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211A -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211A
KR20070020211A KR1020067018116A KR20067018116A KR20070020211A KR 20070020211 A KR20070020211 A KR 20070020211A KR 1020067018116 A KR1020067018116 A KR 1020067018116A KR 20067018116 A KR20067018116 A KR 20067018116A KR 20070020211 A KR20070020211 A KR 2007002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link
chain
transmission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야스하라
시게오 카마모토
노부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07002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동력 전달 체인(1)은 체인 진행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 유닛(51, 52, 53)을 구비하고, 각 링크 유닛(51, 52, 53)은 체인 폭방향(W)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2)를 포함한다. 링크 유닛(51, 52, 53)을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50)에 각각 대응해서 안내부재(12, 13)가 형성된다. 각 링크(2)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재(50)를 관통시키는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7,8)과,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7,8)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 홈(14)을 포함한다. 각 연결부재(50)는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3, 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3, 4) 중 어느 한쪽이 안내부재(12, 13)에 의해 안내되고, 그 결과, 상기 한쪽의 동력 전달부재가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에 롤링 접촉 및 슬라이딩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로 접촉한다.
동력 전달 체인, 동력 전달 장치

Description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무단 변속기(CVT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등의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무단 상의 동력 전달 체인에서는 통상,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 유닛을 한쌍의 핀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있다. 각 링크 유닛은 체인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체인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를 포함한다. 각 링크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된 한쌍의 관통 구멍을 가지고, 각 관통 구멍으로 상기 한쌍의 핀이 유삽되어 있다. 또한, 체인 폭방향의 가장 외측의 링크에, 각 핀에 결합된 돌기를 형성해서 빠짐 방지 링크로서 기능하게 한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1-108444호 공보 참조).
또한, 링크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 구멍의 각각에 서로 롤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을 삽입하고, 그 제 1 및 제 2 전동핀을 통해 대응하는 링크를 서로 연결하는 동력 전달 체인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8-312725호 공보 참조).
전자의 동력 전달 체인의 빠짐 방지 링크는 한쌍의 관통 구멍간의 거리를 넓 히도록 인장 하중을 받는다.
후자의 동력 전달 체인에서는 각 링크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안내부를 형성하고, 그 안내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동핀 상호의 롤링 접촉이동을 안내하고 있다. 이 경우, 모든 링크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엄격한 치수 정밀도의 안내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가격이 높아진다. 또한, 동력 전달 체인을 조립할 때에, 링크의 관통 구멍에 각 전동핀을 삽입하는 작업이 번잡하게 되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제조 가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제조 가격이 저렴한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 유닛과, 상기 복수의 링크 유닛을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와, 각 연결부재에 각각 대응해서 형성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 체인을 제공한다. 각 링크 유닛은 체인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체인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를 각각 포함한다. 각 링크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재를 관통시키는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각 연결부재는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고, 그 결과, 상기 한쪽의 동력 전달부재가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에 롤링 접촉 및 슬라이딩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로 접촉하면서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에 대하여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내부재가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링크로서는 상기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링크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안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제조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 체인을 조립할 때에, 링크의 관통 구멍으로 동력 전달부재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이 점으로부터도, 제조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재마다 안내부재가 형성되므로, 해당 안내부재에는 링크에 적용되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식 무단 변속기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무단 변속기의 드라이브 풀리(드리븐 풀리) 및 체인의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동력 전달 체인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동력 전달 체인의 요부 단면도이며, 3개의 링크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 각각은 안내부재 및 전동핀의 모식적 단면도이며, 한쪽 의 전동핀이 다른쪽의 전동핀에 대하여 롤링 접촉을 할 때의 한쪽의 전동핀의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체인의 요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 각각은 미스얼라인먼트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드라이브 풀리 및 드리븐 풀리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체인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체인의 요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체인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로서의 체인식 무단 변속기(이하, 무단 변속기라 칭함)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무단 변속기(100)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다. 