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79B1 -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579B1
KR101378579B1 KR1020120080903A KR20120080903A KR101378579B1 KR 101378579 B1 KR101378579 B1 KR 101378579B1 KR 1020120080903 A KR1020120080903 A KR 1020120080903A KR 20120080903 A KR20120080903 A KR 20120080903A KR 101378579 B1 KR101378579 B1 KR 10137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
frame
form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719A (ko
Inventor
조홍준
백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건업
백은주
조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건업, 백은주, 조홍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건업
Priority to KR102012008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8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two or more rams per mould
    • B28B3/083The juxtaposed rams working in the sam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기 의하여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기대와; 상기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 진동축과; 상기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 각각에 서로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좌,우측 외돌출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진동축 각각을 일정 시간 동안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좌,우측 구동모터와; 상기 좌,우측 진동축이 각각 고속으로 회전할 때 좌,우측 진동지지대와 같이 진동하도록 상기 좌,우측 진동지지대 위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홀스페이서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성형홀들이 각각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의 상방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들과 같은 규격 및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압착금형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금형판과; 상기 성형틀의 하방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에 핀이 하나씩 삽입 및 이완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성형홀과 같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핀고정판과; 상기 핀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핀공정판을 승강작동시키도록 설치되는 하부 금형판;을 구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hole spacer}
본 발명은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설공사 및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공사를 시공할 때 철근과 거푸집 사이를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시멘트몰탈 재질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페이서를 철근에 묶어줄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홀스페이서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는 철근이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인접하는 철근에는 스페이서를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한 후에 레미콘을 타설하게 된다.
종래 스페이서를 철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철선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스페이서를 철근에 묶어주기 위해서는 철선이 스페이서의 외주와 철근을 감싸도록 묶어주기 때문에 상기한 스페이서와 철근을 묶어주는 작업이 불편하여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스페이서를 철선으로 철근에 묶어주는 작업이 간편하게 하기 위해 도 ??의 도시와 같이 몸체의 줌심부에구멍(110)이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홀스페이서(100)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홀스페이서(100)에 몸체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멍(110)을 형성시키기 위해 홀스페이서(100)의 외주와 같은 모양의 압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금형을 이용하되, 상기 압출금형의 압출공 중심부에 핀을 고정 설치해 놓는 구조로서 상기한 압출공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홀스페이서(100)의 중심부에 구멍(110)이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홀스페이서(100)를 압출 성형하는데, 이때 상기한 압출금형의 압출공을 통해 연속해서 압출되는 홀스페이서를 와이어 또는 원형칼날을 이용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홀스페이서(100)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와이어 커팅장치 또는 원형칼날장치를 이용하여 한 대의 압출금형의 압출공을 통해 압출되는 홀스페이서(100)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저조할 뿐 아니라 고가의 와이어 커팅장치 및 원형칼날 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홀스페이서(100)의 생산원가가 비싸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실용화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홀스페이서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성형홀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종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틀을 기준하여 그 상부에는 상기한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충전시키는 몰탈공급통과 상기한 복수의 성형홀과 같은 규격 같은 모양을 갖는 복수의 압착금형이 종횡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금형판을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성형판의 하부에는 상기한 복수의 성형홀의 중심부를 향해 승강작동을 하는 복수의 핀이 종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핀고정판이 형성된 하부 금형판을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수단으로 상기 성형틀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충전되는 시멘트몰탈을 압착한 후 탈형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홀스페이서를 반복적으로 연속해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홀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제조장치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기 의하여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기대와;
상기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 진동축과;
상기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 각각에 서로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좌,우측 외돌출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진동축 각각을 일정 시간 동안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좌,우측 구동모터와;
