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205B1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205B1
KR100793205B1 KR1020060044652A KR20060044652A KR100793205B1 KR 100793205 B1 KR100793205 B1 KR 100793205B1 KR 1020060044652 A KR1020060044652 A KR 1020060044652A KR 20060044652 A KR20060044652 A KR 20060044652A KR 100793205 B1 KR100793205 B1 KR 10079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ronary heart
herbal
present
atheroscle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624A (ko
Inventor
이재헌
한상복
이학춘
김정인
주희정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4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20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Abstract

본 발명은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조성물은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질대사, 콜레스테롤, 한약재 추출물.

Description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orting Foods for Improving Coronary Heart Diseases or Arteriosclerosis Containing an Extract of Chinese Herb as an Effective Ingredient}
도 1은 대조군과 한약재 조성물 섭취군에서 당뇨동물 모델의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대조군과 한약재 조성물 섭취군에서 당뇨동물 모델의 혈장 중성지방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거나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어 체내의 세포가 당을 이용하지 못하여 고혈당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을 비롯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 조절 기능 이상으로 고혈당의 특징적인 증세를 나타내며(Gonuth, S.M., Ann . Intern. Med ., 79, 812-822, 1973), 이러한 고혈당 증세가 지속되면 혈액순환 장애, 망막손상, 신경세포 손상, 신장 기능 저하 및 혈관 합병증 등 심각한 만성적 합병증을 가져오게 된다 (Kannel, W.B., et al., JAMA , 241, 2035-2038, 1979).
특히, 정상인에 비해서 당뇨환자는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다 (Fuller, J.H., Lancet , 1, 1373-1376, 1980). 당뇨병환자는 관상동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률이 높고, 이는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에 의해 흔히 발병된다 (허갑범, 한국영양학회 초록발표논문집, 15-18, 1984).
제2형 당뇨환자는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고 HDL-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지질대사의 이상이 일어나며(Goldberg, R.B., Diabetes Care , 4, 561-572, 1981), 이것은 당뇨 합병증인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이 된다 (Reaven, J.W., Am. J. Med ., 83, 31-40, 1987). 제2형 당뇨환자 중 67%가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지질대사 이상을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Harris, M.I., Diabetes Care, 23, 754-758, 2000).
당뇨환자에 있어서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등의 혈관성 질환의 발 병률은 비당뇨인의 2 내지 6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순환계 합병증은 당뇨환자의 주된 사망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당뇨환자의 눈은 다른 기관들과 마찬가지로 당뇨병에 의한 대사 장해에 의해 손상 받기 쉬운데, 당뇨병에 의해 증가된 비효소적 당화(glycosylation), 단백질과 지질의 산화, 그리고 환원형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감소는 유해물질에 대한 피부의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수정체의 혼탁과 백내장을 유발한다 (Yarat A., et al., Free Rad . Biol . Med ., 31(9), 1038-1042, 2001).
한약재의 지질대사 저하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양하나, 특정 한약재의 혼합으로 제조된 한약재 조성물의 질병 예방 관련 연구결과는 미비한 실정이고, 현재까지 한약재 조성물의 효능에 대해 특허출원된 것으로는 사상의학에 의한 체질별 주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전부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갈근, 황금 및 고본의 추출물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한약재 조성물이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한약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요 생약으로는 흰양삼(Panax ginseng C. A . Meyer),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뽕나무잎(Morus), 갈근(Pueraria thunbergiana), 하고초(Prunella vulgaris var . lilacina), 오갈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산약(Dioscorea batatas), 황정(Polygonatum odoratum var . pluriflorum), 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생지(Rehmannia glutinosa)가 있다.
