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026B1 -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 Google Patents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026B1
KR101930026B1 KR1020170075905A KR20170075905A KR101930026B1 KR 101930026 B1 KR101930026 B1 KR 101930026B1 KR 1020170075905 A KR1020170075905 A KR 1020170075905A KR 20170075905 A KR20170075905 A KR 20170075905A KR 101930026 B1 KR101930026 B1 KR 10193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arlic
purified water
garlic
manufacturing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덕
박미선
김도원
지희주
신정혜
강민정
신지현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새남해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남해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새남해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70075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마늘 농축액과 천연약재로부터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할 때, 흑마늘과 생약제를 혼합하여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 즉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간보호 활성이 있는 생약재와 흑마늘을 혼합한 음료를 제조하는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garlic beverage having effect to improve liver function }
본 발명은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흑마늘과 생약제를 혼합하여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 즉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간보호 활성이 있는 생약재와 흑마늘을 혼합한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합과식물 중 가장 매운 맛과 가장 특유한 향취를 가지고 있는 마늘은 지난 수천 년 동안 음식물 양념재료로, 건강식품으로 많은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500년대에 최고의 강장식품으로 애용되었고, 그리스시대에서는 히포크라테스가 감염된 폐에 생마늘을 처방할 정도로 약리적 효과가 높은 식물로 취급하였다.
이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건강식품으로서 선호하는 마늘은 기본적으로 알린(alliin), 알리신(allicin)과 관련된 황화합물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구체적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이 물질들은 각종 병원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와 혈관내 혈전형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및 암세포의 이동 억제 효과, 면역 증진 효과 등 많은 유익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건강식품으로 애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간은 동물의 주요 생체기관중 하나로 해독작용, 단백질의 합성, 글리코겐과 같은 양분의 저장, 지방의 대사, 담즙과 요소의 생성 및 적혈구의 분해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생화학적 작용을 조절하면서 평상시 건강의 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간은 우리 체내에서 독소로 인식될 수 있는 각종 약물이나 술, 기타 독성물질을 분해, 대사하여 배설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소변이나 담즙을 통해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이러한 해독작용이 저하되어 약물, 술, 독성물질에 의한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간은 중요한 면역기관이며 동시에 체내의 살균작용을 담당한다. 대장 점막을 통해서 혈액에 흡수되어 몸으로 들어간 균은 간을 거치면서 쿠퍼 세포라는 대식작용(균을 잡아먹는 기능)을 하는 세포에 의해 다 죽기 때문에 약 1% 미만의 세균만이 무사히 간을 통과해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간경변증 환자에게서는 이 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세균에 감염되기 쉬우며 대표적인 예가 여름철에 익히지 않은 어패류를 먹고 발생하는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특히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평소 간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생활습관과 올바른 식생활, 적절한 운동을 통해 간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으로 인하여 이러한 건강관리를 위한 균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간의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식품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 과거로부터 각종 생약재를 추출한 음료는 간 기능의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해서 섭취되어 왔고, 한방의 각종 처방에도 활용이 되어 왔다.
