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936B1 -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936B1
KR102269936B1 KR1020200064850A KR20200064850A KR102269936B1 KR 102269936 B1 KR102269936 B1 KR 102269936B1 KR 1020200064850 A KR1020200064850 A KR 1020200064850A KR 20200064850 A KR20200064850 A KR 20200064850A KR 102269936 B1 KR102269936 B1 KR 10226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parts
relieving
beverag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권
전기용
김대성
유진주
김성연
장보윤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풍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풍제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풍제약
Priority to KR102020006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여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과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 숙취를 빠르게 해소할 수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beverage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and prepa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주로 위장과 소장에서 흡수되어 간에서 대사되는데, 최대 1/3 정도는 위장에서 ADH(Alcohol dehydrogenase)에 의해 분해되고 간에 도달한 알코올은 ADH에 의해 약 90% 정도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산화된 후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하여 아세트산(acetic acid)로 산화된다. 나머지는 알코올 catalse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된다. 다량의 알코올 섭취 후 느끼는 숙취증상의 가장 큰 원인은 아세트알데하이드며 두통, 현기증, 갈증, 메스꺼움, 무기력증, 근육통 등을 유발한다.
알코올은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대부분이 간에서 분해되고, 간에서 분해되지 않은 알코올은 계속 혈액과 더불어 순환되며 시간이 경과되어야 없어진다. 특히, 동양인은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이 서양인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알코올 분해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사되지 못한 알코올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코올 해독 및 숙취를 완화할 수 있는 약물, 조성물, 식품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음용 후 숙취 해소와 함께 갈증, 졸음, 두통, 어지러움 등의 숙취 증상을 보다 빠르게 저감시킬 수 있는 천연물 식품에 대한 요구는 지속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
- 한국 등록특허 제0392876호 (2003.07.15.)
- 한국 등록특허 제1784870호 (2017.09.28.)
본 발명은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여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과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 숙취를 빠르게 해소할 수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숙취 해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추출 및 여과 방법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각 성분의 함량비는 갈화 20 내지 40 중량부, 감초 10 내지 20 중량부, 구기자 10 내지 20 중량부, 복령 5 내지 15 중량부, 가시오가피 5 내지 15 중량부, 황금 5 내지 15 중량부, 창출 1 내지 10 중량부 및 건조 생강(건강) 창출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용매 추출 단계; 및 (b) 상기 추출된 추출액을 기공 크기 1 내지 50 ㎛의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c) 상기 (b) 단계에서의 여액을 기공 크기 1 내지 100 nm의 한외여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d) 상기 (c) 단계에서의 여액을 농축 후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의 8가지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과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 숙취를 빠르게 해소할 수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8가지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의 다단 여과 및 비타민/아미노산의 혼합을 통해 숙취 해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항산화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세포 안전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ROS 생성 억제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투여에 의한 혈중 알코올 농도와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 변화 산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투여에 의한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와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 변화 산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혼합 추출물 3종의 투여에 의한 간 조직의 ADH 및 ALDH 활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천연물을 이용한 음료용 조성물로서 음용 후 숙취 해소와 함께 갈증, 졸음, 두통, 어지러움 등의 숙취 증상을 보다 빠르게 저감시킬 수 있는 천연물 식품에 대한 요구는 지속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된 천연물의 복합 추출물에 대한 숙취 해소 효과를 연구한 결과 특정의 8종 천연물, 즉,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에서 숙취 해소 관련 지표에서 상당한 효과를 보이고, 인체적용시험 결과에서도 단시간에 숙취 증상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갈화(Flower of Pueraria lobata Ohwi)는 칡의 꽃을 건조시킨 것으로 민간에서는 주독을 없애고, 갈증, 두통, 구토 등의 증상에 사용되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한방에서는 다빈도로 사용되는 생약으로 소화계의 활성, 열과 독성물질의 제거, 폐의 수분보충, 기침, 통증 등에 사용되어 왔다.
