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144B1 -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 Google Patents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144B1
KR101405144B1 KR1020120024350A KR20120024350A KR101405144B1 KR 101405144 B1 KR101405144 B1 KR 101405144B1 KR 1020120024350 A KR1020120024350 A KR 1020120024350A KR 20120024350 A KR20120024350 A KR 20120024350A KR 101405144 B1 KR101405144 B1 KR 10140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seases
present
vascular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039A (ko
Inventor
한준섭
Original Assignee
한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섭 filed Critical 한준섭
Priority to KR102012002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1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8Ophiopogon (Lilytur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혈관 노폐물을 용해시켜 협신증, 뇌질환, 중풍, 고혈압 등의 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치료 가능하고, 암에 대한 대항력도 갖춘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혈관 노폐물을 제거하여 협신증, 뇌질환, 중풍, 고혈압 등 각종 혈관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각종 암에도 임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FOOD HEALTH NUTRITIONAL SUPPLEMENT FOR HELPING BLOOD VESSEL-RELATED DISEASE}
본 발명은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혈관내의 노폐물을 용해시켜 혈관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저개발국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들에서는 농산물 부족보다는 과잉생산이 더 문제가 될 정도이어서 인류는 빈곤으로부터 해방되었으며 의학 및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인해 생명연장의 시대에 진입하였다. 그러나 사회의 서구화 및 현대화가 진행되면서 운동부족, 스트레스증가, 과식, 동물성식품의 섭취증가 등으로 인해 심혈관질환, 암,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이의 예방이나 치료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가고 있다.
특히 1900년대의 통계에 의하면 심혈관질환은 폐렴과 인플루엔자, 결핵, 설사나 장염에 이어서 네번째 사인으로 전체 사망자의 8%에 지나지 않았으나 현재에 와서는 인류의 첫번째 사인으로 등장했다. 전세계적으로도 동맥경화로 인한 뇌색전, 중풍, 뇌출혈 등으로 불리는 뇌혈관계질환과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심장질환, 심장마비 등의 관상동맥질환등의 심혈관질환이 성인사망요인 1위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인의 사망원인에서도 혈관질환이 37%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대표적 성인병인 심혈관질환의 경우는 동물성식품 소비증가로 인한 고콜레스테롤증이 주범인데 고콜레스테롤증과 고지혈증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면 또 이로 인해 당뇨, 고혈압, 비만, 치매 등과 같은 기타 성인병도 유발한다는 사실에 그 심각성이 있다.
사회의 현대화와 더불어 심혈관질환 및 기타 성인병의 사전예방의 중요성이 갈수록 더하는데 이를 위한 일차적 방법으로는 음식물의 고른 섭취를 통한 균형 잡힌 영양공급이다. 각종 음식물에는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 및 영양공급원 이외에도 질병을 막아주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필수성분들이 들어있어 음식물의 고른 섭취만으로도 성인병 예방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성인병 예방성분으로는 비타민 계열 및 항산화제등이 대표적인데 예를 들어 오렌지의 비타민씨, 포도의 레스베라트롤(resveratol), 마늘이나 양파의 알리신(allicin), 토마토의 라이코펜(lycopene), 콩의 이소플라본(isoflavone), 배추의 플라보노이드, 감의 탄닌(tannin)등이 대표적인 예로 그 생리활성성분 및 기능이 알려져 있는 식품성분들이다. 그러나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성인병 예방성분의 양은 충분하지 않아 장기간 적정량을 균형적으로 섭취하기 어렵다는 데 그 한계가 있다.
심혈관질환 및 기타 성인병의 예방을 위한 이차적 방법으로는 약용식물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들 중 특정 성분을 추출하여 만든 각종 건강보조식품들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성인건강관련 보조식품들의 경우 특정 생리활성물질만을 단일성분으로 과다하게 함유하고 있어, 이미 노화가 진행되어 있는 성인이 장기간 복용시 영양의 불균형 및 간기능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성인의 경우 위 4대 성인병 중 어느 한 성인병의 발병은 바로 다른 성인병을 유발하므로 종합적인 신체기능의 유지 및 강화가 중요하다. 즉 면역기능 등의 신체방어기작이 약해지고 신체의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생리작용의 이상으로 인해 한 가지 성인병의 발병은 바로 신체대사의 불균형을 가져와서 관련 성인병의 발병을 초래하여 결국 합병중에 의한 사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성인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성인의 신체내에서 항상성을 보완해주는 효과를 가지는 여러 활성성분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특정 생리활성물질만을 단일성분으로 과다하게 함유하고 있는 여러 건강보조식품들을 과다 섭취하는 것보다는 복합생리활성물질들을 가지고 있는 약용식물 한 두 군을 선택하여 복용하는 것이 좋다. 즉 신체의 다양한 대사조절기능을 조절하는 여러 활성물질들을 한 두가지 약용식물군을 통해 함께 공급함으로써 종합적인 신체기능을 유지하는 게 성인건강의 주력점이라 하겠다.
