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386A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386A
KR20210034386A KR1020190116288A KR20190116288A KR20210034386A KR 20210034386 A KR20210034386 A KR 20210034386A KR 1020190116288 A KR1020190116288 A KR 1020190116288A KR 20190116288 A KR20190116288 A KR 20190116288A KR 20210034386 A KR20210034386 A KR 20210034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lat
conductor
flat cable
terminal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명
한준목
서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386A/ko
Priority to EP20194652.2A priority patent/EP3796339A1/en
Priority to PCT/KR2020/012572 priority patent/WO2021054745A1/en
Priority to CN202010991815.6A priority patent/CN112636041B/zh
Priority to US17/026,700 priority patent/US11322273B2/en
Publication of KR2021003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46Parallel wires, fixed upon a support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9Cables with built-in connecting points or with predetermined areas for making dev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23Parallel wires, incorporated in a flat insulat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69Flat or ribbon cables comprising one or more armouring, tensile- or compression-resistan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베이스 필름의 연장선을 교차하는 선을 따라 접히는 폴딩부를 구비하고, 독립적인 도선부를 형 성하여 전자기기 내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 상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1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1폴딩영역단자를 포함하는 제1도선, 제1방향으로 제1도선의 옆에 배치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2폴딩영역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제2도선으로서, 제2폴딩영역단자는 제1도선의 제1폴딩영역단자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도선을 포함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본 개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공간활용도 및 생산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분야에서 반도체 관련기기의 집적도 향상, 전장 장치 및 그에 따른 부품의 소형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각종 전자 부품들 간의 신호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플렉시블한 특성 때문에 더욱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 가능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한 면에 도선이 연결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필요할 경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양 끝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2개 필요하다고 할 때, 총 4개의 커넥터와 2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커넥터 및 케이블의 공간활용도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간활용도가 증대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존의 제조공정을 유지하며 1개의 케이블 제작만으로 2개의 케이블 제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정 효율화가 가능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조공정 상 재료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1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1폴딩영역단자를 포함하는 제1도선;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도선의 옆에 배치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2폴딩영역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제2도선으로서, 상기 제2폴딩영역단자는 상기 제1도선의 제1폴딩영역단자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선과 제2도선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상기 제1도선의 제1단자 및 제1폴딩역역단자와 상기 제2도선의 제2단자 및 제2폴딩영역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노출되는 방향이 반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을 따라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접히도록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와 제2폴딩영역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와 상기 제2폴딩영역단자가 형성된 위치가 오버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두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 및 제2폴딩영역단자는 상기 커넥터의 각각의 접속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은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전원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는 복수의 커넥터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보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선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와 상기 제2도선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도선 또는 제2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도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도선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도선을 포함하는 제1도선부;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도선부의 옆에 배치되는 제2도선부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도선으로부터 이격된 제2도선을 포함하는 제2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선부 및 상기 제2도선부가 오버랩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이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선부와 제2도선부 사이의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을 따라 베이스 필름이 접히도록 구성되는 폴딩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선부와 제2도선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상기 제1도선의 양단 및 상기 제2도선의 양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두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노출된 일단을 제1폴딩영역단자,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와 마주하는 상기 제2도선의 노출된 일단을 제2폴딩영역단자로 