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849B1 -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849B1
KR101037849B1 KR1020090065786A KR20090065786A KR101037849B1 KR 101037849 B1 KR101037849 B1 KR 101037849B1 KR 1020090065786 A KR1020090065786 A KR 1020090065786A KR 20090065786 A KR20090065786 A KR 20090065786A KR 101037849 B1 KR101037849 B1 KR 10103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groove
guide groove
guid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432A (ko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한 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상 이 filed Critical 한 상 이
Priority to KR102009006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849B1/ko
Priority to PCT/KR2010/004048 priority patent/WO2011010802A2/ko
Priority to US13/384,711 priority patent/US20120120574A1/en
Priority to TW099123627A priority patent/TW201112929A/zh
Publication of KR2011000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896Snap action

Abstract

전자기기나 다양한 구조물에서 슬라이딩 및/또는 선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제1몸체에 설치된 활주턱, 활주턱과 대응하는 제2몸체에 설치되어 활주턱과 맞물려서 활주턱을 활주시키는 레일,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어느 일측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및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타측에 설치되고 가이드홈을 향해 돌출되어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제1몸체와 제2몸체 상호간의 슬라이딩 동작 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핸드폰, 휴대폰, 슬라이드, 선회, 가이드홈

Description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나 다양한 구조물에서 두 몸체 간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 선회 슬라이딩 운동 또는 직선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선회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전화기, 휴대형 게임기, 피디에이, 전자수첩, 전자사전 등의 휴대형 단말기 형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플립 타입, 바 타입, 폴더 타입의 휴대형 전화기가 알려져 있고, 슬라이드 타입 휴대형 전화기도 제품화되어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타입 휴대형 단말기는 덮개 및 덮개가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되는 본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와 슬라이딩 덮개가 상호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하로 포개지거나 그 포개짐이 해제되는 운동을 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딩 메커니즘 또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가이드홈과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드 메커니즘,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슬라이드 메커니즘, 그리고 받침판에 지지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 라이드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판, 그리고 판스프링 등을 이용한 특수한 구조의 슬라이드 메커니즘 등이 알려져 있는 데, 이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구조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기존의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는 덮개를 상하로 개폐 시 모두 덮개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시키도록 되어 있음을 인지하였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식 단말기의 덮개를 상하로 개폐 시에도 직선이 아닌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에 대한 발명의 필요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최근 들어 휴대폰에 카메라기능과 동영상시청기능이 통합되면서, 휴대폰 덮개에 마련된 액정화면을 통해 동영상이나 화상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보기 위한 목적 또는 원활한 카메라촬영을 위한 목적으로 덮개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지만, 덮개가 선회된 상태에서 제1몸체의 상단에서 좌우 대칭이 맞는 자세를 취하도록 회전축의 위치를 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음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운동에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채용하여 동작의 안정성을 꾀하고 구조의 단순화를 기한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회 동작을 위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채용하여 동작성의 안정성을 꾀하고 구조의 단순화를 기한 선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및 선회 동작에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채용함에 의해 동작의 안정성 기하고 보다 간단한 구조 및 구성으로 슬라이딩 및 선회 동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의 개폐 시 직선 슬라이딩 운동뿐만 아니라 곡선 슬라이딩 운동 또는 좌우로 요동되는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를 회전시켜 개폐 시 자동적으로 좌우대칭이 맞추어질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된 활주턱, 상기 활주턱과 대응하는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활주턱과 맞물려서 상기 활주턱을 활주시키는 레일,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상호간의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레일, 상기 활주턱 및 상기 가이드홈은 모두 직선을 따라 설치되거나 모두 중앙부가 일 측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을 따라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주턱과 상기 레일 중 상기 타측에 설치되는 것은 회동부재설치부를 통해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직선홈, 일 측방으로 볼록한 곡선홈, 지그재그(zigzag)형태로 좌우로 1번 이상 굴곡 된 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부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으로는 활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체를 구비하는 제1몸체, 회동부재설치부 및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제1몸체가 회동될 때 상기 가이드홈의 측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몸체를 하기 레일 판체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회동부재설치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활주턱과 결합되는 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제1몸체가 회동되면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레일 판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홈부의 일측에 연결된 수평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상향경사홈부와 상기 상향경사홈부의 상단부에서 다시 낮아지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것을 하향경사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상향경사홈부와 상기 하향경사홈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하로 연장된 경로를 따라 형성된 상하연장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회동부재설치부로서 통공이 마련된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서 상기 통공에 끼워져 