구기자(Fruit Lycium chinense Miller)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의 열매로서 지방간의 저해작용과 간세포 신생의 촉진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구기자에는 베타인(betaine), 폴리엔 알코올(polyene alcohol)로서 제아잔틴(zeaxanthin), 제아잔틴 디팔미테이트(zeaxanthin dipalmitate)와 세레브로시드(cerebroside)로서 LCC(1-O-(β-D-glucopyranosyl)-(2S,3R,4E,8Z)-2-N-palmitylotadecasphinga-4,8-diene)가 함유되어 있으며, 피롤(Pyrrole) 계열의 4-[formyl-5-(hydroxymethyl)-1H-pyrrole-1-yl]butanoic acid 및 이의 유도체들이 분리되어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비타민 B1(vitamin B1)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복령(Poria cocos Wolf)은 한방에서 인체 내에 습을 원활하게 돌려 소변 등으로 배출시키는 이수삼습(利水濕)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소변을 못 보고 배와 전신의 부종, 해수, 구토, 설사 증상 등에 사용한다.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는 물리 화학적인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 적응력 및 피로회복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항염, 항산화, 면역조절, 간기능 촉진 등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항히스타민,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박테리아 활성, 항염증 효과 등이 밝혀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이질, 발열, 황달 및 옹(carbuncle)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황금의 활성 성분으로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바이칼린(baicalin), 크리신(chrysin), 오로실린-A(oroxylin-A), 오고닌(wogonin), 오고노사이드(wogonoside) 등 30여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함유되어 있다.
창출(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및 Atractylodes chinensis Koidzumi)은 한방에서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이뇨작용과 비위의 기능을 좋게 하여 소화 기능을 강화하는 데 사용한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위의 기능을 좋게 하여 소화 기능을 강하게 하며, 오심, 구토를 개선한다. 또한 항혈소판 작용,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소화 증진, 멀미 개선, 입덧 개선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8종의 각 천연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에서 숙취 해소 지표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의 천연물이라도 포함하지 않을 경우 후술하는 실험에서의 지표 중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서 목적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숙취 해소용 음료로 제조 시 그 현저한 효과를 용이하게 재현하기 위한 상기 각 성분이 함량비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성분의 함량비는 갈화 20 내지 40 중량부, 감초 10 내지 20 중량부, 구기자 10 내지 20 중량부, 복령 5 내지 15 중량부, 가시오가피 5 내지 15 중량부, 황금 5 내지 15 중량부, 창출 1 내지 10 중량부 및 건조 생강(건강) 창출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갈화 25 내지 35 중량부, 감초 12 내지 18 중량부, 구기자 12 내지 18 중량부, 복령 7 내지 13 중량부, 가시오가피 7 내지 13 중량부, 황금 7 내지 13 중량부, 창출 3 내지 8 중량부 및 건조 생강(건강) 창출 3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8종 천연물의 복합 추출물에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비타민 및 아미노산의 바람직한 예로는, 비타민의 경우 비타민 B1, B2, B6 등을 들 수 있고, 아미노산의 경우 글리신(Glycine), 트레오닌(Threon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상기 혼합 추출물 1중량부 기준으로 비타민의 경우 0.0001 내지 0.01 중량부, 아미노산의 경우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이들 비타민 및 아미노산은 각각 단독으로 혼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는 추출 및 여과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a)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용매 추출 단계; 및 (b) 상기 추출된 추출액을 기공 크기 1 내지 50 ㎛의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열수 추출을 적용할 경우 숙취 해소 관련 지표 향상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한 추출 방식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수 추출의 경우 예컨대, 상기 천연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배의 물을 넣고,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조건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1 내지 3회 추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기공 크기를 갖는 필터라면 그 재질 등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다만, 기공 크기가 5 내지 30 ㎛인 필터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여과할 경우 숙취 해소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한편, 여과된 추출물로써 숙취 해소용 음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과된 추출물을 60℃ 이하에서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단 여과를 통해 숙취 해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여액을 기공 크기 1 내지 100 nm의 한외여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단계 (c))를 포함한다.
