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930B1 -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 Google Patents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930B1
KR100238930B1 KR1019930703093A KR930703093A KR100238930B1 KR 100238930 B1 KR100238930 B1 KR 100238930B1 KR 1019930703093 A KR1019930703093 A KR 1019930703093A KR 930703093 A KR930703093 A KR 930703093A KR 100238930 B1 KR100238930 B1 KR 10023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base
modul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리 비. 매튜스
제롬 알렌 프랫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7Contact having three contact surfaces, including diverse surfac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복수의 와이어를 접속하고 710 커넥터 모듈에 브리지 접속을 만들기 위한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은 다중 커넥터 세그먼트를 이용한다. 모듈은 와이어 지지용의 가늘고 긴 베이스를 가지고, 이 베이스는 대향 표면을 갖는 절연 재료로된 가늘고 긴 본체와 결합할 것이고, 본체는 복수의 도전성 접촉자를 지지하고, 그 각각은 슬롯식 와이어 수용 단부를 가지며, 제 2 접속 부재는 타단부에 있고 제 3 접속부는 접촉자의 단부들을 중개하며, 슬롯형 절연 변위 와이어 수용단부는 조립되었을때 베이스내의 와이어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제 2 접속부재 및 제 3 접속부는 타모듈에의 접속을 위해 베이스 및 본체의 대향 측면에서 액세스 가능하다. 브리징 스트립은 710 커넥터와 같은 또다른 스플라이스 모듈에 모듈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복수 쌍의 원거리통신 와이어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와이어쌍을 종단하고 와이어-접촉자 접합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커넥터를 접속 및 분리하며, 서비스가 단절되지 않고 브리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기존의 모듈 전화 케이블 스플라이스 내로 분기시키기 위한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
멀티와이어 케이블용 모듈 스플라이싱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708,779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 특허는 베이스 부재, 적어도 하나의 본체 부재 및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3층 스플라이싱 모듈을 개시한다. 본체 부재는 상부 및 하부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접촉 소자를 수용하고 세그먼트와 함께 용접된다. 와이어는 스플라이스를 만들도록 베이스내 가로 홈 및 상부 세그먼트의 홈 내에 배치된다. 그 다음 덮개는 상부 세그먼트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스플라이싱 모듈은 2개의 케이블내 와이어의 대응쌍을 꼬아 잇도록(splice) 설계된다. 상부 세그먼트 상에 또다른 본체 부재를 배치하므로써 꼬아 이어진 쌍으로의 부가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그 다음 세그먼트의 접촉자는 상부 세그먼트 내의 동일한 와이어에 또다른 접속을 만든 다음 제3 와이어 세트가 제2 본체 부재의 상부 세그먼트 내에서 접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자는 와이어에 스프링 압착 보조, 절연 변위 접속, IDC를 만들기 위한 U 커넥터를 가지고, U 커넥터는 세그먼트의 한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촉자의 다른 단부는 다른 접힌 접촉 단부와 마찰적 로킹 결합하도록 접혀지고, 그 다른 접촉자는 그것의 맞은편 단부가 다른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되고 또다른 케이블로부터 와이어에 접속되는데, 본 특허의 제15도에 대한 기술을 참조하자. 2개의 세그먼트를 함께 누르면 접촉자의 접힌 단부를 상호간에 지나쳐서 벌어지게 하여 2개의 세그먼트를 함께 고정하고 접촉 소자 사이에 영구적인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모듈은 먼저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3,945,705호는 유사한 커넥터를 설명하고 단지 스플라이싱 커넥터를 설명한다. 이 특허는 1976년 3월 허여되었고 커넥터의 크기에 대한 개선점을 나타냈다.
1973년 11월 13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72,635호 및 1974년 12월 31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858,158호는 스플라이스 내로 분기시키기 위한 선택 브리지 커넥터의 부가 특성을 갖는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기술했다. 기술된 브리지 커넥터는 양쪽으로 사용 가능한 슬롯되어진 금속성 접촉 소자를 포함하고, 그 일단부는 스플라이싱 모듈내 슬롯을 통해 연장되어 스플라이싱 모듈 접촉자의 좁은 허리부와 파지식 접촉을 형성한다.
또다른 특허인 미합중국 특허 제4,262,985호는 1981년 허여되었고, 상업적으로 "710 커넥터"로서 개시된 벨 전화 연구소 와이어 스플라이스 모듈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 커넥터의 베이스 상에 사용되는 리테이너와 유사한 와이어유지 부재를 갖는 모듈 와이어 스플라이싱 커넥터이다. 관련된 특허는 1974년 12월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858,158호(Devices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헨(Henn)등) 및 미합중국 특허 제3,611,264호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127,312호(Modular Connector for Connecting Groups of Wires)는 1978년 11월 허여되었고, 미합중국 특허 제4,162,815호(Means for Cable Section and Equipment Transfer Without Service Interruption)는 1979년 7월 허여되었다. 이들 특허는 와이어 수용 슬롯 및 리셉터클부를 포함하는 접촉자를 갖는 적재가능 커넥터를 개시한다. 접촉자는 본체에 수용되고 그것의 면사이에서 연장되어서 와이어를 갖는 본체가 접촉자의 와이어 수용부에 접합되어서 두 면중 어느쪽이든 다른 유사한 본체와 합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또다른 모듈과의 접촉은 와이어에의 접합부 부근에서 만들어져야 하고 이것은 종종 더 많은 절연 변위를 필요로한다. 이 커넥터 구조는 또한 부가 모듈상에의 스플라이싱 및 플러그를 끼우기 위해 와이어 접촉 접합부를 노출하게 된다.
1981년 8월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85,563호(Cable Connector and Cap Shoe Therefore)는 수정된 "710 커넥터"의 검사 및 전송 작업을 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모듈 내로 삽입 가능한 스프링 적재핀은 전력 공급을 유지하기에 불안정한 브리지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커넥터로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판매되는 슈퍼 메이트(Super Mate)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고, 이것은 접촉자를 갖는 스트립을 이용하여 와이어와 절연 변위 접속을 만들고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접촉자의 타단부는 90°비틀어져서 또다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된 또다른 2분기된 U자형 소자의 다리와 접촉할 수 있다. 또, 스플라이싱된 모든 와이어를 분리하도록 소자를 격리하는 것은 한 세트의 와이어 및 접촉 소자와의 접합부가 노출된 상태로 둔다.
