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70B1 -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70B1
KR101196470B1 KR1020100127620A KR20100127620A KR101196470B1 KR 101196470 B1 KR101196470 B1 KR 101196470B1 KR 1020100127620 A KR1020100127620 A KR 1020100127620A KR 20100127620 A KR20100127620 A KR 20100127620A KR 101196470 B1 KR101196470 B1 KR 10119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portable terminal
case
sli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423A (ko
Inventor
조필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3373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70698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네카
Publication of KR2011011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더불어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연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Z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동일선상으로 전환되는 틸팅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 및 틸팅케이스의 운동을 일으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케이스가 휴대단말기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개방됨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때, 슬라이딩케이스와 연동하여 틸팅케이스가 함께 회동하여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슬라이딩케이스와 틸팅케이스가 일직선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단말기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바디가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함과 더불어 회전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개방될 때, 휴대단말기 본체에 구성된 틸팅케이스가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딩케이스와 일직선 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종류는 크게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형 또는 플립형 휴대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딩케이스(통상적으로 이 슬라이딩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구성됨)가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으로 반자동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은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은 단순히 휴대단말기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만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각도 조정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시야각이 한정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슬라이딩케이스를 휴대단말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 슬라이딩시킨 다음 슬라이딩케이스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힌지모듈을 갖는 휴대단말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동작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슬라이딩케이스가 개방 작동되었을 때 휴대단말기 본체의 면과 슬라이딩케이스의 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다양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부드럽고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힌지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케이스가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함과 더불어 회전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개방될 때, 휴대단말기 본체에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케이스와 일직선 상으로 정렬되거나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되는 틸팅케이스를 구성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더불어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틸트베이스부재와;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 Z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거나 비선형 구간을 갖는 캠면이 형성된 틸팅부재와; 상기 틸팅부재에 고정되게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부재의 캠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틸팅부재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더불어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연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Z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함께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틸팅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 및 틸팅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 및 Z축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케이스가 휴대단말기 본체를 따라 일정 구간 슬라이딩한 다음, 틸팅부재의 캠면과 탄성부재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케이스가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수동 또는 자동을 회동하여 서로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딩케이스가 휴대단말기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개방됨과 더불어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때,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틸팅케이스가 함께 회동하여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고, 이로써 휴대단말기 개방 상태에서 슬라이딩케이스와 틸팅케이스가 일직선상으로 정렬되거나 서로 소정의 각도로 정렬된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단말기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외관 및 개폐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힌지모듈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힌지모듈의 일부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4의 힌지모듈의 경사각조절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및 I-I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힌지모듈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함께 나타낸 도면으로, 휴대단말기의 폐쇄 상태에서의 힌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4의 힌지모듈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함께 나타낸 도면으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한 개방 상태에서의 힌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4의 힌지모듈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함께 나타낸 도면으로, 휴대단말기의 개방 작동 후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힌지모듈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힌지모듈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힌지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6b와 유사한 도면으로, 힌지모듈의 경사각유지를 위한 틸팅부재의 캠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힌지모듈의 자동 회전을 위한 틸팅부재의 캠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힌지모듈에 있어서 슬라이딩케이스의 경사각 유지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힌지모듈의 자동 회전 및 경사각 유지를 위한 캠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의 