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970A - 아디포넥틴 상승제 - Google Patents

아디포넥틴 상승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970A
KR20060132970A KR1020067020241A KR20067020241A KR20060132970A KR 20060132970 A KR20060132970 A KR 20060132970A KR 1020067020241 A KR1020067020241 A KR 1020067020241A KR 20067020241 A KR20067020241 A KR 20067020241A KR 20060132970 A KR20060132970 A KR 2006013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ine
episamine
adiponectin
fat cells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코 오노
요코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Obes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이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디포넥틴 상승제.
아디포넥틴, 세사민, 에피세사민

Description

아디포넥틴 상승제 {ADIPONECTIN INCREASING AGENT}
본 발명은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이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디포넥틴 상승 작용이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방 조직은 지금까지 잉여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공급하는 에너지의 저장고로서의 역할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생활 습관병을 중심으로 한 대사 이상 증후군의 병태와 관련하여, 지방 조직의 중요성이 최근 클로즈업되고 있다.
생활 습관병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비만은 지방 세포의 증대가 주체이다. 지방 세포 분화에 의한 지방 세포의 수의 증가는 사춘기 이후 생리적으로는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지방 조직의 증대는 오로지 개개의 지방 세포가 비대화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여, 지방 세포는 잉여의 에너지를 중성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에 추가하여, 지방 조직은 아디보넥틴, 렙틴, 종양 괴사 인자 (TNF-α), 레지스틴, 유리 지방산 (FFA)이나 플라스미노겐 액티베이터 (PAI-1) 등의 여러 가지 아디포사이토카인을 산생·분비하고 있고, 이 중에서 비대한 지방 세포에서는 TNF-α, 레지스틴, FFA가 다량으로 산생·분비되며, 이들이 골격근이나 간장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는 것이 밝혀졌다 (니치야쿠리시, 122, 317-324, 2003).
TNF-α는 지방 세포나 간세포에 있어서 TNF-α, 수용체에 결합하여 스핑고미엘리나제의 활성을 거쳐, 인슐린 수용체의 기질인 IRS-1 (insuline receptor substrate-1)의 세린을 인산화함으로써 인슐린 작용을 감소·약화시킨다 (Science, 259, 87-91, 1993).
한편, 아디포넥틴은 지방 세포에서 많이 발현하는 지방 조직 특이적인 30 kDa의 분비 단백질로, 사람 혈중 단백질의 0.01%를 차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Biochem Biophys Res Commun, 221, 286-289, 1996, 257, 79-83, 1999). 정상인의 아디보넥틴의 혈중농도는 1.9 내지 17.0 ㎎/㎖로 알려져 있고, 주로 소형 지방 세포로부터 분비되며, 지방 세포의 비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분비량은 저하되고, 혈중농도도 저하된다.
즉, 사람에게 있어서는 PAI-1, TNF-α, 레프틴의 혈중농도가 모두 비만·지방 축적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데 대하여, 아디보넥틴의 혈중 농도는 비만인 사람에게 있어서 저하되고, 반대로 감량에 의하여 증가된다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7, 79-83, 1999). 특히, 아디보넥틴은 비만 합병증 발증(發症)과 크게 관련이 있는 내장 지방의 축적과 함께 그 혈중농도가 저하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관동맥 질환에서는 비만도와 독립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저하되는 것도 확인되고 있다 (Circulation, 100, 2473-2476, 1999). 당뇨병에 있어서도, 혈중 아디보넥틴 농도는 당뇨병의 중증도(重症度)에 비례하여 저하되고 (Arteriosclear Thromb Vasc Biol, 20, 1595-1599, 2000), 또한 원숭이를 사용한 실험에서, 과식·운동 부족에 의하여 발병하는 비만 2형 당뇨병의 발증 과정에 있어서,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고인슐린 혈증 및 당뇨병이 발병하기 이전에, 저아디포넥틴 혈증이 발생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Diabetes, 50, 1126-1133, 2001).