상기 좌,우측 진동축이 각각 고속으로 회전할 때 좌,우측 진동지지대와 같이 진동하도록 상기 좌,우측 진동지지대 위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홀스페이서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성형홀들이 각각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의 상방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들과 같은 규격 및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압착금형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금형판과;
상기 성형틀의 하방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에 핀이 하나씩 삽입 및 이완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성형홀과 같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핀고정판과;
상기 핀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핀고정판을 승강작동시키도록 설치되는 하부 금형판;
을 구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 각각의 중심부에는 상기 핀고정판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핀홀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금형판의 저부와 복수의 압착금형들 각각의 사이에는 각 압착금형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핀홀과 연통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가 하나씩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과 핀고정판 사이에는 하부 금형판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보조실린더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면서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저부를 개폐함과 동시 상기 핀고정판에서 돌출된 복수의 핀이 하나씩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핀관통공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 좌,우측에 상단이 고정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안내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판의 상판 좌,우측 저부에는 상기 복수의 안내봉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져 상기 하부 금형판의 상판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간격조절용 축지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금형판은 상부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채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출몰작동시키는 상부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좌,우측 기둥 프레임을 따라 상하운동하는 상부 승강프레임의 저부에 부착되어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판은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채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몰작동시키는 하부 실린더에 의하여 좌,우측 기둥 프레임을 따라 상하운동하는 하부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와 좌,우측 진동지지대 사이에는 좌,우측 진동흡수 완충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과 하부 금형판 사이에는 복수의 충격흡수 완충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는 압착판과 상부 승강프레임은 복수의 압축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는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공급 및 충전하는 몰탈공급통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는 받침판 위로 복수의 성형홀에서 압착 성형된 홀스페이서 제품을 받아주기 위한 바이다를 투입하는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성형홀에서 탈형된 홀스페이서 제품을 받아준 바이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스페이서를 생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복수의 성형홀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을 기준하여 볼 때 상부 금형판은 상측으로 상승 완료된 상태이고, 하부 금형판은 사측으로 하강 완료된 상태이며, 몰탈공급통은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일측으로 이동이 완료된 준비단계;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현작동시켜서 받침판이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저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성형틀의 저부에 밀착되게 하는 1단계;
상기 1단계가 완료되면, 하부 금형판의 좌,우 양측 각각에 설치된 보조실린더를 작동시켜서 핀고정판을 상승작동시켜서 상기 핀고정판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핀이 상기 받침판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관통공을 통해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2단계;
상기 2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틀의 상부 일측에 있는 몰탈공급통이 복수의 성형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몰탈공급통에 들어있는 시멘트몰탈을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공급 및 충전시키게 되는 3단계;
상기 3단계가 완료되면,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공급 및 충전시킨 상기 몰탈공급통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4단계;
상기 4단계가 완료되면, 상부 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출현작동시켜서 상부 금형판 저부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압착금형들이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시키도록 하는 5단계;
상기 5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2단계에서 복수의 핀을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로 삽입시키기 위해 피스톤로드를 출현작동시켰던 보조실린더가 피스톤로드를 몰입작동시켜서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이 각 성형홀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핀들을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서 빼내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몰입작동시켜서 상기 받침판이 성형틀의 저부에서 하향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다음,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를 작동시켜서 바이다를 받침판 위에 공급하도록 하는 7단계;
상기 7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현작동시켜서 받침판이 성형틀 저부에 가까이 근접하는 위치까지 상승시켜서 상기 받침판 위에 공급된 바이다가 상기 성형틀의 저부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8단계;
상기 8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서 압착 성형된 홀스페이서 제품을 탈형시키기 위해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및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동시에 똑같이 하향으로 출현 및 몰입작동되도록 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하강하는 바이다 위에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서 압착 성형된 복수의 홀스페이서 제품이 안전하게 탈형되도록 하는 9단계;
