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266B1 -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266B1
KR101277266B1 KR1020110116778A KR20110116778A KR101277266B1 KR 101277266 B1 KR101277266 B1 KR 101277266B1 KR 1020110116778 A KR1020110116778 A KR 1020110116778A KR 20110116778 A KR20110116778 A KR 20110116778A KR 101277266 B1 KR101277266 B1 KR 10127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wheatgrass
group
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572A (ko
Inventor
이영미
김대기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266B1/ko
Priority to PCT/KR2012/009227 priority patent/WO2013069934A1/ko
Priority to US14/353,240 priority patent/US20140308377A1/en
Publication of KR2013005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밀순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동물실험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혈중 중성지질함량을 억제시키는 등 항비만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밀순 추출물은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of a sprout extract of Triticum aestivum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disease}
본 발명의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 Lee SJ et al., The prevalence estim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based on data from general health medical examination., J Korean Soc Health Information Health Statistics., 33:pp.119-133, 2008.
2. Frohlich J et al., Old and new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and development of treatment recommendations., Clin Exp Pharmacol Physiol., 29: pp.838-842, 2002.
3. Chua, S.C.Jr., Monogenic models of obesity., Behav Genet., 27: pp.277-284, 1997.
4. DeFronzo, R.A, Ferrannini, E. Insulin resistance. A multifaceted syndrome responsible for NIDDM,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14(3): pp.173-194, 1991.
5. Tamori, Y., Kasuga, M.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Nippon Rinsho., 67(2):pp.236-244, 2009.
6. Mason EE., Methods for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 Obes Surg, 2: pp.275-276, 1992.
7. King DJ, Devaney N., Clinical pharmacology of sibutramine hydrochloride (BTS 54524), a new antidepressant, in healthy volunteers., Br J Pharmacol, 26: pp.607-611, 1988.
8. 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346:pp.591-602, 2002.
9. Padwal R, Li SK, Lau DC, Long-term pharmacotherapy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7: pp.1437-1446, 2003.
10. Thearle M et al., Obesity and pharmacologic therapy, Endocrin Metab Clin North Am, 32: pp.1005-24, 2003.
11. George AB et al.,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pp. 672-677, 2000.
12. Nagaoka H., Treatment of Germinated Wheat to Increase Levels of GABA and IP6 Catalyzed by Endogenous Enzymes, Biotechnol Progr., 21(2):405-410, 2005.
13. Kulkarni SD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heat grass., Phytotherapy Research., 203:pp.218-227, 2006.
14. Marawaha R.K. et al., Wheat grass juice reduces transfusion requirement in patients with thalassemia major., Indian Pediatr., 41:pp.716-720, 2004.
15. Ben-Arye E. et al., Wheat grass juice in the treatment of active distal ulcerative colitis., Scand J Gastroenterol., 37:pp.444-449, 2002.
16. Bonfili L. et al., Wheat sprout extract-induce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proteasomes modulation, Biochimie, 91:pp.1131-1144, 2009.
17. Tudek B. et al., The effect of wheat sprout extract on benzo(a)pyrene., Neoplasma., 35: pp.515-523, 1998.
18. Watzl B.,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lant-based foods., Int J Vitam Nutr Res., 78: pp.293-298, 2008.
19. Cho YS.et al., Effect of grape seed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 pp.1537-1543, 2007.
20. Friedewald W. et al.,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lin. Chem., 18: pp.499-502, 1972.
21. Rim J. C. K. et al.,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s concentration in rats, Kor. J. Nutr., 34: pp.123-131, 2001.
22.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272-275
23.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pp.3143-3421.
24. Hanefeld M. et al., Impaired fasting glucose is not a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Diabet Med., 16, p.212, 1996.
25. Burkus, Z. and Temelli, F., (1998)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composition and viscosity stability of barley β gum, Cereal Chern., 75: pp.805-809.
26. Lee, Y. T. et al. (2003) Retarding effects. of β-glucans separated from barley bran on in vitro transport of bile acid and glucose, Food Sci . Biotechnol., 12: pp.298-302.
27. Lee, S. H. et al., (2010)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 Water Extrcts., Kor . J. Pharmacogn ., 41: pp.282-288.
28. Yang, E. J. et al., (2009) Eff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 Kor . J. Nutr., 42: pp.14-22.
29. Won, H. R. et al., (2005) Effcts. of hot water soluble extct. from grn. tea on the lipid metblsm., Kor . J. Comm . Living Sci ., 16: pp.39-45.
