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39B1 - 전선이음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이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139B1
KR102027139B1 KR1020180096428A KR20180096428A KR102027139B1 KR 102027139 B1 KR102027139 B1 KR 102027139B1 KR 1020180096428 A KR1020180096428 A KR 1020180096428A KR 20180096428 A KR20180096428 A KR 20180096428A KR 102027139 B1 KR102027139 B1 KR 10202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cutter
co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알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오 filed Critical ㈜알파오
Priority to KR102018009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는, 복수의 전선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터 터미널; 커터 터미널이 장착되며 전선고정부가 마련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커터 터미널은,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 사이에 커팅부에 의해 피복이 절개된 전선을 경사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전선진입부가 마련되며 전선진입부의 하부에 전선 내부의 심선이 안치되는 심선접속부가 구성된다. 이러한 전선이음 커넥터는, 심선이 전선고정부에서 심선접속부를 지나면서 굴절된 양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에서 전선이 이탈이나 분리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전선이음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전선이음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 전선 피복을 기구적인 방식으로 탈피하여 상호 연결하는 터미널이 장착되며, 그 터미널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전선이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전선을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선과 연결하거나 전선의 끝단을 소정의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은 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심선들을 상호 겹치거나 꼬아 전기 접촉시키며, 노출된 심선을 절연 테이프 등으로 감아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처럼 2개의 전선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피복을 벗겨 심선을 노출하는 과정과 심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 및 심선을 절연 테이프로 감는 과정이 수행된다.
2개의 전선들을 단순히 꼬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시간의 경과 및 외력에 의하여 2개 전선들의 심선이 상호 분리되거나 점성을 갖는 물질이 절연 테이프로부터 흘러나와 심선의 접촉 불량 및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다른 전기장치 등의 단자와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연결부와, 이 단자연결부에 연결되어 다른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터미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터미널은 브리지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 전선의 피복을 인위적으로 벗겨낸 후, 심선을 브리지에 접속시켜 별도의 절연테이프 등으로 감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터미널에 대한 전선 연결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연결 상태도 견고하지 못하여 브리지와 전선 간이 쉽게 분리되어 예상치 못한 전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커넥터에 장착할 때 피복 일부를 절단하는 칼날이 구비된 터미널에 의하여 전선들을 접속하는 다양한 방안이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을 살펴보면, 상방의 전선진입부에 커팅부가 마련되고 하방에 심선접속부를 가지며 서로 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직립편의 하단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터미널은 커팅부의 경사각이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여 절단 효력이 극대화되지 못하였으며, 심선접속부도 일자 직립 구조로 되어 있어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최대화되지 못하였으며, 외측직립편의 폭이 넓지 않아 심선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직립편이 벌어지면서 접속력이 약화되며 접촉저항이 높아졌다.
이러한 터미널이 배치되는 기존의 커넥터는 본체와 커버의 연결에 의한 커버의 사선 방향 가압이 불가피하여 결과적으로 사선 가압을 최대한 회피하기 위해 커넥터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은 물론 전선에 대한 가압력도 약하여 작업성이 떨어졌다.
또한, 기존의 전선이음 커넥터는, 단일 커버에 의해 두 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눌려야 하기 때문에 큰 가압력이 소요되면서 이 역시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기존의 전선이음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이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전선의 결합력이 약하여 전선이 커넥터 하우징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미널의 일측에 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 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는 전선이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는 전선이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쪽 전선이 터미널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양쪽 전선과 커넥터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전선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전선이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는, 복수의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터 터미널; 및 상기 커터 터미널이 장착되며, 상기 커터 터미널 상으로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을 커터 터미널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 터미널은,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을 연결하는 커터 연결부; 상기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에 위치하며, 상기 커팅부에 의해 피복이 절개된 전선을 경사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전선진입부; 및 상기 전선진입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안치되는 심선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심선이 상기 전선고정부에서 상기 심선접속부를 지나면서 굴절된 양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고정부의 중심라인과 상기 심선접속부의 중심라인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선이 상기 심선접속부에서 상기 전선고정부 측으로 하향 굴절되도록 상기 전선고정부가 상기 심선접속부보다 더 낮은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진입부는 상기 중앙직립편의 상부 양측에서 상기 중앙직립편의 하부로 경사진 양상이며, 상기 전선진입부는 상기 심선이 상기 전선진입부를 따라 상기 심선접속부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고정부의 중심라인 상에서 이격되며, 상기 심선은 상기 전선고정부에서 상기 중앙직립편의 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상기 커터 터미널은 상기 전선의 배치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커터 터미널의 커팅부는 상호 마주하는 대칭된 양상이다.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커터 터미널의 좌우의 상기 심선접속부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커터 터미널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선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심선접속부는 라운드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터 터미널이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전선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된 터미널 하우징;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된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암수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를 연결하는 하우징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와 제2 위치 고정 홈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미널의 일측에 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는 전선이음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는 전선이음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쪽 전선이 터미널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양쪽 전선의 심선이 굴절된 양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전선과 커넥터와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전선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전선이음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에 전선이 배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결합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에 사용되는 커터 터미널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는, 복수의 전선(5)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과, 전선(5)을 커터 터미널(80)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과 커넥터 하우징(100)은 피복이 절개되는 전선(5)의 심선(7)이 커넥터 하우징(100)과 커터 터미널(80)에 대해 상대적으로 굴절되게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커터 터미널(80)이 장착되며 복수의 전선(5)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111)가 마련된 터미널 하우징(110), 터미널 하우징(110)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111)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위치 고정 홈부(131)가 마련된 하우징 커버(130)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가 암수 결합 가능하도록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를 연결하는 하우징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선이음 커넥터는,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위치 고정 홈부(111)와 제2 위치 고정 홈부(131)에 의해 전선(5)이 위치 고정되는 전선고정부(116)가 구성된다.
