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388B1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5388B1 KR101845388B1 KR1020160041111A KR20160041111A KR101845388B1 KR 101845388 B1 KR101845388 B1 KR 101845388B1 KR 1020160041111 A KR1020160041111 A KR 1020160041111A KR 20160041111 A KR20160041111 A KR 20160041111A KR 101845388 B1 KR101845388 B1 KR 101845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ncentrate
- black
- brix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17
- 241000383638 Allium nig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40072113 Onion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5000014063 licorice roo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40002508 Ginger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150000003045 fructo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5389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251 goat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69765 Bean extract Drugs 0.000 claims 3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claims 2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claims 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02807 Glycyrrhiza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00 Gar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706 garlic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DSSYKIVIOFKYAU-UHFFFAOYSA-N Camphor Chemical compound C1CC2(C)C(=O)CC1C2(C)C DSSYKIVIOFKY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0846 Camphor Drugs 0.000 description 3
- 241000723346 Cinnamomum cam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7890 camphor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DLKFOPOAOFWQN-VIFPVBQESA-N Allicin Natural products C=CCS[S@](=O)CC=C JDLKFOPOAOFWQN-VIFPVBQE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ZFAHNWWNDFHPOH-YFKPBYRVSA-N S-Allyl cysteine Chemical compound OC(=O)[C@@H](N)CSCC=C ZFAHNWWNDFHPO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2362 Superoxide Dismutase Drug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9197 Superoxide Dismu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2715 Superoxide Dismu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087 Abdominal pain upp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NCAVNGLACHSRZ-KAMYIIQDSA-N Allithiamine Chemical compound C=CCSSC(/CCO)=C(/C)N(C=O)CC1=CN=C(C)N=C1N WNCAVNGLACHSRZ-KAMYIIQD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5 Allium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95 Bet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1 Bra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3121 Campanula rotund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623 Encephal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625 Encephal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66 European mistleto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745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062 Garlic preparat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917 Glycyrrhiza ural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54 Glycyrrhiza ural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MYOOOWEV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2[C@H](O)[C@@H](O)[C@H](O)[C@H](C(=O)O)O2)[C@@H](O[C@@H]2C(C)(C)[C@H]3[C@@](C)([C@H]4C(=O)C=C5[C@](C)([C@]4(C)CC3)CC[C@]3(C)[C@H]5C[C@](C(=O)O)(C)CC3)CC2)O1 LPLVUJXQOOQHMX-MYOOOWE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95050 Kaempferia parv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534 Large intestin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UDCIYVVYDCXLSX-KAMYIIQDSA-N N-[(4-amino-2-methylpyrimidin-5-yl)methyl]-N-[(Z)-5-hydroxy-3-(propyldisulfanyl)pent-2-en-2-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CCSS\C(CCO)=C(\C)N(C=O)CC1=CN=C(C)N=C1N UDCIYVVYDCXLSX-KAMYIIQD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443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771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0 Ph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52640 Rhipsalis cassut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00 Rhipsalis cassuth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71263 Ribes gross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57 Ribes grossula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302 Toxicodendron succedan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94 allergic hypersensi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081 all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64 analytical calib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67 anti-ul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85 bi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12 bi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06 cit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09 ginseng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3 hepato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10 hyper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77 liquo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87 sod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508 sulf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8 sunflower see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5 tes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흑양파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호성이 좋아 남녀노소 모두 섭취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흑양파 추출물과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고,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구연산, 프락토올리고당을 더욱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파(Allium cepa L.)는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내한성 식물체로 다양한 기후조건에서 생육할 수 있어 거의 전세계적으로 재배하고 있다.
양파는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같은 일반 성분 외에 유황성분과 당질, 비타민 B1, B2, C, 칼슘, 인, 철분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특히, 양파의 티아민프로필디설피드(thiamine propyldisulfide)는 알리신과 비타민 B1이 결합한 알리티아민의 체내 흡수를 촉진하기 때문에 양파와 함께 음식을 섭취하면 음식에 들어있는 비타민 B1의 체내 흡수를 촉진할 수 있으며, 글루타치온(glutathione)은 간장의 해독 및 조혈작용을 강화시키고 눈의 질환을 예방한다. 또한, 양파는 항균 효과, 항암 효과, 당뇨병 효과 및 성인병 예방효과가 있다.
한편, 흑양파는 생양파의 강한 냄새와 매운 맛을 감소시키고, 양파 자체 성분의 반응에 따른 감미와 산미가 조화를 이루어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양파 가공품이다. 흑양파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 주면 양파 자체에 함유된 당과 아미노산에 의한 갈변반응 및 중합반응으로 인해 흑색으로 변화된다. 흑양파는 생양파에 비하여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 물질의 증가로 인해 생리활성이 증가되고, 특히 매운 맛과 자극취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어 다양하게 제품화되고 있다.
