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88B1 -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988B1
KR101281988B1 KR1020100059697A KR20100059697A KR101281988B1 KR 101281988 B1 KR101281988 B1 KR 101281988B1 KR 1020100059697 A KR1020100059697 A KR 1020100059697A KR 20100059697 A KR20100059697 A KR 20100059697A KR 101281988 B1 KR101281988 B1 KR 10128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present
hangover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548A (ko
Inventor
윤택준
배송환
정재필
조선영
Original Assignee
(주)새롬바이오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롬바이오,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새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0005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98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를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HAVI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FOR TREATING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알코올은 주로 위장과 소장에서 흡수되어 간으로 옮겨져 대사된다. 흡수된 알코올의 사람에 따라 최대 1/3 정도는 위장에서 알코올 가수분해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분해시킴으로서 혈액을 통한 알코올의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간에 도달한 알코올의 약 90%는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산화된 후, 아세트알데히드 디하이드로게네이즈(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하여 아세트산(acetic acid)로 산화된다. 나머지 약 10% 정도의 알코올은 카탈라제에 의하여 아세트알데이드로 대사된다. 알코올의 일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반응성이 높은 화합물이므로 생체의 여러 가지 다른 물질들과 반응하여 간세포에 대한 독성 및 괴사, 미세혈관의 변화, 간세포의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변화 및 지질의 과산화를 증가시킨다. 즉, 아세트알데히드는 acetaldehyde-protein adducts를 생성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함으로 간손상을 유발하게 한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는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시킴으로서 간독성에 관여하게 된다. 또한 만성적인 알코올의 섭취는지방산의 산화가 저해됨으로서 혈중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의 농도를 높이며, 따라서 간은 지방간으로 진행된다. 또 메치오닌(methionine)의 대사 이상을 초래함으로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생산을 억제하게 단다.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유리산소잔기(free radicals)는 주로 카탈라제(catalase),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글타치온 페로시다제 (glutathione peroxid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에 의하여 제거되는데 유리산소잔기의 생성이 항산화 방어기전을 넘어서면 간손상 즉, 간세포의 자멸사 혹은 괴사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알코올 간질환에서 염증을 일으킴으로서 쿠퍼세포 (Kuffer cell)로 부터 TNF-a, TGF-b, IL-1 및 IL-6 등의 염증성 cytokines 생성되고 이들은 간세포의 콜라겐의 침착을 유도하여 간세포의 섬유화를 촉진하게 된다.
섭취된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는 급성 알코올 숙취의 가장 큰 원인, 즉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증, 근육통 등을 유발하여 일반인의 업무능력 저하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을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갈근, 감초, 대추, 생강 및 용안육을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속도를 증가시키고, 염증을 억제하며, 항산화 활성 및 간기능 증진활성이 있는바, 숙취 예방 및 해소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 분해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위출혈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염증성분의 생산 억제능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모세혈관 투과 억제능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출물이 알코올 대사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을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갈근, 감초, 대추, 생강 및 용안육을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형제로서 비타민, 무기질,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전분, 수크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는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겨우살이는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기자는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갈근은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초, 대추, 생강 및 용안육의 총량은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갈근, 감초, 대추, 생강 및 용안육의 생약 원료들을 각각 추출한 후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상기 원료들을 모두 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한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최종 식품 또는 음료에 대하여 0.01 내지 7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4>
표 1의 생약 재료를 각각 엄선한 후 세척하여 이물을 제거한 후, 원료, 즉 생약 재료의 총량 대비 2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00℃에서 5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내지 14).
실험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갈근
부재료
부재료: 감초, 대추, 생강,용안육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급성 알코올 분해능을 측정하였다.