이중에서도, 간 질환에 이용된 생약재 중 갈근(Pueraria radix)은 콩과의 덩굴나무인 칡의 인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 한방에서는 고혈압, 협심증, 관상동맥 경화증, 당뇨병 완화, 혈압강하, 지방산화 억제, 항염, 해독, 항산화 작용, 숙취해소 효과 등이 있으며, 보간작용이 있고,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주로 활용되어 왔다. 주요성분으로는 이소플라본인 다이자인(daidzein), 다이진(daidzin), 제니스틴(genistein), 포모네틴(formonetin)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성분은 진정작용, 하열작용 및 혈관이완작용을 가진다.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국내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며, 산겨릅나무, 산저릅나무, 봉목, 산청목으로 불린다. 독성이 없어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재로 맛이 담백하며, 청혈제와 이수제로도 사용된다. 잎, 가지, 줄기, 뿌리 등을 약으로 쓰는데,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간에 쌓인 독을 해독하여 간세포를 살리는 효능이 있어 간경화증, 간염, 간암 등의 간 치료약으로 널리 사용된다. 기타 기능으로 지방분해작용, 이뇨작용, 신경안정작용, 청혈작용, 제독작용 등이 있다. 벌나무의 유효성분은 catechin 등의 페놀성화합물, methyl gallate 4-D-glucopyranosied, -sitosterol 등이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그 열매는 지구자, 뿌리는 지구근, 잎은 지구엽, 나무속의 즙액은 지구목즙, 나무껍질은 지구목피라 하여 모두 약용이 가능하다. 헛개나무 열매의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여 심경 비경에 작용하고 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해독, 구토, 배뇨작용에 효과가 있다. 헛개나무의 달인 물은 향이 은은하고 입안에 향기로운 단맛이 남아 있는데, 그 물과 헛개열매의 즙은 간의 기능을 높이고, 해독능력이 뛰어나며, 알코올 분해능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음료로 대중의 인기를 얻고 있다.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울금속(Curcuma)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열대아시아를 원산으로 하며,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지역의 고온다습한 곳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하고 있으며, 오렌지색의 뿌리를 주로식용, 약용, 천연염료로 사용하고 있다. 울금의 종류는 3070 여종이 알려지고 있는데, 성질은 맵고 온하여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울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는 커큐민(curcumin)과 그 유도체인 demethoxycurcumin 및 bisdemethoxycurcumin이 알려져 있다. 울금의 약리효과로는 살균, 해독, 항염, 간기능 개선, 항암 및 항산화 효능 등이 규명되어 있다.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은 해풍과 풍부한 일조량 등으로 쑥 재배에 적합한 기후조건을 갖춘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되고 있는 황해쑥의 일종으로 산림청 품종보호등록(산림청 품종보호 제 42호, 2013.09.27)이 된 지역고유의 자원이다. 섬애약쑥은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과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jaceosidin과 eupatilin이 국내의 다른 약쑥에 비해 풍부하며, 섬애약쑥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은 높은 라디칼 소거 및 과산화지질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흑마늘(aged black garlic)은 생마늘을 일정한 온도와 습도 하에서 평균 12일정도를 숙성발효시켜 마늘 특유의 강한 맛과 자극적인 냄새를 제거하고 단맛과 신맛이 조화를 이루며, 젤리에 가까운 물성을 가지며, 주요 성분으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 인해 흑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항산화력이 매우 높으며, 생마늘에 비해 유효물질은 S-allyl cysteine(SAC)의 함량이 증가되는 특성을 가진다.
여러 생약재를 이용한 간보호 활성을 가지는 추출음료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기존의 발명으로는 등록특허 10-1482719호에서는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2:1:0.5의 비율로 혼합하여 거부감이 없고,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 10-0920671호에서는 홍삼, 갈근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중량의 15~25부피배의 0.7~3%의 초산을 넣고 80~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홍삼 조추출물과 비타민 C, B1, B2 및 B6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숙취해소 및 간장과 신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10-0976816호)에서는 헛개나무, 벌나무, 오리나무, 꾸지뽕나무, 조릿대 및 개머루덩굴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80~120에서 1~10시간 추출한 후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청호, 가래나무껍질, 오미자, 치자를 주원료로 하여 청호는 50에서 3시간 추출하고, 나머지 재료는 50의 저온에서 8시간 추출한 후 이들을 혼합한 후 벌꿀을 가하여 완성하는 시력향상 및 간 기능 보호에 효과가 있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한 특허(공개특허 10-2014-0134949)가 있다.