힌지모듈의 링크부재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힌지모듈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힌지모듈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8의 힌지모듈의 롤러 및 가이드홈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18의 힌지모듈이 적용된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외관 및 개폐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 본체(1)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더불어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슬라이딩케이스(2)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와 슬라이딩케이스(2) 사이에서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개방 작동 후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할 때 이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Z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와 동일선상으로 전환되는 틸팅케이스(3)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의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는 도 1에 도시된 폐쇄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면서 개방된 다음(도 2참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단말기 본체(1)의 말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일정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케이스(3)는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는데, 이 때 틸팅케이스(3)의 상부면은 슬라이딩케이스(2)의 상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를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전과는 반대로 슬라이딩케이스(2)를 -Z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케이스(2)와 틸팅케이스(3)를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수평하게 한 다음, 슬라이딩케이스(2)를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기 본체(1)를 폐쇄하면 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는 휴대단말기의 각종 제어를 위한 메인 회로기판과 배터리 등이 내장되는 부분이며, 슬라이딩케이스(2)는 예컨대 액정표시소자(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등이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틸팅케이스(3)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패드 등이 설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휴대단말기의 기능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틸팅케이스(3)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경우, 틸팅케이스(3)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개방 작동되었을 때 슬라이딩케이스(2)의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이러한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힌지모듈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 본체(1)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틸트베이스부재(110)와, 상기 틸트베이스부재(110)에 X축으로 연장된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틸팅부재(120)와, 상기 틸팅부재(12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프레임(130)과,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도 1참조)에 고정되며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에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130)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프레임(140)과, 상기 틸팅케이스(3)(도 3참조)의 양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50)와, 상기 틸팅부재(12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동부재(150)에 전달하여 회동부재(150)를 틸팅부재(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40)에 고정되어 가이드프레임(130)에 대해 슬라이딩프레임(140)에 슬라이딩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가이드레일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32)에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4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슬롯(135)이 형성된 자기윤활성 합성수지 재질의 가이드바아(134)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40)은 몸체가 슬라이딩케이스(2)의 저면에 고정되고,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바아(134)의 가이드슬롯(13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한다.
상기 틸팅부재(1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의 저면에 고정되어 가이드프레임(130)과 함께 틸트베이스부재(110)의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부재(120)에는 상기 각각의 틸트베이스부재(110)의 제1힌지축(111)들이 관통하는 2개의 힌지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부재(120)의 양측부에는 상기 틸트베이스부재(110)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122)의 전방면(-Y축방향에 위치한 면) 중앙에 대략 '>'형태의 걸림턱부(124)(도 6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틸트베이스부재(110)에는 상기 걸림턱부(124)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틸트베이스부재(110)에 대한 틸팅부재(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볼(115)과, 상기 틸트베이스부재(110) 내에 내삽되어 틸트베이스부재(110)에 대해 상기 볼(11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6)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부(124)와 볼(115) 및 스프링(116)은 틸팅부재(120)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틸트베이스부재(1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한 뒤 회전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각유지수단을 이루게 된다. 미설명부호 117과 118은 각각 상기 볼(115)과 스프링(116)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및, 틸트베이스부재(110) 후단에 결합되는 스크류부재이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틸팅부재(120)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고정된 제3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레버(160)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레버(160)의 다른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15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3힌지축(161)에 연결되어 제3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링크레버(1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레버(160)의 후단부는 상기 틸팅부재(12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레버(160)의 다른 일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레버(170)와의 연결을 위한 힌지돌기(16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링크레버(160)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제3힌지축(161)이 삽입되는 홀(16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레버(170)는 3개의 홀(171a, 171b, 171c)을 갖는 바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제2링크레버(170)의 전단부 홀(171a)에는 상기 제1링크레버(160)의 힌지돌기(162)가 삽입되고, 중간부 홀(171b)에는 상기 제3힌지축(161)이 삽입되며, 후단부 홀(171c)에는 상기 회동부재(150)에 형성된 힌지돌기(152)가 삽입된다.
