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014A -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014A
KR20030082014A KR1020020020492A KR20020020492A KR20030082014A KR 20030082014 A KR20030082014 A KR 20030082014A KR 1020020020492 A KR1020020020492 A KR 1020020020492A KR 20020020492 A KR20020020492 A KR 20020020492A KR 20030082014 A KR20030082014 A KR 2003008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base member
communication device
seating portion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히가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014A/ko
Publication of KR2003008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플립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플립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분리하여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이용할 수 있고, 플립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결합하여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느껴지는 권태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권태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또 다른 통신 장치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 장치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BAR-TYPE/FLIP-TYPE COMBINATION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 PCS 폰, HH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음성이나 화상 통신 또는 데이터 전송과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휴대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의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기능이나 외관 또는 착용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에 따라서,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으며, 기능에 따라서 음성 통신용,화상 통신용 또는 인터넷 통신용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신체 착용 위치에 따라서 손목 착용형(wrist type) 또는 목 착용형(neck wearable type)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여러 분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외관에 따라서 분류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데이터 송수신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이 장착되는 구조이다.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바형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힌지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플립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플립은 바형의 하우징에 배열된 다수의 키들을 보호하고, 음성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는 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힌지 장치로 구성된다. 본체와 폴더의 적소에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외관적으로 분류된 바형이나, 폴더형 또는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스타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전세계 지역별로 또는 나라별로 선호하는 스타일의 휴대용 통신 장치가 사용된다. 즉, 휴대용 통신 장치는 나이, 성별, 나라, 인종, 또는 지역에 따라서 선호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외관 스타일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고가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사용자가 구입하게 되면, 계속해서 고장나기 전까지는 한 가지 타입의 휴대용 통신 장치만 사용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권태로움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권태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가의 다른 유형의 단말기를 하나 더 구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는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립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바형 또는 플립형으로 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설치된 스피커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으로 구비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와 근접하게 설치된 마이크로 폰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립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플립 장치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기 플립 장치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설치된 스피커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으로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기 키패드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마이크로 폰이 설치된 제1베이스 부재 및 플립 장치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및 플립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기 플립 장치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립형 통신 장치로 사용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플립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형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제1 베이스 부재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플립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플립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10)의 하우징(10a)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10)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플립(121)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의 하단에결합되는 제1 베이스 부재(M1) 및 플립 장치(120)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플립 장치(120)가 상기 하우징(10a)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기 플립 장치(120)가 상기 하우징(10a)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플립형 휴대용 통신장치로 사용되며, 바형 휴대용 통신장치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하우징(10a)의 하단에 제1 베이스 부재(M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의 하우징(10a)은 그 상면에 휴대용 통신 장치(10)의 상태 정보, 송수신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엘씨디(LCD;liquid crystal display)(112)가 구비되고, 상기 엘씨디(112)의 일측으로 상기 하우징(10a)의 상부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스피커 장치(110)가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112)의 타측으로는 각종 데이터 입력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의 기능 등을 호출하기 위한 키패드(1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114)의 일측으로는 마이크로 폰(116)이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116)의 일측으로 상기 하우징(10a)의 하부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안착부(S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S1)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1) 또는 상기 플립 장치(120)의 결합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S1)에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1)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S1)에 상기 플립 장치(12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S1) 및 상기 플립 장치(120)가 상기 하우징(10a)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S1)는 함몰된 형상이다.
상기 안착부(S1)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1) 및 플립 장치(120)는 공지된 마그네틱 홀더 또는 래칫(ratchet) 구조 등을 이용한 체결 수단을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10)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의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10a)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플립 장치(120)를 구비하므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0)를 바형 또는 플립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하우징(20a)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2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플립(221)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20)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부재(M3) 및 플립 장치(220)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플립 장치(220)가 상기 하우징(20a)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는 바형 휴대용 통신장치로, 상기 플립 장치(220)가 상기 하우징(20a)에 결합되었을 때에는플립형 휴대용 통신장치로 사용되며, 바형 휴대용 통신장치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하우징(20a)의 하단에 제1 베이스 부재(M3)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 및 플립 장치(220)에는 각각 마이크로 폰(216, 224)이 설치되며, 소정의 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하우징(20a)은 그 상면에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상태 정보, 송수신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엘씨디(212)가 구비되고, 상기 엘씨디(212)의 일측으로 상기 하우징(20a)의 상부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스피커 장치(210)가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212)의 타측으로는 각종 데이터 입력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기능 등을 호출하기 위한 키패드(2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214)의 일측으로는 상기 하우징(20a)의 하부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안착부(S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S2)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 또는 상기 플립 장치(220)의 결합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S2)에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되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S2)에 상기 플립 장치(22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는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 및 상기 플립 장치(220)가 상기 하우징(20a)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S2)는 함몰된 형상이다.
상기 안착부(S2)에는 홀(hole)을 이용한 잭 커넥터(H)가 설치된다. 이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 및 플립 장치(220)에 각각 설치된 마이크로 폰(216, 224)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는 상면에는 마이크로 폰(216)이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저면(218a)에는 상기 안착부(S2)의 잭 커넥터(H)와 상응하는 플러그(218b)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S2)의 잭 커넥터(H)와 플러그(218b)가 접속되므로써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의 마이크로 폰(216)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며, 상기 잭 커넥터(H) 및 플러그(218b)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에 결합하는 체결 수단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S2)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는 공지된 마그네틱 홀더 또는 래칫 구조 등을 이용한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한편, 상기 플립 장치(2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부재(M4)와 플립(2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S2)의 잭 커넥터(H)와 상응하는 플러그(226b)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M4)의 저면(226a)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힌지 암(223)이 구비된다. 상기 플립(221)은 일단에 상기 제2 베이스 부재(M4)의 사이드 힌지 암(223)에 상응하는 센터 힌지 암(222)이 구비되어, 소정의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 부재(M4)와 결합되며, 소정 위치에 마이크로 폰(22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221)은 힌지 장치의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써 개폐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223)을 상기 플립(220)에 설치하고, 상기 센터 힌지 암(222)을 상기 제2베이스 부재(M4)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폰(224)은 상기 안착부(S2)의 잭 커넥터(H)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M4)의 플러그(226b)가 접속되므로써,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상기 잭 커넥터(H)와 플러그(226b)는 상기 마이크로 폰(224)과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전기적 접속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에 결합하는 체결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안착부(S2)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M4)는 상기 안착부(S2)와의 결합을 위하여 공지된 마그네틱 홀더 또는 래칫 구조 등을 이용한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20)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의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20a)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플립 장치(220)를 구비하므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20)를 바형 또는 플립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M3) 및 플립 장치(220)는 선행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폰(116)을 휴대용 통신 장치(10)에 설치하기 때문에 제1 베이스 부재(M1) 및 플립 장치(120)에는 별도의 전기적 접속 수단이 불필요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플립 장치를 구비하므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플립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분리하여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이용할 수 있고, 플립 장치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결합하여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가의 휴대용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느껴지는 권태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권태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또 다른 통신 장치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 장치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2)

