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973A - 유성 세정료 - Google Patents

유성 세정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973A
KR20070019973A KR1020067014897A KR20067014897A KR20070019973A KR 20070019973 A KR20070019973 A KR 20070019973A KR 1020067014897 A KR1020067014897 A KR 1020067014897A KR 20067014897 A KR20067014897 A KR 20067014897A KR 20070019973 A KR20070019973 A KR 2007001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oil
hlb
polyoxypropyle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503B1 (ko
Inventor
히로키 이노우에
아키라 마츠오
케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7001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79Mono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액상 유분 5O∼95 질량%, (b) 알킬쇄의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c)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 (d) 분자 내에 부가 몰수가 5∼35인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유성 세정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성 세정료{OIL-BASED DETERGENT PREPARATION}
본 발명은 유성 세정료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수분의 혼입에 대해서도 백탁(白濁), 증점되지 않고, 또한, 눈 등의 점막에 대한 자극이 없는 우수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와 사용감을 갖는 유성 세정료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용 클렌징 조성물은 수성 클렌징 및 유성 클렌징으로 대별할 수 있고, 수성 클렌징으로서는 계면활성제 에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로션 타입, 계면활성제를 고분자에 의해 증점한 수성 젤 타입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유성 클렌징으로서는 O/W 유화물이 마사지에 의해 전상(轉相)되어 세정 기능을 발휘하는 크림 타입, 계면활성제 유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오일 타입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오일 타입은 세정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메이크업의 지향성이 파운데이션, 입술 연지 등의 2차 부착을 방지한 타입, 마스카라 등의 고분자량화 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오일 타입의 시장에 있어서의 가치는 매우 높아지고 있다.
오일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분 및 소량의 물로 이루어지며, 계면활성제가 오일 중에서 친수기를 내측으로 하여 회합체를 형성한 역 미셀 유용액을 형성하고 있다. 물은 이 친수기가 모인 부근에 가용화되어 1상을 형성 하고 있으며, 완전히 투명한 상태로 되어 있다.
오일 타입은 그 마이크로 구조로부터, 물을 투명하게 완전히 받아들이는 능력, 소위 가용화량에는 한계가 있다. 가용화량을 넘어 물이 혼입된 경우에는, 다른 상과의 공존 상태(2상 상태)가 되기 때문에, 2개의 상의 굴절률차에 의해 전체적으로 하얗게 불투명하게 된 상태가 된다. 공존하는 상의 종류에 의해서는 세정제로서 요구되는 세정 성능을 발휘할 수 없거나, 사용자에게 클렌징 성능의 저하를 강하게 인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가용화량을 넘어 물이 혼입된 경우에는 조성물이 증점하여 원활하게 도포되지 않고, 메이크업과도 잘 융합되지 않으며, 양호한 마사지성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유성 클렌징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젖은 손으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목욕탕에서의 머리를 감은 후 젖은 안면에 이용할 수 없으며, 사용상의 제약이 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529호 공보에는 HLB 10 이상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와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병용함으로써, 피부가 젖어 있어도 메이크업과 잘 융합되는 클렌징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외관의 백탁을 방지할 수 없고, 또한 조성물이 증점되기 때문에 메이크업과 잘 융합되지 않으며, 마사지성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652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0809호 공보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의 조합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글리세릴에테르 유도체의 조합에 의해 물에 젖은 손으로도 세정력이 높은 클렌징료가 기재되어 있지만, 마사지성이나 외관의 백탁 방지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눈 등의 점막에 대하여 자극이 있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정에 대처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사용시에 물이 혼입되어도 백탁되거나 점도가 증가하여 펴짐이 무거워지거나, 융합이 나빠지거나 하여 마사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양호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를 가지며, 또한 눈 등의 점막에 대한 자극이 없는 액상의 유성 세정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액상 유분 50∼95 질량%,
(b) 알킬쇄의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c)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
(d) 분자 내에 부가 몰수가 5∼35인 폴리옥시프로필렌(POP)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성 세정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 (d)의 분자 내에 폴리옥시프로필렌(POP)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POP 소르비트, POP 디글리세린, POP 글리세린, POP 부틸에테르 또는 POP·POE(폴리옥시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OP 소르비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료 전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 (b)의 알킬쇄의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5∼40 질량%이고, 상기 성분 (c)의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의 배합량이 1∼10 질량%이며, 상기 성분 (d)의 분자 내에 부가 몰수가 3∼35인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의 배합량이 1∼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c)의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은 분지쇄형 고급 지방산 또는 고급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의해 물이 혼입된 경우에도 높은 세정 성능을 유지하고, 외관상의 백탁이나 증점이 없으며, 마사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며 눈에 대한 자극이 적은 유성 세정료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액상 유분과, 특정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과, 분자 내에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을 조합한 유성 세정료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사용하는 단수형(a, an, the)은 전후의 문맥으로부터 보아 그렇지 않는 것이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 복수의 대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자 한다.
