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902A - 전기적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902A
KR20060133902A KR1020060054897A KR20060054897A KR20060133902A KR 20060133902 A KR20060133902 A KR 20060133902A KR 1020060054897 A KR1020060054897 A KR 1020060054897A KR 20060054897 A KR20060054897 A KR 20060054897A KR 20060133902 A KR20060133902 A KR 2006013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lat cable
housing element
cable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774B1 (ko
Inventor
가네요시 시미즈
쇼자부로 고야마
마사토 나가나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플랫 케이블(flat cable)(11)은 복수의 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절연 피복(22)이 제거되어서 복수의 도체(21)가 노출한 도체 노출부(24)가 설치된 접속용 단부(23)를 갖는다. 케이블 홀더(holder)(12)는 도체 노출부(24)가 되접어 꺾이도록 감겨지는 케이블 와인딩(winding)부(26)와, 회동 자재(回動 自在)에 지지되어서 접속용 단부(23)를 눌러 홀딩하는 가(假)홀딩부(27)를 갖는다. 감합(嵌合)용 하우징(fitting housing)(13)은 접속용 단부(23)와 함께 케이블 홀더(12)가 삽입된 상태에서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 감합한다. 협지(clamping)부(14)는 감합용 하우징(13)의 삽입구(36)내에 배치되고, 가홀딩부(27)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하여 프레스(press)하는 동시에, 접속용 단부(23)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여 협지한다.

Description

전기적 접속 장치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를 이 전기적 접속 장치와 접속되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함께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 및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랫 케이블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랫 케이블의 평면도(도 4a)와 측면도(도 4b)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a의 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플랫 케이블의 단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접속용 단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랫 케이블의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케이블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
도 13은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는 케이블 홀더에 대해로 플랫 케이블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도 3에 나타내는 감합용 하우징의 사시도.
도 16은 플랫 케이블이 감겨져서 홀딩된 상태의 케이블 홀더가 감합용 하와징에 대하여 그 삽입구로부터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17은 케이블 홀더가 플랫 케이블과 함께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18은 플랫 케이블이 감겨진 상태의 케이블 홀더의 감합용 하우징으로의 삽입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단면도.
도 19는 플랫 케이블이 감겨진 케이블 홀더의 감합용 하우징으로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의 전기적 접속 장치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대하여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21은 도 19에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able) 등으로 일반적으로 불리고 있으며, 복수의 도체를 갖는 플랫 케이블을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FFC 나 FPC 등으로 일반적으로 불리고 있고, 복수의 도체를 갖는 플랫 케이블을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로서,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에 대하여 이 절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을 가압 부재로 누르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 2000-21478호 공보를 참조). 이 일본 특개 2000-21478호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로서 교대로 늘어 놓여진 가홀딩형 단자와 비홀딩 단자인 2 종류를 구비하고, 이러한 2 종류의 단자와 가압 부재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을 홀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개 2000-2147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적 접속 장치에서는 2 종류의 단자와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플랫 케이블이 홀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 케이블을 강고하게 홀딩하여 확 실한 빠짐 방지를 도모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진동이나 외력이 작용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빠지기 쉬운 등 플랫 케이블의 홀딩 상태를 유지하는데 문제를 갖고 있다.
또, 플랫 케이블의 홀딩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을 홀더로 홀딩하도록 한 다음, 이 홀더를 복수의 단자를 지지하는 피접속용 하우징에 대하여 접속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복수의 도체와 복수의 단자와의 접촉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과제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도체를 갖는 플랫 케이블을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며, 진동이나 외력이 작용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랫 케이블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여 확실히 홀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플랫 케이블과 단자와의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적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 장치는 복수의 단자를 지지하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대하여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을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하여 구비하고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의 특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절연 피복이 제거되어서 복수의 도체가 노출하고 있는 도체 노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용 단부를 일단(一端)측에 갖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 상기 도체 노출부가 되접어 꺾이도록 감겨지는 케이블 와인딩부와,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지지되어서 상기 접속용 단부를 눌러서 홀딩 가홀딩부를 갖는 케이블 홀더와, 상기 접속용 단부를 홀딩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도체 노출부가 감겨져 있는 상태의 상기 케이블 홀더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해당 삽입구에 해당 케이블 홀더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감합하는 감합용 하우징과, 상기 삽입구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감합용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가 해당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홀딩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프레스하는 동시에, 되접어 꺾어진 상태의 상기 접속용 단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의 도체 노출부가 케이블 홀더의 케이블 와인딩부에 감겨지고, 또한 가홀딩부에 의하여 접속용 단부가 눌려서 홀딩된다. 이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과 함께 케이블 홀더가 감합용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되고, 삽입구내에 형성된 협지부에 의하여 가홀딩부가 케이블 와인딩부에 프레스되는 동시에, 접속용 단부도 케이블 와인딩부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되도록 협지된다. 그리고, 이 전기적 접속 장치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가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과 복수 의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전기적 접속 장치에 의하면, 케이블 홀더가 감합용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으로, 케이블 와인딩부에 감겨져서 가홀딩부에 눌려진 플랫 케이블이 협지부에 의하여 강고하게 홀딩되게 된다. 