정의할 때,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 및 제2폴딩영역단자는 상기 커넥터의 각각의 접속부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선 또는 상기 제2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도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도선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1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도선; 상기 도선의 양 끝 단 사이의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을 따라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도선이 접히도록 상기 도선의 양단 사이에 형성되는 폴딩부;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접힘에 따라 상기 도선은 절단되어 상기 도선에 제1폴딩영역단자와 제2폴딩영역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선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 및 상기 제2폴딩영역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베이스 필름의 연장선을 교차하는 선을 따라 접히는 폴딩부를 구비하고, 독립적인 도선부를 형 성하여 전자기기 내의 공간활용도가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하나의 베이스 필름상에 독립적인 도선부를 형성하므로 기존의 제조공정을 유지하며 1개의 케이블 제작만으로 2개의 케이블 제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정 효율화가 가능하며 재료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A-A'선상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폴딩부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가 접힌 상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커넥터에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커넥터가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폴딩부가 홈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폴딩부가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상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폴딩부가 접히는 과정 및 제1폴딩영역단자 와 제2폴딩영역단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상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베이스 필름(10), 도선(20), 커버 필름(30), 보강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선(20)은 제1단자(21), 제2단자(22), 제1도선(20a), 제2도선(20b),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필름(10)은 제조 공정상 설정된 길이와 폭을 지니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은 재질이 내열성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필름(10)은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절연성, 내열성, 유연성 및 복원성을 갖는 열접착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베이스 필름(10)은 나일론(nylon), 아세테이트(acetat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베이스 필름(1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굽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는 도선(20)이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 도선(20)은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도선(20)은 베이스 필름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선(20)은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도선(20)은 서로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지만,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선(20)은 전기적 신호 또는 전류가 전송되는 구성이므로 전도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선(20)은 은, 동, 구리,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전도성을 지닌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별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도선(20)을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하고 그 위에 커버 필름(30)을 덮은 후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도선(20)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스트라이프 형태로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전도성 페이스트는 은충전제 함량이 50~70중량%에 바인더 함량이 30~5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전도성 페이스트는 은충전제 외에도 동충전제나 동에 은이 코팅된 충전제 또는, 구리,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다양한 함량비로 조합되는 등의 다양한 전도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인쇄기법으로는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로터리 스크린 인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도선(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10) 일면에 배치된 도선(20)의 상단에 커버 필름(30)을 배치한 후 베이스 필름(10)과 합착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 가공을 할 수 있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 필름(30)은 베이스 필름(10)과 같이 제조 공정상 설정된 길이와 폭을 지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필름(30)은 베이스 필름(10)상에 배치된 도선(20)을 피복하며 베이스 필름(10)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커버 필름(30)은 재질이 내열성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필름(30)은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절연성, 내열성, 유연성 및 복원성을 갖는 열접착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커버 필름(30)은 나일론(nylon), 아세테이트(acetat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커버 필름(3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굽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X)이라고 정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도선(20) 배치와 커버 필름(30)의 배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필름(10)상에 놓이는 도선(20)은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필름 상에서 제1도선(20a)은 제1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도선(20a)은 일단에 마련된 제1단자(21)와 타단에 마련된 제1폴딩영역단자(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선(20b)은 1방향(X)으로 제1도선(20a)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선(20b)은 일단에 마련된 제2폴딩영역단자(24)와 타단에 마련된 제2단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폴딩영역단자(24)는 제1도선(20a)의 제1폴딩영역단자(23)로부터 제1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선(20)(제1도선(20a), 제2도선(20b))은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도선(20)은 서로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지만,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1도선(20a)이 형성된 영역을 제1도선부(31), 복수개의 제2도선(20b)가 형성된 영역을 제2도선부(32)라고 정의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상에 제1방향(X)으로 제1단자(21)-제1폴딩영역단자(23)-제2폴딩영역단자(24)-제2단자(22) 순으로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과 커버 필름(30)은 열 접착성 수지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의 복수개의 도선(20)(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을 사이에 두고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하여 합착될 수 있다. 