이에 항산화활성과 더불어 간보호 활성이 있는 생약재와 흑마늘을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공정의 개발에 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숙성된 흑마늘과 생약재를 정해진 배합량으로 주입하여 숙성 흑마늘이 포함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와 같은 원재료부터 진액을 추출하는 데 있어서 최적의 시간과 조건으로 열수 순환추출하는 제조공법 및 조건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숙성 흑마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정제수의 사용량이 많은 만큼 사용되는 정제수의 양 및 원재료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재료 및 소요 에너지 등의 소모의 낭비를 막아서 효율적인 제조공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는, 상기 원수를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1차 여과 단계; 상기 1차 여과된 정수를 다시 1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2차 여과 단계; 상기 2차 여과 단계를 거친 정수를 역삼투막 과정을 통해서 이물질과 이온성분을 제거하여 정제수를 제조하는 역삼투 여과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증숙공정은 숙성장치 내에 소정의 무게 또는 부피 단위로 장입된 원재료 마늘을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팀과 열을 30 내지 60분 동안 가하는 공정을 통해서 실시된다.
상기 조건은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및 마늘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서 여러 시험을 통해서 도출된 최적의 증숙공정을 위한 조건이다.
다음으로, 천연약재 증숙단계에서, 2단계에 걸친 증숙단계를 거친 후에 건조과정을 거친 후, 다시 천연약재 증숙단계와 건조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된다.
한편,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는,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와 함께 믹싱하여 추출기에서 90내지 95℃로 1 내지 2시간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상기 1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84 내지 86℃에서 22 내지 24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90내지 95℃로 추출기를 이용해서 1 내지 2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3차추출단계; 상기 3차 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 추출액을 농축기를 이용해서 55 내지 65℃로 2~4시간동안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거친 후에, 천연약재 농축액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천연약재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단계까지 마친 천연약재 농축액과 흑마늘 농축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조에 투입한 후,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순간고온 살균기를 이용해서 살균하는 순간고온살균과정을 거친 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여과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고형분 제거를 위한 여과단계를 거치고 나면, 92 내지95℃의 온도에서 개별용기에 핫필링 충진한 후, 1~4℃의 온도에서 저온상태로 보관하는 포장단계를 통해서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법에 의할 때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및 마늘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서 여러 시험을 통해서 도출된 최적의 증숙공정을 위한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공법을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이들 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수율을 높이며, 이들 생약재 혼합물의 맛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는 생약재 조성물과 흑마늘 추출액을 혼합한 후 감미와 비타민 C의 공급을 위하여 유자청 또는/함께 꿀을 첨가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생약재의 농도에 따른 처리 세포별 세포 생존율에 관한 그래프들이다.
도 3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NO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ROS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HepG2 세포에서 IL-8 분비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HepG2 세포에서 ALT 및 AST 활성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을 설명하면, 흑마늘 농축액과 천연약재로부터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공정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는, 상기 원수를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1차 여과 단계; 상기 1차 여과된 정수를 다시 1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2차 여과 단계; 상기 2차 여과 단계를 거친 정수를 역삼투막 과정을 통해서 이물질과 이온성분을 제거하여 정제수를 제조하는 역삼투 여과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수는 먹는 물 기준에 적합한 상수원에서 채취한 후, 원수 저장탱크에 보관한 후 2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통한 백필터 여과과정을 거친 후, 1차 여과 단계와, 2차 여과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역삼투막 여과 단계를 거치는 과정을 거쳐서 사용에 적합한 정제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는 원수의 상태에 따라서 수회 반복실시하여 정제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는 정제수의 최종 수질상태에 관한 측정 또는 검사를 통해서 이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반복실시 여부는 검사자에 의한 수동 실시 또는 수질측정 센서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반복실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에 있어서, 마늘 원재료를 숙성장치에 장입한 후, 숙성장치를 가동하여서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팀과 열을 30 내지 60분 동안 가하여 마늘의 매운맛을 제거하는 스팀처리 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우선 원재료인 마늘을 깐마늘 또는 통마늘 상태로 입고되고 육안 검사 등을 통해서 사용가능한 마늘 원재료를 선별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선별된 마늘 원재료는 수세 등의 세척과정을 거친 후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증숙공정은 숙성장치 내에 소정의 무게 또는 부피 단위로 장입된 원재료 마늘을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팀과 열을 30 내지 60분 동안 가하는 공정을 통해서 실시된다.