그리고, 도체 노출부는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되접어 꺾이도록 감겨져 있기 때문에, 노출한 양면의 도체 노출부를 복수의 단자에 의하여 케이블 와인딩부에 향하여 끼우도록 하고, 각 도체와 각 단자를 높은 접촉력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외력의 작용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랫 케이블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여 확실히 홀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랫 케이블과 단자와의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2의 특징은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도체와 상기 절연 피복이 일체로 되어서 압출(押出) 성형에 의해 형성된 압출형 플랫 케이블인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출형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라미네이트 타입인 경우와 같이 층 형상으로 적층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과는 달리, 층 상으로 박리하게 되는 것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3의 특징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접속용 단부는 상기 절연 피복이 상기 복수의 도체의 신장(伸張) 방향을 따라서 뽑아지도록 벗겨짐으로써, 상기 도체 노출부가 형성하는 동시에, 뽑아지도록 빼내진 상기 절연 피복이 해당 접속용 단부에 있어서 일부 남겨지도록 배치된 절연 피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의 단부측의 절연 피복을 도체의 신장 방향으로 뽑아 내도록 하여 벗김으로써, 그 단부에 있어서의 가장 선단측에 절연 피복부가 배치되고, 그 근처에 도체 노출부가 배치된 구성의 접속용 단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랫 케이블에 구멍을 뚫는 등의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플랫 케이블의 홀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홀더에 걸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 절연 피복부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홀더에 걸기 위한 부분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멍 뚫기 가공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는 가공을 행할 필요가 없고, 공정수의 증가를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4의 특징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가홀딩부는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단부를 눌렀을 때에 상기 절연 피복부를 굴곡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두꺼운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홀딩부의 선단 부분에 두꺼운 부분을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구성으로, 가홀딩부에서 접속용 단부를 누를 때에 절연 피복부를 굴곡되어서 플랫 케이블의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5의 특징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는 상기 가홀딩부에 의하여 상기 접속용 단부가 눌린 상태에서 상기 절연 피복부와 계지(係止) 가능한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홀딩부에서 접속용 단부를 누르는 동시에, 절연 피복부와 케이블 와인딩부의 단부를 계지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플랫 케이블의 홀딩력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6의 특징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는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과 하면을 따라서 되접어 꺾이도록 도체 노출부가 감겨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면과 하면을 따라서 평행한 상태에서 노출한 양면의 도체 노출부를 복수의 단자에 의하여 케이블 와인딩부에 향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끼우도록 하여 프레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도체와 각 단자를 보다 높은 접촉력으로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7의 특징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는 상기 도체 노출부가 감겨졌을 때에 해당 도체 노출부에서 노출하고 있는 동시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도체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의 도체 노출부가 케이블 홀더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그 도체 노출부에서 평행하게 뻗어 있는 각 도체문에 리브가 각각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도체 사이에 있는 절연 상태가 리브에 의하여 항상 확보되게 되고, 도체 간격 및 단자 간격의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도체와 단자가 마찰하는 것으로 발생하기 쉬운 잔존물(remain), 버(burr)나, 도금 내부 응력 등에 의해 석출되는 휘스커(whisker)에 의하여 도체 사이에서 단락 상태가 생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8의 특징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는 그 폭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입설(立設)되어 있고, 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가홀딩부와 상기 측벽부에는 그 중 어느 한 쪽에 제 1 철(凸)부가 그 다른 쪽에 제 1 요(凹)부가 형성되고, 해당 가홀딩부가 상기 접속용 단부를 누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凸)부와 상기 제 1 요(凹)부가 서로 계합(係合)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철(凸)부와 제 1 요(凹)부가 계합함으로써, 케이블 와인딩부에 감겨져서 가홀딩부에 의해 눌린 상태의 접속용 단부가 더욱 강고하게 홀딩되게 되고, 보다 확실한 플랫 케이블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9의 특징은 상기 감합용 하우징에는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삽입되었을 때에 해당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계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1 탄성 변형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계지한 후에 추가로 해당 감합용 하우징이 해당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탄성 변형부가 변형하여 해당 돌기부와 해당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계지가 해제되어서 해당 감합용 하우징과 해당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감합이 완료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감합용 하우징을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삽입했을 때에, 우선 감합용 하우징의 돌기부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계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감합용 하우징을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대하여 삽입함으로써, 돌기부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계지가 해제되었을 때에 생기는 관성력(감합용 하우징이 계지 해제와 동시에 급가속되도록 부세(energized)되어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감합용 하우징과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감합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감합이 미완성인 채의 상태인 반감합 상태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0의 특징은 상기 감합용 하우징은 해당 감합용 하우징이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도체 노출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을 덮는 동시에, 해당 접촉 영역으로 도달하는 우회 경로를 형성하도록, 해당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내에 형성되어 있는 내벽을 따르는 우회 경로 형성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감합용 하우징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감합한 상태에서는 도체 노출부와 단자와의 접촉 영역은 감합용 하우징의 우회 경로 형성 부분에서 덮이게 된다. 그리고, 추가로,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내의 내벽과 감합용 하우징의 우회 경로 형성 부분에 의하여 접촉 영역과 외부와의 사이에 우회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접촉 영역까지 물 등의 액체가 침수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1의 특징은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내의 상기 내벽은 상기 복수의 단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하여 형성되어 있는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이고, 상기 우회 경로 형성 부분은 상기 감합용 하우징이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측벽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하여 형성되어 있는 감합 하우징 측벽부인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내벽인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의 주위에, 추가로 우회 경로 형성 부분으로서 감합 하우징 측벽부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기구로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2의 특징은 상기 협지부는 상기 가홀딩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프레스하는 상측 협지 