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106A -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106A
KR20060125106A KR1020050046930A KR20050046930A KR20060125106A KR 20060125106 A KR20060125106 A KR 20060125106A KR 1020050046930 A KR1020050046930 A KR 1020050046930A KR 20050046930 A KR20050046930 A KR 20050046930A KR 20060125106 A KR20060125106 A KR 2006012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hang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589B1 (ko
Inventor
김종배
황경순
양웅석
김기욱
허선미
양승훈
Original Assignee
김종배
황경순
양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배, 황경순, 양웅석 filed Critical 김종배
Priority to KR102005004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5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의 원인인 알콜과 알데히드의 대사를 촉진시켜 체내 알콜 분해를 증대시키고, 탁월한 간 보호 효능을 가지고 있어 숙취해소 및 간 보호에 유용한 조성물이며,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외에도 점막 면역을 유도하며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활성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혈중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며, 혈중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수치를 감소시켜 항당뇨 활성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로서도 이용이 가능하여 의약이 아닌 식품으로서 숙취 또한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어 건강기능식품 산업상 유용한 발명이다.
숙취, 간 보호, 황태, 헛개나무, 칡, 겨우살이

Description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 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ragra chalcogramma, Hovenia dulcis and Viscum album var. coloratum and catechins of Pueraria thunbergiana for treating or alleviating hangover syndrom and protecting liv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ADH(도 1) 및 ALDH(도 2)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혈중 알콜농도(도 3) 및 알데하이드농도(도 4)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GOT, GPT 및 LDH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혈청(도 6), 분변(도 7), 질 세척액(도 8)에서의 점막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혈당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혈중 콜레스테롤(도 10) 및 혈중 중성지방(도 11)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초 대사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 이다.
본 발명은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술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인류사회에서 제조, 음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이슬람 종교 국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제조 판매되고 있다.
삼성병원에서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의 음주문화와 간에 대한 건강인식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20~50대 성인의 음주횟수는 1주일에 1 내지 3회가 약 87.1%로서, 이는 국민 건강의 측면에서 상당히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그 정도가 지나쳐 소화할 수 없을 정도로 과량의 알코올을 섭취하고 그로 인한 부작용인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현상 등의 숙취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고, 알코올 중독에 걸릴 위험성도 그만큼 증가된다.
정상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알코올류(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등)가 섭취되는 경우,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그 중 10%는 호흡, 땀, 소변 등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90%의 알코올은 혈관 중에 들어가 간장에서 대사된다 (M. Nakanishi; Saishin Igaku, 31, p2086, 1976). 이어서 간세포에 존재하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간세포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하여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 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해 대사과정에서 과음으로 인해 알코올 대사의 이상이 오면, 대사되지 못한 에틸알코올이나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으로 인해 머리가 무겁고 아프거나 속이 쓰리는 등의 숙취현상(hangover)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로 담석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콜린산류를 이용한 조성물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콜린산류에는 이담작용, 간장해독, 간혈류 개선작용, 지방의 흡수 촉진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작용을 갖고 있어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간기능 장애에 의한 전신권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육체 피로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으며, 지방간 치료에 효과가 있어 경구로 투여한 경우 간기능개선 및 간지방량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는(일본공개특허 평4-235918호)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Tauro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는 케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및 디하이드로콜린산 (Dehydrocholic acid)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콜린산류를 이용한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무게의 증가 및 비장의 위축 예방, 부신의 아스코르빈산 함량변화 억제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의 억제 등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일반적인 증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을 뿐이고, 숙취를 해소하거나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는 새로운 경구용 숙취 해소 및 간장 보호를 위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당뇨병은 췌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작용 부족에 의해 유발된 대사장애로 정의되며 포도당의 과잉생산, 체지방의 분해 및 단백질의 낭비를 수반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항진시켜 대사상의 혼란을 야기시킨다(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903-910, 1982).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두 가지 유형으로 특징지워지는데, 제 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의 글루코스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Insulin)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 1형과는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인데, 공복 혈당과 함께 식후 혈당조절이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 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다(Jenkins, D. J. A., Wolever et al.,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 pp149-159, 1988; Menendez, C. M., Stoecker, B. J., The role of diet in improving glycemic control in Nutrition and Diabetes, Javanovic, L. and Peterson, C. M. (ed.), Alan R. Liss Inc., pp15-36, 1995).