상기 조건은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및 마늘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서 여러 시험을 통해서 도출된 최적의 증숙공정을 위한 조건이다.
다음으로, 천연약재 증숙단계에서, 2단계에 걸친 증숙단계 거친 후에 건조과정을 거친 후, 다시 천연약재 증숙단계와 건조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흑마늘을 주성분으로 하고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에 포함되는 천연약재의 재료에 있어서, 수세하여 준비된 소정의 비율로 구성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천연약재들은 남해 마늘연구소에서 문헌조사와 한의사의 자문을 통해서 간보호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그 재료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추출에 적절한 용매를 선정하고자 물과 30% 주정으로 80℃에서 3시간 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그 분말을 다시 일정농도로 정제수에 녹여서 이화학적 특성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여 여러 조건에 대해서 실험한 후 선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조공법으로 만들어진 음료에 포함되는 성분은 다음과 같다.
내용량을 80ml를 기준으로 할때, 고형분 8%와 정제수를 포함한 흑마늘 추출액은 78% 그리고 천연약재들(벌나무, 섬애약쑥, 갈근, 민들레)의 혼합 추출액이 10% 그리고 벌꿀이 7%, 유자농축액(35brix)이 5%의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이상적인 음료의 실시 예를 제시하는 것이고 그 비율은 제조공정에 따른 오차범위와, 맛을 유지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의 오차범위 등은 상식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약재들의 혼합 추출액은 무게함량 기준으로 할때, 벌나무 33%, 섬애약쑥 17%, 갈근 33% 그리고 민들레 1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 중량이 3.6kg일때 정제수를 32L를 더해서 10배수로 희석시켜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공정에서 추출온도는 90℃정도에서 12 내지 16시간 지속하고, 105℃ 정도에서 4시간 가량 후살균하는 공정을 2회 반복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는,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와 함께 믹싱하여 추출기에서 90내지 95℃로 1 내지 2시간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상기 1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84 내지 86℃에서 22 내지 24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90내지 95℃로 추출기를 이용해서 1 내지 2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3차추출단계; 상기 3차 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 추출액을 농축기를 이용해서 55 내지 65℃로 2~4시간동안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거친 후에, 천연약재 농축액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천연약재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단계까지 마친 천연약재 농축액과 흑마늘 농축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조에 투입한 후,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순간고온 살균기를 이용해서 살균하는 순간고온살균과정을 거친 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여과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고형분 제거를 위한 여과단계를 거치고 나면, 92 내지95℃의 온도에서 개별용기에 핫필링 충진한 후, 1~4℃의 온도에서 저온상태로 보관하는 포장단계를 통해서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숙성 흑마늘 진액만의 생산뿐만 아니라 이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천연약재와 같은 기타 첨가물이 포함된 음료의 생산이 병행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각 장치 및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원격으로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에 의해 제조된 음료의 효과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항산화활성과 더불어 간보호 활성이 있는 생약재와 흑마늘을 혼합한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는 갈근, 벌나무, 민들레, 약쑥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며, 갈근과 벌나무는 증숙공정을 민들레와 약쑥은 덖음 공정을 거친 것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추출한 조성물을 먼저 제조하고, 일정 농도로 추출한 흑마늘 추출액과 혼합한 음료이다.
이러한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용이하게 이들 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수율을 높이며, 이들 생약재 혼합물의 맛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는 생약재 조성물과 흑마늘 추출액을 혼합한 후 감미와 비타민 C의 공급을 위하여 유자청 또는/함께 꿀을 첨가한 음료이다.