흰양삼(Panax ginseng C. A . Meyer)은 홍삼의 한 등급으로 뿌리는 약용하며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인삼은 예로부터 불로·장생·익기(益氣)·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인삼의 뿌리는 비대근으로 원뿌리와 2∼5개의 지근으로 되어 있고 미황백색이다. 지근의 수는 토질, 이식방법, 비료, 수분 등에 의해서 차이가 있으나, 분지성이 강한 식물이며 뿌리의 형태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고 수확은 4∼6년근일때 한다. 한국 전매품인 홍삼의 원료로 쓰이는 것은 모두 6년근이다. 6년근의 동체는 길이 7∼10 ㎝, 지름 2.5 ㎝ 내외이고 뿌리 길이는 34 ㎝, 무게 80 g 정도이다. 인삼은 매년 땅속줄기에서 싹이 나오고 가을에는 줄기와 잎이 고사하는데 고사한 줄기는 흔적이 남는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로, 이뇨·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 탈항,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한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의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시베리아산(G. glabra var . glandulifera), 에스파냐산(G. glabra) 등이 있으며 비슷한 종으로는 개감초(G. pallidiflora)가 있다. 이는 단맛이 적고 감초와 달리 약용으로 쓰이지 않으며, 털이 적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구기자(Lycium chinense)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 단백질, 지방, 당질, 칼 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1, B2, C) 등이 들어 있어 흡수가 빠르다. 한방에서는 강장제·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시력을 좋게 하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며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들기름과 섞어 숙성해 두었다가 머리에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화상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수술 뒤나 회복기에 가루나 즙을 넣어 죽을 끓여 먹기도 하며 술을 담그기도 하는데, 허약체질을 보하는 강장제로 알려져 있다. 술을 조금 섞고 설탕을 넣어 잼을 만들기도 한다.
뽕나무잎(Morus)은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나무속에 속한 낙엽교목 또는 관목의 총칭이며, 원산지는 온대·아열대 지방이며 세계에 30여 종이 있는데 한국에는 산상(山桑: M. bombycis), 백상(白桑: M. alba), 노상(魯桑: M. lhou)의 3종이 재배되고 그 중에서 백상이 가장 많이 재배된다. 잎은 누에를 기르는 데 이용되며, 열매를 오디라고 하는데 술을 담그거나 날것으로 먹는다. 뿌리껍질은 한방에서 해열, 진해, 이뇨제, 소종에 쓰고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갈근(Pueraria thunbergiana)은 칡뿌리의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서 소금물 또는 백반수에 담갔다가 말린 것인데, 겉은 회백색의 섬유성이고 맛이 좀 쓰다. 성분은 녹말이며 한방에서는 발한 ·해열 ·완하제(緩下劑)로서 고열, 두통, 고혈압, 심부전, 설사, 어깨가 결릴 때 등에 처방한다. 갈근탕은 감기약으로서 유명하다.
하고초(Prunella vulgaris var . lilacina)는 길이 1.6mm 정도의 황갈색으로, 열매는 분과(分果: 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다. 봄에 어린순을 식용한다. 생약 하고초(夏枯草)는 꽃이삭을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임질, 결핵, 종기, 전신수 종, 연주창에 약으로 쓰고 소염제·이뇨제로도 쓴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사할린, 시베리아 남동부 등 한대에서 온대에 걸쳐 분포한다. 비슷한 종류로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꿀풀(For . albiflora), 붉은 꽃이 피는 것을 붉은꿀풀(For . lilacina), 줄기가 밑에서부터 곧추서고 기는줄기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줄기 밑에 달리는 것을 두메꿀풀(For. aleutica)이라고 한다.