상기 회동부재(150)는 기다란 바아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레버(170)의 홀(171c)에 삽입되는 힌지돌기(15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휴대단말기 본체(1)에 고정된 제2힌지축(151)이 삽입되는 홀(1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레버(170)가 회동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회동부재(150)가 상기 제2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40)이 가이드프레임(13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프레임(140)이 천이점을 지나지 않은 거리 이내에서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제공하고, 천이점을 지난 거리 이외에서는 이동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딩프레임(140)이 가이드프레임(130)에 대해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7은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폐쇄된 상태에서의 휴대단말기 및 힌지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를 +Y축 방향(화살표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딩케이스(2)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프레임(140)이 가이드프레임(130)에 결합된 가이드바아(154)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수평 이동하여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에 +Z축 방향(화살표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슬라이딩프레임(140)과 가이드프레임(130) 및 틸팅부재(120)가 함께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틸팅부재(120)가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틸트베이스부재(11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틸트베이스부재(110)의 볼(115)이 틸팅부재(120)의 걸림턱부(124) 상부에서 걸림턱부(124)를 타고 걸림턱부(124) 하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틸팅부재(120)가 회전된 경사각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틸팅부재(120)가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틸팅부재(120) 양단에 연결된 제1링크레버(160)가 제3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링크레버(16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링크레버(170)가 제3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동부재(150)의 후단부에 +Z축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150)가 제2힌지축(151)을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틸팅케이스(3)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틸팅케이스(3)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케이스(2)와 대략 일직선상으로 되면서 휴대단말기의 개방 작동이 종료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폐쇄 작동은 전술한 과정이 역순으로 진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힌지모듈은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말단부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Z축 방향으로 힘으로 가하여 회전 운동함으로써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일정 구간까지는 수평하게 슬라이딩 운동만 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시점에서부터 자동으로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 과 도 11은 이러한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의 자동 회동을 구현하기 위한 힌지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두번째 실시예의 힌지모듈은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나, 틸트베이스부재(110)에 볼(115)과 스프링(116)으로 구성된 경사각유지수단이 구성되지 않으며, 회동부재(150)와 휴대단말기 본체(1) 사이에 회동부재(150)의 후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자동틸팅용 스프링(190)을 구성하여, 슬라이딩케이스(2) 및 이에 결합된 슬라이딩프레임(140)이 가이드프레임(130)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회동부재(150)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났을 때, 상기 자동틸팅용 스프링(1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150)의 후단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틸팅용 스프링(190)은 제1링크레버(160)와 제2링크레버(170)를 관통하는 제3힌지축(161)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150)의 후단부 하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휴대단말기 본체(1)의 상면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두번째 실시예의 힌지모듈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딩케이스(2)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슬라이딩케이스(2) 및 이에 결합된 슬라이딩프레임(140)이 가이드프레임(1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후단부로 이동하여 슬라이딩케이스(2) 및 슬라이딩프레임(140)이 회동부재(150)의 후단부를 지나게 되면, 회동부재(15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자동틸팅용 스프링(19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부재(150)의 후단부가 +Z축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 틸팅케이스(3)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 및 힌지모듈은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말단부까지 수평하게 슬라이딩 이동한 다음,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에 Z축 방향으로 힘으로 가하여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힌지모듈은 틸팅부재(120)의 관통홀(122)의 캠면(125) 중앙에 대략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걸림턱부(124)(도 6b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124) 상에 볼(115)이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말단부까지 이동하더라도 슬라이딩케이스(2)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에 Z축 방향으로 힘으로 가하면 상기 틸팅부재(120)의 걸림턱부(124)가 볼(115)의 탄성력을 이기고 Z축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볼(115)이 걸림턱부(124) 하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틸팅부재(120)의 관통홀(122)의 캠면(125)에 걸림턱부(124a, 124b)를 2단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에 Z축 방향으로 힘으로 가하여 틸팅부재(120)를 회동시켰을 때 볼(115)이 상단의 걸림턱부(124a)를 타고 넘어가 상단 걸림턱부(124a)와 하단 걸림턱부(124b) 사이에 위치되면서 틸팅부재(120)가 첫번째 회전각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에 Z축 방향으로 더 힘을 가하여 틸팅부재(120)를 회동시켰을 때 볼(115)이 하단 걸림턱부(124b)를 타고 넘어가 하단 걸림턱부(124b)의 아래쪽 홈 부분에 위치되면서 틸팅부재(120)가 두번째 회전각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걸림턱부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딩케이스(2)의 회전각을 여러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12에 예시된 것과 다르게, 볼(115)과 접촉하게 되는 틸팅부재(120)의 관통홀(122)의 캠면(125)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여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후단부로 슬라이딩하면서 자동으로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틸트베이스부재(110) 내에 삽입된 볼(115)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틸팅부재(120)의 관통홀(122)의 전방부 내주면에 걸림턱부를 형성하지 않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캠면(125)을 형성하게 되면, 슬라이딩케이스(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케이스(2)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볼(115)이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틸팅부재(120)의 