한편, 산양삼은 인삼의 씨를 산에 뿌려 야생상태로 재배한 것으로, 장뇌 또는 장뇌산삼(長腦山蔘), 장로(長蘆)라고도 한다. 장뇌라는 이름은 줄기와 뿌리를 잇는 뇌 부분이 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일반인은 구분하기 어렵다. 이렇게 야생에 뿌려진 인삼의 종자는 깊은 산 속 그늘진 박달나무나 옻나무 아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데, 절반 정도 그늘지고 외진 곳에서만 자라는 특징이 있다. 외관이 자연산 산삼과 매우 유사하며 약효도 자연산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나 가격은 자연산의 1/5~1/10에 불과하다.
산양삼은 생체의 부족한 기를 보충하고 증강하여, 피로 회복과 균에 대한 저항력과 면역 기능을 증진하고 허약 체질을 개선하며, 산양삼은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한다. 열이 많은 사람은 열을 내려주고 냉한 사람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을 하므로 누구에게나 잘 맞는 중화작용의 특이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각종 성인병(당뇨,암,혈압,간염, 심장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흑양파 또는 산양삼은 많은 약리 효과로 인해 다양한 제형의 식품으로 가공하여 섭취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흑양파 추출물과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모두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흑양파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양파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흑양파 추출물은 주로 음료 형태로 가공되고 있으나, 특유의 맛, 향, 색으로 인하여 섭취에 거부감이 드는 실정이였고, 산양삼 열매는 종래에 음료로 가공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흑양파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함께 조성하여,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호도가 우수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흑양파 추출물 65~72중량%, 흑마늘 추출물 17~25중량%, 흑생강 추출물 1~5중량%, 산양삼 열매 농축액 0.1~3중량%, 대추 농축액 1~5중량%, 감초 농축액 0.1~3중량%, 구연산 0.01~1중량% 및 프락토올리고당 3~10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음료 조성물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기능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에게 기호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3~10 brix의 흑양파 추출물, 1~5 brix의 흑마늘 추출물, 1~5 brix의 흑생강 추출물, 20~60 brix의 산양삼 열매 농축액, 60~70 brix의 대추 농축액, 60~70 brix의 감초 농축액, 95~100 brix의 구연산 및 70~80 brix의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음료 조성물은, 기능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맛, 향, 색이 우수하여 남녀노소 모두 섭취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흑양파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흑양파 중량 대비 13~18배수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80~90℃에서 10~1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저온에서 추출함으로써, 영양성분의 파괴가 거의 없는 흑양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양파는, 바람직하게 양파를 85~95℃에서 20~60분 동안 증숙시킨 후, 50~60℃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제조된 것이 좋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숙 및 건조 과정을 3회 반복 수행하여 제조된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양파는 일반 양파보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polyphenol)의 함량이 다량 증가하여 기능성이 우수하며 맛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 열매 농축액은, 바람직하게 산양삼 열매 중량 대비 18~22배수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80~90℃에서 8~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저온에서 추출함으로써, 영양성분의 파괴가 거의 없는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양삼 열매 농축액은 고형분 함량이 20% 이상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흑마늘은, 생마늘을 일정한 습도와 온도에서 숙성, 발효시킨 것으로, 생마늘에 비해 약리 효과는 증대되고, 생마늘 특유의 자극성과 냄새는 사라져 건강기능식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흑마늘은 제조과정에서 마늘 성분 중의 당분과 아미노산이 반응해 멜라노이딘(Melanoidin)화합물이 생성되어 흑색을 띠게 되며, 생마늘에서 볼 수 없는 유황 화합물의 일종인 S-아릴 시스테인(S-Allyl cysteine)이 생성되어 암예방, 동맥경화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흑마늘은 생마늘보다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Super Oxide Dismutase),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은, 초본성 뿌리 줄기 식물로, 채집 후 바로 잘랐을 때 안쪽이 토양환경에 따라 보라색, 혹은 검은색을 띤다. 흑생강은 통풍, 알레르기 및 위장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고, 태국 인삼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생강과에 속한다. 흑생강은 플라보노이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최근 항위궤양 및 바이러스 단백 분해 효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추는, 대추나무의 열매로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예로부터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처럼 감미를 내기 위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효가 있으며 민간에서는 잘 익은 대추를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게 하고 변비를 없애며 기침도 멎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예로부터 식품의 조미료나 약용으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주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은 자당의 150배의 감도가 있으며, 감미료로서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으로, 감초 추출물에는 항궤양 작용, 간 장해 보호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순환식 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순환식 추출법이란,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약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추출하는 방법이다. 약물의 확산 작용을 유도하고 용출과 대류 현상을 통하여 약재 원액을 그대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성물은, 흑양파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57~59℃에서 혼합한 후, 75~85 mesh로 여과한 다음, 85~95℃에서 3~5시간 동안 살균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흑양파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함께 조성하여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호성이 좋아 남녀노소 모두 섭취가 용이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흑양파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흑양파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흑양파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제조예
1:
흑양파
추출물의 제조]
양파를 농산물건조기에 넣고 양파의 자체 수분을 이용하여 90℃에서 30분 동안 1차 증숙한 후, 55℃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하였다. 그 후, 상기 증숙과 건조를 2차, 3차까지 수행하여 흑양파를 제조하였다 (도 1). 도 1은 흑양파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 제조된 흑양파 2 kg에 정제수 30 L를 첨가한 후, 85℃에서 12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여 3 brix의 흑양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흑양파 추출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흑양파 추출물이 60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보관하였다.