오갈피(Acanthopanax sessiliflorus)는 꽃이 8∼9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작은꽃줄기가 짧고 꽃이 산형꽃차례에 밀생한다. 꽃잎은 5개, 암술대는 끝까지 합쳐진다. 열매는 핵과로 다소 편평한 타원형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뿌리껍질을 오갈피라고 하며 한방에서 강장제 및 진통제로 사용하고, 수피는 오갈피술을 만드는 데 쓰는 방향성 식물이다. 한국, 중국, 우수리,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난 물에 꿀, 설탕을 넣어 음료로 마시거나 화채나 녹말편을 만들어 먹는다. 밤, 대추, 미삼을 함께 넣고 끓여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약용식물로 재배하며 한국·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산약(Dioscorea batatas)은 마과(科: Disocoreaceae)에 속한 덩굴성 참마(Disocorea japonica) 또는 마(Disocorea batatas)의 덩이뿌리로 가을 상강 후부터 동지 사이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외면은 백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내부는 분질 또는 호화(糊化)된 각질로 단단하다. 성분은 전분, 점액질, 단백질, 지방, 아르기닌콜린 등과 디아스타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지라, 폐, 콩팥, 위, 간의 경락(經絡)에도 작용한다. 효능으로 식욕이 감퇴하며 원기가 부족할 때는 백출(白朮), 연밥, 인삼 등과 함께 달여 복용하며, 정액이 새거나 잠잘 때 식은땀을 흘릴 경우 숙지황, 산수유 등과 달여 복용한다. 몸이 마르고 원기가 부족한 경우 인삼, 패모, 복령, 행인 등을 배합해서 달여 복용하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당뇨병에도 매일 달여 장기간 차 대신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염증성 설사를 하거나 대변이 굳을 때는 복용을 중지한다.
황정(Polygonatum odoratum var . pluriflorum)은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 ㎝인 것을 산둥굴레(Var . thunbergii), 잎 뒷면 맥 위에 잔 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굴레(Var . maximowiczii), 잎은 길이 16 ㎝, 나비 5 ㎝ 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굴레(P. koreanum),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굴레(P. robustum)라고 한다. 봄철에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식용한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것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 당뇨병, 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작약(Paeonia lactiflora)은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쓴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진(晉)과 명(明)시대에 이미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그 재배 역사는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송(宋)을 거쳐 청(淸)시대에는 수십 종류의 품종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 몽골,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지(Rehmannia glutinosa)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 허약 체질, 어린이의 발육 부진, 치매, 조루증, 발기부전에 사용하며 생지황은 허약 체질, 토혈, 코피, 자궁 출혈, 생리불순, 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브리태니커 온라인 백과사전).
그러나, 실제로 상기한 문헌들 및 연구 보고에서 상기 한약재의 지질대사에 대한 치료 효과는 전혀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6180에는 상엽, 황기, 산사육, 초결명, 갈근, 단삼, 하수오, 황정, 대하엽, 구기자, 백봉령, 백출, 의이인 및 인진호를 함유하는 고지혈증 치료제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7105에는 하수오, 택사, 오미자, 결명자, 차조기, 산수유, 산사자, 강황, 휘청, 반하, 익지, 도인, 방기 및 곤약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치료제에 대해 기재되어 있으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고지혈증치료제로 사용될 뿐 지질대사 개선 에 대한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천연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이 지질대사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로 구성된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를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5의 혼합비(㎏/ℓ)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실온에서 약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용 추출물인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및 음료 등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의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 및 일반 성분 분석
시중에서 구입한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를 각각 10 g, 7 g, 4 g, 7 g, 4 g, 7 g, 11 g, 9 g, 4 g, 4 g, 7 g, 7 g, 9 g, 9 g씩 섞어 동결건조한 후 마쇄한 후, 하기 실시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한약재 조성물의 일반성분은 AOAC법(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5th ed., 1990)으로 분 석하였다. 또한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지방은 속실렛(Soxhlet) 추출법, 조단백질은 세미 마이크로(semi-micro) 킬달(Kjeldhal)법, 조회분은 회화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식품공전(2005) 일반성분시험법,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총식이섬유 함량은 프로스키 등에 의해 개발 수정된 AOAC법으로 측정하였다 (Prosky, L., et al., Journal -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71, 1017-1023, 1988). 일반성분의 함량은 100 g당 수분 6.9 g, 지방 1.3 g, 단백질 10.8 g, 회분 14.6 g, 식이섬유 32.8 g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당뇨 동물모델 준비 및 한약재 조성물 실험식이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의 생체 내(In vivo)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제2형 당뇨동물 모델인 4주령의 db/db 마우스를(n=12) 평균혈당이 비슷하도록 난괴법으로 분리하여 두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육실의 온도 및 습도는 각각 20~25 ℃, 50~60 %로 유지하였고, 명암은 12시간 간격으로 점등 및 소등을 하였다. 동물 체중과 식이 섭취량은 일주일에 3회 측정하였다.
