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50B1 -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50B1
KR100981350B1 KR1020100015532A KR20100015532A KR100981350B1 KR 100981350 B1 KR100981350 B1 KR 100981350B1 KR 1020100015532 A KR1020100015532 A KR 1020100015532A KR 20100015532 A KR20100015532 A KR 20100015532A KR 100981350 B1 KR100981350 B1 KR 10098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rtemisia
formula
composition
fatty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선
김하원
황완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50B1/ko
Priority to US13/580,481 priority patent/US8828954B2/en
Priority to PCT/KR2010/005423 priority patent/WO201110257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신규 용도,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체중 및 내장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며, 지방간 및 당뇨 등과 관련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및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조직의 지질성분을 감소시키며, 내장지방조직의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열 발생에 관여하는 UCP(uncoupling protein) 유전자인 UCP1 및 UCP3의 발현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합성 의약품 기반의 비만치료제들과는 달리 천연물에 기반한 것이므로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효소나 신경계에 작용하여 약리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비만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SCOPOLIN AND ITS DERIVATIVES}
본 발명은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최근 발표한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31.7%가 비만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외관 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지방간, 고혈압, 당뇨, 심혈관계 질환, 대사증후군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심각한 상태이다.
국내외에서 판매되는 비만치료제로는 미 FDA에서 승인을 받은 오르리스타트(orlistat)을 주원료로 하는 '제니칼'(한국로슈), 시부트라민(sibutramine)을 원료로 하는 '리덕틸'(일성신약), 그리고 녹차 카테콜 성분을 원료로 하는 '엑소리제'(구주제약) 등이 있다. 리파아제작용을 억제하는 제니칼의 경우 지방변, 가스생성, 지용성비타민 흡수저하 등의 위장계 부작용을, 그리고 리덕틸의 경우에는 교감신경계의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두통, 구갈, 식욕부진, 불면, 변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그동안 항비만 약제로 개발된 제품 중에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판매가 금지된 것들도 상당수에 이른다다. 예를 들어, 아미노필린은 탁월한 체지방 분해효과에도 불구하고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소화기계에 걸쳐 폭넓은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고, 펜프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토피라메이, 에페드린 등도 비만치료 부적합 약물로 판정되어 판매가 금지되었다. 이와 같이 합성의약품의 부작용과 만성질환의 극복에 서양의학이 한계를 보임에 따라 천연물 식의약품에 대한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 스코폴린[7-(beta-D-glucopyranosoyloxy)-6-methoxy-2H-1-benzopyran-2-one]은 정공등(Erycibe obtusifoli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여여호 (Artemisia dalailamae)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부용국(Crossostephium chinense), 산토리나 오브롱지폴리아(Santolina oblongifolia), 유포르비아 크리소코마(Euphorbia chrysocoma), 백령풀 (Diodia teres), 서양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양아욱(Althaea officinalis), 서양자초(Apium graveolens), 서던우드(Artemisia abrotanum), 개똥쑥(Artemisia annua), 귀리(Avena sativa), 독말풀(Datura stramonium), 서양송악(Hedera helix), 사리풀(Hyoscyamus niger), 고구마(Ipomoea batatas), 합환채(Mandragora officinarum), 뽕나무(Morus alba), 연초(Nicotiana tabacum), 미치광이풀(Scopolia carniolica), 감자(Solanum tuberosum), 및 가막살나무(Viburnum prunifolium) 등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쿠마린계 화합물의 일종으로,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1

현재까지 알려진 스코폴린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염증 효능과 항치매 효능이 있다. Silvan AM 등은 Santolina oblongifolia 에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스코폴린을 이오노포어(ionophore)로 자극시킨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macrophages)에 처리한 결과,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의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보고한 바 있다 (Silvan AM, Abad MJ, Bermejo P, Sollhuber M, Villar A.,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umarins from Santolina oblongifolia. J Nat Prod Dec;59(12):1183-5, 1996). 또한 Rollinger JM 등은 Scopolia carniolica Jaqc.에서 분리한 스코폴린이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를 저해하여 알쯔하이머병, 치매 등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Rollinger JM, Hornick A, Langer T, Stuppner H, Prast 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스코폴린 and scopoletin discovered by virtual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J Med Chem Dec 2;47(25):6248-54, 2004).