무단 변속기(100)는 한쌍의 풀리 중 한쪽으로서의 제 1 풀리인 금속(구조용 강 등)제의 드라이브 풀리(drive pulley)(60)와, 한쌍의 풀리 중 다른쪽으로서의 제 2 풀리인 금속(구조용 강 등)제의 드리븐 풀리(driven pulley)(70)와, 이 양 풀 리(60, 70) 사이에 감겨 있는 무단 상의 동력 전달 체인(1)(이하, 체인이라 칭함)을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풀리(60) 및 드리븐 풀리(70)는 가변 직경 풀리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무단 변속기(100)의 요부 확대 단면도인 도 2를 참조하면, 드라이브 풀리(60)는 차량의 구동원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입력축(61)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드라이브 풀리(60)는 고정 시브(stationary sheave)(62)와 가동 시브(rotary sheave)(6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시브(62) 및 가동 시브(63)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시브면(62a, 63a)을 각각 가지고 있다. 각 시브면(62a, 63a)은 원추면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시브면(62a, 63a) 사이에 홈이 구획되어, 이 홈 사이에 체인(1)을 강한 압력으로 끼워서 유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시브(63)에는 홈폭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 엑츄에이터(도시 안됨)가 접속되어 있고, 변속시에 입력축(61)의 축방향(도 2의 좌우 방향)으로 가동 시브(63)를 이동시킴으로써 홈폭을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입력축(61)의 직경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체인(1)을 이동시키고, 드라이브 풀리(60)의 체인(1)에 관한 유효반경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드리븐 풀리(70)에 있어서, 드라이브 풀리(60)와 대응하는 참조부호를 괄호 내에 나타내고 있다. 그 드리븐 풀리(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륜(도시 안됨)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출력축(71)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드라이브 풀리(60)와 같이 체인(1)을 강한 압력으로 끼우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시브면(73a, 72a)을 각각 가지는 고정 시브(73) 및 가동 시브(72)를 구비하고 있다.
드리븐 풀리(70)의 가동 시브(72)에는 드라이브 풀리(60)의 가동 시브(63)와 같이 유압 엑츄에이터(도시 안됨)가 접속되어 있고, 변속시에 이 가동 시브(72)를 이동시킴으로써 홈폭을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체인(1)을 이동시켜 드리븐 풀리(70)의 체인(1)에 관한 유효반경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동력 전달 체인(이하, 단지 체인이라 칭함)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체인(1)은 복수열로 배열된 판형상 링크(2)와, 각각 대응하는 링크(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부재(50)를 구비한다. 각 연결부재(50)는 동력 전달부재로서의 제 1 전동핀(3) 및 제 2 전동핀(4)을 포함한다.
도 4는 체인(1)의 요부 단면도이다. 체인(1)은 체인 진행 방향(X1)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그 링크 유닛의 중에서, 도 4에서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유닛(51, 52, 53)이 도시되어 있다. 링크 유닛(51, 52, 53)은 각각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을 포함하는 연결부재(50)를 통해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연결부재(50)에 각각 대응하여 제 1 또는 제 2 안내부재(12, 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링크(2)는 체인 진행 방향(X1)의 전후에 배열된 한쌍의 단부로서의 전단부(5) 및 후단부(6)를 포함하고, 이 각 단부(5, 6)에는 각각 전 관통 구멍(7) 및 후 관통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링크 유닛(51)의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과 제 2 링크 유닛(52)의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은 체인 진행 방향(X1)과 직교하는 체인 폭방향(W1)으로 배열되어 서로 대응하고 있고, 이 관통 구멍(7, 8)을 삽입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에 의해 제 1 및 제 2 링크 유닛(51, 52)의 링크(2)가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전동핀(3)은 대응하는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서 이 링크(2)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됨과 아울러, 대응하는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에 예컨대, 루즈 피트(loose fit)에 의해 미소한 간극을 형성하여 끼워 맞춰져서 이 링크(2)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전동핀(3)은 예컨대, 제 1 링크 유닛(51)의 각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에 압입 고정되어서, 제 1 링크 유닛(51)의 각 링크(2)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됨과 아울러, 제 2 링크 유닛(52)의 각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에 유삽되어 제 2 링크 유닛(52)의 각 링크(2)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링크 유닛(52)의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은 제 3 링크 유닛(53)의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과 체인 폭방향(W1)으로 배열되고, 이 각 관통 구멍(7, 8)을 삽입하는 제 1 전동핀(3)에 의해 제 2 및 제 3 링크 유닛(52, 53)의 