상기 한외여과 필터는 상기 (b) 단계의 여액을 다시 입자 크기나 분자량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필터로서, 상기 (b) 단계의 여액에서 고분자량의 물질을 여과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숙취 해소 관련 지표의 향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c) 단계에서 여과된 여액으로써 숙취 해소용 음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과된 여액을 60℃ 이하에서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 단계에서 농축된 농축물에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혼합할 경우 숙취 해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의 여액을 농축 후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혼합하는 단계(단계 (d))를 포함하며, 상기 비타민 및 아미노산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갈화 30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구기자 15 중량부, 복령 10 중량부, 가시오가피 10 중량부, 황금 10 중량부, 창출 5 중량부 및 건조 생강(건강) 5 중량부에 8 내지 10배의 물을 넣고 75 내지 85℃ 조건에서 3시간 2회 추출한 후 기공 크기 10 내지 20 ㎛의 필터로 여과 후 여액을 60℃ 이하로 농축하였다(HO-S1).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추출 및 여과한 후 여액을 입자 크기나 분자량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한외여과 필터(기공 크기 10 내지 30 nm)로 고분자량의 물질을 여과한 여액을 60℃ 이하로 농축하였다(HO-S2).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농축물에 하기 표 1의 조성(단위 : g)으로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혼합하였다(HO-S3).
성분 HO-S1 HO-S2 HO-S3
혼합추출물 2 - -
혼합추출물(한외여과) - 2 2
Vitamin B1 - - 0.0008
Vitamin B2 - - 0.0008
Vitamin B6 - - 0.0008
Glycine - - 0.3
Threonine - - 0.2
Alanine - - 0.2
Valine - - 0.1
Methionine - - 0.8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농축물과 타우린, 비타민, 아미노산, 감미료 등을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혼합하고 최종 1회 분량이 80 mL가 되도록 상수를 첨가하고 용해한 후 90 내지 95℃로 살균하고 충진 및 밀봉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명 함량(g)
1 혼합추출물(한회여과) 2
2 Vitamin B1 0.0008
3 Vitamin B2 0.0008
4 Vitamin B6 0.0008
5 타우린 0.5
6 아카시아 벌꿀 1
7 백당 1
8 사과농축과즙 5
9 배농축과즙 3
10 석류농축액 3
11 사과맛분말 0.2
12 사과향분말 0.15
13 Glycine 0.3
14 Threonine 0.2
15 Alanine 0.2
16 Valine 0.1
17 Methionine 0.08
18 DL-사과산 0.4
19 드링크 분말향 0.03
20 β-Cyclodextrin 0.03
21 상수 66.5578
실험예 1
[실험 방법]
(1) 세포배양
시험물질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간세포 유래 HepG2(human liver cancer cell)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anassas, V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epG2 세포는 DMEM 배지에 10 % FBS, 1% 페니실린 및 1% 스트렙토마이신을 혼합하여 배양하였고, 이를 37℃ 습윤한 CO₂배양기(5% CO₂, 95% air)에서 2 내지 3일 간격으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2,2-diphenyl-1- pycryl-hydrazyl)는 매우 안정한 수용성 free radical로 520 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의 화합물이다. DPPH는 항산화물질과 만나게 되면 radical이 소거되면서 고유색인 보라색이 엷어지는데 이 색차를 비색 정량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DPPH 용액은 0.1 M의 농도로 methanol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DPPH 용액과 시험물질은 1 : 1 부피비로 혼합하여 암실에서 30분 방치하고 ELISA 기계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의 색 보정은 각 시료와 메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하여 측정된 흡광도의 값을 측정한 뒤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Vit C(Ascorbic acid) 50 μM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Hydroxyl radical scavenging ratio (%) = (1 - A/B) × 100
(A: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3)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포착활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 시 pyrogallol의 산화속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에는 SOD assay kit(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Rockville,USA)를 사용하였으며, 흡광도 측정은 ELISA reader를 이용하였다. 먼저 시료를 50, 100 및 500 ㎍/mL의 농도별로 희석하여 96 well plate에 20 ㎕씩 분주한 후, WST working solution을 200 ㎕와 enzyme working solution을 20 ㎕를 넣고 37℃에서 20분간 incubation 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500 ㎍/mL trolox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2]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ratio (%) = (1 - A/B) × 100