상기 9단계가 완료되면, 제품 이송대가 작동하여 받침판 위에 있는 바이다를 상기 받침판의 전방측으로 밀어내어 복수의 홀스페이서가 종횡으로 정열되어 있는 바이다를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로 이송하는 10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좌,우측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좌,우측 진동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좌,우측 진동축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성형틀이 진동하게 되어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이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는 시멘트몰탈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멘트몰탈을 재료로 하여 홀스페이서를 제조함에 있어 홀스페이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홀스페이스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가격경쟁력이 있는 홀스페이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홀스페이서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으로 제조되는 일실시예의 홀스페이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홀스페이서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성형틀에 형성되는 성형홀과 상부 금형틀에 형성되는 압착금형의 일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홀스페이서 제조장치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에 의한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도시는 본 발명의 홀스페이서 제조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홀스페이서 제조장치의 기대(1)는 베이스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 및 좌,우측 기둥 프레임(13)(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바닥에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일정 높이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기둥 프레임(13)(14)은 베이스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 각각의 좌,우측 코너부분을 수직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기둥 프레임(13)(14) 각각에는 좌,우측 진동축(2a)(2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진동축(2a)(2b)은 좌,우측 기둥 프레임(13)(14) 각각의 내측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설치된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21)(22) 위에 설치되는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21)(22)와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 사이에는 고무재질로 된 좌,우측 진동흡수 완충구(25)(2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진동축(2a)(2b)은 좌,우측 구동모터(2c)(2d)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구동모터(2c)(2d) 각각은 좌,우측 기둥 프레임(13)(14)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설치된 좌,우측 외돌출 고정대(27)(2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대(1)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홀스페이서(10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3)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성형틀(3)은 좌,우측 진동축(2a)(2b)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 위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성형틀(3)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진동하는 좌,우측 진동축(2a)(2b)에 의해 진동하게 되는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와 같이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틀(3)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홀스페이서(100)를 성형해 내는 복수의 성형홀(31)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성형홀(31)들은 성형틀(3)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성형틀(3)의 후단에는 도 4 네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틀(3)의 상,하부에는 상부 금형판(4)과 하부 금형판(5)이 승강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먼저 상부 금형판(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 금형판(4)은 좌,우측 안내기둥(15)(16)을 따라 상하작동을 하는 상부 승강프레임(6)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판(4)의 저부에는 성형틀(3)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과 동일한 규격과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압착금형(41)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41) 각각에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핀홀(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판(4)의 저부와 복수의 압착금형(41)들 각각의 상면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구(43)가 하나씩 개재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구(43) 각각에는 복수의 압착금형(41)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핀홀(42)과 연통하도록 배출통로(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통로(44)는 홀스페이서(100)를 제조할 때 복수의 압착금형(41)들 각각에 하나씩 형성된 핀홀(42) 속에 끼여있는 시멘트몰탈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6)은 상부 프레임(12)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상부 실린더(61)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실린더(61)에서 하향으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로드(62)의 선단이 상부 승강프레임(6)의 압착판(6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6)과 압착판(63)은 완충작용을 하는 복수의 압축스프링(64)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다음, 상기 하부 금형판(5)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 금형판(5)은 성형틀(3)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측 안내기둥(15)(16)을 따라 상하작동을 하는 하부 승강프레임(7)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 금형판(5)의 상판(5a) 좌,우측 저부 각각에는 복수의 간격조절용 축지부(51)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 금형판(5)의 상판(5a)은 그 좌,우측 저부에 고정 부착된 복수의 간격조절용 축지부(51)가 상기 성형틀(3)에 상단이 고정 연결된 