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704B1 -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704B1
KR101086704B1 KR1020060096377A KR20060096377A KR101086704B1 KR 101086704 B1 KR101086704 B1 KR 101086704B1 KR 1020060096377 A KR1020060096377 A KR 1020060096377A KR 20060096377 A KR20060096377 A KR 20060096377A KR 101086704 B1 KR101086704 B1 KR 10108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vel assembly
portable terminal
cam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588A (ko
Inventor
고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04B1/ko
Priority to DE102007046477.2A priority patent/DE102007046477B4/de
Priority to US11/864,558 priority patent/US7930008B2/en
Publication of KR2008002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두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두 바디가 서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로와;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유닛과 이송로와 마주하게 위치되는 다른 일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 유닛을 구비한 스위블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출력상에 따라 자유롭게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출력에 적합하도록 슬라이딩 또는 회전이 가능하면서 두 바디 간에 이격이나 또는 흔들림 등과 같이 구조적인 불안정 요소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회전, 스위블, 가이드, 단말기

Description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MOBILE TERMINAL ABLE TO ROTATE AND SLIDE AND SWIVEL ASSEMBLY JOINE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슬라이딩 되어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어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슬라이딩 되어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바디가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어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스위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저면도이다.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도 10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선 "I-I"를 따라 절개된 이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플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위블 조립체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이동부가 제 2 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에 도시된 스위블 조립체를 구성하는 고정부가 제 1 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슬라이더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 단말기 11 ... 제 1 바디
11a,12a ... 이탈 방지턱 12b,112,122 ... 구멍
12 ... 제 2 바디 13a,13b ... 입력부
14 ... 출력부 100 ... 스위블 조립체
110 ... 고정부 유닛 111 ... 고정부 바디
113 ... 체결홈 114 ... 캠부
120 ... 이동부 유닛 121 ... 이동부 바디
123 ... 캠 수용부 124 ... 스토퍼 수용부
125 ... 스토퍼 126 ... 탄성부재
127,133 ... 걸림턱 130 ... 커플링 부재
131 ... 구멍 132 ... 체결부
본 발명은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특정인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및/또는 이동하면서 단말기 내부에 포함된 일정한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수신자의 단말기에 지정된 고유번호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기지국과 같은 경유수단(또는 매개수단)을 통해 특정 상대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을 특정 상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는 각 기능에 해당되는 작동 모드로 전환시켜 각각의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작동 모드에 대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들은 출력부의 화면이 세로 또는 가로에 적합하도록 각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화모드의 경우에 있어서는 통화모드에 의해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세로 방향으로 제공되고, TV 등과 같은 영상 미디어모드에 의해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가로 방향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출력상태에 적합한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에 대한 연 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최근 개발된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 세로 또는 가로 방향의 출력 상태에 적합한 상태로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말기는 소위 스위블 타입이라 불리우는 단말기로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90도 및 180도의 순차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스토퍼를 구비하여 90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블 타입의 구조를 갖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의 잦은 회전으로 인하여 스토퍼의 고장 또는 마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가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화면을 통해 가로방향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상태와 세로방향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적합하면서도 안정된 작동 상태와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세로방향의 출력 상태와 가로방향의 출력 상태에 따라 출력부가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간단한 작동으로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단말기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두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두 바디가 서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로와;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유닛과 이송로와 마주하게 위치되는 다른 일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 유닛을 구비한 스위블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두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두 바디가 서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로와;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유닛과 이송로와 마주하게 위치되는 다른 일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 유닛을 구비한 스위블 조립체와;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일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형태와 원호 형태의 가이드 홈과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위블 조립체는 일 측면에 캠부가 구비되는 고정부 유닛과; 일 측면에 상기 캠부가 수용되는 캠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수용부의 어느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가 장착되는 이송부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스위블 조립체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캠부가 복수개의 돌출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블 조립체는 캠부와 캠 수용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스위블 조립체는 커플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위블 조립체의 이동부 유닛이 장착되는 이송로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이 형성되고, 스위블 조립체의 고정부 