경사진 캠면(125)에 밀착되면서 캠면(125)을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틸팅부재(120)가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딩케이스(2)가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 상기 캠면(125)은 하측으로 만곡되면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나, 이와 다르게 직선형으로 경사진 형태 또는 중간부분이 오목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틸팅부재(120)가 자동 회전한 후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이 하부면에 슬라이딩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2a)을 형성하고, 상기 틸트베이스부재(110) 또는 휴대단말기 본체(1)에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한 삼각형 형태의 스톱퍼(119)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톱퍼(119)는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닫혀진 상태에서 가이드홈(2a) 내측에 위치하여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는 가이드홈(2a) 내측에서 간섭되지 않으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회전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슬라이딩케이스(2)의 가이드홈(2a) 외측의 하부면에 접촉하면서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슬라이딩케이스(2)를 지지하여 슬라이딩케이스(2)가 쓰러지지 않고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틸팅부재(120)의 캠면(125)의 상부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125a)를 형성하고, 캠면(125)의 하부에 '>'형태의 걸림턱부(125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틸팅부재(120)는 슬라이딩케이스(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케이스(2)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볼(115)과 캠면(125)의 경사부(125a) 간의 작용에 의해 틸팅부재(1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115)이 걸림턱부(125b) 상단에 걸려 지지되어 틸팅부재(120)가 첫번째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에 Z축 방향 상측으로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케이스(2)를 더욱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턱부(125b)가 볼(115)을 밀어내고,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턱부(125b)의 하부에 볼(115)이 접촉하면서 틸팅부재(120)가 지지되어 두번째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즉, 이 실시예의 틸팅부재(120)의 캠면(125)은 경사부(125a)와 걸림턱부(125b)에 의해 틸팅부재(120)의 자동 회전 및 수동 회전을 구현한다.
한편,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4 내지 도 26은 이 실시예의 힌지모듈이 적용된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도면들로, 먼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 본체(1)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틸트베이스부재(210)와, 상기 틸트베이스부재(210)에 X축으로 연장된 제1힌지축(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틸팅부재(220)와, 상기 틸팅부재(22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프레임(230)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케이스(2)에 고정되며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의 양단에 결합된 가이드바아(234)에 삽입되어 가이드바아(234)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프레임(240)과, 상기 틸팅부재(220)의 회전운동을 휴대단말기의 틸팅케이스(3)에 전달하여 틸팅케이스(3)를 슬라이딩케이스(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재(250)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40)에 고정되어 가이드프레임(230)에 대해 슬라이딩프레임(240)에 슬라이딩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틸트베이스부재(210)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틸팅부재(220)의 관통홀(22) 내주면의 전방부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볼(215)과 스프링(216)이 내설된다. 상기 볼(215)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틸팅부재(220)의 관통홀(222)의 내주면 전방부에는 틸팅부재(220)의 자동 회전이 구현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캠면(125)(도 1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의 양측부에는 내측방향으로 가이드돌기(291)가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290)가 설치되고, 슬라이딩케이스(2)의 양측부에 상기 가이드돌기(29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21)이 슬라이딩케이스(2)의 진행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21)은 슬라이딩케이스(2)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돌기(291) 및 가이드홈(21)은 슬라이딩케이스(2)가 슬라이딩 운동 및 +Z축 방향 회동에 의해 개방된 후(도 26 참조),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의 면에 대해 수직하게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돌기(291)가 가이드홈(21) 내측에서 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슬라이딩케이스(2)가 쉽게 회동하여 진동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링크부재(250)는 휴대단말기 본체(1)에 고정되며 그 전단부가 제1힌지핀(254)을 매개로 틸팅케이스(3)의 전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U'자형의 고정대(251)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판(252)과, 중간부가 상기 고정대(251)의 후단부에 제2힌지핀(255)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가 제3힌지핀(256)에 의해 상기 연결판(25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틸팅케이스(3)의 양측면 중간부에 제4힌지핀(257)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레버(25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크부재(250)는 도 19와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작동하여 슬라이딩케이스(2)와 틸팅케이스(3)를 연동시켜 회전시킨다. 즉,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케이스(2)와 연결된 가이드프레임(230)이 제1힌지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30)의 양단에 고정된 연결판(252)이 가이드프레임(23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연결판(252)의 회전에 의해 링크레버(253)가 제2힌지핀(255)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틸팅케이스(3)가 제1힌지핀(25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힌지모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를 후방(+Y축 방향)으로 밀면,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프레임(240)이 가이드프레임(230) 양단에 결합된 가이드바아(234)의 안내를 받아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딩케이스(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볼(215)이 스프링(216)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틸팅부재(220)의 관통홀(222)의 캠면(125)(도 13 참조) 하측을 파고들게 되고, 이에 따라 틸팅부재(220)가 제1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이드프레임(230) 및 이에 결합된 슬라이딩케이스(2)가 점진적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도 26은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틸팅케이스(3)는 상기 링크부재(25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케이스(2)와 연동하여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되는 동안,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은 가이드돌기(291)에 의해서 안내된다.