링크(2)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 1 전동핀(3)은 제 2 링크 유닛(52)의 각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에 압입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제 3 링크 유닛(53)의 각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에 유삽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음에는 제 3 및 제 4 링크 유닛의 링크(2)가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2개의 링크 유닛이 연결되어서 체인(1)이 전체적으로 무단 상을 이룬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동핀(3)의 한쌍의 단부는 체인(1)의 체인 폭방향(W1)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링크(2)로부터 각각 체인 폭방향(W1)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 1 전동핀(3)의 한쌍의 단면에는 시브면 접촉용의 동력 전달면(9, 1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동핀(3)은 그 동력 전달면(9, 10)에 의해 직접 동력 전달에 기여하기 때문에, 예컨대, 베어링용 강(예컨대, SUJ2) 등의 고강도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전동핀(4)[스트립(strip), 인터피스(interpiece)라고도 함]은 후술하는 드라이브 풀리 및 드리븐 풀리의 시브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전동핀(3)보다도 약간 짧게 형성된 봉상체(rod-shaped body)이다. 제 2 전동핀(4)은 대응하는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에 압입 고정되어서 이 링크(2)에 대한 상대이동이 규제됨과 아울러, 대응하는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에 예컨대, 루즈핏(loose fit)에 의해 미소한 간극을 형성해서 삽입되어 이 링크(2)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전동핀(4)은 예컨대, 제 1 링크 유닛(51)의 각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에 유삽되어 제 1 링크 유닛(51)의 각 링크(2)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제 2 링크 유닛(52)의 각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서 제 2 링크 유닛(52)의 각 링크(2)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링크(2)의 각 연결부재(50)에 각각 대응하는 안내부재로서,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가 체인 진행 방향(X1)에 관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부재(12, 13)에 의해 안내되어서, 제 2 전동핀(4)은 체인 진행 방향(X1)에 인접하는 제 1 전동핀(3)과 롤링 및 슬라이딩 접촉(롤링 접촉과 슬라이딩 접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촉)하는 상태로 상대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풀리의 시브면에 대하여 제 1 전동핀(3)이 거의 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인접하는 링크 유닛 간의 굴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마찰 손실을 저감해서 높은 전동효율을 확보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링크(2)에 전 관통 구멍(7)과, 후 관통 구멍(8)과, 이 전 관통 구멍(7) 및 후 관통 구멍(8)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 관통 구멍(7), 연통 홈(11), 및 후 관통 구멍(8)이 전체로서, 체인 진행 방향(X1)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이 긴 구멍(14)의 주면은 응력집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큰 곡률로 형성됨과 아울러 국소적인 돌기나 덴트(dent)가 없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 관통 구멍(7)은 체인 진행 방향(X1)에 대한 긴 구멍(14)의 일단부[링크(2)의 전단부(5)]에 위치하고 있고, 긴 구멍(14)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감합부(嵌合部)(15) 및 유감부(遊嵌部)(16)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15)는 제 1 전동핀(3)의 주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피감합부(被嵌合部)(17)의 형상에 대응해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감부(16)는 감합부(15)에 대하여 링크(2)의 후단부(6)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서 쌍을 이루고 있고, 체인 진행 방향(X1)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유감부(16)는 감합부(15)의 대응하는 단부와 각각 매끄러운 모양으로(단차 없이) 접속되어 있다. 각 유감부(16)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은 제 2 전동핀(4)의 단면형상보다 크고, 제 2 전동핀(4)이 대응하는 제 1 전동핀(3)에 대하여 롤링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 관통 구멍(8)은 체인 진행 방향(X1)에 대한 긴 구멍(14)의 타단부[링크(2)의 후단부(6)]에 위치하고 있고, 긴 구멍(14)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감합부(18) 및 유감부(19)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18)는 제 2 전동핀(4)의 주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피감합부(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감부(19)는 감합부(18)에 대하여 링크(2)의 전단부(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서 쌍을 이루고 있고, 체인 진행 방향(X1)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유감부(19)는 감합부(18)가 대응하는 단부와 각각 매끄러운 모양으로(단차 없이) 접속되어 있다. 각 유감부(19)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은 제 1 전동핀(3)의 단면형상보다 크게 되고, 그 결과, 제 1 전동핀(3)이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에 대하여 롤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통 홈(11)은 전 관통 구멍(7)과 후 관통 구멍(8)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연통 홈(11)은 긴 구멍(14) 주변의 한쌍의 중간부(21)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중간부(21)는 체인 진행 방향(X1)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중간부(21)는 일단부가 유감부(16)와 매끄러운 모양으로(단차 없이)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유감부(19)와 매끄러운 모양으로(단차 없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긴 구멍(14)의 주변, 특히 각 중간부(21)의 근방에 있어서, 링크(2)가 쉽게 탄성변형된다.
