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12B1 - 슬라이딩 선회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선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12B1
KR100802012B1 KR1020070045163A KR20070045163A KR100802012B1 KR 100802012 B1 KR100802012 B1 KR 100802012B1 KR 1020070045163 A KR1020070045163 A KR 1020070045163A KR 20070045163 A KR20070045163 A KR 20070045163A KR 100802012 B1 KR100802012 B1 KR 10080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ivot
coupled
link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텔
한 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텔, 한 상 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텔
Priority to KR102007004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12B1/ko
Priority to EP08753361A priority patent/EP2149198A1/en
Priority to PCT/KR2008/002564 priority patent/WO2008140206A1/en
Priority to RU2009139300/07A priority patent/RU2402876C1/ru
Priority to CN200880015352A priority patent/CN101689875A/zh
Priority to JP2010507322A priority patent/JP2010526508A/ja
Priority to US12/597,573 priority patent/US20100137041A1/en
Priority to BRPI0810257A priority patent/BRPI0810257A2/pt
Priority to TW097116968A priority patent/TW20090613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08Crank, pitman, and sl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선회부재를 사용각도로 선회시키면 선회에 연동하여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사용상태로 세팅되게 하는 선회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선회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선회동작과 슬라이딩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가 구비된다. 특히, 슬라이딩구조는 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 사이의 결합에 적용되고, 이 슬라이딩부재와 선회부재에 선회구조가 적용되어 두 부재를 선회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링크는 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선회력에 의해 선회부재가 슬라이딩부재에서 선회동작함에 따라 그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부재를 지지부재로부터 원하는 방향과 거리로 슬라이딩 하게 한다. 그 결과, 선회부재는 선회와 동시에 그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휴대폰, 선회, 슬라이딩, 가로보기

Description

슬라이딩 선회장치 {SLIDING ROTA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일부분을 조립하여 나타낸 부분발췌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장치의 구조가 휴대폰에 적용된 예로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의 내부 동작메카니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선회동작시 선회부재와 링크의 운동궤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지지부재를 제거하여 내부구조가 나타나게 한 부분발췌 조립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의 내부 동작메카니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선회동작시 선회부재와 링크의 운동궤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가 휴대폰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6에서 일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동작메카니즘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 태도이고,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에 형성된 통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a,10b : 지지부재 14,14a : 지지판
20,20a,30b : 선회부재 22,22a : 관통공
30,30a,30b : 슬라이딩부재 40,40a,40b : 링크
40-1,40a-1 : 고정단 40-3,40a-3 : 선회단
50,50a,50b : 회전판 70,70a : 윤활재
80,80a,80b : 스프링
본 발명은 선회부재를 사용각도로 선회시키면 선회와 동시에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사용상태로 세팅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구조와 선회구조를 링크에 의해 복합적으로 연관시켜 선회부재가 선회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선회시 선회부재의 모서리가 회전반경에 의해 그와 근접한 지지부재에 간섭되지 않고 선회부재를 방향전환과 동시에 원하는 거리로 이동시켜 한번에 원하는 방향과 사용위치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슬라이딩 선회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의 형태는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플립 타입, 바 타입, 폴더 타입에 이어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이 제품화되어 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휴대폰에 카메라기능과 동영상시청기능이 통합되면서, 휴대폰 덮개에 마련된 액정화면을 통해 동영상이나 화상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보기 위한 목적 또는 원활한 카메라촬영을 위한 목적으로 덮개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휴대폰에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 등의 동영상 서비스의 지원이 강화됨에 따라, 동영상 시청에 적합한 가로보기를 지원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휴대폰에는 덮개를 본체에서 선회시켜 가로보기를 할 수 있는 선회메카니즘이 구비되고 있다. 특히, 선회메카니즘은 폴더 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에 적용되어, 본체 위의 덮개 부분을 본체에서 선회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폴더타입 휴대폰의 덮개 선회메카니즘은 본체와 덮개를 개방축 구조에 더하여 선회축 구조로 결합시켜 선회축에 대하여 덮개를 본체로부터 선회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폴더타입의 선회구조는 직경이 작은 축상 결합을 이룸으로써 덮개를 붙잡아 주는 힘이 기본적으로 그리 크지 않아 외력에 의해 손상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 나아가, 선회부재가 선회축에 의해서 만 결합되어 있어 선회메카니즘이 덮개를 선회시킨 위치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정지위치에서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움직이거나 요동하는 폐단이 있다. 더욱이, 사용이 계속되면서 선회축 구조의 구성요소들 간에 유격이 커져 덮개를 단단히 잡아주지 못하고 건들거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선회축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회메카니즘은 덮개를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덮개지지판부와 이 덮개지지판부로부터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선회부재의 2판 구조로 구성하고, 덮개지지판부와 선회부재의 선회축 구조에 더하여 덮개지지판부가 선회부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선회부재를 선회시킬 때, 선회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덮개지지판부의 안착면에 선회부재의 모서리가 선회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선회부재의 양측연을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완전한 곡선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선회부재를 덮개지지판부와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안착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선회시켜야 한다. 그 때문에, 전자의 경우 통상적으로 전체적인 형태가 직사각형에 가깝고 모서리만이 곡선처리된 휴대폰의 일반적인 형태의 디자인 설계에 장애가 되고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선회를 위해 이동과 회전의 2가지 동작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든다. 또한, 선회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세로방향에서 덮개지지판부의 안착면에 일면이 밀착되어 있던 선회부재는 선회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거리차 만큼 안착면으로부터 뜨게 되고, 그에 따라 지지력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는, 선회부재를 가로방향 으로 선회시킨 다음에 선회부재를 안착면을 향해 다시 이동시켜 밀착시켜 줄 필요가 있다.