부분과,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감겨져서 인출되는 측에 있어서 해당 케이블 와인딩부를 따라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 협지 부분을 구비하고, 해당 상측 협지 부분과 해당 하측 협지 부분과의 사이에 되접어 꺾인 상태의 상기 접속용 단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홀딩부 및 케이블 와인딩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는 상측 협지 부분과 하측 협지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되접어 꺾인 상태의 접속용 단부를 케이블 와인딩부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하는 협지부를 간단하고 쉬운 기구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3의 특징은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가홀딩부란 상기 케이블 홀더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서로 당접하고 부세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의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측 협지 부분 및 가홀딩부에는 서로 부세하는 테이퍼 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홀더를 감합용 하우징의 삽입구에 압입(壓入)하도록 하고 삽입하여 협지부에 의해 케이블 홀더를 강고하게 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4의 특징은 상기 상측 협지 부분은 상기 삽입구의 개구측에 향하여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2 탄성 변형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측 협지 부분은 가요성의 제 2 탄성 변형부로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측 협지 부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홀딩부를 강하게 프레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탄성 변형부를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구성으로 협지부에 의한 높은 협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5의 특징은 상기 하측 협지 부분은 상기 삽입구의 개구측에 향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하고 있는 가요성의 제 3 탄성 변형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측 협지 부분은 가동성의 제 3 탄성 변형부로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하측 협지 부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케이블 와인딩부를 강하게 프레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 탄성 변형부를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협지부에 의한 높은 협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6의 특징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측면과 상기 감합용 하우징의 상기 삽입구에는 그 중 어느 한 쪽에 제 2 철(凸)부가 그 다른 쪽에 제 2 요(凹)부가 형성되고, 해당 케이블 홀더의 해당 삽입 구에의 삽입이 완료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철(凸)부와 상기 제 2 요(凹)부가 서로 계합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철(凸)부와 제 2 요(凹)부가 계합하는 것으로, 케이블 홀더가 감합용 하우징에 대하여 더욱 강고하게 홀딩됨으로써, 보다 확실한 플랫 케이블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밝혀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able) 등으로 일반적으로 불리고 있으며, 복수의 도체를 갖는 플랫 케이블을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를 지지하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대하여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을 그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로서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으로 이용되는 각종 커넥터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그 용도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광범위한 용도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고, 많은 다른 환경에서 또 각종의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1)를 이 전기적 접속 장치(1)와 접속되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 함께 예시한 사시도이다.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는 거의 직사각형의 외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단자(3)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단자(3)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한 쪽측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4)에 있어서 노출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즉,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다른 쪽측에 형성된 지지부(도 19 등 참조)에서 지지된 복수의 단자(3)가 개구부(4)내에서 돌출하여 노출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적 접속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을 홀딩한 상태에서,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대하여 그 개구부(4)에 감입되도록 하여 감합한다. 도 2는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가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가 완성하는 것으로,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11)과 복수의 단자(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도 3은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 장치(1)는 플랫 케이블(11)과 케이블 홀더(12)와 감합용 하우징(1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합용 하우징 요소(13)내에 형성되어 있는 협지부(14)(도 16 등 참조)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11)을 가홀딩 상태에서 홀딩한 케이블 홀더(12)가 도 3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1)의 상태가 완성하게 된다.
도 4는 1 플랫 케이블(11)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플랫 케이 블(11)의 평면도(도 4a)과 측면도(도 4b)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5는 도 4a의 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플랫 케이블(11)의 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은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도체(21)와 이 복수의 도체(21)를 덮는 절연 피복(22)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복수의 도체(21)로서 5 개의 도체(21)를 갖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 이 플랫 케이블(11)은 복수의 도체(21)와 절연 피복(22)이 일체로 되어서 압출하여 성형에 의해 형성된 압출형 플랫 케이블 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플랫 케이블(11)에 있어서의 일단측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 노출부(24)와 절연 피복부(25)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용 단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도체 노출부(24)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3)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절연 피복(22)이 제거되어서 복수의 도체(21)가 노출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도체 노출부(24)는 절연 피복(22)이 복수의 도체(21)의 신장 방향(도 4 중의 화살표 c 방향)을 따라서 뽑아내지도록 벗김으로써 형성된다. 또, 절연 피복부(25)는 도체 노출부(24)를 형성하기 때문에 뽑아지도록 빼내진 절연 피복(22)이 접속용 단부(23)에 있어서 일부 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플랫 케이블(11)에 있어서 도체 노출부(24)와 절연 피복부(25)를 갖는 접속용 단부(23)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랫 케이블(11)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용 단부(23)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 태의 플랫 케이블(11)에 있어서의 접속용 단부(23)를 형성하고자 하는 지점에서, 복수의 도체(21) 이외의 절연 피복(22)의 부분에 대하여 절삭 깊이를 넣는다. 그 후, 그 절삭 깊이를 넣은 부분으로부터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21)의 신장 방향을 따라서 뽑아 내도록 절연 피복(22)을 벗겨 간다. 그리고, 뽑아 내고 있는 절연 피복(22)이 소정의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뽑아낸 절연 피복(22)의 선단측의 부분에서 도체(2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인 절연 피복단(22a)(도 6c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용 단부(2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내는 플랫 케이블(11)이 형성되게 된다.