채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안내봉(52)을 감싸도록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간격조절용 축지부(51)는 복수의 안내봉(52)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상기 상판(5a)의 설치위치가 조절된 후에는 그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체결볼트 등에 의해 복수의 안내봉(5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금형판(5)의 상판(5a) 좌,우측 저부에는 축지부(52)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축지부(52)는 안내봉(51)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금형판(5)과 하부 승강프레임(7) 사이에는 고무재질로 된 복수의 충격흡수 완충구(71)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판(5)의 상단에는 복수의 안내봉(51)을 따라 상하작동을 하는 핀고정판(8)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핀고정판(8)은 하부 금형판(5)과 같이 상하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하부 금형판(5)의 좌,우 양측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보조실린더(81) 각각의 피스톤로드(81a)의 출몰작동에 따라 하부 금형판(5)의 상판(5a) 위에서 상향을 향해 설정된 높이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7)은 베이스 프레임(11)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하부 실린더(72)에 의하여 상하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실린더(72)에서 상향으로 출몰작동하도록 형성된 피스톤로드(73)의 선단은 하부 금형판(5)을 지지하는 구조로 연결 및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가 상향으로 출현작동함에 따라 하부 금형판(5)과 핀고정판(8)이 상하작동을 하게 되며, 상기 핀고정판(8)은 보조실린더(81)에 의하여 하부 금형판(5)과는 별도로 상하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핀고정판(8)에는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과 같은 수의 고정핀(82)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판(8)의 상측에는 복수의 안내봉(51)을 따라 상하작동을 하는 받침판(8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받침판(83)에는 복수의 고정핀(82)이 관통하는 복수의 핀관통공(83a)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복수의 고정핀(82)들은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상단(82a)과 직경이 큰 하단(82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83)에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핀관통공(83a)들은 고정핀(82)의 상단(82a) 부분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성형틀(3)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의 후방(도 4 내지 도 14를 기준하여 볼 때 도면상 우측)에는 시멘트몰탈을 공급하기 위한 몰탈공급통(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몰탈공급통(9)은 유압실린더(91)에 의하여 수평상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몰탈공급통(9)의 상방에는 시멘트몰탈을 공급하기 위한 몰탈저장호퍼(9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83)의 후방(도 4 내지 도 14를 기준하여 볼 때 도면상 우측)에는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83)의 전방(도 4 내지 도 14를 기준하여 볼 때 도면상 좌측)에는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는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에서 압착 성형된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받아주는 바이다(210)를 하나씩 받침판(83) 위에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는 성형틀(3)에서 탈형된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받아준 바이다(210)를 이송하는 것인데, 상기 받침판(83)의 후방(도 14 참조)에는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와 함께 탈형된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받아주는 바이다(9)를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로 밀어내는 제품이송대(4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83)의 전단에는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로부터 공급되는 바이다(210)가 받침판(83) 위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84)가 출몰작동하는 공압실린더(85)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 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2)이 하향 출현작동으로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에서 압착 성형된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탈형할 때 상부 금형판(4)의 하향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장치 및 상부 실린더(61), 하부 실린더(72), 보조실린더(81), 유압실린더(91),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홀스페이서 제조장치의 작용과 함께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공정도를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준비단계>
도 4의 도시와 같이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이때에는 고정 설치된 성형틀(3)을 기준하여 볼 때 상부 금형판(4)은 몰탈공급통(9)이 상기 성형틀(3) 상면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압착금형(41)이 상기 몰탈공급통(9)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상부 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2) 몰입작동에 의해 상승작동이 완료된 상태이며, 하부 금형판(5)은 하부 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 몰입작동에 의해 하강작동이 완료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하부 금형판(5)의 상측에 위치하는 받침판(83)이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되는 바이다(210)를 공급받을 수 있는 높이까지 하강한 상태(후술하는 7단계 참조)이다.
<1단계>
도 5의 도시와 같이 받침판(83)이 성형틀(3)의 저부에 밀착되도록 하부 금형판(5)을 상승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하부 금형판(5)의 상승작동은 하부 실린더(72)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73)를 상향으로 출현작동시키게 되므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부 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가 상향으로 출현작동(도면의 화살표 참조)하게 되면 받침판(83)은 하부 금형판(5)과 함께 상승작동되어 성형틀(3)의 저부에 밀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성형틀(3)에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의 하부는 상기 받침판(83)에 의해 밀폐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판(83)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관통공(83a) 각각은 복수의 성형홀(31) 저부 중심에 각기 하나씩 위치하게 된다.