(a) 액상 유분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액상 유분으로서는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액상 유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등의 탄화수소유 ; 2-에틸헥산산트리글리세라이드,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팔미틴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디네오펜탄산트리프로필렌폴리글리콜 등의 에스테르유 ; 호호바유, 올리브유, 마카대미어넛유, 면실유, 차실유, 사플라워유, 쌀겨유 등의 천연계 식물유 ;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옥타메틸테트라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등이 예시되고, 이들은 단독 또는 임의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액상 유분으로서는, 유동 파라핀, 2-에틸헥산산세틸, 데카메틸펜타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액상 유분의 배합량은 유성 세정료 전체에 대하여 50∼95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60∼80 질량%이다. 액상 유분의 배합량이 50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세정효과를 얻기 어렵고, 95 질량%를 넘으면 수세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b) 알킬쇄의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알킬쇄인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POE(10)올레일에테르(HLB=10), POE(10)헥사데실에테르(HLB=10), POE(4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17), POE(2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14), POE(8)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9), POE(4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HLB=11), POE(30)글리세릴트리올레이트(HLB=10), POE(10)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HLB=12), POE(30)경화피마자유(HLB=11), POE(50)경화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HLB=12), POE(60)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HLB=10), 모노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HLB=9) 등이 예시되고, 특히 POE(8)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기인 탄소수가 13 이하인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경우는 눈 등인 점막에 대한 자극이 강하고, 특히 얼굴 등에 적용하는 클렌징 오일에 있어서는 이들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HLB는 9∼16이며, 바람직하게는 9∼14이다. HLB가 9 미만에서는 물인 혼입시에 백탁되고, 16을 넘으면 균일한 조성물을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배합량은 유성 세정료 전체에 대하여, 5∼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40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배합량이 적으면, 물인 혼입시에 백탁될 우려가 있으며, 많으면 물인 혼입시에 점도가 증가하여, 펴짐이 무거워질 우려가 있다.
(c)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고급 지방산은 화장품 기제 등에 통상 이용되는 모든 고급 지방산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아라킨산, 베헨산 등인 포화 지방산 ; 2-팔미트레인산, 페트로셀린산, 올레인산, 엘라이드산, 리시놀산, 리놀산, 리노엘라이드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등인 불포화 지방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인 분지쇄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급 알코올로서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등인 포화 고급 알코올 ; 올레일 알코올 등인 불포화 고급 알코올, 옥틸 도테카놀, 헥실 데카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인 분지쇄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 (c)가 분지쇄형인 고급 지방산 또는 고급 알코올인 것이 계인 안정성인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소스테아린산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인 고급 지방산 또는 고급 알코올인 배합량은 1∼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배합량이 적은 경우에는 균일한 조성물을 얻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많은 경우에는 수세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d) 분자 내에 부가 몰수가 5∼35인 폴리옥시프로필렌(POP)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에서 성분 (d)로서 이용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쇄형 폴리알킬렌글리콜류, 다쇄형 폴리알킬렌글리콜류, 2쇄형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다쇄형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2쇄형 폴리옥시알킬렌에스테르류, 다쇄형 폴리옥시알킬렌에스테르류 등인 폴리옥시알킬렌기에 POP기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프로필렌인 부가 몰수가 2 이하 또는 40 이상인 경우는 계인 안정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성분 (d)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POP(20∼35)소르비트, POP(5∼10)디글리세린, POP(6∼20)글리세린, POP(5∼35)부틸에테르 또는 POP(5∼35)·POE(5∼30)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특히 POP 소르비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POP·POE 랜덤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내는 것이다.