사람 유전자 변이에 의한 원발성 저아디포넥틴혈증에서는 아데포넥틴의 164번째의 이소류신이 트레오닌으로 변이된 9개의 사례에서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정상의 25 내지 30%이며, 이 9개의 사례 중 7개의 사례가 당뇨병, 2개의 사례가 경계형 당뇨병을 나타내고, 9개의 사례중 6개의 사례가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관동맥 질환 환자이었다. 또한, 원자력 발전성 저아디포넥틴 혈증이 인슐린 저항성, 관동맥 질환으로 연결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Diabetes, 51, 2325-2328, 2002).
또한, 신부전 예에서는 고비율로 심혈관 합병증을 동반하지만,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낮은 군은 유의하게 그 후의 심혈관 합병증 발증율이 높은 것도 보고되어 있다 (Circulation, 102, 1296-1301, 2000). 아디포넥틴 넉 아웃 마우스의 해석에서는 고지방·고자당식 2주간의 단기 사육으로, 강한 인슐린 저항성의 당뇨병을 나타내고, 이 강한 인슐린 저항성은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혈중 아디보넥틴의 보충에 의하여 야생형의 수준까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Nature Med 8, 731-737, 2000).
사람 2형 당뇨병 환자가 건강한 정상인에 비하여 3배나 심근 경색이 될 우려가 큰 것이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Am J Med, 105 (1A), 4S-14S, 1998),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저하가 당뇨병을 발병시키고, 나아가 심근 경색의 발증을 일으키는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단백질 핵산 효소 47 (14), 1896-1903, 2003).
따라서,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촉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아디보넥틴의 산생·분비의 항진에 수반되는 혈중 아디포넥틴의 상승과 TNF-α 등의 인슐린 저항성 야기 작용을 가지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이 생활 습관병의 예방이나 개선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소형 지방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비대한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비대한 지방 세포가 분비하는 TNF-α의 산생을 억제하거나 아디보넥틴 산생 증가에 의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면, 인슐린 저항성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대혈관증이나 관동맥 질환 등의 심장병을 예방하거나, 또는 이들 질환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최근,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아고니스트인 티아졸리딘 유도체가 분화된 지방 세포로부터 새로 분화된 소형 지방 세포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인슐린 저항성 야기 인자를 과잉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를 아폽토시스 (apoptosis)에 의하여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개시되었다 (J Clin Inverst, 101, 1354-1361, 1998). 또한, 티아졸리딘 유도체가 내당능 이상 환자의 혈중 아디보넥틴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Diabetes, 50, 2094-2099, 2001). 그러나, 소형 지방 세포를 유도하여 증가시키거나, 혈중 아디보넥틴 농도를 상승시키는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음식물 및 조성물은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세사민은 참깨에 포함되는 주요한 리그난 화합물의 일종으로, 참깨 중에는 0.1 내지 1% 정도 포함되어 있다. 세사민은 △5 불포화화 효소 저해 작용 (S. Shimizu et., al, J. Am. 0il Chem. Soc. 66, 237-241 (1989), S. Shimizu et., al, Lipid, 26, 512 (1991)), 항산화 작용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5-051388 및 일본 특원평11-327924), 항고혈압 작용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8-268887), 간기능 개선 효과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4-099331),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4-159221)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은 α-토코페롤의 공존하에서 증강된다 (A. Nakabayashi et., al., Internal. J. Nutr. Res., 65, 162 (1995),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4-368326).