또한 1단계에서는 핀고정판(8)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82)들의 각 상단(82a)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판(83)에 형성된 복수의 핀관통공(83a) 각각에 하나씩 끼워진 상태이지만, 상기 복수의 핀(82)들 각각의 상단(82a)은 받침판(83)의 상면으로는 돌출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2단계>
도 6의 도시와 같이 핀고정판(8)이 상승작동하여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의 중심부에 복수의 핀(82)들의 상단(82a) 부분만 하나씩 삽입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핀고정판(8)은 하부 금형판(5)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보조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한 피스톤로드(81a)의 출현작동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핀고정판(8)은 하부 금형판(5)의 상판(5a)에서 상향을 향해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작동된 상태가 되며, 또한 상기 핀고정판(8)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82)들의 각 상단(82a)은 받침판(83)에 형성된 복수의 핀관통공(83a)을 통해 복수의 성형홀(31) 속에 각기 하나씩 삽입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3단계>
도 7의 도시와 같이 몰탈공급통(9)이 성형틀(3)의 상면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시멘트몰탈을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충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몰탈공급통(9)은 유압실린더(91)의 작동으로 출현작동하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복수의 성형홀(31)이 형성된 성형틀(3)의 상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에는 그 즉시로 몰탈공급통(9)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배출날개(미도시)를 설정된 시간(30∼60초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30초 이하 또는 60초 이상이 될 수 있다) 동안 흔들어주는 작동으로 상기 몰탈공급통(9)에 저장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상기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고르게 충전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몰탈공급통(9)이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상측으로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부터는 좌,우측 구동모터(2c)(2d)가 동시에 구동하여 좌,우측 진동축(2a)(2b)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좌,우측 진동축(2a)(2b)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심하게 떨게 되므로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 상단에 고정 설치된 성형틀(3)이 진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채워지는 시멘트몰탈은 성형틀(3) 자체의 진동작동에 의해 다져지는 상태로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의 하단은 좌,우측 진동흡수 완충구(25)(26)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좌,우측 진동지지대(23)(24)의 하단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충격은 좌,우측 진동흡수 완충구(25)(26)에 흡수 완화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좌,우측 진동축(2a)(2b)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진동하도록 하는 좌,우측 구동모터(2c)(2d)는 몰탈공급통(9)이 성형틀(3)의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충전시키는 동안 계속 구동하여 좌,우측 진동축(2a)(2b)를 고속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충전시키는 충전작동이 완료되는 시점이 되면, 곧바로 상기한 유입실린더(91)가 피스톤로드를 몰입시키는 작동으로 몰탈공급통(9)을 원래 위치(도 6 참조)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몰탈공급통(9)이 복수의 성형홀(31) 상방에 위하고 있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될 때에는 스크레이퍼(93)가 하강작동을 하여 성형틀(3) 상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몰탈공급통(9)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스크레이퍼(93)가 성형틀(3)의 상면을 긁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는 시멘트몰탈이 충전된 상태가 유지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복수의 성형홀(31)의 상측 및 그 주위의 상기 성형틀(3) 상면에 있는 시멘트몰탈은 상기 스크레이퍼(93)에 의해 몰탈공급통(9)과 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4단계>
도 8의 도시와 같이 몰탈공급통(9)이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충전시킨 후 몰탈저장호퍼(92)의 하측으로 이동작동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상기 몰탈공급통(9)이 몰탈저장호퍼(92)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몰탈저장호퍼(92)에 저장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이 몰탈공급통(9)에 재공급되는 것이다.
<5단계>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부 금형판(4)이 하강하여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부 금형판(4)은 상부 실린더(61)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62)를 하향으로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상부 승강프레임(6)과 같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금형판(4)이 하강하는 거리는 복수의 압착금형(41)들이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설정된 압력으로 압착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금형판(4)이 하강작동하여 복수의 압착금형(41)이 복수의 성형홀(31)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하게 될 때 나타나는 반발력은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6)과 압착판(63)을 연결하는 복수의 압착스프링(64)의 완충작용으로 흡수 또는 완화되는 것이므로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41)들이 복수의 성형홀(31)에 충전된 시멘트몰탈을 강하고 부드럽게 압착하는 작동으로 홀스페이서(100)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압착금형(41)이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하게 될 때에는 그 압착 충격이 받침판(83)을 통해 하부 금형판(5)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금형판(5)으로 전달된 압착 충격은 하부 금형판(5)의 하판과 하부 승강프레임(7)의 상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수의 충격흡수 완충구(71)가 흡수 및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금형판(4)에 형성된 복수의 압착금형(41)은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강하고 부드럽게 압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6단계>
도 10의 도시와 같이 핀고정판(8)을 하강작동시켜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충전된 상태에서 압착된 시멘트몰탈에서 복수의 핀(82)들 각각의 상단(82a) 부분을 빼내는 단계이다.
