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380B1 -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380B1
KR101680380B1 KR1020100056964A KR20100056964A KR101680380B1 KR 101680380 B1 KR101680380 B1 KR 101680380B1 KR 1020100056964 A KR1020100056964 A KR 1020100056964A KR 20100056964 A KR20100056964 A KR 20100056964A KR 101680380 B1 KR101680380 B1 KR 10168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s
terminals
flat cable
connecto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945A (ko
Inventor
마코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091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616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체하우징(11) 및 커버하우징(12)에는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도체(導體)(103)의 신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고, 아울러,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 및 복수의 단자(端子)(13)를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132)가 형성된다. 개구부(26, 32)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짐으로써,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가 각각 용착(溶着)된다. 이것에 의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의 도체와의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어,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FLAT CABLE CONNECTOR,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RNESS}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導體)가 절연피복(絶緣被覆)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하네스(harness)(케이블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피복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를 참조).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는 복수의 탄성단자(彈性端子)를 수납하는 하우징부로 구성되어 있고, 홀더 및 홀더가이드에 의해서 플랫케이블을 보유지지하는 차입(差入)접속부로 구성된 상대 측 커넥터에 대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는 복수의 탄성단자에 대해서 플랫케이블에서의 복수의 도체가 각각 레이저용접에 의해 용착(溶着)됨으로써, 플랫케이블에 대해서 접속된다.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레이저용접에 의해서 플랫케이블에 접속될 때에는, 우선, 플랫케이블에서의 도체노출부가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수납된 복수의 탄성단자 위에 놓인다. 다음으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협지(挾持)부재에 의해서, 도체노출부와 복수의 탄성단자가 끼워져 가(假)보유지지된다. 협지부재에는 각 탄성단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원호모양으로 돌출한 박육(薄肉)부분으로 형성된 탄성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도체노출부의 각 도체와 각 탄성단자가 각각 가보유지지된다. 또, 협지부재에는 각 탄성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삽통(揷通)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이 도입됨으로써, 각 탄성단자와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가 레이저용접에 의해 용착된다.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플랫케이블에 접속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탄성단자와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가 각 탄성부재를 통하여 가보유지지하는 협지부재에 설치되어 각 탄성단자에 대향하는 각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각 탄성단자와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가 레이저용접에 의해 용착된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에서의 복수의 도체와의 용접방법이, 협지부재에 형성되어 각 탄성단자에 대응한 작은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을 각각 조사한다고 하는 용접방법에 한정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의 도체와의 용접에 관하여, 그 용접방법이 크게 제약을 받아 버리게 된다. 또, 각 탄성단자에 대응한 작은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탄성단자와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를 레이저용접한다고 하는 정밀도가 높은 작업처리가 요구되게 된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접속하는 작업이 어려워지기 쉽고, 모든 탄성단자와 모든 도체와의 용접이 완료하여 접속이 종료할 때까지의 작업처리에 필요한 처리시간의 증대도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평7-211405호공보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에서의 복수의 도체와의 용접에 관하여,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고,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그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하네스(케이블 하네스) 및 그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1 특징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피복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당해 단자를 지지하고, 아울러,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일부 제거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가 노출한 도체노출부분을 가지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배치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하여 장착되고,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커버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도체신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폭방향인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 및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상기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각각 용착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도체노출부분을 가지는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하우징이 본체하우징에 결합하여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단자와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도체가 커버하우징과 본체하우징과의 사이에 맞닿아 가압된 상태에서 끼워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 사이에서 맞닿은 상태의 단자 및 도체가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는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복수의 도체 및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져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가 용착된다. 이 때문에, 이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이용하면, 복수의 단자 및 복수의 도체에 대해서,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간에 고정한 상태에서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크게 개구한 개구부로부터 열원이 되는 에너지를 공급하여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정의 레이저용접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용접할 수 있다. 즉, 레이저용접 이외의 용접방법에 의해서, 예를 들면 저항용접 등의 압접(壓接)에 의한 용접이나 납땜에 의한 용접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용접할 수 있다. 또, 각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을 각각 조사하는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특정의 레이저용접방법 이외의 레이저용접방법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용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용접할 때의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에 대응한 작은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단자와 각 도체를 레이저용접하는 정밀도가 높은 작업처리가 요구되는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용접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용접방법으로부터 작업성이나 능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한 용접방법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용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모든 단자와 모든 도체와의 용접이 완료하여 접속이 종료할 때까지의 작업처리에 필요로 하는 처리시간의 단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에서의 복수의 도체와의 용접에 관하여,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어,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2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개구가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개구가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 측 개구부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통하여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접시의 열원이 되는 에너지의 공급이 행해지는 개구부가 단자와 도체가 맞닿아 용접되는 개소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본체 측 개구부 및 커버 측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측 개구부 및 커버 측 개구부로부터 각각 전극을 삽입하여 단자 및 도체를 가압하고, 또한 통전을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저항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체 측 개구부 및 커버 측 개구부 중 어느 쪽으로부터 용접을 행해도 되기 때문에, 레이저용접 등과 같은 저항용접 이외의 용접을 행하는 경우에서도 용접방법의 제약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3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접시의 열원이 되는 에너지의 공급이 행해지는 개구부가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자와 도체가 맞닿아 용접되는 개소의 근방에서는 공급되는 에너지를 이 용접개소에 집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용접개소로부터 조금 떨어진 개소에서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기가 배치되기 위한 스페이스나 용접개소를 향하여 집중하도록 공급되는 에너지가 통과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효율 좋게 확보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용접시의 열원이 되는 에너지가 레이저광인 레이저용접의 경우에는, 레이저광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효율 좋게 넓어지도록 개구가 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4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는 복수의 상기 단자에 맞닿은 복수의 상기 도체를 향하여 블록모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상기 도체를 복수의 상기 단자에 대해서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가압보유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하우징에 블록모양으로 돌출하여 복수의 도체를 복수의 단자에 대해서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가압보유지지부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커버하우징을 본체하우징에 결합시켜 장착함으로써, 블록모양의 가압보유지지부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접시에 단자와 도체와의 사이에서 상대적 위치 어긋남이 생겨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개소 이외의 개소에서도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가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접속된 플랫케이블을 배선 등을 하는 경우에, 플랫케이블에 당김 등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단자와 도체와의 용접개소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케이블에 작용한 외력에 의한 용접개소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의 경우, 용접개소 이외의 개소에 대해서는 원호모양으로 돌출한 박육부분으로서 형성된 각 탄성부재를 통하여 각 도체와 각 단자가 보유지지된다. 