R1O-[(PO)m(EO)n]-R2 …(I)
상기 식 중,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m 및 n은 각각 탄소수 3∼4의 옥시프로필렌기,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1≤m≤70, 1≤n≤70이며, 옥시프로필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O∼80 질량%이다. 옥시프로필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형으로 부가하고 있다.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혹은 다르더라도 좋은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원자이며, R1 및 R2의 탄화수소기수에 대한 수소 원자수의 비율은 0.15 이하이다.
POP·POE 랜덤 공중합체의 제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302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성분 (d)의 POP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1∼1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이다. 이 배합량이 1 질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사용시에 물이 혼입되었을 때 백탁되거나, 점도가 증가하여 펴짐이 무거워지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며, 1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계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세정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인 상기 성분 (a)∼(d) 외에, 화장료나 의약품의 분야에서 통상 배합되고 있는 각종 첨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비타민 B군,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트라넥삼산,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티온산 등의 비타민류 등의 수용성 활성 물질, 구아검, 크산탄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젖산 등의 완충제, EDTA 등의 킬레이트제, 방부제 등 외에 자외선 흡수제, 각종 분말, 각종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세정료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상 제제, 겔형 제제, 에어졸 제제, 시트함침 제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하기 쉽고 메이크와의 융합이 좋기 때문에 액상 제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세정료는 예컨대 화장품 분야나, 의약부외품 분야 및 의약품분야에서 피부 세정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메이크업의 세정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6
이하의 표 I∼표 Ⅲ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유성 세정료(클렌징 오일)를 통상법에 의해 조제하고, 조성물의 안정성, 물 혼입시의 투명성, 물 혼입시의 피부에 대한 퍼짐성, 눈에 대한 자극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각각의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이다.
표 중,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는 옥시프로필렌기와 옥시에틸렌기가 랜덤형으로 부가된 것이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30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행한 평가법은 이하와 같다.
(1)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테스트 샘플을 50 ㎖의 스크류 캡이 부착된 투명 유리병에 넣어 0℃, 25℃ 및 50℃의 각 온도에 방치하고, 1 개월 간 외관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G : 각 온도 모두 외관 상태에 변화가 없었다.
F : 0℃에서 미량의 침전의 생성이 보이지만, 25℃로 복귀하여 정치함으로써 침전은 소실되고, 균일하며 정상적인 외관으로 되돌아간다.
P : 0℃, 25℃ 및 50℃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 있어서 침전의 생성 또는 이층 분리 상태가 된다.
(2) 물 혼입시의 투명성 평가
전문 평가 패널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 2 g을, 물 1.5 g으로 적신 손으 로 사용하였을 때의 샘플의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E : 투명하다.
G : 반투명하다.
F : 일부가 백탁된다.
P : 백탁된다.
(3) 물 혼입시의 피부에의 퍼짐성 평가
전문 평가 패널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 2 g을 물 1.5 g으로 적신 손으로 얼굴에 도포하였을 때의, 피부에 대한 발림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E : 퍼짐성이 가볍고 메이크와 잘 융합된다.
G : 약간 퍼짐성이 가볍게 느껴진다.
F : 퍼짐성이 무겁고 메이크와 잘 융합되지 않는다.