한편,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경우에는 슬라이딩 메카니즘과 별개로 선회메카니즘이 구성되어 있어, 본체에서 덮개를 선회시킴에 있어 덮개에 가려진 본체 위의 키패드 부분이 노출되도록 먼저 덮개를 본체에서 슬라이딩시켜 위로 위치이동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덮개를 선회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위의 폴더타입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2가지 동작을 순차적으로 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조작에 힘이 많이 든다. 이것은 점점 더 편리한 것을 요구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선회된 상태에서 덮개는 선회축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돌아가거나 요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선회장치들에서는 사용자의 선회조작에 의해 회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선회만 할 뿐 그에 따라 위치를 자동으로 보상하거나 조정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선회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선회부재의 위치를 보상하거나 조작이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선회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부재가 선회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선회부재를 방향전환과 동시에 거리이동시켜 원하는 방향과 사용위치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슬라이딩 선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회부재를 선회시키면 선회동작과 연동하여 선회부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지지면으로부터 선회부재를 슬라이딩 이격시키면서 선회가 이루어져 선회부재의 모서리가 회전반경에 의해 선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부재; 및 일단은 상기 선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선회부재에 결합된 단부가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관통공이 형성되는 선회부 재;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선회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걸려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및 일단은 상기 선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선회부재에 결합된 선회단이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는 상기 선회부재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할 때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으로부터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이동의 목적지 쪽으로 편향되고,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을 지나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의 반쪽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회부재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다른 직사각형태이고, 세로방향의 제1위치에서 가로방향의 제2위치를 선회동작과 슬라이딩동작이 연동하면서 왕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선회중심에서 상기 링크의 선회단을 잇는 선분과 상기 선회단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상기 링크의 고정단을 잇는 선분은 둔각을 이루며, 상기 선회부재의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선회동작에 따라 상기 둔각은 점차로 그 각도가 줄어드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관통공이 형성되는 선회 부재;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선회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걸려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및 일단은 상기 선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선회부재에 결합된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회부재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다른 직사각형태이고, 세로방향의 제1위치에서 가로방향의 제2위치를 선회동작과 슬라이딩동작이 연동하면서 왕복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는 상기 선회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으로부터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이동의 목적지 쪽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되, 상기 링크의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을 지나는 수직중심선과 평행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지점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링크의 선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넘어가 위치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하기 선회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걸려 하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 전판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는 선회부재; 및 일단은 상기 회전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회전판에 결합된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일부분을 조립하여 나타낸 부분발췌 조립사시도이다.
본 장치는 지지부재(10)에서 선회부재(20)가 선회시 그와 연동하여 일정거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선회구조와 더불어 슬라이딩 구조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선회부재(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30)를 매개로 하여 지지부재(10)에 결합된다. 즉, 슬라이딩부재(30)가 지지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30)에 다시 선회부재(20)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선회부재(30)와 지지부재(10)를 링크(40)로 연결하여 선회부재(20)의 선회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부재(30)의 슬라이딩 동작이 이뤄지도록 3개의 부재들(10,20,30)을 연관시키고 있다.
지지부재(10)와 슬라이딩부재(30)는 슬라이딩 구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 일 방법으로서 지지부재(10)에 직선의 가이드홀(12)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홀(12)에 슬라이딩부재(30)의 결합턱(32)을 결합시켜 결합턱(32)이 가이드홀(12)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의해 지지부재(10)에서 슬라이딩부재(30)가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홀(12)과 결합턱(32)은 지지부재(10)와 슬라이딩부재(30)에 좌우한쌍으로 구성된다. 특히, 좌우한쌍의 가이드홀(12)들은 지지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판(14)에 형성되어 지지판(14)을 지지부재(10)에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슬라이딩 구조는 가이드바(미도시)와 이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안내공(미도시)의 결합에 의한 슬라이딩 구조 등 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가 활주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0)와 선회부재(20)의 선회결합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선회부재(20)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22)으로 걸림턱(52)을 갖는 회전판(50)을 끼워 슬라이딩부재(30)에 결합한다. 즉, 회전판(50)을 관통공(22)에 끼워 그 걸림턱(52)은 선회부재(20)의 관통공(22) 주변에 걸리게 하고 관통공(22)을 통과한 회전판(50)의 일단이 슬라이딩부재(30)와 결합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한 일 결합방법으로는, 회전판(50)에 다수의 볼트공(54)들을 천공하고, 이 볼트공(54)들에 볼트(60)들을 끼워서 볼트공(54)들과 연결되는 슬라이딩부재(30)의 체결공(34)들에 볼트(60)들을 체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위의 회전판(50)의 걸림턱(52)은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걸림턱(52)은 관통공(22)을 통과하지 못하고 선회부재(20)에 걸리게 되고, 회전판(50)의 축판부(56)가 관통공(22)을 통과하여 슬라이딩부재(30)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그로 인하여, 슬라이딩부재(30)에서 선회부재(20)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딩부재(30)와 선회부재(20) 사이에는 두 부재의 회전시 마찰과 마모를 감소시켜 원활한 선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윤활재(7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윤활재(70)는 환형으로서 회전판(50)의 축판부(56)에 끼워지며, 그 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이 적합하다.
본 장치에서 링크(40)는 외력에 의한 선회부재(20)의 선회력을 슬라이딩부재(30)에 전달하여 슬라이딩부재(30)의 슬라이딩 직진력으로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이다. 이 링크(40)는 일단이 지지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선회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링크(40)는 직선 바(bar) 형태로 그 양단에 핀공들(42-1,42-2)을 구비하고, 일단의 핀공(42-1)에 결합핀(44-1)을 삽입하여 지지부재(10)에 고정되는 지지판(14)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고 타단의 핀공(42-2)에도 결합핀(44-2)을 삽입하여 선회부재(20)에 그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링크(40)는 지지부재(10)에 결합된 일단을 축으로 하여 선회부재(20)에 결합된 타단이 선회하므로, 이하 지지부재(10)에 결합된 일단을 고정단이라 칭하고 선회부재(20)에 결합된 타단을 선회단이라 칭한다. 링크(40)는 선회장치의 선회중심에서 볼 때 슬라이딩 이동방향 쪽에 위치되며, 선회중심에서 링크의 양 회전정점들(양 핀공들의 중심들)을 연결하면 둔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선회중심에서 링크의 선회단을 잇는 선분과 선회단에서 링크의 고정단을 잇는 선분이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40)의 길이와 동작 각도는 선회부재(2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면 원하는 이동거리에 도달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선회부재(20)가 90도 회전하면 90도 회전에 연동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링크(40)의 길이와 동작 각도가 설정된다. 또한, 링크(40)는 선회부재(20)의 선회중심(Cr)을 지나가는 수직중심선(Lv)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방향 쪽으로 편향되어 위치된다.
