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888A - 상하부 금형을 이용하는 금형 주조 장치 및 하부 금형에관하여 상부 금형을 이동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상하부 금형을 이용하는 금형 주조 장치 및 하부 금형에관하여 상부 금형을 이동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888A
KR20070006888A KR1020067023006A KR20067023006A KR20070006888A KR 20070006888 A KR20070006888 A KR 20070006888A KR 1020067023006 A KR1020067023006 A KR 1020067023006A KR 20067023006 A KR20067023006 A KR 20067023006A KR 20070006888 A KR20070006888 A KR 2007000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rame
die plate
upper die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221B1 (ko
Inventor
타카히로 타무라
후미카즈 시오세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3/00Tools; Devices not mentioned before f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2Mechanisms for locking or open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6Mechanisms or devices for locking or open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상하부 금형을 사용하는 금형 주조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고정된 하부 금형에 대하여 상부 금형을 접근 이반(離反)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상부 금형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상부 다이플레이트(9)와, 프레임(5; 25)과, 프레임에 담지(擔持)된 금형 개폐장치(6)로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담지하여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관하여 상하 이동시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비교적 가까운 상기 하부 금형의 상방 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의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금형 개폐 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방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3; 23, 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금형 이동장치.

Description

상하부 금형을 이용하는 금형 주조 장치 및 하부 금형에 관하여 상부 금형을 이동시키는 장치{METAL MOLD CASTING DEVICE USING COPE AND DRAG, AND DEVICE FOR MOVING COPE RELATIVE TO DRAG}
본 발명은,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수평 분할 금형을 이용하는 금형 주조 장치에 있어서 하부 금형에 관하여 상부 금형을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소 63-273561호(JP63-273561A)는 그러한 하부 금형(metal drag)에 관하여 상부 금형(metal cope)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구비하는 금형 주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상부 금형 이동장치에 있어서는, 상부 금형을 부착한 상부 다이베이스를 그 상방에 배치한 하향 실린더에 의해 승강시킴으로써 상부 금형을 승강시켜 금형을 개폐하고 있다. 이 상부 금형 이동장치에서는, 상부 다이베이스의 승강거리가 길고, 상부 다이베이스를 가이드하는 4개의 지지기둥의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기계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서, 프레임 지지기둥은 그것에 큰 부하가 걸리면 휘기 쉽고, 게다가 주탕(注湯) 후의 상하부 금형을 분리할 때 지지기둥에 큰 힘이 가해져, 그 결과, 주탕 후의 상부 금형의 개방시에 지지기둥이 휘어지며, 상부 금형이 수평방향으로 어긋나서 상부 금형과 함께 상승하는 주물제품이 하부 금형에 간섭하여 손상되고, 또한 하부 금형에 도포한 도형(塗型, coating)이 박리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들의 문제는, 상하부 금형이 다수개의 제품 캐비티(cavity) 또는 복잡한 제품 캐비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덧붙여, 상부 다이베이스의 승강 공정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상부 다이베이스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및 유압 유닛은 대용량을 가지는 대형이며 고가의 것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금형에 대한 코어 세트(core setting)·제품 취출(取出)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높이의 억제 및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상부 금형이 수평방향으로 어긋남에 따르는 제품의 점착, 도형의 박리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는 금형의 발형 기울기(draft angle)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장치 및 그와 같은 이동 장치를 이용한 금형 주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부 금형을 사용하는 금형 주조 장치에 이용하기 위한, 고정된 하부 금형에 대하여 상부 금형을 접근 이반시키는 장치는, 상기 상부 금형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상부 다이플레이트(upper die plate)와, 프레임과, 프레임에 담지(擔持)된 금형 개폐수단으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담지하여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관하여 상하 이동시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비교적 가까운 상기 하부 금형의 상방 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의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금형 개폐 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방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형 분리(離型)시에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또는 최소의 거리 만큼(상기 하부 금형의 상방 