(4) 눈에의 자극 평가
아이 메이크를 하고 있는 전문 패널 10명에게 시험 목적을 통지하지 않고 사용하게 하여, 사용 후에 눈에 대한 자극의 유무를 물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G : 1O명 중 1명 이하가 눈에 대한 자극이 있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F : 1O명 중 2 내지 3명이 눈에 대한 자극이 있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P : 10명 중 4명 이상이 눈에 대한 자극이 있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유동 파라핀 40 40 40 40 40 40 40
옥탄산세틸 20 20 20 20 20 20 20
POE(8)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9) 30 30 30 - - - -
POE(1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12) - - - 30 - - -
POE(2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14) - - - - 30 - -
POE(20)경화 피마자유(HLB=11) - - - - - 30 -
POE(8)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HLB=5) - - - - - - 30
이소스테아린산 5 - 5 5 5 5 5
이소스테아릴알코올 - 5 - - - -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레이트(7EO)(12PO) 5 5 - - - - -
폴리옥시프로필렌(25)소르비트 - - 5 5 5 5 5
조성물의 안정성 G G G G G G G
물혼입시 투명성 G G E E E E P
물혼입시 피부에 대한 퍼짐성 G G E E E E G
눈에 대한 자극 G G G G G G G
실시예 1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유동 파라핀 40 40 40 40 40
옥탄산세틸 20 20 20 20 20
POE(8)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9) 30 30 30 30 30
POE(10)라우레이트(HLB=12.5) - - - - -
이소스테아린산 5 5 5 5 5
이소스테아릴알코올 - - - -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7EO)(12PO) 5 - - - -
폴리옥시프로필렌(25)소르비트 - 5 - - -
폴리옥시프로필렌(20)부틸에테르 - - 5 - -
폴리옥시프로필렌(9)디글리세릴에테르 - - - 5 -
폴리옥시프로필렐렌(16)글리콜 - - - - 5
폴리옥시프로필렌(40)부틸에테르 - - - - -
폴리옥시에틸렌(10)소르비트 - - - - -
폴리옥시에틸렌(11)메틸글리콜사이드 - - - -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25EO)(40PO) - - - - -
조성물의 안정성 G G G G G
물혼입시 투명성 G E G G G
물혼입시 피부에 대한 퍼짐성 G E E E E
눈에 대한 자극 G G G G G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유동 파라핀 40 40 40 40 45
옥탄산세틸 20 20 20 20 20
POE(8)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HLB=9) 30 30 30 30 -
POE(10)라우레이트(HLB=12.5) - - - - 30
이소스테아린산 5 5 5 5 5
이소스테아릴알코올 - - - -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7EO)(12PO) - - - - -
폴리옥시프로필렌(25)소르비트 - - - - -
폴리옥시프로필렌(20)부틸에테르 - - - - -
폴리옥시프로필렌(9)디글리세릴에테르 - - - - -
폴리옥시프로필렐렌(16)글리콜 - - - - -
폴리옥시프로필렌(40)부틸에테르 5 - - - -
폴리옥시에틸렌(10)소르비트 - 5 - - -
폴리옥시에틸렌(11)메틸글리콜사이드 - - 5 -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25EO)(40PO) - - - 5 -
조성물의 안정성 P G G P G
물혼입시 투명성 F F F G F
물혼입시 피부에 대한 퍼짐성 F F F G F
눈에 대한 자극 G G G G P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유성 세정료의 처방예를 든다.
실시예 11
성분 질량%
유동 파라핀 34.4
팔미틴산2-에틸헥실 20
모노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35
(HLB=9)
이소스테아릴알코올 5
POP(7)디글리세린 5
초산토코페롤 O.1
물 0.5
실시예 12
성분 질량%
유동파라핀 32.6
올레핀 올리고머 5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POE(10)올레일에테르 30
(HLB=10)
이소스테아린산 1
POP(15)글리세린 5
초산토코페롤 0.1
물 0.3
알코올 1
실시예 13
성분 질량%
유동파라핀 39.4%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20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5
POE(8)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20
(HLB=9)
이소스테아린산 10
폴리옥시에틸렌(25)·폴리
옥시프로필렌(40)디메틸에테르 5
초산토코페롤 0.1
물 0.5
실시예 14
성분 질량%
올레핀 올리고머 37.6
홍화유 5
디네오펜탄산트리프로필렌폴리글리콜 20
POE(30)경화피마자유(HLB=11) 30
2-옥틸도테카놀 5
폴리옥시프로필렌(20)부틸에테르 1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0.1
물 0.3
알코올 1
실시예 15
성분 질량%
유동파라핀 39.5
옥탄산세틸 20
시클로메티콘 5
마카대미어넛유 0.1
POE(2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8
(HLB=14)
POE(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0
(HLB=7)
이소스테아린산 1
폴리옥시프리프로필렌(25)소르비트 5
초산토코페롤 0.1
물 0.3
알코올 1

Claims (5)

  1. (a) 액상 유분 50∼95 질량%,
    (b) 알킬쇄의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c)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
    (d) 분자 내에 부가 몰수가 5∼35인 폴리옥시프로필렌(POP)기를 갖는 화합물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성 세정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d)의 분자 내에 폴리옥시프로필렌(POP)기를 갖는 화합물이 POP 소르비트, POP 디글리세린, POP 글리세린, POP 부틸에테르 또는 POP·POE(폴리옥시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성 세정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d)의 분자 내에 폴리옥시프로필렌(POP)기를 갖는 화합물이 POP 소르비트인 유성 세정료.