전선고정부(116)는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가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5)이 배치되는 통로를 마련하며, 커터 터미널(80) 측으로 전선(5)을 안내하며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전선고정부(116)는 전선(5) 터미널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터 터미널(80)은 전선(5)의 피복을 절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심선(7)이 접속된다. 커터 터미널(80)의 양측에서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에 의해 가압되는 전선(5)은 피복이 절개되면서 심선(7)이 커터 터미널(80)의 내측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선(5)은 커터 터미널(80)에 의해 연결된다.
커터 터미널(80)은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11, 21)가 마련된 중앙직립편(10), 중앙직립편(10)의 커팅부(11, 21)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진 커팅부(11, 21)가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20), 중앙직립편(10)과 외측직립편(20)을 연결하는 커터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커터 터미널(80)은 중앙직립편(10)과 외측직립편(20)에 위치하며 커팅부(11, 21)에 의해 피복이 절개된 전선(5)을 경사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전선진입부(40), 및 전선진입부(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선(5) 내부의 심선(7)이 안치되는 심선접속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터 터미널(80)에서 하강하면서 접속되는 복수의 전선(5) 각각의 심선(7)은 전선고정부(116)에서 심선접속부(50)를 지나면서 굴절된 양상으로 배치된다.
심선(7)은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에 의해 갇힌 상태에서 커터 터미널(80)에 접속되며, 굴절된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의 외부로 분리나 이탈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선(5)은 커터 터미널(80)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가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선고정부(116)의 중심라인(c1)과 심선접속부(50)의 중심라인(c2)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선(5)이 피복이 절개된 상태에서 심선(7)은 커터 터미널(80)의 경사진 전선진입부(40)를 따라 이동된다. 심선접속부(50)가 전선진입부(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선고정부(116)와 평행적으로 이격되어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심선(7)은 전선고정부(116)를 지나는 측에서 심선접속부(50) 측으로 굴절된다.
전선진입부(40)는 중앙직립편(10)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직립편(10)의 하부로 경사진 양상이며, 전선진입부(40)는 심선(7)이 전선진입부(40)를 따라 심선접속부(50)까지 이동하면서 전선고정부(116)의 중심라인 상에서 이격되며, 심선(7)은 전선고정부(116)에서 중앙직립편(10)의 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심선(7)이 심선접속부(50)에서 전선고정부(116) 측으로 하향 굴절되도록 전선고정부(116)가 심선접속부(50)보다 더 낮은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심선(7)은 전선고정부(116) 상에 배치되는 심선접속부(50) 측으로 굴절되어 배치된다.
터미널 하우징(110) 측으로 하우징 커버(130)가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 커버(130)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전선(5)은 터미널 하우징(110)의 제1 위치 고정 홈부(111) 측으로 하우징 커버(130)의 제2 위치 고정 홈부(131)가 접근하면서 눌리게 된다.
커터 터미널(80) 상의 복수의 전선(5)은 중앙직립편(10)과 외측직립편(20)의 커팅부(11, 21)에 의해 피복이 절개되어 전선진입부(40)를 따라 심선접속부(50)까지 이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터 터미널(80)에 있는 전선(5)은 심선(7)이 라운드진 심선접속부(50)에 걸리며, 전선고정부(116) 측의 전선(5)은 심선접속부(50)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된다.