특히, 성인병이나 암의 주된 원인인 혈관질환은 생활습관을 포함하여 섭취하는 음식, 운동과 더불어 광범위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지만 여전히 효율적인 혈관질환의 관리는 미비한 수준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혈관 노폐물을 용해시켜 협신증, 뇌질환, 중풍, 고혈압 등의 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치료 가능하고, 암에 대한 대항력도 갖춘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참빛나무 6 내지 8 중량%, 겨우살이 4 내지 6 중량%, 잔데 4 내지 6 중량%, 유근피 5 내지 7 중량%, 생강 5 내지 7 중량%, 닥나무 4 내지 6 중량%, 대파뿌리 5 내지 7 중량%, 갈근 10 내지 12 중량%, 헛개나무 5 내지 7 중량%, 오미자 10 내지 12 중량% 및 잔량으로서 양파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은 혈관 노폐물을 제거하여 협신증, 뇌질환, 중풍, 고혈압 등 각종 혈관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각종 암에도 임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은 혈관 노폐물을 용해시켜 협신증, 뇌질환, 중풍, 고혈압 등의 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치료 가능하고, 암에 대한 대항력도 갖춘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을 이루는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참빛나무(화살나무)는 각종 성인병에 좋고 항암효과가 뛰어나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약초나무이다. 한의서에는 참빛나무가 당뇨, 동맥경화, 혈액순환에 특효가 있다고 밝혀져 있다.
겨우살이(Mistletoe, Viscum album L., Loranthaceae)는 참나무, 소나무, 벚나무 등 여러 나무를 숙주로 하여 생장하는 반기생 식물로서, 유럽 각지에서 민간요법을 통해 고혈압, 동맥경화, 악성종양 등에 대한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동물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암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미 유럽과 국내의 일부 병원에서 암 치료의 목적으로 유럽산 겨우살이의 추출물을 임상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겨우살이 추출물 내에서 이러한 세포독성 및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데 역할을 하는 활성물질들로서 렉틴(lectin)들과 폴리펩티드인 비스코톡신(viscotoxin) 그리고 당류인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와 올리고 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 및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이 제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렉틴이 항암 및 면역증진 활성의 주된 성분으로 인정되어 가장 집중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한국산 겨우살이에 대한 연구도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어 한국산 겨우살이의 렉틴성분이 가지는 항종양, 면역증강 활성이 보고되었고, 그 주요 활성물질로서 특이성을 가지는 lectin 성분(KML-C)을 분리하기도 하였다.
잔데는 뱀독, 농약독, 중금속 독, 화학약품 등 온갖 독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으며 각종 독으로 인한 질병 예방에도 효험이 있는 식물이다.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인 유근피(ULMUS DAVIDIANA)는 물에 담갔을 때 발생하는 끈적끈적한 진액이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있는 유근피의 효능은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 한다고 되어있다. 또한 위궤양, 위염, 위하수 등 각종 위장질환에 잘 듣는다고 하였다. 유근피의 종래의 연구들은 면역억제제(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2475670000)나 식용 음료 등에 대한 사항이었으며 항종양, 항 염증 조성물로서 연구되고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의 약리효능에 관한 것으로는 생강 추출물의 DNA 손상억제작용, 종양억제 및 소염작용, 감기, 두통, 정신적 피로 등의 치료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체내 지질저하 효과, 항산화제로서의 작용 및 항균작용 등도 보고되고 있다.
한의학적으로도 생강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특히 근강을 찌거나 삶아서 건조한 건강으로 복용시 구풍, 소화제로서 심기를 통하고 양을 돋으며, 오장육부의 냉을 제거하는데 쓴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생강에는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위장의 운동을 촉진하는 성분이 있어 식욕을 좋게 하고 소화흡수를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생강에는 디아스타제와 단백질 분해효소가 들어 있어 생선회 등의 소화를 돕고 생강의 향미성분은 소화기관에서의 소화흡수를 돕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강이 담을 없애고 기를 내리며 구토를 그치게 하고 풍한과 종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천식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강의 방향신미성분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렇듯 생강은 한방 처방에 있어서도 사용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있다.