탈지 참깨로부터 추출된 메탄올 가용이고, 또한 부탄올 가용의 획분, 세사민 및 세사몰은 당·지질 대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1-246427). 여기에서는 전구 지방 세포 (섬유 아세포)로부터 지방 세포에로의 분화 촉진 작용에 대하여 평가하고 있고, 지방 세포로의 분화 촉진에 의하여 세포내 트리글리세리드(TG)의 양이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 산소 활성이 증가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세사민 존재하에서 인슐린에 의한 글루코스의 혼입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당·지질 대사 활성화제로서의 기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실시예에 대해 덱사메타존이나 인슐린이 전구 지방 세포의 분화 촉진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덱사메타존이나 인슐린은 비대한 지방 세포를 축적시키고, 아디포넥틴의 분비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나타나 있다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0, 1084-1089, 2002). 따라서, 여기에서의 결과로부터, 탈지 참깨로부터 추출된 메탄올 가용이고, 또한 부탄올 가용인 획분, 세사민 및 세사몰이 지방 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이나 지방 세포가 분비하는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대한 영향을 상정할 수 없었다. 즉, 세사민의 선구 지방 세포로부터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은 나타나 있으나, 아디보넥틴을 산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상적인 소형 지방 세포를 축적·증가시키는 작용에 대하여는 조사한 적아 없으며, 보고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5-051388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원평11-327924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8-26888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4-09933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4-159221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4-368326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1-246427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니치야쿠리시, 122, 317-324, 2003
비특허 문헌 2: Science, 259, 87-91, 1993
비특허 문헌 3: Biochem Biophys Res Commun, 221, 286-289, 1996
비특허 문헌 4: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7, 79-83, 1999
비특허 문헌 5: Circulation, 100, 2473-2476, 1999
비특허 문헌 6: Arteriosclear Thromb Vasc Bio1, 20, 1595-1599, 2000
비특허 문헌 7: Diabetes, 50, 1126-1133, 2001
비특허 문헌 8: Diabetes, 51, 2325-2328, 2002
비특허 문헌 9: Circulation, 102, 1296-1301, 2000
비특허 문헌 10: Nature Med 8, 731-737, 2000
비특허 문헌 11: Am J Med, 105 (lA), 4S-14S, 1998
비특허 문헌 12: 단백질 핵산 효소 47 (14), 1896-1903, 2003
비특허 문헌 13: J Clin Inverst, 101, 1354-1361, 1998
비특허 문헌 14: Diabetes, 50, 2094-2099, 2001
비특허 문헌 15: S Shimizu et al, J. Am. 0il Chem. Soc. 66, 237-241 (1989)
비특허 문헌 16: S. Shimizu et al, Lipid, 26, 512 (1991)
비특허 문헌 17: Nakabayasi et al. : Internal. J. Nutr. Res 65, 162 (1995)
비특허 문헌 18: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0, 1084-1089, 2002
본 발명은 지방 세포로부터 소형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와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고, TNF-α의 산생량을 억제하며, 또한 아디포넥틴 산생량을 상승시키고, 혈중 아디보넥틴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천연물로 안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지방 세포로부터 소형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며, 또한, TNF-α의 산생량을 억제하고, 또한 아디포넥틴 산생량을 상승시킴으로써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상승시키고, 인슐린 저항성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대혈관증이나 관동맥 질환 등의 심장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고, 또한 혈중 아디포넥틴 저하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의 예방이나 개선을 할 수 있다.