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의 위치와의 사이), 즉 작은 스트로크(stroke)로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으로부터 이동시키므로, 장치의 강성(剛性)이 높아지고, 상부 금형이 수평방향으로 크게 어긋나지 않으며, 형 개폐의 정밀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제품의 점착, 도형(塗型)의 박리를 저감할 수 있고, 또는 금형의 발형 기울기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본 발명의 상부 금형 이동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기계높이가 낮고(low-profile device), 강성이 높은 컴팩트한 금형 주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방위치와, 하부 금형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또는 큰 스트로크로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로 이간(離間)되므로, 상하부 형 사이에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에 이러한 이점이 더해지면, 수(手)작업에 의한 금형 청소, 도형의 체크, 코어세트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용탕(溶湯) 유지기에 저압을 작용시켜 스토크를 통하여 용탕을 금형내에 공급하는 저압 금형 주조 및 금형 내에 중력식(重力式)으로 용탕을 공급하는 중력 금형 주조(gravity die casting)에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부 금형에 대한 상부 금형의 이동을 작은 이동(작은 스트로크)과, 큰 이동(또는 큰 스트로크)으로서 2 단계, 즉 2 스텝으로 행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작은 이동을 저속으로, 큰 이동을 고속으로 행할 수도 있다.
발명의 1 국면에 있어서는, 상부 금형이 부착된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담지하는 프레임을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이동하여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의 횡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하부 금형의 상방 스페이스가 비고(open), 크레인 등을 이용함으로써 상부 금형뿐만 아니라 하부 금형도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릴 수 있어, 금형 교환이 용이하게 되어, 그것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금형 주조 장치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형 주조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의 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금형 주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금형 주조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금형 주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복수)를 설명한다. 이들의 형태에 있어서 원칙으로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 금형 이동장치의 금형 개폐장치를 작동시키는(즉,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하여 조금 이동시키는)데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이동 프레임을 일시 고정하는 클램프 수단(clamping means, 미도시)을 설치한다. 프레임을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즉,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하여 크게 이동시키는) 위한 액추에이터는, 유압(油壓) 실린더, 전동식 실린더(예컨대, 전동 서보 구동 실린더)가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전동 실린더라면, 속도 제어가 용이하며, 유압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금형 주조 장치 전체가 더욱 컴팩트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상부 금형 이동 장치 및 금형 주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금형 주조 장치는 저압 주조 장치(low pressure die casting device)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압 주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일단(一端)에 부착되고, 상형(上型) 회전 실린더(3) 의 신축(伸縮)에 의해 회전축(4)에 관하여 회전하는 상형 회전프레임(5)과, 금형의 개폐를 행하는(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하여 작게 이동시키는) 금형 개폐장치(6)로 구성된다. 저압 주조 장치는 또한, 베이스 프레임(1)의 내측에 설치된 유지 로(holding furnace, 2)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 개폐 장치(6)는 상형 회전프레임(5)에 고정된 상향 액추에이터(실린더)(14)와, 브릿지부재(13)를 통하여 상기 상향 액추에이터(14)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상형 회전프레임(5)의 수평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딩하는 2 또는 4개의 지지로드(12, 12)를 포함한다. 이들의 지지로드(12, 12)는 그 하단에 상부 다이베이스(9)를 지지한다. 이 상부 다이베이스(9)는 그것에 상부 금형(8)을 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부 금형은 스토크(7)를 통하여 유지 로(2)에 연통한다. 상부 금형(8)을 상부 다이베이스(9)에 고정하고, 하부 금형(10)을 베이스 프레임(1) 위에 배치된 하부 다이베이스(11) 상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형 회전프레임(cope-rotating frame, 5)의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는 상부 금형(8)으로부터 주물을 밀어내는 압출(押出)기구(15)가 장착되어 있으며, 주물 압출기구(15)는, 상부 금형(8)에 관통하여 장착(貫裝)된 복수의 압출핀(16, 16) 및 지지판(17)을 하부 금형(10)을 통하여 밀어 올리는 4개의 리턴핀(return pins)(18, 18)과, 상형 회전프레임(5)의 수평부의 하면에 돌출설치되어 상부 금형(8)의 상승에 의해 지지판(17)을 밀어 내리는 복수의 압출바(이젝트핀, eject pins)(19, 19)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a) 의 상태, 즉 상형 회전프레임(5)이 액추에이터(3)에 의해 회전 이동되어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이 경우, 하부 금형의 상방 외측)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형 청소, 도형의 체크, 코어세트 등을 행한다.