(A: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4) t-BHP(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간세포 보호 활성
배양한 세포를 1×105 cells/mL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시료가 농도별로 첨가된 FBS-free DMEM 배지를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로 1번 세척하고 시험물질을 농도별로 희석해서 전 처리하고 4시간 뒤에 FBS-free DMEM 배지에 200 μM의 t-BHP를 함께 24시간 동안 37℃,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MTT assay를 통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5) t-BHP로 유도된 ROS의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
배양한 세포를 1×105 cells/mL로 96 well black plate에 분주하고 37℃,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시료를 농도별로 DMEM 배지에 넣고 24시간 전 처리하였다. 그 후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기 위해 200 μM의 t-BHP를 처리한 15분뒤,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H2DCFDA)를 10 μM의 농도로 10 ㎕를 추가로 첨가하고 30분 동안 37℃,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고 DPBS로 wash한 후 DPBS를 200 ㎕를 첨가해서 485 nm와 530 nm에서 Synergy HT Multi-Mode 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동물의 사육
본 실험에서는 오리엔트(주)로부터 입수한 6주령의 자성 SD 랫트(180 ± 5 g)을 사용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를 둔 후 체중범위에 따른 무작위법에 의하여 군 분리를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물들은 인수 및 순화기간 동안 이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순화 및 실험 기간 동안 사육 환경은 온도 23±2℃, 상대습도 55±5%, 조명시간 12시간 및 조도 150 내지 300 Lux로 설정하고, 살균 처리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오리엔트(주))와 물은 자유섭취 조건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꼬리에 개별인식 처리 후 각각의 동물을 관찰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 사육하였다. 동물 실험은 원광대학교 동물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WK19-37).
(7) 실험군의 구성 및 처치
실험군은 6마리씩 대조군(EtOH), 시료투여군, 상업적인 숙취음료 제품군(컨디션 파워(CP), 제일제당, 한국)으로 나누었다. 시험에 앞서 사료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위장관을 통한 알코올의 흡수 방해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9시간 동안 절식시켰으며 이때 물은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각 시료는 알코올 투여 30분전에 경구적으로 200 mg/kg씩 투여하였으며, 알코올 투여는 kg당 4 g의 수준으로 1회 경구 투여하였다.
(8) 혈장 및 장기 채취
실험동물은 알코올 투여전 6시간 동안 절식을 수행하고, 알코올 투여 0, 15, 30, 60, 120, 300, 480 및 540분 후 diethyl ether 마취상태에서 안와정맥총에서 Capillary Tube Heparinize(Kimble chase life science and research produsts, LLC, vineland, USA)을 이용하여 채혈하여 수행하였다. 알코올 투여 후, 9시간에서 희생시킨 다음 복부 하대 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시간별로 획득한 혈액은 튜브에 담고 4,000 rpm(4℃)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조직은 혈액 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시켜 -70℃에 보관하고 다음 실험 전까지 보관하였다.
(9)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측정
혈중의 알코올 농도를 알코올 측정 kit(Biovision, Mipitas,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알코올 농도는 3 mL의 NAD 용액과 혈청 100 ㎕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분간 방치한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 혼합액에 알코올 탈수소효소 용액 50 ㎕를 혼합하여 2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다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였다.
또한 혈중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아세트알데하이드 측정 kit(Biovision, Mipitas,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3 mL의 NAD 용액과 혈장 200 ㎕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분간 방치 한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 혼합액에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용액 50 ㎕를 혼합하여 20℃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다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였다.
(10) 농도-시간 곡선하면적 계산
경구 투여한 알코올의 약물동태학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산출하였다. 0분부터 15, 30, 60, 120, 300, 480 및 540분에 측정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이용하여 시간 농도곡선을 먼저 작성하고, AUC는 사다리꼴 면적 계산 공식을 이용하여 최종 채혈시까지의 값을 구하였다.