지방 세포가 비대화되면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는 TNF-α의 산생이 상승하기만 하여 아디보넥틴의 분비량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나 여러 가지 생활 습관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해진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면, 이들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불균형이 개선되어 인슐린 저항성이나 생활 습관병의 예방이나 개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식품, 식품 성분, 전통적인 의약품에 관하여 예의연구를 실시한 결과, 참깨 리그난의 일종인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가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한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며, 또한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가 아디포넥틴의 산생을 상승시키고, 혈중의 아디보넥틴 농도를 상승시키며, 또한, TNF-α의 산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는 음식품이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디포넥틴 상승제 또는 아디포넥틴 상승 작용을 가지는 음식품이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TNF-α를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 억제 작용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지방 세포의 크기 (소형화)에 미치는 세사민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지방 세포의 아디포넥틴의 mRNA 발현에 대한 세사민의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지방 세포의 TNF-α의 mRNA 발현에 대한 세사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지방 세포 배양액 중의 아디포넥틴의 양에 대한 세사민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재, 생활 습관병이나 당뇨병의 근본 원인은 비대 지방 세포라고 일컬어 지고 있다. 비대한 지방 세포가 분비하는 아디포산토카인 중에서 TNF-α는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소형 지방 세포가 분비하는 유리한(good) 아디포사이토카인인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한다. 따라서, 지방 세포의 비대를 억제하고, 소형화시키고, 정상적인 아디포사이토카인 분비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혈중의 아디포넥틴 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이나 생활 습관병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 세포의 사이즈에 미치는 세사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방 세포의 배양액 중의 아디포넥틴 산생량을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하여, 또는 세포 중의 아디포사 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량에 대하여는 RT-PCR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에의 영향에 대하여서는 당뇨병성 랫 모델 ZFR (Zucker fatty ra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세사민을 미리 분화 유도한 3T3-L1 세포 배양액에 첨가함으로써 지방 세포의 소형화가 유도되고, 아디포넥틴의 mRNA의 상승과 아디보넥틴 산생량의 증가, TNF-α의 mRNA 발현량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사민을 계속 섭취시킴으로써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근본 원인으로 한 비만이나 생활 습관병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음식품, 건강식품, 의약품과 사료 및 그들의 제조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의 상승제 및 아디보넥틴의 상승 작용을 가지는 음식품, 건강식품, 의약품과 사료 및 그 제조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비대 세포가 분비하는 TNF-α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이나 개선, 소형 지방 세포가 분비하는 아디포넥틴 상승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성 대혈관증, 관동맥 질환 등을 예방 및 개선, 혈중 아디포넥틴의 저하에 의하여 발병하는 여러 가지 질환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음식품, 건강식품, 의약품이나 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사민에 한정되지 않고, 세사민의 유연체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사민 및 그 유연체라 함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4-9331호에 기재된 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유도체를 의미하고, 구체적으9로는, 세사민, 세사미놀, 에피세사민, 에피세사미놀, 세사몰린, 2-(3,4-메틸렌디옥시페닐)-6-(3-메톡시-4-히드록시페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2,6-비스 (3-메톡시-4-히드록시페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2-(3,4-메틸렌디옥시페닐)-6-(3-메톡시-4-히드록시페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2-(3,4-메틸렌디옥시페닐)-6-(3,4-디히드록시페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2-(3-메톡시-4-히드록시페닐)-6-(3,4-디히드록시페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및 2,6-비스(3,4-디히드록시페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이 예시된다. 또한, 세사민 및 그 유연체의 배당체이어도, 또는 세사민 및 그 유연체의 대사물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사민 및 그 유연체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4-933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고, 이들은 추출물인 상태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정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음식품, 건강 식품이나 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건강 음식품뿐만 아니라,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첨가물도 포함된다. 