코어 세트 종료후, 상형 회전실린더(3)의 신장에 의해, 회전축(4)에 관하여 상형 회전프레임(5)을 90도 우회전시킨다. (b)의 상태, 즉,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에 비교적 가까운 하부 금형의 상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후, 액추에이터(14)의 수축에 의해, 상부 다이플레이트 및 상부 금형을 하강시키고, 상부 금형(8)과 하부 금형(10)을 밀착시켜,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 클램핑이 행해진다. 이어서,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 내부를 저압 가압하여 주탕을 행한다.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탕된 용융 금속의 응고 완료후, 금형 개폐 장치(6)를 작동시켜 상부 금형(8)을 어느 일정한 높이(발형(拔型)에 적합한 높이)까지 상승시켜 하부 금형(10)으로부터 형을 빼내고(拔型) (f)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제품은 하형으로부터 형이 분리되어 상부 금형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이 (f)의 상태로부터 상형 회전실린더(3)를 수축시켜, 상형 회전프레임(5)을 90도 좌회전시키면, (g)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회전 종료 후, 금형 개폐 장치(6)의 액추에이터(14)를 신장(伸長)시키면,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17)이 압출바(19, 19)에 부딪혀, 제품은 압출핀(16, 16)에 의해 상부 금형으로부터 압출된다.
압출된 제품은 손으로 꺼내거나 또는 전용 취출 장치에 의해, 다른 장소로 반송되고, 1 사이클이 종료한다(즉, (a)의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취출의 레이아웃에 따라서는 상형 회전프레임(5)을 90도 내지 180도 회전시켜 제품을 상방으로 발형, 취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금형 주조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 도 6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압 주조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금형 주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된 유지 로(2)와, 상기 기대(機台, 1)의 상면의 네모퉁이에 세워 설치된 4개의 지지기둥(20, 20)과, 4개의 지지기둥(20, 20)의 상단 사이에 걸쳐 설치된 하부 다이베이스(11)와, 상기 4개의 지지기둥(20, 20)중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기둥(20, 20)의 각각에 장착된 2개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상향 유압 실린더(23, 23)와, 이들 유압 실린더(23 23)의 피스톤로드의 상단 사이에 걸쳐 설치된 수평의 승강 프레임(25)과, 상기 지지기둥(20, 20)의 나머지 2개의 지지기둥(20, 20)의 각각에 홀더(24)를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결합되고 또 상기 승강 프레임(25)의 하면에 늘어뜨린 2개의 가이드로드(27, 27)와, 상기 승강 프레임(25)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상부 금형(8)이 부착되며 또한 하부 금형(10)에 대하여 상부 금형(8)을 접촉·분리시키는 금형 개폐 장치(6)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부 금형의 주조 캐비티는 스토크(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토크(11))를 통하여 유지 로(2)에 연통된다. 그리고, 하부 금형(10)을 하부 다이베 이스(11)에 부착하고, 또한 상부 금형(8)을 장방형 판 형상의 상부 다이베이스(9)를 통하여 금형 개폐 장치(metal mold opening and closing device, 6)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형 개폐 장치(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금형(8)이 부착된 상부 다이베이스(9)와, 상기 상부 다이베이스(9)의 상면에 고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25)을 상하로 관통 슬라이딩하는 4개의 지지로드(12, 12)와, 4개의 지지로드(12, 12) 사이에 걸쳐 설치된 브릿지 부재(13)와, 상기 승강 프레임(25)의 중앙부에 장착된 상향 액추에이터(14)로 