그러나, 아직까지 스코폴린과 그의 유도체의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합성 화합물 유래의 비만치료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천연 화합물 유래의 비만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신규 용도,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OH,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3
또는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4
이고;
R2는 H 또는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5
이거나,
R1 및 R2는 이들과 연결된 탄소와 함께 디옥산을 형성하고, 상기 디옥산은 하이드록시C1-4알킬; 또는, C1-4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페닐로 치환될 수 있으며,
R3는 H 또는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6
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7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7

[화학식 3]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8

[화학식 4]
Figure 112010011256550-pat00009

[화학식 5]
Figure 112010011256550-pat00010

[화학식 6]
Figure 112010011256550-pat00011

[화학식 7]
Figure 112010011256550-pat00012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체중 및 내장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며, 지방간 및 당뇨 등과 관련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및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조직의 지질성분을 감소시키며, 내장지방조직의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열발생에 관여하는 UCP(uncoupling protein) 유전자인 UCP1 및 UCP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비만, 지방간, 당뇨 및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합성 의약품 기반의 비만치료제들과는 달리 천연물에 기반한 것이므로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효소나 신경계에 작용하여 약리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비만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에 포함된 형태로 상기 조성물 중에 포함되거나,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로부터 단리된 화합물로서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합물로서 상기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공등(Erycibe obtusifoli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여여호(Artemisia dalailamae)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부용국(Crossostephium chinense), 산토리나 오브롱지폴리아(Santolina oblongifolia), 유포르비아 크리소코마(Euphorbia chrysocoma), 백령풀 (Diodia teres), 서양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양아욱(Althaea officinalis), 서양자초(Apium graveolens), 서던우드(Artemisia abrotanum), 개똥쑥(Artemisia annua), 귀리(Avena sativa), 독말풀(Datura stramonium), 서양송악(Hedera helix), 사리풀(Hyoscyamus niger), 고구마(Ipomoea batatas), 합환채(Mandragora officinarum), 뽕나무(Morus alba), 연초(Nicotiana tabacum), 미치광이풀(Scopolia carniolica), 감자(Solanum tuberosum), 및 가막살나무(Viburnum prunifolium) 등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정공등(Erycibe obtusifoli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여여호 (Artemisia dalailamae)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부용국(Crossostephium chinense), 산토리나 오브롱지폴리아(Santolina oblongifolia), 유포르비아 크리소코마(Euphorbia chrysocoma), 백령풀 (Diodia teres), 서양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양아욱(Althaea officinalis), 서양자초(Apium graveolens), 서던우드(Artemisia abrotanum), 개똥쑥(Artemisia annua), 귀리(Avena sativa), 독말풀(Datura stramonium), 서양송악(Hedera helix), 사리풀(Hyoscyamus niger), 고구마(Ipomoea batatas), 합환채(Mandragora officinarum), 뽕나무(Morus alba), 연초(Nicotiana tabacum), 미치광이풀(Scopolia carniolica), 감자(Solanum tuberosum), 및 가막살나무(Viburnum prunifoli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에 함유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정공등의 추출물로부터 스코폴린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시된 식물들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분리하거나, 이들을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외에도 기존에 항비만, 항당뇨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공지된 다른 약리 활성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스퀴테르펜 유도체, 쥬니페라놀, 실측백나무속 추출물, 노송나무 추출물, 자단향 추출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당뇨 및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같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상기 예시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 이외에도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접,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비만, 지방간, 당뇨 및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상기 