유닛이 장착되는 바디에는 상기 이송로에 형성되는 구멍과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위블 조립체는 이송로에 형성되는 구멍 및 스위블 조립체의 고정부가 장착되는 바디에 형성되는 구멍이 서로 연락 가능하도록 구멍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스위블 조립체의 캠부는 복수개의 돌출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걸림턱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스위블 조립체의 캠 수용부는 걸림턱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고정부 유닛과 이송부 유닛은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커플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커플링 부 재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송로는 어느 일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할 수 있고, 이송로가 형성된 바디와 마주하는 다른 일 바디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는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이송로는 어느 일 바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송로가 형성된 바디와 마주하는 다른 일 바디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이송로는 어느 일 바디의 길이방향 및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송로가 형성된 바디와 마주하는 다른 일 바디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직선 형태의 가이드 홈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원호 형태의 가이드 홈에서 연장되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는 각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여기서, 이송로에는 스위블 조립체의 이동부 바디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어느 일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 이드 홈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 바디에는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며, 가이드 홈은 슬라이더가 멈추게 되는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이탈 방지 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이송로는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바디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송로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바디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슬라이더 방식과 스위블 방식이 조합된 구동 방식을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입력부(13a,13b)가 구비되는 제 1 바디(11)와 출력부(14)가 구비되는 제 2 바디(12)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3a,13b) 및 출력부(14)는 각각 또는 혼용되어 제 1 바디(11)와 제 2 바디(12)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두 바디(11,12)는 휴대 단말기(10)의 길이 방향(도면에서는 세로방향)으로의 슬라이딩과 제 1 바디(11)를 기준으로 제 2 바디(12)가 직각을 이루도록 스위블(swivel)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과 스위블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두 바디(11,12)는 스위블 조립체(1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는 두 바디(11,12) 중 어느 일 바디에 형성되는 이송로(200a)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가 이송로(200a)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표현을 하였으나, 이는 이송로(200a)가 형성되는 어느 일 바디가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다른 표현으로는 이송로(200a)가 형성되는 바디가 스위블 조립체(100)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고정부 유닛(110)과 이동부 유닛(120)이 제 1 바디(11)와 제 2 바디(12)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된다.
즉, 제 2 바디(12)에 상기 이송로(200a)가 형성되게 구성하여 이동부 유 닛(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 유닛(12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유닛(110)이 제 1 바디(11)에 고정되는 상태로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각 실시예에서도 상기 이송로는 물론 변형된 구조의 이송로 또한 제 2 바디(12)에 형성되는 구조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이동부 유닛(120)이 상기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로(200a)는 제 2 바디(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200a)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스위블 조립체(100)는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장착된다.
우선,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는 도 10 내지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어느 일 바디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고정부 유닛(110)과 다른 일 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 유닛(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 1 바디(11)에 고정부 유닛(110)이 장착되고, 다른 제 2 바디(12)에 이동부 유닛(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구성하였다. 상기 고정부 유닛(110)과 이동부 유닛(12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는 이동부 유닛(120)이 고정부 유닛(110)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하여 상기 제 1 바디(11)와 제 2 바디(12)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플링 부재(130)를 통해 이동부 유닛(120)이 고정부 유닛(110)과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두 바디(11,12)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가 장착되는 위치의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상태의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상기 고정부 유닛(110)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측면에는 상기 제 1 바디(11)에 고정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체결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일 면에는 반자동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캠부(114)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캠부(114)는 복수개의 돌출부(114a)와 홈부(114b)가 서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이하 설명되는 이동부 유닛(120)과 90도 간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캠부(11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돌출부(114a)와 홈부(114b)가 각각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114)는 이하 설명되는 이동부 유닛(120)의 걸림턱(127)과 회전시 접하게 되어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턱(114c)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14c)은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돌출부(114a) 및 홈부(114b)와 함께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유닛(110)은 중앙부에 구멍(11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멍(112)은 이하 설명되는 이동부 유닛(120)의 구멍(122)과 함께 스위블 조립체(100)의 중앙부에 구멍(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스위블 조립체(100)에 구멍(A)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두 바디(11,1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 유닛(1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유닛(120)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캠부(114)와 상응하는 이동부 바디(121)의 위치에 상기 캠부(114)가 수용 가능하게 캠 