연통 홈(11)의 홈폭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5의 예에서는 연통 홈(11)의 홈폭은 전 관통 구멍(7) 및 후 관통 구멍(8)의 폭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링크(2)에 대하여 유삽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을 대응하는 안내부재(12, 13)에 의해 안내하지 않는다고 하면, 그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링크(2)에 대한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 결과, 체인 진행 방향(X1)에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 사이의 접촉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각 전동핀(3, 4)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를 이용함으로써 체인 진행 방향(X1)에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을 서로 관련되게 만들어 양자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안내부재(12)는 조(set)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한쌍의 단부, 예컨대, 제 2 링크 유닛(52)의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한쌍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안내부재(12)는 중앙에 제 1 삽입구멍(22)이 형성된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삽입구멍(22)의 내주면은 제 1 감합부(23)와 제 1 유감부(24)를 가진다.
제 1 감합부(23)는 제 1 전동핀(3)의 피감합부(17)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으로 형성되어서, 대응하는 제 1 전동핀(3)의 피감합부(17)가 압입에 의해 끼워 맞춰져 있다. 제 1 유감부(24)에는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이 유삽되어 있다. 그 결과, 제 2 전동핀(4)이 제 1 전동핀(3)에 대하여 접촉하는 상태로 롤링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유감부(24)에는 제 2 전동핀(4)이 대응하는 제 1 전동핀(3)으로의 롤링 접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면(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로 쌍을 이루는 제 1 전동핀(3)과 제 2 전동핀(4)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1, 32)를 각각 가진다. 제 1 전동핀(3)은 쌍을 이루는 제 2 전동핀(4)과 접촉점(T)에서 접촉하고 있다. 도 6은 체인(1)의 직선영역(L1)(도 1 참조)의 링크(2)에 상당하고, 제 1 및 제 2 전동핀(3, 4) 사이의 접촉점(T)은 접촉점(T1)으로 되어 있다. 그 접촉점(T1)의 위치는 후술하는 인벌루트 곡선(involute curve)의 기점 위치에 상당한다.
상기 대향부(31, 32)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 접촉점(T)은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대향부(31, 32) 사이의 접선으로서 체인 폭방향(W1)으로 연장되는 선을 체인 폭방향(W1)을 따라 본 상태에 상당한다.
체인 진행 방향(X1)에 인접하는 링크 유닛의 상호 링크(2)의 굴곡을 따라 제 1 전동핀(3)과 제 2 전동핀(4)이 서로의 접촉점(T)을 변위시키면서 롤링 및 슬라이딩한다. 이 때, 상기 롤링 및 슬라이딩의 접촉점(T)의 이동 궤적은 인벌루트 곡선을 이룬다.
실제로는 제 2 전동핀(4)의 대향부(32)가 체인 폭방향(W1)으로 연장되는 평 탄면(도 6에서는 직선으로 도시됨)으로 형성되고, 제 1 전동핀(3)의 대향부(31)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대향부(31)의 곡면을 체인 폭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상기 인벌루트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체인(1)은 체인 진행 방향에 인접하는 링크 유닛 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피치(P)를 소정량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 연결 피치(P)는 체인(1)의 직선영역(L1)(도 1 참조)에 있어서 체인 진행 방향(X1)에 인접한 한쌍의 제 1 전동핀(3, 3) 사이의 배치 간격이다. 구체적으로 연결 피치(P)는 체인(1)의 직선영역의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 내의 제 1 전동핀(3) 및 제 2 전동핀(4)의 상호 접촉점(T1)과, 해당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 내의 제 1 전동핀(3) 및 제 2 전동핀(4)의 상호 접촉점(T1) 사이의, 체인 진행 방향(X1)에 대한 거리에 상당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내부재(12)을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제 2 전동핀(4)이 대응하는 제 1 전동핀(3)에 대하여 롤링 운동을 할 때, 제 2 전동핀(4)은 이 도 7(A)에 도시된 궤적을 따라간다[제 2 전동핀(4)의 해칭(hatching)은 도시되지 않음]. 제 1 안내면(25)은 이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안내부재(13)는 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한쌍의 단부, 예컨대, 제 2 링크 유닛(52)의 링크(2)의 후 관통 구멍(8)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한쌍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안내부재(13)는 중앙에 제 2 삽입구멍(26)이 형성된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삽입구멍(26)의 내주면은 제 2 감합부(27)와 제 2 유감부(28)를 가진다.
