌기(44)가 이동하는 거리와 같게 한다. 회전가이딩홈(16)의 경사홈의 길이와 휘어짐 궤적은 원활한 활주와 90도 회전을 정확하게 보장하기 위해 메인스윙링크(70)와 베이스더미(60)의 운동궤적과 조화를 이루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개방영역의 배면에는 2단의 싱크가 형성된다. 제1싱크(13)는 회전슬라이딩 개구(18)를 포함하면서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 베이스더미(60), 그리고 메인스윙링크(70)를 수용하기 위한 싱크이다. 제2싱크(14)는 제1싱크(13)의 둘레에 형성되며 제1싱크(13)를 덮는 리어커버(90)를 수용하기 위한 싱크이다. 제1싱크(13)의 바닥에는 두 개의 나사결합공(15a, 15b)이 형성된 볼록부가 우측벽 중하부 근처와 좌상부 모서리에서 약간 이격된 지점에 마련된다.
메인하우징은 회전가이드홈(16)과 이 회전가이드홈(16) 옆에 회전슬라이딩 개구가 형성된 가이딩플레이트와 이 가이딩플레이트를 수용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메인하우징 본체의 조립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애초부터 이 두 부재가 일체화된 형태로 메인하우징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베이스더미(60)는 대략 원형의 중앙부(62)를 중심으로 긴 날개와 짧은 날개가 양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로서, 중앙부(62)의 가운데에는 플렉시블 케이블(FPCB)(비도시)이 지나갈 수 있는 슬롯(66)과 그 주변에 다수의 나사결합공(67)이 마련되고, 양 날개에는 각각 나사결합공(64, 65)이 마련된다. 메인스윙링크(70)의 몸체(72)의 양쪽 끝에 직립한 제1돌기(74)와 제2돌기(76)는 나사결합 공(15a)과 베이스더미(60)의 한쪽 날개에 형성된 나사결합공(64)에 각각 삽입된다.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은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90도 회전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슬라이딩하우징(20)이 외력에 의해 90도 회전상태로 이행하거나 닫힘상태로 이행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위해,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한쪽 팔은 메인하우징(10)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슬라이딩하우징(20)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는,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양팔(82, 84)의 끝은 나사결합공(15a)과 베이스더미(60)의 다른 날개에 마련된 나사결합공(65)에 각각 나사결합(88a, 88b)된 것을 예시한다. 그러므로 베이스더미(60)를 중심으로 이의 한쪽에는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이 결합되고 반대쪽에는 메인스윙링크(70)가 결합된다.
메인스윙링크(70)는 나사결합이 아닌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베이스더미(6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리어커버(90)에는 메인스윙링크(70)와 대면하는 영역에 돌출패드(96)를 마련한다. 리어커버(90)를 다수의 결합공(92)에 나사(94)를 삽입하여 메인하우징(10)에 고정했을 때 그 돌출패드(96)가 메인스윙링크(70)의 이탈을 방지해준다.