예시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식품에 있어서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상기 예시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과립, 정제 또는 캡슐형태의 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만, 지방간, 당뇨 및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비만, 지방간, 당뇨 및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당뇨 및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1 ㎎/kg~25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체중 및 내장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며, 지방간 및 당뇨 등과 관련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및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조직의 지질성분을 감소시키며, 내장지방조직의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열 발생에 관여하는 UCP(uncoupling protein) 유전자인 UCP1 및 UCP3의 발현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합성 의약품 기반의 비만치료제들과는 달리 천연물에 기반한 것이므로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낮을뿐만 아니라 효소나 신경계에 작용하여 약리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비만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바, 비만, 지방간,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코폴린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보여주는 스코폴린을 처리한 지방전구세포의 Oil red-O 염색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식이를 10주간 섭취한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대조군 (HFD), 스코폴린보충식이군 마우스의 최종체중 및 누적체중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식이를 10주간 섭취한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대조군 (HFD), 스코폴린보충식이군 마우스의 내장지방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핵전사인자인 C/EBPα와 PPARγ2, 그리고 이들 전사인자의 타겟 유전자인 aP2의 mRNA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젤 사진이고, 도 4B는 이러한 mRNA 발현 정도를 ND 마우스의 GAPDH mRNA에 대해 상대적인 수치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UCP1과 UCP3의 mRNA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젤 사진이고, 도 5B는 이러한 mRNA 발현 정도를 ND 마우스의 GAPDH mRNA에 대해 상대적인 수치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정공등으로부터 스코폴린의 분리
정공등 (Erycibe obtusifolia) 20 kg을 분말로 한 후 주정으로 열수 추출하여 ethanol엑스 1.45 kg(수득율: 7.25%)을 얻었다. 이후 물에 녹인 후 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및 물로 분획하였다. 물 분획물 420 g(수득율: 2.1%)을 비이온성 다공성 수지 Amberliet XAD-4에 흡착시킨 후 H2O, 50% MeOH 및 MeOH로 탈착시켰다. 그 후, 스코폴린이 함유된 50% MeOH 분획물 65.1g(수득율: 0.33%)을 sephadex LH-20 gel과 용매 30% MeOH를 이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하여 스코폴린 4.5 g(수득율: 0.02%)을 얻었다.
실시예 2: 마우스 지방세포주 3T3-L1를 이용한 스코폴린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 확인
스코폴린이 지방세포의 분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 지방세포주 3T3-L1을 사용하였다.
먼저,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비-필수 아미노산, 10% 우태아 혈청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confluent 한 상태로 자랄 때까지 배양시켰다. Confluent 한 상태로 자란 3T3L1 세포를 DMI(0.5 mM 이소부틸-메틸잔틴, 1 μM 덱사메타손, 그리고 1 μg/ml 인슐린)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이틀간 배양하여 분화된 지방세포(differentiation adipocyte)로 만든 후, 1 μg/ml 인슐린을 포함하는 DMEM 배양액에서 이틀간 더 배양시키면서 성숙한 지방세포(mature adipocyte)로 분화시켰다. 그 후에는 이틀 간격으로 DMEM 배양액을 교체하면서 10일간 더 배양하여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fully differentiated adipocyte)을 형성시켰다.
3T3-L1세포에 DMI를 첨가하여 분화시키는 첫 날부터 이틀 간격으로 스코폴린을 0.1, 1, 10, 50, 100 μM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였다. 스코폴린은 증류수에 녹여서 사용하였고, DMSO 만 첨가한 음성 대조군을 실험에 포함시켰다. 총 14일간 배양하여 분화가 완성된 시점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구를 염색하였다. 이를 위해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포를 2회 세척한 후 10% 완충된 중성 포르말린(buffered neutral formalin)으로 세포를 1시간 고정하고 다시 PBS로 1회 세척한 후, 지방을 특이적으로 붉게 염색시키는 Oil-red-O 염료 1 ml를 12-웰 플레이트에 가하여 1시간 동안 지방구를 염색하고 증류수로 2회 세척하였다. 분화된 3T3L1 세포에 함유된 중성지방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염색된 지방구를 1 ml의 이소부탄올에 녹인 후, 600 nm에서 O.D.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코폴린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마우스를 이용한 스코폴린의 체중 및 내장지방 감소 효능 확인
본 실험에서 사용한 비만유도식이는 고지방대조식이 (high fat diet, HFD: 40% fat calorie, 17 g lard + 3% corn oil/ 100 g diet)이며, 스코폴린이 보충된 식이(scopolin-supplemented high fat diet, SPID)는 HF와 조성이 동일하되 스코폴린이 0.02% 수준으로 포함되었다. 정상식이(ND)는 AIN-76 rodent diet 조성(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J. Nutr. 107: 1340-1348, 1977)에 준하여 조제하였다 [표 1].