실시예 1] 간보호 활성이 있는 소재의 적정 추출조건 설정
문헌조사와 한의사의 자문을 통하여 간보호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시료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추출에 적절한 용매를 선정하고자 물과 30% 주정으로 80에서 3시간 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을 동결건조 하여 그 분말을 다시 일정농도로 정제수에 녹여 이화학적 특성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1] 추출수율
각 시료의 추출수율은 추출 전 시료의 무게 대비 건조 완료된 추출물의 무게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모든 시료에서 물 추출물에 비해 30% 주정 추출물의 수율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벌나무의 경우 시료 중 가장 수율이 낮아 물 추출물에서는 4.29%, 30% 주정 추출물은 4.93% 였다. 반면 민들레는 물 추출물의 수율은 16.82인데 반해 30% 주정 추출물의 수율은 21.12%로 시료 중 가장 높았고, 수율의 차이도 가장 컸다.
추출용매를 달리한 생약재의 추출수율(%)
추출용매 시료
갈근 벌나무 헛개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
12.34 4.29 12.46 16.82 8.21 16.92
30% 주정 18.67 4.93 17.21 21.12 5.39 17.80
실험예 1-2] 가용성 고형분 함량
각 시료를 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의 일부를 취하여 자동굴절당도계(PR-201 a, Atago, Tokyo, Japan)로 3회 반복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물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0.63~3.40 brix 인데 반해 30% 주정 추출물은 11.70~14.67 brix로 최고 10배 이상 차이가 있었다.
추출용매를 달리한 생약재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brix)
추출용매 시료
갈근 벌나무 헛개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
3.40 0.63 1.63 1.20 1.60 3.20
30% 주정 14.67 14.27 12.13 11.70 14.50 14.37
실험예 1-3]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Folin-Ciocalteu법에 따라 추출된 시료를 물에 재용해하여 동일하게 500 mg/kg의 농도로 만든 시료액 2 mL와 25% Na2CO3용액 1 mL을 혼합하여 3분간 정치시킨 다음 2 N의 Folin-Ciocalteu phenol 시약 1 mL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30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켜 발색시켰다. 발색된 청색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시료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물 추출물 보다는 30% 주정 추출물에서 그 함량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가장 낮은 헛개열매 추출물의 경우 물 추출물과 3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12.06 mg/g과 16.64 mg/g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함량의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가장 함량이 높은 벌나무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93.17 mg/g, 30% 주정 추출물에서는 142.19 mg/g으로 약 1.5배 더 높은 함량이었다. 물 추출물에서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벌나무 추출물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섬애약쑥 추출물, 간근 추출물의 순이었고, 이는 30% 주정 추출물에서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추출용매를 달리한 생약재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 (mg/g)
추출용매 시료
갈근 벌나무 헛개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
71.73 93.17 12.06 29.51 13.45 89.17
30% 주정 79.61 142.19 16.64 40.74 16.73 96.70
실험예 1-4]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된 시료를 물에 재용해하여 동일하게 10 mg/g의 농도로 만든 시료액 50 L에 1 N NaOH 50 L, diethylene glycol 200 L를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고 37에서 5분간 정치한 다음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utin(Sigma Co., St. Louis, USA)을 표준물질로 하여 얻은 표준검량선으로부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제조한 생약재 추출물 중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그 절대 값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에 비해 월등히 낮았으나 경향은 동일하여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갈근, 벌나무, 섬애약쑥 추출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민들레의 경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총 페놀화합물 함량에 비해 물추출물은 약 48%, 30% 주정 추출물은 87%로 여타 시료에 비해 상대적인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섬애약쑥에서도 동일하여 물 추출물과 30% 주정 추출물 모두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대비 약 77%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헛개나무열매와 벌나무의 30% 주정 추출물의 경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총 페놀화합물 대비 각각 13%와 6% 정도에 불과하였다.
추출용매를 달리한 생약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 (mg/g)
추출용매 시료
갈근 벌나무 헛개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
16.80 14.92 0.10 14.29 0.06 68.29
30% 주정 19.23 18.21 1.04 35.63 0.93 74.36
실험예 1-5] DPPH 라디칼 소거활성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은 DPPH에 대한 전자공여 활성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라색의 시약은 시료의 항산화활성이 높을수록 탈색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5 mg/100 mL의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한 DPPH 용액 100 L와 시료 100 L를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비로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표 5).