상기 핀고정판(8)의 하강작동은 하부 금형판(5)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보조실린더(81)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81a)를 하향으로 몰입작동시키게 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핀고정판(8)의 하강작동시에는 복수의 핀(82)들의 각 상단(82a)이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 압착된 시멘트몰탈에서 빠져나온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핀(82)들의 각 상단(82a)이 압착된 시멘트몰탈에서 빠져나올 때에는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41)들이 시멘트몰탈의 상측을 압착하고 상태이고 또 상기 받침판(83)이 시멘트몰탈의 저부를 받쳐주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복수의 핀(82)들 각각의 상단(82a)은 홀스페이서(100)의 홀(110)을 손상시키지 않고 시멘트몰탈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7단계>
도 11의 도시와 같이 받침판(83)이 성형틀(3)의 저부에서 이격되도록 하강시키고, 이어서 상기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서 탈형되는 홀스페이서(100) 제품을 받아주는 바이다(210)를 상기 받침판(83) 위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받침판(83)은 하부 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73)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하부 금형판(5)과 같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판(83)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의 상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의 상부에 올려져 있는 바이다(210)는 상기한 체인콘베이어(20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송되다가 받침판(83) 위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이다(210)를 받침판(83) 쪽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상기 받침판(83)의 전방에 장착된 공압실린더(85)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진 스토퍼(84)를 출현작동(도면 중 화살표 참조)시켜서 바이다(210)가 받침판(83)의 전방쪽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200)는 바이다(210)를 받침판(83) 위에 공급하는 작동이 완료되면 그 즉시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의 반복되는 바이다 공급순서가 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8단계>
도 12의 도시와 같이 하부 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가 출현작동(도면 중 화살표 참조)되어 하부 금형판(5) 및 받침판(83)을 상승작동시켜서 바이다(210)가 성형틀(3)의 저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83)을 상승작동시켜서 바이다(210)가 성형틀(3) 저부에 밀착되도록 하면, 상기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에서 압착된 시멘트몰탈 제품을 탈형시킬 때 탈형되는 시멘트몰탈 제품이 부서지거나 깨지지 않고 안전하게 탈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바이다(21)가 성형틀(3)의 저부에 밀착되도록 받침판(83)을 상승작동시킬 때에는 스토퍼(84)를 공압실린더(85)에 몰입시킨 상태이다.
<9단계>
도 13의 도시와 같이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에서 압착된 시멘트몰탈 제품을 탈형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부 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2)의 출현(하강)작동으로 상부 금형판(4)을 하강작동(도면 중 화살표 참조)시켜서 복수의 압착금형(41)들이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들 각각에 압착되어 있던 시멘트몰탈 제품을 각 성형홀(31) 밑으로 탈형시킴과 동시에 하부 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의 몰입작동으로 하부 금형판(5) 및 받침판(83)을 함께 하강작동(도면 중 화살표 참조)시켜서 상기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서 탈형되는 시멘트몰탈 제품이 바이다(210) 위에 안전하게 탈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서 탈형된 시멘트몰탈 제품을 받아주는 바이다(210)는 받침판(83)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이용용 체인콘베이어(300)의 상부 높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조금 높게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10단계>
도 14의 도시와 같이 성형틀(3)의 각 성형홀(31)에서 탈형된 시멘트몰탈 제품을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부 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2)를 상향으로 몰입시키는 작동으로 상부 금형판(4)을 상승작동시킨 다음, 이어서 제품이송대(400)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켜서 받침판(83) 위에 있는 바이다(210)를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상부 금형판(4)은 성형틀(3)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31) 각각에서 빠져나온 복수의 압착금형(41)들이 성형틀(3) 상측에 몰탈공급통(9)을 수평이동시킬 수 정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높이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300)는 탈형된 시멘트몰탈 제품을 건조하는 장소로 이송시키게 되며, 상기한 시멘트몰탈 제품을 건조하게 되면 도 2의 도시와 같은 홀스페이서(100) 제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홀스페이서 제조장치는 준비단계에서부터 10단계의 제조공정을 반복 되풀이하는 방법으로 홀스페이서(100)를 연속적으로 제조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한 각 단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구분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각 단계와 유사한 공정으로 홀스페이서(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기대 11 : 베이스 프레임
12 : 상부 프레임 13,14 : 좌,우측 기둥 프레임
2a,2b : 좌,우측 진동축 2c,2d : 좌,우측 구동모터
21,22 :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 23,24 : 좌,우측 진동지지대
25,26 : 좌,우측 진동흡수 완충구 27,28 : 좌,우측 외돌출 고정대
3 : 성형틀 31 : 성형홀
32 : 연장부 4 : 상부 금형판
41 : 압착금형 42 : 핀홀
43 : 연결구 44 : 배출통로
5 : 하부 금형판 51 : 간격조절용 축지부
52 : 안내봉 6 : 상부 승강프레임
61 : 상부 실린더 63 : 압착판
64 : 압축스프링 7 : 하부 승강프레임
71 : 충격흡수 완충구 72 : 하부 실린더
8 : 핀고정판 81 : 보조실린더
82 : 핀 82a,82b : 상단 및 하단
83 : 받침판 84 : 스토퍼
85 : 공압실린더 9 : 몰탈공급통
91 : 유압실린더 92 : 몰탈저장호퍼
93 : 스크래이퍼 100 : 홀스페이서
110 : 핀홀 200 :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
210 : 바이다 300 :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
400 : 제품이송대

Claims (12)

  1.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기 의하여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기대와;
    상기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 진동축과;
    상기 복수의 좌,우측 기둥 프레임 각각에 서로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좌,우측 외돌출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진동축 각각을 일정 시간 동안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좌,우측 구동모터와;