실험식이 조성표
성분 정상식이(ND)
(g/kg diet)
고지방대조식이(HFD)
(g/kg diet)
스코폴린보충식이(SPID)
(g/kg diet)
카제인 200 200 200
DL-메티오닌 3 3 3
옥수수 전분 150 111 110.8
수크로오스 500 370 370
셀룰로오스 50 50 50
옥수수유 50 30 30
라아드 - 170 170
비타민 복합물 10 12 12
미네랄 복합물 35 42 42
콜린 비타르트레이트 2 2 2
콜레스테롤 - 10 10
tert-부티하이드로퀴논 0.01 0.04 0.04
스코폴린 - - 0.2
총합(g) 1,000 1,000 1,000
지방(% 칼로리) 11.5 39.0 39.0
총 열량, kJ/kg diet 16,439 19,315 19,315
5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오리엔트, 한국)를 고형사료로 1주일 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따라 고지방식이대조군과 실험군으로 임의 배치하여, 총 10주간 사육하였다. 식이는 매일 오전 10~11시 사이에 물과 함께 공급하였으며, 식이 섭취량은 매일, 그리고 체중은 매주 측정하였다. 사료섭취에 따른 갑작스런 체중변화를 막기 위해 사료통을 제거하고 2시간 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모든 수치는 마우스 8마리에 대한 평균 ± SEM으로 나타냈으며, 유의도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one-way ANOVA에 의해 P < 0.001 수준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식이를 10주간 섭취시킨 후 최종체중 및 10주간의 체중증가량을 살펴보면, 고지방식이대조군 (HFD)에 비해 스코폴린을 보충섭취시킨 군(SPID)에서 최종체중이 10%, 그리고 누적체중증가량이 22%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기 10주간 사육된 실험동물을 12시간 이상 금식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마취한 상태에서 혈액, 간 및 내장지방조직(부고환지방, 신장주변지방, 장간막지방 및 후복강지방)을 채취하여 0.1 M 인산완충용액(pH 7.4)으로 세척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복부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은 1000 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HFD)에 비해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군(SPID)에서 부고환지방무게가 29%, 신장주변지방무게가 33%, 장간막지방무게가 28%, 후복강지방무게가 31%, 그리고 이들 네 가지 부위를 합한 총내장지방무게가 30%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1). 따라서 스코폴린은 체중 및 내장지방량 감소 효과가 매우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스코폴린의 고지혈증, 지방간과 당뇨의 예방 및 치료 효능 확인
상기에서 10주간 사육된 실험동물으로부터 채취한 혈장에 대해 혈장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포도당 농도, 그리고 간 조직의 지질성분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혈장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및 포도당 농도는 상업용 측정키트 (Bio Clinical system)를 이용하여 각각 2회 반복 측정하였고, 혈중 LDL+V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총콜레스테롤 농도로부터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제하여 산출하였다. 간기능지표로 사용되는 혈중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은 상업용 분석키트(Bio Clinical System,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간 조직의 지질성분을 Folch 등의 방법(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1957;226:497-509)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0.25 g의 간조직에 1 ml의 증류수를 가한 후 polytron 균질기 (IKA-WERKE GmbH & Co., Ultra-Turrax, Staufen, Germany)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균질액에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 (2:1, v/v) 5 ml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1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하층액을 분리하였고, 상층액에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2: 1, v/v) 2 ml을 첨가한 후, 동일 과정을 반복하여 간의 지질성분을 완전히 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은 하층액에 클로로포름:메탄올:0.05% CaCl2 (3:48:47, v/v/v) 용액 3 ml을 가하여 1분간 혼합한 후 1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최종 하층액을 취하여 질소가스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건조된 지질을 1 ml의 메탄올에 용해하여 지질성분 분석에 사용하였다. 간조직 지질 추출액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 농도는 혈장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상업용 지질분석 키트(Bio Clinical Syste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마우스 혈액의 지질 및 포도당 농도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대조군
(HFD)
스코폴린 보충식이군
(SPID)
중성지방(mmol/l ) 0.59 ± 0.04b 0.90 ± 0.01a 0.65 ± 0.07b
총콜레스테롤(mmol/ l ) 3.63 ± 0.15c 6.57 ± 0.13a 5.07 ± 0.26b
LDL+VLDL 콜레스테롤 (mmol/ l ) 2.29 ± 0.12c 5.52± 0.14a 3.88 ± 0.27b
유리지방산(uEq/ l ) 572 ± 42.8c 869 ± 14.9a 635 ± 65.6b