명태(Theragra chalcogramma)는 건사하는 방법에 따라 동태와 황태, 북어로 나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황태는 일교차가 크고 추운 지역에서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3~4월까지 눈을 맞히며 얼리고 녹이는 과정을 반복해서 만든다. 낮에는 겉만 살짝 녹았다가 밤이면 꽁꽁 얼기를 20번 이상 반복한 끝에 질 좋은 황태가 되는데 육질은 부드럽고 비린내가 나지 않고 은은하고 깊은 특유의 향내가 오랫동안 보존돼 가장 고급스런 명태 가공식품이다. 명태의 주요성분은 단백질이며 칼슘 또한 풍부하다. 건조되지 않은 보통 크기 명태는 단백질이 20.3g, 칼슘 100mg, 철분 4.2mg, 인 202mg, 당질 0.9mg, 철분 4.2mg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도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단백질의 함량은 명태를 건조할 경우 배로 증가된다. 명태의 간유(간에서 뽑아낸 기름)에는 비타민 A가 들어 있어 영양제로서의 가치가 뛰어나고, 인체 각 부분의 세포를 발육시키는데 필요한 리신이라는 필수 아미노산과 뇌의 영양소가 되는 트립토판이 들어 있어 건강 유지뿐만 아니라 기름기는 상대적으로 적어 비만환자나 노인들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명태는 열이 많이 나는 질환에 좋고, 감기 몸살이나 다른 감염으로 인한 급성질환에 효능을 가지고 있다.
명태의 여러 가지 가공형태 가운데 가장 고급으로 치는 것은 황태다. 육질과 향기가 산에서 나는 더덕과 비교할 만하다 해서 더덕북어라고도 불리어 진다. 명태가 마르면서 황태가 되면 단백질의 양은 2배로 늘어나는데 단백질이 전체 성분에서 56%를 차지할 정도의 고급 단백 식품이 된다. 고단백 저칼로리이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좋고, 피로회복, 혈압조절에도 효과가 있으며, 명태의 효능 중 가장 놀라운 것은 알레르기 체질을 바꿔준다는 것이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교목으로 지구자나무 및 괴조라고도 불리어 진다. 열매꼭지에 서당, 포도당, 과당, 카탈라제, 페록시다제가 있으며 총당은 약 13%이며, 포도당과 서당은 거의 동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은 겉껍질아래 및 도관속주 위에 함유되어 있다. 목부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호베니산, 잎에는 루틴이 함유되어 있다. 구역질을 멈추고 소변을 누지 못하는 질병에 약효에 있다.
칡(Thunbergiana Bentham)은 덩굴을 뻗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칡 뿌리에는 이소플라본화합물인 다이드제인, 다이드진, 푸에라린, 푸에라린크실로시드, 루테올린, 비오카닌 A 등과 농마, 쿠마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의 이소플라본화합물은 진경작용을 하며, 다이드제인은 편두통, 고혈압, 협심증 등에 효과가 있다.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는 사철푸른 작은 나무로서, 그 잎이 붙은 가지에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이 확인되며, 올레아놀산, β-아미린, 메소이노시톨, 비스찐, 옥시다제, 세릴알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겨우살이는 자궁수축작용 및 지혈작용이 탁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이 숙취해소에 유용하며 간을 보호하는 작용 및 혈당 강하 활 성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또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혈중 혈당 농도를 강하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음료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태, 헛개나무 및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킨 성분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황태 추출물의 경우 국내에서 구입가능한 황태에 황태 부피의 5-10부피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추출기에 넣고, 80-100℃, 바람직하게는 85-95℃에서 24-36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24-26시간동안 열수추출한다.
헛개나무, 겨우살이와 칡은 재료들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후 5-10cm 길이로 절단하여, 음건하거나 건조기에 말린 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약 5-30배, 바람직하게는 10-15배 부피/중량의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70-120℃, 바람직하게는 90-100℃의 추출 온도에서 10분 내지 15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과하여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농축 또는 건조하여 건조상태의 헛개나무 또는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킨 성분을 수득할 수도 있다.
상기 칡의 카테킨 성분에는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 epigallocatechingallate), 에피칼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에피카테킨(epicatechin),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또는 카테킨(catechin)을 포함하여, 바람직하게는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칼로카테킨, 에피카테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법으로 수득된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조성물은 각각 수득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또한 황태 추출물의 제조시에 헛개나무 추출물,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킨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도 있다.