도 7은 케이블 홀더(12)의 사시도이다. 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2)는 케이블 와인딩부(26)와 가홀딩부(2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 와인딩부(26)는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가 되접어 꺾이도록 감겨지는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 가홀딩부(27)는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와인딩부(26)와 이 가홀딩부(27)와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홀딩부(27)가 회동되는 것으로, 이 가홀딩부(27)에 의하여 접속용 단부(23)를 눌러서 홀딩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블 홀더(12)의 구성에 대해 그 작동 형태와 함께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4는 케이블 홀더(12)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11)을 홀딩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케이블 홀더(12)의 케이블 와인딩부(26)에는 가홀딩부(27)가 회동 자재에 장착되어 있는 측인 상면측에 있어서, 계단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상태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계단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단부(28)에 대하여, 도 8 중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에 있어서의 접속용 단부(23)의 절연 피복부(25)가 배치된다. 도 9는 플랫 케이블(11)에 있어서의 절연 피복부(25)가 케이블 홀더(12)에 있어서의 케이블 와인딩부(26)의 계단부(28)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랫 케이블(11)의 절연 피복부(25)가 케이블 홀더(12)의 계단부(28)에 배치되면, 계속하여 이 상태에서 도 9 중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홀딩부(27)가 회동된다. 그리고, 도 10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가 케이블 홀더(12)의 가홀딩부(27)에 의하여 눌리게 된다.
또,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2)에는 제 1 철(凸)부(29), 제 1 요(凹)부(30), 두꺼운 부분(31), 리브(32), 측벽부(33) 등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3)는 케이블 와인딩부(26)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입설된 벽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철(凸)부(29)는 가홀딩부(27)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나온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 1 요(凹)부(30)는 측벽부(33)의 내측(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향하는 측)에 각각 움푹 패여서 형성된 그루브(groove) 형상의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홀딩부(27)가 회동되어서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 있 어서는 한 쌍의 제 1 철(凸)부(29)가 한 쌍의 제 1 요(凹)부(30)와 각각 계합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가홀딩부(27)측에 요(凹)부가 설치되고, 측벽부(33)측에 철(凸)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케이블 홀더(12)의 리브(32)는 케이블 와인딩부(26)의 케이블 와인딩 방향을 따라서 복수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브(32)는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가 케이블 와인딩부(26)에 감겨졌을 때에 도체 노출부(24)에서 노출하고 있는 동시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도체(2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10, 도 14 등 참조)
케이블 홀더(12)의 두꺼운 부분(3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홀딩부(27)에 있어서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꺼운 부분(31)은 가홀딩부(27)가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를 눌렀을 때에 절연 피복부(25)를 굴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가홀딩부(27)를 회동하기 전의 상태(도 11a)와, 가홀딩부(27)가 회동하여 케이블 와인딩부(26)와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를 누른 상태(도 11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12는 도 11b에 있어서의 가홀딩부(27)의 근방의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홀딩부(27)를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도 11b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가 가홀딩부(27)에 눌린 상태로 하면, 가홀딩부(27)의 두꺼운 부분(31)에 의하여 접속용 단부(23)의 절연 피복부(25)가 굴곡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 와인딩부(26)의 계단부(28)는 가홀딩부(27)에 의하여 접속용 단부(23)가 눌린 상태에서 절연 피복부(25)와 계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 와인딩부(26)는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면(34)과 하면(3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케이블 홀더(12)와 플랫 케이블(11)을 도 10과는 반대측(하면(35)측)을 위로 하여 본 사시도이다. 케이블 와인딩부(26)에 있어서의 하면(35)측에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가 감겨진 상태(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3 중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진다. 도 14는 케이블 와인딩부(26)의 하면(35)측까지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체 노출부(25)가 게이블 와인딩부(26)의 상면(34) 및 하면(35)을 따라서 되접어 꺾어지도록 감겨져 있다. 그리고, 도체 노출부(25)에 있어서의 각 도체(21) 사이에는 리브(32)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5는 감합용 하우징(13)의 사시도이다. 감합용 하우징(13)은 거의 직사각형의 외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용 하우징(15)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의 접속용 단부(23)를 홀딩하고 있는 동시에, 도체 노출부(25)가 감겨져 있는 상태의 케이블 홀더(12)가 삽입되는 삽입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용 하우징(15)은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져서 홀딩된 상태의 케이블 홀더(12)가 삽입구(3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 와 감합하게 되어 있다.
또, 감합용 하우징(13)에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개구부(4)에 삽입되었을 때에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 계지하는 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1 탄성 변형부(37)가 캔틸레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6은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져서 홀딩된 상태의 케이블 홀더(12)가 감합용 하우징(13)에 대하여 그 삽입구(36)로부터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용 하우징(13)은 가운데가 빈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구(36)에 대하여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진 상태의 케이블 홀더(12)가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삽입되게 된다. 도 17은 케이블 홀더(12)가 플랫 케이블(11)과 함께 삽입구(36)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삽입구(36)내의 양측면에는 제 2 요(凹)부(39)가 형성되어 있고(도 16 참조), 또한 케이블 홀더(12)의 양측면에는 제 2 철(凸)부(40)가 형성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로 인해, 케이블 홀더(12)의 삽입구(36)에의 삽입이 완료한 위치에 있어서 제 2 요(凹)부(39)와 제 2 철(凸)부(40)가 서로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부(14)는 감합용 하우징(13)에 있어서 삽입구(36)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협지부(14)는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진 케이블 홀더(12)가 삽입구(36)에 삽입되는 것으로, 케이블 홀더(12)의 가홀딩부(27)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하여 프레스하는 동시에, 되접어 꺾어진 상태의 접속용 단부(23)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양측으로부터 프레 스하도록 협지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부(14)는 상측 협지 부분(42)과 하측 협지 부분(4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측 협지 부분(42)은 케이블 홀더(12)의 가홀딩부(27)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하여 프레스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 협지 부분(42)은 삽입구(36)의 개구측에 향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2 탄성 변형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측 협지 부분(42)은 플랫 케이블(11)이 케이블 홀더(12)의 케이블 와인딩부(26)에 감겨져서 인출되는 측에 있어서 그 케이블 와인딩부(26)를 따라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협지 부분(43)도 상측 협지 부분(42)과 동일하게 삽입구(36)의 개구측에 향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3 탄성 변형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협지부(14)는 이러한 상측 협지 부분(42)과 하측 협지 부분(43)과의 사이에 되접어 꺾인 상태의 접속용 단부(23)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하게 되어 있다.