상기 레일 판체에 결합되는 원판부와 상기 회동부재설치부보다 큰 직경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의 중앙에는 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캠홈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의 내벽을 밀착하는 텐션롤러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캠홈은 곡선의 유도로와 상기 유도로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도로보다 큰 반경에 형성되는 정지홈들로 구성되며, 상기 텐션롤러기구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몸체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유도로에 밀착되어 외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면서 선회 동작 시 상기 정지홈에 안착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회동부재설치부로서 통공이 마련된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레일 판체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레일 판체를 좌우로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원형돌출부와 상기 상판의 저부에서 상기 원형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돌출부가 상기 통공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링체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홈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홈부는 직선홈, 상하 중앙부위가 일 측방향으로 볼록한 곡선홈 및 지그재그(zigzag)형태로 좌우로 1번 이상 굴곡 된 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양단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각각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제2몸체에 대한 상기 제1몸체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동되면서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지며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제1몸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어주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는 활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체를 구비하는 제1몸체, 하판과 상기 하판에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하되, 상기 상판의 상부측에는 원형의 회동부재설치부가 마련되는 제2몸체, 위쪽 일부분이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서 상기 회동부재설치부에 끼워져 위치하며, 아래쪽은 상기 회동부재설치부에 걸려 상기 제2몸체 내에 위치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활주턱과 결합되는 레일을 구비하여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하는 레일 판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중 어느 일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다가 그 끝단에서 사선방향으로 하향 형성된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중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상기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상호간의 슬라이딩 및/또는 선회 동작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슬라이드 판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부와, 상기 수직홈부에서 연장 하여 폭방향으로 하향 형성되는 경사홈부와, 상기 경사홈부와 연결되는 수평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몸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그를 따라 운동하면서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제1몸체의 슬라이딩 및/또는 선회 운동을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는 각각 그들의 운동을 위해 그에 적합한 경로 및 형상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채용함으로써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성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덮개의 회전 개폐 시 좌우 대칭을 자동을 맞출 수 있고, 가이드홈의 경로와 돌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덮개의 좌우 이동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설치부의 위치도 설계자가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가이드홈의 수직홈부를 지그재그(zigzag) 형태나 곡선형으로 형상화함에 의해 동작 시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다양한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색다른 흥미 또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결합구조가 안정적이고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갖는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직선방향의 슬라이딩운동과 선회동작을 단독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운동방식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휴대폰에 응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보기가 용이하게, 모바일게임을 할 때 양손 조작의 용이성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장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데, 본 실시예들은 휴대폰에 적용된 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과 선회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는 슬라이드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제거하고 핵심부분만을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아래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핵심부분만을 보다 확대하 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2몸체 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두 부재, 즉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에 대하여 직선 활주(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슬라이딩 메카니즘과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선회 메카니즘을 구비한다. 여기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본 장치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폰을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제1몸체는 덮개가 되고 제2몸체는 휴대폰의 본체가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몸체는 휴대폰의 본체가 되고 제2몸체는 휴대폰의 덮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슬라이드 휴대폰에 적용된 슬라이딩 메카니즘으로 제2몸체(100) 상에서 제1몸체(200)가 슬라이딩 하도록 그 사이에 구성된 레일형 슬라이딩 메카니즘을 예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은 제2몸체(100)와 제2몸체(100)의 위쪽에 장착되어 제2몸체(100)상에서 슬라이딩 활주하는 제1몸체(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몸체(200)가 제2몸체(100)상에서 슬라이딩 활주하기 위하여, 제1몸체(200)와 제2몸체(100)의 대면부위에는 슬라이딩 메카니즘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200)의 배면에 활주턱(310-1,310-3)을 마련하고, 제1몸체(200)의 배면과 마주보는 제2몸체(100) 전면의 상부측에 이 활주턱(310-1,310-3)과 맞물려 활주턱이 슬라이딩 활주하도록 안내하는 레일(410-1,410-3)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1몸체(200)의 활주턱(310-1,31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200) 배면에 고정되는 판체(300; 이하, "슬라이드 판체"라 한다.)에 좌우 양측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410-1,410-3)은 별개의 판체(400; 이하, "레일 판체"라 한다.)로 구성되어 제2몸체(100) 전면 상부에 장착된다.