    상기 좌,우측 진동축이 각각 고속으로 회전할 때 좌,우측 진동지지대와 같이 진동하도록 상기 좌,우측 진동지지대 위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홀스페이서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성형홀들이 각각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의 상방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들과 같은 규격 및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압착금형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금형판과;
    상기 성형틀의 하방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에 핀이 하나씩 삽입 및 이완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성형홀과 같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핀고정판과;
    상기 핀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핀고정판을 승강작동시키도록 설치되는 하부 금형판;
    을 구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 각각의 중심부에는 상기 핀고정판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핀홀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판의 저부와 복수의 압착금형들 각각의 사이에는 각 압착금형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핀홀과 연통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구가 하나씩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과 핀고정판 사이에는 하부 금형판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보조실린더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면서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저부를 개폐함과 동시 상기 핀고정판에서 돌출된 복수의 핀이 하나씩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핀관통공이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좌,우측에 상단이 고정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안내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판의 상판 좌,우측 저부에는 상기 복수의 안내봉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져 상기 하부 금형판의 상판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간격조절용 축지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판은 상부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채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출몰작동시키는 상부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좌,우측 기둥 프레임을 따라 상하운동하는 상부 승강프레임의 저부에 부착되어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판은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채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몰작동시키는 하부 실린더에 의하여 좌,우측 기둥 프레임을 따라 상하운동하는 하부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내돌출 고정대와 좌,우측 진동지지대 사이에는 좌,우측 진동흡수 완충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과 하부 금형판 사이에는 복수의 충격흡수 완충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는 압착판과 상부 승강프레임은 복수의 압축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는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공급 및 충전하는 몰탈공급통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는 받침판 위로 복수의 성형홀에서 압착 성형된 홀스페이서 제품을 받아주기 위한 바이다를 투입하는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성형홀에서 탈형된 홀스페이서 제품을 받아준 바이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11. 복수의 성형홀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을 기준하여 볼 때 상부 금형판은 상측으로 상승 완료된 상태이고, 하부 금형판은 하측으로 하강 완료된 상태이며, 몰탈공급통은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일측으로 이동이 완료된 준비단계;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현작동시켜서 받침판이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저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성형틀의 저부에 밀착되게 하는 1단계;
    상기 1단계가 완료되면, 하부 금형판의 좌,우 양측 각각에 설치된 보조실린더를 작동시켜서 핀고정판을 상승작동시켜서 상기 핀고정판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핀이 받침판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관통공을 통해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2단계;
    상기 2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틀의 상부 일측에 있는 몰탈공급통이 복수의 성형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몰탈공급통에 들어있는 시멘트몰탈을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공급 및 충전시키게 되는 3단계;
    상기 3단계가 완료되면,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을 공급 및 충전시킨 상기 몰탈공급통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4단계;
    상기 4단계가 완료되면, 상부 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출현작동시켜서 상부 금형판 저부에 종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압착금형들이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시키도록 하는 5단계;
    상기 5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2단계에서 복수의 핀을 성형홀 각각의 중심부로 삽입시키기 위해 피스톤로드를 출현작동시켰던 보조실린더가 피스톤로드를 몰입작동시켜서 상기 복수의 압착금형이 각 성형홀에 충전되어 있는 시멘트몰탈을 압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핀들을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서 빼내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몰입작동시켜서 상기 받침판이 성형틀의 저부에서 하향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다음, 바이다 투입용 체인콘베이어를 작동시켜서 바이다를 받침판 위에 공급하도록 하는 7단계;
    상기 7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현작동시켜서 받침판이 성형틀 저부에 가까이 근접하는 위치까지 상승시켜서 상기 받침판 위에 공급된 바이다가 상기 성형틀의 저부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8단계;
    상기 8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서 압착 성형된 홀스페이서 제품을 탈형시키기 위해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및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동시에 똑같이 하향으로 출현 및 몰입작동되도록 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하강하는 바이다 위에 상기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서 압착 성형된 복수의 홀스페이서 제품이 안전하게 탈형되도록 하는 9단계;
    상기 9단계가 완료되면, 제품 이송대가 작동하여 받침판 위에 있는 바이다를 상기 받침판의 전방측으로 밀어내어 복수의 홀스페이서 제품이 종횡으로 정열되어 있는 바이다를 제품이송용 체인콘베이어로 이송하는 10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좌,우측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좌,우측 진동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좌,우측 진동축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성형틀이 진동하게 되어 복수의 성형홀 각각에 시멘트몰탈이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페이서 제조방법.