  4. 제1항에 있어서, 세정료 전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 (b)의 알킬쇄의 탄소수가 14 이상이고 HLB가 9∼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5∼40 질량%이고, 상기 성분 (c)의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의 배합량이 1∼10 질량%이며, 상기 성분 (d)의 분자 내에 부가 몰수가 3∼35인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의 배합량이 1∼10 질량%인 유성 세정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의 고급 지방산 및/또는 고급 알코올이 분지쇄형 고급 지방산 또는 고급 알코올인 유성 세정료.
KR20067014897A 2004-03-22 2005-03-18 유성 세정료 KR100997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2568A JP4429053B2 (ja) 2004-03-22 2004-03-22 油性洗浄料
JPJP-P-2004-00082568 2004-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973A true KR20070019973A (ko) 2007-02-16
KR100997503B1 KR100997503B1 (ko) 2010-12-01

Family

ID=3499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4897A KR100997503B1 (ko) 2004-03-22 2005-03-18 유성 세정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29053B2 (ko)
KR (1) KR100997503B1 (ko)
CN (1) CN100475940C (ko)
TW (1) TWI353255B (ko)
WO (1) WO2005090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4662B2 (ja) * 2006-03-20 2011-11-16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および洗浄剤
JP5236336B2 (ja) * 2008-04-04 2013-07-17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オイル状クレンジング料
JP5995453B2 (ja) * 2012-01-31 2016-09-21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239822B2 (ja) * 2012-12-27 2017-11-2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逆ベシクル組成物
JP6540101B2 (ja) * 2014-04-17 2019-07-10 日油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料
JP2016034914A (ja) * 2014-08-01 2016-03-17 花王株式会社 清拭シート
JP6439923B2 (ja) * 2014-10-31 2018-12-1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被膜除去用組成物
JP6639176B2 (ja) * 2015-10-02 2020-02-05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JP6887841B2 (ja) * 2016-03-29 2021-06-16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JP2016199600A (ja) * 2016-09-07 2016-12-0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805947B2 (ja) * 2017-04-20 2020-12-23 日油株式会社 固形石けん組成物
JP7222897B2 (ja) * 2017-09-13 2023-02-15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洗浄料
JP6954009B2 (ja) * 2017-11-02 2021-10-27 日油株式会社 油性化粧料
WO2019240067A1 (ja) * 2018-06-12 2019-12-19 花王株式会社 可溶化皮膚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29A (ja) * 1994-07-22 1996-01-30 Pilot Ink Co Ltd 化粧料除去剤組成物
JPH09255520A (ja) * 1996-03-22 1997-09-30 Pola Chem Ind Inc 非水化粧料
JP3545574B2 (ja) * 1997-07-17 2004-07-21 株式会社資生堂 液状油性皮膚洗浄料
JP2003221310A (ja) * 2001-11-21 2003-08-05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4234A (zh) 2007-03-21
CN100475940C (zh) 2009-04-08
KR100997503B1 (ko) 2010-12-01
JP2005264110A (ja) 2005-09-29
TWI353255B (en) 2011-12-01
JP4429053B2 (ja) 2010-03-10
TW200534871A (en) 2005-11-01
WO2005090535A1 (ja)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503B1 (ko) 유성 세정료
JPH0616524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918331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14118400A (ja) 無水化粧料組成物
KR101918330B1 (ko) 화장료 조성물
JP2895607B2 (ja) 透明皮膚化粧料
KR100291740B1 (ko) 피부세정료
CA2264117C (en) Cold cream cosmetic composition
JP3964760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140038545A (ko)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189836B2 (ja) 油分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3055128A (ja) 透明化粧料組成物
JPH0747530B2 (ja) 頭髪化粧料
JP6880978B2 (ja) 油性クレンジング料
JPH10236922A (ja) クレンジング剤組成物
JP3602237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1812335B1 (ko) 유화 조성물
JP2020200259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190068590A (ko) 비점착성 안정 조성물
JP4403766B2 (ja) クレンジング料
WO2019044529A1 (en) AQUEOUS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ETHER OIL
CN111088118B (zh) 清洁组合物
JPH01102012A (ja) 化粧料
JP2003261416A (ja) 透明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