30. Yugarani, T. et al. (1992) Effcts. of polyphenolic natural prdcts., Lipids., 27: pp.181-186.
31. Wang, J. Q. et al., (2009) Prvnt. effcts. of total flavonoids of Litsea corean., J. Ethnopharmacol ., 121: pp.54-60.
32. Bjorntorp P.,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 723: pp.121-134, 1998.
33. Bjorntorp P., "Portal" adipose tissue as a generato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rteriosclerosis , 10: pp.493-496, 1990.
본 발명은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및 당뇨병 합병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우리나라 생활방식은 서구 선진국 형태로 발전함에 따라 식생활의 변화 및 육체적인 활동이 감소되면서, 신체 내의 체지방이 증가 되고 대사의 불균형으로 비만인구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당뇨병, 고지혈증, 혈전장애 등 심혈관계 질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이른바 대사증후군의 발생빈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Lee SJ et al., The prevalence estimation of metabolic syndrome., J Korean Soc Health Information Health Statistics., 33:pp.119-133, 2008 ; Frohlich J et al., Old and new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Clin Exp Pharmacol Physiol., 29: pp.838-842, 2002). 비만은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에너지의 과다섭취 후 체내대사활동에서 소비되지 못하고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으로 축적되어 발생된다(Chua, S.C.Jr., Monogenic models of obesity., Behav Genet., 27: pp.277-284, 1997). 또한 비만에서 보이는 혈중 지방산(fatty acid) 농도와 복부 비만의 증가는 고지혈증과 제 2형 당뇨병의 흔한 증상으로, 자유지방산의 증가는 심실 비대를 야기하고(DeFronzo, R.A, Ferrannini, E., Insulin resistance., Diabetes Care., 14(3): pp.173-194, 1991), 복부 지방 축적은 인슐린 저항성의 유발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고(Tamori, Y., Kasuga, M.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Nippon Rinsho., 67(2):pp.236-244, 2009), 이로 인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증,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생활 습관병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거나 건강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비만에 의한 건강상의 문제는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환자의 경우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비만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의 생활 습관 교정법과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 등이 있다(Mason EE., Methods for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 Obes Surg, 2: pp.275-276, 1992). 일반적으로 생활습관 교정법만으로 비만치료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비만 치료를 위한 약물사용은 오래전부터 시도되어 왔지만 여러 가지 심각한 부작용들로 인해 현재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비만치료 약물은 norepinephrine과 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sibutramine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orlistat이 있다(King DJ. et al., Clinical pharmacology of sibutramine hydrochloride., Br J Pharmacol., 26: pp.607-611, 1988 ; Yanovski SZ. et al., Obesity., N Engl J Med., 346:pp.591-602, 2002). 하지만 이들 약물 모두 부작용 때문에 몇 가지 제한적 허용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Padwal R. et al., Long-term pharmacotherapy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7: pp.1437-1446, 2003 ; Thearle M. et al., Obesity and pharmacologic therapy, Endocrin Metab Clin North Am., 32: pp.1005-24, 2003).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만치료제의 개발과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합성된 항비만 약물들에서는 아직까지 부작용이 없는 완전한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최근 체중조절에 효과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기능성 소재들을 천연물에서 탐색하여, 이들의 항비만 작용기전에 따라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George AB et al.,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pp. 672-677, 2000).
본 연구에 사용한 밀싹은 (Triticum aestivum Leaf: TA)은 화본과 일년생 식물로 주로 온대지방에서 재배하는 대표적 작물이다. 동의보감에서 밀은 독이 없으며, 번열(煩熱)을 제거하여 갈증을 완화시키며, 이뇨작용과 간를 보양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밀순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유리아미노산, 비타민, 다수 무기물 및 클로필 등의 영양성분(Nagaoka H., Treatment of Germinated Wheat to Increase Levels of GABA., Biotechnol Progr., 21(2):405-410, 2005)과 항산화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Kulkarni SD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heat grass., Phytotherapy Research., 203:pp.218-227, 2006), 밀싹을 섭취시 지중해 빈혈 (Thalassemia Major) 환자에게 수혈요구 줄이고(Marawaha R.K. et al., Wheat grass juice reduces transfusion requirement., Indian Pediatr., 41:pp.716-720, 2004), 말초성 궤양성 대장염 개선(Ben-Arye E. et al., Wheat grass juice in the treatment of active distal ulcerative colitis., Scand J Gastroenterol., 37:pp.444-449, 2002) 및 암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도하여 항암치료에 효과가 있으며(Bonfili L. et al., Wheat sprout extract-induce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proteasomes modulation, Biochimie, 91:pp.1131-1144, 2009), 발암성물질로 알려진 7,2-dimethylbenz(a)anthracene의 활성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Tudek B. et al., The effect of wheat sprout extract on benzo(a)pyrene., Neoplasma., 35: pp.515-523, 1998). 