이들 종래 기술 장치는 와이어의 부가 세트를 갖는 또다른 모듈에 플러그를 끼울때 만약 그들이 적재 가능 특성 또는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면, 동일한 와이어 세트에의 제2 접속 또는, 와이어 접속에 의해 변위된 와이어 절연체에 의해 종종 덮히는 또다른 접촉 소자 다리와의 접속을 포함한다. 어떤 경우든 이것은 와이어 및 접촉자의 접합부를 노출시켜 와이어에의 부가 접속을 만들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스택내의 모듈을 분리하기 위하여 다른 와이어로부터 한 세트의 와이어의 플러그를 뽑을 때에는, 와이어 접촉 접합부를 노출시켜서 하나 이상의 접합부가 상실될 기회를 만들고 모든 캡슐에 넣는 그리스가 접합부로부터 변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이 브리지 어댑터와 함께 사용가능하여 기존의 스플라이스 모듈에 브리징 한다는 사실과 함께 개선된 스플라이싱 구조를 제공하고 기존의 스플라이싱 고정구와 사용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많은 쌍의 와이어를 스플라이싱하도록 전송 통신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와이어 스플라이스 모듈을 제공한다. 모듈은 대향하는 세로 측면 및 표면을 갖는 절연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한다. 슬롯식 오프닝(openings)은 일 측면을 따라 표면들간의 베이스를 통해 연장되고 와이어 유지 부재는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일 표면의 대향 측면을 따라 위치된다. 대향 표면을 갖는 절연재료의 가늘고 긴 본체는 베이스와 결합한다. 본체는 복수의 도전성 접촉자를 지지한다. 각 접촉자는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갖고 또다른 접속 부재에 전기 접속을 만들기 위해 다른쪽 단부에 제2 접속 부재를 갖는다. 제3 접속 부재가 접촉자의 단부를 중개하여 형성한다. 본체는 일 표면으로부터 제3 접속 부재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오프닝을 가지고 대향하는 표면은 베이스 내에서 와이어를 맞물리게 하도록 위치된 2분기된 단부를 가진 베이스를 향하게 된다. 제2 접속 부재는 베이스 내의 슬롯식 오프닝을 통해 연장되어 베이스와 본체가 조립되었을 때 또다른 접속 부재와 접속하게 된다.
와이어 스플라이스 모듈은 복수의 상호 접속된 모듈을 가짐으로써 스플라이싱 모듈로서 사용하도록 된다. 예컨대 710 커넥터와 같은 또다른 스플라이스에 접속하도록 된 브리징 스트립(bridging strip)을 부가함으로써, 완성된 스플라이스에 브리징 접속을 만드는 것도 사용가능하다. 이 브리징 접속은 스트립의 길이에 평행한 플레인(plane) 내에 위치된 포오크형 접속 부재 및 브리징 스트립의 길이에 평행한 플레인 내에 위치된 접속탭을 각각 갖는 복수의 브리징 접촉자를 갖는 브리징 스트립에 의해 주어진다. 브리징 스트립은 포오크형 접속 부재가 그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속탭이 그 대향하는 측면 상에 형성된 슬롯식 오프닝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브리징 접촉자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지지 스트립과 결합하도록된 장착 스트립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브리징 접촉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가늘고 긴 제1 지지 스트립을 포함한다.
스플라이싱 모듈의 접촉자는 3개의 분리된 접속부를 만들고, 하나의 접속부를 만드는 것이 다른 접속부를 인터럽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규의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710 커넥터 및 브리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징 커넥터의 횡단면도 및 본 발명의 브리지 커넥터내 와이어 및 710 커넥터 내의 와이어를 도시하는 710 커넥터의 부분 황단면도이다.
제3도는 브리징 소자의 정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 브리징 소자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지지 스트립의 부분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 지지 스트립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장착 스트립의 부분 평면도이다.
제8도는 브리징 소자 및 지지 스트립을 가진 상태로, 제2도 및 제9도의 브리징 커넥터의 브리징 스트립을 형성하는 장착 스트립의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와이어 스플라이싱 모듈 및 브리징 커넥터 스트립의 횡단면도이다.
제10도는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의 베이스의 단면도이다.
제12도는 인서어트(insert)의 부분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13-13 선을 따라 취해진 인서어트의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접촉자의 정면도이다.
제15도는 접촉자의 사시도이다.
제16도는 접촉자의 측면도이다.
제17도는 캡의 부분 저면도이고,
제18도는 제17도 캡의 단면도이다.
제19도는 접촉부 조립체 또는 본체를 형성하도록 함께 접합된 인서어트, 접촉자 및 캡의 단면도이다.
제20도는 본체용 저면 덮개의 부분 저면도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저면 덮개의 단면도이다.