포도당 (mmol/ l ) 7.10 ± 0.27b 8.97 ± 0.63a 7.51 ± 0.32b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마우스의 간무게, 간조직 지질농도 및 간기능수치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대조군
(HFD)
스코폴린 보충식이군
(SPID)
간무게(g) 1.3 ± 0.11b 2.2 ± 0.22a 1.7± 0.14b
중성지방(μmol/g) 27.6 ± 1.67c 70.9 ± 3.71a 55.6 ± 5.3b
콜레스테롤(μmol/g) 33.9 ± 0.83c 130.2 ± 8.78a 102.9 ± 5.4b
유리지방산(uEq/g) 16.1 ± 0.89c 49.8 ± 2.04a 33.6 ± 4.6b
ALT (Alanine aminotransferase)(IU/L) 7.22 ± 0.39b 10.43 ± 0.64 5.55 ± 0.78b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IU/L) 7.29 ± 0.41b 9.90 ± 0.62a 5.80 ± 0.43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군(SPID)에서 고지방식이대조군(HFD)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28%, 총콜레스테롤농도가 23%, LDL+VLDL 콜레스테롤농도가 30%, 그리고 유리지방산농도가 27% 각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아울러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는 마우스에게 스코폴린을 보충섭취시킨 결과 HFD군에 비해 공복시 혈당을 16%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스코폴린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에서 나타나는 고지혈증을 현저히 완화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식이를 10주간 섭취시킨 마우스의 간무게를 살펴보면,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군(SPID)에서 고지방식이대조군에 비해 간무게(g)가 23%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지질농도를 살펴보면,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군(SPID)에서 고지방식이대조군(HFD)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22%, 콜테스테롤농도가 21%, 그리고 유리지방산농도가 33%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아울러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군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해 간기능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LT 및 AST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스코폴린 섭취는 혈중 ALT 및 AST 활성을 고지방식이대조군에 비해 각기 46% 및 41%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스코폴린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에서 나타나는 지방간 현상을 현저히 완화시키고, 간의 기능이상을 진단하는 혈액지표인 간기능수치를 현저히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2 및 3에서, 수치는 8 마리 마우스에 대한 평균 ± SEM로 나타냈다. 동일한 열 내의 상이한 첨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른 one-way ANOVA에 의한 P < 0.05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실시예 5: 스코폴린에 의한 마우스 내장지방조직의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효능
지방조직생성(adipogenesis)은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가 증식 및 분화과정을 거쳐 성숙한 지방세포(adipocyte)로 변화되는 과정이며,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및 유전자 발현양상의 변화 등이 수반된다. 즉, 이 과정에서 지질이 축적되고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lipoprotein lipase (LPL), 그리고 adipsin과 같은 지방조직에 특이적인 유전자들이 발현되는데, 이러한 유전자들의 발현조절에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CCAAT enhancer-binding proterins (C/EBPs), 그리고 sterol regulatory binding protein-1c (SREBP-1c)라고 불리는 세 가지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는 노화, 심장병, 위장장애, 내분비장애, 신경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산화과정 장애는 간 조직의 글루코스 생산을 증가시키고 고혈당증을 유발시켜 지방간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내막과 외막 사이의 양성자 농도구배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구동력으로 F0F1-ATPase를 통해 ATP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F0F1-ATPase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uncoupling proteins (UCPs)을 통해 양성자 농도구배를 해소하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이러한 energy-dissipatory mechanism을 통하여 지방조직에서 UCP들이 redox balance를 유지하며 열 발생을 촉진함이 보고되면서, AMPK와 함께 UCP가 비만 치료의 새로운 타겟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스코폴린이 내장지방조직의 이러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에서 채취한 마우스의 부고환지방조직으로부터 RNA를 분리하고, RT-PCR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스코폴린의 처리에 따른 비만 관련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조사하였다.