이 때문에, 용접개소 이외의 개소에서의 도체와 단자와의 보유지지력이 약하여, 플랫케이블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단자와 도체와의 용접개소에 큰 외력이 작용해 버리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와 도체와의 용접개소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5 특징은, 제4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보유지지부는 복수의 상기 도체를 각각 가압하도록 복수의 상기 도체에 대응하여 복수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도체에 대응하여 돌출하도록 복수 형성된 가압보유지지부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가 각각 가압되어 보유지지된다. 이 때문에, 각 단자와 각 도체와의 각 맞닿음 개소를 개별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각 단자와 각 도체를 보다 안정되어 가압보유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6 특징은, 제4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보유지지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해서 상기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를 각각 가압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의 양측에서 돌출하는 가압보유지지부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가 용접되는 용접개소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의 양측의 위치에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접시에 단자와 도체와의 사이에서 상대적 위치 어긋남이 생겨 버리는 것을 용접개소의 전후에서 가압보유지지하여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용접개소의 전후에서 가압보유지지함으로써, 용접 후에 단자와 도체와의 용접개소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 해 버리는 것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7 특징은, 제4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가압보유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가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하우징이 상기 본체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가압보유지지부가 돌출방향에서 탄성변형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를 복수의 상기 단자에 대해서 가압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하우징은 커넥터 폭방향의 양측에서 또한 가압보유지지부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부에서 결합함으로써, 본체하우징에 장착된다. 그리고, 커버하우징 및 본체하우징의 이 결합에 의해서, 가압보유지지부에 대해서 그 주위로부터 복수의 도체를 복수의 단자에 대해서 가압시키는 힘이 작용하여, 가압보유지지부가 돌출방향에서 탄성변형한 상태에서 복수의 도체와 복수의 단자를 고정한다. 이 때문에, 보다 강고한 가압보유지지가 발생해 복수의 도체와 복수의 단자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8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한쪽에는 복수의 상기 도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아울러 복수의 당해 도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복수 돌출하여 형성된 도체간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의 한쪽에는 복수의 도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의 단부에서의 도체노출부분을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의 사이에 배치할 때에,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에 의해서 도체노출부분에서의 각 도체가 소정의 위치로 안내되어 각 도체를 각 단자와 맞닿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9 특징은, 제8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체간 돌출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체간 돌출부가 본체하우징에 마련되기 때문에,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본체하우징에 배치할 때에,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에 의해서 각 도체가 안내되어 각 단자와 맞닿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하우징을 본체하우징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각 도체와 각 단자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어, 각 도체와 각 단자와의 위치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제10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는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짐으로써, 상기 도체노출부분이 형성되고, 아울러, 당겨 빠지도록 약간 옮겨진 상기 피복부분의 일부가 선단에 남겨져 형성된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단자는 상기 도체노출부분과 맞닿았을 때에 상기 선단절연피복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당해 선단절연피복부분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도록 굴곡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에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있어서, 도체노출부분의 형성시에 그 선단 측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된다. 이 때문에, 도체노출부분이 형성된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도체가 제각각인 상태로 풀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접속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는 선단절연피복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이 선단절연피복부분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도록 굴곡형성된 상태에서 본체하우징에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접속시에 선단절연피복부분과 복수의 단자가 간섭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절연피복부분과 복수의 단자와의 간섭이 생기는 것에 의해서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도체와 복수의 단자와의 위치까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하네스에서의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상기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상기 플랫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하네스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에서의 복수의 도체와의 용접에 관하여,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어,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제1 특징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피복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접속하여 하네스를 제조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당해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일부 제거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가 노출한 도체노출부분을 가지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배치하는 플랫케이블 배치공정과,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커버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결합시켜 장착하는 커버하우징 장착공정과, 용접에 의해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각각 용착(溶着)하는 용접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도체신장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폭방향인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 및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상기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공정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에서의 복수의 도체와의 용접에 관하여,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어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제2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 측 개구부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통하여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접공정에서는 복수의 상기 단자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본체 측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단자 측 전극과,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커버 측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도체 측 전극이 이용되며, 복수의 상기 단자와 복수의 상기 도체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단자 측 전극과 상기 도체 측 전극에 통전을 함으로써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단자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단자 측 전극이 본체 측 개구부로부터 삽입되고,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도체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도체 측 전극이 커버 측 개구부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단자 측 전극과 도체 측 전극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동시에 가압하고, 아울러,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에 대해서 동시에 통전하여 저항용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한 번에 동시 타이밍으로 용접할 수 있어, 복수의 단자 및 복수의 도체의 용접작업의 비약적인 고효율화와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제3 특징은, 제1 특징을 구비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접공정에서는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됨으로써 레이저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네스의 제조에 이용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는 단자와 도체가 맞닿아 용접되는 개소의 근방에서, 공급되는 레이저광을 이 용접개소에 집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가 확보되고, 용접개소로부터 조금 떨어진 개소에서, 용접개소를 향하여 집중하도록 공급되는 레이저광이 통과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효율 좋게 확보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효율 좋게 개구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용접에 적절한 개구부가 효율 좋게 형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도체를 용이하게 레이저용접하여 하네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하네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플랫케이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본체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체하우징에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본체하우징, 단자 및 도체에 대한 도 5의 D-D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일부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서의 커버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버하우징이 본체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커버하우징, 본체하우징, 단자 및 도체에 대한 도 5의 D-D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일부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용접공정에서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저항용접시에서의 단자 측 전극, 도체 측 전극, 단자 및 도체에 대한 도 12의 E-E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일부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용접공정에서 레이저용접이 행해지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용접공정이 종료된 상태의 커넥터 및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의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이 종료된 상태의 커넥터 및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피복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으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에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이하, 간단히 「커넥터(1)」라고도 함)와, 이 커넥터(1)를 이용하여 구성된 일실시형태에 관한 하네스(케이블 하네스)(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하는 하네스(10)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와, 커넥터(1)가 접속되는 플랫케이블(10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하네스(10)를 통하여 프린트기판(101)(도 1에서는 그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음)과, 도시하지 않은 다른 프린트기판이나 기기가 접속된다. 