슬라이딩하우징(20)의 앞면에는 디스플레이부(22)가 배치된다. 종래의 휴대폰은 통상 슬라이딩하우징(20)의 앞면에 디스플레이부(22) 밑에 일정 영역을 별도로 마련하여 여러 가지 기능키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부(22)의 사이즈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는 텔레비전 시청기능을 채용하려는 휴대폰에는 유리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슬라이딩하우징(20)의 앞면에는 디스플레이부(22)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배면에는 밑에서부터 대략 3/4 정도의 높이까지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싱크(21)가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6)에 힌지베이스 홀더(33)를 끼워 힌지베이스(30)와 결합한 상태로 슬라이딩플레이트(24)를 이 싱크(21) 안에 고정한다. 슬라이딩플레이트(24)는 그 폭이 싱크(21)의 폭보다 약간 작게 한다. 그러면, 이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양쪽 측면과 상기 싱크(21)의 양 측벽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틈 즉, 슬라이딩홈(27-1)이 확보된다. 슬라이딩플레이트(24)는 또한 그 바깥면(즉, 힌지베이스(30)와 마주보는 면)에 직사각형의 싱크(27)가 형성된다. 그 직사각형 싱크(27)의 좌우 측벽(25) 상단에는 베이스스윙링크(40)의 구속팁(46)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홈(23)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플레이트(24)에는 나사(28) 결합을 위해 다수의 결합공(29)이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양 측면에는 스텝 형상의 가이드레일(26)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하우징(20)은 슬라이딩플레이트(24)와 슬라이딩하우징본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들 두 부재가 애초부터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힌지베이스(30)는 기판(31)과 이의 양측 모서리 각각 마련된 힌지베이스 홀더(33)를 구비한다. 힌지베이스 홀더(33)는 모서리에서 가이드레일(26)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직립한 다음 다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90도 절곡된 형 상이다. 힌지베이스 홀더(33)가 가이드레일(26)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플레이트(24)를 슬라이딩하우징(20) 본체의 싱크(21)에 고정함으로써, 힌지베이스(30)는 슬라이딩플레이트(24)와 대면하면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홈(27-1)의 마련과 힌지베이스 홀더(33)와 가이드레일(26) 간의 활주 가능한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하우징(20)은 메인하우징(10)에 대하여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 운동을 할 수 있다.
힌지베이스(30)의 기판(31)의 윗면의 소정 위치에는 베이스더미(60)의 중앙부(62)와 짝 형상의 원형 패드(38)가 마련된다. 이 원형패드(38)는 회전슬라이딩 개구(18) 내에 수용되어 그 개구(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아래위로 활주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형패드(38)의 지름은 회전슬라이딩 개구(18)의 폭과 거의 같게 만든다. 이 원형패드(38)의 가운데는 플렉시블 케이블(FPCB)(비도시)이 통과할 수 있는 슬롯(36)이 마련되며 그 주위로 다수의 결합공(37)들이 마련된다. 베이스더미(60)의 중앙부(62)와 원형 패드(38)는 나사(68)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된다. 이에 의해 힌지베이스(30)는 메인하우징(10)의 앞면에 고정된다. 힌지베이스(30)의 배치 높이는 슬라이딩하우징(20)을 완전히 슬라이드-업 했을 때(도 3의 (C) 참조) 힌지베이스(30)의 밑면 라인이 슬라이딩하우징(20)의 밑면 라인과 같거나 아주 약간 높은 정도가 되도록 한다, 나아가, 힌지베이스(30)가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가이드레일(26)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인해, 메인하우징(10)와 슬라이딩하우징(20)이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이룬다.
힌지베이스(30)의 저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직사각형 싱크(27)의 바닥면 간에는 일정 높이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 그 빈 공간에 베이스스윙링크(40)가 설치된다. 베이스스윙링크(40)는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굽은 판조각(45)의 가운데에 결합공(42)이 형성되고, 판조각의 한쪽 끝은 구속팁(46)으로서 기능하도록 끝부분이 라운드형상이고, 판조각(45)의 반대쪽 끝에는 가이드돌기(44)가 직립된다. 나사(48)를 결합공(42)에 삽입하여 기판(31)에 마련된 결합공(32)에 체결함으로써, 베이스스윙링크(40)가 힌지베이스(30)에 장착된다. 가이드돌기(44)는 기판(31)에 가이드돌기(44)의 회전허용을 위해 마련된 절개공(34)을 통하여 회전가이드홈(16) 안으로 삽입된다.