제1 위치 고정 홈부(111)가 심선접속부(50)보다 낮게 배치됨에 따라 전선고정부(116)의 중심은 심선접속부(50)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선(5)은 심선(7)이 굴절되면서 심선접속부(50)에서 전선고정부(116) 측으로 굴절되어 배치된다.
커터 터미널(80)은 전선(5)의 배치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터 터미널(80)은 전후 한 쌍으로서 심선(7)이 전선고정부(116)에 대해 굴절될 수 있는 구간을 형성한다.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이 배치됨에 따라 심선(7)은 전후 방향의 일정 구간 심선접속부(50)에 걸리어 배치되며, 전선고정부(116)에 굴절된 양상으로 배치된다.
전선고정부(116)는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의 좌우에서 전방부와 후방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전선고정부(116)는,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 상에서 복수의 전선(5)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선고정부(116)는 복수의 전선(5)이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의 전후 반대 측에서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전선고정부(116)는 한쪽 전선(5)이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의 한쪽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며, 다른 한쪽 전선(5)이 터미널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30)의 다른 한쪽으로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고정부(116)는 전선(5)의 굵기나 커터 터미널(80)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나 통로 직경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의 전술한 커넥터 하우징을 제외한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의 구성과 전선 피복의 커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 터미널(80)은 중앙직립편(10)과 한 쌍의 외측직립편(20)과 커터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중앙직립편(10)은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협 하광 구조의 커팅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외측직립편(20)은 상기 중앙직립편(10)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되고 상단부에 상기 중앙직립편(10)의 커팅부(11)와 대칭되게 마주본 상태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커팅부(11, 21)는 상단부에 날을 형성하기 위해 폭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의 커팅부(11)는 상호 마주하는 대칭된 양상이다. 이에 따라 전선의 피복은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 사이에서 피복이 원활하게 절개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전선 굴절을 위한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커터 연결부(30)는 상기 중앙직립편(10)과 한 쌍의 외측직립편(20)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상으로서, 하부에서 한 쌍의 커터 터미널(8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팅부(11, 21)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5)이 하방으로 진입되면서 피복이 절개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전선진입부(40)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5) 내부의 심선(또는, 동선이라 함)(7)이 진입된 후 이 심선(7)이 상기 중앙직립편(10)과 외측직립편(20)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인 심선접속부(50)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커팅부(11, 21)의 하단은 상기 전선진입부(40)로 진입되는 상기 전선(5)의 중심점과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전선(5)의 외주면으로 가해지는 절단력이 극대화되도록 직립부(14, 24)와 45도로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중앙직립편(10)은 상기 심선접속부(50)에 대응되는 부위가 심선(7)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12)는 상기 심선(7)의 하단 중앙부인 이른바 6시 방향에서 3시 방향까지 원형상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져서 심선(7)의 외주면을 감싸고 3시 방향을 넘어서는 지점에서 상향 경사지는 경사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경사부(13)가 마련됨으로써, 심선(7)이 경사부(13)를 따라 진입되다가 자연스럽게 오목부(12)에 안착될 수 있다.
오목부(12)에 대응되는 외측직립편(20)의 일측에는 상기 오목부(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7)을 오목부(12)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22)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22)는 상기 심선(7)에 대한 가압력이 최고점에 이르러 극대화되도록 상기 심선(7)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있다.
외측직립편(20)은 이 외측직립편(20)의 내측부 상측에서 상기 돌출부(22)까지 상기 오목부(12)를 향해 하향 경사져서 상기 돌출부(22)의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심선(7)에 의해 상기 외측직립편(20)이 외측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부(23) 구조로 되어 있다.
오목부(12) 및 돌출부(22)의 경사부(13, 23) 상단과 해당 커팅부(11,21)의 하단부 사이는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어 상기 전선(5)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7)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10, 20)들 사이로 수직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부(14, 2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13, 23)의 간격과 직립부(14, 24)의 간격은 상기 직립편(10, 20)들 사이로 진입된 심선(7)이 진입 순간부터 상기 심선접속부(50)에 안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심선(7)이 양측 직립편(10, 2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비록 심선(7)이 심선접속부(50)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접속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심선(7)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12)와 돌출부(22) 사이의 하측 부위는 심선(7)과의 공차에 의한 심선(7)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심선(7)과의 접속이 없는 공간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터미널에 심선이 접속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선(5)이 전선진입부(40)에서 하강된다.