또한, 하네스(10)에서는 플랫케이블(100)의 한쪽의 단부에 커넥터(1)가 접속되어 있고, 이 커넥터(1)가 다른 프린트기판이나 기기에 접속된 상대 측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된다. 또, 플랫케이블(100)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프린트기판(101)에 접속되는 커넥터(102)가 접속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와, 이 커넥터(1)가 접속된 플랫케이블(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3에서의 플랫케이블(100)만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플랫케이블(100)은 플렉서블 플랫케이블(FFC)로서 구성되고,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103)가 피복부분(104)에 의해서 절연피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랫케이블(100)은, 예를 들면, 복수의 도체(103)와 절연피복의 피복부분(104)이 일체로 되어 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또, 각 도체(103)는, 예를 들면, 가느다란 선재(線材)가 묶인 집합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플랫케이블에 한정하지 않고, 플랙서블 플랫케이블 이외의 플랫케이블(예를 들면,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기판(FPC))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4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는 도체노출부분(105)과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노출부분(105)은 절연피복의 피복부분(104)이 일부 제거되어 복수의 도체(103)가 노출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도체노출부분(105)은 피복부분(104)이 복수의 도체(103)의 신장방향(복수의 도체(105)가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은 상기와 같이 도체노출부분(105)이 형성될 때에 당겨 빠지도록 약간 옮겨진 피복부분(104)의 일부가 선단에 남겨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랫케이블(100)에서의 도체노출부분(105)이 형성된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0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1)는 본체하우징(11)과, 커버하우징(12)과, 복수의 단자(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1) 및 커버하우징(12)은 모두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단자(13)는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복수의 단자(13)가 일체성형된 본체하우징(11)의 사시도이다. 복수의 단자(13)는 각각 직사각형 단면의 막대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중도에 굴곡형성된 부분을 가지는 금속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13)는 본체하우징(11)의 성형가공이 행해질 때에 이 본체하우징(11)에 대해서 일체성형되어 지지된다. 또, 복수의 단자(13)는 본체하우징(11)에서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단자(13)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을 포함한 위치에서의 커넥터(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각 단자(13)에는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의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각 도체(103)에 대해서 후술과 같이 용접되는 개소가 되는 용접부분(13a)이 그 전후에 굴곡형성된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다른 부분에 대해서 한쪽으로 부풀어 오른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단자(13)에서의 한쪽의 단부(13b)는 커넥터(1)가 접속되는 상대 측 커넥터(미도시)에서의 상대 측의 단자(미도시)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본체하우징(11)에서 외부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1)은 박형으로 중앙부분이 넓게 오목하도록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모양으로 형성되고, 접속부(21), 케이블 배치부(22), 결합돌기(23), 결합오목부(24), 도체간 돌출부(25), 본체 측 개구부(26) 등이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21)는 본체하우징(11)에서의 일단 측의 단부로서 마련되며, 커넥터(1)가 도시하지 않은 상대 측 커넥터에 접속될 때에 상대 측 커넥터에 대해서 끼워맞춤하여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2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13)의 각 단부(13b)가 노출된 상태에서 배치되고, 상대 측 커넥터에서의 상대 측의 단자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접속부(21)의 양쪽에는 커넥터(1)가 상대 측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때에, 탄성변형하여 퇴피하도록 휘어진 후에 돌출함으로써, 상대 측 커넥터에 결합하는 결합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배치부(22)는 본체하우징(11)에서 넓게 오목하도록 개방된 중앙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도체노출부분(105)을 가지는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배치부(22)에 단부가 배치된 플랫케이블(100)은 본체하우징(11)에 대해서 일단 측의 접속부(21)와는 반대 측의 타단 측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 케이블 배치부(22)에서는 본체하우징(11)에 일체성형되어 지지된 복수의 단자(13)에서의 각 용접부분(13a)이 외부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랫케이블(100)의 단부는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각 도체(103)가 복수의 단자(13)에서의 각 용접부분(13a)과 맞닿도록 곧바르게 연장된 상태에서 케이블 배치부(22)에 대해서 배치된다. 그리고,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케이블 배치부(22)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되게 된다(도 6 참조).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 도 5, 도 6에서 양단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에서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도체(103)의 신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도체신장방향(양단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하고, 이 도체신장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방향인 커넥터(1)의 폭방향을 커넥터 폭방향(양단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결합오목부(24)는 케이블 배치부(21)에 대해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된 내벽에서 오목형성된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본체하우징(11)에 커버하우징(12)이 장착될 때에 커버하우징(12)과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결합오목부(24)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하우징(11)에서 커넥터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아울러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도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8은 본체하우징(11)에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본체하우징(11), 단자(13) 및 도체(103)에 대한 도 5의 D-D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일부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내지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간 돌출부(25)는 본체하우징(11)에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도체간 돌출부(25)는 케이블 배치부(22)에서 복수의 단자(13)에 맞닿도록 배치된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도체(103)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체간 돌출부(25)는 도체(10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리브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25)는 도체(103) 사이의 각각에 대응하여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체(103) 사이에서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측 개구부(26)는 본체하우징(11)에서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며, 본체하우징(11)을 관통하고, 아울러, 본체하우징(11)의 두께방향(도체신장방향 및 커넥터 폭방향 중 어느 하나에도 수직인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장방형(長方形)으로 형성된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측 개구부(26)는 본체하우징(11)에 지지된 복수의 단자(13)를 용접부분(13a)의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블 배치부(22)에 배치된 도체(103) 사이의 각각에 대응하여 1쌍씩 형성되는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25)는 본체 측 개구부(26)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케이블 배치부(22)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은 본체하우징(11)에 대해서 본체 측 개구부(26)에 대해서 선단부(21) 측에 위치하는 도체간 돌출부(25)와 선단부(21)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계단모양으로 오목하게 되어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고, 단자(13)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하우징(11)에서는, 복수의 단자(13)는 도체노출부분(105)에 대해서 용접부분(13a)이 맞닿았을 때에 그 선단 측에서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 대향하는 부분이 선단절연피복부분(106)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도록 굴곡형성된 상태에서 본체하우징(11)에 일체성형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9는 커버하우징(1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5,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하우징(12)은 본체하우징(11)과는 별체로 형성되고,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덮개모양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하우징(12)은 본체하우징(11)에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배치되어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여 보유지지하게 된다.