제22도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보았을 때 본체에 접합된 상부 덮개, 본체에 접합된 베이스, 또다른 베이스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스 커넥터 부분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제23도는 접촉 부재의 상호 연결을 도시하기 위하여 그 자리에 와이어가 없는 상태로 조립된 제22도의 부분품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
본 발명의 다중쌍 와이어 스플라이싱 시스템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며,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소는 같은 인용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접촉 소자 및 베이스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커넥터를 유일한 특성으로서 갖는 스플라이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접촉 소자 및 베이스 사이에는 와이어가 위치되어 접속되고, 모듈은 와이어 접합부를 다시 노출시키지 않고 플러그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접촉자는 단일 열내에 있고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서 다른 모듈에 플러그를 끼울수 있다. 어댑터 또는 브리징 스트립이 사용되어 다른 현존하는 스플라이스 모듈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예컨대 도시된 브리징 스트립은 710 커넥터와 호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 스플라이싱 시스템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그 몇 몇은 복수의 성형 및 압형된 부품으로 형성된다. 성형 부품은 전기적 절연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다. 압형 부품, 접촉자 또는 커넥터 소자는 인, 청동과 같은 구리 합금 재료로 형성된다. 스플라이스 모듈(34)의 기본 구성 요소는 베이스(25) 및 본체 (26)를 포함한다. 브리징 커넥터(35)는 베이스(25), 본체(26), 브리징 스트립(28) 및 상부 덮개(29)를 포함한다. 하부 덮개(110)는 본체(26)에 와이어 접속을 만들 때 접촉 소자를 보호하고 멀티와이어 스플라이스를 만들때 소자를 에워싸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들 구성 요소의 조합과 종종 몇개 부품의 복제품이 사용되어 정전없이 브리지 전송을 수행한다. 기본 와이어 스플라이스 모듈(34)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케이블로부터의 다중 와이어를 상호 적층, 스플라이싱 또는 접속하도록 하거나, 한 모듈의 와이어를 브리징 스트립(28)에 접속하도록 하여 710 커넥터에 브리지 접속하기 위하여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브리지 커넥터(35)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710 스플라이스 모듈을 위해 사용된 현존하는 와이어 접속 및 스플라이싱 고정구를 사용할 수 있다. 덮개(29)는 본체(26)를 스플라이싱 고정구의 절단날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덮개(110)는 스플라이싱 고정구 내의 베이스(25)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제1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4,262,958호에 기술되는 대로 1쌍의 케이블로부터의 와이어쌍을 접속하도록 형성되는 710 커넥터(32)를 도시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710 커넥터는 커넥터(32)의 측면에 와이어의 접촉 접합쌍에의 액세스 포트를 형성하는 복수의 슬롯 및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리브(ribs)를 포함하는 브리징 레일(33)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인용 부호 35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브리지 커넥터를 제공하고, 이 커넥터(35)는 커넥터(2)내의 와이어를 액세스하도록 수용되어,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브리지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라인 상의 소비자에게 서비스가 단절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는 브리지 접속을 수행한다. 브리지 커넥터(35)는 제2도에서 710 커넥터와 접촉 관계로 표시되고, 여기서 커넥터(32)의 접촉부(30)는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브리지 커넥터(35)의 접촉부(40)와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브리지 커넥터(35)는 브리징 스트립(28), 베이스(25) 및 본체(26)를 포함한다. 제2도에서 도시된 대로 상부 덮개(29)는 본체(26) 상에 배치된다.
스플라이싱 모듈(34)은 가늘고 긴 베이스(25) 및 본체(26)를 포함하고, 이 본체(26)는 가늘고 긴 인서어트(36), 복수의 접촉부(37) 및 캡(39)을 포함한다. 한 단위로서 본체(26)는 베이스(25) 내에 놓이고 고정구에 의해 절단된 25쌍의 케이블의 와이어 상에 놓여져서 그것으로써 접속할 수 있고, 와이어 및 본체(34)는 다른 스플라이싱 모듈(34) 또는 브리징 스트립(28)에 플러그가 끼워지도록 된다. 브리징 스트립(28)은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되는 대로 복수의 접촉 소자(40)를 포함하고, 이 접촉 소자(40)는 일 단부에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블레이드 소자 또는 접속 탭(41), 플랜지(42) 및 접속부(43)를 포함하는 중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접속부(43)는 제3도에서 명백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710 커넥터 등의 접촉 소자 (30)의 허리 구간과 탄성적 접촉을 하도록 된 한 쌍의 상호 간격진 다리를 갖는 2분기된 플레이트 접촉부의 형태이다. 접촉 소자(40)는 제5도 및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44)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 부재(44)는 긴 타원형 리세스(46) 및 원형 리세스(47)로 형성되는 제1 표면(45)을 갖고, 상기 리세스(44, 47)는 표면(45)위로 약간 돌출하고 슬롯(48)의 상단부를 한정하는 일련의 벽을 구분하는 외에는 아무런 기능도 가지지 않고, 그 사이에 슬롯이 위치된다. 슬롯(48)은 상부 표면내 일 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보다 좁은 폭의 계단형 부분 및 넓은 부분을 갖는다. 그 사이의 전이 부분에서 형성된 견부는 접촉 소자(40)의 탭(41) 위치를 정하고, 그것의 시이트 부분(49)은 접촉 소자(40)의 중간 부분(42)을 지지한다. 접촉부(40)는 각 슬롯(48)에 놓인다. 지지 부재(44) 표면(45)의 한 에지에서 돌출하는 것은 복수의 절단된 화살촉 모양 돌기부(50)이고, 지지 부재의 대향 표면에 인접하게 지지 부재(44)의 동일 에지에 형성되는 것은 보통 원형 리세스(52)이다. 돌기부(50) 및 리세스(52)는 지지 부재(44) 및 로킹 스트립(55)을 서로 로킹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여 브리징 스트립(28)을 형성한다. 지지 부재(44)는 일 측면 상에 배꼽구멍(53:nib)으로 형성되어 710 커넥터 브리지 레일(33) 내의 캐치(catch) 또는 오프닝을 맞물리게 한다. 지지 부재(44)는 또한 표면(45) 내의 리세스(71)들 사이에서 리세스(118)로 형성되어서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브리징 스트립(28)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툴의 갈래(prong)를 수용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스트립(55)은 지지 부재(44)의 주표면(45)에 보통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표면(56)을 포함하며, 그 한 에지를 따라서 선택적으로 슬롯 리세스(57), 그것의 측면 상에 톱니를 제공하도록 평면도로 버섯 모양인 캐치(58), 리세스(57) 및 쐐기 모양 돌기부(59)가 형성되고, 스트립(55)의 측면을 따라서 다른 리세스(57)등이 형성된다. 동일한 측면을 따라서 각 리세스 (57) 아래에 플러그(60)가 있고, 이 플러그(60)는 보통 원통형으로 지지 부재(44)의 원형 리세스(52)를 맞물리게 한다. 그러므로 로킹 스트립(55)은 접촉 소자(40)를 슬롯(48) 내의 위치에 로킹하도록 수용될 수 있고, 그것의 탭(41)은 슬롯(48) 내의 견부와 대향하는 상태이며 오프닝은 슬롯(48)의 좁은 부분에 의해 한정된 상태로 남아있고, 캐치(58)의 단부들 사이 공간과 돌기부(59)는 탭(41)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2분기된 접속부(43)를 형성하는 접촉부(40)의 넓은 부분은 로킹 스트립(44)의 대향 표면으로부터 인접한 플러그(60)들 사이 및 그것을 넘어선 부분으로부터,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접촉부(30)의 허리 구간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710 커넥터(32)의 브리징 레일(33) 내의 슬롯을 관통하도록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로킹 스트립(55)에는 또한 플러그(60)와 대향되는 측 표면 상에 배꼽구멍(53)이 제공된다. 브리징 스트립(28)의 측면상 배꼽구멍(53)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대로 710 커넥터 브리지 레일(33) 내의 캐치 또는 오프닝을 맞물리게 하여 브리징 스트립을 적소에 유지한다. 제1도 및 제7도를 보면 로킹 스트립(55)은 리세스 (119)로 형성되고, 이 리세스는 710 커넥터 브리징 레일(33)로부터 브리징 스트립 (28)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툴을 수용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므로 지지 부재(44) 내의 리세스(118)는 브리징 스트립(28)으로부터 베이스를 분리하는데 조력하고, 로킹 스트립(55) 내의 리세스(119)는 리세스 내에 분리툴을 놓고 한 부분품은 한 방향으로 밀어내고 다른 부분품은 브리징 스트립(28)의 길이를 따라 교대 구멍 내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710 모듈 브리징 레일(33)로부터 브리징 스트립(28)을 분리하는데 조력한다.