도 18은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진 상태의 케이블 홀더(12)의 감합용 하우징(13)에의 삽입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 장치(1)의 단면도이다. 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부(14)의 상측 협지 부분(42)에는 테이퍼 형상의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45)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케이블 홀더(12)의 가홀딩부(27)에도 테이퍼 형상의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4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측 협지 부분(42)측의 테이퍼부(45)와 가홀딩부(27)측의 테이퍼부(46)는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져서 홀딩된 케이블 홀더(12)가 삽입구(36)에 삽입되는 것으로 서로 당접하고 부세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11)은 접속용 단부(23)의 절연 피복부(25)가 가홀딩부(27)로 프레스되어서 다시 케이블 와인딩부(26)에 감겨져서 인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감합용 하우징(13)의 삽입구(36)에 케이블 홀더(12)와 함께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삽입 과정에 있어서, 상측 협지 부분(42)에 당접한 가홀딩부(27)에 의하여 접속용 단부(23)의 절연 피복부(25)가 눌러지면서 하측 협지 부분(43)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11)이 도 18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를 케이블 홀더(12)의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밀착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플랫 케이블(11)이 감겨진 케이블 홀더(12)의 감합용 하우징(13)에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도 18에 나타내는 상태)의 전기적 접속 장치(1)를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접속할 때에 있어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1), 케이블 홀더(12), 및 감합용 하우징(13)이 일체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전기적 접속 장치(1)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감합하여 접속되기 위해 그 개구부(4)에 대하여 삽입된다.
도 20은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접속 도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전기적 접속 장치(1)를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개구부(4)에 삽입하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용 하우징(13)에 설치된 제 1 탄성 변형부(37)의 돌기부(38)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일부의 둘레 벽의 가장자리 부분과 계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와 단자(3)가 아직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인 채이도록, 돌기부(38)가 설치되는 위치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탄성 변형부(37)는 감합용 하우징(13)에 있어서의 감합 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에 향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캔틸레버 자유단측에 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38)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과 계지한 후에 다시 감합용 하우징(13)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개구부(4)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 1 탄성 변형부(37)가 탄성 변형하여 돌기부(38)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계지가 해제되게 된다. 돌기부(38)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계지가 해제되면, 그 계지가 해제되었을 때에 생기는 관성력(감합용 하우징(13)이 계지 해제되는 동시에, 급가속되도록 부세되어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행하고, 감합용 하우징(13)과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감합이 완료되게 된다. 즉,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이 완성하게 된다. 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접속이 완성한 상태에서는 케이블 홀더(12)와 감합용 하우징(13)에 의하여 강고하게 홀딩된 플랫 케이블(11)에 있어서의 도체 노출부(24)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지지된 단자(3)와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성립하게 된다. 또한,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접속이 완성한 상태에서는 제 1 탄성 변형부(37)의 돌기부(38)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내주(內周)에 있어서 철(凸) 형상으로 형성된 계합부(47)와 계합되게 되어 있고, 이로 인해서 로크(lock) 기구가 성립하여 전기적 접속 장치(1)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게 되어 있다.
또,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내에는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48)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지지된 복수의 단자(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하여 형성되어 있는 내벽을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감합용 하우징(13)에는 이 감합용 하우징(13)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감합되었을 때에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4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하여 형성되어 있는 감합 하우징 측벽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 하우징 측벽부(49)는 도 2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용 하우징(13)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감합되었을 때에,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와 복수의 단자(3)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감합 하우징 측벽부(49)는 상기 접촉 영역을 덮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 접촉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의 우회 경로를 형성하도록,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의 내벽인 피접속용 하우징 측벽부(48)를 따르는 우회 경로 형성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 장치(1)에 대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가 케이블 홀더(12)의 케이블 와인딩부(26)에 감겨지고, 다시 가홀딩부(27)에 의하여 접속용 단부(23)를 눌러서 홀딩된다. 이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1)과 함 께 케이블 홀더(12)가 감합용 하우징(13)의 삽입구(36)에 삽입되고, 삽입구(36)내에 형성된 협지부(14)에 의하여 가홀딩부(27)가 케이블 와인딩부(26)에 프레스되는 동시에, 접속용 단부(23)도 케이블 와인딩부(26)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되도록 협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전기적 접속 장치(1)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가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11)과 복수의 단자(3)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케이블 홀더(11)가 감합용 하우징(13)에 삽입되는 것으로, 케이블 와인딩부(26)에 감겨져서 가홀딩부(27)로 눌린 플랫 케이블(11)이 협지부(14)에 의하여 강고하게 홀딩되게 된다. 