수용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캠 수용부(123)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턱(127)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캠부(114)와 함께 작용하여 스위블 조립체(100)가 반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26)에 의해 상기 캠부(114)를 지지하게 되는 스토퍼(12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5)는 캠 수용부(12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수용부(124)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 유닛(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부 유닛(110)의 구멍(112)과 상응하는 구멍(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고정부 유닛(110)과 이동부 유닛(12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플링 부재(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플링 부재(130)는 중간 부분에 삽입부(132)가 형성되는 플랜지와 같은 구조로 상기 삽입부(132)의 양 단부에 걸림턱(133)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 부재(130)는 중앙부에 상기 고정부 유닛(110) 및 이동부 유닛(120)과 같이 구멍(1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스위블 조립체(100)는 도 14 내지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고정부 유닛(110)은 상기 제 1 바디(11)에 체결구(140)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이동부 유닛(120)은 제 2 바디(12)에 형성되는 이송로(20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 유닛(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로(200a)에는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이동부 유닛(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턱(12a)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부 유닛(120)의 측면에 이탈 방지부재(예를 들어 이동부 유닛(120)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상기 이동부 유닛(120)이 이송로(200a)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가 제 2 바디(120)의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동부 유닛(120)이 상기 제 2 바디(1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즉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고정부 유닛(110)과 이동부 유닛(12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하여 상기 제 2 바디(12)의 케이스가 상기 고정부 유닛(110)과 이동부 유닛(120) 사이에 위치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블 조립체(100)에 의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딩과 회전이 가능하 게 된다.
도 3a는 상기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이동부 유닛(120)이 제 2 바디(12)에 형성된 이송로(200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즉, 상기 이송로(200a)가 구비된 제 2 바디(12)가 스위블 조립체(100)의 이동부 유닛(120)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3b는 상기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제 2 바디(12)는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제 2 바디(12)에 형성되는 이송로(200a)에 스위블 조립체(100)가 위치한 초기 위치(즉, 도 2a에 도시된 상태의 위치)에서 이송로(200a)를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는 초기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고정부 유닛(110)에 대하여 이동부 유닛(120)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시 말해, 상기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딩만 되거나 또는 회전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3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이송로(200a)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즉, 세로방향) 가이드 홈(320a)과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회전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즉, 원호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홈(32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230a,320b)은 제 1 바디(11)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두 가이드 홈(230a,320b)의 일 단부는 동일지점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즉, 일 단부가 겹치는 구조) 형성된다.
상기 두 가이드 홈(230a,320b)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회전시 선택적으로 두 가이드 홈(230a,320b) 중 일 가이드 홈(230a,320b)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더(310)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바디(12)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10)가 이동하는 통로인 상기 두 가이드 홈(230a,320b)에는 상기 슬라이더(3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턱(11a)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턱(11a)은 상기 가이드 홈(230a,320b)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슬라이더(310)가 정지하는 위치, 즉 초기 위치와 슬라이딩 된 상태의 위치 및 회전된 상태의 위치 영역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00)를 더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는 휴대 단말기(10)의 세로축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 즉 휴대 단말기(10)의 세로축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일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를 기준으로 회전되었을 때, 제 2 바디(12)의 좌,우측 단부(회전되지 않았을 때 상, 하 단부)가 제 1 바디(11)의 세로축 중심과 대칭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바디(12)가 제 1 바디(11)에 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과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출력부(14)를 통해 제공되는 작동모드에 상응하는 출력 데이터의 상태(예를 들어 통화모드 또는 VT 모드 등)에 따라 상기 제 2 바디(12)는기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동 또는 회전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b에는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10-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1)는 상기 첫 번째 실시 형태와 같이 입력부(13a-1,13b-1)가 구비되는 제 1 바디(11-1)와 출력부(14-1)가 구비되는 제 2 바디(12-1)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두 바디(11-1,12-1)는 제 1 바디(11-1)를 기준으로 제 2 바디(12-1)가 직각을 이루도록 스위블(swivel)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디(12-1)가 휴대 단말기(10-1)의 길이 방향(도면에서는 세로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과 스위블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두 바디(11-1,12-1)는 스위블 조립체(100-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1)는 두 바디(11-1,12-1) 중 어느 일 바디에 형성되는 이송로(200b-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b에서는 상기 이송로(200b-1)가 제 2 바디(12-1)에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며, 이하 이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로(200b-1)는 제 2 바디(1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200b-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스위블 조립체(100-1)는 제 2 바디(12-1)가 제 1 바디(11-1)에 대하여 슬라이 딩 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1)의 