이때 커버 필름(30)은 제1단자(21),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 제2단자(22) 각각이 노출되도록 라이네이트 가공될 수 있다. 노출되는 제1단자(21),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 제2단자(22)의 길이는 연결되는 커넥터를 고려하여 접속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특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출된 제1단자(21),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 제2단자(22)Ni/Au 등으로 도금되어 도전성을 향상시키면서 산화되어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 도 4를 기준으로 접속강화부(11)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단자(21) 및 제2단자(22)의 주변에는 커넥터(60)와의 접속을 강화하고 안정적으로 전류 또는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베이스 필름(10)을 변형 가공할 수 있다. 즉 접속강화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필름(10)은 커버 필름(30)으로부터 도선의 노출이 시작되는 제1단자(21) 부근에서 베이스 필름(10)이 폭 방향으로 덴트 되도록 변형 가공될 수 있다. 커넥터(60)에는 이러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접속강화부(11)에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도면 미도시)에 접속강화부(11)가 연결되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과 커넥터(60)간에 안정적인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덴트 형식으로 접속강화부(11)가 형성되었지만 이와는 달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과 커넥터(60) 간의 접속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0)만을 변형하는 것이 아닌 커버 필름(30), 도선(20)의 형상이 변형되어 접속강화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의 구체적 배치 및 제1도선(20a), 제2도선(20b)의 전기적 신호 또는 전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X)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향(X)와 평행하지 않는 폴딩 라인(Y)이 정의될 수 있다. 폴딩 라인(Y)은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제1단자(21) 및 제2단자(22)의 사이에서 도선(20)(제1도선(20a), 제2도선(20b))을 노출시키며 폴딩 라인(Y)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형성된 제1폴딩영역단자부(23) 및 제2폴딩영역단자(24)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폴딩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도선(20b)은 제1방향(X)으로 제1도선(20a)옆에 배치되며, 제2도선(20b)의 제2폴딩영역단자(24)는 제1도선(20a)의 제1폴딩영역단자(23)로부터 제1방향(X)으로 이격되도록 제2도선(20b)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도선(20a)의 양단에는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1단자(2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도선(20b)의 양단에는 제2폴딩영역단자(24)와 제2단자(2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동일한 베이스 필름(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은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전류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도 1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폴딩부(50)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50)가 접힌 상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커넥터(60)에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과 커넥터(60)가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폴딩 라인(Y)을 따라서 형성되는 폴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50)는 베이스 필름(10)상에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폴딩부(50)를 기준으로 베이스 필름(10)이 접히게 되면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가 형성된 위치가 상하로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폴딩부(50)를 기준으로 베이스 필름(10)이 접힌 상태일 때, 폴딩부(50)에 인접한 상부 베이스 필름(10)에는 제1폴딩영역단자(23)가 위치하게 되고, 폴딩부(50)에 인접한 하부 베이스 필름(10)에는 제2폴딩영역단자(24)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도선(20a)이 형성된 영역을 제1도선부(31), 복수개의 제2도선(20b)가 형성된 영역을 제2도선부(32)라고 정의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폴딩부(50)를 기준으로 베이스 필름(10)이 접히게 되면, 제1도선부 및 상기 제2도선부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두 개의 접속부(61, 62)를 지니는 커넥터(6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60)는 제1접속부(61), 제2접속부(62), 체결부재(65), 커버(63) 및 가압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부(61) 및 제2접속부(62)는 각각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선(20)(제1도선(20a), 제2도선(20b))이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경우, 제1접속부(61)는 노출된 복수개의 제1폴딩영역단자(23)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접속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접속부(62)는 노출된 복수개의 제2폴딩영역단자(23)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접속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폴딩부(50)를 기준으로 베이스 필름(10)이 접힌 후에는 제1폴딩영역단자(23)가 커넥터(60)의 제1접속부(61)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제2폴딩영역단자부(24)가 커넥터(60)의 제2접속부(62)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선(20)(제1도선(20a), 제2도선(20b))이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경우, 노출된 복수개의 제1폴딩단자부(23)는 제1접속부(61)의 접속핀들에 대응되도록 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노출된 복수개의 제2폴딩단자부(24)는 제2접속부(62)의 접속핀들에 대응되도록 접할 수 있다.