도 10은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커버하우징(12), 본체하우징(11), 단자(13) 및 도체(103)에 대한 도 5의 D-D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일부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하우징(12)에는 덮개부(31), 커버 측 개구부(32), 가압보유지지부(33), 결합부(34) 등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31)는 본체하우징(11)에 배치된 플랫케이블(100)의 단부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평판모양의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5 및 도 9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측 개구부(32)는 커버하우징(12)에서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며, 커버하우징(12)을 관통하고, 아울러, 커버하우징(12)의 두께방향(도체신장방향 및 커넥터 폭방향의 중 어느 하나와도 수직인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커버 측 개구부(32)는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하면서(즉, 상기의 장방형의 면적이 확대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측 개구부(32)는 복수의 단자(13)에 맞닿도록 배치된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를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측 개구부(32)는 본체 측 개구부(26)와 함께, 본 실시형태에서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측 개구부(32)와 본체 측 개구부(26)는, 커버하우징(12)과 본체하우징(11)에서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를 통하여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를 플랫케이블(100)에 접속할 때에는 커버 측 개구부(32) 및 본체 측 개구부(26)로 구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후술과 같이 용접이 행해짐으로써,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가 각각 용착되게 된다.
도 5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보유지지부(33)는 커버하우징(12)에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보유지지부(33)는 케이블 배치부(22)에서 복수의 단자(13)에 맞닿도록 배치된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를 향하여 블록모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가압보유지지부(33)는 복수의 도체(103)를 각각 가압하도록 복수의 도체(103)에 대응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가압보유지지부(33)는 복수의 도체(103)를 복수의 단자(13)에 대해서 각각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가압보유지지부(33)는 각 도체(103)에 대응하여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 측 개구부(32)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서 복수의 도체(103)를 각각 한 쌍의 가압보유지지부(33)로 가압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가압보유지지부(33)가 복수의 도체(103)를 복수의 단자(13)에 대해서 가압한 상태에서는 각각 역방향으로 빗살모양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가압보유지지부(33) 및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25)는 각 가압보유지지부(33)와 각 도체간 돌출부(25)가 인접한 상태에서 교대로 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게 된다(도 10 참조).
도 9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34)는 덮개부(31)에 대해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양측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측벽과 같이 돌출하여 본체하우징(11)의 내벽과 미끄럼 접촉하는 측벽부분에 형성되며, 이 측벽부분에 대해서 더욱 측방을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부(34)는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될 때에 본체하우징(11)의 각 결합오목부(24)와 각각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34)는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될 때에는 일단 내측으로 퇴피하도록 상기의 측벽부분이 휘어진 후에 탄성회복함으로써, 결합오목부(24)를 향하여 돌출하여 결합한다.
또, 결합부(34)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하우징(12)에서 커넥터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아울러, 가압보유지지부(33)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결합부(34)는 커버하우징(12)에서의 네 모퉁이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각 결합부(34)가 본체하우징(11)에서의 4개의 각 결합오목부(24)에 결합하여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된다. 이 때, 복수의 가압보유지지부(33)가 각각 돌출방향에서 탄성변형한 상태로(각, 압축하중이 각 가압보유지지부(33)에 작용한 상태로) 복수의 도체(103)를 복수의 단자(13)에 대해서 가압하도록 가압보유지지부(33)의 돌출길이치수 등이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이하, 간단히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라고도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은 플랫케이블(100)에 커넥터(1)를 접속하여 하네스(10)를 제조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따른 하네스(10)의 제조시에는, 우선, 상술한 커넥터(1)와 플랫케이블(100)이 준비된다. 그리고, 커넥터(1)를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 접속하는 처리공정이 행해짐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이 실시되게 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은 도체노출부분 형성공정(S101)과, 플랫케이블 배치공정(S102)과,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과, 용접공정(S10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 공정(S101 ~ S104)이 차례로 행해짐으로써, 커넥터(1)를 플랫케이블(100)에 접속하여 하네스(10)를 제조하는 처리공정이 행해지게 된다.