구성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4)는 그 피스톤로드의 선단(先端)이 상기 브릿지 부재(13)의 하면에 고착되어, 하부 다이플레이트(11)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담지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주물 압출 기구(15)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며, 부호 16, 17, 18, 19로 나타내는 요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 개폐 장치(6)의 액추에이터(14)의 신장 작동에 의해 상부 금형(8)을 상승시키고(작은 스트로크 이동), 게다가 2개의 유압 실린더(23, 23)의 신장 작동에 의해 승강 프레임(25), 금형 개폐 장치(6) 및 상부 금형(8)이 상승되어(큰 스트로크 이동), 상하부 금형(8, 10) 사이에 코어 세트 및 제품 취출용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 금형(10)에 필요한 코어(도시 생략)를 세트한다. 이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유압 실린더(23, 23)를 수축 작동시켜 승강 프레임(25), 금형 개폐 장치(6) 및 상부 금형(8)을 하강시키는 동시에 금형 개폐 장치(6) 및 상부 금형(8)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부 금형(10)의 상방 위치에 위치시키며, 계속하여 도 6(c)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를 수축 작동하여 상부 금형(8)을 하강시키고 하부 금형(10)에 접촉시켜 형을 맞춘다.
이어서, 유지 로(2)의 용융 금속을 가압하여 상하부 금형(8, 10)에 용융 금속을 스토크를 통하여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 금속이 응고한 후,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를 소요 길이만큼 신장 작동하여 상부 금형(10)에 주물을 부착시킨 상태로 상부 금형(8)을 하부 금형(10)으로부터 분리시켜 상승시킨다. 또한, 이 경우, 승강 프레임(25)과, 2개의 유압 실린더(23, 23)와, 2개의 가이드로드(27, 27)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는, 2개의 유압 실린더(23,23)가 수축작동하고 있으며, 게다가 4개의 지지기둥(23, 23)과 하부 다이베이스(11)로 이루어지는 견고한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강고한 상태가 되어 있고, 게다가 상부 금형(8)을 상승시키는 상부 다이베이스(9)가 상호 간격이 비교적 짧은 지지로드(12, 12)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이들의 지지로드가 승강 프레임(25) 내로 슬라이딩 안내되기 때문에 상부 금형(8)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하부 금형(9)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유압 실린더(23, 23)를 신장 작동시켜 승강 프레임(25), 금형 개폐 장치(6) 및 상부 금형(8)을 상승시키고, 상하부 금형(8, 10) 사이에 코어 세트·제품 취출용 공간을 형성하며, 계속하여 액추에이터(14)를 더 신장 작동시켜 주물 압출기구(15)의 압출핀(16, 16)을 압출바(19, 19)에 의해 밀어내려 상부 금형(10)으로부터 주물을 압출하고, 도 6(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사이클을 완료한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유지 로(2) 내의 용융 금속의 상하부 금형으로의 주입은 유지 로 내의 용융 금속을 가압하는 방법에 의해 행해지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상하부 금형의 주조 캐비티 내를 감압하여 흡인작용에 의해 주입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금형 주조 장치에 대하여 도 7 및 도 2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금형에 용탕을 중력식으로 공급하는 중력 주조 장치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력 주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3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형 회전실린더(3)의 신축에 의해 회전축(4)에 관하여 회전하는 상형 회전프레임(5)과, 상하부 형(8, 10)의 상방 위치에 있어서 상형 회전프레임(5)의 수평부(5a)에 고정된 액추에이터(14)의 신축에 의해 금형의 개폐를 행하는 금형 개폐 장치(6)로 구성된다.