본 장치는 슬라이딩 동작 시 사용자의 조작력을 배가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5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토션 스프링(500)은 레일 판체(400)와 슬라이드 판체(300)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단(510)은 슬라이드 판체(30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그 타단(520)은 레일 판체(40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제2몸체(100)에 대한 제1몸체(200)의 슬라이딩 시 압축과 복원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회 메카니즘은 제2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600)를 구비한다. 이 회동부재(600)는 바람직하게 원형 판으로서, 위쪽의 원판부(610)는 아래쪽의 걸림부(620)에 비해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턱이 져 있다. 이 회동부재(600)는 제2몸체(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데, 이를 위해 제2몸체 상판(120)의 상부측에는 회동부재설치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회동부재설치부(122)는 통공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회동부재(600)의 원판부(610)가 끼워져 위치할 수 있는, 즉 위쪽의 원판부(610)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걸림부(6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회동부재설치부(122)의 구조에 의해 회동부재(600)를 제2몸체 상판(120)의 아래쪽에서 끼운 상태에서 제2몸체 상판(120)과 하판(110)을 결합시키면, 회동부재(600)가 제2몸체(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동부재(600)의 원판 부(610)가 회동부재설치부(122) 내에 위치하며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설치부(122) 내에 위치한 회동부재(600)의 원판부(610)의 상면은 대략 제2몸체 상판(120)의 상면과 대략 동일 높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몸체(100) 상판(120)의 저면에 지지판(700)을 결합시켜 회동부재(600)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것이 좋다. 물론, 회동부재(600)는 전술한 레일 판체(400)와 결합되어 레일 판체(400)를 제2몸체(100) 위쪽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회동부재(600)와 레일 판체(400)는 일체로 제2몸체(100)에서 회전된다. 특히, 원형의 회동부재(600)는 원형의 회동부재설치부(122)에 지지되어 그를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장치는 선회 동작을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도하고 정해진 각도에서 정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부가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 선회유도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회동부재(600)의 중심부에 캠홈(630)이 형성되어 이 캠홈(630)을 따라 지지판(700)에 설치된 텐션롤러기구(710-1,710-3)가 밀착되어 있다. 이 텐션롤러기구(710-1,710-3)는 일단이 지지판(700)에 고정되어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토션스프링(712)의 개방단에 롤러(714)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며, 롤러(714)가 캠홈(6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캠홈(630)은 곡선의 유도로(632)의 90도 각도마다 회동부재(600)의 중심에서 유도로(632)보다 먼 반경을 갖는 정지홈들(6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회동부재(600)가 회전 시 텐션롤러기구(710-1,710-3)가 유도로(632)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90도 각도에서 자연스럽게 정지하게 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제2몸체(100)에서 제1몸체(200)의 선회 시 제1몸체(200)가 흔들림 없이 선회하는 동시에 제1몸체(200)의 90도 각도에서 정지되어 위치하게 한다. 이 텐션롤러기구(710-1,710-3)는 회동부재(600)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대향하게 한 쌍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직선 슬라이딩과 선회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가이드홈(320)과 가이드돌기(13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홈(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200)의 밑판인 슬라이드 판체(300)의 저면에 형성되며, 그 형태는 슬라이드 판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수직홈부(322)와 이 수직홈부(322)의 위쪽 내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사선을 형성하면서 연결되는 경사홈부(324) 및 이 경사홈부(324)의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홈부(326)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수직홈부(322)는 슬라이드 판체(300)의 일측 가장자리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돌기(130)는 수직홈부(322)와 대면하는 제2몸체 상판(120)의 상부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 가이드돌기(130)의 단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가이드홈(320)에 삽입 시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가이드홈(320)에서 수직홈부(322)는 상하 방향의 직선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부분이고 경사홈부(324)와 수평홈부(326)는 선회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가이드돌기(130)가 수직홈부(322)를 따라 이동하면 제2몸체(100)에서 제1몸체(200)가 직선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6, 9 및 10을 참조하면, 가이드돌기(130)가 경사홈부(324)와 수평홈부(326)를 따라서 이동하면 선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가이드홈(320)과 가이드돌기(130)는 각각 제1몸체(200)에 결합 된 슬라이드 판체(300)와 제2몸체(100)에 구성되는데, 이는 반대로 가이드홈은 제2몸체에 그리고 가이드돌기는 슬라이드 판체에 구성해도 된다. 나아가, 슬라이드 판체는 제1몸체와 일체로 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판체로 구성하여 장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운동은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호 운동이므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는 그 위치를 서로 바꾸어도 상관없다.