제9도는 브리지 커넥터(35)의 단면을 도시하는데, 이 브리지 커넥터는 복수의 와이어쌍을 710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는 브리징 스트립(28), 모듈(34) 및 덮개(29)를 포함한다. 모듈(34)의 베이스(25)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되고, 베이스의 주표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 오프닝(62) 및, 베이스의 다른 세로 에지에 인접한 표면을 따라 위치된 와이어 유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리지(ridge)를 포함한다. 유지 부재는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상호 이격된 톱니(64)를 포함한다. 교대 톱니(64)는 둥글게된 상부를 갖고, 다른 톱니(64)는 뾰족하게된 상부를 갖는다. 각 톱니는 측면 에지에서 약간 안쪽에 설치되어 좁은 레지(ledge)(65)를 만든다. 인접한 톱니(64)들 사이에는 와이어 수용 채널(66)이 있다. 톱니(64) 및 오프닝(62) 사이에는 도움 지붕의 라이저(riser) (68) 내에 2개의 수직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아암(67)이 있다. 인접한 라이저(68)의 상호 간격진 아암은 게다가 오프닝(62)과 한줄로 정렬된 와이어 채널(66)의 경계를 정한다. 채널 내부에 와이어가 없는 상태에서 아암(67)은 보통 평행하고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와이어가 채널(66) 내에 도입되면 아암(67)은 와이어의 부근에서는 상호 멀어지게 기울고 채널(66)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서로를 향해서 기운다. 또한 채널 내에서 와이어 위쪽에서는 서로를 향하는 아암(67)의 운동도 있다. 또한, 톱니(64)는 채널 내에 와이어의 도입과 동시에 기울어져서 와이어가 가로 방향 변위 뿐만아니라 축방향 변위로부터도 유지되도록 하는 측면부도 갖는다. 베이스(25)의 표면은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각 채널(66)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좁은 와이어 지지 리브(63)를 제외하면, 채널(66)을 횡단하도록 톱니(64) 및 아암 (67) 사이에 깊게 홈이 파진다. 홈(69)은 하기 2분기된 와이어 수용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25)의 하부 표면은 복수의 상호 이격된 다리 또는 톱니 (70)를 가지며, 이 톱니(70)는 에지 노치(71)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에지 노치(71)는 브리징 스트립(28)의 측벽 및 인접한 상부 표면 내와 본체(26)의 에지벽 및 상부 표면 내에 나타난다. 또한 베이스의 상부 표면은 본체(26)의 캡(39) 상에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톱니(70)와 결합하도록 일 측면을 따라 리세스(71)를 갖고, 본체(26) 및 베이스(25)를 영구적으로 로킹하도록 톱니(64)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깃 가지(barb)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25)에는 제10도에서 도시되는 대로 베이스의 일 측면을 따라서 레지(65) 내에 노치(73)가 제공될 수 있다. 노치(73)는 스플라이싱 모듈에의 하프탭(half-tap) 접속이 종단될 때 와이어들의 와이어 단부를 위치 지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모듈(34)과 하프탭을 만들기 위해 와이어는 톱니(64) 및 아암(67) 사이의 베이스(25) 내로 도입되고, 동일한 아암 및 톱니 사이의 동일 채널을 통해 고리로 죄어진다. 하프탭을 종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와이어는 노치(73) 내에 놓여서 절단되고, 보통 채널(66)의 하부 내의 와이어가 절단되며, 절단부는 노치(73) 내에 놓여져서 그 후 전기적 절연 재료에 의해 덮인다.
본체(26)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되는 대로 인서어트(36), 복수의 접촉자 (37) 및 하기 조립된 캡(39)을 포함한다. 인서어트(36)는 조립 동안 접촉부를 지지하고 그 후 접속 및 분리 동안 발생하는 힘에 대하여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인서어트(36)는 한 에지를 따라 형성된 리지를 갖는 가늘고 긴 스트립이고, 이 리지는 바로 그 상부에 작은 위치 지정 버튼(76)을 각각 갖는 복수의 돌기부(75)에 의해 한정되는데 슬롯(77)은 일 측면 상에 있고 스탠드오프 (stand-off) 돌기부(78)는 반대쪽 측면 상에 있다. 슬롯(77)은 인서어트(36)를 통해 연장되는 보다 좁은 나란히 서있는 오프닝(80)과 통해있다. 슬롯(77)은 상호 이격된 벽(81, 82)에 의해 한정되고, 그 중 하나는 패턴화된 간격으로 래칭 톱니(83)로 형성된다. 보다 좁은 오프닝(80)은 접촉부들 사이의 절연성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베이스(25)의 가로 오프닝(62) 내의 수용되도록된 종속 돌기부(84) 내에 형성된다.