한편, 생강의 매운성분은 쇼가울, 진저롤, 진저론등의 소위 바닐릴 케톤류로 알려진 화합물에 속하는 화합물들이 주성분이다. 이 성분들은 구아이야콜의 유도체들로 볼 수 있는데, 여러가지 정유성분과 어우러져 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 등으 세균에 대한 살균력을 나타내며, 특히 진저롤과 쇼가올은 여러 가지 병원성 균에 대해 강한 살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응고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마늘이나 양파보다도 생강의 양이 증가할수록 효과가 높아지는데 특히 그 양이 적더라도 작용한다고 밝혀져 있다.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따뜻하고 비가 많은 지방일 일수록 성장이 좋고 양지쪽에서 잘 자란다.
닥나무는 그 인피섬유가 한지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약효를 갖고 있어 강장, 명복작용, 음위, 수종, 익기, 이뇨 등에 효과가 있고 풍을 제거하며, 피를 맑게 하고, 시력감퇴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요리에 향신료로 사용되는 채소이다. 민간에서는 양파가 스테미너 식품으로 정력을 좋게 하고 신진대사를 높여주며 장에서 소화효소의 작용을 돕고 모세혈관을 보호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할 뿐 아니라 혈압이나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콩팥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이뇨제로서 널리 애용되어 왔다.
양파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성분인 케르세틴(quercetin), 퀘르시트린(quercitrin), 루틴(rut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유황화합물인 아릴프로필디설파이드(ally propyl disulfide), 디알릴다이설파이드(diallyl disulfid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작용, 발암물질의 활성감소, 암세포의 효소저해작용, 항균작용, 중금속의 해독작용, 사염화탄소 독성의 완화작용, 과산화지질 생성의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4,000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물질 중 케르세틴(quercetin)은 식물성 식품에 함유된 양이나 섭취되는 양으로 보아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대표적 물질로서 인정받고 있다.
대파뿌리는 대파 흰뿌리라고도 하며, 총백이라고도 불리운다. 대파뿌리는 감기, 소화불량, 설사, 피부궤양, 부스럼, 임산부의 태동불안에도 사용되었으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냉한 체질을 개선하고, 신경통으로 인한 통증이나 어깨결림에도 효과가 있다.
갈근은 갈근(葛根)은 콩과 식물의 다년생 초본인 칡(Pueraria lobata Ohwi)의 주피를 제거하여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각 지역의 산에 자생하는 생약이다. 한의학에서는 칡의 여러 부위를 각각 분류하여 칡뿌리를 건조한 것을 갈근, 꽃은 갈화, 열매는 갈곡 또는 갈실, 잎은 갈엽, 덩굴은 갈만이라 부르며 질병의 증상 및 치료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에 해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한다(본초학, 148, 1995). 또한, 사상의학에서는 태음인의 약물로 분류하여 갈근해기탕, 열다한소탕, 갈근승기탕, 조각대황탕, 갈근부평탕 등의 기본처방에 사용한다(사상의학원론, 343-50, 1985).
갈근은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중약현대연구여임상응용, 626, 1994), 주로 이소플라보노이드와 관련한 성분의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갈근과 관련한 약리 작용으로는 항알콜중독(antidipsotropic) 작용(Proceeding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SA, 95(5):2198-203, 1998; Alcoholism: Clinical & Experimental Research 40(4):659-63, 1996), 간보호 작용(Planta Medica, 64(5):413-6, 1998), 숙취 억제 작용(Proceeding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SA, 94(5):1675-9, 1997), 항산화 작용(Chem. Pharm. Bull. 40(3):721-4, 1992)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평활근의 이완 작용, 심혈관계에서 관상동맥 확장 및 혈압 강하, 심박동 조절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강혈당 작용, 해열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중약현대연구여임상응용, 626-632, 1994), 노년 질환의 두통, 항강, 사지 감각 장애, 이롱, 당뇨 등에도 응용된다(항노쇠중약학, 186-187, 1989). 그러나, 현재까지 갈근 또는 갈화를 비만이나 고지혈증 등의 증상 완화에 직접적으로 이용한 보고는 없다.