결과적으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메카니즘은 활주턱(310-1,310-3)과 레일(410-1,410-3)의 구조와 가이드홈(320)의 수직홈부(322)와 가이드돌기(130)의 결합에 의해 구현되며, 선회 메카니즘은 레일 판체(400)와 결합된 회동부재(600)와 회동부재설치부(122)의 구조와 가이드홈(320)의 경사홈부(324) 및 수평홈부(326)와 가이드돌기(130)의 결합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메카니즘과 선회 메카니즘을 분리하여 슬라이딩만 하는 슬라이딩 장치와 선회만 할 수 있는 선회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하 방향 운동의 슬라이딩 장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그리고 선회 슬라이딩 장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들이다.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동작은 사용자가 휴대폰 제2몸체(100)에서 제1몸체(200)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서 수행된다. 제1몸체(20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제1몸체(200) 저면의 좌우양측에 구비된 활주턱들(310-1,310-3)이 제2몸체(100) 상부에 결합된 레일 판체(400)의 좌우 한 쌍의 레일들(410-1,410-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돌기(130)는 가이드홈(320)의 수직홈부(322)를 따라 위에서 아래쪽으로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부연하면, 제1몸체(200)가 제2몸체(100)와 포개져 있을 때(동작 전)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30)는 수직홈부(322)의 제일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제1몸체(200)를 밀게 되면, 제1몸체(200)가 상승하면서 제2몸체(1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0)는 반대로 수직홈부(322)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즉, 도 7은 작동 중간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돌기(130)는 수직홈부(322)의 대략 중간위치를 통과하여 계속하여 하강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동작 후 가이드돌기(130)는 수직홈부(322)의 대략 최하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제1몸체(200)는 완전히 펼쳐진 최고 동작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 토션스프링(500)은 제1몸체(200)가 상승하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작동 중간위치로 가면서 압축되었다가 그 중간위치를 지나면 복원되면서 도 8의 최고 동작위치로 갈 때 그 탄성복원력을 제1몸체(200)에 작용시켜 사용자가 동작 중간위치까지만 밀면 손쉽게 동작완료위치까지 작동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토션스프링(500)을 설치함에 의해 사용자의 작은 조작력으로도 손쉽게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동작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켜 준다.
물론, 개방된 제1몸체(200)를 닫을 때는 위에 설명한 동작을 반대로 하여 수행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선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들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몸체(200)가 제2몸체(100)에 포개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제1몸체(200)를 회전시키면, 제1몸체(200)의 활주턱(310-1,310-3)과 결합된 레일 판체(400)는 제2몸체(100)의 회동부재설치부(122)에 결합된 회동부재(600)와 일체로 회동부재설치부(122)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돌기(1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320)의 경사홈부(324)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활주턱(310-1,310-3)이 레일(410-1,410-3)을 일정거리 활주하면서 제1몸체(200)가 선회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도 10에서와 같이 가이드돌기(130)는 경사홈부(324)를 지나 수평홈부(326)를 따라서 이동하여 수평홈부(326)의 단부에서 멈추게 된다. 그에 따라서, 가이드홈(320)의 경사홈부(324)와 수평홈부(326)의 구조에 의해 제1몸체(200)는 선회에 동시에 일정거리 활주하면서 제1몸체(200)가 90도 선회하여 멈추면 제1몸체(200)의 중간부위가 제2몸체(100) 상부에 위치하여 T자형으로 완료된다. 여기에서, 수평홈부(326)는 가이드 돌기(130)와 작용하여 제1몸체(200)가 좌우 대칭의 위치에 있도록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선회동작에 따라 한 쌍의 텐션롤러기구들(710-1,710-3)의 롤러들(714)은 유동로(632)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따라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다음의 정지홈들(634)에 안착하게 된다. 정지홈(634)과 다음의 정지홈은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제1몸체(200)의 선회동작은 90도 선회 후 정지하여 고정되게 된다. 선회 시 텐션롤러기구(710-1,710-3)의 탄성력에 의해 선회되는 제1몸체(200)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정확한 위치(90도)에서 정지하여 정지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아래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을 제1몸체(200a)의 저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판체(3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홈부(322a)만으로 구성하고, 이 수직홈부(322a)에 제2몸체 상판(120a)으로부터 돌출한 가이드돌기(130a)를 끼워 그를 따라 이동하면서 직선운동 하도록 함으로써 제1몸체(200a)와 제2몸체(100a)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슬라이드 판체(300a)의 양 측연에는 좌우 한 쌍의 활주턱들(310a-1,310a-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제2몸체 상판(120a)의 상부측 표면에는 좌우 한 쌍의 레일들(410a-1,410a-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력을 배가하여 슬라이딩 운동력을 배가하도록 제2몸체 상판(120a)과 슬라이드 판체(300a)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500a)은 앞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슬라이드 장치의 동작은 기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의 슬라이딩 동작과 동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회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을 아래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선회 슬라이딩 장치는 슬라이드 판체(300b)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홈(320b)을, 제1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하는 부분인 수직홈부를 제거 하고 경사홈부(324b)와 그 일단에서 연장된 수평홈부(326b)로 구성하여 선회 운동만을 가이드 하도록 형상화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돌기(130b)는 제1몸체(200b)가 제2몸체(100b)에 대하여 선회운동 시 경사홈부(324b)와 수평홈부(326b)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회 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경사홈부(324b)의 경사를 완만하게 형성하고, 수평홈부(326b) 없이 