식이에 의한 알코올 흡수와 분해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 마우스(ICR, 웅성, 25 g)를 5시간 절식시키고, 각 군당 5마리의 마우스에 본 실험예 1 내지 11의 추출물 4 mg 및 대조군으로 증류수 0.2 ml을 각각 25 g의 마우스 에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1시간 후 마우스 체중 Kg당 12.5ml의 알코올(99.9%)을 경구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 4 시간 후에 혈액을 수집하기 위하여 심장 체혈 후, 혈청을 회수(3000 X g /10분)하였다. 혈청 알코올 농도측정은 퀀티크롬 에탄올(Quantichrom Ethanol) 측정 키트(kit)(Roche, Hayward, CA) 이용하여 540nm의 흡광도를 측정후, 키트 내의 표준 알코올 시료를 분석하여 얻은 표준곡선에 실험 결과를 대입하여 알코올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투여 4시간 후 혈청 알코올 함량은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9 및 상기 생약원료에 부재료인 감초, 대추, 생강,용안육을 추가하여 추출한 실시예 14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
실시예 대조군 1 2 3 4 5 6
알코올 함량 0.386 0.296 0.301 0.315 0.332 0.308 0.289
7 8 9 10 11 12 13 14
0.278 0.281 0.261 0.275 0.271 0.312 0.285 0.258
알코올 함량: 혈청 알코올 함량(%)
<실시예 15>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갈근 및 감초, 대추, 생강, 용안육의 총량을 각각 40:30:40:2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생약 원료를 준비하였다.
세척하여 이물을 제거 후, 원료대비 20배 의 정제수를 가하여 100℃에서 5시간 추출하면서 원료대비 10배의 볼륨이 되도록 농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액의 농도를 100 mg/ml이 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이하 여러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2> 급성 알코올 분해능 측정
식이에 의한 알코올 흡수와 분해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 마우스(ICR, 웅성, 25 g)를 5시간 절식시키고, 각 군당 5마리의 마우스에 실시예 15의 추출물 20 mg 및 4 mg/25 g 및 대조군으로 시판되는 A사의 모닝케어 0.125 ml에 증류수 0.075 ml을 혼합하여 총 볼륨 0.2 ml을 각각 25 g의 마우스 에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1시간 후 마우스 체중 Kg당 12.5ml의 알코올(99.9%)을 경구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 2시간 및 6시간 후에 혈액을 수집하기 위하여 심장 체혈 후, 혈청을 회수(3000 X g /10분)하였다. 혈청 알코올 농도측정은 퀀티크롬 에탄올(Quantichrom Ethanol) 측정 키트(kit)(Roche, Hayward, CA) 이용하여540nm의 흡광도를 측정후, 키트 내의 표준 알코올 시료를 분석하여 얻은 표준곡선에 실험 결과를 대입하여 알코올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25 g의 마우스당 4 mg을 투여한 경우(16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우수한 알코올 분해력을 보였다(도 1) (표 3).
실험 군 혈청 알코올 함량 (%)
2시간 후 5시간 후
알코올 투여 대조군 0.482 ± 0.045 0.270 ± 0.021
A사 제품 0.389 ± 0.029 0.226 ± 0.021
발명물 20 mg/25g 0.340 ± 0.026 0.208 ± 0.021
발명물 4 mg/25 g 0.295 ± 0.031 0.184 ± 0.019
<실험예 3> 알코올 섭취에 의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혈중 함량
알코올의 일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숙취를 느끼게 하는 주원인물질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숙취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의 결과를 참고로 여러농도로 조정된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먹이고, 알코올 투여(12.5 ml/Kg) 2시간 후에 마우스로부터 체혈 후 혈청을 분리하였고 아세트알데히드F-Kit(Roche, Hayward, C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비색정량 하였다. 고반응성 화합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체내 주요 구성성분이 단백질과 결합함으로 면역반응을 유도 하기도하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억제함으로 간염 및 간경변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는 뇌로 이동하여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등 숙취의 주요한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물의 알코올 투여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본 발명 조성물 0.8 - 20 mg/mouse의 투여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기능을 가짐으로 숙취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험예 4> 알코올 섭취에 의한 위출혈 억제효과