한편, 하기 실시예 1에서는, 상기 60 brix로 농축된 흑양파 추출물을 희석하여 6 brix로 제조한 후, 원료로서 사용하였다.
[
제조예
2:
산양삼
열매 농축액의 제조]
산양삼 열매 1 kg에 정제수 20 L를 첨가한 후, 80℃에서 10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여 산양삼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산양삼 열매 추출물이 60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보관하였다.
한편, 하기 실시예 1에서는, 상기 60 brix로 농축된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희석하여 20 brix로 제조한 후, 원료로서 사용하였다.
[
제조예
3: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흑마늘 1 kg에 정제수 20 L를 첨가한 후, 80℃에서 10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여 3 brix의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
흑생강 1 kg에 정제수 20 L를 첨가한 후, 80℃에서 10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여 3 brix의 흑생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5: 대추 농축액의 제조]
대추 1 kg에 정제수 20 L를 첨가한 후, 80℃에서 10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였다. 그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65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6: 감초 농축액의 제조]
감초 1 kg에 정제수 20 L를 첨가한 후, 80℃에서 10시간 동안 순환 추출하였다. 그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65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감초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흑양파
추출물의 기능성분 분석 - 폴리페놀 함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흑양파 추출물의 기능성분을 분석하고자 폴리페놀(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표준용액은 탄닌산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표준용액 및 시험용액을 각각 1㎖ 취한 후, 폴린-데니스(Folin-denis) 시약 0.5 ㎖를 첨가한 다음 탄산나트륨 1 ㎖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암소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흑양파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0.73 mg/㎖로, 일반 양파 추출물에 비해 약 2배 높음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 2). 도 2는 흑양파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흑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흑양파 추출물, 산양삼 열매 농축액, 흑마늘 추출물, 흑생강 추출물, 대추 농축액, 감초 농축액 및 구연산, 프락토올리고당을 하기 표 1과 같이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각 음료 조성물을 배합한 후, 60℃에서 혼합하였다. 그 후, 80 mesh로 여과한 것을 90℃에서 4시간 동안 살균하여 각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배합비 | ||||
원료명 | 규격 | 배합비율(%) | ||
Brix | Type-1 | Type-2 | Type-3 | |
흑양파 추출물 | 6 | 74.40 | 72.40 | 68.40 |
흑마늘 추출물 | 3 | 15.00 | 16.00 | 20.00 |
흑생강 추출물 | 3 | 2.00 | 3.00 | 3.00 |
산양삼 열매 농축액(고형분 20%이상) | 20 | 1.00 | 1.00 | 1.00 |
대추 농축액 | 65 | 2.00 | 2.00 | 2.00 |
감초 농축액 | 65 | 0.50 | 0.50 | 0.50 |
구연산 | 100 | 0.10 | 0.10 | 0.10 |
프락토올리고당 | 75 | 5.00 | 5.00 | 5.00 |
Total | - | 100 | 100 | 100 |
[
실험예
2: 관능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각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20~50세 남녀 각각 10명씩을 무작위로 추출한 다음 각 음료를 섭취하게 한 후, 맛, 색, 향, 식감, 종합적 기호도에 대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5점 등급제 (5=대단히 좋다, 4=보통으로 좋다, 3=좋지도 싫지도 않다, 2=보통으로 싫다, 1=대단히 싫다)에 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평가 항목 중 '식감'은 음료 음용 시 느껴지는 목넘김, 텁텁함, 부드러운 정도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구분 | 맛 | 색 | 향 | 식감 | 종합적 기호도 |
Type-1 | 3.8 | 3.6 | 3.6 | 3.7 | 3.7 |
Type-2 | 3.8 | 3.8 | 3.9 | 3.8 | 3.8 |
Type-3 | 4.1 | 3.9 | 4.0 | 3.9 | 4.0 |
평가결과, 'Type-3'의 음료 조성물이 맛, 색, 향, 식감, 종합적 기호도 모두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 3~10 brix의 흑양파 추출물 68.40중량%, 1~5 brix의 흑마늘 추출물 20.00중량%, 1~5 brix의 흑생강 추출물 3.00중량%, 20~60 brix의 산양삼 열매 농축액 1.00중량%, 60~70 brix의 대추 농축액 2.00중량%, 60~70 brix의 감초 농축액 0.50중량%, 95~100 brix의 구연산 0.10중량% 및 70~80 brix의 프락토올리고당 5.00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3~10 brix의 흑양파 추출물 68.40중량%, 1~5 brix의 흑마늘 추출물 20.00중량%, 1~5 brix의 흑생강 추출물 3.00중량%, 20~60 brix의 산양삼 열매 농축액 1.00중량%, 60~70 brix의 대추 농축액 2.00중량%, 60~70 brix의 감초 농축액 0.50중량%, 95~100 brix의 구연산 0.10중량% 및 70~80 brix의 프락토올리고당 5.00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양파 추출물은,