항염효과(Watzl B.,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lant-based foods., Int J Vitam Nutr Res., 78: pp.293-298, 2008)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 밀싹의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발아후 2주 재배한 밀싹을 물 및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고, 이들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되는 비만 마우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효과에 대하여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은 비만증에 효능이 탁월한 천연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밀순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동물실험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혈중 중성지질함량을 억제하였으며, 혈중 인슐린과 렙틴(Leptin)의 양의 증가를 억제하였으며, 간조직의 총지질 및 중성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고, 간조직의 지방침착이 뚜렷하게 억제되었고 또한 갈색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항비만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밀순은 벼과(―科 Gramineae) 밀속(―屬 Triticum)의 풀로서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우리밀(Triticum aestivum Lamarck)과 빵을 만드는데 많이 쓰는 불라레 밀 (Triticum vulgare), 스파게티나 마카로니 같은 파스타를 만드는 데 쓰는 듀럼 밀(Triticum durum), 케이크·크래커·쿠키·페이스트리·중력분 등에 쓰는 부드러운 콤팍툼 밀(T. compactum) 등의 종자를 발아시켜 약 1주일 내지 7주간, 바람직하게는 1주 내지 4주간 재배하여 얻은 밀싹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밀순를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배 내지 50배 (w/v)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약 1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반응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초고압추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는 제 4단계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밀순 추출물을 수득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밀순 추출물은 밀순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동물실험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혈중 중성지질함량을 억제하였으며, 혈중 인슐린과 Leptin의 양의 증가를 억제하였으며, 간조직의 총 지질 및 중성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고, 간조직의 지방침착이 뚜렷하게 억제 되었고 또한 갈색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항비만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비만증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적어도 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침출차,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 가능한 식품형태는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류인 식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밀순 추출물은 밀순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동물실험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혈중 중성지질함량을 억제시키는 등 항비만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비만증 치료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밀순 추출물의 조직학학적 분석법(200x)로 고지방식유도 마우스 간 조직에서의 지질 축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간 조직은 hematoxylin/eosin 시약으로 염색하고, ND: normal diet group, HFD: high fat diet group, HFD-TAWE: HFD+T. aestivum water extract group, HFD-TAEE: HFD+T. aestivum ethanol extract group을 의미함);
도 2은 밀순 추출물의 백색지방조직 중량(A) 및 부고환 지방조직 (B)의 H&E 염색의 대표적 사진을 나타낸 도이며 (ND: normal diet group, HFD: high fat diet group, HFD-TAWE: HFD+T. aestivum water extract group, HFD-TAEE: HFD+T. aestivum ethanol extract group을 의미함);
도 3는 밀순 추출물의 갈색지방조직 중량(A) 및 갈색 지방조직 (B)의 H&E 염색의 대표적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밀순 추출물의 제조
1-1.추출재료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공급받은 밀품종 금강밀(Triticum aestivum Lamarck: TA)을 수정우리밀농원(경기도, 수원)에서 평균 온도 20±1℃를 유지하며 온실에서 무균 유기농 발아용 피트머스 위에서 발아시켜 2주간 재배하여 얻은 밀싹을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1-2. 물추출물의 제조
밀싹은 동결건조 하고 곱게 분쇄하여, 물 추출물을 조제하고자 동결건조분말 100g에 1L 정제수를 첨가 한 후 90℃이상에서 규칙적으로 교반하며 1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이들을 Whatmann paper filter(Grade No 1. 직경15cm)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EYELA사, Tokyo, Japan)로 감압농축하였다. 추출물을 동결건조기(FD8512, 일신랩, 한국)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물추출물(TAWE)를 제조하였다. 생리식염수에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동물실험에 사용하였다.
1-3.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밀싹은 동결건조 하고 곱게 분쇄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자 동결건조분말 100g에 1L 95% 에탄올을 넣고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초음파추출기 Branson 1510)을 하였으며, 이들을 Whatmann paper filter(Grade No 1. 직경15cm)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EYELA사, Tokyo, Japan)로 감압농축하였다. 추출물을 동결건조기(FD8512, 일신랩, 한국)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에탄올추출물(TAEE)를 제조하였다. 생리식염수에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동물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밀순 추출물의 비만증에 대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밀순 추출물의 비만증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Cho YS. et al., Effect of grape seed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 pp.1537-1543, 2007)
1. 실험동물 및 식이
실험동물은 6주령의 C57BL/6J계 수컷 마우스를 (주)샘타코(오산, 경기도)에서 구입하여 원광대학교 동물사육시설 환경 1주일간 일반 고형사료로 적응시킨 후 실험군당 9마리로 하여 한 cage당 3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비만을 유도하기 위하여 (주)중앙실험동물(서울)에서 구입한 AIN-76A(Research Diets, Inc., D12451, 칼로리 구성: 지방 45%, 탄수화물 35%, 단백질 20%) 고지방식이 사료를 비만 유도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 (1) 일반식이 대조군(Normal control, N-Con), (2) 고지방식이 대조군 (high fat diet control group, HF-Con), (3) 고지방식이+200 mg/kg TA 물추출물 투여군( HF+TAWE 100), (4)고지방식이+200 mg/kg TA 에탄올추출물 투여군(HF+TAEE 200)으로 나누고 식이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TA 추출물들은 체중 kg당 1일 200 mg/kg이 투여되도록 생리식염수에 현탁시킨 후에 매일 일정한 시간에 6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으며, 정상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은 생리식염수만을 동일한 방법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동물사육실은 온도 20±2oC, 상대습도 50±10% 유지하였고, 명암주기 12시간간격으로 조절하였으며, 모든 동물실험은 원광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승인 하에 동물실험 윤리준칙을 준수하며 수행되었다.