위와 같은 링크(40)는 작동력에 저항하면서 선회부재(20)에 직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견고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링크(40)는 박판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며, 지지판(14)에는 링크(40)를 수용하여 링크(40)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링크수용홈(16)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0)는 전판부(10-1)와 이 전판부(10-1)의 일단에서 연결된 후판부(10-3)로 형성되고, 이 전판부(10-1)는 높이가 낮게 그리고 후판부(10-3)는 높이가 높게 하여 전판부(10-1)와 겹쳐지지 않는 후판부(10-3)의 일정부분이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전판부(10-1)와 후판부(10-3)가 중첩되는 구간에는 두 부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선회부재(20)가 진입될 수 있는 수납공간(10-5)이 마련된다. 그리고, 전판부(10-1)와 후판부(10-3)를 연결하는 연결부(10-7)의 내측에 선회부재(20)의 일측면이 지지된다. 따라서, 선회부재(2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제1위치)할 경우, 선회부재(20)는 지지부재(10)의 후판부(10-3)와 포개지며 지지부재(10)의 수납공간(10-5)에 접어넣어진 상태에 있게 되고, 그 때 선회부재(20)의 하단이 연결부(10-7)의 내측면(지지면)에 밀착되어 선회부재(20)가 쉽게 지지부재(10)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회부재(20)를 선회시키면 수납공간(10-5)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90도까지 선회하여 후판부(10-3)와 대략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위치(제2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선회동작시 선회부재(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부(10-7)의 내측면에 의해 선회부재(20)의 하단이 간섭될 수 있는 데, 본 장치에서는 선회부재(20)를 선회시키면 그에 따라 점차적으로 슬라이딩 상승하면서 선회되어 선회부재(20)의 하단 모서리의 만곡점이 연결부(10-7)의 내측면(지지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회에 따라 계속하여 선회부재(20)가 슬라이딩 상승하여 선회종착지에서 조작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그 결과로서, 선회부재(20)는 선회와 동시에 상승하여 지지부재(10)의 수납공간(10-5)으로부터 벗어나서 사용이 가능한 상태, 즉 가로방향으로 노출되게 된다.
본 장치는 또한 선회동작과 슬라이딩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 스프링(80)이 장착된다. 스프링(80)은 지지부재(10)와 슬라이딩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위와 같은 선회 및 슬라이딩 동작에서의 작동력을 배가시킨다. 이를 위해 스프링(80)의 일단이 지지부재(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재(30)에 결합된다. 스프링(80)은 또한 그 양단의 결합위치가 슬라이딩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위아래 대각선으로 위치하여 슬라이딩부재(30)에 복원력이 적절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된 스프링(80)은 슬라이딩부재(30)의 활주거리의 대략 절반정도 까지는 압축되었다가 절반정도를 넘어서면 압축력이 복원력으로 바뀌면서 활주를 돕는다. 즉, 외력에 의한 선회부재(20)의 선회운동의 진행과정에서 신장상태에서 압축상태를 거쳐 다시 신장상태로 전환되며, 압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얻어지는 복원력을 슬라이딩부재(30)에 제공하여 슬라이딩부재(30)의 슬라이딩운동과 선회부재(20)의 선회운동을 완성한다. 이러한 스프링(80)의 조력에 의해 사용자는 힘을 덜 들이고도 목적지까지 손쉽게 선회 및 슬라이딩 동작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80)으로는 예시한 바와 같이 링크식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링크식 스프링(80)은 일단(82)은 슬라이딩부재(30)의 구멍(36)에 회전가능케 연결되고 타단(84)은 지지부재(10)의 구멍(18)에 회전가능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프링(80)은 예시한 링크식 스프링 이외에도 토션스프링,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들이 대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시한 지지부재(10)의 연결부(10-7)의 지지면은 선회부재(20)가 선회할 때 걸리적거리는 다른 구성요소의 간섭부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선회부재(20)가 선회에 따라 간섭부위의 반대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회전시 이러한 간섭부위와의 간섭으로 인한 회전방해를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서 선회와 동시에 원하는 사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장치의 구조가 응용기기 중 하나인 휴대폰에 적용된 예로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의 내부 동작메카니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선회동작시 선회부재와 링크의 운동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7에서 원형 점으로 표시한 것은 링크 선회단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고 마름모 점으로 표시한 것은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된 휴대폰에서의 동작구현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들이 많은 쿼티(QWERTY) 자판을 갖는 휴대폰(1)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쿼티 자판(3)을 선회부재(20)에 구성하고, 액정 화면(5)을 지지부재(10)의 전판부(10-1)에 구성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부재(10)는 휴대폰(1)의 몸체를 이루게 되고, 선회부재(20)는 키패드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재(10)의 전판부(10-1)에 보편적인 키패드를 구성하고 선회부재(20)에 액정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가 몸체로 그리고 선회부재가 키패드로 사용되므로, 이하 설명에서 몸체와 키패드의 참조번호는 각각 대응되는 지지부재와 선회부재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휴대폰 응용기기에서 비사용시 도 6의 (Ⅰ)에서와 같이 키패드(20)는 몸체(10)의 수납공간(10-5)으로 접어넣은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키패드(2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으로 몸체(10)로부터 노출된 키패드(20)의 윗부분을 A방향으로 밀면 된다. 그러면, 키패드(20)는 회전판(50)을 축으로 하여 선회하게 되는 데, 이 키패드(20)의 선회에 따라 링크(40)의 선회단과 키패드(20)의 결합지점(Lpm)은 키패드(20)측에서 보면 도 6의 (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하지만, 링크(40)의 고정단이 몸체(10)에 고정되어 키패드(20)는 하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키패드(20)의 결합지점(Lpm)의 아래쪽으로의 위치변동은 키패드(20)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때, 결합지점(Lpm)은 링크(20)측에서 보면 키패드(20)의 90도 선회에 따라 수평방향의 진폭 내에서 운동하므로 링크(40)는 그 고정단의 결합지점(Lpf)을 중심으로 그 선회단의 결합지점(Lpm)이 그 범위에서 왕복하게 된다. 그 결과, 키패드(20)가 세로방향(제1위치)에서 90도 회전하여 가로방향(제2위치)으로 위치되면 도 6의 (Ⅲ)와 같이 선회중심(Cr)의 위쪽에 있던 링크(40)와 키패드(20)의 결합위치(Lpm)는 선회중심(Cr)의 아래쪽으로 옮겨지면서 슬라이딩한 그 수직이동거리만큼 키패드(20)가 상승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키패드(20)의 선회중심은 선회시작위치(Cr1)에서 선회종 료위치(Cr2)의 수직거리(d)만큼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키패드(20)는 몸체(10)에서 90도 선회와 동시에 수직거리 d만큼 상승하여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선회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키패드(20)는 몸체(10)로부터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게 되고, 사용자는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키패드(20)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통화가 끝난 후에는 키패드(20)를 펼친 때와 반대로 하여 몸체(10)로 접어넣어 보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지지부재를 제거하여 내부구조가 나타나게 한 부분발췌 조립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는 세로방향으로 위치(제1위치)하고 있는 선회부재(20a)의 선회에 따라 선회부재(20a)의 모서리(만곡점)가 지지부재(10a)의 지지면(11a)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거리만큼 선회부재(20a)를 지지면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나서, 이 만곡점이 지나가면 슬라이딩 방향이 전환되어 선회부재(20a)의 계속되는 선회동작에 따라 지지면(11a)을 향하여 슬라이딩하여 선회부재(20a)가 가로방향의 위치(제2위치)에 왔을 때 지지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선회에 연동되는 일련의 슬라이딩 동작들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시한다. 