KR1020120080903A 2012-07-25 2012-07-25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7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903A KR101378579B1 (ko) 2012-07-25 2012-07-25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903A KR101378579B1 (ko) 2012-07-25 2012-07-25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19A KR20140017719A (ko) 2014-02-12
KR101378579B1 true KR101378579B1 (ko) 2014-03-26

Family

ID=5026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903A KR101378579B1 (ko) 2012-07-25 2012-07-25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07322B (zh) * 2024-01-04 2024-03-19 新创源云海(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元器件包装用载带生产自动化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367A (ko) * 1998-05-06 1999-12-06 조홍준 고령토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고강도 스페이서를제조하는 방법
KR100334027B1 (ko) 1993-11-04 2002-10-11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가압성형장치및가압성형방법
JP4033230B2 (ja) 2004-04-08 2008-01-16 新東工業株式会社 上下金型を用いる金型鋳造装置及び下金型に関して上金型を移動させる装置
KR101042273B1 (ko) 2009-06-02 2011-06-21 주식회사 천지콘텍 기초콘크리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027B1 (ko) 1993-11-04 2002-10-11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가압성형장치및가압성형방법
KR19990084367A (ko) * 1998-05-06 1999-12-06 조홍준 고령토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고강도 스페이서를제조하는 방법
JP4033230B2 (ja) 2004-04-08 2008-01-16 新東工業株式会社 上下金型を用いる金型鋳造装置及び下金型に関して上金型を移動させる装置
KR101042273B1 (ko) 2009-06-02 2011-06-21 주식회사 천지콘텍 기초콘크리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19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503B1 (ko) 즉시 탈형식 콘크리트제품 성형기에 있어서 패턴프레임 및 프레스다이의 설치방법 및 그 장치
CN105835210A (zh) 一种压制石膏空心砖的模具及其压制方法
KR101042273B1 (ko) 기초콘크리트 제조장치
CN206644139U (zh) 一种混凝土管制管机
CN102241049A (zh) 砖坯成型机
CN103231432B (zh) 全自动抗震砌体成型机及其实现方法
CN111687998A (zh) 一种环保砖连续成型装置
CN116038869B (zh) 一种双模混凝土压力成型装置及方法
CN104157443A (zh) 一种适用于电机线圈自动脱模的装置
CN107932971B (zh) 挤压成型产品的压制生产系统
KR101378579B1 (ko) 홀스페이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4742248A (zh) 一种带底座的混凝土筒形制品生产方法
CN212948331U (zh) 一种透水砖压制成型装置
CN107263674B (zh) 一种乐高砖成型机
KR101583239B1 (ko) 울타리용 기초콘크리트 제조장치
CN116175735A (zh) 一种pc装配式建筑用建筑模块浇筑装置
CN217098190U (zh) 双模具高效率制砖设备
CN212471887U (zh) 一种环保砖连续成型装置
RU2607683C1 (ru) Установка формования блоков из арболита
CN203371622U (zh) 制砖机
CN111347527A (zh) 一种生态砖制备专用自动制砖机
CN106738193B (zh) 一种混凝土模卡砌块制造机
CN203331209U (zh) 自动生产墙体砌块的链铸机脱模装置
KR100928809B1 (ko)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CN214644653U (zh) 一种用于空心砖生产的顶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