2. 체중 및 식이섭취량 측정
실험동물을 식이섭취량은 1주에 3회, 체중은 주1회 측정하였다. 각 실험군의 체중 증가율은 실험기간동안 1주일 간격으로 일정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최종 체중에서 실험개시전의 체중을 감하여 실험개시전의 체중으로 나누어 산출하였고, 에너지 이용률은 체중 증가량을 동일사육기간의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구하였다.
체중 및 식이섭취량에서 밀순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고지방식이 섭취를 통해 유도되는 비만 마우스 실험모델에서 체중, 식이섭취량 및 에너지섭취량 증가에 밀순 물 추출물(TAWE) 또는 에탄올 추출물(TAEE)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추출물들을 마우스에 5주간 1일 1회 200 mg/kg씩 경구투여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다(표 1).
고지방 식이 투여 개시 전 평균 체중은 20.6 g이었으며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를 5주간의 제공한 후에 최종 체중과 체중증가량은 정상식이 대조군(ND)은 26.6±1.33 g과 5.7 g이며, 고지방식이 대조군(HFD)은 38.3±3.41 g과 17.6 g이었으며 고지방식이군에서 3배 이상 체중 증가량을 보였다. 한편 HFD+TAWE 투여군에서는 13.7 g, HFD+TAEE 투여군에서는 9.2 g의 체중 증가를 보였다. 정상식이군에서 보이는 자연 체중증가 부분을 고지방식이 대조군에서 감한 체증증가량을 대비 체중증가 억제율을 비교하면 TAWE 투여군은 32.8%, TA 에탄올 추출물은 70.7%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특히 TAWE 투여에 의한 체중감소에 비하여 TAEE 투여군에서 체중감소 효과가 유의하게 2배 이상 높았다. 체중 증가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각 실험군들의 1일 식이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정상식이대조군에서 3.1±0.53 g/day이고, 고지방식이군에서 4.2±0.67 g/day으로 식이섭취량이 증가하였다. TAWE 투여군에서 3.3±0.56 g/day, TAEE 투여군에서 2.9±0.57 g/day로 고지방식이군에서 비하여 추출물 모두 식이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TAWE 투여군과 TAEE 투여군 간의 유의적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실험군들의 식이섭취량에서 산출된 에너지 섭취량 역시 식이섭취량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밀순 에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을 투여할 경우 모두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밀순 에탄올 추출물이 체중감소에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Triticum aestivum extracts on body weight, food intake and energy intake in mice2 )
Variables Groups1 )
ND HFD HFD-TAWE HFD-TAEE
Initial (g) 20.9±1.26 20.7±1.12 20.3±0.97 20.5±1.02
Final (g) 26.6±1.33a 38.3±3.41b 34.2±2.13c 29.7±2.34c
Weight gain (g) 5.7±1.32a 17.6±2.01b 13.7±2.54c 9.2±2.26b
Food intake (g/day) 3.1±0.53a 4.2±0.67b 3.3±0.56a 3.0±0.57a
Energy intake (kcal/day) 11.9±2.94a 22.0±3.24b 17.3±3.04c 15.1±3.10c
1)ND, normal diet group; HFD, high fat diet group; HFD-TAWE, HFD+T. aestivum water extract group; HFD-TAEE, T. aestivum ethanol extract group.
2)Values are mean±SE (n=7).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4. 혈청 및 조직 시료채취
실험동물은 시험 종료일에 에테르로 흡입마취한 다음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1,9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청지질 함량 및 효소활성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간과 지방조직을 적출하여 0.9% 생리식염수로 남아있는 혈액을 헹구고 여지로 수분을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혈액 및 조직 시료들은 급속 동결하여 -70oC의 deep freezer에서 사용 전까지 보관하였다.