물 추출물의 경우 벌나무 추출물에서 가장 활성이 높아 실험된 가장 낮은 농도인 125 g/g 농도에서도 72.37%였고, 다음으로 활성이 높은 섬애약쑥 추출물의 활성은 62.91%로 다음으로 활성이 높은 민들레 추출물(21.98%)에 비해 3배 이상 활성이 높았다. 활성이 낮았던 시료들의 경우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농도에서도 활성이 높았던 벌나무와 섬애약쑥 추출물은 최고 농도인 2000 g/g 농도에서 활성이 각각 68.71%와 70.68%로 시료의 농도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30% 주정 추출물에서도 동일하였으며, 민들레 추출물의 경우 500 g/g 이상의 농도에서는 활성이 우수한 섬애약쑥 추출물에 비해 활성이 유사하거나 더 높았다.
추출용매를 달리한 생약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추출용매 시료 시료의 농도(μg/g)
125 250 500 1000 2000
갈근 18.59 30.68 45.34 64.95 68.71
벌나무 72.37 71.66 74.45 74.94 77.96
헛개열매 7.33 11.97 16.27 26.94 44.76
민들레 21.98 37.62 53.29 67.57 71.85
울금 1.38 1.31 2.19 12.19 22.72
섬애약쑥 62.91 67.13 68.05 68.59 70.68
30% 주정 갈근 17.52 27.56 45.85 62.09 68.65
벌나무 77.28 78.44 79.78 69.40 90.65
헛개열매 14.13 19.02 28.94 56.31 62.41
민들레 31.74 53.67 70.20 69.83 76.59
울금 - 3.17 4.14 29.15 40.44
섬애약쑥 67.53 70.01 70.58 69.16 73.06
도 2는 생약재의 농도에 따른 처리 세포별 세포 생존율에 관한 그래프들이다. 도 3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NO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ROS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HepG2 세포에서 IL-8 분비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HepG2 세포에서 ALT 및 AST 활성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험예 1-6] Raw264.7 대식 세포와 HepG2 간암 세포 증식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와 인간 간암 세포인 HepG2 세포는 10%(v/v)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 (100 U/mL, streptomycin (100 g/mL)을 첨가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로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 LPS를 통한 간세포 독성 유도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추출물의 독성을 확인하였다. 96 well plate에 세포농도 2.5x105cells/mL로 분주한 다음 세포부착을 위해 24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의 cytotoxicity를 확인하였다. 시료의 세포에 대한 독성은 cell counting kit-8 (CCK-8, Dojindo, Kumamot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시료 자체의 독성으로 인한 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시료의 처리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료액을 1~8 mg/mL의 고농도와 100~500 g/mL의 저농도로 각각 Raw 264.7 세포와 HepG2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고농도에서는 두 세포 모두에서 벌나무와 섬애약쑥의 독성이 확인되었으며, 저농도에서는 400 μg/mL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6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여 그 이하의 농도에서 이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7]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 억제 활성평가
도 3을 참조하면,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O의 양은 Giustarini 등(2008)의 방법을 응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를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으로 측정하였다. 그리스 시약(0.5%의 설파닐아미드, 2.5%의 인산 및 0.5%의 나프틸에틸렌아민)은 아질산염과 화학 반응하여 보라색의 아조염을 형성하고 이것은 NO의 농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아조염의 농도로부터 아질산염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NO 생성정도를 비교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시료(100, 150, 200, 400 g/mL)를 각 well에 처리한 다음, 30분 후에 LPS 1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층액 중 100 μL를 취해 그리스 시약 100 μL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 (Epoch, Biotec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생성 억제 활성은 LPS 단독 처리군 대비 시료 처리군의 NO 생성량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활성화되면 세포는 NO라는 염증성 chemokine이나 cytokine의 발현에 변화를 일으켜 일련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염증을 유발한다. 