가이드홈(320b)을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의 선회 메카니즘은 기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선회 운동과 동시에 직선 활주가 이루어지며 제1몸체(200b)의 중간부위가 제2몸체(100b) 중심선 상에 위치하여 선회 후 T자형을 이루도록 활주턱(310b-1,310b-3)과 레일(410b-1,410b-3)의 구조를 가짐은 물론 회동부재(600b)와 레일 판체(400b)의 결합구조 및 회동부재(600b) 내부에 형성된 캠홈(630b)과 지지판(700b-1)에 설치되고 캠홈(630b)의 내벽면을 밀어주는 텐션롤러기구들(710b-1,710b-3)의 구성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본 선회 장치의 동작메카니즘 또한 기설명한 제1실시예의 선회 동작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도면들에서 가이드홈들은 슬라이딩 및 선회 동작을 동시에 안내하는 제1실시예의 변형례들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과 선회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에서 가이드홈(320c)은 앞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본형인 직선홈 형태에서 약간의 변화 를 주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홈부(322c)를 약간의 절곡을 주어 지그재그(zigzag)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몸체(미도시)의 슬라이딩 동작 시 가이드돌기(미도시)가 그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1몸체도 좌우로 약간의 요동을 수반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러한 요동은 사용자가 손으로 느낄 수 있어 동작 시 사용자는 조작성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그재그형 가이드홈(320c)이 형성된 휴대폰 사용 시 조작에 따른 색다른 흥미 또한 체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홈(320d)은 도 17에서와 같이 가이드홈(320d)의 경사홈부(324d)의 경사각도를 더 급격하게 하거나 완화할 수 있으며, 수평홈부(326d)를 수직홈부(322d)까지 연장하여 수평홈부(326d)가 경사홈부(324d) 및 수직홈부(322d)와 함께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몸체(200d)와 제2몸체(100d)가 겹쳐진 상태에서 T자 형태로 선회 동작 시 가이드돌기(130d)가 경사홈부(324d)를 경유한 후 수평홈부(326d)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T자 형태의 위치에서 겹쳐진 상태로의 선회 동작 시 수평홈부(326d)에서 곧바로 수직홈부(322d)를 통해 복귀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신속한 복귀 동작을 이룰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0은 위의 제2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제7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장치에서 가이드홈(320e)은 도 18 및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직홈부만으로 구성하되 직선에서 약간의 절곡을 주어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동작 및 효과는 기설명한 제4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한편으로, 가이드홈(320f)은 도 20에서와 같이 그 수직홈부만으로 구성하되 직선에서 그 중간부위로 갈수록 일 측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완만한 곡선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동작 시 가이드돌기는 곡선의 수직홈부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1몸체는 제2몸체에서 좌우로 약간 움직이면서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또한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색다른 흥미를 제공한다. 여기의 예시는 가이드홈(320f)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안쪽으로 볼록한 형태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활주턱과 레일이 직선인 경우, 도 18 내지 20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레일 판체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동부재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야 한다.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및/또는 선회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들의 변형례들로, 본 발명의 가이드홈은 여기에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도 그 동작이 가능한 구조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1은 가이드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슬라이드 판체(300c) 등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20)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향경사홈부(320g)와 상향경사홈부(320g)의 상단부근에서 다시 낮아지는 하향경사홈부(320h)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홈(320)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가이드홈(320)의 내측면을 따라 걸림턱(320i)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홈(320)을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 제1몸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켜 개방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도 22 슬라이드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5는 제1몸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개방 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제1몸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개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7은 제1몸체를 상방으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도 21의 실시예에서 상향경사홈부(320g)와 하향경사홈부(320h) 사이에 상하방향의 슬라이드를 위한 상하연장홈부(320j)를 더 형성하여 가이드돌기(130e)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여 제1몸체(1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제1몸체(200)의 시계방향 회전개방, 반시계방향 회전개방 및 상하방향 직선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레일 판체(400c)의 위치를 조정하여 슬라이드 판체(300d)가 하방으로 활주할 수 있는 여유를 주고 상하연장홈부(320j) 위쪽으로 직선 또는 경사진 홈을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레일 판체(400c)에는 구멍(402)을 형성하고, 구멍(402)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404)하고, 그 저면에 회동부재(600c)를 일체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측면에 끼움홈(600c-1)을 형성하고, 상측에서 통공 형태의 회동부재설치부(122)에 삽입하고 상판(120d) 하측에서 링체(800)를 끼움홈(600c-1)에 장착하여 레일 판체(400c)가 상판(120d)에서 빠지지 않고 제자리 회동될 수 있 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20d)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판(700c)에는 돌출부(702)를 형성하여 스토퍼(404)가 일정 각도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이 돌출부(702)에는 가이드돌기(130e)가 결합된다.