또한,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은 연결부재(52)를 매개로 이의 양측에 토션스프링이 결합된다. 두 개의 토션스프링만을 서로 연결하는 것에 비해 연결부재(52)를 매개로 하여 두 개의 토션스프링을 연결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은 신장된 상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하우징(20)이 슬라이딩-업 하는 거리가 긴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의 한쪽 팔(54a)은 나사(56a)로 슬라이딩플레이트(24)와 슬라이딩하우징(20)에 마련된 결합공(29a, 29b)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 쪽 팔(54b)은 나사(56b)로 메인하우징(10)과 일체를 이루는 힌지베이스(30)에 마련된 결합공(35)에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은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열림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슬라이딩하우징(20)이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을 할 때에는 압축되었다가 한계점을 지나면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 하우징을 끝까지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힘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단말기는 두 가지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하나는 도 3과 4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 하는 슬라이딩 모드이다. 다른 하나는 도 5-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하여 'T' 모양을 이루거나 반대로 회전하여 원상 복귀하는 로테이션 모드이다.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에 완전히 포개진 상태(닫힘상태)(도 3의 (A) 상태)에서는 슬라이딩하우징(20)의 슬라이딩-업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의 두 가지 모두가 허용된다. 하지만 슬라이딩-업 또는 로테이션 동작 모드로 진입해 들어간 다음부터는 그 동작모드만 허용될 뿐 나머지 동작모드는 허용되지 않는다.
먼저, 도 3과 4를 참조하면서 슬라이딩 동작 모드를 설명한다. 도 3 또는 4의 (A)처럼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와 완전히 포개져 있는 닫힘상태에서는, 베이스스윙링크(40)의 구속팁(46)은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구속홈(23)에 삽입되어 있다. 베이스스윙링크(40)의 안내돌기(44)는 회전가이드홈(16)의 제1위치(P1)에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하우징(20)을 밀어 올리는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하우징(20)이 슬라이딩-업을 시작한다. 이 때, 구속홈(23)에 갇혀있던 베이스스윙링크(40)의 구속팁(46)은 그 구속홈(23)의 경사진 벽을 타고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측벽(25)까지 올라서는 것을 강요받는다. 이렇게 구속팁(46)이 측벽(25)에 올라서는 과정에서 베이스스윙링크(40)는 축(48)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안내돌기(44)가 회전가이드홈(16)의 하단부의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한다(도 3 또는 4의 (B) 참조). 슬라이딩하우징(20)을 어느 정도 거리만큼 밀어 올리면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의 양 팔(54a, 54b)의 끝점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지나게 된다. 그 지점을 통과한 다음부터는 최대의 압축상태에 있던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이 펴지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더 이상 밀어 올리지 않더라도 도 3 또는 4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하우징(20)은 최대로 밀려올라간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업 동작에 있어서,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업 하기 시작하여 문턱을 넘어서면(즉, 베이스스윙링크(40)의 구속팁(46)이 슬라이딩플레이트(24)의 측벽(25)에 올라탄 직후), 그 때부터는 슬라이딩하우징(20)은 슬라이딩-업 동작을 계속하는 것은 허용되나 로테이션은 불가하도록 구속된다. 왜냐하면, 어떤 상태에서건 슬라이딩하우징(20)의 로테이션 동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안내돌기(44)가 회전가이드홈(16)의 경사진 굴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어야 하는데, 회전가이드홈(16)의 P2 지점에서는 10시 30분 방향의 홈이 연결되어 있지 못하므로 안내돌기(44)의 위와 같은 운동은 허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 또는 4의 (C)와 같은 열림상태(슬라딩-업 상태)에서 슬라이딩하우징(20)을 끌어내림으로써 도 3 또는 4의 (A)와 같은 닫힘상태(슬라이딩-다운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안내돌기(44)는 P2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P1 위치까지 후퇴한다. 이런 후퇴를 통해 슬라이딩하우징(20)이 다시 닫힘상태로 후퇴하고(안내돌 기(44)가 P1의 위치로 후퇴) 난 다음에야 후술하는 방식으로 로테이션이 가능할 뿐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서, 로테이션동작 모드를 설명한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그림에는 리어커버(9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하우징(20)의 로테이션은 닫힘상태(도 3-7의 (A)의 상태)에서만 시작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하우징(10)을 잡고 슬라이딩하우징(20)의 아래쪽의 측면에 힘을 가하면 도 5-7의 (B)와 같이 슬라이딩하우징(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최종적으로는 도 5-7의 (C)와 같은 90도 회전을 한 상태에서 그 회전은 끝나고 더 이상 회전이 불가하다. 그렇게 90도 회전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하우징(20)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면 다시 도 5-7의 (A)의 닫힘상태로 복귀한다.