세포 내 염증유발인자의 자극으로 iNOS 및 COX-2의 발현이 증가하면 이는 염증인자인 NO의 생성을 유발하며 생성된 NO는 신경독성, 신호전달 및 체내방어 등의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암의 유발과 관련하여 병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염증반응 부위에서 NO의 과다발현은 많은 염증과 자가 면역 질환의 매개물질로 작용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NO 생성 억제능이 있는 시료는 간장 질환의 초기 증상인 염증의 유발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이 진전되어 발생되는 간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1차 선발된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NO 생성억제능을 확인한 결과는 도 3과 같으며, 벌나무, 민들레, 섬애약쑥 및 갈근의 순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8] DCFH-DA에 의한 intracellular ROS 측정
도 4를 참조하면, Intracellular ROS 측정은 intracellular ROS assay kit (Cell biolabs, Arions,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 well black plate에 5x104 cell/well의 Raw 264.7 cell을 black plate에 분주한 후 배양하여 세포를 well에 부착시켜 serum free D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PBS (pH 7.4)로 3회 세척한 다음 1X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를 배지에 100 L 첨가하여 37, 5% CO2에서 1시간 배양한 후 또 다시 PBS로 3회 씻어냈다. Lysis buffer 10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VICTOR3 Multilabel Plate Reader, PerkinElmer life and analytical sciences, Shelton, CT, USA)를 이용하여 excitation 485 nm, emisssion 535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LPS 단독 처리군과 시료 처리군에 대한 ROS 생성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DA)는 세포막을 통해 확산되며 세포 내 esterase에 의해 효소적으로 가수분해 되어 비형광성 DCF-H가 되며, 세포 내 ROS가 존재할 경우 매우 빠르게 높은 형광을 띈 DCF로 산화된다. DCFH-DA를 이용하여 세포 내 ROS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섬애약쑥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 대조군 대비 ROS의 생성은 벌나무 추출물 처리시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민들레 추출물, 섬애약쑥 및 갈근의 순이었다. 갈근은 시료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섬애약쑥의 경우 300 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8] Cytokines (IL-8) 생성 측정
도 5를 참조하면, HepG2 cells을 24 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부착시킨 후 FBS를 뺀 DMEM 배지로 18시간 배양하였다. 섬애약쑥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7, 5% CO2에서 1시간 배양한 후 1 μg/mL의 LPS를 처리하여 다시 18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 배양액을 수거하여 실험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IL-8의 생성양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nti-mouse IL-8로 precoating된 96 well plate에 배양액 50 μL 혹은 standard reagent를 넣은 후 biotinlylated antibody reagent 50 μL씩을 첨가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Washing buffer로 5회 세척한 후, 희석된 streptavidin-HRP concentrate를 100 L 첨가하여 30분 간 반응 시킨 다음 plate를 세척하였다. 여기에 TMB substrate 100 L를 첨가하여, 빛을 차단한 조건 하에서 30분 간 반응 시킨 후 stop solution 100 L를 처리하고 microplate reader (Epoch)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550 nm 값으로 보정하였다.