접촉자(37)는 각 돌기부(75) 상에 장착되고 접촉자(37)의 단부는 리지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자(37)는 만곡부(88)의 대향 단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상이한 길이의 다리를 중개하는 대향 측면 및 단부를 갖는 상기 만곡부(88)를 갖는 U자형 탄성 도전성 부재를 보통 포함한다. 상기 다리중 하나는 제1 플레인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와의 전기적 접속을 보조하는 절연 변위 스프링을 제공하기 위한 슬롯(86)을 형성하도록 깊게 홈이 파진 2분기된 커넥터 플레이트(85)를 한정한다. 슬롯(86)을 한정하는 좁은 에지는 보통 평행이고 플레이트(85)는 와이어 삽입 오프닝을 한정하는 매끄럽게 분기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U자형 접촉자(37)의 제2 다리는 플레이트(85)의 플레인에 보통 수직인 플레인 내에 그것의 자유단을 배치하도록 비틀려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37)의 제2 단부는 제2 전기 접속을 만들도록 자유단 상에 수커넥터나 암커넥터인 접속 수단(90)을 갖는다. 도시된 대로의 제2 전기 접속 부재(90)는 암 소리굽쇠형 커넥터 부재이다. 접촉자(37)는 또한 만곡부(88)의 단부 부근에서 제2 다리 내에 절단 또는 U자형 슬롯으로 형성되어서 제2 다리 상에 제2의 수 또는 암 접속 수단(91)을 형성하여 공동 접속 부재(90) 또는 검사 장치 상의 공동 접촉자 또는 검사 탐침에의 제3 전기 접속을 만든다. 도시되는 대로 접속 수단(91)은 만곡부 및 제2 다리의 모서리에서 절단되는 U자형 슬롯에 의해 형성된 탭으로서 탭은 접속 수단(90)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것에 의해서 본체(26)의 상부 내의 클리어런스 오프닝(101)를 통해 만곡부(88)에 평행한 제1 플레인 내의 만곡부로부터 좀 더 이격된 제2 플레인 내의 및 만곡부 부근의 제3 플레인내의 와이어에 접속이 만들어질 수 있다.
단부 또는 플레이트(85)는 인서어트(36) 리지의 일 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그것의 다리 사이에 있는 슬롯(86)은 리지와 교차하여 연장되고 인서어트(36)의 스탠드오프(78)와 정렬된다. 접촉자의 중간 만곡부(88)에는 오프닝(89)이 주어져서 돌기부(75)의 버튼(76)을 수용하여 접촉자(37)를 위치시킨다. 제2 다리의 90°비틀린 것은 접속 부재(90)의 다리를 플레인 내에서 보통 단부(85)에 직각으로 위치시킨다.
다리의 단부내 소리굽쇠형 접속 부재(90)는 돌기부(75)로부터 매달려 인서어트 내의 오프닝(80) 내로 통하도록 위치된다. 탭(91)은 포오크형 단부 위쪽으로 돌출하고 소리굽쇠 접촉자(90) 다리의 플레인과 각을 이룬 플레인 내에 배치된 얇은 블레이드 같은 부재이다.
캡(39)은 인서어트(36) 위쪽에 맞추어 형성되고 접촉자(37)를 인서어트 상 및 캡 내에 로킹한다. 캡은 제17도 및 제18도에서 도시되는 대로 복수의 상호 이격된 벽부재, 리브 및 로킹 정렬 돌기부로 형성되는 제1 표면(95) 및 대향하는 하부 표면(96)을 포함한다. 상호 이격된 벽(99)은 리브(100)에 의해 분리된다. 리브(100)는 오프닝(101)을 통해 가로로 정렬되고, 그 내부로 탭(91)에의 접촉을 제공하도록 탭(91)이 돌출한다. 리브(100) 맞은편은 내부로 돌출하는 지지 및 로킹 돌기부(104)이고, 이 돌기부는 인서어트(36)의 스탠드오프(78) 맞은편 접촉자(37) 단부(85)의 측면을 지지하고 그 사이에서 베이스(25)의 톱니(64)를 수용한다. 캡(39)의 한 측벽(105)은 와이어 수용 접촉 단부(85)를 따라 연장되고 맞은편 측벽 (106)은 접속 부재(90) 부근에 위치되지만, 본체(26)가 조립되면 접속 부재(90)가 벽(106)의 하부 에지 및 인서어트(36)의 돌기부(84)를 사실상 지나서 연장되는 것은 예외이다. 또한 캡(39)은 베이스(25)의 에지 내의 리세스(71)와 결합가능한 표면(96)으로부터 돌출하는 톱니(70)도 갖는다. 또한 리세스(71)가 표면(95)의 각 에지를 따라서 형성되어 또다른 베이스(25) 또는 덮개(29)의 톱니(70)를 수용한다. 캡(39)은 분리툴 수신용 캡의 길이를 따라서 노치(71)와 교대방식으로, 측벽(106) 및 표면(95) 내의 리세스(118)에 대응하는 상호 이격된 리세스를 갖는다.
인서어트(36), 접촉자(37) 및 캡(39)을 포함하는 조립된 본체(26)는 제19도에서 도시된다.
하부 덮개(110)는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다. 이 덮개(110)는 베이스(25)의 하부면 또는 표면에 맞추어지도록 되어 베이스 내에서 와이어를 조립하도록 고정구 내에 동일물을 지지하고, 본체(26)와 와이어 접속하도록 압력이 인가될 때 베이스를 지지한다. 베이스는 보통 평활한 외부 표면(111)을 갖고 제20도 및 제2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또는 상부 표면은 일련의 포켓을 갖는다. 한 세트의 포켓(114)이 형성되어 접촉자(37)의 접속 부재(90)를 수용한다. 이 덮개에는 또한 가장자리 면 및 표면을 따라서 리세스(71)가 주어져서 베이스(25)의 톱니(70)를 수용한다. 부가 리세스(118)가 일 면 및 내부 표면을 따라 덮개(110) 내에 형성되어 베이스로부터 하부 덮개를 분리하기 위한 툴을 수용한다.
상부 덮개(29)도 유사하게 형성되어 본체(26)의 상부 표면을 지지해서 힘이 인가되었을 때 힘이 캡(39)에 균일하게 전송되도록 하여 그러한 힘이 표면(95) 위로 약간 연장된 돌기부에 의해 수용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 덮개(29)에는 세로홈 (115)이 주어져서 스플라이싱 고정구의 절단날을 위한 클리어런스 슬롯을 제공한다.