제 2 감합부(27)는 제 2 전동핀(4)의 피감합부(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피감합부(20)가 압입에 의해 끼워 맞춰져 있다. 제 2 유감부(28)에는 대응하는 제 1 전동핀(3)이 유삽되어 있고, 이 제 1 전동핀(3)을 서로 접촉하는 제 2 전동핀(4)에 대하여 롤링 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2 유감부(28)에는 제 1 전동핀(3)이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으로의 롤링 접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2 안내면(29)이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안내부재(13)를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 제 1 전동핀(3)이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에 대하여 롤링 운동을 할 때, 제 1 전동핀(3)은 이 도 7(B)에 도시된 궤적을 따라간다[제 1 전동핀(3)의 해칭은 도시되지 않음). 제 2 안내면(29)은 이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이 서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롤링 접촉이동을 확실히 달성하여 이 각 전동핀(3, 4) 사이에 백래시(backlash)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2)로서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롤링 접촉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 및 후 관통 구멍(8)에 안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제조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 체인(1)을 조립할 때에, 링크(2)의 각 관통 구멍(7, 8)에 각 전동핀(3, 4)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이 점에서도, 제조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마다 대응하는 안내부재(12, 13)가 형성되기 때문에, 각 안내부재(12, 13)에는 링크(2)가 받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링크(2)의 연통 홈(11)의 주변 가장자리 부분이 탄성적으로 변형하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이 압입된 각 관통 구멍(7, 8)의 주변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초기 응력 및 동력 전달시의 응력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동력 전달 중의 각 링크(2)의 응력집중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능한 한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통 홈(11)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 링크(2)를 경량화해서 체인(1) 전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의 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조마다 1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는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축방향 일단부, 타단부, 또는 중간부 중 어느 하나에 1개 형성해도 좋고,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에 각각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안내부재(12)와 제 2 안내부재(13)의 배치를 서로 바꿔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 중 어느 한쪽만을 각 전동핀(3, 4)에 형성해도 좋다.
이어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체인(30)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같은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가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것은 하기의 2가지 점이다. 즉,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이 각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 및 후 관통 구멍(8)의 어느 것에도 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점과,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가 서로 협동해서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으로부터의 링크(2)의 빠짐 방지를 달성하고 있는 점이다.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는 서로 롤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조마다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는 각 조의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한쌍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체인 폭방향(W1)에 관해서, 각 링크(2)는 이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에 의해 샌드위칭(sandwiching)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한쌍의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 중 어느 한쪽이 링크(2)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다른쪽이 상기 한쪽의 전동핀의 외측[제 1 전동핀(3)이 대응하는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 1 안내부재(12)가 링크(2)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제 2 안내부재(13)가 제 1 안내부재(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안내부재(13)을 링크(2)에 인접해서 배치해도 좋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폭방향(W1)에 관해서, 각 제 1 안내부재(12)와 이것에 인접하는 링크(2)의 사이에는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전동핀(3)은 체인 진행 방향(X1)에 인접하는 제 1 전동핀(3)에 대하여, 체인 폭방향(W1)으로 이동하는 것(skew)이 가능하다. 즉, 각 링크(2)는 인접하는 링크(2)에 대하여 체인 폭방향(W1)으로 이동 가능해 지고, 링크(2) 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로스(loss)를 충분히 저감해서 전동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링크(2) 사이의 접촉에 기인하는 소음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드라이브 풀리(60)와 드리븐 풀리(70)의 상대위치가 변위되어 미스얼라인먼트가 발생하더라도, 제 1 전동핀(3)이 체인 폭방향(W1)으로 이동(skew)해서 이 미스얼라인먼트를 허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스얼라인먼트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풀리(60)와 드리븐 풀리(70)의 사이에서 수평방향(동력 전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키는 미스얼라인먼트(A1),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풀리(60)와 드리븐 풀리(70)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발생하는 미스얼라인먼트(B1),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풀리(60)와 드리븐 풀리(70)가 비틀려서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미스얼라인먼트(C1), 또는 이 미스얼라인먼트(A1, B1, 및 C1) 중 적어도 2개가 조합된 미스얼라인먼트를 말한다.