도 22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판체(300d)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판체(300d)의 하부를 왼쪽으로 밀면 슬라이드 판체(300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향경사홈부(320h)가 가이드돌기(130e)에 의해 측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레일 판체(400c)를 타고 이동하여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을 맞추어 시계방향으로 회전개방 된다. 이 때 돌출부(702)가 일측 스토퍼(404)에 걸린다.
도 22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판체(300d)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판체(300d)의 하부를 오른쪽으로 밀면 슬라이드 판체(300d)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향경사홈부(320h)가 가이드돌기(130e)에 의해 측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레일 판체(400c)를 타고 이동하여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을 맞추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개방 된다. 이 때 돌출부(702)가 타측 스토퍼(404)에 걸린다.
또, 한편으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체(300d)를 상하로 직선이동 시켜 슬라이드 판체(300d)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 내지 27을 통해 설명한 슬라이딩 장치에 기판, 버튼, 디스플레이 등을 설치하고 케이블로 필요한 부속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 딩 장치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가 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레일 판체 또는 슬라이드 판체 그 자체만으로 제1몸체 또는 제2몸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선 슬라이딩 및/또는 선회 슬라이딩 동작이 요구되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휴대형 게임기, 전자수첩, 전자계산기, 전자사전 등의 각종 전자기기나 건축구조물 등에 두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과 선회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는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2몸체 및 제1몸체를 제거하고 핵심부분만을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아래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핵심부분만을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2몸체 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조립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들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선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들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아래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회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을 아래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20은 위의 제2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제7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가이드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도 22 슬라이드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5는 제1몸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개방 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6은 제1몸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개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제1몸체를 상방으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제2몸체 110 : 하판
120 ; 상판 122 : 회동부재설치부
130 : 가이드돌기 200 : 제1몸체
300 : 슬라이드 판체 310-1,310-3 : 활주턱
320 : 가이드홈 322 : 수직홈부
324 : 경사홈부 326 : 수평홈부
400 : 레일 판체 410-1,410-3 : 레일
500 : 토션 스프링 600 : 회동부재
610 : 위쪽 원판부 620 : 걸림부
630 : 캠홈 632 : 유도로
634 : 정지홈 700 : 텐션 롤러

Claims (15)

  1.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된 활주턱;
    상기 활주턱과 대응하는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활주턱과 맞물려서 상기 활주턱을 활주시키는 레일;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상호간의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턱과 상기 레일 중 상기 타측에 설치되는 것은 회동부재설치부를 통해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직선홈, 일 측방으로 볼록한 곡선홈, 지그재그(zigzag)형태로 좌우로 1번 이상 굴곡 된 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상기 활주턱 및 상기 가이드홈은 모두 직선을 따라 설치되거나 모두 중앙부가 일 측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3. 삭제
  4.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부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으로는 활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체를 구비하는 제1몸체;
    회동부재설치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제1몸체가 회동될 때 상기 가이드홈의 측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몸체를 하기 레일 판체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회동부재설치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활주턱과 결합되는 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제1몸체가 회동되면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레일 판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홈부의 일측에 연결된 수평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상 향경사홈부와 상기 상향경사홈부의 상단부에서 다시 낮아지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것을 하향경사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상향경사홈부와 상기 하향경사홈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하로 연장된 경로를 따라 형성된 상하연장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회동부재설치부로서 통공이 마련된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서 상기 통공에 끼워져 상기 레일 판체에 결합되는 원판부와 상기 회동부재설치부보다 큰 직경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중앙에는 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캠홈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의 내벽을 밀착하는 텐션롤러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곡선의 유도로와 상기 유도로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도로보다 큰 반경에 형성되는 정지홈들로 구성되며, 상기 텐션롤 러기구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몸체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유도로에 밀착되어 외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면서 선회 동작 시 상기 정지홈에 안착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회동부재설치부로서 통공이 마련된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레일 판체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레일 판체를 좌우로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원형돌출부와 상기 상판의 저부에서 상기 원형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돌출부가 상기 통공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링체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12. 