제22도는 2개의 케이블로부터의 여러 와이어쌍을 결합하거나 이어맞추기 위하여 2개의 와이어 스플라이싱 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하부 덮개(110)는 고정구 내의 제1 베이스(25)를 지지한다. 제1 케이블로부터의 와이어는 톱니(64) 및 아암(67) 사이의 와이어 채널(66) 내에 놓인다. 고정구는 와이어를 절단하도록 작동된다. 그 후 본체(26)는 제1 베이스(25) 상에 놓이고 각 접촉자(37)는 채널 (66) 내의 와이어들중 하나와 절연 변위 전기 결합된다. 제2 베이스(25)는 캡(39)의 표면(95)에 부착되고 제2 케이블로부터의 와이어는 톱니 사이에서 끼워넣어진다. 고정구는 다시 와이어 단부를 절단하도록 작동한다. 이제 그위에 상부 덮개 (29)를 갖는 제2 본체 부재(26)는 제2 와이어 세트 상에 위치되고, 고정구는 와이에 절연 변위 접속하는 제2 와이어 세트 상에 제2 본체를 덮고, 제2 접촉자 세트의 접촉부(90)에 의해 와이어를 스플라이싱하는 것은 제1 접촉자 세트의 탭(91)에 전기 접속한다. 만약 스플라이스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부분품은 제2 베이스 부재(25) 및 제1 본체(26) 사이에서 분리된다. 이것이 행해지면 어느 한쪽 모듈 (34) 접촉자(37)의 플레이트(85) 내의 접촉자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접합부는 노출되지 않아서 접촉자로부터 와이어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위에 와이어 접합부에서 접촉자를 보호하도록 커넥터 내에 놓인 모든 절연 및 캡슐형 그리이스 (grease)는 접합부를 보호하도록 남아있다. 완성된 스플라이스는 제23도에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와이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생략되었다. 제5도 및 제20도에서의 리세스(118)와 유사하게, 리세스는 베이스(25) 또는 덮개(29)로부터 캡(39)을 분리하기 위한 툴을 수용하도록 표면(95)에 인접한 캡(39)의 정면벽(10) 내에 형성된다. 또한 제2도 및 제2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120)에서의 분리 또는 모듈(34)로부터 덮개를 분리하여도 접촉자(37)와 와이어의 접합부를 노출시키지 않는다. 상부 덮개 또는 하부 덮개는 접속탭(91) 또는 접촉자(90)를 각각 노출시켜 케이블에 부가 접속을 만들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상부 본체(26)의 상부 덮개(29)를 제거하는 것은 탭(91)을 노출시켜서, 정전없이 한 케이블로부터 새로운 케이블로 브리지 전송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대로 만들어질 그 이상의 접속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인용되는 대로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변겅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2)

  1. 대향하는 세로 측면들 및 상기 측면들 중 하나에 인접한 일 표면을 따라서 위치되는 와이어 유지 부재를 갖는 대향 표면들을 갖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절연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 대향 표면을 갖는 절연 재료로 된 가늘고 긴 본체, 및 베이스의 상기 일 표면 상에 지지되는 와이어와의 접속을 위해 상기 본체의 제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본체가 지지하는 복수의 도전성 접촉자를 포함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타단부에 제2 접속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2 표면에 인접한 액세스를 위해 배치되고 접촉자의 단부들을 중개하는 제3 접속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및 본체가 상기 베이스의 채널 내의 와이어와 전기적 와이어 접합을 형성하는 상기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에서 조립될 때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제2 접속 부재를 수용하고 베이스의 대향 측면을 따라서 상기 표면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슬롯식 오프닝으로 형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제2 접속 부재를 2개의 모듈 내의 와이어를 스플라이싱하거나 모듈을 또다른 외부 부재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2 모듈 상의 접촉자의 제3 접속부에 접속하는데 적합한 베이스의 제2 표면을 초과하여 제2 접속 부재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서어트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리지를 갖는 가늘고 긴 인서어트 및 인서어트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고 그것을 통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자는 그 다리 사이의 슬롯이 상기 리지에 가로로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리지의 측면을 따라 위치된 상기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각각 갖고 상기 인서어트의 상기 리지 상에 지지되며, 각 접촉자의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리지의 타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인서어트 내의 상기 오프닝을 통해 리지 대향 인서어트의 측면을 초과하여 연장되며, 그 내부 표면이 캡 및 상기 인서어트 사이의 접촉자를 포착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상부벽 및 측벽을 갖고 상기 인서어트 상에 위치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본체는 접촉자 및 와이어의 접합부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베이스 및 본체를 영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그 길이를 따라 연동 톱니 및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3 접속부와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제2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의 상기 제2 접속 부재를 수용하도록 위치되고,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오프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대향 세로 표면을 갖는 브리징 스트립 및 각각 상기 세로 표면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포오크형 접속 부재를 구비한 복수의 브리징 접촉자를 포함하고, 그 브리징 슬롯을 통하여 710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속하기 위한 브리징 수단과, 대향하는 세로 표면 내의 오프닝 내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립의 길이에 평행한 플레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모듈 접촉자의 상기 제2 접속 부재와 접속하는데 적합한 접속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징 스트립은 상기 브리징 접촉자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가늘고 긴 제1 지지 스트립 및 상기 브리징 접촉자를 상기 포오크형 접속 부재가 그 일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접속탭이 그 대향하는 표면 상에 형성된 상기 오프닝 내에 위치되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스트립과 결합시키는데 적합한 장착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또다른 블레이드 또는 탭 접속 부재와 접착식 접촉을 만들기 위한 소리 굽쇠 접촉자이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는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인에 보통 수직인 플레인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촉자는 대향 측면 및 단부를 갖는 만곡부를 갖는 U자형 탄성 도전성 부재와, 상기 만곡부 일 측면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이한 길이의 1쌍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중 하나는 제1 플레인 내에 배치되고 깊이 홈이 파진 커넥터 플레이트를 한정하여 와이어와의 전기 접속을 유지하는 절연 변위 스프링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형성하고, 좁은 에지는 보통 평행인 상기 슬롯을 한정하고 와이어 수용 오프닝을 한정하는 평활하게 분기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U자형 부재의 제2 다리는 제2 접속 부재를 만들기 위한 단부상의 접속 수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3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만곡부의 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2 다리 내의 절단 부분으로 형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만곡부에 평행한 제1 플레인 내의, 상기 만곡부로부터 더욱 이격된 제2 플레인 내의 및 만곡부에 인접한 제3 플레인 내의 와이어에 접속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공동 부재의 대향 측면과 접착식 접촉을 형성하는 소리 굽쇠형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10. 