즉, 체인(30)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미스얼라인먼트를 허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전동핀(3)이 대응하는 시브면(62a, 63a, 72a, 73a)의 코너에서 접촉되 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자가 이상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이 서로 관련되므로, 양자의 롤링 접촉이동을 확실히 달성해서 각 전동핀(3, 4) 사이에 백래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가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으로부터의 링크(2)의 빠짐 방지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전용의 빠짐 방지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구조를 간소화해서 소형화 및 저가격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링크(2)의 연통 홈(11)의 주변부분이 탄성적으로 변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은 각 링크(2)의 각 관통 구멍(7, 8)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끼워 맞춰져 있으므로, 각 관통 구멍(7, 8)의 주변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초기 응력 및 동력 전달시의 응력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동력 전달 중의 각 링크(2)의 응력집중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능한 한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통 홈(11)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 링크(2)를 경량화하여 체인(1) 전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 안내부재(12, 13)의 배치를 바꿔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전동핀(3)만이 시브면에 접촉해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경우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전동핀(3, 4)의 쌍방이 시브면에 접촉해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재로서 복수 종류의 연결부재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로서 제 1 연결부재(50A)와 제 2 연결부재(50B)의 2종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연결부재(50A)의 제 1 전동핀(3A)과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롤링 및 슬라이딩 접촉점(Ta)의 이동 궤적과, 제 2 연결부재(50B)의 제 1 전동핀(3B)과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롤링 및 슬라이딩 접촉점(Tb)의 이동 궤적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전동핀(3A)의 대향부(31A)의 형상과, 제 1 전동핀(3B)의 대향부(31B)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체인(1)의 직선영역을 체인 폭방향(W)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 1 전동핀(3A)의 대향부(31A)가 이루는 인벌루트 곡선의 기초원(KA)의 반경(RbA)과, 제 1 전동핀(3B)의 대향부(31B)가 이루는 인벌루트 곡선의 기초원(KB)의 반경(RbB)이 서로 다르다. 예컨대, 반경(RbB)이 반경(RbA)보다 크게 되어 있다(RbA < RbB).
그리고, 제 1 연결부재(50A) 및 제 2 연결부재(50B)가 체인(1)의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 1 연결부재(50A) 및 제 2 연결부재(50B)가 체인(1)의 체인 진행 방향(X1)의 전영역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연결부재(50A) 및 제 2 연결부재(50B)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1)의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으 면 좋다.
랜덤한 배열은 주기성 및 규칙성 중 적어도 한쪽이 없는 배열이다. 예컨대, 제 1 연결부재(50A)와 제 2 연결부재(50B)가 체인 진행 방향(X1)에 관해서, 50A, 50B, 50B, 50A, 50B, 50B, 50B, 50A, 50B, 50B, 50B, 50B, 50B, 50A, 50B, 50B, 50B, 50B, 50B, 50B, 50B…의 순으로 배열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동핀(3A) 및 제 1 전동핀(3B)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1)의 체인 진행 방향(X)의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 1 전동핀(3A, 3B)이 각 풀리에 순차적으로 맞물렸을 때의 맞물림음의 발생 주기를 랜덤으로 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맞물림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체인(1)의 구동시의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체인(1)의 직선영역에 있어서, 제 1 연결부재(50A)의 제 1 전동핀(3A)과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접촉점(Ta1)의 위치와, 제 1 연결부재(50B)의 제 1 전동핀(3B)과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접촉점(Tb1)의 위치는 체인 진행 방향(X1)을 따라 배열된 것이 각 제 1 전동핀(3)과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단, 상기 접촉점(Ta1)의 위치와 접촉점(Tb1)의 위치가 체인 진행 방향(X1) 및 체인 폭방향(W1)의 쌍방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Y1)으로 오프셋 되어 있어도 좋다.