감초는 널리 알려진 성분으로, 무엇보다 단맛을 가지고 있으며, 또 독에 대한 중화 및 해독 효과가 뛰어나고 항알레르기 작용,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크며, 동맥경화 예방, 간장기능 강화, 늑막염 및 폐결핵에 뚜렷한 치료 효과가 있고, 뇌하수체전엽기능 부전증, 에디슨 병, 유행성 간염, 기관지천식, 피부염(두드러기, 습진, 여드름, 주근깨 등), 학질, 동상, 손발이 튼 데 등 여러 질병에 뚜렷한 효과를 갖는 것이어서 식혜를 비롯하여 많은 식품의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헛개나무(Hon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지구자나무라고도 칭하며, 한국(강원과 황해 이남지역에 주로 분포), 일본, 중국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나무는 높이 10 ~17m 정도까지 성장하며, 수피(樹皮)는 흑회색이며 작은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잎은 길이 8~15cm이며 어긋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에 3개의 굵은 잎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주로 6~7월에 흰색 꽃이 양성화(兩性花)이다. 꽃은 취산꽃 차례로 달린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 모양이다. 열매의 3실에 각각 1개씩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다갈색이고 윤기가 있다.
또한, 헛개나무는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과경(果莖)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 맛을 한결 돋운다. 약학서 본초강목에는 헛개나무가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악기재 등으로 사용한다.
헛개나무는 본초강목에 맛이 달고 평온하며 독성이 없으며, 오장을 부드럽게 하고 윤활하게 하며 대변, 소변을 잘 보게 하며 가슴에 번열을 없애주고 갈증을 풀어주며 술독을 풀고, 구토증을 제거하며, 충독을 없애고 다섯 종류의 치질을 치유한다고 되어있다.
오미자(五味子, 학명: 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열매는 대부분 원형이고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신맛이 강하고 약용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시트럴(Citral), 사과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이용하고 있으며, 폐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 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약리조성물은 이상의 12종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성분을 모두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각 성분이 상, 하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미약하거나 없게 된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약리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당 건조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혈관질환이 예방 및 치료와 질환의 다양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열수 추출은 100-125℃ 온도에서 3-4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약리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용액을 주용매로 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액 또는 이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상 건조추출물을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약리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라면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 건강식품, 건강음료 등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를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약리 조성물
1. 원료분말 공정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참빛나무 6 내지 8 중량%, 겨우살이 4 내지 6 중량%, 잔데 4 내지 6 중량%, 유근피 5 내지 7 중량%, 생강 5 내지 7 중량%, 닥나무 4 내지 6 중량%, 대파뿌리 5 내지 7 중량%, 갈근 10 내지 12 중량%, 헛개나무 5 내지 7 중량%, 오미자 10 내지 12 중량% 및 잔량으로서 양파를 혼합기에 넣고 분쇄하였다.
〈제조예 2〉
3차 증류수 10ℓ가 담긴 플라스크에 제조예 1의 혼합물 400g을 투입한 후 100~125℃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포장기를 이용하여 120㏄단위로 포장하였다.
〈시험예 1〉
동맥경화 예방효과
뉴질랜드산 흰 토끼에게 고형사료에 콜레스테롤 1중량%만을 첨가한 대조군 식이,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약리조성물을 1중량%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하여 실험군당 6마리씩 12주 동안 사육하였다. 토끼는 자동 세척 장치가 부착된 케이지에 한 마리씩 넣어 사육하였다. 사료는 자유식으로 식수는 증류수를 병에 넣어 제한 없이 섭취하도록 하였고, 사육실의 온도는 20℃, 상대습도는 55%을 유지하고, 12시간 간격으로 조명을 조절하였다. 체중은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실험시작일과 첫주에 채혈을 하고, 그 다음 부터는 2주 간격으로 후이개 정맥에서 채혈하였다. 12주 사육후, 24시간 절식한 다음, 체중당 50mg의 소디움 펜토바비탈(sodium pentobabital)을 후이개 정맥에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헤파린 처리한 주사기로 심장에서 채혈한 후, 간장은 적출하여 0.9% 생리식염수에서 씻은 후 액체 질소에 담가 -7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3,000rpm에서 20분간 분리하여 혈장을 얻은 후 분석시까지 냉동 보관하였다.
<대동맥 지질침착정도>
대동맥의 지질 침착정도를 측정해 보기 위하여 토끼의 동맥판막에서 회장의 분기점까지 절단하여 인산완충액으로 동맥 피를 씻어낸 후 간의 지방농도를 측정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맥 균질액으로부터 지방을 추출하여 이들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지방(㎎/g)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총지방
대조군 17.43±0.42b 1.24±0.08c 70.10±4.20b
시약조성물 식이급여군 11.56±0.32c 1.62±0.29b 55.21±1.10d
{주} b 및 c 첨자는 같은 행내 평균은 유의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P< 0.05)
표 1로부터 대동맥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본 발명의 약리조성물을 식이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40% 가량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4주령의 노화촉진 쥐(SAM P-8) 200마리를 한국화학연구소에서 분양 받아 4주동안 Lab-chow 식이로 안정화한 다음, 본 발명의 약리조성물을 섭취하지 않는 군, 약리조성물을 섭취한 군으로 실험군당 50마리씩 무작위로 2그룹으로 나누어, 표 2의 조성대로 제조한 식이를 1년간 급여하였다.