제4항, 제5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홈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부는 직선홈, 상하 중앙부위가 일 측방향으로 볼록한 곡선홈 및 지그재그(zigzag)형태로 좌우로 1번 이상 굴곡 된 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각각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제2몸체에 대한 상기 제1몸체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동되면서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지며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제1몸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어주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15.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1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딩 장치의 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KR1020090065786A 2009-07-20 2009-07-20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KR10103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86A KR101037849B1 (ko) 2009-07-20 2009-07-20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PCT/KR2010/004048 WO2011010802A2 (ko) 2009-07-20 2010-06-22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US13/384,711 US20120120574A1 (en) 2009-07-20 2010-06-22 Sliding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TW099123627A TW201112929A (en) 2009-07-20 2010-07-19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86A KR101037849B1 (ko) 2009-07-20 2009-07-20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32A KR20110008432A (ko) 2011-01-27
KR101037849B1 true KR101037849B1 (ko) 2011-05-31

Family

ID=4349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786A KR101037849B1 (ko) 2009-07-20 2009-07-20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20574A1 (ko)
KR (1) KR101037849B1 (ko)
TW (1) TW201112929A (ko)
WO (1) WO20110108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36A (ko) * 2007-07-27 2009-02-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기구, 전자 기기 및 휴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585A (ko) * 2004-11-17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딩과 회전을 겸비한 반자동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1086704B1 (ko) * 2006-09-29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JP4484859B2 (ja) * 2006-10-19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機器
KR100998942B1 (ko) * 2007-10-26 2010-12-10 한 상 이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슬라이딩/회전 개폐모듈과그 부품
KR101023320B1 (ko) * 2008-06-12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5551024B2 (ja) * 2010-08-31 2014-07-16 三菱製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スラ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36A (ko) * 2007-07-27 2009-02-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기구, 전자 기기 및 휴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802A3 (ko) 2011-03-31
WO2011010802A2 (ko) 2011-01-27
US20120120574A1 (en) 2012-05-17
KR20110008432A (ko) 2011-01-27
TW201112929A (en) 201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012B1 (ko) 슬라이딩 선회장치
US20070197270A1 (en)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P219469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517238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 장치
US20140026368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037849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KR20070018348A (ko) 휴대 전화기용 개폐장치
KR100812626B1 (ko) 슬라이더 스윙 힌지 장치
KR200416846Y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스윙 모듈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096644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663653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756147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117585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115319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EP1961125A1 (en) A swing mechanism for display part of cellular phone
KR100675142B1 (ko) 선회장치
KR100686398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0997747B1 (ko) 슬라이드 틸팅 힌지장치
KR101196470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1046656B1 (ko) 휴대단말기용 롱스트로크 틸팅 힌지모듈
KR20090099699A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129266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062945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딩 틸트모듈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