이 때, 선회부재(20a)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다른 직사각형 부재로 구성되어, 90도 선회에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전환하게 되며 그와 연동하면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다. 선회부재(20a)의 원하는 높이로의 이동은 반드시 지지면(11a)에 안착되도록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임의의 위치까지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의 메카니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지지부재(10a)에 슬라이딩부재(30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10a)와 슬라이딩부재(30a)의 대응부위에는 가이드레일(12a)과 이 가이드레일(12a)에 맞물려 그를 따라 활주하는 안내턱(32a)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는 좌우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a)의 일면에는 좌우한쌍의 가이드레일(12a)이 그리고 슬라이딩부재(30a)에는 좌우한쌍의 안내턱(32a)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좌우한쌍의 가이드레일(12a)은 지지판(14a)에 형성되어 지지부재(10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턱(32a)들은 슬라이딩부재(30a)의 판체부(36a)의 양측연으로부터 가이드레일(12a)들을 향해 절곡되어 그들에 각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10a)의 지지판(14a)이 고정되는 일면에는 활주방향의 양단(상단 및 하단)에 걸림턱들(16a-1,16a-3)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2a)에 결합된 안내턱(32a)이 가이드레일(12a)을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안내턱(32a)들 은 활주방향의 끝단에서 걸림턱들(16a-1,16a-3)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지지부재(10a)와 슬라이딩부재(30a)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양단의 걸림턱(16a-1,16a-3) 중 하나는 지지면(11a)이 마련된 안착부(16a-1)가 대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6a-1)의 내면은 선회부재(20a)의 일면이 밀착되어 선회부재(20a)가 안착되는 지지면(11a)이 된다. 나아가, 안내턱(32a)들은 판체부(36a)로부터 일정구간에만 형성하여 활주거리를 조정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재(30a)에 선회부재(20a)를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선회 구조는 앞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선회부재(20a)에 관통공(22a)을 형성하고 걸림턱(52a)이 형성된 회전판(50a)을 끼워 슬라이딩부재(30a)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관통공(22a)에 환형 윤활재(72a)를 개재하여 회전판(50a)과 슬라이딩부재(30a)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및 마모를 저감시키고, 선회부재(20a)와 슬라이딩부재(30a)의 접촉부위에도 윤활재(70a)를 개재하여 원활한 선회동작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장치는 선회부재(20a)의 선회에 연동하여, 즉 선회동작에 종속되어 슬라이딩동작이 이뤄지도록 하는 링크(40a)를 구비한다. 본 장치에서 링크(40a)는 선회부재(20a)를 지지부재(10a)에 구속시켜 선회에 따라 직진운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링크(40a)는 일단이 지지부재(1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선회부재(2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링 크(40a)는 그 양단에 핀공들(42a-1,42a-3)을 구비하고, 일단의 핀공(42a-1)에 결합핀(44a-1)을 삽입하여 지지부재(10a)의 지지판(14a)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의 핀공(42a-3)에도 결합핀(44a-2)을 삽입하여 선회부재(20a)에 그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40a)는 선회부재(20a)가 세로방향(제1위치)으로 존재할 때 선회중심(Cr')을 지나가는 수직중심선(Lv')을 기준으로 하여 선회방향 쪽으로 편향되어 위치되며, 선회중심(Cr')과 링크(40a)의 양 단부들(양 결합핀들(44a-1,44a-2)의 중심들)을 연결하면 링크(40a)의 선회단(40a-3)쪽이 둔각인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특히, 링크(40a)는 선회부재(20a)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선회부재(20a)의 선회중심(Cr')으로부터 선회부재(20a)의 위치이동의 목적지 쪽으로 편향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링크(40a)의 선회단측 결합지점은 선회부재(20a)의 선회중심(Cr')을 지나는 수직중심선(Lv)과 평행하고 지지부재(10a)의 결합지점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링크(40a)의 선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넘어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서, 링크(40a)는 그 양단의 결합위치와 선회각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선회부재(20a)의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선회운동시 초기에 선회부재(20a)의 모서리가 지지면(11a)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지지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1슬라이딩동작과, 선회부재(20a)의 모서리가 지지면(11a)을 지나가면 이 제1슬라이딩동작을 마치고 지지면(11a)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슬라이딩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링크(40a)의 이러한 제1 및 제2 슬라이딩동작들에 의해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환시에도 선회부재(20a)를 지지 면(11a)에 안정되게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는 데, 이러한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링크(40a)의 운동궤적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링크(40a)는 선회부재(20a)의 선회에 따라 지지부재(10a)에 결합된 일단(고정단)을 정점으로 선회부재(20a)에 결합된 타단(선회단)이 일정 각도로 선회하게 된다. 링크(40a)의 길이와 동작 각도는 선회부재(20a)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 원하는 이동거리에 도달하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재(30a)에서 선회부재(20a)가 선회동작시 90도의 동작각도에서 정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재(30a)에는 링크(40a)의 회전각을 구속하는 호형의 선회각제한공(3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크(40a)는 초기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직선 바(bar) 형태에서 대략 링크의 중간부위로부터 그 선회단이 링크(40a)의 선회반대방향 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장치에는 또한 선회동작 및 슬라이딩동작의 작동력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지지부재(10a)와 선회부재(20a) 사이에 스프링(80a)이 장착된다. 이 스프링(80a)에 의해, 외력에 의한 선회부재(20a)의 선회운동의 진행과정에서 신장상태에서 압축상태를 거쳐 다시 신장상태로 전환되며, 압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얻어지는 복원력을 선회부재(20a)에 제공하여 선회운동과 슬라이딩운동을 완성한다. 