90도 회전상태에서는, 90도 회전한 슬라이딩하우징(20)의 윗면 라인(실제로는 우측면 라인)이 메인하우징(10)의 상면 라인과 거의 같은 높이를 이룬다. 또한, 메인하우징(10)의 수직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슬라이딩하우징(20)의 좌측 절반과 우측 절반은 그 길이가 서로 동일하여 좌우 대칭을 이룬다. 즉, 메인하우징(10)와 슬라이딩하우징(20)은 좌우대칭의 'T'자 모양을 이루어 대칭미를 제공한다. 이렇게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을 하여 충분히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도록 하기 위해, 회전슬라이딩 개구(18)는 충분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로테이션 동작 모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7의 (A)의 닫힘상태에서 슬라이딩하우징(20)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원형패드(38)는 P5 위치에서 출발하여 회전슬라이딩 개구(18)를 따라 P4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한 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하우징(20)이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베이스스윙링크(40)의 안내돌기(44)는 회전가이드홈(16)의 P1 위치에서 출발하여 휘어진 회전가이드홈(16)을 따라 P3으로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로테이션 과정에서,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은 그의 두 팔(82, 84)의 사이각이 최대로 벌어져 있는 닫힘상태에서 점점 그 사이각이 좁아지면서 양 팔(82, 84)의 끝이 수평방향으로 같은 높이가 될 때 최대로 압축되었다가(도 5-7의 (B)의 상태), 그 후부터는 사용자가 힘을 더 가하지 않더라도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그 두 팔(82, 84)의 사이각이 벌어지면서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할 때까지 밀어붙이는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로테이션 과정에서, 메인스윙링크(70)도 상태변화를 일으킨다. 닫힘상태에서는 메인스윙링크(70)의 길이방향과 베이스더미(60)의 길이방향(즉, 수평방향) 간의 사이각은 대략 120도 정도의 둔각을 형성한다. 슬라이딩하우징(20)이 회전을 하면 상기 사이각은 점차 좁아져서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두 팔(82, 84)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지점을 좀 더 지나는 위치에 이르러서 최소가 된 다음,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을 완성할 때까지는 그 사이각이 반대로 약간 벌어져 대략 45도 정도를 이룬다. 이처럼 메인스윙링크(70)는 로테이션 동작 모드에서 회전하는 베이스 더미(60)와 힌지베이스(30)의 원형패드(38)에 대하여 운동 기준점을 제공하면서 곧게 뻗은 회전슬라이딩 개구(18)를 따라 힌지베이스(30)의 원형패드(38)가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90도 회전을 완성하게 되면(도 5-7의 (c)의 상태), 안내돌기(44)는 회전가이드홈(16)의 상부 끝(P3 위치)에 이르고 원형패드(38)도 회전슬라이딩 개구(18)의 상부 끝(P4 위치)에 도달하여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90도 회전 상태는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딩하우징(20)에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을 가하면 슬라이딩하우징(20)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힘상태(도 5-7의 (A)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로테이션 동작을 일단 시작하면,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44)는 P1의 위치에서 P3쪽을 향하여 활주하게 된다. 즉, P2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절대불가하다. 그러므로 로테이션 동작의 전 과정에 걸쳐서 베이스스윙링크(40)의 구속팁(46)은 항상 구속홈(23)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강요받는다. 구속팁(46)이 구속홈(23)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슬라이딩하우징(20)은 메인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없다. 또한,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하는 동안에, 베이스스윙링크(40)의 안내돌기(44)는 회전가이드홈(16)의 경사홈에 항상 구속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속에 의해,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에 대하여 로테이션을 하기 시작한 시점부터는 슬라이딩하우징(20)은 메인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없도록 구속된다. 