건강 음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건조 식품, 서플리먼트, 청량 음료수,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에 배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예방약이나 치료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제로서는 고체이어도 좋고 액체이어도 좋으며, 가루약, 정제, 환약, 캅셀제, 좌제, 과립제, 내용액제, 현탁제, 유제, 로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로서는, 제제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희석제, 향료제, 안정화제, 현탁제용 활택제, 결합제, 보존제, 정제용 붕괴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 (유효 성분)가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아디포넥틴의 산생을 상승, 또는 TNF-α의 산생을 억제시키기 위한 유효량은, 예를 들면 하루 0.2 내지 500 ㎎, 좋기로는 0.5 내지 100 ㎎, 더 좋기로는 1 내지 60 ㎎이다. 이 유효량은 요인, 질환의 종류, 환자의 특성, 연령, 체중, 증상의 정도, 투여 형태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음식물이나 사료 및 의약품의 유효 성분인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는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아디보넥틴의 산생을 증대, 또는 TNF-α의 산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는, 가능하면 계속하여 장기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섭취 시간대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회에 섭취함으로써,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아디보넥틴의 산생에 의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상승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방 세포의 소형화의 유도 작용과 아디포넥틴과 TNF -α의 유전자 발현량에의 영향
마우스 유래의 3T3-L1 세포를 인슐린, 덱사메사존 및 이소부틸크산틴을 함유하는 배양액으로 42 시간 처리하고, 지방 세포로 분화시킨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즉시 세사민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 (콘트롤) 또는 세사민을 최종 농도 50μM 함유하는 배양액 (세사민)을 첨가하고, 48 시간 배양 후, 배양액을 교환하ㄱ고, 그 후 6일간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C02 가스 5%-공기(air) 95%, 온도 37℃로 조절된 인큐베이터 내에서 실시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0il Red 0 염색으로 지방 세포의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는, 세포의 아디보넥틴과 TNF-α의 각각의 mRNA량을 CYBR-Green를 사용한 정량 RT-PCR법 (BMC Biotechno1. 3, 18. 2003)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지방 세포에 분화 유도 처리를 한 3T3-L1 세포에 세사민을 첨가하고, 또한 8일간 배양함으로써, 다수의 작은 지방 세포가 유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 화살표 A로 나타낸 콘트롤군에서는 큰 사이즈의 지방 세포가 관찰되었다. 한편, 세사민을 첨가한 군에서는 작은 지방 세포가 많이 인정되었다 (화살표 B). 진하게 (붉게) 보이는 곳은 지방이 모여 있는 곳으로, 콘트롤군에서는 한 개의 세포 안에 많은 방울 모양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는 데 대하여, 세사민 처리군에서는 하나의 세포 내에 지방 방울이 많은 비대한 지방 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지방 세포의 아디포넥틴의 mRNA량은 콘트롤군의 7배로 상승하였다 (도 2). TNF-α의 mRNA량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세사민이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디포넥틴의 mRNA량이 증가하고, TNF-α의 mRNA량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지방 세포의 아디포넥틴 산생량에의 영향
마우스 유래의 3T3-L1 세포를 인슐린, 덱사메사존 및 이소부틸크산틴을 포함하는 배양액으로 42 시간 처리하고, 지방 세포로 분화시켰다. 그 후, 배양액을 없애고, 즉시 세사민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 (콘트롤) 또는 세사민을 최종 농도 50μM 함유하는 배양액 (세사민) 을 첨가하고, 48 시간 배양 후, 배양액을 교환하고, 추가로 6일간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C02 가스 5%-공기(air) 95%, 온도 37℃로 조절된 인큐베이터 내에서 실시하였다. 배양액 중의 아디포넥틴의 양을 효소 결합 면역 협착 분석법 (Mouse/Rat Adiponectin ELISA Kit, 오오츠카 세이야쿠 제품)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지방 세포에 분화 유도 처리를 한 3T3-L1 세포에 세사민을 첨가함으로써, 세포 상청 중의 아디보넥틴 산생량은 1.6배로 상승하였다 (도 4).
실시예 3.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상승 작용
당뇨병성 랫 모델 ZFD (crj (ZUC)-fa/fa) ♂, 5주령을 찰스 리버 재팬사로부터 구입하고, 시험 환경에 순화시킨 후, 순조로운 발육 상태를 보인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1개군에 5마리씩, 2개군으로 나누고, 1군은 콘트롤군으로서 AIN-93G (니혼 쿠레아사 제품, 성장기용 사료)를, 2군에는 AIN-93G에 세사민을 0.1% 배합한 사료를 4주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4주일 후에 하룻밤 절식하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청 중의 아디포넥틴 농도는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 (Mouse/Rat Adiponectin ELISA Kit, 오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사민 첨가식을 1개월간 가한 래트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6. 53 ㎍/㎖이었으며, 이는 콘트롤식을 섭취한 래트 (6.06 ㎍/㎖)에 비하여 상승한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세사민이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한 결과, 아디포넥틴의 산생·분비량이 증가하고,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상승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당뇨병성 랫 모델 ZDF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혈중 아디포넥틴량 ㎍/㎖
콘트롤식 세사민 0.1% 식 6.06±0.48 6.53±0.54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세사민이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한 결과, 아디포넥틴의 산생·분비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제예 1. 버터
세사민 1.2 g
버터 지방 100 g
초산토코페놀 1.2 g
버터 제조 공정의 교반 조작 (쳐닝)으로 버터 밀크가 제거된 버터 지방 100 g에 세사민을 1.2 g과 초산토코페롤을 1.2 g을 넣고 섞으면서 반죽 (워킹)을 하여 균등한 조직으로 된, 본 발명 조성물 함유의 버터를 얻었다.