대향하는 세로 측면들 및 상기 측면들중 하나에 인접한 일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와이어 유지 부재를 갖는 대향 표면들을 갖고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절연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와, 대향 표면을 갖는 절연 재료로 된 가늘고 긴 본체 및 베이스의 상기 일 표면 상에 지지되는 와이어와 접속하도록 상기 본체의 제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도전성 접촉자를 포함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는 대향 에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통해 연장되는 일렬의 슬롯식 오프닝을 가지고, 와이어 유지용 상기 채널은 대향 측면을 따라 위치된 슬롯식 오프닝과 정렬되며, 상기 본체는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나란한 오프닝을 갖는 가늘고 긴 인서어트 및 그 일 측면을 따라 상기 인서어트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접촉자를 지지하기 위한 리지를 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자는 상기 인서어트의 상기 리지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접촉자 각각은 2개의 다리의 마주보는 좁은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을 가진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지에 가로로 연장되는 슬롯을 구비하여 상기 리지의 일 측면을 따라 위치되는 상기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가지며, 포오크형 접속 부재는 상기 리지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서어트 내의 상기 오프닝을 통해 리지 대향 인서어트의 측면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접속탭은 상기 접촉자의 상기 포오크형 접속 부재의 플레인에 각을 이룬 관계의 플레인 내에서 연장되고, 캡은 측벽 및 상부벽을 갖고 상기 리지 상에 위치되며, 상부벽 내의 일렬의 오프닝은 상기 접속탭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캡의 일 측면을 따른 측벽은 접촉자의 2분기된 단부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고 대향 측벽은 나란한 오프닝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벽의 내부 표면은 상기 인서어트의 리지 상의 접촉자를 포착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인서어트, 접촉자 및 캡 조립체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가 베이스 상에 위치될 때 상기 2준기된 단부는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와이어를 맞물리게 하고 와이어와 전기 접합을 만들며 베이스와 본체 사이의 와이어를 포착하고, 상기 포오크형 접속 부재는 상기 슬롯식 오프닝을 통해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또 다른 모듈의 접속탭과 접속하고, 하부 덮개 및 상부 덮개는 노출된 포오크형 접속 부재를 에워싸고 일렬의 오프닝이 캡내에 각각 있으며, 상기 하부 덮개 및 상기 캡은 일 측벽을 따른 리세스 및 분리 툴을 수용하기 위한 인접 표면을 가져서 하부 덮개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거나 상부 덮개를 캡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1쌍의 케이블의 와이어에 접속된 1쌍의 모듈은 한 모듈의 접속 부재를 다른 모듈의 접속탭에 접속하고, 덮개를 한 모듈의 캡 상과 타 모듈의 베이스 상에 배치하여 상호 스플라이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또다른 블레이드 또는 탭 접속 부재와 접착식 접촉을 만들기 위한 소리 굽쇠 접촉자이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는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인에 보통 수직인 플레인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또다른 블레이드 또는 탭 접속 부재와 접착식 접촉을 만들기 위한 소리 굽쇠 접촉자이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는 2분기된 와이어 수용 단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인에 보통 수직인 플레인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와이어-스플라이스 모듈.
KR1019930703093A 1991-04-12 1992-03-16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KR100238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4,323 1991-04-12
US07/684,323 US5147218A (en) 1991-04-12 1991-04-12 Pluggable modular splicing connector and bridging adapter
PCT/US1992/001984 WO1992019023A2 (en) 1991-04-12 1992-03-16 Pluggable modular splicing connector and bridging adap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8930B1 true KR100238930B1 (ko) 2000-01-15

Family

ID=2474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093A KR100238930B1 (ko) 1991-04-12 1992-03-16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5147218A (ko)
EP (1) EP0579772B1 (ko)
JP (1) JP3195345B2 (ko)
KR (1) KR100238930B1 (ko)
CN (1) CN1068462C (ko)
AR (1) AR244913A1 (ko)
AU (1) AU2001492A (ko)
BR (1) BR9205815A (ko)
CA (1) CA2104369A1 (ko)
CZ (1) CZ282205B6 (ko)
DE (1) DE69210600T2 (ko)
ES (1) ES2086748T3 (ko)
HU (1) HU216500B (ko)
MX (1) MX9201570A (ko)
MY (1) MY108025A (ko)
PL (1) PL168088B1 (ko)
RU (1) RU2140124C1 (ko)
SG (1) SG43166A1 (ko)
TR (1) TR26557A (ko)
UA (1) UA22103C2 (ko)
WO (1) WO19920190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163A (en) 1991-09-23 1994-0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ross connect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5326286A (en) * 1992-12-17 1994-07-0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alignment system
GB9307127D0 (en) * 1993-04-06 1993-05-26 Amp Holland Prestressed shielding plates for electrical connectors
DE4312778C3 (de) * 1993-04-20 2001-10-25 Vossloh Schwabe Gmbh Elektrische Anschlußklemmeinrichtung
US5449299A (en) * 1994-01-24 1995-09-12 Raychem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terminal
EP0690523B1 (en) * 1994-07-01 1998-09-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dular cross connect system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5554053A (en) * 1994-08-24 1996-09-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dular connector with separable wire retention
CA2220876C (en) * 1995-06-05 2004-04-06 Robert Jay Sexton Flat surface-mounted multi-purpose wire
US5779504A (en) * 1995-09-29 1998-07-14 Reltec Corporation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US5683268A (en) * 1995-12-27 1997-11-04 Lucent Technologies Inc. Universal stacking modular splicing connector
FR2743448B1 (fr) * 1996-01-10 1998-02-13 Entrelec Sa Agencement d'interconnexion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notamment pour appareillage de type bloc de jonction, et boitier equipe d'un tel agencement
DE19652422C1 (de) * 1996-12-09 1998-04-23 Krone Ag Anschlußleiste
JP2000150054A (ja) * 1998-11-13 2000-05-30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205240B2 (ja) * 1999-03-01 2009-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プライス吸収構造
JP3482914B2 (ja) * 1999-07-27 2004-01-06 住友電装株式会社 接続用端子、該接続用端子を用いた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該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JP3717761B2 (ja) * 2000-06-29 2005-11-1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6350144B1 (en) * 2000-11-21 2002-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led distribution terminal block
US7335049B2 (en) * 2004-09-15 2008-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housing insulation displacement elements
US7097493B1 (en) 2005-01-14 2006-08-29 Adtra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connectors to network components
US20070001157A1 (en) * 2005-06-29 2007-01-04 Quick Jon C Conduit leader
DE102005041778A1 (de) * 2005-09-01 2007-03-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anordnung
US7134903B1 (en) * 2005-10-12 2006-11-14 Lear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TWI297559B (en) 2006-03-06 2008-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ross connect terminal block
FR2900505B1 (fr) * 2006-04-28 2010-04-02 Cahors App Elec Module de raccordement
US7153156B1 (en) * 2006-05-15 2006-12-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DE102006052119A1 (de) * 2006-11-06 2008-05-08 Robert Bosch Gmbh Schneid-Klemm-Verbindung, sowie Verfahren zur Verbindung zweier Bauteile
FR2910729B1 (fr) * 2006-12-22 2009-02-27 Legrand France Prise de raccordement a montage rapide pour cable multiconducteur.