도체노출부분 형성공정(S101)에서는 단부에 도체노출부분(10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플랫케이블(100)에 대해서 도체노출부분(105)을 형성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즉,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서 피복부분(104)이 복수의 도체(103)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짐으로써 도체노출부분(105)이 형성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이 때 당겨 빠지도록 약간 옮겨진 피복부분(104)의 일부가 선단에 남겨짐으로써 선단절연피복부분(106)도 형성된다.
플랫케이블 배치공정(S102)에서는 본체하우징(11)의 케이블 배치부(22)에 대해서 도체노출부분(105)을 가지는 플랫케이블(100)의 단부를 배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각 도체(103)를 각 단자(13)의 용접부분(13a)에 맞닿게 하고, 아울러, 도체(103)간에 도체간 돌출부(25)가 삽입되도록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본체하우징(11)에 배치된다(도 5, 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이 행해진다. 이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에서는 커버하우징(12)을 본체하우징(11)에 대해서 각 결합부(34)와 각 결합오목부(24)를 결합시켜 장착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이 행해짐으로써, 각 가압보유지지부(33)가 각 도체(103)를 각 단자(13)에 대해서 가압하고, 커버하우징(12)과 본체하우징(11)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가 끼워 넣어지도록 가압되어 보유지지되게 된다.
용접공정(S104)에서는 본체 측 개구부(26) 및 커버 측 개구부(32)를 통하여 저항용접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단자(13)와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를 각각 용착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도 12는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이 종료한 상태의 커넥터(1) 및 플랫케이블(100)에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와의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의 단면위치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용접공정(S104)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측 전극(107)과 도체 측 전극(108)을 가지고,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와의 접촉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유니트가 이용된다. 도 13은 이 전극유니트를 이용한 저항용접시에서의 단자 측 전극(107), 도체 측 전극(108), 단자(13) 및 도체(103)에 대한 도 12의 E-E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일부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측 전극(107)은 복수의 단자(13)의 모든 용접부분(13a)에 대해서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 모양의 전극으로서 마련되어 있고, 본체 측 개구부(26)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체 측 전극(108)은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의 모두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 모양의 전극으로서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 측 개구부(32)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전극유니트를 이용한 저항용접시에는, 단자 측 전극(107)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도면 중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 측 개구부(26)를 통과한다. 그리고, 단자 측 전극(107)은 복수의 단자(13)의 용접부분(13a)에 대해서 도체(103)와 접촉하는 측과 반대 측에서 맞닿아 접촉한다. 한편, 도체 측 전극(108)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도면 중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 측 개구부(32)를 통과한다. 그리고, 도체 측 전극(108)은 복수의 도체(103)에 대해서 단자(13)와 접촉하는 측과 반대 측에서 맞닿아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단자 측 전극(107)과 도체 측 전극(108)에 통전이 행해진다. 즉, 단자 측 전극(107)이 복수의 단자(13)에 접촉하고, 아울러, 도체 측 전극(108)이 복수의 도체(103)에 접촉한 상태에서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접촉부분에서 용접을 위한 줄열(Joule heat)을 발생시키도록 단자 측 전극(107)과 도체 측 전극(108)과의 사이에서 통전이 행해진다. 또, 이 통전시에는 동시에 단자 측 전극(107)과 도체 측 전극(108)이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단자 측 전극(107)과 도체 측 전극(108)과의 사이에 끼워진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접촉부분이 가열되어 용융하고, 더욱 가압됨으로써 용착되게 된다. 용착이 완료되면, 통전과 가압동작이 종료되고,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가 저항용접에 의해서 강고하게 용착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이 종료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는, 용접공정(S104)에서 저항용접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와의 용접이 행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저항용접 이외의 용접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와의 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라도 되고, 용접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용접공정(S104)에서 커넥터(1)에서의 개구부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접촉부분을 가열하여 용착시키는 레이저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라도 된다. 또, 커넥터(1)에서의 개구부로부터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접촉부분을 가열하여 용착시키는 전자빔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라도 된다. 또, 커넥터(1)에서의 개구부를 통하여 펄스히트방식 등에 의한 납땜을 행함으로써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라도 된다. 또,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일체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전극(107, 108)과는 다른 형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빗살모양으로 평행하게 늘어선 복수의 전극이 커넥터(1)에서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각 단자와 각 도체와의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것이라도 된다.
도 14는 용접공정(S104)에서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레이저용접이 행해지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레이저용접에서는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커버 측 개구부(32)로부터 조사각도(T)를 가지는 레이저광(L)이 단자(13)에 맞닿는 도체(103)에 대해서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가 가열되어 용착하는 레이저용접이 행해진다. 또한, 레이저용접은, 예를 들면, 각 단자(13) 및 각 도체(103)에 대해서 순번대로 행해진다.