이러한 스프링(80a)은 그 양단의 결합위치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슬라이딩방향이 바뀌어도 항시 선회부재(20a)에 탄성을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프링(80a)은 제1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의 내부 동작메카니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선회동작시 선회부재와 링크의 운동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4에서 원형 점으로 표시한 것은 링크 선회단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고 마름모 점으로 표시한 것은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이제,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의 (Ⅰ) 및 도 13의 (Ⅰ)에서와 같이 선회부재(20a)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회부재(20a)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딩부재(30a)에 회전판(50a)으로 결합된 선회부재(20a)가 회전판(50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링크(40a)는 지지부재(10a)에 결합된 고정단(40a-1)의 결합지점(Lpf')을 정점으로 하여 선회부재(20a)에 결합된 선회단(40a-3)의 결합지점(Lpm')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크(40a)는 선회단(40a-3)의 결합지점(Lpm')이 운동시작지점에서 최고점(Tp)에 도달하는 거리(d1)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것은 곧 선회단(40a-3)이 결합된 선회부재(20a)가 지지면(11a)으로부터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선회부재(20a)는 지지면(11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회부재(20a)와 결합된 슬라이딩부재(30a)의 안내턱(32a)이 지지부재(10a)의 가이드레일(12a)을 따라 제1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최고점(Tp)까지 의 상승거리(d1)는 선회부재(20a)의 모서리(만곡점)가 지지면(11a)에 걸리지 않는 높이까지의 슬라이딩 거리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1슬라이딩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즉 선회부재(20a)의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선회운동초기 선회부재(20a)의 모서리가 지지면(11a)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면(11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슬라이딩동작을 유도하기 위해서 선회부재(20a)가 세로방향에 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할 때 선회단(40a-3)의 결합위치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회부재(20a)의 선회중심(Cr')을 지나는 수직중심선(Cv')에 평행한 수직기준선(Fv')에 대해 링크(40a)의 선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θ)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선회반대방향으로 치우친 선회단(40a-3)의 결합위치가 그가 수직기준선(Fv')과 이루는 각도(θ)만큼 선회하여 수직기준선(Fv') 상에 도달하면 최고점(Tp)에 이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선회부재(20a)는 상승거리 d1만큼 위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링크(40a)의 선회단(40a-3)이 최고점(Tp)까지 상승한 후에는 계속적인 선회부재(20a)의 선회동작에 따라 최고점(Tp)을 기점으로 하여 링크(40a)의 선회단(40a-3)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 링크(40a)의 선회단(40a-3)의 하강은 선회부재(20a)를 하강시켜 지지면(11a)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한다. 그 결과, 본 장치에서 선회부재(20a)가 90도 선회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실제 이동한 시작위치에서 종착위치까지의 거리(이하, '실이동거리'라 함)는 링크(40a)의 하강거리(d2)에서 상승거리(d1)를 제하고 남은 거리(d)에 상응한다. 이 와 같이 실이동거리(d)를 계산하여 원하는 높이로 선회부재(20a)를 선회동작에 연동시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서와 같이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90도 선회시 선회중심(Cr')에서 선회부재(20a)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차를 실이동거리(d)로 설정하면, 선회부재(20a)는 도 12의 (Ⅲ)와 도 13의 (Ⅲ)에서와 같이 세로방향에서 90도 선회하여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었을 때에도 지지면(11a)에 안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가 응용기기 중 하나인 휴대폰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에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는 일예로 도 15에서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폴더형 휴대폰(1b)의 덮개(3b)부분에 제2실시예의 선회장치의 구조를 적용하여 본체(5b)에서 덮개(3b)를 연 후, 덮개(3b)의 지지부재(10b)에서 화면(7b)이 구성된 선회부재(20b)를 선회시켜 세로보기와 가로보기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1b)에의 응용에 의해 덮개(3b)의 지지부재(10b)의 지지면(11b)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된 선회부재(20b)를 사용자가 선회시키기만 하면 선회부재(20b)가 지지면(11b)으로부터 상승하여 이격되면서 선회하다가 만곡점을 넘어서면 하강하여 지지부재(10b)의 지지면(11b)에 안착되게 함으로써 세로보기에서 가로보기로 전환시 두 모드에서 모두 안정적인 사용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세로보기와 가로보기의 전환시 액정 화면(7b)이 구성된 선회부 재(20b)가 지지부재(10b)의 지지면(11b)에 안착되므로 동영상의 시청에 있어서 선회구조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흔들림이나 떨림 등으로부터 보다 안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7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6에서 일부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이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도 위에서 기설명한 제2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동작메카니즘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로방향으로 위치(제1위치)하고 있는 선회부재(20b)의 선회에 따라 선회부재(20b)의 모서리(만곡점)가 지지부재(10b)의 지지면(11b)에 간섭되지 않도록 선회부재(20b)를 지지면의 반대방향으로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거리만큼 슬라이딩 상승시키면서 선회가 이루어지고, 만곡점이 지나가면 슬라이딩 방향이 전환되며 선회부재(20b)의 계속되는 선회동작에 따라 지지면(11b)을 향하여 슬라이딩 하강하여 선회부재(20b)가 가로방향의 위치(제2위치)에 왔을 때 선회부재(20b)의 저면이 지지면(11b)에 안착되도록 하는 선회에 연동하는 일련의 슬라이딩 동작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본 장치의 메카니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폴더형 휴대폰에서와 같이 본체(90b)에 결합되어 본체(90b)에서 접히거나 펴지는 지지부재(10b)에 슬라이딩부재(30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10b)의 내부에는 좌우양측으로 한쌍의 가이드레일(12b-1,12b-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한쌍의 가이드레일(12b-1,12b-3)에 슬라이딩부재(30b)의 양측이 끼워져 그를 따라서 활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슬라이딩부재(30b)는 지지부재(10b)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지지부재(10b)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30b)에 다시 선회부재(20b)가 결합되어 선회부재(20b)는 결과적으로 지지부재(10b)에 대하여 슬라이딩과 선회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딩부재(30b)에 선회부재(20b)를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선회 구조는 슬라이딩부재(30b)에 관통공(38b)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38b)으로 걸림턱(52b)이 형성된 회전판(50b)을 끼워 선회부재(20b)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재(10b)의 내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재(30b)의 관통공(38b)을 관통한 회전판(50b)의 일단이 선회부재(20b)에 도달하도록 지지부재(10b)에는 통로(18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통로(18b)는 슬라이딩부재(30b)의 활주거리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0b)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부재(30b)의 관통공(38b)과 지지부재(10b)의 통로(18b)를 통과한 회전판(50b)의 일단은 선회부재(20b)에 밀착되어 볼트(60b)로서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 볼트(60b)의 체결을 위해, 선회부재(20b)에는 볼트공(24b)이 형성되어 있고 그와 대응되는 회전판(50b)의 일단에는 체결공(54b)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선회부재(20b)가 선회하면 회전 판(50b)이 그와 함께 선회하게 된다.