그리고, 도체 노출부(24)는 케이블 와인딩부(26)에 대하여 되접어 꺾이도록 감겨져 있기 때문에, 노출한 양면의 도체 노출부(24)를 복수의 단자(3)에 의하여 케이블 와인딩부(26)에 향하여 끼우도록 하고, 각 도체(21)와 각 단자(3)를 높은 접촉력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외력이 작용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랫 케이블(11)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여 확실하게 홀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플랫 케이블(11)과 단자(3)와의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1)로서 압출형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라미네이트 타입의 경우와 같이 층 형상으로 적층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과는 달리, 층 형상으로 박리되는 것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1)의 단부측의 절연 피복(22)를 도체(21)의 신장 방향으로 뽑아 내도록 하여 벗김으로써, 그 단부에 있어 서의 가장 선단측에 절연 피복부(25)가 배치되고, 그 근처에 도체 노출부(24)가 배치된 구성의 접속용 단부(2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랫 케이블(11)에 구멍을 뚫는 등이 가공을 하지 않아도, 플랫 케이블(11)의 홀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홀더(12)에 걸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 절연 피복부(25)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홀더(12)에 걸기 위한 부분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멍뚫기 가공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는 가공을 행할 필요가 없고, 공정 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가홀딩부(27)의 선단 부분에 두꺼운 부분(31)을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가홀딩부(27)와 접속용 단부(23)를 누를 때에 절연 피복부(25)를 굴곡시켜서 플랫 케이블(11)의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가홀딩부(27)로 접속용 단부(23)를 누르는 동시에, 절연 피복부(25)와 케이블 와인딩부(26)의 계단부(28)를 계지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플랫 케이블(11)의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케이블 와인딩부(26)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34)과 하면(35)을 따라서 되접어 꺾이도록 도체 노출부(24)가 감겨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면(34)과 하면(35)을 따라서 평행한 상태에서 노출한 양면의 도체 노출부(24)를 복수의 단자(3)에 의하여 케이블 와인딩부(26)에 향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끼우도록 하여 프레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도체(21)와 각 단자(3)를 보다 높은 접촉력으로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가 케이블 홀더(12)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그 도체 노출부(24)에서 평행하게 뻗어 있는 각 도체(21) 사이에 리브(32)가 각각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도체(21) 사이에 있어서의 절연 상태가 리브(32)에 의하여 항상 확보되게 되고, 도체 간격 및 단자 간격의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도체(21)와 단자(3)가 마찰하여 발생하기 쉬운 휘스커에 의하여 도체(21) 사이에서 단락 상태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제 1 철(凸)부(29)와 제 1 요(凹)부(30)가 계합하는 것으로, 케이블 와인딩부(26)에 감겨져서 가홀딩부(27)에 의해 눌린 상태의 접속용 단부(23)가 더욱 강고하게 홀딩되게 되고, 보다 확실한 플랫 케이블(11)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게 된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감합용 하우징(13)을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삽입했을 때에, 우선 감합용 하우징(13)에 있어서의 제 1 탄성 변형부(37)의 돌기부(38)가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 계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감합용 하우징(13)을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대하여 삽입하는 것으로, 돌기부(38)와 피접속용 하와징 요소(2)와의 계지가 해제되었을 때에 생기는 관성력(상술한 바와 같이, 감합용 하우징(13)이 계지 해제와 함께 급가속되도록 부세되어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고, 감합용 하우징(13)과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의 감합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감합이 미완성인 채인 상태인 반감합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감합용 하우징(13)이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와 감합한 상태에서는 플랫 케이블(11)의 도체 노출부(24)와 단자(3)와의 접촉 영역은 감합용 하우징(13)의 우회 경로 형성 부분인 감합 하우징 측벽부(49)로 덮이게 된다. 그리고, 또한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내의 내벽인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48)와 감합용 하우징(13)의 감합 하우징 측벽부(49)에 의해, 접촉 영역과 외부와의 사이에 우회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접촉 영역까지 물 등의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2)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내벽인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48)의 주위에, 추가로 우회 경로 형성 부분으로서 감합 하우징 측벽부(49)를 설치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쉬운 기구로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가홀딩부(27) 및 케이블 와인딩부(26)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는 상측 협지 부분(42)과 하측 협지 부분(43)을 설치함으로써, 되접어 꺾인 상태의 접속용 단부(23)를 케이블 와인딩부(26)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하는 협지부(14)를 간단하고 쉬운 기구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상측 협지 부분(42) 및 가홀딩부(27)에는 서로 부세하는 테이퍼부(45ㆍ4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홀더(12)를 감합용 하우징(13)의 삽입구(36)에 압입하도록 하고 삽입하여 협지부(14)에 의해 케이블 홀더(12)를 강고하게 협지시킬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상측 협지 부분(42)은 가요성의 제 2 탄성 변형부로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측 협지 부분(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홀딩부(27)를 강하게 프레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탄성 변형부를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협지부(14)에 의한 높은 협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하측 협지 부분(43)은 가요성의 제 3 탄성 변형부로 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하측 협지 부분(4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케이블 와인딩부(26)를 강하게 프레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 탄성 변형부를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협지부(14)에 의한 높은 협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제 2 철(凸)부(40)와 제 2 요(凹)부(39)가 계합함으로써, 케이블 홀더(12)가 감합용 하우징(13)에 대하여 더욱 강고하게 홀딩되게 되고, 보다 확실한 플랫 케이블(11)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연히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변형예 및 응용예가 분명하게 되도록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관한 변형예 및 응용예, 및 그 균등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1) 플랫 케이블는 압출형 플랫 케이블이 아니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의 도체 노출부의 형태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대로 가 아니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2) 케이블 홀더, 감합용 하우징, 및 협지부의 전체 형상이나, 그것들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와인딩부, 가홀딩부, 삽입구, 제 1 탄성 변형부, 우회 경로 형성 부분, 상측 협지 부분, 하측 협지 부분 등의 위치나 형상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한계에 있어서 넓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 장치는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able) 등으로 일반적으로 불리고 있으며, 복수의 도체를 갖는 플랫 케이블을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 장치는 복수의 단자를 지지하는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대하여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을 그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로서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으로 이용되는 각종 커넥터 등으로 해서 이용하는 일이 생기지만, 그 용도에 한정하지 않으며, 보다 광범위한 용도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고, 많은 다른 환경에서 각종의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복수의 단자를 지지하는 피접속용 하우징(housing) 요소에 대하여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절연 피복이 제거되어서 복수의 도체가 노출하고 있는 도체 노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용 단부를 일단(一端)측에 갖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