전선(5)은 양 커팅부(11, 21)에 의해 피복이 절단되는 동시에 전선(5) 내부의 심선(7)은 동일 직경 크기의 직립부(14, 24) 사이로 수직 하강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동일 직경 크기인 경사부(13,23)를 따라 심선(7)이 하강하다가 심선접속부(50)에 도달하는 동시에 심선(7)의 우하방 외주면 부위가 오목부(12)에 안착되면서 최종적으로 심선(7)과 직립편(10, 20)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심선 접속 작업이 효율적으로 되게 하여 이에 따라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직립편은 심선접속부에 위치한 심선을 감싸 접속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오목부를 마련하여 심선과 터미널간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심선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부의 맞은편인 외측직립편에 심선을 오목부로 가압하는 동시에 심선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마련하여 심선과 오목부간의 안정적인 접속은 물론 외측직립편의 변형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 손상 방지에 따른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5 : 전선 7 : 심선
10 : 중앙직립편 11 : 커팅부
12 : 오목부 13 : 경사부
14 : 직립부 20 : 외측직립편
21 : 커팅부 22 : 돌출부
23 : 경사부 24 : 직립부
30 : 커터 연결부 40 : 전선진입부
50 : 심선접속부 60 : 공간부
80 : 커터 터미널 100 : 커넥터 하우징
110: 터미널 하우징 111: 제1 위치 고정 홈부
116: 전선고정부 130: 하우징 커버
131: 제2 위치 고정 홈부 140: 하우징 연결부

Claims (9)

  1. 복수의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터 터미널; 및
    상기 커터 터미널이 장착되며, 상기 커터 터미널 상으로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을 커터 터미널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 터미널은,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을 연결하는 커터 연결부; 상기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에 위치하며, 상기 커팅부에 의해 피복이 절개된 전선을 경사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전선진입부; 및
    상기 전선진입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안치되는 심선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고정부의 중심라인과 상기 심선접속부의 중심라인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심선이 상기 전선고정부에서 상기 심선접속부를 지나면서 굴절된 양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이 상기 심선접속부에서 상기 전선고정부 측으로 하향 굴절되도록 상기 전선고정부가 상기 심선접속부보다 더 낮은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진입부는 상기 중앙직립편의 상부 양측에서 상기 중앙직립편의 하부로 경사진 양상이며,
    상기 전선진입부는 상기 심선이 상기 전선진입부를 따라 상기 심선접속부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고정부의 중심라인 상에서 이격되며,
    상기 심선은 상기 전선고정부에서 상기 중앙직립편 측으로 굴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터미널은 상기 전선의 배치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터 터미널의 커팅부는 상호 마주하는 대칭된 양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커터 터미널의 좌우의 상기 심선접속부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커터 터미널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선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접속부는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터 터미널이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전선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된 터미널 하우징;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된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암수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를 연결하는 하우징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와 제2 위치 고정 홈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20180096428A 2018-08-20 2018-08-20 전선이음 커넥터 KR10202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28A KR102027139B1 (ko) 2018-08-20 2018-08-20 전선이음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28A KR102027139B1 (ko) 2018-08-20 2018-08-20 전선이음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139B1 true KR102027139B1 (ko) 2019-10-02

Family

ID=6842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428A KR102027139B1 (ko) 2018-08-20 2018-08-20 전선이음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1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84B1 (ko) * 2017-05-29 2018-09-06 유옥자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84B1 (ko) * 2017-05-29 2018-09-06 유옥자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4876A (en) Electrical connector
EP0793305B1 (en) Twisted pair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KR100238930B1 (ko)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US6270358B1 (en) Low-voltage male connector
US20160268739A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CN108933336B (zh) 免剥皮电线连接器用端子
US512023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KR20120105383A (ko)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KR950034903A (ko) 전기 터미널 및 커플링 커넥터
US880145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17747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S648902B2 (ko)
KR20110138558A (ko)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US4795356A (en) Electrical tap connector assembly
US5807133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KR970707607A (ko) 고 실행 커넥터용 단일 리본 케이블의 결합 분리 전선(bonding discrete wires to form unitary ribbon cable for high performance connector)
KR101981067B1 (ko)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2027139B1 (ko) 전선이음 커넥터
US6475032B1 (en) Geophysical connector
KR10164321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US3226669A (en) Wire conductors in electrical connection fields
CN106356653A (zh) 插塞连接器和用于其的变形工具
KR102039651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US6217356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arc arresting region
KR102171554B1 (ko)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