커넥터(1)에는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커버 측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13)와 도체(103)가 맞닿아 용접되는 개소의 근방에서, 공급되는 레이저광(L)을 이 용접개소에 집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가 확보되고, 용접개소로부터 조금 떨어진 개소에서, 용접개소를 향하여 집중하도록 공급되는 레이저광(L)이 통과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효율 좋게 확보되게 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L)의 조사각도(T)에 대응하여 효율 좋게 개구형성된 커버 측 개구부(32)를 통하여 레이저광(L)이 조사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용접에 적절한 커버 측 개구부(32)가 효율 좋게 형성된 커넥터(1)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용이하게 레이저용접하여 하네스(1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복수의 단자(13)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11)에 대해서 도체노출부분(105)을 가지는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하우징(12)이 본체하우징(11)에 결합하여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단자(13)와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가 커버하우징(12)과 본체하우징(11)과의 사이에 맞닿아 가압된 상태에서 끼워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본체하우징(11) 및 커버하우징(12) 사이에서, 맞닿은 상태의 단자(13) 및 도체(103)가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1)에는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복수의 도체(103) 및 복수의 단자(13)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지며,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가 용착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를 이용하면, 복수의 단자(13) 및 복수의 도체(103)에 대해서 본체하우징(11) 및 커버하우징(12) 사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크게 개구한 개구부로부터 열원이 되는 에너지를 공급하여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정의 레이저용접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용접할 수 있다. 각, 레이저용접 이외의 용접방법에 의해서, 예를 들면 저항용접 등의 압접에 의한 용접이나 납땜에 의한 용접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용접할 수 있다. 또, 각 삽통구멍으로부터 레이저광을 각각 조사하는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특정의 레이저용접방법 이외의 레이저용접방법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용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용접할 때의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밀도가 높은 작업처리가 요구되는 일본국 특개평7-211405호 공보에 개시된 용접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용접방법으로부터 작업성이나 능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한 용접방법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용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100)에 커넥터(1)를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모든 단자(13)와 모든 도체(103)와의 용접이 완료하여 접속이 종료할 때까지의 작업처리에 필요로 하는 처리시간의 단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13)와 플랫케이블(100)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의 용접에 관하여,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어 플랫케이블(100)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용접시의 열원이 되는 에너지의 공급이 행해지는 개구부가, 단자(13)와 도체(103)가 맞닿아 용접되는 개소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본체 측 개구부(26) 및 커버 측 개구부(32)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측 개구부(26) 및 커버 측 개구부(32)로부터 각각 전극을 삽입하여 단자(13) 및 도체(103)를 가압하고, 더욱 통전을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저항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체 측 개구부(26) 및 커버 측 개구부(3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용접을 행해도 되기 때문에, 레이저용접 등과 같은 저항용접 이외의 용접을 행하는 경우에서도 용접방법의 제약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용접시의 열원이 되는 에너지의 공급이 행해지는 커버 측 개구부(32)가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자(13)와 도체(103)가 맞닿아 용접되는 개소의 근방에서는 공급되는 에너지를 이 용접개소에 집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용접개소로부터 조금 떨어진 개소에서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기가 배치되기 위한 스페이스나 용접개소를 향하여 집중하도록 공급되는 에너지가 통과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효율 좋게 확보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용접시의 열원이 되는 에너지가 레이저광인 레이저용접의 경우에는 레이저광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효율 좋게 넓어지도록 개구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커버하우징(12)에 블록모양으로 돌출하여 복수의 도체(103)를 복수의 단자(13)에 대해서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가압보유지지부(33)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커버하우징(12)을 본체하우징(11)에 결합시켜 장착함으로써, 블록모양의 가압보유지지부(33)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접시에 단자(13)와 도체(103)와의 사이에서 상대적 위치 어긋남이 생겨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개소 이외의 개소에서도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가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가 접속된 플랫케이블(100)을 배선 등 하는 경우에 플랫케이블(100)로 당김 등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서도 단자(13)와 도체(103)와의 용접개소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케이블(100)에 작용한 외력에 의한 용접개소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각 도체(103)에 대응하여 돌출하도록 복수 형성된 가압보유지지부(33)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가 각각 가압되어 보유지지된다. 이 때문에,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와의 각 맞닿음 개소를 개별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각 단자(13)와 각 도체(103)를 보다 안정하여 가압보유지지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개구부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의 양측에서 돌출하는 가압보유지지부(33)에 의해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가 용접되는 용접개소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의 양측의 위치에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접시에 단자(13)와 도체(103)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생겨 버리는 것을 용접개소의 전후에서 가압보유지지하여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용접개소의 전후에서 가압보유지지함으로써, 용접 후에 단자(13)와 도체(103)와의 용접개소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커버하우징(12)은 커넥터 폭방향의 양측에서 또한 가압보유지지부(33)에 대해서 도체신장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부(34)와 결합함으로써 본체하우징(11)에 장착된다. 그리고, 커버하우징(12) 및 본체하우징(11)의 이 결합에 의해서, 가압보유지지부(33)에 대해서 그 주위로부터 복수의 도체(103)를 복수의 단자(13)에 대해서 가압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가압보유지지부(33)가 돌출방향으로 탄성변형한 상태에서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를 고정한다. 이 때문에, 보다 강고한 가압보유지지력이 발생하여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본체하우징(11) 및 커버하우징(12)의 한쪽에는 복수의 도체(103)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서의 도체노출부분(105)을 본체하우징(11) 및 커버하우징(12)의 사이에 배치할 때에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25)에 의해서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각 도체(103)가 소정의 위치로 안내되고, 각 도체(103)를 각 단자(13)와 맞닿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도체간 돌출부(25)가 본체하우징(11)에 형성되기 때문에, 플랫케이블(100)의 단부를 본체하우징(11)에 배치할 때에 복수의 도체간 돌출부(25)에 의해서 각 도체(103)가 안내되어 각 단자(13)와 맞닿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하우징(12)을 본체하우징(11)에 장착하기 전(前)의 상태에서 각 도체(103)와 각 단자(13)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어 각 도체(103)와 각 단자(13)와의 위치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의하면,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서 도체노출부분(105)의 형성시에 그 선단 측에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이 마련된다. 이 때문에, 도체노출부분(105)이 마련된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서 복수의 도체(103)가 제각각인 상태에서 풀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랫케이블(100)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를 접속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13)는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 대향하는 부분이 이 선단절연피복부분(106)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도록 굴곡형성된 상태에서 본체하우징(11)에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이 마련되어 있어도 접속시에 선단절연피복부분(106)과 복수의 단자(13)가 간섭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절연피복부분(106)과 복수의 단자(13)와의 간섭이 생기는 것에 의해서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와의 위치까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네스(10)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하네스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13)와 플랫케이블(100)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와의 용접에 관하여, 용접방법의 제약을 큰 폭으로 완화할 수 있어 플랫케이블(100)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하네스(10)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극(107, 108)을 이용한 저항용접에 의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단자(13)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단자 측 전극(107)이 본체 측 개구부(26)로부터 삽입되고,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도체 측 전극(108)이 커버 측 개구부(32)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단자 측 전극(107)과 도체 측 전극(108)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동시에 가압하고, 아울러,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에 대해서 동시에 통전하여 저항용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단자(13)와 복수의 도체(103)를 한 번에 동시 타이밍으로 용접할 수 있어 복수의 단자(13) 및 복수의 도체(103)의 용접작업의 비약적인 고효율화와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가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 중 어느 하나라도 형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고,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만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측 개부만이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즉, 커버 측 개구부 및 본체 측 개구부의 양쪽 모두에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되며, 또, 본체 측 개구부만이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2)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커버하우징이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커버하우징이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일체성형된 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3)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도체간 돌출부가 본체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고, 도체간 돌출부가 커버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도체간 돌출부의 수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또, 가압보유지지부에 대해서도 수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해 실시해도 된다.