제제예 2. 과립제
세사민/에피세사민 혼합물 0.25 g
초산토코페롤 0.25 g
무수 규산 20.5 g
옥수수 전분 79g
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에탄올 용액 10O ㎖를 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반죽하고, 압출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과립제를 얻었다.
제제예 3. 정제
세사민 3.5 g
초산토코페롤 0.5 g
무수 규산 20 g
미결정 셀룰로오스 10 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g
유당 60g
을 혼합하고, 단발식 타정기로 타정하여 지름 7 mm, 중량 100 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정제예 4. 캅셀제
젤라틴 70.0%
글리세린 22.9%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5%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51%
물 적당량
계 100%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캅셀 중에,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상법에 의하여 충전하고, 1알에 200 mg인 소프트 캅셀제를 얻었다.
세사민/에피세사민 혼합물 10.8
밀 비즈 왁스 30
α-토코페롤 20
팜유 10
밀 맥아유 적당량
계 100%
제제예 5. 드링크제
향미: DL-주석산 나트륨 0.1 g
호박산 0.009 g
감미: 액당 800 g
산미: 구연산 12 g
비타민: 비타민 C 10 g
세사민 1 g
비타민 E 30 g
시클로 덱스트린 5 g
향료 15 ㎖
염화칼륨 1 g
황산마그네슘 0.5 g
상기 성분을 배합하고, 물을 가하여 10 리터로 하였다. 이 드링크제는 1회당 약 10O ㎖를 음용한다.
세사민 및/또는 그 유연체를 섭취함으로써, 지방 세포의 소형화를 유도하고,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고, 아디보넥틴의 산생을 상승시켜, TNF-α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작용에 의하여 혈중의 아디보넥틴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지방 세포의 사이즈의 조절 작용에 의한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조절은 비대 지방 세포에 기인한 생활 습관병을 예방·완화하는 점에 있어서, 극히 유용할 뿐만 아니라, 혈중의 아디보넥틴 저하에 의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환의 예방·완화에 대하여도 극히 유용하다.

Claims (20)

  1.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디포넥틴 상승제.
  2.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디포넥틴의 상승 작용이 있는 조성물.
  3.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소형 지방 세포의 유도 작용이 있는 조성물.
  4.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TNF-α를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 억제 작용이 있는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써, 아디포넥틴을 상승시키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써 소형 지방 세포의 유도를 촉진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써 TNF-α를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식물인 것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인 것인 조성물.
  10.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아디포넥틴을 상승시키는 방법.
  11.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소형 지방 세포를 유도시키는 방법.
  12.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TNF-α를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는 방법.
  13. 아디보넥틴 상승 작용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의 사용.
  14. 소형 지방 세포의 유도 작용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의 사용.
  15. TN트α를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 억제 작용을 유하는 조성물의 제조하기 위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의 사용.
  16. 제2항에 있어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써 아디포넥틴을 상승시키는 사용.
  17. 제 3항에 있어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써 소형 지방 세포의 유도를 촉진하는 사용.
  18. 제4항에 있어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 또는 그들의 유연체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써 TNF-α를 산생하는 비대 지방 세포의 축적을 억제하는 사용.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식물인 것인 사용.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인 것 인 사용.