체인 직선영역(P1)에 있어서의 제 1 전동핀(3A)과 대응하는 제 2 전동핀(4)의 접촉점(Ta)을 원점으로 하고, 체인 진행 방향(X1)을 x축으로 하고, 상기 직교방향(Y1)을 y축으로 하여, 체인의 곡선영역의 제 1 전동핀(3A)과 대응하는 제 2 전동 핀(4)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전동핀(3A)의 접선방향과 y축이 이루는 각도를 γ라고 하면, 제 1 전동핀(3A)의 대향부(31A)가 이루는 인벌루트 곡선은 기초원의 반경을 RbA로 하여, 예컨대, 하기식(i), (ii)로 표현된다.
x = RbAㆍ(sinγ-γㆍcosγ)…(i)
y = RbAㆍ(cosγ+γㆍsibγ) - RbA…(ii)
제 1 전동핀(3B)의 대향부(31B)가 이루는 인벌루트 곡선의 연산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링크 유닛이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81)과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82)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81)의 링크(2)의 체인 진행 방향(X1) 전후의 제 1 전동핀(3, 3) 사이의 배치 간격(P1)(연결 피치에 상당함)과,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82)의 링크(2)의 체인 진행 방향(X1) 전후의 제 1 전동핀(3)의 배치 간격(P2)(연결 피치에 상당함)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간격(P1)이 배치 간격(P2)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81) 및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82)은 체인(1)의 체인 진행 방향(X1)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81) 및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82)이 체인 진행 방향(X1)의 전영역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81) 및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82) 중 적어도 한쪽이, 체인 진행 방향(X1)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으면 좋다. 랜덤한 배열은 주기성 및 규칙성 중 적어도 한쪽이 없는 배열이다.
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제 1 전동핀(3, 3)이 각 풀리에 순차적으로 맞물렸을 때의 맞물림음의 발생 주기를 랜덤으로 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맞물림음의 주파수를 광범위하게 분포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체인(1)의 구동시의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도 11의 인벌루트에 관한 랜덤 배열과, 도 12의 연결 피치에 관한 랜덤 배열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 전달 장치는 드라이브 풀리(60) 및 드리븐 풀리(70) 쌍방의 홈폭이 변동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한쪽의 홈폭만이 변동하고, 다른쪽이 변동하지 않는 고정 폭으로 한 실시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드라이브 풀리(60) 및 드리븐 풀리(70)의 홈폭이 연속적(무단계)으로 변동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단계적으로 변동하거나, 고정식(무변속) 등의 다른 동력 전달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전동핀(3)의 동력 전달면(9, 10)(단면)이 대응하는 시브면(62a, 63a, 72a, 73a)에 접촉해서 동력 전달하는 예를 개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전동핀(3, 4) 양자가 시브면에 접촉해서 동력 전달해도 좋다. 또한, 핀이나 링크 등의 체인 구성부재에 동력 전달면이 형성되는 동력 전달 블록 등, 다른 동력 전달부재를 구비하는 타입의 체인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링크(2)의 긴 구멍(14)의 한쌍의 중간부(21)를 서로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볼록하게 만곡시킨 형상으로 해서 전 관통 구 멍(7) 및 후 관통 구멍(8)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통 홈(11)을 생략하고, 링크(2)의 전 관통 구멍(7)과 후 관통 구멍(8)을 기둥부를 통해 서로 간막이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조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2004년 3월 5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제2004-62919호에 대응하고, 이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여기에서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6)

  1.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 유닛과,
    상기 복수의 링크 유닛을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와,
    각 연결부재에 각각 대응해서 형성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각 링크 유닛은 체인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체인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링크를 각각 포함하고,
    각 링크는 체인 진행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재를 관통시키는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각 연결부재는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그 결과, 상기 한쪽의 동력 전달부재가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에 롤링 접촉 및 슬라이딩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로 접촉하면서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링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링크의 제 1 관통 구멍에는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가 상대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가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고,
    각 링크의 제 2 관통 구멍에는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가 상대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가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로서, 각 연결부재에 각각 대응해서 하나 이상의 안내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부재는 체인 폭방향에 관해서 연결부재의 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멍에 상기 한쪽의 동력 전달부재가 유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에 상기 다른쪽의 동력 전달부재가 압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한쪽의 동력 전달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9. 제 1 항에 있어서,
    각 링크의 제 1 관통 구멍에는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 및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가 각각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고,
    각 링크의 제 2 관통 구멍에는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 및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가 각각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로서, 대응하는 연결부재의 한쌍의 단부 각각에 제 1 및 제 2 안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부재는 서로 공동으로 대응하는 연결부재와 대응하는 링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를 고정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를 유삽하는 제 1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삽입구멍은 상기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를 안내하여 상기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를 상기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에 롤링 접촉 및 슬라이딩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로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를 고정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를 유삽하는 제 2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삽입구멍은 상기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료를 안내하고, 상기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를 상기 대응하는 제 2 동력 전달부재에 롤링 접촉 및 슬라이딩 접촉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접촉 상태로 접촉시키기 위한 제 2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재의 상기 제 1 삽입구멍에 상기 대응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가 압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연결부재의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의 상호 접촉점의 이동 궤적은 인벌루트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의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의 상호 접촉점의 이동 궤적과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재의 상호 접촉점의 이동 궤적은 서로 다르고,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해당 동력 전달 체인의 체인 진행 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 유닛은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과,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의 링크의 제 1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 및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의 배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의 링크의 제 1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 및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동력 전달부재의 배치 간격이 상대적 으로 짧고,
    상기 제 1 사양의 링크 유닛 및 제 2 사양의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한쪽은 해당 동력 전달 체인의 체인 진행 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체인.