제1,2폴딩영역단자(23,24)가 제1,2접속부(61,62)에 접한 후, 커버(63)를 닫게 되면 커버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던 가압부(64)는 제1접속부(61) 상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64)는 커버(63)의 안쪽에서 제1접속부(6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가압돌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돌기(64)들이 대응되는 제1접속부(61)의 접속핀을 가압하면 상하로 겹쳐있는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체결부재(65)를 통하여 커버(63)가 고정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커넥터(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도 4를 기준으로 제1단자(21), 제2단자(22)의 베이스 필름(10)상의 배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단자(21) 또는 제2단자(22)중 어느 하나는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단자(21) 또는 제2단자(22)는 양자 모두 베이스 필름(10)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경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접혔을 때, 제1단자(21)와 제2단자(22)가 형성되는 방향이 상이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1도선부(20a)의 제1단자(21)에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의 설치 방향과 제2도선(20b)에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의 설치 방향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설치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제1도선(20a) 또는 제2도선(20b) 중 어느 하나를 비틀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필름(30)으로부터 제1단자(21)또는 제2단자(22)의 노출이 시작되는 부분의 베이스 필름(10)에 천공(7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선(20)(제1도선(20a), 제2도선(20b))이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경우, 제1단자(21)또는 제2단자(22)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천공(70)이 베이스 필름(10)에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도선(20)(제1도선(20a), 제2도선(20b))을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하고 그 위에 커버 필름(30)을 덮은 후 가압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도선(20a), 제2도선(20b) 중 어느 하나가 베이스 필름(10)에 형성된 천공(70)을 통과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선(20)을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스트라이프 형태로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형성하고 그 위에 커버 필름(30)을 덮은 후 가압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10)에 형성된 천공(70)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채워 넣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천공(70)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채워 넣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도선(20a)과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형성된 제1단자(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천공(70)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채워 넣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된 제2도선(20b)과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형성된 제2단자(20b)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폴딩부(50)가 가압되어 폴딩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 1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폴딩부(50)가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베이스 필름(10)상에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사이에는 제1방향(X)을 교차하는 폴딩 라인(Y)을 따라서 형성되는 폴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딩부(50)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접히는 것이 용이하도록 폴딩 라인(Y)을 따라서 베이스 필름(10)에 홈 형상(51)이 형성 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접히는 것이 용이하도록 폴딩 라인(Y)을 따라서 베이스 필름(10)에 복수개의 천공(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홈 형상(51)이나 복수개의 천공(52)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필름(10)이 커넥터(60)에 결속되기 위하여 접히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베이스 필름의 일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보강 필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폴딩영역단자(23) 및 제2폴딩영역단자(24)를 지지하도록 도선(20)이 배치된 베이스 필름(10)의 일 면과 반대되는 면에 보강 필름(40)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필름(40)을 배치함으로써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 사이에서 전자파 차폐를 달성하여 전류 또는 신호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0)이 지니는 커넥터(60)에 결속되기 위하여 접힐 때, 베이스 필름(10)의 폴딩부(50)에서 파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동일한 베이스 필름(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도선(20a)과 제2도선은(20b)은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전류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때 제1도선(20a)의 길이와 제2도선(20b)의 길이는 상이 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사용 용도나 제조 공정상의 설계에 따라 제1도선(20a)의 길이와 제2도선(20b)의 길이는 상이 할 수 있다. 상이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이 전자기기내에 전자 부품이 효율적이고 컴팩트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상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 10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폴딩부(50)을 통하여 접힐 때, 폴딩부(50) 위에 배치된 도선이 폴딩 라인(Y)를 따라 절단되며 제1폴딩영역단자(23) 및 제2폴딩영역단자(24)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도 1의 플랫 케이블(1)과 같이 기본적으로 베이스 필름(10)과 도선(220), 커버필름(30), 보강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는 도선(22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경우 서로 분리된 제1도선(20a), 제2도선(20b)을 베이스 필름(10)상에 배치하였다. 반면 도 10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베이스 필름(10)에 분리된 도선이 아닌 하나의 도선(220)을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선(220)은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도선(220)은 서로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지만,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커버 필름(30)은 베이스 필름(10)과 같이 제조 공정상 설정된 길이와 폭을 지니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필름(30)은 베이스 필름(10)상에 배치된 도선(20)을 피복하며 베이스 필름(10)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과 커버 필름(30)은 열 접착성 수지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의 복수개의 도선(220)을 사이에 두고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하여 합착될 수 있다. 이때 커버 필름(30)은 제1단자(21),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 제2단자(22) 각각이 노출되도록 라이네이트 가공될 수 있다.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의 구체적 배치 및 제1도선(21), 제2도선(22)의 전기적 신호 또는 전류 처리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도 1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경우와 대부분 동일하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도 베이스 필름(10)상에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사이에 제1방향(X)을 교차하는, 또는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Y)을 따라서 형성되는 폴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도선(20a)과 제2도선(20b)은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전류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를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폴딩부가 접히는 과정 및 제1폴딩영역단자 와 제2폴딩영역단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폴딩되기 이전 상태에서, 도 1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과는 달리 베이스 필름(10)에 별개의 도선이 아닌 하나의 도선(220)을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는 물리적으로 이어져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도선(220)은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과 동일하다.