US7530836B2 (en) * 2007-04-30 2009-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p for telecommunications cross connect block
US7833033B2 (en) * 2008-04-16 2010-11-16 Molex Incorporated Solar panel junction box and components thereof
WO2010029392A1 (en) * 2008-09-11 2010-03-18 Fci Retaining element for a connector
DE102011101932A1 (de) * 2010-11-25 2012-05-31 Baumüller Nürnberg GmbH Elektrische Maschine
DE102011101201B4 (de) * 2011-05-11 2019-12-05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Verteileranschlussmodul und Verfahren zur Beschaltung eines Verteileranschlussmoduls
DE102011103687A1 (de) * 2011-06-09 2012-12-13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Werkzeug zum Anschließen von Kabeladern
DE102011052964B4 (de) * 2011-08-24 2019-01-3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s Kontaktelement zur Querrangierung zwischen E/A-Modulen
DE102011116107A1 (de) * 2011-10-15 2013-04-18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Kontaktelement und Verteilerleiste für die 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JP5700026B2 (ja) 2012-11-28 2015-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装品機器の端子装置
KR101422082B1 (ko) * 2013-05-08 2014-07-23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JP6093645B2 (ja) * 2013-05-10 2017-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287663B1 (en) * 2014-08-26 2016-03-15 Lg Chem,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one another
DE202014106058U1 (de) * 2014-12-15 2015-01-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WO2018017734A1 (en) 2016-07-20 2018-01-25 Pic Wire & Cable,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odules for high-speed connectivity
USD902157S1 (en) 2017-07-19 2020-11-17 Pic Wire & Cable, Inc. Electrical connector
JP2019079641A (ja) * 2017-10-23 2019-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
CN113595298B (zh) * 2021-08-18 2023-01-0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用于定子绕组的接线组件及具有其的定子、电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1264A (en) * 1968-12-27 1971-10-05 Bell Telephone Labor Inc Wire connecting blocks
US3708779A (en) * 1969-05-12 1973-01-02 Minnesota Mining & Mfg Wire-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CA1002627A (en) * 1971-12-22 1976-12-28 Robert W. Henn Universal miniature connector for plural conductors
BE792672A (fr) * 1971-12-22 1973-03-30 Western Electric Co Connecteur miniature universel pour conducteurs
US3945705A (en) * 1972-06-09 1976-03-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re-splicing apparatus and contact element therefor
AR208483A1 (es) * 1975-11-10 1976-12-27 Amp Inc Terminal electrico
US4193201A (en) * 1978-11-29 1980-03-1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US4262985A (en) * 1979-03-26 1981-04-2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nnector for plural conductors
US4285563A (en) * 1979-07-26 1981-08-25 Communications Technology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nd cap shoes therefor
US4272147A (en) * 1979-09-14 1981-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dular connector and protector
US4514027A (en) * 1982-09-28 1985-04-30 At&T Technologies, Inc. Connectorized cable and methods of making
US4552429A (en) * 1984-10-01 1985-11-12 Amp Incorporate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wires in cable ends
US4952169A (en) * 1989-06-27 1990-08-28 Amp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employing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64647A (en) 1994-01-28
WO1992019023A3 (en) 1992-12-10
JP3195345B2 (ja) 2001-08-06
PL168088B1 (pl) 1995-12-30
WO1992019023A2 (en) 1992-10-29
CZ213293A3 (en) 1994-03-16
DE69210600T2 (de) 1996-12-05
AU2001492A (en) 1992-11-17
CN1077821A (zh) 1993-10-27
CZ282205B6 (cs) 1997-05-14
CN1068462C (zh) 2001-07-11
ES2086748T3 (es) 1996-07-01
EP0579772B1 (en) 1996-05-08
HU216500B (hu) 1999-07-28
US5314350A (en) 1994-05-24
RU2140124C1 (ru) 1999-10-20
MY108025A (en) 1996-07-30
BR9205815A (pt) 1994-05-17
CA2104369A1 (en) 1992-10-13
UA22103C2 (uk) 1998-04-30
DE69210600D1 (de) 1996-06-13
MX9201570A (es) 1992-10-01
US5147218A (en) 1992-09-15
HU9302766D0 (en) 1993-12-28
JPH06507043A (ja) 1994-08-04
SG43166A1 (en) 1997-10-17
TR26557A (tr) 1995-03-15
EP0579772A1 (en) 1994-01-26
AR244913A1 (es) 199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930B1 (ko)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CA1290038C (en) Patch connector
US5104332A (en) Modular furniture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for
US4162815A (en) Means for cable section and equipment transfer without service interruption
EP0778637B1 (en) Connector unit
EP062061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3324447A (en) Electrical connector
CN112086790B (zh) 电性端子
JPH0227673A (ja) モジュラジャック接続ブロック
KR920001669A (ko) 빌딩 배선용 배선 분배 시스템 및 장치
JPS6327832B2 (ko)
GB1588841A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ies
US4066320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system
EP0000434A1 (en) Connecting block for interconnecting wires and with two matable connector parts and slotted beam contacts
JPH0834111B2 (ja) 電線保持装置
EP0777923B1 (en) Modular connector with separable wire retention
CA1128619A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system
US4437725A (en) Junction connections for modular wiring systems
CA1163000A (en)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and block
EP1246317B1 (en) Terminal strip for interconnecting lines
US483680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lescoping for sealing)
JPS6227505B2 (ko)
US4165145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KR200209880Y1 (ko) 패치 플러그
AU737992B2 (en) Connect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