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554B1 -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554B1
KR102171554B1 KR1020180128751A KR20180128751A KR102171554B1 KR 102171554 B1 KR102171554 B1 KR 102171554B1 KR 1020180128751 A KR1020180128751 A KR 1020180128751A KR 20180128751 A KR20180128751 A KR 20180128751A KR 102171554 B1 KR102171554 B1 KR 10217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using
bridge
cov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930A (ko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알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오 filed Critical ㈜알파오
Priority to KR102018012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5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은, 상방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전선배치부(2a)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배치부에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심선과 접속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1)이 장착되고, 상기 전선배치부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된 한 쌍의 본체벽체(2b)를 갖는 하우징본체(2);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방을 덮어씌워 상기 전선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피복이 절단되도록 하는 전선가압부(3a)가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가압부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고 상기 본체벽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벽체(3b)를 갖는 하우징커버(3); 및 상기 본체벽체와 커버벽체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브리지(4);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커버로 하우징본체를 덮어씌워 서로 결합시 두겹으로 접혀 측방 돌출되는 상기 브리지가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방지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넥터하우징의 결합 후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를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내장,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부의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장치의 콤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되면서 제조비용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를 마련하여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접속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하우징의 결합 후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를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내장,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전선을 연결하거나 또는 전선의 끝단을 소정의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은 이들 전선들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심선들을 상호 겹치게 하여 꼬아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후 절연 테이프 등으로 감아 연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처럼 2개의 전선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피복을 벗겨 심선을 노출하는 과정과 심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 및 심선을 절연 테이프로 감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2개의 전선들을 단순히 꼬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시간의 경과 및 외력에 의하여 2개 전선들의 심선이 서로 분리되거나 점성을 갖는 물질이 절연 테이프로부터 흘러나와 심선의 접촉 불량 및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일례로 다른 전기장치 등의 단자와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연결부와, 이 단자연결부에 연결되어 다른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부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커넥터는 브리지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 전선의 피복을 인위적으로 벗겨낸 후, 심선을 전선연결부에 접속시켜 별도의 절연테이프 등으로 감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커넥터에 대한 전선 연결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연결 상태도 견고하지 못하여 커넥터와 전선 간이 쉽게 분리되어 예기치 못한 전기 사고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미널이 장착된 소정의 커넥터에 전선을 장착하게 되면 터미널의 커터에 의해 피복 일부가 절단되면서 심선이 접속되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방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전선배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배치부에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심선과 접속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이 장착되고 상기 전선배치부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된 한 쌍의 본체벽체를 갖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방을 덮어씌워 상기 전선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피복이 절단되도록 하는 전선가압부가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가압부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고 상기 본체벽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벽체를 갖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본체벽체와 커버벽체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의 결합 후 브리지가 두겹으로 겹쳐진 상태로 측방 돌출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로 인해 커넥터가 장착되는 전자기기 등의 주변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커넥터 포장시에도 포장 박스 등에 많은 양의 커넥터를 수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브리지를 절단기 등으로 절단하게 되는 경우에는 절단단면이 날카롭게 남아 있게 되어 작업자의 손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을 살펴보면, 상방의 전선진입부에 커팅부가 마련되고 하방에 심선접속부를 가지며 서로 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직립편의 하단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터미널은 심선접속부가 일자 직립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작아 그 결과 접속력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커팅부의 경사각이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여 절단력이 약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넥터하우징의 결합 후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를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내장,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를 마련하여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커지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은, 상방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전선배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배치부에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심선과 