실험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마우스에 4mg/mouse 투여하고 1시간 뒤에, 마우스를 경추탈골법으로 희생시킨 후, 복부를 절개하여 위 조직을 적출하였다. 상기 적출한 위 조직은 3% 포르말린을 이용하여 조직을 고정 후, 위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성 대조군인 모닝케어 투여군 및 본 발명물 4 mg/mouse의 투여군의 위점막 및 십이지장의 손상 정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의 사진 결과는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도 3). 이러한 현상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위점막 및 십이지장 보호 효과를 보여 주는 것으로, 알코올에 의한 위장관의 통증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5> 복강세포로부터 염증성 성분의 생산 억제에 미치는 효과
염증은 자극물질에 의한 혈관의 팽창에 의하여 유도된다. 이러한 염증의 유발은 여러 가지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영양을 받기에, 본 실험예에서는 마우스의 대식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염증성 싸이토카인 및 염증유발 물질인 질소산화물(nitric oxide; NO)의 생산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마우스의 복강세포(peritoneal exudative cells; PEC)로부터 대식세포의 수집은 6주령의 BALB/c 마우스의 복강에 티오글리콜래이트(thioglycollate)를 주사하여 세포를 회수한 후, 세포배양 프레이트에 부착되는 세포를 대식세포로 이용하였다. 대식세포에 염증유도 물질로서 LPS(lipopolysaccharide)를 최종농도가 0.5 ㎍/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첨가함으로 염증성 싸이토카인을 생산하게 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의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산 억제효과를 측정하여 위하여 LPS 처리 직후에 최종농도가 15.6 - 1000 ug/ml 조정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시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배양 상등액을 수집하였으며, 배양 상등액에 유도된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NF-α의 양을 각 엘리사 키트(ELISA kit)(Pharmingen, C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 조성물은 LPS에 의하여 생산되는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도 4).
일산화 질소(NO, nitric oxide) 함량은 안정된 NO 산화물인 NO2(nitrite)를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염증성 cytokine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식세포를 염증유도 물질인 LPS와 본 발명조성물을 첨가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배양상등액에 생산된 NO의 양을 측정하였다. NO양의 측정은 대식세포 배양 상등액 0.1 ml을 96 웰 플래이트(well plate)에 넣고 여기에 Griess 시약(0.1% N-1-나프틸-에틸렌디아민/H2O (N-1-naphthyl-ethylendiamine/H2O) : 1% 술파닐아마이드(sulfanilamide)/5% H3PO4=1:1)을 동량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이트라이트(Nitrite)의 농도는 소듐 나이트라이트(sodium nitrite)를 이용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표현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 조성물은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산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입증 되었다(도 4).
<실험예 6> 모세혈관 투과 억제도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혈액의 모세혈관 투과 억제도 실험은 휘틀(Whittle)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Whittle, 1964). 즉, ICR계 마우스에 본 발명 조성물을 복강내 주사(체중 25 g의 마우스에 각각 0.8, 4 및 20 ㎎)하고 30분 후에 생리 식염수에 희석된 0.7% 아세트산(acetic acid)을 제조하여 체중 Kg당 10 ㎖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30분 후 생리식염수에 녹여 제조한 4% 폰타민 스카이 블루(pontamine sky blue)를 0.1㎖ 용량으로 꼬리정맥에 정맥주사하고, 30분 후 경추 탈골법으로 실험동물을 폐사시켰다. 그 후 복강내로 5㎖의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가하고 복부를 가볍게 흔들어준 후, 혈관으로부터 투과하여 복강에 삼출된 폰타민 스카이 블루(pontamine sky blue)를 취하였다. 복강에 삼출된 폰타민 스카이 블루의 양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은 아세트산에 의한 혈관의 확장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서 장관막에 유출되는 혈액성분의 투과를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서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5).