상기 조성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알콜을 경구투여하여 마우스의 혈중 알콜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탁월한 알콜 분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혈중 GOT, GPT, LDH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탁월한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마우스의 점막면역원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당뇨유발 쥐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 혈중 혈당 수치가 탁월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수치가 저하되었으며, 탁월한 기초 대사량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혈중 혈당 농도를 강하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및 칡은 오랫동안 식용 및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숙취해소 및 간 보호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황태 추출물의 제조
강원도 용평에서 구입한 황태 한마리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상기 황태 무게의 1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추출기에 넣고 90℃에서 24시간동안 열수추출 및 여과하여 황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
한국에서 자생하는 구입한 국산 헛개나무 1㎏을 정선한 후 수세하여 정제수를 헛개나무 무게의 1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추출기에 넣고 90℃에서 15시간동안 열수추출한 다음 70℃에서 냉각시켰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수득한 각각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 농축기로 이송시킨 후 브릭스 74까지 진공농축하여 헛개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칡의 카테킨 성분의 제조
한국에서 자생하는 국산 칡 1㎏을 상기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칡의 카테킨 성분들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겨우살이 추출물의 제조
2년생 한국산 겨우살이의 가지 끝에서부터 2마디까지의 잎과 줄기를 1㎏ 채취하여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정제수 10ℓ를 첨가하여 균질기로 3분동안 균질하였다. 상기 균질된 겨우살이를 100℃에서 30분동안 중탕하여 4℃, 10,000×g의 속도에서 2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된 상등액을 포어 사이즈가 다른 멤브레인 필터로 순차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시켜 갈색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5-1.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1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황태 추출물 80중량%에 헛개나무 추출물 0, 0.1, 0.5, 1, 2, 3, 4, 5 중량%을 각각 혼합하여 정제수를 첨가한 후 균질화하여 음료용기에 충전, 포장한 후 살균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2.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2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겨우살이 추출물 0, 0.1, 0.5, 1, 2, 3, 4, 5, 10 중량%를 각각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3.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3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칡의 카테킨 성분 0, 0.1, 0.5, 1, 2, 3, 4, 5 중량%를 각각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4.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4
하기 실험예 1의 관능평가결과를 토대로 황태 추출물 8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2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5 중량% 및 칡의 카테킨 성분 0.5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실시예 5-1에서 수행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각각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하여 30세 이상의 직장인 50명을 대상으로 5평정법(최상:5-4, 우수:3, 보통:1-2, 최하:0)에 의거하여 관능평가를 3회 반복실시하였고, 그 평균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헛개나무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관능평가 결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0.1-2 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맛, 향 및 색깔 면에서 가장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실시예 5-2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경우 겨우살이 추출물의 함량이 0.1-0.5중량%인 때(하기 표 2 참조), 상기 실시예 5-3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경우 칡의 카테킨 성분의 함량이 0.1-0.5 중량%인 때(하기 표 3 참조)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맛, 향 및 색깔 면에서 가장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헛개나무 추출물의 함량별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관능평가결과
헛개나무 추출물 함량(중량%) 색깔
0 4.5 4.0 4.0
0.1 4.5 4.0 4.2
0.5 4.5 3.8 4.2
1 4.0 3.5 4.2
2 4.0 3.5 4.0
3 3.5 3.0 3.0
4 3.0 2.0 1.5
5 1.5 1.5 1
겨우살이 추출물 함량별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관능평가결과
겨우살이 추출물 함량(중량%) 색깔
0 4.5 4.0 4.0
0.1 4.5 3.8 4.2
0.5 4.0 3.5 4.2
1 3.5 3.2 3.2
2 3.5 3.2 3.0
3 3.0 3.0 3.0
4 2.5 2.0 1.5
5 1.5 1.5 1
10 1 1 1
칡의 카테킨 성분 함량별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관능평가결과
칡의 카테킨 함량(중량%) 색깔
0 4.5 4.0 4.0
0.1 4.5 4.2 4.2
0.5 4.0 4.0 4.2
1 3.5 3.2 3.2
2 3.5 3.2 3.0
3 3.0 3.0 3.0
4 2.5 2.0 1.5
5 1.5 1.5 1
실험예 2. 숙취해소 효능 실험
대조구는 알콜만을 투여하고, 실험구는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SD계, 200g 내외의 무게를 가진 수컷 흰쥐 10마리에 경구로 1마리당 500㎕씩 알콜 투여 30분 전에 투여한 후 1, 3, 5시간에 혈청을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in vitro assay로는 혈청 내 ADH 및 ALDH를 측정하였으며, in vivo assay로는 혈중 알콜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모든 실험 키트는 아산제약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ADH 및 ALDH 활성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혈중 알콜 및 알데하이드의 농도가 탁월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의 원인인 알콜과 알데하이드의 대사를 촉진시켜 체내 알콜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간 보호 효능 실험
실험구로서 SD계, 200g 내외의 무게를 가진 수컷 흰쥐 10마리를 16시간동안 절식시킨 후 CCl4 혼합액 투여 4시간 전 및 16시간 후에 1% CMC-Na용액에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현탁하여 경구투여하고, CCl4:오일 혼합액(1:4, v/v%)를 체중 100g당 200㎕씩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실리마린(silymarin) 25㎎/㎏/10㎖를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48시간 후에 에테르 마치하에서 개복하여 복부대동맥에서 채혈하여 GOT, GPT 및 LDH 활성을 시크마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와 양성 대조군은 정상적인 쥐로서 어떠한 시료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수치를 보였다.