5. 혈중 지질함량 측정
혈중의 중성지질(Triglycerides),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및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주)아산제약 (Seoul, Korea)에서 구입한 효소분석 Kit(제품명/번호 TG-S (Triglyceride), AM157; V-Cholesterol, AM202; HDL-Cholesterol, AM203 )들을 사용하여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중성지방은 550 nm에서, 총콜레스테롤은 550 nm에서, HDL콜레스테롤은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 함량을 산출하였다.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Friedewald식(Friedewald W. et al.,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lin. Chem., 18: pp.499-502, 197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혈중 지질에서 밀순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혈중 지질은 각종 지방 조직의 구성성분으로써 생체 에너지 저장에 관여하며 비만일 경우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함량이 증가된다. 반면에 말초 조직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HDL-콜레스테롤은 농도가 감소되어 동맥경화증의 위험 신호가 된다24). 따라서 고지방식이를 제공한 마우스에 TAWE 및 TAEE의 투여가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의 혈중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각 실험군의 혈청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표 2).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대표적인 혈중 중성지질 함량은 정상식이군에서 122.7± 12.3 mg/dL, 고지방식이군에서 191.0±12.9 mg/dL으로 고지방식이 섭취한 경우 혈중 중성지질 함량이 55.7% 증가하였다. HFD+TAWE 투여군에서는 167.5±14.2 mg/dL, HFD+TAEE 투여군에서는 142.3± 10.3 mg/dL으로 고지방 식이로 인한 증가된 혈중 중성지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에 의해서 151.3± 9.8 mg/dL으로 증가하지만 HFD+TAWE 투여군과 HFD+TAEE 투여군에서는 128.3± 14.2 mg/dL과 125.9±11.2 mg/dL으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증가된 혈중 총 콜레스레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도 총콜레스테롤 수준과 비례하여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TAWE 투여군과 TAEE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혈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 대조군과 비교할 경우 고지방식이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TAWE 투여군과 TAEE 투여군에서는 정상식이군의 수준으로 혈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지방식이에 의해 야기되는 혈중 지질 함량이 TAEE 및 TAWE 투여에 의해 억제되며,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TAEE과 TAWE 투여군을 비교하면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혈중 중성지질함량이 TAEE 투여군에서 억제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포화지방산 및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는 혈중지질 수준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Rim J. C. K. et al.,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s concentration in rats, Kor. J. Nutr., 34: pp.123-131, 2001).
최근 한국인 30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탄수화물과 포화지방산의 과다 섭취로 인하여 고지혈증 환자가 증가는 추세이다 고지혈증 환자 중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이 17.4%로 중성지방혈증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으며(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272-275),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준 상승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밝혀짐에 따라 고지혈증 환자에서 혈청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치료가 강조되고 있다(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pp.3143-3421).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밀순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혈증 환자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Triticum aestivum extracts on serum lipid contents in mice2 )
Factors
(mg/dL)
Groups1 )
ND HFD HFD-TAWE HFD-TAEE
Triglyceride 122.7±12.3a 191.0±12.9b 167.5±14.2a 142.3±10.3c
Total cholesterol 114.0±6.6a 151.3±9.8b 128.3±7.2a 125.9±5.6a
HDL-cholesterol 37.6±4.2a 28.3±3.7b 34.6±4.8a 35.7±4.1a
LDL-cholesterol 51.8±5.7a 84.8±7.6b 60.2±8.3a 61.7±6.1a
1)Group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Values are mean±SE (n=7).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6. 혈중 포도당, 렙틴 ( Leptin ), 및 인슐린 농도 측정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를 분석하고자 1주일 간격으로 동일시간대에 마우스 꼬리정맥에서 일정량의 혈액을 소량 취하여 혈당측정기기(Abbott Diabetes Care Ltd.)를 이용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leptin 및 인슐린 농도는 시료를 6주간 투여 후 실험 종료일에 분석하였다. 마우스를 에테르로 마취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4℃에서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의 인슐린 농도는 Mouse leptin과 insulin 분석을 위한 ELISA kit(Shibayagi Co., Japan)을 사용하여 회사에서 제공한 실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음식물로서 당질을 과다하게 섭취하며 당질이 소화되어 단당이 되고, 소장을 통하여 체내로 흡수되며, 혈당이 상승하여 그 자극으로 분비되는 인슐린이 지방세포에 작용해서 혈액포도당을 지방세포가 받아들여 지방으로 축적되어 함으로써 비만이 발생한다. 