KR1020067020241A 2004-03-31 2005-03-30 아디포넥틴 상승제 KR20060132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6289 2004-03-31
JPJP-P-2004-00106289 2004-03-31
JPJP-P-2004-00189719 2004-06-28
JP2004189719 2004-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970A true KR20060132970A (ko) 2006-12-22

Family

ID=3506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241A KR20060132970A (ko) 2004-03-31 2005-03-30 아디포넥틴 상승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08077A1 (ko)
EP (1) EP1731521A1 (ko)
JP (1) JPWO2005095414A1 (ko)
KR (1) KR20060132970A (ko)
AU (1) AU2005228015A1 (ko)
CA (1) CA2562944A1 (ko)
TW (1) TW200536525A (ko)
WO (1) WO2005095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0333B1 (en) 2005-09-30 2014-11-05 Suntory Holding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pisesamin-rich composition
SG10201601998PA (en) 2006-03-31 2016-04-28 Suntory Holdings Ltd Jp Compositions containing lignan-class compounds
JP5584411B2 (ja) * 2007-12-27 2014-09-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ホモシステイン低下用組成物
US20100098793A1 (en) * 2008-10-17 2010-04-22 Gateway Health Alliances, Inc. Irvingia gabonensis to treat and prevent metabolic syndrome and reduc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blood glucose, c-reactive protein, and leptin levels and increasing adiponectin levels
US20100323031A1 (en) * 2009-06-22 2010-12-23 Glykon Technologies Group, Llc Synergistic combination to enhance blood glucose and insulin metabolism
MY180220A (en) * 2009-09-14 2020-11-25 Chiang Mai Univ Phytochemical compositions including sesamin for anti-inflammatory, anti-cytokine storm, and other uses
JP6166888B2 (ja) * 2011-11-15 2017-07-19 花王株式会社 ペットフード
JP6342153B2 (ja) * 2012-12-20 2018-06-13 花王株式会社 コンパニオンアニマルの歩行能力を改善する方法
JP6310690B2 (ja) * 2012-12-19 2018-04-11 花王株式会社 ペットフード
JP6156795B2 (ja) * 2013-07-05 2017-07-05 公立大学法人大阪市立大学 脂肪細胞分化の抑制用、脂肪細胞の脂肪蓄積量低減用および/または脂肪細胞の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用組成物
JP6161438B2 (ja) * 2013-07-09 2017-07-12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脂肪蓄積抑制及び/又は脂肪蓄積量低減剤
CN113490422A (zh) * 2019-02-28 2021-10-08 株式会社笑颜 用于抑制/减少体重增加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4382A (en) * 1985-07-29 1987-11-03 G. D. Searle & Co. Phenylpiperazine phosphonates
JPH06227977A (ja) * 1993-02-01 1994-08-16 Suntory Ltd 活性酸素消去剤
US5397778A (en) * 1994-02-25 1995-03-14 New England Deaconess Hospital Corporation Enteral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infection
JPH08268887A (ja) * 1995-02-01 1996-10-15 Suntory Ltd 高血圧症又はそれに起因する医学的症状の予防又は改善剤
JPH11246427A (ja) * 1998-03-04 1999-09-14 Kadoya Sesami Mills Inc 糖・脂質代謝活性化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1521A1 (en) 2006-12-13
AU2005228015A1 (en) 2005-10-13
CA2562944A1 (en) 2005-10-13
US20070208077A1 (en) 2007-09-06
WO2005095414A1 (ja) 2005-10-13
TW200536525A (en) 2005-11-16
JPWO2005095414A1 (ja)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970A (ko) 아디포넥틴 상승제
KR101809172B1 (ko)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2489B1 (ko) 대사성 증후군의 조절을 위한 스파란터스 인디커스 및 가르시니아 망고스타나 유래의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8543901A (ja) グルコース代謝障害の処置のための医薬品
KR101610466B1 (ko)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47458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6210A (ko) 테트란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1929A (ko) 디에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2872B1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076599A (ko) 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981350B1 (ko)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KR20200056367A (ko)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645300B1 (ko) 다이메틸 이타콘산을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938317A (zh) 脂连蛋白增强剂
KR101881146B1 (ko)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pcsk9 유전자의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증가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2717A (ko)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발효뽕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40019277A (ko) Trail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4960B1 (ko) 발아 벼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200007990A (ko)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96640A (ko)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