흑양파 중량 대비 13~18배수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80~90℃에서 10~1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양파는,
양파를 85~95℃에서 20~60분 동안 증숙시킨 후, 50~60℃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 열매 농축액은,
산양삼 열매 중량 대비 18~22배수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80~90℃에서 8~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1111A KR101845388B1 (ko) | 2016-04-04 | 2016-04-04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1111A KR101845388B1 (ko) | 2016-04-04 | 2016-04-04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4403A KR20170114403A (ko) | 2017-10-16 |
KR101845388B1 true KR101845388B1 (ko) | 2018-04-05 |
Family
ID=6029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1111A KR101845388B1 (ko) | 2016-04-04 | 2016-04-04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53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4145B1 (ko) * | 2019-07-16 | 2021-06-10 | 재단법인 한국천연색소산업화센터 | 양파 농축액 분말의 제조방법 |
KR102261271B1 (ko) * | 2019-07-29 | 2021-06-07 | 재단법인 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 유황재배 양파, 유황재배 마늘 및 진생베리 추출물로 구성되는 면역 기능 증진 식품 첨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면역증진 반찬의 제조방법 |
KR102231221B1 (ko) * | 2019-08-22 | 2021-03-24 |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삼성농원 | 붉은 양파와 산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용 젤리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9865B1 (ko) * | 2010-04-15 | 2010-10-29 | 원용덕 | 기능성 숙성 흑양파 농축액의 제조방법 |
KR101488612B1 (ko) * | 2013-08-12 | 2015-01-3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흑색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
-
2016
- 2016-04-04 KR KR1020160041111A patent/KR101845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9865B1 (ko) * | 2010-04-15 | 2010-10-29 | 원용덕 | 기능성 숙성 흑양파 농축액의 제조방법 |
KR101488612B1 (ko) * | 2013-08-12 | 2015-01-3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흑색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4403A (ko) | 2017-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0591B1 (ko) |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36052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KR101845388B1 (ko)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
CN106616183B (zh) | 一种以玛咖和蒲公英为主味剂的固体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1827873B1 (ko) | 오자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
KR101598395B1 (ko) |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2092841B1 (ko) | 냉면 육수의 제조방법 | |
KR101850400B1 (ko) | 닭가슴살 육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포의 제조방법 | |
KR101149136B1 (ko) |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2136053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KR100859324B1 (ko) |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 |
KR20170114387A (ko) | 산양삼 연잎밥의 제조방법 | |
KR101872937B1 (ko) |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1788253B1 (ko) |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 |
KR101402600B1 (ko) | 즉석국수 제조방법 | |
KR101930026B1 (ko) |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 |
KR101742010B1 (ko)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CN104982590A (zh) | 一种红枣黄秋葵果茶饮料的制备方法 | |
KR101827874B1 (ko) | 백하수오 당귀 혼합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
KR101756264B1 (ko) |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61744B1 (ko) |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90097742A (ko) |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식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55300B1 (ko) | 건강기능성 음료용 액상 조성물 | |
KR102323687B1 (ko) |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 |
KR102226425B1 (ko) | 면역 활성이 증진된 혼합 야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