구성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과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로(200b-1)에는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이동부 유닛(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턱(12a)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6a는 상기 제 2 바디(12-1)가 제 1 바디(11-1)에 대하여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2 바디(12-1)는 제 1 바디(11-1)에 대하여 제 2 바디(12-1)에 형성되는 이송로(200b-1)에 스위블 조립체(100-1)가 위치한 초기 위치(즉, 도 3a에 도시된 상태의 위치)에서 이송로(200b-1)를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1)는 초기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고정부 유닛(110)에 대하여 이동부 유닛(120)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6b는 상기와 같이 제 2 바디(12-1)가 제 1 바디(11-1)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이동부 유닛(120)이 제 2 바디(12-1)에 형성된 이송로(200b-1)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이송로(200b-1)가 구비된 제 2 바디(12-1)가 스위블 조립체(100-1)의 이동부 유닛(1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게 되어 상기 제 2 바디(12-1)가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2 바디(12-1)가 제 1 바디(11-1)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300-1)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300-1)는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 1)의 회전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즉, 원호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홈(320b-1)과 상기 이송로(200a-1)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즉, 세로방향) 가이드 홈(320c-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230b-1,320c-1) 또한 제 1 바디(11-1)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두 가이드 홈(230b-1,320c-1)의 일 단부는 동일지점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즉, 일 단부가 겹치는 구조) 형성된다.
상기 두 가이드 홈(230b-1,320c-1)을 따라 회전 또는 슬라이딩시 선택적으로 두 가이드 홈(230b-1,320c-1) 중 어느 일 가이드 홈(230b-1,320c-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더(310-1)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바디(12-1)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10-1)가 이동하는 통로인 상기 두 가이드 홈(230b-1,320c-1)에는 상기 슬라이더(310-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탈 방지턱(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출력부(14-1)를 통해 제공되는 작동모드에 상응하는 출력 데이터의 상태(예를 들어 통화모드 또는 VT 모드 등)에 따라 상기 제 2 바디(12-1)는 제 1 바디(11-1)에 대하여 회전 또는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b에는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10-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2)는 상기 실시 형태들과 같이 입력부(13a-2,13b-2)가 구비되는 제 1 바디(11-2)와 출력부(14-2)가 구비되는 제 2 바디(12-2)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길이 방향(도면에서는 세로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하며, 그리 고,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를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스위블(swivel)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디(12-2)가 휴대 단말기(10-2)의 길이 방향(도면에서는 세로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과 스위블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두 바디(11-2,12-2)는 스위블 조립체(100-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2)는 두 바디(11-2,12-2) 중 어느 일 바디에 형성되는 이송로(200a-2,200b-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로(200a-2,200b-2)가 제 2 바디(12-2)에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며, 이하 이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로(200a-2,200b-2)는 제 2 바디(12-2)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 2 바디(12-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두 이송로(200a-2,200b-2)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200a-2,200b-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스위블 조립체(100-2)는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상기 이송로(200a-2,200b-2)를 따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2)의 구성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과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이송로(200a-2,200b-2)에는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의 이동부 유닛(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탈 방지턱(12a)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9a는 상기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2)의 이동부 유닛(120)이 제 2 바디(12-2)에 형성된 이송로(200a-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로(200a-2)가 구비된 제 2 바디(12-2)가 스위블 조립체(100-2)의 이동부 유닛(120)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9b는 상기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2 바디(12-2)는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제 2 바디(12-2)에 형성되는 이송로(200a-2)에 스위블 조립체(100-2)가 위치한 초기 위치(즉, 도 9a에 도시된 상태의 위치)에서 이송로(200a-2,200b-2)를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2)는 초기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고정부 유닛(110)에 대하여 이동부 유닛(120)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9c는 상기와 같이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이동부 유닛(120)이 제 2 바디(12-2)에 형성된 이송로(200b-2)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이송로(200b)가 구비된 제 2 바디(12-2)가 스위블 조립체(100-2)의 이동부 유닛(1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게 되어 상기 제 2 바디(12-2)가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2 바디(12-2)가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및 슬라이딩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300-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300-2)는 제 2 바디(12-2)가 슬라이딩 되는 상기 이송로(200a-2)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즉, 세로 방향) 가이드 홈(320a-2)과 상기 스위블 조립체(100-2)의 회전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즉, 원호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홈(320b-2), 그리고 상기 이송로(200a-2)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즉, 세로방향) 가이드 홈(320c-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230a-2,230b-2,320c-2)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과 같이 제 1 바디(11-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각 가이드 홈(230a-2,230b-2,320c-2)의 일 단부는 동일지점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즉, 일 단부가 겹치는 구조) 형성된다.