안내돌기(44)가 다시 P1의 위치에 돌아와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은 닫힘상태에서는 어느 동작모드로도 진입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두 동작 모드는 위에서 설명한 하나의 통합된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밀접하게 연관을 가지면서 수행된다. 즉,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구속팁(46)이 구속홈(23)을 벗어나기 위한 베이스스윙링크(40)의 회전이 필요한데, 그러한 스윙링크(40)의 회전상태는 곧 슬라이딩하우징(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서 기능한다. 또한, 로테이션 동작을 위해서는 베이스스윙링크(40)의 회전 불가 상태, 베이스스윙링크(40)의 안내돌기(44)가 회전가이드홈(16)을 따라 행하는 슬라이딩 운동, 그리고 힌지베이스(30)의 원형패드(38)가 회전슬라이딩 개구(18)를 따라 행사는 슬라이딩 운동, 메인스윙링크(70)의 움직임, 그리고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압축과 신장 등과 같은 각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위와 같은 슬라이딩하우징(20)의 90도 회전과 원상복귀를 보장해준다. 또한, 베이스스윙링크(40)의 회전불가 상태는 슬라이딩하우징(20)의 로테이션을 위해 필요한데, 그 회전불가 상태는 또한 구속팁(46)이 구속홈(23)을 빠져나올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슬라이딩하우징(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하우징(20)의 슬라이딩-업 동작이나 슬라이딩-다운 동작은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의 힘을 반드시 빌려야 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힘만으로도 완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50)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하우징(20)의 로테이션 동작에 있어서도,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 사용자의 힘만으로 슬라이딩하우징(2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80)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만 이들 스프링(50, 80)은 슬라이딩하우징(20)이 어떤 상태에 있든 그 상태를 지지해주는 힘을 제공하 는 역할을 하므로, 이들 두 스프링(50, 80)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설계에 있어서, 메인스윙링크(70)의 길이, 회전슬라이딩 개구(18)의 경사각과 길이, 회전가이드홈(16)의 경사각, 곡률, 길이, 그리고 끝부분의 형상 등은 요구되는 동작내용에 따라 적절한 값을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요소들의 값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은 서로 연관성을 갖게 된다. 90도 회전 후의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에 대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기 위해서는, 슬라이딩하우징(20)의 필요한 이동거리를 회전슬라이딩 개구(18)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한다. 회전슬라이딩 개구(18)의 경사각과 길이는 슬라이딩하우징(20)이 90도 회전할 때 힌지베이스(30)의 패드(38)가 메인하우징(10)의 폭 방향(수평 방향 또는 x축 방향)과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와 같다.
실제 설계 시에, 90도 회전한 슬라이딩하우징(20)에 메인하우징(1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힌지베이스(30)의 패드(38)가 회전슬라이딩 개구(18)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의 수평 방향(메인하우징(10)의 폭방향 또는 x축 방향)의 이동거리가 슬라이딩하우징(20)의 길이 중심선을 메인하우징(10)의 폭의 중심선 위에 오도록 슬라이딩하우징(20)이 이동하는 하는 거리와 같도록 하면 된다.
또한, 90도 회전한 슬라이딩하우징(20)의 상부 측면의 높이가 메인하우징(10)의 상부 측면의 높이와 같아지도록(도 5의 (c) 참조)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하우징(20)이 메인하우징(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해야 한 다. 이 이동 거리는 닫힘상태(도 5의 (a) 상태)에서의 힌지베이스(30)의 패드(38)의 중심점과 회전상태(도 5의 (c) 상태)에서의 힌지베이스(30)의 패드(38)의 중심점의 y 좌표값들 간의 차이와 같도록 한다.