(11) 간 조직의 ADH 및 ALDH 활성 측정
ADH와 ALDH의 활성 측정은 각각 ADH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및 ALDH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Biovision, Mipitas, CA, USA)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각 kit에서 제시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nmol/min/mg protein으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3]
ADH 또는 ALDH activity = B/(T×V) × 희석배수
(B: NADH생성량으로 측정된 ADH, T: 반응시간, V: 반응에 사용한 protein량)
[실험 결과]
(1) 후보소재 3종의 항산화능 평가
도 1을 참조하면, 후보소재 3종(HO-S1, HO-S2 및 HO-S3) 모두 농도 의존적인 DPPH 와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의 경우 500 ㎍/mL의 경우 모두 양성대조군인 Vitamin C 50 μM와 유사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trolox와 유사하거나 유의적으로 더 높은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다.
(2) 간세포 안전성 및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
도 2를 참조하면, 후보소재 3종(HO-S1, HO-S2 및 HO-S3) 모두 100 ㎍/mL의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산화적 간 손상 시험의 처리농도를 10, 30 및 100 ㎍/mL의 농도로 설정하였다. t-BHP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세포 생존율은 49.1%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HO-S1, HO-S2 및 HO-S3이 전 처리된 세포에서 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한외여과(UF) 여부 및 3종의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인 세포 생존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HO-S1, HO-S2 및 HO-S3 100 ㎍/mL 처리 농도에서는 각각 61.5, 64.1 및 69.2%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t-BHP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silymarin 50 μM 처리군에서 생존율은 53.61% 으로 관찰되었다.
(3) ROS 생성 억제효과
세포내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ROS 생성에 대한 후보소재 3종(HO-S1, HO-S2 및 HO-S3)의 억제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t-BHP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능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100 μM t-BHP을 노출시킨 대조군을 100%로 환산하였을 때, HO-S1, HO-S2 및 HO-S3 시료가 전 처리된 세포에서 100 ㎍/mL 농도에서는 각 85.5±21.5%, 93.7±28.3% 및 78.6±15.0%이었고, 30 ㎍/mL 농도에서는 각 95.6±22.5%, 116.5±27.4% 및 100.1±12.3%이었고, 10 ㎍/mL농도에서는 각 102.7±26.7%, 113.8±24.7% 및 107.7±37.0%를 나타내었다. 그 중 HO-S3의 100 ㎍/mL처리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Silymarin 50 ㎍/mL 에서는 33.8±2.0%의 ROS 생성량 감소를 나타냈다.
(4) 혈중 알코올 농도
도 5를 참조하면, EtOH군의 혈액 중 알코올 수준은 섭취 후 1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219.4±52.7 mg/dL),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9시간 이 경과한 후에도 혈중 알코올 농도는 39.3±22.6 mg/dL로 상당한 수준의 알코올이 혈장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O series 및 양성대조군은 각 시간별 혈중 알코올 농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알코올의 농도-시간 곡선하면적 계산(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살펴보면 HO-S3의 경우 322.5±0.9 mg/dL/Hr으로 EtOH군(338.8±35.0 mg/dL/Hr) 대비 4.8%p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의 경우 323.1±17.5 mg/dL/Hr으로 4.7%p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아니었다.
(5)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도 6을 참조하면, EtOH군의 혈액 중 아세트알데하이드 수준은 섭취 후 1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1.30±0.85 mg/dL),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9시간 이 경과한 후에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0.15±0.10 mg/dL로 혈중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O series 및 양성대조군은 각 시간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시간 곡선하면적 계산(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살펴보면 HO-1은 1.7±1.0, HO-S2는 1.2±0.4 및 HO-S3는 1.0±0.6 mg/dL/Hr으로 EtOH군(1.7±0.4 mg/dL/Hr) 대비 각각 1.8, 27.2 및 40.9%p 감소로 HO-S2과 HO-S3군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의 경우 1.2±0.5 mg/dL/Hr으로 EtOH 군 대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6) 간 조직의 ADH 및 ALDH 활성 측정