회전판(50b)은 지지부재(10b)의 내측에 위치한 그 걸림턱(52b) 부분으로부터 그 선회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58b)가 연장되어 있다. 이 연결부(58b)는 지지부재(1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40b)의 일단에 연결된다.
링크(40b)는 선회부재(20b)를 지지부재(10b)에 구속시켜 선회에 따라 직진운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링크(40b)는 지지부재(1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일단이 선회부재(2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링크(40b)는 축공(42b)이 형성되어 지지부재(10b)에 구비된 축핀(13b)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축공(42b)으로부터 떨어진 양단에는 결합핀들(44b-1,44b-3)이 구비되어 일측 결합핀(44b-1)은 회전판(50b)의 연결부(58b)에 형성된 핀공(59b)에 끼워지고 타측 결합핀(44b-3)은 스프링(80b)의 핀공(82b)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40b)의 일단에는 회전판(50b)이 그리고 타단에는 스프링(80b)이 결합되어 있어, 선회부재(20b)의 선회에 따른 링크(40b)의 선회에 따라 스프링(80b)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링크(40b)에 작동력을 제공하여 선회부재(20b)의 선회운동력을 배가시킨다.
링크(40b)는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선회부재(20b)가 세로방향(제1위치)으로 존재할 때 선회부재(20b)의 선회중심을 지나가는 수직중심선(Lv")을 기준으로 하여 선회부재의 선회방향 쪽으로 편향되어 위치되며, 특히 링크(40b)의 축공(42b)은 수직중심선(Lv") 상에 위치하고 연결부(58b)측 결합지점은 수직중심선(Lv")에 대하여 선회부재(20b)의 선회방향쪽, 즉 링크(40b)의 선회반대방향쪽으 로 치우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링크(40b)는 그 양단의 결합위치와 선회각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선회부재(20b)의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선회운동시 초기에 선회부재(20b)의 모서리가 지지면(11b)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지지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1슬라이딩동작과, 선회부재(20b)의 모서리가 지지면(11b)을 지나가면 이 제1슬라이딩동작을 마치고 지지면(11b)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슬라이딩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링크(40b)는 선회부재(20b)의 선회에 따라 지지부재(10b)에 결합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판(50b)에 결합된 일단(선회단)이 일정 각도로 선회하게 된다. 링크(40b)는 초기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직선 바(bar) 형태에서 대략 링크(40b)의 중간부위로부터 그 선회단이 링크(40b)의 선회반대방향 쪽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동작메카니즘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동작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의 (Ⅰ)에서와 같이 본체(90b)에 접혀져(포개져)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재(10b)를 들어올리면 도 20의 (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선회축(92b)을 축으로 하여 선회하여 본체(90b)와 지지부재(10b)는 일측면을 맞댄 상태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90b)에서 지지부재(10b)를 연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회부재(20b)를 손으로 잡고 선회시키게 된다. 즉, 도 20의 (Ⅱ)와 도 21의 (Ⅰ)에서와 같이 선회부재(20b)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회부재(20b)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회부재(20b)와 회전판(50b)이 일체로 회전하면서 회전판(50b)에 연결된 링크(40b)도 선회하게 된다. 링크(40b)는 지지부재(10b)에 결합된 결합지점을 축으로 하여 그 선회단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링크(40b)는 도 20의 (Ⅲ)과 도 21의 (Ⅱ)에서와 같이 선회단이 운동시작지점에서 최고점에 도달하는 거리(d1')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것은 곧 선회단이 결합된 회전판(50b)을 상승시켜 회전판(50b)이 끼워진 슬라이딩부재(30b)가 지지부재(10b)의 가이드레일(12b-1,12b-3)을 따라 상승하게 하고, 그에 따라서 슬라이딩부재(30b)와 회전판(50b)에 의해 결합된 선회부재(20b) 또한 지지면(11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상승하게 된다.(제1슬라이딩 운동)
위와 같이 링크(40b)의 선회단이 최고점까지 상승한 후에는 계속적인 선회부재(20b)의 선회동작에 따라 최고점을 기점으로 하여 링크(40b)의 선회단은 하강하게 된다. 이 링크(40b)의 선회단의 하강은 그와 연결된 회전판(50b)을 하강시켜 회전판(50b)이 결합된 슬라이딩부재(30b)가 지지면(11b)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한다.(제2슬라이딩 운동)
이와 같이 하여 도 20의 (Ⅳ)와 도 21의 (Ⅲ)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회부재(20b)가 세로방향에서 90도 선회하여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었을 때에는 지지면(11b)에 안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 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아래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25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본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선회장치는 구성 및 동작메카니즘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3실시예에서와 거의 흡사하다. 다만, 본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재를 제거하고 지지부재(10c)의 통로(18c)에 끼워지는 회전판(50c)의 삽입부(51c)를 통로(18c)의 폭 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꽉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통로(18c)의 폭방향으로는 요동하지 않고 그 길이방향(활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여 선회부재(20c)의 슬라이딩 활주를 안내한다. 물론, 회전판(50c)은 그 삽입부(51c)가 원형이므로 통로(18c)에서 슬라이딩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서는 통로(18c)에 회전판(50c)을 끼우면 회전판(50c)의 턱부(52c)가 걸리면서 원형 삽입부(51c)가 통로(18c)에 끼워져 통로(18c)를 따라서 활주하도록 함으로써 직선 활주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구조를 완성하고 있다. 여기서, 통로(18c)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으로서 그 양단이 막힌 구조로 제공된다.