접속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이 장착되고, 상기 전선배치부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된 한 쌍의 본체벽체를 갖는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방을 덮어씌워 상기 전선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피복이 절단되도록 하는 전선가압부가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가압부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고 상기 본체벽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벽체를 갖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본체벽체와 커버벽체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커버로 하우징본체를 덮어씌워 서로 결합시 두겹으로 접혀 측방 돌출되는 상기 브리지가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방지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돌출방지수단은, 상기 두겹으로 접힌 외팔보 형상의 브리지 단부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커버의 커버벽체로 축회전시켜 상기 접힌 브리지가 내장되도록 하는 내장홈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내장홈부는, 상기 커버벽체 중 상기 브리지의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해서 그 하부를 절취하여 양측에 각각 측벽체 및 이들 측벽체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벽체를 갖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로 하우징본체의 결합시 밀접해서 겹쳐지는 상기 본체벽체의 외측면과 상기 관통부의 양 측벽체 및 상벽체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돌출방지수단은, 상기 내장홈부에 내장된 상기 브리지가 상기 내장홈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관통부의 측벽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장홈부에 내장된 브리지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는 돌기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관통부의 양 측벽체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평 위치에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내장홈부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접힌 브리지 중 상기 커버벽체와 연결되는 부위가 커버측브리지가 되고 본체벽체와 연결되는 부위가 하우징측브리지가 되며, 상기 하우징측브리지의 일측이 상기 스톱퍼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하우징측브리지의 일측이 맞닿은 상태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표면이 라운드진 돔 형상으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와 하우징본체의 결합시 상기 두겹으로 접힌 브리지가 측방을 향해 수평상태로 돌출되도록상기 브리지의 양단이 각각 하우징커버의 커버벽체와 하우징본체의 본체벽체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투입되는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서로의 심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은,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단부에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와 대칭되어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 및 상기 중앙직립편과 한 쌍의 외측직립편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이 하방으로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 및 상기 전선진입부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진입된 후 상기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인 심선접속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중앙직립편은 상기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직립편은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직립편의 일측이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오목부 및 돌출부의 경사부 상단과 해당 커팅부의 하단부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들 사이로 수직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부가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팅부는 상기 각각의 직립부에 대해 외측 방향을 향해 45도로 경사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의 결합 후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를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내장,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부의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장치의 콤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되면서 제조비용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를 마련하여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접속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는 등 조립성 향상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하우징본체와 하우징커버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하우징본체와 하우징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브리지가 내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브리지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하우징본체와 하우징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터미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은, 하우징본체(2)와, 하우징커버(3) 및 브리지(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본체(2)는 상방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전선배치부(2a)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배치부(2a)에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심선과 접속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1)이 장착되고, 상기 전선배치부(2a)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된 한 쌍의 본체벽체(2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는 상기 하우징본체(2)의 상방을 덮어씌워 상기 전선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피복이 절단되도록 하는 전선가압부(3a)가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가압부(3a)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고 상기 본체벽체(2b)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벽체(3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4)는 상기 본체벽체(2b)와 커버벽체(3b)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4)는 하우징커버(3)와 하우징본체(2)의 결합시 상기 두겹으로 접힌 브리지(4)가 측방을 향해 수평상태로 돌출되도록 상기 브리지(4)의 양단이 각각 하우징커버(3)의 커버벽체(3b)와 하우징본체(2)의 본체벽체(2b)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로 하우징본체(2)를 덮어씌워 서로 결합시 두겹으로 접혀 측방 돌출되는 상기 브리지(4)가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방지수단은, 상기 두겹으로 접힌 외팔보 형상의 브리지(4) 단부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커버(3)의 커버벽체(3b)로 축회전시켜 상기 접힌 브리지(4)가 내장되도록 하는 내장홈부(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내장홈부(5)는, 상기 커버벽체(3b) 중 상기 브리지(4)의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해서 그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벽체(3b)의 하부를 절취하여 양측에 각각 측벽체(3b1) 및 이들 