상기 각 가이드 홈(230a-2,230b-2,320c-2)을 따라 회전 또는 슬라이딩시 선택적으로 각 가이드 홈(230a-2,230b-2,320c-2) 중 어느 일 가이드 홈(230a-2,230b-2,320c-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더(310-2)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바디(12-2)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10-2)가 이동하는 통로인 상기 각 가이드 홈(230a-2,230b-2,320c-2)에는 상기 슬라이더(310-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탈 방지턱(11a)을 더 형성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출력부(14-2)를 통해 제공되는 작동모드에 상응하는 출력 데이터의 상태(예를 들어 통화모드 또는 VT 모드 등)에 따라 상기 제 2 바디(12-2)는 제 1 바디(11-2)에 대하여 슬라이딩 및 회전과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 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출력상에 따라 자유롭게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출력에 적합하도록 슬라이딩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전되어 배치될 때, 입력부가 구비되는 일 바디와 출력부가 구비되는 다른 일 바디 간에 이격이나 또는 흔들림 등과 같이 구조적인 불안정 요소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기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작동으로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부가 구비된 바디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전되어 배치될 때, 전체 단말기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게 되어 휴대와 사용상 편리하게 된다.

Claims (29)

  1.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바디;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에 상기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로;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결합하고,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스위블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 조립체는,
    상기 이송로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의 바디에 결합되고, 캠부가 형성되는 고정부 유닛; 및
    상기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캠 수용부와 상기 캠 수용부에서 연장되는 스토퍼 수용부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 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조립체의 중앙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복수개의 돌출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와 상기 캠 수용부에는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유닛과 상기 이동부 유닛은 커플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어느 일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가 형성된 바디와 마주하는 다른 일 바디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어느 일 바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가 형성된 바디와 마주하는 다른 일 바디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어느 일 바디의 길이방향 및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가 형성된 바디와 마주하는 다른 일 바디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직선 형태의 가이드 홈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원호 형태의 가이드 홈에서 연장되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는 상기 각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에는 상기 이동부 유닛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조립체의 이동부 유닛이 장착되는 이송로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블 조립체의 고정부 유닛이 장착되는 바디에는 상기 이송로에 형성되는 구멍과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조립체는 상기 이송로에 형성되는 구멍 및 스위블 조립체의 고정부 유닛이 장착되는 바디에 형성되는 구멍이 서로 연락 가능하도록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슬라이더가 멈추게 되는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이탈 방지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5.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상기 두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두 바디가 서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유닛과 상기 이송로와 마 주하게 위치되는 다른 일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 유닛을 구비한 스위블 조립체와;
    상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일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형태와 원호 형태의 가이드 홈과 상기 이송로가 형성되는 바디에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바디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는 바디의 길이 방향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송로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바디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유닛에는 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 유닛은 상기 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캠 수용부와, 상기 캠 수용부에서 연장되는 스토퍼 수용부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돌출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 유닛은 상기 고정부 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조립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세로축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위블 조립체와 대응하게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22. 캠부가 구비되는 고정부 유닛과;
    상기 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캠 수용부와, 상기 캠 수용부에서 연장되는 스토퍼 수용부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 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복수개의 돌출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5.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수용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유닛과 상기 이동부 유닛의 중앙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유닛과 상기 이동부 유닛은 커플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립체.