폴딩부(50)가 접히는 과정에서 폴딩부 위에 배치된 도선(220)이 절단되며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제1폴딩영역단자(23), 제2폴딩영역단자(24)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폴딩부(50)를 기준으로 베이스 필름(10)이 접히게 되면 제1폴딩영역단자(23)와 제2폴딩영역단자(24)가 형성된 위치가 상하로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폴딩부(50)를 기준으로 베이스 필름(10)이 접힌 상태일 때, 폴딩부(50)에 인접한 상부 베이스 필름(10)에는 제1폴딩영역단자(23)가 위치하게 되고, 폴딩부(50)에 인접한 하부 베이스 필름(10)에는 제2폴딩영역단자(24)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내용 이외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커넥터(60)에 연결되는 과정 또는 연결이 완료된 상태는 도 1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과 동일하다. 또한 도 10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부를 형성하거나 제1도선(20a) 및 제2도선(20b)의 길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0: 베이스 필름
11: 접속강화부
20, 220: 도선
20a: 제1도선
20b: 제2도선
21: 제1단자부
22: 제2단자부
23: 제1폴딩영역단자
24: 제2폴딩영역단자
30: 커버 필름
32 : 제2도선부
31 : 제1도선부
40: 보강 필름
50 : 폴딩부
52 : 폴딩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
51 : 폴딩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홈
60 : 커넥터
61 : 제1접속부
62 : 제2접속부
63: 커버
65 : 체결부재
64 : 가압부
70: 천공

Claims (20)

  1.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1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1폴딩영역단자를 포함하는 제1도선;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도선의 옆에 배치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2폴딩영역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제2도선으로서, 상기 제2폴딩영역단자는 상기 제1도선의 제1폴딩영역단자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도선;을 포함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과 제2도선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상기 제1도선의 제1단자 및 제1폴딩역역단자와 상기 제2도선의 제2단자 및 제2폴딩영역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노출되는 방향이 반대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을 따라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접히도록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와 제2폴딩영역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폴딩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와 상기 제2폴딩영역단자가 형성된 위치가 오버랩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두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 및 제2폴딩영역단자는 상기 커넥터의 각각의 접속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은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전원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는 복수의 커넥터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보강 필름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와 상기 제2도선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서로 다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 또는 제2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도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도선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
  14.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도선을 포함하는 제1도선부;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도선부의 옆에 배치되는 제2도선부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도선으로부터 이격된 제2도선을 포함하는 제2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선부 및 상기 제2도선부가 오버랩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이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부와 제2도선부 사이의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을 따라 베이스 필름이 접히도록 구성되는 폴딩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부와 제2도선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상기 제1도선의 양단 및 상기 제2도선의 양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두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노출된 일단을 제1폴딩영역단자,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와 마주하는 상기 제2도선의 노출된 일단을 제2폴딩영역단자로 정의할 때,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힐 경우,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 및 제2폴딩영역단자는 상기 커넥터의 각각의 접속부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 또는 상기 제2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도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도선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
  19.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 마련된 제1단자와 타단에 마련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도선;
    상기 도선의 양 끝 단 사이의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폴딩 라인을 따라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도선이 접히도록 상기 도선의 양단 사이에 형성되는 폴딩부;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접힘에 따라 상기 도선은 절단되어 상기 도선에 제1폴딩영역단자와 제2폴딩영역단자가 형성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폴딩영역단자 및 상기 제2폴딩영역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1020190116288A 2019-09-20 2019-09-2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20210034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88A KR20210034386A (ko) 2019-09-20 2019-09-2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EP20194652.2A EP3796339A1 (en) 2019-09-20 2020-09-04 Flexible flat cable
PCT/KR2020/012572 WO2021054745A1 (en) 2019-09-20 2020-09-17 Flexible flat cable
CN202010991815.6A CN112636041B (zh) 2019-09-20 2020-09-18 柔性扁平电缆