먼저, 실시예 3에서 채취한 부고환지방조직 0.1g당 Trizol 용액 1 ml을 첨가하여 조직을 분쇄한 후, 4℃, 12,000ㅧ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chloroform 200 ㎕을 첨가하고, vortex하였다. 이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다음,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isoprophanol과 상층액을 1:1 비율로 첨가하였다. 10회 세게 흔든 다음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후, 12,000ㅧ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에 70% ethanol 1 ml을 가한 후 7,500× g, 4℃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에탄올을 제거한 후 RNA 침전물이 담긴 튜브를 실온에서 5분 동안 건조시키고, nuclease free water를 사용하여 RNA pellet을 용해시켰다. UV/VIS spectrophotometer(Beckman coulter, DU730)를 이용하여 260 nm 및 280 nm 파장에서 추출된 RNA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고, agarose gel electrophoresis를 실시하여 RNA 시료의 integrity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부고환지방조직에서 추출된 RNA시료를 대상으로 oligo dT primer와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을 이용하여 역전사를 수행함으로써 cDNA를 합성하였다. 역전사를 통해 얻은 cDNA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하고,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 cDNA의 5'과 3' flanking sequence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증폭된 PCR 산물 1 ㎕를 1%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하여 DNA 밴드를 확인하였다.
RT-PCR을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
Gene description Primers Sequences (5’→3') Annealing
Temperature (℃)
PCR product (bp)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2) F TTCGGAATCAGCTCTGTGGA 55 148
R CCATTGGGTCAGCTCTTGTG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F AGCATCATAACCCTAGATGG 55 128
R GAAGTCACGCCTTTCATAAC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α) F TCGGTGCGTCTAAGATGAGG 55
187
R TCAAGGCACATTTTTGCTCC
Uncouplin protein 1 (UCP1) F GGGACCTACAATGCTTACAG 55
103
R GGTCATATGTCACCAGCTCT
Uncouplin protein 3 (UCP3) F ACGGATGTGGTGAAGGTCCG 55
464
R TACAAACATCATCACGTTCC
Glyceraldehyde-3-phosphatedehydrogenase (GAPDH) F AGAACATCATCCCTGCATCC 55 321
R TCCACCACCCTGTTGCTGTA
RT-PCR을 이용하여 핵전사인자인 C/EBPα와 PPARγ2, 그리고 이들 전사인자의 타겟 유전자인 aP2의 mRNA 발현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A는 핵전사인자인 C/EBPα와 PPARγ2, 그리고 이들 전사인자의 타겟 유전자인 aP2의 mRNA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젤 사진이고, 도 4B는 이러한 mRNA 발현 정도를 ND 마우스의 GAPDH mRNA에 대해 상대적인 수치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4B에서, 막대 그래프의 바 위의 상이한 첨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른 one-way ANOVA에 의한 P < 0.05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지방조직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핵전사인자인 C/EBPα와 PPARγ2, 그리고 이들 전사인자의 타겟 유전자인 aP2 발현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군(SPID)의 경우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해 내장지방조직에서 증가하였던 핵전사인자 (C/EBPα와 PPARγ2) 및 이의 타겟유전자 (aP2) 발현이 모두 ND 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따라서 스코폴린 보충섭취는 내장지방조직에서 지방조직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핵전사인자 및 이의 타겟 유전자발현을 감소시키므로써 내장지방량 억제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생체내 열발생을 조절하는 UCP1과 UCP3의 발현량을 RT-PCR분석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A는 UCP1과 UCP3의 mRNA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젤 사진이고, 도 5B는 이러한 mRNA 발현 정도를 ND 마우스의 GAPDH mRNA에 대해 상대적인 수치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5B에서, 막대 그래프의 바 위의 상이한 첨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른 one-way ANOVA에 의한 P < 0.05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UCP1과 UCP3 유전자발현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스코폴린을 섭취시킨 결과,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해 감소하였던 UCP1과 UCP3 유전자발현이 ND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스코폴린은 내장지방조직에서 비만으로 인해 유도된 열 발생 저해현상을 현저히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0044706837-pat0002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정공등(Erycibe obtusifoli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여여호(Artemisia dalailamae)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부용국(Crossostephium chinense), 산토리나 오브롱지폴리아(Santolina oblongifolia), 유포르비아 크리소코마(Euphorbia chrysocoma), 백령풀 (Diodia teres), 서양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양아욱(Althaea officinalis), 서양자초(Apium graveolens), 서던우드(Artemisia abrotanum), 개똥쑥(Artemisia annua), 귀리(Avena sativa), 독말풀(Datura stramonium), 서양송악(Hedera helix), 사리풀(Hyoscyamus niger), 고구마(Ipomoea batatas), 합환채(Mandragora officinarum), 뽕나무(Morus alba), 연초(Nicotiana tabacum), 미치광이풀(Scopolia carniolica), 감자(Solanum tuberosum), 및 가막살나무(Viburnum prunifoli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에 함유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의약 조성물.