  16.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원추면 형상의 시브면을 각각 가지는 제 1 및 제 2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의 사이에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력 전달 체인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KR1020067018116A 2004-03-05 2005-03-07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KR20070020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2919 2004-03-05
JPJP-P-2004-00062919 2004-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211A true KR20070020211A (ko) 2007-02-20

Family

ID=3491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116A KR20070020211A (ko) 2004-03-05 2005-03-07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91166A1 (ko)
EP (1) EP1722127A4 (ko)
JP (1) JPWO2005085673A1 (ko)
KR (1) KR20070020211A (ko)
CN (1) CN100482969C (ko)
WO (1) WO2005085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3423B2 (ja) * 2005-10-14 2011-10-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4826899B2 (ja) * 2006-03-30 2011-11-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4923799B2 (ja) * 2006-07-13 2012-04-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160096B2 (ja) * 2007-01-31 2013-03-1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5851799B2 (ja) 2011-10-31 2016-02-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無段変速機のチェーン
JP5951418B2 (ja) * 2012-09-06 2016-07-1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無段変速機のチェーン
JP6298736B2 (ja) * 2014-08-08 2018-03-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無段変速機及び無段変速機を設計する方法
WO2021164805A1 (de) * 2020-02-19 2021-08-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iegedruckstück für ein wiegedruckstückpaar einer laschenkette
DE102020129931B4 (de) * 2020-11-12 2022-12-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nkette und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02795B (ko) * 1964-11-25 1970-11-12
NL8700144A (nl) * 1987-01-21 1988-08-16 Volvo Car Bv Borgplaat- en pensamenstel voor de drijfketting van een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DE8715815U1 (de) * 1987-11-30 1988-01-21 Schopf, Walter, Dipl.-Ing., 61440 Oberursel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JPH01108444U (ko) 1988-01-16 1989-07-21
US5052985A (en) * 1988-06-27 1991-10-01 Mitsubishi Belting Ltd. Chain-type power transmission belt
NL1000294C2 (nl) * 1995-05-03 1996-11-05 Gear Chain Ind Bv Transmissieketting voor een kegeldrijfwerk.
JP3091454B1 (ja) * 1999-06-23 2000-09-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DE10036258B4 (de) * 1999-09-09 2013-02-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nkette
DE10139123A1 (de) * 2000-09-06 2002-03-14 Luk Lamellen & Kupplungsbau Laschenkette
JP4780368B2 (ja) * 2001-02-08 2011-09-28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2127A4 (en) 2009-11-04
WO2005085673A1 (ja) 2005-09-15
JPWO2005085673A1 (ja) 2008-01-24
EP1722127A1 (en) 2006-11-15
CN100482969C (zh) 2009-04-29
CN1930406A (zh) 2007-03-14
US20070191166A1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0211A (ko)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US20070042849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EP1944525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EP1840408B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same
US20090118042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2007139157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KR20070012394A (ko)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US8894524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hain
WO2007043618A1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WO2005068874A1 (ja) 伝動用無端ベルト
JP4423560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2006226451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5125648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7271034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2008144825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7010050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2006138452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4839716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6145010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4507077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JP4737511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EP1300606A2 (en) Improved fixed ratio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09222106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8215448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9079724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