  29.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바디;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에 상기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로;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결합하고,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스위블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 조립체는,
    상기 이송로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의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 유닛; 및
    상기 이송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 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세로축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20060096377A 2006-09-29 2006-09-29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KR10108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377A KR101086704B1 (ko) 2006-09-29 2006-09-29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DE102007046477.2A DE102007046477B4 (de) 2006-09-29 2007-09-28 Mobiles Endgerät sowie mit diesem gekoppelte Dreheinrichtung
US11/864,558 US7930008B2 (en) 2006-09-29 2007-09-28 Mobile terminal and swivel assembly coupl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377A KR101086704B1 (ko) 2006-09-29 2006-09-29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588A KR20080029588A (ko) 2008-04-03
KR101086704B1 true KR101086704B1 (ko) 2011-11-25

Family

ID=3915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377A KR101086704B1 (ko) 2006-09-29 2006-09-29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30008B2 (ko)
KR (1) KR101086704B1 (ko)
DE (1) DE10200704647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11B1 (ko) * 2005-01-11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01470530B (zh) * 2007-12-26 2010-09-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键盘装置及具有该键盘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568240B (zh) * 2008-04-25 2012-07-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具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150480B2 (en) * 2008-12-10 2012-04-03 Nokia Corporation Device with retracted front face
KR101037849B1 (ko) * 2009-07-20 2011-05-31 한 상 이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US8862190B2 (en) * 2010-02-15 2014-10-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upper housing and cover plate therefor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US8693188B2 (en) * 2011-05-24 2014-04-08 Blackberry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10890288B2 (en)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1493953B2 (en) *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5866T2 (de) * 1994-11-02 2002-11-07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einheit
WO2002078415A1 (fr) * 2001-03-22 2002-10-03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lectronique et systeme de reproduction d'information
KR100527164B1 (ko) * 2003-06-16 200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EP1762009A1 (en) * 2004-06-26 2007-03-14 M2SYS Co., Ltd.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TWI254199B (en) * 2004-08-31 2006-05-01 Benq Corp Slidable and automatic rotatable apparatus
EP1791328A1 (en) * 2004-09-14 2007-05-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device
JP2006146455A (ja) * 2004-11-18 2006-06-0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電子機器、指標付画像の表示方法
JP4625321B2 (ja) * 2004-12-13 2011-02-02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TWM269695U (en) * 2004-12-22 2005-07-01 Lite On Technology Corp Hand-held-type electronic data processor
US7567059B2 (en) * 2005-04-22 2009-07-28 Kyocera Wireless Corp. Desktop charg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JP4584052B2 (ja) * 2005-06-28 2010-11-17 富士通株式会社 二軸回り回転部品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46477B4 (de) 2014-10-09
US20080081678A1 (en) 2008-04-03
DE102007046477A1 (de) 2008-04-10
KR20080029588A (ko) 2008-04-03
US7930008B2 (en) 201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704B1 (ko)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US7708240B2 (en) Computer docking system
US8155718B2 (en)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JP4243606B2 (ja) カメラ付の携帯電話機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US7529571B2 (en)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US7235738B2 (en) Portable data device
US7818027B2 (e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4215180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EP2007116A2 (en) Sliding of housings used as input for a mobile phone
KR20070048895A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JP2003031963A (ja) マルチアングルヒンジカムを設けた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KR20100071800A (ko) 휴대통신단말기용 스탠드조립체
KR100875856B1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100764228B1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및 그 휴대전화기의 작동방법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7200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5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117599B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070010411A (ko) 롤러 구동 슬라이딩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327667B1 (ko) 휴대용 단말기
US7974665B2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CN117771650A (zh) 可结合可携式电子装置的操控组件
KR101539264B1 (ko)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