통계처리시 모든 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상기 한약재 추출물 섭취군 사이의 유의성 검정은 스튜던트 T -검정(Student's t-test)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α = 0.05).
대조군에게는 표 1에 나타낸 기초식이를, 섭취군에게는 기초식이에 실시예 1의 동결건조된 한약재 조성물을 10% 함유한 한약재 조성물 식이를 6주 동안 섭취시 켰다.
식이 조성
기초식이 한약재 조성물식이
옥수수 녹말1 ) 39.7 39.7
호화 전분 13.2 13.2
카제인(casein)2 ) 20.0 18.9
콩 오일3 ) 7.0 6.9
α-셀룰로오스4 ) 5.0 1.7
수크로오스5 ) 10.0 6.6
미네랄 혼합물6 ) 3.5 3.5
비타민 혼합물6 ) 1 1
L-시스틴6 ) 0.3 0.3
콜린 바이타르트레이트6 ) 0.25 0.25
4-부틸하이드로퀴논 0.0014 0.0014
한약재 조성물 0 10
1) 대상사, 한국 2) 머리고울번사(Murry goulburn Co., 오스트레일리아) 3) 제일제당, 한국 4) 시그마사, 미국 5) 삼양사, 한국 6) ICN 바이오케미컬, 미국
실시예 3. 식이 섭취량 및 체중 증가량 측정
체중 및 식이 섭취량 측정결과,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과 한약재 조성물 추출물 식이를 6주간 공급한 섭취군의 체중은 각각 40.4 ± 2.6 g, 39.5 ± 1.6 g 이었으며, 식이 섭취량은 대조군 및 섭취군이 각각 4.47 ± 0.62 g/일, 4.30 ± 0.60 g/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당뇨동물 모델에서 대조군과 섭취군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
대조군 한약재 조성물 섭취군
체중 (g) 40.4±2.6 39.5±1.6
식이 섭취량 (g/일) 4.47±0.62 4.30±0.60
* 평균 ±S.D.
실시예 4.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 측정
식이 섭취 6주째 실험동물을 희생하였다. 실험동물은 희생하기 전 1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이산화탄소 가스로 질식시켜 EDTA(e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 10 ㎎을 넣은 주사기로 심장에서 채혈하였다. 혈액은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집한 후 -70 ℃에서 보관하였고, 간 조직은 적출하여 -70℃에서 보관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살레의 방법(Sale, F.O., et al., Anal . Biochem., 142, 347-348, 1984)에 의해 측정하였다.
살레의 방법이란, 혈청 중에는 유리형 및 에스테르형 콜레스테롤이 존재하며, 에스테르형 콜레스테롤에 콜레스테롤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hydrolase)를 반응시키면 유리형과 지방산으로 분해되고, 유리형에 콜레스테롤 산화효소를 반응시키면 H2O2와 δ-콜레스테논(Cholestenone)이 생성되는데, 생성된 H2O2에 과산화효소와 4-아미노안티피린 및 페놀을 동시에 반응시키면 산화적 축합반응으로 퀴논이 생성되며 이를 비색하여 콜레스테롤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채취한 혈장을 37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00 ㎚에서 검체 및 표준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이 185.4±13.7 ㎎/dL, 섭취군이 159.2±18.4 ㎎/dL로 나타났다 (도 1). 이로부터 한약재 조성물 활성성분의 장기간 섭취는 당뇨동물에 있어서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5).