알코올 및 C형 간염바이러스로 인한 간질환이 있는 사람의 혈청에서 IL-8이 고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이는 간의 염증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IL-8 수준의 감소는 간질환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선발된 갈근, 벌나무와 섬애약쑥 모두 200 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조군 대비 IL-8의 분비를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실험예 1-9] ALT와 AST 활성 측정
도 6을 참조하면, LPS 처리를 통한 간세포 독성 유도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시료를 처리한 후 배양액을 취해 배양액 중에 유리된 alanine transaminase (ALT) 및 aspartate transaminase (AST)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ALT와 AST의 활성은 ALT, AST 측정용 시액(Asan pharmaceutical Co., Seoul, Kore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LT 및 AST 활성은 기질액인 L-aspartic acid 및 DL-alanine 1 mL에 배양액 0.2 mL를 가해 잘 혼합한 후 37에서 AST는 60분, ALT는 30분간 항온하였다. 정색시약 1 mL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보관한 후 0.4 N NaOH를 10 mL 첨가하여 10분간 정치하고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T 활성은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Karmen unit으로 나타내었다. ALT와 AST의 활성 비교를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활성을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간세포 손상을 검사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ALT, AST와 같은 효소의 활성도를 검사하는 것인데, 이들 효소의 활성치 증가는 간세포의 장애정도와 비교적 상관성과 민감도가 높다. ALT는 알라닌의 아미노기를 -케토글루타르산에 전달하여 피루브산과 글루탐산 생성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간담도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 주로 측정되며, AST는 L-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기를 -케토글루타르산으로 전달하여 옥살로아세트산과 L-글루탐산을 생성하는 가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간염, 심근경색 등의 진단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법에 의할 때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및 마늘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서 여러 시험을 통해서 도출된 최적의 증숙공정을 위한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공법을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이들 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수율을 높이며, 이들 생약재 혼합물의 맛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는 생약재 조성물과 흑마늘 추출액을 혼합한 후 감미와 비타민 C의 공급을 위하여 유자청 또는/함께 꿀을 첨가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도면에 부호없음

Claims (8)

  1. 흑마늘 농축액과 천연약재로부터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 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는,
    상기 원수를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1차 여과 단계;
    상기 1차 여과된 정수를 다시 1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2차 여과 단계;
    상기 2차 여과 단계를 거친 정수를 역삼투막 과정을 통해서 이물질과 이온성분을 제거하여 정제수를 제조하는 역삼투 여과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에 있어서,
    마늘 원재료를 숙성장치에 장입한 후, 숙성장치를 가동하여서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팀과 열을 30 내지 60분 동안 가하여 마늘의 매운맛을 제거하는 스팀처리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천연약재 증숙단계에서,
    2단계에 걸친 증숙단계 거친 후에 건조과정을 거친 후, 다시 천연약재 증숙단계와 건조과정을 2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는,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와 함께 믹싱하여 추출기에서 90내지 95℃로 1 내지 2시간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상기 1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84 내지 86℃에서 22 내지 24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90내지 95℃로 추출기를 이용해서 1 내지 2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3차추출단계;
    상기 3차 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 추출액을 농축기를 이용해서 55 내지 65℃로 2~4시간동안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거친 후에,
    천연약재 농축액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천연약재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후에,
    흑마늘 농축액을 2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흑마늘 농축액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천연약재 농축액과 흑마늘 농축액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후,
    순간고온 살균기를 이용해서 살균하는 순간고온살균과정을 거친 후, 5 마이크로미터(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여과단계를 거친 후, 92 내지95℃의 온도에서 개별용기에 핫필링 충진한 후, 1~4℃의 온도에서 저온상태로 보관하는 포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KR1020170075905A 2017-06-15 2017-06-15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KR10193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05A KR101930026B1 (ko) 2017-06-15 2017-06-15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05A KR101930026B1 (ko) 2017-06-15 2017-06-15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026B1 true KR101930026B1 (ko) 2018-12-17

Family

ID=6500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05A KR101930026B1 (ko) 2017-06-15 2017-06-15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43A (ko) * 2018-12-27 2020-07-07 오종찬 생강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50B1 (ko) 2010-06-01 2010-07-20 새남해농업협동조합 숙성 흑마늘진액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50B1 (ko) 2010-06-01 2010-07-20 새남해농업협동조합 숙성 흑마늘진액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43A (ko) * 2018-12-27 2020-07-07 오종찬 생강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199966B1 (ko) * 2018-12-27 2021-01-07 오종찬 생강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meida et 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orinda citrifolia (noni): A review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JP6446162B1 (ja)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KR101845388B1 (ko)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930026B1 (ko)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KR100391819B1 (ko)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859324B1 (ko)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101508726B1 (ko) 황기 및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간장 제조방법
CA2637349C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04255B1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음료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101752547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생강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00120296A (ko)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428525B1 (ko) 은행잎추출물, 홍삼농축액 및 해안소나무껍질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249253B1 (ko) 오자, 오가피, 야관문 및 계피를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