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311B1 -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311B1
KR102115311B1 KR1020190003724A KR20190003724A KR102115311B1 KR 102115311 B1 KR102115311 B1 KR 102115311B1 KR 1020190003724 A KR1020190003724 A KR 1020190003724A KR 20190003724 A KR20190003724 A KR 20190003724A KR 102115311 B1 KR102115311 B1 KR 10211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connection cap
harness
harnes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타
Priority to KR102019000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나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등의 전기 배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하네스 커넥터(harness connector)에 관한 기술로서, 커넥터의 접속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전기 배선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캡과 접속홀더로 구성된 하네스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된 접속캡과; 상기 접속캡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된 접속홀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Easy-to-connect harness connector}
본 발명은 컴퓨터나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등의 전기 배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하네스 커넥터(harness connector)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기 배선의 단부에 접속되어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캡과 접속홀더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커넥터의 접속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등의 각종 부품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하네스 커넥터(harness connector)는 여러 가닥으로 구성된 전기 배선의 전후 단에 각각 접속되며, 각종 부품 또는 전자기기에 상호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네스 커넥터는 전기 배선(케이블)이 상호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측면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전기 배선의 갯수와 길이 또는 커넥터의 형태는 하네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종래 내전압을 향상시켜 온도센서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하네스의 커넥터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894호(온도센서와 하네스의 커넥터 조립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센서 커넥터와 하네스가 삽입되는 하네스 커넥터가 암수 결합되며, 상기 하네스 커넥터에는 상기 하네스의 선단부인 한 쌍의 도체가 각각 연결된 터미널이 위치하고, 상기 터미널 사이에서 상기 하네스 커넥터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하네스 커넥터에는 좌우로 상기 하네스가 삽입될 수 있는 하네스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하네스 가이드 보다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네스 가이드의 선단부 보다 돌출된 격벽 선단을 갖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상기 격벽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가이드홈 선단부가 형성되며, 온도센서의 듀멧선과 상기 하네스에 연결된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 부분은 상기 하네스 가이드 내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내전압을 향상시켜 온도센서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온도센서와 하네스간의 커넥터 결합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온도센서의 활용성 및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온도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고속의 데이터 통신과 전원 공급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하네스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864호(케이블 하네스)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케이블로 구성된 케이블번들과, 상기 케이블번들의 전후단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번들은 복수개의 광케이블로 구성된 광케이블번들과, 복수개의 전원케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광케이블번들의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전원케이블번들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컴퓨터나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등에 사용하고 있는 하네스 커넥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상하 또는 양측면의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접속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커넥터를 분리할 경우, 표면이 매끄러워 분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커넥터의 접속 작업을 여러번 반복할 경우, 작업자의 손가락에 통증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0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9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03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8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864호.
본 발명은 종래 하네스 커넥터의 선행기술에서 표면이 매끄러워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가 쉽지 않고, 접속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전기 배선의 단부에 접속되어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캡과 접속홀더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가 구성된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캡과 접속홀더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를 구성함에 따라 커넥터의 접속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전기 배선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캡과 접속홀더로 구성된 하네스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된 접속캡과; 상기 접속캡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된 접속홀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접속캡과 접속홀더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양쪽 측면부에 전기 배선이 끼워져 연결되는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접속홀더는 전기 배선이 위치한 대향쪽의 측부가 접속캡의 한쪽 측면 내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캡과 접속홀더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커넥터의 접속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속캡과 접속홀더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를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함에 따라 커넥터의 파지력이 보다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통증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접속캡과 접속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접속캡과 접속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접속캡과 접속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접속캡과 접속홀더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배선(12)(22)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로 구성된 하네스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13)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14)가 형성된 접속캡(10)과; 상기 접속캡(10)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23)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24)가 형성된 접속홀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접속캡(10)은 전기 배선이 접속되어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접속캡(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양쪽 측면부에 전기 배선(1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접속부(1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속캡(10)은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플라스틱)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13)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13)는 전기 배선(12)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부와 하부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14)는 전기 배선(12)이 위치한 한쪽 측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전방과 후방면 보다 높게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접속홀더(20)는 접속캡(10)에 끼워져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접속홀더(2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양쪽 측면부에 전기 배선(2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접속부(2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속홀더(20)는 전기 배선(22)이 위치한 대향쪽의 측부가 접속캡(10)의 한쪽 측면 내부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배선(12)(22)이 연결된 단자가 서로 접속되며, 상기 접속캡(10)과 동일하게 합성수지(플라스틱)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접속홀더(20)는 접속캡(10)과 동일한 구조로서,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23)가 형성되고, 또한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24)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23)는 전기 배선(22)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부와 하부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24)는 전기 배선(22)이 위치한 한쪽 측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전방과 후방면 보다 높게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가 구성됨으로써, 커넥터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접속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에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를 형성할 경우, 커넥터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작업자가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으나, 커넥터의 접속 작업을 여러번 반복하면 작업자의 손가락에 통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를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를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로 형성할 경우, 돌기부의 마찰력이 보다 높아지므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파지가 쉽고, 커넥터의 접속 작업과 분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를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는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를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고,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로 형성할 경우, 커넥터의 파지력이 보다 높아지고, 작업자의 손가락 통증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네스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캡과 접속홀더에 각각 다수개의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쉽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돌기부를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함에 따라 커넥터의 파지력이 보다 높아지는 한편 작업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통증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접속캡 11: 접속부
12: 배선 13: 돌기부
14: 돌기부
20: 접속홀더 21: 접속부
22: 배선 23: 돌기부
24: 돌기부