<실험예 7> 간 조직 중 알코올 대사효소 활성 측정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마우스에 본 발명물을 경구투여 하고 1시간 뒤에 알코올을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 12시간 후에 마우스를 로부터 간 조직 1 g을 취한 다음 0.25 M sucrose, 5 mM Tris, 0.5 mM EDTA(ph7.2)를 함유한 용액 4 ml에 넣고 균질 후, 4,000 rpm에서 윈심분리(4℃/15분) 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첫째로 알코올탈수소 효소의 측정을 위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12,000g에서 원심분리(4℃/15분) 후 얻은 상등액을 이용하여 다시 100,000g에서 초고속 원심분리(4℃/1시간) 하여 상등액인 cytosol 부분을 취하여 분석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은 Bergmeyer의 방법(Bergmeyer 등, 1974, Academic Press, New York. Vol 2, p428-429)에 준하여 340 nm에서 NADH 생성속도를 지표로 설정하였다. ADH 활성은 알코올 투여 마우스의 간을 100%로 하여 비교수치로 나타내었다. 둘째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펠렛부분을 sucrose buffer로 2회 세척하고 얻은 간 성분의 중량 2배의 1.15% KCl용액으로 현탁 후, 다시 얻은 간중량 1 g 당 1ml의 0.3% sodium deoxychoerate를 가하여 50,000 rpm에서 1시간 원심분리 함으로서 얻은 상등액을 mitochondrial ALDH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ALDH 활성은 Tottmar 방법(Tattmar 등 1973. Biochem J 135: 577-58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물 4 mg/마우스의 투여의 경우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하여 ADH(153.5%) 및 ADHL (176.8%) 증진된 결과를 얻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물은 알코올 대사에 직접 관련이 있는 두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를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위출혈 및 염증을 감소시키는바, 숙취 예방 및 해소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Claims (5)

  1. 가시오가피, 겨우살이, 구기자 및 갈근를 포함하는 생약 원료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가피는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겨우살이는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는 상기 생약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원료는 감초, 대추, 생강 및 용안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20100059697A 2010-06-23 2010-06-23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97A KR101281988B1 (ko) 2010-06-23 2010-06-23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97A KR101281988B1 (ko) 2010-06-23 2010-06-23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48A KR20110139548A (ko) 2011-12-29
KR101281988B1 true KR101281988B1 (ko) 2013-07-03

Family

ID=4550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697A KR101281988B1 (ko) 2010-06-23 2010-06-23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17A (ko) 2014-11-27 2016-06-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30053422A (ko) 2021-10-14 2023-04-21 김기배 구기자와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7280B (zh) * 2014-07-03 2016-03-02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712132B1 (ko) * 2014-10-22 2017-03-06 유의순 겨우살이를 함유하는 액상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상차
KR101880894B1 (ko) * 2016-07-29 2018-08-09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TW201822780A (zh) * 2016-12-16 2018-07-0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龍眼殼萃取物用於製備調控SREBP-1c與ACC以及SCD-1蛋白質之組合物的用途
KR101867530B1 (ko) * 2016-12-30 2018-06-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2269936B1 (ko) * 2020-05-29 2021-06-28 유한회사 한풍제약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04A (ko) * 2002-04-04 2003-10-10 서왕식 숙취해독(宿醉解毒) 및 피로회복제(疲勞回復劑) 조성물
KR20060125106A (ko) * 2005-06-01 2006-12-06 김종배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963227B1 (ko) 2009-07-17 2010-06-16 극동에치팜 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04A (ko) * 2002-04-04 2003-10-10 서왕식 숙취해독(宿醉解毒) 및 피로회복제(疲勞回復劑) 조성물
KR20060125106A (ko) * 2005-06-01 2006-12-06 김종배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963227B1 (ko) 2009-07-17 2010-06-16 극동에치팜 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17A (ko) 2014-11-27 2016-06-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30053422A (ko) 2021-10-14 2023-04-21 김기배 구기자와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48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988B1 (ko)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4009045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10033644A (ko)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7080B1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519715A (ja) ケンボナシ抽出物、ダンコウバイ抽出物、またはその混合生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組成物
KR101301971B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20090040631A (ko) 민들레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27914A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3356B1 (ko)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JP4974553B2 (ja) アセトアルデヒド代謝促進剤
JP4838301B2 (ja) 宿酔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40108104A (ko)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5277B1 (ko)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고지혈증제
KR20140137288A (ko)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20093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5104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