금형 개폐 장치(6)는 상부 금형(8)이 부착된 상부 다이베이스(9)와, 상부 다이베이스(9)의 상면에 세워설치되어 상형 회전프레임(5)을 상하로 관통 슬라이딩하는 2 또는 4개의 지지로드(12, 12)와, 이들의 지지로드(12, 12)의 사이에 가설된 브릿지 부재(13)와, 상형 회전프레임(5)에 장착된 상향 액추에이터(14)로 구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4)의 피스톤로드의 선단은 브릿지 부재(13)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금형(11)의 측면에는 상하부 금형(8, 10)의 형 맞춤에 의해 구획된 주조 캐비티에 용탕을 중력식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34)이 설치되어 있다. 게 다가, 하부 다이베이스(11)의 하면에는 하부 금형(10)내에 위치하는 주물 제품(도시 생략)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핀(도시생략)을 승강시키는 압출실린더(3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출실린더(33)와, 중력식 용탕 공급수단(34)이 설치되어 있는 외는, 도 7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핀(16, 18, 19)을 구비하는 주물 압출기구(15)도 장착하고 있지만, 이 기구에 관해서는 먼저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재차 설명을 하지 않는다.
또한, 도 7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장치의 운전(도 3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게 운전된다. 이하에 그 운전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장치의 운전은, 도 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시작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 금형 사이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형성되므로, 금형 청소, 도형의 체크, 코어 세트 등을 행한다.
코어 세트 종료 후, 상형 회전실린더(5)를 신장시켜 상형 회전프레임(5)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우회전시킨다.
그 후, 액추에이터(14)를 수축시켜 상부 다이베이스를 하강시키고, 상부 금형(8)을 하부 금형(212)에 밀착시켜 몰드 클램핑을 행한다. 이어서, 주탕기나 쇳물목(ladle) 등에 의해 용탕을 공급 수단(34)을 통하여 주조 캐비티로 주탕하는 것에 의해 주조를 행한다.
또한, 이때 하부 다이베이스(11)의 중심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형 회전프레임(5), 상부 금형(8) 및 하부 금형(10) 등 본체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면서 주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용탕이 응고 완료한 후, 상부 다이베이스를 상승시켜 상부 금형(8)을 하부 금형(10)으로부터 빼내고, 어느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때, 주물 제품은 하부 금형(10)으로부터 형 분리되어, 상부 금형(8)에 부착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상형 회전실린더(3)의 수축에 의해, 상형 회전 프레임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회전 종료 후, 금형 개폐 장치(6)의 액추에이터(14)의 신장에 의해 더욱 상승시키면, 도 3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지지판(17)이 압출바(19, 19)에 맞부딪혀, 주조 제품은 압출핀(16, 16)에 의해 상부 금형으로부터 압출된다.
압출된 제품은 손으로 꺼내거나 전용의 취출 장치에 의해 다른 장소로 반송되어, 1 사이클을 종료한다.
또한, 취출의 레이아웃에 따라서는 상형 회전프레임(5)을 90도 내지 180도 회전시켜 제품을 상방으로 발형, 취출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물 제품이 상부 금형(8)에 부착되어 하부 금형(10)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상부 금형(8)에서 취출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부 금형(10)에 부착되어 상부 금형(8)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하부 금형(10)에 관통하여 장착된 주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핀과 압출실린더(33)에 의해 취출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 3개의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들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변형, 변경예도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변형, 변경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며, 본원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금형에 대한 코어 세트(core setting)·제품 취출(取出)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높이의 억제 및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상부 금형이 수평방향으로 어긋남에 따르는 제품의 점착, 도형의 박리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는 금형의 발형 기울기(draft angle)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장치 및 그와 같은 이동 장치를 이용한 금형 주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상하부 금형을 사용하는 금형 주조 장치에 이용하기 위한, 고정된 하부 금형에 대하여 상부 금형을 접근이반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상부 금형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상부 다이플레이트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담지(擔持)된 금형 개폐수단으로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담지하여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관하여 상하 이동시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비교적 가까운 상기 하부 금형의 상방 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의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금형 개폐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방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프레임을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복수의 상향 실린더를 포함하는 장치.