에너지는 우선적으로 복부지방으로서 축적되며, 생활습관병(성인병)의 위험인자로 간주되고 있는데, 최근 비만의 유전적인 소인을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렙틴(leptin) 및 랩틴 수용체등의 비만 관련 유전자가 발견되었고, 렙틴은 ob 유전자에서 생성되는 식욕과 에너지 소비율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백색지방조직에서 분비되며 뇌의 시상하부(hypothalamus)의 뉴로펩타이드(neuropeptide) Y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식욕과 포만 중추를 조절하여 체내 지방축적과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마우스의 인슐린 및 렙틴(leptin)분비에서 TAWE 또는 TAEE 억제효과를 확인하위하여, 5주후 밀순 추출물 TAWE와 TAEE 투여 종료일에 마우스의 혈액을 취해 인슐린 및 렙틴(leptin)농도를 분석하였다(표 3). TA 추출물이 혈중 인슐린과 Leptin에 영향을 확인 한 결과, HF-Con군에서 Leptin과 인슐린의 양이 각각 29.55± 6.79 ng/ml, 4.16± 1.35 ng/ml 로 N-Con군보다 13.6배, 1.78배 증가하였으나, HF-TAWE 200군은 Leptin 5.19배, 인슐린 1.36배 그리고 HF-TAEE 200군에서는 3.19배, 1.22배의 증가율로 TAEE가 혈중 인슐린과 Leptin의 양을 N-Con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 및 고지방 식이로 인한 증가를 억제하였다.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경구강하제 투여에도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β세포의 인슐린 분비 저항의 주원인은 식후 고혈당 자체의 포도당독성(glucose toxicity)과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초래되는 지방독성(lipotoxicity)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efeld M. et al., Impaired fasting glucose is not a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Diabet Med., 16, p.212, 1996). 이와 맞물려 인슐린 분비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TA의 투여는 제2형 당뇨동물 모델에게서 식후 고혈당 개선을 통한 인슐린 저항성 및 인슐린 분비능의 개선과 같은 유익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TAWE and TAEE on insulin and leptin in the serum
Variables Groups
N-Con HF-Con HF-TAWE 200 HF-TAEE 200
Insulin (ng/ml) 2.33±0.57 4.16±1.35 3.17±0.97 2.86±1.13
Leptin (ng/ml) 2.16±1.21 29.55±6.79 11.23±3.56 7.98±3.26
Data are mean±SE values of 7 mice per group. Values in the same row not sharing common superscrip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s assessed using Ducan’s multiple range test. N-Con, normal diet group; HF-Con, high fat diet group; HF-TAWE 200; HF-TAEE 200 group.
8. 간조직 및 지방 조직의 현미경 관찰
마우스로부터 간조직, 부고환 부위 지방조직 및 콩팥 부위 지방조직의 지방조직을 적출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고, 10% formalin 용액에 12시간 고정시킨 후 PBS로 세척하였다. 파라핀 블록을 제작한 후 절편기를 사용하여 5μm두께로 잘라 조직절편을 제작하였다. 조직절편을 xylene으로 탈파라핀화 과정을 거쳐 파라핀을 제거하고 hematoxylin/eosin (Sigma) 시액으로 5분간씩 핵과 세포질을 염색 하였으며, 광학현미경(200x) 각 실험군들의 조직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마우스의 간조직 지방축적 증가에 대하여 TAWE 또는 TAEE 억제효과를 조사하고자 간 중량, 간조직중의 총지질 및 중성지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표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정상식이군에서 간 중량이 1.2± 0.34 g이었지만 고지방 식이에 의해 2.65± 0.45 g로 2.2배 증가하였다. 반면에 고지방식이+TAWE 투여군과 고지방식이+TAEE 투여군에서 간 중량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8%, 50%의 간 중량이 감소율을 보였다. 한편 간 조직내의 총지질, 중성지질 함량이 정상식이군에 비해서 고지방식이군에서 각각 약186.7%, 115.1%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한편 고지방식이+TAWE 투여군에서 정상식이군 대비 총지질이 27.7%, 중성지방이 31.4%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TAEE 투여군에서는 총지질이 9.9%, 중성지질이 8.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TAWE와 TAEE 모두 간조직의 총지질 및 중성지질 수준을 유의하게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밀순 에탄올추출물이 고지방식이 의존적인 간조직의 지질 축적을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밀순 물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는 밀순에 함유된 수용성 식이섬유 β-glucan에 의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수용성 β-glucan은 β-glycosyl unit가 β-(1→3)결합과 β-(1→4)결합으로 연결된 가지 없는 선형사슬로서 단백질 혹은 기타 세포벽 성분과 결합하여 분자구조와 크기가 다양하며(Burkus, Z. and Temelli, F., (1998)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composition and viscosity stability of barley β gum, Cereal Chern., 75: pp.805-809) 점성이 높고 인체의 소화기관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키는 등의 인체건강에 유용한 생리적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 Y. T. et al. (2003) Retarding effects. of β-glucans separated from barley bran on in vitro transport of bile acid and glucose, Food Sci. Biotechnol., 12: pp.298-302). 선행연구에서 밀순 물 추출물에 수용성 β-glucan이 함유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Lee, S. H. et al., (2010)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 Water Extrcts., Kor. J. Pharmacogn., 41: pp.282-288). 아울러 본 실험과 유사한 결과로써 Yang등은 보리순 물 추출물을 고지방식이를 제공한 마우스의 혈중 지질 및 간조직의 지방 침착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Yang, E. J. et al., (2009) Eff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 Kor. J. Nutr., 42: pp.14-22). 하지만 밀순 에탄올 추출물에서 간조직의 지방축적 억제효과를 향상 시키는 효과는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 등의 생리활성물질들이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식물체의 폴리페놀화합물은 고지방식이 비만모델에서 혈중 지질 및 간 조직 지질축적을 억제시킨다고 보고되었다(Won, H. R. et al., (2005) Effcts. of hot water soluble extct. from grn. tea on the lipid metblsm., Kor. J. Comm. Living Sci., 16: pp.39-45 ; Yugarani, T. et al. (1992) Effcts. of polyphenolic natural prdcts., Lipids., 27: pp.181-186 ; Wang, J. Q. et al., (2009) Prvnt. effcts. of total flavonoids of Litsea corean., J. Ethnopharmacol., 121: pp.54-60). 