측벽체(3b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벽체(3b2)를 갖는 관통부(3b3)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커버(3)로 하우징본체(2)에 결합시 밀접해서 겹쳐지는 상기 본체벽체(2b)의 외측면과 상기 관통부(3b3)의 양 측벽체(3b1) 및 상벽체(3b2)에 의해 디귿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방지수단은, 상기 내장홈부(5)에 내장된 상기 브리지(4)가 상기 내장홈부(5)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6)는 상기 관통부(3b3)의 측벽체(3b1)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장홈부(5)에 내장된 브리지(4)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는 돌기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6)는 상기 관통부(3b3)의 양 측벽체(3b1)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평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브리지(4)는 상기 내장홈부(5)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접힌 브리지(4) 중 상기 커버벽체(3b)와 연결되는 부위가 커버측브리지(4a)가 되고 본체벽체(2b)와 연결되는 부위가 하우징측브리지(4b)가 되며, 상기 하우징측브리지(4b)의 일측이 상기 스톱퍼(6)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6)는 상기 하우징측브리지(4b)의 일측이 맞닿은 상태로 폭 방향 양측으로 탄력있게 밀려나면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표면이 라운드진 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우선 하우징본체(2)의 전선배치부(2a)에 소정의 전선을 배치하고 하우징커버(3)를 하우징본체(2)의 직상방에서 하방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전선가압부(3a)가 전선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터미널(1)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면서 내부의 심선이 터미널(1)과 접속하게 되면서 전선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브리지(4)는 두겹으로 겹쳐져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러한 브리지(4)를 내장홈부(5)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내장, 은폐되도록 하여 브리지(4)의 정리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브리지(4)는 하우징측브리지(4b)가 스톱퍼(6)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1)은 중앙직립편(10)과 한 쌍의 외측직립편(20)과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직립편(10)은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협 하광 구조의 커팅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측직립편(20)은 상기 중앙직립편(10)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되고 상단부에 상기 중앙직립편(10)의 커팅부(11)와 대칭되게 마주본 상태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2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11, 21)는 상단부에 날을 형성하기 위해 폭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중앙직립편(10)과 한 쌍의 외측직립편(20)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11, 21)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이 하방으로 진입되면서 피복이 절개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4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진입부(40)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또는, 동선이라 함)이 진입된 후 이 심선이 상기 중앙직립편(10)과 외측직립편(20)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인 심선접속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커팅부(11, 21)의 하단은 상기 전선진입부(40)로 진입되는 상기 전선의 중심점과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전선의 외주면으로 가해지는 절단력이 극대화되도록 직립부(14, 24)와 45도로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직립편(10)은 상기 심선접속부(50)에 대응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12)는 상기 심선의 하단 중앙부인 이른바 6시방향에서 3시방향까지 원형상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져서 상기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고 3시방향을 넘어서는 지점에서 상향 경사지는 경사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경사부(13)를 마련함으로써, 심선이 상기 경사부(13)를 따라 진입되다가 자연스럽게 오목부(12)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2)에 대응되는 외측직립편(20)의 일측에는 상기 오목부(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12)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심선에 대한 가압력이 최고점에 이르러 극대화되도록 상기 심선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직립편(20)은 이 외측직립편(20)의 내측부 상측에서 상기 돌출부(22)까지 상기 오목부(12)를 향해 하향 경사져서 상기 돌출부(22)의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심선에 의해 상기 외측직립편(20)이 외측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부(23)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2) 및 돌출부(22)의 경사부(13, 23) 상단과 해당 커팅부(11,21)의 하단부 사이는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10, 20)들 사이로 수직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부(14, 2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13,23)의 간격과 직립부(14, 24)의 간격은 상기 직립편(10, 20)들 사이로 진입된 심선이 진입 순간부터 상기 심선접속부(50)에 안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심선이 양측 직립편(10, 2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비록 심선이 심선접속부(50)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접속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심선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2)와 돌출부(22) 사이의 하측 부위는 심선과의 공차에 의한 심선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심선과의 접속이 없는 공간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터미널에 심선이 접속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전선진입부(40)에서 하강시킨다.
그러면, 전선은 양 커팅부(11, 21)에 의해 피복이 절단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심선은 동일 직경 크기의 직립부(14, 24) 사이로 수직 하강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동일 직경 크기인 경사부(13,23)를 따라 심선이 하강하다가 심선접속부(50)에 도달하는 동시에 심선의 우하방 외주면 부위가 오목부(12)에 안착되면서 최종적으로 심선과 직립편(10, 20)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커넥터하우징의 결합 후 외측으로 돌출된 브리지를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내장,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부의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장치의 콤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되면서 제조비용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를 마련하여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접속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팅부를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이 극대화되게 함으로써, 심선접속부를 향한 심선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 터미널 2 : 하우징본체
2a : 전선배치부 2b : 본체벽체