위와 같은 두 가지 설계 요소를 동시에 반영하면, 90도 회전 후의 슬라이딩하우징(20)은 메인하우징(10)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며 그것의 상부 측면은 메인하우징(10)의 상부측면과 같은 높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위의 실시예의 설명과 달리 필요에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은 메인하우징(10) 또는 슬라이딩하우징(20)에 결합되는 독립된 구성요소로서가 아니라 그들과 일체를 이루는 일부분으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반대로 메인하우징(10) 또는 슬라이딩하우징(20)의 일부분이 아니라 그들과 결합할 수 있는 독립된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메커니즘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 외에도, 위와 같은 두 동작모드를 필요로 하는 것이라면 그 적용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컨대, PDA, 스마트폰, PMP, 게임기, 소형 PC, 또는 장래에 나올 어떤 기기들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두 가지 동작모드가 요구되는 경우라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및 로테이션 메커니즘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주시각을 달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과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동작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 6,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로테이션 동작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평면도와 사시도, 그리고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하우징 16: 회전가이드홈
18: 회전슬라이딩 개구 20: 슬라이딩하우징
23: 구속홈 26: 가이드레일
30: 힌지베이스 31: 기판
33: 힌지베이스 홀더 38: 원형 패드
40: 베이스스윙링크 44: 안내돌기
46: 구속팁 50: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
60: 베이스 더미 70: 메인스윙링크
80: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 90: 리어커버

Claims (20)

  1. 메인하우징과 이와 마주보며 결합되는 슬라이딩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어, 슬라이딩하우징이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으로서,
    앞면 상부 영역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수평홈과 비스듬히 길게 연장된 경사홈이 서로 연통되게 이어진 형태의 회전가이드홈과, 이 회전가이드홈 옆에 비스듬히 길게 연장된 회전슬라이딩 개구가 마련되고, 배면에는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를 내포하는 싱크가 마련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과 마주보는 앞면의 소정 위치에 길게 연장된 측벽의 끝에 구속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슬라이딩하우징;
    기판의 좌우 양측에 홀더가 연결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판의 앞면에는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에 삽입되는 융기된 패드와 절개공이 마련되어 있는 힌지베이스;
    상기 힌지베이스의 기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판조각과 이의 소정 위치에서 직립한 안내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힌지베이스의 절개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판조각의 한쪽 끝은 상기 구속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속팁으로 기능하는 베이스스윙링크;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싱크 쪽에서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를 가로질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베이스의 상기 패드와 고정됨으로써 상기 힌지베이스를 상기 메인하우징의 앞면 상부 영역에 고착되게 하는 베이스 더미; 및
    한쪽 끝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싱크의 바닥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베이스 더미와 힌지베이스의 조립체의 한쪽 끝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스윙링크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메인하우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슬라이딩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을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가 상기 회전가이드홈의 경사홈과 수평홈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수평홈의 종단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은 회전이 불가하도록 구속되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로테이션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는 상기 경사홈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허용하고,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불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 팔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 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열림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을 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힘을 제공하는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4. 제1항에 있어서, 한쪽 팔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90도 회전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90도 회전상태로 이행하거나 닫힘상태로 이행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의 수평 방향(x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길이 중심선을 상기 메인하우징의 폭의 중심선 위에 오도록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이동하는 하는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의 메인하우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90도 회전한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부 측면의 높이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 측면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이동하는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경사각과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90도 회전할 때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메인하우징의 폭 방향(수평 방향 또는 x축 방향)과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9. 