(4)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이 1개씩 구비되어 있는 하네스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중도에 분기한 1개의 플랫케이블의 각 분기부에 대해서 각각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또, 1개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해서 복수의 플랫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5)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가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의 두께방향에서 관통형성된 장방형 단면의 구멍으로서 형성된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즉, 개구부는 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고, 아울러,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도체 및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5 및 도 16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이외의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실시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a)(이하, 간단히 「커넥터(1a)」라고 함)는 커넥터(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커버하우징(12a)에 형성된 커버 측 개구부(개구부)(32a)가 구멍 이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커넥터(1)와 차이가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커넥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커넥터(1a)에서의 커버하우징(12a)의 커버 측 개구부(32a)는 커버하우징(12a)에서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일단 측(도 1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커버하우징(12a)에서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의 선단 측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도체신장방향을 따라서 오목하도록 개구한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하우징(12a)에서 도체신장방향을 따라서 오목한 개구영역으로서 형성된 커버 측 개구부(32a)는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단자(13)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를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1a)에서도 커넥터(1)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1b)(이하, 간단히 「커넥터(1b)」라고 함)는 커넥터(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커버하우징(12b)에 형성된 커버 측 개구부(개구부)(32b)가 구멍 이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커넥터(1)와 차이가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커넥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커넥터(1b)에서의 커버하우징(12b)의 커버 측 개구부(32b)는 커버하우징(12b)에서 도체신장방향에서의 타단 측(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커버하우징(12b)에서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의 선단 측에 대향하는 측과 반대 측)으로부터 도체신장방향을 따라서 오목하도록 개구한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하우징(12b)에서 도체신장방향을 따라서 오목한 개구영역으로서 형성된 커버 측 개구부(32b)는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고, 복수의 단자(13)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도체노출부분(105)에서의 복수의 도체(103)를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1b)에서도 커넥터(1)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6)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즉,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되지 않은 형태의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되지 않은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구비하는 하네스 및 그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실시해도 된다. 또,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된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접속될 때 또는 접속된 후에 플랫케이블에서의 선단절연피복부분이 제거되는 하네스 및 그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실시해도 된다.
도 17은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 도 17의 공정도는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된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접속될 때 또는 접속된 후에 플랫케이블에서의 선단절연피복부분이 제거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은 도 11에 공정도를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도체노출부분 형성공정(S101)과, 플랫케이블 배치공정(S102)과,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과, 용접공정(S10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7의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은 용접공정(S104)의 후공정으로서,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더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과 차이가 있다.
도 18은 용접공정(S104)이 종료한 상태의 커넥터(1) 및 플랫케이블(100)의 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술한 실시형태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커버하우징(12)은,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이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을 외부에 대해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1)에서는 플랫케이블(100)의 단부에서의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영역(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 및 후술의 도 19에서는 커넥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용접공정(S104)이 종료하여 커넥터(1) 및 플캣케이블(100)이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다음으로,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행해진다. 도 19는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종료한 상태의 커넥터(1) 및 플랫케이블(100)의 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8에 대응하는 단면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서의 피복부분(104)이 복수의 도체(103)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져 완전하게 제거되어 개방영역(35)으로부터 외부로 제거된다. 이와 같은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구비된 도 17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도 도 11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는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용접공정(S104)의 후속공정으로서 실시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도 20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며, 도 17과 마찬가지로, 단부에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이 마련된 플랫케이블(100)에 커넥터(1)가 접속될 때에 선단절연피복부분(106)이 제거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8 및 도 19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은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용접공정(S104)의 전(前)공정으로서 실시되고,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과 용접공정(S104)과의 사이에서 실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하우징 장착공정(S103)이 종료하면, 본체하우징(11)과 커버하우징(12)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도체(103)와 복수의 단자(13)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끼워져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행해져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서의 피복부분(104)이 복수의 도체(103)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져 완전하게 제거되어 개방영역(35)으로부터 외부로 제거된다. 그리고,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이 종료한 후, 용접공정(S104)이 행해진다. 도 20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도 도 11에 나타내는 하네스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20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한 하네스의 제조방법에서는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에서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서의 피복부분(104)이 복수의 도체(103)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져 제거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선단절연피복부분 제거공정(S105)에서 복수의 도체(103)가 절단됨으로써, 선단절연피복부분(106)에서의 피복부분(104) 및 복수의 도체(103)가 함께 제거되는 형태라도 된다.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피복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으로서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연, 본 명세서를 읽고 또한 이해함으로써, 변형예 및 응용예가 명확하게 될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관한 변형예 및 응용예 및 그 균등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Claims (14)

  1.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導體)가 절연피복(絶緣被覆)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로서,
    복수의 단자(端子)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당해 단자를 지지하고, 아울러,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일부 제거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가 노출한 도체노출부분을 가지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배치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하여 장착되고,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 사이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커버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도체신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폭방향인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 및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상기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각각 용착(溶着)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는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짐으로써 상기 도체노출부분이 형성되고, 아울러, 당겨 빠지도록 옮겨진 상기 피복부분의 일부가 선단에 남겨져 형성된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단자는 상기 도체노출부분과 맞닿았을 때에 상기 선단절연피복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당해 선단절연피복부분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도록 굴곡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에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 측 개구부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통하여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는 복수의 상기 단자에 맞닿은 복수의 상기 도체를 향하여 블록모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상기 도체를 복수의 상기 단자에 대해서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가압보유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보유지지부는 복수의 상기 도체를 각각 가압하도록 복수의 상기 도체에 대응하여 복수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보유지지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해서 상기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를 각각 가압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가압보유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도체신장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하우징이 상기 본체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가압보유지지부가 돌출방향에서 탄성변형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를 복수의 상기 단자에 대해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한쪽에는 복수의 상기 도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아울러, 복수의 당해 도체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복수 돌출하여 형성된 도체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체간 돌출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10. 삭제
  11. 청구항 1에 기재한 플랫케이블용 커넥터와,
    상기 플랫케이블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상기 플랫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harness).