SAM은 케이지당 5마리씩 넣었으며, 사료는 자유식으로, 식수는 증류수를 각 병에 담아 제한없이 섭취하도록 하였고, 사육실의 온도는 20℃, 상대습도는 55%을 유지하였으며 12시간 간격으로 라이트 사이클을 유지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매일 기록하였고, 체중은 1주일 마다 측정하였다. 동물은 실험 시작일과 1년 후에 희생전 12시간 동안 공복시킨 후, 데시케이터안에서 드라이아이스로 마취하고, 헤파린 처리한 주사기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다음, 분석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고, 간도 적출하여 -70℃에서 보관하였다.
<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농도 측정 및 동맥경화지수 계산
전체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 LDL-C 동맥경화지수
0개월 70.43±7.59 62.43±8.42 34.32±1.22 51.27±0.12 1.33±0.42
12개월대조군 172.62±28.75a 131±28.42a 53.25±19.23b 98.45±13.25 3.35±0.02
12개월 약리조성물군 108.07±22.12b 75.53±14.25ab 42.64±13.88ab 46.43±4.92 1.32±0.12
{주} a 및 b 첨자는 같은 행내 평균은 유의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P< 0.05)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약리조성물군의 급여에 따라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김치를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약 38% 가량 감소하여 콜레스테롤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다. HDL-콜레스테롤의 수준은 실험군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다.
혈장 중성지방의 농도는 약 26% 감소함을 관찰하였고, 그 효과는 유의적(p< 0.05)이었다. 동맥경화지수인 atherogenic index도 유의적으로 낮아 약리조성물을 섭취하지 않는 군에 비해 혈장지질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약리조성물은 혈중 지질저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참빛나무 6 내지 8 중량%, 겨우살이 4 내지 6 중량%, 잔데 4 내지 6 중량%, 유근피 5 내지 7 중량%, 생강 5 내지 7 중량%, 닥나무 4 내지 6 중량%, 대파뿌리 5 내지 7 중량%, 갈근 10 내지 12 중량%, 헛개나무 5 내지 7 중량%, 오미자 10 내지 12 중량% 및 잔량으로서 양파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2. 청구항 제1항의 상기 조성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3. 청구항 제2항의 열수추출물을 동결건조시켜 제조되는 분말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120024350A 2012-03-09 2012-03-09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140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350A KR101405144B1 (ko) 2012-03-09 2012-03-09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350A KR101405144B1 (ko) 2012-03-09 2012-03-09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039A KR20130103039A (ko) 2013-09-23
KR101405144B1 true KR101405144B1 (ko) 2014-06-13

Family

ID=4945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350A KR101405144B1 (ko) 2012-03-09 2012-03-09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930B1 (ko) * 2015-04-02 2016-11-14 유의순 겨우살이, 갈근, 및 산수유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155057B1 (ko) * 2019-04-05 2020-09-11 조권석 홍삼 및 산화질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568B1 (ko) * 1997-09-30 2000-04-01 차동천 동맥경화억제용 약제조성물
KR20100002239A (ko) * 2009-11-10 2010-01-06 양지화학 주식회사 생강나무 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39628B1 (ko) * 2009-11-20 2011-06-08 양지화학 주식회사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568B1 (ko) * 1997-09-30 2000-04-01 차동천 동맥경화억제용 약제조성물
KR20100002239A (ko) * 2009-11-10 2010-01-06 양지화학 주식회사 생강나무 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39628B1 (ko) * 2009-11-20 2011-06-08 양지화학 주식회사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039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Costa-Rocha et al. Hibiscus sabdariffa L.–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44059B1 (ko) 석류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003988B1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1105591B1 (ko) 혈당강하 기능성 쌀 저당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62172B1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KR101166882B1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1024238B1 (ko) 천마를 주재료로 하는 자연발효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1764306B1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5345B1 (ko) 비만억제용 발아현미 및 그 제조방법
KR100859324B1 (ko)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201883B1 (ko) 양파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Lal et al. Traditional, medicinal and nutraceutical values of minor fruit: Longan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