    상기 도체 노출부가 되접어 꺾이도록 감겨지는 케이블 와인딩(winding)부와,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회동 자재(回動 自在)로 지지되어서 상기 접속용 단부를 눌러서 홀딩(holding)하는 가(假)홀딩부를 갖는 케이블 홀더와,
    상기 접속용 단부를 홀딩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도체 노출부가 감겨져 있는 상태의 상기 케이블 홀더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 상기 케이블 홀더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감합(嵌合)하는 감합용 하우징(fitting housing)과,
    상기 삽입구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감합용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홀딩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프레스(press)하는 동시에, 되접어 꺾인 상태의 상기 접속용 단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clamping)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도체와 상기 절연 피복이 일체로 되어서 압출하여 성형에 의해 형성된 압출형 플랫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접속용 단부는 상기 절연 피복이 상기 복수의 도체의 신장(伸張) 방향을 따라서 뽑아지도록 벗겨짐으로써, 상기 도체 노출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뽑아지도록 빼내진 상기 절연 피복이 상기 접속용 단부에 있어서 일부 남겨지도록 배치된 절연 피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가홀딩부는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회동(回動) 자재(自在)로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단부를 눌렀을 때에 상기 절연 피복부를 굴곡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두꺼운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는 상기 가홀딩부에 의하여 상기 접속용 단부가 눌린 상태에서 상기 절연 피복부와 계지 가능한 계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는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는 상기 도체 노출부가 감겨졌을 때에 상기 도체 노출부에서 노출하고 있는 동시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도체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는 그 폭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입설(立設)되어 있는 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가홀딩부와 상기 측벽부에는 그 중 어느 한 쪽에 제 1 철(凸)부가 그 다른 쪽에 제 1 요(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홀딩부가 상기 접속용 단부를 누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凸)부와 상기 제 1 요(凹)부가 서 로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용 하우징에는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계지(係止)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1 탄성 변형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 계지한 후에 다시 상기 감합용 하우징이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탄성 변형부가 변형하여 상기 돌기부와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감합용 하우징과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와의 감합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용 하우징은 상기 감합용 하우징이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도체 노출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을 덮는 동시에, 상기 접촉 영역으로 도달하는 우회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내에 형성되어 있는 내벽을 따르는 우회 경로 형성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내의 상기 내벽은 상기 복수의 단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하여 형성되어 있는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이고,
    상기 우회 경로 형성 부분은 상기 감합용 하우징이 상기 피접속용 하우징 요소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피접속 하우징 측벽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하여 형성되어 있는 감합 하우징 측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기 가홀딩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프레스하는 상측 협지 부분과,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감겨져서 인출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를 따라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 협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협지 부분과 상기 하측 협지 부분과의 사이에 되접어 꺾인 상태의 상기 접속용 단부를 상기 케이블 와인딩부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프레스하도록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협지 부분과 상기 가홀딩부는 상기 케이블 홀더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서로 당접하여 부세(energized)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의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협지 부분은 상기 삽입구의 개구측에 향하여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2 탄성 변형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협지 부분은 상기 삽입구의 개구측에 향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의 제 3 탄성 변형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측면과 상기 감합용 하우징의 상기 삽입구에는 그 중 어느 한 쪽에 제 2 철(凸)부가 그 다른 쪽에 제 2 요(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기 삽입구에의 삽입이 완료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철(凸)부와 상기 제 2 요(凹)부가 서로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KR1020060054897A 2005-06-21 2006-06-19 전기적 접속 장치 KR101124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0045A JP4291800B2 (ja) 2005-06-21 2005-06-21 電気的接続装置及びコネクタ
JPJP-P-2005-00180045 2005-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902A true KR20060133902A (ko) 2006-12-27
KR101124774B1 KR101124774B1 (ko) 2012-03-23

Family

ID=3688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897A KR101124774B1 (ko) 2005-06-21 2006-06-19 전기적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32334B2 (ko)
EP (1) EP1737074B1 (ko)
JP (1) JP4291800B2 (ko)
KR (1) KR101124774B1 (ko)
CN (1) CN100431222C (ko)
TW (1) TWI32650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2529B2 (en) 2013-12-06 2016-02-02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160047860A (ko) * 2014-10-23 2016-05-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059A (ja) * 2007-04-24 2008-11-06 Jst Mfg Co Ltd ケーブルホルダー、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7530839B1 (en) * 2008-04-15 2009-05-12 Jess-Link Product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393918B2 (en) * 2008-06-11 2013-03-12 Pulse Electronics, Inc. Miniaturized connectors and methods
FR2936658B1 (fr) * 2008-10-01 2013-01-18 Axon Cable Sa Ensemble et systeme de raccordement pour la connexion d'un cable plat a une embas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US8257119B2 (en) * 2008-12-19 2012-09-04 Honeywell Intern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affixing a silicon device to a support structure