  3.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0044706837-pat0003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정공등(Erycibe obtusifoli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여여호(Artemisia dalailamae)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부용국(Crossostephium chinense), 산토리나 오브롱지폴리아(Santolina oblongifolia), 유포르비아 크리소코마(Euphorbia chrysocoma), 백령풀 (Diodia teres), 서양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양아욱(Althaea officinalis), 서양자초(Apium graveolens), 서던우드(Artemisia abrotanum), 개똥쑥(Artemisia annua), 귀리(Avena sativa), 독말풀(Datura stramonium), 서양송악(Hedera helix), 사리풀(Hyoscyamus niger), 고구마(Ipomoea batatas), 합환채(Mandragora officinarum), 뽕나무(Morus alba), 연초(Nicotiana tabacum), 미치광이풀(Scopolia carniolica), 감자(Solanum tuberosum), 및 가막살나무(Viburnum prunifoli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에 함유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식품 조성물.
  5. 제4항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7. 삭제
KR1020100015532A 2010-02-22 2010-02-22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KR10098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32A KR100981350B1 (ko) 2010-02-22 2010-02-22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US13/580,481 US8828954B2 (en) 2010-02-22 2010-08-17 Use for scopolin and derivatives thereof
PCT/KR2010/005423 WO2011102577A1 (ko) 2010-02-22 2010-08-17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32A KR100981350B1 (ko) 2010-02-22 2010-02-22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350B1 true KR100981350B1 (ko) 2010-09-10

Family

ID=4300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532A KR100981350B1 (ko) 2010-02-22 2010-02-22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28954B2 (ko)
KR (1) KR100981350B1 (ko)
WO (1) WO20111025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6803A (zh) * 2021-01-20 2021-04-16 吉林大学 七叶皂苷在治疗非酒精性脂肪肝病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7674B (zh) * 2012-03-15 2014-08-20 中国科学院西北高原生物研究所 一种山莨菪根中东莨菪苷单体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270A (ko) 1999-06-03 2001-01-05 복성해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새로운 이소쿠마린 유도체
JP2004081115A (ja) * 2002-08-27 2004-03-18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食品素材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CN1259914C (zh) * 2004-10-19 2006-06-21 中国药科大学 东莨菪素在制备防治高尿酸血症药物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patology Research, 39(5), pp.490-500(2009.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6803A (zh) * 2021-01-20 2021-04-16 吉林大学 七叶皂苷在治疗非酒精性脂肪肝病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2577A1 (ko) 2011-08-25
US8828954B2 (en) 2014-09-09
US20120322754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9502B1 (ko) 비만 및 당뇨병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
US8158683B2 (e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extracts of aronia and methods of using same to promote weight loss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132970A (ko) 아디포넥틴 상승제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370194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diterpene-based compound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10174533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513150A (ja) ウリ科植物の抽出物またはウリ科植物の抽出物から単離した精製抽出物から構成される抗脂肪生成および抗肥満活性を有する組成物
KR100981350B1 (ko) 스코폴린 및 그의 유도체의 신규 용도
KR101277266B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015979B1 (ko) 토별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비만 또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1929A (ko) 디에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5963A (ko) 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4977B1 (ko) 키레놀 또는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064525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55600A (ko) 다프난 또는 포볼 다이터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5186B1 (ko) 벌개미취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0992995B1 (ko) 피페로날의 신규한 용도
KR102269820B1 (ko)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