  12.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피복되어 형성된 플랫케이블에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접속하여 하네스를 제조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당해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일부 제거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가 노출한 도체노출부분을 가지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배치하는 플랫케이블 배치공정과,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여 보유지지하는 커버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결합시켜 장착하는 커버하우징 장착공정과,
    용접에 의해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각각 용착하는 용접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도체신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폭방향인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개구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 및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상기 커넥터 폭방향에 걸쳐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공정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용접이 행해지며,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는 절연피복의 피복부분이 복수의 상기 도체의 신장방향을 따라서 당겨 빠지도록 벗겨짐으로써 상기 도체노출부분이 형성되고, 아울러, 당겨 빠지도록 옮겨진 상기 피복부분의 일부가 선단에 남겨져 형성된 선단절연피복부분이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단자는 상기 도체노출부분과 맞닿았을 때에 상기 선단절연피복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당해 선단절연피복부분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도록 굴곡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에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개구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측 개구부와 상기 커버 측 개구부가, 가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의 복수의 상기 도체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통하여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접공정에서는 복수의 상기 단자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본체 측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단자 측 전극과, 상기 도체노출부분에서의 복수의 상기 도체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커버 측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도체 측 전극이 이용되어 복수의 상기 단자와 복수의 상기 도체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단자 측 전극과 상기 도체 측 전기에 통전이 행해짐으로써, 저항용접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하여 개구면적이 확대하면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접공정에서는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됨으로써, 레이저용접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의 제조방법.
KR1020100056964A 2009-07-10 2010-06-16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KR101680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3335 2009-07-10
JPJP-P-2009-163335 2009-07-10
JPJP-P-2010-109106 2010-05-11
JP2010109106A JP5666168B2 (ja) 2009-07-10 2010-05-11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45A KR20110007945A (ko) 2011-01-25
KR101680380B1 true KR101680380B1 (ko) 2016-11-28

Family

ID=4345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964A KR101680380B1 (ko) 2009-07-10 2010-06-16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0380B1 (ko)
CN (1) CN1019508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311B1 (ko) 2019-01-11 2020-05-27 주식회사 코스타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0451A (ja) * 2012-12-19 2014-06-30 Toshiba Corp 電子機器、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5826782B (zh) * 2016-05-09 2018-07-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ffc排线的usb3.0信号延长线系统
KR102329642B1 (ko) * 2016-12-16 202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CN110299632B (zh) * 2019-06-28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插接结构、连接器、插头以及插接方法
KR20210034386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N110571617A (zh) * 2019-09-26 2019-12-13 苏州九二五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线束加工用流水线
KR20210061830A (ko)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fc 케이블 조립체
CN114204376B (zh) * 2021-12-02 2024-01-23 杭州中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通讯网关设备连接网线连接器镀金针脚排列切割设备
CN114256720B (zh) * 2021-12-23 2024-01-23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扁平线缆与端子连接的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4707A (ja) 2007-02-09 2008-08-28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レーザ溶接用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5229B2 (ja) * 1994-01-24 1998-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構造
JPH08330004A (ja) * 1995-06-06 1996-12-13 Yazaki Corp 導線の接続構造
JP2005317365A (ja) * 2004-04-28 2005-11-10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4707A (ja) 2007-02-09 2008-08-28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レーザ溶接用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311B1 (ko) 2019-01-11 2020-05-27 주식회사 코스타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0865A (zh) 2011-01-19
KR20110007945A (ko) 2011-01-25
CN101950865B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380B1 (ko)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JP557001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566616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WO2018117046A1 (ja) 端子用導体モジュール
KR101488464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JP6910430B2 (ja) 電線のシールド導体を接地区分と接触させるための接触デバイス
JP201300434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00155135A1 (en) Illumination unit
CN108028345B (zh) 导电部件模块以及电池组
US8254126B2 (en) Electronic circuit device
CN113574741B (zh) 接头连接器
JP2020187895A (ja) 圧接端子、端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
JP2017010673A (ja) コネクタ
JP5488844B2 (ja) 圧接型コネクタ
JP5765402B2 (ja) 電気コネクタ
JP6242729B2 (ja) 電線付き電気電子部品の保持構造
JP2014086170A (ja) 圧接コネクタ及び端子装着方法
JP2011113677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に対する端子の接続方法および端子
JP201025105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ハーネス
JP5930089B1 (ja) 導電端子
JP2006210158A (ja) 電気接続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5981649B2 (ja) ケーブル成形治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圧接接続方法
CN116529839A (zh) 凹型端子、连接器、汇流条、带端子的电线、带连接器的电线以及线束
JP2023170102A (ja) 電線溶接方法
JP2012205484A (ja) 電線配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線配索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