상기 개방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케이스(2)의 후단부를 전방으로(-Y축 방향) 밀면, 이전과는 역순으로 슬라이딩케이스(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점진적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의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16) 및 볼(115)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tilting)하는 경우, 사용자가 슬라이딩케이스(2) 또는 틸팅케이스(3)를 조작하기 위하여 -Z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가 휴대단말기 본체(1) 쪽으로 움직여 진동하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이 수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 세번째 실시예의 힌지모듈은 슬라이딩케이스(2)가 슬라이딩 운동 및 +Z축 방향 회동에 의해 개방된 후(도 26 참조),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의 면에 대해 수직하게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돌기(291)가 가이드홈(21) 내측에서 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슬라이딩케이스(2)가 쉽게 회동하여 진동하지 않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완전히 개방된 후 상기 가이드돌기(291)에 수직 하방(-Z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발생할 경우, 가이드돌기(291)는 가이드홈(21)의 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슬라이딩케이스(2) 또는 틸팅케이스(3)에 아래쪽 방향(-Z축 방향) 또는 슬라이딩케이스(2) 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돌기(291) 및 가이드홈(2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케이스(2) 및 틸팅케이스(3)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안정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91) 및 가이드홈(21)은 전술한 것처럼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개방되어 기울어졌을 때 슬라이딩케이스(2) 또는 틸팅케이스(3)를 누르는 힘에 의해 쉽게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진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때에는 슬라이딩 및 회전 운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다르게 도 2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딩케이스(2)의 하부면에 가이드홈(21)을 형성하고, 휴대단말기 본체(1)의 후단부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홈(21)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295)를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가 개방된 후 슬라이딩케이스(2) 또는 틸팅케이스(3)에 Z축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슬라이딩케이스(2) 또는 틸팅케이스(3)가 Z축 방향으로 움직여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개방됨과 더불어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때,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틸팅케이스(3)가 함께 회동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고, 이로써 휴대단말기의 개방 상태에서 슬라이딩케이스(2)와 틸팅케이스(3)가 일직선상으로 정렬되거나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케이스(2)가 휴대단말기 본체(1)에 대해 슬라이딩하면서 자동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경우, 휴대단말기 본체(1)에 구성되는 가이드돌기(291)와 슬라이딩케이스(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도 18 및 도 22참조) 등의 구성에 의해 개방 후 사용도중 슬라이딩케이스(2)가 하측으로 넘어가지 않고 안정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및 그의 힌지모듈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휴대단말기 본체 2 : 슬라이딩케이스
110 : 틸트베이스부재 111 : 제1힌지축
120 : 틸팅부재 130 : 가이드프레임
132 : 가이드레일부 134 : 가이드바아
140 : 슬라이딩프레임 150 : 회동부재
151 : 제2힌지축 152 : 힌지돌기
160 : 제1링크레버 161 : 제3힌지축
162 : 힌지돌기 170 : 제2링크레버
171a, 171b, 171c : 홀 180 : 토션스프링
190 : 자동틸팅용 스프링 210 : 틸트베이스부재
211 : 제1힌지축 220 : 틸팅부재
230 : 가이드프레임 234 : 가이드바아
240 : 슬라이딩프레임 250 : 링크부재
251 : 고정대 252 : 연결판
253 : 링크레버 291 : 가이드돌기
295 : 롤러 21 : 가이드홈

Claims (20)

  1.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더불어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틸트베이스부재와;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 Z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거나 비선형 구간을 갖는 캠면이 형성된 틸팅부재와;
    상기 틸팅부재에 고정되게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부재의 캠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틸팅부재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틸팅부재의 캠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볼과,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의 캠면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가 후방으로(+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볼이 상기 캠면의 하측으로 파고들면서 틸팅부재가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의 캠면은 상기 탄성부재 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1개의 걸림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틸팅부재가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했을 때 상기 걸림턱부에 의해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이 제한되어 틸팅부재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연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Z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함께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틸팅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모듈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틸팅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틸팅케이스에 전달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X축으로 연장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틸팅케이스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휴대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레버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레버의 다른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3힌지축에 연결되어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링크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회동부재의 일단부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동틸팅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났을 때, 상기 자동틸팅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 및 틸팅부재의 회전 운동이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8.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더불어 Z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딩케이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연동하여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Z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함께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는 틸팅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케이스 및 틸팅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 및 Z축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틸트베이스부재와;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X축으로 연장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틸팅부재와;