알코올 섭취에 따른 알코올 대사효소에 HO series가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간 조직의 ADH와 ALDH 효소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그룹 ADH (nmol/min/mg protein) ALDH (nmol/min/mg protein)
EtOH 1207.4±434.4 240.4±86.3
CP 1309.7±524.6 245.1±69.4
HO-S1 1675.0±425.3 * 277.4±97.4
HO-S2 1762.9 ± 409.8 * 295.6±99.8 *
HO-S3 1782.1±141.1 * 297.2±73.3 *
표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간 조직의 ADH의 경우, HO-S1(1675.0±425.3 nmol/min/mg protein), HO-S2(1762.9 ± 409.8 nmol/min/mg protein) 및 HO-S3 (1782.1±141.1 nmol/min/mg protein) 으로 EtOH 군(1207.4±434.4 nmol/min/mg protein) 대비 38.7, 46.0 및 47.6%p로 유의적(p<0.05) 증가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ALDH의 경우, HO-S1(277.4±97.4 nmol/min/mg protein), HO-S2(295.6 ± 99.8 nmol/min/mg protein) 및 HO-S3(297.2±73.3 nmol/min/mg protein)으로 EtOH 군(240.4 ± 86.3 nmol/min/mg protein) 대비 15.4, 23.0 및 23.6%p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험예 2에서는 평소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인 건강한 성인 남성(20~40세) 15명을 대상으로 교차 시험(crossover design) 방식으로 숙취 해소 효과를 확인하는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대상자의 특징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연령(년) 24.87 ± 2.221)
신장 175.53 ± 3.05
체중 68.78 ± 4.61
BMI(체질량 지수)(kg/m2) 22.31 ± 1.29
1) mean ± S.D.
인체적용시험 대상자는 알코올 함량 20.1% 소주 360 mL에 마른안주 25g을 30분 동안 마시게 하였으며, 음주 150 분 후 및 다음 날 아침(12시간 후) 과도한 갈증(Thirst), 졸음(Sleepiness), 두통(Headache), 어지러움(Dizziness), 구토(Nausea), 무력감/기운 없음(Weakness), 복통(Stomach pain), 설사(Diarrhea), 집중곤란(Concentration disorder), 평소보다 자극(눈부심, 소음)에 민감 (Sensitive to), 수면곤란(Sleep disorder), 평소보다 땀이 많이 남(진땀)(Sweating), 우울증(Depression) 및 기억단절(Remember interruptions)의 14개 항목에 하기 숙취 자각 증상 설문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각각 나타내었다.
[숙취 자각 증상 설문 점수 기준]
5 : 증상이 심해서 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 - 매우 심함
4 : 생활에 다소 지장을 받는다 - 대체로 심함
3 : 생활에 지장은 없으나 평소의 신체상태는 아니다 - 약간 심함
2 : 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다 - 매우 약함
1 : 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다 - 거의 없음
항목
(150min after drinking alcohol)
Group
Control
(n=15)
HO-S1
(n=15)
Reduction
rate(%)
Thirst 2.80±0.83 2.33±1.07 16.79
Sleepiness 3.00±0.82 2.33±0.94 22.33
Headache 2.07±1.29 1.67±0.94 19.32
Dizziness 2.47±1.02 1.87±1.15 24.29
Nausea 1.40±0.61 1.27±0.57 9.29
Weakness 2.07±0.93 1.47±0.72 28.99
Stomach pain 1.13±0.50 1.00±0.00 11.50
Diarrhea 1.00±0.00 1.00±0.00 0.00
Concentration disorder 2.40±1.14 1.73±0.93 27.92
Sensitive to 1.87±0.96 1.20±0.54 35.83
Sleep disorder 1.53±0.81 1.07±0.25 30.07
Sweating 1.27±0.77 1.13±0.50 11.02
Depression 1.13±0.50 1.00±0.00 11.50
Remember interruptions 1.13±0.50 1.00±0.00 11.50
항목
(12hr after drinking alcohol)
Group
Control
(n=15)
HO-S1
(n=15)
Reduction
rate(%)
Thirst 1.60±0.71 1.20±0.40 25.00
Sleepiness 2.07±1.12 1.67±0.60 19.32
Headache 1.53±0.81 1.13±0.34 26.14
Diziness 1.47±0.72 1.13±0.34 23.13
Nausea 1.07±0.25 1.00±0.00 6.54
Weakness 1.47±0.81 1.20±0.40 18.37
Stomach pain 1.07±0.25 1.00±0.00 6.54
Diarrhea 1.33±0.60 1.20±0.40 9.77
Concentration disorder 1.47±0.81 1.13±0.34 23.13
Sensitive to 1.07±0.25 1.00±0.00 6.54
Sleep disorder 1.13±0.50 1.07±0.25 5.31
Sweating 1.20±0.40 1.00±0.00 16.67
Depression 1.00±0.00 1.00±0.00 0.00
Remember interruptions 1.00±0.00 1.00±0.00 0.00