제 7항에 있어서, 90도 회전 후의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은 상기 메인하우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며 그것의 상부 측면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측면과 같 은 높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홈의 상기 경사홈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90도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를 구속하여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면서 휘어진 형상이며 이의 길이와 휘어짐 궤적은 상기 메인스윙링크와 베이스더미의 운동궤적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접해있는 상기 힌지베이스에 마련된 상기 패드와 상기 베이스 더미에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슬롯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은 앞면에 직사각형의 싱크가 형성된 슬라이딩하우징본체, 그리고 상기 싱크의 폭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며 양 측면을 따라 스텝 형상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싱크 안에 고정되어 상기 싱크의 양 측벽과의 사이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회전가이드홈과 상기 회전가이드홈 옆에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가 형성된 가이딩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딩플레이트를 수용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메인하우징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5. 메인하우징과 이와 마주보며 결합되는 슬라이딩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어, 슬라이딩하우징이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과 로테이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으로서,
    앞면 상부 영역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수평홈과 비스듬히 길게 연장된 경사홈이 서로 연통되게 이어진 형태의 회전가이드홈과, 이 회전가이드홈 옆에 비스듬히 길게 연장된 회전슬라이딩 개구가 마련되고, 배면에는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를 내포하는 싱크가 마련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과 마주보는 앞면의 소정 위치에 길게 연장된 측벽의 끝에 구속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슬라이딩하우징;
    기판의 좌우 양측에 홀더가 연결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판의 앞면에는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에 삽입되는 융기된 패드와 절개공이 마련되어 있는 힌지베이스;
    상기 힌지베이스의 기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판조각과 이의 소정 위치에서 직립한 안내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힌지베이스의 절개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판조각의 한쪽 끝은 상기 구속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속팁으로 기능하는 베이스스윙링크;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싱크 쪽에서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를 가로질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베이스의 상기 패드와 고정됨으로써 상기 힌지베이스를 상기 메인하우징의 앞면 상부 영역에 고착되게 하는 베이스 더미;
    한쪽 끝은 상기 메인하우징 싱크의 바닥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베이스 더미와 힌지베이스의 조립체의 한쪽 끝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스윙링크;
    한쪽 팔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열림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을 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힘을 제공하는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 및
    한쪽 팔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팔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 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닫힘상태나 90도 회전상태로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90도 회전상태로 이행하거나 닫힘상태로 이행할 때 압축되었다가 신장되면서 그 슬라이딩하우징을 끝까지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슬라이딩용 스프링과 상기 회전슬라이딩용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메인하우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슬라이딩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을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가 상기 회전가이드홈의 경사홈과 수평홈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수평홈의 종단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은 회전이 불가하도록 구속되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이 닫힘상태에서 로테이션 동작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힌지베이스의 패드가 상기 회전슬라이딩 개구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안내돌기는 상기 경사홈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허용하고,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스윙링크의 구속팁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구속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상기 메 인하우징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불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을 채용하여 슬라이딩 동작모드와 로테이션 동작모드가 택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배치된 키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든 키들은 상기 메인하우징에만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의 앞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070076385A 2007-07-30 2007-07-30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KR10099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85A KR100998937B1 (ko) 2007-07-30 2007-07-30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PCT/KR2008/004132 WO2009017313A2 (en) 2007-07-30 2008-07-14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RU2008129137/09A RU2389149C2 (ru) 2007-07-30 2008-07-16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скользящих и вращательных движений и перенос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механизм
TW097127315A TW200920072A (en) 2007-07-30 2008-07-18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US12/176,965 US20090036181A1 (en) 2007-07-30 2008-07-21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EP08104833A EP2020806A2 (en) 2007-07-30 2008-07-22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BRPI0803746-9A BRPI0803746A2 (pt) 2007-07-30 2008-07-28 mecanismo combinado de deslizamento e rotação, e, dispositivo eletrÈnico portátil
JP2008195348A JP2009033750A (ja) 2007-07-30 2008-07-29 スライディング及びローテーション複合メカニズムとこれを採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CNA200810131177XA CN101360402A (zh) 2007-07-30 2008-07-30 滑动和旋转组合的机构及应用此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85A KR100998937B1 (ko) 2007-07-30 2007-07-30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01A KR20090012501A (ko) 2009-02-04
KR100998937B1 true KR100998937B1 (ko) 2010-12-09

Family