  4. 상하부 금형을 사용하는 금속 주조 장치로서,
    고정된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을 접근이반되는 상부 금형으로서, 상기 하부 금형에 맞출 때, 상하부 금형 내에 주조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을 담지하는 상부 다이플레이트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담지된 금형 개폐수단으로서,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담지하여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관하여 상하 이동시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비교적 가까운 상기 하부 금형의 상방 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의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는 금형 개폐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방위치와,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형 주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주조 캐비티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 수단은 중력식 공급수단 및 저 압식 공급수단 중 한쪽인 금형 주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주조품을 압출하는 이젝트핀을 구비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주조품을 압출하는 이젝트핀을 구비하는 주조 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개폐수단은,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하로 관통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의 안내를 돕는 복수의 지지로드와,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브릿지 부재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다이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관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상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
KR1020067023006A 2004-04-08 2004-04-30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해 이동시키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주조 장치 KR100865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3742 2004-04-08
JP2004113742 2004-04-08
JPJP-P-2004-00115835 2004-04-09
JP2004115835 2004-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888A true KR20070006888A (ko) 2007-01-11
KR100865221B1 KR100865221B1 (ko) 2008-10-23

Family

ID=3514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006A KR100865221B1 (ko) 2004-04-08 2004-04-30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해 이동시키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주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64745B2 (ko)
EP (1) EP1733823A4 (ko)
JP (1) JP4033230B2 (ko)
KR (1) KR100865221B1 (ko)
CN (1) CN1964805B (ko)
MX (1) MXPA06011603A (ko)
WO (1) WO20050999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07B1 (ko) * 2011-07-07 2013-02-13 장경남 조리용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기용기 제조방법
KR20170014544A (ko) * 2015-07-30 2017-02-08 (주)유승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20200142667A (ko) * 2019-06-13 2020-12-23 김양순 스냅단추용 암단추의 소켓 금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0663B1 (de) * 2009-07-07 2019-11-15 Ksm Castings Group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giessen
CN102416460B (zh) * 2010-09-28 2015-11-25 青木伸藏 铸造机
KR101378579B1 (ko) 2012-07-25 2014-03-26 주식회사 천지건업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E102013108127A1 (de) 2012-08-23 2014-02-27 Ksm Castings Group Gmbh Al-Gusslegierung
US9982329B2 (en) 2013-02-06 2018-05-29 Ksm Castings Group Gmbh Aluminum casting alloy
CN103990783B (zh) * 2014-04-26 2017-02-15 浙江精一重工有限公司 一种铸造装置
MX357777B (es) * 2014-12-24 2018-07-19 Sintokogio Ltd Dispositivo de fundición y método de reemplazo de molde para dispositivo de fundición.