표 5 및 표 6을 참조하면, 음주 후 150분에서 과도한 갈증(16.79%), 졸음(22.33%), 두통(19.32%), 어지러움(24.29%), 구토(9.29%), 무력감(28.99%), 복통(11.50%), 집중곤란(27.92%), 자극에 민감(35.83%), 수면곤란(30.07%), 진땀(11.02%), 우울증(11.50%) 및 기억단절(11.50%) 항목에서 감소하였고, 음주 후 12시간에서 과도한 갈증(25.00%), 졸음(19.32%), 두통(26.14%), 어지러움(23.13%), 구토(6.54%), 무력감(18.37%), 복통(6.54%), 설사(9.77%), 집중곤란(23.13%), 자극에 민감(6.54%), 수면곤란(5.31%) 및 진땀(16.67%) 항목에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및 건조 생강(건강)을 열수 추출한 추출물과, 추출 여액에 한외여과(ultra filtration)를 통해 고분자 물질을 분리한 추출 엑기스와, 여기에 아미노산 및 비타민을 혼합한 숙취 해소용 복합 추출물은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감소시켰고 ALDH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한외여과 시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와 ALDH 활성을 더욱 증가시켰고,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혼합한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ADH 및 ALDH 활성을 증가시켜 숙취 해소 효과가 극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체적용시험 결과에서도 숙취 해소 음료를 복용한 군에서 갈증, 졸음, 두통, 어지러움, 구토, 무력감, 복통, 집중곤란, 자극에 민감, 수면곤란, 진땀, 우울증 및 기억단절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갈화 20 내지 40 중량부, 감초 10 내지 20 중량부, 구기자 10 내지 20 중량부, 복령 5 내지 15 중량부, 가시오가피 5 내지 15 중량부, 황금 5 내지 15 중량부, 창출 1 내지 10 중량부 및 건조 생강(건강) 1 내지 10 중량부에 천연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배의 물을 넣고 70 내지 90℃ 조건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추출액을 기공 크기 5 내지 30 ㎛의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의 여액을 기공 크기 1 내지 100 nm의 한외여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의 여액을 60℃ 이하에서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농축 후 비타민 및 아미노산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00064850A 2020-05-29 2020-05-29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50A KR102269936B1 (ko) 2020-05-29 2020-05-29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50A KR102269936B1 (ko) 2020-05-29 2020-05-29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936B1 true KR102269936B1 (ko) 2021-06-28

Family

ID=7660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50A KR102269936B1 (ko) 2020-05-29 2020-05-29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9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67A (ko) * 1999-08-30 2001-03-15 송병식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9548A (ko) * 2010-06-23 2011-12-29 유한대학산학협력단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3520A (ko) * 2011-06-30 2013-01-09 이홍발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50043985A (ko) * 2013-10-15 2015-04-23 유한회사 해원 건조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한방 음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67A (ko) * 1999-08-30 2001-03-15 송병식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9548A (ko) * 2010-06-23 2011-12-29 유한대학산학협력단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3520A (ko) * 2011-06-30 2013-01-09 이홍발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50043985A (ko) * 2013-10-15 2015-04-23 유한회사 해원 건조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한방 음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4385A1 (en) Metabolic capacity enhan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a mammal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4247913A (zh) 一种保健米粉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952188B1 (ko)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KR102269936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9172626A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6270987A (zh) 具有美白、抗氧化、祛黄褐斑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608456B1 (ko)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73237B1 (ko) 숙취해소용 복합식물추출물 (nfp-adh003)
KR20170029441A (ko) 음주 후 알콜 분해 효소와 간기능 효소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조성물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930026B1 (ko)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10037020A (ko) 양잠산물과 한약재를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CN114631632B (zh)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