US17/026,700 US11322273B2 (en) 2019-09-20 2020-09-21 Flexible flat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88A KR20210034386A (ko) 2019-09-20 2019-09-2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86A true KR20210034386A (ko) 2021-03-30

Family

ID=7242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88A KR20210034386A (ko) 2019-09-20 2019-09-2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22273B2 (ko)
EP (1) EP3796339A1 (ko)
KR (1) KR20210034386A (ko)
CN (1) CN112636041B (ko)
WO (1) WO20210547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1246A (en) * 1964-03-16 1968-07-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conductor flat cables
US3820053A (en) * 1972-10-02 1974-06-25 Itt Electrical connector
US4066840A (en) * 1974-06-28 1978-01-03 Raychem Gmbh Strip supply lead with branch leads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557385B1 (fr) * 1983-12-23 1986-10-17 Nozick Jacques Connecteur electrique multipola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02319444A (ja) * 2001-04-20 2002-10-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794556B2 (ja) * 2001-12-03 2006-07-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配線材を積層した積層配線材
JP4291800B2 (ja) * 2005-06-21 2009-07-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及びコネクタ
JP2007335296A (ja) * 2006-06-16 2007-12-27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キャリアテープ付き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560026B2 (ja) * 2006-10-04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080073480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랫케이블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JP4506818B2 (ja) * 2007-11-15 2010-07-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0272345A (ja) * 2009-05-21 2010-12-02 Yazaki Corp 電線の被覆処理構造
KR101680380B1 (ko) * 2009-07-10 2016-11-2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JP5736137B2 (ja) * 2010-08-17 2015-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722616B2 (ja) * 2010-12-27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電路シールド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057088B1 (ko) * 2011-02-16 2011-08-16 (주) 우주케이에프씨 환형도체를 사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US20130037303A1 (en) * 2011-08-11 2013-02-14 P-Two Industries Inc. Flexible flat cable
JP5868240B2 (ja) * 2012-03-28 2016-02-24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付き回路基板
KR101396483B1 (ko) * 2012-08-30 2014-05-19 (주)오토테크코리아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CN105103243B (zh) * 2013-02-05 2017-11-28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电线结构体、电连接结构及电线结构体的制造方法
KR20140111745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케이블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6074711B2 (ja) * 2013-09-10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電気的接続装置、コネクタ装置
CN203434317U (zh) * 2013-09-16 2014-02-12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传输装置
KR101550994B1 (ko) * 2013-12-06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6312028B2 (ja) * 2014-01-09 2018-04-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プラグ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9576699B2 (en) * 2014-11-06 2017-02-21 Fuji Xerox Co., Ltd. Wiring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of design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80010525A (ko) 2016-07-21 2018-01-31 신창핫멜트 주식회사 양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US10219379B1 (en) * 2017-08-07 2019-02-26 Advanced Flexible Circuits Co., Ltd. Stack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side connection 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36041B (zh) 2024-06-11
US11322273B2 (en) 2022-05-03
US20210090760A1 (en) 2021-03-25
CN112636041A (zh) 2021-04-09
EP3796339A1 (en) 2021-03-24
WO2021054745A1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7168B2 (en) Differential mode signal transmission module
CN202678638U (zh) 高速连接器插入件和线缆设备
CN101436445B (zh) 屏蔽扁平电缆及其制造方法
JP5213629B2 (ja) 基板用電線接続構造体及び中継接続体の製造方法並びに中継接続体の固定方法
CN103608873B (zh) 嵌套式屏蔽带状电缆
US20130341072A1 (en) Composite flexible circuit planar cable
US5045641A (en) Mou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736186A (zh) 具有端接到电缆排流线的接地总线的电气装置
US8878065B2 (en) Flexible circuit cable with at least two bundled wire groups
JP4906964B2 (ja) 同軸ハーネスの接続構造
CN107887714A (zh) 电缆连接用结构和电缆用连接器
CN211907639U (zh) 传输线路装置
JP2013033851A (ja) フレキシブル配線モジュール及びフレキシブル配線装置
CN205646089U (zh) 信号线路
CN108575044A (zh) 印刷电路板及其组件
CN210403404U (zh) 电感器桥以及电子设备
KR20210034386A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EP3285338A1 (en) Multi-pole connector, connector device, case, and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multi-pole connector
CN213424640U (zh) 一种用于连接tv主板和wifi模块的ffc连接线
CN215647732U (zh) 电子设备
CN213304545U (zh) 柔性排线
TWI476788B (zh) Flexible standard cable and circuit board integrated cable structure
CN214381582U (zh) 一种柔性电路板
CN215299558U (zh) 一种多连接端软排线
CN212676559U (zh) 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