DE202016100133U1 (de) 2016-01-13 2017-04-19 Kurtz Gmbh Vorrichtung zum Gießen
US11203057B2 (en) 2017-11-10 2021-12-21 Honda Motor Co., Ltd. Mold casting device
JP7031871B2 (ja) * 2019-03-28 2022-03-08 川▲崎▼工業株式会社 傾動式重力鋳造装置
CN113102737A (zh) * 2021-04-16 2021-07-13 青岛祥地源模具有限公司 一种用于铸造机床工作台的模具
CN113680987B (zh) * 2021-08-27 2022-12-16 厦门兴海和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铝制led灯杯成型装置及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6245C3 (de) * 1971-09-16 1975-09-04 Desma-Werke Gmbh, 2807 Uesen Formwerkzeuge, Insbesondere zum Herstellen von Formungen aus Polyurethan
AT360230B (de) * 1974-12-02 1980-12-29 Upjohn Co Formentraeger
JPS61238456A (ja) * 1985-04-17 1986-10-23 Ube Ind Ltd 加圧成形用型締装置
JPS6244418A (ja) * 1985-08-23 1987-02-26 Japan Steel Works Ltd:The 成形機の立形型締装置
JPS62158559A (ja) * 1985-12-28 1987-07-14 Honda Motor Co Ltd 成形装置
JPH069734B2 (ja) * 1986-10-03 1994-02-09 東芝機械株式会社 縦型ダイカスト機およびその製品取出方法
JPS63184643A (ja) 1987-01-27 1988-07-30 東急工建株式会社 Pcスラブと現場打梁との剛接合方法
JP2528313B2 (ja) * 1987-05-02 1996-08-28 株式会社 五十鈴製作所 圧力制御装置
JPH0515394Y2 (ko) * 1987-05-18 1993-04-22
US5035606A (en) * 1989-03-03 1991-07-30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tonnage rim press
JP2977303B2 (ja) 1991-02-25 1999-11-15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低圧鋳造方法及びその装置
DE20218776U1 (de) * 2002-12-03 2003-04-17 Bbg Gmbh & Co Kg Formenträger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07B1 (ko) * 2011-07-07 2013-02-13 장경남 조리용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기용기 제조방법
KR20170014544A (ko) * 2015-07-30 2017-02-08 (주)유승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20200142667A (ko) * 2019-06-13 2020-12-23 김양순 스냅단추용 암단추의 소켓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33230B2 (ja) 2008-01-16
US7464745B2 (en) 2008-12-16
CN1964805B (zh) 2010-05-05
EP1733823A4 (en) 2007-08-29
KR100865221B1 (ko) 2008-10-23
US20070199675A1 (en) 2007-08-30
JPWO2005099932A1 (ja) 2008-03-06
CN1964805A (zh) 2007-05-16
EP1733823A1 (en) 2006-12-20
MXPA06011603A (es) 2006-12-20
WO2005099932A1 (ja)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221B1 (ko)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해 이동시키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주조 장치
JP4697333B2 (ja) 金型鋳造装置
JP2008264867A (ja) 鋳物製品の鋳造設備
CN105584001B (zh) 一种双色塑胶制品的注塑模
JP5168743B2 (ja) 同時鋳型造型方法及び抜枠鋳型造型装置
JP4958011B2 (ja) 金型鋳造装置の鋳物製品取出し方法
CN101811177B (zh) 铸型造型装置及铸型造型方法
JP2002336936A (ja) 枠付砂鋳型の造型装置、パタ−ンキャリア、パタ−ン交換装置、パタ−ンキャリアセット装置並びに枠付砂鋳型の造型方法
CN108907030B (zh) 一种用于冲压模具脱模支撑保护装置
JP4247708B2 (ja) 金型鋳造装置
KR100887513B1 (ko) 주물기의 유압조형장치
CN216938280U (zh) 一种叶轮铸件的蜡模成型模具
CN217964660U (zh) 一种螺丝模具加工装置
JP2007045062A (ja) 射出成形機
CN214814746U (zh) 脱模结构
CN114619634B (zh) 一种用于漆桶的注塑模具顶出机构
CN217529180U (zh) 一种薄壁轻量化的镁合金盖板压铸模具
JP2004344943A (ja) 低圧鋳造機
CN214517417U (zh) 一种精铸蜡模模具
CN216540744U (zh) 一种新型刮砂机
JPH0646605Y2 (ja) 低圧鋳造設備における上金型移動台車装置
JPS5853167Y2 (ja) 鋳造機の製品押出装置
WO2006120949A1 (ja) 上・下鋳型の上・下鋳枠からの抜出し装置
JPH0235402Y2 (ko)
CN112387959A (zh) 脱模结构及脱模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