혈장 중성지방은 부오콜의 방법(Buoccole, G., David, H., Clin . Chem ., 19, 476, 1973)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부오콜의 방법이란,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리파아제에 의해서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되고, 글리세롤은 다시 글리세롤-1-포스페이트로 변화되고, 글리세롤-1-포스페이트는 GPO에 의해 분해되어 H2O2가 생성되는데, 생성된 H2O2는 아미노아티피린 및 TOOS(N-ethyl-N-(2-hydroxy-3-sulfopropyl)-3-methylaniline)와 반응하여 산화적 축합반응으로 적색의 퀴논을 생성하며, 이를 비색하여 중성지방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채취한 혈장을 37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46 ㎚에서 검체 및 표준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이 108.8±11.0 ㎎/dL, 섭취군이 99.4±15.0 ㎎/dL로 나타났다 (도 2). 이로부터 한약재 조성물 활성성분의 장기간 섭취는 당뇨동물의 중성지방의 농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급성 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rat)를 사용하여 급성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상기의 한약재 추출물을 100 ㎎/㎏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한약재 추출물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이 1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20 ㎎
유당 100 ㎎
탈크(Talc)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lactose) 14.8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10 ㎎
만니톨(mannitol)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
Na2HPO4·12H2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20 ㎎
이성화당(isomerized sugar)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의 용량이 100 ㎖가 되도록 조절해서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킴으로써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biotin) 10 ㎍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1.7 ㎎
엽산(folic acid) 50 ㎍
판토텐산 칼슘(pantothenic acid calcium)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1.75 ㎎
산화아연(zinc oxide) 0.82 ㎎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25.3 ㎎
제1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5 ㎎
제2인산칼슘(potassium phosphate dibasic) 55 ㎎
구연산칼륨(potassium citrate) 90 ㎎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0 ㎎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한약재 추출물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적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여과한다. 이를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로 구성된 한약재 추출물이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밝혀내고,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개선용 강보조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 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및 생지로 구성된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건강보조식품.
KR1020060044652A 2006-05-18 2006-05-18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079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652A KR100793205B1 (ko) 2006-05-18 2006-05-18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652A KR100793205B1 (ko) 2006-05-18 2006-05-18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624A KR20070111624A (ko) 2007-11-22
KR100793205B1 true KR100793205B1 (ko) 2008-01-10

Family

ID=3909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652A KR100793205B1 (ko) 2006-05-18 2006-05-18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0888A (zh) * 2019-02-01 2019-05-03 泸州岷宏科技有限公司 一种赶黄草片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048A2 (fr) * 2008-02-19 2009-08-27 Rached Smida Nouvelles applications du hdl reconstitué
KR101330190B1 (ko) * 2011-09-20 2013-11-15 (주)그린솔루션스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US8586106B2 (en) 2011-12-06 2013-11-19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Fatigue-relieving herbal extracts and beverages comprising the same
CN102697056A (zh) * 2012-06-25 2012-10-03 吉林大学珠海学院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效的保健食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97A (ko) * 2000-08-24 2002-03-04 김길환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KR20030055127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닥터즈메디코아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030093712A (ko) * 2002-06-05 2003-12-11 정태호 항동맥경화용 생약 조성물
KR20050027452A (ko) * 2003-09-15 2005-03-21 주식회사 이노팜 비만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97A (ko) * 2000-08-24 2002-03-04 김길환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KR20030055127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닥터즈메디코아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030093712A (ko) * 2002-06-05 2003-12-11 정태호 항동맥경화용 생약 조성물
KR20050027452A (ko) * 2003-09-15 2005-03-21 주식회사 이노팜 비만 억제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0888A (zh) * 2019-02-01 2019-05-03 泸州岷宏科技有限公司 一种赶黄草片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624A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2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9597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0795822B1 (ko) 고지혈증 및 뇌졸중 회복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추출물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차 및 이의제조방법
KR101689652B1 (ko)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음료 제조방법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04232446A (zh) 一种墨米滋补酒的制备方法
KR100793205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845388B1 (ko)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20110125295A (ko)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4312875A (zh) 一种小米滋补酒的制备方法
CN104247924A (zh) 一种润肺止咳布丁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687B1 (ko)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
KR100696589B1 (ko) 황태, 헛개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및 칡의 카테친 성분을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조성물
CN104893919A (zh) 一种玉米滋补酒的制备方法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20140076260A (ko) 대추를 이용한 양갱 및 그 제조방법
CN105795053A (zh) 一种火棘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953576B1 (ko)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579231A (zh) 红枣枸杞姜汤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