ID=3987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385A KR100998937B1 (ko) 2007-07-30 2007-07-30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036181A1 (ko)
EP (1) EP2020806A2 (ko)
JP (1) JP2009033750A (ko)
KR (1) KR100998937B1 (ko)
CN (1) CN101360402A (ko)
BR (1) BRPI0803746A2 (ko)
RU (1) RU2389149C2 (ko)
TW (1) TW200920072A (ko)
WO (1) WO200901731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59A1 (ko)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3754A1 (ja) * 2007-01-30 2008-08-07 Kyocera Corporation 携帯電子機器
KR20090042646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피앤텔 폭 방향으로 휘어진 휴대형 전자기기와 이를 위한 슬라이드모듈 및 그 부품
US20090145337A1 (en) * 2007-12-05 2009-06-11 Shin Zu Shing Co., Ltd. Slidable hinge
TWI369117B (en) * 2008-07-30 2012-07-21 Asustek Comp Inc Sli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0024361A1 (ja) * 2008-08-27 2010-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ライド機構及びスライド装置
CN101754622B (zh) * 2008-12-15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I358983B (en) * 2009-02-03 2012-02-21 Inventec Appliances Corp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96044B1 (ko) * 2009-08-19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스토퍼 장치
JP5561771B2 (ja) * 2009-08-28 2014-07-3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筐体を備える機器、及び、携帯機器
US8112844B2 (en) * 2009-10-19 2012-02-14 Creative Technology Ltd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device
KR101038713B1 (ko) * 2009-11-17 2011-06-02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스윙 힌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601981B1 (ko) 2010-02-05 201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거치 장치
USD717304S1 (en) * 2012-03-26 2014-11-11 Patientsafe Solutions, Inc. Scanning jacket for a handheld device
US8687351B2 (en) 2011-03-31 2014-04-01 Patientsafe Solutions, Inc. Scanning jacket for a handheld device
US8693188B2 (en) 2011-05-24 2014-04-08 Blackberry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CN103153011B (zh) * 2011-12-07 2017-02-1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及带有该滑动机构的装置
USD719167S1 (en) * 2014-08-22 2014-12-09 Patientsafe Solutions, Inc. Scanning jacket for a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device
USD719166S1 (en) * 2014-08-22 2014-12-09 Patientsafe Solutions, Inc. Scanning jacket for a handheld phone device
CN108312104B (zh) * 2018-02-26 2024-03-12 湖南文理学院 一种汽车散热器密封条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US10890288B2 (en)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CN110491285B (zh) * 2018-05-14 2021-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屏幕和电子装置
US11493953B2 (en) *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CN114071908B (zh) * 2020-08-05 2023-06-2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界面的电子装置
TWI805333B (zh) * 2022-04-21 2023-06-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螢幕組件及其旋轉升降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26B1 (ko) 2007-04-10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KR20050038982A (ko) * 2003-10-2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63542B1 (ko) *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EP1791328A1 (en) * 2004-09-14 2007-05-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device
KR100575947B1 (ko) * 2004-09-17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90088B1 (ko) * 2005-03-17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JP4486569B2 (ja) * 2005-09-06 2010-06-23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26B1 (ko) 2007-04-10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59A1 (ko)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01A (ko) 2009-02-04
WO2009017313A2 (en) 2009-02-05
CN101360402A (zh) 2009-02-04
RU2008129137A (ru) 2010-01-27
BRPI0803746A2 (pt) 2009-11-24
WO2009017313A3 (en) 2009-03-19
JP2009033750A (ja) 2009-02-12
TW200920072A (en) 2009-05-01
US20090036181A1 (en) 2009-02-05
RU2389149C2 (ru) 2010-05-10
EP2020806A2 (en)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937B1 (ko)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US7650671B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EP2134065B1 (en) Portable terminal
US8493725B2 (en)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US20070039132A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RU2402875C1 (ru) Механизм, имеющий возможность сгиба, и устройство-слайдер, имеющее возможность сгиба
US8520378B2 (en) Sw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mechanism thereof
US20110157786A1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62621B1 (ko) 이중 회전축을 갖는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US8433062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215610B1 (ko)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JP2011146025A (ja) 携帯式電子装置
KR100714512B1 (ko)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KR101277958B1 (ko) 홀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1046656B1 (ko) 휴대단말기용 롱스트로크 틸팅 힌지모듈
US20110156555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889098B1 (ko) 슬라이드부의 각도 조절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8729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프레임 조립체
KR101173013B1 (ko) 휴대단말기용 스윙 힌지 모듈
KR200402929Y1 (ko) 핸드폰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