회전판(50c)의 연결부(58c)에는 링크(40c)가 결합되며, 이 링크(40c)의 결합구조 및 동작은 앞의 제3실시예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다. 즉, 링크(40c)는 축공(42c)이 형성되어 지지부재(10c)에 구비된 축핀(13c)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축공(42c)으로부터 떨어진 양단에는 결합핀들(44c-1,44c-3)이 구비되어 일측 결합핀(44c-1)은 회전판(50c)의 연결부(58c)에 형성된 핀공(59c)에 끼워지고 타측 결합핀(44c-3)은 스프링(80c)의 핀공(82c)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40c)의 일단에는 회전판(50c)이 그리고 타단에는 스프링(80c)이 결합되어 있어, 선회부재(20c)의 선회에 따른 링크(40c)의 선회에 따라 스프링(80c)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링크(40c)에 작동력을 제공하여 선회부재(20c)의 선회운동력을 배가시킨다.
이러한 링크(40c)는 제3실시예에서 기설명한 바와 동일한 결합구조 및 동작에 의해 선회부재(20c)의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선회운동시 초기에 선회부재(20c)의 모서리가 지지면(11c)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지지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1슬라이딩동작과, 선회부재(20c)의 모서리가 지지면(11c)을 지나가면 이 제1슬라이딩동작을 마치고 지지면(11c)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슬라이딩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3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26 및 도 27은 위의 지지부재에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된 통로의 다양한 실시예들로, 통로(18c')는 앞의 예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직선에서 약간 변형하여 도 26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직선에서 약간 경사시켜 사선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좀 더 부드러운 동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 26의 사선의 통로를 곡선화하여 곡선형 통로(18c")로 형상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로를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직선에서 비스듬하게 형성하면 그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판이 정지상태에서 선회시 부드럽고 원활한 동작을 가 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본 장치에서 선회구조와 링크는 직선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떤 구조 내지 방식의 슬라이딩구조와도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의 적용 대상을 휴대폰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와 선회체를 가지며 이들 간에 선회운동과 직선운동이 필요한 응용기기라면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선회장치는 지지부재에서 선회되는 선회부재가 선회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선회부재를 방향전환과 동시에 거리이동시켜 원하는 방향과 사용위치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회부재를 선회시키면 선회동작과 연동하여 선회부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지지면으로부터 선회부재를 슬라이딩 이격시키면서 선회가 이루어져 선회부재의 모서리가 회전반경에 의해 선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 재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휴대폰, 엘씨디 모니터, 피디에이(PDA) 등의 전자응용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지지부에서 화면이 구성된 선회부를 간단히 선회만 시키면 선회에 연동하여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사용에 적합한 사용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적은 작동력으로 손쉽게 선회동작과 슬라이딩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축상결합이 아니라 판상의 선회결합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결합구조가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구조와 슬라이딩구조를 연관시켜 선회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동작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므로 이러한 운동방식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휴대폰에 응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보기로의 선회동작에 의해 원하는 높이로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함과 안정성을 증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25)

  1.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부재; 및
    일단은 상기 선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선회부재가 결합된 단부가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걸림턱이 있는 회전판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회전판을 끼워 상기 회전판의 일단을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시켜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는 선회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재가 상기 회전판에 끼워져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할 때 상기 링크는 상 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으로부터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이동의 목적지 쪽으로 편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과 상기 링크의 양단은 둔각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5.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관통공이 형성되는 선회부재;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선회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걸려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및
    일단은 상기 선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선회부재에 결합된 선회단이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선회부재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할 때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으로부터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이동의 목적지 쪽으로 편향되고,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을 지나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의 반쪽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다른 직사각형태이고, 세로방향의 제1위치에서 가로방향의 제2위치를 선회동작과 슬라이딩동작이 연동하면서 왕복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선회중심에서 상기 링크의 선회단을 잇는 선분과 상기 선회단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상기 링크의 고정단을 잇는 선분은 둔각을 이루며, 상기 선회부재의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선회동작에 따라 상기 둔각은 점차로 그 각도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판부와 그로부터 이격되어 후판부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상기 전판부와 상기 후판부 사이에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위치되게 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은 상기 선회부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선회운동의 진행과정에서 신장상태에서 압축상태를 거쳐 다시 신장상태로 전환되며, 압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얻어지는 복원력을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운동과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운동을 완성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그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홀들이 마련되고, 그와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가이드홀들에 맞물려 그를 따라 활주하는 결합턱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1.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관통공이 형성되는 선회부재;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선회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걸려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및
    일단은 상기 선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선회부재에 결합된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선회부재가 90도 범위내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상기 링크의 선회단의 회전을 제한하는 호형의 선회각제한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선회단은 결합핀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선회각제한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회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선회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선회운동의 진행과정에서 신장상태에서 압축상태를 거쳐 다시 신장상태로 전환되며, 압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얻어지는 복원력을 상기 선회부재에 제공하여 선회운동과 슬라이딩운동을 완성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그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레일들이 마련되고, 그와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맞물려 그를 따라 활주하는 안내턱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선회부재 사이에 그리고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접촉부위들에는 각각 윤활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6.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하기 선회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걸려 하기 선회부재와 상기 슬 라이딩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는 선회부재; 및
    일단은 상기 회전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회전판에 결합된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7. 하기 선회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지지부재;
    일단에는 상기 통로를 관통하여 하기 선회부재에 결합되는 원형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통로 주변에 걸려 하기 선회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는 선회부재; 및
    일단은 상기 회전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점을 정점으로 상기 회전판에 결합된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다가 방향 을 전환하여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원형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통로의 폭 보다 약간 작아 상기 통로의 폭방향으로의 요동은 방지되고 상기 통로를 따라서 통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직선, 및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직선에서 약간 경사진 사선 또는 곡선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의 선회단과 링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선회중심지점에서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추가로 연장되고, 이 연장부분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링크의 선회동작에 따라 상기 스프링이 신장상태에서 압축상태를 거쳐 다시 신장상태로 전환되며, 압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얻어지는 복원력을 상기 링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2. 제11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다른 직사각형태이고, 세로방향의 제1위치에서 가로방향의 제2위치를 선회동작과 슬라이딩동작이 연동하면서 왕복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선회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으로부터 상기 선회부재의 위치이동의 목적지 쪽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되, 상기 링크의 선회단이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을 지나는 수직중심선과 평행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지점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링크의 선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넘어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을 지나는 수직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의 반쪽 영역내에 위치되고,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중심과 상기 링크의 고정단 및 선회단을 3개의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은 상기 선회단의 각이 둔각인 둔각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직선 바(bar) 형태에서 그 선회단 측이 상기 링크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25. 제1항, 제5항, 제11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선회장치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엘씨디 모니터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 전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선회장치.