    상기 틸팅부재 상에 고정되게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틸팅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틸팅케이스에 전달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와 틸팅케이스는 슬라이딩케이스가 휴대단말기 본체의 일단부로 슬라이딩할 때 자동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X축으로 연장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틸팅케이스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휴대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레버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레버의 다른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3힌지축에 연결되어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링크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 회동부재의 일단부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동틸팅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났을 때, 상기 자동틸팅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 및 틸팅부재의 회전 운동이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휴대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며, 전단부가 제1힌지핀을 매개로 틸팅케이스의 전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 또는 틸팅부재에 연결되는 연결판과;
    중간부가 상기 고정대의 후단부에 제2힌지핀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가 제3힌지핀에 의해 상기 연결판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틸팅케이스의 양측면 중간부에 제4힌지핀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틸팅부재가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회전했을 때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한 틸팅부재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슬라이딩케이스 및 틸팅케이스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사각유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유지수단은 상기 틸팅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 형태의 걸림턱부와,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틸팅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볼과,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대해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틸팅부재의 전방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볼과, 상기 볼과 접촉하는 틸팅부재의 일면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캠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가 후방으로(+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볼이 상기 캠면의 하측으로 파고들면서 틸팅부재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7. 제8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의 양측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의 양측면에 슬라이딩케이스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슬라이딩케이스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19. 제8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의 하부면에 슬라이딩케이스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의 후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슬라이딩케이스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20100127620A 2010-04-13 2010-12-14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119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731A KR20110070698A (ko) 2009-12-18 2010-04-13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20100033731 2010-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423A KR20110114423A (ko) 2011-10-19
KR101196470B1 true KR101196470B1 (ko) 2012-11-01

Family

ID=4539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620A KR101196470B1 (ko) 2010-04-13 2010-12-14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848B1 (ko) * 2016-06-24 2017-05-04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56B1 (ko) 2006-02-28 2007-02-09 이근주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56B1 (ko) 2006-02-28 2007-02-09 이근주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423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68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EP1530345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574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96470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0812626B1 (ko) 슬라이더 스윙 힌지 장치
KR100689069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110070698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142364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07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KR100652638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20110114424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20110070699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0810277B1 (ko) 듀얼 연결부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20120028679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1136503B1 (ko) 스윙형 휴대단말기
KR101106145B1 (ko) 오토 틸트 힌지모듈
KR10115319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702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20000924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WO2011074857A2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20070055863A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