Claims (3)

  1. 배선(12)(22)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로 구성된 하네스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13)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14)가 형성된 접속캡(10)과; 상기 접속캡(10)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돌기부(23)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돌기부(24)가 형성된 접속홀더(2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양쪽 측면부에 전기 배선(12)(2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접속부(11)(21)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홀더(20)는 전기 배선(22)이 위치한 대향쪽의 측부가 접속캡(10)의 한쪽 측면 내부에 끼워져 체결되고,
    상기 접속캡(10)과 접속홀더(20)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돌기부(13)(14)(23)(24)는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3724A 2019-01-11 2019-01-11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KR10211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24A KR102115311B1 (ko) 2019-01-11 2019-01-11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24A KR102115311B1 (ko) 2019-01-11 2019-01-11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311B1 true KR102115311B1 (ko) 2020-05-27

Family

ID=7091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724A KR102115311B1 (ko) 2019-01-11 2019-01-11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31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540Y1 (ko) * 1988-02-15 1990-07-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선 접속구
JPH0636262U (ja) * 1992-10-09 1994-05-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レキシブル配線ケーブル
KR20030049119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콘센트와 플러그 구조체
JP3122084U (ja) * 2006-03-20 2006-06-01 玉珠 謝 大電流コネクタ
KR101044037B1 (ko) 2009-04-10 2011-06-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KR101476922B1 (ko) 2013-08-19 2014-12-26 (주) 에이씨티코리아 조립식 구조를 갖는 와이어 하네스 차폐 커넥터
KR101667301B1 (ko) * 2016-04-05 2016-10-18 (주)진선테크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용 커넥터
KR101680380B1 (ko) 2009-07-10 2016-11-2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KR101828894B1 (ko) 2016-08-09 2018-02-13 홍종국 온도센서와 하네스의 커넥터 조립 구조
KR101896864B1 (ko) 2018-02-12 2018-09-07 주식회사 씨앤씨컴 케이블 하네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540Y1 (ko) * 1988-02-15 1990-07-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선 접속구
JPH0636262U (ja) * 1992-10-09 1994-05-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レキシブル配線ケーブル
KR20030049119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콘센트와 플러그 구조체
JP3122084U (ja) * 2006-03-20 2006-06-01 玉珠 謝 大電流コネクタ
KR101044037B1 (ko) 2009-04-10 2011-06-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KR101680380B1 (ko) 2009-07-10 2016-11-2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KR101476922B1 (ko) 2013-08-19 2014-12-26 (주) 에이씨티코리아 조립식 구조를 갖는 와이어 하네스 차폐 커넥터
KR101667301B1 (ko) * 2016-04-05 2016-10-18 (주)진선테크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용 커넥터
KR101828894B1 (ko) 2016-08-09 2018-02-13 홍종국 온도센서와 하네스의 커넥터 조립 구조
KR101896864B1 (ko) 2018-02-12 2018-09-07 주식회사 씨앤씨컴 케이블 하네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8900C (en) Mural female socket of the modular-jack type
US10804656B2 (en) Connector connectable to different cable types, and cable harness including the connector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JP6448925B2 (ja) コネクタ
AU200735060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5241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365458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115311B1 (ko) 접속이 용이한 하네스 커넥터
US10483703B2 (en) Connector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CN106356653A (zh) 插塞连接器和用于其的变形工具
US5055065A (en) Snap
KR101896864B1 (ko) 케이블 하네스
WO2011096431A1 (ja) 配線ケーブル接続システム
JP2008084672A (ja) 合体解除治具
CN104604062A (zh) 电接线盒
JPH0615271U (ja) 接続端子
US20200144734A1 (en) Cable Connector
CN211455967U (zh) 固定组件、插头及影音装置
US20170338608A1 (en) Multi-type compatible connector
KR100537926B1 (ko) 전선 완전 연결용 스리브
JP6654965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0116081B2 (en) Electrical outlet structure
JPH0641073U (ja) コード付きプラグ
KR200273020Y1 (ko) 와이어 스프라이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