KR1020070045163A 2007-05-09 2007-05-09 슬라이딩 선회장치 KR10080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63A KR100802012B1 (ko) 2007-05-09 2007-05-09 슬라이딩 선회장치
EP08753361A EP2149198A1 (en) 2007-05-09 2008-05-07 Sliding rotating apparatus
PCT/KR2008/002564 WO2008140206A1 (en) 2007-05-09 2008-05-07 Sliding rotating apparatus
RU2009139300/07A RU2402876C1 (ru) 2007-05-09 2008-05-07 Устройство-слайдер, имеющее возможность поворота
CN200880015352A CN101689875A (zh) 2007-05-09 2008-05-07 滑动旋转装置
JP2010507322A JP2010526508A (ja) 2007-05-09 2008-05-07 スライディング旋回装置
US12/597,573 US20100137041A1 (en) 2007-05-09 2008-05-07 Sliding rotating apparatus
BRPI0810257A BRPI0810257A2 (pt) 2007-05-09 2008-05-07 "aparelho articulável e deslizante"
TW097116968A TW200906139A (en) 2007-05-09 2008-05-08 Sliding rot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63A KR100802012B1 (ko) 2007-05-09 2007-05-09 슬라이딩 선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012B1 true KR100802012B1 (ko) 2008-02-12

Family

ID=3934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163A KR100802012B1 (ko) 2007-05-09 2007-05-09 슬라이딩 선회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137041A1 (ko)
EP (1) EP2149198A1 (ko)
JP (1) JP2010526508A (ko)
KR (1) KR100802012B1 (ko)
CN (1) CN101689875A (ko)
BR (1) BRPI0810257A2 (ko)
RU (1) RU2402876C1 (ko)
TW (1) TW200906139A (ko)
WO (1) WO20081402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9705A1 (en) * 2008-07-28 2011-04-13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13B1 (ko) * 2008-03-27 2009-01-20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US8305747B2 (en) * 2010-01-08 2012-11-06 Shin Zu Shing Co., Ltd. Rotary hing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102252017A (zh) * 2010-05-20 2011-1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US20120026649A1 (en) * 2010-07-29 2012-02-02 Albert Pegg Slide and offset pivot display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CN104460827B (zh) * 2013-09-12 2017-11-07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RU2617335C1 (ru) * 2016-03-02 2017-04-24 Павел Анатольевич Зайцев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сбора идентифицирующих личность данных
TWI730780B (zh) * 2019-05-23 2021-06-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滑轉機制的電子裝置
CN111885256B (zh) * 2020-07-16 2021-12-14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1Y1 (ko) 2005-06-24 2005-09-21 주식회사 벨웨이브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88044A (ko) * 2005-01-31 2006-08-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휴대전화
KR20060095321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드 및 스윙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28633B1 (ko) * 2005-07-27 2006-09-26 주식회사 팬택 스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27073B1 (ko) 2007-03-26 2007-06-12 (주)쉘-라인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3104B2 (en) * 2003-10-13 2006-02-21 Hanbit Precision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JP4106385B2 (ja) * 2006-10-23 2008-06-2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044A (ko) * 2005-01-31 2006-08-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휴대전화
KR20060095321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드 및 스윙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96211Y1 (ko) 2005-06-24 2005-09-21 주식회사 벨웨이브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28633B1 (ko) * 2005-07-27 2006-09-26 주식회사 팬택 스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27073B1 (ko) 2007-03-26 2007-06-12 (주)쉘-라인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9705A1 (en) * 2008-07-28 2011-04-13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EP2309705A4 (en) * 2008-07-28 2014-06-04 Sharp Kk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10257A2 (pt) 2018-10-30
WO2008140206A1 (en) 2008-11-20
RU2402876C1 (ru) 2010-10-27
EP2149198A1 (en) 2010-02-03
US20100137041A1 (en) 2010-06-03
CN101689875A (zh) 2010-03-31
JP2010526508A (ja) 2010-07-29
TW200906139A (en) 200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012B1 (ko) 슬라이딩 선회장치
EP1777921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20120149438A1 (en)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CN101366191A (zh) 下滑开闭型便携式电话
KR101063028B1 (ko)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형 전자기기
EP2600594A1 (en) Opening/closing apparatus
US20080026799A1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998942B1 (ko)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슬라이딩/회전 개폐모듈과그 부품
KR100842562B1 (ko) 슬라이딩 형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0165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JP2012248761A (ja) 連結装置並びに連結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117585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1096644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037849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5319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756147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046656B1 (ko) 휴대단말기용 롱스트로크 틸팅 힌지모듈
KR200396210Y1 (ko) 회전가능한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4608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107122B1 (ko) 모바일 기기
KR101196674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5135241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KR100997747B1 (ko) 슬라이드 틸팅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