JP5289154B2 (ja) * 2009-04-15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10151709A1 (en) * 2009-12-23 2011-06-23 Ho Kim Cable,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5547525B2 (ja) * 2010-03-17 2014-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末接続具
ITVI20110095A1 (it) * 2011-04-13 2012-10-14 Fecondo Diego De Connettore elettrico ad ingombro contenuto
US8840415B2 (en) 2011-10-05 2014-09-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able connector
JP6074711B2 (ja) 2013-09-10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電気的接続装置、コネクタ装置
JP6312028B2 (ja) * 2014-01-09 2018-04-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プラグ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9601841B2 (en) * 2014-10-16 2017-03-21 Hubbell Incorporated Wire terminal assembly and adapter kit
EP3026761A1 (de) * 2014-11-27 2016-06-01 odelo GmbH Direktsteckverbind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flexibler Leiterbahnträger in Fahrzeugleuchten
TWI678847B (zh) * 2016-04-28 2019-12-01 易鼎股份有限公司 以可撓性電路載板對應疊合的連接結構
DE102018206602A1 (de) * 2018-04-27 2019-10-31 De'longhi Braun Household Gmbh Kabelmontagebauteil und Elektrogerät
CN109273880B (zh) * 2018-09-25 2020-08-21 青岛科技大学 一种柔性电路板的电连接装置
CN109273878B (zh) * 2018-09-25 2020-09-01 龙南骏亚柔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的电连接装置
US10637171B1 (en) * 2019-03-15 2020-04-2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O2021011486A1 (en) 2019-07-16 2021-01-21 Cellink Corporation Terminal-free connectors and circuits comprising terminal-free connectors
CN114128052A (zh) * 2019-07-16 2022-03-01 塞林克公司 无端子连接器和包括无端子连接器的电路
KR20210034386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US10958004B1 (en) 2019-10-31 2021-03-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Location orientation of wiring relative to electrical connector
US11038288B2 (en) 2019-10-31 2021-06-15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splice connector
US11404836B2 (en) 2019-10-31 2022-08-02 Aptiv Technologies Limited Perpendicular electrical connector for wiring
US10797477B1 (en) 2019-10-31 2020-10-06 Aptiv Technologies Limited Clip for flat wiring and robotic assembly
EP4205242A1 (en) 2020-10-02 2023-07-05 CelLink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ing a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
US11791577B2 (en) 2020-10-02 2023-10-17 Cellink Corporation Forming connections to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s
US11296438B1 (en) * 2020-10-07 2022-04-0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terminal-less connection system
US12015221B2 (en) * 2021-03-16 2024-06-18 GE Precision Healthcare LLC Electrical connectors for medical devices
TWM620947U (zh) * 2021-06-25 2021-12-11 瀚荃股份有限公司 夾線連接器組件
US20230208066A1 (en) * 2021-12-29 2023-06-29 Lear Corporation Multiple row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terminal-less conn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319A (en) * 1970-08-20 1972-10-03 Berg Electronics Inc Flat conductor cable connector
JP2800719B2 (ja) * 1995-05-19 1998-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039600A (en) * 1997-10-10 2000-03-21 Molex Incorporated Male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
JP2000021478A (ja) 1998-06-19 2000-01-21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010359A (en) * 1998-07-08 2000-01-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shielded flat flexible circuitry
JP2000150030A (ja) * 1998-11-17 2000-05-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US6165008A (en) * 1999-12-10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6299476B1 (en) * 2000-10-04 2001-10-09 Fci Usa,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 flexible circuit and rigidizer subassembly and a spring
TW541766B (en) * 2001-05-25 2003-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US6558186B1 (en) * 2001-10-11 2003-05-06 Molex Incorporated Keyed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JP3732157B2 (ja) * 2002-06-14 2006-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DE10250933B3 (de) * 2002-10-31 2004-08-12 Fci Verbinderanordnung zwischen einem Flex-Flachbandkabel und einer elektrischen Leiterplatte
US6974344B2 (en) * 2003-08-12 2005-12-13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2529B2 (en) 2013-12-06 2016-02-02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160047860A (ko) * 2014-10-23 2016-05-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32334B2 (en) 2007-06-19
US20060286859A1 (en) 2006-12-21
TW200705749A (en) 2007-02-01
EP1737074B1 (en) 2014-05-07
EP1737074A3 (en) 2008-09-10
CN1885621A (zh) 2006-12-27
CN100431222C (zh) 2008-11-05
TWI326508B (en) 2010-06-21
EP1737074A2 (en) 2006-12-27
JP2007004987A (ja) 2007-01-11
KR101124774B1 (ko) 2012-03-23
JP4291800B2 (ja)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74B1 (ko) 전기적 접속 장치
JP4157383B2 (ja) フラット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の使用方法及び装置
WO2015105056A1 (ja) ケーブル保持部材、プラグ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TWI396341B (zh) 扁平軟性纜線之裝具
JP2007250362A (ja) コネクタ構造およびコネクタ式端子台構造
US6504724B2 (en) Structure of drawing out flexible circuit member
US20220029354A1 (en) Connector
CN111952815B (zh) 连接方法、连接结构、触头和连接器
JP4919361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4086317A (ja) 電子装置
JP2002289285A (ja) Ffc接続用コネクタ
EP4012851B1 (en) Connector
JP2009170310A (ja) 保持部材、電子部品、及び電子装置
JP7256094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9220317A (ja) コネクタ構造
JP2018022607A (ja) 電気コネクタ
CN113875096B (zh) 连接器
JP7337605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
US11158977B2 (en) Connector including guiding structure between cover and housing
JP2005259561A (ja)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係止構造
JP2018067461A (ja) 端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器具
JP2002246126A (ja) 同軸ケーブル用f型接栓
JPH0537433Y2 (ko)
JPH1131543A (ja) Fpc用コネクタ
JP407194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穴あき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