  1. 본체 상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설치된 스피커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으로 구비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와 근접하게 설치된 마이크로 폰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립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플립 장치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기 플립 장치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바형으로 사용될 때,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보호하는 제1 베이스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 힌지 암이 구비된 제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사이드 힌지 암에 상응하는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소정 길이와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센터 힌지 암이 구비된 제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센터 힌지 암에 상응하는 사이드 힌지 암이 일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6. 본체 상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설치된 스피커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으로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기 키패드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마이크로 폰이 설치된 제1 베이스 부재 및 플립 장치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및 플립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부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기 플립 장치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립형 통신 장치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잭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이 설치된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안착부 저면의 잭 커넥터와 상응하는 플러그가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과 본체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체결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 힌지 암이 구비된 제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사이드 힌지 암에 상응하는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잭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안착부 저면의 상기 잭 커넥터와 상응하는 플러그가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과 본체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체결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소정 길이와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센터 힌지 암이 구비된 제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센터 힌지 암에 상응하는 사이드 힌지 암이 일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으로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및 플립형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잭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는 저면에 상기 잭 커넥터와 상응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과 본체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체결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20020492A 2002-04-15 2002-04-15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0082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92A KR20030082014A (ko) 2002-04-15 2002-04-15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92A KR20030082014A (ko) 2002-04-15 2002-04-15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014A true KR20030082014A (ko) 2003-10-22

Family

ID=3237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492A KR20030082014A (ko) 2002-04-15 2002-04-15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283B2 (en) Sliding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KR100417248B1 (ko)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630024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6256481B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US7408514B2 (en) Speaker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sonance space
JP2658928B2 (ja) 携帯通信機
EP1353487B1 (en) Mobile terminal
KR20060114905A (ko) 복합형 휴대 단말기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EP1427173A1 (en) Folder-type communication apparatus
EP142483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ata input expandability
KR20030082014A (ko) 바형 겸용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JP3298496B2 (ja) 携帯電話機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100374349B1 (ko) 화상통신용 보조 단말기
KR100442659B1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06223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24109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63411A (ko) 폴더형 단말기에서 보드의 연결 장치
KR200184591Y1 (ko) 헤드폰형 휴대폰
KR100434455B1 (ko) 이중 힌지 장치를 구비한 플립이 제공된 휴대폰
KR100849337B1 (ko) 액정표시장치의 보강 장치
KR20021495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일 너클을 갖는 플립커버
KR101058737B1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