실험예 4. 점막 면역 활성 실험
SD계, 200g 내외의 무게를 가진 수컷 흰쥐 10마리에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경구로 1마리당 500㎕ 를 2주간격으로 1회 투여하고, 실험 실시후 4주후에 분변(fecal extract), 질 세척액(vaginal wash), 혈청(serum)을 분리하여 항원 특이적 항체 역가를 관찰하였다. 대조구는 어떠한 시료도 투여하지 않은 군이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혈청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약 700배의 현저히 우수한 점막면역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6 참조), 분변의 경우에는 약 150배(도 7 참조), 질 세척액의 경우에는 약 150배(도 8 참조)의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점막면역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할 경우 면역 세포들이 활성화되어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알콜해독 속도를 증가시켜 숙취해소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항당뇨 활성
당뇨질환 모델 동물인 ob/ob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5㎎을 1일 1회로 하여 총 4회 경구투여한 후 혈중 혈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어떠한 시료도 투여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구의 경우에는 시일이 경과하면서 지속적으로 혈당 수치가 상승한데 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의 경우 시일이 경과하면서 혈중 혈당 수치가 약 60%이상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혈중 지질성분 수준에 미치는 영향
당뇨질환 모델 동물인 ob/ob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15일동안 자유음수시킨 후 15일째 혈액을 채취하여 당뇨관련 혈액성분인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하여 약 70% 감소하였으며(도 10 참조), 중성지방의 수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약 50%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기초 대사량 변화 관찰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초 대사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Balb/c, 20g 내외의 무게를 가진 수컷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2㎎을 1일 1회 경구투여하면서, 투여한 후 2주째, 3주째, 4주째의 기초 대사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어떠한 시료도 투여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약 1.5배 이상의 기초 대사량의 증가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마우스의 체력이 강화되어 숙취해소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5-4 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20 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2. 건강기능음료의 제조
실시예 5-4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의 원인인 알콜과 알데히드의 대사를 촉진시켜 체내 알콜 분해를 증대시키고, 탁월한 간 보호 효능을 가지고 있어 숙취해소 및 간 보호에 유용한 조성물이며,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외에도 점막 면역을 유도하며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켜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혈중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며, 혈중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수치를 감소시켜 항당뇨 활성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로서도 이용이 가능하여 의약이 아닌 식품으로서 숙취 또한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어 건강기능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혈중의 알콜과 알데하이드 대사를 촉진시키는 활성을 갖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2. 혈당 농도를 강하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항당뇨 조성물.
  3.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황태 추출물 80-9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0.1-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0.1-10 중량% 및 칡의 카테친 성분 0.1-5중량%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050046930A 2005-06-01 2005-06-01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69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930A KR100696589B1 (ko) 2005-06-01 2005-06-01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930A KR100696589B1 (ko) 2005-06-01 2005-06-01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106A true KR20060125106A (ko) 2006-12-06
KR100696589B1 KR100696589B1 (ko) 2007-03-19

Family

ID=3772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930A KR100696589B1 (ko) 2005-06-01 2005-06-01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5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03B1 (ko) * 2011-08-05 2012-02-13 (주)에쎄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7080B1 (ko) * 2010-07-26 2013-01-04 이의영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81988B1 (ko) * 2010-06-23 2013-07-03 (주)새롬바이오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589B1 (ko) 2021-02-17 2022-10-28 주식회사 피코엔텍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779A (ko) * 1998-10-01 2000-05-06 이현용 황태 및 지구자 나무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제품 및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88B1 (ko) * 2010-06-23 2013-07-03 (주)새롬바이오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7080B1 (ko) * 2010-07-26 2013-01-04 이의영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13603B1 (ko) * 2011-08-05 2012-02-13 (주)에쎄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589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111623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20014712A (ko)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99043A1 (ko)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0696589B1 (ko)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549089B1 (ko)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건강 기능성식품
CN106359734A (zh) 具有减肥功能的无糖茶饮品及其制备方法
KR100863524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93205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277266B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608456B1 (ko)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75247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8128B1 (ko) 이온화칼슘 시비 현미를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알코올배설과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촉진 및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040051200A (ko)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