3 : 하우징커버 3a : 전선가압부
3b : 커버벽체 3b1 : 측벽체
3b2 : 상벽체 3b3 : 관통부
4 : 브리지 4a : 커버측브리지
4b : 하우징측브리지 5 : 내장홈부
6 : 스톱퍼
10 : 중앙직립편 11 : 커팅부
12 : 오목부 13 : 경사부
14 : 직립부 20 : 외측직립편
21 : 커팅부 22 : 돌출부
23 : 경사부 24 : 직립부
30 : 연결부 40 : 전선진입부
50 : 심선접속부 60 : 공간부

Claims (5)

  1. 상방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에 전선배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배치부에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심선과 접속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이 장착되고, 상기 전선배치부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된 한 쌍의 본체벽체를 갖는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방을 덮어씌워 상기 전선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피복이 절단되도록 하는 전선가압부가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가압부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고 상기 본체벽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벽체를 갖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본체벽체와 커버벽체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브리지;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커버로 하우징본체를 덮어씌워 서로 결합시 두겹으로 접혀 측방 돌출되는 상기 브리지가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방지수단이 더 마련되되,
    상기 하우징커버와 하우징본체의 결합시 상기 두겹으로 접힌 브리지가 측방을 향해 수평상태로 돌출되도록 상기 브리지의 양단이 각각 하우징커버의 커버벽체와 하우징본체의 본체벽체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돌출방지수단은, 상기 두겹으로 접힌 외팔보 형상의 브리지 단부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커버의 커버벽체로 축회전시켜 상기 접힌 브리지가 내장되도록 하는 내장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장홈부는, 상기 커버벽체 중 상기 브리지의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해서 그 하부를 절취하여 양측에 각각 측벽체 및 이들 측벽체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벽체를 갖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로 하우징본체의 결합시 밀접해서 겹쳐지는 상기 본체벽체의 외측면과 상기 관통부의 양 측벽체 및 상벽체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방지수단은, 상기 내장홈부에 내장된 상기 브리지가 상기 내장홈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가 더 마련되되,
    상기 스톱퍼는 상기 관통부의 측벽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장홈부에 내장된 브리지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는 돌기 구조로 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관통부의 양 측벽체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평 위치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브리지는 상기 내장홈부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접힌 브리지 중 상기 커버벽체와 연결되는 부위가 커버측브리지가 되고 본체벽체와 연결되는 부위가 하우징측브리지가 되고,
    상기 하우징측브리지의 일측이 상기 스톱퍼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하우징측브리지의 일측이 맞닿은 상태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표면이 라운드진 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투입되는 복수의 전선 피복을 절개하여 서로의 심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음커넥터용 터미널은,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단부에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와 대칭되어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 및
    상기 중앙직립편과 한 쌍의 외측직립편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이 하방으로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 및
    상기 전선진입부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진입된 후 상기 중앙직립편과 외측직립편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인 심선접속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80128751A 2018-10-26 2018-10-26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KR10217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51A KR102171554B1 (ko) 2018-10-26 2018-10-26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51A KR102171554B1 (ko) 2018-10-26 2018-10-26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30A KR20200046930A (ko) 2020-05-07
KR102171554B1 true KR102171554B1 (ko) 2020-10-29

Family

ID=7073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751A KR102171554B1 (ko) 2018-10-26 2018-10-26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59B1 (ko) * 2021-06-10 2023-08-18 ㈜알파오 전선 접속용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274B1 (ko) *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1887884B1 (ko) * 2017-05-29 2018-09-06 유옥자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938A (ja) * 1995-09-05 1997-03-18 Yazaki Corp 二重係止コネクタのヒンジ構造
JP4031957B2 (ja) * 2002-07-11 2008-01-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ハウジング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274B1 (ko) *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1887884B1 (ko) * 2017-05-29 2018-09-06 유옥자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30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5695B (zh) 线缆连接器组件
JP6512671B2 (ja) 無剥離電線連結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
CN206789772U (zh) 电缆的连接器结构
CN109217031A (zh) 板对板型射频插头及其连接器组件
CN102386593A (zh) 电气接线盒
JP2005501391A (ja) ケーブルコネクター
KR102171554B1 (ko)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CN109103629A (zh) 板对板型射频插头、插座及其组件
CN105794020B (zh) 电池盖
KR101966802B1 (ko)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1981067B1 (ko)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CN102035100B (zh) 带壳体的电连接器
US20160118724A1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KR10164321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JP2009519572A (ja) プラグ
CN112864984A (zh) 电气接线箱以及线束
CN208674425U (zh) 板对板型射频插头、插座及其组件
JP5007161B2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KR102003287B1 (ko)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US1139418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2039651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CN209561784U (zh) 一种直头电连接器插头
JP4961490B2 (ja) コネクタ
CN208173854U (zh) 一种插座结构及三相电机
CN207166273U (zh) 无线路板有引线结构步进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