본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총플라보노이드와 총폴리페놀 분석을 통하여 밀순에 이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Lee SH et al. (2009) Anti-oxidative and anti-hyperglycemia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sprout water extracts o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or. J. Pharmacog. 40: pp.408-414). 하지만 지질대사를 향상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밀순에서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향후 이들을 분리 정제하여 구조 규명과 지질합성 및 분해에 관련된 효소의 mRNA와 protein 발현수준을 확인하여 기전을 밝히고자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Effect of Triticum aestivum extracts on liver weights and lipid contents in high fat-fed mice2 )
Factors Groups1 )
ND HFD HFD-TAWE HDF-TAEE
Liver weight (g) 1.20±0.34a 2.65±0.45b 1.64±0.21a 1.31±0.34a
Total lipid (mg/g) 62.14±3.14a 178.21±12.07b 79.35±4.45a 68.34±3.14a
Triglyceride (mg/g) 31.45±2.10a 67.66±3.11b 41.32±2.20a 34.14±2.65a
1)Group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Values are mean±SE (n=7).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비만식이 섭취에서 동반되는 간 크기와 무게의 증가는 간조직의 지방축적에 기인한다. 따라서 각 실험군의 간조직에서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여 Hematoxylin 시액(Sigma사, MHS-16)과 Eosin 시액(Sigma사, HT110-1)으로 순차적으로 조직염색을 실시하였다. 정상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으로부터 적출한 간조직의 형태를 관찰하면 정상식이군에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진한 선홍색을 나타내지만, 고지방식이군에서는 간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옅은 분홍색에 황색 및 백색의 지방들이 침착된 전형적인 지방간 형상을 보였다. 또한 간조직을 파라핀절편으로 제작하여 Hematoxylin & Eosin 시액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정상식이군은 간세포가 균일하고 지방공포가 전혀 보이지 않았지만, 고지방식이 대조군(HFD)의 간조직에서는 세포질에 크고 작은 지방축적으로 인해 간세포질의 지방 공포가 많이 출현하였으며 간세포 내 지방 축적의 흔적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한편 고지방식이+TAWE 투여군에서는 지방축적이 현저히 감소했지만 작은 지방공포가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아울러 고지방식이+TAEE 투여군에서는 간조직의 지방침착이 뚜렷하게 억제되었으며, 지방침착이 정상식이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도 1 참조)
체내의 장기적인 에너지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백색지방조직(white adipose tissue)의 체내 밀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고지방식이와 함께 각각의 TA추출물들을 5주간 투여하고 부고환 지방조직 (Epididymal adipose tissue)과 콩팥 지방조직 (Perirenal adipose tissue)를 적출하여 무게를 확인하고, 지방조직을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을 실시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의 무게는 정상식이군의 0.39±0.09 g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에서 1.43±0.55 g으로 3.6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지방식이+ TA 물추출물(TAWE) 투여군에서는 0.87±0.18 g, 고지방식이+TA 에탄올추출물(TAEE) 투여군에서는 0.64±0.14 g으로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해서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의 무게가 각각 39%와 5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콩팥지방조직에서도 부고환지방조직의 결과와 유사하게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TA 물추출물 투여군과 TA 에탄올추출물 투여군에서는 각각 38%와 56%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와 같이 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백색지방조직의 증가를 감소시켰으며, 특히 TA 에탄올추출물 투여군에서 보다 우수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지방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능을 갖는 갈색지방 조직(brown adipose tissue)에 있어서 TA추출물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도 3). 고지방식이군의 갈색지방조직 무게는 0.18±0.098 g 정상식이군은 0.09±0.057 g, 고지방식이+ TA 물추출물 투여군 0.13±0.081 g , 고지방식이+TA 에탄올추출물 투여군은 0.12±0.073 g으로 나타났다. TA 추물물 투여군들에서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갈색지방조직 무게가 감소하였으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중증가보다는 체지방의 증가, 특히 복강 내에 복부지방조직의 증가가 건강상의 대사상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Bjorntorp P.,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 723: pp.121-134, 1998; Bjorntorp P., "Portal" adipose tissue as a generato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rteriosclerosis , 10: pp.493-496, 1990). 백색지방조직의 백색지방세포에서의 분비지방산이 문맥을 경유하여 직접 간장에 유입하여 인슐린저항성과 지방합성을 증강하여, 그 결과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을 야기하여 최종적으로는 이들이 합병하여 동맥경화를 발병하는데 중요한 원인이 된다. 지방조직에서 발열반응을 통하여 에너지의 소비에 관여하는 조직은 갈색지방조직으로, 갈색지방조직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존재하는 탈공역 단백질(uncoupling protein, UCP)이 적응성 열발생(adaptive thermogenesis)에 관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TA에탄올추출물 및 물추출물의 투여가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되어진 간 및 지방조직의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복부비만을 억제하므로 체지방을 감소시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9. 통계처리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실험군당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고,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를 이용해서 통계분석 하였다. 그룹간 평균차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one-way ANOVA로 분석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TAEE 2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TAEE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TAEE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TAEE 2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TAWE 2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TAWE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TAWE 100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밀순의 70 내지 95% 에탄올(v/v)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순은 우리밀(Triticum aestivum Lamarck: TA), 불라레 밀 (Triticum vulgare), 듀럼 밀(Triticum durum), 또는 콤팍툼 밀(T. compactum) 종자를 발아시켜 약 1주일 내지 7주간 재배하여 얻은 밀싹인 약학조성물.
  5. 밀순의 70 내지 95% 에탄올(v/v)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형태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침출차, 건강보조 식품,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7.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밀순의 70 내지 95% 에탄올(v/v)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8.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밀순의 70 내지 95% 에탄올(v/v)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KR1020110116778A 2011-11-10 2011-11-10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27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778A KR101277266B1 (ko) 2011-11-10 2011-11-10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PCT/KR2012/009227 WO2013069934A1 (ko) 2011-11-10 2012-11-05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US14/353,240 US20140308377A1 (en) 2011-11-10 2012-11-05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wheatgras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778A KR101277266B1 (ko) 2011-11-10 2011-11-10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572A KR20130051572A (ko) 2013-05-21
KR101277266B1 true KR101277266B1 (ko) 2013-06-26

Family

ID=4829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78A KR101277266B1 (ko) 2011-11-10 2011-11-10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08377A1 (ko)
KR (1) KR101277266B1 (ko)
WO (1) WO20130699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90A (ko) 2022-04-05 2023-10-12 재단법인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항비만 기능성을 나타내는 유색밀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311A1 (ko) * 2016-05-18 2017-11-23 주식회사 넥스 밀싹건조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WO2020213003A1 (en) * 2019-04-19 2020-10-22 Kingra Iqbal Singh A composition of wheatgras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20230129825A (ko) * 2022-03-02 2023-09-11 다미래 주식회사 수용화 커큐민과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695A (ja) * 2004-03-01 2005-09-15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脂肪細胞分化抑制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505A (ja) * 2001-09-12 2003-06-03 Lion Corp 体脂肪減少効果を有する飲食物及び外用組成物
KR101082460B1 (ko) * 2009-12-30 2011-11-11 이해수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695A (ja) * 2004-03-01 2005-09-15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脂肪細胞分化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과제보고서 2007 *
이선희 등, 생약학회지 제41권 제4호 282~288쪽 (2010.12.) *
이선희 등, 생약학회지 제41권 제4호 282~288쪽 (2010.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90A (ko) 2022-04-05 2023-10-12 재단법인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항비만 기능성을 나타내는 유색밀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8377A1 (en) 2014-10-16
KR20130051572A (ko) 2013-05-21
WO2013069934A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64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20100122333A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77266B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EP3299025B1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KR101688002B1 (ko) 초음파 처리된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9920A (ko)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20230101740A (ko)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60125106A (ko)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018405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688126B1 (ko)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4248957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 receptor inhibitor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14B1 (ko) 해방풍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7110A (ko) 청귤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